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789B1 - 다접점 커넥터 - Google Patents
다접점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8789B1 KR102538789B1 KR1020180059748A KR20180059748A KR102538789B1 KR 102538789 B1 KR102538789 B1 KR 102538789B1 KR 1020180059748 A KR1020180059748 A KR 1020180059748A KR 20180059748 A KR20180059748 A KR 20180059748A KR 102538789 B1 KR102538789 B1 KR 1025387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elastic arm
- terminal
- piece
- connecto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1—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5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onsisting of at least two resilient arms contacting the same counterpa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8—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meander spr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H01R13/249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multiple contact poin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접점 커넥터에 대해 단자를 소형화하는 것으로서, 핀 단자(T)에 대하여 제 1 방향으로부터 누름 접촉하는 제 1 접점부(9b2)와,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하고 있으며 제 1 접점부(9b2)를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탄성 아암(9b1)을 갖는 제 1 접촉편부(9b)와, 핀 단자(T)에 대하여 제 1 방향으로부터 누름 접촉하는 제 2 접점부(9d2)와, 제 2 접점부(9d2)를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탄성 아암(9d1)을 갖는 제 2 접촉편부(9d)를 갖는 단자(4)를 구비하는 다접점 커넥터(1)에 대해, 제 2 탄성 아암(9d1)을, 제 1 탄성 아암(9b1)의 신장 방향과 교차하는 제 1 방향으로 신장하고 있으며, 그 신장측 단부, 즉, 제 1 탄성 아암(9b1)측의 선단부가 제 2 접점부(9d2)에 연결되는 스프링편으로서 형성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접속 대상물에 대하여 접촉하는 복수의 접점을 갖는 다접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기판의 회로와 접속 대상물을 높은 접속 신뢰성으로 도통 접속하는 커넥터로서, 접속 대상물에 대하여 도통 접촉하는 복수의 접점을 갖는 다접점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2). 다접점 커넥터는, 접속 대상물에 접촉하는 한쪽의 접점에 대해 도통 불량이 발생해도, 다른쪽의 접점이 도통 접촉하고 있음으로써, 커넥터로서의 도통 접속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접속 대상물이 되는 상대 단자나 FPC 등의 평형 도체의 표면에 기판 찌꺼기나 먼지 등의 이물이 부착되어 있을 때에는, 그러한 접점과 접속 대상물과의 사이에 이물을 끼워 넣음으로써 도통 불량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복수의 접점을 갖는 다접점 커넥터가 유용하게 여겨지고 있다.
다접점 커넥터의 단자에 있어서의 복수의 접점의 배치에 주목하면, 복수의 접점은 접속 대상물의 삽입 방향을 따라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특허문헌 2의 다접점 커넥터에서는, 하우징에 고정하는 베이스부(基部)와, 베이스부로부터 신장(伸張)하는 프런트 단자와 리어 단자를 갖고 있다. 프런트 단자는, 베이스부로부터 외팔보상(狀)으로 평행하게 신장하는 2개의 프런트 스프링부와, 2개의 프런트 스프링부의 선단을 연결하면서 접속 대상물과 도통 접촉하는 프런트 접점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리어 단자는, 2개의 프런트 스프링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베이스부로부터 외팔보상으로 신장하는 1개의 리어 스프링부와, 리어 스프링부의 선단에 설치한 리어 접점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단자 구조는 많은 다접점 커넥터에서 채용되고 있다(특허문헌 3∼5 참조).
그러나, 상술과 같은 종래의 다접점 커넥터에 대해서는 단자가 길어져, 다접점 커넥터 자체도 대형화되어 버린다는 과제가 있다. 즉, 베이스부로부터 신장하는 프런트 단자와 리어 단자는, 스프링으로서의 탄성을 갖게 하기 위해, 프런트 스프링부와 리어 스프링부에 대해 어느 정도의 길이가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또한 그들의 선단에 프런트 접점과 리어 접점을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접속 대상물의 삽입 방향을 따라 단자가 길어져 버린다.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을 배경으로 이루어진 것이 본 발명이다. 그 목적은, 다접점 커넥터에 대해 단자를 소형화하는 것에 있다. 또 그것에 의해 다접점 커넥터를 소형화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특징을 갖는 것으로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접속 대상물에 대하여 제 1 방향으로부터 누름(押壓) 접촉하는 제 1 접점부와,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접점부를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탄성 아암을 갖는 제 1 접촉편(片)부와, 상기 접속 대상물에 대하여 상기 제 1 방향으로부터 누름 접촉하는 제 2 접점부와, 상기 제 2 접점부를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탄성 아암을 갖는 제 2 접촉편부를 갖는 단자를 구비하는 다접점 커넥터에 대해, 상기 제 2 탄성 아암은, 상기 제 1 탄성 아암을 향하여 상기 제 1 방향으로 신장하고 있고, 상기 제 1 탄성 아암측의 선단부가 상기 제 2 접점부에 연결되는 스프링편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 탄성 아암이 제 1 탄성 아암의 신장 방향과 교차하는 제 1 방향으로 신장하고 있고, 그 신장측 단부, 즉, 제 1 탄성 아암측의 선단부가 제 2 접점부에 연결되는 스프링편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탄성 아암과 제 2 탄성 아암이 단자의 동일 부위로부터 평행하게 신장하는 종래의 단자 구조를 채용할 필요가 없고, 제 1 탄성 아암을 향하여 제 2 탄성 아암이 신장하는 새로운 단자 구조에 의해, 종래의 다접점 커넥터의 단자와 비교하여 단자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그것을 구비하는 다접점 커넥터도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접점부는, 상기 제 1 탄성 아암과 대향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 접점부가 제 1 탄성 아암과 대향 위치하므로, 단자 구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제 2 접점부를 평판상의 접촉편으로 하는 경우에는, 제 2 접점부와 제 1 탄성 아암의 상호의 판면이 대면하도록 제 2 접점부를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판면끼리가 대면하여 따르므로, 단자 구조를 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 단자는, 상기 제 2 탄성 아암이 연결되는 지지편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 탄성 아암이 연결되는 지지편을 가지므로, 제 2 탄성 아암이 지지편에 의해 지지되어 제 1 방향으로 신장하는 외팔보상의 스프링편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편은, 상기 제 2 탄성 아암과 연결되는 부위부터 상기 제 2 접점부와 대향하는 위치까지 신장하는 길이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편이 제 2 접점부와 대향 위치하는 형상이기 때문에, 제 2 접점부가 누름 접촉하는 접속 대상물을 지지편에 의해 받아낼 수 있다. 따라서 접속 대상물을 다접점 커넥터의 수지 하우징에 의해 받아내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2 접점부와 접속 대상물의 수용면과의 거리의 공차(公差) 관리를 단자만으로 행할 수 있어, 수지 하우징의 성형 정밀도나 조립 정밀도에 관계없이, 접속 대상물을 적절하게 홀딩할 수 있다. 또, 후술하는 제 1 접점부와 제 2 접점부의 양쪽과 대향하는 위치까지 신장하는 길이로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지지편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단자 전체를 소형화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편은, 상기 제 2 탄성 아암과 연결되는 부위부터 상기 제 1 접점부 및 상기 제 2 접점부와 대향하는 위치까지 신장하는 길이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편이 제 1 접점부와 제 2 접점부와 대향 위치하는 형상이기 때문에, 제 1 접점부와 제 2 접점부의 누름 접촉을 받는 접속 대상물을 지지편에 의해 받아낼 수 있다. 따라서 접속 대상물을 다접점 커넥터의 수지 하우징에 의해 받아내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접점부 및 제 2 접점부와 접속 대상물의 수용면과의 거리의 공차 관리를 단자만으로 행할 수 있어, 수지 하우징의 성형 정밀도나 조립 정밀도에 관계없이, 접속 대상물을 적절하게 홀딩할 수 있다.
상기 제 2 탄성 아암은, 상기 제 2 접점부와 상기 지지편의 서로 대향하는 판 가장자리 사이를 연결하는 형상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 접점부는 제 1 접점부와 같은 제 1 방향으로부터 접속 대상물에 누름 접촉하지만, 그 제 2 접점부를 지지하는 제 2 탄성 아암은 제 1 접촉편부와 대향하는 지지편의 판 가장자리로부터 신장하기 때문에, 제 2 접촉편부를 소형화할 수 있고, 2개의 접촉편부를 갖는 단자 구조로 하면서도 접촉부를 소형화할 수 있어, 다접점 커넥터도 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 단자는, 상기 제 1 접촉편부를 외팔보상으로 지지하는 고정 베이스부와, 상기 제 1 방향으로 신장하여 상기 고정 베이스부와 상기 지지편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접촉편부를 외팔보상으로 지지하는 고정 베이스부와, 제 1 방향으로 신장하여 고정 베이스부와 지지편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므로, 고정 베이스부와 지지편을 연결부를 개재하여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접촉편부는, 상기 접속 대상물의 누름 접촉을 받아 상기 제 1 접촉편부를 향하여 변위하는 상기 제 2 접점부와의 접촉을 회피하는 릴리프 오목부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접촉편부에 릴리프 오목부를 갖기 때문에, 접속 대상물과의 누름 접촉에 의해 제 2 접점부가 변위해도, 제 1 접촉편부와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접촉편부에 릴리프 오목부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접촉편부와 제 2 접촉편부를 상호 접근시켜 배치할 수 있어서, 접촉부를 전체적으로 소형화할 수 있어, 다접점 커넥터도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 대상물과 도통 접촉하는 제 1 접점부와 제 2 접점부를 가지면서도, 제 1 탄성 아암을 향하여 제 2 탄성 아암이 신장하는 단자 구조에 의해, 단자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 신뢰성이 높은 다접점 커넥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다접점 커넥터의 정면, 우측면, 평면을 포함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접점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다접점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다접점 커넥터에 구비하는 가동 하우징의 정면, 우측면, 평면을 포함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가동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다접점 커넥터에 구비하는 단자의 정면, 우측면, 평면을 포함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단자의 배면, 좌측면, 평면을 포함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단자의 좌측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IX-IX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단자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의 다접점 커넥터에 구비하는 단자의 정면, 우측면, 평면을 포함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단자의 좌측면도이다.
도 13은 제 3 실시형태의 다접점 커넥터에 구비하는 단자의 좌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단자의 접촉부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단자의 동작 설명도이고, 분도(分圖) (a)는 도 11의 제 2 실시형태의 단자의 동작 설명도이며, 분도 (b)는 도 13의 제 3 실시형태의 단자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단자의 변형예에 의한 접촉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접점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다접점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다접점 커넥터에 구비하는 가동 하우징의 정면, 우측면, 평면을 포함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가동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다접점 커넥터에 구비하는 단자의 정면, 우측면, 평면을 포함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단자의 배면, 좌측면, 평면을 포함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단자의 좌측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IX-IX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단자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의 다접점 커넥터에 구비하는 단자의 정면, 우측면, 평면을 포함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단자의 좌측면도이다.
도 13은 제 3 실시형태의 다접점 커넥터에 구비하는 단자의 좌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단자의 접촉부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단자의 동작 설명도이고, 분도(分圖) (a)는 도 11의 제 2 실시형태의 단자의 동작 설명도이며, 분도 (b)는 도 13의 제 3 실시형태의 단자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단자의 변형예에 의한 접촉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접점 커넥터의 실시형태의 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명세서, 특허청구의 범위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다접점 커넥터의 폭 방향·좌우 방향을 X 방향, 깊이 방향·전후 방향을 Y 방향, 높이 방향·상하 방향을 Z 방향으로서 설명하지만, 그들은 다접점 커넥터의 실장 방법이나 사용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형태〔도 1∼도 10〕
다접점 커넥터(1)는, 「제 1 하우징」으로서의 고정 하우징(2), 「제 2 하우징」으로서의 가동 하우징(3), 복수의 단자(4), 고정 하우징(2)을 기판(P)에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 금구(5)를 구비하고 있다. 이 다접점 커넥터(1)는, 복수의 단자(4)가 고정 하우징(2)에 대하여 가동 하우징(3)을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 커넥터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 다접점 커넥터(1)는, 기판(P)의 한쪽 면에 실장되고, 기판(P)의 다른쪽 면으로부터 「접속 대상물」로서의 핀 단자(T)를 삽입하여 도통 접속하는 보텀 엔트리 커넥터로서 구성되어 있다(도 9, 도 10).
〔고정 하우징(2)〕
고정 하우징(2)은, 수지 성형체로 형성되고, 외주(外周)벽(2a)과, 천면(天面)벽(2b)을 갖고 있다. 외주벽(2a)은 각통상(角筒狀)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벽(2a)과 천면벽(2b)의 내측에는 가동 하우징(3)의 수용실(2c)이 형성되어 있다(도 3, 도 9). 가동 하우징(3)은, 수용실(2c)의 실내 공간을 삼차원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하여 복수의 단자(4)에 홀딩되어 있다. 고정 하우징(2)의 외주벽(2a)의 배면에 있어서의 폭 방향(X)의 양측 위치에는, 상술의 고정 금구(5)가 압입(壓入) 고정되어 있다(도 3). 고정 하우징(2)의 천면벽(2b)에는, 핀 단자(T)와 단자(4)의 접속 상태를 시인(視認)할 수 있는 복수의 천면 개구(2d)가 형성되어 있다(도 1, 도 9). 본 실시형태에서는 5개의 천면 개구(2d)가 폭 방향(X)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천면 개구(2d)는 또, 전류가 흘러서 핀 단자(T)와 단자(4)가 띠는 열을 고정 하우징(2)으로부터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창으로서도 기능한다. 고정 하우징(2)의 저면에는 저면 개구(2e)가 형성되어 있고, 여기로부터 가동 하우징(3)이 수용실(2c)에 삽입된다.
〔가동 하우징(3)〕
가동 하우징(3)은, 폭 방향(X) 및 깊이 방향(Y)에서 고정 하우징(2)의 수용실(2c)에 수용 가능한 크기의 수지 성형체로서 형성되고, 외주벽(3a)과, 외주벽(3a)의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복수의 격벽(3b)이 형성되어 있다. 외주벽(3a)은 각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벽(3a)과 격벽(3b)으로 둘러싸이는 내측 공간은, 단자(4)와 핀 단자(T)가 도통 접촉하는 복수의 접속실(3c)로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5개의 접속실(3c)이 폭 방향(X)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접속실(3c)의 실내에는, 후술하는 단자(4)의 접촉부(9)가 고정된다. 외주벽(3a)의 폭 방향(X)의 양측면에는 변위 규제 돌기(3d)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변위 규제 돌기(3d)는, 상술한 고정 하우징(2)의 수용실(2c)의 폭 방향(X)에 있어서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변위 규제 오목부(2f)의 내부로 돌출하여 배치된다(도 3). 변위 규제 돌기(3d)가 좌우 방향(X), 전후 방향(Y), 높이 방향(Z)(위쪽 방향만)에서 변위 규제 오목부(2f)와 맞닿을 때까지가, 가동 하우징(3)의 변위량이 된다. 높이 방향(Z)의 아래쪽 방향의 변위의 규제는, 변위 규제 돌기(3d)가 기판(P)에 대하여 맞닿음으로써 이루어진다. 가동 하우징(3)의 하단측은, 기판(P)의 관통 구멍(P1)에 삽입 통과되어 있고, 그 하단은 기판(P)의 이면(裏面)으로부터 돌출하여 위치한다(도 9). 가동 하우징(3)의 저면에는, 핀 단자(T)의 삽입구(3e)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3e)는 깔때기상의 유도 경사면(3f)을 갖고 있고, 핀 단자(T)는 이 유도 경사면(3f)으로 가이드되어 삽입구(3e)로부터 접속실(3c)로 삽입된다.
〔단자(4)〕
단자(4)는, 기판 접속부(6), 고정 하우징(2)에 압입 고정하는 고정 하우징용 고정부(7), 가동 하우징(3)을 고정 하우징(2)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부(8), 가동 하우징(3)의 접속실(3c)에 수용되어 핀 단자(T)에 대하여 도통 접속하는 접촉부(9)를 갖고 있다. 이러한 단자(4)의 각 기능부와 그 형상은, 펀칭한 도전성 금속편을 굴곡 가공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각 단자(4)는 단일 부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기판 접속부(6)는, 고정 하우징(2)의 정면의 앞쪽으로 돌출하여 기판(P)에 대하여 납땜으로 고정된다. 고정 하우징(2)은, 정면에서는 기판 접속부(6)에 의해 고정되고, 배면에서는 고정 금구(5)에 의해 납땜으로 고정됨으로써, 기판(P)의 이면측으로부터 삽입되는 복수의 핀 단자(T)의 삽입력을 확실하게 받아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고정 하우징용 고정부(7)는, 고정 하우징(2)의 수용실(2c)에 설치한 단자 고정 홈(2g)에 대하여 압입 고정된다(도 3, 도 9). 가동부(8)는, 도 6∼도 8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하우징용 고정부(7)로부터 위쪽으로 신장하는 제 1 신장부(8a)와, 제 1 신장부(8a)의 상단에서 되접히는 제 1 굴곡부(8b)와, 제 1 굴곡부(8b)로부터 제 1 신장부(8a)와 평행하게 신장하는 제 2 신장부(8c)와, 제 2 신장부(8c)의 하단에서 되접히는 제 2 굴곡부(8d)와, 제 2 굴곡부(8d)로부터 제 2 신장부(8c)와 평행하게 신장하는 제 3 신장부(8e)와, 제 3 신장부(8e)의 상단에서 되접히는 제 3 굴곡부(8f)와, 후술하는 고정 베이스부(9a)에 연결되는 제 4 신장부(8g)를 갖고 있다. 제 1 신장부(8a), 제 2 신장부(8c), 제 3 신장부(8e)는, 제 1 굴곡부(8b), 제 2 굴곡부(8d), 제 3 굴곡부(8f)와 연결되는 측으로부터 X 방향을 따르는 판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스프링으로서의 유연함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가동부(8)는, 상하 방향(Z 방향)으로 신장하는 세로 스프링편(제 1 신장부(8a), 제 2 신장부(8c), 제 3 신장부(8e))이 3개 병렬로 배치됨으로써 스프링 길이가 길게 되어 있다. 단지 전후 방향(Y)에서 변위 가능하게 할 뿐이라면, 제 3 신장부(8e)는 생략해도 되지만, 그와 같이 3개 병렬로 배치한 세로 스프링편을 가짐으로써, 특히 전후 방향(Y)으로 변위하는 가동 하우징(3)이 유연하게 변위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또 스프링으로서의 내구성이 높아져 있다.
접촉부(9)는, 도 6∼도 8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부(8)의 제 4 신장부(8g)와 연결되고, 가동 하우징(3)에 고정되는 고정 베이스부(9a)와, 고정 베이스부(9a)로부터 외팔보상으로 신장하는 제 1 접촉편부(9b)와, 제 1 접촉편부(9b)와 대향 위치하는 「지지편」으로서의 접촉 받이부(9c)와, 접촉 받이부(9c)로부터 외팔보상으로 신장하는 제 2 접촉편부(9d)와, 고정 베이스부(9a)와 접촉 받이부(9c)를 연결하는 연결부(9f)를 갖고 있다.
고정 베이스부(9a)는, 도 9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하우징(3)에 설치된 제 1 단자 고정 홈(3g)에 압입 고정된다.
제 1 접촉편부(9b)는, 고정 베이스부(9a)로부터 신장하는 제 1 탄성 아암(9b1)과, 제 1 탄성 아암(9b1)에 의해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접속 대상물의 핀 단자(T)에 대하여 「제 1 방향」, 즉, 전후 방향(Y)에 있어서의 앞쪽으로부터 뒤쪽을 향하여 누름 접촉하는 제 1 접점부(9b2)를 갖고 있다. 제 1 접점부(9b2)는, 접촉 받이부(9c)를 향하여 산형 굴곡 형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지지편」을 구성하는 접촉 받이부(9c)는, 전체가 평판상 금속편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제 1 접촉편부(9b)와의 대향면은 핀 단자(T)의 삽입 방향(Z 방향)을 따라 신장하는 평탄한 접촉면부(9c1)로서 형성되어 있다. 접촉면부(9c1)는 핀 단자(T)와의 접촉 부분이기 때문에, 적어도 제 1 접점부(9b2)와 제 2 접점부(9d2)(접점 돌기(9d3))의 접점간 거리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촉 받이부(9c)는, 제 1 접점부(9b2) 및 제 2 접점부(9d2)의 양쪽과 대향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접점부(9b2) 및 제 2 접점부(9d2)의 양쪽의 누름 접촉을 받는 핀 단자(T)를 접촉 받이부(9c)에서 받아낼 수 있다. 따라서 핀 단자(T)를 예를 들면 가동 하우징(3)의 접속실(3c)의 수지벽으로 받아내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접점부(9b2) 및 제 2 접점부(9d2)와 핀 단자(T)의 수용면이 되는 접촉 받이부(9c)와의 사이의 거리의 공차 관리를, 단자(4)만으로 행할 수 있어,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가동 하우징(3)의 성형 정밀도나 가동 하우징(3)에 대한 단자(4)의 조립 정밀도에 관계없이, 핀 단자(T)를 소정의 접촉압으로 적절하게 홀딩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접촉 받이부(9c)에 있어서의 제 1 접점부(9b2)와 대향하는 선단부에는 고정부(9c2)가 형성되어 있고, 도 9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하우징(3)의 제 2 단자 고정 홈(3h)에 대하여 압입 고정된다. 따라서 접촉 받이부(9c)는, 그것 자체가 다른 접촉부(9)의 부분과는 독립하여 가동 하우징(3)에 대하여 압입 고정되어 있다. 접촉면부(9c1)는, 제 2 단자 고정 홈(3h)에 압입 고정되는 고정부(9c2)를 제외하고, 가동 하우징(3)의 접속실(3c)에 노출하도록 배치된다. 접속실(3c)에 삽입되는 핀 단자(T)의 슬라이딩 접촉을 받아, 끼워 맞춤 상태에서는 핀 단자(T)와 도통 접촉하기 위함이다. 접촉 받이부(9c)의 접촉면부(9c1)와 반대측의 면은 가동 하우징(3)의 수지 벽과 접촉하고 있고, 핀 단자(T)로부터 받는 누름력은 접촉 받이부(9c)를 개재하여 수지 벽에 의해 받아내어진다.
제 2 접촉편부(9d)는, 도 8, 도 10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탄성 아암(9d1)과, 제 2 접점부(9d2)를 갖는다. 제 2 탄성 아암(9d1)은, 기단(基端)이 접촉 받이부(9c)의 한쪽(우측)의 판 가장자리(9c3)에 연결되고(도 6, 도 7), 그곳에서부터 굴곡하여 제 1 접촉편부(9b)를 향하여 신장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탄성 아암(9d1)의 선단은, 도 8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산형 굴곡 형상의 제 1 접점부(9b2)의 상측 위치이고 또한 제 1 탄성 아암(9b1)과의 인접 위치까지 신장하고 있으며, 그 선단은 굴곡부를 개재하여 제 1 탄성 아암(9b1)의 판면과 평행한 판편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접점부(9d2)와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접점부(9d2)는, 핀 단자(T)의 삽입 방향(Z)에서 본 경우에, 산형 굴곡 형상의 제 1 접점부(9b2)의 배후에 숨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2 접점부(9d2)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접촉 받이부(9c)와의 대향면에는 핀 단자(T)에 누름 접촉하는 접점 돌기(9d3)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9f)는, 일단이 고정 베이스부(9a)의 한쪽(우측)의 판 가장자리(9a1)에 연결되고(도 6, 도 7), 타단이 접촉 받이부(9c)의 우측의 판 가장자리(9c3)에 연결되는 스프링편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부(9f)는, 제 2 탄성 아암(9d1)과 Z 방향에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 연결부(9f)의 타단이 접촉 받이부(9c)에 연결됨으로써, 접촉 받이부(9c)는, 선단측(하단측)에서는 고정부(9c2)에 의해 가동 하우징(3)에 고정되고, 그 반대측(상단측)에서는 연결부(9f)와 고정 베이스부(9a)를 개재하여 가동 하우징(3)에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촉 받이부(9c)는, 확실하게 가동 하우징(3)에 고정되어, 핀 단자(T)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접촉함으로써, 핀 단자(T)에 의한 접촉을 받아낼 수 있다.
〔다접점 커넥터(1)의 작용 효과〕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구성의 다접점 커넥터(1)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다접점 커넥터(1)는, 단자(4)의 가동부(8)에 의해 가동 하우징(3)이 고정 하우징(2)에 대하여 삼차원 방향(X 방향, Y 방향, Z 방향 및 이들을 조합한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핀 단자(T)와의 끼워 맞춤 접속 시에 있어서의 핀 단자(T)의 삽입 위치의 어긋남을 가동 하우징(3)의 변위에 의해 흡수하여 바르게 끼워 맞춤 접속할 수 있다. 또, 핀 단자(T)가 정규의 접촉 위치에서 도통 접속한 끼워 맞춤 접속 상태에서, 핀 단자(T)나 기판(P)이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변위한 경우에는, 가동 하우징(3)의 변위에 의해 진동 등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끼워 맞춤 접속 상태에서는 제 1 접점부(9b2)와 제 2 접점부(9d2)의 양쪽이 핀 단자(T)에 대하여 누름 상태에서 도통 접촉하므로, 그 어느 한쪽의 도통 접촉에 문제가 있어도, 다른쪽에 의해 도통 접촉이 유지되기 때문에, 접속 신뢰성이 높은 도통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기본적인 작용 효과에 더하여, 다접점 커넥터(1)에는 이하와 같은 특징이 있다. 제 2 탄성 아암(9d1)이 제 1 탄성 아암(9b1)의 신장 방향(Z 방향)과 교차하는 제 1 방향(Y 방향)으로 신장하고 있고, 그 신장측 단부, 즉, 제 1 탄성 아암(9b1)측의 선단부가 제 2 접점부(9d2)에 연결되는 스프링편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탄성 아암(9b1)과 제 2 탄성 아암(9d1)이 단자(4)의 동일 부위로부터 평행하게 신장하는 종래의 단자 구조를 채용할 필요가 없고, 제 1 탄성 아암(9b1)을 향하여 제 2 탄성 아암(9d1)이 신장하는 새로운 단자 구조에 의해, 종래의 다접점 커넥터의 단자와 비교해 단자(4)의 접촉부(9)의 핀 단자(T)의 삽입 방향(Z 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그것을 구비하는 다접점 커넥터(1)도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핀 단자(T)는, 제 1 접점부(9b2)와 제 2 접점부(9d2)의 누름 접촉을 받고, 그 누름 접촉 방향(Y 방향)에서 접촉 받이부(9c)의 평탄한 접촉면부(9c1)와 접촉한다. 접촉면부(9c1)는, 핀 단자(T)의 삽입 길이에 따라 핀 단자(T)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접촉하는 평탄면 형상이기 때문에, 핀 단자(T)와의 도통 접촉이 불안정해지는 일도 없다. 따라서 다접점 커넥터(1)는 제 1 접점부(9b2)와 제 2 접점부(9d2)(접점 돌기(9d3))를 회동(回動) 중심으로 하는 핀 단자(T)의 회동(경도(傾倒))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다접점 커넥터(1)는, 도 10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 단자(T)의 반시계 방향(R1)의 회동에 대하여, 접속실(3c)의 삽입구(3e)측에서는 제 1 접점부(9b2)와 접촉한다. 한편, 접속실(3c)의 안측에서는 핀 단자(T)의 삽입측의 선단부가 접촉면부(9c1)와 접촉한다. 이와 같이 핀 단자(T)의 반시계 방향(R1)의 회동에 대하여 접점간 거리(L4)를 길게 할 수 있어, 근소한 회동이라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핀 단자(T)는, 변위하지 않는 접촉면부(9c1)와의 접촉 개소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회동하려고 하지만, 제 1 접촉편부(9b)뿐만 아니라, 그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접촉편부(9d)에 의해서도 회동이 억제된다. 이렇게 핀 단자(T)의 반시계 방향(R1)의 회동을, 제 1 접촉편부(9b)와 제 2 접촉편부(9d)의 2개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어, 미세 슬라이딩(微摺動) 접촉에 의한 도금 벗겨짐의 발생 등을 막을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핀 단자(T)의 시계 방향(R2)의 회동에 대해서는, 접속실(3c)의 안측에서는 제 2 접점부(9d2)(접점 돌기(9d3))와 접촉한다. 한편, 접속실(3c)의 삽입구(3e)측에서는 평탄한 접촉면부(9c1)의 하단측이 핀 단자(T)와 접촉한다. 이와 같이 핀 단자(T)의 시계방향(R2)의 회동에 대하여 접점간 거리(L5)를 길게 할 수 있어, 근소한 회동이라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핀 단자(T)는, 변위하지 않는 접촉면부(9c1)의 하단측과의 접촉 개소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려고 하지만, 제 2 접촉편부(9d)뿐만 아니라, 그들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접촉편부(9b)에 의해서도 회동이 억제된다. 이렇게 핀 단자(T)의 시계방향(R2)의 회동을, 제 1 접촉편부(9b)와 제 2 접촉편부(9d)의 2개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어, 미세 슬라이딩 접촉에 의한 도금 벗겨짐의 발생 등을 막을 수 있다.
다접점 커넥터(1)는, 도 10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긴 접점간 거리(L4, L5)에 의해, 제 1 접점부(9b2)와 제 2 접점부(9d2)(접점 돌기(9d3))를 회동 중심으로 하는 핀 단자(T)의 회동을 확실하게 억제하면서도, 제 1 접점부(9b2)와 제 2 접점부(9d2)(접점 돌기(9d3))의 접점간 거리(L6)는 짧게 형성되어 있어, 접촉부(9)의 대형화를 억제하고 있다. 즉, 접촉면부(9c1)는 핀 단자(T)의 삽입 방향(Z 방향)에서, 삽입구(3e)측으로부터 제 1 접점부(9b2)와 제 2 접점부(9d2)(접점 돌기(9d3))를 넘는 길이의 평탄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반시계 방향(R1)의 회동 시에서의 접촉면부(9c1)에 있어서의 핀 단자(T)에 대한 삽입 방향 안측의 접촉 위치는 제 2 접점부(9d2)(접점 돌기(9d3))를 넘어 접속실(3c)의 더욱 안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시계방향(R2)의 회동 시에서의 접촉면부(9c1)에 있어서의 핀 단자(T)에 대한 삽입구(3e)측의 접촉 위치는, 제 1 접점부(9b2)를 넘어 삽입구(3e)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접점간 거리(L6)가 짧아 접촉부(9)를 대형화하지 않아도, 핀 단자(T)의 회동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접촉 받이부(9c)는, 접속실(3c)의 실내에서 삽입구(3e)측에 위치하는 선단부에 가동 하우징(3)에 대한 고정부(9c2)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접촉 받이부(9c)가 접속실(3c)의 실내에 돌출하지 않도록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어, 핀 단자(T)가 접촉 받이부(9c)의 선단부와 접촉하여, 접촉 받이부(9c)가 좌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접촉편부(9b)와 제 2 접촉편부(9d)는, 각각 따로따로 독립하여 변위 가능한 스프링편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접촉편부(9b)와 제 2 접촉편부(9d)는 서로 핀 단자(T)에 대한 접촉압이나 접촉 위치 등의 접촉 상태에 영향을 주는 일 없이, 각각 독립하여 핀 단자(T)와 접촉할 수 있다.
제 2 접촉편부(9d)는, 접촉 받이부(9c)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탄성 아암(9d1)의 기단은 접촉 받이부(9c)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접촉부(9)의 대형화가 억제되어 있다. 즉, 예를 들면 제 2 접촉편부(9d)를 제 1 접촉편부(9b)와 마찬가지로 고정 베이스부(9a)로부터 같은 방향으로 병렬로 신장하여 형성하는 경우에는, 간섭을 피하기 위해 제 1 접점부(9b2)와 제 2 접점부(9d2)를 핀 단자(T)의 삽입 방향(Z 방향)에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배치하지 않으면 안 되고, 그러면 접촉부(9)가 삽입 방향(Z 방향)에서 대형화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제 2 접촉편부(9d)를 접촉 받이부(9c)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구성함으로써, 제 1 탄성 아암(9b1)과 제 2 탄성 아암(9d1)의 신장 방향이 교차 방향이 되어 같은 방향으로 병렬로 신장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제 2 접촉편부(9d)를 소형화할 수 있어, 2개의 접촉편부(9b, 9d)를 갖는 단자 구조이면서, 접촉부(9)를 소형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탄성 아암(9d1)은, 고정 베이스부(9a)와 접촉 받이부(9c)를 연결하는 연결부(9f)와 같은 측의 판 가장자리(9a1, 9c3)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제 2 탄성 아암(9d1)과 연결부(9f)는 접촉부(9)의 한쪽측의 측 가장자리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접촉부(9)를 폭 방향(X 방향)에서 대형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다접점 커넥터(1)를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 1 접점부(9b2)는, 제 2 접점부(9d2)의 접점 돌기(9d3)보다도 접촉 받이부(9c)를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핀 단자(T)의 삽입 시에, 제 1 접점부(9b2)의 누름 접촉에 의해 핀 단자(T)를 접촉면부(9c1)로 눌러서, 접촉면부(9c1)의 평탄면을 따르는 적절한 삽입 자세가 얻어진 상태에서, 접점 돌기(9d3)를 핀 단자(T)와 누름 접촉시킬 수 있어, 제 2 접점부(9d2)가 좌굴 변형하는 것과 같은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접점부(9b2)는, 산형 굴곡 형상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접점부(9b2)의 삽입 방향 안측의 경사편의 상측은 데드 스페이스가 된다. 그러나 다접점 커넥터(1)에서는, 그곳에 제 2 접점부(9d2)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 2 접점부(9d2)가 제 1 접점부(9b2)와 연결부(9f)의 사이로부터 접촉부(9)의 외부로 돌출하는 일 없이, 접촉부(9)를 소형화할 수 있어서, 다접점 커넥터(1)도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도 11∼도 12〕
제 2 실시형태의 다접점 커넥터는, 단자(11)의 제 1 접촉편부(12), 제 2 접촉편부(13)가 제 1 실시형태의 다접점 커넥터(1)와 다르고, 그 외의 구성 및 그것에 의거하는 작용 효과는 동일하다. 따라서 당해 차이점만 설명하고, 제 1 실시형태와의 공통점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접촉편부(12)에는, 제 1 탄성 아암(12a)과, 제 1 실시형태의 제 1 접점부(9b2)와 마찬가지의 제 1 접점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중 제 1 탄성 아암(12a)에는 그 도중에, 제 2 접촉편부(13)의 반대측으로 돌출하도록 굴곡하는 릴리프 오목부(12c)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제 2 접촉편부(13)는, 제 2 탄성 아암(13a)과, 제 2 접점부(13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중 제 2 접점부(13b)의 선단부에는 핀 단자(T)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유도 경사면(13c)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접점부(13b)에는, 유도 경사면(13c)으로부터 연속하여 비드상으로 돌출하는 접점 돌기(13d)가 형성되어 있고, 여기가 핀 단자(T)와 누름 접촉한다.
이상과 같은 제 2 실시형태의 단자(11)를 구비하는 다접점 커넥터에서는, 제 1 실시형태의 다접점 커넥터(1)가 나타내는 작용 효과에 더하여, 이하의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우선, 제 1 탄성 아암(12a)에는 릴리프 오목부(12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접점부(13b)가 핀 단자(T)와 누름 접촉하여 제 1 탄성 아암(12a)을 향하여 변위한 경우라도, 제 2 접점부(13b)는 릴리프 오목부(12c)로 들어갈 뿐이고 제 1 탄성 아암(12a)과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2 접점부(13b)를 소정의 접촉압으로 핀 단자(T)와 도통 접촉시킬 수 있다. 또, 릴리프 오목부(12c)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변위한 제 2 접점부(13b)가 제 1 탄성 아암(12a)과 접촉하지 않도록, 제 2 접점부(13b)를 제 1 접촉편부(12)로부터 떨어뜨리지 않으면 안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2에서 나타내는 연결부(9f)를 도면 중 좌측으로 길게 늘이지 않으면 안 되고, 그러면 전후 방향(Y)에서 단자(11)와, 그것을 구비하는 다접점 커넥터가 대형화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릴리프 오목부(12c)에 의해 접촉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탄성 아암(12a)에 제 2 접점부(13b)를 접근시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단자(11)와 다접점 커넥터를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 2 접점부(13b)의 선단부에는, 핀 단자(T)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유도 경사면(13c)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핀 단자(T)가 비스듬하게 삽입되어, 제 2 접점부(13b)의 선단과 제 1 접점부(12b)의 사이로 잠입할 듯이 되어도, 유도 경사면(13c)에 맞닿아서 진입을 저지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도 13∼도 15〕
제 3 실시형태의 다접점 커넥터는, 단자(15)의 접촉 받이부(16)가 제 2 실시형태와 다르고, 그 외의 구성 및 그것에 의거하는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제 2 실시형태의 다접점 커넥터와 동일하다. 따라서 그 차이점만 설명한다.
단자(15)의 접촉 받이부(16)의 중앙에는, 제 1 접점부(12b), 제 2 접점부(13b)를 향하여 돌출하는 접촉면부(16a)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면부(16a)는, 폭 방향(X 방향)에서 핀 단자(T)의 굵기를 넘지만 접촉 받이부(16)의 판 폭보다 짧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Z 방향)에서 접촉 받이부(16)의 선단측으로부터 제 2 탄성 아암(13a)과 연결부(9f)와의 사이의 위치까지 신장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접촉면부(16a)를 접촉 받이부(16)의 「돌출 부분」으로 하면, 접촉면부(16a)의 주위는 접촉 받이부(16)의 「비(非)돌출 부분」이 되는 평탄한 일반면부(16b)로 되어 있다. 접촉면부(16a)는 비드상의 「돌기」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핀 단자(T)와 접촉하는 접촉면부(16a)의 반대측은 오목하게 되어 있다. 접촉면부(16a)와 제 2 접점부(13b)의 접점 돌기(13d)와의 사이의 핀 단자(T)의 삽입 간격(L7)은, 제 2 실시형태의 접촉면부(9c1)와 제 2 접점부(13b)와의 사이의 핀 단자(T)의 삽입 간격(L7)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제 3 실시형태의 쪽이 접촉면부(16a)의 돌출 길이만큼 전후 방향(Y 방향)에서 커져 있다.
도 14는, 접촉면부(16a)에 핀 단자(T)가 접촉하고 있는 상태이다. 핀 단자(T)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접촉면부(16a)의 일단측과 타단측의 단부에는 단차(16c, 16d)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핀 단자(T)는, 접촉부(9)와의 끼워 맞춤 접속 상태에서는, 접촉면부(16a)보다 한 단 낮은 일반면부(16b)와 접촉하지 않고 뜬 상태가 되어, 접촉면부(16a)에 대해서만 접촉하고 있다.
이러한 접촉면부(16a)에 대해서는, 제 2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도 15(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면부(9c1)가 평탄면이고, 핀 단자(T)의 삽입 방향으로의 삽입 길이가 다르면, 핀 단자(T)가 기울어졌을 때의 제 1 접점부(12b)와 제 2 접점부(13b)의 변위량에 차(D1)가 발생한다. 즉, 삽입 길이가 짧은 핀 단자(T1)의 쪽이, 삽입 길이가 긴 핀 단자(T2)보다도 제 1 접점부(12b), 제 2 접점부(13b)의 변위량이 적고, 삽입 길이가 길수록 변위량의 차(D1)도 커진다. 이러한 변위량의 차(D1)는 핀 단자(T)에 대한 접촉압의 차이로서 나타나고, 변위량의 차(D1)가 커지면 커질수록 접촉압은 높아진다. 따라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접점부(12b), 제 2 접점부(13b)에 있어서의 접촉압이 핀 단자(T)의 삽입 길이에 의존해버려, 단자(15) 자체에 의해 컨트롤할 수 없어, 핀 단자(T)에 대한 특정의 접촉압에 의한 누름 접촉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에는 핀 단자(T)의 정확한 삽입 길이에 의한 끼워 맞춤 접속이 요구된다.
이것에 대하여 일반면부(16b)에 대하여 돌출하는 접촉면부(16a)를 갖는 경우이면, 그런 정확한 핀 단자(T)의 끼워 맞춤 접속의 관리는 불필요하다. 즉, 도 15(b)에서 나타내는 핀 단자(T1)는, 제 1 접점부(12b) 및 제 2 접점부(13b)와 도통 접촉할 수 있는 가장 삽입 길이(유효 끼워 맞춤 길이)가 짧은 삽입 위치이다. 핀 단자(T2)는, 제 1 접점부(12b) 및 제 2 접점부(13b)와 도통 접촉하고, 또한 핀 단자(T2)의 선단측이 접촉면부(16a)의 상단부를 넘는 삽입 길이로 한 삽입 위치이며, 이 삽입 위치가 정규의 접촉 위치가 된다. 동일 도면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 단자(T1)와 핀 단자(T2)에서 삽입 길이가 바뀌어도, 도 15(a)와 비교하여 제 1 접점부(12b), 제 2 접점부(13b)의 변위량의 차(D2)를 작게 할 수 있다. 특히 핀 단자(T3)는, 그 선단측이 접촉면부(16a)의 상단부의 단차(16c)의 바로 앞 위치와 접촉하는 삽입 위치를 나타내고 있지만, 핀 단자(T3)와 단차(16c)를 넘어 삽입한 핀 단자(T2)에서는, 제 1 접점부(12b) 및 제 2 접점부(13b)의 변위량은 동일하다. 이 때문에 접촉압도 동일하여, 핀 단자(T)의 삽입 길이에 관계없이, 단자(15) 자체에 의해 제 1 접점부(12b) 및 제 2 접점부(13b)의 접촉압을 컨트롤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도 16〕
상술의 제 3 실시형태의 접촉 받이부(16)에 대해서는, 도 16에서 나타내는 변형예의 접촉 받이부(17)로 할 수 있다. 접촉 받이부(17)는, 제 1 접점부(12b), 제 2 접점부(13b)를 향하여 돌출하는 접촉면부(17a)를 갖고 있다. 이 접촉면부(17a)는, 돌출면부(17b)와, 제 1 굴곡부(17c)와, 제 2 굴곡부(17d)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촉 받이부(17)를 형성하는 도전성 판재의 굴곡 가공에 의해 제 3 실시형태의 접촉면부(16a)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접촉면부(17a)를 설치할 수도 있다. 즉, 핀 단자(T)가 제 1 굴곡부(17c)를 넘어 삽입되면, 핀 단자(T)의 삽입 길이에 관계없이, 단자(15) 자체에 의해 제 1 접점부(12b) 및 제 2 접점부(13b)의 접촉압을 일정하게 컨트롤할 수 있다.
접촉면부(17a)는, 제 2 탄성 아암(13a)과 연결부(9f)의 사이에 제 1 굴곡부(17c)를 형성하고, 제 1 접점부(12b)보다도 접촉 받이부(17)의 선단측에 제 2 굴곡부(17d)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제 2 굴곡부(17d)보다도 접촉 받이부(17)의 선단측에 고정부(9c2)를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 변형예의 접촉 받이부(17)는 제 3 실시형태의 접촉 받이부(16)보다도 길어져 버린다. 반대로 말하면 비드상의 접촉면부(16a)를 갖는 접촉 받이부(16)는 굴곡에 의해 접촉면부(17a)가 돌출하는 변형예보다도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어, 단자(15) 및 그것을 구비하는 다접점 커넥터를 소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 외의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접촉 받이부(9c, 16, 17)가 연결부(9f)와 연결되는 부위로부터 제 1 접점부(9b2, 12b)와 제 2 접점부(9d2, 13b)의 양쪽과 대향 위치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접촉 받이부(9c, 16, 17)가 제 2 접점부(9d2, 13b)하고만 대향 위치하는 길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하면, 접촉 받이부(9c, 16, 17)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단자(4) 및 그것을 구비하는 다접점 커넥터(1)의 전체를 높이 방향(Z 방향)에서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더욱 짧아지도록, 접촉 받이부(9c, 16, 17)가 연결부(9f)와 연결되는 부위부터 제 2 탄성 아암(9d1, 13a)과 연결되는 부위까지 이르는 길이로 하여, 제 1 접점부(9b2, 12b)와 제 2 접점부(9d2, 13b)의 어느 것과도 대향 위치하지 않는 길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하면 더욱더 단자(4)와 다접점 커넥터(1)의 Z 방향에서의 소형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 다접점 커넥터 2: 고정 하우징
2a: 외주벽 2b: 천면벽
2c: 수용실 2d: 천면 개구
2e: 저면 개구 2f: 변위 규제 오목부
2g: 단자 고정 홈 3: 가동 하우징
3a: 외주벽 3b: 격벽
3c: 접속실 3d: 변위 규제 돌기
3e: 삽입구 3f: 유도 경사면
3g: 제 1 단자 고정 홈 3h: 제 2 단자 고정 홈
4: 단자(제 1 실시형태) 5: 고정 금구
6: 기판 접속부 7: 고정 하우징용 고정부
8: 가동부 8a: 제 1 신장부
8b: 제 1 굴곡부 8c: 제 2 신장부
8d: 제 2 굴곡부 8e: 제 3 신장부
8f: 제 3 굴곡부 8g: 제 4 신장부
9: 접촉부 9a: 고정 베이스부
9a1: 판 가장자리 9b: 제 1 접촉편부
9b1: 제 1 탄성 아암 9b2: 제 1 접점부
9c: 접촉 받이부(지지편) 9c1: 접촉면부
9c2: 고정부 9c3: 판 가장자리
9d: 제 2 접촉편부 9d1: 제 2 탄성 아암
9d2: 제 2 접점부 9d3: 접점 돌기
9f: 연결부 11: 단자(제 2 실시형태)
12: 제 1 접촉편부(제 2 실시형태) 12a: 제 1 탄성 아암
12b: 제 1 접점부 12c: 릴리프 오목부
13: 제 2 접촉편부(제 2 실시형태) 13a: 제 2 탄성 아암
13b: 제 2 접점부 13c: 유도 경사면
13d: 접점 돌기 15: 단자(제 3 실시형태)
16: 접촉 받이부(지지편) 16a: 접촉면부
16b: 일반면부 16c: 단차
16d: 단차
17: 접촉 받이부(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 지지편)
17a: 접촉면부 17b: 돌출면부
17c: 제 1 굴곡부 17d: 제 2 굴곡부
L1∼L6: 접점간 거리 L7: 핀 단자의 삽입 간격
D1, D2: 변위량의 차 X: 폭 방향, 좌우 방향
Y: 깊이 방향, 전후 방향(제 1 방향) Z: 높이 방향, 상하 방향
2a: 외주벽 2b: 천면벽
2c: 수용실 2d: 천면 개구
2e: 저면 개구 2f: 변위 규제 오목부
2g: 단자 고정 홈 3: 가동 하우징
3a: 외주벽 3b: 격벽
3c: 접속실 3d: 변위 규제 돌기
3e: 삽입구 3f: 유도 경사면
3g: 제 1 단자 고정 홈 3h: 제 2 단자 고정 홈
4: 단자(제 1 실시형태) 5: 고정 금구
6: 기판 접속부 7: 고정 하우징용 고정부
8: 가동부 8a: 제 1 신장부
8b: 제 1 굴곡부 8c: 제 2 신장부
8d: 제 2 굴곡부 8e: 제 3 신장부
8f: 제 3 굴곡부 8g: 제 4 신장부
9: 접촉부 9a: 고정 베이스부
9a1: 판 가장자리 9b: 제 1 접촉편부
9b1: 제 1 탄성 아암 9b2: 제 1 접점부
9c: 접촉 받이부(지지편) 9c1: 접촉면부
9c2: 고정부 9c3: 판 가장자리
9d: 제 2 접촉편부 9d1: 제 2 탄성 아암
9d2: 제 2 접점부 9d3: 접점 돌기
9f: 연결부 11: 단자(제 2 실시형태)
12: 제 1 접촉편부(제 2 실시형태) 12a: 제 1 탄성 아암
12b: 제 1 접점부 12c: 릴리프 오목부
13: 제 2 접촉편부(제 2 실시형태) 13a: 제 2 탄성 아암
13b: 제 2 접점부 13c: 유도 경사면
13d: 접점 돌기 15: 단자(제 3 실시형태)
16: 접촉 받이부(지지편) 16a: 접촉면부
16b: 일반면부 16c: 단차
16d: 단차
17: 접촉 받이부(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 지지편)
17a: 접촉면부 17b: 돌출면부
17c: 제 1 굴곡부 17d: 제 2 굴곡부
L1∼L6: 접점간 거리 L7: 핀 단자의 삽입 간격
D1, D2: 변위량의 차 X: 폭 방향, 좌우 방향
Y: 깊이 방향, 전후 방향(제 1 방향) Z: 높이 방향, 상하 방향
Claims (8)
- 접속 대상물에 대하여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여 누름 접촉하는 제 1 접점부와,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신장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접점부를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탄성 아암을 갖는 제 1 접촉편부와,
상기 접속 대상물에 대하여 상기 제 1 방향의 상기 한쪽으로부터 누름 접촉하는 제 2 접점부와, 상기 제 2 접점부를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탄성 아암을 갖는 제 2 접촉편부와,
상기 접속 대상물의 삽입 방향을 따라 신장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접점부 및 상기 제 2 접점부의 양쪽과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접촉하는 지지편을 갖는 단자를 구비하는 다접점 커넥터로서,
상기 제 2 탄성 아암은, 상기 제 1 탄성 아암을 향하여 상기 제 1 방향으로 신장하고 있고, 상기 제 1 탄성 아암측의 선단부가 상기 제 2 접점부에 연결되는 스프링편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접점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점부는, 상기 제 1 탄성 아암과 대향 위치하는 다접점 커넥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기 제 2 탄성 아암이 연결되는 지지편을 갖는 다접점 커넥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은, 상기 제 2 탄성 아암과 연결되는 부위부터 상기 제 2 접점부와 대향하는 위치까지 신장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다접점 커넥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은, 상기 제 2 탄성 아암과 연결되는 부위부터 상기 제 1 접점부 및 상기 제 2 접점부와 대향하는 위치까지 신장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다접점 커넥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성 아암은, 상기 제 2 접점부와 상기 지지편의 서로 대향하는 판 가장자리 사이를 연결하는 형상인 다접점 커넥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기 제 1 접촉편부를 외팔보상으로 지지하는 고정 베이스부와, 상기 제 1 방향으로 신장하여 상기 고정 베이스부와 상기 지지편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는 다접점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편부는, 상기 접속 대상물의 누름 접촉을 받아 상기 제 1 접촉편부를 향하여 변위하는 상기 제 2 접점부와의 접촉을 회피하는 릴리프 오목부를 갖는 다접점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7-111380 | 2017-06-06 | ||
JP2017111380A JP6325720B1 (ja) | 2017-06-06 | 2017-06-06 | 多接点コネクタ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3317A KR20180133317A (ko) | 2018-12-14 |
KR102538789B1 true KR102538789B1 (ko) | 2023-06-01 |
Family
ID=62143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9748A KR102538789B1 (ko) | 2017-06-06 | 2018-05-25 | 다접점 커넥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0193260B1 (ko) |
EP (1) | EP3413398B1 (ko) |
JP (1) | JP6325720B1 (ko) |
KR (1) | KR102538789B1 (ko) |
CN (1) | CN109004411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553843B2 (ja) * | 2014-03-18 | 2019-07-31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6463410B2 (ja) * | 2017-06-06 | 2019-01-30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可動コネクタ |
JP6836755B2 (ja) * | 2017-07-19 | 2021-03-03 |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6415666B1 (ja) | 2017-10-06 | 2018-10-31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KR20190119819A (ko) * | 2018-04-13 | 2019-10-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차폐 공간을 형성하는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
CN110011099B (zh) * | 2019-05-15 | 2023-11-28 | 四川永贵科技有限公司 | 用于电连接器插孔端子的矩形簧片 |
JP7377781B2 (ja) * | 2020-08-25 | 2023-11-10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22103927A (ja) * | 2020-12-28 | 2022-07-08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相手端子の挿入時の位置ずれを許容することができるコネクタ |
JP7123213B1 (ja) * | 2021-04-21 | 2022-08-22 | 三菱電機株式会社 | 基板実装コネクタ |
JP7231099B1 (ja) * | 2022-07-12 | 2023-03-01 | Smk株式会社 | 可動コネクタ、可動コネクタ用ターミナル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173897A (ja) * | 2015-03-16 | 2016-09-29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4830755U (ko) | 1971-08-18 | 1973-04-14 | ||
US3722631A (en) | 1971-08-20 | 1973-03-27 | W Lowrie | Vehicular chock |
JPS587477A (ja) | 1981-07-07 | 1983-01-17 | Toshiba Corp | 電場発光素子 |
JPS587477U (ja) | 1981-07-08 | 1983-01-18 | 株式会社東芝 | コネクタ |
JPH07176339A (ja) * | 1993-12-20 | 1995-07-14 | Yazaki Corp | 電気接続端子 |
JP2004152623A (ja) | 2002-10-30 | 2004-05-27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コネクタのコンタクト構造並びにコネクタ |
JP2012221592A (ja) | 2011-04-04 | 2012-11-12 | Fujitsu Component Ltd | コネクタ |
JP5522217B2 (ja) * | 2012-08-21 | 2014-06-18 | 第一精工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JP5516678B2 (ja) * | 2012-09-03 | 2014-06-11 | 第一精工株式会社 | コネクタ端子 |
JP5938067B2 (ja) | 2013-05-24 | 2016-06-22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6388472B2 (ja) * | 2013-12-09 | 2018-09-12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コンタクト及びコネクタ |
DE202015106472U1 (de) * | 2015-11-27 | 2017-03-01 |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 Kontaktelement und Mehrfachkontakttulpe |
-
2017
- 2017-06-06 JP JP2017111380A patent/JP6325720B1/ja active Active
-
2018
- 2018-05-25 KR KR1020180059748A patent/KR10253878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6-01 CN CN201810554735.7A patent/CN109004411B/zh active Active
- 2018-06-05 EP EP18176107.3A patent/EP3413398B1/en active Active
- 2018-06-06 US US16/001,108 patent/US1019326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173897A (ja) * | 2015-03-16 | 2016-09-29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9004411B (zh) | 2021-06-22 |
EP3413398A1 (en) | 2018-12-12 |
JP2018206624A (ja) | 2018-12-27 |
US20190013610A1 (en) | 2019-01-10 |
JP6325720B1 (ja) | 2018-05-16 |
EP3413398B1 (en) | 2020-08-05 |
KR20180133317A (ko) | 2018-12-14 |
CN109004411A (zh) | 2018-12-14 |
US10193260B1 (en) | 2019-0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38789B1 (ko) | 다접점 커넥터 | |
KR102516423B1 (ko) | 가동 커넥터 | |
US11233346B2 (en) | Board-to-board connector | |
US10128614B2 (en) | Movable connector | |
CN107819228B (zh) | 阴型电连接器、阳型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组装体 | |
US10553980B2 (en) | Movable connector | |
US10686273B2 (en) | Connector having terminal with contact portion fixed to a housing | |
JP7144191B2 (ja) | 可動コネクタ | |
KR101558266B1 (ko) | 커넥터 | |
US7841879B2 (en) | Floating-type connector | |
KR20090072963A (ko) | 콘택트 부재 및 전기 커넥터 | |
KR20140019225A (ko) | 연결 단자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 |
JP2020064834A (ja) | 可動コネクタ | |
CN114514657A (zh) | 连接器及连接器组件 | |
JP2022186850A (ja) | 可動コネクタ | |
US9899782B2 (en) |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assembly mounted structure | |
JP4326871B2 (ja) |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 |
JP7271775B2 (ja) | 可動コネクタ | |
KR102148179B1 (ko) | 커넥터 어셈블리 | |
CN117595015A (zh) | 连接器 | |
CN117595014A (zh) | 连接器 | |
JP4053515B2 (ja) | コネクタ | |
JP2017041373A (ja) | 電気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