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2078A - 자동변속기용 변속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용 변속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2078A
KR20030022078A KR1020020053974A KR20020053974A KR20030022078A KR 20030022078 A KR20030022078 A KR 20030022078A KR 1020020053974 A KR1020020053974 A KR 1020020053974A KR 20020053974 A KR20020053974 A KR 20020053974A KR 20030022078 A KR20030022078 A KR 20030022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vehicle
speed
shift control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9200B1 (ko
Inventor
타나카히로야스
시마나카시케키
타키자와사토시
아카누마마사토시
스즈키타카유키
Original Assignee
쟈또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쟈또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쟈또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2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2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2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38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of gearing elements
    • F16H59/42Input shaft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44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dependent on machine speed of the machine, e.g.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2Avoiding failures by using redundan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56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characterised by the parts or units where malfunctioning was assumed or detected
    • F16H2061/1284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characterised by the parts or units where malfunctioning was assumed or detected the failing part is a sens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77/00Interrelated power delivery controls, including engine control
    • Y10S477/906Means detecting or ameliorating the effects of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차량 자동 변속기용 변속 제어 시스템은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감지 센서와 차속 감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차속으로 얻은 변속기의 목표 변속비에 의하여 정상상태에서 변속기의 변속동작을 수행하는 제 1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변속 제어 시스템은 차속 감지센서의 이상 발생시에는 변속기의 입력 회전 속도 및 /또는 운전자에 의한 차량의 가속 또는 감속 동작을 기초로 하여 현재 속도비의 유지 또는 변경 명령을 발생시켜 차속 감지 센서의 이상 발생시에 변속기의 변속동작을 수행하는 제2 제어수단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용 변속 제어 시스템{shift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연속적으로 변하는 변속을 포함하는 자동변속기는 차속 또는 엔진 부하에 기초한 목표 변속비 또는 이동 범위(이하에서는 총체적으로 '속도비' 라 표현함)를 결정하고, 현재 속도비를 유지하거나 변속하기 위한 변속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서 설계된다. 고로,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차속 감지 센서가 고장등에 기인한 이상의 발생시에 실제 차량의 속도는 정확하게 감지될 수 없고 실제 차량의 속도와는 차이가 있는 감지된 차속값이 제어 파라메터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적절한 변속제어가 어렵거나 불가능한 요인이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해결책은 부정확하게 감지된 차속를 대신하여 비정상적인 도로에서 차량이 안정적으로 주행하는 데 방해받지 않는 정도로 설정된 차속라고 추정되는 수준의 레벨, 예를 들어 50km/h의 중간레벨로 설정된 차속를 근거로 하여 변속기의 변속제어를 수행하는 것일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해결책은 더 큰 문제를 야기함을 고려해야 한다.
즉, 위에 언급된 해결책은, 변속제어가 차량이 정지된 상태와 같은 중간 레벨에 설정된 차량의 속도에 기초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른바 차량의 "고단출발" 이 발생할 수 있으며, 차량의 가속 동작이 불충분한 토크에 의하여 저하된다. 이것은 설정된 차속 값이 실제 차량이 출발할 때 요구되어지는 최저 속도범위에 속도비가 일치되지 않고 차량의 정지된 상태에 비하여 고속의 범위에 있는 목표변속비에 일치되는 중간 레벨로 설정된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차속 감지센서에서 이상이 발생되더라도 최적의 변속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개선된 변속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변속제어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차속 감지 센서의 이상시에 도 1의 실시예에서 수행되는 변속제어 프로그램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차속 감지 센서의 이상시에 사용될 수 있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위한 변속 맵이다.
도 4는 차속 감지 센서의 이상시에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위한 변속 제어 맵이다.
도 5는 차속 감지 센서의 정상 동작시에 수행되는 정상적인 변속 제어에 사용될 수 있는 연속적으로 변하는 변속기를 위한 변속 맵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진 2 : 환형 무단 변속기(자동 변속기)
3 : 가속 페달 4 : 밸브 개도 센서
5 : 브레이크 스위치 6 : 아이들 스위치
7 : 가속 개도 센서 8 : 가속/감속 검출부
9 : 변속기 입력 회전 센서 10: 차속 감지 센서
11: 오일온도 감지센서 12: 목표 변속비 결정부
13: 변속 액츄에이터(변속모터) 목표위치/주행속도 결정부
14: 변속명령부 15: 센서 이상 판단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차량 자동 변속기의 변속제어시스템과, 차속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차속에 의하여만 변속의 목표 변속비를 얻어 정상상태에서 변속기의 변속동작을 수행하는 제 1 제어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속제어시스템은 차속 감지센서의 이상 발생시에는 변속기의 입력 회전 속도 및/또는 운전자에 의한 차량의 가속 또는 감속 동작에 따라 현재 속도비의 유지 또는 변경 명령을 발생시켜 차속 감지 센서의 이상 발생시에 변속기의 변속동작을 수행하는 제2 제어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제어시스템은 차속 감지 센서의 이상이 발생하면 차속 감지에 기인하는 제 1 제어 수단에 의한 정상적인 변속 제어가 정지된다. 동시에, 제 2 제어 수단이 변속기의 입력 회전 속도 및/또는 운전자에 의한 차량의 가속 또는 감속 동작에 따라 현재 속도비의 유지 또는 변경 명령을 발생시켜 변속기의 변속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차속 감지 센서의 이상에 의하여 감지된 차속이 부정확할 지라도 제 2 제어 수단은 큰 불쾌감 없이 변속기의 입력회전속도 및/또는 운전자의 가속 및 감속동작으로 알 수 있는 차량의 목표 주행 조건에 일치되도록 적절한 변속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속 감지센서의 이상시에 설정된 차속을 사용하므로 야기되는 상기 언급된 문제 즉, 저하된 가속 행위를 수반하는 정지상태로부터의 차량의 고단 출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제어수단은 현재의 속도비가 히스테리시스영역을 유지하면 변속기의 입력 회전 속도의 히스테리시스(hysteresis)영역에 따라 적절하게 동작한다. 이런 방법으로, 운전자에 의한 차량의 가속 또는 감속 조작시에 의하여 각각 고속회전 또는 저속회전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변속기의 입력 회전 속도의 변화에 따라 목표 변속비의 불필요한 변화를 방지함으로서 변속제어의 난조를 효율적으로 방지하고 차량의 조정 안정성을 개선시킨다.
제 1 및 제 2 제어 수단은 차속 감지 센서와 변속기의 입력회전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변속기 입력 회전 감지센서의 이상 발생시에 제 2 제어 수단에 의한 변속 제어를 금지시키고 제 1 제어수단에 의한 변속제어가 차속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차량속도를 대신하여 설정된 차량 속도 값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적절하게 설계된다. 이런 방법으로, 차속 감지 센서의 이상시에 설정된 차속 값을 사용함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위에 언급한 문제들이 발생하더라도, 변속제어는 차속 감지 센서와 변속기입력 회전 감지센서가 둘 다 고장이 발생할 때 나타날 수 있는 잠재적인 위험성을 제거하기 위한 안전한 측면으로 수행된다.
운전자의 가속 및 감속동작은 운전자가 각각 차량의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밟음으로 동작하는 차량의 아이들 스위치 및 브레이크 스위치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 이런 방법으로, 변속 제어는 운전자의 가속 및 감속동작을 직접 감지함에 따라 수월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 2 제어 수단은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다고 판단됨을 기초로 한 브레이크 스위치의 이상 발생시에 적절한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브레이크 스위치의 이상이 발생할 때, 변속제어는 차속 감지 센서와 브레이크 스위치가 둘 다 고장이 발생할 때 나타날 수 있는 잠재적인 위험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현재의 속도비를 유지하는 안전한 측면으로 수행된다.
선택적으로, 운전자의 가속 또는 감속 동작은 차량의 가속 페달이 밟아진 양을 감지하기 위한 가속 페달 센서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 이런 방법으로, 변속제어는 운전자의 가속 또는 감속 동작을 직접적으로 감지하여 수월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 2 제어수단은 고속 변속의 경향이 증가됨에 따라 변속기의 회전 속도가억압되므로 가속 페달이 밞아진 량이 적은 량이라고 판단되는 경우를 기초로 하여 변속기의 유압 오일 온도가 설정치 보다 높을 경우에도 적절하게 동작한다. 이런 방법으로, 변속기의 회전속도가 억압됨에 따른 변속기 유압 오일의 과열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제 2 제어 수단은 현재의 속도비가 히스테리시스 영역이 유지되면, 운전자의 가속 또는 감속 동작이 히스테리시스 영역내에서 적절하게 동작된다. 이런 방법으로, 운전자에 의한 각각 차량의 가속 또는 감속할 때, 고속회전 또는 저속회전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운전자의 가속 또는 감속 동작에도 불구하고 목표 변속비의 불필요한 변경을 회피함으로서 변속제어의 난조를 효율적으로 방지하고 차량의 조정안정성을 개선시킨다.
제 2 제어 수단은 차속 감지센서의 이상시에 현재의 속도비를 경감된 속도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설계되어 운전자의 불편함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변속 제어 시스템은 차속 감지 센서의 이상 발생시에 목표 스텝수를 얻기 위하여 동작되는 스텝모터를 포함하는 데, 스텝 모터의 목표 스텝 값은 상한치 및 하한치를 갖는다. 이런 방법으로, 토크 이동 또는 차속 감지 센서의 이상시에 목표 변속비와 실제 속도 비의 차이가 상기의 언급된 변속 제어로 궤환되지 않는 경우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속도비의 오버 슈팅(overshooting)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변속제어 시스템을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차속 감지 센서의 이상시에 도 1의 실시예에서 수행되는 변속제어 프로그램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차속 감지 센서의 이상시에 사용될 수 있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위한 변속 맵이다.도 4는 차속 감지 센서의 이상시에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위한 변속 제어 맵이다. 도 5는 차속감지 센서의 정상 동작시에 수행되는 정상적인 변속 제어에 사용될 수 있는 연속적으로 변하는 변속기를 위한 변속 맵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속 감지 센서의 이상시에 동작하는 변속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1에서, 참조부호 1은 엔진을 표시하며, 2는 환형 방식의 연속적으로 변하는 변속기(무단 변속기; CVT)이다. 엔진(1)의 출력은 통상적인 방법에서는 가속페달(3)의 밟음 량에 의하여 결정되어 지는 트로틀 밸브 개도량인 TVO에 의하여 제어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환형 방식의 CVT(2)는 엔진(1)에 외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입력 디스크, 입력 디스크와 동축으로 연결되며 구동바퀴들에 구동가능하도록 연결된 출력 디스크, 그리고, 입력 디스크와 출력 디스크 사이에서 마찰되도록 맞물림에 의하여 변속력을 제공하기 위한 파워 롤러를 포함한다. 파워 롤러는 회전축들과 수직한 각각의 선회축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입력 및 출력 디스크와 접촉되는 파워 롤러의 원형 중심의 반지름이 변화함에 따라 다른 속도비로의 변속이 수행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된 환형 방식의 무단변속기(2)의 변속제어는 여러 가지 센서들로부터의 신호들을 기초로 하여 수행되는 데, 이 같은 신호들로는 (i) 엔진(1)의 트로틀 밸브 개도률 TVO를 감지하기 위한 트로틀 밸브 개도 센서(4)로 부터의 신호(ii)브레이크 페달이 밟아질 때 턴 온되는 브레이크 스위치(5)와 가속페달(3)이 해제되면 턴 온되는 아이들 스위치(6) 온/오프 상태 그리고 가속 개도 센서(7)로부터 검출된 가속 페달의 밟아짐 정도를 나타내는 APS에 따라 차량의 가속 또는 감속을 감지하기 위한 가속/감속 검출부(8)로부터의 신호 (iii)입력 디스크에 가해지는 변속 입력 회전 속도 Ni를 검출하기 위한 변속기 입력 회전센서(9)로부터의 신호(iv)
변속기 출력 회전 속도로부터 차속 VSP를 검출하기 위한 차속 감지센서(10)로부터의 신호 (v) 변속기유압 오일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오일온도 감지 센서(11)로 부터의 신호가 있다. 이와 같은 신호들에 따라 무단 변속기(2)의 변속제어는 목표 변속비 결정부 12, 변속 액츄에이터(즉, 스텝 모터) 목표-위치/주행-속도 결정부 13 뿐만 아니라 변속 명령부 14의 수단등에 의하여 수행된다.
차속 감지 센서(10)이 정상일 경우의 정상 변속 제어에서, 목표 변속비 결정부(12)는 하기의 3가지 목표 값 즉, 정상목표 입력회전속도 Ni(0), 정상목표 속도비 및 일시 목표 속도비를 결정한다. 정상목표 입력회전속도 Ni(0)는 상세한 기술이 필요 없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속 맴을 기초로 하여 트로틀 개도률 TVO 및 차속 VSP로부터 구해진다. 정상목표 속도비는 정상목표 입력회전속도 Ni(0)를 차속 VSP의 함수인 변속출력 회전속도로 나누어 계산되어 진다. 일시 목표 속도비는 계산된 정상 목표 속도비를 가지고 얻은 반응의 정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계산된 정상 목표 속도비를 제거하여 얻어지거나 또는 무단변속기내에서 발생하는 토크변속의 과도한 영향의 보정을 위한 다른 적절한 신호들을 통하여 얻어진다.
변속 액츄에이터 목표-위치/주행-속도 결정부(13)는 목표 위치 또는 센서(11)에 의하여 검출되는 오일 온도 TMP를 고려하여 일시 목표 속도비를 실현하기 위한 스텝 모터의 목표 스텝수를 결정하고, 또한 목표 위치 또는 목표 스텝수(즉, 변속기(2)의 변속 속도)에 이르도록 스텝모터의 구동속도를 결정한다.
변속 명령부(14)는 환형의 무단 변속기(2)내의 변속 엑츄에이터에 현재의 속도 비를 유지하거나 위에 언급된 센서들로부터 발생된 신호들에 따라 다른 속도비로 변속을 수행하기 위하여 목표 위치(목표 스텝 수)와 구동 속도(변속 속도)에 관한 명령을 발생시킨다.
도 1에서 보는 실시예에서는, 변속제어시스템은 변속기 입력 회전 센서(9) 및/또는 차속 감지 센서(10)에서 이상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센서 이상 판단부(15)를 포함한다. 만약 판단부(15)에서 차속 감지센서(10)의 단독 이상이나, 차속 감지센서(10)과 변속기 입력 회전 감지 센서(9)의 양쪽의 이상으로 판단되면, 이 판단결과는 위에 언급된 정상적인 변속제어와는 다르게 도 2 및 도3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할 상태의 변속제어를 수행하기 위하여 목표 속도비 결정부(12)와 변속 액츄에이터 목표-위치/주행-속도 결정부(13)에 인가된다. 도 2는 정상적인 변속제어 및 차속 감지 센서의 이상시 수행될 변속 제어를 모두 포함하는 전체적인 변속 제어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차량 속도 감지 센서(10)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단계21을 판단하고 나서 변속기 입력 회전 센서(9)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22를 판단한다. 단계 21의 판단결과 차속 감지센서(10)가 정상이라면 위에 언급된 정상적인 변속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23으로 진행된다. 정상적인 변속 제어는 변속기 입력 회전 센서(9)의 이상 여부와 관계없이 적절하게 수행되는 데, 그 이유는 하기의 기술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단계 21에서 차속 감지센서(10)의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단계 22에서 변속기 입력 회전센서(9)가 정상인가를 더 판단하고, 본 발명의 주 목적에 의하여 센서의 이상 시간동안의 변속 제어는 차량의 속도 VSP를 대신하여 센서(9)에서 검출된 변속기 입력 회전 속도 Ni 및 가속/감속 검출부(8)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하기의기술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단계 24 및 25에서 진행되는 제어는 변속 액츄에이터(스텝 모터)의 실제 스텝 수(실제 속도비에 부합되는)가 속도비의 원치 않는 오버 슈팅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정된 상한 및 하한값의 사이에 허용된 범위내에 존재하는지 또는 하한값보다 더 낮은지 또는 상한값보다 더 높은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단계 24에서 변속 액츄에이터(스텝 모터)의 실제 스텝 수가 하한값보다 더 낮다고 판단되면, 제어는 단계 26으로 진행하여 목표 스텝 값은 최저속도범위용 속도비를 설정하기 위한 하한값으로 만들어진다. 단계24에서 실제스텝수가 하한값보다 크거나 같다면 제어는 단계 25로 진행된다. 단계 25에서 변속 액츄에이터(스텝 모터)의 실제 스텝 수가 상한값보다 더 높다고 판단되면, 제어는 단계 27로 진행하여 목표 스텝 값은 최고속도범위용 속도비를 설정하기 위한 상한값으로 만들어진다. 차속 감지 센서의 고장시 변속 제어의 수행에서 목표 속도비와 실제 속도비와의 차이가 궤환 되지 않으면 변속기의 토크 변속에 의한 속도비의 원치 않는 오버 슈팅등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기술된 바와 같이 목표 스텝 수(속도비)의 상한선 및 하한선을 설정함으로서 이 같은 오버슈팅의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다.
반면에, 단계 24에서 변속 액츄에이터(스텝 모터)의 실제 스텝 수가 속도비의 설정된 상한 및 하한값의 사이에 허용된 범위내에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단계 28로 진행하여 하기에서 설명할 차속 감지 센서의 이상시에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제어를 수행한다.
먼저, 단계 28에서, 차량의 운전의도는 무단 변속기가 상위(UP)변속이 요구 되어지는지, 하위(DOWN)변속이 요구되어 지는지 또는 현재 속도비의 유지(HOLD)가 필요한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도3의 맵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변속 입력 회전 속도 Ni와 브레이크 스위치(5) 및 아이들 스위치(6)의 온/오프 상태에 기초로 한 가속/감속 판정으로부터 판단된다.
단계 29 및 30으로 진행된 제어는 단계 28의 판단결과 상위변속 필요, 하위 변속필요 또는 속도비 유지 필요인지를 판단한다.
상위 변속이 필요하다는 판단 결과가 나왔다면 단계 31에서는 목표 스텝수가 상한값에 도달하였는 지를 판단하고, 직전의 목표 스텝수에 한 스텝을 더하는 제어를 진행한다. 목표스텝수에 매번 한스텝씩 증가시키게 되면 상위변속이 이루어진다. 단계31의 판단결과 목표 스텝수가 상한값보다 큰 값에 도달하였다면, 목표 스텝수를 상한값에 맞추는 단계 27의 제어가 진행된다.
단계 28에서 하위 변속이 필요하다는 판단 결과가 나왔다면 단계 33에서는 목표 스텝수가 하한값에 도달하였는 지를 판단하고, 직전의 목표 스텝수에서 한 스텝을 감하는 제어를 진행한다. 목표스텝수에 매번 한스텝씩 감산시키게 되면 하위 변속이 이루어진다. 단계33의 판단결과 목표 스텝수가 하한값보다 적은 값에 도달하였다면, 목표 스텝수를 하한값에 맞추는 단계 26의 제어가 진행된다.
단계 28에서 속도비의 유지가 필요하다는 판단 결과가 나왔다면 목표 스텝수를 현재의 회전속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실제 스텝수에 맞추는 단계 35의 제어가 진행된다.
도 1에서 도 3을 통하여 상기에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차속 감지 센서(10)의 이상이 발생할 때, 차량의 운전의도는 변속 입력 회전 속도 Ni와 브레이크 스위치(5) 및 아이들 스위치(6)의 온/오프 상태로부터 판단된 운전자의 가속/감속 동작을 판정하는 것을 기초로 판단되고, 요구 변속 방향은 목표 속도비를 달성하기 위하여 수행되도록 요구되는 방향내로의 변속을 하기 위한 운전의도로부터 판단된다.
이와 같은 방법은, 차속 감지 센서(10)이 이상에 직면하면, 차속 VSP를 기초로한 목표 속도비를 결정하는 정상적인 변속제어를 정지하고, 목표 속도비를 적절한 변속제어를 수행하기 위하여 변속 입력 회전 속도 Ni와 운전자의 가속/감속 동작으로부터 판단된 운전의도에 따르게 하기 위하여 보정한다. 그러므로, 차속감지센서(10)의 고장으로 인하여 검출된 차속값 VSP가 부정확할 지라도, 무단변속기의 변속제어는 큰 거부감없이 변속 입력 회전 속도 Ni에 의하여 대표되는 차량의 운전의도에 따르게 함으로써 적절하게 수행된다.
또한, 차속 감지 센서(10)가 고장일 때, 설정된 차속 VSP의 사용으로 유발되는 문제 즉, 저하된 가속성능을 가지고 차량의 정차상태에서의 급출발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서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현재의 속도비를 유지하거나 히스테리시스 영역내에서는 다른 속도비로의 변속동작을 금지하기 위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변속 입력 회전 속도 Ni의 최저 설정치Ni(LOW)와 최고 설정치Ni(HI)사이의 히스테리시스 영역이 제공된다. 그로므로, 차량의 가속 또는 감속동작이 각각 의도될 때 고속 회전 또는 저속 회전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변속입력회전속도의 변경을 위한 목표 변속비의 불필요한 변경을 회피함으로서 변속제어의 난조를 효율적으로 방지하고 차량의 조정 안정성을 개선시킨다.
도 1에서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현재의 속도비를 유지하거나 히스테리시스 영역내에서는 다른 속도비로의 변속동작을 금지하기 위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스위치(5)의 ON상태 및 아이들 스위치(6)의 OFF 상태를 병합하여 판단하는 운전자의 가속 또는 감속행위를 위한 히스테리시스 영역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차량의 가속 또는 감속동작이 각각 의도될 때 고속 회전 또는 저속 회전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변속입력회전속도의 변경을 위한 목표 변속비의 불필요한 변경을 회피함으로서 변속제어의 난조를 효율적으로 방지하고 차량의 조정 안정성을 개선시킨다.
또한, 운전자의 가속 및 감속행위는 운전자의 가속 또는 감속동작을 직접적으로 검출하여 변속제어를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이들 스위치(6)의 ON/OFF 상태(즉, 액셀레이터 페달 동작의 유,무) 및 브레이크 스위치(5)의 ON/OFF상태(즉, 브레이크 페달 동작의 유,무)를 판단하여 검출된다.
이와 관련하여, 브레이크 스위치(5)에도 이상이 발생하면, 변속제어는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이 없음을 판단하여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현재의 속도비를 유지하는 안전한 측면으로 수행된다. 그러므로 차속 감지 센서(10)와 브레이크 스위치(5)가 둘다 이상이 발생하여 유발될 수 있는 잠재적인 위험성을 제거할 수 있다.
도 2의 단계 22에서 변속기 입력 회전센서(9)가 또한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변속제어는 차속감지센서(10)에 의하여 검출되어 부정확할 수 있는 차속 VSP를 대신하여 설정된 차속(예를 들면 50KM/h)를 가지고 수행된다. 이런 경우에, 차속 감지 센서(10)의 이상이 발생할 때 설정된 차속의 사용으로 유발되는 문제가 있더라도, 변속제어는 차속 감지 센서(10)와 변속기 입력 회전센서(9)가 둘 다 이상이 발생하여 유발될 수 있는 잠재적인 위험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설정된 차속 값과 트로틀 개도를 TVO를 사용하여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은 이동맵을 기초로 하여 안전한 측면으로 수행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도 2에서의 단계 28에서의 가속/감속의 판단이 브레이크 스위치(5) 및 아이들 스위치(6)의 온/오프 상태를 기초로 하여 이루어진다. 선택적으로 가속/감속의 판단은 도 1에서 도시된 가속 개도 센서(7)로부터검출된 가속 페달의 밟아짐 량 APS를 기초로 하여 판단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도 2의 단계 28에서, 차량의 운전의도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은 맵을 기초로 하여 변속 입력 회전 속도 Ni와 가속 페달의 밞아짐 량 APS으로부터 판단되고, 그것에 의하여 무단변속기의 상위 변속(UP)이 필요한지, 하위 변속(DOWN)이 필요한지 또는 현재속도비의 유지(HOLD)가 필요한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나서, 차속 감지 센서(10)의 이상시의 변속 제어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동작 및 효과를 이루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방법에서 나온 결과를 판정하여 수행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은 또 다른 실시예는 현재의 속도비를 유지하거나 히스테리시스 영역내에서는 다른 속도비로의 변속동작을 금지하기 위한 변속 입력 회전 속도 Ni의 최저 설정치Ni(LOW)와 최고 설정치Ni(HI)사이의 히스테리시스 영역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변속제어의 난조를 효율적으로 방지하고 차량의 조정 안정성을 개선시킨다.
도 4를 더 살펴보면, 히스테리시스 영역은 가속/ 감속 동작 판정의 기초를 이루는 가속 페달의 밞아짐 량 APS에서도 최저 설정치APS(LOW)와 최고 설정치 APS(HI)사이에서도 현재의 속도비를 유지하거나 히스테리시스 영역내에서는 다른 속도비로의 변속동작을 금지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변속제어의 난조를 효율적으로 방지하고 차량의 조정 안정성을 개선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속/ 감속 동작이 가속 페달의 밞아짐 량 APS으로부터 판정될 때, 만약 상위변속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변속기의 회전속도를 억압함에 따라변속기 오일 온도 TMP가 설정된 오일 온도를 초과하려고 하면, 가속 페달의 밞아짐량 APS은 검출값에 관계 없이 최저 설정치 TMP(LOW)보다도 적은량으로 판정된다. 그러므로 변속기의 회전속도가 억압됨에 따라 변속기 유압 오일의 과열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두개의 실시예에서는, 차속 감지 센서(10)의 이상이 발생하고, 이상이 발생한 시간에 변속 제어가 이루어 질 때, 정상적인 변속 제어의 변속 속도보다도 저하되도록 동작하는 도 1의 수단(13)에 의하여 결정된 변속기의 변속 속도 또는 스텝 모터의 구동 속도에 의하여 수행됨으로서 차속 감지 센서(10)의 고장시에 운전자가 불쾌감을 제거하는 뛰어난 변속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두개의 실시예에서는, 차속 감지 센서(10)의 이상시에 변속제어가 수행되는 동안에, 차량이 정지하기 직전에, 변속기 입력 회전 속도 Ni가 설정값보다 작을때, 고속 부분상의 속도비를 상위 변속시키기 위하여 목표 스텝수를 미세하게 증가시킨다. 이런 방법은 특별하게 자동변속기가 V-벨트 방식의 무단 변속 기일 경우에, 한 쌍의 벨트 풀리사이에 오일 압력의 불균형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미끄럼 현상을 방지하는 데 효과적일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이탈 하지 않는 한 당업자에 의해 그 개량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23)

  1. 차속을 검출하기 위한 차속 감지 센서;
    상기 차속 감지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 차속만을 기초로 하여 목표 속도 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변속기의 목표 속도 비에 따라 변속기의 변속동작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제 1 제어 수단; 그리고
    상기 변속기의 입력 회전 속도만을 기초로 하여 현재 속도비의 유지 또는 변경 명령을 발생시켜 상기 차속 감지 센서의 이상 발생시에 변속기의 변속동작을 수행하는 제 2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차량 자동 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 수단은 변속기의 입력 회전 속도의 히스테리시스 영역을 가지고 동작되며, 상기 히스테리시스 영역내에서는 현재의 속도비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자동 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제어 시스템은 변속기의 입력회전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변속기 입력 회전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속 감지 센서와 상기 변속기 입력 회전 감지센서의 이상 발생시에 상기 제 2 제어 수단에 의한 변속 제어를 금지시키고, 상기 차속 감지 센서에서 검출된 차량 속도를 대신하여 설정된 차량 속도 값에 의하여 상기 제 1 제어수단에 의한 변속제어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 수단을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 2 제어 수단은 경감된 속도로 현재의 속도비를 변경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자동 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제어 시스템은 차속 감지 센서의 이상 발생시에 상한치 및 하한치를 갖는 목표 스텝수를 얻기 위하여 동작되는 스텝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자동 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
  6. 차속 감지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 차속만을 기초로 하여 변속기의 목표 속도 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변속기의 목표 비에 따라 변속기의 변속동작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제 1 제어 수단; 그리고
    차량의 운전자에 의한 가속 또는 감속동작만을 기초로 하여 현재 속도비의 유지 또는 변경 명령을 발생시켜 상기 차속 감지 센서의 이상 발생시에 변속기의 변속동작을 수행하는 제 2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차량 자동 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제어 시스템은 운전자의 가속 또는 감속동작을 검출하기 위하여 차량의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밟음에 의하여만 동작하는 차량의 아이들 스위치 및 브레이크 스위치를 각각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자동 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수단은 브레이크 스위치에 이상이 발생하면 브레이크 페달이 동작되지 않음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자동 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가속 페달이 밞아진 양을 감지하기 위한 가속 페달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속 페달 센서에 의하여 운전자의 가속 또는 감속 동작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자동 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 수단은 변속기의 유압 오일 온도가 설정치 보다 높을 때 상위 변속의 경향이 증가됨에 따라 변속기의 회전 속도가 억압되므로 가속 페달이 밞아진 량이 적어진 량의 판단을 기초로 하여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자동 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 수단은 운전자의 가속 도는 감속 동작의 히스테리시스 영역을 가지고 동작되며, 상기 히스테리시스 영역내에서는 현재의 속도비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자동 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 수단은 경감된 속도로 현재의 속도비를 변경하기 위하여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자동 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제어 시스템은 차속 감지 센서의 이상 발생시에 상한치 및 하한치를 갖는 목표 스텝수를 얻기 위하여 동작되는 스텝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자동 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
  14. 차속을 검출하기 위한 차속 감지 센서;
    상기 차속 감지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 차속만을 기초로 하여 목표 속도 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변속기의 목표 변속비에 따라 변속기의 변속동작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제 1 제어 수단; 그리고
    상기 변속기의 입력 회전 속도와 차량의 운전자에 의한 가속 또는 감속동작을 기초로 하여 현재 속도비의 유지 또는 변경 명령을 발생시켜 상기 차속 감지 센서의 이상 발생시에 변속기의 변속동작을 수행하는 제 2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자동 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 수단은 변속기의 입력 회전 속도의 히스테리시스 영역을 가지고 동작되며, 상기 히스테리시스 영역내에서는 현재의 속도비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자동 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제어 시스템은 변속기의 입력회전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변속기 입력 회전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속 감지 센서와 상기 변속기 입력 회전 감지센서의 이상 발생시에 상기 제 2 제어 수단에 의한 변속제어를 금지시키고, 상기 차속 감지 센서에서 검출된 차량 속도를 대신하여 설정된 차량 속도 값에 의하여 상기 제 1 제어수단에 의한 변속제어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 수단을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 수단은 상기 운전자의 가속 또는 감속동작을 검출하기 위하여 차량의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밟음에 의하여만 동작하는 차량의 아이들 스위치 및 브레이크 스위치를 각각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자동 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수단은 브레이크 스위치에 이상이 발생하면 브레이크 페달이 동작되지 않음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자동 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가속 페달이 밞아진 양을 감지하기 위한 가속 페달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속 페달 센서에 의하여 운전자의 가속 또는 감속 동작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자동 변속기용변속제어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 수단은 변속기의 유압 오일 온도가 설정치 보다 높을 때 상위 변속의 경향이 증가됨에 따라 변속기의 회전 속도가 억압되므로 가속 페달이 밞아진 량이 적어진 량의 판단을 기초로 하여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자동 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 수단은 운전자의 가속 도는 감속 동작의 히스테리시스 영역을 가지고 동작되며, 상기 히스테리시스 영역내에서는 현재의 속도비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자동 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
  2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 수단은 경감된 속도로 현재의 속도비를 변경하기 위하여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자동 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
  23.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제어 시스템은 차속 감지 센서의 이상 발생시에 상한치 및 하한치를 갖는 목표 스텝수를 얻기 위하여 동작되는 스텝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자동 변속기용 변속제어시스템.
KR1020020053974A 2001-09-07 2002-09-06 자동변속기용 변속 제어 시스템 KR1005592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71532A JP2003083442A (ja) 2001-09-07 2001-09-07 自動変速機の車速センサ異常時変速制御装置
JPJP-P-2001-00271532 2001-09-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078A true KR20030022078A (ko) 2003-03-15
KR100559200B1 KR100559200B1 (ko) 2006-03-15

Family

ID=19097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974A KR100559200B1 (ko) 2001-09-07 2002-09-06 자동변속기용 변속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044887B2 (ko)
EP (1) EP1291559A3 (ko)
JP (1) JP2003083442A (ko)
KR (1) KR1005592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544B1 (ko) * 2004-08-06 2007-08-06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무단 변속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4237B2 (ja) * 2004-04-20 2007-10-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の制御装置
JP4276660B2 (ja) 2006-02-01 2009-06-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動力出力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する車両並びに動力出力装置の制御装置、動力出力装置の制御方法
JP4680075B2 (ja) 2006-02-01 2011-05-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動力出力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する車両並びに動力出力装置の制御装置、動力出力装置の制御方法
US7653469B2 (en) * 2006-07-25 2010-01-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utomatic transmission shift point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use
JP4182127B2 (ja) * 2006-09-20 2008-11-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無段変速機
US8000863B2 (en) * 2007-05-31 2011-08-16 Caterpillar Inc. Open-loop torque control with closed-loop feedback
US7660657B2 (en) * 2007-06-29 2010-02-09 Caterpillar Inc. Anti-hunt system and method for parallel path variable transmission
JP4471018B2 (ja) * 2008-04-15 2010-06-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JP4858501B2 (ja) * 2008-07-14 2012-01-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US8145398B2 (en) * 2008-11-12 2012-03-27 Caterpillar Inc. Method for controlling gear ratio changes in an automatic transmission
JP5552744B2 (ja) * 2009-02-10 2014-07-16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8412428B2 (en) 2010-05-28 2013-04-02 Honda Motor Co., Ltd. System for and method of detecting clutch engagement of a manual transmission
CN104981635B (zh) * 2013-02-18 2017-03-08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无级变速器的控制装置
KR101573625B1 (ko) 2014-08-12 2015-1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48728A5 (ko) * 1971-07-30 1973-03-23 Peugeot & Renault
JPS62143744A (ja) * 1985-12-19 1987-06-27 Fuji Heavy Ind Ltd 車両用無段変速機の変速比制御装置
US4849899A (en) * 1986-04-07 1989-07-18 Eaton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AMT system including speed sensor signal fault detection and tolerance
US5050427A (en) * 1986-04-07 1991-09-24 Eaton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AMT system including speed sensor signal fault detection and tolerance
JPS6347549A (ja) * 1986-08-11 1988-02-29 Aisin Warner Ltd フエイルセ−フ機能を備えた自動変速機
JPH07107424B2 (ja) * 1987-06-26 1995-11-15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電子制御式自動変速機
US4947331A (en) * 1988-07-25 1990-08-07 Eaton Corporation Upshift logic
JPH0242268A (ja) * 1988-08-01 1990-02-13 Nissan Motor Co Ltd パワートレーンの総合制御装置
JP2992624B2 (ja) * 1991-06-12 1999-12-20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2601082B2 (ja) 1991-10-25 1997-04-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JPH05157170A (ja) * 1991-12-04 1993-06-22 Toyota Motor Corp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3013607B2 (ja) * 1992-06-12 2000-02-2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方法
JP3523351B2 (ja) * 1994-12-27 2004-04-26 ジヤトコ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DE19611804A1 (de) * 1996-03-26 1997-10-02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Einstellung einer Übersetzung eines kontinuierlich verstellbaren Getriebes
JPH09269061A (ja) * 1996-03-31 1997-10-14 Mazda Motor Corp 車両の制御装置
JP3295332B2 (ja) * 1997-01-24 2002-06-24 愛知機械工業株式会社 無段変速機用回転数センサの異常検出装置
KR100309149B1 (ko) * 1997-12-31 2002-02-28 이계안 자동변속기의차속센서고장진단방법
DE19928554B4 (de) * 1998-06-23 2007-03-29 Nissan Motor Co., Ltd., Yokohama Übersetzungsverhältnis-Regel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egelung des Überssetzungsverhältnisses bei einem stufenlos verstellbaren Toroidgetriebe
JP3402209B2 (ja) * 1998-07-24 2003-05-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無段変速機用変速制御装置の初期化装置
DE19836701A1 (de) 1998-08-13 2000-02-17 Schlafhorst & Co W Verfahren zum Stillsetzen eines elektrischen Antriebsmotors und Bremsschaltung
KR100302725B1 (ko) * 1999-03-12 2001-09-22 이계안 자동 변속기의 출력축 회전수 검출센서 고장진단방법
EP1094254B1 (en) * 1999-09-30 2004-03-03 Nissan Motor Co., Ltd. Speed ratio control device for vehicle
KR100387482B1 (ko) * 2000-12-30 2003-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자동 변속기의 입력 속도센서 고장 진단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544B1 (ko) * 2004-08-06 2007-08-06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무단 변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083442A (ja) 2003-03-19
EP1291559A3 (en) 2005-12-14
US7044887B2 (en) 2006-05-16
EP1291559A2 (en) 2003-03-12
US20030064855A1 (en) 2003-04-03
KR100559200B1 (ko) 200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81317B2 (ja) 車両用変速機の油圧異常低下判定装置
KR100559200B1 (ko) 자동변속기용 변속 제어 시스템
EP2128499B1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6757603B2 (en) Slippage prevention apparatus of belt-driv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or automotive vehicle
JP3817412B2 (ja) 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KR20040028511A (ko) V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슬립 방지 장치
JP6006884B2 (ja) 油圧スイッチの故障判定装置
JP3087001B2 (ja)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US7029410B2 (en) System for preventing belt slip of belt-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4395137B2 (ja) 車両のトルク制御装置
EP1403568B1 (en) Hydraulic pressure sensor failure control system for belt-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20120310498A1 (en) Controller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H05332426A (ja) 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WO2016194597A1 (ja)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JP3821764B2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ベルト滑り防止システム
JP2006336796A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JP4101563B2 (ja) 車両用無段変速機のスリップ防止装置
CN114576352B (zh) 车辆用无级变速器、车辆和控制方法
US11976723B2 (en)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 method for automatic transmission,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JP4735343B2 (ja) 車両用無段変速装置の変速制御装置
KR100588511B1 (ko) 무단변속기의 1차측 풀리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06105249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2008039154A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における油圧制御装置
JPH08270743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H04321873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