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9192A - 피가공물을 프레스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피가공물을 프레스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9192A
KR20030019192A KR1020020051380A KR20020051380A KR20030019192A KR 20030019192 A KR20030019192 A KR 20030019192A KR 1020020051380 A KR1020020051380 A KR 1020020051380A KR 20020051380 A KR20020051380 A KR 20020051380A KR 20030019192 A KR20030019192 A KR 20030019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n
workpiece
plate
press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1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0582B1 (ko
Inventor
마츠모토세이키
오카자키시즈아키
Original Assignee
기타가와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29479A external-priority patent/JP384763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242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311494A/ja
Application filed by 기타가와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타가와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9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9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0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05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4Heating or cooling presse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10Stamping using yieldable or resilient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6Platens or press rams
    • B30B15/062Press plates
    • B30B15/064Press plates with heating or 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5/00Pr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ressing means other than those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 B30B5/02Pr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ressing means other than those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wherein the pressing means is in the form of a flexible element, e.g. diaphragm, urged by fluid press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11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피가공물을 프레스하기 위한 플래튼을 포함하는 프레스 장치가 제공되고, 이 프레스 장치는, 플래튼이 피가공물을 향하여 이동할 때 플래튼 대신에 피가공물을 프레스 하는, 플래튼 및 피가공물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프레스 플레이트, 및 프레스 플레이트 및 플래튼 사이에 형성되어 소정의 압력으로 피가공물을 프레스하기 위한 힘을 전달하는 액체층을 가지고 있다. 플래튼은 피가공물을 가열하는데 충분한 온도까지 가열되는 열 플래튼이다. 프레스 플레이트는 경면의 마무리 표면을 가진 금속 플레이트이다.

Description

피가공물을 프레스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ESSING WORKPIECE}
본 발명은 피가공물을 프레스하기 위한 향상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가공물에 동시에 열 및 압력을 가함으로써 다중층 보드와 같은 피가공물을 열-프레스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트 배선판(printed wiring board:PWB)과 같은 다중층 보드는, 복수의 회로 부재 및 각각의 인접하는 회로 부재 쌍 사이에 삽입되는 프리프레그 부재와 같은 수직으로 적재된 복수의 부재를 열-프레스함으로써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열-프레스는 한 쌍의 대향 열 플래튼을 가지고 있는 프레스 장치를 채용함으로써 수행되고, 일방의 열 플래튼은 타방의 열 플래튼을 향하여 그리고 타방의 열 플래튼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동된다.
특히, 회로 부재 및 프리프레그 부재의 스택은 한 쌍의 열 플래튼 사이에 준비 및 위치되고 그 사이에서 열-프레스된다. 열-프레스 공정 동안, 열 플래튼의 온도는, 프리프레그 부재의 수지 요소가 소정의 시간 동안 대체적으로 액화되고 그것에 의해 인접 회로 부재를 접합하고 모든 스택 부재를 함께 통합하여 다중층 프린트 배선판을 형성하도록 제어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프린트 배선판은 균일한 두께를 가질 필요가 있기 때문에, 열-프레스는 높은 표면 평면도를 가지고 있는 열 플래튼으로 수행되어야 한다.한편, 최근에, 프린트 배선판은, 프린트 배선판이 설치되는 컴팩트한 전기 장치의 생산 요구로 인해 점점 더 얇아지고 있다. 예를 들면, 제조되는 프린트 배선판의 두께는 100㎛ 이하이고, 이 경우, 열 플래튼은 10㎛ 이하의 표면 평면도 변화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열 플래튼의 표면이 상기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고 비교적 큰 기복을 가지고 있으면, 프린트 배선판에 열 플래튼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은 프린트 배선판에 걸쳐서 변화한다. 압력에 있어서의 그와 같은 변화는 결과적으로 프레스된 프린트 배선판에 있어서의 두께 변화로 이어진다. 게다가, 압력이 불충분하게 가해지는 위치에서는 회로 부재 사이에 접합 성질이 열악하게 된다.
상기에 더하여, 최근에, 프레스 장치는 한 번의 프레스 동작에 의해 복수의 프린트 배선판을 동시에 프레스하기 위해서 대형의 열 플래튼을 채용하였다. 그렇지만, 열 프래튼의 소정의 평면도의 실현은 그 크기에 비례하여 더 어려워지기 때문에, 결함이 있는 보드, 즉 두께 균일성이 낮은 보드 및/또는 접합 성질이 열악한 보드의 수 또한 증가한다.
상기의 결점을 회피하기 위해서, 피가공물 및 열 플래튼 사이에 위치되는, 일방측에서 작은 표면 거칠기 및 작은 변형성을 가지고 있고 이것이 타방측의 표면 거칠기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크라프트 종이와 같은 쿠션 부재를 채용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쿠션 부재에 사용되는 재료는 열 플래튼에 비해 극히 낮은 열전도율을 가지고 있다. 그와 같은 낮은 열전도율은 보다 긴 가열 시간을필요로 하고 결과적으로 생산성이 낮아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스 표면의 평면도의 정도에 관계없이 피가공물에 걸쳐서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피가공물을 프레스하기 위한 향상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레스 표면의 크기에 관계없이 피가공물에 걸쳐서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피가공물을 프레스하기 위한 향상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가공물에 걸쳐서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고, 피가공물을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피가공물을 열-프레스하기 위한 향상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의 프레스의 기본구성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스의 상부 열 플래튼의 수평단면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I-I 선을 따라 취해진, 상부 고온 플레이트 및 거기에 고정되어 있는 상부 플래튼 커버의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스에 의해 프린트 배선판을 프레스하는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프레스의 기본구성의 개략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프레스의 상부 열 플래튼의 수평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프레스의 상부 가열 커버의 수평단면도;
도 8은, 도 7에 있어서의 II-II 선을 따라 취해진, 상부 열 플래튼에 장착되어 있는 상부 플래튼 커버의 수직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프레스의 기본구성의 개략도;
도 10은 프린트 배선판의 스택을 프레스하는 쿠션 부재를 도시하고 있는, 도 9의 프레스의 일부분의 수직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쿠션 부재의 변형인 쿠션 부재를 도시하고 있는, 도10의 프레스의 일부분의 수직단면도.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피가공물에 걸쳐서 균일한 압력으로 피가공물을 프레스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에 있어서, 플래튼의 프레스 표면 상에 프레스 플레이트가 위치된다. 그리고 나서, 피가공물 곁에 피가공물보다 더 두꺼운 또는 더 깊은 스페이서가 위치된다. 스페이서는 플래튼에 의해 프레스되고 프레스 플레이트 및 피가공물 사이에 갭을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플래튼 및 프레스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액체층이 압축되고 그래서 프레스 플레이트가 액체층의 압력으로 인해 피가공물을 향하여 휘고 그것에 의해 피가공물을 프레스한다. 액체층은 프레스 플레이트에 걸쳐서 균일한 압력을 가하기 때문에,프레스 플레이트는 피가공물에 걸쳐서 균일한 압력을 가한다.
그래서, 플래튼은 스페이서와 계속 접촉할 수 있고 플래튼 및 피가공물 사이의 거리는 액체가 압축되어 있는 동안 일정하게 유지되고, 피가공물을 향하여 너무 많이 휨으로 인해서 프레스 플레이트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프레스되는 피가공물이 플래튼의 프레스 표면 상에 위치되고 플래튼 및 피가공물 사이에 쿠션 부재가 제공되는 프레스 방법이 제공된다. 쿠션 부재는 서로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그 사이에 밀봉 공간을 형성한다. 밀봉 공간은 액체로 충전되고 액체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플래튼은 피가공물을 향하여 가압되고 그래서 피가공물이 쿠션 부재에 의해 프레스된다. 쿠션 부재는 액체로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쿠션 부재는 피가공물에 걸쳐서 균일한 압력을 가한다.
선택적으로, 피가공물이 쿠션 부재에 의해 프레스되기 전에 쿠션 부재 및 피가공물 사이에 중간 플레이트가 제공될 수도 있다. 중간 플레이트가 피가공물에 대하여 프레스될 때, 중간 플레이트는 피가공물의 표면을 따라서 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복수의 피가공물 및 중간 플레이트를 교대로 쌓음으로써 피가공물의 스택이 형성되고 프레스하기 위해 플래튼의 프레스 표면에 위치될 수도 있다.
상기의 중간 플레이트는 쿠션 부재가 피가공물 상에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영역을 확장하는데 조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피가공물을 향하여 이동가능한 플래튼과, 플래튼 및 피가공물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프레스 플레이트를 가지고 있고 그래서 플래튼이 피가공물을 향하여 이동될 때 프레스 플레이트에 의해 피가공물이 프레스되는, 피가공물을 프레스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프레스 플레이트 및 플래튼 사이에는 액체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액체층은 플래튼으로부터 프레스 플레이트까지 피가공물을 프레스하기 위한 힘을 전달한다. 힘의 전달 동안, 플래튼으로부터 액체층에 가해지는 힘은 플래튼의 표면 형상에 관계없이 액체층의 일정한 압력으로 변화된다. 그러므로, 액체층에 의해 프레스 플레이트 상에 가해지는 힘은 프레스 플레이트에 걸쳐서 일정하고, 그 결과 프레스 플레이트로부터 피가공물 상에 가해지는 압력은 피가공물 전체에 걸쳐서 균일하게 된다.
프레스 플레이트는 얇은 플레이트이고 그래서 프레스하는 동안 피가공물의 표면을 따라서 휘게 된다. 선택적으로, 프레스 플레이트의 피가공물 측은 프레스 플레이트 및 피가공물 사이의 부드러운 접촉을 위해 경면의 부드러운 상태로 마무리된다.
일부 경우에, 플래튼은 열-프레스하기 위한 소정의 온도까지 피가공물을 가열하기에 충분한 온도까지 가열되는 열 플래튼이다. 그와 같은 경우에, 액체층은 열전도유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전달 오일은 높은 열전도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열 플래튼의 열은 피가공물에 효과적으로 전달된다. 그러므로, 피가공물은 단시간에 가열될 수 있고 그래서 전체 프레스 공정에 필요한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레스 플레이트는 플래튼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그래서 그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 공간은 액체를 충전함으로써 액체층을 형성하는데 이용된다. 이 공간에 충전되는 액체의 압력은 압력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고 그래서 예를 들면 액체의 압력이 피가공물이 프레스될 때만 상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경우에, 프레스는 프레스하는 동안 피가공물 및 플래튼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스페이서는 플래튼의 피가공물 측에 배열되고 피가공물을 향하여 가압되는 플래튼을 지탱하고 그래서 액체층이 압축되어 있지 않을 때 프레스 플레이트 및 피가공물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형성된다. 클리어런스는 액체층이 압축되어 있을 때 액체층에 의해 프레스 플레이트를 휘게 하고 피가공물을 프레스하게 하기에 충분히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압력 컨트롤러는, 플래튼이 스페이서에 의해 지탱될 때만 프레스 플레이트가 휘고 피가공물을 프레스하도록, 액체의 압력을 상승시킨다. 그리고, 압력 컨트롤러는, 플래튼이 가할 수 있는 최대 압력보다 크지 않은 소정의 레벨까지 액체의 압력을 상승시킨다. 프레스 플레이트는 액체가 압축될 때 피가공물을 향하여 휘게 된다. 그렇지만, 상기의 조건이 만족되는 한, 프레스 플레이트의 휨은 작은 클리어런스로 인해 작은 정도로 제한되고 액체층의 고압에 의해 야기되는 프레스 플레이트의 파괴가 방지된다.
일부의 경우에, 프레스 장치는 액체층의 압력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압력 컨트롤러, 및 프레스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그래서 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백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이 공간은 액체로 충전되고 액체층을 형성한다. 백 플레이트는 플래튼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그래서 거기에 결합되어 있는 프레스 플레이트와 함께 교환될 수 있다. 백 플레이트는 공간과 연통하는 도관 및 백 플레이트의 측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개구부는 압력 컨트롤러에 연결되고 그래서 액체층의 압력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에, 프레스 장치는, 액체가 소정의 레벨까지 압축될 때 공간이 형성되고, 액체의 압력이 소정의 레벨 이하로 감소될 때 공간이 없어지고 프레스 플레이트가 백 플레이트와 접촉하게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레스 플레이트를 향하는 표면에서 백 플레이트에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이 홈은 액체를 홈 내에 제공하는 도관과 연통하고 있다. 홈은 백 플레이트의 표면에 걸쳐서 뻗어 있는 그리드 패턴으로 형성되고 그래서 액체는 백 플레이트에 걸쳐서 신속하게 퍼지고 액체층이 압축된 후 단시간에 액체층이 형성될 수 있다.
플래튼이 열 플래튼인 경우에, 백 플레이트는, 플래튼을 향하는 표면이 플래튼과 접촉하고 그래서 열 플래튼의 열이 피가공물에 효과적으로 전도되도록 플래튼에 장착되어 있다.
일부 경우에, 프레스 장치는 한 쌍의 플래튼, 한 쌍의 프레스 플레이트, 및 한 쌍의 액체층을 포함한다. 플래튼, 프레스 플레이트 및 액체층은 한 쌍의 프레스 플레이트 사이에 피가공물을 끼워 프레스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그래서 피가공물의 양측에 걸쳐서 균일한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프레스 장치는 프레스 플레이트 및 추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쿠션 부재를 포함한다. 추가 플레이트 및 프레스 플레이트는 서로 결합되어 있고 그 사이에 밀봉 공간을 형성한다. 밀봉 공간은 액체로 충전되고 액체층을 형성한다. 쿠션 부재는 플래튼 및 피가공물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그래서 추가 플레이트는 플래튼을 향하고 프레스 플레이트는 피가공물을 향한다. 프레스 동안, 쿠션 부재를 통하여 피가공물까지 플래튼으로부터 압력이 가해진다. 쿠션 부재는 액체층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플래튼의 표면 평면도가 비교적 낮더라도 피가공물에 걸쳐서 균일한 압력이 가해진다.
플래튼이 열 플래튼인 경우에, 쿠션 부재의 밀봉 공간은 열전달 오일로 충전되고 그래서 열 플래튼의 열이 프레스 동안 피가공물에 효과적으로 전도된다.
상기의 경우에, 금속과 같은 높은 열전도율의 재료로 프레스 플레이트 및 추가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스 플레이트의 피가공물 측은 경면 마무리 표면이고 그래서 프레스 플레이트가 프레스하는 동안 피가공물을 스크래치하지 않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밀봉 공간은 전체 외주를 따라 프레스 플레이트 및 추가 플레이트를 용접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쿠션 부재는 프레스 플레이트 및 추가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프레스 플레이트를 대체적으로 평평하게 유지하고 그것에 의해 피가공물을 프레스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영역을 확장할 수도 있다. 또한 스페이서는 추가 플레이트를 대체적으로 평평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스페이서는 프레스 플레이트 및 추가 플레이트를 서로 대체적으로 평행하게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의 스페이서는 상부 림 및 하부 림을 가지고 있는 환형의 부재일 수도 있다. 상부 및 하부 림은 프레스 플레이트 및 추가 플레이트에 각각 용접되고 밀봉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경우의 프레스 장치는 한 쌍의 상기의 플래튼, 및 한 쌍의 상기의 쿠션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플래튼 및 쿠션 부재는 한 쌍의 쿠션 부재 사이에서 피가공물을 끼워 프레스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프레스는 평평한 중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피가공물을 프레스하는 동안, 중간 플레이트는 제 1 및 제 2 위치 중의 한 위치에 위치하고, 제 1 위치는 피가공물 및 쿠션 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제 2 위치는 동시에 프레스되도록 적재된 2개의 피가공물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또는 제 2 위치에 위치하는 그와 같은 중간 플레이트는 피가공물에 균일한 압력을 가하는데 조력한다.
중간 플레이트는 피가공물을 프레스할 때 피가공물의 표면을 따라서 휘도록 충분히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 플레이트는 금속과 같은 높은 열전도율의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의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100)의 기본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프레스 장치(100)는 프레임(104)의 천정부(104a)에 장착되어 있는 피스톤-실린더 기구(102)를 가지고 있다. 피스톤-실린더 기구(102)는 실린더(106) 및 실린더(106) 내부에 위치하고 실린더(106)의 내벽을 따라서 상하 미끄럼이동하는 피스톤(108)을 포함하고 있다. 실린더(106)의 바닥부에는 관통 구멍(112)이 천공되어 있다. 피스톤(108)의 바닥부에는 피스톤 로드(110)가 장착되어 있고 피스톤(108)과 함께 상하 이동한다.
실린더(106)의 내부 공간은 피스톤(108)에 의해 상부 공간(106a) 및 하부 공간(106b)로 분단되어 있다. 상부 및 하부 공간(106a, 106b)은 작동유로 충전되어 있다. 상부 및 하부 공간(106a, 106b)은 컨트롤러(170)의 제어하에서 작동하는 유압 펌프(210)에 연결되어 있다. 유압 펌프(210)는 상부 및 하부 공간(106a, 106b)의 일방의 작동유의 압력을 증가시키고 타방의 압력을 감소시켜서 피스톤(108)을 상하 이동시킨다.
피스톤 로드(110)의 하부 끝부에는 가동 테이블(114)이 고정되어 있고 피스톤-실린더 기구(102)에 의해 발생되는 힘에 의해 상하 이동한다. 또한 가동 테이블(114)의 하면에는 상부 열 플래튼(116)이 고정되어 있고, 그 사이에는 단열재(118)가 구비되어 있다. 단열재(118)는 상부 열 플래튼(116)으로부터 가동 테이블(114)을 향하는 열전도로 인한 상부 열 플래튼(116)의 열손실을 방지한다. 열 플래튼(116)의 하면은 상부 플래튼 커버(120)로 덮혀 있다.
프레임(104)의 베이스(104b) 상에는 고정 테이블(122)이 놓여 있고, 고정 테이블(122) 상에는 하부 열 플래튼(124)이 장착되어 있고, 그 사이에는 하부 열 플래튼(124)의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126)가 구비되어 있다. 하부 열 플래튼(124)의 상면은 하부 플래튼 커버(128)로 덮혀 있다.
하부 플래튼 커버(128) 상에는, 프린트 배선판(printed wiring boards), 구리 클래드 래미네이트(copper clad laminates)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피가공물이 프레스하기 위해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회로층 및 그 사이에 제공되는 1개의 프리프레그층을 가지고 있는 1개의 프린트 배선판(134)이 하부 플래튼 커버(128) 상에 위치하고 있다. 회로층 및 프리프레그층의 두께는 각각 18㎛ 및 50㎛이다. 따라서, 프린트 배선판(134)의 전체 두께는 86㎛이다.
상부 및 하부 열 플래튼(116, 124)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열 플래튼(116, 124)에 형성되어 있는 도관에 열전달 오일와 같은 열매체를 제공하는 펌프(130)에 연결되어 있다. 펌프(130) 및 2개의 플래튼(116, 124) 사이에는 히터(132)가 구비되어 있고 열전달 오일을 가열한다.
펌프(130)로부터 제공되는 열전달 오일은 히터(132)에 의해 가열되고 그리고 나서 상부 및 하부 열 플래튼(116, 124)을 통해서 유동한다. 이런 방식으로, 상부 및 하부 열 플래튼(116, 124)은 프리프레그가 대체적으로 액체로 되는 온도까지 프린트 배선판(134)의 프리프레그를 가열하기 위해 요구되는 소정의 성형 온도로 가열된다.
가동 플레이트(114) 및 거기에 고정되어 있는 상부 열 플래튼(116)이 피스톤 실린더 기구(102)에 의해서 하방으로 가압되면, 하부 플래튼 커버(128) 상에 위치하고 있는 프린트 배선판(134)은 상부 및 하부 플래튼 커버(120, 128) 사이에 끼워진다. 사이에 끼워진 프린트 배선판(134)은 상부 및 하부 플래튼 커버(120, 128)에 의해서 가열 및 프레스된다. 그 결과, 회로층은 프리프레그층에 확고하게 접합되고 프린트 배선판(134)은 균일 두께로 성형된다.
도 2는 상부 열 플래튼(116)의 수평단면도이다. 상부 열 플래튼(116)은 가압의 두꺼운 플레이트이고 본질적으로 정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부 열 플래튼(116)에는 제 1 내지 제 11 관통 구멍(140-160)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8 관통 구멍(140-154)은 도 2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9 내지 제 11 관통 구멍(156-160)은 도 2에 있어서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제 9 관통 구멍(156)은 도 2에 있어서 상부 열 플래튼(116)의 하부 끝부 근방에 형성되어 있어서 제 1 내지 제 8 관통 구멍(140-154)의 각각과 직각으로 교차한다. 그리고, 제 10 관통 구멍(158)은 좌측으로부터 제 6 관통 구멍(150)까지 상부 열 플래튼(116)의 정상 끝부 근방에 천공되어 있다. 또한 제 11 관통 구멍(160)은 우측으로부터 제 7 관통 구멍(152)까지 상부 열 플래튼(116)의 정상 끝부 근방에 천공되어 있다.
관통 구멍(140-160) 내에는 복수의 블랭크 캡(162)이 채워져 있어서 상부 열 플래튼(116) 내부에 단일 열 도관(164)이 형성되어 있고, 이 단일 가열 도관은, 도 2에 있어서 파선(A)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관통 구멍(140)의 하나의 끝부(140a)에서 시작하고, 상부 열 플래튼(116)을 구불구불한 경로로 통과하고, 제 11 관통 구멍(154)의 하나의 끝부(154a)에서 끝난다.
펌프(130)로부터 제공되는 열전달 오일은 가열 도관(164)을 통해서 유동하고상부 열 플래튼(116)을 가열한다. 상부 열 플래튼(116)에는 컨트롤러(도 1 참조)에 연결되어 있는 열 센서(도시 생략)가 구비되어 있다. 컨트롤러(170)는, 상부 열 플래튼(116)이 프리프레그의 소정의 성형 온도,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200°로 가열되도록, 열 센서에 의해 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히터(132)를 제어하여 가열 도관(164)을 통해서 유동하는 열전달 오일의 온도를 조정한다.
상부 열 플래튼(116)의 외주에는 도 2에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관통 구멍(172)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플래튼 커버(12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관통 구멍(172)을 통해서 삽입되는 볼트에 의해 상부 열 플래튼(116)의 하면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부 열 플래튼(116)에는 2개의 구멍(180, 182)이 구비되어 있다. 구멍(180)은 제 6 관통 구멍(150)과 평행하게 도 2에 있어서 상부 열 플래튼(116)의 상부 끝부로부터 제 6 관통 구멍(150) 및 제 7 관통 구멍(152) 사이에 천공되어 있다. 구멍(182)은 상부 열 플래튼(116)의 하면으로부터 천공되어 있어서 직각으로 구멍(180)과 통한다. 2개의 구멍(180, 182)은 상부 열 플래튼(116)의 측면으로부터 하면까지 뻗어 있는 압력 도관(184)을 구성한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선 I-I을 따라서 취해진, 상부 열 플래튼(116) 및 거기에 고정되어 있는 상부 플래튼 커버(120)의 단면도이다.
상부 플래튼 커버(120)는 직사각형의 환형 프레임(190) 및 금속 플레이트(194)를 포함하고 있다. 프레임(190) 및 금속 플레이트(194)는 높은 열전도율을 가지고 있는 재료로 제작된다.
프레임(190)은 바닥부 근방에서의 외주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192)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192)는 프레임(190)의 하면과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프레임(190)으로부터 외측으로 뻗어 있다. 금속 플레이트(194)는 경면의 부드러운 표면을 가지고 있는 스테인리스가압의 얇은 시트이다.
금속 플레이트(194) 및 플랜지(192)는 수밀 방식으로 전체 외주를 따라서 서로 용접되어 있다. 그래서, 금속 플레이트(194) 및 프레임(190)은 단일편으로 일체화되어 있다.
프레임(190)은 상부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천공되어 있는 복수의 나사 구멍(196)(도 3에서는 1개만 도시)을 가지고 있다. 이 나사 구멍(196)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볼트(198)에 의해 상부 열 플래튼(116)에 상부 플래튼 커버(120)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열 플래튼(116)은 바닥부에 돌출부(116a)를 가지고 있고 돌출부(116a)를 포위하고 있는 어깨부(116b)를 가지고 있다. 돌출부(116a)는 상부 플래튼 커버(120)의 프레임(190)에 느슨하게 끼워맞춤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16a)는 프레임(190)의 상면이 상부 열 플래튼(116)의 어깨부(116b)에 접할 때까지 삽입될 수 있다. 어깨부(116b)는 프레임(190) 내에 삽입되는 돌출부(116a)의 길이를 제한하고 상부 열 플래튼(116)의 하면(116c) 및 금속 플레이트(194) 사이에 공간(200)을 형성한다.
어깨부(116b)에는 홈(116d)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에 프레임(190)의 상부가 끼워맞춤한다. 홈(116d)에 프레임(190)을 끼워맞춤함으로써, 상부 열 플래튼(116)의 각각의 관통 구멍(172)이 프레임(190)의 각각의 나사 구멍(196)과 정렬하도록 프레임(190) 및 상부 열 플래튼(116)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가 조정된다. 그래서, 상부 플래튼 커버(120)는 볼트(198)를 각각의 관통 구멍(172)에 그리고 나사를 각각의 나사 구멍(196) 내에 삽입함으로써 상부 열 플래튼(116)에 고정될 수 있다.
상부 열 플래튼(116)의 하면(116c), 즉 프레스 표면과 금속 플레이트(194) 사이에 형성된 공간(200)은 압력 도관(184)과 연통하고 있다. 공간(200) 및 압력 도관(184)은 상부 열 플래튼(116)으로부터 금속 플레이트(194)까지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 오일로 충전되어 있다. 열전달 오일은 높은 열전도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금속 플레이트(194)의 온도는 상부 열 플래튼(116)의 온도와 대체적으로 동일하게 된다.
압력 도관(184)의 하나의 끝부(186)는 컨트롤러(170)의 제어하에서 공간(200)을 충전하는 열전달 오일의 압력을 변화시키는 압력 발생기(202)(도 1 참조)에 연결되어 있다. 프레임(190)의 상면 및 상부 열 플래튼(116)의 홈(116d) 사이에는 패킹(204)이 구비되어 있어서 압력 발생기(202)가 그 안에서 열전달 오일을 가압하더라도 공간(200)으로부터 열전달 오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부 열 플래튼(124) 및 하부 플래튼 커버(128)는 상부 열 플래튼(116) 및 상부 플래튼 커버(120)와 각각 대체적으로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그러므로, 상부 열 플래튼(116) 및 상부 플래튼 커버(120)에 관련된 상기의 설명은 하부 열 플래튼(124) 및 하부 플래튼 커버(128)에도 또한 적용된다.
이하, 도 4a 내지 도4c를 참조하여 프레스 장치(100)에 의해 프린트 배선판(134)을 프레스하는 공정을 설명한다.
우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90) 상의 위치에서 하부 플래튼 커버(128)의 금속 플레이트(194) 상에는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210)가 위치하고 있다. 스페이서는 프린트 배선판(134)의 두께 t보다 약간 더 큰 높이 h를 가지고 있다.
다음에, 프레스 장치(100)의 펌프(130) 및 히터(132)가 작동되어 고온의 오일이 상부 및 하부 열 플래튼(116, 124)에 형성되어 있는 열 도관(164)을 통해서 유동한다. 열전달 오일의 온도는 상부 및 하부 열 플래튼(116, 124)의 온도가 소정의 성형 온도에서 유지되도록 제어된다.
상부 열 플래튼(116)의 열은 공간(200) 내에 충전되어 있는 열전달 오일에 의해 상부 플래튼 커버(120)에 전달된다. 그러므로, 상부 플래튼 커버(120) 또한 성형 온도까지 가열된다. 하부 열 플래튼(124)에 장착되어 있는 하부 플래튼 커버(128) 또한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가열된다.
상부 및 하부 열 플래튼(116, 124)의 각각의 온도는 그 안에 구비되어 있는 온도 센서(도시 생략)에 의해서 측정된다. 상부 및 하부 열 플래튼(116, 124)이 소정의 성형 온도까지 가열되는 것이 확인된 후에, 프린트 배선판(132)이 하부 플래튼 커버(128) 상에 위치된다.
다음에, 상부 열 플래튼(116) 및 상부 열 플래튼에 장착되어 있는 상부 플래튼 커버(120)를 프린트 배선판(132)을 향하게 하기 위해서 피스톤 실린더기구(102)가 작동된다. 그 결과, 상부 열 플래튼(116) 및 상부 플래튼 커버(12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래튼 커버(120)가 스페이서(210)를 가압할 때까지 이동한다.
스페이서(210)는, 프린트 배선판(134) 및 상부 플래튼 커버(120)의 금속 플레이트(194)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형성되도록, 프레임(190)에서 상부 플래튼 커버(120)와 접하고, 그것에 의해 상부 플래튼 커버를 지지 및 지탱하고, 또한 상부 열 플래튼(116)을 지지 및 지탱한다.
다음에, 상부 열 플래튼(130) 및 상부 플래튼 커버(140) 사이에 충전되어 있는 열전달 오일 및 하부 열 플래튼(124) 및 상부 플래튼 커버(128) 사이에 충전되어 있는 열전달 오일은 압력 발생기(202)에 의해 소정의 레벨까지 압축된다. 소정의 레벨은 열 플래튼이 가할 수 있는 최대 압력보다 크지 않다. 그러므로, 압축된 열전달 오일은 열 플래튼을 스페이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지 않는다.
열전달 오일이 압축되기 때문에, 상부 및 하부 플래튼 커버(120, 128)의 금속 플레이트(194)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판(134) 쪽으로 약간 휘게 된다. 그렇지만, 각 금속 플레이트(194)의 휨은 스페이서(210)를 가압하는 상부 및 하부 열 플래튼(116, 124) 사이의 거리만큼 제한된다. 그러므로, 금속 플레이트(194)는 과도한 휨으로 인해 파괴되지 않는다.
휘게 된 2개의 금속 플레이트(194)는 프린트 배선판(134)을 끼워 프레스한다. 얇은 금속제 시트로 형성된 금속 플레이트(194)는, 열전달 오일의 압력으로 인해 프린트 배선판(134)의 표면을 따라서 휘게 되고 그것에 의해 프린트배선판(134) 전체에 대해서 균일한 압력을 가한다. 게다가, 프린트 배선판(134)의 양 면은 동일하고 균일한 압력으로 프레스되기 때문에, 프린트 배선판(134) 및 프린트 배선판을 프레스하는 금속 플레이트(194)는 프레스 공정 동안 대체적으로 평평하게 된다.
그리고, 금속 플레이트(194)는 경면의 부드러운 표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공정 동안 프린트 배선판(134) 상에 흠을 형성하지 않는다.
프레스 장치(100)는 프리프레그층에 회로층을 접합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상기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나서, 압력 발생기(202)는 상부/하부 열 플래튼(116, 124) 및 상부/하부 플래튼 커버(120, 128) 사이의 열전달 오일의 압력을 감소시킨다. 그 결과, 금속 플레이트(194)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적으로 평평한 상태로 복귀한다. 다음에, 가동 테이블(114)이 상방으로 구동하여 하부 플래튼 커버(12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부 플래튼 커버(120)를 이동시키고 그래서 프린트 배선판(134)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부/하부 열 플래튼(116, 124) 및 상부/하부 플래튼 커버(120, 128) 사이에 충전되어 있는 열전달 오일은, 상부 열 플래튼(116)이 스페이서(210)에 대하여 가압되어 프린트 배선판(134) 및 상부 열 플래튼(116)의 금속 플레이트(194) 사이에 작은 클리어런스를 형성한 후, 소정의 레벨까지 압축된다. 이런 방식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프레스 장치(100)는 상부 및 하부 플래튼 커버(120, 128)의 금속 플레이트(194)가 너무 많이 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열전달 오일에 높은 압력을 가하는데 따른 파괴를 방지한다.
(제 2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와 다음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 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요소와 대체적으로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300)의 기본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300)의 구조, 그리고 작동 절차는, 상부 및 하부 열 플래튼(302, 304)과 상부 및 하부 플래튼 커버(306, 308)의 구조를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100)와 동일하다. 특히, 상부 및 하부 플래튼 커버(306, 308)는, 프레임(190) 대신에 백 플레이트(backing plate:310)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의 것과 상이하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프레스 장치(300)의 상부 열 플래튼(302)의 수평단면도이다. 도 6의 상부 열 플래튼(302)은, 압력 도관(184)에 대응하는 도관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도 2의 상부 열 플래튼(116)과 상이하다. 상기의 것을 제외하고는, 도 5의 상부 열 플래튼(302)의 구조는 도 2의 상부 열 플래튼(116)의 구조와 동일하다.
도 7은 백 플레이트(310)의 하면을 도시하고 있는 상부 플래튼 커버(306)의 수평단면도이고, 도 8은 상부 열 플래튼(302)에 장착되어 있는 상부 플래튼 커버(306)의 수직단면도로서, 도 7에서 선 II-II를 따라 취해진 도면이다.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백 플레이트(310)는 상면(312) 및 하면(314)을 가지고 있는 두꺼운 금속 플레이트이다. 하면(314) 근방에는플랜지(320)가 백 플레이트(310)의 주위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320)의 가장자리는 전체 외주를 따라서 금속 플레이트(194)의 가장자리에 용접되어 있어서 금속 플레이트(194)의 상면은 백 플레이트(310)의 하면(314)과 통상 접촉하고 있다.
상부 열 플래튼(302)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 구멍(17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부 표면으로부터 백 플레이트(310)까지 복수의 나사 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백 플레이트(310)는 관통 구멍(172)를 관통하고 나사 구멍에 나사잠금되는 볼트(도시 생략)에 의해서 상부 열 플래튼(302)에 고정되어 있다. 백 플레이트(310)가 상부 열 플래튼(302)에 고정될 때, 백 플레이트(310)의 상면(312)은 상부 열 플래튼의 하면과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상부 열 플래튼(302)은 효과적으로 백 플레이트(310)를 가열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 플레이트(310)의 하면(312)에는 그리드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고 대체적으로 하면(312) 전체에 걸쳐서 뻗어 있는 홈(322)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백 플레이트(310)에는 백 플레이트(310)의 측면 중 하나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326)로 홈(322)을 연결하는 압력 도관(324)이 형성되어 있다(도 8 참조).
압력 도관(324)은 백 플레이트(3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326)를 통해서 압력 발생기(202)(도 5 참조)와 연결되어 있다. 압력 발생기(202)는 압력 도관(324)을 통해서 그리드 패턴식 홈(322)에 열전달 오일을 제공하고 그 압력을 제어한다.
금속 플레이트(194)는 백 플레이트(310)의 하면과 통상 접촉하고 있고 그 사이에 홈(322) 외에는 공간이 없기 때문에, 압력 도관(324)을 통해서 제공되는 열전달 오일은 주로 홈(322)을 통해서 유동하고 금속 플레이트(194)에 신속하게 퍼진다.
압력 도관(324)은 백 플레이트(310)의 하면(312)으로부터 천공되어 있는 4개의 수직 구멍(330)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압력 도관(324)은 4개의 수직 구멍(330)과 연통하고 있고 백 플레이트(3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326)로부터 뻗어 있는 횡방향 구멍(334)과 또한 연통하고 있는 환형 부분(332)을 포함하고 있다. 4개의 수직 구멍(330)은, 홈(322)에 제공되는 열전달 오일이 전체 홈(322)에 걸쳐서 신속하고 균일하게 퍼지도록 그리드 패턴 홈(322)의 최외측 코너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열전달 오일이 홈(322) 전체에 걸쳐서 퍼진 후에 압력 발생기(202)가 열전달 오일을 압축하면, 압축된 열전달 오일은 백 플레이트(310)의 하면(31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금속 플레이트(194)를 가압하고 금속 플레이트(194) 및 백 플레이트(310) 사이에 나타나는 공간을 충전한다. 그 결과, 금속 플레이트(194)를 가로질러 균일한 압력을 가하는 열전달 오일의 액체층이 금속 플레이트(194) 및 백 플레이트(310) 사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300)는 상부 열 플래튼(302)으로부터 상부 플래튼 커버(306)까지 뻗어 있는 도관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300)는 오일 누출의 위험이 거의 없고,패킹이 그 사이에 삽입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부 플래튼 커버(306)는 용이하게 상부 열 플래튼(302)에 장착 및 탈착될 수 있다.
하부 열 플래튼(304) 및 하부 플래튼 커버(308)는 상부 열 플래튼(302) 및 상부 플래튼 커버(306)와 대체적으로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각각 가지고 있다는 것을 또한 주목해야 한다. 그러므로, 상부 열 플래튼(302) 및 상부 플래튼 커버(306)에 관련된 상기 설명은 하부 열 플래튼(304) 및 하부 플래튼 커버(308)에 또한 적용된다.
(제 3의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300)의 변형예로서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400)의 개략 구성도이다.
제 3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400)는 상부 열 플래튼(302)의 하면 및 하부 열 플래튼(304)의 상면이 상부 및 하부 플래튼 커버(306, 308) 대신에 스테인리스가압의 정상 플레이트(402) 및 캐리어 플레이트(404)에 의해 각각 덮혀 있다는 점에서 제 2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300)와 상이하다. 그리고, 제 3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400)는 2개의 쿠션 부재(406) 및 하나 이상의 중간 플레이트(408)를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중간 플레이트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되고 표면 거칠기가 수 ㎛ 이내인 경면의 마무리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를 제외하고, 제 3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400)의 구조는 제 2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300)의 구조와 대체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프린트 배선판(134) 및 복수의중간 플레이트(408)가 교대로 쌓여 있어서 각각의 프린트 배선판은 2개의 중간 플레이트 사이에 끼여 있다. 그리고 나서, 프린트 배선판(134) 및 중간 플레이트(408)의 스택은 1회의 프레스 동작으로 동시에 프레스되기 위해서 정상 플레이트(402) 및 캐리어 플레이트(404) 사이에 위치한다.
쿠션 부재(406) 중 하나는 정상 플레이트(402) 및 최상의 중간 플레이트(408) 사이에 위치하고 다른 쿠션 부재(406)는 캐리어 플레이트(406) 및 최하의 중간 플레이트(406) 사이에 위치한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열 플래튼(302, 304) 사이에 스페이서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 상기와 같이 위치하고 있는 쿠션 부재(408)는 프레스하는 동안 치워지고, 프린트 배선판(134) 상에서의 정상 플레이트(402) 및 캐리어 플레이트(406)의 기복 및/또는 경사의 효과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0은 도 9의 프레스 장치(400)의 부분의 수직 단면도로서 프린트 배선판(134)의 스택을 프레스하는 쿠션 부재(406)를 도시하고 있다. 쿠션 부재(406)는 제 1 및 제 2 금속 플레이트(420, 422)를 가지고 있다. 제 1 및 제 2 금속 플레이트(420, 422)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되고, 경면의 마무리면을 가지고 있다. 제 1 및 제 2 금속 플레이트(420, 422)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고 전체 외주를 따라서 끝부(424)를 용접함으로써 결합되어 있어서 그 사이의 스페이서가 외부로부터 밀봉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밀봉되어 있는 스페이서(426)는 열전달 오일로 충전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플레이트(420, 422) 사이에 액체층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쿠션 부재(406)에 의해, 정상 플레이트(402)로부터의 프레스력은 액체층에 가해지고 그리고 나서 제 2 금속 플레이트(422)에 가해진다. 연속의 액체층 내부의 압력은 임의의 위치에서 동일하기 때문에, 액체층은 쿠션 부재(406)와 접촉하고 있는 정상 플레이트(402)가 불균일성 및 경사를 가지고 있더라도 제 2 금속 플레이트에 걸쳐서 균일한 압력을 가한다.
이어서 제 2 금속 플레이트(422)가 최상의 중간 플레이트(408)에 걸쳐서 균일한 압력을 가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하부 열 플래튼(304) 및 프린트 배선판(134)의 스택 사이에 위치하는 다른 쿠션 부재(406)는 최하의 중간 플레이트(408)에 걸쳐서 균일한 압력을 가한다. 그 결과 프린트 배선판(134)의 스택 및 그 안의 각각의 프린트 배선판(134)은 균일한 압력으로 가압된다. 그래서, 각각의 프린트 배선판(134)은 균일한 두께를 가지고 회로층은 보드 전체에 걸쳐서 프리프레그층과 확고하게 접합된다.
쿠션 부재(406)의 제 2 금속 플레이트(422) 및 중간 플레이트(408)에는 상대적으로 얇은 금속 시트가 형성되어 있어서 프린트 배선판(134)의 표면을 따라서 휘게 되고 그것에 의해 프린트 배선판(134) 전체에 걸쳐서 균일한 압력을 가하는 것을 보장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쿠션 부재(406)는 높은 열전도율을 가지고 있는 열전달 오일로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및 하부 열 플래튼(302, 304)으로부터 프린트 배선판(134)의 스택까지의 열전달을 교란하지 않는다는 것을 또한 주목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400)는 가열에 긴 시간이 필요하지 않고, 그 결과 프린트배선판(134)을 프레스하는데 긴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11은 도 9의 프레스 장치(400)의 부분의 수직 단면도로서 도 10에 도시된 쿠션 부재(406)의 변형예의 쿠션 부재(430)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된 쿠션 부재(406)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는 2개의 금속 플레이트(432, 434), 예컨대 스테인리스강 플레이트를 가지고 있다. 2개의 금속 플레이트(432, 434) 사이에는 그 사이에 소정의 거리(예컨대, 수 마이크로미터)를 가지고 이들을 서로 평행하게 유지하는 환형 프레임(436)이 위치하고 있다.
프레임(436)은 전체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에서 2개의 금속 플레이트(432, 434)에 용접되어 있어서 2개의 금속 플레이트(432, 434)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440)과 프레임(436)은 외부로부터 밀봉되어 있다. 이 공간(440)은 열전달 오일로 충전되어 있고 2개의 금속 플레이트 사이에 액체층을 형성한다.
액체층은 쿠션 부재(430)를 가압하는 정상 플레이트(402)의 표면 불균일성 및/또는 경사를 제거하여 도 11의 쿠션 부재(430)는 도 10의 쿠션 부재(402)와 마찬가지로 최상의 중간 플레이트(408)에 균일한 압력을 가한다. 액체층은 쿠션 부재(430)의 양호한 열전도율을 또한 실현한다. 그러므로, 도 11의 쿠션 부재는 프레스하는 동안 프린트 배선판(134)의 스택의 효과적인 가열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 10에 도시된 쿠션 부재(406)의 제 2 금속 플레이트는, 제 1 금속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용접되어 있는 가장자리 근처의 영역이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그 중심 둘레의 비교적 작은 영역에서만 균일한 압력으로 중간 플레이트(408)를 가압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그렇지만, 도 11에 도시된 쿠션 부재(430)의 제 2 금속 플레이트(434)는, 프레임(436)이 제 2 금속 플레이트(432)를 대체적으로 평평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보다 큰 영역에서 균일한 압력으로 중간 플레이트(408)를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스 표면의 평면도의 정도에 관계없이 피가공물에 걸쳐서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피가공물을 프레스하기 위한 향상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프레스 표면의 크기에 관계없이 피가공물에 걸쳐서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피가공물을 프레스하기 위한 향상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피가공물에 걸쳐서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고, 피가공물을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피가공물을 열-프레스하기 위한 향상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31)

  1. 플래튼의 프레스 표면 상에, 피가공물을 프레스하기 위해, 프레스 플레이트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피가공물 곁에 상기 피가공물보다 더 깊은 스페이서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플래튼에 의해 상기 스페이서를 프레스하여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 및 상기 피가공물 사이에 갭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플래튼 및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액체층을 압축하여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가 상기 액체층의 압력에 의해 상기 피가공물을 향하여 휘고 그것에 의해 상기 피가공물을 프레스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가공물을 프레스하기 위한 프레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층은 플래튼이 가하는 압력보다 크지 않은 소정의 레벨까지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방법.
  3. 프레스되는 피가공물을 플래튼의 프레스 표면 상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플래튼 및 상기 피가공물 사이에, 서로 결합되어 액체로 충전되는 밀봉 공간을 사이에 형성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쿠션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플래튼을 상기 피가공물을 향하여 가압하고 그래서 상기 피가공물이 상기 쿠션 부재에 의해 프레스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가공물을 프레스하기 위한 프레스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물이 상기 쿠션 부재에 의해 프레스되기 전에 상기 쿠션 부재 및 상기 피가공물 사이에 중간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 플레이트는, 상기 중간 플레이트가 피가공물에 대하여 프레스될 때, 상기 피가공물의 표면을 따라서 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피가공물 및 중간 플레이트를 교대로 쌓음으로써 피가공물의 스택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플레이트는, 상기 중간 플레이트가 피가공물에 대하여 프레스될 때, 상기 피가공물의 표면을 따라서 휠 수 있고,
    상기 피가공물의 스택은 프레스하기 위해 상기 플래튼의 상기 프레스 표면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방법.
  6. 프레스되는 피가공물을 향하여 이동가능한 플래튼;
    상기 플래튼이 상기 피가공물을 향하여 이동될 때 상기 피가공물을 프레스하기 위해 상기 플래튼 및 상기 피가공물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프레스 플레이트; 그리고
    액체층을 통하여 상기 플래튼으로부터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까지 상기 피가공물을 프레스하기 위한 힘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 및 상기 플래튼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액체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가공물을 프레스하기 위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는, 상기 피가공물의 프레스 동안 상기 피가공물의 표면을 따라서 휠 수 있는 얇은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는 상기 플래튼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는 상기 플래튼에 장착되고 그래서 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액체층은 상기 공간에 액체를 충전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내에 충전된 상기 액체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압력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의 피가공물 측을 지지하여 상기 피가공물을 향하여 가압되는 상기 플래튼을 지탱하도록 배열되고, 그래서 상기 액체층이 압축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 및 상기 피가공물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형성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리어런스는 상기 액체층이 상기 압력 컨트롤러에 의해 압축되어 있을 때 액체층의 작용에 의해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를 휘게 하고 상기 피가공물을 프레스하게 하기에 충분히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컨트롤러는, 상기 플래튼이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지탱될 때만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가 휘고 상기 피가공물을 프레스하도록, 상기 액체의 압력을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컨트롤러는, 플래튼이 가할 수 있는 최대 압력보다 크지 않은 소정의 레벨까지 상기 액체의 압력을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층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압력 컨트롤러; 그리고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그래서 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백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간은 액체로 충전되어 액체층을 형성하고, 상기 백 플레이트는 상기 플래튼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백 플레이트는 상기 공간과 연통하는 도관 및 상기 백 플레이트의 측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압력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상기 액체가 상기 압력 컨트롤러에 의해 소정의 레벨까지 압축될 때 형성되고, 상기 공간은 상기 액체의 압력이 상기 압력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소정의 레벨 이하로 감소될 때 없어지고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가 백 플레이트와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를 향하는 표면에서 상기 백 플레이트에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은 상기 백 플레이트의 상기 표면에 걸쳐서 뻗어 있는 그리드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은 상기 홈 내에 상기 액체를 제공하는 상기 도관과 연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은 프레스하는데 필요한 온도까지 상기 피가공물을 가열하기에 충분한 온도까지 가열가능한 열 플래튼이고, 상기 백 플레이트는 상기 플래튼을 향하는 표면이 플래튼과 접촉하도록 상기 플래튼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6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플래튼;
    한 쌍의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 그리고
    한 쌍의 상기 액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플래튼,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 및 상기 액체층은 한 쌍의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피가공물을 끼워 프레스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 및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추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그 사이에 밀봉 공간을 형성하는 쿠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공간은 액체로 충전되어 상기 액체층을 형성하고,
    상기 쿠션 부재는 상기 플래튼 및 상기 피가공물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그래서 상기 추가 플레이트는 상기 플래튼을 향하고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는 상기 피가공물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6 항 또는 제 7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은 프레스하는데 필요한 온도까지 상기 피가공물을 가열하기에 충분한 온도까지 가열가능한 열 플래튼이고,
    상기 밀봉 공간은 열전달 오일로 충전되어 상기 액체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7항 또는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의 피가공물 측은 경면 마무리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19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플래튼, 및
    한 쌍의 상기 쿠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플래튼 및 쿠션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쿠션 부재 사이에서 상기 피가공물을 끼워 프레스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평평한 중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 플레이트는, 상기 피가공물이 프레스되는 동안, 제 1 및 제 2 공간 중의 한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공간은 상기 피가공물 및 상기 쿠션 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공간은 동시에 프레스되도록 적재된 2개의 피가공물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플레이트는, 상기 중간 플레이트가 상기 피가공물을 프레스할 때, 상기 피가공물의 표면을 따라서 휘도록 충분히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플레이트는 높은 열전도율의 재료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프레스의 플래튼 및 프레스되는 피가공물 사이에 위치되고, 서로 결합되어 액체로 충전되는 밀봉 공간을 그 사이에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부재.
  27. 제 19 항 내지 제 21 항 및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공간은 전체 외주를 따라서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 및 추가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 1 및 제 2 플레이트를 용접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또는 쿠션 부재.
  28. 제 19 항 또는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플레이트는 높은 열전도율의 재료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또는 쿠션 부재.
  29. 제 26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공간은 열전달 오일로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부재.
  30. 제 19 항 내지 제 21 항 및 제 26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 및 추가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 1 및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 및 추가 플레이트 또는 제 1 및 제 2 플레이트를 평평하고 서로 평행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또는 쿠션 부재.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부 림 및 하부 림을 가지고 있는 환형 부재이고, 상기 상부 림 및 하부 림은 상기 프레스 플레이트 및 추가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 1 및 제 2 플레이트에 각각 용접되어 상기 밀봉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또는 쿠션 부재.
KR1020020051380A 2001-08-31 2002-08-29 피가공물을 프레스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7505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63911 2001-08-31
JP2001263911 2001-08-31
JPJP-P-2002-00029479 2002-02-06
JP2002029479A JP3847633B2 (ja) 2001-08-31 2002-02-06 プレス装置およびプレス方法
JPJP-P-2002-00124290 2002-04-25
JP2002124290A JP2003311494A (ja) 2002-04-25 2002-04-25 プレス装置およびプレス装置用クッション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192A true KR20030019192A (ko) 2003-03-06
KR100750582B1 KR100750582B1 (ko) 2007-08-21

Family

ID=27347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380A KR100750582B1 (ko) 2001-08-31 2002-08-29 피가공물을 프레스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779703B2 (ko)
EP (1) EP1293271B1 (ko)
KR (1) KR100750582B1 (ko)
CN (2) CN1982043B (ko)
DE (1) DE60225643T2 (ko)
SG (1) SG111082A1 (ko)
TW (1) TW583073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811B1 (ko) * 2008-12-29 2009-08-26 주식회사 세지솔로텍 리얼우드필름 및 그 제조방법, 리얼우드필름을 이용한 성형품
CN104494181A (zh) * 2014-12-10 2015-04-08 南京工程学院 薄膜式小行程压力机
CN108454215A (zh) * 2018-04-30 2018-08-28 北京博简复才技术咨询有限公司 一种夹芯结构生产设备及工艺
CN114122310A (zh) * 2021-11-25 2022-03-01 遂宁市天莱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锂电池生产用极片压片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41688B2 (en) * 2003-11-04 2008-10-28 Reactive Nanotechnologies Methods and device for controlling pressure in reactive multilayer joining and resulting product
SG111082A1 (en) * 2001-08-31 2005-05-30 Kitagawa Elaborate Mach Method and device for pressing workpiece
WO2005075184A1 (ja) * 2004-02-04 2005-08-18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加圧成形装置、金型及び加圧成形方法
JP4309795B2 (ja) * 2004-04-16 2009-08-05 北川精機株式会社 プレス装置
US20060003548A1 (en) * 2004-06-30 2006-01-05 Kobrinsky Mauro J Highly compliant plate for wafer bonding
WO2006103868A1 (ja) * 2005-03-25 2006-10-05 Kitagawa Seiki Kabushiki Kaisha プレス装置
EP1803549A1 (de) * 2005-12-30 2007-07-04 Robert Bürkle GmbH Heizplatte für eine Plattenpresse
JP2007283333A (ja) * 2006-04-14 2007-11-01 Honda Motor Co Ltd プレス加工方法及びプレス加工装置
GB2461114A (en) * 2008-03-01 2009-12-30 Tradewise Engineering Ltd Punching Apparatus with temperature control means
EP2303564B1 (en) * 2008-07-22 2014-03-05 Hunter Douglas Industries Switzerland GmbH Efficient lamination press with flexible platens and associated method
US9199439B2 (en) 2008-07-22 2015-12-01 3Form, Llc Efficient lamination press with thin flexible platens
JP2010207902A (ja) * 2009-03-12 2010-09-24 Kitagawa Elaborate Mach Co Ltd 真空プレス装置及び真空プレス方法
JP5372596B2 (ja) * 2009-05-14 2013-12-18 北川精機株式会社 プレス装置
DE202009018528U1 (de) * 2009-10-09 2012-02-27 Fotoverbundglas Marl Gmbh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Verbundsicherheitsglas
CN102131349B (zh) * 2010-01-14 2013-10-16 富葵精密组件(深圳)有限公司 滚压装置及滚压电路板的方法
DE102010036539B4 (de) * 2010-07-21 2013-04-11 Hueck Rheinische Gmbh Presspolster für eine hydraulische Presse
CN101982999A (zh) * 2010-09-29 2011-03-02 卓盈微电子(昆山)有限公司 柔性线路板加热台
CN102490388A (zh) * 2011-12-18 2012-06-13 青岛雷尔威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加压设备用的加热装置
RU2492052C1 (ru) * 2012-03-02 2013-09-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БЛИЗНЕЦЫ" Нагревательная плита
JP6172654B2 (ja) * 2013-03-14 2017-08-02 アルファーデザイン株式会社 部品加圧装置及び部品加圧装置を用いた加熱システム
CN104275910A (zh) * 2013-07-10 2015-01-14 北川精机株式会社 加压成形用的保护片和载板以及加压装置
JP5592554B1 (ja) * 2013-12-18 2014-09-17 武延 本郷 冷間圧接装置、コイル製造装置、コイ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7543908A (zh) 2013-12-18 2024-02-09 株式会社阿斯特 线圈制造装置和线圈
KR20160048301A (ko) * 2014-10-23 2016-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본딩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기판 제조 설비
DE102015014512B4 (de) * 2015-11-11 2017-05-24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nsolidierung von imprägnierten Faserverbundstrukturen
KR101758478B1 (ko) * 2015-12-14 2017-07-17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 가공 장치
CN105587694B (zh) * 2016-02-29 2017-11-10 湖州佳宁印刷有限公司 装饰印刷纸制作系统的压制液压系统
CN105626603B (zh) * 2016-02-29 2017-11-07 湖州佳宁印刷有限公司 装饰印刷纸制作系统
CN106827559A (zh) * 2017-03-22 2017-06-13 江苏汤臣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有机玻璃收缩拼接装置
CN108235604A (zh) * 2018-01-11 2018-06-29 广合科技(广州)有限公司 Pcb压合料温自动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08296366A (zh) * 2018-02-12 2018-07-20 莱特伟特(苏州)汽配科技有限公司 一种温度均匀的薄板直接通电加热装置
US11152328B2 (en) * 2018-12-13 2021-10-19 eLux, Inc. System and method for uniform pressure gang bonding
CN113141679B (zh) * 2020-01-17 2022-05-17 昆山哈工万洲焊接研究院有限公司 一种利用镓提升金属板电阻加热温度均匀性的方法及装置
US11884426B2 (en) * 2020-07-08 2024-01-30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Compression apparatu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13146771B (zh) * 2021-06-01 2022-04-19 南平市华泰木竹有限公司 一种高效保量单板干燥工艺方法
WO2023115105A1 (en) * 2021-12-20 2023-06-29 Kool Global Solutions Pty Ltd Apparatus for forming a blank
CN114340229B (zh) * 2022-01-25 2022-08-16 益阳市明正宏电子有限公司 一种基于5g光模块pcb的快速压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70110A (en) * 1968-08-05 1972-04-12 Ici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ressing processes
US3806104A (en) * 1969-11-06 1974-04-23 Ici Ltd Presses
US4049184A (en) * 1976-06-07 1977-09-20 Jury Iosifovich Rozengart Method of manufacturing polymetallic pipes
US4216874A (en) * 1977-06-27 1980-08-12 Kiwa Torisu Weld assembled tank
DE2904067A1 (de) * 1979-02-03 1980-12-18 Friz Helmut Dipl Ing Formenpresse
FR2587273B1 (fr) * 1985-09-19 1988-04-08 Darragon Sa Procede et presse-autoclave de stratification de circuits imprimes multicouches et/ou de plastification d'elements plats, et dispositif de transformation en presse-autoclave de ce type
US4691857A (en) * 1985-11-07 1987-09-08 Trw Inc. Method of shaping a workpiece
US5016805A (en) * 1988-10-31 1991-05-21 Rohr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ual superplastic forming of metal sheets
JPH0647600A (ja) * 1991-07-15 1994-02-22 Masashi Shishido プレス機用の加圧・加熱盤
JP2839215B2 (ja) * 1991-09-04 1998-12-16 株式会社カイジョー ボンディング装置
CN2144571Y (zh) * 1992-09-09 1993-10-27 王仁川 手动液压压力机
JPH07195391A (ja) * 1993-12-28 1995-08-01 Hitachi Techno Eng Co Ltd ホットプレス
US5529238A (en) * 1994-09-20 1996-06-25 Xerox Corporation Gold to gold substrate bonding system utilizing interferometric planarization feedback
US5890285A (en) * 1996-08-23 1999-04-06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Method for superplastically forming a structural article
US6706406B1 (en) * 1996-11-13 2004-03-16 Fern Investments Limited Composite steel structural plastic sandwich plate systems
JP3359540B2 (ja) * 1997-06-27 2002-12-24 京セラ株式会社 多層プリント配線基板の製造方法
US5941866A (en) * 1997-07-25 1999-08-24 Bracco Research Usa Means to maintain configuration of flexible medical container
US6264880B1 (en) * 1998-07-22 2001-07-2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anifold free multiple sheet superplastic forming
JP3098003B2 (ja) * 1998-09-24 2000-10-10 日清紡績株式会社 太陽電池におけるラミネート装置
SG111082A1 (en) * 2001-08-31 2005-05-30 Kitagawa Elaborate Mach Method and device for pressing workpiece
JP4175819B2 (ja) * 2002-03-11 2008-11-05 北川精機株式会社 プレス装置およびプレス装置の制御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811B1 (ko) * 2008-12-29 2009-08-26 주식회사 세지솔로텍 리얼우드필름 및 그 제조방법, 리얼우드필름을 이용한 성형품
CN104494181A (zh) * 2014-12-10 2015-04-08 南京工程学院 薄膜式小行程压力机
CN108454215A (zh) * 2018-04-30 2018-08-28 北京博简复才技术咨询有限公司 一种夹芯结构生产设备及工艺
CN114122310A (zh) * 2021-11-25 2022-03-01 遂宁市天莱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锂电池生产用极片压片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1082A1 (en) 2005-05-30
DE60225643D1 (de) 2008-04-30
EP1293271B1 (en) 2008-03-19
DE60225643T2 (de) 2008-06-26
CN1406743A (zh) 2003-04-02
US20030042294A1 (en) 2003-03-06
EP1293271A3 (en) 2004-11-17
TW583073B (en) 2004-04-11
EP1293271A2 (en) 2003-03-19
KR100750582B1 (ko) 2007-08-21
CN1982043A (zh) 2007-06-20
US6779703B2 (en) 2004-08-24
CN1982043B (zh) 2011-06-15
CN100410066C (zh) 2008-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0582B1 (ko) 피가공물을 프레스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818569B1 (ko) 프레스 성형장치
JPH06143220A (ja) ホットプレス
JPH07195391A (ja) ホットプレス
KR20170073094A (ko) 변형 억제형 금속박 인쇄장치
TWI393499B (zh) 印刷電路板的製造方法及其製造設備
US20210370656A1 (en) Laminating apparatus
JP3847633B2 (ja) プレス装置およびプレス方法
JP2009246146A (ja) 回路基板の製造方法
JP2001145911A (ja) 加圧成形装置
JP2003311494A (ja) プレス装置およびプレス装置用クッション部材
KR101494317B1 (ko) 압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JP3204569B2 (ja) ホットプレス
JP2000348155A (ja) Icカード製造装置
JP4311120B2 (ja) 多層基板の製造方法及び熱プレス機
JP3112737B2 (ja) 圧着装置
JPS6169420A (ja) 多段ホツトプレス
JPS62211129A (ja) 真空式ホツトプレス
KR102252762B1 (ko) Fpcb 제조용 핫프레스의 압착헤드
KR102539717B1 (ko) 압력분포 조절이 가능한 브레이징 용접용 지그
JP2976258B2 (ja) ホットプレスの断熱材取付け構造
JP3960738B2 (ja) 加圧成形装置
KR200160523Y1 (ko) 아우터리드본딩장치
KR0136526Y1 (ko) 리드프레임 절연필름 부착장치
JP2607679B2 (ja) 多層プリント基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