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9930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9930A
KR20060039930A KR1020067002082A KR20067002082A KR20060039930A KR 20060039930 A KR20060039930 A KR 20060039930A KR 1020067002082 A KR1020067002082 A KR 1020067002082A KR 20067002082 A KR20067002082 A KR 20067002082A KR 20060039930 A KR20060039930 A KR 20060039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elastic arm
pivot
arm portion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2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립 테크 소
Original Assignee
에프씨아이 아시아 테크놀로지 피티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씨아이 아시아 테크놀로지 피티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프씨아이 아시아 테크놀로지 피티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39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9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두 개의 전기 포인트(44, 4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10)이며, 상기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20)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 단자를 가지며, 커넥터 단자가 처음 압축되는 때 커넥터 단자는 제1 피봇부(34)에 대해 구부러지거나 변형하며, 이어서 커넥터 단자가 더 압축되는 때 제2 피봇부(35)에 대해 구부러지거나 변형하는 탄성아암부(32)를 포함한다.
커넥터, 탄성아암부, 접촉부, 지지부, 제1 피봇부, 제2 피봇부, 커넥터 단자, 커넥터 하우징

Description

커넥터 {CONNECTOR}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전기 포인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 회로 기판(PCB)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PCB를 다른 PCB나 회로, 예를 들면 유연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적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공지된 커넥터가 존재한다. 하나의 회로 기판에 형성된 전기 접촉 영역을 커넥터를 통해 다른 회로 기판의 대응되는 접촉 영역에 연결함으로써 두 개의 회로 기판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대부분의 경우, 접촉 영역은 접촉 패드의 형태이다. 커넥터는 전기 신호를 하나의 회로 기판으로부터 다른 회로 기판으로 전달하게 한다.
종래의 커넥터는 커넥터 몸체나 하우징에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과 같은 단자를 포함한다. 커넥터는 다양한 방법으로 회로 기판과 결합한다. 한 가지 방법은 전기 접촉 영역이 PCB 상의 패드이고, 단자는 패드에 대해 가압되는 때 탄성적으로 압축되도록 구성되는 "압축 단자"를 사용한다. 패드에 대해 단자의 압축을 유지하도록, PCB는 단자에 대해 지지되어야 한다.
각각의 단자는, 단자의 일 단부에 탄성아암부 또는 탄성빔부를, 다른 단부에 통상적으로 비탄성부를, 그리고 두 단부 사이에 피봇을 포함한다. 두 개의 회로 기판을 연결할 때, 단자가 두 회로 기판 사이에서 압축되도록 커넥터는 두 회로 기판 사이에 장착된다. 아암부가 피봇에 대해 피봇하고 두 회로 기판 중 제1 회로 기판의 접촉 패드와 가압 접촉할 때, 탄성아암부는 변형된다. 다른 비탄성부는 통상 제2 회로 기판의 접촉 패드에 용접된다. 단자가 접촉 패드와 가압 접촉하여 회로 기판 사이에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을 정도로, 커넥터 단자를 압축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회로 기판들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서로 장착될 수 있다.
사사키 등에 허여된 1986년 11월 18일자 미국특허 제4,623,207호는, 가압 끼워맞춤에 의해 커넥터 몸체 내에 세로 방향으로 수용되는 복수의 대략 U자 형태의 단자를 포함하는 PCB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단자는 라운드 기부, PCB의 하나의 패드에 접촉하는 탄성 굴곡 접촉부를 가지는 제1 탄성아암부, 다른 PCB의 패드에 접촉하도록 유사하게 탄성 굴곡 접촉부를 가지는 제2 아암부를 포함한다. 탄성암은 단자가 압축되는 때 기부에 대해 변형하고 피봇한다. 단자가 PCB에 의해 압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PCB들이 장착된다.
예를 들어 소형의 전기 부품의 어떤 적용예에서, 전기 부품의 인쇄 회로를 연결하기 위해 매우 소형이고 낮은 높이의 커넥터가 요구된다. 낮은 높이의 커넥터에에서, 단자와 PCB의 접촉 패드 사이의 양호한 접촉을 유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압축력은, 종래의 커넥터로는 달성될 수 없거나 또는 더욱 고가의 재료나 더욱 복잡한 단자 설계를 통해 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높은 생산 비용을 유발한다.
따라서, 압축력 요구 조건을 충분히 충족시킬 수 있는 경제적인 낮은 높이의 커넥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가 제공된다.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 및 커넥터 하우징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 가능한 커넥터 단자 구성을 포함한다. 각각의 커넥터 단자 구성은 단자와 제1 및 제2 피봇부를 포함한다. 단자는 이동 가능한 탄성아암부, 탄성아암부의 일 단부에 제1 전기 포인트를 연결하도록 하는 접촉부, 탄성아암부의 다른 단부에 연결되고 제2 전기 포인트를 연결하도록 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제1 피봇부는 지지부에 대해 탄성아암부를 피봇하게 한다. 제2 피봇부는 탄성아암부에 대해 접촉부를 피봇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회로, 제2 회로, 제1 회로를 제2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조립체가 제공된다. 전기 커넥터는 제1 실시예에 정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2 실시예에서 정의되는 조립체를 연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제1 및 제2 회로의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전기 포인트를 각각 커넥터의 하나 이상의 접촉부 및 하나 이상의 지지아암부에 각각 접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제1 회로를 커넥터의 하나 이상의 접촉부로부터 편향력에 대항하여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회로를 커넥터의 하나 이상의 접촉부로부터 편향력에 대항하여 이동하고, 제1 변형 위치까지 제1 방향으로 접촉부가 이동하는 동안 제1 피봇부에 대해 탄성 아암부를 변형하고, 제1 변형 위치를 넘어 제1 방향으로 접촉부가 더 이동하는 동안 제2 피봇부에 대해 접촉부를 변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커넥터의 단자의 등각 사시도이다.
도3은 조립 전 복수의 단자 및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한 도1의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4는 커넥터 하우징에 조립된 단자를 구비한 도1의 커넥터의 등각도이다.
도5a는 압축 스트로크의 시작시 유연 회로에 조립된 커넥터 단자의 일 단부를 구비한 도1의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5b는 단자가 제1 피봇부에 대해 피봇하는 압축 스트로크의 시작시 도1의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5c는 단자가 제2 피봇부에 대해 피봇하는 압축 스트로크의 단부 근처의 도1의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5d는 압축 스트로크의 종료시 유연 회로 및 PCB 사이에 조립되는 도1의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첨부되는 도면을 고려하여 이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본 발명의 더욱 완전한 목적 및 이에 따르는 효과들이 달성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의 개략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커넥터(10)에 따른 커넥터(10) 단자(30)의 등각 사시도를 도시한다. 커넥터(10)는 커넥터 하우징(20) 및 하우징(20) 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 단자(30)를 포함한다. 설명을 위해, 단 하나의 단자(30)만 대부분의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실시예에서 통상적으로 하우징(20)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단자(30)가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넥터 단자(30)는 탄성아암부(32), 지지부(36)를 가진다. 제1 피봇부(34)는 탄성아암부(32)와 지지부(36) 사이에 배치된다. 커넥터 단자(30)를 통해 전기 신호를 전달하도록 커넥터 단자(30)는 전기 전도성 물질로 만들어진다. 커넥터 단자(30)는 인청동, 베릴륨 구리와 같은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잇으며, 스탬핑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탄성아암부(32)는 일 단부에 아치형 접촉부(31)를 가지며, 통상적으로 신장 가능하다. 제1 피봇부(34)는 탄성아암부(32)의 대향 단부에 위치한다. 접촉부(31)는 탄성아암부(32)의 단부에 아치형 부분의 형태이다. 아치형 부분의 상면은 조립하는 동안 PCB 기판의 접촉 패드와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접촉부(31)의 형태는 접촉 패드의 형태와 모양에 좌우되며, 이에 따라 접촉부(31)의 형태는 기술한 것처럼 아치형 부분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접촉부(31)의 아치형 부분은 접촉 부(31)를 탄성아암부(32)에 연결하는 약간 경사진 방향으로 테이퍼진다. 탄성아암부(32)는 아치형 부분의 테이퍼부에 통상 수직한 평면에서 연장된다. 커넥터 단자(30)가 커넥터 하우징(20)에 배열되는 때, 탄성아암부(32)는 도1에 도시된 것처럼 커넥터 하우징(20)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수평면에 놓여 있다. 접촉부(31)는 탄성아암부(32)의 평면 위의 평면에 놓여 있다. 제1 피봇부(34)는 통상 탄성아암부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피봇부(34)는 커넥터 단자(30)와 일체이다. 제1 피봇부(34)는 커넥터 단자(30)의 U자 형태 부분이며, 커넥터 단자(30)의 압축 동안 하향 힘이 탄성아암부(32)의 접촉부(31)에 인가되는 때 탄성아암부(32)가 구부러지거나 변형하는 지점으로 작용한다. 탄성아암부(32)의 대향 단부는 U자 형태의 부분을 형성하도록 구부러진다. 커넥터 단자(30)가 압축될 때, 제1 피봇부(34)는 지지아암부(34)의 구부러짐이나 변형에 탄성적으로 저항한다. 탄성부(32)의 변형은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지지부(36)는 일 단부에 꼬리부(38)를 가지며, 신장 가능하다. 커넥터 단자(30)가 커넥터 하우징(20)에 배열되는 때 꼬리부가 지지부(36)의 직선 부분의 평면 아래에 있는 평면에 놓일 수 있을 정도로, 지지부(36)의 대향 단부는 꼬리부(38)를 형성하도록 구부러진다. 꼬리부(38)의 형태는 유연 회로 접촉 패드(45)(도5a 내지 도5d에 도시됨)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꼬리부(38)는 재료의 직선 스트립 형태이다. 지지부(36)의 대향 단부는 이전에 언급한 U자 형태의 부분(즉, 제1 피봇부(34))을 형성하도록 구부러진다. 따라서, 탄성아암부(32)가 지지부(36) 바로 위에 있도록, 커넥터 단자(30)의 U자 형태 부분의 형태인 제1 피 봇부(34)는 탄성아암부(32)와 지지부(36)를 연결한다. 지지부(36)는 탄성아암부(32)와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커넥터는, 탄성아암부(32)가 변형될 때 탄성아암부(32)가 구부러지거나 변형되는 점으로서 작용하는 제2 피봇부(35)를 더 포함한다. 제2 피봇부에 대한 탄성아암부(32)의 변형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제2 피봇부(35)는 제1 피봇부(34)와 접촉부(31) 사이에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피봇부(35)는 탄성아암부(32)와 일체이며, 아치형 접촉부(31)가 탄성아암부(32)의 직선 부분을 형성하도록 테이퍼지는 탄성아암부(32) 부분 근처에 위치한다. 제2 피봇부(35)는 탄성아암부(32)의 직선 부분 표면으로부터 탄성아암부(32)와 지지부(36)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하는 돌기부의 형태이다. 따라서, 탄성아암부(32)가 변형되는 때, 제2 피봇부(35)는 지지부(36)에 대해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돌기부는 도2에 도시된 것처럼 탄성아암부(32)의 표면에 딤플(dimple)로 형성된다.
커넥터 하우징(20)은 복수의 공동(22)을 구비한 대체로 장방형의 블록이다. 각각의 공동(22)은 커넥터 단자(30)를 수용한다. 커넥터 하우징(20)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 물질로부터 만들어진다. 측면에서 도시한 때, 커넥터 하우징(20)은 대체로 장방형의 단면(도1에 빗급친 부분으로 도시됨)을 가진다. 커넥터 하우징(20)은 세 개의 벽, 즉 상벽(24), 후벽(23), 하벽(26)을 포함한다. 상벽(24) 및 하벽(26)은 수평면에 놓여 있으며,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후벽(23)은 상벽(24)을 하벽(26)에 결합하는 수직 평면에 놓여 있다. 따라서, 공동은 상벽, 후벽, 하벽(24, 24, 26)에 의해 측면에 있다. 커넥터 하우징(20)의 상벽 (24)이 탄성아암부(32) 바로 위에 있고 지지부(36)가 커넥터 하우징(20)의 하벽(26) 내부 표면에 놓이도록, 커넥터 단자(30)는 커넥터 하우징(20)의 공동(22)으로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다. 커넥터 단자(30)의 U자 형태의 부분(즉, 제1 피봇부(35))은 커넥터 하우징(20)의 후벽(23)에 가깝다. 탄성아암부(32)의 접촉부(31) 및 꼬리부(38)는 커넥터 하우징(20)의 공동(22)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된다. 또한, 접촉부(31)는 커넥터 하우징(20)의 상벽(24) 평면 위의 평면에 놓여 있다. 꼬리부(38)가 하벽(26)의 외부 표면과 동일 평면에 놓이도록, 지지 부재(36)는 하벽(26)의 두께를 수용하도록 아래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커넥터 하우징(20)의 하벽(26)은 커넥터 하우징(20)을 캐스팅(60)(도5a 내지 도5d에 도시됨)에 장착하도록 하는 장착 핀(29)을 가진다.
도3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공동(22)은 커넥터 하우징(20)에 일체인 분리 벽(28)에 의해 인접 공동으로부터 분리된다. 분리 벽(28)은 후벽(23)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대체로 장방형의 스트립이며, 상벽(24)과 하벽(26)의 길이를 넘어 돌출한다. 이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것처럼 일측에 콤(comb) 형태의 프로파일을 가지는 커넥터 하우징(20)이 되게 한다. 커넥터 단자(30)의 임의의 수평 이동의 경우 분리 벽(28)은 각각의 커넥터 단자(30)가 인접 커넥터 단자(30)로부터 절연되는 것을 확실히 한다.
도4는 커넥터 하우징(20) 내에 장착된 복수의 커넥터 단자(30)를 구비한 커넥터(10)의 등각 사시도를 도시한다. 분리 벽(28)은 커넥터 단자(30)의 각각의 접촉부(31) 사이에 연장된다. 커넥터 단자(30)는 하우징(20)의 공동(22)으로 강제로 끼워질 수 있다. 커넥터 단자(30)는 래치 형상을 이용하는 프레스 피팅(press-fitting)과 같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그리고 하우징으로 단자를 오버몰딩(over-molding)함으로써 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다.
도5a 내지 도5d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도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PCB(50)의 조립시 커넥터 단자(30)가 압축되는 방법을 도시한 일련의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10)는 유연 회로(40)에 PCB(5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사용된다. 그러나, 두 회로는 실시예의 요구조건에 따라 PCB이거나 다양한 형태의 인쇄 회로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유연 회로(40) 및 PCB(50)는 각각 그 전체 표면을 통해 접촉 패드(45, 55)의 형태로 복수의 전기 포인트를 포함한다. 그러나, 설명을 위해, 단지 하나의 패드만 유연 회로(40) 및 PCB(50)에 도시되어 있다.
도5a는 PCB(50)가 장착되기 전 도1에 도시된 커넥터(10)의 커넥터-PCB 조립체(500)를 도시한다. PCB(50)를 장착하기 전에, 유연 회로(40)는 우선 캐스팅(60)에 장착된다. 캐스팅(60)은 유연 회로(40)용 지지부를 제공하고, PCB(50)를 장착하도록 각 단부에 내부 나사산 보스(63)를 가진다. 커넥터 하우징(20)의 기부(26)로부터 돌출하는 장착 핀(29)을 유연 회로(40)로부터 캐스팅(60)으로 연장되는 보어(66)에 끼움으로써, 커넥터(10)는 유연 회로(40)의 상부 및 캐스팅(60)에 장착된다. 커넥터(10)가 장착되는 때, 단자(30)의 꼬리부(38)는 유연 회로 접촉 패드(45)와 접하고 정렬한다. 꼬리부(38)의 형태 및 크기는 유연 회로 접촉 패드(45)의 형태에 따르며, 도5a 내지 도5d에 도시된 구성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커넥터(10)를 유연 회로(40) 및 캐스팅(60)에 장착시, 커넥터 단자(30)의 꼬리부(38) 는 유연 회로 접촉 패드(45) 위로 용접된다.
PCB(50)는, 도5b에 도시된 것처럼 PCB(50)의 각 단부에서 구멍을 통해 삽입되는 스크류(70)를 사용하는 캐스팅(60)에 그리고 캐스팅(60)에 나사산 보스(63) 각각으로 장착된다. PCB(50)가 캐스팅(60)에 장착되는 때, 접촉부(31)가 PCB 접촉 패드(55)와 접하도록 PCB 접촉 패드(55)는 커넥터 단자(30)의 접촉부(31)와 정렬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PCB 접촉 패드(55)가 접촉부(31)와 접함에 따라, 탄성아암부(32)는 초기 위치로부터 아래로 구부러지거나 변형하기 시작하며 제1 피봇부(34)에 대해 피봇한다. 이는 커넥터 단자(30)의 압축 스트로크가 시작하는 것을 나타낸다. 제1 피봇부(34)는 탄성아암부(32)가 구부러지거나 변형하는 주 피봇부로서 작용한다. 스크류(70)가 조여질 때, PCB(50)는 유연 회로(40) 및 캐스팅(60)을 향해 더 가까이 이동한다. 따라서, PCB 기판 접촉 패드(55)가 탄성아암부(32)의 접촉부(31)를 가압할 때, 탄성아암부(32)는 커넥터 단자(30)의 지지부(36)를 향해 변형한다. 탄성아암부(32)의 변형에 대한 저항에 대응되는 접촉 압력은 PCB 접촉 패드(55)에서 만들어진다. 즉, PCB 접촉 패드(55)가 탄성아암부(32)의 접촉부(31)에 대해 가압되는 때, 탄성아암부(32)는 반대로 PCB 접촉 패드(55)에 반작용력을 미친다. 낮은 높이의 커넥터(즉, 탄성아암부(32)와 지지부(36) 사이의 공간이 작음)에서, 단자(30)의 접촉부(31)와 PCB 접촉 패드(55) 사이에 양호한 접촉을 보장하고 유지하도록, 변형은 PCB 접촉 패드에 요구되는 접촉 압력을 만들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도5c에 도시된 것처럼 스크류(70)가 보스(63)로 더 삽입됨에 따라, 제2 피봇 부(35)(즉, 돌기)는 커넥터 단자(30)의 지지부(36)에 대해 가압할 때까지, 탄성아암부(32)는 더 변형된다. 제2 피봇부(35)는 탄성아암부(32)가 구부러지거나 변형하는 제2의 피봇으로 작용한다. 제2 피봇부(35)가 단자(30)의 지지부(36)에 대해 피봇할 때, 탄성아암부(32)의 효과적인 빔 길이(피봇과 인가력 사이의 수직 거리)는 짧아진다. 결과적으로, 단자(30)의 접촉부(31)에서 반작용력은 증가된다. 이는 PCB 접촉 패드(55)에 요구되는 접촉력이 충족되며, 단자(30)의 접촉부(32)와 PCB 접촉 패드(55) 사이의 양호한 접촉력이 유지된다.
제2 접촉부(35)가 제2의 피봇으로 작용하도록, 제2 접촉부(35)는 제1 피봇부(34)와 단자(30)의 접촉부(31) 사이의 어느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피봇부(35)는 탄성아암부(32)와 아치형 접촉부(31) 사이의 변환부 근처의 탄성아암부(32)에 위치한다. 제2 피봇부(35)의 위치는, 탄성아암부(32)의 제2의 피봇이 압축 스트로크 단부 근처에서 발생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는 탄성아암부(32)가 커넥터 단자(30)의 압축 동안 힘을 더 받는 것을 방지한다.
도5d는 PCB(50)가 캐스팅(60)에 완전히 조립되는 때의 PCB(50)를 도시한다. 커넥터 단자(30)는 PCB(50)와 유연 회로(40) 사이에서 충분히 압축된다. 스크류(70)는 완전히 조여진다. 이는 압축 스트로크의 종료를 의미한다.
도6 내지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다. (참조 번호가 다를지라도) 유사한 용어가 다른 실시예에서 커넥터의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사용된다.
도6은 측면에서 볼 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600)를 도시한 다. 커넥터(600)는 하우징(620)과 커넥터 단자(6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 하우징(620)은 도1의 커넥터 하우징(20)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 단자는, 일 단부에 제1 피봇부(634)를 가지고 대향 단부에 접촉부(631)를 가지는 신장 가능한 탄성암 부재(632)를 포함한다. 제1 피봇부(634)와 접촉부(631)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피봇부(635)는, 도1에 도시된 딤플(35)의 형태가 아니라 아치형 부분의 형태이다.
도7은 측면에서 볼 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700)를 도시한다. 커넥터(700)는 커넥터 하우징(720)과 하우징(720)에 배치된 커넥터 단자(7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 단자(730)는 대체로 신장 가능하다. 커넥터 단자(730)는 탄성아암부(732), 제1 피봇부(734), 제2 피봇부(735), 지지부(736)를 포함한다. 탄성아암부(732)는 아치형 접촉부(731)를 가진다. 제1 피봇부(734)는 탄성아암부(734)와 지지아암부(736) 사이에 배치된다. 제1 피봇부(734)는 도1에 도시된 것처럼 U자 형태의 부분이 아니라 날카로운 벤드의 형태이다. 제2 피봇부(735)는 탄성아암부(732)에 일체로 되어 있으며, 제1 피봇부(734)와 접촉부(731) 사이에 배치된다. 제2 피봇부(735)는 딤플의 형태이다.
지지부(736)는 제1 피봇부(734)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다. 탄성아암부(732)는 지지부에 대해 각도를 두고 배치된다. 이는 커넥터 단자(730)가 압축되는 때 탄성아암부(732)가 변형하게 한다. 따라서, 커넥터(700)는, 일 단부에 접촉부(731)를 가지고 대향 단부에 꼬리부(738)를 가지는 대체로 신장 가능한 측 프로파일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 하우징(720)은 그 길이를 따라 복수의 공동(723)을 가진다. 각각의 커넥터 단자(730)는 각 공동(723) 내에 수용된다. 각 공동(723)은 도7에 도시된 것처럼 분리 벽(728)에 의해 인접 공동으로부터 분리된다. 각 공동(723)은 기부(726), 기부(726)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상부(724)에 의해 형성된다. 상부(724)는 기부(726)의 폭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되며, 도7에 빗금친 영역으로 표시된 L자 형태의 단면을 만든다. 커넥터 단자(730)의 지지부(736)는 커넥터 하우징(720)의 상부(724) 및 하부(736) 사이에 배치된다.
커넥터 단자(730)가 커넥터 하우징(720)에 장착되는 때, 꼬리부(738)는 커넥터 하우징(720)으로부터 멀리 연장된다. 탄성아암부(732)는 커넥터 하우징(720)의 기부(726)에 대해 각도를 두고 공동 내에 연장된다. 커넥터 단자(730)가 압축되는 때 탄성아암부(732)가 변형하도록 탄성아암부(732)와 기부(736) 사이의 충분한 공차가 있을 정도로, 커넥터 단자(730)의 탄성아암부(732)는 위로 경사진다. 제2 피봇 동안, 제2 피봇부(735)는 커넥터 하우징(720)의 기부(726)에 대해 가압한다.
도8은 측면에서 볼 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800)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800)는 도7에 도시된 커넥터(700)와 유사하다. 커넥터(800)는 커넥터 하우징(820)과 커넥터 단자(8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 하우징(820) 및 커넥터 단자(830)의 형태 및 모양은, 도7에 도시된 커넥터(700)와 유사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피봇부(835)는 커넥터 하우징(800)의 기부(826)에 위치한다. 제2 피봇부는 딤플의 형태이다. 탄성아암부(832)의 변형시 제2 피봇부(835)가 제1 피봇부(834)와 커넥터 단자(800)의 접촉부(831) 사이의 위치에서 탄성아암부(832)와 접할 수 있는 위치에 제2 피봇부(835)가 위치한다.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900)를 도시한다. 커넥터(900)는 커넥터 하우징(920)과 커넥터 단자(9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 단자(930)는 도7에 도시된 커넥터 단자(730)와 대응된다. 커넥터 단자(930)는, 커넥터 단자(930)의 탄성아암부(932)로부터 돌출하는 딤플 형태의 제2 피봇부(93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평탄면을 가지는 상승부(925)는 커넥터 하우징(920)의 기부(926)에 배치된다. 상승부(925)는 제2 피봇부(935)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탄성암(932)이 변형되는 때, 제2 피봇부(935)는 기부(926)로부터 돌출하는 상승부(925)에 대해 가압한다. 제2 피봇부(935) 및 상승부(925)는, 탄성아암부(932)가 변형되는 때 제2 피봇부로 작용한다.
비록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실시예로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Claims (45)

  1.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 가능한 커넥터 단자 구성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이며,
    각각의 커넥터 단자 구성은,
    이동 가능한 탄성아암부, 탄성아암부의 일 단부에서 제1 전기 포인트를 연결하도록 하는 접촉부, 탄성아암부의 다른 단부에 연결되고 제2 전기 포인트를 연결하도록 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단자와,
    지지부에 대해 탄성아암부를 피봇하게 하는 제1 피봇부와,
    탄성아암부에 대해 접촉부를 피봇하게 하는 제2 피봇부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탄성아암부는 제1 방향으로 제1 변형 위치까지 접촉부가 이동하는 동안 제1 피봇부에 대해 변형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접촉부는 제1 변형 위치를 넘어 제1 방향으로 접촉부가 더 이동하는 동안 제2 피봇부에 대해 변형하도록 동작 가능한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피봇부는 탄성아암부를 지지부에 연결하고, 접촉부에 힘이 인가되는 경우 제1 피봇부는 탄성아암부의 변형을 탄성적으로 막는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아암부 및 지지부는 신장 가능한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부는 제1 전기 포인트와 접촉하기 위한 아치부를 가지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자는 탄성아암부와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피봇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제1 피봇부는 탄성아암부 및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커넥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제1 피봇부는 탄성아암부와 지지부를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피봇부는 탄성아암부와 지지부를 결합하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피봇부는 탄성아암부와 지지부를 결합하는 U자 형태의 부분을 포함하고, 탄성아암부는 지지부 위에 실질적으로 겹쳐지는 커넥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피봇부는 단자 및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의 위에 배치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단자 구성의 각각의 돌기부는 둥근 면을 가지는 커넥터.
  13. 제11항에 있어서, 단자 구성의 각각의 돌기부는 평탄 면을 가지는 커넥터.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자 구성의 각각의 돌기부는 중실인 커넥터.
  15.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자 구성의 각각의 돌기부는 중공인 커넥터.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자는 탄성아암부와 접촉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피봇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제2 피봇부는 탄성아암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커넥터.
  18.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제2 피봇부는 지지부와 접하는 탄성아암부의 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커넥터.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피봇부는 탄성아암부의 굴곡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20. 제19항에 있어서, 굴곡부는 아치형인 커넥터.
  21.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피봇부는 지지부에 대해 피봇하도록 동작 가능한 커넥터.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피봇부는 하우징에 배치되는 커넥터.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아암부는 지지부에 대해 각도를 두고 배치되는 커넥터.
  24.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아암부는 지지부와 살질적 으로 평행인 커넥터.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넥터 단자는 전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넥터 하우징은 전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자는 신장형이고, 지지부로부터 대향 단부에 접촉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넥터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공동을 포함하며, 개별적인 공동에 배치된 개별적인 커넥터 단자 구성을 구비하는 커넥터.
  29. 제28항에 있어서, 인접한 공동들 사이에 분리 벽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개별 공동은 기부로부터 이격되는 루프부에 의해 형성되고, 공동 내부에 배치되는 커넥터 단자 구성의 탄성아암부 및 지지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31.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아암부는 제2 전기 포인트와 접촉하기 위해 지지아암부의 자유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꼬리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32. 적어도 제28항의 종속항인 제31항에 있어서, 단자의 접촉부 및 꼬리부는 개별 공동으로부터 돌출하는 커넥터.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꼬리부는 단자의 제1 자유 단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34.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부는 단자의 제2 자유 단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35.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조립체에 하우징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핀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36. 제1 회로와,
    제2 회로와,
    제1 회로를 제2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커넥터는 제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형성되는 조립체.
  37. 제36항에 있어서, 커넥터는 제1 및 제2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장착되며,
    제1 전기 회로는, 하나 이상의 접촉부가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전기 포인트를 포함하고,
    제2 전기 회로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가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전기 포인트를 포함하는 조립체.
  38. 제37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탄성아암부는 각각의 제1 피봇부에 대해 피봇되고,
    하나 이상의 접촉부는 각각의 제2 피봇부에 대해 피봇되는 조립체.
  39. 제36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회로는 인쇄 회로 기판인 조립체.
  40. 제36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회로는 유연 회로인 조립체.
  41. 상기 제36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형성되는 조립체를 연결하는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제1 회로의 하나 이상의 제1 전기 포인트를 커넥터의 하나 이상의 접촉부와 접촉하는 단계와,
    제2 회로의 하나 이상의 제2 전기 포인트를 커넥터의 하나 이상의 지지아암부와 접촉하는 단계와,
    제1 회로를 커넥터의 하나 이상의 접촉부로부터 편향력에 대항하여 이동하고, 제1 변형 위치까지 제1 방향으로 접촉부가 이동하는 동안 제1 피봇부에 대해 탄성아암부를 변형하고, 제1 변형 위치를 넘어 제1 방향으로 접촉부가 더 이동하는 동안 제2 피봇부에 대해 접촉부를 변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편향력에 대항하여 제1 회로를 이동시키기 전에 커넥터를 제2 회로에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3.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제1 회로를 커넥터에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제1 회로를 커넥터에 장착하는 단계는 편향력에 대항하여 제1 회로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5. 제41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회로를 편향력에 대항하여 이동시키는 단계는 제1 회로를 아래로 나사 조임으로써 달성되는 방법.
KR1020067002082A 2003-08-01 2004-07-30 커넥터 KR200600399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200304106 2003-08-01
SG200304106-8 2003-08-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930A true KR20060039930A (ko) 2006-05-09

Family

ID=34114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2082A KR20060039930A (ko) 2003-08-01 2004-07-30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06494B2 (ko)
JP (1) JP2007501498A (ko)
KR (1) KR20060039930A (ko)
CN (1) CN1830120A (ko)
WO (1) WO2005013430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6743A (ko) * 2015-08-04 2017-02-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170035777A (ko) * 2015-09-08 2017-03-31 애플 인크. 낮은-프로파일의 스프링-장착 콘택트들
US9778705B2 (en) 2015-09-04 2017-10-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moveable contacts at an exterior surface
US10224661B2 (en) 2015-09-08 2019-03-05 Apple Inc. Low-profile spring-loaded contacts
US10579097B2 (en) 2015-09-04 2020-03-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contacts flush with hous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28503A1 (en) * 2005-06-17 2007-01-30 Fci Asia Technology Pte Ltd Compression connector
SG130069A1 (en) * 2005-08-31 2007-03-20 Fci Asia Technology Pte Ltd Compression connector
SG130974A1 (en) * 2005-09-28 2007-04-26 Fci Asia Technology Pte Ltd A terminal and a method for inserting the terminal into a compression connector housing
SG135983A1 (en) * 2006-03-09 2007-10-29 Fci Asia Technology Pte Ltd Compression connector
FI120069B (fi) * 2006-10-20 2009-06-15 Perlos Oyj Board-to-board liitin ja sovitelma kahden piirilevyn yhteydessä
US20080153347A1 (en) * 2006-12-20 2008-06-26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Battery Connector
JP5238928B2 (ja) * 2007-04-19 2013-07-17 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給電端子構造
JP5684710B2 (ja) * 2008-09-23 2015-03-18 アンフェノール コーポレイション 高密度電気コネクタ
JP5023286B2 (ja) * 2008-10-20 2012-09-12 北川工業株式会社 表面実装コンタクト
JP2010153260A (ja) * 2008-12-25 2010-07-08 Mitsumi Electric Co Ltd コネクタ
JP5972645B2 (ja) 2012-04-04 2016-08-17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接続方法
JP2014071964A (ja) * 2012-09-27 2014-04-21 Fujitsu Component Ltd コンタクト部材
JP2017514272A (ja) * 2014-04-10 2017-06-01 ジェンサーム ゲーエムベーハー 電気的接続装置及び電気的接触装置
US9948018B2 (en) 2015-09-08 2018-04-17 Apple Inc. Low-profile power and data contacts
US10707627B2 (en) 2017-09-29 2020-07-07 Apple Inc. Hybrid connector
US10348015B2 (en) 2017-11-13 2019-07-09 Te Connectivity Corporation Socket connector for an electronic package
JP7161463B2 (ja) 2019-10-10 2022-10-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114552251A (zh) * 2020-11-26 2022-05-27 莫列斯有限公司 端子及插座连接器
US20230087891A1 (en) * 2021-09-23 2023-03-23 Apple Inc. Pass-through connectors for connector systems
JP7450658B2 (ja) * 2022-04-08 2024-03-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ケーブル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8102A (en) * 1979-10-04 1981-05-19 Amp Incorporated Low impedance electrical connecting means for spaced-apart conductors
US4761140A (en) * 1987-02-20 1988-08-02 Augat Inc. Minimum insertion force self-cleaning anti-overstress PLCC receiving socket
JPH046134Y2 (ko) * 1987-02-26 1992-02-20
JP2626868B2 (ja) 1993-03-08 1997-07-0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の端子及びその製造方法
GB9513540D0 (en) * 1995-07-04 1995-09-06 Elco Europ Ltd Electrical connectors
JP2850109B2 (ja) * 1995-07-12 1999-01-27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接続用端子
TW330739U (en) 1995-10-11 1998-04-21 Hon Hai Prec Ind Co Ltd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I)
US6036502A (en) * 1997-11-03 2000-03-14 Intercon Systems, Inc. Flexible circuit compression connector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00150044A (ja) * 1998-11-10 2000-05-30 Sumitomo Wiring Syst Ltd 雌側端子金具
US6888362B2 (en) * 2000-11-09 2005-05-03 Formfactor, Inc. Test head assembly for electronic components with plurality of contoured microelectronic spring contacts
US6203331B1 (en) 1999-11-05 2001-03-2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Land grid array connector having a floating housing
US6811406B2 (en) * 2001-04-12 2004-11-02 Formfactor, Inc. Microelectronic spring with additional protruding member
SG99960A1 (en) * 2001-11-23 2003-11-27 Fci Asia Technology Pte Ltd Electrical connector
TW559355U (en) * 2002-10-25 2003-10-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6994565B2 (en) * 2003-07-14 2006-02-07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tact assembly with insulative carrier, stapled contact attachment and fusible element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6743A (ko) * 2015-08-04 2017-02-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9778705B2 (en) 2015-09-04 2017-10-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moveable contacts at an exterior surface
US10082840B2 (en) 2015-09-04 2018-09-25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moveable contacts at an exterior surface
US10317953B2 (en) 2015-09-04 2019-06-11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moveable contacts at an exterior surface
US10579097B2 (en) 2015-09-04 2020-03-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contacts flush with housing
KR20170035777A (ko) * 2015-09-08 2017-03-31 애플 인크. 낮은-프로파일의 스프링-장착 콘택트들
US9893452B2 (en) 2015-09-08 2018-02-13 Apple Inc. Low-profile spring-loaded contacts
US10050368B2 (en) 2015-09-08 2018-08-14 Apple Inc. Low-profile spring-loaded contacts
KR20180124815A (ko) * 2015-09-08 2018-11-21 애플 인크. 낮은 프로파일의 스프링 장착 콘택트들
US10224661B2 (en) 2015-09-08 2019-03-05 Apple Inc. Low-profile spring-loaded conta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52287A1 (en) 2006-11-09
CN1830120A (zh) 2006-09-06
US7306494B2 (en) 2007-12-11
WO2005013430A1 (en) 2005-02-10
JP2007501498A (ja) 200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39930A (ko) 커넥터
US1135588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9577379B2 (en) Connector
US5378160A (en) Compliant stacking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8123574B2 (en) Contact having increased resilience for use with electrical connector
US7658636B2 (en)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USRE33268E (en) Chip carrier socket having improved contact terminals
US7140896B2 (en) Connector
CN212085282U (zh) 端子总成以及电连接器
US7258561B2 (en) Connector having a pivoting member with enhanced dust proofing
US10193260B1 (en) Multi-contact connector
US11233346B2 (en) Board-to-board connector
KR101221840B1 (ko) 커넥터
US20090011623A1 (en) Low profile board-mounted connector
US6957987B2 (en) Socket connector for integrated circuit
US6299458B1 (en) Intermediate electrical connector
US7341470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US4232923A (en) Electrical connector
US3601782A (en) Printed circuit edge connector
KR100515993B1 (ko) 전기 커넥터용 접촉자 및 그 접촉자를 구비한 전기커넥터
KR100567587B1 (ko) 접지 연결용 홀드다운을 갖춘 전기 커넥터
CN114402488A (zh) 用于接触触针的端子
CN1043831A (zh) 电气接插件
KR20000011759A (ko) 평면회로용의납작한형태의전기커넥터
JP7231099B1 (ja) 可動コネクタ、可動コネクタ用ターミナル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