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3510A - 스프링 커넥터 - Google Patents

스프링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3510A
KR20020083510A KR1020020023208A KR20020023208A KR20020083510A KR 20020083510 A KR20020083510 A KR 20020083510A KR 1020020023208 A KR1020020023208 A KR 1020020023208A KR 20020023208 A KR20020023208 A KR 20020023208A KR 20020083510 A KR20020083510 A KR 20020083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hole
spring connector
diameter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3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즈카시니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코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코오
Publication of KR20020083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351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3Contact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plating, or coating materials

Abstract

절연 홀더는 제1 면과 제2 면을 구비한다. 이 절연 홀더는 제1 면에서 제1 직경을 갖는 제1 구멍과,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을 가지며 제2 면으로부터 연장하여 제1 구멍과 연통하게 되는 제2 구멍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평판형 전도성 단자는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로부터 연장하여 그 베이스부와의 사이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한 쌍 이상의 안내부를 구비한다. 오목부가 제1 구멍에 향하도록 단자는 제2 구멍 내에 끼워 맞춰진다. 전도성 핀은 제2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플런저 부분과, 제2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 베이스부를 포함한다. 핀의 베이스부는 오목부를 따라 활주 가능하도록 안내부에 끼워 맞춰진다. 스프링 부재가 핀을 홀더의 제1 면을 향해 압박하도록 오목부 내에 마련되어, 핀의 플런저 부분이 제1 구멍을 통과해 홀더의 제1 면으로부터 후퇴 가능하게 돌출된다.

Description

스프링 커넥터{SPRING CONNECTOR}
본 발명은 스프링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2는 종래 기술의 스프링 커넥터의 구조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12는 종래 기술의 스프링 커넥터의 예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12에서, 코일 스프링(12)은 전도성 재료로 형성된 튜브(10)의 원통형 부분에 삽입되어 있고, 이 튜브는 개방된 실린더인 선단측과 단자인 작은 직경의 기단측을 구비하며, 또한 전도성 재료로 형성되며 선단측이 작은 직경을 갖도록 단이져 있는 핀(14)이 그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튜브(10)의 개방 단부는 핀(14)이 자유롭게 돌출 및 후퇴하는 동시에, 미끄러져 나오지 않도록 코킹되어 있다. 핀(12)의 기단면은 경사면이다. 튜브(10), 코일 스프링(12) 및 핀(14)의 조립체는 절연 수지로 형성된 홀더(16)의 선단측에서부터 이 홀더(16)의 안으로 가압 고정되어 있다. 튜브(10)와 핀(14)은 양호한 전도성 재료인 금으로 도금되어 있다.
또한, 도 13은 종래 기술의 스프링 커넥터의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직각 형태인 종래 기술의 스프링 커넥터의 예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13에서, 코일 스프링(12)과 핀(14)은 튜브(10)의 원통형 부분에 삽입되어 있고, 개방 단부는 도 12의 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코킹되어 핀(14)이 자유롭게 돌출 및 후퇴할 수 있는 동시에, 미끄러져 나오지 않도록 되어 있다. 불룩한 부분이 튜브(10)의 기단측에 형성되어 있고, 튜브(10)가 그 기단측으로부터 홀더(16) 안으로 압입되어, 불룩한 부분과 홀더(16)의 기단면이 이들 사이에 단자(18)를 개재시키게 된다는 데 차이가 있다. 또한, 홀더(16)의 측면이 기판(20)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단자(18)가 기판(20)을 따라 적절하게 굴곡되고, 납땜에 의해 기판(20)의 배선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두 스프링 커넥터에서, 핀(14)이 튜브(10)의 원통형 부분의 내주면에 접하여, 도전 회로를 형성한다. 접합부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핀(14) 및 튜브(10)는 금으로 도금되어 있다. 그러나, 튜브(10)의 내측 원통형 부분은 하나의 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블라인드 구멍으로, 도금 용액 및 세정 용액 중 어떤 것도 구멍의 내측 부분의 안팎으로 충분히 유동하지 못하여, 도금의 실패를 야기하기 쉽다. 결과적으로, 전도성 부족을 야기하기 쉽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튜브(10)가 절삭 가공으로 형성되어 제조 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직각 형태에서, 단자(18)가 부품으로서 추가되어 있어 제조 비용을 그 만큼 증가시킨다. 또한, 튜브(10)와 단자(18)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 전도로 인해 전체 도전 경로의 저항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신뢰성을 제공하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스프링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커넥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b는 제1 실시예의 스프링 커넥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1c는 제1 실시예의 스프링 커넥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c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c의 B-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b의 C-C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5a는 스프링 커넥터에 결합되는 단자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5b는 단자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6a는 스프링 커넥터에 결합되는 전도성 핀을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6b는 전도성 핀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6c는 전도성 핀을 도시하는 저면도이고,
도 7은 경사진 방향으로 설정된 전도성 핀의 돌출 및 후퇴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커넥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커넥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커넥터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커넥터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며,
도 12는 제1 종래 기술의 스프링 커넥터를 보여주는 정면 단면도이고,
도 13은 제2 종래 기술의 스프링 커넥터의 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40 : 평판형의 전도성 단자
20a : 오목부
20c, 20e, 20f, 20g : 설편부
20i : 내연부
22 : 전도성 핀
22a : 플런저 부분
22b : 불룩한 부분
22c : 홈
26, 46: 홀더
26a, 26b : 구멍
30 : 기판
32 : 검사 부재
32a : 피접촉 단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 면과 제2 면을 구비하며, 제1 면에서 제1 직경을 갖는 제1 구멍과, 제1 직경 보다 큰 제2 직경을 지니고 상기 제1 구멍과 연통하도록 제2 면에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제2 구멍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절연 홀더와;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어 그 베이스부와의 사이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한 쌍 이상의 안내부를 구비하며, 제2 구멍에 끼워 맞춰져 상기 오목부를 제1 구멍으로 향하도록 하는 평판형 단자와;
제2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플런저 부분과, 제2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이 베이스부는 오목부를 따라 활주할 수 있도록 안내부와 끼워 맞춰지게 되는 전도성 핀과;
홀더의 제1 면을 향해 핀을 압박하도록 오목부 내에 마련되어 있어, 상기 핀의 플런저 부분이 제1 구멍을 통과해 홀더의 제1 면으로부터 후퇴 가능하게 돌출하게 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스프링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프레스 가공으로 제조할 수 있는 평판형 단자가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절삭 가공으로 제조되는 튜브 대신에 사용되기 때문에,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오목부가 단일 단자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다수의 접점을 갖는 스프링 커넥터를 구성하도록 복수 개의 전도성 핀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스프링 커넥터가 배치되어 있는 종래 기술의 경우와 비교할 때, 보다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자 및 핀은 금으로 도금된다.
사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도금 용액 및 세정 용액이 핀과 단자가 활주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부분의 안팎으로 쉽게 유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금이 쉽게 실시될 수 있어 전기적 연결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설편부가 홀더의 제2 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단자의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상기 구성은 단자가 기판에 마련된 구멍 내에 삽입되고 기판의 배면에 마련된 회로에 납땜으로 연결되어 있는 스프링 커넥터에 적절하다.
여기서, 홀더의 제1 면 및 제2 면 이외의 측면은 회로가 마련된 기판을 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편부는 굴곡되어 기판을 따라 연장한다.
상기 구성은 단자가 기판의 제거 표면에 마련된 회로에 납땜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기판 상에 홀더가 배치되어 있는 스프링 커넥터에 적절하다.
여기서, 설편부는 굴곡되어 홀더의 제1 면을 향해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더는 함몰부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 함몰부에 설편부의 선단이 삽입되어, 핀의 후퇴 운동에 따라 홀더가 기판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는 방향으로 설편부가 변형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설편부는 홀더의 설치 영역 내에 마련될 수 있어, 장착 영역을 그 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설편부의 선단부는 홀더의 함몰부와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설편부가 기판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는 한 홀더는 기판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그 대안으로, 설편부는 기판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굴곡되어도 좋다.
상기 구성은 단자가 기판의 제거 표면에 마련된 회로와 탄성적으로 접촉하게 되며, 이로 인해 단자의 전기적 연결이 실행되는 스프링 커넥터에 적절하다. 결과적으로, 납땜에 의한 연결 작업을 배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홀더의 제1 면과 제2 면은 제1 방향으로 연장한다. 제2 구멍은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핀의 플런저 부분이 검사 패드에 접하며, 또한 이들이 서로 접근하는 경우에, 마찰 작용이 플런저 부분과 검사 패드 사이에서 실행되어 이들 사이의 신뢰성 있는 전도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단자에 대해 핀을 가압하는 힘이 가해져 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점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따른 스프링 커넥터를 마련하는 단계;
전도성 패드와 스프링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검사하도록, 스프링 커넥터의 플런저 부분이 접하게 되는 전도성 패드를 마련하는 단계와;
전도성 패드가 연장하는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홀더의 제2 구멍의 연장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도도 검사 방법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으로써 보다 명백해 진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커넥터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 커넥터는 평판 형상의 전도성 단자(20)와, 이 단자(20)에 대해 활주 가능한 전도성 핀(22)과, 단자(20)와 전도성 핀(22)의 사이에 수축 상태로 마련되는 코일 스프링(24)과, 절연 수지로 형성된 홀더(26)로 구성되어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자(20)는 전도성이 있는 평판 형상으로, 오목부(20a)가 마련되어 있는 선단부를 구비하며, 이 오목부는 선단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그 측부에는 결합 돌기(20b)가 마련되어 있으며, 기단측은 설편부(20c)를 형성하도록 좁아진다. 다시 말하면, 단자(20)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포크 형상으로 성형된다. 작은 돌기(20d)가 오목부(20a)의 저부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20)의 표면은 양호한 전도 재료인 금으로 도금되어 있다.
또한,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도성 핀(22)에 있어서, 작은 직경의 플런저 부분(22a)이 선단측에 형성되어 있고, 큰 직경인 불룩한 부분(22b)은 기단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홈(22c)이 불룩한 부분(22b)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홈(22c)에는 단자(20)의 오목부(20a)의 대향하는 내연부(20i)가 끼워 맞춰지고, 전도성 핀(22)은 홈(22c)을 가이드로 이용함으로써 단자(20)에 활주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저부의 구멍(22d)은 기단면에서부터 핀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플런저 부분(22a)의 선단 형상은 본 실시예에서는 반구형인 반면에, 접하게 되는 단자에 따라 적절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전도성 핀(22)의 외주면은 금으로 전체적으로 도금되어 있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홀더(26)는 절연 수지로 형성되어 불룩한 부분(22b)에 상응하는 큰 직경을 갖는 구멍(26b)이 그 내부에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홈(26a)이 구멍(26b)의 내면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구멍(26c)은 불룩한 부분(22b)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전도성 핀(22)이 부착되어 있는 단자(20)는 기단측에서부터 구멍(26b) 내에 삽입되는 동시에, 결합 돌기(20b)가 홈(26a)에 맞물려서 단자(20)가 홀더(26)에서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 상태에서, 전도성 핀(20)은 단자(20)의 내연부(20i) 및 구멍(26b)을 따라 홀더(26) 내에서 활주할 수 있다.
구성 요소들을 조립하는 작업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우선, 코일 스프링(24)의 일단측을 전도성 핀(22)의 저부 구멍(22d)에 삽입하고, 코일 스프링(24)의 타단측이 단자(20)의 오목부(20a)의 저부 가장자리의 돌기(20d)를 면하게 하여, 전도성 핀(22)이 단자에서 활주 가능하지만 구멍(26c)에 의해 정지되도록 홈(22c)을 오목부(20a)의 대향하는 내연부(20i)와 결합시킨다.
단자(20)가 홈(26a)과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 조립체를 홀더(26)의 기단측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단자(20)의 결합 돌기(20b)에 의해 미끄러져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단자(20)의 설편부(20c)가 홀더(26)의 기단면으로부터 돌출하며, 전도성 핀(22)의 플런저 부분(22a)의 선단부는 홀더(26)의 선단면으로부터 돌출한다. 플런저 부분(22a)이 코일 스프링(24)에 의해 선단측을 향해탄성적으로 압박되어 돌출 및 후퇴가 자유롭게 실시될 수 있다.
스프링 커넥터의 작동은 도 7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홀더(26)의 기단면은 기판(30)에 접하도록 마련되며, 단자(20)의 설편부(20c)는 납땜에 의해 기판(30)에 형성된 회로에 적절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플런저 부분(22a)의 돌출 및 후퇴 방향은 홀더(26)의 측면에 대해 경사지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검사 부재(32)가 기판(30)에 대향하게 마련되며, 피접촉 단자(32a)가 플런저(22a)에 대향하는 검사 부재(32)에 마련되어 있다.
기판(30)과 검사 부재(32)가 접근하는 경우, 플런저 부분(22a)은 먼저 피접촉 단자(32a)의T1위치에 접하게 되며, 이어서 더 근접하게 이동함으로써T2위치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전술한 경사진 구성으로 인해d의 치수만큼 변위된다. 변위d에 의해 피접촉 단자(32a)와 플런저 부분(22a)의 접하는 부분은 서로 마찰되어 전기적 연결을 보다 신뢰성 있게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24)에 의해 전도성 핀(22)에 가해지는 경사진 방향으로의 반작용력(F)과, 기판(30)과 검사 부재(32)를 접근시키는 힘(P)은 힘(F1)을 발생시킨다. 힘(F1)은 전도성 핀(22)의 불룩한 부분(22b)의 홈(22c)의 내벽을 단자(20)의 오목부(20a)의 내연부(20i)에 대해 가압하는 작용을 한다. 그 결과, 전도성 핀(22)과 단자(20)의 전기적 연결이 확실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커넥터에서, 평판형 금속으로 형성된 단자(20)가 절삭 공정을 사용하는 종래 기술의 튜브(10) 대신에 사용된다. 따라서, 프레스 가공으로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그 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단자(20) 및 전도성 핀(22) 양자 모두가 금으로 도금되는 동시에, 피접촉 단자(32a)에 접하는 플런저 부분(22a)의 선단부와, 단자(20)와 전도성 핀(22)이 활주 가능하도록 서로 접촉하게 되는 오목부(22a)의 내연부(20i)와, 불룩한 부분(22b)의 홈(22c)의 내벽은 도금 용액과 세정 용액이 믿을 수 있고 쉽게 내외부로 유동할 수 있는 그러한 형상을 구비한다. 따라서, 금도금이 신뢰성 있게 실시될 수 있어서, 종래 기술의 튜브(10)의 블라인드 구멍의 원통형 내주벽에 걸쳐 실시되는 금도금과 비교할 때, 전기적 연결에 대한 신뢰성이 그 만큼 향상될 수 있다.
그 다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커넥터는 직각 형태로서 도 8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홀더(26)의 측면은 기판(30)에 접하여 그 위에 고정되어 있고, 플런저 부분(22a)의 돌출 및 후퇴 방향은 기판(30)에 대해 경사진 횡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홀더(26)의 기단측으로부터 돌출하는 단자(20)의 설편부(20e)는 굴곡되어 기판(30)을 따라 연장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2 실시예에서, 단자(20)의 설편부(20e)는 납땜에 의해 기판(30)의 표면에 마련된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직각 형태에서는 부품의 개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도 9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단자(20)의 설편부(20f)가 굴곡되어 기판(30)의 표면에 형성된 회로와 탄성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스프링 형상을 취한다는 점에서 제2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3 실시예에서, 홀더(26)의 측면이 기판(30) 상에 접하여 그 위에 고정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설편부(20f)는 기판(30)의 표면에 마련된 회로와 탄성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전기적 연결이 달성된다. 회로 연결을 위한 시간 및 수고를 배제할 수 있기 때문에, 기판(30)에 다수의 스프링 커넥터가 마련되어 있는 장치의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도 10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 실시예는 홀더(26)의 측면이 기판(30)에 접하여 그 위에 고정되어 있는 직각 형태를 제공한다. 플런저 부분(22a)의 돌출 및 후퇴 방향은 기판(30)에 대해 경사진 횡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홀더(26)의 기단측으로부터 돌출하는 단자(20)의 설편부(20g)는 전도성 핀(22)의 플런저 부분(22a)이 돌출하여 기판을 따라 연장되는 선닥측을 향해 굴곡되어 있다. 세워진 부분(20h)이 설편부(20g)의 선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홀더(26)에는 또한 세워진 부분(20h)이 삽입되어 맞물리게 되는 오목부(26d)가 마련되어 있다. 설편부(20g)의 선단부가 홀더(26)의 오목부(26d)와 맞물리면 충분하여, 세워진 부분(20h)이 항상 형성될 필요는 없다.
이러한 구조의 제4 실시예에서, 단자(20)의 설편부(20g)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납땜에 의해 기판(30)의 표면에 마련된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설편부(20g)가 홀더(26)의 설치 영역에 마련될 수 있어서, 그 만큼 장착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다. 후퇴 방향으로 플런저 부분(22a)을 가압하는 힘은 설편부(22g)의 굴곡부를 팽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며, 기판(30)으로부터 홀더(26)를 분리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설편부(20g)의 선단부의 세워진 부분(20h)이 홀더(26)의 오목부(26d)와 맞물려 있다. 따라서, 설편부(20g)가 기판(30)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는 한, 홀더(26)는 기판(3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도 1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 선단측 방향으로 개방된 2개의 오목부(40a)가 평판형 전도성 단자(40)에 형성되어 있고, 단일 설편부(40c)가 기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24)과 전도성 핀(22)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단자(40)의 2개의 오목부(40a) 내에 조립되어 있다. 또한, 절연 수지로 형성된 홀더(46)는 단자(40) 및 이에 조립된 2개의 전도성 핀(22)이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적절하게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제5 실시예에서, 2개의 전도성 핀(22)은 개별적으로 코일 스프링(24)을 통해 돌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박되어, 홀더(46)로부터 돌출하는 플런저 부분(22a)은 개별적으로 자유롭게 돌출 및 후퇴될 수 있다. 전기적 연결이 피접촉 단자(32a)에 대한 2개의 접점 상에서 실시되기 때문에, 이러한 스프링 커넥터는 보다 높은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스프링 커넥터가 배치되는 종래 기술의 구조와 비교할 때, 부품의 개수를 전체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그 만큼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피접촉 단자(32a)에 대한 2개의 접점을 채용하였지만, 3개 이상의 접점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전도성 핀(22)의 돌출 및 후퇴 방향이 기판(30)에 대해 경사지게 설정되어 있는 한편, 서로 평행하게 마련된 기판(30)과 검사 부재(32)가수직으로 서로 접근하는 구조로서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서로 평행하게 마련된 기판(30)과 검사 부재(32)가 전도성 핀(22)의 돌출 및 후퇴 방향에 대해 경사져서 접근하는 경우에는 전도성 핀(22)의 돌출 및 후퇴 방향을 기판(3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플런저 부분(22a)과 피접촉 단자(32)의 마찰 작용을 달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여, 전도성 핀(22)과 단자(20)의 신뢰성 있는 전기적 연결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스프링 커넥터가 기판(30)에 마련되어 있거나, 복수 개의 스프링 커넥터가 기판(30) 상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는 경우, 전도성 핀(22)의 돌출 및 후퇴 방향은 기판(3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설정하는 한편, 검사 부재(32)를 기판(30)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전술한 마찰 작용을 역시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단자(20)의 오목부(20a)의 대향하는 내연부(20i)가 탄성 접촉편으로 기능을 하도록 적절히 굴곡되어 전도성 핀(22)의 불룩한 부분(22b)의 양측의 홈(22c)의 내벽과 항상 탄성적으로 접촉되게 하는 경우, 전도성 핀(22)과 단자(20)는 구멍(26b)의 내면을 향해 전도성 핀(22)을 압박하는 힘(F1)이 가해지지는 않는 경우라도 신뢰성 있는 전기적 연결을 달성할 수 있다.
이들이 탄성 접촉편으로 기능을 하는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플런저 부분(22a)과 피접촉 단자(32a) 간의 마찰 작용이 이루어질 수 없지만, 단자(20)와 전도성 핀(22)의 전기적 연결은 전도성 핀(22)의 돌출 및 후퇴 방향이 기판(30)에 대해 수직으로 설정되어 있는 한편,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마련된 기판(30)과 검사부재(32)가 서로 접근하게 되는 경우라도 신뢰성 있게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홀더(26)가 기판(30)에 마련되어 고정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장치의 하우징의 일부가 홀더로서 기능을 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그러한 하우징 내에 기판(30)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7은 제1 실시예에서 단자(20)의 설편부(20c)가 기판(30)에 마련된 구멍을 통해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설편부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제2 실시예,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제3 실시예,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제4 실시예와 같이 기판(30)의 표면에 마련된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직각 형태에서, 단자(20)의 설편부가 기판(30)에 마련된 구멍을 통해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커넥터에 있어서, 종래 기술의 스프링 커넥터와 비교할 때 보다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도금이 쉽게 실시될 수 있어 전기적 연결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된다.

Claims (8)

  1. 제1 면과 제2 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면에서 제1 직경을 갖는 제1 구멍과, 상기 제1 직경 보다 큰 제2 직경을 지니고 상기 제1 구멍과 연통하도록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제2 구멍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절연 홀더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어 그 베이스부와의 사이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한 쌍 이상의 안내부를 구비하며, 제2 구멍에 끼워 맞춰져 상기 오목부를 제1 구멍으로 향하도록 하는 평판형 단자와;
    상기 제2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플런저 부분과, 상기 제2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이 베이스부는 상기 오목부를 따라 활주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부와 끼워 맞춰지게 되는 전도성 핀과;
    상기 홀더의 제1 면을 향해 상기 핀을 압박하도록 상기 오목부 내에 마련되어, 상기 핀의 플런저 부분이 상기 제1 구멍을 통과해 상기 홀더의 제1 면으로부터 후퇴 가능하게 돌출되게 하는 스프링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인 스프링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와 상기 핀은 금으로 도금되는 것인 스프링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제1 면과 제2 면은 제1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2 구멍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하는 것인 스프링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설편부는 상기 단자의 베이스부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홀더의 제2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인 스프링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제1 면과 제2 면 이외의 측면은 회로가 마련된 기판을 면하고 있고, 상기 설편부는 굴곡되어 상기 기판을 따라 연장하는 것인 스프링 커넥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제1 면과 제2 면 이외의 측면은 회로가 마련된 기판을 면하고 있고, 상기 설편부는 굴곡되어 상기 기판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것인 스프링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편부는 굴곡되어 상기 홀더의 제1 면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상기 홀더는 함몰부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 함몰부에 상기 설편부의 선단이 삽입되어, 상기 핀의 후퇴 운동에 따라 상기 홀더가 상기 기판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는 방향으로 상기 설편부가 변형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스프링 커넥터.
  8. 제1항에 따른 스프링 커넥터를 마련하는 단계와;
    전도성 패드와 상기 스프링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검사하도록, 상기 스프링 커넥터의 플런저 부분이 접하게 되는 전도성 패드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전도성 패드가 연장하는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상기 홀더의 제2 구멍의 연장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도도 검사 방법.
KR1020020023208A 2001-04-27 2002-04-27 스프링 커넥터 KR200200835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31790 2001-04-27
JP2001131790 2001-04-27
JPJP-P-2001-00400631 2001-12-28
JP2001400631A JP3767810B2 (ja) 2001-04-27 2001-12-28 スプリング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510A true KR20020083510A (ko) 2002-11-02

Family

ID=26614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208A KR20020083510A (ko) 2001-04-27 2002-04-27 스프링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716043B2 (ko)
EP (1) EP1253674B1 (ko)
JP (1) JP3767810B2 (ko)
KR (1) KR20020083510A (ko)
CN (1) CN1293678C (ko)
DE (1) DE60228910D1 (ko)
TW (1) TWI25508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030B1 (ko) * 2006-11-30 2008-02-20 주식회사 포스코 형상 측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3889B2 (ja) * 2002-12-11 2007-06-06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表面実装型スプリングコネクタの製造方法
TW563929U (en) * 2002-12-24 2003-11-21 Molex Inc Press connection terminal
DE10332298B4 (de) * 2003-07-16 2018-09-27 Schaltbau Gmbh Wasserdichter Druckkontakt-Steckverbinder, Kontaktelement für einen wasserdichten Druckkontakt-Steckverbind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ontaktelements
US7455647B2 (en) * 2003-07-24 2008-11-25 Samih Tarabichi Dynamic spacer for total knee arthroplasty
JP2005050738A (ja) * 2003-07-31 2005-02-24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
CN2660716Y (zh) * 2003-09-23 2004-12-0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6935901B2 (en) * 2003-09-24 2005-08-30 Motorola, Inc. Self-cleaning connector
CN2681381Y (zh) * 2003-09-30 2005-02-23 莫列斯公司 电池连接器
JP4194923B2 (ja) * 2003-11-28 2008-12-10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接点装置
JP4224389B2 (ja) 2003-12-16 2009-02-12 株式会社ヨコオ スプリングコネクタ
CN2687862Y (zh) * 2004-01-09 2005-03-23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压接式导电端子装置
DE102004027902B4 (de) * 2004-06-09 2006-06-08 Ims Connector Systems Gmbh Druckkontakt, insbesondere Batterieanschlusskontakt
US7411405B2 (en) * 2004-11-03 2008-08-12 Pandui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able network cable connectivity
US7364475B2 (en) * 2004-12-22 2008-04-29 Spectra Logic Corporation Spring based continuity alignment apparatus and method
US7690925B2 (en) * 2005-02-24 2010-04-06 Advanced Interconnections Corp. Terminal assembly with pin-retaining socket
US7392946B2 (en) * 2006-06-12 2008-07-0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bile radio terminal having a multiple form factor memory card reader
US7217142B1 (en) * 2006-07-03 2007-05-1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contacts
US7285026B1 (en) * 2006-10-16 2007-10-23 Lotes Co., Ltd. Compressed contact electrical connector
JP4854612B2 (ja) 2007-07-09 2012-01-18 センサータ テクノロジーズ マサチューセッツ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ソケット用アダプタ
JP2009026585A (ja) 2007-07-19 2009-02-05 Yokowo Co Ltd ライトアングルタイプのスプリングコネクタ
US7862391B2 (en) 2007-09-18 2011-01-04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Spring contact assembly
US7841776B2 (en) * 2008-09-30 2010-11-30 Apple Inc. Magnetic connector with optical signal path
US9791634B2 (en) 2008-09-30 2017-10-17 Apple Inc. Magnetic connector with optical signal path
US20110138612A1 (en) * 2009-12-10 2011-06-16 Yin Te-Hung Jig For Probe Connector
JP5406106B2 (ja) * 2010-04-06 2014-02-05 三菱電機株式会社 接触端子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251755B2 (en) * 2010-06-14 2012-08-2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with a laterally moving contact
JP5190741B2 (ja) * 2010-09-17 2013-04-24 Smk株式会社 スプリングコネクタ
DE202011005270U1 (de) * 2011-04-14 2011-09-01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er
US8202133B1 (en) * 2011-04-18 2012-06-19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Probe connector
KR101103028B1 (ko) * 2011-04-27 2012-01-05 오토커넥터주식회사 전자기 전기 접속 장치의 개량구조
CN102433495A (zh) * 2011-12-07 2012-05-02 内蒙古包钢钢联股份有限公司 一种稀土处理的耐蚀风电用钢板
KR101688046B1 (ko) * 2015-04-22 2016-12-20 조인셋 주식회사 표면실장형 전기접속단자
US10018514B2 (en) * 2014-02-17 2018-07-10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Cooktop temperature sensors and methods of operation
US9887478B2 (en) * 2015-04-21 2018-02-06 Varian Semiconductor Equipment Associates, Inc. Thermally insulating electrical contact probe
AU2016281399B2 (en) * 2015-06-26 2018-11-29 Byung Joon Jeon Lighting module tightening device for lamp
JP6706494B2 (ja) * 2015-12-14 2020-06-10 センサータ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インターフェース構造
CN205319469U (zh) * 2015-12-16 2016-06-15 华为技术有限公司 射频连接器
CN109066153B (zh) * 2018-07-25 2020-04-10 深圳市爱默斯科技有限公司 用于电气的连接器
CN211088617U (zh) * 2019-11-20 2020-07-24 费森尤斯卡比(南昌)医疗器械有限公司 连接器组件以及保持装置
CN111934113B (zh) * 2020-08-19 2021-04-06 东莞市燊瑞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蓝牙耳机用充电弹针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55491A (en) * 1948-06-18 1951-07-25 Reyrolle A & Co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contact arrangements of electric circuit breakers
US4904213A (en) * 1989-04-06 1990-02-27 Motorola, Inc. Low impedance electric connector
US5227718A (en) * 1992-03-10 1993-07-13 Virginia Panel Corporation Double-headed spring contact probe assembly
DE19507127A1 (de) * 1995-03-01 1996-09-12 Test Plus Electronic Gmbh Adaptersystem für Baugruppen-Platinen, zu verwenden in einer Prüfeinrichtung
JP3234856B2 (ja) * 1995-03-08 2001-12-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ピンコンタク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838878B1 (fr) * 1997-02-04 1999-02-24 Durtal SA Pièce de contact à ressort
KR100429057B1 (ko) * 1998-11-25 2004-04-29 리카 일렉트로닉스 인터내셔널, 인크. 전기 접촉 시스템
DE19904574C2 (de) * 1999-02-04 2001-02-22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HF-Koaxial-Winkel-Steckverbinderteil
US6396293B1 (en) * 1999-02-18 2002-05-28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Self-closing spring probe
KR100373152B1 (ko) * 1999-11-17 2003-02-25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Ic 소켓 및 ic 시험 장치
US6663439B2 (en) * 2001-03-02 2003-12-1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spring biased contac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030B1 (ko) * 2006-11-30 2008-02-20 주식회사 포스코 형상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28910D1 (de) 2008-10-30
EP1253674B1 (en) 2008-09-17
EP1253674A2 (en) 2002-10-30
JP2003017173A (ja) 2003-01-17
EP1253674A3 (en) 2004-03-24
TWI255086B (en) 2006-05-11
CN1384564A (zh) 2002-12-11
US20020160637A1 (en) 2002-10-31
CN1293678C (zh) 2007-01-03
US6716043B2 (en) 2004-04-06
JP3767810B2 (ja) 200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83510A (ko) 스프링 커넥터
KR100868567B1 (ko)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US7156675B2 (en) Coaxial connector with a switch
US8123574B2 (en) Contact having increased resilience for use with electrical connector
US7256593B2 (en) Electrical contact probe with compliant internal interconnect
JP4592462B2 (ja) 基板接続用コネクタ
KR102538789B1 (ko) 다접점 커넥터
US6561819B1 (en) Terminals of socket connector
US7503770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5183025A (ja) スプリングコネクタ
JP2006049298A (ja) Lgaパッケージ用コネクタ
KR20060039930A (ko) 커넥터
US681458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tacts having cooperating contacting portions
US20050260898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silient contacts
US6402567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pring contact member
JPS5919416B2 (ja) 電気用端子
JP2011198627A (ja)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KR100719428B1 (ko) 콘택트 핀, 콘택트 핀 조립체 및 전기 부품용 소켓
JP3801830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TW201332226A (zh) 壓接型連接器
KR100394337B1 (ko) 전기부품용 소켓
US20050095906A1 (en) Socket connector with reliable retaining means
TWI797109B (zh) 接觸探針及具備該接觸探針的檢查套筒
KR100830697B1 (ko) 터미널플레이트 조립체
JP3549851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