KR20030043607A -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3607A
KR20030043607A KR1020020048879A KR20020048879A KR20030043607A KR 20030043607 A KR20030043607 A KR 20030043607A KR 1020020048879 A KR1020020048879 A KR 1020020048879A KR 20020048879 A KR20020048879 A KR 20020048879A KR 20030043607 A KR20030043607 A KR 20030043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rubbing
liquid crystal
carbon atoms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8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7907B1 (ko
Inventor
하야미 다비라
다까시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30043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3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9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8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 G02F1/133784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by rubb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2Alignment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Abstract

본 발명은 배향막을 구비한 기판을 러빙천에 의해 러빙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러빙천으로서 섬유를 기모시킨 파일(pile)부를 가지며, 파일부에는 아세트산 셀룰로오스에 의해 구성된 섬유가 포함되고, 이 아세트산 셀룰로오스에 의해 구성된 섬유는 권축이 부여된 필라멘트 가공사가 되도록 하고, 아세트산 셀룰로오스는 아세트화도가 45 % 이상이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내마모성이 높고 대전성이 낮으며 배향 규제력이 큰 특성을 겸비한, 러빙천을 사용하는 러빙 처리 공정을 포함하며, 신뢰성이 높은 액정 표시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 패널의 제조 공정에서 러빙천으로 기판을 러빙함으로써 액정 분자의 배향을 제어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투과식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액정 표시 소자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구동 소자(TFT)를 형성한 TFT 기판, 컬러 필터를 형성한 컬러 필터 기판 (이하 "CF 기판"이라고 약칭함)등을 미세한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배치하며, 그 간극에 액정을 봉입한 구성을 취한다. TFT 기판의 표면에는 화소 전극으로서 패턴화된 ITO 전극이 배치되며, ITO 전극의 표면을 피복하도록 배향막이 배치되어 있다.
한편, CF 기판의 표면에는 공통 전극으로서 ITO막이 배치되며, ITO막 표면에 배향막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TFT 기판과 CF 기판은 배향막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대향하여 배치되며, 두 기판의 배향막은 모두 봉입되는 액정과 접촉된다.
TFT 기판과 CF 기판의 배향막에는 액정 분자를 배열시키기 위해 배향 처리가 행해져 있다. 배향 처리 방법으로서는 러빙천으로 배향막 표면을 문지르는 러빙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러빙천은 통상 알루미늄 및 스테인레스 롤러의 외주면에 접착되며, 롤러를 회전시키면서 외주면의 러빙천을 배향막의 표면에 접촉시킴으로써 러빙천으로 배향막의 표면을 문지른다. 이와 같이 배향막 표면에 러빙 처리를 행함으로써 배향막이 러빙천으로 문질러진 방향으로 액정 분자가 배열되며, 균일한 표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러빙천으로서는 일반적으로 원단과 섬유를 기모시킨 파일을 포함하는 벨벳이 사용되고 있다. 러빙천 용도의 벨벳은 파일의 굵기 및 원단에 사용하는 실의 굵기를 변화시킴으로써 파일 밀도가 조정되며, 또한 원단에서의 컷팅 위치에 의해 파일 길이가 조정되고 있다. 파일 부분에 사용하는 섬유 소재는 레이온 및 나일론과 같은 장섬유(필라멘트)를 사용한 것과, 면과 같은 단섬유를 사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7-2707098호 공보에는, 아라미드 섬유를 러빙천으로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6-194662호 공보에는, 섬유형 단백질을 러빙천으로 사용한 배향막의 배향 처리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6-194661호 공보에는, 카제인을 재료로 한 러빙천을 사용한 배향막의 배향 처리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파일이 레이온제인 러빙천은 레이온의 내마모성이 불충분하다는 문제가 있다. 즉, 레이온제의 러빙천은 한창 러빙 중일 때 파일이 마모되어 이물질 (이하, "마모분 이물질"이라고 함)이 발생하기 쉽고, 마모분 이물질이 배향막 표면에 부착되면 액정 표시 소자의 대향하는 2장의 유리 기판면의 간격 (액정 셀 갭)이 불균일해지고, 표시 얼룩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마모분 이물질은 러빙천에 말려들기 쉬우며, 그 상태에서 배향막을 러빙하는 경우, 배향막 표면에 흠집을 생기게 한다. 이 흠집은 액정 표시 소자에 하얗게 비치는 공백 부분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마모된 러빙천은 균일성이 부족하며, 마모된 채 사용하면 러빙 처리가 불균일해지고, 액정 표시 소자의 표시 얼룩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신속히 교환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레이온제의 러빙천은 레이온의 내마모성이 불충분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파일이 면제인 러빙천은 파일의 내마모성에 있어서는 레이온보다 약간 개선되어 있다. 이것은 면, 레이온 모두 기본 골격은 셀룰로오스이기는 하지만, 면이 레이온보다 분자량이 크고, 재료 강도가 높기 때문이다. 그러나, 면은 천연 단섬유이기 때문에 파일사는 단섬유를 방적한 방적사가 되며, 파일 한가닥 한가닥의 굵기는 파일사가 필라멘트로 이루어진 나일론이나 레이온 등의 합성 섬유 및 반합성 섬유와 비교하여 굵어지게 된다.
또한, 단섬유이기 때문에 한창 러빙 중일 때 면의 단섬유가 기판 상에 탈락되기 쉽다. 또한, 면은 천연 섬유이기 때문에 산지의 차이 등에 의해 섬유 그 자체의 품질 불균일이 합성 섬유 및 반합성 섬유보다 크고, 러빙천의 파일 균일성은 레이온 및 나일론보다 저하된다. 따라서, 면의 러빙천을 사용했을 경우, 나일론이나 레이온 등의 합성 섬유 및 반합성 섬유와 비교하여 액정 표시 소자에 러빙 줄무늬라고 불리우는 줄무늬형의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기 쉽다.
이와 같이 면제의 러빙천은 레이온제의 러빙천과 비교하여 내마모성이 약간 개선되어 있기는 하지만, 파일사가 굵고 파일의 균일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파일이 나일론제인 러빙천은 일반적으로 레이온 및 면제의 러빙천보다도 내마모성이 우수하다고 여겨지며, 마모분 이물질의 발생은 레이온 및 면제의 러빙천보다도 억제된다. 그러나, 나일론제의 러빙천은, 러빙시에 발생하는 정전기에 의해 러빙천이 고전압으로 대전된다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나일론제의 러빙천의 러빙시 대전압은 2000 V를 초과하는 고전압이 되기 때문에, 이것이 기판과 단락되었을 때 TFT 소자 및 배선을 손상시킨다.
또한, 나일론제의 러빙천으로 러빙 처리한 배향막은 액정 분자의 배향 규제력이 약하고, 액정 봉입시에 유동형 배향이 발생하거나, 또는 균일하게 배향되더라도 액정의 응답이 느려 잔상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나일론제의 러빙천은 레이온제의 러빙천과 비교하여 내마모성은 우수하지만, 대전압이 높고 배향 규제력이 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7-2707098호 공보에는 아라미드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러빙천의 파일의 내마모성을 개선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지만, 아라미드 섬유는 결정화도가 높고 인장 강도는 우수하지만, 러빙시에 파일이 받는 전단력에는 약하여 섬유가 세로 방향으로 갈라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섬유가 세로 방향으로 갈라짐으로써 대량의 피브릴이 탈락하여 배향막 상의 이물질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6-194662호 공보에는, 섬유형 단백질을 러빙천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지만, 섬유형 단백질은 비단 및 양모 등이기 때문에 내열성이 부족하고, 레이온의 열분해 온도 (260 내지 300 ℃)에 대하여 비단의 경우에는 65 ℃ 내지 25 ℃ 낮고, 양모에 있어서는 170 ℃ 내지 130 ℃나 낮다. 따라서, 러빙시에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해 쉽게 변성되어 러빙천으로서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6-194661호 공보와 같이 카제인을 재료로 한 러빙천은, 단백질인 카제인이 러빙시에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해 쉽게 변성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내마모성이 높고 대전성이 낮으며 배향 규제력이 큰 특성을 겸비한 러빙천을 사용하는 러빙 처리 공정을 포함하며, 신뢰성이 높은 액정 표시 장치를 제조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의 러빙천 (2)를 사용하여, 기판 (5)에 러빙 처리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트리아세테이트를 사용한 러빙천 (2)와 비교예의 러빙천에 대해서 동마찰 계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도 2의 동마찰 계수의 측정에 사용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트리아세테이트를 사용한 러빙천 (2)와 비교예의 러빙천에 대해서 기판의 이물질 부착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본 실시 형태의 트리아세테이트를 사용한 러빙천 (2)와 비교예의 러빙천에 대해서 러빙시의 대전압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배향막의 광학 이방성과 배향막 시료의 회전각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트리아세테이트를 사용한 러빙천과 비교예의 러빙천으로 러빙한 배향막의 광학 이방성과 러빙천의 동마찰 계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트리아세테이트를 사용한 러빙천과 비교예의 러빙천에 대하여 러빙시의 기판의 대전압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략한 설명>
1 러빙 롤러 2 러빙천
3 파일4 배향막
5 기판5a 구동 소자
6 원단 7 백코트
8 양면 테이프 9 스테이지
10 곡율 지그 (Jig)11 헤드
12 하중용 추13, 14 지점
15 밸런스 추 16 가중 변환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이하와 같은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즉, 배향막을 구비한 기판을 러빙천에 의해 러빙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러빙천으로서 섬유를 기모시킨 파일부를 갖고, 상기 파일부에는 아세트산 셀룰로오스에 의해 구성된 섬유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 목적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하기 설명에 의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인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러빙 처리 공정을 포함하며, 이 러빙 처리 공정에 있어서 이하와 같은 러빙천을 사용한다.
(러빙천의 제조)
발명자들은 여러가지 섬유 소재를 사용하여 러빙천을 시험 제조하고, 예의 검토한 결과, 파일 부분에 아세테이트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배향 규제력이 크고, 내마모성이 높으며, 나아가 대전성이 낮은 특성을 갖는 러빙천을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하, 이것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러빙천 (2)는 섬유를 기모시킨 파일 (3)과 이것을 고정하는 원단 (6)과 백 코팅층 (7)을 갖는 기모천이다. 파일 (3)을 구성하는 파일사에는 아세테이트 섬유가 포함되어 있다.
아세테이트 섬유는 아세트산 셀룰로오스제 섬유이며, 하기 화학식과 같이 표시되는 아세트산 셀룰로오스이다.
[C6H7O2(OCOCH3)x(OH)3-x]n
식 중, 0<x≤3이다.
섬유형으로 가공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아세트화도를 갖는 것이든 상관없지만, 예를 들면 아세트화도 45 % 이상의 아세트산 셀룰로오스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삼아세트산 셀룰로오스) 및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이아세트산 셀룰로오스)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아세테이트 섬유로서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삼아세트산 셀룰로오스)제의 섬유 (이하, "트리아세테이트 섬유"라고 함)를 사용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아세테이트 섬유의 필라멘트에 가연법에 의해 선회성이 있는 권축 가공 (나선형의 주름 가공)을 행하여 필라멘트 가공사로 한 것을 사용한다.
파일사에 포함되는 아세테이트 섬유는 효과 발현면에서 파일사 전체의 2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아세테이트 섬유와 다른 섬유와의 혼용으로 파일 (3)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러빙시에 배향막에 직접 접촉하는 파일 (3)의 선단 부분만을 아세테이트 섬유 또는 아세테이트 섬유의 혼용으로 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파일 (3) 모두가 트리아세테이트 섬유로 구성된, 즉 100 % 트리아세테이트제의 파일 (3)을 갖는 3종류의 러빙천을 제조하였다. 3종류의 러빙천의 구성을 하기 표 1에 No.1 내지 3으로 나타낸다.
아세테이트 섬유 한가닥의 필라멘트 굵기는 1 데니어 내지 5 데니어인 것이바람직하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3.75 데니어의 필라멘트를 사용하였다. 또한, 굵은 필라멘트 및 가는 필라멘트를 선택할 수도 있다. 단, 필라멘트의 굵기를 0.5 데니어 이하로 하는 경우, 파일 (3)은 거의 기모되지 않기 때문에 필라멘트를 수지 가공하거나 파일 유지용의 굵은 섬유를 아세테이트 섬유와 혼용하여 파일 (3)을 구성하는 등의 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제직시에 파일 (3)을 구성하기 위한 실로서 사용되는 파일사는 상기 필라멘트를 소정 가닥수로 서로 꼰 것을 사용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라멘트의 굵기가 3.75 데니어인 트리아세테이트 섬유를 20가닥 꼰 것을 파일사로 하여 3종류의 러빙천 (표 1의 No.1 내지 3)을 제조하였다.
또한, 러빙천의 천 조직은 기모천이면 되며, 파일을 구성하는 파일사가 경사가 되는 세로 파일 조직 또는 위사가 되는 가로 파일 조직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 1의 No.1 및 No.2의 러빙천의 천 조직을 벨벳으로 하였다. 표 1의 No.3의 러빙천의 천 조직은 편물 조직인 세로뜨기의 트리코(tricot)의 파일 부분을 컷팅하여 기모한 것으로 하였다. 그 외에 모켓(moquette), 더블 라셸 (raschel) 원형 뜨기의 싱커 파일의 루프를 주름 잡은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파일 (3)을 고정하는 원단 (6)을 구성하는 원사는 러빙시에 직접 배향막을문지르는 부분은 아니기 때문에, 파일사를 고정할 수 있는 소재라면 되지만, 본 실시 형태의 표 1의 No.1 및 No.2의 러빙천에서는 경사 및 위사 모두 폴리에스테르제 섬유를 사용하였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외에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섬유, 면, 레이온,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아라미드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사의 굵기도 파일사를 고정할 수 있는 굵기면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 1의 No.1, No.2의 러빙천을 모두 원사의 경사로서 50 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2가닥으로 서로 꼬아 100 데니어로 한 것을 사용하고, 원사의 위사로서 75 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이어서 꼰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파일 (3)을 구성하는 트리아세테이트 섬유(필라멘트)의 밀도는 1 ㎠당 적어도 5000 가닥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0 가닥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1 ㎠당 필라멘트 가닥수가 5000 가닥보다 적어지면 배향막을 문지르는 필라멘트 가닥수가 현저하게 적어지기 때문에 러빙 처리가 불균일해지고, 적절한 배향 처리는 불가능해진다.
필라멘트 가닥수의 상한은 러빙천을 제조할 수 있는 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필라멘트의 굵기에도 따르지만, 1 ㎠당 약 500000 가닥 정도를 짜넣을 수 있는 필라멘트수가 상한이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 1의 No.1 내지 3의 러빙천 모두 파일 (3)의 필라멘트 밀도가 1㎠당 약 15000 가닥이 되도록 천을 제직하고, 파일 (3)의 필라멘트를 약간 경사시킨 후, 대략 일정한 방향으로 늘어서도록 배치하였다.
또한, 원단 (6)에서부터 파일 (3)의 선단까지의 천 두께는, 파일 (3)의 필라멘트가 기울어진 상태의 두께로 1.2 mm 내지 3.5 mm로 할 수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1.8 mm 내지 2.2 mm (표 1의 No.1 내지 3)로 하였다. 또한, 천 두께의 천 면내 방향의 오차는 공차 0.3 mm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서의 러빙천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가공을 행하지 않은 소정 굵기의 생사인 트리아세테이트 섬유 (필라멘트)를 표 1에 기재된 가닥수로 묶어 가연법에 의해 권축 가공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가연 가공기로 가연한 상태에서 건조 또는 습열로 처리하여 권축을 고정한 후, 해연함으로써 파일사를 제조하였다. 이에 따라, 파일사를 구성하는 트리아세테이트 섬유는 한가닥 한가닥의 필라멘트가 나선형으로 권축되었다.
이어서, 파일사에 포발 (poval)을 주성분으로 한 통상의 벨벳에 사용되는 호제(糊劑)를 슬랫셔를 사용하여 풀을 먹였다. 풀을 먹인 파일사와 상술한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사용하여 벨벳 조직을 제직하였다. 벨벳 조직은 원경사의 한가닥에 대하여 파일사 두가닥을 늘어세우고, 세가닥의 원위사로 파일사를 고정하는 공지된 퍼스트 파일이라고 불리우는 조직으로 하였다. 이 때, 파일 (3)의 트리아세테이트 섬유의 필라멘트 밀도가, 상술한 바와 같이 1 ㎠당 약 15000 가닥이 되도록 천을 제직하였다.
천을 제직한 조직의 파일사를 절단하여 기모시키고, 파일사를 소정의 두께로 잘라 정리하는 털깍기를 행한 후, 풀의 제거, 정련(세정 등)을 행하고, 건조한 후 파일사를 브러싱하였다. 이에 따라, 복수 가닥의 트리아세테이트 필라멘트를 서로꼬아서 구성한 파일사가 풀리고, 필라멘트 한가닥 한가닥이 기모된 파일 (3)을 얻을 수 있다. 그 후, 파일 (3)의 필라멘트를 약간 경사지게 한 후, 대략 일정한 방향으로 늘어서도록 배치하였다.
이어서, 기판 (6)의 이면에 수지를 도포하여 베이킹함으로써, 백코트층 (7)을 형성한다. 이 백코팅 처리는 러빙시에 파일 부분의 섬유 탈락을 방지함과 동시에 도 1과 같이 러빙 롤러 (1)에 러빙천을 접착할 때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행하는 처리이고, 벨벳을 러빙천으로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공정이다. 백코트층 (7)을 형성하는 수지로는 아크릴 수지, 폴리아세트산 비닐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아크릴계 수지의 원료를 주성분으로 한 수지 원료를 나이프코팅기로 도포하여 원단 (6)의 이면에 도포하고 베이킹함으로써, 아크릴계 수지의 백코트층 (7)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파일사로 필라멘트를 소정 가닥수로 가연한 후, 가열한 것을 사용함으로써, 목적하는 필라멘트 밀도로 한가닥 한가닥을 기모하여 이루어진 파일 (3)을 갖는 러빙천을 제작할 수 있었다. 이것은 필라멘트를 묶고 가연한 후, 가열함으로써 필라멘트에 권축을 고정시킨 상태의 파일사를 이용하여 제직하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가연 가공만을 행하고 열에 의한 권축의 고정을 실시하지 않은 파일사를 사용한 경우, 천의 제작 자체는 가능하지만, 벨벳 생산 공정에 존재하는 열 공정(예를 들면, 원단의 이면 수지 가공 등)으로 파일사에 권축이 발현하여 수축됨과 동시에 섬유 밀도가 증대하기 때문에 펠트형이 된다. 따라서, 러빙천으로바람직한 필라멘트의 한가닥 한가닥을 기모하여 이루어진 파일 (3)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필라멘트를 가연한 후, 가열하여 권축을 고정한 파일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교예로서 레이온, 면, 폴리노직,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비닐론에 대해서도 거의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들 섬유 100 %로 이루어지는 파일 (3)의 러빙천을 제작하였다. 단, 면 및 폴리노직에 대해서는 필라멘트가 아닌 방적사를 사용하였다. 상기 표 1의 No.4 내지 9에 비교예의 러빙천 제작 조건을 나타낸다.
(러빙천의 평가 1: 배향 규제력)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트리아세테이트 섬유를 사용한 3 종류의 러빙천(표 1의 No.1 내지 3) 및 비교예의 러빙천(표 1의 No.4 내지 9)에 대해 액정 분자의 배향 규제력을 평가하였다.
우선, 러빙 처리 대상인 배향막 (4)가 부착된 기판 (5)를 제조하였다. 여기에서는 기판 (5)로서 도 1과 같이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구동 소자(TFT) (5a)가 미리 형성된 10 ㎠의 유리 기판 (TFT 기판)과 ITO 막이 미리 형성된 10 ㎠의 유리 기판 (ITO 기판)의 2종류를 준비하였다. 이들 2종류의 기판 (5) 위에 각각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을 도포하고, 200 ℃ 내지 300 ℃에서 베이킹함으로써 폴리이미드제 배향막 (4)를 형성하였다.
한편, 본 실시 형태 및 비교예의 러빙천 (2)를 각각, φ 50 mm의 스테인레스제의 러빙 롤러 (1)에 양면 테이프로 접착하여, 러빙 장치에 부착하였다.
러빙 장치에 의해 러빙 롤러 (1)을 회전수 1500 rpm으로 회전시키면서 러빙천 (2)의 파일 (3)을 배향막 (4)에 근접시키고, 파일 (3)을 선단에서부터 두께 0.5 mm의 부분까지 배향막 (4)의 표면에 압착하였다. 이 상태를 압입량 0.5 mm라고 부른다. 이 상태에서 기판 (5)를 탑재한 스테이지를 이동 속도 30 mm/sec로 일정 방향으로 이동시켜 러빙 처리를 행하였다. 이 러빙 처리를 1종류의 러빙천을 사용하여 TFT 기판 (5)와 ITO 기판 (5)에 대하여 각각 행한 후, 이들 2장의 기판 (5)를 러빙 처리 방향이 안티패러렐 (반평행)이 되도록 배향막 (4)를 서로 마주 보게 셀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2장의 기판 (5)의 간극에 액정을 봉입하였다. 최종적인 액정 셀의 갭은 약 5 ㎛로 하였다.
제작된 액정 셀을 2장의 편광판 사이에 끼워 광을 투과하여 관찰하고, 액정의 배향 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본 실시 형태의 트리아세테이트로 제조된 3종 러빙천(표 1의 No.1 내지 3) 및 비교예의 레이온제, 면제의 러빙천(표 1의 No.5, 6)은 러빙 처리된 액정 셀이 균일하게 배향되어 있고, 충분한 배향 규제력을 얻을 수 있었다. 이에 대해, 폴리에스테르제, 나일론제, 비닐론제의 러빙천(표 1의 No.4, 8, 19)은 러빙 처리된 액정 셀에 액정 봉입시, 액정이 유동한 흔적이 남아 액정의 배향 규제력이 약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트리아세테이트제의 3종의 러빙천(표 1의 No.1 내지 3) 및 비교예의 폴리노직제의 러빙천(표 1의 No.7)은 비교예의 레이온제 및 면제의 러빙천(표 1의 No.5, 6)과 비교하여, 러빙 처리한 액정셀의 배향의 균일성이 특히 크고, 배향 규제력이 컸다.
(러빙천의 평가 2: 동마찰 계수)
또한, 본 발명자들은 러빙 처리가 러빙천 (2)의 파일 (3)과 배향막 (4)와의 마찰을 이용하여 액정의 배향 규제를 행하는 처리이기 때문에, 러빙천 (2)와 배향막 (4)와의 마찰력과 배향 규제력이 상관성이 있다고 추측하여, 본 실시 형태 및 비교예의 러빙천과 배향막과의 동마찰 계수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신또 가가꾸(주)제의 표면성 측정기(TYPE 14 DR)를 이용하여 행하였다.
이 표면성 측정기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정 대상인 러빙천을 부착하는 헤드 부분 (11)과, 지점 (13, 14)를 중심으로 헤드 부분 (11)과의 균형을 유지하는 밸런스용 하중 (15)와, 기판 (5)를 고정하는 스테이지 (9)와, 하중 변환기 (16)를 포함한다. 헤드 부분 (11)에는 φ 50 mm의 롤러 (1)과 동일 곡율(R=25 mm)을 갖는 지그 (10)가 부착되어 있고, 이 지그 (10)에 30 mm2으로 절단한 측정 대상의 러빙천 (2)를 양면 테이프로 접착하였다.
러빙천 (2)의 부착 방향은 기판 (5)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가 평행하도록 하였다. 러빙천 (2)와 기판 (5)을 접촉시켜, 헤드 부분 (11)상에 탑재한 가중용 추 (12)에 의해 수직 하중 50 g을 걸어, 스테이지 (9)의 이동 속도 5 mm/sec로 기판 (5)를 이동시켰을 때의 러빙천 (2)와 기판 (5)와의 마찰에 의해서, 헤드 부분 (11)이 끌리는 힘을 하중 변환기 (16)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도시되지 않음)로 해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트리아세테이트 섬유를 사용한 3종의 러빙천 (2)(No.1 내지 3) 및 레이온제, 면제, 폴리노직제의 비교예의러빙천(No.5, 6, 7)은 동마찰 계수가 0.48 이상이고, 나일론, 폴리에스테르의 경우는 0.31 이하이었다. 이들 동마찰 계수가 0.48인 러빙천은 상기 액정 분자의 배향 상태의 관찰에서 배향 규제력이 충분하다고 판정된 러빙천과 일치한다.
또한, 동마찰 계수가 0.48 이상인 러빙천 중, 본 실시 형태의 트리아세테이트 섬유를 사용한 3종의 러빙천 (2)(No.1 내지 3) 및 폴리노직 제조의 러빙천(No.7)은 동마찰 계수가 0.53 이상으로, 특히 동마찰 계수가 컸다. 이들은 상기 액정 분자의 배향 상태의 관찰에서 특히 배향 규제력이 크다고 판정된 러빙천과 일치한다. 이들 중에서 배향 규제력과 동마찰 계수에는 플러스의 상관성이 있고, 동마찰 계수가 0.53 이상인 러빙천을 사용함으로써, 종래보다 큰 배향 규제력이 얻어짐을 알 수 있었다.
(러빙천의 평가 3: 배향막의 광학 이방성)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트리아세테이트 섬유를 사용한 러빙천 (표 1의 No.1)에 의해 러빙 처리를 행한 배향막에 대하여, 배향 특성의 한 지표인 광학 이방성을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배향막을 러빙하면, 러빙 방향과 러빙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유전율(굴절률)에 이방성이 발생한다. 따라서, 배향막 시료를 회전시키면서 편광 분석으로 P파, S파의 위상차(Δ)를 측정하고, 시료 회전각(θ)에 대하여 Δ를 플롯하면 도 6과 같은 곡선이 얻어진다. 이 곡선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이(DΔ)는 배향막의 광학 이방성 (이하, 배향막의 이방성)의 지표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DΔ가 클 수록 러빙에 의해 배향막의 이방성이 증대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I. Hirosawa, Jpn. J. Appl. Phys. 36, 5192(1997), I. Hirosawa, T. Matsushita, H. Miyairi, and A. Saito, Jpn. J. Appl. Phys. 38, 2851(1999) 등).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트리아세테이트 섬유를 사용한 러빙천 (표 1의 No. 1) 및 비교예의 폴리에스테르제, 레이온제 및 면제의 러빙천 (표 1의 No.4, No.5, No.6)을 사용하여 러빙한 배향막에 대하여 DΔ를 측정하였다. 측정에는 상기 원리를 이용하여 배향막의 이방성을 측정하는 장치인 (주)도요 테크니카제의 액정 배향막 평가 장치 PI-Checker형식 PI-Φ280을 이용하였다. 러빙 대상으로서는 상술한 평가 1과 동일하게 기판 (5) 상에 배향막 (4)를 형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도 1 참조). 배향막 (4)의 형성 방법은 상술한 평가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러빙천은 상술한 평가 1과 동일하게 스테인레스제 러빙 롤러 (1)에 접착하여 러빙 장치에 부착하였다. 롤러 회전수 1500 rpm, 파일 (3) 선단의 배향막 (4) 표면으로의 압입량 0.5 mm, 스테이지 이동 속도 30 mm/sec로 각각 러빙하였다.
러빙 후의 배향막 (4)에 대하여, 상기 장치에 의해 배향막의 이방성을 측정한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트리아세테이트 섬유를 사용한 러빙천 (표 1의 No.1)으로 러빙한 배향막 (4)의 DΔ가 가장 커 0.85도 이상이었다. 이어서, 비교예의 면제 러빙천 (표 1의 No.6), 레이온제 러빙천 (표 1의 No.5)의 순서로 DΔ가 크며, 폴리에스테르제 러빙천 (표 1의 No.4)이 가장 작았다.
이와 같이 배향막의 이방성 DΔ의 측정 결과로부터, 본 실시 형태의 트리아세테이트 섬유를 사용한 러빙천 (표 1의 No.1)이 비교예보다 큰 배향 규제력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도 7은 측정치 DΔ와 상술한 평가 2에서 측정한 동마찰 계수와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도 7에 의해, 동마찰 계수의 증가에 따라 배향막의 이방성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평가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동마찰 계수가 큰 셀룰로오스 골격을 갖는 소재로 파일을 구성한 러빙천을 사용하여 러빙 처리를 행함으로써 큰 배향 규제력을 얻을 수 있음이 뒷받침되었다. 평가 2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트리아세테이트 섬유를 사용한 러빙천 (표 1의 No.1 내지 3)은 여러가지 비교예에서의 러빙천 중에서 가장 큰 동마찰 계수를 나타내며 (도 2), 액정으로의 배향 규제력을 배향막에 부여하는 러빙천으로서 우수하다는 것이 보다 명확해졌다.
(러빙천의 평가 4: 내마모성)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트리아세테이트 섬유를 사용한 3종의 러빙천(표 1의 No.1 내지 3) 및 비교예의 레이온제 및 면제의 러빙천(표 1의 No.5, 6)에 대해서 마모성 시험을 행하였다.
우선, 시험 대상의 러빙천 (2)를 도 1과 같이, φ 50 mm의 스테인레스제의 롤러 (1)에 양면 테이프로 접착시킨 후, 러빙 장치에 각각 부착하여 표면에 Cr층이 형성된 10 cm2의 유리 기판(세정이 완료된 것)을 롤러 회전수 1500 rpm, 파일부 선단의 Cr층에의 압입량 0.5 mm, 스테이지 이동 속도 30 mm/sec로 연속 200회 러빙하였다. 러빙 후의 Cr 기판 표면의 외관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화상을 CCD 카메라로 판독하여 이물질 부착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실시 형태의 트리아세테이트제의 러빙천(표 1의 No.1 내지 3)의 이물질 부착량이 가장 적고, 다음으로 면제, 레이온제의 러빙천의 순서로 이물질 부착량은 증대하였다. 이것을 도 4에 나타낸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트리아세테이트로 나타낸 이물질 부착량은 본 실시 형태의 3종의 러빙천(No.1 내지 3)에 대해서 측정 결과의 평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트리아세테이트 제조의 러빙천은 비교예의 레이온제 및 면제의 러빙천과 비교하여, 내마모성이 높고, 기판에의 이물질 부착량이 매우 적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러빙천의 평가 4: 러빙천의 대전압)
러빙시에 발생하는 정전기는 액정 기판에 탑재되어 있는 TFT 소자를 파괴하는 정도의 전위가 있으므로 될 수 있는 한,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 좋다. 일반적인 섬유학상으로 트리아세테이트제의 섬유는 레이온 및 면의 섬유와 비교하여, 정전기가 발생되기 쉽다고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트리아세테이트제의 러빙천(표 1의 No.1 내지 3) 및 비교예의 레이온제 및 면제, 나일론제의 러빙천(표 1의 No.5, 6, 8)에 대해서 러빙시의 롤러 대전압을 측정하였다.
우선, 상술한 평가 1에서의 배향 규제력의 측정시와 동일한 조건으로 도 1과 같이 기판 (5) 상의 배향막 (4)를 러빙 처리하였다. 단, 유리 기판은 코닝사 제조의 유리 기판 (code 1737)을 사용하고, 배향막 (4)를 형성하는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으로서는 닛산 가가꾸제의 SE-7492를 사용하였다. 러빙 조건은 평가 1의 배향규제력시와 동일하게 롤러 회전수 1500 rpm, 파일부 선단의 기판 표면으로의 압입량 0.5 mm, 스테이지 이동 속도 30 mm/sec로 하였다.
러빙 처리 중인 천의 표면 전위를 측정하였더니,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의 나일론제 러빙천(표 1의 No.8)은 2000 V 이상의 대전압을 나타내는 것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트리아세테이트로 제조된 러빙천(표 1의 No.1, 2, 3)은 비교예의 레이온제, 면제의 러빙천(No.5, 6)과 동등한 500 V보다 작은 대전압을 나타내었다.
또한, 도 5의 트리아세테이트제 러빙천의 대전압은 표 1의 No.1, 2, 3의 러빙천 각각에 대하여 측정한 대전압의 평균을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트리아세테이트제 러빙천 (표 1의 No.1, 2, 3)으로 구동 소자(TFT) (5a)를 표면에 구비한 기판 (5)를 러빙했더니, 특별히 구동 소자(TFT) (5a)의 파괴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트리아세테이트로 제조된 러빙천의 대전압은 종래부터 실용되어 온 대전압이 낮은 레이온제, 면제와 동등하고, 기판상의 TFT 소자를 파괴하지 않고, 실용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여기에서는 트리아세테이트로 제조된 러빙천을 사용하였지만, 디아세테이트 섬유에 의해 파일 (3)을 구성함으로써 대전압이 더욱 작아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러빙천의 평가 6: 기판의 대전압)
러빙시에 발생하는 TFT 기판 (5)의 대전은 구동 소자 (5a) 사이 및 배선 사이에서 방전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불량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러빙천의 대전 이상으로 발생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트리아세테이트제 러빙천 (표 1의 No.1, 2, 3) 및 비교예의 레이온제, 면제 러빙천 (No.5, 6)으로 기판을 러빙하여 기판의 대전압을 측정하였다.
측정에 사용한 기판은 중앙에 5.5 ㎠의 ITO막 (투명 도전막)을 구비한 10 ㎠의 유리 기판이며, ITO막을 피복하도록 전면에 폴리이미드제 배향막을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ITO막을 유리 기판과 배향막 사이에 끼움으로서 ITO막이 존재하는 영역의 내측은 전위가 거의 일정해지므로 안정된 표면 전위를 측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TFT 기판을 유사하게 재현하게 되므로 실제 액정 표시 장치의 기판과 가까운 조건에서 기판의 대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중앙부에만 ITO 막을 구비한 유리 기판은 미리 전면에 ITO막을 구비한 유리 기판의 ITO막을 부분적으로 에칭함으로써 제조하였다.
배향막은 평가 5와 동일하게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으로서 닛산 가가꾸제의 SE-7492를 사용하고, 평가 1의 배향막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러빙 조건은 평가 5와 동일하게 롤러 회전수 1500 rpm, 파일부 선단의 기판 표면으로의 압입량 0.5 mm, 스테이지 이동 속도 30 mm/sec로 하였다.
러빙 후의 기판 중앙부에서의 배향막의 표면 전위를 측정한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의 면제 러빙천 (표 1의 No.6)으로 러빙한 기판의 대전압이 가장 크고, 본 실시 형태의 트리아세테이트제 러빙천 (표 1의 No.1, 2, 3)으로 러빙한 기판의 대전압이 가장 작았다. 또한, 도 8에는 본 실시 형태인 3종의 트리아세테이트제 러빙천 (표 1의 No.1, 2, 3)으로 러빙한 기판의 대전압의 평균치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트리아세테이트제 러빙천 (표 1의 No.1, 2, 3)은 러빙시의 기판의 대전압도 비교예와 비교하여 작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트리아세테이트제 러빙천으로 구동 소자(TFT) (5a)가 형성된 기판 (5)의 배향막 (4)를 러빙했더니, 특별히 구동 소자 (5a)의 파괴는 관찰되지 않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러빙천 (2)의 파일 (3) 부분에 아세테이트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배향 규제력이 크고, 내마모성이 높고, 또한 대전성이 낮다는 특성을 지닌 러빙천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아세테이트로 제조된 러빙천을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레이온으로 제조된 러빙천과 같이, 배향 규제력이 크고 대전성과 내마모성이 낮다는 특성을 개선할 수 있고, 마모에 의한 이물질의 발생이 적고, 또한 큰 배향 규제력을 얻을 수 있으며, 정전기에 의한 TFT 소자의 파괴도 발생되지 않는 러빙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트리아세테이트 섬유는 내마모성이 너무 크지 않고, 또한 대전압이 크다고 평가받는 것에 대해, 본 실시 형태의 트리아세테이트 섬유를 사용한 러빙천은 상술된 평가 실험에 의해, 내마모성이 크고, 또한 대전압이 낮다는 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그 상세한 이유에 대해서는 불분명하지만, 파일 (3)을 구성하는 트리아세테이트 섬유에 권축을 실시하기 때문에, 파일이 기판에 점 접촉하고 또한, 파일이 스프링과 같이 신축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마모되기 어렵고, 또한 파일의 필라멘트끼리 다수의 점에서 점 접촉되기 때문에, 방전되기 쉽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라멘트에 가연법으로 선회성이 있는 권축 가공을 실시하지만, 가공 방법으로는 가연법에 한정되지 않고, 가연기를 이용하여 강연하고, 가열하여 꼬임을 열 고정한 후, 해연하는 방법으로 선회성이 있는 가공을 행하는 방법이나, 필라멘트를 찰과함으로써 완만한 코일형의 가공을 행하는 찰과법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필라멘트에 제공하는 가공 형상으로는 선회성이 있는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비직선형 형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지그재그형과 같은 가공 형상의 필라멘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필라멘트를 박스내에 비틀림(버클링)시키면서 압입하여 열 고정하는 압입법이나, 2개의 톱니바퀴 사이에 필라멘트를 통해 치형을 제공하여 열 고정하는 기어법 등이나, 필라멘트를 일단 짜서 열 고정한 후, 풀어 헤치는 니트 데 니트 (knit de knit)법으로 가공한 필라멘트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된 실시 형태에서는 셀룰로오스의 수산기 중 적어도 일부가 아세틸기로 치환된 아세트산 셀룰로오스의 섬유에 의해, 파일을 구성한 러빙천을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파일 부분에 사용하는 섬유가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면 가능하다. 이들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도, 상술된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섬유를 동일하게 섬유에 권축 가공한 가공사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유도체로는 셀룰로오스의 수산기에 에스테르 결합한 하기 화학식 1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식중, R1, R2, R3은 각각 탄소수 1 내지 18의 포화 탄화수소기, 탄소수 2 내지 18의 불포화 탄화수소기, 탄소수 3 내지 8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8의 플루오로알킬기, 탄소수 2 내지 18의 히드록시알킬기, 탄소수 2 내지 18의 시아노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8의 카르복시알킬기, 아릴기와 알킬기를 함께 갖는 탄소수 6 내지 25의 유기기,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5 내지 25의 아릴기,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아릴기와 알킬기를 함께 갖는 탄소수 6 내지 25의 유기기 및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3 내지 8의 시클로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다.
구체적으로는, R1, R2, R3은 각각 메틸, 에틸, 프로필, 비닐,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트리플루오로메틸, 테트라플루오로에틸, 에톡시에틸, 옥시에틸, 시안에틸, 카르복시메틸, 카르복시에틸, 페닐, 페닐메틸, 톨릴, 나프틸, 나프틸메틸, 피리딜, 피리딜메틸, 피리미딜, 피리미딜메틸, 퀴놀릴, 퀴놀릴메틸, 이미다졸릴, 이미다졸릴메틸, 푸릴 및 티에닐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셀룰로오스 유도체로서 셀룰로오스의 수산기에 에테르 결합한 하기 화학식 2의 셀룰로오스에테르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식중, R4, R5, R6은 각각 탄소수 1 내지 18의 포화 탄화수소기, 탄소수 2 내지 18의 불포화 탄화수소기, 탄소수 3 내지 8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8의 플루오로알킬기, 탄소수 2 내지 18의 히드록시알킬기, 탄소수 2 내지 18의 시아노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8의 카르복시알킬기, 아릴기와 알킬기를 함께 갖는 탄소수 6 내지 25의 유기기,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5 내지 25의 아릴기,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아릴기와 알킬기를 함께 갖는 탄소수 6 내지 25의 유기기 및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3 내지 8의 시클로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다.
구체적으로는, R4, R5, R6은 각각 메틸, 에틸, 프로필, 비닐,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트리플루오로메틸, 테트라플루오로에틸, 에톡시에틸, 옥시에틸, 시안에틸, 카르복시메틸, 카르복시에틸, 페닐, 페닐메틸, 톨릴, 나프틸, 나프틸메틸, 피리딜, 피리딜메틸, 피리미딜, 피리미딜메틸, 퀴놀릴, 퀴놀릴메틸, 이미다졸릴, 이미다졸릴메틸, 푸릴 및 티에닐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로서 셀룰로오스의 수산기 중 적어도 일부에 황산기를 도입한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로서 셀룰로오스의 수산기 중 적어도 일부에 인산기를 도입한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로서 셀룰로오스의 수산기 부분을 우레탄으로 한 하기 화학식 3의 우레탄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식중, R7, R8, R9는 각각 탄소수 1 내지 18의 포화 탄화수소기, 탄소수 2 내지 18의 불포화 탄화수소기, 탄소수 3 내지 8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8의 플루오로알킬기, 탄소수 2 내지 18의 히드록시알킬기, 탄소수 2 내지 18의 시아노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8의 카르복시알킬기, 아릴기와 알킬기를 함께 갖는 탄소수 6 내지 25의 유기기,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5 내지 25의 아릴기,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아릴기와 알킬기를 함께 갖는 탄소수 6 내지 25의 유기기 및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3 내지 8의 시클로알킬기 중 어느 하나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R7, R8, R9는 각각 메틸, 에틸, 프로필, 비닐,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트리플루오로메틸, 테트라플루오로에틸, 에톡시에틸, 옥시에틸, 시안에틸, 카르복시메틸, 카르복시에틸, 페닐, 페닐메틸, 톨릴, 나프틸, 나프틸메틸, 피리딜, 피리딜메틸, 피리미딜, 피리미딜메틸, 퀴놀릴, 퀴놀릴메틸, 이미다졸릴, 이미다졸릴메틸, 푸릴 및 티에닐 등 중 어느 하나로 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본 실시 형태의 트리아세테이트제 러빙천 (표 1의 No.1 내지 3)을 사용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구동 소자(TFT)가 미리 형성된 TFT 기판과 컬러 필터가 미리 형성된 기판을 준비하고, 각각에 폴리이미드 전구체 용액 (닛산 가가꾸 제조 SE-7492)을 인쇄법에 의해 도포하고, 핫 플레이트로 가열함으로써 용제의 건조 처리, 열경화 처리를 행하였다. 이에 따라 각 기판 상에 두께 80 nm의 폴리이미드제 배향막을 형성하였다. 또한, 배향막 형성에 사용하는 바니시는 상기 용액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태의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산 혼합계의 바니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배향막을 형성한 TFT 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에 각각 본 실시 형태의 트리아세테이트제 러빙천 (표 1의 No.1 내지 3)을 사용하여 러빙 처리를 행하였다. 러빙 조건은, 예를 들면 롤러 회전수 1500 rpm, 파일부 선단의 기판 표면으로의 압입량 0.5 mm, 스테이지 이동 속도 30 mm/sec로 할 수 있다.
이어서, TFT 기판 표면의 가장자리부에 주입구가 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밀봉제를 디스펜서로 도포하고, 컬러 필터 기판의 한쪽에는 TFT 기판과의 소정의 셀 갭을 확보하기 위한 스페이서 비드를 분산시켰다. 이들 TFT 기판과 컬러 필터 기판을 중첩하고, 소정의 조건으로 가압 및 가열하여 밀봉제를 경화시킴과 동시에 갭을 형성하여 액정 셀을 형성하였다. TFT 기판과 컬러 필터 기판과의 최종 간격(갭)은 5.5 ㎛였다.
그 후, 상기 액정 셀의 주입구로부터 내부 공간으로 액정 조성물을 주입ㆍ충전한 후, 자외선 경화 수지를 사용하여 주입구를 봉지하였다. 또한, 봉지용 수지를 도포할 때, 액정 표시 소자를 가압함으로써 액정 표시 소자의 기판 간격이 면 내에서 균일해지도록 조정하였다. 이 때의 기판 간격은 5.4 ㎛였다. 또한, 액정 조성물로서는 공지된 액정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시아노계, 플루오로계, 시아노플루오로계, 비페닐계, 시클로헥산계, 페닐시클로헥산계 액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FT 기판 상의 TFT 소자를 별도 준비한 표시 제어 회로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완성시켰다.
또한, 비교를 위해 러빙 처리 공정만을 비교예의 레이온제 러빙천 (표 1의 No.5), 면제 러빙천 (표 1의 No.6)을 사용하여 행하고, 다른 공정은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의 액정 표시 장치를 제조하였다.
이상과 같이 제조한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특성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러빙 줄무늬 및 러빙 얼룩이 가장 보이기 쉬운 중간조 표시로 러빙 줄무늬와 러빙 얼룩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행하였다. 그 결과, 면제 러빙천 (표 1의 No.6)을 사용하여 러빙 처리를 행한 액정 표시 장치의 러빙 줄무늬와 러빙 얼룩이 가장 많았고, 본 실시 형태의 트리아세테이트제 러빙천 (표 1의 No.1 내지 3)을 사용하여 러빙 처리를 행한 액정 표시 장치의 러빙 줄무늬와 러빙 얼룩이 가장 적었다.
본 실시 형태의 트리아세테이트제 러빙천은 배향 규제력이 크고, 내마모성이 높으며, 나아가 대전성이 낮은 특성을 겸비하고 있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러빙천을 러빙 처리에 사용함으로써 보다 균일하게 액정을 배향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러빙천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러빙시의 마모분 이물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의 불균일 배향에 의한 표시 얼룩 및 이물질에 기인하는 갭 불균일에 의한 표시 얼룩이 적은 액정 표시 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러빙천을 사용함으로써 러빙시의 줄무늬형 얼룩 발생도 억제할 수 있고, 정전기에 의한 TFT 소자의 파괴도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의 아세테이트 섬유제 러빙천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균일한 액정 배향을 얻을 수 있고, 배향막 표면에 대한 오염이 매우 적으며, 러빙 줄무늬 및 얼룩이 적은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로서, 신뢰성이 높은 액정 표시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여러 실시 양태를 나타내고 기술하였으나, 개시된 실시 양태는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변화 및 변경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을 상기 본 명세서에 나타내고 기술한 상세한 설명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하기 특허 청구 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변화 및 변경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상술해 온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마모성이 높고, 대전성이 낮으며, 배향 규제력이 큰 특성을 겸비한 러빙천을 사용하는 러빙 처리 공정을 포함하며, 신뢰성이 높은 액정 표시 장치를 제조할 수 있는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7)

  1. 배향막을 구비한 기판을 러빙천에 의해 러빙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러빙천으로서 섬유를 기모시킨 파일부를 갖고, 상기 파일부에는 아세트산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섬유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세트산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섬유가 권축이 부여된 필라멘트 가공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세트산 셀룰로오스의 아세트화도가 45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세트산 셀룰로오스가 삼아세트산 셀룰로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세트산 셀룰로오스가 이아세트산 셀룰로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권축이 선회성이 있는 권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7. 배향막을 구비한 기판을 러빙천에 의해 러빙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러빙천으로서 섬유를 기모시킨 파일부를 갖고, 상기 파일부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로 이루어진 섬유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가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낸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화학식 1>
    식 중, R1, R2, R3은 각각 탄소수 1 내지 18의 포화 탄화수소기, 탄소수 2 내지 18의 불포화 탄화수소기, 탄소수 3 내지 8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8의 플루오로알킬기, 탄소수 2 내지 18의 히드록시알킬기, 탄소수 2 내지 18의 시아노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8의 카르복시알킬기, 아릴기와 알킬기를 함께 갖는 탄소수 6 내지 25의 유기기,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5 내지 25의 아릴기,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아릴기와 알킬기를 함께 갖는 탄소수 6 내지 25의 유기기, 및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3 내지 8의 시클로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다.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가 하기 화학식 2로 나타낸 셀룰로오스 에테르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화학식 2>
    식 중, R4, R5, R6은 각각 탄소수 1 내지 18의 포화 탄화수소기, 탄소수 2 내지 18의 불포화 탄화수소기, 탄소수 3 내지 8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8의 플루오로알킬기, 탄소수 2 내지 18의 히드록시알킬기, 탄소수 2 내지 18의 시아노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8의 카르복시알킬기, 아릴기와 알킬기를 함께 갖는 탄소수 6 내지 25의 유기기,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5 내지 25의 아릴기,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아릴기와 알킬기를 함께 갖는 탄소수 6 내지 25의 유기기, 및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3 내지 8의 시클로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다.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가 하기 화학식 3으로 나타낸 우레탄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화학식 3>
    식 중, R7, R8, R9는 각각 탄소수 1 내지 18의 포화 탄화수소기, 탄소수 2 내지 18의 불포화 탄화수소기, 탄소수 3 내지 8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8의 플루오로알킬기, 탄소수 2 내지 18의 히드록시알킬기, 탄소수 2 내지 18의 시아노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8의 카르복시알킬기, 아릴기와 알킬기를 함께 갖는 탄소수 6 내지 25의 유기기,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5 내지 25의 아릴기,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아릴기와 알킬기를 함께 갖는 탄소수 6 내지 25의 유기기, 및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탄소수 3 내지 8의 시클로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다.
  11. 배향막을 구비한 기판을 러빙천에 의해 러빙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러빙천으로서 상기 배향막과의 동마찰 계수가 0.53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러빙천이 섬유를 기모시킨 파일부를 가지며, 상기 파일부에는 아세트산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섬유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3. 기판과, 이 기판 상에 배치된 배향막을 포함하며, 상기 배향막은 상기 기판을 주평면 내에서 회전시켰을 경우의 S파와 P파의 위상차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이가 0.85도 이상인 광학 이방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4. 기판과, 이 기판 상에 배치된 배향막을 포함하며, 상기 배향막은 아세트산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섬유를 포함하는 파일부를 갖는 러빙천에 의해 러빙 처리가 행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5. 기판과, 이 기판 상에 배치된 배향막을 포함하며, 상기 배향막은 셀룰로오스 유도체로 이루어진 섬유를 포함하는 파일부를 갖는 러빙천에 의해 러빙 처리가 행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막이 상기 기판을 주평면 내에서 회전시켰을 경우의 S파와 P파의 위상차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이가 0.85도 이상인 광학 이방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막이 상기 기판을 주평면 내에서 회전시켰을 경우의 S파와 P파의 위상차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이가 0.85도 이상인 광학 이방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2-0048879A 2001-11-22 2002-08-19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04779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57226 2001-11-22
JP2001357226A JP3806340B2 (ja) 2001-11-22 2001-11-22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607A true KR20030043607A (ko) 2003-06-02
KR100477907B1 KR100477907B1 (ko) 2005-03-22

Family

ID=19168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8879A KR100477907B1 (ko) 2001-11-22 2002-08-19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30108685A1 (ko)
JP (1) JP3806340B2 (ko)
KR (1) KR100477907B1 (ko)
CN (1) CN1265238C (ko)
TW (1) TW5882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1158B2 (ja) * 2001-11-22 2006-11-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配向処理用ラビング布
JP4139732B2 (ja) * 2003-05-15 2008-08-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パネル製造用ラビング布材
KR100969148B1 (ko) * 2003-05-30 2010-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된 uv를 이용한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
JP2005037740A (ja) * 2003-07-16 2005-02-10 Joyo Kogaku Kk ラビング装置及びそれを使用して製造した液晶表示素子
JP2005084200A (ja) * 2003-09-05 2005-03-31 Nec Kagoshima Ltd 液晶表示パネルのラビング配向処理装置およびラビング配向処理方法
KR100600792B1 (ko) * 2003-11-20 2006-07-14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용 러빙천 및 그 제조 방법
JP2005308885A (ja) * 2004-04-19 2005-11-04 Hayashi Telempu Co Ltd 液晶パネル製造用ラビング布材
JP4565614B2 (ja) * 2004-04-19 2010-10-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パネル製造用ラビング布材
KR101319092B1 (ko) * 2006-06-20 2013-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러빙천 클리닝 장치
KR20080001494A (ko) * 2006-06-29 2008-01-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러빙포의 절단 방법
CN101726882B (zh) * 2008-10-24 2011-12-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改善液晶显示器电压的方法
JP5616919B2 (ja) * 2012-03-27 2014-10-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ラビング処理方法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05589258A (zh) * 2014-10-23 2016-05-18 杉原恭卫 Lcd制造用摩擦布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2A (en) * 1854-05-02 Expansion-bit
JPS5753729A (en) * 1980-09-17 1982-03-30 Citizen Watch Co Ltd Manufacture of liquid crystal display cell
US4464323A (en) * 1982-08-09 1984-08-0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high strength cellulosic fibers
DE69121278T2 (de) * 1990-04-19 1997-01-09 Fuji Photo Film Co Ltd Struktur eines lichtabschirmenden Stoffes und mit diesem Stoff versehener Behälter
JPH04119325A (ja) * 1990-09-11 1992-04-20 Canon Inc 強誘電性液晶素子の製造方法
US5211981A (en) * 1991-06-13 1993-05-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making a uniform liquid, pourable shortening containing high emulsifier levels
JP3100014B2 (ja) * 1991-12-10 2000-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強誘電性液晶素子及び該素子の製造方法
JPH08334769A (ja) * 1995-06-06 1996-12-17 Canon Inc ラビング布、及びそれを用いたラビング装置
EP0768360B1 (en) * 1995-10-12 2002-01-09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composition, liquid crystal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ing same
KR100475839B1 (ko) * 1998-01-07 2005-09-30 주식회사 휴비스 신축성이 있는 아세테이트 복합사의 제조방법
US20020022425A1 (en) * 2000-07-05 2002-02-21 Fuji Photo Film Co., Ltd. And Seiren Co., Ltd. Light-shielding cloth and light-shielding container for photosensitive material using same
JP3997738B2 (ja) * 2001-03-14 2007-10-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7907B1 (ko) 2005-03-22
JP3806340B2 (ja) 2006-08-09
TW588200B (en) 2004-05-21
CN1265238C (zh) 2006-07-19
US20030108685A1 (en) 2003-06-12
CN1421734A (zh) 2003-06-04
JP2003156747A (ja) 200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7907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장치
JP3172167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KR100450538B1 (ko) 배향 처리용 러빙천
JP2004341209A (ja) 液晶パネル製造用ラビング布材
US6219123B1 (en) Orientation process method of liquid crystal having a first rubbing direction formed by fibers inclined to the rolling direction and a second rubbing direction
US5863458A (en) Liquid crystal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JP2009015278A (ja) 液晶表示装置用のラビング布及びこれを有するラビング装置
JP3099825B1 (ja) 液晶表示素子とその製造方法
JPH10186364A (ja) ラビング処理装置、ラビング処理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3610227B2 (ja) ラビング布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3043490A (ja)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ラビング布
JPH04182626A (ja) 液晶装置
JP2000292792A (ja)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US5709818A (en) Liquid crystal composition, liquid crystal device and liquid crystal apparatus
KR100649054B1 (ko) 폴리머가 코팅된 장수명 광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JP3271384B2 (ja) 位相制御素子用の液晶配向膜の形成方法
JP3032820U (ja) 液晶パネル製造用ラビング布材
KR20090015377A (ko) 액정표시장치용 러빙천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48871A (ko) 러빙포 전모시스템 및 전모방법
JPH0534694A (ja) ラビング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JPH11160709A (ja) ラビング布選定方法と配向処理装置並びに液晶表示素子
JPH06160859A (ja) 液晶セルの配向処理装置
JPH0372323A (ja) 液晶表示素子の製造法
KR100980026B1 (ko) 액정표시장치
JP2772837B2 (ja) カイラルスメクチック液晶素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