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9445A - 제지기 직물 - Google Patents

제지기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9445A
KR20020089445A KR1020027013554A KR20027013554A KR20020089445A KR 20020089445 A KR20020089445 A KR 20020089445A KR 1020027013554 A KR1020027013554 A KR 1020027013554A KR 20027013554 A KR20027013554 A KR 20027013554A KR 20020089445 A KR20020089445 A KR 20020089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stitching
yarns
weft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3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5663B1 (ko
Inventor
세뽀 따이뺄레
떼르뚜 뚜르뻬이넨
따니아 라우띠오
빽까 꼬르뗄라이넨
Original Assignee
땀펠뜨 오위유 아베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땀펠뜨 오위유 아베뻬 filed Critical 땀펠뜨 오위유 아베뻬
Publication of KR20020089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9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6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0027Screen-cloths
    • D21F1/0036Multi-layer screen-cloths
    • D21F1/0045Triple layer fabrics

Landscapes

  • Paper (AREA)
  • Woven Fabric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Non-Silver Salt Photosensitive Materials And Non-Silver Salt Photography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제지기 직물은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사(絲) 시스템들, 즉 종이 측을 형성하며 기계방향 사 및 교차기계방향 사를 포함하는 사 시스템, 및 기계측을 형성하며 기계방향 사 및 교차기계방향 사를 포함하는 사 시스템을 사용하여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층을 포함하며, 상기 사 시스템들은 직물의 기계방향 및 교차기계방향으로 독립 구조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구조들은 접결사들(5)에 의해서 함께 접결되며, 상기 접결사(5)는 상기 종이측 표면의 층 조직의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그리고 상기 기계측 층의 적어도 하나의 사 아래에서 교직 됨으로써 상기 기계측의 층과 교직 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종이측을 형성하는 상기 사 시스템은 그것의 양측 상에서 제직된 접결사(5)를 구비한 대체사(6)를 포함하며, 상기 대체사(6)는 상기 두 접결사(5)가 상기 기계측과 교직 되는 지점에서 상기 두 접결사(5)에 의해서 형성된 두개의 사 통로를 채운다.

Description

제지기 직물{PAPER MACHINE FABRIC}
일반적인 삼중층 제지기 직물은 두 개의 분리된 층: 종이측 층 및 기계측 층을 포함한다. 상기 종이측 층 및 기계측 층은 대개 접결사(binder yarn)로 작용하는 접결 위사(binder weft)에 의해서 상호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접결사에 의한 접결은 매 네번째 마다의 상부 및 저부 사(絲) 쌍에서 일어나며, 즉 상대적으로 드물게 일어난다. 상부측 상에서, 상기 접결은 하나의 상부 경사(top warp) 위에서 일어나며, 저부측 상에서, 상기 접결은 하나의 저부 경사(bottom warp) 아래에서 일어난다. 상기 접결사는 상기 종이측 표면의 형성뿐만 아니라, 상기 층들의 접결에도 기여한다. 따라서, 상기 종이측 층들 및 상기 기계측 층들은 충분히 밀착(tight)할 정도로 상호 연결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직물의 "내측 마모(innerside wear)"가 유발된다. 내측 마모는 교차층(interlayer) 연마(abrasion)에 기인한 마모를 말한다.
상기한 교차층 마모의 결과로서, 사(絲; yarn)들은 접결사 및 경사들의 교차점에서 마모되고, 나중에 직물이 느슨해짐에 따라서 사들은 점점 서로에 대해 이동하기 시작하여 상기 종이측 및 기계측의 고유 구조의 마모를 유발하게 된다. 직물의 내측 마모로 인해 접결사는 종이 표면에 마킹(marking)을 만들기 시작하는데, 이는 직물이 자신의 내측 상에서 자신의 원래 두께를 소실하는 반면에 접결사는 차례로 자신의 원래 길이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내측 마모가 매우 커지면 상기 층들이 서로 분리될 수도 있다.
상기 접결사는 상기 종이측 상에 접결된 경사(經絲; warp yarn)를 약간 안쪽으로 끌어당긴다. 이러한 딤플링(dimpling: 옴폭 들어감)은 마킹을 유발한다. 또한, 상기 접결사는 구조내 상기 지점에서 추가적인 부사 편조직(float stitch)을 형성한다. 따라서, 직물은 상기 지점에서 보다 조밀해지고, 종이 웹(web)에서 제거되는 수분이 상기 직물을 고르게 통과하지 못하게 되어 마킹이 생기게 된다.
일반적인 삼중층 직물에서, 상기 종이측 상의 접결사는 상기 접결사가 마킹을 유발하지 않도록 상기 표면보다 약간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결점으로 인한 마킹을 가능한 한 최소로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접결사가 상기 상부 위사보다 가늘어야만 한다. 실제로 상기 접결사를 통상 직경(예를 들면 0.13 mm)보다 가늘게 만들 수 없으며, 상기 상부 위사도 또한 통상 직경(예를 들면 0.15 mm)보다 가늘게 만들 수 없으므로, 투과율(permeability)의 감소 없이 상기 상부 위사 밀도를 증가시킬 수는 없다; 따라서, 종이 섬유의 지지(support)는 특히, 고 투과율을 갖는 낮은 수준을 유지한다.
접결사 쌍(binder yarn pairs)으로 접결된 구조가 또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4,501,303호, 제5,967,195호 및 제5,826,627호에는, 예를 들면, 접결사 쌍을 사용하여 구조들을 접결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접결사 대신에 접결사 쌍을 사용하여 접결된 상기 구조에서, 상기 층들을 접결하는 것은 상기 접결사 쌍이다. 접결사 쌍은 두 개의 인접한 접결사들을 포함하는 데, 상기 접결사들 중 하나는 종이측 표면 조직(paper side surface weave)을 형성하며, 동시에 다른 하나는 하나의 기계측 저부 경사 아래 및 그 역으로 종이측 층 및 기계측 층을 함께 접결한다. 상기 종이측 표면의 상기 접결사 쌍의 지그재그(zigzag) 형태는 상기 상부 위사와 유사한 위사 통로(weft path)를 형성한다. 상기 접결사 쌍의 사(絲; yarn)들은 하나의 접결사가 상기 층들을 접결하기 위해서 상기 종이측으로부터 직물로 하강하는 점에서 교차하는 반면에, 다른 접결사는 직물로 상승하여 상기 종이측 표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교차(intersection)는 상기 접결사들이 스트레이트 라인(straight line)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접결사 쌍에 의해 형성된 종이측 위사 통로는 실제 상부 위사에 의해 형성된 위사 통로만큼 직선이 되지는 않는다.
상기 교차점의 양측에 위치한 상기 상부 위사는 교차점에서 상기 상부 경사들을 아래쪽으로 가압하며, 동시에 상기 접결사 쌍의 양 사들은 직물 쪽으로 하강하여, 아래로부터 상기 상부 경사들을 지지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교차점들은 상기 표면보다 낮은 평면에 남아 있게 되어, 마킹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것은 미국특허 제5,967,195호에 개시되어 있다.
접결사 쌍을 사용하여 접결된 상기 구조에서, 상기 접결사 쌍은 두 개의 사를 포함하는 반면에 상기 상부 위사는 하나의 사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상부 위사 및 접결사들은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이는 상기 접결사 쌍에서의 수분 배수 용량(water drainage capacity)이 상기 상부 위사에서의 수분 배수 용량과 상이하여, 최악의 경우에, 종이에 마킹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분 배수 용량을 보장하기 위해서, 직물은 일반적으로 보다 조잡해져야만 한다.
접결사 쌍을 사용하여 접결된 가장 일반적인 구조에서, 저부 위사는 상기 상부 위사에서 제공되나 상기 접결사 쌍에서는 제공되지 않으므로, 기계측 저부 위사의 수는 종이측 위사 통로의 수의 반이 되며, 이는 상기 기계측 상에서 마모되는 재료가 적어지게 되는 것으로, 내마모성(wear resistance)이 약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높은 내마모성을 얻고자 한다면, 상기 기계측의 밀도가 상기 종이측의 밀도와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하여야만 한다. 상기 기계측 밀도 및 상기 종이측 밀도가 동일한 경우, 위사 밀도는 수분 배수 용량을 보장하기 위해서 낮아져야만 하고, 이로 인해 종이 섬유 지지성이 더 약해진다.
접결사 쌍을 사용하여 접결된 가장 일반적인 구조에서, 상기 접결사 쌍의 사들은 매 다른 상부 경사와 교직(interwoven)되며, 상기 상부 위사는 매 다른 상부 경사와 교직 된다. 따라서, 모든 다른 상부 경사는 상이한 방식으로 교직 되어, 표면에 대해 약간 다른 평면에 남아 있게 된다. 마킹에 가장 민감한 종이 등급에서, 이것은 경사 방향의 마킹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지기 직물(paper machine fabric)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지기 직물은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사(絲; yarn) 시스템(system)들, 즉 종이측(paper side)을 형성하며 기계방향(machine direction) 사 및 교차기계방향(cross machine direction) 사를 포함하는 사 시스템, 및 기계측(machine side)을 형성하며 기계방향 사 및 교차기계방향 사를 포함하는 사 시스템을 사용하여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층을 포함하며, 상기 사 시스템들은 직물의 기계방향 및 교차기계방향으로 독립 구조(structure)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구조들은 접결사(接結絲; binder yarn)에 의해서 함께 접결되며, 접결사는 상기 종이측 표면의 층 조직(weave)의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그리고 상기 기계측 층의 적어도 하나의 사 아래에서 교직(interwoven)됨으로써 상기 기계측 층과 교직 되도록 배치된다.
도 1은 상기 종이측에서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제지기 직물도.
도 2는 상기 기계측에서 바라본 도 1에 따른 제지기 직물도.
도 3은 도 1의 III-III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4는 도 1의 IV-IV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5는 도 1의 V-V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6은 도 1의 VI-VI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다른 사들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도면으로, 도 3 내지 도6과 유사한 방식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상기한 단점들을 개선할 수 있는 제지기 직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종이측을 형성하는 상기 사 시스템이 그것의 양측 상에 제직된 접결사를 구비한 대체사(substitute yarn)를 포함하며, 상기 종이측에서 상기 대체사가 상기 두 접결사와 상기 기계측이 교직 되는 지점에서 상기 두 접결사에 의해서 형성된 두개의 사 통로를 채우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직물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장점은, 예를 들면 상기 접결사가 상기 층들을 함께 접결할 뿐만 아니라, 접결외에도, 수 개의 상부 경사들과 교직 됨으로써 상기 종이측 표면을 형성하여, 상기 접결사들이 일반적인 삼중층 직물보다 조밀하게 제직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접결이 밀착되어, 상기 층들이 서로에 대해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접결사가 상기 종이측 표면의 형성에 기여하는 경우, 종래의 삼중층 직물의 일반적인 접결사에 의해서 유발되는 마킹이 제거된다. 상기한 동일한 특성으로 인해 또한 구조내 우수한 종이 섬유 지지가 얻어진다. 이러한 장점은 충분한 투과율을 얻기 위해서 교차기계방향 사의 수가 감소되어야만 하는 경우에 특히 더 높은 투과율과 함께 중요하다.
접결사 쌍을 사용하여 접결된 상기 구조에서, 상기 접결사의 교차점에 위치한 상부 경사는 아래로부터 약하게 지지되는 데, 이는 상기 교차점에서 상기 상부 경사가 주위 구조에 비해 보다 낮은 평면상에 남아 있게 되는 것으로, 상기 특정 지점에서 종이내 마킹이 유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에서는, 접결을 위해 상기 접결사가 상기 기계측으로 하강하는 지점의 상기 종이측 상에서, 상기 대체 위사(substitute weft)가 높은 지지성의 브리지 구조(bridge structure)를 형성하여 주위 구조와 동일 평면으로 상기 특정 지점을 들어올리게 되고, 그로 인해 마킹이 생기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은 상기 구조를 밀착시키는 접결사 쌍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직물이 너무 조밀하게 됨이 없이 상기 저부측 위사 밀도가 증가할 수 있어서, 상기 기계측 상으로 보다 많은 재료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직물의 내마모성이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지기 직물의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지기 직물에는 적어도 두 개의 기계방향 사(絲; yarn) 시스템들, 예를 들면 상부 경사(經絲; warp) 시스템 및 저부 경사 시스템, 및 적어도 두 개의 교차기계 사 시스템들, 예를 들면 상부 위사(緯絲; weft) 시스템 및 저부 위사 시스템이 구비된다. 상기 직물 구조는 또한 접결사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경사 시스템 및 상기 상부 위사 시스템은 상기 종이측을 형성하는 층을 형성하며, 유사하게 상기 저부 경사 시스템 및 상기 저부 위사 시스템은 상기 기계측을 형성하는 층을 형성한다. 도면에서, 상부 경사들은 번호 1이 상부 위사들은 번호 2가 붙여져 있다. 도면에서, 저부 경사들은 번호 3이 저부 위사들은 번호 4가 붙여져 있다. 상기 종이측을 형성하는 상기 층 및 상기 기계측을 형성하는 상기 층은 접결사 시스템을 사용하여 함께 접결된다. 도면에서, 접결사들은 번호 5가 붙여져 있다. 상기 종이측 표면에서, 접결사(5)는 상기 층 조직(weave)의 일부분을 형성하며, 하나 이상의 저부 경사(3) 아래에서 교직 됨으로써 함께 상기 층들을 접결하기 위해서 상기 기계측에 들어가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따르면, 상기 종이측을 형성하는 상기 사 시스템은 대체사(6),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대체 위사(substitute weft)(6), 그것의 양측 상에 제직(woven)된 접결사(5)를 포함한다. 상기 종이측 상에서, 상기 대체사(6)는 상기 두 접결사가 상기 기계측과 교직 되는 지점에서, 상기 두 접결사(5)에 의해서 형성된 두 개의 사 통로,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위사 통로를 채우도록 배치된다.
상기 종이측 상에서, 상기 대체 위사(6)는 상기 접결사(5)가 상기 기계측과 교직 되는 지점에서 상기 대체 위사의 양측 상에 제직된 상기 접결사에 의해서 형성된 상기 위사 통로들을 채운다. 따라서, 상기 접결사들(5) 및 상기 접결사들 사이에 제직된 상기 대체 위사(6)는 상기 종이측 표면에 두개의 위사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두개의 위사 통로들은 실제 상부 위사(2)의 위사 통로와 유사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접결사들(5) 및 상기 접결사들 사이에 제직된 상기 대체 위사(6)는 상기 종이측 표면에 두개의 위사 통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것은 도 1에 분명히 나타나 있다. 상기 대체 위사(6)에 인접한 상기 접결사들(5)의 직물내 이동 통로(travel path)들은 유사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직물의 종이측 표면의 상기 대체 위사(6)의 접결점의 수는 상기 종이측 표면의 인접한 접결사(5)의 접결점의 수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위사 시스템은 한 종류 이상의 상부 위사들을 포함한다. 상부 위사가 단지 하나인 경우, 그것은 대체 위사(6)이다. 그러나, 도면의 실시예에는 상기 상부 위사 시스템이 보통의 상부 위사들(2) 및 대체 위사들(6) 모두를 포함하는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상기 상부 위사(2)의 접결은 상기 종이측 표면의 상기 접결사들(5) 및 상기 대체 위사(6)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형성된 위사 통로들의 접결과유사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종이측 표면에서, 상기 상부 위사(2), 접결사(5), 대체 위사(6) 및 상기 접결사(5)는 규칙적이고 반복적으로 상기 직물을 관류하는 사(絲)들의 집단을 구성한다. 상기 상부 위사(2)는 평직(plain weave)를 사용하여 접결된다. 상기 접결사(5)는 평직을 사용하여 상기 종이측 표면에 접결하며, 예를 들면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저부 경사(3) 아래에서 교직 됨으로써 상기 층들을 함께 접결하기 위해서 하강한다. 상기 종이측 상에서, 상기 대체 위사(6)는 상기 접결사(5)에 의해서 형성된 상기 위사 통로를 보충하는 반면에, 상기 접결사(5)는 상기 기계측과 교직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접결사들(5) 및 상기 대체 위사(6)는 상기 종이측 표면에 두개의 평직 위사 통로를 형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저부 위사들의 조직(weave)은 5-개구 새틴(5-shed satin)이다. 상기 접결사들의 조직은 10-개구 새틴이다.
상기 대체 위사(6)는 상기 종이측 층하고만 교직 되므로, 상기 접결사(5)와 일체적으로, 접결사 쌍을 사용하여 접결된 구조의 상기 접결사 쌍들에 의해서 형성된 것과 유사한 교차점을 형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대체 위사(6)는 양측 상에 위치한 상기 접결사들(5) 및 상기 대체 위사(6) 그 자체에 의해서 형성된 상기 위사 통로들을 채우기 위해서 적당한 위치에서 용이하게 고정된다. 상기 구조로 인해서, 상기 접결사들(5) 및 상기 대체 위사(6)에 의해서 형성된 위사 통로들은 직선이다. 모든 위사 통로들이 직선(straight)인 경우, 상기 종이측 표면에 나타나는 개구(opening)들은 가능한 한 동등한 크기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이럴 경우, 전체직물의 상기 종이측 표면에서 종이 섬유에 대한 우수하고 균일한 지지가 보장된다. 상기 구조의 다른 장점으로는 수분 배수 시스템의 모세관(capillary)들의 크기 및 형상이 균일하게 되어, 제어되고 고른(even) 수분 배수가 얻어지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하여, 상기 종이에는 우수하게 형성되고 평탄한 표면들이 구비된다.
특성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일반적인 삼중층 직물 접결사 쌍을 사용하여 접결된 구조
MD 사:φ/밀도
상부 경사(mm/yarns/cm) 0.15/34 0.15/34 0.15/34
저부 경사(mm/yarns/cm) 0.19/34 0.19/34 0.19/34
CMD 사:φ/밀도
상부 위사(mm/yarns/cm) 0.13/12.6 0.15/26.5 0.13/19.3
대체 위사(mm/yarns/cm) 0.13/12.6 - -
접결 위사(mm/yarns/cm) 0.13/12.6 0.13/7 0.13/19.3
저부 위사(mm/yarns/cm) 0.22/25.2 0.22/26.5 0.22/19.3
MD 사 밀도(yarns/cm) 68 68 68
CMD 사 밀도(yarns/cm) 63 53 58
S-지수 72 61 73
FSI 185 147 188
공기 투과율(m3/m2/h) 5000 5000 5000
마모 마진(wear margin)(mm) 0.20 0.20 0.20
종이측 조직 평직 평직 평직
기계측 조직 5-개구(shed) 5-개구 5-개구
표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 일반적인 삼중층 직물 구조 및 비교되는 접결사 쌍을 사용하여 접결된 구조가 나타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는 일반적인 삼중층 구조 및 접결사 쌍을 사용하여 접결된 구조보다 좋은 특성을 나타낸다. 본발명에 따른 구조는 일반적인 삼중층 직물 구조만큼의 높은 내마모성을 가능하게 하며, 접결사 쌍을 사용하여 접결된 구조보다는 분명히 높은 내마모성이 얻어진다. 이는 상기한 저부 위사 밀도에 나타나 있다. 섬유지지지수(FSI; Fibre Support Index)는 종이 섬유 직물에 의해 제공되는 지지 레벨을 말한다. S-지수는 제곱 센티미터(square centimetre) 당 종이측 사의 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에 의해 얻어지는 섬유 지지는 접결사 쌍을 사용하여 접결된 구조에 의해 얻어지는 섬유 지지만큼 좋으며, 일반적인 삼중층 직물 구조에 의해 얻어지는 섬유 지지보다는 분명히 더 좋은 결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조에서, 상기 접결사들(5) 및 상기 상부 위사들(2)은 각 상부 경사(1)와 교직 되는데, 이는 접결사 쌍을 사용하여 접결된 가장 일반적인 구조에서 상기 접결사들이 매 다른 상부 경사와 교직 되고 상기 상부 위사들은 매 다른 상부 경사와 교직 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조에서, 접결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인하여, 모든 상부 경사들(1)은 상기 구조에 대해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경사 방향으로 어떠한 마킹도 생기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조는 또한 접결사 쌍을 사용하여 접결된 가장 일반적인 구조보다 높은 내마모성을 제공하며, 동일한 투과율을 갖게 된다. 예를 들면, 열 개의 위사 통로를 상기 종이측 표면에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구조는 13 개의 사가 필요하지만, 접결사 쌍들을 사용하여 접결된 구조는 15 개의 사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조에서, 이러한 장점으로 인하여 접결사 쌍을 사용하여 접결된 구조에서보다 상기 저부측 상에 더 많은 위사들이 제직되고 유사한 투과율을 갖게 되며, 즉 상기 저부측에 보다 많은 마모될 사 재료가 제공될 수 있어서 더 높은 내마성을 가지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7 내지 도 9에서, 상기 구조는 대개의 경우 도 3 내지 도 6의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 내지 도 9에서, 동일 숫자들은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대응 특징을 나타내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도 7 내지 도 9의 실시예에서, 상기 접결사들(5)의 지그재그(zigzag) 형태는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으며, 또한, 도 7 내지 도 9의 실시예에서, 하나의 저부 경사(3)가 두 상부 경사들(1)에 대응하고 있다. 도 7 내지 도 9의 실시예에서, 상기 대체 위사에 인접한 상기 접결사들의 이동 통로들은 상이하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결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지기 직물 또는 그것의 세부사항들이 반드시 도면에 나타낸 것과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다른 구조도 또한 가능할 것이다. 상기 분리된 층들은 매우 자유롭게, 즉 사 시스템의 수가 변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필수적인 점은 적어도 두 개의 경사 시스템: 저부 경사 시스템 및 상부 경사 시스템을 갖는다는 것이다. 유사하게, 위사 시스템의 수도 변할 수 있으며, 필수적인 점은 적어도 두 개의 위사 시스템: 상부 위사 시스템 및 저부 위사 시스템 등을 갖는다는 것이다. 전기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는 삼중층 구조이나, 다른 다중층 구조들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상기종이측 표면에서, 평직대신에 새틴 또는 능직(twill weave) 같은 다른 조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저부 위사들 및 접결사들의 조직도 또한 본 발명의 기본 개념 내에서 자유롭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기본 개념에 따르면, 상부 위사들이 전혀 없는 구조들, 즉 상기 종이측에 대체 위사들만이 구비되어 있는 구조도 가능하다. 한편, 상부 위사의 수가 대체 위사의 수보다 많은, 즉 상부 위사의 수가 예를 들어 0, 1, 2, 3 등으로 변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저부 위사의 수는 상부 위사 및 대체 위사의 총 수와 다를 수 있다. 저부 위사에 대한 상부 위사의 비율은 일반적으로 1:1이지만, 또한 변할 수 있다. 사(絲; yarn)의 직경은 다음과 같이 될 수 있다: 상부 경사 0.12-0.15mm, 저부 경사 0.17-0.21mm, 대체 위사 0.10-0.16mm, 상부 위사 0.10-0.16mm, 접결사 0.10-0.16mm, 및 저부 위사 0.17-0.30mm. 그러나, 사의 직경이 상기한 것과 다른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한 구조에는 원형 단면을 갖는 폴리에스터사(polyester yarn) 또는 폴리아마이드사(polyamide yarn)가 사용된다. 다른 사용 가능한 사 재료에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및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polyphenylene sulfide)가 포함된다. 사들의 단면은 또한 평평하거나 타원형일 수도 있다. 사들의 특성은 직물의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면, 굽힘 경도(bending stiffness)가 낮은 대체 위사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대체 위사의 종이측 접결점들이 상기 접결사 및 상기 대체 위사에 의해 형성된 통로의 적당한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통로는 가능한 한 직선이 된다. 상기 대체 위사 및 상기 상부 위사들의 굽힘 경도는 동등하거나 동등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한 구조에서, 접결은 위사 방향으로 일어난다. 그러나, 이것이 유일한 구조는 아니다. 경사 방향에서 접결이 이루어지는 구조도 또한 가능하며, 이런 경우 상기 구조는 적어도 접결 경사, 대체 경사, 저부 경사, 상부 위사 및 저부 위사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대체사는 대체 위사 또는 대체 경사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제지기 직물에 관한 것으로, 내마모성, 섬유 지지 등의 섬유 구조 특성이 우수한 제지기 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어떠한 변형 및 변화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8)

  1.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사(絲) 시스템들, 즉 종이측을 형성하며 기계방향 사 및 교차기계방향 사를 포함하는 사 시스템, 및 기계측을 형성하며 기계방향 사 및 교차기계방향 사를 포함하는 사 시스템을 사용하여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층들을 포함하며, 상기 사 시스템들은 직물의 기계방향 및 교차기계방향으로 독립 구조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구조들은 접결사(5)에 의해서 함께 접결되며, 상기 종이측 표면의 층 조직의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그리고 상기 기계측 층의 적어도 하나의 사 아래에서 교직 됨으로써 상기 기계측 층과 교직 되도록 접결사(5)를 배치한 제지기 직물에 있어서,
    상기 종이측을 형성하는 상기 사 시스템은 그것의 양측 상에 제직된 접결사(5)를 구비한 대체사(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종이측 상에서 상기 대체사(6)는 상기 두 접결사(5)가 상기 종이측과 교직 되는 지점에서 상기 두 접결사(5)에 의해서 형성된 두개의 사 통로를 채우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직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사(6)는 대체 위사이며, 상기 접결사(5)는 접결 위사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직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사(6)는 대체 경사이며, 상기 접결사(5)는 접결경사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직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위사(6)에 추가로, 상기 종이측 표면에 하나 이상의 상부 위사(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직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위사(6)에 추가로, 상기 종이측 표면에 하나의 상부 위사(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직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위사(6) 및 상기 상부 위사가 동등한 굽힘 경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직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위사(6) 및 상기 상부 위사(2)의 굽힘 경도가 동등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직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사(6)에 인접한 상기 접결사들(5)의 직물내 상기 이동 통로들이 유사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직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사(6)에 인접한 상기 접결사들(5)의 직물내 상기 이동 통로들이 상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직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결사(5)는 상기 종이측 표면에 세 개의 접결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직물.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위사(2)의 접결은 상기 종이측 표면의 상기 접결사들(5) 및 상기 대체 위사(6)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형성된 위사 통로들의 접결과 유사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직물.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위사(2)의 접결은 상기 종이측 표면의 상기 접결사들(5) 및 상기 대체 위사(6)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형성된 위사 통로들의 접결과 상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직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측 표면에 평직사 통로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직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측 표면의 상기 대체사(6)의 접결점의 수가 상기 종이측 표면의 인접한 접결사(5)의 접결점의 수와 유사 또는 상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직물.
  15. 제4항에 있어서, 대체 위사(6)의 수는 상부 위사(2)의 수와 동일하며, 저부 위사(4)의 수는 상부 위사(2) 및 대체 위사(6)의 총 수와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제지기 직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위사(6) 및 상기 접결사들(5)에 의해서 형성된 상기 위사 통로가 상기 접결사(5)에 대한 세 개의 접결점 및 상기 대체 위사(6)에 대한 두 개의 접결점을 포함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직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접결사들(5)은 10-개구(10-shed) 조직을 사용하는 하나의 저부 위사 아래에서 교직 되며, 상기 저부 위사들(4)은 5-개구(5-shed) 주자직(satin weave)을 사용하는 저부 경사들(3)과 교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직물.
  1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경사에 추가로, 상기 종이측 표면에 하나 이상의 상부 경사(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 직물.
KR10-2002-7013554A 2001-02-22 2002-02-21 제지기 직물 KR1005156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10348 2001-02-22
FI20010348A FI110131B (fi) 2001-02-22 2001-02-22 Paperikonekudo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445A true KR20020089445A (ko) 2002-11-29
KR100515663B1 KR100515663B1 (ko) 2005-09-23

Family

ID=8560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3554A KR100515663B1 (ko) 2001-02-22 2002-02-21 제지기 직물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354335B1 (ko)
EP (1) EP1362142B1 (ko)
JP (1) JP3839778B2 (ko)
KR (1) KR100515663B1 (ko)
CN (1) CN1179090C (ko)
AT (1) ATE329080T1 (ko)
AU (1) AU2002233400B2 (ko)
CA (1) CA2404182C (ko)
DE (1) DE60212077T2 (ko)
DK (1) DK1362142T3 (ko)
ES (1) ES2260411T3 (ko)
FI (1) FI110131B (ko)
NO (1) NO20025080D0 (ko)
PT (1) PT1362142E (ko)
WO (1) WO200206673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913B1 (ko) * 2005-04-01 2007-01-17 주움텍스타일 주식회사 연마기재, 연마기재의 제조방법 및 연마포
KR100675407B1 (ko) * 2006-09-26 2007-01-30 주움텍스타일 주식회사 연마기재 및 연마포
KR100830573B1 (ko) * 2005-09-27 2008-05-21 웨벡스 코포레이션 기계측 너클을 형성하는 기계방향 접결사를 가진 제지기용성형 직물
KR101150790B1 (ko) * 2007-12-04 2012-06-14 하임바흐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초지기에 사용하기 위한 성형 스크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05344D0 (en) * 2000-03-06 2000-04-26 Stone Richard Forming fabric with machine side layer weft binder yarns
DE10039736A1 (de) * 2000-08-16 2002-03-07 Kufferath Andreas Gmbh Verbundgewebe
JP3933448B2 (ja) * 2001-11-22 2007-06-20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工業用多層織物
FI112261B (fi) * 2002-05-06 2003-11-14 Tamfelt Oyj Abp Paperikonekudos
US20050288387A1 (en) * 2002-08-21 2005-12-29 Li Feng Acrylate dental compositions with improved viscosity and storage odor
US6837275B2 (en) * 2002-11-07 2005-01-04 Albany International Corp. Air channel dryer fabric
US6769535B2 (en) * 2002-11-07 2004-08-03 Albany International Corp. High drainage dimensionallally stable brownstock washer belt design
US6837276B2 (en) * 2002-11-07 2005-01-04 Albany International Corp. Air channel dryer fabric
US6860969B2 (en) * 2003-01-30 2005-03-01 Weavexx Corporation Papermaker's forming fabric
US7059357B2 (en) * 2003-03-19 2006-06-13 Weavexx Corporation Warp-stitched multilayer papermaker's fabrics
US6905574B2 (en) * 2003-04-18 2005-06-14 Albany International Corp. Multi-layer forming fabric with two warp systems bound together with a triplet of binder yarns
US7303656B2 (en) * 2003-07-02 2007-12-04 Albany International Corp. Low permeability textile substrate for a two-sided coated product
GB0316417D0 (en) * 2003-07-12 2003-08-20 Voith Fabrics Gmbh & Co Kg Forming fabrics
EP1656480A1 (en) * 2003-08-13 2006-05-17 Voith Fabrics Patent GmbH Fabrics employing binder/top interchanging yarn pairs
WO2005047581A1 (en) * 2003-11-06 2005-05-26 Hexcel Corporation Interlock double weave fabric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DE102004035522A1 (de) * 2004-07-22 2006-03-16 Voith Fabrics Patent Gmbh Papiermaschinenbespannung
DE102004035519A1 (de) * 2004-07-22 2006-02-09 Voith Fabrics Patent Gmbh Papiermaschinenbespannung
DE102004035523A1 (de) * 2004-07-22 2006-02-09 Voith Fabrics Patent Gmbh Papiermaschinenbespannung
US7124781B2 (en) * 2005-02-01 2006-10-24 Albany International Corp. Multiple contour binders in triple layer fabrics
JP4563260B2 (ja) * 2005-06-14 2010-10-13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工業用二層織物
US7503350B2 (en) * 2005-08-03 2009-03-17 Voith Patent Gmbh Compound forming fabric with additional bottom yarns
FI118856B (fi) * 2005-10-06 2008-04-15 Tamfelt Pmc Oy Paperikonekudos
JP4739903B2 (ja) 2005-10-17 2011-08-03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工業用二層織物
US7357155B2 (en) * 2005-12-29 2008-04-15 Albany International Corp. Different contour paired binders in multi-layer fabrics
DE102006016660C5 (de) * 2006-04-08 2009-09-03 Andreas Kufferath Gmbh & Co Kg Oberseite, insbesondere Papierseite, sowie Papiermaschinensieb
WO2008068317A1 (de) * 2006-12-08 2008-06-12 Voith Patent Gmbh Gewebeband für eine maschine zur herstellung von bahnmaterial, insbesondere papier oder karton
WO2008073301A2 (en) * 2006-12-08 2008-06-19 Astenjohnson, Inc. Machine side layer weave design for composite forming fabrics
DE102006059482A1 (de) * 2006-12-08 2008-06-12 Voith Patent Gmbh Gewebeband für eine Maschine zur Herstellung von Bahnmaterial, insbesondere Papier oder Karton
CA2634432A1 (en) * 2008-06-09 2009-12-09 Richard Stone High fiber support intrinsic warp tied composite forming fabric
IT1391374B1 (it) * 2008-10-08 2011-12-13 Feltri Marone S P A Tessuto triplo di fabbricazione della carta
JP5281877B2 (ja) * 2008-11-28 2013-09-04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工業用二層織物
ES2360568T3 (es) 2008-12-22 2011-06-07 HEIMBACH GMBH & CO. KG Tamiz de formación.
CN101440583B (zh) * 2008-12-29 2012-07-25 安徽华辰造纸网股份有限公司 一种接结双层组织的造纸用成形网
FI20115222L (fi) 2011-03-04 2012-09-05 Metso Fabrics Oy Paperikonekudos
DE102013106327B4 (de) 2013-06-18 2015-01-08 Andritz Technology And Asset Management Gmbh Papiermaschinensieb
DE102013108399B3 (de) * 2013-08-05 2014-11-27 ANDRITZ KUFFERATH GmbH Papiermaschinensieb, dessen laufseite querfäden mit unterschiedlicher flottierungslänge aufweist
CN106192525B (zh) * 2016-08-03 2020-12-22 江苏金呢工程织物股份有限公司 一种三层造纸网织造方法以及三层造纸网
FI128025B (en) * 2017-03-24 2019-08-15 Valmet Technologies Oy industrial Textiles
US11339534B2 (en) 2019-09-18 2022-05-24 Huyck Licensco Inc. Multi-layer warp bound papermaker's forming fabrics
FI20206371A1 (en) * 2020-12-23 2022-06-24 Valmet Technologies Inc Industrial textil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30425C (sv) * 1981-06-23 1986-09-19 Nordiskafilt Ab Formeringsvira for pappers-, cellulosa- eller liknande maskiner
ATE43376T1 (de) 1984-06-14 1989-06-15 Oberdorfer Fa F Papiermaschinen-sieb.
JPS6257996A (ja) * 1985-09-04 1987-03-13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製紙用2重織物
JPS62162091A (ja) * 1986-01-09 1987-07-17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製紙用2重織物
DE3923938A1 (de) * 1989-07-19 1991-01-31 Oberdorfer Fa F Formiergewebe fuer die nasspartie einer papiermaschine
US4987929A (en) * 1989-08-25 1991-01-29 Huyck Corporation Forming fabric with interposing cross machine direction yarns
US5482567A (en) * 1994-12-06 1996-01-09 Huyck Licensco, Inc. Multilayer forming fabric
JP3728339B2 (ja) * 1995-09-29 2005-12-21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経糸二重緯糸二重構造の製紙用織物
GB9604602D0 (en) 1996-03-04 1996-05-01 Jwi Ltd Composite papermaking fabric with paired weft binder yarns
US5967195A (en) 1997-08-01 1999-10-19 Weavexx Corporation Multi-layer forming fabric with stitching yarn pairs integrated into papermaking surface
GB9811089D0 (en) * 1998-05-23 1998-07-22 Jwi Ltd Warp-tied composite forming fabric
GB9924012D0 (en) * 1999-10-12 1999-12-15 Stone Richard Forming fabric woven with warp triplet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913B1 (ko) * 2005-04-01 2007-01-17 주움텍스타일 주식회사 연마기재, 연마기재의 제조방법 및 연마포
KR100830573B1 (ko) * 2005-09-27 2008-05-21 웨벡스 코포레이션 기계측 너클을 형성하는 기계방향 접결사를 가진 제지기용성형 직물
KR100675407B1 (ko) * 2006-09-26 2007-01-30 주움텍스타일 주식회사 연마기재 및 연마포
KR101150790B1 (ko) * 2007-12-04 2012-06-14 하임바흐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초지기에 사용하기 위한 성형 스크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9090C (zh) 2004-12-08
EP1362142A1 (en) 2003-11-19
CA2404182C (en) 2007-01-09
PT1362142E (pt) 2006-08-31
DE60212077D1 (de) 2006-07-20
ATE329080T1 (de) 2006-06-15
KR100515663B1 (ko) 2005-09-23
AU2002233400B2 (en) 2006-06-01
JP3839778B2 (ja) 2006-11-01
ES2260411T3 (es) 2006-11-01
US6354335B1 (en) 2002-03-12
CA2404182A1 (en) 2002-08-29
WO2002066733A1 (en) 2002-08-29
CN1457379A (zh) 2003-11-19
NO20025080L (no) 2002-10-22
FI110131B (fi) 2002-11-29
EP1362142B1 (en) 2006-06-07
JP2004518833A (ja) 2004-06-24
FI20010348A0 (fi) 2001-02-22
FI20010348A (fi) 2002-08-23
WO2002066733A8 (en) 2003-12-04
DK1362142T3 (da) 2006-09-04
NO20025080D0 (no) 2002-10-22
DE60212077T2 (de) 200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5663B1 (ko) 제지기 직물
EP1506339B1 (en) Paper machine fabric
US4554953A (en) Composite fabric for use as clothing for the sheet forming section of a papermaking machine
CA1225570A (en) Fabric for use as cloth for papermaking machines
EP0449192B1 (en) Single layer fabric for paper making on which plane surfaces of auxiliary weft threads have been formed
JP2563842B2 (ja) 抄紙用織地
EP0702108B1 (en) Papermaker's forming fabric
US6123116A (en) Low caliper mechanically stable multi-layer papermaker's fabrics with paired machine side cross machine direction yarns
US6854488B2 (en) Fabrics with paired, interchanging yarns having discontinuous weave pattern
US6179013B1 (en) Low caliper multi-layer forming fabrics with machine side cross machine direction yarns having a flattened cross section
EP1573122B1 (en) High permeability, multilayer woven papermaker's fabric with machine direction binder yarns
KR20140025372A (ko) 제지기 직물
KR101301238B1 (ko) 제지기 직물
US5158117A (en) Two-layer paper machine cloth
JPS61289195A (ja) 製紙用2重織物
KR100528373B1 (ko) 성형 직물
JPS62206096A (ja) 製紙用織物
MXPA00000825A (en) Warp-tied composite forming fabr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