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1560A - 자동차용 트림내장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트림내장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1560A
KR20030031560A KR10-2003-7000932A KR20037000932A KR20030031560A KR 20030031560 A KR20030031560 A KR 20030031560A KR 20037000932 A KR20037000932 A KR 20037000932A KR 20030031560 A KR20030031560 A KR 20030031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insert
mold
layer
flow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0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9898B1 (ko
Inventor
데윈터르휘호
윌렘스얀
Original Assignee
렉티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렉티셀 filed Critical 렉티셀
Publication of KR20030031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1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8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228Joining preformed parts by the expanding material
    • B29C44/1233Joining preformed parts by the expanding material the preformed parts being supported during expanding
    • B29C44/1238Joining preformed parts by the expanding material the preformed parts being supported during expanding and having flexible and solid are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means for positioning inserts, e.g.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02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1/08Coating a former, core or other substrate by spraying or fluidisation, e.g. spraying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02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1/2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moulding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4Lining or labelling
    • B29C2049/2404Lining or labelling inside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1/00Shaping characteristics in general
    • B29C2791/001Shaping in several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025Applying surface layers, e.g. coatings, decorative layers, printed layers, to articles during shaping, e.g. in-mould printing
    • B29C37/0028In-mould coating, e.g. by introducing the coating material into the mould after forming the article
    • B29C37/0032In-mould coating, e.g. by introducing the coating material into the mould after forming the article the coating being applied upon the mould surface before introducing the moulding compound, e.g. applying a gelco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4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the preformed part being a l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24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29C67/246Moulding high reactive monomers or prepolymers, e.g. by reaction injection moulding [RIM], liquid injection moulding [LI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29L2031/302Trim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2013/0287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integrating other functions or 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2Nonparticulate element embedded or inlaid in substrate and vi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Forg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인테리어 트림내장물의 가시전면(3)을 형성하기 위한 스킨(2)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트림내장물이 상기 가시면의 후측으로 일정한 거리를 둔 배면(7)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사전제조된 인써트(6)를 포함한다. 스킨은 몰드(9)의 적어도 한 면에 대하여 비다공질 또는 미세다공질의 엘라스토머 플라스틱 스킨(2)을 제조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유동성 스킨물질을 도포하고 이를 경화시켜 제조된다. 스킨의 배면에 구조적인 배면층(4) 또는 중간폼층(5)을 결합하기 전에, 사전제조된 인써트가 상기 스킨물질에 접착고정된다. 상기 유동성 스킨물질로서 폴리우레탄 반응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사전제조된 인써트는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상기 유동성 스킨물질의 점착성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접착고정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방법은 스킨의 플라스틱 물질과 인써트 사이가 외관상 정연히 마무리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트림내장물의 제조방법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UTOMOTIVE TRIM PART}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의 내부에 착설되어 인테리어의 일부를 구성하는 트림내장물의 가시전면부를 형성하는 플라스틱물질로 된 스킨, 특히 유연성 스킨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트림내장물은 상기 플라스틱물질에 의하여 형성되는 가시전면부의 후측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배면을 갖는 사전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인써트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스킨은 몰드의 적어도 한 면에 대하여 비다공질 또는 미세다공질인 엘라스토머 플라스틱 스킨을 형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유동성 스킨물질을 도포하고 이 유동성 스킨물질이 상기 플라스틱물질을 얻도록 경화되게 함으로써 제조된다. 트림내장물 자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적어도 구조적인 배면층 중간폼층의 매개를 통하여 제조된 스킨의 배면에 결합된다.
자동차산업분야에 있어서, 대쉬보드, 도어판넬, 커버 또는 다른 면판과 같은 내장물이 점점 복잡하게 되고 있다. 전자장치와 같은 자동차의 새로운 옵션은 운전자의 안락감과 요구를 개선하기 위하여 최소유효공간에 배치되어야 한다. 더욱이, 외관상 미적인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자동차 내부를 보다 미려하게 구성하기 위하여 새로운 컬러, 새로운 표면조도, 새로운 물질이 사용되고 있다.
다른 추세로는 자동차의 개성화이다. 자동차 운전자는 그들의 자동차가 그들의 개성과 동일시되는 것을 원하고 있다. 그들은 그들의 자동차에 개인적인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고도의 인써트 선택을 필요로 하고 있다. 특수한 자동차에 대한 수요자의 결정을 위하여 고품질 컬러, 재료, 기능이 필요하다. 오늘날, 제조공정은 제조비용의 이유로 한정된 변형과 옵션으로 제한되고 있다.
현재 자동차 트림내장물의 제조방법은 통상적으로 다음의 개념에 기초하고 있다.
- 페인트, 특히 소위 인몰드 페인트 또는 스킨에 사후 도포되는 페인트로 커버되는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미려한 가시부분(스킨 또는 포일)의 제조 ;
- 한 공정에서 이러한 가시부분과 자기지지형 캐리어, 즉 구조적인 배면부의 결합. 여기에서 견고한 PU 계가 스킨의 배면에 대하여 또는 2 단계 공정에서 예를 들어 R-RIM(Reinforced Reaction Injection Moulding)에 의하여 도포되며, 캐리어는 예를 들어 견고한 ABS로부터 사출성형공정에 의하여 사전에 제조되고 제 2 단계에서 예를 들어 PU 배면발포공정을 이용하여 스킨에 결합된다 ;
- 별도로 사전에 제조된 인써트의 결합이 자기지지형 부분에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이들 부분의 다이-컷트.
트림내장물에 사전제조된 인써트를 조립하는 것은 다수의 인써트 또는 그 부속물, 도선 등이 착설되어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많이 들고 작업이 복잡하다. 더욱이, 광범위한 재료의 여러 인써트가 트림내장물에 절결하여 형성한 삽입공에 완벽하게 삽입되어야 한다. 삽입공 또는 인써트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 자동차내의 큰 온도변화(-35 ℃ ~ +130 ℃) 또는 내장물의 다이컷트공정의 공차에 의하여 가시적인 외관이 보기 싫게 된다.
트림내장물내에 착설되는 인써트의 다른 문제점은 이들이 예를 들어 자동차가 울퉁불퉁한 길을 달릴 때 듣기 싫은 잡음이 발생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잡음은 인써트가 트림내장물의 스킨 또는 다른 층에 대하여 진동을 일으키고 이로써 마찰을 일으켜 발생되는 것이다. 고품질의 수요를 감안할 때 이러한 잡음은 자동차산업분야에서 중요한 문제점으로 좀처럼 해소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인테리어내장을 위한 트림내장물과 그 스킨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바, 이 방법은 트림내장물내에 인써트를 용이하게 삽입하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스킨에 의하여 형성되는 트림내장물의 가시면과 자동차에 설치되는 최종부분에서 눈에 띄게 남는 인써트 사이의 전이부분이 정연히 마무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사전에 제조된 인써트가 몰드내에 배치되고 플라스틱물질인 유동성 스킨물질이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상기 유동성 스킨물질의 점착성을 이용하여 플라스틱물질에 점착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트림내장물내에 사전제조된 인써트를 일체로 결합하기 위하여, 인써트가 트림내장물의 삽입공에 조립되는 것이 아니고 이들 인써트가 다이컷팅으로 삽입공이 형성됨이 없이 이러한 스킨을 제조할 때 스킨에 고정될 수 있다. 스킨에 인써트를 고정하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수행된다.
제 1 실시형태에서, 사전제조된 인써트는 몰드면에 배치되고 유동성 스킨물질이 몰드면에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스킨에 인써트를 고정토록 인써트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층으로 몰드면과 인써트의 적어도 한 측면에 대하여 도포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스킨에서, 인써트는 이후에 고정되는 마감부재에 의하여 덮이지 않는 한 트림내장물 상에 외부로부터 눈에 보이도록 가시적인 상태에 놓인다.
인써트는 유동성 스킨물질로부터 스킨을 성형할 때 스킨에 일체로 결합되고 고정되므로, 일부 인써트의 크기가 다르거나 장기간 심한 온도변화에 노출된다 하더라도 인써트와 스킨 사이의 전이부분이 정연히 마무리될 수 있다. 인써트가 스킨에 고정된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구조적으로 보다 안정하게 되어 장기간 심한 온도변화에 노출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인써트와 스킨 사이의 마무리특성이 그대로 유지될 것이다. 종래기술의 방법에 있어서는 대조적으로 스킨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자동적으로 얻을 수 없어 스킨 또는 트림내장물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금속보강와이어가 스킨의 배면에 대하여 배면폼층에 보강되었다.
제 2 실시형태에서, 인써트는 가시전면을 가지고 이 전면이 스킨이 성형되는 몰드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몰드내에 배치되며 스킨물질이 인써트의 전면을 덮도록 유동성 스킨물질이 몰드면과 인써트의 전면에도포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인써트는 사출공정, 특히 폐쇄된 몰드에서 수행되는 RIM 공정을 이용하여 스킨내에 용이하게 일체로 결합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스킨의 가시전면이 일측 몰드면에서 형성되고 인써트는 제 1 몰드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도록 대향된 몰드면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어 유동성 스킨물질이 인써트의 전면과 몰드면 사이로 침투할 수 있게 된다.
제 3 실시형태에서, 몰드에 사전제조된 인써트를 배치하기 전에 몰드면에 대하여 유동성 스킨물질의 제 1 층을 도포하고 이 제 1 층에 인써트를 점착시키기 위하여 유동성 스킨물질이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이 제 1 층 상에 전면이 몰드면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도록 인써트를 배치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폴리우레탄 반응혼합물인 유동성 스킨물질의 제 1 층은 개방몰드에서 몰드면에 스프레이되는 것이 좋다. 스프레이 직후에 인써트는 이 스프레이층의 배면측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라서 몰드면에 인써트를 배치할 때, 유동성 스킨물질은 개방몰드에서 스프레이 공정으로 도포되거나 또는 폐쇄몰드에 주입 또는 사출되거나 특히 유동성 스킨물질이 반응혼합물인 경우반응사출성형(RIM)공정으로 사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비다공질 또는 미세다공질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 스킨을 얻기 위하여 상기 유동성 스킨물질로서 반응혼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반응혼합물을 이용하는 이점은 몰드압력 및 몰드온도가 비교적 낮은 여러 도포방법(스프레이, 주입 또는 사출)에 유리하기 때문이며 이 경우 이들 인써트가 기계적인 인써트, 장식용 인써트 또는 기능적이거나 전기적인 인써트인 것에 관계없이 일체로 결합된 인써트의 외관특성을 해칠 염려가 없다.
종래기술로서 특허문헌 US-A-4 810 452에는 자동차의 인테리어, 특히 도어판넬을 위한 면판의 제조를 위한 방법이 기술되어 있는 바, 이 방법에 있어서는 벨벳 직물편 또는 직물이 몰드의 요구내에 이들의 배면이 몰드면과 동일한 높이에 놓이도록 배치된다. 이후에 폴리우레탄 반응혼합물의 연속층이 몰드면과 직물편의 배면으로 이루어지는 면에 스프레이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는 대조적으로, 이러한 공지의 방법은 면판의 외면에 얇은 층의 피복물질을 도포하는 경우에만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는 인써트가 상당한 두께를 가지고 기능적인 요소일 수 있으며, 이들 인써트가 트림내장물의 스킨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이 아니고 스킨에 의하여 형성된 가시면에 부분적으로 요입형성된부분에 배치된다. 즉, 인써트의 배면이 스킨의 플라스틱물질에 의하여 형성되는 가시면의 후측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인써트는 주위의 트림내장물부분보다 두께가 두꺼울 수 있어 이들이 구조적인 배면층 또는 인써트 둘레의 캐리어의 배면에 의하여 형성된 면의 후측으로 연장된다.
또한 다른 종래기술인 특허문헌 WO95/32850에는 둘 이상의 상이한 컬러를 갖는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 물질의 엘라스토머 스킨을 제조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이 방법에 있어서는 몰드의 일부가 마스크에 의하여 차폐된 상태에서 제 1 컬러의 엘라스토머 물질이 차폐되지 않은 부분에 스프레이된다. 이어서 마스크가 제거되고 제 2 컬러의 엘라스토머 물질이 몰드면과 이미 도포된 제 1 스킨층에 스프레이된다. 그리고 폼층과 구조적인 배면층이 도포된다. 이러한 공지의 기술이 갖는 결점은 양 스킨부분이 몰드에서 동일한 종류의 물질로 만들어져야 하는 점이다. 더욱이, 각 상이한 컬러를 위하여 별도의 반응혼합물과 별도의 스프레이장치가 제공되어야 하므로 제조공정 중에 컬러의 변화가 제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는 대조적으로 사전에 제조된 인써트가 몰드내에 배치되고 스킨의 외관변화가 가능하며 또한 기능적인 요소의 다양한 사용이 가능하다. 스킨 또는 트림내장물에 사전제조된 인써트를 일체로 결합하는 것에 대하여서는 상기 특허문헌WO95/32850에 언급이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 1 실시형태의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몰드면은 직립변부를 가지고 사전제조된 인써트는 인써트가 몰드의 직립변부에 접속되어 배치되는 측면부를 갖는다.
이 실시형태의 이점은 직립변부가 유동성 스킨물질이 인써트의 측면부를 덮는 것을 방지하고 인써트의 전면까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환언컨대, 이 직립변부는 트림내장물의 가시면측에서 스킨의 가시면과 인써트 사이에 정연하고 깨끗한 전이부분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사전제조된 인써트는 전면을 가지고 이 전면이 스킨이 성형되는 몰드면에 일치되게 배치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인써트는 노출되어 트림내장물의 가시면 부분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인써트는 전면을 가지고 스킨이 성형되는 몰드면의 후측으로 그 전면이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전면이 스킨에 의하여 형성된 가시면내에 요입되며, 상기유동성 스킨물질이 특히 몰드면의 직립변부 또는 상승부분에 인써트를 배치함으로써 인써트의 전면을 덮는 것이 방지되어 스킨이 인써트의 전면측으로 요입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인써트 전면의 요입부에 마감부재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인써트의 전면이 스킨의 가시면과 동일한 높이가 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는 스킨의 변부가 마감부재의 주연에서 인써트에 고정되고 자동차의 큰 온도변화에 장시간 노출되어도 구조적으로 안정되므로 스킨과 마감부재 사이의 전이부분이 정연하게 마무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서 특히 자동차에 착설되어 인테리어의 일부를 구성토록 배치되는 트림내장물의 가시전면을 형성하기 위한 비다공질 또는 미세다공질 엘라스토머 플라스틱 물질로 구성되는 스킨, 특히 유연성 스킨에 관한 것으로, 이 스킨이 스킨의 플라스틱 물질에 점착고정되고 상기 가시면의 후측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배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사전제조된 인써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타 다른 특징이나 이점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스킨의 특정 실시형태를 기술하는 하기 상세한 설명에 의해 자명해질 것이다. 이러한 상세한 설명은 구체적인 예로 나타낸 것으로 첨부된 청구범위에 규정된 양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특정실시형태에 따라서 자동차의 대쉬보드와 같은 인테리어부분의 트림내장물을 성형하는 방법의 연속단계를 설명하는 몰드의 단면도.
도 2 는 도 1 에서 보인 일점쇄선 원 II 의 부분확대로로서 몰드면에 형성된 직립변부에 접속되고 스킨의 폴리우레탄 물질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덮이는 배면을 갖는 외관장식용 인써트를 보인 부분확대단면도.
도 3 은 도 1 에서 보인 일점쇄선 원 III 의 부분확대로로서 몰드면에 형성된 직립변부에 일측 면만이 접속되고 스킨의 폴리우레탄 물질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덮이는 배면을 갖는 외관장식용 인써트를 보인 부분확대단면도.
도 4 와 도 5 는 인써트 둘레의 갭에 삽입되는 장식용 프레임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 6 - 도 8 은 도 2 와 유사한 다른 실시형태의 부분확대단면도.
도 9 - 도 12 는 인써트에 형성된 유연성 연장편의 여러 형태를 보인 단면도.
도 13 은 도 2 와 유사한 단면을 보이고 있으나, 트림내장물, 특히 환기하우징에 기능적이고 기계적인 인써트가 일체로 결합된 것을 보이고 있으며, 폼 배면층과 도 1 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이에 도포되는 구조적인 배면층 또는 캐리어를 갖는 것을 보인 부분확대단면도.
도 14 는 몰드로부터 분리된 트림내장물에 일체로 결합되고 조절형의 환기블레이드가 덮개에 착설되는 삽입공을 제공하기 위하여 배면이 다이컷팅된 것을 보인 도 13 과 유사한 부분확대단면도.
도 15 는 트림내장물에 일체로 결합되고 예를 들어 전자 PLC 장치, 스위치 및 LED 로 구성되는 기능적이고 전자적인 인써트를 보인 도 13 과 유사한 부분확대단면도.
도 16 은 트림내장물에 나선링으로 구성되는 기계적인 연결구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보인 도 13 과 유사한 부분확대단면도.
도 17 은 몰드로부터 분리된 트림내장물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트림내장물의 기계적인 연결구 전면에 형성된 요구에 마감부재가 조립된 도 16 의 기계적인 연결구를 보인 부분확대단면도.
도 18 은 도 17 에서 보인 기계적인 연결구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부분확대단면도.
도 19 는 도 16 과 유사하나 기계적이고 전기적인 연결구를 갖는 인써트가 일체로 결합된 것을 보인 부분확대단면도.
도 20 은 도 2 와 유사하나 스킨내에 전기스위치와 기타 전자 또는 전기회로가 일체로 결합된 것을 보인 부분확대단면도.
본 발명은 자동차 인테리어를 위한 트림내장물(1)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쉬보드, 도어판넬, 콘솔박스, 글러브박스와 같은 트림내장물 또는 이러한 트림내장물(1)의 가시전면(3), 즉 판넬을 형성하는 스킨(2)과 같은 인테리어 트림내장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킨(2)에 부가하여, 트림내장물(1)은 통상적으로 중간폼층(5)의 매개를 통하여 스킨(2)의 배면에 결합되는 구조적인 배면층(4), 즉 견고한 캐리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트림내장물(1)에는적어도 하나의 사전에 제조된 인써트(6)가 일체로 결합된다. 이 인써트(6)는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심미적인 요소, 기능적인 요소, 또는 전자적인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요특징은 인써트(6)가 스킨(2)에 의하여 형성되는 가시전면(3)의 후측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배면(7)을 갖는 것이다. 환언컨대, 인써트(6)는 단순히 부착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문헌 US-A-4 810 452와 같이 스킨(2)의 전면(3)에 그 배면(7)이 점착되는 것이다.
유연성의 스킨인 이러한 스킨(2)은 몰드(9)의 적어도 한 몰드면(8)에 대하여 비다공질 또는 미세다공질의 엘라스토머 플라스틱 스킨을 얻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유동성 스킨물질을 도포하여 얻는다. 이러한 스킨은 평균두께가 0.1 ~ 3 mm 의 범위이고 통상적으로는 0.5 ~ 1.5 mm 의 범위이며 밀도는 스킨이 비다공질 또는 미세다공질이므로 통상 400 kg/㎥ 이상, 바람직하게는 700 kg/㎥ 이상이다. 스킨 또는 기타 다른 층의 평균두께를 측정하기 위하여 스킨의 체적과 면적을 측정하고 체적을 면적으로 나누었다. 유동성 스킨물질은 용융된 열가소성물질, 특히 TPO, PVC, EV 등과 같은 TPE(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서는 비다공질 또는 미세다공질의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 물질을 얻기 위하여 반응혼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반응혼합물을 이용하는 것에 대한 이점은 몰드압력과 온도를 비교적 낮게 유지할 수있도록 함으로써 일체로 결합되는 인써트의 외관 또는 특성이 저하될 염려가 없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반응혼합물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당해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이러한 물질을 이용하는 기존의 성형기술에 따라서 열가소성 물질로부터 얻을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반응혼합물은 개방몰드의 몰드면(8)에 대하여 스프레이공법으로 도포되거나, 폐쇄몰드에서, 특히 반응사출성형(RIM)공법에 따라서 주입 또는 사출되어 도포될 수 있다. 스프레이공법, 주입공법 및 RIM공법은 그 자체가 공지된 것이므로 이들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은 않기로 한다. 스프레이공법의 경우 유럽특허 EP-B-303 305에 기술된 내용이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폴리우레탄 반응혼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스프레이공법을 설명하고 있는 유럽특허 EP-B-0 379 246과 반응사출성형공법을 설명하고 있는 특허문헌 WO98/14492에 기술된 바와 같은 광안정성의 매스-스테인드 컬러 폴리우레탄 반응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특허문헌은 본 발명의 특정조성에 대하여 참조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감층, 특히 광안정성 폴리우레탄 페인트, 즉 수계 또는 용매계인 소위 PU 인몰드 페인트가 먼저 몰드면에 대하여 도포될 수 있다. 이 페인트는 도포된 엘라스토머 층과 함께 스킨(2)을 구성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엘라스토머 층은 필히 광안정성일 필요는 없어 이 층을 위하여 방향족 폴리우레탄계를 이용할 수 있다.
스킨(2)의 배면에 부착되는 구조적인 배면층(4), 즉 캐리어는 자기지지형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데 필요한 강도를 트림내장물(1)에 부여할 수 있는 PVC, ABS, SMA, PU 등과 같은 다양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배면층(4)은 스킨(2)의 배면에 대하여 1 단계 공정, 특히 폐쇄몰드에서 경고한 PU 계로부터 출발하여 S-RIM(구조적인 RIM)공법 또는 R-RIM(보강형 RIM)공법에 의하여 도포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유럽특허 EP-B-0 642 411에 기술된 바와 같은 개방몰드에서의 스프레이공법에 의하여 도포되어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폴리우레탄 폼계가 판넬의 촉감을 개선하기 위하여 중간폼층(5)을 형성토록 먼저 스킨(2)의 배면에 도포될 수 있다(유럽특허 EP-B-0 642 411 참조).
또한, 구조적인 배면층(4)이 스킨(2)의 배면에 대하여 2 단계 공정에서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에 있어서, 예를 들어 배면층(4)이 먼저 사출공정 또는 반응사출공정에 따라서 성형된다. 제 2 단계에서 이는 예를 들어 스킨(2)의 배면에 직접 접착될 수 있다. 그러나, 트림내장물(1)의 부드러운 촉감을 개선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는 스킨(2)과 구조적인 배면층(4)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폼층(5)을 매개로 하여 스킨의 배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폼을 위한 반응폴리우레탄 또는 기타 다른 혼합물이 스킨(2)에 견고한 배면층(4)이 부착되기 전에 스킨(2) 상에 주입되거나 스킨(2)과 배면층(4) 사이에 주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특징은 사전에 제조된 인써트(6)가 트림내장물(1)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인써트(6)는 유동성 스킨물질이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환언컨대 반응혼합물이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상기 유동성 스킨물질의 점착성에 의하여 스킨의 플라스틱 물질에 접착고정된다. 인써트가 스킨층에 고정되므로 이러한 고정방식에 의하여 스킨(2)이 인써트의 둘레에서 구조적으로 안정되어 전이부분이 정연하게 마무리되면서도 잡음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트림내장물에 인써트를 착설하는데 다른 조립단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후속적으로 트림내장물에,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된 인써트 상에 다른 요소의 착설을 배제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자동차의 인테리어를 위한 트림내장물(1), 특히 대쉬보드를 제조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한 과정을 보인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사전제조된 인써트(6)가 이를 몰드면(8)에 배치하고 이러한 몰드면(8)과 인써트(6)의 적어도 한 면에 대하여 몰드면(8)과 인써트(6)의 상기 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도록 연장되는 층으로 스킨(2)을 형성하기 위한 반응혼합물을 도포함으로써 스킨(2)에 고정된다.
도 1 의 실시형태에서, 두 부분으로 된 몰드(9)가 사용된다. 이에 인써트(6)를 배치하기 전에, 먼저 몰드(9)에 몰드이형제 또는 인몰드 코팅이 선택적으로 스프레이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인써트(6)는 하부몰드의 몰드면(8)에 배치된다. 이어서, 폴리우레탄 반응혼합물이 몰드면(8)과 인써트(6)의 배면(7) 상에 연장되는 층으로 스프레이 건(10)에 의하여 스프레이된다.
제 2 단계에서, 아직 스킨(2)이 어느 정도 점착성이 있을 때 폴리우레탄 폼층(5)을 얻기 위한 반응혼합물이 폴리우레탄 스킨(2)의 배면에 주입노즐 또는 믹싱헤드(11)에 의하여 주입된다. 언더컷트의 경우 제 1 단계에서 얻은 스킨이 제 2 몰드로 옮겨져야 하며 이 제 1 몰드의 하부몰드부분은 트림내장물을 탈형하기 위하여 둘 이상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 3 단계에서, 사전에 제조된 구조적인 배면층(4)이 부착되어 있는 몰드(9)의 최상측부분이 폐쇄되고 탈형되기 전에 스킨과 중간폼층이 경화되도록 방치되어 트림내장물(1)을 얻게 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구조적인 배면층(4)은 별도의 사출몰드에서 사출될 수 있는 예를 들어 ABS 또는 SMA(스티렌 말레인산 무수물)과 같은 열가소성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물론, 구조적인 배면층은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이소시안우레이트 반응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몰드(9)를 폐쇄하기 전에 몰드(9)에 폼물질을 주입하는 대신에 몰드(9)를 폐쇄한 후에 스킨(2)과 구조적인 배면층(4) 사이에 폼물질이 사출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폴리우레탄 폼층(5)을 얻기 위한 반응혼합물이 제 2 단계에서 폴리우레탄 스킨(2)의 배면에 스프레이 건에 의하여 스프레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간폼층(5)이 형성되었을 때, 몰드가 폐쇄되고 견고한 구조적인 배면층(4)을 얻기 위하여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이소시안우레이트 반응혼합물인 적당한 반응혼합물이 제 3 의 스프레이건에 의하여 몰드 캐비티에 주입될 수 있다.
도 1 에서 보인 인써트(6)는 자동차의 최종 트림내장물(1)에서 가시상태로 남겨질 수 있게 되어 있고 특히 그 전면(12)이 트림내장물(1)의 가시면(3)의 일부를 구성토록 덮이지 않은 상태로 남겨진다. 이들 인써트는 가죽, 직물, 폼 등, 또는 목재, 금속, ABS(아크릴부타디엔 스티렌), PC(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투명물질이나 장식용 물질과 같은 플라스틱 부품처럼 비교적 연질의 물질로 경질의 물질까지 다양하게 외양을 미려하게 하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스킨(2)의 폴리우레탄 물질과 심미적인 인써트(6)의 변부 사이의 트림내장물(1)의 가시전면에서 훌륭하게 마무리 마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몰드면(8)에는 직립변부(13)가 형성되어 있고 인써트(6)는 이들의 측면부(14)가 이들 직립변부(13)에 접속되게 배치된다. 도 2 는 직립변부(13)에 대하여 한 인써트의 측면부(14)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확대하여 보인 것이다. 시각적인 관점에서, 어느 특정영역은 도 1 의 제 2 인써트의 경우보다 중요하지 않을 수 있으며 도 3 에서 보인 바와 같이 낮은 직립변부가 이용되거나 직립변부가 전혀 이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시각적인 관점이 중요한 경우, 직립변부(13)는 두께 d 가 0.1 ~ 5 mm, 바람직하게는 0.25 ~ 1 mm인 베이스를 갖는 것이 좋다. 이 베이스의 두께는 최종제품에서 엘라스토머 스킨층과 인써트 사이의 갭의 폭 또는 도 13 과 도 14 에서 보인 바와 같이 심미적인 것이 요구되는 경우 반경을 결정한다. 심미적인 이유에서, 때로는 이러한 갭이 보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가죽 또는 목재처럼 보이는 장식프레임(37)을 이러한 갭에 강제로 삽입하여 달성할 수 있다. 도 4 에서 보인 실시형태에서, 장식프레임(37)은 갭과 동일한 폭을 가짐으로써 인써트의 둘레에 좁은 변부부재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 는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프레임(37)은 인써트와 스킨물질의 근접한 변부를 부분적으로 덮는 장식헤드부분을 갖는다. 이 실시형태에서, 프레임은 이를 갭에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하여 다브테일형으로 되어 있다.
인써트가 가시적인 상태에 놓일 때, 직립변부(13)와 인써트(6)의 측면 사이에서 스킨을 위한 반응혼합물이 인써트의 전면(12)까지 침투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 좋다. 직립변부와 인써트 사이를 오버사이즈로 함으로써 가벼운 압력이 스프레이가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는 밀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직립변부(13)는 특히 그 높이 h 가 적어도 0.5 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mm 인 것이 좋다. 반응혼합물의 점도에 따라서, 인써트가 직립변부에 접속되는 압력으로 반응혼합물이 인써트의 전면측으로 침투하여 이를더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인써트의 두께가 너무 작은 경우, 인써트가 직립변부에 접속될 수 있는 높이는 필요한 경우 인써트의 배면에 대하여 배면층(폼층)을 부착하여 높일 수 있으며 또한 도 6 에서 보인 바와 같이 그 주연변부에 플랜지(15)가 구비될 수 있다.
도 7 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인써트(6)에는 측면돌출부(16)가 구비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인써트가 직립변부(13)의 상부측에 배치됨으로써 돌출부(16)가 직립변부(13)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한다. 특히, 스킨(2)을 위한 반응혼합물이 몰드면(8)에 스프레이될 때, 측면돌출부(16)에 의한 차폐효과는 반응혼합물이 인써트(6)와 직립변부(13) 사이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다른 한편으로, 도 8 에서 보인 바와 같이, 측면돌출부(16)는 또한 인써트(6)가 직립변부(13)에 걸치도록 하여 그 전면(12)이 스킨이 성형되는 몰드면(8)의 후측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그 전면(12)이 엘라스토머 스킨층(2)에 의하여 형성되는 가시면내에 요입될 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미 언급된 실시형태에서는, 그 반대로 인써트(6)가 이 인써트의 전면(12)이 실질적으로 스킨(2)이 성형되는 몰드면(8)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놓이도록 배치되어 인써트를 배치함에 있어서 정연하고 연속적인 가시면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 있어서는 몰드면의 작은 요입부에 인써트를 배치하여 이들이 트림내장물의 가시면으로부터 약간 돌출되게 하는 것이 좋은 경우도 있다.
도 9 - 도 12 에서는 부가적인 실시형태들이 설명되는 바, 여기에서 유연성 연장편(38)에 의하여 인써트(6)와 직립변부(13) 사이의 개선된 밀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a 에서, 연장편(38)은 인써트(6)의 측면상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인써트를 직립변부에 대하여 배치할 때 상측으로 더욱 밀린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도 9b 에서 보인 바와 같이 효과적인 밀봉이 이루어진다. 연장편의 다른 실시형태가 도 10a 와 도 10b 에 도시되어 있는 바, 여기에서 연장편은 각각 변형되기 전의 상태와 변형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11 과 도 12 는 연장편(38)의 또 다른 형상을 보이고 있다. 도시된 연장편의 두께 t와 길이 ℓ은 0.2 ~ 5 mm 사이이다.
스킨(2)에 일체로 결합되는 인써트(6)는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미적기능을 가질뿐만 아니라 기능적인 기능도 갖는다. 그 예가 도 13 및 도 14 에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환기하우징(17)이 몰드면(8)에 대하여 직립변부(13) 사이에 배치되어 엘라스토머 스킨층(2)과 인써트(17)의 가죽장식 전면(12) 사이에 정연한 마감변환이 이루어진다. 이 인써트(17)는 폐쇄형의 배면(7)을 가짐으로써 그 배후 전체가 스킨(2), 폼층(5) 및 구조적인 배면층(4)으로 완전히 덮일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써트(17)의 배면측은 여러 중첩된 층을 다이컷팅하여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공기가 환기하우징으로 환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의 흐름을 바꾸거나 개방부분을 폐쇄하기 위한 조절블레이드(18)가 환기하우징(17)내에서 배면측에 착설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블레이드가 인써트를 배치하는 과정에서 구성될 수 있다.
기능적인 인써트(6)의 다른 예가 도 15 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측면돌출부(16)가 구비된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 장치(19)가 그 측면돌출부가 직립변부(13)의 상부에 놓이도록 배치된다. 그 가시전면에서, PLC 장치는 예를 들어 수개의 LED 및 스위치를 갖는 반면에, 그 배면에는 전기연결구(20)가 구성되어 있다. PLC 장치는 두께가 두꺼우므로 스킨(2)을 위한 반응혼합물의 스프레이 작업이 그 측면에 국한된다. 중간폼층(5)의 폼물질이 배면을 덮어 PLC 장치의 전기연결구(20)를 덮는 것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사전에 제조된 구조적인 층(4)에 통공이 형성되며 이는 PLC 장치의 배면에 형성된 요구(22)에 결합되는 하향플랜지(21)에 의하여 둘러싸인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PLC 하우징만이 트림내장물에 일체로 결합되고 이후 PLC 장치 자체가 이 하우징에 용이하게 착설되도록 할 수 있다.
이미 언급된 실시형태에서, 사전제조된 인써트(6)는 트림내장물(1)의 가시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덮이지 않고 남겨지는 전면(12)을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서, 인써트(6)는 인써트(6)를 덮기 위하여 이에 마감부재를 고정함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추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인써트(6)는 그 전면(12)이 스킨(2)이 성형되는 몰드면(8)의 후측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놓임으로써 그 전면(12)이 스킨(2)에 의하여 형성되는 가시면(3)내에 요입된다. 스킨층(2)을 구성하는 반응혼합물은 인써트(6)를 직립변부(13) 상에 배치하거나 몰드면의 상승부(23) 상에 배치함으로써 인써트(6)의 전면(12)을 완전히 덮는 것이 방지되어 스킨(2)이 인써트(6)의 전면측에 요구(24)를 형성한다.
이러한 실시형태가 도 16 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인써트(6)는 몰드면(8)의 상승부(23)의 턱(26)에 배치되는 내부나선링(25)으로 구성된다. 이 상승부의 중앙부분은 링(25)의 상측변부까지 연장되고 스킨을 구성하는 반응혼합물이 링(25)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7 에서 보인 바와 같이, 트림내장물이 탈형되었을 때, 장식을 위한 마감부재(27)가 이 마감부재(27)의 장식전면(28)이 스킨(2)에 의하여 형성된 가시면(3)과 동일한 높이에 이를 때까지 내부나선링(25)에 나선결합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역시 마감부재의 전면과 성형된 엘라스토머 스킨층(2)의 가시면 사이가 정연히 마무리될 수있다.
일체로 결합된 인써트(6)에 마감부재(27)를 고정하기 위하여 스크류나선 대신에 장부촉결합요소, 스냅결합연결구 또는 기타 다른 퀵 커플링시스템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링에는 가이드 하우징이 제공되어 마감부재가 별도의 고정요소에 의하여 트림내장물의 배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일련의 상이한 교환형 마감부재(27)가 인써트에 고정토록 제공된다. 이 실시형태의 이점은 자동차가 이미 판매자에 인도되었거나 사용될 때와 같이 자동차제조공정의 최종단계에서 마감부재가 착설될 수 있으므로 많은 특화가능성을 제공한다. 도 18 은 인써트(6)와 마감부재(27) 사이의 스냅연결구성을 보인 것이다. 실질적으로 유사한 스냅연결구조는 구조적인 배면층(4)과 마감편 사이에 이미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인써트는 스킨(2)의 가시전면(3)에 보다 정확히 배치되므로 마감부재의 전면(28)과 스킨의 가시면(3) 사이가 보다 정연히 마무리될 수 있다.
마감부재(27)는 심미적인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전자요소와 같은 기능적인 요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요소를 위한 인써트가 도 19 에 도시되어 있다. 이 인써트는 도 16 에서 보인 링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나 연결핀(30)을 갖는 침(29)과 전기도선(32)에 연결되는다른 전기연결구(31)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LED 와 스위치 또는 버튼으로 구성되는 마감부재가 스냅연결방식으로 이 인써트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전기 또는 전자부품은 예를 들어 도 17 과 도 18 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인써트에 나선결합되거나 스냅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전기도선은 인써트(6)의 후측에서 구조적인 배면층(4)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안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인써트(6)는 필히 몰드면(8)에 배치되지는 않고 스킨(2)이 성형되는 몰드면(8)으로부터 그 전면(12)이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인써트(6)의 전면이 스킨의 반응혼합물에 의하여 덮인다. 이는 예를 들어 두 부분으로 된 몰드의 상측부분에 인써트를 고정하고 대향된 몰드부분의 몰드면과 인써트의 전면 사이에 반응혼합물을 사출하거나 주입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사전에 제조된 인써트(6)를 몰드에 배치하기 전에 몰드면(8)에 대하여 스킨(2)을 형성하는 반응혼합물의 제 1 층(33)을 형성하고 이 제 1 층(33)에 인써트를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다. 인써트를 제 1 층(33)에 고정하기 위하여 별도로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인써트(6)는 반응혼합물의 이 제 1 층(33)이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인써트를 이 층에 점착시킬 수 있도록 이 층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이와 같은 경우 인써트가 스킨의 반응혼합물에 의하여 스킨에 점착고정되므로 별도의 접착제가 사용되지 않아 로버트에 의하여 신속히 수행되는 것이 좋다. 엘라스토머 스킨 층에 인써트를 고정하는 것이 연속하여 도포되는 중간폼층에, 또는 폼층이 없는 경우 구조적인 배면층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서, 그리고 도 20 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제 1 층(33)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된 반응혼합물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비다공질 또는 미세다공질의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 물질의 제 2 층(34)이 사전제조된 인써트(6)를 제 1 층(33) 상에 배치한 후에 제 1 층(33)의 배면과 인써트(6)의 적어도 한 면에 도포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인써트(6)는 제 1 층(33)의 반응혼합물과 제 2 층(34)의 반응혼합물에 의하여 스킨(2)에 접착된다. 비교적 얇은 인써트(6)의 경우, 다른 반응혼합물의 제 2 층(34)이 인써트(6)의 배면에 도포되어 전체가 스킨(2)에 의하여 밀봉될 수 있다. 다른 반응혼합물의 제 2 층(34)은 엘라스토머 물질의 반응혼합물의 제 1 층(33)이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도포되어 프라이머를 필요로 하지 않고 두 층이 양호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인써트(6)의 전면이 엘라스토머 스킨층에 의하여 덮이는 상기 언급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써트는 전자회로 또는 이를 위한 부품일 수 있으며특히, 전자회로인쇄기판, 유연성의 인쇄회로기판, 전기적인 푸쉬버튼, 판독형 전자코드, 검출기, 칩, 마이크로전자요소, 집적회로소자, 스마트카드소자, 전도성 섬유소자, 인터페이스 및 안테나, 자동차검출시스템소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소자일 수 있다. 도 20 에 도시된 인써트는 예를 들어 두 층 사이에서 스킨내에 연장되는 가늘고 유연성이 있는 인쇄회로기판(36) 상에 제공된 전기도선에 연결되는 전기스위치(35)로 구성된다.
인써트가 자동차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거나 도난시 그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판독형 전자코드인 경우에 상기 언급된 방법은 코드장치가 로버트에 의하여 제 1 층에서 임의의 장소에 배치되어 범법자가 그 위치를 알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범법자에 의하여 쉽사리 제거될 수 없도록 하는 이점을 준다.

Claims (29)

  1. 특히 자동차의 내부에 착설되어 인테리어의 일부를 구성하는 트림내장물의 가시전면부를 형성하는 플라스틱물질로 된 스킨, 특히 유연성 스킨을 제조하되, 트림내장물은 상기 플라스틱물질에 의하여 형성되는 가시전면부의 후측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배면을 갖는 사전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인써트를 포함하며, 몰드의 적어도 한 면에 대하여 비다공질 또는 미세다공질인 엘라스토머 플라스틱 스킨을 형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유동성 스킨물질을 도포하고 이 유동성 스킨물질이 상기 플라스틱물질을 얻도록 경화되어 스킨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전제조된 인써트가 몰드에 배치되고 플라스틱 물질에 접착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스킨물질로서 비다공질 또는 미세다공질의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 스킨을 얻기 위한 반응혼합물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에 제조된 인써트는 유동성 스킨물질이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유동성 스킨물질 자체의 점착성을 이용하여 스킨의 플라스틱 물질에 접착고정됨을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림내장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적어도 구조적인 배면층이 중간폼층을 통하여 스킨의 배면측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제조된 인써트가 몰드면에 배치되고 유동성 스킨물질이 인써트를 스킨에 고정하기 위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몰드면과 인써트의 한 면에 연장되는 층으로 몰드면과 사전제조된 인써트의 적어도 한 면에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면이 직립변부를 가지고 사전제조된 인써트의 측면이 몰드의 직립변부에 접속되게 배치되며, 측면이 유동성 스킨물질을 위한 밀폐수단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직립변부에 접속될 수 있게 배열된 유연성 연장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변부가 0.1 ~ 5 mm 사이, 바람직하게는 0.25 ~ 1 mm의 두께를 갖는 베이스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변부가 적어도 0.5 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mm 의 높이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전제조된 인써트가 직립변부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몰드의 직립변부의 상측에, 특히 인써트의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전제조된 인써트가 트림내장물의 가시면의 일부를 구성토록 덮이지 않은 상태로 남겨지는 전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전제조된 인써트가 이 인써트를 덮도록 마감부재를 고정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이지 않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써트와 마감부재가 트림내장물의 전면으로부터 인써트에 마감부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상호결합형의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일련의 상이한 교환형 마감부재가 인써트에 고정되는 것이바람직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5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전제조된 인써트는 전면을 가지고 이 전면이 스킨이 성형되는 몰드면에 실질적으로 일치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5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써트가 전면을 가지고 스킨이 성형되는 몰드면의 후측으로 그 전면이 일정한 거리를 두고 상기 몰드내에 배치되어 전면이 스킨에 의하여 형성된 가시면내에 요입되며, 상기 유동성 스킨물질이 특히 몰드면의 직립변부 또는 상승부분에 인써트를 배치함으로써 인써트의 전면을 완전히 덮는 것이 방지되어 스킨이 인써트의 전면측으로 요입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1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가 다른 전면을 가지고 이 다른 전면이 스킨에 의하여 형성된 가시면에 실질적으로 일치되게 배치될 때까지 요입부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써트가 전면을 보이고 이 전면이 스킨이 성형되는 몰드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몰드내에 배치되며 유동성 스킨물질이 인써트의 전면을 덮도록 상기유동성 스킨물질이 몰드면과 인써트의 전면에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써트가 전면을 가지고, 몰드에 상기 사전제조된 인써트를 배치하기 전에 몰드면에 대하여 유동성 스킨물질의 제 1 층을 도포하고 이 제 1 층에 인써트를 점착시키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유동성 스킨물질의 제 1 층이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이 제 1 층 상에 인써트를 배치함으로써 스킨이 성형되는 몰드면에서 전면이 일정한 거리를 두도록 인써트를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혼합물의 제 1 층에 사전제조된 인써트를 배치한 후, 상기 제 1 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된 유동성 스킨물질과 동일 또는 상이한 비다공질 또는 미세다공질의 엘라스토머 스킨을 얻기 위한 다른 유동성 스킨물질의 제 2 층이, 바람직하게 스킨물질의 제 1 층이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상기 제 1 층의 배면과 인써트의 적어도 한 면에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제조된 인써트가 전자회로 또는 이를 위한 부품이고, 특히 전자회로인쇄기판, 바람직하게는 유연성의 인쇄회로기판, 바람직하게 유연성 인쇄회로기판에 제공되는 전기도선, 전기적인 푸쉬버튼, 판독형 전자코드, 검출기, 칩, 마이크로전자요소, 집적회로소자, 스마트카드소자, 전도성 섬유소자, 인터페이스 및 안테나, 자동차검출시스템소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소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스킨물질이 몰드면에 스프레이로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스킨물질이 폐쇄몰드를 이용하고 이 폐쇄몰드에 주입성형 또는 사출성형, 특히 반응사출성형공법으로 상기 유동성 스킨물질을 채워 몰드면에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이 먼저 상기 몰드면에 대하여, 특히 인몰드 페인트로 마감층을 도포하고 이어서 상기 유동성 스킨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이 평균 두께가 0.1 ~ 3 mm, 특히 0.5 ~ 1.5 mm 인 유연성 스킨임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24. 특히 자동차에 착설되어 인테리어의 일부를 구성토록 배치되는 트림내장물의 가시전면을 형성하기 위해 특히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서 비다공질 또는 미세다공질의 엘라스토머 플라스틱 물질로 구성되는 스킨, 특히 유연성 스킨에 있어서, 이 스킨이 스킨의 플라스틱 물질에 점착고정되고 이 플라스틱 물질에 의해 형성되는 가시면의 후측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배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사전제조된 인써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림내장물의 스킨.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림내장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구조적인 배면층이 중간폼층을 통하여 스킨의 배면측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인써트가 스킨에 의하여 형성되는 가시면내에 요입되는 전면을 가짐으로써 스킨이 인써트를 덮는 마감부재가 고정될 수 있는 인써트 전면에 요구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
  27.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스킨의 전면이 갭을 통하여 스킨의 플라스틱 물질에 의하여 형성되는 가시면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분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
  28.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써트가 스킨의 플라스틱 물질에 의하여 덮이는 전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
  29. 제 24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이 평균 두께가 0.1 ~ 3 mm, 특히 0.5 ~ 1.5 mm 인 유연성 스킨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
KR1020037000932A 2000-08-01 2001-07-31 자동차 내장부 제조 방법 KR1008498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870171.6 2000-08-01
EP00870171A EP1177949A1 (en) 2000-08-01 2000-08-01 Method for manufacturing a trim part for the interior of an automobile vehicle or at least a skin therefor
PCT/BE2001/000124 WO2002009977A1 (en) 2000-08-01 2001-07-31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utomotive trim pa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560A true KR20030031560A (ko) 2003-04-21
KR100849898B1 KR100849898B1 (ko) 2008-08-04

Family

ID=8175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0932A KR100849898B1 (ko) 2000-08-01 2001-07-31 자동차 내장부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20030180498A1 (ko)
EP (4) EP1177949A1 (ko)
JP (1) JP5091384B2 (ko)
KR (1) KR100849898B1 (ko)
AT (2) ATE537999T1 (ko)
AU (1) AU2001276195A1 (ko)
BR (1) BR0112853B1 (ko)
CA (1) CA2416922C (ko)
CZ (1) CZ302345B6 (ko)
ES (3) ES2379730T3 (ko)
HU (1) HU229109B1 (ko)
MX (1) MXPA03000998A (ko)
PL (1) PL206748B1 (ko)
RU (1) RU2278033C2 (ko)
SK (1) SK287789B6 (ko)
WO (1) WO2002009977A1 (ko)
ZA (1) ZA20030103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549B1 (ko) * 2006-07-14 2008-01-31 산일테크(주) 엔진센터커버, 엔진센터커버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 및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78518A1 (en) * 2003-03-03 2004-09-16 Intier Automotive Inc. Automotive interior structure with integrated fiber optic cab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20040222557A1 (en) * 2003-05-06 2004-11-11 Lear Corporation Insert molding tool for spray polyurethane
EP1510322A1 (en) 2003-08-27 2005-03-02 Recticel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trim part for the interior of an automotive vehicle
DE20314035U1 (de) * 2003-09-10 2004-05-13 Angell-Demmel Gmbh Abdeckkappe mit einer metallischen Plakette für Kraftfahrzeuge
WO2005068154A1 (en) * 2004-01-03 2005-07-2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ehicle component and method for making a vehicle component
ATE345208T1 (de) * 2004-03-19 2006-12-15 Recticel Herstellungsverfahren eines plattenaufbaus mit dichtung
US7021498B2 (en) 2004-04-06 2006-04-04 Advanced Controls And Engineering Urethane spray gun assembly
US20050244628A1 (en) * 2004-04-28 2005-11-03 Turek Robert L Soft articles and method
US6945583B1 (en) * 2004-05-24 2005-09-20 Lear Corporation Trim panel assembly having an integrated door bumpe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7147808B2 (en) * 2004-07-06 2006-12-12 Lear Corporation Vehicle part with integrated impact management featur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344666B2 (en) * 2004-07-06 2008-03-18 International Automotive Components Group North America, Inc. Interior vehicle trim panel having a sprayed expanded polyurethane layer and method and system of making same
US20060006568A1 (en) * 2004-07-06 2006-01-12 Lear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grab handle
US7273572B2 (en) * 2004-08-04 2007-09-25 International Automotive Components Group North America, Inc. Method of making an interior panel for a door and an article made thereby
US20060030630A1 (en) * 2004-08-05 2006-02-09 Lear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composition for forming composite sprayed polyurethane skins having an expanded polyurethane layer
WO2006100118A1 (de) * 2005-03-22 2006-09-28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uteils, werkzeug für die anwendung des verfahrens, und bauteil
EP1724085A1 (en) * 2005-05-17 2006-11-22 Recticel Method for manufacturing at least a surface layer of a multilayered trim part
EP1757446B1 (en) * 2005-08-23 2011-05-11 RECTICEL Automobilsysteme GmbH Panel-like laminate and a skin for manufacturing such laminate
US20070075454A1 (en) * 2005-10-03 2007-04-05 Lear Corporation Common cavity, multiple core, insert molded trim panel
US20080012382A1 (en) * 2006-01-11 2008-01-17 Evans Gregg S Integration of buttons into a reaction injection molded automotive instrument panel skin
DE102006008385A1 (de) * 2006-02-21 2007-08-30 Benecke-Kaliko Ag Kunststoffhaut mit Schaltfunktion
DE102006008386B4 (de) * 2006-02-21 2021-06-10 Benecke-Kaliko Ag Kunststoffhaut mit eingebundenen Form- oder Zierelementen
DE102006009134B4 (de) 2006-02-24 2016-03-24 Bayer Materialscience Aktiengesellschaft Verbessertes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leichten, schallisolierenden Verkleidung für Kraftfahrzeuge und entsprechende Verkleidung
DE602007007585D1 (de) 2006-03-08 2010-08-19 Recticel Automobilsystem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reidimensional geformten sandwichstruktur
MX2008012762A (es) * 2006-04-07 2008-11-14 Basf Se Metodo para formar un articulo compuesto en un molde.
AU2007241641B2 (en) * 2006-04-20 2013-03-07 Yah Corp Industries Limited Improved Pallet
DE102006027172A1 (de) * 2006-06-07 2007-12-13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insbesondere mehrfarbigen Formhaut
EP2076402A1 (en) * 2006-08-31 2009-07-08 Pilkington Italia S.p.A. Method for encapsulating the edge of a glass sheet
DE102008005103A1 (de) * 2008-01-16 2009-07-23 Volkswagen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lush-Haut und die Slush-Haut
DE102008031841A1 (de) 2008-07-05 2010-01-07 Recticel Automobilsysteme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Formhaut sowie Formhaut
DE102008045015A1 (de) * 2008-08-29 2010-03-04 Benecke-Kaliko Ag Kunststoffhaut mit elektrolumineszenten Elementen
FR2937273B1 (fr) * 2008-10-22 2011-07-01 Faurecia Interieur Ind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lanche de bord comportant un element de decoration, insert et planche de bord associes
FR2937275B1 (fr) * 2008-10-22 2011-08-26 Faurecia Interieur Ind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lanche de bord comportant un element de decoration, installation, piece de decor, couche de support et planche de bord associees
FR2937276B1 (fr) * 2008-10-22 2011-07-01 Faurecia Interieur Ind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lanche de bord comportant un element de decoration et planche de bord obtenue par ce procede
WO2010116495A1 (ja) * 2009-04-07 2010-10-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室材構造
CZ306130B6 (cs) * 2009-07-20 2016-08-17 MODELÁRNA LIAZ spol. s r. o. Forma pro polyuretanovou vypěňovací hmotu
WO2011095232A1 (en) 2010-02-08 2011-08-11 Recticel Automobilsysteme Gmbh Plastic skin
FR2959528B1 (fr) 2010-04-29 2012-06-08 Snecma Masque amovible pour une plate-forme d'aube ou de secteur de distributeur de turbomachine
ES2445708T3 (es) * 2010-11-04 2014-03-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Método para fabricar una pala
DE102011081799A1 (de) * 2011-08-30 2013-02-2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ormwerkzeu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unststoff-Formteilen
FR2980446B1 (fr) * 2011-09-27 2014-06-20 Faurecia Interieur Ind Habillage de vehicule comprenant une armature et un garnissage
FR2984841B1 (fr) * 2011-12-21 2014-05-09 Faurecia Bloc Avant Procede de montage d'un organe fonctionnel sur un panneau d'habillage de vehicule et piece de centrage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FR2985696B1 (fr) * 2012-01-16 2015-02-1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Element decoratif en cuir pour habitacle interieur de vehicule
EP2679380A1 (en) * 2012-06-28 2014-01-01 RECTICEL Automobilsysteme GmbH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exible skin having at least one insert adhered thereto.
FR3008918B1 (fr) * 2013-07-29 2015-12-25 Visteon Global Tech Inc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iece d'habillage interieur et piece correspondante
EP3107717B1 (de) 2014-02-19 2019-12-18 Webasto S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umrandung eines flächig ausgedehnten panels
FR3018732B1 (fr) * 2014-03-21 2017-05-26 Gherbi Malika Ait Article comprenant un support et un element de motif decoratif incruste dans le support et apparent
CN104285456B (zh) 2014-04-01 2018-10-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业务信息显示方法、装置、服务器、终端及系统
DE102014108896A1 (de) * 2014-06-25 2015-12-31 Airbus Defence and Space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Radoms
ES2662398T3 (es) * 2014-12-22 2018-04-06 Magna Steyr Fahrzeugtechnik Ag & Co Kg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 componente tipo sándwich
US9821734B2 (en) 2015-03-13 2017-11-21 Aero Advanced Paint Technology, Inc. Concealed embedded circuitry, vehicles comprising the same, and related methods
EP3100915B2 (de) 2015-06-03 2022-09-28 WEIDPLAS GmbH Bauteil
DE112015006750B4 (de) * 2015-07-30 2022-05-0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Formvorrichtung
DE102015218495A1 (de) 2015-09-25 2017-03-3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ekoroberfläche mit einer Ziernahtoptik
FR3051410B1 (fr) * 2016-03-02 2018-08-17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rocede de realisation d’un habillage decoratif d’un element d’habitacle de vehicule
DE102016215546A1 (de) 2016-08-18 2018-02-22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hrzeuginnenverkleidungsteils und Fahrzeuginnenverkleidungsteil
DE102016218916A1 (de) 2016-09-29 2018-03-29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Verkleidungsteil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US10654202B2 (en) * 2017-04-14 2020-05-19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Resin mold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DE102017209457A1 (de) 2017-06-02 2018-12-06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Verfahren und Werkzeug zum Herstellen eines Fahrzeuginnenverkleidungsteils sowie Fahrzeuginnenverkleidungsteil
CN110612226B (zh) * 2017-06-02 2023-07-28 丰田纺织株式会社 车门用装饰板和门饰板
FR3068319B1 (fr) * 2017-06-30 2019-08-02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Revetement de garnissage
KR102088948B1 (ko) 2018-01-25 2020-03-13 (주)우신시스템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시스템
DE102018127892B4 (de) * 2018-03-09 2021-12-09 Seoyon America Corp. Weiche obere Verkleidung für eine Schalterbaugruppe einer Fahrzeugtü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ieser
DE102018206120A1 (de) 2018-04-20 2019-10-24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Verbundteil, insbesondere Innenverkleidungstei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N109795128B (zh) * 2018-12-06 2020-02-18 大连理工大学 一种面向蜂窝型芯孔的烧蚀材料自动灌注方法
MX2022007520A (es) 2020-01-16 2022-09-19 Ascorium Gmbh Revestimiento para una parte de moldura interior de un vehiculo que comprende una fuente de luz.
EP4090510A1 (en) 2020-01-16 2022-11-23 Ascorium GmbH Skin for a vehicle interior trim part containing an operating element
AT523756B1 (de) * 2020-04-17 2022-08-15 Hueck Folien Gmbh Dekorelement, Bauteilverbund mit Dekorelement sowie Verfahren zur Bildung des Bauteilverbundes
DE102020114259A1 (de) 2020-05-28 2021-12-0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Oberflächenbezug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KR102357488B1 (ko) * 2020-09-18 2022-02-07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헤드라이닝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의해 제조된 배선이 일체화된 헤드라이닝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74576A (en) * 1960-07-08 1965-03-23 Gen Motors Corp Dashboard subassembly
US3670067A (en) * 1968-01-02 1972-06-13 Ato Inc Method of making illuminated panel
JPS57120421A (en) * 1981-01-16 1982-07-27 Tokai Kasei Kogyo Kk Manufacture of foamed product lined with core material
US4446185A (en) * 1981-03-13 1984-05-01 Hitachi, Ltd. Reaction injection molded article with threads and method of molding same
JPS5989132A (ja) * 1982-11-13 1984-05-23 Hiroshima Kasei Kk カ−ペツトマツ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金型
JPS59187680A (ja) * 1983-03-31 1984-10-24 アラコ株式会社 ウレタンフオ−ムにフアブリツクとレザ−調表皮材とを積層する方法
FR2605263B1 (fr) * 1986-10-16 1989-04-14 Peugeot Procede de fabrication d'un panneau de garnissage et panneau obtenu par ce procede
US5053179A (en) * 1987-04-30 1991-10-01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rocess for producing a multilayer molded article
BE1000767A7 (nl) * 1987-07-16 1989-03-28 Rectice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vormen van een laag polyurethaan op een oppervlak door spuiten.
DE3837221A1 (de) * 1987-11-04 1989-05-24 Honda Motor Co Ltd Formpress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urch aufschaeumung geformten erzeugnissen mit eingebettetem einsatz
JPH01150512A (ja) * 1987-12-09 1989-06-13 Honda Motor Co Ltd 可撓性回路体を備えた樹脂発泡体の成形方法
BE1002762A7 (nl) * 1989-01-20 1991-05-28 Recticel Werkwijze voor het bereiden en toepassen van verspuitbaar lichtstabiel polyurethaan.
BE1002899A6 (nl) * 1989-03-03 1991-07-16 Recticel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voorwerpen met een elastomeren buitenwand en een kunststofschuim kern.
US4952351A (en) * 1989-04-06 1990-08-28 Davidson Textron Inc. Method of forming a plastic panel for covering an inflatable restraint
US5133912A (en) * 1990-05-30 1992-07-28 Mitsuboshi Belting Ltd. Method of manufacturing foam-molded products
EP0639442A1 (en) * 1990-10-24 1995-02-22 ASAA, Inc. Method of producing stratiform articles and products
BE1005821A3 (nl) * 1992-05-18 1994-02-08 Recticel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zelfdragende kunststof garnituuronderdelen en aldus vervaardigd garnituuronderdeel.
JPH0732384A (ja) * 1993-04-26 1995-02-03 Atoma Internatl Inc 総合ボルスタを有するドアパネルの製造方法
JP3106139B2 (ja) * 1993-04-27 2000-11-06 サン−ゴバン パフォーマンス プラスティッ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 剥離性の優れたポリメチルペンテンとポリプロピレンの組成物及びそのフィルムの製造法
AU7731594A (en) * 1993-09-24 1995-04-10 Urethane Technologies, Inc. Process for forming integral skin micorcellular structures
PT804327E (pt) * 1994-06-01 2002-03-28 Recticel Metodo e conjunto de molde para pulverizacao para fabricar uma pele eleastomerica de pelo menos dois materiais elastomericos e essa mesma pele elastomerica
JPH08108497A (ja) * 1994-10-13 1996-04-30 Toyo Tire & Rubber Co Ltd 自動車用内装材並びにその製造方法
DE19505155A1 (de) * 1995-02-16 1996-08-22 Magna Zippex Autotechnik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Auskleidungsteiles aus Kunststoff und ein insbesonders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s Auskleidungsteil
DE29503709U1 (de) * 1995-02-16 1995-06-08 Magna Zippex Autotechnik Gmbh Auskleidungsteil aus Kunststoff
US5580083A (en) * 1995-10-02 1996-12-03 Davidson Textron Inc. Air bag cover with seamless interface tear sea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ame
IN1997CH00157A (ko) * 1996-10-01 2006-06-09 Rectic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549B1 (ko) * 2006-07-14 2008-01-31 산일테크(주) 엔진센터커버, 엔진센터커버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 및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16922C (en) 2009-09-29
ATE537999T1 (de) 2012-01-15
AU2001276195A1 (en) 2002-02-13
RU2278033C2 (ru) 2006-06-20
KR100849898B1 (ko) 2008-08-04
EP1305189A1 (en) 2003-05-02
US20030180498A1 (en) 2003-09-25
CZ302345B6 (cs) 2011-03-23
MXPA03000998A (es) 2004-08-02
CZ2003286A3 (cs) 2003-06-18
EP1970257A3 (en) 2011-01-19
PL206748B1 (pl) 2010-09-30
ES2379730T3 (es) 2012-05-03
SK287789B6 (sk) 2011-10-04
JP5091384B2 (ja) 2012-12-05
HUP0302914A2 (en) 2003-12-29
ATE537998T1 (de) 2012-01-15
ES2379407T3 (es) 2012-04-25
PL362064A1 (en) 2004-10-18
EP2275307B1 (en) 2012-12-19
BR0112853A (pt) 2003-07-01
JP2004504196A (ja) 2004-02-12
EP2275307A1 (en) 2011-01-19
ES2409379T3 (es) 2013-06-26
BR0112853B1 (pt) 2011-02-22
EP1970257B1 (en) 2011-12-21
SK1322003A3 (en) 2003-10-07
EP1970257A2 (en) 2008-09-17
EP1305189B1 (en) 2011-12-21
CA2416922A1 (en) 2002-02-07
HU229109B1 (en) 2013-08-28
WO2002009977A1 (en) 2002-02-07
EP1177949A1 (en) 2002-02-06
ZA200301038B (en) 2004-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9898B1 (ko) 자동차 내장부 제조 방법
US5411688A (en) Method for forming plastic molded panels with inserts
US6764621B2 (en) Method for molding a soft trim component onto a substrate
EP2300209B1 (en) Method for producing a moulded skin and mould arrangement therefore
RU2003105587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ленки и пленка, полученная этим способом
GB2442140A (en) Method of forming a vehicle trim component
US1048640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exible skin having at least one insert adhered thereto
CN1984760A (zh) 车辆部件和用于制造车辆部件的方法
US6548000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molded piece of plastic that is painted in part, and pieces obtained by implementing the method
US7435366B2 (en) Molded product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603661B2 (ja) 車両内装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5087533B (zh) 车辆盖罩的制造方法
CN217777839U (zh) 机动车辆的车身零件
CN112824442A (zh) 用于车辆的部件以及用于制造这种部件的方法
KR100441853B1 (ko) 두종류이상의엘라스토머재료로이루어진엘라스토머스킨제조방법과분사몰드장치및이방법에의하여제조된엘라스토머스킨
JP2021074956A (ja) 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