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5842A - 표시소자 및 그의 계조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소자 및 그의 계조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5842A
KR20030035842A KR1020020049843A KR20020049843A KR20030035842A KR 20030035842 A KR20030035842 A KR 20030035842A KR 1020020049843 A KR1020020049843 A KR 1020020049843A KR 20020049843 A KR20020049843 A KR 20020049843A KR 20030035842 A KR20030035842 A KR 20030035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gradation
bits
scanning
sig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8742B1 (ko
Inventor
오카모토시게츠구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5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5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7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6Reduction of sub-frame artefa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1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amplitude modul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 G09G3/2033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with splitting one or more sub-frames corresponding to the most significant bits into two or more sub-fram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신호선과 주사선과의 교차부에 제공되고, 광학변조소자(5)와 액티브소자(2)를 구비한 표시소자(1)는, 1필드기간내에 소정의 시간간격비로 1회 이상의 주사를 행하는 경우에는, 각 주사마다, 최대로 M 비트(M≥1)의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소자(3)를 구비하고, 다음 주사가 행해질 때까지, 광학변조소자(5)가 2M계조표시에서의 점등을 유지한다. 이에 의해, 화소주사후의 데이터의 유지상태를 감소시키지 않고, 광학변조소자(5)에 계조신호데이터(Dm)를 전달하여, 표시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소자(3)에 기억된 정보를 출력하여 계조표시를 유지하는 것으로, 각 시분할표시기간 내에서의 광도를 메모리비트수에 따른 계조로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소자 및 그의 계조구동방법{DISPLAY ELEMENT AND GRAY SCALE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액정표시패널 등의 표시장치에 구비된 광학변조소자 등의 표시소자 및 그 계조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드라이버의 부담을 경감하고, 양호한 다계조표시가 가능한 표시소자 및 그 계조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광학변조소자 등의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에 있어서, 다계조표시를 행하기 위한 디바이스구성 또는 다계조구동방법이, 많은 표시장치에 채용되고 있다.
예컨대, 종래의 일렉트로루미네슨스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표시소자의 계조표시수단이,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347264호(2000년 12월15일),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284751호(2000년 10월 13일)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6-129359호(1996년 5월 21일)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의 계조표시수단은, 표시소자구동용 TFT를 병렬로 연결하여, 각 TFT의 도전율을 제어하는 것으로 다계조표시를 행하고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10980호(공개일 2000년 11월 7일)에는, 구동 TFT의 입력 게이트전압을 다치화하고, 시분할계조구동을 행함으로써 최대레벨 계조를 실현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때 분할계조구동방법을 채용한 방법에서는, 광학변조소자 자체가, 정밀도가 양호한 아날로그 계조구동을 행한다.
그러나, 상기 아날로그 계조구동을 행하는 종래의 다계조구동방법에서는, 전류제어에 의한 소자발광을 따르기 때문에, 구동 TFT의 게이트입력전위의 변동에 의한 출력전류의 변동이, 표시에 있어서 무시할 수 없는 레벨의 휘도변화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 상기 휘도변화의 발생이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출력휘도제어의 안정성의 면에서 문제가 적은 2진구동을 행하여, 2진표시를 시분할함으로써 다계조표시를 실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2진표시를 시분할하는 다계조구동방법을 채용한 경우, 소자 자체가 2진표시밖에 행할 수 없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장치는, 시분할방식에 의해 각 계조신호정보의 비트무게에 대응한 표시기간을 제어한다. 따라서, 동화상 의사 윤곽(dynamic false contour)이 발생하여, 양호한 다계조표시를 행할 수 없다.
이 동화상 의사 윤곽은, 표시필드의 필드기간내에서의 발광중심의 이동량이 최대무게의 필드기간에서 최대로 되는 것, 및 발광중심의 이동량과 함께, 관시자(觀視者)의 시선이 화상의 움직임과 함께 이동하는 것의 상승효과에 의해 시인되어, 화질저하를 초래한다.
이러한 동화상 의사 윤곽의 발생에 의한 화질저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7-83911호(공개일 1997년 3월28일)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1998-124001호(공개일 1998년 5월15일)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2진표시의 시분할계조구동을 행하는 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의 표시장치에서는, 표시소자단체에 있어서, 2∼4비트 정도의 계조표시는 정밀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최대레벨 계조표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시분할표시를 행하면서, 동화상 의사 윤곽의 발생을 허용치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이 표시장치에서는, 표시비트수 이상의 복수의 서브필드에 시분할기간을 설정함으로써, 동화상 의사 윤곽의 발생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상기 공보의 표시장치에서는, 각 비트의 계조신호를 1주사마다 화소에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표시장치의 계조구동용 드라이버의 구동회수가 증가하여, 계조구동용 드라이버에 부담이 된다.
또한, 계조구동용 드라이버의 구동회수의 증가에 따라, 표시장치의 소비전력이 증가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장치의 계조구동용 드라이버의 부담을 경감하여, 소비전력을 억제함과 동시에, 양호한 다계조표시가 가능한 표시소자 및 그 계조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표시소자는,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신호선과 주사선의 교차부에 제공되고, 광학변조소자와 액티브소자를 구비하고, 주사마다 최대로 M 비트(M≥1)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다음 주사가 행해질 때까지, 상기 기억수단이 기억한 계조신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학변조소자가 2M계조표시에서의 점등을 유지하는 계조표시점등 유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M 비트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화소주사후의 표시데이터의 유지상태가 감쇠하지 않도록, 상기 계조표시점등 유지수단이 표시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표시소자는, 동화상표시 등의 주사를 행하는 경우, 각 주사마다 표시를 행하면서, 그 주사에 있어서의 계조신호정보를 기억수단에 기억시키고있다. 이에 의해, 주사후도 계조신호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광학변조소자에 보낼 수 있기 때문에, 광학변조소자의 점등상태를 2M계조표시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주사후에 광학변조소자의 점등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계조신호정보를 재송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계조구동용 드라이버를 비동작상태로 할 수 있어, 계조구동용 드라이버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계조신호데이터의 전송회수, 주사신호의 출력회수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표시장치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우수한 점은, 이하에 나타낸 기재에 의해 충분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으로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의한 표시소자에 있어서의 신호경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2는, 도1의 표시소자에 있어서의 2비트계조화소에 의해 4비트계조구동을 행할 때의 구동을 나타내는 주사설명도이다.
도3은, 도1의 표시소자에 있어서의 2비트계조화소에 의해 2비트계조화상을 유지할 때의 구동을 나타내는 주사설명도이다.
도4는, 3비트의 스태틱 메모리를 갖는 메모리 첨부 표시소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5는, 2비트계조화소에 의해 동화상 의사 윤곽을 감소시킨 4비트계조구동을 행할 때의 주사설명도이다.
도6은, 도1의 표시소자에 있어서 시분할표시방식을 채용한 경우의 동화상 의사 윤곽의 시인(視認)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7은, 도1의 표시소자에 있어서, 도6과는 상이한 시분할표시방식을 채용한 경우의 동화상 의사 윤곽의 시인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8은, 도6 및 도7의 표시소자에 의한 외견상의 계조레벨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9는, 도1의 표시소자에 있어서의 6비트계조구동을 행할 때의 구동을 나타내는 주사설명도이다.
도10은, 부가정보비트를 화상정보에 부가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11은, 부가정보비트에 의한 출력조정범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소자의 신호경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13은, 도12의 표시소자에 있어서, 상위비트에 메모리를 사용한 4비트 시분할 계조구동을 행할 때의 구동을 나타내는 주사설명도이다.
도14는, 도12의 표시소자에 있어서, 도13의 구동과는 상이한 주사시간으로 변경한 경우의 4비트 시분할 계조구동을 나타내는 주사설명도이다.
도15는, 도12의 표시소자에 있어서, 도13 및 도14의 구동과는 상이한 주사시간으로 변경한 경우의 4비트 시분할 계조구동을 나타내는 주사설명도이다.
도16은, 도12의 표시소자에 의한 6비트계조구동을 나타내는 주사설명도이다.
도17은, 주사시간을 최대로 한 표시소자에 의한 6비트계조구동을 나타내는 주사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표시소자 및 그 계조구동방법에 관한 1실시예에 대해, 도1∼도11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실시예의 표시소자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디스플레이나 액정패널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장치의 매트릭스내에서의 각 화소의 기본적인 블록개념도에 기초하여 계조구동이 행해진다.
표시장치의 화면내 (n, m) 좌표에 있어서의 표시소자(1)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소를 선택할 때의 액티브소자(2), 메모리소자(기억수단)(3) 및 블록(6)을 구비하고, 또한 블록(6)은 구동소자(4) 및 광학변조소자(5)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소자(1)에 있어서는, 주사신호 Sn이 선택상태일 때에계조신호데이터(Dm)에 있어서 N 비트의 데이터가 출력되고, 메모리소자(3)에 데이터가 기억된다.
액티브소자(2)는, 주사신호 Sn과 계조신호데이터(Dm)가 입력되고, 메모리소자(3)에 대하여 화상정보를 출력한다.
메모리소자(3)는, 액티브소자(2)로부터 계조신호데이터(Dm)를 수신하여, 그 계조신호데이터(Dm)를 기억함과 동시에, 구동소자(4)에 대하여 계조신호데이터(Dm)를 출력한다.
구동소자(4)는, 주사신호 Sn이 비선택상태인 경우에, 메모리소자(3)의 설정상태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드라이브 TFT 부하를 조정하여, 광학변조소자(5)의 출력을 조정한다.
광학변조소자(5)는, 구동소자(4)로부터의 출력을 수신하고, 계조신호데이터 (Dm)에 대응하는 광을 출력한다.
예컨대, 메모리소자가 M 비트인 경우에는, 구동소자(4)와 광학변조소자(5)를 구비한 블록(6)은, 2M의 계조레벨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2비트의 메모리소자(3)를 사용하여, 1필드기간에 16계조 표시를 행하게 하는 표시소자의 주사타이밍에 대해, 도2를 사용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즉, 우선, 주사(7)와 주사(8)와의 시간간격을 1:4로 하여 라인을 순차 주사한다. 각 라인의 선택시에는, 주사(7)시에 비트 b0·b1의 신호정보를 메모리소자(3)가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신호정보에 따른 표시를 행한다. 또한, 주사(8)시에, 비트 b2 ·b3의 신호정보를 메모리소자(3)가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신호정보에 따른 표시를 행한다. 이 때의 표시소자에 의한 광출력은, 2비트의 메모리소자(3)를 사용하기 때문에, 0, 1, 2, 3의 광학레벨로 된다.
이와 같이, 메모리소자(3)가 각 주사마다 계조신호데이터(Dm)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계조신호데이터(Dm)에 따른 표시를 행함으로써, 화소주사후의 데이터의 유지상태를 감쇠시키지 않고, 광학변조소자(5)에 계조신호데이터(Dm)를 전달하고, 표시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소자(3)에 기억된 정보를 출력하여 계조표시를 유지함으로써, 각 시분할 표시기간내에서의 광도를 메모리비트수에 따른 계조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비주사출력에 의해 계조표시를 행하는 경우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주사타이밍으로 된다.
즉, 동화상표시 등에서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주사가 행해지고, 임의의 시점의 필드이후는 주사를 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최후의 주사(9)에 있어서 메모리소자(3)가 화상정보의 상위비트를 기억한다.
여기서는, 메모리소자(3)의 기억 용량이 2비트이고, 표시가 4비트계조이기 때문에, 메모리소자(3)는 상위 2비트의 정보인 b2 ·b3을 기억한다.
이 이후의 필드에서는, 주사가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메모리소자(3)가 기억하고 있는 비트정보에 따른 계조레벨로 광출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광출력이 유지되는 동안에는, 외부드라이버로부터 새롭게 신호를 입력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드라이버를 비동작으로 할 수 있어, 드라이버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표시장치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1에 도시된 표시소자(1)의 구성에 있어서,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학변조소자로서 OLED(Organic Light Emission Diode)를 사용하여, 예컨대, 스태틱 메모리 SRAM0, SRAM1 및 SRAM2를 사용하여, 3비트의 정보를 기억할 수 있는 메모리소자(3)를 구비한 표시소자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4에 도시된 구동 TFT는, 게이트단 g0, g1 및 g2가 각각 선택되었을 때에, IOLED가 그 선택에 따라 8단계의 출력이 가능하게 되도록 게이트전극폭이나 두께 등을 조절하여 도전율을 결정한다. 통상의 동화상표시에 있어서는, 주사라인 n이 선택되어 있을 때에, 대응하는 서브필드의 부가정보를 포함한 3비트의 신호가 데이터라인 m0, m1, m2에 각각 입력됨으로써, 각 스태틱 메모리 SRAM0∼2에 데이터가 설정되어, 다음 서브필드의 주사까지 데이터가 출력유지된다.
구동 TFT의 소스·드레인 사이의 도전율은, SRAM의 출력상태에 따라 결정되고, 도전율에 따른 전류가 OLED 소자에 흘러, 계조표시가 행해진다. 한편, 전회의 주사로부터 다음 주사까지의 기간이 길어지는 경우에는, 최후의 주사에 있어서, 화상정보의 상위 3비트를 메모리에 기억시켜, 이 기억된 화상정보를 출력유지한다. 이 때의 표시는 8계조표시이기 때문에, 3원색의 화소를 사용한 경우에는, 512색의 표시가 가능해진다.
즉, 이 상태에서의 표시가 지속되는 동안은, 드라이버 등으로부터의 신호입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표시장치에 구비된 계조구동용 드라이버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표시소자(1)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면서,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분할 기간비율이 4인 기간을 또 2분할하는 계조구동방법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표시소자(1)에서는, 대응하는 비트정보가, 필드기간내에 2회 메모리소자(3)에 설정되고, 상기 비트정보에 따른 표시를 행하도록 구동하고 있어, 시분할기간비율이 작은 서브필드가, 시분할기간비율이 보다 큰 서브필드에 협지되도록 시간순서가 설정된다.
즉, 도2에 나타낸 계조구동을 행하는 표시소자가, 필드기간의 비율이 1인 주사(7)를 필드의 선두로부터 시작하고, 그 후에 보다 큰 비율인 4의 기간의 주사(8)를 시작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도5에 나타낸 계조구동방법은, 2분할된 최장필드기간의 주사(8')와 주사(8'') 사이에, 최소필드기간비율이 1인 기간의 주사(7)를 배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동화상 의사 윤곽의 발생에 영향을 주는 최장필드기간을 2분할하여, 2분할된 최장필드기간 동안에, 최소필드기간이 배치되도록 계조구동을 행함으로써, 동화상 의사 윤곽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통상, 2의 누승의 무게를 가진 복수필드에서의 표시를 행할 때, 최대무게를 갖는 필드의 점등 및 비점등의 표시패턴에 의해 동화상 의사 윤곽이 발생한다. 즉, 동화상 의사 윤곽은, 표시필드의 필드기간내에서의 발광중심의 이동량이 최대무게의 필드기간에서 최대로 되는 것, 및 발광중심의 이동량과 더불어 관시자의 시선이 화상의 움직임과 더불어 이동하는 것의 상승효과에 의해 시인되도록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표시소자(1)는, 최대무게의 필드기간을 적어도 2분할하고, 분할된 서브필드를 필드내의 전반부분과 후반부분에 배치표시하고 있다. 이에 의해, 발광중심이 최대무게의 점등상태에 의하지 않고 거의 일정해지기 때문에, 동화상 의사 윤곽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2의 누승의 필드기간을 갖는 표시의 경우에는, 최대무게를 가진 서브필드에 부가하여, 2번째, 3번째의 무게를 갖는 서브필드에 대해서도 적어도 2분할하여, 발광중심이 변동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다 확실히 동화상 의사 윤곽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5에 나타낸 시분할 계조구동방식을 채용한 표시소자가, 도2에 나타낸 계조구동방식을 채용한 표시소자와 비교하여, 동화상 의사 윤곽의 발생을 어느정도 감소시킬 수 있는 지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또, 여기서는, 화면내에 0부터 15계조레벨중의 7계조레벨 A와 8계조레벨 B의 2영역이 있어, 1필드마다 오른쪽방향으로 1화소씩 이동표시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2에 나타낸 계조구동방식을 채용한 표시소자는,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축이 임의의 화소라인에서의 수평위치 x, 세로축이 시간축을 각각 나타내는 그래프에 있어서, 필드 N 기간에서는, 예컨대, x-1의 위치에서 좌측의 화소에는 0부터 15계조레벨중 7계조레벨을 표시하고 있다. 즉, 서브필드의 분할비율 1:4의 각각의 기간에 3 및 1의 휘도레벨을 표시한다.
한편, 도5에 나타낸 시분할 계조구동방식을 채용한 표시소자는,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필드의 분할비율을 2:1:2로 하여, 각각의 기간에 3, 1, 3의 휘도레벨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x-1의 위치에 있어서의 동화상 의사 윤곽의 휘도레벨은, 필드기간 전체에서, 총 7계조레벨로 된다.
한편, 인접하는 화소위치 x에서는, 8계조레벨에서의 표시가 행해지고, 각 서브필드에서의 휘도레벨은, 0 및 2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시분할표시에 있어서, 화질저하의 원인이 되는 동화상 의사 윤곽에 대해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즉, 상기와 같은 표시에서는, 필드 N+1 기간에 있어서, 1화소분 우측으로 시프트한 표시로 되어, 이후의 필드에서도 동일한 표시가 반복된다. 이 때, 표시화면을 관시한 경우, 화면중의 7계조레벨과 8계조레벨의 경계(도면에서 짙은 실선으로 나타낸 부분)를 시선이 쫓기 때문에, 관시자는, 도면중의 비스듬한 선의 방향으로 평행 사변형 내의 표시레벨의 적분치를 독출한다. 이 때의 관시자가 느끼는 외견상의 표시는, 경계부근 (x'-1)로 실제의 표시와는 상이한 것으로서 인지된다.
이것이 동화상 의사 윤곽의 발생원리이고, 시분할표시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화질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이 동화상 의사 윤곽의 감소를 검토해야 한다.
도6 및 도7에 나타낸 표시소자의 주사에 대해 동일한 표시를 행하여, 2영역의 계조레벨 A 및 B가, 0부터 15계조레벨에 있어서 1계조의 차가 있는 경우, 즉 B = A + 1로 한 경우에, A와 B와의 경계에 대응하는 위치, 즉 외견상의 x'-1의 위치에 있어서 인지될 수 있는 각각의 시분할비율에 있어서의 휘도레벨은,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즉, 입력기준 휘도레벨을 나타내는 A 및 B의 입력계조레벨의 평균치를 기준으로 하면, 동화상 의사 윤곽 계조오차를 나타내는, 외견상의 x'-1의 위치에 있어서 얻어지는 계조오차의 최대의 절대치는, 1:4의 시분할비율로 1.6계조레벨, 2 : 1 : 2의 시분할비율에서는 0으로 된다.
즉, 도5 및 도7에 나타낸 본 실시예의 표시소자에서는, 최장 서브필드를 2분할함으로써, 동화상 의사 윤곽이 원리상 발생하지 않게 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의해,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장 서브필드를 2분할하여 표시기간의 전반부, 후반부에 각각 배치한 시분할 계조구동방식을 채용함으로써, 동화상 의사 윤곽의 발생을 억제하여, 양호한 다계조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 상기한 4비트계조표시의 구동방법의 일례에서는, 동화상 의사 윤곽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보다 다비트의 계조표시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시분할구동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양호한 화상이 얻어지는 허용범위내의 레벨, 예컨대, 계조오차를 1계조 이내의 레벨까지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또한, 이상과 같은 구성의 표시소자에 있어서, 화상정보에 부가정보비트를 부가한 예에 대해, 도9 및 도10을 사용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예컨대, 8비트 계조표시를 행하는 경우에는,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소영역에서 3비트의 메모리소자를 사용하여, 주사(12), 주사(11), 주사(10) 및 주사(12')의 시분할비율을 16:8:1:16으로 하면, 주사(12,12')에 있어서, 부가정보비트를 a0 및 a1의 2비트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부가정보비트는, 화상정보와 함께 제어할 수 있고, 예컨대, 화면전체의휘도레벨에 따라 a0 및 a1를 점등하고 있다.
이 부가정보비트를 화상정보에 부가하는 처리는,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화상데이터(13), 외부 입력데이터(13'), 정보계산처리(14), 시분할 비트데이터 생성부(15), 계조신호데이터라인(18)을 사용하여, 화상데이터전송의 전단층에서의 연산처리에 의해 부가정보비트의 데이터를 결정하면 좋다.
또, 시분할 비트데이터 생성부(15)는, 화상비트데이터처리(17)와 부가비트데이터처리(16)를 행한다.
본 실시예의 표시소자에 있어서, 부가정보비트를 화상정보에 부가하는 처리는,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화상데이터(13) 또는 외부 입력데이터(13')에 대하여, 정보계산처리(14)의 결과에 따라서, 시분할 비트데이터 생성부(15)에 있어서 각 화소위치에서의 부가정보비트데이터(16)의 출력을 결정한다.
또, 정보계산처리(14)에 있어서의 연산대상은, 휘도레벨을 구하는 것이더라도 좋고, 화면이 밝은 지 어두운 지의 판단, 또는 화상의 에지 등의 보정에 필요한 정보처리이더라도 좋다.
화상비트데이터처리(17)는, 통상의 각 화소위치에 있어서의 화상의 비트정보를 시분할로 할 때의 출력데이터를 결정하는 처리를 행한다. 시분할비트데이터(15)의 출력은, 이들의 화상정보비트데이터와 부가정보비트를 합성한 결과의 신호로 되어, 각 계조신호데이터라인(18)에 출력된다.
이에 의해, 화상정보에 부가정보비트를 부가함으로써, 전체가 어두운 화면에서는 보다 밝은 휘점을 표시하거나, 에지를 강조하거나 할 수 있다.
예컨대, 도9에 나타낸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과 같이, 6비트계조표시를 행하는 경우에는, 2비트의 부가정보비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표시소자에서는,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가정보비트 a0 및 a1의 선택표시를 행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16계조레벨 단위의 오프셋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최대 32계조레벨을 화상에 부여할 수 있다.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는, 63계조레벨의 1.5배의 계조레벨에서의 범위내에서 휘도조절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예컨대, 화면의 평균휘도레벨이 낮아서, 전체에 어두운 인상을 주는 것과 같은 화상일 때에는, 부가정보비트의 선택에 의해 명계조레벨을 보다 밝아지도록 하여 반짝임이 있는 화상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화상에 대하여 윤곽부분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하거나, 화상에 문자정보 등을 덮어쓰기 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도 부가정보비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부가정보비트에 의한 제어내용은,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화상데이터에 대한 처리이더라도 좋고, 외부 입력데이터에 대한 처리이더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의 표시소자는, 전계조신호 정보비트수를 N, 메모리비트수를 M, 1필드내의 화소선택회수를 K라고 하면, 비트수 F = M ×K - N으로 되는 부가정보비트를 화상정보에 부여할 수 있다.
즉, 메모리비트수가 M 비트라는 것은, 서브필드기간 내에서 최대 2M계조수의 표시가 가능하고, 적당한 무게를 갖게 한 K개의 서브필드의 조합에 의해, 실질적으로는, M ×K 비트의 표시상태로 된다.
여기서, 무게가 2의 누승으로 구성되는 계조표현을 행한 경우, 최대 2M*K계조의 표시가 가능하지만, 동화상 의사 윤곽 감소를 위해 최대무게의 서브필드를 2분할하고, 또한 최대무게의 서브필드를 될 수 있는 한 짧게 하여, 최종적으로는 2N(N≤M×K)의 계조표시를 행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예컨대, N=8, M=3인 경우에는,
제1 서브필드 : 64, 표시계조레벨: 64, 128, 256
제2 서브필드 : 1, 표시계조레벨: 1, 2, 4
제3 서브필드 : 8, 표시계조레벨: 8, 16, 32
이 때, K=3, 표시계조수=29이고, 28계조표시에 대하여 용장성(redundancy)이 크고, 최장 서브필드가 길기 때문에, 강한 동화상 의사 윤곽이 발생한다.
여기서,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서브필드를 2분할하여 제4 서브필드를 제공하였다.
제1 서브필드: 16, 표시계조레벨: 16, 32, 64
제2 서브필드: 1, 표시계조레벨: 1, 2, 4
제3 서브필드: 8, 표시계조레벨: 8, 16, 32
제4 서브필드: 16, 표시계조레벨: 16, 32, 64
이 때, K= 4이고, 제1 서브필드와 제4 서브필드에서 동일한 신호를 사용한 경우에는, 각각의 계조레벨 32 및 64에서 256계조내의 상위 2비트인 계조레벨 64와 128로 표시한다. 또한, 동일한 서브필드내에서 표시가능한 16계조레벨은, 전체의계조표현에는 의존하지 않은 독립한 화상표시비트로 할 수 있고, 이 경우는, 1비트로 0, 32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서브필드 및 제4 서브필드의 각각의 부가정보비트를 독립하여 제어하는 경우에는, 2비트에 의해, 0, 16, 32의 3치를 표현할 수 있다.
동일한 표현으로 6비트계조표현을 행할 때는, M=2 및 M=3이더라도 부가정보비트를 제공할 수 없다. 그러나, M>3이면 용장성이 발생하기 때문에 부가정보비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 의해, F=M×K-N을 만족하는 부가정보비트를 화상정보에 부가함으로써, 계조신호데이터를 기억할 때에 필요한 신호전극선의 범위내에서, 예컨대, 평균적인 휘도레벨 등의 화상의 표시상태에 따라, 표시휘도를 조정한 출력을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표시소자에 의한 동화상 의사 윤곽의 감소효과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위해서, 표 1∼표 4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표시소자는, 도1에 나타낸 메모리소자(3)가 3비트(또는 2비트)의 정보를 기억할 수 있고, 블록(6)에 있어서 3비트(2비트) 계조표시가 가능한 표시소자이다.
이 표시소자에 있어서, 계조표시비트수가 N 비트인 경우의 시분할비율, 및 계조오차의 절대치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이 때, 최장의 서브필드는, 도5에 나타낸 시분할 계조구동방식과 같이 2분할되고, 보다 짧은 서브필드를 사이에 배치하고 있다.
표 1
또, 표 1에 있어서는, N 계조비트일 때에 메모리비트에 M 비트를 사용하는 경우를 N(M)으로 도시한다.
각 서브필드에 대응하는 화상정보비트번호 bn및 부가정보비트번호 an은, 분할비율과 함께 병기한다. 또한, 표 1의 계조오차를 산출하기 위한 계조신호패턴으로서, 무게가 큰 서브필드의 표시상태가 2계조영역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패턴이 채용된다.
상기 표 1에 있어서, 화소(1)에 대하여 상위 m 비트 번째만 ON, 화소(2)에 대해서는 상위 m-1 비트 이하가 모두 ON인 경우에는, 12비트계조(N=12)이고, 또한 m= 1이면, 화소(1)에 있어서 4096계조중의 2048의 계조레벨을 표시하고, 화소(2)에 있어서 2047계조레벨을 표시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m=2이면, 화소(1)는 1024계조레벨이고, 화소(2)는 1023계조레벨을 표시하고 있다. 즉, 화소(1)와 화소(2)와의 계조차는 1이고, 또한 큰 레벨에서 비트천이가 발생하는 계조레벨들을 비교한다.
또한, 표 1에는, 메모리비트가 3비트인 경우이고, 또한 계조비트 N이 12비트로부터 6비트인 경우의 시분할패턴과, 메모리비트가 2비트인 경우이고, 또한 계조비트 N이 8비트와 6비트인 경우의 시분할패턴에 의한 계조오차가 도시된다.
계조오차의 산출은, 상단에서 도6 및 도7을 사용하여 설명한 방법에 의해 행해지고, 표 1에 있어서는, 3비트의 메모리를 사용한 구성에서는, 계조비트가 9비트, 8비트 또는 6비트인 구성이면, 계조오차를 1계조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7비트계조인 경우에는, 계조오차가 1계조이상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계조반전의 가능성은 있지만, 발생의 정도를 허용범위내에 억제시킬 수 있으면 문제는 없다.
상기와 같이, 2비트의 메모리를 사용한 구성의 경우, 화소 자체의 표현계조는 2비트계조로 되고, 표현계조수에 따라 서브필드의 수가 3비트인 메모리를 채택한 경우보다도 증가한다. 그 경우, 6비트계조표시에서는, 계조오차가 1계조 이하이기 때문에, 동화상 의사 윤곽을 무시할 수 있을 정도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8비트계조표시에서는 최대 약 2계조레벨의 계조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표시상은 문제가 있지만, 3비트의 메모리이면 문제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하에 나타낸 동화상 의사 윤곽 발생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현저한 동화상 의사 윤곽의 감소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1에 있어서 메모리소자(3)가 3비트(또는 2비트) 정보를 기억할 수 있고, 블록(6)에 있어서 3비트(2비트) 계조 표시가 가능한 소자에 있어서, 계조표시비트수가 N 비트인 경우에 최장의 서브필드를 분할표시하지 않은 표시소자의 계조오차의 절대치는, 표 2에 도시한 바와 같다.
표 2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느쪽의 시분할방식에 있어서도, 계조오차를 모든 계조비트 천이에서 1계조 이하로 할 수 없기 때문에, 동화상 의사 윤곽이 발생하여 표시가 적절하게 행해지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화소에 메모리비트를 제공하여 다계조화소로 함으로써, 이하에 나타낸 메모리를 갖지 않은 구성의 표시소자와 비교하여 동화상 의사 윤곽의 감소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된다.
도1에 있어서, 메모리소자(3)가 1비트정보를 기억할 수 있고, 블록(6)에 있어서 2진계조표시가 가능한 표시소자이고, 최대무게의 비트정보를 주사하는 최장 서브필드를 2분할하지 않은 표시소자, 상기 최장 서브필드만을 2분할한 표시소자의 계조오차의 절대치를 표 3 및 표 4에 도시한다.
표 3
표 4
최장 서브필드를 2분할하지 않은 표시소자에서는,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상위 계조비트의 천이에 의해 최대표시 계조레벨의 약 25% 레벨의 계조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최장 서브필드만을 2분할한 표시소자에서는, 표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조오차의 현저한 감소효과는 최상위 계조비트의 천이만이고, 보다 하위의 계조비트 천이에 대해서의 효과는 거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적은 비트의 계조표시를 행할 때는, 최장 서브필드를 2분할하는 것으로 계조오차를 작게 할 수 있어, 동화상 의사 윤곽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다비트의 계조표시를 행할 때는, 최장 서브필드뿐만 아니라 다른 서브필드도 2분할하는 것으로, 하위의 계조비트천이에 대하여도 계조오차를 작게 할 수 있어, 동화상 의사 윤곽의 발생을 보다 확실히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표시소자에 있어서는,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시분할수, 시분할비율 및 메모리비트수를 조정하여, 보다 다양한 조합의 계조표시출력설정을 행함으로써, 동화상 의사 윤곽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드라이버에의 부담도 억제한 표시소자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표시소자 및 그 계조구동방법에 관한 다른 실시예에 대해, 도12∼도17에 따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도면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기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표시소자(1')는,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화면내 (n, m) 좌표에 제공되고, 매트릭스내에, 액티브소자(2), 선택회로(20), 메모리소자 A(제1 기억수단)(19), 메모리소자 B(제2 기억수단)(19') 및 블록(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2개의 주사신호(S1n,S2n)가, 각각 액티브소자(2) 및 선택회로(20)에 입력되어 있다. 또한, 블록(6)은, 구동소자(4)와 광학변조소자(5)를 구비하고 있다.
액티브소자(2)에 입력되는 계조신호데이터(Dm)는, 동일하게 액티브소자(2)에 입력되는 주사신호 S1n이 선택상태이고, 또한 주사신호 S2n이 선택상태인 경우에는, 선택회로(20)에 의해 경로 a를 지나 출력되어, 메모리소자 A(19)에 기억유지된다. 그리고, 메모리소자 A(19)에 기억된 계조신호데이터(Dm)는, 메모리소자 A(19)로부터 신호경로 a'를 지나서, 메모리소자 B(19')에 출력되어, 거기서 유지된다.
한편, 주사신호 S1n이 선택상태이고, 또한 주사신호 S2n이 비선택상태인 경우에는, 선택회로(20)가 경로 b를 지나서 계조신호데이터(Dm)를 출력하고, 메모리소자 B(19')가 계조신호데이터(Dm)를 유지한다.
본 실시예의 표시소자(1')는, 이상과 같이, 메모리소자 B(19')에 기억된 계조신호데이터(Dm)를 구동소자(4)에 송신하는 것으로, 광학변조소자(5)로부터 상기 계조신호데이터(Dm)에 따른 광출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주사신호 S1n이 선택상태이고, 또 주사신호 S2n이 비선택상태이며, 메모리소자 B(19')에 계조신호데이터(Dm)가 유지된 후에 주사신호 S1n이 비선택으로 된 경우에는, 주사신호 S2n이 비선택상태로부터 선택상태로 이행한다. 이에 의해, 메모리소자 B(19')에 유지된 계조신호데이터(Dm)는, 경로 a'를 지나 메모리소자A(19)가 유지하고 있는 계조신호데이터로 대체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메모리소자 B(19')에 기억된 계조신호데이터(Dm)를 구동소자(4)에 송신하는 것으로, 광학변조소자(5)로부터 상기 계조신호데이터(Dm)에 따른 광출력을 얻을 수 있다.
또, 메모리소자 A(19)는, 장시간의 기억유지가 가능한 메모리이고, 비휘발성메모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모리소자 B(19')는 적어도 서브필드기간, 기억을 유지할 수 있는 메모리이고, 콘덴서 등을 사용한 휘발성메모리이더라도 좋고, 비휘발성 메모리이더라도 좋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표시소자(1')에 있어서, 메모리소자 A(19)가 1비트메모리인 경우에, 4비트의 계조구동표시를 행하는 방법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전체 라인주사에 필요한 시간 Ts(이하, 주사시간 Ts라 함)를, 최소비트의 서브필드의 비율 1에 대응하는 시간과 같게 하면, 도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비트 bn의 서브필드기간은,
b3 : b2 : b1 : b0 : b3 = 4 : 4 : 2 : 1 : 4
와 같이 설정된다.
여기서, 1필드기간 Tf에 대하여, 제1회째의 주사(21)에 있어서는, 도12에 있어서의 주사신호 S1n 및 S2n이 함께 선택상태이고, 계조신호데이터(Dm)를 메모리소자 A(19) 및 메모리소자 B(19')에 유지하는 동시에 표시를 행한다. 제2회째 이후의 주사(22∼24)는, 주사신호 S2n이 비선택상태이기 때문에, 메모리소자 A(19)를 통하지 않고, 메모리소자 B(19')에 신호가 기입되어 표시를 행한다. 이 단계에서 b3으로부터 b0의 데이터는, 모두 외부로부터 입력되지만, 주사(21')에서는, 외부로부터 b3의 데이터신호를 재입력하지 않고, 메모리소자(19')로부터 2회째의 b3 데이터의 표시를 행한다.
이 때, 도12에 도시된 주사신호 S1n이 비선택상태이고, 주사신호 S2n은 선택상태로 되어, 메모리소자 A(19)에 유지된 데이터가 메모리소자 B(19')에 전송되고 표시가 행해진다.
데이터비트입력의 순서에 대해서는, 동화상 의사 윤곽에 가장 영향을 주는 최상위비트에 대응하는 기간을 시분할표시해야 하기 때문에, 상위의 비트를 먼저 입력하여, 메모리소자 A(19)에 기억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b3에 대응하는 서브필드의 분할비율을 4:4로 하고, 분할된 서브필드의 길이를 균등하게 하는 것으로, 가장 효과적으로 동화상 의사 윤곽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주사시간 Ts가, 최하위비트 서브필드의 2배의 시간이 되도록 설정한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이, 도14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도 도13과 같이, 각 비트 bn의 서브필드기간을,
b3 : b2 : b1 : b0 : b3 = 4 : 4 : 2 : 1 : 4
와 같이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도13에 나타낸 주사와 도14에 나타낸 주사는, 도13에서는, 주사(24)가 전라인에 대해 종료하고 나서 주사(21')가 시작되고 있는 반면, 도14에서는, 주사(24)가 전라인에 대해 종료하기 전에 주사(21')를 시작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즉, 도12에 도시된 주사신호 S1n과 S2n은, 독립적인 주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도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사시간 Ts의 설정을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각 라인당의 선택시간을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데이터의 전송시의 시간적인 마진을 생성할 수 있고, 구동주파수를 낮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예 1의 표시소자(1)와 비교하여, 드라이버의 부담을 보다 작게 할 수 있고, 드라이버의 소비전력을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사시간 Ts가 최하위비트 서브필드의 3배의 시간이 되도록 설정한 경우에는, 주사(21∼24)의 주사는, 각각의 주사가 끝날 때까지는 다음 주사를 행할 수 없기 때문에, 주사(23)의 후의 주사(24)까지의 주사시간까지 비트에 대응하는 서브필드기간 이상의 시간적인 여유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표시소자(1')는, 이러한 여유기간에 있어서, 주사(21'')를 행하고, 메모리소자 A(19)의 데이터를 출력표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시분할표시비율은,
b3 : b3 : b2 : b3 : b0 : b3 = 4 : 4 : 2 : 1 : 1 : 3
로 된다. 이 때, 주사(21') 및 주사(21'')의 주사개시타이밍을 변경하면 다른 시분할비율에서의 주사도 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주사(24)의 개시타이밍을 늦추고, 주사(21')를 행하지 않은 설정으로 한 경우에는, 시분할표시비율을,
b3 : b3 : b2 : b3 : b0 = 4 : 4 : 2 : 4 : 1
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주사(21'')와 주사(24) 사이의 시간간격을 변경한 경우에는,
b3 : b3 : b2 : b3 : b0 : b3 = 4 : 4 : 2 : 3 : 1 : 1
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지, 시분할패턴에 의해 동화상 의사 윤곽의 발생정도가 변화하기 때문에, 주사(21')에 의한 서브필드기간이 주사(21'')에 의한 서브필드기간보다도 길게 되는, 시분할패턴을 채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15의 설정에 있어서는,
b3 : b2 : b1 : b3 : b0 : b3 = 4 : 4 : 2 : 1 : 1 : 3
이 최적으로 된다.
상기 주사개시조건의 제약 때문에, 가장 동화상 의사 윤곽을 작게 하는 시분할비율로 하기 위한 주사시간 Ts는, 1필드기간을 Tf, 전계조 표시비트수를 N, 메모리소자의 기억비트수를 M으로 하면,
Ts/Tf ≤2k/(2N-1)
로 되는 관계를 만족시킴으로써 실현된다.
또, k는, M 또는 (N-1)/2 중 작은 쪽의 정수치이다.
선순차 주사로 모든 행을 주사하는 경우에는, 모든 행의 주사가 끝나고 나서 동일 방법으로 다음 주사를 시작할 때에, 그 1주사에 필요한 시간 Ts는, Ts≤Tf/(2N-1)의 조건식을 만족해야 한다. 여기서, 상기 관계식의 우측의 값은 최소 서브필드의 길이에 대응하는 시간이다. 실질적으로 1주사시간이 최소 서브필드기간보다도 짧으면, 모든 행의 주사가 끝난 후에 동일한 주사방법에 의해 두 번째 주사를 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시간의 무게가 큰 서브필드를 분할하고, 또 필드기간의 무게가 큰 순차로 주사를 행하고 있다. 예컨대, 6비트계조표시이면, 32(b5) : 16(b4) : 8(b3) : 4(b2) : 2(b1) : 1(b0)의 서브필드 분할비율에 대하여, 최장 서브필드를 2분할하여, 필드전후에 배치하기 때문에, 16(b5) : 16(b4) : 8(b3) : 4(b2) : 2(b1) : 1(b0) : 16 (Mb5)b와 같이 배치된다. 또, Mb5는 메모리된 비트정보 b5를 의미한다. 메모리비트의 출력주사(제4 단계)는, 메모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통상주사(제3 단계)와 독립적인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1(b0) : 16(Mb5)의 기간에 있어서의 주사에서, 제3 단계의 주사후에 최소 서브필드기간의 지연을 갖고 제4 단계의 주사가 행해지는 것으로 된다. 이 때, 2(b1) : 1(b0)의 기간에 있어서, 제3 단계의 주사시간을 최장으로 하기 위한 조건은, Ts= Tf·2/(2N-1)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이다. 즉, Ts가 b1비트의 서브필드기간에 대응하는 시간이 되는 것이 조건이다.
동일하게, 메모리비트를 2개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 서브필드배치는, 16(b5) : 8(b4) : 8(b3) : 4(b2) : 2(b1) : 8(Mb4) : 1(b0) : 16(Mb5)이고, 2(b1) : 8(Mb4)의 기간에 있어서, 제3 단계의 주사에 b1비트의 서브필드기간의 지연을 갖고 Mb4비트를 출력하는 제4 단계의 주사가 행해진다. 1(b0) : 16(Mb5)의 기간에 대해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다. 여기서, 제3 단계의 주사를 최장으로 하기 위한 조건은, Ts= Tf·22/(2N-1)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이다. 즉, Ts가 b2비트의 서브필드기간에대응하는 시간으로 되는 것이 조건이다.
이상과 같이, 상기 관계식을 일반화하면, 주사에 필요한 최장시간 Ts는, 대응하는 메모리비트의 수 M에 따라, Ts= Tf·2M/(2N-1)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러나, 무게가 큰 순서에 따라 서브필드를 필드의 전후에 분할배치하고, 또 제3 단계에 의한 주사후에 제4 단계를 행하기 때문에, 메모리비트의 수가 커지더라도 메모리출력의 서브필드배치를 행할 수 없게 되어, 최대의 주사시간은, Ts= Tf·2(N-1)/2/(2N-1)로 된다.
예컨대, N=6, M=3인 경우, 각 서브필드의 배치는, 16(b5) : 8(b4) :4(b3) : 4(b2) : 4(Mb3) : 2(b1) : 8(Mb4) : 1(b0) : 16(Mb5)로 되고, 4(b3) : 4(b2) : 4(Mb3)의 필드에서, Ts= Tf·22/(2N-1)이면, 제3 단계의 주사시간이 최장으로 된다. 이는, 기간의 길이가 동일한 b3 및 b2 비트의 표시 서브필드가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되기 때문이다.
또, N=6, M=3의 경우의 각 서브필드의 배치는, 그 외에도, 16(b5) : 8(b4) : 4(b3) : 4(b2) : 2(b1) : 4(Mb3) : 8(Mb4) : 1(b0) : 16(Mb5), 또는 16(b5) : 8(b4) : 4(b3) : 4(b2) : 2(b1) : 1(b0) : 4(Mb3) : 8(Mb4) : 16(Mb5)와 같이 배치할 수 있다. 전자의 배치에서는, Ts가 최대비율 4(b2)의 기간, 후자의 배치에서는, 최대비율 2(b1)의 기간으로 되어 주사기간이 2배 변화한다. 이와 같이, 배치에 의해서는 Ts의 최대설정치는 변화하지만, 상기 관계식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메모리비트를 증가시킴으로써 주사시간을, Ts=Tf·2(N-1)/2/(2N-1)로 할 수 있다.
전의 조건과 함께, 이를 정식화하면, 주사시간의 설정조건은, Ts ≤Tfㆍ2k/(2N-1)이고, k는 M과 (N-1)/2 중 작은 쪽의 정수치로 된다. 이에 의해, 상기 관계식 Ts/Tf ≤2k/(2N-1)을 얻을 수 있다.
이상의 관계식을 만족시키도록 Ts를 설정하는 본 발명에 의해, 동화상 의사 윤곽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주사에 필요한 시간을 길게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소자의 구동주파수를 낮게 할 수 있고,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메모리소자 A(19)가 1비트일 때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보다 다비트의 데이터가 메모리될 수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동화상 의사 윤곽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양호한 다계조표시를 행할 수 있다.
여기서, 도12에 나타낸 표시소자(1')의 구성에 있어서, 2비트를 기억할 수 있는 메모리소자 A(19)와 1비트를 기억할 수 있는 메모리소자 B(19')를 구비한 표시소자를 예로 들어, 그 계조구동방법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이 표시소자(1')는, 표시계조가 6비트이고, 전라인을 1회 주사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 최소 서브필드의 길이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우선, 상기한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에 관해서, 서브필드의 선택방법을 규칙화하면 이하와 같이 된다.
1. 1필드기간내에 계조비트의 수만큼 S1n라인을 주사한다.
2. 상위의 비트정보를 메모리소자 A(19)에서 기억한다.
3. S1n 라인의 주사후, 다음 주사까지의 시간에 S2n의 주사를 행해도 좋다.
4. 메모리소자 A(19)에 기억해야 할 비트정보를 먼저 주사하고, 기억하는 동시에 표시하고, 메모리데이터를 S2n 라인의 주사에 의해 출력한다.
5. 분할한 각 서브필드를, 1필드기간의 전반 및 후반에 가능한 한 균등하게 분포시킨다.
이상과 같은 순서에 따라서, 각 서브필드의 주사개시시각을 결정하면, 도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비트의 주사는, 우선 주사(25,26)에 의해 정보비트 b5 및 b4가 표시되고 메모리소자 A(19)에 기억된다. 그 후, 정보비트 b3∼b0은, 주사(27)로부터 주사(30)에 의해 메모리소자 B(19')에 기억되고, 각각 다음 주사의 시각까지 유지된다.
주사(30) 후, 1계조에 상당하는 표시기간(Ts와 같다) 경과후, S2n 라인에 의한 주사(26')가 행해진다. 또한, 8Ts 기간 후, S2n 라인에 의한 주사(25')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1필드기간내의 각 비트 서브필드의 비율 및 대응비트는,
b5 : b4 : b3 : b2 : b1 : b0 : b4 : b5 = 16 : 8 : 8 : 4 : 2 : 1: 8 : 16
으로 된다.
이 표시소자를 구비한 표시장치에 발생하는 계조오차의 절대치는,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0.89 계조로 된다. 이에 의해, 이 구동방식에서는 동화상 의사 윤곽에 의한 계조반전은 발생하지 않고, 양호한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표 5
이상과 같은 계조구동방법을 채용한 표시소자에 대하여, 주사시간 Ts를 1필드기간 Tf의 6분의 1, 즉, Tf=6×Ts로 한 경우에는, 도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6비트 계조구동에 있어서, S1n 라인을 주사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이 가장 길게 되어 있다. 이 조건의 경우에는, 상기 표시소자의 경우와 비교하여, 1라인을 주사하는 때에 필요한 기간이 10.5배로 길어지기 때문에, 표시장치의 구동주파수를 낮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표시소자의 경우에는, 표시상의 시분할수가 증가하여, 서브필드의 수가 11개 필요하게 된다.
이 표시소자에서는, 우선, 주사(25) 및 주사(26)에 있어서, 메모리소자 A(19)가 b5 및 b4의 비트정보를 기억하면서, 상기 비트정보에 따른 표시가 행해진다. 다음, 주사(27)에 의해, b3의 비트 정보가 메모리소자 B(19')에 기억되어, 서브필드의 비율이 8의 기간 표시된다. 계속해서, S2n 라인에 의한 주사(25')에 의해서 메모리소자 A(19)에 기억된 비트정보 b5를, 메모리소자 B(19')가 기억하면서, 상기 비트정보에 따른 표시가 행해진다. 서브필드의 비율이 2.5의 시간을 경과한 후, 주사(27)에 연속하여 S1n에 의한 주사(28)가 시작되고, 정보비트 b3의 표시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S1n 라인의 주사(25∼30)가, 주사시간 Ts의 주기로 연속적으로 주사되고, 정보비트 bn에 필요한 서브필드기간이 주사시간 Ts에 만족되지 않는 경우에, S2n 라인의 주사(25', 25'', 25''', 25'''', 26')에 의해 정보비트 b5 및 b4가 분할표시된다.
그 결과, 서브필드와 대응하는 표시비트는,
b5 : b4 : b3 : b5 : b2 : b5: b1: b4 : b5 : b0 : b5 = 10.5 : 10.5 : 8 : 2.5 : 4 : 6.5 : 2 : 5.5 : 3 : 1 : 9.5로 되고, 정보비트 b5가 5분할, b4가 2분할된 형으로 된다.
이 때의 계조오차의 절대치는,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2.57계조로 된다. 이와 같이, 주사시간 Ts를 1필드기간 Tf의 6분의 1, 즉, Tf = 6×Ts로 한 표시소자에서는, 상기한 표시소자보다도 계조오차가 증가하여, 동화상 의사 윤곽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없다.
이에 의해, 주사시간 Ts를, 최소 서브필드의 길이와 동일하게 한 본 실시예의 표시소자(1')는, 동화상 의사 윤곽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또한, 전라인주사에 필요한 시간을 Ts, 1필드기간을 Tf, 메모리소자 A(19)의 메모리비트수를 M, 전계조 표시비트수를 N으로 하였을 때, 상기와 같은 서브필드의 표시룰에 따라 시분할수를 결정한 경우의 계조오차에 대해, 표 6을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표 6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Tf/(Ts(2N-1))의 행의 수치는 최소비트를 표시하는 서브필드기간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의 주사시간 Ts의 비율을 표시하고 있고, 예컨대, 구동형태 #1에서는, 주사시간 Ts가 최소 서브필드와 동일한 주사시간이고, 구동형태 #2에서는 2배의 주사시간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구동형태에 있어서의 계조오차의 최대치(여기서는, 인접하는 2영역의 계조가 1만큼 상이하고, 1필드당 1화소의 속도로 이동하는 경우의 시인(visible) 계조오차를 가리킨다)는, 각각의 메모리비트수를 사용한 범위내에서는, 거의 동등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주사시간 Ts의 비율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킨 경우, 계조오차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주사시간 Ts 기간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에 의해, 메모리에 기억된 상위비트의 데이터를 보다 세분화한 필드로 분할하여 출력할 필요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메모리비트의 출력을 위해 될 수 있는 한 서브필드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동화상 의사 윤곽에 의한 최대계조오차가 가장 작게 되도록 조건을 설정하는 경우, 주사시간 Ts를 될 수 있는 한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적어도,
Ts/Tf ≤2k/(2N-1)
을 만족시키고 있으면, 계조오차를 최소로 할 수 있다.
여기서, k는, M 또는 (N-1)/2 중 작은 쪽의 정수치이다.
표 6에 있어서는, 상기 관계식을 만족시키는 지 아닌 지(긍, 부)에 의해 구별한다. 예컨대, 구동형태 #6∼#8에 있어서, 가장 계조오차가 작게 되는 조건은,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형태 #6이다.
이 때, 주사시간 Ts의 비율은 2이지만, 2보다 작은 값으로 해도 시분할의 비율에는 변경이 없기 때문에 동일한 표시결과가 얻어진다. 또한, 주사시간 Ts의 비율이 4인 경우에는 메모리비트에 기억된 b4 정보의 출력타이밍에 의해 계조오차가 상이하다. 구동형태 #8은, b0의 서브필드 이전에 8기간의 b4의 서브필드가 있기 때문에, 구동형태 #7과 비교하면 큰 값으로 된다. 이 때는 계조오차가 작은 구동형태 #7을 택하면 좋다.
또, 표 6에 있어서, Ts/Tf ≤2k/(2N-1)의 관계식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즉 판단결과가 「부」인 구동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관계식을 만족하는 경우, 즉 판단결과가 「긍」인 경우보다도 서브필드의 수가 많아진다. 또한, 주사시간 Ts의 비율을 비교예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가능한 한 크게하면,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조오차가 무시할 수 없는 크기로 증가하는 것이 예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표시소자(1')는, 계조오차를 될 수 있는 한 억제하기 위해, 상기 관계식을 만족하도록, 전라인의 1회의 주사에 필요한 시간을 짧게 설정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동화상 의사 윤곽의 발생을 감소시켜, 양호한 다계조표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은, 제1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교차하는 제2 전극을 갖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교차부에 대응하여 전기광학변조소자, M 비트(M≥1)의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소자, 및 액티브소자에 의해 구성되는 표시소자에 있어서, 1필드기간내에 정해진 시간간격비로 K회(K≥1)의 주사를 행하는 경우에는, 각 주사에 있어서 메모리소자에 화상정보로부터 최대 M비트의 기억상태를 설정하여, 다음 주사가 행해질 때까지, 상기 메모리정보에 따른 M 비트 계조표시에서의 광학변조소자의 점등을 유지하는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이어도 좋다.
또, 본 발명의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은, 상기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에 있어서, 전필드기간이 비주사로 되는 경우에는, 비주사로 되기 직전의 주사에 있어서 화상신호의 상위 M 비트의 화상정보를 상기 메모리소자에 설정하고, 상기 메모리소자의 기억상태에 따라 광학변조소자가 M 비트 계조표시를 지속하는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은, 상기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에 있어서, 1필드기간내에 정해진 시간간격비로 복수회의 주사를 행하는 경우에는, 최상위의 무게를 갖는 표시기간을 복수의 표시기간으로 분할하여, 상기 분할표시기간을 필드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각각 배치하고, 1필드기간내에 정해진 시간간격비로 K회(K≥2)의 주사를 행하고, 상기 주사에 있어서는 입력된 화상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소자에 화상정보의 최대 M 비트의 기억상태를 설정하여, 상기 메모리소자의 기억상태에 따라 다음 주사가 행해질 때까지 상기 광학변조소자가 M 비트 계조표시의 점등을 유지하는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이더라도 좋다.
또, 본 발명의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은, 상기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에 있어서, 전계조 신호정보비트수를 N, 메모리비트수를 M, 1필드내의 주사회수를 K로 할 때에 비트수 F=M×K-N으로 되는 부가정보비트를 화상정보에 부여하는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이더라도 좋다.
또, 본 발명의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은, 제1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교차하는 제2 전극을 갖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의 교차부에 대응하여 전기광학변조소자, 메모리소자, 및 액티브소자에 의해 구성되는 표시소자에 있어서, 제1 주사에 있어서는 상기 메모리소자의 기억상태를 설정하고, 제2 주사에 있어서는 상기 전기광학변조소자의 표시상태를 설정하고, 상기 제2 주사와는 독립으로 제3 주사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소자의 기억상태를 이용하여 상기 광학변조소자의 표시상태를 설정하는 계조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주사에 있어서의 다음 주사까지의 간격은, 필드기간내의 대응하는 비트표시기간의 전기간의 약 반에 대응하는 기간으로 하는 계조구동방법이더라도 좋다.
또, 본 발명의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은, 상기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에 있어서, 전라인을 순차 선택주사하는 시간을 Ts, 1필드기간을 Tf, 전계조표시비트수를 N, 메모리소자의 기억비트수를 M으로 할 때, Ts/Tf≤2k/(2N-1)(k는, M 또는 (N-1)/2 중 작은 쪽의 정수치)로 되는 관계를 만족시키는 계조구동방법이더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은, 상기 표시소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전계조 신호정보비트수를 N, 메모리에 기억된 출력해야 할 계조신호 정보비트가 J 비트번째이고, 상기 제2 주사로 k 비트번째의 계조신호 정보비트를 출력할 때, 상기 제2 주사 직전, 또는 직후의 상기 제3 주사에 의해 출력되는 계조신호 정보비트번호 J는, k+J = N-1의 관계를 만족하는 계조구동방법이더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은, 상기 표시소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주사 직전, 및 직후의 제3 주사로 출력되는 계조신호정보가 동일한 계조신호정보 비트번호일 때, 각각의 표시기간은 상기 제2 주사 직후의 표시기간이 제2 주사 직전의 표시기간보다도 길게 되는 계조구동방법이어도 좋다.
또한, 1필드기간내에 복수회의 주사를 행하는 경우에는, 최상위의 무게를 갖는 표시기간을 복수의 표시기간으로 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표시기간을 필드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각각 배치하여 주사를 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2의 누승의 무게를 가진 복수필드에서의 표시를 행할 때, 최대무게를 갖는 필드의 점등 및 비점등의 표시패턴에 의해 발생하는 동화상 의사 윤곽의 발생을 경감할 수 있다.
즉, 동화상 의사 윤곽은, 표시필드의 필드기간내에서의 발광중심의 이동량이 최대무게의 필드기간에서 가장 커지는 것, 및 발광중심의 이동량과 함께 관시자의 시선이 이동하는 것의 상승효과에 의해 시인된다. 따라서, 최대무게의 필드기간을 적어도 2분할하여, 분할된 필드기간을 필드기간의 전반부분과 후반부분에 배치표시함으로써, 발광중심이 최대무게의 점등상태에 의하지 않고 거의 일정해져, 동화상 의사 윤곽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2의 누승의 필드기간을 갖는 표시의 경우는, 최대무게를 갖는 필드 이외에도, 2번째, 3번째의 무게를 갖는 필드를, 최대무게를 갖는 필드와 동일하게 분할하여, 발광중심이 변동하지 않도록 배치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동화상 의사 윤곽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M 비트의 화소메모리를 갖는 표시소자의 경우에는, 최대무게의 필드를 2분할하는 것만으로, 상기한 상위 M 번째까지의 무게의 필드에 대응하는 필드를 분할한 것에 상당하기 때문에, 보다 큰 동화상 의사 윤곽 감소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전필드기간이 비주사로 되는 경우에는, 비주사로 되기 직전의 주사에 있어서, 상위 M 비트의 계조신호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이 기억하고, 상기 광학변조소자가 2M계조표시에서의 점등을 유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전필드기간이 비주사로 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화상갱신을 행하지 않아도 다계조표시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복수의 필드표시를 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데이터전송이나 주사신호를 출력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드라이버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고, 데이터전송회수, 주사신호출력회수를 경감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장치의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계조신호 정보비트수를 N, 메모리비트수를 M, 1필드내의 주사회수를 K로 한 경우에, F=M×K-N의 관계를 만족하는 부가정보비트 F를 상기 계조신호정보에 부여하여 출력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기 관계식을 만족하는 부가정보비트를 화상정보에 부가한 경우에는, 화상의 표시상태에 따라, 표시휘도를 조정한 출력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기억수단이 M 비트의 정보를 기억할 수 있다는 것은, 상기 분할된 표시기간에 최대 2M계조수의 표시가 가능하고, 적당한 무게를 갖게 한 K개의 분할표시기간의 조합에 의해, 실질적으로, M×K 비트의 표현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F=M×K-N의 관계를 만족하는 부가정보비트 F를 설정하여, 화상정보에 부가하는 것으로, 계조신호데이터를 기억할 때에 필요한 신호전극선의 범위내에서, 예컨대, 화면의 평균휘도레벨이 낮아서, 전체에 어두운 인상을 주는 것 같은 화상의 경우에도, 명계조레벨을 보다 밝아지게 되도록 하여 반짝임이 있는 화질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화상에 대하여 윤곽부분을 강조하는 경우나, 화상에 문자정보 등을 덮어쓰기 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도, 부가정보비트를 사용할 수 있다.
단지, 계조표시의 비트수에 의해서는, 최소의 필드수에서는 용장성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부가정보비트를 제공할 수 없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서브필드를 또 하나 증가시켜, 즉, K의 값을 1 증가시키는 것으로, 부가정보비트를 첨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소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신호선과 주사선과의 교차부에 제공되고, 광학변조소자와 액티브소자를 구비한 표시소자에 있어서, 상위의 무게를 갖는 표시기간을 복수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한 표시기간을 필드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배치하여 주사를 행하는 제어수단, 상위의 무게를 갖는 표시기간에 대응하는 계조신호정보를 기억하는 제1 기억수단, 및 상기 이외의 계조신호정보를 기억하는 제2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어수단이, 동화상 의사 윤곽의 발생에 영향을 주는 상위비트의 계조신호정보를 주사하는 표시기간을 복수로 분할하는 것으로, 동화상 의사 윤곽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기억수단이 상위비트 및 그 이외의 하위비트의 계조신호정보를 각각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화소주사후의 데이터의 유지상태를 감소시키지 않고, 상기 각 기억수단으로부터 광학변조소자에 신호를 전달하여, 표시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계조구동용 드라이버의 출력회수를 경감하고, 계조구동용 드라이버의 부담을 경감하며,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1필드기간내에 두 번째 주사가 행해지는 상기 분할한 표시기간의 상위비트의 계조신호정보를 제1 기억수단이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재주사가 행해질 때는, 제1 기억수단에 기억된 계조신호정보를 상기 광학변조소자에 출력함으로써, 더욱 계조구동용 드라이버의 출력회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계조구동용 드라이버의 부담을 경감하며,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표시기간은, 균등하게 2분할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이에 의해, 동화상 의사 윤곽의 감소효과를 최대로 할 수 있다.
또, 전라인주사에 필요한 시간을 Ts, 1필드기간을 Tf, 전계조표시비트수를 N, 상기 제1 기억수단의 기억비트수를 M으로 하면, Ts/Tf≤2k/(2N-1)(k는, M 또는 (N-1)/2 중 작은 쪽의 정수치)의 관계식을 만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기 관계식을 만족하도록 전라인주사에 필요한 시간을 설정하는 것으로, 주사의 회수를 될 수 있는 한 적게 할 수 있고, 또 동화상 의사 윤곽이 작게 되도록 상기 분할된 표시기간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관계식은, 상기한 바와 같이 주사의 회수를 경감하고, 또 동화상 의사 윤곽을 작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패턴과 조건이 일치하도록 작성된 관계식이다.
본 발명의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로 교차하는 신호선 및 주사선의 교차부에 제공되고, 광학변조소자와 액티브소자를 구비한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에 있어서, 1필드기간내에, K회(K≥1)의 주사를 행하는 경우에는, M 비트(M≥1)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에, 각 주사에 있어서 화상정보 중, 최대로 M 비트의 계조신호정보를 기억시키고, 다음 주사가 행해질 때까지, 상기 기억수단이 기억한 계조신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학변조소자가 M 비트 계조표시에서의 점등을 유지한다.
상기 계조구동방법에 의하면, 기억수단이 M 비트의 정보를 기억하기 때문에, 화소주사후의 표시데이터의 유지상태가 감쇠하지 않도록, 표시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동화상표시 등의 주사를 행하는 경우에는, 각 주사마다 표시를 행하고, 그 주사에 있어서의 계조신호정보를 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것으로, 주사후도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계조신호정보를 광학변조소자에 보낼 수 있기 때문에, 광학변조소자의 점등상태를 2M계조표시대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주사후에 광학변조소자의 점등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계조신호정보를 재송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계조구동용 드라이버를 비동작상태로 할 수 있어, 계조구동용 드라이버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계조신호데이터의 전송회수, 주사신호의 출력회수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표시장치의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로 교차하는 신호선 및 주사선의 교차부에 제공되고, 광학변조소자와 액티브소자를 구비한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계조신호정보 중, 상위비트의 계조신호정보를 주사하는 표시기간을 복수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표시기간을 필드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배치하는 제1 단계, 상기 분할된 상위비트의 계조신호정보를 제1 기억수단에 기억시키고, 그 이외의 하위비트의 계조신호정보를 제2 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제2 단계, 상기 제2 기억수단에 기억시킨 계조신호정보를 상기 광학변조소자에 출력하여 표시를 행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1 기억수단에 기억시킨 상위비트의 계조신호정보를 상기 광학변조소자에 출력하여 표시를 행하는 제4 단계를 갖는다.
상기 계조구동방법에 의하면, 동화상 의사 윤곽의 발생에 영향을 주는 상위비트의 계조신호정보를 주사하는 표시기간을 복수로 분할함으로써, 동화상 의사 윤곽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기억수단이 상위비트 및 그 이외의 하위비트의 계조신호정보를 각각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화소주사후의 데이터의 유지상태를 감소시키지 않고, 상기 각 기억수단으로부터 광학변조소자에 신호를 전달하여, 표시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계조구동용 드라이버의 출력회수를 경감하여, 계조구동용 드라이버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고,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1필드기간내에 두 번째 주사가 행해지는 상기 분할한 표시기간의 상위비트의 계조신호정보를 제1 기억수단이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재주사가 행해질 때에는, 제1 기억수단에 기억된 계조신호정보를 상기 광학변조소자에 출력함으로써,더욱 계조구동용 드라이버의 출력회수를 줄일 수 있어, 계조구동용 드라이버의 부담을 경감하고, 소비전력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전계조비트수를 N, 하위비트로부터 비트번호를 0, 1,···, N-1로 하면, 메모리에 기억된 출력해야 할 계조신호 정보비트가 하위 J 비트이고, 상기 제3 단계에서 하위 k 비트의 계조신호 정보비트를 출력할 때, 상기 제3 단계의 직전 및/또는 직후의 상기 제4 단계에 의해 출력되는 계조신호 정보비트 J는, k+J=N-1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동화상 의사 윤곽의 발생을 될 수 있는 한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관계식은, 2비트 이상으로 기억한 계조신호 정보비트데이터를 어떤 타이밍에서 출력해야 할 지를 규정한 것으로, 예컨대, 메모리비트 M이 2비트, 즉 M=2이고, 각각의 비트, M1비트에는 계조신호정보 Z의 하위 6비트번째(M1=Z6), M2비트에는 계조신호정보 Z의 하위 5비트번째(M2=Z4)의 데이터를 지정하였다고 한다. 가령, N=6의 계조비트수의 계조신호정보 Z가 입력되었다고 하면, 상기 제3 단계에 의해 광학변조소자는 상위비트로부터 하위비트의 순서로 k=5, 4, …, 0의 Zk의 정보가 출력된다.
여기서, 제3 단계에 의해 출력되는 비트번호가 k= 5였다고 하면, 이 경우는 제4 단계는 행해지지 않고, 표시가 끝난 후에 두 번째 제3 단계에서 k=4의 비트번호의 정보를 출력한다.
메모리비트 M의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k < N-M = 4로 되는 K=3, 2, 1, O의 비트 중 어느 것을 출력한 후로 된다. 이 경우에는, 최단필드기간에서의 Z0의 표시타이밍과 메모리 M1에서 출력해야 할 최장 서브필드기간의 후반부에서의 Z5의 표시타이밍이 인접하고, 또한, 2번째로 짧은 서브필드기간에서의 Z1의 표시타이밍과 메모리 M2에서 출력해야 할 2번째로 긴 서브필드기간의 후반에서의 Z4의 표시타이밍이 인접하고 있는 경우에, 각 서브필드의 발광중심이 필드내에서 보다 근접하기 위해 동화상 의사 윤곽을 작게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 표시타이밍의 근접조건을 수식화한 경우, 제3 단계에서 표시해야 할 Zk의 직전 또는 직후에 설정되는 제4 단계에 의한 표시 Zj(상기 예에서는, M1=Z5, M2=Z4)의 첨자의 관계가, k+J=N-1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단계의 직전 및 직후의 제4 단계에서 출력되는 계조신호정보가 동일한 계조신호정보 비트번호일 때, 각각의 표시기간은 상기 제3 단계 직후의 표시기간이 제3 단계 직전의 표시기간보다도 길게 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3 단계의 표시 Zk의 직전 및 직후에서의 제4 단계에 의한 표시정보 Zj가 동일하게 되는 경우가 있지만, 그 때는 Zk표시직후의 표시기간을 직전의 표시기간보다도 길게 되도록 표시타이밍을 설정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각 서브필드의 발광중심이 필드내에서 보다 근접하기 때문에 동화상 의사 윤곽이 작게 된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표시소자는, 서로 교차하는 신호선 및 주사선의 교차부에 제공되고, 광학변조소자와 액티브소자를 구비하고, 1필드기간내에 정해진 시간간격비로, K회(K≥1)의 주사를 행하는 경우에는, M 비트(M≥1)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에, 각 주사에 있어서 화상정보 중, 최대로 M 비트의 계조신호정보를 기억시키고, 다음 주사가 행해질 때까지, 상기 기억수단이 기억한 계조신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학변조소자가 M 비트계조표시에서의 점등을 유지할 때, 최상위의 무게를 갖는 표시기간을 복수의 표시기간으로 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표시기간을 필드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각각 배치하여 주사를 행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동화상 의사 윤곽의 발생에 영향을 주는 최장필드기간을 2분할하고, 2분할된 최장필드기간 동안에, 최소필드기간이 배치되도록 계조구동을 하는 것으로, 동화상 의사 윤곽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통상, 2의 누승의 무게를 가진 복수필드에서의 표시를 행할 때, 최대 무게를 갖는 필드의 점등 및 비점등의 표시패턴에 의해 동화상 의사 윤곽이 발생한다. 즉, 동화상 의사 윤곽은, 표시필드의 필드기간내에서의 발광중심의 이동량이 최대무게의 필드기간에서 가장 커지는 것, 및 발광중심의 이동량과 함께 관시자의 시선이 화상의 움직임과 함께 이동하는 것의 상승효과에 의해 시인되도록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표시소자는, 최대무게의 필드기간을 적어도 2분할하여, 분할된 서브필드를 필드내의 전반부분과 후반부분에 배치표시하고 있다. 이에 의해, 발광중심이 최대무게의 점등상태에 관계 없이 거의 일정해지기 때문에, 동화상 의사 윤곽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M 비트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화소주사후의 표시데이터의 유지상태가 감쇠하지 않도록, 상기 계조표시점등 유지수단이 표시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표시소자는, 동화표시 등의 주사를 행하는 경우, 각 주사마다 표시를 행하고, 그 주사에 있어서의 계조신호정보를 기억수단에 기억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주사후도 계조신호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광학변조소자에 보낼 수 있기 때문에, 광학변조소자의 점등상태를 2M계조표시대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주사후에 광학변조소자의 점등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계조신호정보를 재송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계조구동용 드라이버를 비동작상태로 할 수 있어, 계조구동용 드라이버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계조신호데이터의 전송회수, 주사신호의 출력회수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표시장치의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 전필드기간이 비주사로 되는 경우에는, 비주사로 되기 직전의 주사에 있어서, 상위 M 비트의 계조신호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이 기억하고, 상기 광학변조소자가 2M계조표시에서의 점등을 유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전필드기간이 비주사로 되는 경우에도, 화상갱신을 행하지 않더라도 다계조 표시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복수필드표시를 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데이터전송이나 주사신호를 출력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드라이버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고, 데이터전송회수, 주사신호출력회수를 경감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장치의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전계조 신호정보비트수를 N, 메모리비트수를 M, 1필드내의 주사회수를 K로 한 경우에, F=M×K-N의 관계를 만족하는 부가정보비트 F를 상기 계조신호정보에 부여하여 출력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기 관계식을 만족하는 부가정보비트를 화상정보에 부가한 경우에는, 화상의 표시상태에 따라, 표시휘도를 조정한 출력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기억수단이 M 비트의 정보를 기억할 수 있다는 것은, 상기 분할된 표시기간에 최대 2M계조수의 표시가 가능하고, 적당한 무게를 갖게 한 K개의 분할표시기간의 조합에 의해, 실질적으로, M×K 비트의 표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F= M×K-N의 관계를 만족하는 부가정보비트 F를 설정하여, 화상정보에 부가하는 것으로, 계조신호데이터를 기억할 때에 필요한 신호전극선의 범위내에서, 예컨대, 화면의 평균휘도레벨이 낮게, 전체에 어두운 인상을 주는 것 같은 화상의 경우에도, 명계조레벨을 보다 밝아지도록 하여 반짝임이 있는 화질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화상에 대하여 윤곽부분을 강조하는 경우나, 화상에 문자정보 등을 덮어쓰기 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도, 부가정보비트를 사용할 수 있다.
단지, 계조표시의 비트수에 의해서는, 최소의 필드수에서는 용장성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부가정보비트를 제공할 수 없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는, 서브필드를 또 하나 증가시켜, 즉 K의 값을 1 증가시키는 것으로, 부가정보비트를 첨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장치의 계조구동용 드라이버의 부담을 경감하여, 소비전력을 억제함과 동시에, 양호한 다계조표시가 가능한 표시소자 및 그 계조구동방법이 제공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항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실시예 또는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밝히는 것으로, 그와 같은 구체예에만 한정하여 협의로 해석되어햐 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정신과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사항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21)

  1.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신호선과 주사선과의 교차부에 제공되고,
    광학변조소자;
    액티브소자; 및
    주사마다 최대로 M 비트(M≥1)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포함하며,
    다음 주사가 행해질 때까지, 상기 기억수단이 기억한 계조신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학변조소자가 2M계조표시에서의 점등을 유지하는 표시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1필드기간내에 복수회의 주사를 행하는 경우에는, 최상위의 무게를 갖는 표시기간을 복수의 표시기간으로 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표시기간을 필드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각각 배치하여 주사를 행하는 표시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전필드기간이 비주사로 되는 경우에는, 비주사로 되기 직전의 주사에 있어서, 상위 M 비트의 계조신호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이 기억하고, 상기 광학변조소자가 2M계조표시에서의 점등을 유지하는 표시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전계조 신호정보비트수를 N, 메모리비트수를 M, 1필드내의 주사회수를 K로 한 경우에, F=M×K-N의 관계를 만족하는 부가정보비트 F를 상기 계조신호정보에 부여하여 출력하는 표시소자.
  5.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신호선과 주사선과의 교차부에 제공되고, 광학변조소자와 액티브소자를 구비하고,
    상위의 무게를 갖는 표시기간을 복수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한 표시기간을 필드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배치하여 주사를 행하는 제어수단;
    상위의 무게를 갖는 표시기간에 대응하는 계조신호정보를 기억하는 제1 기억수단; 및
    상기 이외의 계조신호정보를 기억하는 제2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표시소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간은, 균등하게 2분할되어 있는 표시소자.
  7. 제5항에 있어서, 전라인주사에 필요한 시간을 Ts, 1필드기간을 Tf, 전계조표시비트수를 N, 상기 제1 기억수단의 기억비트수를 M으로 하면,
    Ts/Tf≤2k/(2N-1)(k는, M 또는 (N-1)/2 중 작은 쪽의 정수치)
    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표시소자.
  8. 표시소자는, 서로 교차하는 신호선 및 주사선의 교차부에 제공되고, 광학변조소자와 액티브소자를 구비하며
    1필드기간내에, K회(K≥1)의 주사를 행하는 경우에는, M 비트(M≥1)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에, 각 주사에 있어서 화상정보 중, 최대로 M 비트의 계조신호정보를 기억시키는 단계; 및
    다음 주사가 행해질 때까지, 상기 기억수단이 기억한 계조신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학변조소자가 M 비트계조표시에서의 점등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
  9. 표시소자는, 서로 교차하는 신호선 및 주사선의 교차부에 제공되고, 광학변조소자와 액티브소자를 구비하며,
    입력된 계조신호정보 중, 상위비트의 계조신호정보를 주사하는 표시기간을 복수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표시기간을 필드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배치하는 제1 단계;
    상기 분할된 상위비트의 계조신호정보를 제1 기억수단에 기억시키고, 그 이외의 하위비트의 계조신호정보를 제2 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제2 단계;
    상기 제2 기억수단에 기억시킨 계조신호정보를 상기 광학변조소자에 출력하여 표시를 행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1 기억수단에 기억시킨 상위비트의 계조신호정보를 상기 광학변조소자에 출력하여 표시를 행하는 제4 단계를 갖는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전계조비트수를 N, 하위비트로부터 비트번호를 0, 1,···, N-1로 하면,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출력해야 할 계조신호 정보비트가 하위 J비트이고, 상기 제3 단계에서 하위 k 비트의 계조신호 정보비트를 출력할 때, 상기 제3 단계의 직전 및/또는 직후의 상기 제4 단계에 의해 출력되는 계조신호 정보비트 J는, k+J=N-1의 관계를 만족하는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의 직전 및 직후의 제4 단계에서 출력되는 계조신호정보가 동일한 계조신호 정보비트일 때, 각각의 표시기간은 상기 제3 단계 직후의 표시기간이 제3 단계 직전의 표시기간보다도 길게 되는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
  12. 표시소자는, 서로 교차하는 신호선 및 주사선의 교차부에 제공되고, 광학변조소자와 액티브소자를 구비하며,
    1필드기간내에 정해진 시간간격비로, K회(K≥1)의 주사를 행하는 경우에는, M 비트(M≥1)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에, 각 주사에 있어서 화상정보 중, 최대로 M 비트의 계조신호정보를 기억시키는 단계;
    다음 주사가 행해질 때까지, 상기 기억수단이 기억한 계조신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학변조소자가 M 비트계조표시에서의 점등을 유지하는 단계; 및
    최상위의 무게를 갖는 표시기간을 복수의 표시기간으로 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표시기간을 필드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각각 배치하여 주사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전필드기간이 비주사로 되는 경우에는, 비주사로 되기 직전의 주사에 있어서, 상위 M 비트의 계조신호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이 기억하고, 상기 광학변조소자가 2M계조표시에서의 점등을 유지하는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전계조신호 정보비트수를 N, 메모리비트수를 M, 1필드내의 주사회수를 K로 한 경우에, F= M×K-N의 관계를 만족하는 부가정보비트 F를 상기 계조신호정보에 부여하여 출력하는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
  15.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신호선과 주사선과의 교차부에 제공되고, 광학변조소자와 액티브소자를 구비하고,
    1필드기간내에 소정의 시간간격비로 1회 이상의 주사를 행하는 경우에는, 각 주사마다, 최대로 M 비트(M≥1)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 및
    다음 주사가 행해질 때까지, 상기 기억수단이 기억한 계조신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학변조소자가 2M계조표시에서의 점등을 유지하는 계조표시점등 유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표시소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1필드기간내에 소정의 시간간격비로 복수회의 주사를 행하는 경우에는, 최상위의 무게를 갖는 표시기간을 복수의 표시기간으로 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표시기간을 필드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각각 배치하여 주사를 행하는 표시소자.
  17.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신호선과 주사선과의 교차부에 제공되고, 광학변조소자와 액티브소자를 구비하고,
    상위의 무게를 갖는 표시기간을 복수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한 표시기간을 필드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균등하게 배치하여 주사를 행하는 제어수단;
    상위의 무게를 갖는 표시기간에 대응하는 계조신호정보를 기억하는 제1 기억수단; 및
    상기 이외의 계조신호정보를 기억하는 제2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표시소자.
  18. 표시소자는, 서로 교차하는 신호선 및 주사선의 교차부에 제공되고, 광학변조소자와 액티브소자를 구비하며,
    1필드기간내에 정해진 시간간격비로, K회(K≥1)의 주사를 행하는 경우에는, M 비트(M≥1)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에, 각 주사에 있어서 화상정보 중, 최대로 M 비트의 계조신호정보를 기억시키는 단계; 및
    다음 주사가 행해질 때까지, 상기 기억수단이 기억한 계조신호정보에 따라, 상기 광학변조소자가 M 비트계조표시에서의 점등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
  19. 표시소자는, 서로 교차하는 신호선 및 주사선의 교차부에 제공되고, 광학변조소자와 액티브소자를 구비하며,
    입력된 계조신호정보 중, 상위비트의 계조신호정보를 주사하는 표시기간을 복수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표시기간을 필드의 전반부와 후반부로 균등하게 배치하는 제1 단계;
    상기 분할된 상위비트의 계조신호정보를 제1 기억수단에 기억시키고, 그 이외의 하위비트의 계조신호정보를 제2 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제2 단계;
    상기 제2 기억수단에 기억시킨 계조신호정보를 상기 광학변조소자에 출력하여 표시를 행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1 기억수단에 기억시킨 상위비트의 계조신호정보를 상기 광학변조소자에 출력하여 표시를 행하는 제4 단계를 갖는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전계조비트수를 N,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출력해야 할 계조신호 정보비트가 J 비트번째이고, 상기 제3 단계에서 k 비트번째의 계조신호 정보비트를 출력할 때, 상기 제3 단계의 직전 및/또는 직후의 상기 제4 단계에 의해 출력되는 계조신호정보 비트번호 J는, k+J=N-1의 관계를 만족하는,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의 직전 및 직후의 제4 단계에서 출력되는계조신호정보가 동일한 계조신호정보 비트번호일 때, 각각의 표시기간은 상기 제3 단계 직후의 표시기간이 제3 단계 직전의 표시기간보다도 길게 되는 표시소자의 계조구동방법.
KR1020020049843A 2001-10-25 2002-08-22 표시소자 및 그의 계조구동방법 KR1005487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28285A JP3767737B2 (ja) 2001-10-25 2001-10-25 表示素子およびその階調駆動方法
JPJP-P-2001-00328285 2001-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842A true KR20030035842A (ko) 2003-05-09
KR100548742B1 KR100548742B1 (ko) 2006-02-02

Family

ID=19144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843A KR100548742B1 (ko) 2001-10-25 2002-08-22 표시소자 및 그의 계조구동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02037B2 (ko)
JP (1) JP3767737B2 (ko)
KR (1) KR100548742B1 (ko)
CN (1) CN100413307C (ko)
TW (1) TWI23535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404B1 (ko) * 2006-09-19 2010-01-06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2520B2 (ja) 2002-06-28 2009-03-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
JP4206805B2 (ja) * 2002-06-28 2009-01-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
US20040101208A1 (en) * 2002-11-27 2004-05-27 Vidar System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averaging image signals in a media processor
KR100492185B1 (ko) * 2003-03-04 2005-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윤곽노이즈 제거방법 및 장치
KR100649253B1 (ko) * 2004-06-30 2006-1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와, 그 표시 패널 및 구동 방법
KR100570774B1 (ko) * 2004-08-20 2006-04-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표시 장치의 표시 데이터용 메모리 관리 방법
JP5121136B2 (ja) 2005-11-28 2013-01-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画像表示装置、電子機器、携帯機器及び画像表示方法
CN101527167B (zh) * 2008-02-01 2012-08-15 索尼株式会社 显示装置
US8368709B2 (en) * 2009-09-18 2013-02-0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one or more pixels
US9041694B2 (en) * 2011-01-21 2015-05-26 Nokia Corporation Overdriving with memory-in-pixel
JP2011215635A (ja) * 2011-07-11 2011-10-27 Sony Corp 画像表示装置、電子機器、携帯機器及び画像表示方法
KR102072403B1 (ko) * 2013-12-31 2020-02-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구동 방식 유기발광표시장치
WO2017221584A1 (ja) * 2016-06-20 2017-12-2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10553167B2 (en) * 2017-06-29 2020-02-04 Japan Display Inc. Display device
CN113867659B (zh) * 2020-06-30 2024-02-06 西安诺瓦星云科技股份有限公司 图像输出方法和装置以及模组控制器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245B2 (ja) 1987-12-21 1995-01-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2値表示パネル画像表示装置
US4996523A (en) 1988-10-20 1991-02-26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luminescent storage display with improved intensity driver circuits
JPH07253764A (ja) 1994-03-15 1995-10-03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JPH0876711A (ja) 1994-09-02 1996-03-22 Mitsubishi Electric Corp 表示装置
JP3467334B2 (ja) 1994-10-31 2003-11-17 Tdk株式会社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
JPH08194205A (ja) 1995-01-18 1996-07-30 Toshiba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型表示装置
JP3679838B2 (ja) 1995-09-20 2005-08-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テレビジョン画像信号の階調表示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485229B2 (ja) 1995-11-30 2004-01-13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
JP3113568B2 (ja) 1995-12-21 2000-12-04 日本放送協会 中間調表示方法と装置
JP3305946B2 (ja) * 1996-03-07 2002-07-24 株式会社東芝 液晶表示装置
JPH09258168A (ja) * 1996-03-19 1997-10-03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3328134B2 (ja) 1996-05-23 2002-09-24 富士通株式会社 フレーム内時分割型中間調表示方法及びフレーム内時分割型表示装置
JP2962245B2 (ja) 1996-10-23 1999-10-12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装置の階調表示方法
JP3361705B2 (ja) 1996-11-15 2003-01-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コントローラ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H10171400A (ja) 1996-12-11 1998-06-26 Hitachi Ltd 映像信号の階調表示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3503463B2 (ja) 1997-02-27 2004-03-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セグメントドライバ
JP3292093B2 (ja) 1997-06-10 2002-06-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JP3900663B2 (ja) 1997-06-25 2007-04-04 ソニー株式会社 光学空間変調素子及び画像表示装置
DE69839542D1 (de) * 1997-08-07 2008-07-10 Hitachi Ltd Farbbildanzeigeeinrichtung und -verfahren
JPH11212516A (ja) 1998-01-27 1999-08-06 Gendai Denshi Sangyo Japan Kk 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3832086B2 (ja) 1998-04-15 2006-10-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反射型液晶装置及び反射型プロジェクタ
JPH11326874A (ja) * 1998-05-15 1999-11-26 Seiko Epson Corp 反射型液晶装置及び反射型プロジェクタ
JP2000056727A (ja) 1998-06-05 2000-02-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パネルの階調駆動装置
JP4637315B2 (ja) 1999-02-24 2011-02-2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
JP3515699B2 (ja) 1999-03-19 2004-04-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ジタル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3635976B2 (ja) 1999-03-31 2005-04-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
JP2000347624A (ja) 1999-03-31 2000-12-15 Seiko Epson Corp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
JP2001033760A (ja) 1999-07-22 2001-02-09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駆動回路
JP2001159883A (ja) 1999-09-20 2001-06-12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駆動回路および電気光学装置ならびに電子機器
JP3661523B2 (ja) 1999-09-29 2005-06-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駆動回路および電気光学装置ならびに電子機器
JP4061905B2 (ja) 1999-10-18 2008-03-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
JP3705086B2 (ja) * 2000-07-03 2005-10-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JP4123711B2 (ja) * 2000-07-24 2008-07-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パネルの駆動方法、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954400B2 (ja) 2000-08-18 2012-06-1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JP5030348B2 (ja) 2000-10-02 2012-09-1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自発光装置
JP2002287718A (ja) * 2001-01-18 2002-10-04 Sharp Corp 表示装置、携帯機器、基板
TW536689B (en) * 2001-01-18 2003-06-11 Sharp Kk Display, portable device, and substrate
JP3788916B2 (ja) 2001-03-30 2006-06-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発光型表示装置
US6788282B2 (en) * 2002-02-21 2004-09-07 Seiko Epson Corporation Driving method for electro-optical device, driving circuit therefor,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404B1 (ko) * 2006-09-19 2010-01-06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35350B (en) 2005-07-01
US7502037B2 (en) 2009-03-10
KR100548742B1 (ko) 2006-02-02
CN1414777A (zh) 2003-04-30
JP2003131628A (ja) 2003-05-09
JP3767737B2 (ja) 2006-04-19
CN100413307C (zh) 2008-08-20
US20030142056A1 (en) 200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9755B2 (en) Display device capable of changing luminance depending on operating frequency
KR100548742B1 (ko) 표시소자 및 그의 계조구동방법
TWI409773B (zh) 驅動液晶顯示器之裝置與方法
US7116301B2 (en) Driving device for electro-optic device, display device using the driving device, driving method thereof, and weight determination method thereof
US114758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bpixel rendering and display driver
US8373727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panel driver including subtractive color processing circuit for error diffusion processing and weighting processing
CN107342034B (zh) 显示面板驱动器、显示设备以及显示面板的驱动方法
KR101534627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40108957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영상 신호 처리 방법
KR20170087093A (ko)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2242116A (zh) 驱动显示面板的方法和用于执行该方法的显示装置
JP2003330420A (ja) 発光装置の駆動方法
KR20030074096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060050700A (ko) 자발광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 구동 방법 및 그 구동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20210034165A (ko) 구동 제어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KR20210010739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KR102676226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957354B1 (ko) 데이터 변환 장치 및 방법, 평판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CN109979386B (zh) 显示面板的驱动方法及装置
KR20060122307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전처리장치 및 그 저계조표현방법
KR20140106013A (ko) 의사 윤곽 감소용 표시 장치
KR20110062766A (ko) 영상 표시 장치의 프레임 레이트 컨트롤 디더링 회로 및 방법
JP2018151666A (ja) 表示駆動装置、表示装置、表示駆動方法
KR102430577B1 (ko) 멀티비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1217512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회로 및 이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