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9531A - 회전전기의 통전기판 - Google Patents

회전전기의 통전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9531A
KR20020089531A KR1020027014394A KR20027014394A KR20020089531A KR 20020089531 A KR20020089531 A KR 20020089531A KR 1020027014394 A KR1020027014394 A KR 1020027014394A KR 20027014394 A KR20027014394 A KR 20027014394A KR 20020089531 A KR20020089531 A KR 20020089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heet metal
rotary electric
electric machin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4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2177B1 (ko
Inventor
후지타요이치
미요시소쓰오
하세가와사토루
타가이카쓰노리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9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9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1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3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boards, i.e. printed circuit boards or similar structure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Brushless Motor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복수개로 분리할 일련의 통전패턴(12)을 형성하는 1매의 플레이트 판금(10)과, 이 플레이트 판금(10)이 인서트된 몰드 수지로 되고, 상기 통전패턴(12)의 불요부분을 프레스 가공으로 제거함으로써, 그 통전패턴이 정규 형상으로 분리 형성된 1개의 통전기판(21)을 구성한다.

Description

회전전기의 통전기판{EXCITING SUBSTRATE OF ROTARY ELECTRIC MACHINERY}
종래의 회전전기, 예컨대 직류모터에서는 각 고정자 권선의 권선 단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결선수단으로서 크로스 오버(cross over) 배선을 사용하였으나, 권선 단말의 결선작업의 용이화 및 고정자의 몰드 성형시에 있어서 권선 단말 결선부의 단선 방지를 위하여 크로스 오버 배선 대신 프린트 기판이나 프레스 판금 단일체를 사용하게 되었다.
도 1 (a) ~ (c)는 종래의 직류모터에 있어서 고정자 권선의 권선 패턴이 다른 코일 권장부를 나타내는 전개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환형의 요크, 2는 이 요크(1)의 내주면에 배치된 복수개의 티스(teeth), 3은 터미널, 4는 티스(2)의 각각에 권장되어 복수개의 고정자 권선을 구성하는 권선으로, 이 권선(4)의 단말부를 크로스 오버 배선(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각 고정자 권선에 결선함으로써 고정자가 구성되고, 그 고정자는 수지로몰드 성형된다.
여기에서 도 1 (a), (b)에 있어서, 티스(2)에 권장된 권선(4)은 U상(相), V상, W상으로 되는 3상의 고정자 권선을 구성하고 있으며, 도 1 (c)에 있어서, 터미널(3)은 1개의 티스(2)에 대하여 2개의 터미널(3a),(3b)을 설치 구성되어 있다. 도 1 (a)에 있어서, 5는 일반적인 결선부이다.
종래의 회전전기의 권선 단말 처리부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각 티스(2)에 권장된 권선(4)의 단말을 크로스 오버 배선에 의하여 각 고정자 권선에 결선한 상태에서의 몰드 성형시에 그 성형압에 의하여 크로스 오버 배선이 단선되는 불합리한 점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티스(2)에 권장된 많은 권선(4)의 단말을 각각 크로스 오버 배선으로 각 고정자 권선에 결선시키는 것은 그 결선작업이 번잡하여 작업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자동기로 일반적인 결선을 형성하기 위하여 별도의 터미널이나 일반적인 결선 등의 권선 공정이 증가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종래의 회전전기에서는 권선 단말 처리를 간소화하기 위한 통전수단으로서 프린트 기판이나 도전성의 프레스 판금 단일체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프린트 기판의 경우 소자를 장설할 수는 있지만 접점용 모터 브러시의 스프링(판스프링)의 용접이 불가능하고, 신축성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제조경비가 높아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 노이즈 대책으로서 컨덴서나 저항으로 노이즈 제거 소자를 장설하기 위해서는 그 장설용 기판을 별도 부품으로 조립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프레스 판금 단일체의 경우 복잡한 통전패턴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복수매의 판금이 필요하게 되어 부품 개수가 증가하고, 그 설치도 번잡하여 제조비가 높아짐과 동시에 통전수단으로 사용되는 프레스 판금은 일반적으로 박판이므로 특히 1매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강도상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된 것으로, 복잡하고 또 전기적으로 분리해야 할 복수개의 배선패턴을 1매의 플레이트 판금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크로스 오버 배선을 필요로 하지 않고 권선 단말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하고, 부품 개수의 감소 및 제조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는 회전전기의 통전기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이 발명은 노이즈 제거용 소자 및 접점용 브러시를 장설할 수 있는 회전전기의 통전기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은 브러시레스 회전전기에도 적용시킬 수 있는 회전전기의 통전기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은 고정자측에 용이하게 설치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회전전기의 통전기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은 고정자 코어의 티스마다 각각 독립된 권선을 설치할 수 있는 회전전기의 통전기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이 발명에 관한 회전전기의 통전기판은 복수개의 통전패턴을 일련되게 형성하는 플레이트 판금과, 이 플레이트 판금이 삽입된 몰드 수지로 되고, 이들의 플레이트 판금과 몰드 수지의 일체 성형품을 프레스 가공하여 통전패턴의 불요부분을 타발 제거하여 정규의 통전패턴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1매의 플레이트 판금에 의하여 본래는 전기적으로 분리해야 할 통전패턴을 이 패턴의 불요부분을 포함시켜 1개에 연속시킨 1개의 통전패턴으로 형성시키고, 그 1개의 통전패턴을 수지 몰드시켜 그것을 프레스 가공하여 통전패턴의 불요부분을 타발 제거함으로써, 1개의 통전패턴이 복수개로 분리된 1개의 통전 부품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프레스 판금 단일체와 같이 복잡한 통전패턴의 경우에 복수매의 프레스 판금 단일체를 중첩하거나 나열할 필요 없이 1개의 통전 부품으로 복수개로 분리된 통전패턴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 개수의 감소 및 저렴한 가격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발명에 관한 회전전기의 통전기판은 접점용 브러시를 가진 회전전기의 통전패턴이 프레스 판금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접점용 브러시를 가진 직류모터와 같은 회전전기의 구동부품으로서 통전기판을 적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발명에 관한 회전전기의 통전기판은 프레스 기판에 노이즈 제거용 소자의 장설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노이즈 제거용 소자를 별도의 기판을 사용하지 않고 장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발명에 관한 회전전기의 통전기판은 프레스 판금에 접점용 브러시의 접합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접점용 브러시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그 설치를 위하여 별도의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 발명에 관한 회전전기의 통전기판은 프레스 판금의 통전패턴의 부분만을 권선에 의하여 크로스 오버 결선처리를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발명에 관한 회전전기의 통전기판은 브러시레스 회전전기를 구동시키는 통전패턴이 프레스 판금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통전기판은 브러시레스 모터의 구동부품으로서도 적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발명에 관한 회전전기의 통전기판은 프레스 판금과 회전전기의 권선이 접속되어 있는 단자와 접합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회전전기 구동용 통전부품으로서 안정된 도전성을 확보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이 발명에 관한 회전전기의 통전기판은 고정자측에 설치되는 센서 케이스로 고정자측에 압설시켜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센서 케이스를 이용하여 통전부품을 고정자측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발명에 관한 회전전기의 통전기판은 고정자측에 설치된 돌기부를 초음파 수지 용착 방식으로 코킹시켜 고정자측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통전부품을 고정자측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발명에 관한 회전전기의 통전기판은 고정자의 소정위치에 조합시키기 위한 위치결정 부위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통전부품을 고정자의 소정위치에 용이하게 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발명에 관한 회전전기의 통전기판은 고정자측에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게 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통전부품상에 있는 접점용 브러시의 위치나 센서의 위치를 미세조정하면서 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발명에 관한 회전전기의 통전기판은 고정자 코어의 각 티스마다 독립된 권선이 시설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권선작업이 간단하여 작업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예컨대 브러시 모터와 브러시레스 모터에서 권선 방향을 바꿀 필요 없이 통전부품을 브러시 모터용과 브러시레스 모터용으로 공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발명은 예컨대 직류모터나 발전기 등의 고정자 권선 상호의 권선 단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회전전기의 통전기판에 관한 것이다.
도 1 (a) ~ (c)는 종래의 직류모터에 있어서 고정자 코일의 권선 패턴이 상이한 코일 권장부를 표시한 전개 사시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회전전기의 통전기판(통전부품)의통전패턴을 구성하는 플레이트 판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중 플레이트 판금을 수지로 몰드 성형시켜 구성시킨 통전기판을 표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통전기판을 마무리 가공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통전기판에 부품을 장설시킨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직류모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 (a) ~ (c)는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회전전기(브러시 모터)의 통전기판의 성형과정을 표시한 설명도이다.
도 8 (a) ~ (c)는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회전전기(브러시레스 모터)의 통전기판의 성형과정을 표시한 설명도이다.
도 9는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회전전기의 통전기판 설치부를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의한 회전전기의 통전기판 설치부를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브러시 모터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12는 브러시레스 모터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플레이트 판금,11 : 성형틀,
12 : 통전패턴,13 : 크로스 오버 선부,
14 : 커먼 선부, 15 : 브러시 설치부,
16 : 소자 장설부,17 : 단자편부,
20 : 수지,21 : 통전기판(통전부품),
21a : 설치공,22 : 분리부,
23 : 판스프링,24 : 브러시,
25 : 소자,30 : 직류모터,
31 : 모터 케이스,31a : 돌기,
32 : 고정자,33, 34 : 고정자 코일,
35, 36 : 터미널,37 : 회전자,
38 : 정류자,40 : 센서 케이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관하여 첨부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회전전기의 통전기판(통전부품)의 통전패턴을 구성하는 플레이트 판금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10은 황동 등의 도전재료로 되는 플레이트 판금으로서, 이 플레이트 판금(10)은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소정의 패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세하게는 환상의 성형틀(11)과, 이 성형틀(11)에 연이어 통전패턴(12),크로스 오버 선부(13), 커먼(common) 선부(14)와 브러시 설치부(15) 및 소자 장설부(16)의 각각을 동일 평면상에서 일련되게 형성하고 있다. 또, 상기 성형틀(11), 통전패턴(12) 및 크로스 오버 선부(13)의 소정 장소에는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소정 개수의 단자편부(17)가 절곡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도 2중의 플레이트 판금을 수지로 몰드 성형시켜 구성된 통전기판의 평면도이고, 이 도면에 있어서, 20은 플레이트 판금(10)이 인서트된 몰드 수지, 21은 그 몰드 수지(20)와 플레이트 판금(10)에 의하여 구성된 통전기판(통전부품)이다.
즉, 도 2에 표시한 패턴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된 플레이트 판금(10)을 수지(20)로 몰드 성형함으로써, 그 몰드 수지(20)와 플레이트 판금(10)에 의한 일체적 구조의 통전기판(21)을 구성하고 있다.
도 4는 도 3의 통전기판을 마무리 가공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22는 플레이트 판금(10)으로 형성된 통전패턴(12)의 분리부이고, 이 분리부 (22)는 통전기판(21)의 마무리 가공으로서 그 통전기판(21)을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통전패턴(12)의 불요부분이 분리 제거된 패턴 절단부가 되는 것이다. 또, 상기 통전기판(21)의 마무리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도 2에 표시한 플레이트 판금(10)의 성형틀(11)도 분리 제거되는 것이다. 따라서, 통전기판(21)의 마무리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도 2에 표시한 통전패턴(12)은 그 불요부분이 제거되어 전기적으로 복수로 분리된 본래의 분리 패턴 구성으로 되고, 또, 크로스 오버 선부(13)에 있어서도 독립되어 있으나, 복수로 분리된 통전패턴(12) 및 크로스 오버 선부(13)는 이미 몰드 수지(20)로 일체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분산되는 경우는 없다.
도 5는 도 4의 통전기판에 부품을 장설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23은 브러시 가세용 판스프링으로 플레이트 판금(10)(통전패턴 12)의 브러시 설치부(15)에 스폿트 용접 등으로 기단(基端)이 접합되어 있으며, 그 판스프링(23)의 선단에는 접점용 브러시(24)가 접합되어 있다. 25는 플레이트 판금(10)의 소자 장설부(16)에 장착된 노이즈 제거용 소자(컨덴서ㆍ저항)이다.
즉,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마무리 가공된 통전기판(21)에 있어서 플레이트 판금(10)의 소정 장소에 브러시(24)가 접합된 판스프링(23) 및 복수개의 소자 (25)를 각각 장설함으로써, 복수개로 분리된 통전패턴(12), 크로스 오버 선부(13) 및 커먼 선부(14)를 가진 1개의 통전부품으로서의 통전기판(21)이 구성되는 것이다.
도 6은 직류모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30은 회전전기의 하나인 직류모터, 31은 그 모터 케이스, 32는 고정자, 33ㆍ34는 고정자 0.코일, 35ㆍ36은 1극의 고정자 코일(33)에 접속된 2개의 터미널, 37은 고정자(32)내에서 회전하는 회전자, 38은 회전자(37)와 일체로 회전하는 정류자이며, 상기 모터 케이스(31)에서 정류자(38)측의 개구단부에 통전기판(21)(통전부품)을 조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그 통전기판(21)의 플레이트 판금 (10)에 의하여 각 고정자 코일 사이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모터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실시의 형태 1에 의하면, 통전패턴(12)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플레이트 판금(10)과, 이 플레이트 판금(10)이 인서트된 몰드 수지(20)로 되고, 그 플레이트 판금(10)과 몰드 수지(20)의 일체로 된 성형품을 프레스 가공하여 통전패턴(12)의 불요부분을 분리함으로써, 분리된 정규 형상의 통전패턴(12)을 동일 평면상에 있는 1개의 통전부품(21)을 형성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복잡하고 복수개의 분리 통전패턴을 필요로 하는 회전전기에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종래의 프레스 판금 단일체와 같이 복수매를 중첩하거나 나열할 필요가 없이 1개의 통전부품을 회전전기에 조합하기만 하면 되므로 부품 개수의 감소 및 코스트를 저렴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플레이트 판금(10)에 의하여 크로스 오버 선부(13)도 형성되므로 각 고정자 코일의 권선 단말 처리로서 종래와 같이 별개의 크로스 오버 배선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각 고정자 코일에서 올라온 권선 단말을 통전부품에 접속하는 것만으로 권선 단말 처리를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별개의 크로스 오버 배선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각 티스의 각각에 독립된 권선을 실시할 수 있어 그 권선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직류 브러시 모터에 적용하는 통전부품(21)에는 브러시 설치부(15) 및 소자 장설부(1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선단에 접점용 브러시(24)를 가진 도전성 판스프링(23)을 브러시 설치부(15)에 접합하고, 또 노이즈 방지용 소자(25)를 접합시켜 유니트화 함으로써, 부품 개수의 감소가 도모됨과 동시에 모터 케이스(31)에 조합시키는 것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 통전부품(21)은 1매의 플레이트 판금(10)을 소정 패턴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시킨 후에 수지로 몰드 성형하고, 그것을 마무리 프레스 가공하게 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의 형태 2.
도 7 (a)~ (c)는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회전전기(브러시 모터)의 통전기판의 성형과정을 표시한 설명도이고, 도 2 ~ 도 5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7 (a)에 있어서, 플레이트 판금(10)은 3개의 터미널 브러시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통전패턴(12)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통전패턴(12)은 브러시 설치부 (15)와 소자 장설부(16)를 갖고 있으며, 통전패턴(12)의 일부와 소자 장설부(16)가 평면 직사각형 형상의 성형틀(11)에 일련되게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플레이트 판금(10)을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도 7 (a)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성형틀(11), 브러시 설치부(15) 및 소자 장설부(16)를 일련되게 통전패턴 (12)을 타발 성형시킨다.
이 성형 후에, 상기 플레이트 판금(10)의 성형틀(11)을 제외한 부분을 수지로 몰드 성형함으로써, 도 7 (b)에 표시한 바와 같이 통전패턴(12) 및 소자 장설부(16)가 몰드 수지(20)에 인서트된 상태로 성형된다.
이와 같이 통전패턴(12) 및 소자 장설부(16)가 수지 몰드된 플레이트 판금(10)을 다음에 마무리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도 7 (c)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성형틀 (11) 및 통전패턴(12)의 불요부분이 제거된 통전기판(통전부품)(21)을 성형시킨다.
이상 설명한 실시의 형태 2에 의하면, 3개의 터미널 브러시 모터에 적용되는 통전기판(21)을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어 실시의 형태 1의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
도 8 (a) ~ (c)는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회전전기(브러시레스 모터)의 통전기판의 성형과정을 표시한 설명도이고, 도 2 ~ 도 5 및 도 7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의 형태 3에서는 도 7의 경우와 동일한 성형공정에 의하여 브러시레스 모터에 적용하는 통전기판(21)을 성형하는 경우로서, 상기 실시의 형태 2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실시의 형태 4.
도 9는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회전전기의 통전기판 설치부를 표시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31a는 도 6의 모터 케이스(31)에 있어서 정류자(38)측의 개구단부에 일체로 돌설된 통전기판 설치용 돌기, 21a는 통전기판(21)에 천공된 설치공이며, 이 설치공(21a)을 상기 돌기(31a)에 끼워넣음으로써, 통전기판(21)의 설치 위치가 결정된다. 이 위치결정 상태에서 돌기(31a)의 두부를 초음파 수지 용착 방식으로 코킹함으로써, 모터 케이스(31)에 통전기판(21)이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이 실시의 형태 4에 의하면, 통전기판(21)을 모터 케이스(31)에 대하여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의 형태 5.
도 10은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의한 회전전기의 통전기판 설치부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40은 센서를 내장시켜 모터 케이스(31)의 정류자(38)측의 개구단부에 설치되는 센서 케이스이며, 이 센서 케이스(40)를 이용하여 통전기판 (21)을 설치하는 것이다.
즉, 이 실시의 형태 5에서는 모터 케이스(31)에 대한 센서 케이스(40)의 설치시에 이 센서 케이스(40)로 통전기판(21)의 주연부를 모터 케이스(31)의개구단부에 눌러서 고정시키는 구조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모터 케이스(31)에 대한 통전기판(21)의 설치를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의 형태 6.
도 11은 도 6의 직류 브러시 모터의 개략적인 구동 회로도, 도 12는 브러시레스 모터의 개략적인 구동 회로도이며, 도 11의 직류 브러시 모터의 경우에는 도5 또는 도 7에 표시한 통전기판(21)을 적용하고, 도 12의 브러시레스 모터의 경우에는 도 8에 표시한 통전기판(21)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실시의 형태 6에서, 직류 브러시 모터와 브러시레스 모터에서는 이들의 각 고정자 코일의 권선방향에 대응된 통전패턴의 통전기판(21)을 성형시킴으로써, 그 통전기판(21)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실시의 형태 6에 의하면, 직류 브러시 모터와 브러시레스 모터중의 어느 것도 통전기판(21)을 적절히 적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이 발명에 관한 회전전기의 통전기판은 각종 모터나 발전기 등의 회전전기에 있어서 각 고정자 코일 상호의 권선 접속을 크로스 오버 배선할 필요없이 할 수 있으므로 부품 개수의 경감 및 경비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크로스 오버 배선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단선 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 신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Claims (1)

  1. 복수개의 통전패턴을 일련으로 형성하는 플레이트 판금과, 이 플레이트 판금에 인서트된 몰드 수지로 되고, 이 플레이트 판금과 몰드 수지의 일체로 된 성형품을 프레스 가공시켜 상기 통전패턴의 불요부분을 타발 제거함으로써 플레이트 판금에 의한 정규의 통전패턴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기의 통전기판.
KR1020027014394A 2001-02-28 2001-02-28 회전전기의 통전기판 KR1006521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1/001526 WO2002069477A1 (fr) 2001-02-28 2001-02-28 Substrat d'excitation de machine electrique rotati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531A true KR20020089531A (ko) 2002-11-29
KR100652177B1 KR100652177B1 (ko) 2006-11-29

Family

ID=11737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4394A KR100652177B1 (ko) 2001-02-28 2001-02-28 회전전기의 통전기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94419B2 (ko)
EP (1) EP1280258B1 (ko)
JP (1) JP4294320B2 (ko)
KR (1) KR100652177B1 (ko)
CN (1) CN1253992C (ko)
DE (1) DE60131741T2 (ko)
WO (1) WO20020694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8137B2 (en) 2006-10-05 2010-10-05 Remy Technologies, L.L.C. Single track layer stator terminal assembly
JP2011151875A (ja) * 2010-01-19 2011-08-04 Panasonic Corp 同期回転機の固定子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16237C3 (de) * 1969-03-29 1979-12-13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Gleichrichtereinheit
US3573516A (en) * 1969-04-23 1971-04-06 Gen Electric Rectifier bridge for use with an alternator
US3604963A (en) * 1969-11-26 1971-09-14 Nippon Denso Co Prefabricated connector plate for use with a plurality of different ac to dc generator circuits
US3641374A (en) * 1970-03-11 1972-02-08 Nippon Denso Co Rectifying means for three-phase alternating generators for use in vehicles and other transport facilities
JPS4846559U (ko) * 1971-09-30 1973-06-18
DE2208794A1 (de) * 1972-02-24 1973-08-30 Siemens Ag Gleichrichterbruecke
JPS54118507A (en) * 1978-03-06 1979-09-14 Hitachi Ltd Ac generator for vehicle
JPS5746662A (en) * 1980-09-04 1982-03-17 Toshiba Corp Semiconductor rectifier
JPS5978864U (ja) * 1982-11-18 1984-05-28 澤藤電機株式会社 直流電動機
JPH0714267B2 (ja) * 1985-05-28 1995-02-15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モ−タ−のブラシホルダ−
US4845396A (en) * 1986-08-19 1989-07-04 Capsonic Group, Inc. Motor brush holder assembly
US5013948A (en) * 1987-05-04 1991-05-07 Allied-Signal Inc. High power rotating rectifier assembly
DE3728081A1 (de) * 1987-08-22 1989-03-02 Bosch Gmbh Robert Gleichrichterlagereinrichtung
JPH0755033B2 (ja) * 1988-04-21 1995-06-07 三菱電機株式会社 ブラシ支持兼端子集合体
JPH04140054A (ja) 1990-09-29 1992-05-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ブラシレスモーター
JPH05219690A (ja) * 1991-02-28 1993-08-27 Hitachi Ltd セラミックス摺動集電体
JPH0613362U (ja) * 1992-07-14 1994-02-18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コイル基板
JP2590350Y2 (ja) * 1992-07-30 1999-02-10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薄型コイルの保持基板
US5712517A (en) * 1992-09-15 1998-01-27 Ford Motor Company Epoxy insulator coating on an alternator heat sink
JP2590220Y2 (ja) * 1992-12-04 1999-02-10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薄型コイルの保持基板
JPH06284619A (ja) * 1993-02-01 1994-10-07 Toshiba Corp 電動機の端子台の製造方法
GB2286487A (en) * 1994-02-12 1995-08-16 Johnson Electric Sa Planar moulded carbon segment commutator
US5530311A (en) * 1994-05-24 1996-06-25 Mccord Winn Textron, Inc. Face type commutator with sideways tangs and a method of making the commutator
JP3342987B2 (ja) * 1995-06-28 2002-11-11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交流発電機
DE19525584A1 (de) * 1995-07-13 1997-01-16 Kautt & Bux Commutator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lankommutators
DE19527879A1 (de) * 1995-07-29 1997-01-30 Lutz Pumpen Gmbh & Co Kg Elektromotor, insbesondere Antriebsmotor für eine Faß- oder Behälterpumpe
US5770902A (en) * 1995-11-02 1998-06-23 Globe Motors Motor termination board
US5793140A (en) * 1995-12-19 1998-08-11 Walbro Corporation Electric motor flat commutator
US5925962A (en) * 1995-12-19 1999-07-20 Walbro Corporation Electric motor commutator
US5826324A (en) * 1995-12-29 1998-10-27 Aupac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flat-type commutator
JP3550880B2 (ja) 1996-05-31 2004-08-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モータ及びモータの固定子コイル端末線接続方法
JPH10174340A (ja) 1996-12-10 1998-06-26 Shibaura Eng Works Co Ltd モータ
DE19705833A1 (de) 1997-02-15 1998-08-20 Itt Mfg Enterprises Inc Bürstenhalteanordnung
US6222298B1 (en) * 1997-06-08 2001-04-24 Mitsuba Corporation Carbon commutato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DE19916521A1 (de) * 1998-04-13 1999-10-14 Asmo Co Ltd Bürstenloser Motor und Gebläsemotor ohne Bürsten
JP3503496B2 (ja) * 1998-10-22 2004-03-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超音波接合方法
KR100278006B1 (ko) * 1998-11-11 2001-01-15 윤종용 정류자를 구비한 전자렌지, 및 전자렌지용 정류자의 제조방법
JP2000209832A (ja) * 1999-01-12 2000-07-28 Minebea Co Ltd 軸流ファンモ―タ
JP4003334B2 (ja) * 1999-02-04 2007-11-0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交流発電機
DE19925286A1 (de) * 1999-06-02 2000-12-07 Kolektor D O O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lankommutators sowie ein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r Plankommutator
JP3255160B2 (ja) * 1999-12-10 2002-02-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その組立方法
US6359362B1 (en) * 2000-07-31 2002-03-19 Mccord Winn Textron Inc. Planar commutator segment attachment method and assembly
JP3964122B2 (ja) * 2000-10-18 2007-08-22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交流発電機およびその固定子巻線に適用される導体線の接続係止部形成方法
JP4002064B2 (ja) * 2000-12-18 2007-10-31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ブラシレスモータ
JP4596404B2 (ja) * 2001-06-05 2010-12-08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ポンプ用直流電動機の通電部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燃料ポンプ
JP2003143795A (ja) * 2001-11-05 2003-05-16 Sankyo Seiki Mfg Co Ltd ブラシ付き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80258A1 (en) 2003-01-29
EP1280258A4 (en) 2003-09-10
KR100652177B1 (ko) 2006-11-29
US6894419B2 (en) 2005-05-17
DE60131741D1 (de) 2008-01-17
EP1280258B1 (en) 2007-12-05
JP4294320B2 (ja) 2009-07-08
CN1253992C (zh) 2006-04-26
CN1426624A (zh) 2003-06-25
US20030076001A1 (en) 2003-04-24
JPWO2002069477A1 (ja) 2004-07-02
DE60131741T2 (de) 2008-11-06
WO2002069477A1 (fr) 200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1172A (en) Coil connecting structure in outer rotor-type multi-pole generator
JP4778186B2 (ja) ステータ
US6300697B1 (en) Circuit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up the stator windings of a brushless electronically commutated motor
WO2018104418A1 (de) Stator einer elektrischen maschine, elektrische maschine sowie verlege- und kontakteinrichtung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US6181046B1 (en) Dynamo-electric machine with commutator assembly
EP1154549B1 (en) Dc motor
JP3464451B2 (ja) 電動機特にブラシレス直流電動機用固定子
EP0607032B1 (en) Miniature motor
KR100652177B1 (ko) 회전전기의 통전기판
CN113348610A (zh) 具有带集成电路板的电刷板装置的调节驱动器
JP5237767B2 (ja) 整流子及び該整流子を備える電機子及びモータ並びに該電機子の製造方法及びモータの製造方法
JP3570058B2 (ja) 電動機の結線用部品及びその結線用部品を備えた電動機
US5572077A (en) Miniature motor
JP2002199634A (ja) モータリード線の接続構造
JP4220445B2 (ja) 平型整流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335654A (ja) モータおよびモータ製造方法
JPH11187622A (ja) モータ用整流子及びその製造方法
CN217904137U (zh) 无刷电机
US20020121836A1 (en) End shield for a commutator machine and a method for producing such an end shield
JP2004521470A (ja) 電気的な整流子機械
US20220344996A1 (en) Method for electrically contacting at least one enameled copper wire with a component of an electric motor, generator, sensor or electromagnet by means of electrical contacts formed on the enameled copper wires and additional potting
JP3697043B2 (ja) モータ用整流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262519A (ja) 回転電機の整流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3358241B2 (ja) ブラシ構造、ブラシの製造方法及び組立方法並びにモータ
JPS61273147A (ja) モ−タ−のブラシ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427

Effective date: 2006092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