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5958A - 비가역 회로소자 - Google Patents

비가역 회로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5958A
KR20030035958A KR1020020065453A KR20020065453A KR20030035958A KR 20030035958 A KR20030035958 A KR 20030035958A KR 1020020065453 A KR1020020065453 A KR 1020020065453A KR 20020065453 A KR20020065453 A KR 20020065453A KR 20030035958 A KR20030035958 A KR 20030035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magnetic substrate
conductors
center
line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마이에이이찌
오오니시히또시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5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595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32Non-reciprocal transmission devices
    • H01P1/36Iso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32Non-reciprocal transmission devices
    • H01P1/38Circulators
    • H01P1/383Junction circulators, e.g. Y-circulators
    • H01P1/387Strip line circulators

Abstract

본 발명은 자성체에 대해 중심도체를 정확하고 쉽게 감아 자성 조립체를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특성이 양호한 비가역 회로소자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자성체 기판의 서로 대향하는 2변의 각 단부측에 중심도체를 절곡하기 위한 경사면이 형성되고, 제 1 중심도체와 제 2 중심도체가 자성체 기판의 상기 경사면을 통해 자성체 기판의 타면측으로 절곡되고, 또한 이 자성체 기판의 타면측에 있어서 자성체 기판의 대각선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비가역 회로소자 {IRREVERSIBLE CIRCUIT ELEMENT}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대 등의 고주파 대역에서 사용되는 아이솔레이터, 서큘레이터 등, 비가역 회로소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비가역 회로소자로는 예컨대 도 13 에 나타내는 구조의 자성조립체 (50) 가 구비되어 있다. 이 자성조립체 (50) 는 직사각형 판상의 페라이트로 이루어지는 자성체 (55) 와, 그 하면을 따라 설치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공통전극 (54) 과, 이 공통전극 (54) 에서 방사상으로 3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자성체 (55) 의 표면측에 감긴 제 1 중심도체 (51), 제 2 중심도체 (52) 및 제 3 중심도체 (53) 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중심도체 (51), 제 2 중심도체 (52) 및 제 3 중심도체 (53) 는 서로 자성체 (55) 를 따라 절곡되어 자성체 (55) 의 표면측에서 서로 대략 120°의 교차각으로서 겹쳐져 있다. 또, 도면에서는 생략하였지만, 중심도체 (51,52,53) 끼리는 절연시트에 의해 자성체 (55) 의 표면측에서 각각 절연되어 있다.
또한, 상기 3개의 중심도체 (51,52,53) 의 선단부측은 자성체 (55) 의 측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각 포트부 (P1,P2,P3) 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포트부 (P1 ∼ P3) 에 도시하지 않은 정합용 콘덴서를 접속하고, 포트부의 하나에 이 콘덴서를 통해 종단저항을 접속하고, 이들을 영구자석과 함께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자성체 요크내에 수납하고, 자성조립체 (50) 에 별도배치한 영구자석으로 직류자계를 인가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비가역 회로소자가 구성된다.
전술한 각 중심도체 (51 ∼ 53) 는 도 14 의 전개도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지부가 되는 공통전극 (54) 에 있어서 연이어 형성되어 일체화되고, 공통전극 (54) 에서 3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이들 중심도체 (51 ∼ 53) 는 상기 자성체 (55) 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고정밀도로 부착되도록 도 14 의 절곡부 X 의 위치에서 굴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종래구성의 비가역 회로소자에서는 중심도체 (51 ∼ 53) 의 자성체 (55) 에 대한 부착정밀도, 도체간격, 중심도체의 교차각도가 비가역 회로소자로서의 전기적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이들 값이 설계값으로부터 약간이라도 변동되면 비가역 회로소자로서의 성능열화의 원인이 된다.
특히 이러한 종류의 비가역 회로소자는 최근의 고주파회로의 소형화에 수반하여 전체적으로 4 ∼ 5㎜ 각의 크기로 형성되도록 되었으나, 이 같은 미세한 부품에 있어서 상기 중심도체 (51 ∼ 53) 의 자성체 (55) 에 대한 부착정밀도, 도체간격, 교차각도를 엄격하게 조정하는 것은 도 13 에 나타내는 구조의 자성조립체 (50) 에서는 어려운 상황이 되었다.
예컨대 상기한 종래 구성의 자성조립체 (50) 는 중심도체 (51 ∼ 53) 를 자성체 (55) 의 측면을 따라 정확히 도 14 의 절곡부 X 의 위치에서 절곡하여 자성체 (55) 를 따르게 할 필요가 있는데, 전체적으로 4 ∼ 5㎜ 각 크기의 아이솔레이터에 있어서 중심도체 (51 ∼ 53) 의 절곡부 X 의 위치가 약간이라도 어긋나면 자성체 (55) 의 표면측에서 교차시키는 중심도체 (51 ∼ 53) 의 교차각도가 크게 변동된다. 또한, 중심도체 (51 ∼ 53) 의 절곡부 X 를 자성체 (55) 측면의 에지부분을 따르도록 정확히 위치정렬하여 신중하게 절곡할 필요가 있어 자성조립체 (50) 의 조립작업성이 나쁜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배경을 기초로 이루어진 것으로, 자성체에 대해 중심도체를 정확하고 쉽게 감아 자성조립체를 얻을 수 있고, 따라서 특성이 양호한 비가역 회로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로길이형 또는 세로길이형의 자성체 기판의 길이방향에 인접하여 콘덴서 기판을 효율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소형화된 비가역 회로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a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아이솔레이터의 일부분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b 는 동 아이솔레이터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관한 아이솔레이터에 사용되는 자성체 기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관한 아이솔레이터에 사용되는 전극부의 전개도.
도 4a 는 본 발명에 관한 아이솔레이터의 하부 요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b 는 동 하부 요크의 측면도.
도 5 는 동 아이솔레이터의 상부 요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 은 동 아이솔레이터에 구비되는 스페이서 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a 는 이러한 종류의 아이솔레이터가 구비되는 전기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b 는 아이솔레이터의 동작원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8 은 본 발명에 관한 아이솔레이터의 전극부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 는 본 발명에 관한 아이솔레이터의 전극부의 제 3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 은 본 발명에 관한 아이솔레이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관한 아이솔레이터에 적용되는 자성체 기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 는 본 발명에 관한 아이솔레이터에 적용되는 자성체 기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 은 종래의 자성조립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 는 종래의 자성조립체에 적용되고 있는 전극부의 전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아이솔레이터 2, 3 : 요크
4 : 자석 부재 5 : 자성체 기판
6, 7, 8 : 선로 도체 10 : 공통 전극
11, 12 : 콘덴서 기판 13 : 종단 저항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로 대향하는 직선상의 2변과 이들 2변의 각 단부끼리를 접속하는 하나 이상의 변으로 구획되며 평면에서 봤을 때 가로길이형 또는 세로길이형의 자성체 기판과, 이 자성체 기판의 일면측에 배치된 판상의 공통전극과, 이 공통전극 외주부의 3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 선로도체와 제 2 선로도체와 제 3 선로도체와, 제 1 선로도체에 설치되어 자성체 기판의 타면측으로 절곡되는 제 1 중심도체와, 제 2 선로도체에 설치되어 자성체 기판의 타면측으로 절곡되는 제 2 중심도체와, 제 3 선로도체에 설치되어 자성체 기판의 타면측으로 절곡되는 제 3 중심도체가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자성체 기판의 서로 대향하는 2변의 각 단부측에 각 중심도체를 절곡하기 위한 경사면이 형성되고, 제 1 중심도체와 제 2 중심도체가 자성체 기판의 경사면을 통해 자성체 기판의 타면측으로 절곡되고, 또한 이 자성층기판의 타면측에 있어서, 자성체 기판의 대각선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비가역 회로소자로 한 것이다.
제 1 과 제 2 중심도체가 자성체 기판의 일면측에서 타면측에 걸쳐 경사면을 통해 절곡되어 감겨 있으므로, 중심도체가 경사면을 통해 정확한 위치에서 확실히 절곡되어 자성체 기판의 타면측에 감기는 결과, 자성체 기판에 대해 중심도체를 확실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즉, 중심도체가 경사면을 통해 절곡되는 결과, 중심도체의 절곡가공에 수반되는 변형도 억제되므로, 각 중심도체가 소정의 각도로 자성체 기판에 대해 절곡된다.
따라서 특성이 양호하고 안정화된 고품질의 비가역 회로소자가 얻어지고, 비가역 회로소자의 조립작업의 생산성도 향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로 대향하는 직선상의 2변과 이들 2변의 각 단부끼리를 접속하는 하나 이상의 변으로 구획되는 형상으로서 평면에서 봤을 때 가로길이형 또는 세로길이형의 자성체 기판과, 이 자성체 기판의 일면측에 배치된 판상의 공통전극과, 이 공통전극 외주부의 3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 1 선로도체와 제 2 선로도체와 제 3 선로도체와, 제 1 선로도체에 설치되어 자성체 기판의 타면측으로 절곡되는 제 1 중심도체와, 제 2 선로도체에 설치되어 자성체 기판의 타면측으로 절곡되는 제 2 중심도체와, 제 3 선로도체에 설치되어 자성체 기판의 타면측으로 절곡되는 제 3 중심도체가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선로도체에 접속되는 콘덴서 기판이 평면에서 봤을 때 가로길이형 또는 세로길이형의 자성체 기판의 폭방향 양측에 자성체 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비가역 회로소자로 한 것이다.
콘덴서 기판이 자성체 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자성체 기판의 양측에 잘 수용되게 콘덴서 기판을 배치할 수 있고, 그 결과 자성체 기판과 콘덴서 기판을 포함한 비가역 회로소자의 전체적인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이 콘덴서 기판이 가늘고 긴 형상이라면 긴 형상의 자성체 기판의 양측에 설치하여도 비가역 회로소자의 전체적인 폭을 필요없이 크게 하지 않고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 1 선로도체가 공통전극에 접속된부분과, 제 2 선로도체가 공통전극에 접속된 부분과, 제 3 선로도체가 공통전극에 접속된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의 양측에, 공통전극의 주연부를 새겨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한 적어도 하나의 선로도체의 선로길이가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비가역 회로소자로 한 것이다.
선로도체가 붙어 있는 부분에 대응하는 공통전극의 주연부에 오목부를 새겨 형성함으로써 선로도체의 외관상 선로길이가 길어진다. 선로도체의 선로길이가 길어짐으로써 선로도체의 인덕턴스가 커지고, 공진용량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므로 비가역 회로소자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또한 동일한 인덕턴스를 확보한다면 자성체 기판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는 결과, 비가역 회로소자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 1 선로도체의 폭방향 중앙부와 제 2 선로도체의 폭방향 중앙부에 이들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슬릿부가 형성되어 제 1 선로도체와 제 2 선로도체가 2개의 분할도체로 나뉘어 이루어지는 비가역 회로소자로 한 것이다.
각 선로 도체가 2개의 분할도체로 분할되어 있으면, 인덕턴스가 발생하고, 선로도체로서 동일한 도체 길이더라도, 분할된 구성에서 보다 큰 인덕턴스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분할도체가 자성체 기판의 타면측으로 절곡되어 공통전극의 타면측에서 겹쳐지고, 각 분할도체끼리 겹쳐진 부분이 공통전극의 타면측에서 평면에서 보면 위치가 어긋나 배치된 비가역 회로소자로 한 것이다.
분할도체끼리 겹쳐진 부분이 평면에서 보면 위치가 어긋나 배치되므로 자성체 기판의 타면측에서 분할도체가 균등하게 잘 수용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성체 기판의 타면측에서 제 3 중심도체가 제 1 중심도체 및 제 2 중심도체에 대해 평면에서 봤을 때 겹쳐지고, 제 1 중심도체와 제 2 중심도체에 대한 제 3 중심도체의 겹침부분 전부가 평면에서 보면 위치가 어긋나 이루어지는 비가역 회로소자로 한 것이다.
분할도체끼리가 3개 겹쳐지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자성체 기판의 타면측에서 분할도체의 2개 겹침부분과 3개 겹침부분의 발생에 기인하는 요철의 발생이 적어지고, 자성체 기판 타면측에서의 요철이 적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 3 중심도체가 자성체 기판의 타면측에서 평면에서 봤을 때 제 1 중심도체와 제 2 중심도체와 교차하도록 절곡되어 겹쳐지고, 제 3 선로도체가 2개의 분할도체로 나뉘고, 2개의 분할도체가 그것들에 비평행 부분을 포함하는 비가역 회로소자로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 3 중심도체가 자성체 기판의 타면측에서 평면에서 봤을 때 제 1 중심도체와 제 2 중심도체와 교차하도록 절곡 또는 만곡되어 겹쳐지고, 제 3 선로도체가 2개의 분할도체로 나뉘고, 2개의 분할도체가 병행상태로 된 채로 절곡 또는 만곡되어 이루어지는 비가역 회로소자로 한 것이다.
제 3 선로도체에서 분할도체가 서로 비평행해지는 부분을 포함하므로, 제 3 선로도체가 자성체 기판과 겹치는 부분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길어지고, 광대역의 통과특성을 갖는 비가역 회로소자가 제공된다. 또한 저주파화하기 위해서는 각선로도체를 길게 하여 인덕턴스를 크게 할 필요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 3 중심도체에 있어서, 제 3 선로도체가 길이방향 중앙부측에서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절곡 (굴곡) 또는 만곡되어 이루어지는데, 또는 서로 평행하게 또한 절곡되거나 만곡되어 이루어지는데, 제 3 선로도체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길어져 인덕턴스가 커지고, 저주파화와 소형화를 양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콘덴서 기판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의 선로도체에 접속된 공통 콘덴서 기판으로 된 비가역 회로소자로 한 것이다.
공통의 콘덴서 기판으로 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용량을 작은 콘덴서 점유면적으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성체 기판이 서로 대향하는 2변의 각 단부측에 사면상의 경사면을 갖고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직사각형상의 자성체 기판으로서 사면상의 경사면으로 함으로써, 경사면을 통해 정확한 위치에서 확실히 중심도체를 절곡할 수 있어 자성체 기판의 타면측에 감을 수 있는 결과, 자성체 기판에 대해 중심도체를 확실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즉, 중심도체를 경사면을 통해 확실히 절곡할 수 있는 결과, 중심도체의 절곡가공에 수반되는 변형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각 중심도체가 소정의 각도로 자성체 기판에 대해 절곡된다.
따라서 특성이 양호하고 안정화된 고품질의 비가역 회로소자가 얻어지고, 비가역 회로소자의 조립작업의 생산성도 향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통전극이, 서로 대향하는 2변과 이들 2변의 각 단부끼리를 접속하는 하나 이상의 변으로 구획되는 형상으로서 평면에서 봤을 때 가로길이형 또는 세로길이형으로 되고, 그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를 자성체 기판의 주연부를 따르게 하여 자성체 기판의 일면측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비가역 회로소자로 한 것이다.
공통전극의 일부형상을 자성체 기판에 가까운 형상으로 함으로써 공통전극을 자성체 기판의 일면측에 잘 수용되게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통전극이 서로 대향하는 2변의 각 단부측에 사변부를 갖고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직사각형으로 되고, 그 주연부를 상기 자성체 기판의 주연부를 따르게 하여 자성체 기판의 일면측에 배치 가능한 크기로 되어 이루어지는 비가역 회로소자로 한 것이다.
공통전극의 전체형상을 자성체 기판에 가까운 형상으로 함으로써 공통전극을 자성체 기판의 일면측에 잘 수용되게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이솔레이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술한 것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구성의 비가역 회로소자를 구비한 비가역 회로소자로 한 것이다.
그럼으로써, 상기한 각종 특징을 갖는 비가역 회로소자를 구비한 아이솔레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이솔레이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청구항 1 ∼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 1 선로도체와 제 2 선로도체와 제 3 선로도체에 콘덴서 기판이 접속되고, 3개의 선로도체 중 하나에 저항소자가 접속되고, 자성체 기판과선로도체와 콘덴서 기판과 저항소자가 케이스체에 수납되어 이루어지는 비가역 회로소자로 한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는 비가역 회로소자 중, 아이솔레이터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 은 본 발명에 관한 비가역 회로소자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형태의 아이솔레이터 (1) 는 상부 요크 (2) 와 하부 요크 (3) 로 구성되는 자기폐회로내에 자성체 기판 (5) 의 면내와 수직인 방향으로 직류 바이어스 자계를 부여하는 영구자석 등으로 이루어지는 자석 부재 (4) 와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자성체 기판 (5) 과 선로도체 (6,7,8) 와 이들 선로도체 (6,7,8) 를 접속한 공통전극 (10) 과 자성체 기판 (5) 의 주위에 배치되어 각 선단부 도체 (6c,7c,8c) 에 있어서 정합용량으로서 작용하는 콘덴서 기판 (11,12) 과 종단저항 (13) 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요크 (2) 와 하부 요크 (3) 는 연철 등의 강자성체로 이루어지고, 도 4 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각 형상의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 요크의 표리면에는 Ag 도금 등의 도전층이 피복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면시 대략 ㄷ자형의 상부 요크 (2) 는 측면시 대략 ㄷ자형의 하부 요크 (3) 에 자유롭게 끼워넣을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고, 상부 요크 (2) 와 하부 요크 (3) 의 서로의 개구부분을 끼워맞춤으로써 양자를 일체로 하여 상자형의 자기폐회로를 구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하부 요크 (3)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 직사각형상의 바닥판 (3a) 과 이 바닥판 (3a) 의 서로 대향하는 2변측에 세워설치된 측벽부 (3b) 로 구성되는 측면 ㄷ자형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부 요크 (2) 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 직사각형상의 천판 (2a) 과 이 천판 (2a) 의 서로 대향하는 2변측에 세워설치된 측벽부 (2b) 로 구성되는 측면 ㄷ자형으로 형성되고, 상부 요크 (2) 의 측변부 (2b,2b) 와 하부 요크 (3) 의 측벽부 (3b,3b) 를 서로 다르게 배치하여 요크 (2,3) 를 끼워맞춤으로써 상자형의 자기폐회로가 구성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 요크 (2,3) 의 형상은 이 실시형태와 같은 ㄷ자형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요크로 상자형의 폐자기회로를 구성하는 것이라면 임의의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끼워맞춰진 하부 요크 (2) 와 상부 요크 (3) 가 에워싸는 공간에는, 다시 말하면 하부 요크 (2) 와 상부 요크 (3) 로 이루어지는 폐자기회로내에는, 상기 자성체 기판 (5) 과 3개의 선로도체 (6,7,8) 와 이들 선로도체 (6,7,8) 를 접속한 공통전극 (10) 으로 이루어지는 자성조립체 (15) 가 수납되어 있다.
상기 자성체 기판 (5) 은 페라이트 등의 강자성체로 이루어지고,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 가로길이의 대략 장방형 판상으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대향하는 가로길이의 2개의 장변 (5a,5a) 과, 이들 장변 (5a,5a) 에 직각방향의 단변 (5b,5b) 과, 상기 장변 (5a,5a) 의 양단부측에 위치하여 각 장변 (5a) 에 대해 150°의 각도로 경사져 (장변 (5a) 의 연장선에 대해서는 30°의 경사각도로 경사져), 각각에 상기 단변 (5b) 에 접속하는 4개의 경사변(5c) 으로 구성되며 평면에서 봤을 때 가로길이의 대략 장방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평면에서 봤을 때의 자성체 기판 (5) 의 4개의 코너부에는 각각 장변 (5a) 에 대한 150°경사 (단변 (5b) 에 대해 130° 경사) 의 경사면 (5d ; 즉, 받이면)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자성체 기판 (5) 에서는 그 횡방향, 즉 길이방향의 폭과, 그 종방향, 즉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과의 비, 즉 종횡비가 25% ( 1 : 4) 이상, 80% (4: 5) 이하의 범위, 즉 평면에서 봤을 때 가로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여기서 도 1 에 나타내는 것은 평면에서 봤을 때 가로길이의 자성체 기판 (5) 이지만, 도 1 을 90°회전시킨 횡방향에서 보면 자성체 기판 (5) 은 세로길이형상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자성체 기판 (5) 은 가로길이형상이나 세로길이형상이나 완전히 등가인 것으로 고려된다.
상기 3개의 선로도체 (6,7,8) 와 공통전극 (10) 은 도 3 의 전개도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체화되어 이루어지고, 3개의 선로도체 (6,7,8) 와 공통전극 (10) 을 주체로 하여 전극부 (16) 가 구성되어 있다. 이 공통전극 (10) 은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자성체 기판 (5) 과 거의 유사한 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부 (10A) 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본체부 (10A) 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장변부 (10a,10a) 와, 이들 장변부 (10a,10a) 에 직각방향의 단변부 (10b,10b) 와, 상기 장변부 (10a,10a) 의 양단부측에 위치하여 각 장변부 (10a) 에 대해 150°의 각도로 경사지고, 상기 단변부 (10b) 에 대해서는 130°의 경사각도로 접속하는 4개의 경사부 (10c) 로 구성되며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장방형 (직사각형상) 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공통전극 (10) 의 4개의 코너부의 경사부 (10c) 중, 일방의 장변부측의 2개의 경사부 (10c) 로부터 제 1 선로도체 (6) 와 제 2 선로도체 (7) 가 연장형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 2개의 경사부 (10c) 의 일방으로부터, 제 1 기부 도체 (6a) 와 제 1 중앙도체 (6b) 와 제 1 선단부 도체 (6c) 로 이루어지는 제 1 선로도체 (6) 가 연장형성되는 한편, 상기 경사부 (10c) 의 타방으로부터, 제 2 기부 도체 (7a) 와 제 2 중앙도체 (6b) 와 제 2 선단부 도체 (7c) 로 이루어지는 제 2 선로도체 (7) 가 연장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부 도체 (6a,7a) 는 모두 경사부 (10c) 를 연장하도록 경사부 (10c) 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고, 기부 도체 (6a,7a) 는 이들 중심축선을 공통전극 (10) 의 장변부 (10a) 에 대해 150°의 경사각도로 경사시켜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중앙도체 (6b,7b) 는 모두 공통전극 (10) 의 단변부 (10b) 에 대해 평행하게, 바꿔말하면 기부 도체 (6a,7a) 의 중심축선 (길이방향) 에 대해 150°의 경사각도로 형성되고, 또한 선단부 도체 (6c,7c) 는 모두 공통전극 (10) 의 장변부 (10a) 에 대해 150°경사져 있다.
이러한 점에서, 접속도체 (6a,7a) 의 중심축선끼리가 이루는 각도 θ1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60°로 되어 있고, 선단부 도체 (6c,6c) 의 중심축선끼리가 이루는 각도 θ2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20°로 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제 1 선로도체 (6) 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공통전극 (10) 의 외주부로부터 기부 도체 (6a) 와 중앙도체 (6b) 를 통과하여 선단부 도체 (6c) 의 기단부까지 도달하는 슬릿부 (18) 가 형성되고, 이 슬릿부 (18) 를 형성함으로써 중앙부 도체 (6b) 가 2개의 분할도체 (6b1,6b2) 로 분할되고, 기부 도체 (6a) 도 2개의 분할도체 (6a1,6a2) 로 분할되고, 상기 제 2 선로도체 (7) 의 폭방향 중앙부에도 동일한 슬릿부 (19) 가 형성되고, 이 슬릿부 (19) 를 형성함으로써 중앙부 도체 (7b) 가 2개의 분할도체 (7b1,7b2) 로 분할되고, 기부 도체 (7a) 도 2개의 분할도체 (7a1,7a2) 로 분할되어 있다.
상기 슬릿부 (18) 의 공통전극 (10) 측의 단부는 접속도체 (6a) 를 통과하여 공통전극 (10) 의 외주부에서 약간 깊은 위치까지 도달함으로써 오목부 (18a) 를 형성하고, 제 1 선로도체 (6) 의 선로길이를 약간 길게 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슬릿부 (19) 의 공통전극 (10) 측의 단부도 접속도체 (7a) 를 통과하여 공통전극 (10) 의 외주부까지 도달함으로써 오목부 (19a) 를 형성하고, 제 2 선로도체 (7) 의 선로길이를 약간 길게 하고 있다. 또 오목부 (18a,19a) 는 적절히 필요에 따라 설치해도 되고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상기 공통전극 (10) 의 타방의 장변부 (10a) 측의 중앙부에 제 3 선로도체 (8) 가 연장형성되어 있다. 이 제 3 선로도체 (8) 는 공통전극 (10) 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제 3 기부 도체 (8a) 와 제 3 중앙도체 (8b) 와 제 3 선단부 도체 (8c) 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3 기부 도체 (8a) 는 공통전극 (10) 의 장변측 중앙부로부터 거의 직각으로 연장형성된 2개의 직사각형의 분할도체 (8a1,8a2) 로 이루어지고, 2개의 분할도체 (8a1,8a2) 사이에는 슬릿 (20)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3 중앙도체 (8b) 는 상기 분할도체 (8a1) 에 접속되며 평면에서 봤을 때 L자형상의 분할도체 (8b1) 와 상기 분할도체 (8a2) 에 접속하며 평면에서 봤을 때 L자형상의 분할도체 (8b2) 로 이루어지고, 분할도체 (8b1) 와 분할도체 (8b2) 는 이들 분할도체 (8a1,8a2) 의 실질적인 도체길이를 길게 하기 위해 서로의 중앙부를 이간시키도록 하여 분할도체 (8a1,8a2) 로부터 연장형성되고, 분할도체 (8b1) 와 분할도체 (8b2) 로 마름모꼴 형상의 중앙도체 (8b) 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분할도체 (8b1,8b2) 의 선단측은 L자형의 제 3 선단부 도체 (8c) 에 일체화되어 있다. 이 제3 선단부 도체 (8c) 는 상기 분할도체 (8b1,8b2) 를 일체화하여 상기 분할도체 (8a1,8a2) 와 동일한 방향을 향해 연장형성된 접속부 (8c1) 와 이 접속부 (8c1) 에 대해 거의 직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접속부 (8c2) 로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공통전극 (10) 의 일방의 장변부 (10a) 측에서, 제 3 선로도체 (8) 의 분할도체 (8a1,8a2) 의 양측부분에는 공통전극 (10) 의 장변부 (10a) 를 일부 베어내는 형태로 3개의 오목부 (10e) 가 필요에 따라 형성되고, 이들 오목부 (10e) 를 형성함으로써 제 3 선로도체 (8) 의 선로길이가 약간 길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통전극 (10) 의 일방의 장변부 (10a) 에 있어서 3개의 오목부 (10e) 중의 양측 2개의 오목부 (10e) 의 외측, 바꿔말하면 오목부 (10e) 와 경사부 (10c) 사이의 부분에, 상기 분할도체 (8a1,8a2) 와 평행한 방향으로 사다리꼴형의 지지편 (21) 이 연장형성됨과 동시에, 공통전극 (10) 의 타방의 장변부 (10a) 측의 중앙부에도 평면에서 봤을 때 장방형상의 지지편 (22) 이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들 지지편 (21,22) 은 콘덴서 기판 (11,12) 의 어스전극으로 되어 있고, 콘덴서 기판 (11,12) 의 일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타면측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선단부 도체 (6c,7c,8c) 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콘덴서 기판 (11,12) 의 어스전극은 지지편 (21,22) 을 통하지 않고 직접 요크 (3) 의 바닥판 (3a) 과 접속해도 된다. 또한 콘덴서 기판 (11) 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통전극 (10) 은 그 본체부 (10A) 를 자성체 기판 (5) 의 이면측 (일면측) 을 따르게 하고, 제 1 선로도체 (6) 와 제 2 선로도체 (7) 와 제 3 선로도체 (8) 를 자성체 기판 (5) 의 표면측 (타면측) 으로 절곡하여 자성체 기판 (5) 에 장착되고, 자성체 기판 (5) 과 함께 자성조립체 (15) 를 구성하고 있다. 즉, 제 1 선로도체 (6) 의 분할도체 (6a1,6a2) 를 자성체 기판 (5) 의 하나의 경사면 (5d) 의 가장자리를 따라 절곡하고, 제 2 선로도체 (7) 의 분할도체 (7a1,7a2) 를 자성체 기판 (5) 의 다른 하나의 경사면 (5d) 의 가장자리를 따라 절곡하고, 제 3 선로도체 (8) 의 분할도체 (8a1,8a2) 를 자성체 기판 (5) 의 장변 (5a) 의 가장자리를 따라 절곡하고, 제 1 선로도체 (6) 의 중앙도체 (6a) 를 자성체 기판 (5) 의 표면측 (타면측) 에 자성체 기판 표면측의 대각선을 따르게 하고, 제 2 선로도체 (7) 의 중앙도체 (7b) 를 자성체 기판 (5) 의 표면측 (타면측) 에 자성체 기판 표면의 대각선을 따르게 하고, 또한 제 3 선로도체 (8) 의 중앙도체 (8b) 를 자성체 기판 (5) 의 표면부의 중앙부분을 따르게 함으로써 공통전극 (10) 이 자성체 기판 (5) 에 장착되어 자성조립체 (15) 로 되어 있다.
또, 여기서 기재되어 있는 대각선이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성체 기판 (5) 을 평면에서 봤을 때, 각 장변 (5a) 과 각 단변 (5b) 의 연장선이 교차하는 위치를 대략 장방형상의 자성체 기판 (5) 의 정점이라 가정하고, 이들 4개의 정점 중, 대향하는 정점끼리를 잇는 선분을 대각선 (L1,L2) 이라 정의한다.
또한, 상기 도체부 (8b1,8b2) 는 자성체 기판 (5) 의 표면측에 배치되지만, 자성체 기판 (5) 의 표면측을 따르게 한 분할도체 (8b1) 또는 분할도체 (8b2) 의 길이는 도 2 에 나타내는 자성체 기판 (5) 의 세로폭 (가로길이 장방형상의 자성체 기판 (5) 의 폭방향을 따른 폭) 의 1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같이 함으로써 분할도체 (8b1,8b2) 의 실질적인 도체길이를 길게 하여 비가역 회로소자로서의 저주파화와 소형화를 양립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제 1 ∼ 제 3 선로도체 (6,7,8) 를 자성체 기판 (5) 의 표면측에 장착함으로써,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선로도체 (6) 와 제 2 선로도체 (7) 는 각각 자성체 기판 (5) 의 대각선 (L1,L2) 을 따라 겹쳐 배치되고, 제 1 중심도체 (6b) 와 제 2 중심도체 (7b) 는 자성체 기판 (5) 의 표면 위에서 평면에서 봤을 때 120°의 경사각도로 교차되어 겹쳐져 있다. 또한, 제 1 ∼ 제 3 중심도체 (6b,7b,8b) 의 겹침상태에 있어서, 제 1 중심도체 (6b) 의 분할도체 (6b1,6b2) 와, 제 2 중심도체 (7b) 의 분할도체 (7b1,7b2) 가 겹쳐진 부분은 자성체 기판 (5) 의 표면측에서 평면에서 보면 위치가 어긋나 배치되고, 분할도체 (6b1,6b2) 와 분할도체 (7b1,7b2) 가 겹쳐진 부분은 자성체 기판 (5) 의 표면 위에서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분할도체 (6b1,6b2) 와 분할도체 (7b1,7b2) 가 겹쳐진 부분에 대해 이들 부분을 피하도록 제 3 중심도체 (8b) 의 분할도체 (8b1,8b2) 가 배치되어 있다.따라서, 자성체 기판 (5) 의 표면 위에서, 분할도체 (6b1,6b2) 와 분할도체 (7b1,7b2) 와 분할도체 (8b1,8b2) 가 이들 조합 중, 2개 겹쳐져 배치되는 경우는 있어도 3개가 겹쳐지는 부분은 생기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도 1a 에서는 생략하였지만, 자성체 기판 (5) 과 제 1 선로도체 (6) 와 제 2 선로도체 (7) 와 제 3 선로도체 (8) 사이에는 각각 도 1b 에 간략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시트 (Z) 가 개재되어 각 선로도체 (6,7,8) 는 각각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자성조립체 (15) 는 하부 요크 (3) 의 바닥부 중앙측에 배치되고, 하부 요크 (3) 의 바닥부측의 자성조립체 (15) 의 양측부분에는 평면에서 봤을 때 가늘고 긴 상기 자성체 기판 (5) 의 절반정도 두께의 판상의 콘덴서 기판 (11,12) 이 수납되고, 콘덴서 기판 (12) 의 일측부측에는 종단저항 (13) 이 수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자성조립체 (15) 의 자성체 기판 (5) 의 길이가 하부 요크 (3) 의 내폭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고, 자성체 기판 (5) 의 폭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 이 하부 요크 (3) 의 내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자성체 기판 (5) 을 하부 요크 (3) 의 내부에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 가로길이가 되도록 수납한 상태에서, 자성체 기판 (5) 의 폭방향 양측에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덴서 기판 (11,12) 을 수납 가능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들 공간부에 콘덴서 기판 (11,12) 과 종단저항 (13) 이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선로도체 (6) 의 선단부 도체 (6c) 를 상기 콘덴서 기판(11) 의 일측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부 (11a) 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제 2 선로도체 (7) 의 선단부 도체 (7c) 를 상기 콘덴서 기판 (11) 의 타측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부 (11b) 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제 3 중앙도체 (8) 의 선단부 도체 (8c) 를 콘덴서 기판 (12) 과 종단저항 (13) 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자성조립체 (15) 에 콘덴서 (11,12) 와 종단저항 (13) 이 접속되어 있다. 또 종단저항 (13) 을 접속하지 않으면 서큘레이터로서 작용한다.
상기 선단부 도체 (7c) 부분이 접속된 콘덴서 기판 (11) 의 단부측에 비가역 회로소자 (1) 로서의 제 1 포트 (P1) 가 형성되고, 선단부 도체 (6c) 부분이 접속된 콘덴서 기판 (11) 의 단부측에 비가역 회로소자 (1) 로서의 제 2 포트 (P2) 가 형성되고, 선단부 도체 (8c) 부분이 접속된 종단저항 (13) 의 단부측이 비가역 회로소자 (1) 로서의 제 3 포트 (P3) 로 되어 있다.
이 형태의 아이솔레이터 (1) 에 있어서, 제 1 포트 (P1) 와 제 2 포트 (2) 를 따르는 방향으로 평행한 방향의 콘덴서 기판 (11) 의 길이를 아이솔레이터 (1) 전체의 동 방향의 길이 (바꿔말하면 하부 요크 (3) 의 동 방향의 길이) 의 65% 이상, 10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의 길이 중에서도 75%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어서 제 1 포트와 제 2 포트를 따르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는, 콘덴서 기판 (11) 의 폭이 비가역 회로소자 (1) 전체의 동 방향의 길이의 (바꿔말하면 하부 요크 (3) 의 동 방향의 길이의) 15% 이상, 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의 폭 중에서도 30% 이상, 4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 요크 (3) 와 상부 요크 (2) 사이의 공간부에서 자성조립체 (15) 는 그 공간부 두께의 절반정도를 점유하는 두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자성조립체 (15) 보다 상부 요크 (2) 측의 공간부분에는 도 6 에도 나타내는 스페이서 부재 (30) 가 수납되고, 이 스페이서 부재 (30) 에 자석 부재 (4) 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페이서 부재 (30) 는 상부 요크 (2) 의 내부에 수납 가능한 크기로 평면에서 봤을 때 직사각형 판상의 기판부 (31) 와, 이 기판부 (31) 의 바닥부측의 4모서리의 각 코너부분에 형성된 다리부 (31a) 로 이루어지고, 기판부 (31) 에 있어서 다리부 (31a …)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 (상면) 에 원형의 수납오목부 (31b) 가 형성되고, 이 수납오목부 (31b) 의 바닥면측에는 기판부 (31) 를 관통하는 직사각형의 투공 (31c)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오목부 (31b) 에 원반형상의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자석 부재 (4) 가 끼워넣어지고, 이 자석 부재 (4) 를 구비한 상태의 스페이서 부재 (30) 가 그들 4개의 다리부 (30a) 에서 상기 콘덴서 기판 (11,12) 과 이들에 접속되어 있는 제 1 선단부 도체 (6c,7c), 및 종단저항 (13) 과 이것에 접속되어 있는 선단부 도체 (8c) 의 선단부를 하부 요크 (3) 의 바닥부측으로 밀어붙이고, 스페이서 부재 (30) 의 바닥부에 의해 자성조립체 (15) 를 하부 요크 (3) 의 바닥면측으로 밀어붙인 상태에서 요크 (2,3) 사이에 수납되어 있다.
또 스페이서 부재 (30) 의 4개의 다리부 (31a) 에 의해 상기와 같이 선단부 도체 (6c,7c,8c) 를 밀어붙임으로써 제 1 선로도체 (6) 와 제 2 선로도체 (7) 와 제 3 선로도체 (8) 에 장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이들을 자성체 기판 (5) 의 표면측으로 밀어붙임과 동시에, 스페이서 부재 (30) 의 바닥면에 의해 이들 제 1 선로도체 (6) 와 제 2 선로도체 (7) 와 제 3 선로도체 (8) 를 밀어붙임으로써 이들을 자성체 기판 (5) 의 표면측으로 밀어붙이고, 그럼으로써 자성조립체 (16) 를 하부 요크 (3) 의 바닥부측에 고정하고 있다.
도 1 ∼ 도 6 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아이솔레이터 (1) 는 제 1 선로도체 (6) 와 제 2 선로도체 (7) 가 모두 자성체 기판 (5) 의 평면상의 경사면 (5d,5d) 을 통해 절곡되고, 제 3 선로도체 (8) 가 자성체 기판 (5) 의 장변 (5a) 을 따라 절곡되어 있으므로, 각 선로도체 (6,7,8) 에서의 중앙도체 (6b,7b,8b) 의 절곡부분이 자성체 기판 (5) 의 표면측에서 정확한 각도, 예컨대 제 1 선로도체 (6) 와 제 2 선로도체 (7) 에서는 120°의 각도로 절첩된다. 즉, 평면상의 경사면 (5d) 의 가장자리의 직선부분을 통한 절첩작업이 되므로, 중앙도체 (6b,7b) 를 자성체 기판 (5) 의 표면측에서 정확히 120°의 각도로 교차시켜 쉽게 절곡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입력측의 선로도체에서 자성체 기판 (5) 으로 입력된 신호를 출력측에 효과적으로 전파시킬 수 있고, 저손실이면서 광대역의 통과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자성조립체 (15) 의 자기특성으로서 바람직한 것을 확실히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성체 기판 (5) 의 표면측에 절첩된 중앙도체 (6b,7b,8b)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겹쳐지는데, 이 겹친 상태에서, 중앙도체 (6b,7b,8b) 의 각각에 있어서 2개로 분할되어 있는 분할도체 (6b1,6b2,7b1,7b2,8b1,8b2) 의 각각이 개별적으로 겹쳐진다. 그러나, 이들 분할도체 (6b1,6b2,7b1,7b2,8b1,8b2) 의 겹쳐진 부분에서는 어느 2개의 분할도체만 겹침부가 되고, 3개의 분할도체가 겹쳐져 있지 않다. 이는 2개의 중앙도체 (6,7) 를 2분할한 후에, 중앙도체 (8b) 를 넓힌 상태의 2분할 구조로 하여 중앙도체 (6b,7b) 에 대한 겹침부분을 피할 수 있는 겹침구조로 하였기 때문이다.
이 같은 겹침구조로 함으로써 3개의 분할도체가 겹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스페이서 부재 (30) 의 바닥부에서 중앙도체 (6b,7b,8b) 를 자성체 기판 (5) 으로 밀어붙일 때에 중앙도체 (6b,7b,8b) 의 겹침부분을 균일하게 밀어붙일 수 있다. 여기서 예컨대 분할도체가 3개 겹치는 부분이 생기면 분할도체가 2개 겹쳐진 부분보다 3개 겹쳐진 부분이 두꺼워지므로, 이 3개 겹쳐진 부분에는 스페이서 부재 (30) 의 강한 밀어붙임력이 작용하는 반면, 다른 2개 겹쳐진 부분에는 스페이서 부재 (30) 의 밀어붙임력이 충분히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중앙도체 (6b,7b,8b) 에 균등하게 밀어붙임력을 작용시켜 이들 전부를 균등하게 지지할 수 없게 될 우려가 높아진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중앙도체 (8b) 의 분할도체 (8b1,8b2) 를 비평행 또는 평행하게 또한 절곡 또는 만곡하도록 분할함으로써, 입력측의 선로도체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효과적으로 고주파 페라이트제의 자성체 기판 (5) 위를 전파시켜 출력할 수 있고, 광대역의 통과특성을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수백 ㎒ 대의 비교적 저주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 선로도체 (6,7,8) 를 길게 하여 인덕턴스를 크게 할 필요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제 3 중심도체 (8b) 에 있어서, 제 3 선로도체 (8) 가 길이방향 중앙부측에서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절곡 (굴곡) 또는 만곡되어 이루어지거나, 또는 서로 평행하게 또한 절곡 또는 만곡되어 이루어지는데, 그럼으로써 제 3 선로도체 (8) 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길어져 인덕턴스가 커지고, 저주파화와 소형화를 양립할 수 있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면에서 봤을 때 전극부 (16) 의 본체부 (10A) 를 자성체 기판 (5) 과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하고 있는데, 이같이 함으로써 본체부 (10A) 가 그 밑에 위치하는 하부 요크 (3) 에 넓은 면적으로 접촉할 수 있으므로 저항이 낮아져 손실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선로도체 (6) 와 제 2 선로도체 (7) 와 제 3 선로도체 (8) 가 각각 붙어 있는 부분에는 오목부 (18a,19a,10e) 가 형성되어 있고, 각 선로도체의 선로길이가 약간 길게 되어 있으므로, 각 중심도체 (6,7,8) 의 인덕턴스가 커져 공진용량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는, 바꿔말하면 콘덴서 기판 (11,12) 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아이솔레이터 (1) 로서의 전체적인 소형화에 기여한다.
도 7a 는 상기 실시형태의 아이솔레이터 (1) 가 장착되는 휴대전화장치의 회로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예의 회로구성에서는 안테나 (40) 에 안테나 공진기 (41) 가 접속되고, 안테나 공진기 (41) 의 출력측에 로우노이즈앰프 (42 ; 증폭기) 와 필터 (48) 와 선택회로 (43) 를 통해 수신회로 (44) 가 접속되고, 안테나 공진기 (41) 의 입력측에 상기 실시형태의 아이솔레이터 (1) 와 파워앰프 (45 ; 증폭기) 와 선택회로 (46) 를 통해 송신회로 (47) 가 접속되고, 선택회로 (43,46) 에 분배트랜스 (49) 가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아이솔레이터 (1) 는 도 7a 에 나타내는 휴대전화장치의 회로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아이솔레이터 (1) 에서 안테나 공진기 (41) 측으로의 신호는 저손실로 통과시키지만, 그 반대방향의 신호는 손실을 크게 하여 차단하도록 작용한다. 그럼으로써, 증폭기 (45) 측의 노이즈 등의 불필요한 신호를 증폭기 (45) 측에 역입력시키지 않는다는 작용을 나타낸다.
도 7b 는 도 1 내지 도 6 에 나타낸 구성의 아이솔레이터 (1) 의 동작원리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7b 에 나타내는 회로에 장착되어 있는 아이솔레이터 (1) 는 부호 ① 로 나타내는 제 1 포트 (P1) 측에서 부호 ② 로 나타내는 제 2 포트 (P2) 방향으로의 신호는 전달하지만, 부호 ② 의 제 2 포트 (P2) 측에서 부호 ③ 의 제 3 포트 (P3) 측으로의 신호는 종단저항 (13) 에 의해 감쇠시켜 흡수하고, 종단저항 (13) 측의 부호 ③ 으로 나타내는 제 3 포트 (P3) 측에서 부호 ① 로 나타내는 제 1 포트 (P1) 측으로의 신호는 차단한다.
따라서, 도 7a 에 나타내는 회로에 장착한 경우에 상기 설명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에 관한 제 2 실시형태의 비가역 회로소자에 적용되는 전극부 (35) 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형태의 전극부 (35) 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의 전극부 (16) 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들 부분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 형태의 전극부 (35) 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의 전극부 (16) 와 다른 것은 제 1 선로도체 (6) 와 제 2 선로도체 (7) 에 있어서 공통전극 (10) 이 본체부(10A) 에 붙어 있는 부분의 각각에 상기 제 1 기부 도체 (6a) 와 동일한 정도의 길이 (깊이) 의 오목부 (10f) 를 각각 형성하고, 각 선로도체 (6,7) 의 선로길이를 더욱 길게 형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또한, 제 3 선로도체 (8) 가 붙어 있는 부분에도 상기 오목부 (10f) 와 동등한 길이 (깊이) 의 오목부 (10g) 를 형성함으로써 제 3 선로도체 (8) 의 선로길이도 더욱 길게 되어 있다.
이 도면의 실시형태와 같이, 공통전극 (10) 의 본체부 (10A) 에 상기 실시형태보다 더욱 깊은 오목부 (10f,10g) 를 형성하여 선로도체 (6,7,8) 의 실효 선로길이를 길게 한 구조를 채용해도 된다. 이 경우, 오목부 (10f,10g) 를 형성한 부분측까지 절연층을 배치하고, 각 선로도체 (6,7,8) 를 자성체 기판 (5) 의 이면측에서 각각 절연하는 구성으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선로도체 (8) 는 후술하는 실시형태와 같이 분할도체 (8b1,8b2) 를 평행하게, 또한 절곡 또는 만곡하게 형성시켜도 된다.
이상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중심도체 (6,7,8) 의 인덕턴스가 더욱 커지므로, 공진용량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는, 바꿔말하면 콘덴서 기판 (11,12) 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아이솔레이터 (1) 로서의 전체적인 소형화에 기여한다.
도 9 는 본 발명에 관한 제 3 실시형태의 비가역 회로소자에 적용되는 전극부 (36) 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형태의 전극부 (36) 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전극부 (16) 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들 부분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 형태의 전극부 (36) 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의 전극부 (16) 와 다른 것은 제 3 선로도체 (80) 의 중앙도체 (80b) 가 분할도체 (80b1) 와 분할도체 (8b2) 로 분할되어 있는 점이고, 분할도체 (80b1) 는 분할도체 (8b2) 와 비평행이 아니며, 분할도체 (8b2) 에 평행해지도록 굴곡되어 있다. 따라서 제 3 중앙도체 (80b) 는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3 중앙도체 (80b) 는 절곡 (굴곡) 된 형상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만곡된 형상 또는 절곡부분이 둥글게 형성된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이들 분할도체는 L자형에 국한되지 않고 지그재그형상, 파형 등으로 절곡된 형상이어도 된다.
이 같은 형상으로 한 분할도체 (80b1,8b2) 를 구비한 제 3 선로도체 (80) 를 구비한 구조일지라도, 선로도체 (80b) 의 실질적인 도체길이를 길게 하여 비가역 회로소자로서의 저주파화와 소형화를 양립시킬 수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에 관한 비가역 회로소자 (아이솔레이터) 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형태의 아이솔레이터 (50) 는 상부 요크 (51) 와 하부 요크 (52) 로 이루어지는 폐자기회로의 내부에, 바꿔말하면 상부 요크 (51) 와 하부 요크 (52) 사이에 4각 판상의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자석 부재 (55) 와 스페이서 부재 (56) 와 자성조립제 (57) 와 콘덴서판 (58,59,60) 과 종단저항 (61) 과 이들을 수용하는 수지케이스 (62) 를 수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자성조립체 (57) 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전극부 (16) 와 동등한 전극부 (16) 가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장방형상의 자성체 기판 (65) 에 감겨 구성되어 있다. 이 자성체 기판 (65) 은 상기 형태의 가로길이의 자성체 기판 (5) 과 거의 동일한 형상이지만 약간 정방형상에 가까운 장방형 판상으로 되어 있다.
도 10 에 나타내는 구조의 아이솔레이터 (50) 에서도 상기 실시형태의 아이솔레이터 (1) 와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1 은 자성체 기판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형태의 자성체 기판 (60) 은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장방형상으로 4개의 각부에 L자형의 노치형상의 받이부 (61) 를 갖는 형상이 되고, 하나의 받이부 (61) 를 구성하는 2개의 평면 중 일방의 평면이 선로도체 (6) 를 되접어 꺾기 위한 경사면 (61a) 이 되고, 다른 하나의 받이부 (61) 를 구성하는 2개 평면 중 일방의 평면이 선로도체 (7) 를 되접어 꺾기 위한 경사면 (61b) 이 되고, 이들 경사면 (61a,61b) 에 의해 전극부 (16) 의 제 1 중앙도체 (6b) 와 제 2 중앙도체 (7b) 가 정확히 되접어 꺾기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형태의 자성체 기판 (60) 에서도 평면에서 봤을 때 가로길이의 대략 장방형상으로 되고, 상세하게는 서로 대향하는 장변 (60a,60a) 과 이들에 직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단변 (60b,60b) 과 상기 설명한 받이부 (61) 를 구성하는 2개의 변으로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장방형상의 자성체 기판 (60) 이 구성되어 있다.
이 자성체 기판 (60) 을 사용함으로써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2 는 자성체 기판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형태의 자성체 기판 (70) 은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장방형상으로 4개의 각부에 평면상의 받이부 (71) 를 갖고, 단변측이 곡선으로 된 대략 레이스 트랙 형상으로 되어 있다.이 형상도 본 발명에서는 대략 장방형상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자성체 기판 (70) 은 서로 대향하는 장변 (70a,70b) 과 이들 장변 (70a,70a) 의 단부끼리를 접속하는 타원호상의 단변 (70b,70b) 으로 이루어지고, 장변 (70a,70a) 의 단부에 형성된 평면상의 받이부 (71,71) 와 장변 (70a) 에 의해 상기 설명한 전극부 (16) 의 제 1 중앙도체 (6b) 와 제 2 중앙도체 (7b) 와 제 3 중앙도체 (8) 를 정확히 되접어 꺾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자성체 기판 (70) 을 사용함으로써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중심도체를 평면에서 봤을 때 가로길이형 또는 세로길이형의 자성체 기판의 일면측에서 타면측에 걸쳐 경사면을 통해 절곡하여 감고 있으므로, 중심도체를 경사면의 가장자리를 통해 정확한 위치에서 확실하게 절곡하여 자성체 기판의 타면측으로 감을 수 있는 결과, 자성체 기판에 대해 중심도체를 확실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즉, 중심도체를 경사면의 가장자리를 통해 절곡하는 결과, 중심도체의 절곡가공에 수반되는 변형도 억제되므로, 각 중심도체를 소정의 각도로 자성체 기판에 대해 절곡할 수 있다.
따라서 특성이 양호하고 안정된 고품질의 비가역 회로소자를 얻을 수 있고, 자성조립체를 구비한 비가역 회로소자로서의 조립작업의 생산성도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콘덴서 기판을 평면에서 봤을 때 가로길이형 또는 세로길이형의 자성체 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폭방향 양측에 배치하면 자성체 기판의 양측에 잘 수용되게 콘덴서 기판을 배치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자성체 기판과 콘덴서 기판을 포함한 비가역 회로소자의 전체적인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 선로도체가 붙어 있는 부분에 대응하는 공통전극의 주연부에 오목부를 새겨 형성함으로써 선로도체의 선로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선로도체의 선로길이가 길어짐으로써 선로도체의 인덕턴스가 커지고, 콘덴서 기판으로서의 공진용량을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콘덴서 기판을 작게 할 수 있어 비가역 회로소자의 저주파화, 소형화에 기여한다. 또한, 동일한 인덕턴스를 확보한다면 자성체 기판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는 결과, 이에 의해서도 비가역 회로소자 전체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본 발명에서, 분할도체끼리 겹쳐진 부분이 평면에서 보면 위치가 어긋나 배치되는 경우, 자성체 기판의 타면측에서 분할도체가 평면에서 보면 균등하게 잘 수용되게 배치된다. 또한 제 1 선로도체와 제 2 선로도체와 제 3 선로도체의 분할도체끼리의 겹침부분의 전부가 평면에서 보면 위치가 어긋나 있으면, 분할도체끼리가 3개 겹쳐지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자성체 기판의 타면측에 있어서 분할도체의 2개 겹침부분과 3개 겹침부분의 발생으로 인한 요철의 발생이 적어지고, 자성체 기판 타면측에서의 요철이 적어진다.
본 발명에서 콘덴서 기판 중, 적어도 하나를 복수의 선로도체에 접속하는 공통의 콘덴서 기판으로 함으로써 큰 용량을 작은 콘덴서 점유 체적으로 얻을 수 있어 비가역 회로소자로서의 소형화에 기여한다.

Claims (13)

  1. 서로 대향하는 직선상의 2변과 이들 2변의 각 단부끼리를 접속하는 하나 이상의 변으로 구획되며 평면에서 봤을 때 가로길이형 또는 세로길이형인 자성체 기판;
    상기 자성체 기판의 일면측에 배치된 판상의 공통전극;
    상기 공통전극 외주부의 3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 1 선로도체와 제 2 선로도체와 제 3 선로도체;
    상기 제 1 선로도체에 설치되어 상기 자성체 기판의 타면측으로 절곡되는 제 1 중심도체와, 상기 제 2 선로도체에 설치되어 상기 자성체 기판의 타면측으로 절곡되는 제 2 중심도체와, 상기 제 3 선로도체에 설치되어 상기 자성체 기판의 타면측으로 절곡되는 제 3 중심도체; 및
    제 1 각 내지 제 3 각으로 절곡된 상기 중심도체에서 정합용량으로 작용하는 콘덴서 기판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자성체 기판의 서로 대향하는 2변의 각 단부측에 상기 각 중심도체를 절곡하기 위한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중심도체와 제 2 중심도체가 상기 자성체 기판의 상기 경사면을 통해 상기 자성체 기판의 타면측으로 절곡되고, 또한 상기 자성층기판의 타면측에서 상기 자성체 기판의 대각선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비가역 회로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로도체에 접속되는 콘덴서 기판이, 평면에서 봤을 때 가로길이형 또는 세로길이형인 자성체 기판의 폭방향 양측에 자성체 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비가역 회로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로도체가 상기 공통전극에 접속된 부분과, 상기 제 2 선로도체가 상기 공통전극에 접속된 부분과, 상기 제 3 선로도체가 상기 공통전극에 접속된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의 양측에, 상기 공통전극의 주연부를 새겨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상기 선로도체의 선로길이가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비가역 회로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로도체의 폭방향 중앙부와 상기 제 2 선로도체의 폭방향 중앙부에 이들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슬릿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선로도체와 상기 제 2 선로도체가 각각 2개의 분할도체로 분할되어 이루어지는 비가역 회로소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도체가 상기 자성체 기판의 타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공통전극의 타면측에서 겹쳐지고, 각 분할선로끼리 겹쳐진 부분이 평면에서 보면 상기 공통전극의 타면측에서 위치가 어긋나 배치된 비가역 회로소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기판의 타면측에서 상기 제 3 중심도체가 상기 제 1 중심도체 및 제 2 중심도체에 대해 평면에서 봤을 때 겹쳐지고, 상기 제 1 중심도체와 제 2 중심도체에 대한 상기 제 3 중심도체의 겹침부분 전부가 평면에서 보면 위치가 어긋나 이루어지는 비가역 회로소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중심도체가 상기 자성체 기판의 타면측에서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제 1 중심도체와 제 2 중심도체와 교차하도록 절곡 또는 만곡되어 겹쳐지고, 상기 제 3 선로도체가 2개의 분할도체로 나뉘고, 상기 2개의 분할도체에 비평행부분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비가역 회로소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중심도체가 상기 자성체 기판의 타면측에서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제 1 중심도체와 제 2 중심도체와 교차하도록 절곡 또는 만곡되어 겹쳐지고, 상기 제 3 선로도체가 2개의 분할도체로 나뉘고, 상기 2개의 분할도체가 병행 상태에서 절곡 또는 만곡되어 이루어지는 비가역 회로소자.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 기판 중, 하나 이상의 상기 복수의 선로도체에 접속된 공통의 콘덴서 기판으로 된 비가역 회로소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기판이 서로 대향하는 2변의 각 단부측에 사면상의 경사면경사면경사면경사면 때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되어 이루어지는 비가역 회로소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이, 서로 대향하는 2변과 이들 2변의 각 단부끼리를 접속하는 하나 이상의 변으로 구획되는 형상으로 되고, 그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자성체 기판의 주연부를 따르게 하여 자성체 기판의 일면측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비가역 회로소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이 서로 대향하는 2변의 각 단부측에 사변부를 갖고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직사각형으로 되고, 그 주연부를 상기 자성체 기판의 주연부를 따르게 하여 자성체 기판의 일면측에 배치 가능한 크기로 되어 이루어지는 비가역 회로소자.
  13. 서로 대향하는 직선상의 2변과 이들 2변의 각 단부끼리를 접속하는 하나 이상의 변으로 구획되며 평면에서 봤을 때 가로길이형 또는 세로길이형인 자성체 기판;
    상기 자성체 기판의 일면측에 배치된 판상의 공통전극;
    상기 공통전극 외주부의 3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 1 선로도체와 제 2 선로도체와 제 3 선로도체; 및
    상기 제 1 선로도체에 설치되어 상기 자성체 기판의 타면측으로 절곡되는 제 1 중심도체와, 상기 제 2 선로도체에 설치되어 상기 자성체 기판의 타면측으로 절곡되는 제 2 중심도체와, 상기 제 3 선로도체에 설치되어 상기 자성체 기판의 타면측으로 절곡되는 제 3 중심도체가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평면에서 봤을 때 가로길이형 또는 세로길이형인 자성체 기판의 폭방향 양측에서 상기 선로도체에 접속되는 콘덴서 기판이 자성체 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역 회로소자.
KR1020020065453A 2001-10-29 2002-10-25 비가역 회로소자 KR200300359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31292A JP3676996B2 (ja) 2001-10-29 2001-10-29 非可逆回路素子及びアイソレータ
JPJP-P-2001-00331292 2001-10-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958A true KR20030035958A (ko) 2003-05-09

Family

ID=19146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453A KR20030035958A (ko) 2001-10-29 2002-10-25 비가역 회로소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76267B2 (ko)
EP (1) EP1309032A3 (ko)
JP (1) JP3676996B2 (ko)
KR (1) KR20030035958A (ko)
CN (1) CN123199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3930A (ja) * 2003-02-19 2004-09-09 Alps Electric Co Ltd アイソレータ
JP2004336645A (ja) * 2003-05-12 2004-11-25 Alps Electric Co Ltd アイソレータ
JP2004350131A (ja) * 2003-05-23 2004-12-09 Alps Electric Co Ltd 非可逆回路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通信機装置
KR100856136B1 (ko) * 2007-07-03 2008-09-03 (주)파트론 비가역 회로소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6503A (ja) * 1999-11-30 2001-06-08 Murata Mfg Co Ltd 非可逆回路素子、非可逆回路および通信装置
JP2001284910A (ja) * 2000-03-31 2001-10-12 Murata Mfg Co Ltd 非可逆回路素子および通信装置
JP2002043809A (ja) * 2001-06-28 2002-02-08 Hitachi Metals Ltd 非可逆回路素子
JP2002252504A (ja) * 2001-02-23 2002-09-06 Murata Mfg Co Ltd 非可逆回路素子及び通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03801B1 (en) * 1997-09-17 2004-02-04 Murata Manufacturing Co., Ltd. Nonreciprocal circuit device
JP2000261210A (ja) 1999-03-09 2000-09-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可逆回路素子及び集中定数型アイソレータ及び無線端末装置
SE524748C2 (sv) * 1999-03-09 2004-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rreciprok kretsanordning, tillverkningsförfarande av sådan samt mobil kommunikationsapparat där denna kretsanordning används
JP2001168604A (ja) * 1999-12-08 2001-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可逆回路素子及び製造方法及び無線端末装置
JP2001127505A (ja) * 1999-10-29 2001-05-11 Murata Mfg Co Ltd 非可逆回路素子及び通信機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6503A (ja) * 1999-11-30 2001-06-08 Murata Mfg Co Ltd 非可逆回路素子、非可逆回路および通信装置
JP2001284910A (ja) * 2000-03-31 2001-10-12 Murata Mfg Co Ltd 非可逆回路素子および通信装置
JP2002252504A (ja) * 2001-02-23 2002-09-06 Murata Mfg Co Ltd 非可逆回路素子及び通信装置
JP2002043809A (ja) * 2001-06-28 2002-02-08 Hitachi Metals Ltd 非可逆回路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76267B2 (en) 2005-04-05
US20030080823A1 (en) 2003-05-01
CN1416192A (zh) 2003-05-07
EP1309032A3 (en) 2004-01-02
CN1231992C (zh) 2005-12-14
JP2003133812A (ja) 2003-05-09
EP1309032A2 (en) 2003-05-07
JP3676996B2 (ja) 2005-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35958A (ko) 비가역 회로소자
JPH09246820A (ja) 誘電体共振器および帯域通過フィルタ
JP2001237613A (ja) 非可逆回路素子および高周波回路装置
US6982608B2 (en) Isolator suitable for miniaturization
KR100394806B1 (ko) 비가역 회로 소자 및 이를 사용하는 통신기 장치
JP2001185912A (ja) 非可逆回路素子および通信装置
JP3665776B2 (ja) 非可逆回路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通信機装置
JP3395748B2 (ja) 非可逆回路素子及び通信機装置
US20040108915A1 (en) Non-reciprocal circuit element having small insertion loss and wide isolation bandwidth, and communication device
US6614324B2 (en) Center electrode assembly, nonreciprocal circuit devic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6670862B2 (en) Nonreciprocal circuit devic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JP3734455B2 (ja) 非可逆回路素子
JP3663195B2 (ja) 非可逆回路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通信機装置
JP3697410B2 (ja) 非可逆回路素子
JP2004343273A (ja) 非可逆回路素子
US20040066248A1 (en) Miniature non-reciprocal circuit element with little variation in input impedanc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40012455A1 (en) Nonreciprocal circuit device
JP2004289291A (ja) アイソレータ及び通信機装置
JP2001189606A (ja) 非可逆回路素子及び通信機装置
JP2000151217A (ja) 非可逆回路素子
JPH0537206A (ja) 非可逆回路素子
JP2001127505A (ja) 非可逆回路素子及び通信機装置
JP2001111309A (ja) 非可逆回路素子及び通信機装置
JP2006246318A (ja) 3巻線型非可逆素子
JP2004048485A (ja) 非可逆回路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