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5006A - 자동차용 적외광 조사 램프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적외광 조사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5006A
KR20030005006A KR1020020037804A KR20020037804A KR20030005006A KR 20030005006 A KR20030005006 A KR 20030005006A KR 1020020037804 A KR1020020037804 A KR 1020020037804A KR 20020037804 A KR20020037804 A KR 20020037804A KR 20030005006 A KR20030005006 A KR 20030005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light
lens
light
lamp
infr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7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기세이이치로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30005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500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1/00Details
    • H01K1/28Envelopes; Vessels
    • H01K1/30Envelopes; Vessels incorporating len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의 주연부를 백색으로 발광시키거나, 렌즈 중앙부 부근에서 백색광을 약간 출사시킴으로써, 전방면 렌즈의 적색 발광이 상대적으로 엷어져, 램프의 점등을 미등이나 브레이크등으로 오인하지 않는 적외광 조사 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용기 형상의 램프 보디(12)와, 램프 보디(12)의 전방면 개구부에 셋팅되어, 램프 보디(12)와 협동하여 등실을 구획하는 렌즈(14)와, 램프 보디(12)의 내측에 설치된 반사경(16)과, 반사경(16)의 전방에 설치된 광원(18)과, 가시광 성분을 반사하고 적외광 성분을 투과시키는 적외광 투과막(22)을 구비한 적외광 조사 램프에 있어서, 적외광 투과막(22)의 외주부에 적외광 투과막 비형성 영역(24)을 마련하고, 렌즈의 주연부(14a)에 적외광 투과막(22)을 투과하지 않는 광원광을 유도함으로써, 렌즈(14)의 적색으로 발광하는 영역의 주연부(14a)가 백색으로 발광하여, 상대적으로 적색 발광이 엷어진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적외광 조사 램프{AUTOMOTIVE INFRARED IRRADIATION LAMP}
본 발명은 자동차에 탑재하여, 차량의 전방을 적외광으로 조명하는 자동차용 적외광 조사 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근적외까지의 감도를 갖는 CCD 카메라와 함께 사용하는 자동차용 적외광 조사 램프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이런 유형의 램프는 램프 보디와 전방면 렌즈로 구획된 등실 내에 가시광원 및 포물면 반사경을 배치하고, 가시광 성분을 반사하고 적외광 성분을 투과시키는 적외광 투과막(이하, 단순히 적외광 투과막이라 함)을 유리 플레이트의 표면 전역에 형성한 적외광 투과 필터를, 등실의 전방면 개구부 전체를 막도록 광원과 전방면 렌즈 사이에 배치하여, 전방면 렌즈로 향하는 광원광의 전부가 적외광 투과막을 투과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반사경으로 반사된 광원광은 적외광 투과막을 투과할 때에 가시광 성분이 차단되어, 주로 눈에 띄지 않는 적외광 성분만의 빛으로 되어 전방면 렌즈로부터 전방으로 출사 배광된다.
그리고, 차량 전방의 적외광 조사 영역을, 자동차 전방부에 설치된 근적외까지의 감도를 갖는 CCD 카메라로 촬영하고, 화상 처리 장치로 처리하여, 차 실내의 모니터 화면에 비춰낸다. 운전자는 차량 전방의 시계를 비추는 모니터 화면 상에서, 사람이나 레인마크나 장해물과 같은 것을 멀리까지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적외광 조사 램프에서는 적외광 투과 필터(적외광 투과막)가 700∼800 nm 부근의 장파장 측의 가시광(적색광 성분)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전방면 렌즈에는 적외광과 함께 적외광 투과 필터(적외광 투과막)를투과한 일부의 가시광(적색광 성분)도 유도된다. 그리고, 전방면 렌즈로부터 적외광과 함께 일부의 가시광(적색광 성분)도 출사되어, 전방면 렌즈가 빨갛게 발광(램프가 빨갛게 점등)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 때문에, 자동차의 전방부에 설치한 적외광 조사 램프의 점등을 미등이나 브레이크등의 점등으로 오인할 우려가 있어, 안전상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광원광의 일부를 적외광 투과 필터(적외광 투과막)를 투과시키지 않고서 전방면 렌즈의 주연부(周緣部)로 유도하여, 적색으로 발광하는 전방면 렌즈의 주연부를 백색으로 발광시키면, 적색 발광이 엷어져 눈에 띄지 않게 된다고 생각하여, 실험을 거듭한 결과, 이것이 매우 유효하다는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본 발명을 제안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상기한 발명자의 지견(知見)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렌즈의 주연부를 백색으로 발광시키거나, 렌즈 중앙부 부근에서 백색광을 약간 출사시킴으로써, 전방면 렌즈의 적색 발광이 상대적으로 엷어져, 램프의 점등을 미등이나 브레이크등으로 오인하는 일이 없는 적외광 조사 램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적외광 조사 램프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램프의 주요부인 적외광 투과 필터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적외광 조사 램프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적외광 조사 램프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인 적외광 조사 램프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인 적외광 조사 램프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인 적외광 조사 램프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인 적외광 조사 램프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램프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10G : 적외광 조사 램프
12 : 램프 보디
12a : 전구 삽입 부착 구멍
13 : 결합 홈
14, 14A : 전방면 렌즈
14a : 전방면 렌즈의 주연부
15 : 배광 제어 수단인 원통형 스텝
16 : 포물면 반사경
16A : 분할 반사면 반사경
16C : 타원체 형상의 반사경
17 : 연속되는 복수의 분할 반사면
18 : 광원인 할로겐 전구
20, 20A, 20B, 20C : 적외광 투과 필터
21 : 유리 플레이트
22 : 적외광 투과막
24A∼24G : 적외광 투과막 비형성 영역
30 : 렌즈 홀더
32, 32C : 렌즈를 담지하는 단차부
32A, 32B : 필터를 담지하는 단차부
36, 36A : 렌즈 유지 프레임
40 : 투사 렌즈
40a : 투사 렌즈의 주연부
41 : 투사 렌즈의 플랜지부
S, S1 : 등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따른 적외광 조사 램프에서는, 용기 형상의 램프 보디와, 이 램프 보디의 전방면 개구부에 셋팅되어, 램프 보디와 협동하여 등실을 구획하는 렌즈와, 상기 램프 보디의 내측에 설치된 반사경과, 상기 반사경의 전방에 설치된 광원과, 적외광 투과막을 구비한 자동차용 적외광 조사 램프에 있어서, 상기 적외광 투과막의 외주부 및/또는 상기 적외광 투과막 내에 적외광 투과막 비형성 영역을 형성하도록 구성했다.
후방의 반사경에서 반사된 광원광은 반사경 전방의 적외광 투과막을 투과함으로써 가시광 성분이 차단되어, 주로 눈에 띄지 않는 적외광 성분으로 되어 렌즈로부터 출사된다. 그러나, 렌즈로부터 출사되는 빛 중에는 적외광 투과막에서 차단할 수 없었던 가시광 성분(적색광 성분)도 포함되어 있고, 이 때문에, 램프 점등 시에 렌즈가 빨갛게 발광한다. 그런데, 적외광 투과막의 외주부에 적외광 투과막 비형성 영역이 마련된 구조에서는, 렌즈의 주연부에는 적외광 투과막 비형성 영역을 통해, 적외광 투과막을 투과하지 않는 광원광이 유도되기 때문에, 렌즈의 주연부가 백색으로 발광하여, 렌즈의 적색의 발광색을 엷게 하도록 작용한다. 또, 적외광 투과막 내에 적외광 투과막 비형성 영역이 마련된 구조에서는, 적외광 투과막 비형성 영역을 통해 유도된 적외광 투과막을 투과하지 않는 광원광이 렌즈 중앙부 부근에서부터 약간 출사되어, 렌즈의 적색의 발광색을 엷게 하도록 작용한다. 즉, 렌즈로 향하는 광원광의 전부가 적외광 투과막을 투과하도록 구성된 종래 구조의 경우와, 렌즈의 적색의 발광량 자체는 거의 변하지 않지만, 렌즈의 적색으로 발광하는 영역의 주연부가 백색으로 발광하거나, 렌즈 중앙부 부근에서 약간의 백색광이 출사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적색 발광이 엷어진다.
그리고, 상기 적외광 조사 램프로서는 포물면 반사경에서 광원광을 반사하여 거의 평행한 빛으로 만들어 전방면 렌즈의 배광 제어용 스텝에 의해 확산 배광하거나, 연속되는 배광 제어용의 복수의 분할 반사면을 갖춘 반사경에서 광원광을 확산반사 배광하는, 반사식 조명 광학계로 구성된 형태와, 광원광을 타원체 형상의 반사경으로 반사한 후, 투사 렌즈로 거의 평행한 빛으로 만들어 투사 배광하는 투사식 조명 광학계로 구성된 형태가 있으며, 어느 형태에도 적용 가능하다.
청구항 2에서는, 청구항 1에 기재한 적외광 조사 램프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과 상기 렌즈 사이에 투명 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투명 부재에 상기 적외광 투과막을 형성하도록 구성했다.
반사경과 렌즈 사이에 적외광 투과 필터(적외광 투과막을 형성한 투명 부재)를 배치한 간단한 구성으로, 예컨대 적외광 투과 필터(적외광 투과막)의 가시광 차단 성능이 고온으로 인해 저하된 경우에는 램프를 구성하는 주요 부품을 교환하지 않고, 적외광 투과 필터만을 교환하면 된다.
청구항 3에서는 청구항 1에 기재한 적외광 조사 램프에 있어서, 상기 렌즈에 상기 적외광 투과막을 형성하도록 구성했다.
렌즈에 직접 적외광 투과막을 형성했기 때문에, 적외광 투과막을 형성하기 위한 투명 부재가 불필요하며, 그만큼 램프 구조가 간결하다. 또, 적외광 투과 필터(적외광 투과막을 형성한 투명 부재)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서, 등실 내에 열이 머무르기 어려워, 적외광 투과막의 열에 의한 열화가 억제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예컨대 차 실내 상부에 설치되어 차량 전방의 시계를 촬영하는 적외광 대응 CCD 카메라와 함께 이용되는 램프로서, 야간 전방 시계 검출 시스템에 적용하는 데에 적합한 적외광 조사 램프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은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적외광 조사 램프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주요부인 적외광 투과 필터의 배면도이다.
야간 전방 시계 검출 시스템은 차량 전방부에 설치되어 차량 전방으로 적외광을 조사하는 적외광 조사 램프(10A)와, 예컨대 차 실내 상부에 설치되어 차량 전방의 시계를 촬영하는 적외광 대응 CCD 카메라(도시하지 않음)와, 이 CCD 카메라가 촬영한 화상을 해석하는 화상 처리 해석 장치와, 화상 처리 해석 장치에서 해석한 데이터를 표시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등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화상 처리 해석 장치에는 CCD 카메라가 촬영한 눈에 띄지 않는 먼 곳의 보행자나 장해물 그리고 레인마크 등의 영상이 보내지는데, 그 영상으로부터 엣지 처리나 패턴 인식을 행함으로써, 보행자나 장해물 그리고 레인마크 등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보행자나 장해물 그리고 레인마크 등의 영상은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에 의해 운전자에게 나타내주거나, 형상 인식으로 노상 물체(보행자나 장해물이나 레인마크 등)의 특징을 판단하여, 음성으로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적외광 조사 램프(10A)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형상의 합성 수지제 램프 보디(12)와, 이 램프 보디(12)의 전방면 개구부에 셋팅되어, 램프 보디(12)와 협동하여 등실(S)을 구획하는 전방면 렌즈(14)와, 램프 보디(12)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포물면 형상의 반사경(16)과, 램프 보디(12)의 후방 정상부에 형성된 전구 삽입 부착 구멍(12a)에 끼워진 광원인 할로겐 전구(18)와, 반사경(16)의 전방을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배치된 적외광 투과 필터(20)를 갖추어구성되어 있다. 또, 전방면 렌즈(14)의 이면측에는 광원광을 소정 방향으로 확산 배광하는 배광 제어용의 원주형 스텝(15)이 마련된다.
적외광 투과 필터(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 유리 플레이트(21)의 표면에 적외광 투과막(22)을 형성한 구조로, 적외광 투과 필터(20)(유리 플레이트(21))의 주연부에는 소정 폭의 링형 적외광 투과막 비형성 영역(24A)이 마련된다. 즉, 유리 플레이트(21) 이면측의 표면에는 그 주연부의 소정 폭 영역을 제외하고 적외광 투과막(22)이 형성되어 있다.
적외광 투과 필터(2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주연부가 램프 보디(12)와 전방면 렌즈(14) 사이의 결합부에 형성된 홈(13)에 결합되어, 등실(S) 내에 위치 결정되어 고정되어 있다. 즉, 전방면 렌즈(14)를 램프 보디(12)에 셋팅하는 동시에, 적외광 투과 필터(20)를 끼워넣는 형태로 고정할 수 있어, 적외광 투과 필터(20)를 교환할 때에 편리하다.
그리고, 점등 시에 상기 램프에서는, 반사경(16)에서 반사된 광원광이, 도 1에서 부호 L1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적외광 투과 필터(20)의 적외광 투과막(22)을 투과함으로써 가시광 성분이 차단되어, 주로 눈에 띄지 않는 적외광 성분으로 되어 전방면 렌즈(14)로부터 출사된다. 그러나, 전방면 렌즈(14)로부터 출사되는 빛 중에는 적외광 투과막(22)에서 차단할 수 없었던 가시광 성분(적색광 성분)도 포함되어 있고, 이 때문에, 램프 점등시의 전방면 렌즈(14)가 빨갛게 발광된다. 그런데, 전방면 렌즈(14)의 주연부에는 도 1에서 부호 L1'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적외광 투과막 비형성 영역(24A)을 통해, 적외광 투과막(22)을 투과하지 않는 광원광이 유도되기 때문에, 전방면 렌즈(14)의 주연부(14a)가 백색으로 발광하여, 전방면 렌즈(14)의 적색의 발광색을 엷게 하도록 작용한다. 즉, 전방면 렌즈(14)로 향하는 광원광 전부가 적외광 투과막(22)을 투과하도록 구성된 종래 구조의 경우와 비교하여, 전방면 렌즈(14)의 적색의 발광량 자체는 거의 변하지 않지만, 전방면 렌즈(14)의 적색으로 발광하는 영역의 주연부(14a)가 백색으로 발광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적색이 엷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적외광 조사 램프의 종단면도이다.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는, 램프 보디(12)의 전방면 개구부에 등실(S)을 막도록 적외광 투과 필터(20)가 설치되는 동시에, 적외광 투과막(22)이 유리 플레이트(21)의 주연부를 제외하고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 실시예의 적외광 조사 램프(10B)에서는 유리 플레이트(21)의 이면 전역에 적외광 투과막(22)을 형성한 적외광 투과 필터(20A)가, 등실(S)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적외광 투과막 비형성 영역(24B))이 생기도록 배치 고정되어 있다. 즉, 적외광 투과 필터(20A)의 주위 방향 여러 곳에는 결합 돌기(23)가 형성되어 있어, 램프 보디(12)와 전방면 렌즈(14) 사이의 결합부에 형성된 홈(13)에 적외광 투과 필터(20A) 측의 결합 돌기(23)가 결합함으로써, 적외광 투과 필터(20A)가 등실(S) 내에 위치 결정되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점등 시에 상기 램프에서는, 반사경(16)에서 반사된 광원광이, 도 2에 부호 L2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적외광 투과 필터(20A)의 적외광 투과막(22)을 투과함으로써 가시광 성분이 차단되어, 주로 눈에 띄지 않는 적외광 성분으로 되어전방면 렌즈(14)로부터 출사된다. 그러나, 전방면 렌즈(14)로부터 출사되는 빛 중에는 적외광 투과막(22)에서 차단할 수 없었던 가시광 성분(적색광 성분)도 포함되어 있고, 이 때문에, 램프 점등시의 전방면 렌즈(14)가 빨갛게 발광된다. 그런데, 전방면 렌즈(14)의 주연부에는 도 2에 부호 L2'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간극[적외광 투과막 비형성 영역(24B)]을 통해, 적외광 투과막(22)을 투과하지 않는 광원광이 유도되어, 전방면 렌즈(14)의 주연부(14a)가 백색으로 발광하여, 전방면 렌즈(14)의 적색의 발광색이 엷어져 눈에 띄지 않는다.
또, 적외광 투과 필터(20A)에 의해 전후로 구획된 등실(S) 사이가, 적외광 투과 필터(20A)의 주연부와 등실 내벽면 사이의 간극에 의해서 연결되고 통하게 되어, 이 간극을 통해 전후의 등실에 걸치는 공기 대류가 생성되어, 등실(S)에 열이 머무르는 것을 억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적외광 조사 램프의 종단면도이다.
이 제3 실시예의 적외광 조사 램프(10C)에는, 반사경(16A)에 배광 제어용의 연속되는 복수의 분할 반사면(17)이 있고, 이 반사경(16A)의 복수의 분할 반사면(17)에서의 확산 반사광에 의해서 소정의 배광을 형성하는 반사식 조명 광학계를 구비하며, 전방면 렌즈(14A)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배광 제어용의 스텝(15)을 형성하지 않는 투명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 투명한 전방면 렌즈(14A)의 의장면에 대응하는 이면측에 적외광 투과막(22)이 직접 형성되고, 전방면 렌즈(14A)의 주연부인 렌즈 측벽의 내측에는 소정 폭의 띠 모양의 적외광 투과막 비형성 영역(24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점등 시에 상기 램프에서는 반사경(16A)에서 반사된 광원광이, 도 4에 부호 L3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적외광 투과막(22)을 투과함으로써 가시광 성분이 차단되어, 주로 눈에 띄지 않는 적외광 성분으로 되어 전방면 렌즈(14)로부터 출사된다. 그러나, 이 전방면 렌즈(14A)로부터의 출사광 중에는 적외광 투과막에서 차단할 수 없었던 가시광 성분(적색광 성분)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램프 점등시의 전방면 렌즈(14)가 빨갛게 발광된다. 그런데, 전방면 렌즈(14A)의 주연부에는 도 4에 부호 L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외광 투과막 비형성 영역(24C)을 통해, 적외광 투과막(22)을 투과하지 않는 광원광이 유도되기 때문에, 전방면 렌즈(14A)의 주연부(14a)가 백색으로 발광하여, 전방면 렌즈(14A)의 적색의 발광색이 엷어져 눈에 띄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인 적외광 조사 램프의 종단면도이다.
상기한 제1∼3 실시예에서는, 광원광을 포물면 반사경(16)에서 반사하여 거의 평행하게 한 빛을 전방면 렌즈(14)의 배광 제어 스텝에 의해 확산 배광하거나, 연속되는 복수의 분할 반사면(17)을 갖는 반사경(16A)에서 확산 반사 배광하는, 반사식 조명 광학계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이 제4 실시예의 적외광 조사 램프(10D)에서는 타원체 형상의 반사경(16B)에서 반사한 광원광을 투사 렌즈(40)에서 거의 평행한 빛으로 하여 투사 배광하는 투사식 조명 광학계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즉, 램프 보디(12)인 금속제의 타원체 형상의 반사경(16B)의 제1 초점(f1)에 할로겐 전구(18)의 필라멘트가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반사경(16B)에는 램프 보디(12)인 원통 형상의 금속제 렌즈 홀더(30)가 고정되고, 렌즈 홀더(30)의 전방면 개구부에는 횡단면 L자형의 원환형 렌즈 유지 프레임(36)에 의해서 투사 렌즈(40)가 고정 유지되어 있다. 부호 32는 렌즈 홀더(30)의 전방면 개구부의 내주연부에 둘러서 형성되어, 렌즈(40)의 플랜지부(41)를 담지하기 위한 단차부이다. 그리고, 반사경(16B)에서 반사한 광원광은 반사경(16B)의 제2 초점(f2)에 집광된 후, 전방의 투사 렌즈(40)에 의해서, 부호 L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경(16B)의 광축과 거의 평행한 빛이 되어 전방으로 투사 배광된다.
또, 렌즈 홀더(30)의 전방면 개구부에 형성되어 있는 렌즈 담지용의 단차부(32)의 내주연부에는 필터 담지용의 링형 단차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링형 단차부(32A)에 수용된 적외광 투과 필터(20B)는 렌즈 유지 프레임(36)에 의해, 투사 렌즈(40)와 일체로 렌즈 홀더(30)의 전방면 개구부에 고정 유지된다. 부호 26은 적외광 투과 필터(20B)의 주연부에 설치된 고무재이며, 적외광 투과 필터(20B)와 투사 렌즈(40)는 이 고무재(26)의 두께에 상당하는 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적외광 투과 필터(20B)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적외광 투과 필터(20)와 같은 식으로, 투명 유리 플레이트(21) 이면의 주연부를 제외한 표면에 적외광 투과막(22)을 형성한 구조로, 적외광 투과 필터(20B)(유리 플레이트(21))의 주연부에는 소정 폭의 링형 적외광 투과막 비형성 영역(24D)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점등 시에 상기 램프에서는, 반사경(16B)에서 반사된 광원광이, 도 5에 부호 L4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적외광 투과 필터(20B)의 적외광 투과막(22)을 투과함으로써 가시광 성분이 차단되어, 주로 눈에 띄지 않는 적외광 성분으로 되어투사 렌즈(40)로부터 출사된다. 그러나, 투사 렌즈(40)로부터의 출사광 중에는 적외광 투과막으로 차단할 수 없었던 가시광 성분(적색광 성분)도 포함되고 있고, 이 때문에, 램프 점등시의 투사 렌즈(40)가 빨갛게 발광된다. 그런데, 투사 렌즈(40)의 주연부에는 도 5에 부호 L4'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적외광 투과막 비형성 영역(24D)을 통해, 적외광 투과막(22)을 투과하지 않는 광원광이 유도되기 때문에, 투사 렌즈의 주연부(40a)가 백색으로 발광하여, 투사 렌즈(40)의 적색의 발광색이 엷어져, 눈에 띄지 않는다.
또, 적외광 투과 필터(20B)는 빛이 집광되어 높은 온도가 되는 제2 초점 위치(f2)에서부터 충분히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적외광 투과막(22)이 열로 인해 열화되기 어렵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인 적외광 조사 램프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전술한 제4 실시예(도 5 참조)에서는, 주연부에 적외광 투과막 비형성 영역(24D)이 형성된 적외광 투과 필터(20B)가 등실(S1)을 막도록, 즉 렌즈 홀더(30)의 내주면에 적외광 투과 필터(20B)의 주연부가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었지만, 이 제5 실시예의 적외광 조사 램프(10E)에서는 유리 플레이트(21)의 이면측 전역에 적외광 투과막(22)을 형성한 적외광 투과 필터(20C)가, 그 주연부를 렌즈 홀더(30)의 내주면에서 약간 이격시켜 배치되고, 적외광 투과 필터(20C)의 외주부에 적외광 투과막 비형성 영역(24E)이 형성된다.
즉, 렌즈 홀더(30)의 전방면 개구부에 형성되어 있는 렌즈 담지용의 단차부(32)의 둘레 방향으로 등분한 3곳에 필터 담지용의 단차부를 지닌 내측돌기(32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내측 돌기(32B)에 적외광 투과 필터(20C)가 수용됨으로써, 적외광 투과 필터(20C)의 외주부에 간극(적외광 투과막 비형성 영역(24E))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4 실시예와 같은 식으로, 렌즈 유지 프레임(36)에 의해서, 투사 렌즈(40)와 적외광 투과 필터(20C)는 일체로 렌즈 홀더(30)의 전방면 개구부에 고정 유지된다. 부호 27은 내측 돌기(32B)에 대응하여, 적외광 투과 필터(20B)의 주연부에 설치된 고무재로, 적외광 투과 필터(20C)와 투사 렌즈(40)는 이 고무재(27)의 두께에 상당하는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점등 시에 상기 램프에서는 반사경(16B)에서 반사된 광원광이, 적외광 투과 필터(20C)의 적외광 투과막(22)을 투과함으로써 가시광 성분이 차단되어, 주로 눈에 띄지 않는 적외광 성분으로 되어 투사 렌즈(40)로부터 출사된다. 그러나, 투사 렌즈(40)로부터의 출사광 중에는 적외광 투과막으로 차단할 수 없었던 가시광 성분(적색광 성분)도 포함되고 있고, 이 때문에, 램프 점등시의 투사 렌즈(40)가 빨갛게 발광된다. 그런데, 투사 렌즈(40)의 주연부에는 렌즈 홀더(30) 내주면과 적외광 투과 필터(20C)의 주연부 사이의 링형 간극[적외광 투과막 비형성 영역(24E)]을 통해, 적외광 투과막(22)을 투과하지 않는 광원광이 유도되기 때문에, 투사 렌즈의 주연부(40a)가 백색으로 발광하여, 투사 렌즈(40)의 적색의 발광색이 엷어져 눈에 띄지 않는다.
또, 필터(20C)와 렌즈 홀더(30) 사이의 간극(24E)을 통해, 필터(20C)에 의해 구획된 전후의 등실이 연통하게 되어, 이 간극을 통해 전후의 등실 사이에 공기 대류가 생성되어, 등실에 열이 머무르지 않아, 적외광 투과막(22)의 열에 의한 열화가 억제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인 적외광 조사 램프의 종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의 적외광 조사 램프(10F)는 투사 렌즈(40)의 이면측에 적외광 투과막(22)이 직접 형성되고, 투사 렌즈(40) 이면의 주연부에는 소정 폭의 띠 모양 적외광 투과막 비형성 영역(24F)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점등 시에 상기 램프에서는, 반사경(16B)에서 반사된 광원광이, 도 7에 부호 L6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투사 렌즈(40) 이면측의 적외광 투과막(22)을 투과함으로써 가시광 성분이 차단되어, 주로 눈에 띄지 않는 적외광 성분으로 되어 투사 렌즈(40)로부터 출사된다. 그러나, 투사 렌즈(40)로부터의 출사광 중에는 적외광 투과막(22)에서 차단할 수 없었던 가시광 성분(적색광 성분)도 포함되어 있고, 이 때문에, 램프 점등 시의 투사 렌즈(40)가 빨갛게 발광된다. 그런데, 투사 렌즈(40)의 주연부에는 도 7에 부호 L6'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적외광 투과막 비형성 영역(24F)을 통해, 적외광 투과막(22)을 투과하지 않는 광원광이 유도되기 때문에, 투사 렌즈의 주연부(40a)가 백색으로 발광하여, 투사 렌즈(40)의 적색의 발광색이 엷어져 눈에 띄지 않는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8은 상기 적외광 조사 램프의 종단면도이고, 도 9는 그 램프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의 적외광 조사 램프(10G)에서는, 투사 렌즈(40)의 이면에서의 플랜지부(41) 이외의 영역에 적외광 투과막(22)이 형성되어 있다. 즉, 투사 렌즈(40)의 돌출 렌즈부(42)에 대응하는 이면에 적외광 투과막(22)이 형성되고, 투사렌즈(40)의 플랜지부(41)에는 적외광 투과막 비형성 영역(24G)이 형성된다.
한편, 렌즈 홀더(30)의 전방면 개구부에는 그 내주연부가 둘레 방향으로 등분한 3곳이 테이퍼형으로 절결되고, 투사 렌즈(40)의 플랜지부(41)를 담지하는 3개의 단차부(32C)가 설치되고 있으며, 이에 의해서, 플랜지부(41)에는 적외광 투과막(22)을 투과하지 않는 광원광이 유도된다. 부호 33은 테이퍼면을 나타낸다.
또, 렌즈 홀더(30)의 전연부에 고정되어, 투사 렌즈(40)의 플랜지부(41)를 고정 유지하는 렌즈 유지 프레임(36A)은 그 내주연부가 둘레 방향으로 등분한 3곳이 원호형으로 절결되어, 렌즈 홀더(30)의 단차부(32A)에 대응하는 3개의 갈고리(37)가 설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서, 플랜지부(41)로 유도된 광원광은 렌즈 유지 프레임(36A)에 차광되는 일 없이, 전방으로 출사된다. 부호 38은 렌즈 유지 프레임(36A) 내주연부의 절결부를 나타낸다.
그리고, 점등 시에 상기 램프에서는, 반사경(16B)에서 반사된 광원광이, 도 8에 부호 L7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적외광 투과막(22)을 투과함으로써 가시광 성분이 차단되어, 주로 눈에 띄지 않는 적외광 성분으로 투사 렌즈(40)로부터 출사된다. 그러나, 투사 렌즈(40)로부터의 출사광 중에는 적외광 투과막(22)으로 차단할 수 없었던 가시광 성분(적색광 성분)도 포함되어 있고, 이 때문에, 램프 점등 시에 투사 렌즈(40)가 빨갛게 발광된다. 그런데, 투사 렌즈(40)의 플랜지부(41)로부터는 도 8에 부호 L7'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적외광 투과막 비형성 영역(24G)을 투과하고, 단차부(32C) 및 렌즈 유지 프레임(36A)(의 갈고리(37))에서 차광되지 않은 광원광(적외광 투과막(22)을 투과하지 않는 광원광)이 출사되기 때문에, 투사렌즈(40)의 주연부(41)가 백색으로 발광하여, 투사 렌즈(40)의 적색의 발광색이 엷어져 눈에 띄지 않는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적외광 투과막이 유리 플레이트(21)나 전방면 렌즈(14, 14A)나 투사 렌즈(40)의 이면측에 형성되어 있지만, 적외광 투과막을 전방면측에만 또는 전방면 및 이면의 쌍방에 형성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적외광 투과막의 외주부에 적외광 투과막 비형성 영역을 형성하여, 렌즈의 주연부를 백색으로 발광시킴으로써, 램프의 적색 발광을 엷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적외광 투과막 내에 적외광 투과막 비형성 영역인 미소한 관통 구멍을 분산 형성하여, 렌즈의 중앙부 부근에서 약간의 백색광을 출사시킴으로써, 램프의 적색 발광을 엷게 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적외광 투과막의 외주부에 적외광 투과막 비형성 영역을 형성하는 동시에, 적외광 투과막 내에 적외광 투과막 비형성 영역인 미소 관통 구멍을 분산시켜 형성함으로써, 램프의 적색 발광을 엷게 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에 따르면, 램프 점등 시에 적색의 발광이 렌즈 주연부의 백색의 발광이나 렌즈 중앙부 부근에서 약간 출사되는 백색광에 의해서 엷어져, 종래와 같이 램프가 빨갛게 점등하여 보이는 일이 없기 때문에, 운전자 및 보행자가 적외광 조사 램프의 점등을 미등이나 브레이크등의 점등으로 오인할 우려가 없어, 그만큼 주행상의 안전이 확보된다.
또, 적외광 투과막의 외주부에 적외광 투과막 비형성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적외광 투과막 비형성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을 마스킹하여 도장이나 증착에 의해 적외광 투과막을 형성하면 되기 때문에, 적외광 투과막 내에 적외광 투과막 비형성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서, 적외광 투과막 비형성 영역의 형성이 용이하다.
청구항 2에 의하면, 적외광 투과막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 부재(적외광 투과 필터)를 교환하고 싶은 경우에는 다른 램프 구성 부품을 교환하지 않고 적외광 투과 필터만을 교환하면 되기 때문에, 비용적으로도 저렴하다.
또, 투명 부재는 렌즈에 비하여 소형이기 때문에, 적외광 투과막을 형성할 때 취할 수 있는 개수(증착로 속에 들어가는 피증착 부재인 투명 부재의 개수)가 증가하여, 적외광 투과막의 형성에 소요되는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따르면, 렌즈에 직접적 외광 투과막을 형성했기 때문에, 투명 부재에 적외광 투과막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서, 램프 구조가 복잡하게 되지 않고, 더구나 등실 내에 열이 머무르지 않기 때문에, 적외광 투과막의 열에 의한 열화가 억제되어, 장기간에 걸쳐 안정된 적외광량이 보증된다.

Claims (3)

  1. 용기 형상의 램프 보디와, 이 램프 보디의 전방면 개구부에 셋팅되어, 램프 보디와 협동하여 등실을 구획하는 렌즈와, 상기 램프 보디의 내측에 설치된 반사경과, 이 반사경의 전방에 설치된 광원과, 적외광 투과막을 구비한 자동차용 적외광 조사 램프에 있어서,
    상기 적외광 투과막의 외주부 및/또는 상기 적외광 투과막 내에 적외광 투과막 비형성 영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적외광 조사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과 상기 렌즈 사이에는 투명 부재가 설치되고, 이 투명 부재에 상기 적외광 투과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적외광 조사 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에 상기 적외광 투과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적외광 조사 램프.
KR1020020037804A 2001-07-06 2002-07-02 자동차용 적외광 조사 램프 KR200300050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05708A JP3920052B2 (ja) 2001-07-06 2001-07-06 自動車用赤外光照射ランプ
JPJP-P-2001-00205708 2001-07-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5006A true KR20030005006A (ko) 2003-01-15

Family

ID=19041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7804A KR20030005006A (ko) 2001-07-06 2002-07-02 자동차용 적외광 조사 램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96396B2 (ko)
JP (1) JP3920052B2 (ko)
KR (1) KR20030005006A (ko)
CN (1) CN1205066C (ko)
DE (1) DE10230143B4 (ko)
FR (1) FR28269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93965B2 (en) * 2001-07-09 2006-08-22 Roger L Veldman Automotive lighting assembly with decreased operating temperature
DE10301830A1 (de) * 2003-01-20 2004-07-29 Robert Bosch Gmbh Scheinwerfer für Fahrzeuge
DE10301829B4 (de) * 2003-01-20 2010-10-28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Scheinwerfer für Fahrzeuge
JP3948431B2 (ja) * 2003-04-09 2007-07-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周辺監視装置
WO2004095504A2 (en) * 2003-04-23 2004-11-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amp for heating
US7301265B2 (en) 2003-05-22 2007-11-27 Seiko Epson Corporation Light source unit,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source unit, and projector
US20060187667A1 (en) * 2003-06-02 2006-08-24 Lear Corporation Component alignment maintaining module for an active night vision system mounted within an interior cabin of a vehicle
US20050094416A1 (en) * 2003-10-31 2005-05-05 Schmitz Roger W. Light source structure
DE102004005798A1 (de) 2004-02-06 2005-09-01 Daimlerchrysler Ag Fahrzeug mit Infrarotbeleuchter
US7175323B2 (en) 2004-04-08 2007-02-13 Federal Mogul World Wide, Inc. Projector lamp headlight with chromatic aberration correction
JP2006019049A (ja) * 2004-06-30 2006-01-19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
JP2006024395A (ja) 2004-07-06 2006-01-26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
CN101432845A (zh) * 2004-07-09 2009-05-13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制造红外灯的方法
DE102004041866A1 (de) * 2004-08-27 2006-03-02 Schott Ag Nachtsicht-Scheinwerfer
DE102004043176B4 (de) * 2004-09-03 2014-09-25 Osram Gmbh Infrarotscheinwerfer
JP2006137367A (ja) 2004-11-15 2006-06-01 Koito Mfg Co Ltd 車両用赤外線投光器
DE102005031812A1 (de) * 2005-07-06 2007-01-18 Hella Kgaa Hueck & Co. Scheinwerfer für Fahrzeuge
US7658901B2 (en) * 2005-10-14 2010-02-09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Thermally exfoliated graphite oxide
JP4714107B2 (ja) * 2006-08-09 2011-06-2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赤外光照射ランプ
JP2008041571A (ja) * 2006-08-09 2008-02-21 Koito Mfg Co Ltd 車両用赤外光照射ランプ
JP4714108B2 (ja) * 2006-08-09 2011-06-2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赤外光照射ランプ
EP2088454B1 (en) * 2006-11-21 2018-09-19 Nikon Corporation Optical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068135B2 (en) * 2007-07-06 2011-11-29 Chol Kim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on and prevention of motor vehicle accidents
US20090052200A1 (en) * 2007-08-22 2009-02-26 Thomas Tessnow Single source visible and IR vehicle headlamp
DE102007043113A1 (de) 2007-09-10 2009-03-12 Robert Bosch Gmbh Scheinwerfer für Fahrzeuge
US20090116257A1 (en) * 2007-10-25 2009-05-07 Rosemeyer William E Low profile lightbar with IR illumination
JP2009184410A (ja) 2008-02-04 2009-08-20 Koito Mfg Co Ltd 車両用照明灯具
KR101384619B1 (ko) 2008-12-17 2014-04-11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차량용 근적외선 히팅 시스템의 프로텍터
CN102032517A (zh) * 2010-10-08 2011-04-27 沈金钟 一种无光污染的环保型前车灯
DE202013009156U1 (de) * 2013-10-16 2015-01-19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Kraftfahrzeugbeleuchtungseinrichtung
KR200484618Y1 (ko) * 2016-03-11 2017-09-29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102103514B1 (ko) * 2017-09-27 2020-05-29 주식회사 시티컴 엘이디 광 중화캡 및 그 제조방법
CN108888285A (zh) * 2018-07-30 2018-11-27 深圳圣诺医疗设备股份有限公司 乳腺x射线系统及其红外加热装置
JP6997060B2 (ja) * 2018-10-05 2022-01-17 日本碍子株式会社 赤外線放射装置
US11396986B2 (en) 2019-05-23 2022-07-26 Valeo North Americ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sking residual visible light from an infrared emission source
US11906124B2 (en) 2021-06-08 2024-02-20 Apple Inc. Multiband adjustable light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14628A1 (en) * 1991-02-25 1992-09-03 Ultralux Ab A method pertaining to vehicle headlamps which emit ultraviolet-light, and an arrangement herefor
KR960002374U (ko) * 1994-06-29 1996-01-19 조명장치
JP2001060403A (ja) * 1999-08-20 2001-03-06 Stanley Electric Co Ltd 可視光カット遮光シェードを用いたヘッドランプおよび該ヘッドランプを照明源とする車両用暗視装置
JP2001093311A (ja) * 1999-09-24 2001-04-06 Stanley Electric Co Ltd 暗視装置用ヘッドランプ
US20010050344A1 (en) * 2000-05-31 2001-12-13 Pierre Albou Compact elliptical infrared light unit for a mot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4680A (en) 1985-04-25 1986-08-05 Gte Products Corporation Infrared floodlight
US4695930A (en) 1985-10-03 1987-09-22 Gte Products Corporation Infrared floodlight assembly
DE3932216C3 (de) 1989-09-27 2002-09-12 Bosch Gmbh Robert Beleuchtungseinrichtung für Fahrzeuge
US5548461A (en) * 1994-07-11 1996-08-20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Arc suppressor
DE19530950B4 (de) * 1995-08-23 2006-11-16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Scheinwerfer für Fahrzeuge
KR970066252A (ko) 1996-03-29 1997-10-13 윤종용 다익크로익 필터를 채용한 자동차용 헤드램프
FR2774743B1 (fr) 1998-02-12 2000-05-05 Valeo Vision Dispositif de rayonnement pour un systeme d'aide a la vision nocturne pour vehicule
FR2800152B1 (fr) * 1999-10-26 2002-02-15 Valeo Vision Projecteur de vehicule a miroir collecteur
JP3810976B2 (ja) * 2000-02-15 2006-08-1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赤外光照射ランプ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14628A1 (en) * 1991-02-25 1992-09-03 Ultralux Ab A method pertaining to vehicle headlamps which emit ultraviolet-light, and an arrangement herefor
KR960002374U (ko) * 1994-06-29 1996-01-19 조명장치
JP2001060403A (ja) * 1999-08-20 2001-03-06 Stanley Electric Co Ltd 可視光カット遮光シェードを用いたヘッドランプおよび該ヘッドランプを照明源とする車両用暗視装置
JP2001093311A (ja) * 1999-09-24 2001-04-06 Stanley Electric Co Ltd 暗視装置用ヘッドランプ
US20010050344A1 (en) * 2000-05-31 2001-12-13 Pierre Albou Compact elliptical infrared light unit for a mot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96396B2 (en) 2005-05-24
CN1205066C (zh) 2005-06-08
FR2826920A1 (fr) 2003-01-10
FR2826920B1 (fr) 2005-04-15
US20030007363A1 (en) 2003-01-09
JP2003019919A (ja) 2003-01-21
JP3920052B2 (ja) 2007-05-30
CN1396078A (zh) 2003-02-12
DE10230143B4 (de) 2009-02-05
DE10230143A1 (de) 200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05006A (ko) 자동차용 적외광 조사 램프
US6601980B2 (en) Infrared-ray radiating lamp for automobile
JP3655560B2 (ja) 自動車用赤外光照射ランプ
JP4714107B2 (ja) 車両用赤外光照射ランプ
KR100862265B1 (ko) 차량용 적외광 조사 램프
JP3995561B2 (ja) 自動車用赤外光照射ランプ
US20060083016A1 (en) Vehicle lamp
JP2004273353A (ja) 車両用灯具
JP3065240U (ja) 自動車用照明装置
US7572041B2 (en) Vehicle lamp
US6050706A (en) Vehicle turn signal lamp having light bulb covered with transparent cap and transparent lens for enhancing vehicle lamp appearance
KR101423668B1 (ko) 차량용 램프
KR20150107332A (ko) 차량용 램프
JP2003059314A (ja) 車両用灯具
JP3331581B2 (ja) 車両用灯具
JP2000071859A (ja) 車両用灯具
JP2004087428A (ja) 車両暗視装置用赤外照明光源及び車両暗視装置の電源回路
JPH0684601U (ja) プロジェクタランプ
KR20180034140A (ko) 차량용 시그널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JP3360518B2 (ja) 車両用灯具
KR200406661Y1 (ko) 자동차용 적외광 램프
JP4186885B2 (ja) 車両用赤外光投光器
JP2000071861A (ja) 車両用灯具
JP2000071860A (ja) 車両用灯具
US20030198058A1 (en) Field electron emitter and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218

Effective date: 2006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