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1524A - 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1524A
KR20080041524A KR1020060109714A KR20060109714A KR20080041524A KR 20080041524 A KR20080041524 A KR 20080041524A KR 1020060109714 A KR1020060109714 A KR 1020060109714A KR 20060109714 A KR20060109714 A KR 20060109714A KR 20080041524 A KR20080041524 A KR 20080041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ma
data signal
dithering
error diffusion
half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창호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9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1524A/ko
Publication of KR20080041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5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44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dither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59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error diffus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계발광표시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감마값을 참조하여 감마 레지스터를 생성하고, 현재 공급된 데이터신호의 계조를 감마값에 따라 변경된 감마곡선에 대응하여 감마 변환하는 감마부; 감마부를 통해 공급된 데이터신호를 감마 레지스터에 따라 데이터신호의 모든 계조 영역에 하프토닝을 수행하거나 데이터신호의 일부 이상의 계조를 잘라내는 트렁케이션을 수행하거나 데이터신호의 계조가 낮은 저계조 영역만 하프토닝을 수행하는 선택 변환부; 선택 변환부를 통해 공급된 데이터신호를 스캔신호와 함께 출력하는 구동부; 및 구동부를 통해 공급된 데이터신호와 스캔신호에 의해 영상을 표현하도록 데이터 라인과 스캔 라인이 교차하는 영역에 형성된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표시패널부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60109714
전계발광표시장치, 전류 구동, 저계조

Description

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도 1은 전류 구동방식의 서브픽셀 회로 구성도.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전류 구동방식의 구동 예시도.
도 3은 구동 타이밍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계발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5는 감마곡선의 기울기.
도 6은 제2하프톤부의 조합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0: 감마부 120: 게인 조정부
130: 선택 변환부 131: 디멀티플렉서
132: 제1하프톤부 134: 트렁케이션부
136: 제2하프톤부 139: 멀티플렉서
140: 전류 증폭부 150: 구동부
본 발명은 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계발광표시장치는 두 개의 전극 사이에 발광층이 형성된 전계발광소자를 이용한 표시장치이다. 전계발광소자는 자발광소자로서, 행렬 형태로 배열된 N×M개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들을 전압 구동(Voltage Programming) 혹은 전류 구동(Current Programming)하여 영상을 표현할 수 있다. 전계발광표시장치는 수동 매트릭스(Passive Matrix) 방식과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를 이용한 능동 매트릭스(Active Matrix) 방식이 있다. 수동 매트릭스 방식은 양극과 음극을 직교하도록 형성하고 라인을 선택하여 구동하는데 비해, 능동 매트릭스 방식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각 화소 전극(Indium Tin Oxide; ITO)에 연결하고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된 커패시터에 유지된 전압에 따라 구동한다.
종래 일반적인 전류 구동방식 전계발광표시장치는 하나의 서브화소에 두 개 이상의 박막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및 유기 발광다이오드가 포함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이다. 여기서, 박막트랜지스터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구동 박막트랜지스로 구분되며, 박막트랜지스터의 개수는 구동방식과 박막트랜지스터의 특성을 보상하는 방식에 따라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서브화소는 스캔신호에 의해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가 턴온되면, 데 이터신호가 커패시터에 충전되고, 커패시터에 충전된 데이터(idata)에 의해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를 구동하여 유기 발광다이오드가 발광하게 됨으로써 영상을 표현할 수 있었다.
한편, 종래 전류 구동방식 중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보상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공통으로 연결한 "미러(mirror)"방식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의 특성(Vth)과 이동성(Mobility)을 보상하여 패널의 균일성(uniformity)을 높일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보상방식은 적은 전류로 구동될 경우 저계조 표현이 잘 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구동부 출력단에 전류 증폭기를 구비하였으나 이는 전류 증폭 편차가 발생하여 실질적인 구동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계발광표시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감마값을 참조하여 감마 레지스터를 생성하고, 현재 공급된 데이터신호의 계조를 감마값에 따라 변경된 감마곡선에 대응하여 감마 변환하는 감마부; 감마부를 통해 공급된 데이터신호를 감마 레지스터에 따라 데이터신호의 모든 계조 영역에 하프토닝을 수행하거나 데이터신호의 일부 이상의 계조를 잘라내는 트렁케이션을 수행하거나 데이터신호의 계조가 낮은 저계조 영역만 하프토닝을 수행하는 선 택 변환부; 선택 변환부를 통해 공급된 데이터신호를 스캔신호와 함께 출력하는 구동부; 및 구동부를 통해 공급된 데이터신호와 스캔신호에 의해 영상을 표현하도록 데이터 라인과 스캔 라인이 교차하는 영역에 형성된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표시패널부를 포함한다.
감마 레지스터는, 감마값을 참조하여 감마곡선을 저계조, 중계조, 고계조로 구분한 레지스터 값일 수 있다.
선택 변환부는, 데이터신호의 모든 계조 영역에 하프토닝을 수행하는 제1하프톤부와, 데이터신호의 일부 이상의 계조를 잘라내는 트렁케이션부와, 데이터신호의 계조가 낮은 저계조 영역만 하프토닝을 수행하는 제2하프톤부로 구분될 수 있다.
제2하프톤부는, 에러 디퓨젼(Error Diffusion; E/D), 디더링(Dithering)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하나 또는 다수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하프톤부는, 4비트 에러 디퓨젼, 4비트 에러 디퓨젼 + 3비트 디더링, 4비트 디더링과 4비트 디더링 + 3비트 에러 디퓨전의 조합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2하프톤부가 에러 디퓨전과 디더링의 조합이면, 0.0625 단위의 소수점 자릿값을 갖고, 제2하프톤부가 에러 디퓨젼 + 디더링과 디더링 + 에러 디퓨젼의 조합이면, 0.0078125 단위의 소수점 자릿값을 가질 수 있다.
감마부와 선택 변환부 사이에는, 감마부를 통해 공급된 데이터신호를 감마 레지스터에 따라 제1하프톤부, 트렁케이션부 또는 제2하프톤부로 선택 출력하는 디 멀티플렉서가 포함될 수 있다.
선택 변환부와 구동부 사이에는, 제1하프톤부, 트렁케이션부 또는 제2하프톤부에서 출력된 데이터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출력하는 멀티플렉서가 포함되며, 멀티플렉서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는 전류 증폭부가 포함될 수 있다.
감마부와 디멀티플렉서 사이에는, 감마부를 통해 출력된 데이터신호의 데이터의 이득을 유효이득만큼 조정하는 게인 조정부가 포함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는, 유기 발광다이오드이고, 표시패널부는 하나 이상의 박막트랜지스터,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박막트랜지스터가 데이터신호와 스캔신호에 의해 구동하면 유기 발광다이오드가 발광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감마값을 참조하여 감마 레지스터를 생성하고, 현재 공급된 데이터신호의 계조를 감마값에 따라 변경된 감마곡선에 대응하여 감마 변환하는 감마 변환 단계; 감마 변환된 데이터신호를 감마 레지스터에 따라 데이터신호의 모든 계조 영역에 하프토닝을 수행하거나 데이터신호의 일부 이상의 계조를 잘라내는 트렁케이션을 수행하거나 데이터신호의 계조가 낮은 저계조 영역만 하프토닝을 수행하는 선택 변환 단계; 및 선택 변환된 데이터신호와 스캔신호를 데이터 라인과 스캔 라인이 교차하는 영역에 형성된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표시패널부에 공급하는 신호 공급 단계를 포함한다.
감마 레지스터는, 감마값을 참조하여 감마곡선을 저계조, 중계조, 고계조로 구분한 레지스터 값일 수 있다.
선택 변환 단계는, 데이터신호의 모든 계조 영역에 하프토닝을 수행하는 제1하프톤부와, 데이터신호의 일부 이상의 계조를 잘라내는 트렁케이션부와, 데이터신호의 계조가 낮은 저계조 영역만 하프토닝을 수행하는 제2하프톤부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변환하도록 감마 레지스터를 참조하여 수행할 수 있다.
제2하프톤부는, 에러 디퓨젼(Error Diffusion; E/D), 디더링(Dithering)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하나 또는 다수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하프톤부는, 4비트 에러 디퓨젼, 4비트 에러 디퓨젼 + 3비트 디더링, 4비트 디더링과 4비트 디더링 + 3비트 에러 디퓨전의 조합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2하프톤부가 에러 디퓨전과 디더링의 조합이면, 0.0625 단위의 소수점 자릿값을 갖고, 제2하프톤부가 에러 디퓨젼 + 디더링과 디더링 + 에러 디퓨젼의 조합이면, 0.0078125 단위의 소수점 자릿값을 가질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는, 유기 발광다이오드이고, 표시패널부는 하나 이상의 박막트랜지스터,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박막트랜지스터가 데이터신호와 스캔신호에 의해 구동하면 유기 발광다이오드가 발광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전계발광표시장치의 표시패널부는 다음과 같은 서브픽셀 회로가 다수 포함된다.
도 1은 전류 구동방식의 서브픽셀 회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류 구동방식의 서브픽셀 회로는, 4개의 박막트랜지스터와 1개의 커패시터 및 유기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자세하게는, 구동부로부터 데이터신호를 공급받는 데이터 라인(Data line)과 스캔신호를 공급받는 2개의 스캔라인(Scan1, Scan2)에 2개의 스위칭 트랜지스터(Q1, Q2)가 형성된다. 그리고 구동 트랜지스터(Q4)와 게이트가 공통으로 연결되어 구동 트랜지스터(Q4)의 특성(Vth)를 보상하는 미러 트랜지스터(Q3)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들의 게이트 노드에 커패시터(Cstg)가 형성되며, 구동 트랜지스터(Q4)의 소스 또는 드레인에 발광부(OLED)가 형성된다.
여기서, 발광부(OLED)는 유기 발광층으로 형성된 유기 발광다이오드로 형성되나 무기 발광층으로 형성된 무기 발광다이오드로도 형성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전류 구동방식의 구동 예시도 이고, 도 3은 구동 타이밍도이다. 도 3의 구동 타이밍에서 제1구간(I)은 도 2a, 제2구간(II)은 도 2b, 제3구간(III)은 도 2c를 참조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서브픽셀 회로는 도 2a 내지 도 2c과 같이 구동하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동 타이밍에 따른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 트랜지스터(Q3)가 턴온되면, 커패시터(Cstg)의 데이터(data)전압이 초기화된다.
그리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트랜지스터(Q1)와 미러 트랜지스터(Q3)가 턴온되면 커패시터(Cstg)의 데이터 전류에 의해서 데이터 전압이 충전된다.
그리고,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트랜지스터(Q1)와 미러 트랜지스터(Q3)가 턴오프되면, 커패시터(Cstg)에 충전된 데이터 전압에 의해서 구동 트랜지스터(Q4)가 커패시터(Cstg)의 전류원으로 동작하여 데이터 전류(idata)와 동일한 발광 전류가 흐르게 되어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가 발광을 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계발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계발광표시장치(100)의 블륵도에는 앞서 설명한 표시패널부가 생략되어 있음을 참조한다.
먼저, 감마부(11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감마값을 참조하여 감마 레지스터를 생성하고, 현재 공급된 데이터신호의 계조를 감마값에 따라 변경된 감마곡선에 대응하여 감마 변환한다.
도 5는 감마곡선의 기울기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감마부(110)의 감마 레지스터는 감마값을 참조하여 감마곡선을 저계조, 중계조, 고계조로 구분한 값일 수 있다. 여기서, 감마 레지스터는 감마곡선의 기울기 (a) 이하의 영역은 저계조로, 기울기 (a)와 (b) 사이는 중계조로, 기울기 (b) 이상은 고계조로 구분하고, 각각의 기울기에 따른 감마 출력값을 참조하여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진 않는다.
선택 변환부(130)는 감마부(110)를 통해 공급된 데이터신호를 감마 레지스터에 따라 데이터신호의 모든 계조 영역에 하프토닝을 수행하거나 데이터신호의 일부 이상의 계조를 잘라내는 트렁케이션을 수행하거나 데이터신호의 계조가 낮은 저계 조 영역만 하프토닝을 수행한다.
여기서, 선택 변환부(130)는, 데이터신호의 모든 계조 영역에 하프토닝을 수행하는 제1하프톤부(132)와, 데이터신호의 일부 이상의 계조를 잘라내는 트렁케이션부(134)와, 데이터신호의 계조가 낮은 저계조 영역만 하프토닝을 수행하는 제2하프톤부(136)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감마부(110)와 선택 변환부(130) 사이에는, 감마부(110)를 통해 공급된 데이터신호를 감마 레지스터에 따라 제1하프톤부(132), 트렁케이션부(134) 또는 제2하프톤부(136)로 선택 출력할 수 있도록 디멀티플렉서(131)가 포함된다.
그리고 선택 변환부(130)와 구동부(150) 사이에는, 제1하프톤부(132), 트렁케이션부(134) 또는 제2하프톤부(136)에서 출력된 데이터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출력할 수 있도록 멀티플렉서(139)가 포함된다.
또한, 감마부(110)와 디멀티플렉서(131) 사이에는 감마부(110)를 통해 출력된 데이터신호의 데이터의 이득을 유효이득만큼 조정하는 게인 조정부(120)가 포함될 수 있으며, 멀티플렉서(139)와 구동부(150) 사이에는 전류 증폭부(140)가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디멀티플렉서(131)와 멀티플렉서(139)는 앞서 생성된 감마 레지스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제1제어신호(SC1)과 제2제어신호(SC2)를 받아 데이터신호를 선택적으로 변환하고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하프톤부(136)는 에러 디퓨젼(Error Diffusion; E/D), 디더링(Dithering)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하나 또는 다수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하프톤부(136)는, 4비트 에러 디퓨젼, 4비트 에러 디퓨젼 + 3비트 디더링, 4비트 디더링과 4비트 디더링 + 3비트 에러 디퓨전의 조합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도 6은 제2하프톤부의 조합 예시도 이다.
만약, 제2하프톤부(136)가 에러 디퓨전과 디더링의 조합이면, 0.0625 단위의 소수점 자릿값을 갖고, 제2하프톤부가 에러 디퓨젼 + 디더링과 디더링 + 에러 디퓨젼의 조합이면, 0.0078125 단위의 소수점 자릿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구동부(150)는 선택 변환부(130)를 통해 공급된 데이터신호를 스캔신호와 함께 출력한다.
표시패널부(미도시)는 구동부(150)를 통해 공급된 데이터신호와 스캔신호에 의해 영상을 표현하게 된다.
여기서, 표시패널부는 하나 이상의 박막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및 유기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며, 박막트랜지스터가 데이터신호와 스캔신호에 의해 구동하면 유기 발광다이오드가 발광하게 된다. 표시패널부의 회로 구성은 앞서 설명한 도 1을 참조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적용 용도에 따라 감마부(110)의 감마값을 임의의 대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게인 조정부(120)는 표시패널부의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와 컬러(color) 좌표를 맞출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선택 변환부(1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체 하프톤(제1하프톤부), 트렁케이션(트렁케이션부) 및 부분 하프톤(제2하프톤부)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체 하프톤 사용은 실사용 계조를 제외한 소수점 이하 부분에 대해서만 하프토닝을 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트렁케이션은 모든 계조에 대해서 전류 증폭부(140)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데, 여기서 전류 값은 사전에 프로그램된 값을 사용한다. 그리고, 부분 하프톤은 표시패널부의 전류 보상구동 방법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저계조 보상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낮은 전류 값을 보상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구동회로 내에 별도의 정밀한 전류 보상 회로가 필요하여 구동 IC(Integrated Circuit) 회로가 커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저계조 부분만을 하프토닝 하면 이러한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보상할 수 있는 이유는 종래 보상이 되는 계조 레벨을 사용하여 실계조와 실계조 사이에 하프톤을 사용하여 128계조 표현이 가능하므로 보상되지 않는 계조 영역에 대해서 표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두 개의 실계조를 사용하여 모든 계조 영역을 하프톤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 구동 방법 >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감마 변환 단계(S202)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감마값을 참조하여 감마 레지스터를 생성하고, 현재 공급된 데이터신호의 계조를 감마값에 따라 변경된 감마곡선 에 대응하여 감마 변환하는 단계이다.
감마 레지스터는 감마값을 참조하여 감마곡선을 저계조, 중계조, 고계조로 구분한 값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감마 레지스터는 감마곡선의 기울기 (a) 이하의 영역은 저계조로, 기울기 (a)와 (b) 사이는 중계조로, 기울기 (b) 이상은 고계조로 구분하고, 각각의 기울기에 따른 감마 출력값을 참조하여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진 않는다.
선택 변환 단계(S204)는 감마 변환된 데이터신호를 감마 레지스터에 따라 데이터신호의 모든 계조 영역에 하프토닝을 수행하거나 데이터신호의 일부 이상의 계조를 잘라내는 트렁케이션을 수행하거나 데이터신호의 계조가 낮은 저계조 영역만 하프토닝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선택 변환 단계(S204)는, 데이터신호의 모든 계조 영역에 하프토닝을 수행하는 제1하프톤부와, 데이터신호의 일부 이상의 계조를 잘라내는 트렁케이션부와, 데이터신호의 계조가 낮은 저계조 영역만 하프토닝을 수행하는 제2하프톤부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변환하도록 감마 레지스터를 참조하여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2하프톤부는 에러 디퓨젼(Error Diffusion; E/D), 디더링(Dithering)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하나 또는 다수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하프톤부는 4비트 에러 디퓨젼, 4비트 에러 디퓨젼 + 3비트 디더링, 4비트 디더링과 4비트 디더링 + 3비트 에러 디퓨전의 조합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만약, 제2하프톤부가 에러 디퓨전과 디더링의 조합이면, 0.0625 단위의 소수점 자릿값을 갖고, 제2하프톤부가 에러 디퓨젼 + 디더링과 디더링 + 에러 디퓨젼의 조합이면, 0.0078125 단위의 소수점 자릿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제2하프톤부의 조합은 도 6을 참조한다.
신호 공급 단계(S206)는 선택 변환된 데이터신호와 스캔신호를 데이터 라인과 스캔 라인이 교차하는 영역에 형성된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표시패널부에 공급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표시패널부는 하나 이상의 박막트랜지스터,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박막트랜지스터가 데이터신호와 스캔신호에 의해 구동하면 유기 발광다이오드가 발광하는 것일 수 있다. 표시패널부의 회로 구성은 앞서 설명한 도 1을 참조한다.
이상 본 발명은 전류 보상으로 표현할 수 없는 저계조 영역을 선택적으로 하프토닝을 하여 처리하므로 보상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그리고 종래 전류 보상방식의 저계조 보상 회로는 정밀 정류 제어를 위해서 복잡하게 구성되나 본 발명에 따른 구동방식은 전류 제어단을 단순하고 작게 꾸밀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전류 구동 방식의 문제점인 저계조 보상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저계조 디지털(digital) 보완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저계조를 보상한다. 본 발명과 같은 구동 방식은 저계조 보상을 위한 정밀한 증폭부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회로 구성이 간단하고 저가의 구동 회로를 개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외부로부터 입력된 감마값을 참조하여 감마 레지스터를 생성하고, 현재 공급된 데이터신호의 계조를 상기 감마값에 따라 변경된 감마곡선에 대응하여 감마 변환하는 감마부;
    상기 감마부를 통해 공급된 상기 데이터신호를 상기 감마 레지스터에 따라 상기 데이터신호의 모든 계조 영역에 하프토닝을 수행하거나 상기 데이터신호의 일부 이상의 계조를 잘라내는 트렁케이션을 수행하거나 상기 데이터신호의 계조가 낮은 저계조 영역만 하프토닝을 수행하는 선택 변환부;
    상기 선택 변환부를 통해 공급된 상기 데이터신호를 스캔신호와 함께 출력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통해 공급된 상기 데이터신호와 스캔신호에 의해 영상을 표현하도록 데이터 라인과 스캔 라인이 교차하는 영역에 형성된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표시패널부를 포함하는 전계발광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마 레지스터는,
    상기 감마값을 참조하여 상기 감마곡선을 저계조, 중계조, 고계조로 구분한 레지스터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변환부는,
    상기 데이터신호의 모든 계조 영역에 하프토닝을 수행하는 제1하프톤부와,
    상기 데이터신호의 일부 이상의 계조를 잘라내는 트렁케이션부와,
    상기 데이터신호의 계조가 낮은 저계조 영역만 하프토닝을 수행하는 제2하프톤부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프톤부는,
    에러 디퓨젼(Error Diffusion; E/D), 디더링(Dithering)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하나 또는 다수의 조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표시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프톤부는,
    4비트 에러 디퓨젼, 4비트 에러 디퓨젼 + 3비트 디더링, 4비트 디더링과 4비트 디더링 + 3비트 에러 디퓨전의 조합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표시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프톤부가 에러 디퓨전과 디더링의 조합이면, 0.0625 단위의 소수점 자릿값을 갖고, 상기 제2하프톤부가 에러 디퓨젼 + 디더링과 디더링 + 에러 디퓨젼의 조합이면, 0.0078125 단위의 소수점 자릿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표시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마부와 상기 선택 변환부 사이에는,
    상기 감마부를 통해 공급된 상기 데이터신호를 상기 감마 레지스터에 따라 상기 제1하프톤부, 트렁케이션부 또는 제2하프톤부로 선택 출력하는 디멀티플렉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변환부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는,
    상기 제1하프톤부, 트렁케이션부 또는 제2하프톤부에서 출력된 상기 데이터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출력하는 멀티플렉서가 포함되며,
    상기 멀티플렉서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는 전류 증폭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표시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마부와 상기 디멀티플렉서 사이에는,
    상기 감마부를 통해 출력된 상기 데이터신호의 데이터의 이득을 유효이득만큼 조정하는 게인 조정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유기 발광다이오드이고,
    상기 표시패널부는, 하나 이상의 박막트랜지스터,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가 상기 데이터신호와 스캔신호에 의해 구동하면 상기 유기 발광다이오드가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표시장치.
  11. 외부로부터 입력된 감마값을 참조하여 감마 레지스터를 생성하고, 현재 공급된 데이터신호의 계조를 상기 감마값에 따라 변경된 감마곡선에 대응하여 감마 변환하는 감마 변환 단계;
    감마 변환된 상기 데이터신호를 상기 감마 레지스터에 따라 상기 데이터신호의 모든 계조 영역에 하프토닝을 수행하거나 상기 데이터신호의 일부 이상의 계조를 잘라내는 트렁케이션을 수행하거나 상기 데이터신호의 계조가 낮은 저계조 영역만 하프토닝을 수행하는 선택 변환 단계; 및
    선택 변환된 상기 데이터신호와 스캔신호를 데이터 라인과 스캔 라인이 교차하는 영역에 형성된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표시패널부에 공급하는 신호 공급 단계를 포함하는 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마 레지스터는,
    상기 감마값을 참조하여 상기 감마곡선을 저계조, 중계조, 고계조로 구분한 레지스터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변환 단계는,
    상기 데이터신호의 모든 계조 영역에 하프토닝을 수행하는 제1하프톤부와,
    상기 데이터신호의 일부 이상의 계조를 잘라내는 트렁케이션부와,
    상기 데이터신호의 계조가 낮은 저계조 영역만 하프토닝을 수행하는 제2하프 톤부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변환하도록 상기 감마 레지스터를 참조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프톤부는,
    에러 디퓨젼(Error Diffusion; E/D), 디더링(Dithering)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하나 또는 다수의 조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프톤부는,
    4비트 에러 디퓨젼, 4비트 에러 디퓨젼 + 3비트 디더링, 4비트 디더링과 4비트 디더링 + 3비트 에러 디퓨전의 조합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프톤부가 에러 디퓨전과 디더링의 조합이면, 0.0625 단위의 소수점 자릿값을 갖고, 상기 제2하프톤부가 에러 디퓨젼 + 디더링과 디더링 + 에러 디퓨젼의 조합이면, 0.0078125 단위의 소수점 자릿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유기 발광다이오드이고,
    상기 표시패널부는, 하나 이상의 박막트랜지스터,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가 상기 데이터신호와 스캔신호에 의해 구동하면 상기 유기 발광다이오드가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20060109714A 2006-11-07 2006-11-07 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800415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714A KR20080041524A (ko) 2006-11-07 2006-11-07 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714A KR20080041524A (ko) 2006-11-07 2006-11-07 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524A true KR20080041524A (ko) 2008-05-13

Family

ID=39648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714A KR20080041524A (ko) 2006-11-07 2006-11-07 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15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433B1 (ko) * 2009-08-03 2011-08-1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US9330607B2 (en) 2012-03-16 2016-05-0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gray compensator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433B1 (ko) * 2009-08-03 2011-08-1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US8493375B2 (en) 2009-08-03 2013-07-23 Samsung Display Co., Ltd. Driving apparatus of display device
US9330607B2 (en) 2012-03-16 2016-05-0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gray compensator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6393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743498B1 (ko) 표시 장치의 전류 구동 데이터 드라이버 및 이를 가지는표시 장치
JP4822590B2 (ja) 有機el回路
US20060077138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535286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784014B1 (ko) 유기 el 표시 패널 및 그 구동 방법
JP2009180765A (ja) 表示駆動装置、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20140058283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170078916A (ko) 휘도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05148751A (ja) 表示装置のピクセル回路,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20090102853A1 (en) Color display apparatus and active matrix apparatus
KR20210103826A (ko) 감마전압생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060045744A (ko) 표시 장치
KR20060122307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전처리장치 및 그 저계조표현방법
KR20170014578A (ko) 감마 보정 회로 및 그 구동방법과 그를 이용한 표시 장치
US10270462B2 (en) Digital analog conversion circuit, data driver, display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of digital analog conversion circuit, driving method of data driver, and driving method of display device
KR20080041524A (ko) 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815755B1 (ko) 감마 보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JP2008102235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4355030A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JP2012137783A (ja) 自発光表示用駆動回路
KR100740086B1 (ko) 데이터 구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광 표시 장치
KR100578966B1 (ko) Rgb 계조전압 생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광 표시 장치
JP2012098334A (ja) 発光素子表示装置
JP2021001928A (ja) 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