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2307A -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전처리장치 및 그 저계조표현방법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전처리장치 및 그 저계조표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2307A
KR20060122307A KR1020050044662A KR20050044662A KR20060122307A KR 20060122307 A KR20060122307 A KR 20060122307A KR 1020050044662 A KR1020050044662 A KR 1020050044662A KR 20050044662 A KR20050044662 A KR 20050044662A KR 20060122307 A KR20060122307 A KR 20060122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s
voltage characteristic
image signal
toning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창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4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2307A/ko
Publication of KR20060122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44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dither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59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error diffus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09G2320/0276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for the purpose of adapt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a display device, i.e. gamma cor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계조의 표현력을 향상시키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전처리장치 및 그 저계조 표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입력된 영상신호 중 적어도 저계조 영상신호를 하프토닝하는 하프토닝부와, 영상신호를 유기전계발광소자에 인가하는 데이터입력부를 갖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전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패널구조를 변경하거나 공정조건을 변경하지 않고 저계조 표현력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전처리장치 및 그 저계조 표현방법{OLED}
도 1은 일반적인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픽셀회로의 등가회로도.
도 3은 일반적인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박막트랜지스터(M1)의 데이터 전압에 대한 전류의 특성곡선.
도 4a는 일반적인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저계조부분이 컷오프되어 계조 표현 영역이 왜곡되거나 소멸됨을 도시한 그래프.
도 4b는 도 4a의 저계조부분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전처리장치의 블럭도.
도 6은 도 5의 전압특성 곡선 선택부의 4개의 전압특성 곡선.
도 7은 도 5의 전압특성 곡선 선택부의 소수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도 7의 소수부의 하프토닝을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저계조 표현방법의 흐름도.
본 발명은 저계조의 표현력을 향상시키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전처리장치 및 그 저계조 표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전계발광소자(OLED)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으로 형광물질을 발광시키는 자발광소자이다.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장치와 같이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는 수동형 발광소자에 비하여 응답속도가 빠르고, 직류구동전압이 낮고 초박막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벽걸이형 또는 휴대용으로 응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유기전계발광소자는 OLED 발광셀을 구동하는 방식으로는 단순매트릭스형(passive matrix) 유기전계발광소자(PMOLED)와 TFT를 이용한 액티브 매트릭스형(active matrix) 유기전계발광소자(AMOLED)로 나눌 수 있다. 단순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소자(PMOLED)는 양극과 음극을 직교하도록 형성하고 라인을 선택하여 구동하는데 비해,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소자(AMOLED)는 TFT와 캐패시터를 각 ITO 화소전극에 접속하여 캐패시터 용량에 의해 전압을 유지하도록 하는 구동방식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OLED 패널(10)에 형성된 다수의 픽셀회로들(11)을 갖는다. OLED 패널(10)은 스캔 구동부(12)와 데이터구동부(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스캔구동부(12)는 주사선(S1, S2, S3, S4.....Sn)을 통해 선택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데이터구동부(14)는 데이터선(D1, D2, D3...Dn)을 통해 화상신호를 나타내는 데이터전압을 출력하고, OLED 픽셀(11)은 하나의 화소를 표시한다.
즉, OLED 패널(10)은 데이터구동부(14)에서 분기되어 화상신호를 전달하는 다수의 데이터선(D1, D2, D3, ..., Dn)과, 스캔구동부(12)에서 분기되어 선택신호를 전달하는 다수의 주사선(S1, S2, S3, ...,Sn)이 상호 교차되도록 배열되고, 이 주사선과 데이터선의 교차점 각각에 픽셀회로(11)가 구성된다.
도 2는 도 1의 픽셀회로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픽셀회로(11)는, 데이터구동부(14)에서 분기된 데이터선(Dn)으로 화상신호가 전달되고, 스캔구동부(12)에서 분기된 주사선(Sn)으로 선택신호가 전달된다. 제 2 박막트랜지스터(M2)는 주사선(Sn)의 선택신호에 따라서 데이터를 캐패시터(Cst)에 전달하고, 캐패시터(Cst)는 인가된 데이터를 저장유지한다. 그리고 제 1 박막트랜지스터(M1)는 캐패시터(Cst)에 인가된 데이터에 따라 전원선(Vdd)으로부터 유기전계발광소자(OLED)에 전류를 공급하여 유기전계발광소자(OLED)를 발광시킨다.
위에서 설명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픽셀회로(11)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제 1 박막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선택신호(Select)에 의해 제 2 박막트랜지스터(M2)가 온되면, 데이터선을 통해 데이터 전압(Vdata)이 제1 박막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에 인가된다. 그리고, 게이트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Vn) 에 대응하여 제 1 박막트랜지스터(M1)를 통해 유기전계발광소자(OLED)에 전류가 흘러 발광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 1 박막트랜지스터(M1)의 소스-게이트간의 전압(Vgs_n)은 전원선의 전압(Vdd)과 제 2 박막트랜지스터(M2)를 통하여 전달되는 데이터전압(Vn) 간의 차가되며, 제 1 박막트랜지스터(M1)는 소스-게이트간의 전압과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Vth)의 차의 제곱에 해당되는 전류를 유기전계발광소자(OLED)에 공급한다. 이를 수학식 1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IOLED=β(Vgs_n-Vth)2
여기서, IOLED는 유기전계발광소자에 흐르는 전류, Vgs_n는 트랜지스터(M1)의 소스와 게이트 사이의 전압, Vth는 제 1 박막트랜지스터(M1)의 문턱전압, β는 상수 값을 나타낸다. 여기서, Vgs_n는 Vdd-Vn이다.
수학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한 픽셀회로(11)에 의하면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Vn)에 대응하는 전류(IOLED)가 유기전계발광소자(OLED)에 공급되고, 공급된 전류에 대응하여 유기전계발광소자(OLED)가 발광하게 된다.
도 3은 일반적인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소자의 트랜지스터(M1)의 데이터 전압(Vn)에 대한 전류(IOLED)의 특성곡선이다. 도 4a는 일반적인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저계조부분이 컷오프되어 계조 표현 영역이 왜 곡되거나 소멸됨을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4b는 도 4a의 저계조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기전계발광소자(OLED)의 전류 또는 휘도(IOLED)는 데이터 전압(Vn)에 지수적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소자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트랜지스터의 전압-전류특성에 의해 저계조부분이 컷오프되어 계조 표현 영역이 왜곡되거나 소멸됨을 알 수 있으며, 도 4a 중 저계조부분만 확대한 도 4b를 통해서 보다 명확하게 그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유기전계발광소자 또는 그 유기전계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구동박막트랜지스터의 전압-전류 특성 때문에 저계조 표현 영역이 왜곡되거나 소멸되어 저계조 표현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패널구조를 변경하거나 공정조건을 변경하지 않고 저계조 표현력을 향상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전처리장치 및 그 저계조 표현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된 영상신호 중 적어도 저계조 영상신호를 하프토닝하는 하프토닝부와, 영상신호를 유기전계발광소자에 인가하는 데이터입력부를 갖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전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하프토닝부는 입력된 영상신호 중 중상위계조에 대해서는 실계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프토닝부에서 하프토닝하기 전에 영상신호를 감마보정하는 감마보정부를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이때, 하프토닝부의 하프토닝은 오차확산 또는 디더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하프토닝된 영상신호에 대해 보정된 감마에 맞는 전압특성 곡선을 선택하여 상기 데이터입력부에 전달하는 전압특성 곡선 선택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압특성 곡선 선택부는 감마보정된 영상신호의 소수부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전압특성 곡성 선택부는, 감마보정된 영상신호의 소수부 중 상위비트는 디더링을, 하위비트는 오차확산을 사용하여 하프토닝할 수 있다. 이때, 전압특성 곡성 선택부는, 상위비트와 하위비트를 연동하여 하위비트에서 연산 후 비트수가 증가하면 상위 캐리를 넘기고, 상위비트가 증가하면 정수를 증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압특성 곡성 선택부는, 상기 소수부를 7비트로 확장하여 상위 4비트는 디더링을, 하위 3비트는 오차확산을 사용하여 하프토닝할 수 있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입력된 영상신호 중 적어도 저계조 영상신호를 하프토닝하는 하프토닝단계와, 영상신호를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데이터라인에 입력할 데이터펄스를 변환하여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데이터라인에 인가하는 데이터 입력단계를 갖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저계조 표현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하프토닝단계는 입력된 영상신호 중 중상위계조에 대해서는 실계조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하프토닝부에서 하프토닝하기 전에 영상신호를 감마보정하는 감마보정단계를 추가로 가질 수 있다.
또한, 하프토닝단계의 하프토닝은 오차확산 또는 디더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하프토닝된 영상신호에 대해 보정된 감마에 맞는 전압특성 곡선을 선택하여 데이터입력단계에 전달하는 전압특성 곡선 선택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압특성 곡선 선택단계는 감마보정된 영상신호의 소수부를 확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압특성 곡선 선택단계는, 감마보정된 영상신호의 소수부 중 상위비트는 디더링을, 하위비트는 오차확산을 사용하여 하프토닝할 수 있다.
또한, 전압특성 곡선 선택단계는, 상위비트와 하위비트를 연동하여 하위비트에서 연산 후 비트수가 증가하면 상위 캐리를 넘기고, 상위비트가 증가하면 정수를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전압특성 곡선 선택단계는, 소수부를 7비트로 확장하여 상위 4비트는 디더링을, 하위 3비트는 오차확산을 사용하여 하프토닝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전처리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전처 리장치(20)는 감마보정부(24), 하프토닝부(28), 전압특성 곡선 선택부(30), 데이터입력부(32)를 갖는다.
감마보정부(24)는 외부 비디오장치로부터 입력되는 0~255계조의 영상신호를 소수값이 포함되는 감마값으로 매칭시키는 감마보정을 한다. 감마보정부(24)의 감마보정이란 수학식 1과 같이 영상신호값을 지수화하는 것이다.
y=α(x/255)2.2
여기서, y는 영상신호값의 감마보정값이며, x는 영상신호값이며, 255는 최고 영상신호값, α는 감마상수이다.
하프토닝부(28)는 감마보정된 영상신호 중 저계조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오차확산(error diffusion) 또는 디더링(dithering)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하프토닝(halftoning)한다. 또한, 하프토닝부(28)는 중상계조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하프토닝하지 않고 실계조 영상신호를 그대로 사용한다. 여기서 저계조란 영상신호 중 박막트랜지스터의 전압-전류 특성 때문에 표현 영역이 왜곡되거나 소멸되는 계조(gray scale)를 의미한다. 저계조 영역은 박막트랜지스터의 전압-전류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대략 0~255 계조중 0~10 계조 영역을 의미한다.
오차확산 방법은 각각의 화소에 해당하는 영상신호의 소수값을 이웃하는 화소에 확산시켜 감마보정 후 버려지는 오차에 대한 보정을 공간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하프토닝부(28)는, 정수값과 소수값으로 이루어진 감마보정된 영상신호값, 예를 들면 2.6(2는 정수값, 0.6은 소수값) 중 소수값을 하프토닝하여 다음 영상신호값의 정수에 반영한다.
예를 들어, 감마보정된 세개의 영상신호값이 3.2, 2.9, 2.6이라고 할 때, 처음 영상신호값은 정수값 3을 취하고 소수값 0.2는 다음 영상신호값에 넘겨준다. 다음 영상신호값은 넘겨받은 소수값을 취하여 2.9+0.2=3.1 중 정수값 3을 취하고 소수값은 다음 영상신호값에 넘겨준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이전 영상신호값의 소수값을 다음 영상신호값에 넘겨주므로 영상신호의 소수값을 버리지 않고 다음 영상신호값에 반영할 수 있다.
디더링 방법은 하나의 영상을 하나의 디더 행렬(dither matrix)로 임계화하므로 적은 계조로 더 많은 계조를 표현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디더 행렬은 마치 바닥에 타일을 깐 것처럼 영상 위에 반복적으로 씌워진다. 예를 들어 서로 인접하는 네개의 화소의 계조값이 1, 2, 3, 4일 때 짝수 계조, 즉 2과 4의 혼합 패턴을 이용하여 전체 계조를 표현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전압특성 곡선 선택부의 4개의 전압특성 곡선이며, 도 7은 도 5의 전압특성 곡선 선택부의 소수부를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도 7의 소수부의 하프토닝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와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압특성 곡선 선택부(3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전압특성 곡선 선택부(30)는 입력된 감마에 맞는 전압특성 곡선을 선택하는 역할을 한다. 전압특성 곡선 선택부(3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된 감마에 맞는 예시적인 적어도 4가지의 전압특성 곡선을 선택 할 수 있다. 모드 A는 선형 감마 전압곡선이며, 모드 B는 2.2 지수감마 전압곡선이며, 모드 C는 2.2 s-감마 전압곡선이며, 모드 D는 사용자 감마 전압곡선이다.
도 5 및 도 7, 도 8을 참조하면, 전압특성 곡선 선택부(30)는 선택된 전압특성의 감마값을 확장하여 저계조의 표현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즉 전압특성 곡선 선택부(3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계조, 예를 들면 계조값 0, 1, 2에 대한 선택된 전압특성의 감마값, 예를 들어 정수 8비트와 소수 4비트를 정수 8비트와 소수 7비트로 소수부를 확장할 수 있다. 확장된 7비트의 소수부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위 4비트는 디더링으로, 하위 3비트는 오차 확산으로 하프토닝할 수 있다. 이때 상위 4비트와 하위 3비트는 연동되어 하위 3비트에서 연산 후 비트 수가 증가하면 상위 캐리로 넘기고 상위 4비트가 증가하면 정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입력부(32)는 하프토닝된 영상신호를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패널에 맞게 시간적으로 데이터를 정열한다. 데이터입력부(32)에 의해 시간적으로 정렬된 영상신호는 도 1에 도시한 데이터구동부(11)에 공급되어 유기전계발광소자(OLED)를 구동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저계조 표현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저계조 표현방법을 간단히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의해 저계조를 표현방법하기 위해, 먼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가 컴퓨터나 카메라와 같은 외부 비디오장치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는다(S10). 입력된 영상신호는 수 학식2와 같은 감마함수에 의해 감마보정되어 정수값과 소수값을 갖게 된다(S12). 이때 입력된 영상신호가 0~255의 전체 계조값 중 0~2의 저계조값인 경우 디더링이나 오차확산 등에 의해 하프토닝되어 저계조의 표현력을 향상시키고, 중상위계조값인 경우 실계조값을 사용한다(S14, S16). 이와 같이 저계조의 영상신호를 하프토닝하므로 유기전계발광소자의 구동박막트랜지스터의 전압-전류특성에 의해 저계조부분이 컷오프되어 계조 표현 영역이 왜곡되거나 소멸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감마보정된 영상신호의 전압특성에 따라 전압특성 곡선을 선택하므로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 및 색상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S18).
마지막으로, 영상신호는 패널의 데이터구동부에 맞도록 시간적으로 정렬되어 데이터구동부에 입력된다(S20). 결과적으로 외부 비디오장치에서 입력된 영상신호는 감마보정 및 하프토닝, 전압특성 곡선의 선택을 통해 전처리되어 데이터구동부에 전달되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저계조부분의 표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 실시예에서, 하프토닝부(28)가 저계조 영상신호만을 하프토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전체 영상신호를 하프토닝하여 전체 영상의 계조 표현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위 실시예에서, 하프토닝부(28)의 하프토닝 방법으로 디더링과 오차확산만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현재 공지되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떠한 하프토닝 방법을 사용하여 저계조의 표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 감마보정부(24)와 전압특성 곡선 선택부(30)가 존재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들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 전압특성 곡선을 도 7에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감마값에 따라 다양한 전압특성 곡선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패널구조를 변경하거나 공정조건을 변경하지 않고 저계조 표현력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입력된 영상신호 중 적어도 저계조 영상신호를 하프토닝하는 하프토닝부와;
    상기 영상신호를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데이터라인에 입력할 데이터펄스를 변환하여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데이터라인에 인가하는 데이터입력부를 갖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전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하프토닝부는 상기 입력된 영상신호 중 중상위계조에 대해서는 실계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전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하프토닝부에서 하프토닝하기 전에 상기 영상신호를 감마보정하는 감마보정부를 추가로 갖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전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토닝부의 상기 하프토닝은 오차확산 또는 디더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전처리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하프토닝된 영상신호에 대해 보정된 감마에 맞는 전압특성 곡선을 선택하여 상기 데이터입력부에 전달하는 전압특성 곡선 선택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전처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특성 곡선 선택부는 감마보정된 영상신호의 소수부를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전처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특성 곡성 선택부는, 감마보정된 영상신호의 소수부 중 상위비트는 디더링을, 하위비트는 오차확산을 사용하여 하프토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전처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특성 곡성 선택부는, 상기 상위비트와 상기 하위비트를 연동하여 상기 하위비트에서 연산 후 비트수가 증가하면 상위 캐리를 넘기고, 상위비트가 증가하면 정수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전처리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특성 곡선 선택부는, 상기 소수부를 7비트로 확장하여 상위 4비트 는 디더링을, 하위 3비트는 오차확산을 사용하여 하프토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전처리장치.
  10. 입력된 영상신호 중 적어도 저계조 영상신호를 하프토닝하는 하프토닝단계와;
    상기 영상신호를 유기전계발광소자에 인가하는 데이터 입력단계를 갖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저계조 표현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하프토닝단계는 상기 입력된 영상신호 중 중상위계조에 대해서는 실계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저계조 표현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하프토닝부에서 하프토닝하기 전에 상기 영상신호를 감마보정하는 감마보정단계를 추가로 갖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저계조 표현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토닝단계의 상기 하프토닝은 오차확산 또는 디더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저계조 표현방법.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하프토닝된 영상신호에 대해 보정된 감마에 맞는 전압특성 곡선을 선택하여 상기 데이터입력단계에 전달하는 전압특성 곡선 선택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저계조 표현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특성 곡선 선택단계는 감마보정된 영상신호의 소수부를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저계조 표현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특성 곡선 선택단계는, 감마보정된 영상신호의 소수부 중 상위비트는 디더링을, 하위비트는 오차확산을 사용하여 하프토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저계조 표현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특성 곡선 선택단계는, 상기 상위비트와 상기 하위비트를 연동하여 상기 하위비트에서 연산 후 비트수가 증가하면 상위 캐리를 넘기고, 상위비트가 증가하면 정수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저계조 표현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특성 곡선 선택단계는, 상기 소수부를 7비트로 확장하여 상위 4비트는 디더링을, 하위 3비트는 오차확산을 사용하여 하프토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저계조 표현방법.
KR1020050044662A 2005-05-26 2005-05-26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전처리장치 및 그 저계조표현방법 KR200601223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662A KR20060122307A (ko) 2005-05-26 2005-05-26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전처리장치 및 그 저계조표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662A KR20060122307A (ko) 2005-05-26 2005-05-26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전처리장치 및 그 저계조표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307A true KR20060122307A (ko) 2006-11-30

Family

ID=37707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662A KR20060122307A (ko) 2005-05-26 2005-05-26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전처리장치 및 그 저계조표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230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0864A (ko) * 2013-09-13 2015-03-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화질 제어 방법
KR20170005941A (ko) * 2015-07-06 2017-0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70081097A (ko) * 2015-12-31 2017-07-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US9892682B2 (en) 2015-06-15 2018-02-13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for reducing color distortion of low gray value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JP2020201483A (ja) * 2019-06-05 2020-12-17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11455932B2 (en) 2020-06-02 2022-09-27 Samsung Display Co., Ltd. Driving controller,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0864A (ko) * 2013-09-13 2015-03-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화질 제어 방법
US9892682B2 (en) 2015-06-15 2018-02-13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for reducing color distortion of low gray value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20170005941A (ko) * 2015-07-06 2017-0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10522075B2 (en) 2015-07-06 2019-12-31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70081097A (ko) * 2015-12-31 2017-07-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JP2020201483A (ja) * 2019-06-05 2020-12-17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11114018B2 (en) 2019-06-05 2021-09-07 Lg Display Co., Ltd.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same
JP2022017395A (ja) * 2019-06-05 2022-01-25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11436969B2 (en) 2019-06-05 2022-09-06 Lg Display Co., Ltd.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same
US11455932B2 (en) 2020-06-02 2022-09-27 Samsung Display Co., Ltd. Driving controller,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US11756472B2 (en) 2020-06-02 2023-09-12 Samsung Display Co., Ltd. Driving controller,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976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793542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361906B1 (ko) 유기 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126349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로드이펙트 보상장치
JP4477487B2 (ja)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8624804B2 (en) Method of driv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in an interlaced scanning mode in which a single frame is divided
US7352375B2 (en) Driving method of light emitting device
JP2006048040A (ja) 表示装置での出力レベル制御及び/又はコントラスト制御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106578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bpixel rendering and display driver
KR20150015281A (ko) 데이터 변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10767162A (zh) 显示补偿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计算机设备
KR20060122307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전처리장치 및 그 저계조표현방법
KR20090021740A (ko) 전자방출표시장치의 영상신호 보정방법
KR20170014578A (ko) 감마 보정 회로 및 그 구동방법과 그를 이용한 표시 장치
US20140240366A1 (en) Display device for reducing dynamic false contour
KR100675645B1 (ko) 전계발광소자의 구동시스템 및 구동방법
KR100815755B1 (ko) 감마 보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656687B1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
JP2018112711A (ja) 表示ドライバ、表示装置及び画像処理回路
KR101922072B1 (ko) 데이터 변환 장치 및 방법, 평판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KR101320653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740086B1 (ko) 데이터 구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광 표시 장치
KR100578966B1 (ko) Rgb 계조전압 생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광 표시 장치
KR20080041524A (ko) 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11521538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