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6743A -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6743A
KR20170016743A KR1020150110220A KR20150110220A KR20170016743A KR 20170016743 A KR20170016743 A KR 20170016743A KR 1020150110220 A KR1020150110220 A KR 1020150110220A KR 20150110220 A KR20150110220 A KR 20150110220A KR 20170016743 A KR20170016743 A KR 20170016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tab
conductive pad
connecto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5752B1 (ko
Inventor
박한규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0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752B1/ko
Priority to US15/217,877 priority patent/US10559804B2/en
Publication of KR20170016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7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2/202
    • H01M2/26
    • H01M2/3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incorporated circuit board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tamped-out resilient tongue snapping behind shoulder in base or ca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전지군, 제2 전지군, 상기 제1 전지군의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1 커넥터 단자, 상기 제1 전지군의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2 커넥터 단자, 상기 제2 전지군의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1 커넥터 단자 및 상기 제2 전지군의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2 커넥터 단자;를 구비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커넥터 단자와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는 물리적으로 서로 떨어질 수 있도록 접촉되고, 상기 제1-2 커넥터 단자와 상기 제2-2 커넥터 단자는 물리적으로 서로 떨어질 수 있도록 접촉되는 배터리 팩을 구현하여 복수의 전지군의 병렬 연결이 물리적으로 해제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팩 {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차 전지를 구비한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는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지이다. 상기 이차 전지는 발전소와 같은 기존의 전력계통은 물론 태양 에너지 기타 신재생 에너지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충전될 수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은 전자기기는 물론 자동차나 전력공급이 필요한 대형 설비에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필요에 따라 고출력 또는 고용량의 전력저장장치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이차 전지를 복수로 직렬 및/또는 병렬 연결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력저장장치는 필요에 따라 이차 전지의 충전 및/또는 방전을 제어하고 과충전 및/또는 과방전을 방지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병렬 연결된 복수의 전지 또는 전지군의 전극 커넥터 단자가 서로 떨어질 수 있도록 접촉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지의 전극 커넥터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전지를 구비하는 제1 전지군; 적어도 하나의 전지를 구비하는 제2 전지군; 상기 제1 전지군 및 상기 제2 전지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에 구비되고 복수의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커넥터 단자는, 상기 제1 전지군의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1 커넥터 단자; 상기 제1 전지군의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2 커넥터 단자; 상기 제2 전지군의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1 커넥터 단자; 및 상기 제2 전지군의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2 커넥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1 커넥터 단자와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는 물리적으로 서로 떨어질 수 있도록 접촉되고, 상기 제1-2 커넥터 단자와 상기 제2-2 커넥터 단자는 물리적으로 서로 떨어질 수 있도록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1 커넥터 단자는 일 실시예로서,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에 노출된 상태로 고정된 도전성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는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1 커넥터 단자의 도전성 패드를 향해 볼록하게 구부러지고 상기 도전성 패드와 접촉되는 접속 탭; 및 상기 접속 탭에서 연장되고 상기 접속 탭이 상기 도전성 패드에서 떨어질 수 있도록 탄성이 있는 지지 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일 실시예로서 상기 지지 탭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탭 삽입공이 구비되고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커넥터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탭 삽입공 내면에 구비된 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탭은 상기 고정 돌기가 삽입되는 고정 홈을 포함하여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가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탭은 일 실시예로서, 상기 탭 삽입공의 내면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끝에서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되는 탭 절곡부; 및 상기 탭 절곡부에서 상기 탭 삽입공의 내면을 따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탭 절곡부는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방향을 향해 볼록한 곡면으로 굽은 모양일 수 있다.
상기 탭 삽입공은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도전성 패드가 상기 접속 탭과 접촉되는 면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도전성 패드가 상기 접속 탭과 접촉되는 면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도전성 패드를 향해 가까워지거나 상기 도전성 패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탭 삽입공 밖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접속 탭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탭 절곡부는 상기 접속 탭의 반대쪽에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2 지지부와 접하는 상기 탭 삽입공의 내면에 구비된 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고정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 돌기가 삽입되는 고정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탭 삽입공 밖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2 커넥터 단자는 일 실시예로서,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에 노출된 상태로 고정되는 도전성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2 커넥터 단자의 도전성 패드는 상기 제1-1 커넥터 단자의 도전성 패드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2 커넥터 단자는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2 커넥터 단자의 도전성 패드를 향해 볼록하게 구부러지고 상기 도전성 패드와 접촉되는 접속 탭; 및 상기 제1-2 커넥터 단자의 접속 탭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2 커넥터 단자의 접속 탭이 상기 제2-2 커넥터 단자의 도전성 패드에서 떨어질 수 있도록 탄성이 있는 지지 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전지를 구비하는 제3 전지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전지군은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커넥터 단자는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3 전지군의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1 커넥터 단자; 및 상기 제3 전지군의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2 커넥터 단자;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1 커넥터 단자는 상기 제1-1 커넥터 단자와 물리적으로 서로 떨어질 수 있도록 접촉되고, 상기 제 3-2 커넥터 단자는 상기 제2-2 커넥터 단자와 물리적으로 서로 떨어질 수 있도록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3-1 커넥터 단자는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1 커넥터 단자의 도전성 패드를 향해 볼록하게 구부러지고, 상기 제1-1 커넥터 단자의 도전성 패드와 접촉되고,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의 접속 탭과 이격되어 배치된 접속 탭; 및 상기 제3-1 커넥터 단자의 접속 탭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3-1 커넥터 단자의 접속 탭이 상기 제1-1 커넥터 단자의 도전성 패드에서 떨어질 수 있도록 탄성이 있는 지지 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2 커넥터 단자는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2 커넥터 단자의 도전성 패드를 향해 볼록하게 구부러지고, 상기 제2-2 커넥터 단자의 도전성 패드와 접촉되고, 상기 제1-2 커넥터 단자의 접속 탭과 이격되어 배치된 접속 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2 커넥터 단자는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3-2 커넥터 단자의 접속 탭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3-2 커넥터 단자의 접속 탭이 상기 제2-2 커넥터 단자의 도전성 패드에서 떨어질 수 있도록 탄성이 있는 지지 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전지군 중 적어도 하나는 직렬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전지 또는 전지군의 병렬 연결을 물리적으로 간단하게 끊거나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결합구조가 간단하고 탈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외부장치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실시예의 복수의 전지의 연결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실시예의 보호회로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실시예의 커넥터 부근의 측면도,
도 6은 도 4의 보호회로모듈에 구비된 커넥터의 부분 사시도,
도 7은 도 6의 Ⅰ-Ⅰ' 방향 단면도,
도 8은 도 2의 실시예의 제1-1 커넥터 단자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이차전지는,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어떤 구성의 전지여도 좋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원통형의 이차 전지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형 전지 또는 파우치형 전지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이 외부장치(10)에 연결되는 경우의 복수의 전지의 연결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전지 군(110, 120, 130), 복수의 전지 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호회로모듈(200), 상기 복수의 전지 군을 수납하고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고정하는 전지 홀더(151)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전지 군은 제1 전지군(110), 제2 전지군(130) 및 제3 전지군(1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전지 군이 세 개의 전지 군을 포함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두 개의 전지 군을 포함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 전지 군이 5개의 전지를 포함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전지 군이 적어도 하나의 전지를 포함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지군(110)은 직렬 연결된 5개의 전지(111, 112, 113, 114, 115)를 구비하며, 제1 전극(118)과 제2 전극(119)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지군의 제1 전극은 5개의 전지(111, 112, 113, 114, 115)가 직렬 연결된 상태에서의 양극이며, 상기 제1 전지군의 제2 전극은 5개의 전지(111, 112, 113, 114, 115)가 직렬 연결된 상태에서의 음극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전지군(130)은 직렬 연결된 5개의 전지(131, 132, 133, 134, 135)을 구비하며 제1 전극(138) 및 제2 전극(139)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전지군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상기 5개의 전지(131, 132, 133, 134, 135)가 직렬 연결된 상태에서의 양극 및 음극이다. 상기 제3 전지군(120)은 직렬 연결된 5개의 전지(121, 122, 123, 124, 125)를 구비하며 제1 전극(128) 및 제2 전극(129)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전지군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상기 5개의 전지(121, 122, 123, 124, 125)가 직렬 연결된 상태에서의 양극 및 음극이다.
상기 제1 전지군의 제1 전극(118), 상기 제2 전지 군의 제2 전극(138) 및 상기 제3 전지 군의 제1 전극(128)은 서로 극성이 동일하며, 양극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음극이어도 좋다. 각 전지 군의 제1 전극이 음극인 경우 각 전지 군의 제2 전극은 양극이 된다. 상기 제1 전지군의 제2 전극(119), 상기 제2 전지군의 제2 전극(139) 및 상기 제3 전지군의 제2 전극(129)는 서로 극성이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전지군의 제1 전극이 양극이고 각 전지군의 제2 전극이 음극인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제1 전지 군이 하나의 전지를 구비하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이 아님은 상술하였으며, 하나의 전지를 구비하는 경우 그 전지의 음극 및 양극은 제1 전지군의 음극 및 양극이 될 것이다. 이는 제2 전지 군 및 제3 전지군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전지군(110)은 5개의 전지(111, 112, 113, 114, 115)가 복수의 리드 탭(162, 163, 164, 165)에 의해 서로 직렬로 연결된다. 복수의 리드 탭(162, 163, 164, 165)은 각 전지의 전극단자에 접촉하여 전지를 서로 직렬 연결한다. 또한 복수의 리드 탭(162, 163, 164, 165)은 일단부가 회로기판(210)에 삽입되어 회로기판의 도전성 패턴(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전지군의 제1 전극(118)은 제1 전지군 양극 리드탭(161)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전지군의 제2 전극(119)은 제1 전지군 음극 리드탭(166)과 연결된다. 상기 제1 전지군 양극 리드탭(161)과 상기 제1 전지군 음극 리드탭(166)은 각각의 일단부가 회로기판(210)에 삽입되어 회로기판의 도전성 패턴(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리드 탭(162, 163, 164, 165)은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전지군의 복수의 전지를 직렬로 연결하기 위한 어떠한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전지군 양극 리드탭(161) 및 상기 제1 전지군 음극 리드탭(166)은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전지군의 양극 및 음극을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어떠한 구성이어도 좋다. 이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2 전지군에 구비되는 리드탭 및 제3 전지군에 구비되는 리드탭에서도 동일하다.
상기 제2 전지군(130)은 5개의 전지(131, 132, 133, 134, 135)가 복수의 리드 탭(182, 183, 184, 185)에 의해 서로 직렬로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3 전지군(120)은 5개의 전지(121, 122, 123, 124, 125)가 복수의 리드 탭(172, 173, 174, 175)에 의해 서로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제2 전지군의 제1 전극(138)에 제2 전지군 양극 리드탭(181)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전지군의 제2 전극(139)에 제2 전지군 음극 리드탭(186)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3 전지군의 제1 전극(128)에 제3 전지군 양극 리드탭(171)이 연결되고 상기 제3 전지군의 제2 전극(129)에 제3 전지군 음극 리드탭(176)이 연결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전지군 각각의 제1 전극은 상기 보호회로모듈(200)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전지군 각각의 제2 전극은 상기 보호회로모듈(200)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전지군이 서로 병렬로 연결된다.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전지군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전지는 제1 전극판 및 제2 전극판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시킨 전극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원통형의 캔에 밀봉한 것으로 이차 전지이다. 상기 복수의 전지는 전해액과 반응하여 전기 화학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는 어떠한 구성의 전지여도 좋으며, 예를 들어 리튬 폴리머 전지 또는 리튬 이온 전지일 수 있다. 이러한 전지의 구체적인 구성은 공지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지 홀더(151)는 제1 내지 제3 전지군 각각의 복수의 전지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원통형의 수납부가 서로 연결된 프레임이다. 상기 전지 홀더(151)는 제1 내지 제3 전지군 각각의 복수의 전지의 일단부에 구비된 단자가 노출되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지 홀더(151)은 상기 전지 홀더의 상면에 고정되고 암나사산이 형성된 로드(152, 153)를 더 포함한다. 상기 로드(152, 153)는 상기 회로기판(210)의 하면을 지지하며, 스크류(미도시)가 상기 회로기판(210)을 관통하여 상기 로드(152, 153)의 암나사산에 삽입되어 상기 회로기판(210)을 상기 전지 홀더(15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전지 홀더(151)는 예시적인 것으로 복수의 전지를 수납하고, 상기 보호회로모듈(200)을 고정하고 지지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이어도 좋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보호회로모듈(200)은 도전성 패턴(미도시)이 구비된 회로기판(210),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자(220) 및 커넥터(230)를 포함한다.
상기 회로기판(210)에는 상기 제1 전지군 양극 리드탭(161)이 삽입되는 홈(211)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전지군 양극 리드탭(161)은 단부가 상기 홈(211)에 삽입되고 용접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도전성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회로기판(210)에는 상술한 복수의 리드 탭과 각 전지 군의 양극 및 음극 탭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복수개 구비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자(220)는 상기 회로기판(210)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전지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기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회로를 구현한다. 상기 제어기능으로는, 상기 복수의 전지의 충전제어, 방전제어, 과충전 방지 제어, 과방전 방지 제어, 기타 안전 관련 제어, 센서 제어, 외부와의 통신제어 등 전지의 관리와 관련된 제어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로는 온도센서, 전압센서, 전류센서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상기 온도센서는 전지의 온도를 측정하는 등 상기 센서에 의해 안전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회로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자(220) 는 상기 복수의 전지의 보호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보호회로란, 이차 전지의 전압 또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서 충전 및 방전의 제어는 물론 과충전, 과방전, 단락, 역전압 등을 차단하여 전지를 보호할 수 있는 회로이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회로를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자(220)는 전계 효과 능동소자(FET: Field Effect Transistor),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양성온도소자(PCT: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스위칭 소자 등을 포함하여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고 회로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230)는 상기 제1 내지 제3 전지군 각각의 제1 및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전지군을 서로 병렬 연결하거나 병렬 연결을 끊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230)는 상기 배터리 팩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외부장치(10)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230)는 복수의 커넥터 단자와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커넥터 단자는 제1-1 커넥터 단자, 제1-2 커넥터 단자, 제2-1 커넥터 단자, 제2-2 커넥터 단자, 제3-1 커넥터 단자 및 제3-3 커넥터 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커넥터 단자는 각각 제1 내지 제3 전지군의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과 상기 회로기판(21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1 커넥터 단자는 상기 제1 전지군의 제1 전극(118)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2 커넥터 단자는 상기 제1 전지군의 제2 전극(119)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는 상기 제2 전지군의 제1 전극(138)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2 커넥터 단자는 상기 제2 전지군의 제2 전극(139)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3-1 커넥터 단자는 상기 제3 전지군의 제1 전극(128)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2 커넥터 단자는 상기 제3 전지군의 제2 전극(129)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1 커넥터 단자는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와 물리적으로 서로 떨어질 수 있도록 접촉되고 상기 제3-1 커넥터 단자와 물리적으로 서로 떨어질 수 있도록 접촉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2 커넥터 단자는 상기 제1-2 커넥터 단자와 물리적으로 서로 떨어질 수 있도록 접촉되고 상기 3-2 커넥터 단자와 물리적으로 서로 떨어질 수 있도록 접촉된다.
상기 제1-1 커넥터 단자가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 및 상기 제3-1 커넥터 단자와 모두 접촉되고 상기 제2-2 커넥터 단자가 상기 제1-2 커넥터 단자 및 상기 제3-2 커넥터 단자와 모두 접촉된 상태에서는 제1 내지 제3 전지군의 병렬 연결이 유지된다. 반대로 상기 제1-1 커넥터 단자가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 및 상기 제3-1 커넥터 단자와 접촉되지 않고 상기 제2-2 커넥터 단자가 상기 제1-2 커넥터 단자 및 상기 제3-2 커넥터 단자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내지 제3 전지군의 병렬 연결은 끊어진다.
상기 제1-1 커넥터 단자는 제1 도전성 패드(251) 및 팩 양극 단자(2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도전성 패드(251)와 상기 팩 양극 단자(242)는 양극 리드(241)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도전성 패드(251)는 상기 회로기판(210)의 상면에 노출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제1 도전성 패드(251)는 상기 회로기판(210)을 통해 상기 제1 전지군의 제1 전극(118)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도전성 패드(251)는 판상의 도전체이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1 도전성 패드의 면과 나란한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지칭하고 상기 제1 도전성 패드의 면에 수직한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지칭한다. 상기 제2 방향은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과 나란한 방향이다.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261)는 상기 제1 도전성 패드(251)를 향해 볼록하게 구부러지고 상기 제1 도전성 패드와 접촉하는 접속 탭(274) 및 상기 접속 탭에서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되는 지지 탭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탭은 상기 접속 탭이 상기 제1 도전성 패드(251)에서 떨어질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부재이다. 상기 지지 탭에 의해 상기 접속 탭은 도 5의 회살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 탭은 상기 접속 탭(274)의 일단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부(273), 상기 제1 지지부(273)에서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휘어진 탭 절곡부(272) 및 상기 탭 절곡부(272)에서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부(27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1 전지군의 복수의 전지(111, 112, 113, 114, 115)의 배열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회로기판(2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1 전지군의 115번 전지를 향하는 방향이고,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은 상기 제1 전지군의 111번 전지를 향하는 방향이다. 다만, 상기 제1 방향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도전성 패드(251)의 면과 평행한 어떠한 방향이어도 좋다.
상기 제1 지지부(273)와 상기 제2 지지부(271)는 상기 접속 탭(274)과 동일한 폭을 가진 전도성 탭으로,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상기 탭 절곡부(272)는 상기 제1 지지부(273)와 상기 제2 지지부(271)와 동일한 폭을 가진 전도성 탭으로 상기 제1 지지부(273)와 상기 제2 지지부(271)를 연결한다. 상기 탭 절곡부(272)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 탭으로, 상기 제1 지지부(273)가 상기 제2 지지부(271)를 향해 구부러질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지지부(273)에 연결된 상기 접속 탭(274)은 상기 탭 절곡부(272)에 의해서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복수의 커넥터 단자 및 상기 복수의 커넥터 단자를 대응되는 복수의 전지군의 각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선이 수용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제2-1 커넥터 단자(261), 제3-1 커넥터 단자(262), 제1-2 커넥터 단자(263) 및 제3-2 커넥터 단자(264)가 고정되는 하우징 몸체(235)와 상기 하우징 몸체(235) 위에 팩 양극 단자(242)와 팩 음극 단자(246)를 고정하는 상부 프레임(236, 237, 238)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몸체(235)는 대략적인 직육면체의 절연체로, 제2-1 커넥터 단자(261), 제3-1 커넥터 단자(262), 제1-2 커넥터 단자(263) 및 제3-2 커넥터 단자(264) 각각의 지지 탭이 삽입되는 4 개의 탭 삽입공(231, 232, 233, 234)이 구비된다. 상기 4 개의 탭 삽입공(231, 232, 233, 234)은 각각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 몸체(235)를 관통하여 연장되고, 내면이 대략적인 직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4 개의 탭 삽입공(231, 232, 233, 234)은 상기 회로기판(210)의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열된다.
상기 하우징 몸체(235)는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각각 돌출된 양극단자부(235A)와 음극단자부(235B)를 구비한다. 상기 양극단자부(235A)와 상기 음극단자부(235B)는 상기 회로기판(210)의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커넥터 단자들이 공간적으로 서로 떨어지도록 한다. 상기 양극단자부(235A)에는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261)가 삽입되는 제1 탭 삽입공(231)과 상기 제3-1 커넥터 단자(262)가 삽입되는 제2 탭 삽입공(232)이 구비되고, 상기 음극단자부(235B)에는 상기 제1-2 커넥터 단자(263)가 삽입되는 제3 탭 삽입공(233)과 상기 제3-2 커넥터 단자(264)가 삽입되는 제4 탭 삽입공(234)이 구비된다.
상기 4 개의 탭 삽입공(231, 232, 233, 234)은 구비되는 위치가 다를 뿐 형상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제1 탭 삽입공(231)과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261)의 연결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 탭 삽입공(231)은 상기 양극단자부(235A)에서 그 반대면까지 상기 하우징 몸체(235)를 제1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상기 양극단자부(235A) 쪽에 하나의 개구가 있고 그 반대쪽에 하나의 개구가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양극단자부(235A) 쪽에 구비된 개구를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한 개구라고 지칭하고, 상기 양극단자부(235A)의 반대쪽에 구비된 개구를 제1 방향을 향한 개구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상기 제1 탭 삽입공(231)은 양단의 개구를 포함하면 내면이 대략적인 직육각형 모양이며, 상기 제1 탭 삽입공(231)의 하면은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261)의 제1 지지부(273)가 안착되고, 상기 제1 탭 삽입공(231)의 상면은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261)의 제2 지지부(271)가 안착된다.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261)의 탭 절곡부(272)는 상기 제1 탭 삽입공(231)의 제1 방향을 향한 개구 쪽으로 볼록하게 구부러진 평면이다.
상기 제1 탭 삽입공(231)의 내면 천장에는 고정돌기(236)가 구비되고,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261)의 제2 지지부(271)에는 상기 고정돌기(236)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 홈(276)이 구비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돌기(236)는 상기 제1 탭 삽입공(231)의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한 개구쪽으로 경사지고 상기 제1 방향을 향한 개구쪽으로는 경사가 없이 연장된 대략적인 직각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261)는 상기 탭 절곡부(272) 부분부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탭 삽입공(231)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돌기(236)가 상기 고정홈(276)에 끼워지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된다.
상기 제2 지지부(271)는 상기 제1 탭 삽입공(231) 외부로 더 연장되어 상기 제2 지지부(271) 끝을 누르면 상기 고정돌기(236)를 상기 고정 홈(276)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261)를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간단하게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다.
이와 동일하게 상기 제3-1 커넥터 단자(262), 상기 제1-2 커넥터 단자(263), 상기 제3-2 커넥터 단자(264)는 각각 제2 내지 제4 탭 삽입공(232, 233, 234)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261) 및 상기 제2-2 커넥터 단자(262)는 각각의 접속 탭이 상기 양극 단자부(235A) 쪽에서 탭 삽입공 밖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1-2 커넥터 단자(263)와 상기 제3-2 커넥터 단자(264)는 각각의 접속 탭이 상기 음극 단자부(235B) 쪽에서 탭 삽입공 밖으로 노출된다.
상기 제3-1 커넥터 단자(262)는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261)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3-1 커넥터 단자(262)는 상기 제1 도전성 패드(251)를 향해 볼록하게 구부러진 접속 탭과 상기 접속 탭에서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되는 지지 탭을 포함한다. 상기 제3-1 커넥터 단자(262)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261)와 동일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도전성 패드(251)는 상기 양극단자부(235A)의 저면과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양극단자부(235A)의 폭 방향 길이와 동일한 폭을 갖는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도전성 패드(251)는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261) 및 상기 제3-1 커넥터 단자(262) 각각의 접속 탭과 접촉될 수 있을 정도의 넓이를 가지면 된다. 또한 상기 제1 도전성 패드(251)는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261) 및 상기 제3-1 커넥터 단자(262) 각각의 접속 탭과 접촉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양극단자부(235A)에 인접하여 배치되면 족하며 반드시 커넥터 하우징의 저면과 중첩될 필요는 없다.
제 2-2 커넥터 단자는 제2 도전성 패드(252) 및 팩 음극 단자(246)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도전성 패드(252)와 상기 팩 음극 단자(246)는 음극 리드(247)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 도전성 패드(251)는 상기 회로기판(210)의 상면에 노출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제1 도전성 패드(251)와 상기 회로기판의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2 도전성 패드(252)는 상기 회로기판(210)을 통해 상기 제2 전지군의 제2 전극(139)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 도전성 패드(252)는 판상의 도전체이다.
상기 제2 도전성 패드(252)는 상기 음극단자부(235B)의 저면과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음극단자부(235B)의 폭 방향 길이와 동일한 폭을 갖는다. 다만, 상기 제2 도전성 패드(252)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2 커넥터 단자(263) 및 상기 제3-2 커넥터 단자(264) 각각의 접속 탭과 접촉될 수 있을 정도의 넓이를 가지면 된다. 또한, 상기 제2 도전성 패드(252)는 상기 제1-2 커넥터 단자(263) 및 상기 제3-2 커넥터 단자(264) 각각의 접속 탭과 접촉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음극단자부(235B)에 인접하여 배치되면 족하며 반드시 커넥터 하우징의 저면과 중첩될 필요는 없다.
상기 제1-2 커넥터 단자(263) 및 제3-2 커넥터 단자(264)는 각각 제2 도전성 패드(262)를 향해 볼록하게 구부러진 접속 탭 및 상기 접속 탭에서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되는 지지 탭을 포함한다. 상기 제1-2 커넥터 단자(263) 및 제3-2 커넥터 단자(264)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261)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261)와 상기 제3-1 커넥터 단자(262)는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각 접속 탭이 상기 제1 도전성 패드(251)에서 분리되거나 접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2 커넥터 단자(263)와 상기 제3-2 커넥터 단자(264)는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각 접속 탭이 상기 제2 도전성 패드(252)에서 분리되거나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261)와 상기 제3-1 커넥터 단자(262)가 상기 제1 도전성 패드(251)와 접촉되고, 상기 제1-2 커넥터 단자(263)와 상기 제3-2 커넥터 단자(264)가 상기 제2 도전성 패드(252)와 접촉된 상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전지군(110, 130, 120)이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261)와 상기 제3-1 커넥터 단자(262)가 각각 상기 제1 도전성 패드(251)에서 떨어지고, 상기 제1-2 커넥터 단자(263)와 상기 제3-2 커넥터 단자(264)가 상기 제2 도전성 패드(252)에서 떨어지면 제1 내지 제3 전지군(110, 130, 120)의 병렬 연결은 해제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도전성 패드(251)와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261) 및 상기 제3-1 커넥터 단자(262) 사이에 절연체가 삽입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도전성 패드(252)와 상기 제1-2 커넥터 단자(263) 및 상기 제3-2 커넥터 단자(264) 사이에 절연체가 삽입되면 전지군들의 병렬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1 커넥터 단자(261)는 접속 탭(274)의 끝에서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가이드부(27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는 필요에 따라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부(275)는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261)의 접속 탭(274)과 상기 제1 도전성 패드(251) 사이에 절연체를 삽입하고자 할 때 이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이드부(275)에 별도의 부재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부(275)를 상방으로, 즉 상기 제1 도전성 패드(25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접속 탭(274)이 상기 제1 도전성 패드(251)로부터 떨어지게 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부(275)는 상기 제3-1 커넥터 단자(262), 상기 제1-2 커넥터 단자(263), 상기 제3-2 커넥터 단자(264)에도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몸체(235)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은 한 쌍의 프레임 기둥(236, 237) 및 상기 한 쌍의 프레임 기둥 사이를 연결하도록 연장되는 가로 프레임(238)을 포함한다. 한 쌍의 프레임 기둥(236, 237)은 상기 회로기판의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양단에 하나씩 구비된다. 상기 가로 프레임(238)은 하나의 프레임 기둥(236)에서 다른 하나의 프레임 기둥(237)까지 연장되며 팩 양극 단자(242), 팩 음극 단자(246)가 고정된다.
상기 팩 양극 단자(242)와 상기 팩 음극 단자(246)는 도전성 클립 형상으로, 외부장치(10)의 커넥터와 맞물려 상기 외부장치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팩 양극 단자(242)와 상기 팩 음극 단자(246)는 외부의 전력공급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전지군(110, 130, 120)이 충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복수의 전지군이 제1 전지군(110) 및 제2 전지군(120)을 포함하고, 복수의 커넥터 단자는 제1-1 커넥터 단자, 제1-2 커넥터 단자(263), 제2-1 커넥터 단자(261) 및 제2-2 커넥터 단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도 2의 실시예에서 제3 전지군(120) 및 상기 제3 전지군의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1 커넥터 단자(262) 및 제 3-2 커넥터 단자(264)가 생략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5개의 전지가 직렬 연결된 전지군이 2개가 되고 그 2개의 전지군이 서로 병렬 연결되는 구성이다. 이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도전성 패드(251)와 제2-1 커넥터 단자(261)가 서로 분리되고 제2 도전성 패드(252)와 제 1-2 커넥터 단자(263)가 서로 분리되어 제1 전지군(110)과 제2 전지군(130)의 병렬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110: 제1 전지군 118: 제1 전지군의 제1 전극
119: 제1 전지군의 제2 전극 130: 제2 전지군
138: 제2 전지군의 제1 전극 139: 제2 전지군의 제2 전극
151: 전지 홀더 200: 보호회로모듈

Claims (17)

  1. 적어도 하나의 전지를 구비하는 제1 전지군;
    적어도 하나의 전지를 구비하는 제2 전지군;
    상기 제1 전지군 및 상기 제2 전지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에 구비되고, 복수의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커넥터 단자는,
    상기 제1 전지군의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1 커넥터 단자;
    상기 제1 전지군의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2 커넥터 단자;
    상기 제2 전지군의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1 커넥터 단자; 및
    상기 제2 전지군의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2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커넥터 단자와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는 물리적으로 서로 떨어질 수 있도록 접촉되고, 상기 제1-2 커넥터 단자와 상기 제2-2 커넥터 단자는 물리적으로 서로 떨어질 수 있도록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커넥터 단자는,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에 노출된 상태로 고정된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는,
    상기 제1-1 커넥터 단자의 도전성 패드를 향해 볼록하게 구부러지고, 상기 도전성 패드와 접촉되는 접속 탭; 및
    상기 접속 탭에서 연장되고, 상기 접속 탭이 상기 도전성 패드에서 떨어질 수 있도록 탄성이 있는 지지 탭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지지 탭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탭 삽입공이 구비되고,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커넥터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탭 삽입공 내면에 구비된 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탭은, 상기 고정 돌기가 삽입되는 고정 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탭은,
    상기 탭 삽입공의 내면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끝에서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되는 탭 절곡부; 및
    상기 탭 절곡부에서 상기 탭 삽입공의 내면을 따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탭 절곡부는 상기 제1 방향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굽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탭 삽입공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도전성 패드가 상기 접속 탭과 접촉되는 면과 나란한 방향이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는,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도전성 패드가 상기 접속 탭과 접촉되는 면에 수직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탭 삽입공 밖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접속 탭과 연결되고,
    상기 탭 절곡부는 상기 접속 탭의 반대쪽에서 상기 제1 지지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제2 지지부와 접하는 상기 탭 삽입공의 내면에 구비된 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고정 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 돌기가 삽입되는 고정 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탭 삽입공 밖으로 더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2 커넥터 단자는,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에 노출된 상태로 고정되는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2 커넥터 단자의 도전성 패드는 상기 제1-1 커넥터 단자의 도전성 패드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2 커넥터 단자는,
    상기 제2-2 커넥터 단자의 도전성 패드를 향해 볼록하게 구부러지고, 상기 도전성 패드와 접촉되는 접속 탭; 및
    상기 제1-2 커넥터 단자의 접속 탭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2 커넥터 단자의 접속 탭이 상기 제2-2 커넥터 단자의 도전성 패드에서 떨어질 수 있도록 탄성이 있는 지지 탭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지군은, 직렬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전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지군은, 직렬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4. 적어도 하나의 전지를 구비하는 제1 전지군;
    적어도 하나의 전지를 구비하는 제2 전지군;
    적어도 하나의 전지를 구비하는 제3 전지군;
    상기 제1 전지군, 상기 제2 전지군 및 상기 제3 전지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에 구비되고, 복수의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커넥터 단자는,
    상기 제1 전지군의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1 커넥터 단자;
    상기 제1 전지군의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2 커넥터 단자;
    상기 제2 전지군의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1 커넥터 단자;
    상기 제2 전지군의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2 커넥터 단자;
    상기 제3 전지군의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1 커넥터 단자; 및
    상기 제3 전지군의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2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커넥터 단자와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는 물리적으로 서로 떨어질 수 있도록 접촉되고, 상기 제3-1 커넥터 단자는 상기 제1-1 커넥터 단자와 물리적으로 서로 떨어질 수 있도록 접촉되고, 상기 제1-2 커넥터 단자와 상기 제2-2 커넥터 단자는 물리적으로 서로 떨어질 수 있도록 접촉되고, 상기 제3-2 커넥터 단자는 상기 제2-2 커넥터 단자와 물리적으로 서로 떨어질 수 있도록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커넥터 단자는,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에 노출된 상태로 고정된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는,
    상기 제1-1 커넥터 단자의 도전성 패드를 향해 볼록하게 구부러지고, 상기 제1-1 커넥터 단자의 도전성 패드와 접촉되는 접속 탭; 및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의 접속 탭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의 접속 탭이 상기 제1-1 커넥터 단자의 도전성 패드에서 떨어질 수 있도록 탄성이 있는 지지 탭을 포함하고,
    상기 제3-1 커넥터 단자는,
    상기 제1-1 커넥터 단자의 도전성 패드를 향해 볼록하게 구부러지고, 상기 제1-1 커넥터 단자의 도전성 패드와 접촉되고, 상기 제2-1 커넥터 단자의 접속 탭과 이격되어 배치된 접속 탭; 및
    상기 제3-1 커넥터 단자의 접속 탭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3-1 커넥터 단자의 접속 탭이 상기 제1-1 커넥터 단자의 도전성 패드에서 떨어질 수 있도록 탄성이 있는 지지 탭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2 커넥터 단자는,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에 노출된 상태로 고정되는 도전성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2 커넥터 단자의 도전성 패드는 상기 제1-1 커넥터 단자의 도전성 패드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2 커넥터 단자는,
    상기 제2-2 커넥터 단자의 도전성 패드를 향해 볼록하게 구부러지고, 상기 도전성 패드와 접촉되는 접속 탭; 및
    상기 제1-2 커넥터 단자의 접속 탭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2 커넥터 단자의 접속 탭이 상기 제2-2 커넥터 단자의 도전성 패드에서 떨어질 수 있도록 탄성이 있는 지지 탭을 포함하고,
    상기 제3-2 커넥터 단자는,
    상기 제2-2 커넥터 단자의 도전성 패드를 향해 볼록하게 구부러지고, 상기 제2-2 커넥터 단자의 도전성 패드와 접촉되고, 상기 제1-2 커넥터 단자의 접속 탭과 이격되어 배치된 접속 탭; 및
    상기 제3-2 커넥터 단자의 접속 탭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3-2 커넥터 단자의 접속 탭이 상기 제2-2 커넥터 단자의 도전성 패드에서 떨어질 수 있도록 탄성이 있는 지지 탭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전지군 중 적어도 하나의 전지군은 직렬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KR1020150110220A 2015-08-04 2015-08-04 배터리 팩 KR102395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220A KR102395752B1 (ko) 2015-08-04 2015-08-04 배터리 팩
US15/217,877 US10559804B2 (en) 2015-08-04 2016-07-22 Battery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220A KR102395752B1 (ko) 2015-08-04 2015-08-04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743A true KR20170016743A (ko) 2017-02-14
KR102395752B1 KR102395752B1 (ko) 2022-05-09

Family

ID=58052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220A KR102395752B1 (ko) 2015-08-04 2015-08-04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559804B2 (ko)
KR (1) KR1023957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5883A1 (ko) * 2019-02-26 2020-09-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충격 흡수 구조를 갖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136121A1 (en) * 2017-04-20 2020-04-30 A123 Systems Llc Battery tab configuration
KR102412941B1 (ko) * 2018-01-19 2022-06-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터미널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6778288B2 (ja) * 2019-02-21 2020-10-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スタック
CN112103552B (zh) * 2020-11-02 2021-02-05 广东利元亨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电芯新配对方法
CN112490509B (zh) * 2020-11-26 2022-07-01 广东利元亨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电芯配对方法
CN114142179B (zh) * 2021-08-24 2023-08-25 安徽南都华拓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增加模组能量密度的方法
CN114583299A (zh) * 2022-03-22 2022-06-03 深圳市壹加智慧科技有限公司 电池模块、便携式储能电源及电池模块的组装方法
FR3138011A1 (fr) * 2022-07-13 2024-01-19 Renault S.A.S Ensemble de connexion à une borne d’un module de batterie d’accumulateu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9930A (ko) * 2003-08-01 2006-05-09 에프씨아이 아시아 테크놀로지 피티이 리미티드 커넥터
KR20150015342A (ko) * 2013-07-31 2015-02-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9796A (ja) 2008-06-25 2010-01-14 Nec Tokin Corp 二次電池パック
KR101539694B1 (ko) 2012-09-19 2015-07-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배터리 팩
JP2014146483A (ja) 2013-01-29 2014-08-14 Smk Corp バッテリーコネクタ
KR20160069348A (ko) * 2014-12-08 2016-06-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이를 구비한 전지 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9930A (ko) * 2003-08-01 2006-05-09 에프씨아이 아시아 테크놀로지 피티이 리미티드 커넥터
KR20150015342A (ko) * 2013-07-31 2015-02-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5883A1 (ko) * 2019-02-26 2020-09-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충격 흡수 구조를 갖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5752B1 (ko) 2022-05-09
US20170040585A1 (en) 2017-02-09
US10559804B2 (en) 202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5752B1 (ko) 배터리 팩
US9331324B2 (en) Connector assembly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US10446816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KR101999403B1 (ko) 배터리 팩
US20230017691A1 (en) Battery module
US20150050538A1 (en) Energy storage apparatus
US11152671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160069348A (ko) 이차 전지 및 이를 구비한 전지 팩
US20180040862A1 (en) Battery pack
US10541452B2 (en) Battery pack including circuit board having protruding surface
KR20200020565A (ko) 조립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관리시스템을 포함한 배터리모듈
KR20170052381A (ko) 배터리 팩
KR20170028069A (ko) 전지 모듈
US20100291434A1 (en) Connector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KR20160049895A (ko) 배터리 팩
CN112154566A (zh) 电池包
EP3490024B1 (en) Battery pack
KR20060116678A (ko) 전압 레벨링에 의한 전지모듈 성능의 향상 방법 및 이를위한 병렬 접속장치
KR102637979B1 (ko) 배터리 모듈
US11133553B2 (en) Battery pack
US9564621B2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WO2013081407A1 (ko) 배터리팩
KR20200076909A (ko) 조립 구조가 개선되고 멀티셀렉팅 기능의 배터리관리시스템을 포함한 배터리팩
KR101074992B1 (ko) 이차전지용 배터리 셀 단자
CN105006531A (zh) 电池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