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1086A - 단추구멍 재봉기 - Google Patents

단추구멍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1086A
KR20020081086A KR1020020020370A KR20020020370A KR20020081086A KR 20020081086 A KR20020081086 A KR 20020081086A KR 1020020020370 A KR1020020020370 A KR 1020020020370A KR 20020020370 A KR20020020370 A KR 20020020370A KR 20020081086 A KR20020081086 A KR 20020081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thread
clamp
sewing
needle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0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2186B1 (ko
Inventor
켄지 무라이
다카시 닛또우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1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1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1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06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sewing buttonholes
    • D05B3/08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sewing buttonholes for buttonholes with eyelet end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04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memory aspec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2Presser-contro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6Presser fee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2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controlled by the sewing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6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and for disposing of the severed thread end ; Catching or wiping devices for the severed thread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윗실 클램프 장치를 구비한 단추구멍 재봉기에 있어서, 봉제시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으며, 윗실의 클램프 힘이나 클램프 길이를 제어하여, 양호한 바늘땀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봉제물을 올려놓고 이를 보내는 톱니대(13)와, 바늘(18)을 가지며 상하 운동하는 바늘대(11)와, 바늘대(11)보다 후방에 설치되는 천 절단 장치(30)와, 톱니대(13)의 상부면에 있어서 좌우 각각에 설치되며, 봉제물을 누르는 우측 노루발대(노루발)(23), 좌측 노루발대(노루발)(26)와, 이들을 상하 운동시키는 우측 노루발 아암(22), 좌측 노루발 아암(25)으로 이루어진 우측 노루발 수단(21), 좌측 노루발 수단(24)과, 봉제 종료후에 윗실을 끊는 윗실 절단 칼(43)과, 봉제 종료후에 윗실을 클램프하는 윗실 클램프부(51) 및 이것을 상하로 구동시키는 상하 구동부(70)로 이루어진 윗실 클램프 장치(50)를 구비하며, 윗실 클램프 장치(50)는, 바늘대(11)의 후방 및 좌우의 노루발 아암(22, 25) 사이에서 아암부(14)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단추구멍 재봉기{A HOLE-DARNING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단추구멍 재봉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추구멍 재봉기에 설치된 윗실 클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단추구멍 등의 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구멍 주위에 사뜨기를 시행하는 단추구멍 재봉기에 있어서는, 봉제 종료시에 바늘에서부터 뻗어 나온 윗실의 나머지 부분을 붙잡아주는 윗실 클램프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단추구멍 재봉기에 의해 여러 개의 단추구멍 내기를 연속해서 행하는 경우, 상기 윗실 클램프 장치가 윗실을 붙잡은 상태에서 다음 사뜨기가 시작된 후 바느질이 진행되어 실 끝이 자연스럽게 빠질 때까지 계속해서 실을 붙잡고 있음으로써, 확실하게 사뜨기 바늘땀 안에 딸려 들어가 꿰매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게 했었다. 이러한 윗실 클램프 장치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고공보 평성1(1989)-30510호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의 윗실 클램프 장치는, 재봉기의 우측면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봉제물을 천 누르기의 하방에 세트할 때 작업에 방해가 되거나, 시인성(視認性)이 나빠져 위치 결정 등의 확인을 하기가 힘들어지는 것이나, 바늘 부근을 비추기 위한 램프를 설치하기 어려워지는 등의 과제가 있었다. 또한, 바늘 근처에 실을 붙잡기 위한 클램프를 설치하기 위해, 재봉기 우측면에서부터 바늘 근처까지 부재를 연결시킨 구성이기 때문에, 구동력이 큰 대형 액추에이터를 설치해야만 했었다. 게다가, 윗실을 확실히 붙잡기 위해, 특정한 캠 구조(상기 공보 상에서, 가이드(24), 롤러(23))에 의해 상기 클램프를 바늘을 향해 [스윙] 동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상기 공보의 윗실 클램프 장치는, 전체 구조가 상당히 크고 복잡한 것이었다.
더욱이, 종래, 윗실 클램프 장치를 재봉기의 좌측면에 설치하고, 윗실을 붙잡는 클램프부가 재봉기의 전방에서부터 바늘을 향해서 이동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클램프부를 잡아당겨 돌리는 부재가 바늘의 정면 쪽에 배치되어, 작업자가 정면 쪽에 서면 봉제물의 위치 결정 등을 확인하기 어려워서 문제였었다.
더욱이, 상기 종래의 윗실 클램프 장치의 클램프나 클램프부는, 스프링의 가세력에 의해 윗실을 클램프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클램프 힘을 조정할 수 없었다. 그리고, 바느질을 개시할 때, 실 끝이 클램프나 클램프부로부터 자연스럽게 빠질 때까지 계속 쥐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실 끝이 비벼져서, 실 종류에 따라서는 꼬임이 풀려 갈라지거나, 연신 수축이 발생하거나, 바늘땀에 깔끔하게 끌려 들어가지 않아, 양호한 바늘땀을 형성할 수 없는 경우도 있었다. 더욱이, 클램프 힘이 세기 때문에, 실의 장력에 의해 재봉 초기에 바늘이 구부러지거나, 바늘이 부러지거나, 봉제물에 주름이 생기는 수도 있었다.
또한, 실제로는 실은 종류에 따라 신축성 등이 다르기 때문에, 사용되는 실 종류에 따라 실질적인 바늘실의 나머지 길이는 달라지게 되는데, 상기 윗실 클램프 장치에서는 클램프나 클램프부에 의해 파지되는 바늘실의 나머지 길이(바늘구멍에서 실 끝까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실 종류에 따라 나머지 길이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너무 짧으면 바늘땀에 끌어넣을 수 없거나, 클램프로부터 벗어나 바늘땀이 건너뛰거나, 너무 길면 바늘땀으로부터 비져나와 보기가 안 좋아지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윗실 클램프 장치를 구비한 단추구멍 재봉기에 있어서, 콤팩트하고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봉제시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고, 또한 윗실의 클램프 힘이나 클램프 길이를 제어하여, 양호한 바늘땀을 형성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추구멍 재봉기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재봉기의 우측면도의 일부이다.
도 3은 도 1의 재봉기의 좌측면도의 일부이다.
도 4는 도 1의 재봉기의 정면도의 일부이다.
도 5는 도 1의 윗실 클램프 장치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5의 (a)는 위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5의 (b)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윗실 클램프 장치의 윗실 클램프부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6의 (a)는 정면도, 도 6의 (b)는 위에서 본 평면도, 도 6의 (c)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윗실 클램프 장치의 상하 구동부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7의 (a)는 측면도, 도 7의 (b)는 저면도, 도 7의 (c)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단추구멍 재봉기의 제어 회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1의 단추구멍 재봉기의 조작 패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윗실을 절단하는 타이밍과 톱니대의 이송량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윗실을 클램프하는 위치를 톱니대의 이송량에 대응하여 설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봉제후의 X 방향의 보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의 단추구멍 재봉기에 있어서의 윗실 클램프 처리를 포함한 봉제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 : 단추구멍 재봉기11 : 바늘대
12 : 베드부13 : 톱니대
14 : 아암부17 : 세로 동체부
18 : 바늘20 : 노루발 장치
21 : 우측 노루발 수단22 : 우측 노루발 아암
23 : 우측 노루발대(노루발)24 : 좌측 노루발 수단
25 : 좌측 노루발 아암26 : 좌측 노루발대(노루발)
30 : 천 절단 장치31 : 칼 수납대
43 : 윗실 절단 칼(윗실 절단 수단)50 : 윗실 클램프 장치
51 : 윗실 클램프부52, 53 : 실 클램프 아암
54 : 클램프부65 : 클램프 실린더(개폐 수단)
68 : 전자 밸브68a : 감압 밸브(조절 수단)
70 : 상하 구동부73 : 상하 실린더
100 : 조작 패널120 : 제어 회로
W1 : 최후의 바늘 낙하 위치T : 윗실
S : 봉제물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예컨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드부(12) 및 베드부의 후방부에서부터 기립하는 세로 동체부(17) 및 베드부의 전방부와 대향하도록 세로 동체부에서부터 전방으로 뻗는 아암부(14)로 이루어진 재봉기 프레임과, 상부면에 봉제물을 올려놓고 이 봉제물을 보내도록 베드부의 상부에 설치된 톱니대(13)와, 하단부에 바늘(18)을 가지며 아암부의 선단부에 설치된 바늘대(11)와, 봉제물에 구멍을 형성하도록 아암부의 하방에 바늘대보다 후방에 설치된 천 절단 장치(30)와, 노루발(우측 노루발 수단(21), 좌측 노루발 수단(24))과, 봉제 종료후에 바늘에 이어진 윗실을 끊는 윗실 절단 수단(윗실 절단 칼(43))과, 봉제 종료후에 윗실을 클램프하는 윗실 클램프부(51) 및 이 윗실 클램프부를 상방의 대기 위치와 대기 위치보다 하방이면서 바늘 근처의 클램프 위치의 사이에서 상하로 구동시키는 상하 구동부(70)로 이루어진 윗실 클램프 수단(50)을 구비하는 단추구멍 재봉기(10)에 있어서,
윗실 클램프 수단은, 바늘대의 후방 및 좌우의 노루발 아암의 사이에서 아암부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윗실 클램프 장치는, 바늘대의 후방 및 좌우의 노루발 아암의 사이에서 아암부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재봉기의 옆이나 앞쪽에 윗실 클램프 장치를 구성하는 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봉제물의 세트 등의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으며, 또한 시인성도 높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좌우의 노루발의 내측에 윗실 클램프 장치의 전체가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노루발을 구성하는 부재의 착탈이 용이하다.
또한, 윗실 클램프부의 대기 위치 및 클램프 위치는, 일정해도 되고, 설정을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어도 무방하며, 각각 여러 군데일 수도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단추구멍 재봉기에 있어서,
윗실 클램프부는, 바늘대의 후방이면서 천 절단 장치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하 구동부는, 천 절단 장치보다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윗실 클램프 장치 중에서, 윗실 클램프부는 바늘대의 후방이면서 천 절단 장치의 전방에 대개 설치되고, 상하 구동부는 천절단 장치보다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그만큼 천 절단 장치와, 바늘대 즉, 바늘과의 거리를 짧게 하여, 봉제시의 톱니대의 이동량을 적게 할 수 있어, 사이클 타임의 단축을 꾀할 수 있는 동시에, 아암부의 전후 방향을 짧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천 절단 장치의 전방에 설치된다]는 것은, 윗실 클램프부의 대부분이 천 절단 장치의 전방에 위치하면 되고, 일부, 예컨대 상하 구동부와의 접속 부분 등이 천 절단 장치의 전방에 없을 수도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 항에 기재된 단추구멍 재봉기에 있어서,
봉제 종료후에, 봉제물을 올려놓은 톱니대를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어 윗실 클램프부에 의한 윗실의 클램프 전에, 톱니대를 이동시켜서 봉제물에 이어진 윗실을 좌우 방향에서 윗실 클램프부와 가까워지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윗실 클램프부가 윗실(바늘)과 가까워지기 위해 스윙하거나 돌아서 들어가는 것처럼 복잡하게 동작하는 구성이 아니기 때문에, 구동원이나 기구를 비교적 간단한 것으로 해서, 소형화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추구멍 재봉기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봉제 종료후에, 봉제물을 올려놓은 톱니대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윗실 클램프부는 톱니대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윗실을 클램프하도록 구성되며, 윗실 클램프부에 의한 클램프의 타이밍을 이동량에 대해 설정할 수 있고, 설정한 타이밍으로 윗실 클램프부에 의해 윗실이 클램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CPU(12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윗실이 윗실 클램프부에 접근하여 클램프될 수 있는 상태가 되었을 때 클램프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클램프부 쪽을 윗실을 향해 구동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윗실 클램프부가 윗실(바늘)과 가까워지기 위해 스윙하거나 돌아서 들어가는 것처럼 복잡하게 동작하는 구성이 아니기 때문에, 구동원이나 기구를 비교적 간단한 것으로 해서, 소형화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추구멍 재봉기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봉제 종료후에, 봉제물을 올려놓은 톱니대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윗실 절단 수단은, 톱니대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윗실을 절단하도록 구성되며, 윗실 절단 수단에 의한 윗실 절단의 타이밍을 이동량에 대해 설정할 수 있고, 설정한 타이밍으로 윗실이 절단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CPU(12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어 수단의 제어 하에, 톱니대의 이동 도중에, 설정된 소정의 타이밍으로 윗실이 절단되기 때문에, 설정을 적당히 변경함으로써 바늘에서 실 끝까지의 실의 나머지 길이를, 다음의 사뜨기 바느질의 형상이나 길이 등에 맞춰서 조절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추구멍 재봉기에 있어서, 예컨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봉제 종료후에, 봉제물을 올려놓은 톱니대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윗실 절단 수단은, 톱니대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윗실을 절단하도록 구성되며, 톱니대가 후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하고 나서 윗실 절단까지의 윗실 장력을 설정할 수 있고, 윗실의 장력이 설정된 크기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CPU(12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톱니대가 후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하고 나서 윗실 절단까지의 윗실 장력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실의 나머지 길이를 길게 하고 싶을 때에는 장력을 약하게 하고, 실의 나머지 길이를 짧게 하고 싶을 때에는 장력을 세게 설정함으로써, 바늘에서 실 끝까지의 실의 나머지 길이를, 다음의 사뜨기 바느질의 형상이나 길이 등에 맞춰서 조절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추구멍 재봉기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윗실 클램프부를 윗실의 클램프 및 클램프의 해제를 수행하도록 개폐 구동시키는 개폐 수단(클램프 실린더(65))과, 개폐 수단에 의한 윗실의 클램프 힘을 조절하는 조절 수단(감압 밸브(68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개폐 수단에 의한 윗실의 클램프 힘을 조절 수단에 의해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실 종류 등의 필요에 따라서 클램프 힘을 조절해, 클램프 힘이 너무 강해서 봉제를 시작할 때 실 끝이 갈라지고, 봉제물에주름이 생기거나, 바늘이 부러지는 사태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추구멍 재봉기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윗실 클램프부를 윗실의 클램프 및 클램프의 해제를 수행하도록 개폐 구동시키는 개폐 수단(클램프 실린더(65))을 구비하고, 윗실 클램프부에 의한 다음 봉제를 시작할 때의 클램프 해제의 타이밍을, 바느질 시작의 침수에 대해 설정할 수 있으며, 봉제 시작후에 설정한 침수에 도달했을 때에 클램프를 해제하도록 타이밍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CPU(12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어 수단의 제어 하에, 봉제 개시후에, 설정한 소정의 침수에 도달했을 때에 윗실 클램프부에 의한 클램프를 해제하기 때문에, 실 종류 등에 따라 적당히 설정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자연스럽게 클램프에서 빠져나올 때까지 윗실을 계속 잡고 있지 않기 때문에, 봉제를 시작할 때 실 끝이 갈라지고, 봉제물에 주름이 생기거나, 바늘이 부러지는 따위의 일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일례로서 단추구멍 재봉기(10)는, 봉제물에 대해 아일릿(eyelet)부(h1)와 평행부(h2)(도 12)로 이루어진 단추구멍(H)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단추구멍(H)의 주위에 사뜨기를 실시하는 것이다.
단추구멍 재봉기(10)는, 대략 직사각형의 상자인 베드부(12)와, 이 베드부(12) 위에 세워서 설치하는 세로 동체부(17)와, 세로 동체부(17)로부터 전방으로 뻗는 아암부(14)로 구성되는 재봉기 프레임을 가지며, 재봉기 테이블(도시하지 않음) 위에 바닥 커버(16)를 통해 놓여져 있다. 아암부(14)의 선단부에는, 하단부에 바늘(18)을 구비한 바늘대(11)가, 상하 운동 가능하고 좌우 방향(도 1의 X방향)으로 바늘 진동 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베드부(12)의 상부에는, 봉제물이 윗면에 놓여지는 톱니대(13)가 설치되어 있다. 톱니대(13)는 전체적으로 얇은 직사각형의 상자를 이루고, X 이송 펄스 모터(127) 및 Y 이송 펄스 모터(129)(도 8)에 의해 구동되며,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X 방향은 아암부(14)의 연장 방향과 직교 방향(좌우 방향)이고, Y 방향은 아암부(14)의 연장 방향(전후 방향)이다.
단추구멍(H) 주변의 사뜨기는, 예컨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재봉부(J1)의 단부에서부터 시작하여, 아일릿(h1) 주변을 거쳐, 좌측 재봉부(J2)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한편, 톱니대(13)는 봉제시에 톱니대(13)에 올려놓은 봉제물이 바늘(18)의 바로 아래의 필요 위치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즉, 톱니대(13)는, 바느질이 시작되면, Y 방향에 있어서 원점 위치에서부터 봉제 시작 위치로 이동하고, 그 후에는 상기 순서대로 사뜨기가 이루어지도록 전후 방향,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거의 봉제 시작 위치와 동일한 봉제 종료 위치로 되돌아오며, 그 후 원래의 원점 위치로 복귀하도록 이동한다. 한편, 좌우 방향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진폭(x)에 대해서는 바늘(18)의 바늘 진동 운동에 가까워지고, 기선(진폭의 안쪽 라인)의 이동은 톱니대(13)의 X 방향으로의 이동에 가까워진다.
톱니대(13) 위에는, 봉제 종료시에 밑실을 절단하는 밑실 절단 장치(15)가 설치되고, 또한 톱니대(13) 아래의 베드부(12) 내부에는 밑실이 꿰어져 있는 루퍼나 루퍼를 보조하는 스프레더 등을 구비하는 루퍼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단추구멍 재봉기(10)에서는, 바늘대(11)와 상기 루퍼 장치의 협동에 의해 사뜨기가 형성된다. 또한, 단추구멍(H)의 아일릿부(h1)를 방사상으로 사뜨기할 때에는, 바늘대(11)와 상기 루퍼 장치가 선회 펄스 모터(131)(도 8)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같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밑실 절단 장치(15) 및 루퍼 장치는, 종래로부터 주지된 것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톱니대(13)의 후방부(세로 동체부(17)측))에는, 바늘대(11)를 통과하는 전후 방향 직선을 사이에 두고 좌우로 우측 노루발 수단(21)과 좌측 노루발 수단(24)을 구비하는 노루발 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좌, 우측 노루발 수단(24, 21)은, 각각 축(24a, 21a)을 중심으로 톱니대(1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대략 コ자 형상의 좌, 우측 노루발 아암(25, 22)을 구비하고, 이 좌, 우측 노루발 아암(25, 22)의 각 선단측의 프론트 아암부(25a, 22a) 선단에 좌, 우측 노루발대(좌, 우측 노루발)(26, 23)가 부착되어 있다. 우측 노루발 아암(22)의 프론트 아암부(22a) 및 좌측 노루발 아암(25)의 프론트 아암부(25a)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봤을 때 하방을 향해서 만곡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우측 노루발 수단(21) 및 좌측 노루발 수단(24)은, 바늘의 상하 경로를 사이에 둔 좌우 방향에서 좌, 우측 노루발대(26, 23)와 톱니대(13) 사이에 봉제물을 삽입하고, 그 상태에서 톱니대(13)와 함께 이동한다. 그리고, 우, 좌측 노루발대(23, 26) 사이에 단추구멍 사뜨기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있어서는, 우측 노루발 아암(22) 및 좌측 노루발 아암(25)에 대해, 그들의 안쪽에 설치되어 있는 윗실 클램프 장치(50)(후술함)와 겹치는 곳에 대해서는 가상선(2점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바늘(18) 및 바늘대(11)의 후방이며, 아암부(14)의 하부면에는 천 절단 장치(30)가 설치되어 있다. 천 절단 장치(30)에는, 칼 수납대(31)가 고정되어 있고, 한편 톱니대(13)에는 이 칼 수납대(31)에 대향하도록 천 절단 칼(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톱니대(13) 위에 천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도 3 등에서 도시하는 대기 위치에 있는 칼 수납대(31)를 천 절단 모터(142)에 의해 하강시켜, 천 절단 칼과 합치시킴으로써 단추구멍(H)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천 절단 장치(30)에 의해 단추구멍(H)을 형성할 때, 천을 올려놓는 톱니대(13)는 상기 원점 위치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단추구멍 재봉기(10)에는, 바늘(18) 및 바늘대(11)의 후방(세로 동체부(17)측))이면서 좌우측의 노루발 아암의 사이에 위치하여, 아암부(14)의 하부면에 윗실 클램프 장치(윗실 클램프 수단)(50)가 설치되어 있다. 윗실 클램프 장치(50)는, 봉제 종료시부터 다음 봉제를 시작할 때까지의 동안에, 바늘(18)에서부터 이어진 윗실의 실 끝을 잡아(클램프하여) 지지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윗실 클램프부(51)와, 이것을 상하로 구동시키는 상하 구동부(70)로 구성된다.
윗실 클램프부(51)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로 실 클램프 아암(52, 53)으로 이루어진 클램프부(54)와, 클램프 실린더(65)와, 윗실 클램프부(51)를 상하 구동 아암(72)에 고정 지지시키기 위한 부착판(클램프 부착판)(55)에 의해 구성된다.
실 클램프 아암(52, 53)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늘(18))을 지지한 바늘대(11)의 후방이면서 천 절단 장치(31)의 전방, 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노루발 아암(22a), 좌측 노루발 아암(25a)의 사이에 위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실 클램프 아암(52, 53)은, 선단이 대략 갈고리 형태를 갖는 클램프(52b, 53b)와, 그 상부에 두 갈래로 형성된 분기부(52a, 53a)로 이루어진다.
분기부(52a, 53a)는 핀(56)에 대해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핀(56)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helical torsion spring)(57)이 삽통되어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57)의 일단은 클램프(52b)의 내측에 부착되고, 타단은 클램프(53b)의 내측에 부착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클램프(52b, 53b)는 개방되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한편, 핀(56)의 양측에는 이탈 방지용으로 E 링(58, 58)이 끼워져 있다.
부착판(55)은,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에서 봤을 때 대략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앞쪽의 프론트부(55b)와, 프론트부(55b)의 좌측 단부에서 후방으로 뻗으며 후술하는 상하 구동 아암(72)에 고정되는 고정부(55a)와, 프론트부(55b)의 우측 단부에서 후방으로 약간 연장되는 연장부(55c)로 이루어진다. 연장부(55c)에는, 나사 구멍(55d)이 설치되어, 이 나사 구멍(55d)에 나사(59, 59)를 끼워넣고, 실 클램프 아암(52)에 고정시킴으로써, 클램프부(54)가 부착판(55)에 대해 고정된다. 한편, 나사 구멍(55d)은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연장부(55c)에 대해 클램프부(54)의 위치를 화살표 P 방향에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더욱이, 연장부(55c)의 이면과 실 클램프 아암(52) 사이에는, 스페이서(60)가, 예컨대 두 세 개 삽입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60)는, 클램프부(54)의 화살표 Q 방향의 위치 조정과 초기의 클램프 힘의 조절을 위해 설치된다. 이와 같이 P 방향 및 Q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클램프부(54)는,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클램프부(54)에서는 실 클램프 아암(52)이 부착판(55)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57)은 결국 실 클램프 아암(53)을 좌측으로, 즉 클램프 실린더(65) 측으로 가세하게 된다.
클램프(52b, 53b)의 앞쪽 단부는, 실이 들어가거나 나오기 쉽게, 앞쪽으로 갈수록 클램프(52b, 53b)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모따기되어 있다. 그리고, 클램프(53b)의 모따기된 면에는 작은 볼록부(52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클램프(53b)의 안쪽 코너에, 돌출 핀(61)이 고정되어 있다. 돌출 핀(61)은, 클램프(53b)와 마찬가지로 갈고리 형태로 형성된 클램프(52b)의 안쪽 코너에 접하도록 오른쪽으로 돌출된다. 클램프(52b, 53b)와의 사이로 유도된 윗실은, 볼록부(52c)와 돌출 핀(61) 사이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개폐 수단인 클램프 실린더(65)는, 스프링 핀(67a)과 고정 나사(67b)에 의해 프론트부(55b)에 고정되며, 그 출력 축인 로드(65a)의 선단에는, 클램프 핀(66)이 부착되어 있다.
클램프 실린더(65)는, 로드(65a)를 지지하는 내부의 피스톤의 양측에 공기압을 공급하는 복동 실린더(double-acting cylinder)로서, 호스 접속부(65e, 65f)를 통해서 2개의 공기 호스(65c, 65d)가 접속되어 있다. 공기 호스(65c)는, 피스톤에 대해 로드(65a)를 끌어넣는 방향으로 공기를 보내고, 공기 호스(65d)는 로드(65a)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공기를 보낸다. 그리고, 공기 호스(65c)는 전자 밸브(68)에 직접 접속되고, 공기 호스(65d)는 감압 밸브(68a)를 통해서 전자 밸브(68)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 밸브(68)가 OFF일 때에는, 공기 호스(65d)에 공기가 흘러 로드(65a)가 돌출된다. 또한, 전자 밸브(68)가 ON일 때에는, 공기 호스(65c)에 공기가 흘러 로드(65a)가 끌려 들어간다.
로드(65a) 선단의 클램프 핀(66)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57)의 가세력에 의해 클램프(53b)가 맞닿은 상태이며, 로드(65a)의 전진 및 후퇴에 따라 회전한다. 따라서, 전자 밸브(68)가 ON이 되면, 클램프(53b)는 클램프(52b)로부터 떨어져 클램프를 해제하는 상태가 되고(도 4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상태), OFF가 되면 클램프(53b)는 클램프(52b)에 맞닿아 윗실을 클램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로드(65a)를 돌출시키도록 공기압을 공급하는 공기 호스(65d)는 감압 밸브(68a)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이 감압 밸브(68a)를 전기적인 제어로 조절함으로써 로드(65a)의 돌출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윗실의 클램프 힘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감압 밸브(68a)가 본 발명의 조절 수단이다.
윗실 클램프부(5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늘(18)(바늘대(11))과 천 절단 장치(30)의 사이에 설치되고, 부착판(55)의 고정부(55a)가 천 절단 장치(30)의 좌측에 있으며, 공기 호스(65c, 65d)는 천 절단 장치(30)와 고정부(55a) 사이를 통과해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램프(52b, 53b)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X 방향에 있어서) 바늘(18)보다 약간 왼쪽으로 빗나간 위치에 있다.
상하 구동부(70)는, 도 5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부(70)를 아암부(14)에 고정 지지시키기 위한 부착판(구동부 부착판)(71)의 하부면에 상하 실린더(73), 제 1 가이드 축(74), 제 2 가이드 축(75) 등을 고정시켜 구성되며, 전체적으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천 절단 장치(30)보다 후방(세로 동체부(17)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하 실린더(73)는, 고정 나사(76, 76)에 의해 부착판(71)에 고정되며, 공기 호스(73a, 73b)가 접속된 공기 실린더로서, 그 출력 축인 둥근 막대 형상의 로드(73c)를 공기압에 의해 상하 운동시키는 것이다. 이 상하 실린더(73)는, 도시하지 않은 전자 밸브를 포함한 상하 실린더 드라이버(134)(도 8)가 ON/OFF함으로써 로드(73c)가 상하로 움직이게 되어 있다. ON 상태에서 로드(73c)는 하강하고, OFF 상태에 상승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부착판(71)에는, 전후 좌우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둥근 막대 형상의 제 1 가이드 축(74), 제 2 가이드 축(75)이 상하로 길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하 실린더(73)의 좌측에는, 앞뒤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상하 구동 아암(72)이 설치되며, 이 상하 구동 아암(72)에 대해, 대략 직방체 형상의 가이드 블록(77)이 4개의 고정 나사(77a)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도 3). 가이드 블록(77)의 내측에는, 금속제의 리니어 부시(78)가 끼워져 있고, 리니어 부시(78)의 내측에는 제 1 가이드 축(74)이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더욱이, 가이드 블록(77)에는, 제 2 가이드 축(75)을 끼워 넣도록 단면이 コ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 2 가이드 축 지지부(77b)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하 구동 아암(72)의 후방부 하단에는, 로드(73c) 측으로(오른쪽으로) 연장되며, 로드(73c)가 부착되는 로드 부착부(72a)가 형성되어 있다. 로드 부착부(72a)는, 와셔(80, 80), O링(81)을 삽입 설치한 상태에서, 고정 나사(79)에 의해 로드(73c)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로드(73c)가 상하로 움직이면, 로드 부착판(72a)을 통해서 상하 구동 아암(72)도 상하 운동한다. 로드(73c)는 둥근 막대 형상이기 때문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데, 상하 구동 아암(72)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 블록(77)이 리니어 부시(78)를 통해서 제 1 가이드 축(74)으로 가이드되며, 더욱이 제 2 가이드 축 지지부(77b)가 제 2 가이드 축(75)으로 가이드됨으로써, 상하 구동 아암(72)의 회전은 정지되고,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한다.
한편, 제 1 가이드 축(74) 이외에 제 2 가이드 축(75)을 추가 설치한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이다. 제 1 가이드 축(74)만으로도 가이드 블록(77)을 회전시키지 않고 상하 운동시킬 수는 있으나, 그럴 경우 로드(73c)의 회전력이 강할 때에는 가이드 블록(77)이 약간 흔들려서, 상하 구동판(72)도 흔들리게 되며, 나아가서는 윗실 클램프부(51)가 원활히 상하 운동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제 2 가이드 축(75)으로 가이드됨으로써, 이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O링(81)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모두 다 상하 구동 아암(72)에 접속되어 있는 로드(73c)와 가이드 블록(77)이 약간 어긋나게 부착되어 있었을 경우, 즉, 로드(73c)의 상하 운동 방향과, 가이드 블록(77)이 본래 상하 운동하고 싶은 방향이 완전히 평행하지 않고, 약간 어긋나 있으면, 가이드 블록(77)이 제 1 가이드 축(74)에 무리한 힘을 가하는 등의 사태가 발생한다. 따라서, 로드(73c)와 상하 구동 아암(72)의 부착 부분에 O링(81)을 설치하면, 부착 등에 의해 약간 비뚤어진 것이 흡수되어, 가이드 블록(77)과 상하 실린더(73)의 평행 관계가 보정된다.
상하 구동부(7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천 절단 장치(30)의 후방, 즉 아암부(14)의 하부면의 세로 동체부(17) 근처에 설치된다.
그리고, 윗실 클램프부(51)와 상하 구동부(70)는, 도 5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구동부(70)의 상하 구동판(72)의 전단부에 형성된 타원형 구멍(72b, 72b)과, 부착판(55)의 고정부(55a)를, 고정 나사(81, 81)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일체가 되어, 윗실 클램프부(51)는 상하 구동판(72)과 함께 상하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윗실 클램프부(51)는, 상방의 소정의 대기 위치와, 더 아래쪽이면서 바늘(18) 근처의 소정의 클램프 위치와의 사이를 상하 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타원형 구멍(72b, 72b)에 대한 고정 위치를 바꿈으로써, 윗실클램프부(51)의 상하 위치는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윗실 클램프 장치(50) 전체는, 부착판(71)이, 나사 구멍(71a)에 고정 나사(80)에 의해 아암부(14) 하부면에 고정됨으로써, 아암부(14)의 아래쪽이면서, 우측 노루발 수단(21)과 좌측 노루발 수단(24) 사이에 들어가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8에는, 단추구멍 재봉기(10)의 제어 회로(120)를 도시하였다. 제어 회로(120)는, CPU(121), ROM(122), RAM(123) 및 인터페이스(124), 각종 드라이버, 조작 패널(100), 스타트 스위치(125) 등으로 구성된다.
ROM(real only memory)(122)에는, 사뜨기를 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나 제어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RAM(random access memory)(123)은, 봉제 가능한 단추구멍 사뜨기의 형상 등에 관한 데이터인 패턴 데이터를 여러 개 기억함과 동시에, 조작 패널(100)을 통해서 선택된 1개의 패턴 데이터를 기억하고, 또한 패턴 데이터 중의 데이터 항목의 값이 변경되었을 경우에는 그 값도 기억하게 되어 있다. 더욱이, RAM(123)은, 봉제 중의 각종 처리시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메모리 영역으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봉제시에 패턴 데이터로부터 생성되는 바늘땀 데이터도 기억한다.
본 발명의 제어 수단인 CPU(Central Processing Unit)(121)는, ROM(122)의 제어 프로그램이나 제어 데이터에 따라, 조작 패널(100) 등으로부터의 신호를 토대로, 인터페이스(124)를 통해서 각종 드라이버를 제어 구동하면서, 사뜨기에 관한 일련의 처리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CPU(121)는, 조작 패널(100)에 접속되며, 조작 패널(100) 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동시에, 조작 패널(100)을 통해서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받아서 각종 설정의 선택 및 변경 등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CPU(121)는, X 이송 펄스 모터 드라이버(126)에 접속되는 동시에, Y 이송 펄스 모터 드라이버(128)에 접속되고, X 이송 펄스 모터(127)와 Y 이송 펄스 모터(129)를 제어 구동하면서, 봉제할 때 등에 톱니대(13)를 X 방향 및 Y 방향에서 구동시킨다.
CPU(121)는, 선회 펄스 모터 드라이버(130)에 접속되어, 선회 펄스 모터(131)를 제어 구동하고, 아일릿부(h1) 주변의 사뜨기 재봉시에 바늘대(11)나 상기 루퍼 장치를 동기시켜 바늘대(11)를 중심선으로 하는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CPU(121)는, 재봉기 모터 드라이버(132)에 접속되어, 재봉기 모터(133)의 회전을 구동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바늘대(11)(바늘(18))의 상하 운동 및 바늘 진동 운동이나, 루퍼 장치의 소정 방향의 왕복 동작이 동기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CPU(121)는, 상하 실린더 드라이버(134)를 통해서, 상기 상하 실린더(73)를 제어 구동하고, 클램프 실린더 드라이버(136)를 통해서 클램프 실린더(65)를 제어 구동하며, 감압 밸브 드라이버(137)를 통해서 감압 밸브(68a)의 감압 정도를 제어한다.
더욱이, CPU(121)는, 실 장력 드라이버(138)를 통해서 윗실 장력솔레노이드(139) 및 밑실 장력 솔레노이드(140)에 접속되어 있다. 이들 솔레노이드(139, 140)는, 전기적으로 장력을 바꿀 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CPU(121)는, 조작 패널(100)에서의 설정값으로 실 장력을 제어한다.
CPU(121)는, 천 절단 모터 드라이버(141)에 접속되어, 천 절단 장치(30)를 구성하는 천 절단 모터(142)를 제어 구동하여, 칼 수납대(31)를 상하 운동시킨다.
CPU(121)는, 스타트 스위치(125)에 접속되어, 스타트 스위치(125)로부터 기동 신호가 입력되면, 재봉기 모터(133) 등을 소정의 타이밍으로 구동시켜, 사뜨기, 천 절단 처리 등을 하게 한다.
단추구멍 재봉기(10)에서는, 실 장력 등의 봉제 조건 등을 조작 패널(100) 상에서 불러내어 설정할 수 있다.
조작 패널(100)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준비 키(101), 패턴 번호 선택부(102), 장력 설정부(106) 등으로 구성된다.
패턴 번호 선택부(102)는, 패턴 번호를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 패턴 표시부(102a)에 현재 선택되어 있는 패턴 번호가 표시된다(도 9에서는 [1]). 패턴 표시부(102a) 아래의 + 키(102b), - 키(102c)에 의해 숫자를 1개씩 변경함으로써, 다른 패턴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데이터 항목 선택부(105)는, 패턴 번호 선택부(102)에서 선택한 패턴 데이터 중의 데이터 항목을 선택하는 것이다. 항목 표시부(105a)에 현재 선택되어 있는 데이터 항목이 표시된다(도 9에서는 [1]). 항목 표시부(105a) 아래의 + 키(105b), - 키(105c)에 의해 숫자를 변경함으로써, 다른 데이터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데이터 항목 표시부(105)에서 데이터 항목을 선택하면, 데이터값 설정부(104)의 값 표시부(104a)에 그 데이터 항목에 대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숫자가 표시된다. 값 표시부(104a) 아래의 + 키(104b), - 키(104c)에 의해 값 표시부(104a)의 숫자를 소정 간격씩 증감시킴으로써,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설정할 수 있는 데이터 항목으로는, 예를 들어 사뜨기의 폭이나 바느질 길이 등의 값 이외에, 봉제후의 봉제 종료 위치에서 원점 위치까지의 공이송(preliminary feeding)의 도중에 윗실 클램프부(51)에 의한 클램프의 타이밍, 및 윗실 절단의 타이밍에 대해, 공이송할 때의 이송량(이동량)을 + 키(104b), - 키(104c)에 의해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윗실 클램프부(51)에 의한 클램프 전에, 필요에 따라 톱니대(13)를 X 방향으로 이동시키고(X 방향 보정), 그 보정량에 대해서도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타이밍이나 X 방향 보정량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봉제 시작시에 클램프부(54)의 클램프 실린더(65)를 ON해서 윗실을 언제 해제할 것인가 하는 타이밍에 대해, 바느질 시작의 침수를 + 키(104b), - 키(104c)에 의해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감압 밸브(68a)에 의한 감압의 정도도 데이터 항목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 설정 스위치(103)는, 데이터 설정 작업을 수행할 때 조작하는 스위치이다. 다시 말해, 데이터 설정 스위치(103)를 누르면, 그것에 의해 데이터 값의 변경 등이 가능해진다. 또한, 각 항목이나 숫자의 선택이나 변경은, 다시 한번 데이터 설정 스위치(103)를 누름으로써 확정한다.
준비 키(101)는, 설정 작업의 종료후, 설정한 데이터 값에 대응하는 바늘땀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장력 설정부(106)는, 봉제시의 윗실 및 밑실의 장력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장력 표시부(106a), + 키(106b), - 키(106c), 윗실 선택 키(106d), 밑실 선택 키(106e)로 구성된다.
윗실 선택 키(106d)를 조작함으로써 윗실의 장력을 설정할 수 있게 되고, LED(발광 다이오드)(106dd)가 점등되어, 윗실의 장력을 설정할 수 있는 상태가 되었음이 표시된다. 또한 밑실 선택 키(106e)를 조작함으로써 밑실의 장력을 설정할 수 있게 되고, LED(106ee)가 점등되어, 밑실의 장력을 설정할 수 있는 상태가 되었음이 표시된다. 그리고, 어떤 상태일 때, + 키(106b), - 키(106c)를 조작함으로써, 소정 간격마다 값이 변화하여, 원하는 장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미봉제 키(107)는 봉제전 등의 미봉제시의 장력을 설정하기 위한 키이고, 공이송 키(108)는, 봉제 종료시 등에 톱니대(13)가 봉제 위치에서 원점 위치로 되돌아올 때의 장력을 설정하기 위한 키로서, 이들 키(107, 108)를 조작한 다음, 윗실 선택 키(106d), 밑실 선택 키(106e), 그리고 + 키(106b), - 키(106c)를 조작해서 장력을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공이송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조작 패널(100)에서는, 봉제시의 장력에 대해 단추구멍 사뜨기의 각 부마다 세세하게 설정하도록 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단추구멍 재봉기(10)에서는, 톱니대(13)는, 봉제가종료되면 봉제 종료 위치에서 원점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이동한다. 이 때, 윗실 및 밑실은 봉제물에 이어진 상태 그대로이며, 양쪽 실 모두 톱니대(13) 위의 봉제물의 이동에 수반되어 잡아당겨 나오게 된다. 이러한 봉제후의 원점으로의 이동을 "공이송"이라고 한다. 이러한 공이송 도중에, 윗실을 클램프부(54)에 의해 클램프하고, 또한 절단하도록 하고 있다. 이들 타이밍에 대해 도 10 및 도 11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있어서, 톱니대(13) 주변의 모습을 톱니대(13)를 생략한 상태에서 모식적으로 도시하였다. S는 톱니대(13) 위의 봉제물, T는 윗실, 40은 바늘 구멍을 가진 바늘판, 41은 스프레더, 42는 루퍼, 43은 윗실 절단 칼(윗실 절단 수단)이다. 봉제 종료후의 바늘(18)에서 이어진 윗실(T)은, 최후의 바늘 낙하 위치(W1)에 있어서 봉제물(S)을 빠져나와서 바늘판(40)을 삽통하여, 스프레더(41), 루퍼(42)의 주위를 지나, 다시 한번 바늘판(40)을 빠져나온 후, 바늘 낙하 위치(W1) 근방에서부터 상부면으로 나와 있다.
한편, 클램프부(54)는, 바늘(18)보다 Y 방향에서 약간 원점 부근에 위치하며, 소정의 대기 위치에 있을 때에는, 예를 들어 높이(H)에 있고, 윗실(T)을 붙잡을 때에는, 상하 구동부(70)에 의해 구동되어, 예를 들면 높이(H')의 클램프 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클램프(52b, 53b)는, 볼록부(52c)와 돌출 핀(61) 사이에서 윗실(T)을 파지하도록 되어 있다. 톱니대(13)가 원점을 향해서 공이송 이동하면, 봉제물(S)도 함께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윗실(T)도 봉제물(S)과 함께 이동해, 바늘(18)에서 비스듬하게 꺼내어진다. 이것에 의해, 윗실(T)은 클램프부(54)에 접근하게 되고, 결국에는 볼록부(52c)와 돌출 핀(61) 사이로 들어가게 되며, 이 상태에서 클램프(52b, 53b) 사이가 폐쇄되면 윗실(T)은 클램프되게 된다. 이 클램프를 전후로 해서 윗실 절단 칼(43)에 의해 윗실(T)이 절단되고, 그 후 클램프부(54)가 상승해 대기 위치(높이(H))로 되돌아온다.
클램프부(54)가 클램프할 수 있게 되는 톱니대(13)의 이송량의 범위에 대해, 도 11에 도시하였다. 예를 들어 도 10의 높이(H')와 거의 동일한 높이(H2)에 있을 경우, 클램프 가능한 이송량은 길이(L2)내지 길이(L3)의 범위이다. 이 범위 이외의 이송량일 경우에는 윗실(T)이 클램프(52b, 53b) 사이에 없기 때문에, 클램프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종래에는 윗실을 클램프하기 위해, 클램프부 측이 윗실에 접근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윗실(T)의 바늘 낙하 위치(W1)를 톱니대(13)와 함께 이동시키는 것을 이용하여, 윗실(T)을 클램프부(54)에 의해 파지할 수 있는 위치로 조정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조작 패널(100)을 통해서, 이송량(L2∼L3)의 범위 내의 값으로 클램프부(54)가 클램프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런데, 윗실 절단 칼(43)에 의한 절단 후에 있어서, 바늘(18)에서부터 클램프부(54)를 거쳐 실 끝까지의 길이인 바늘실의 나머지 길이는, 도 10의 [AB 사이 + BC 사이 + CD 사이 + DE 사이]이다. BC 사이, CD 사이는 이송량이 많을수록 길어지며, 결국 바늘실의 나머지 길이는, 윗실 절단 칼(43)에 의한 윗실 절단까지의 톱니대(13)의 이송량이 많을수록 길어진다.
게다가, 실 장력도 크게 영향을 미친다. 즉, 조작 패널(100)에서 설정되는 공이송할 때의 장력이 세면, 실 공급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윗실(T)의 보내기가 억제되어, 바늘실의 나머지 길이도 짧아진다. 또한 장력이 약하면, 실 공급원으로부터의 풀려 나오는 실의 공급량이 많아져서 바늘실의 나머지 길이는 길어진다.
따라서 조작 패널(100)에 있어서, 원하는 바늘실의 나머지 길이를 얻을 수 있도록, 공이송할 때의 윗실의 장력을 설정하는 동시에, 톱니대(13)를 봉제 종료 위치에서부터 어느 정도 보냈을 때 윗실을 끊어야 할지의 타이밍을 설정한다.
한편, 상기 클램프의 타이밍과 윗실 절단의 타이밍에 대해 시간적인 전후 관계는 한정되지 않는다.
그런데, 상기에서는, 톱니대(13)의 Y 방향의 이송량과, 실 끊기나 클램프의 타이밍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실제의 봉제 종료시에는 최후의 바늘 낙하 위치(W1)와, 클램프부(54)의 위치가 X 방향에서 어긋나 있는 경우가 있다. 도 12에는, 단추구멍(H)의 주변에, 최초의 바늘 낙하 위치(W2)에서부터 바느질하기 시작해, 최후의 바늘 낙하 위치(W1)에서 봉제가 끝난 상태를 도시하였다. 단추구멍 재봉기(10)에서는, 이와 같이 단추구멍(H)에 가까운 안 바늘에서부터 시작하여, 마지막에는 바깥 바늘에서 종료한다. 봉제 종료시에 바늘(18)은, 점(M) 위에 있다.
진폭(x)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넓고, 최후의 바늘 낙하 위치(W1)가 X 방향에 있어서 상당히 바깥쪽에 있을 경우에, 이 상태 그대로 Y 방향으로 보내도, 바늘(18)에서부터 바늘 낙하 위치(W1)에 이어진 윗실(T1)은 클램프부(54)의 클램프(52b, 53b) 사이에 들어오지 않는다. 클램프(52b, 53b) 사이로 윗실(T)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도 12의 사선으로 나타낸 영역에 바늘 낙하 위치(W1)가 위치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바느질이 끝난 후, 공이송하기 전에 약 진폭(여기에서는, x) 정도 X 방향으로 톱니대(13)를 보낸다. 이것에 의해, 최후의 바늘 낙하 위치(W1)가 클램프부(54)에 의해 클램프될 수 있는 범위에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X 방향의 보정량도 조작 패널(100)에서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X 방향으로의 보정은, 진폭(x)이 클 경우나, 사뜨기의 마지막에 직선 바택(Bar tack)으로 끝나 X 방향에 있어서 상당히 바깥쪽에서 끝나는 경우에 유효하다.
도 13에, 단추구멍 재봉기(10)에 있어서의 윗실 클램프 처리를 포함한 봉제 처리의 플로우 차트를 도시하였다.
이 처리는, 스타트 스위치(125)가 조작됨으로써 개시된다. 먼저, 스텝 S1에서, 재봉기 모터(133) 등을 구동시켜 단추구멍 재봉이 시작된다. 그 다음에, 스텝 S2에서, 상하 실린더(73)가 ON되어, 윗실 클램프부(51)가 상방의 대기 위치에서 클램프 위치로 하강한다.
한편, 스텝 S1에서 봉제가 시작되어 바늘(18)이 상사점에서 하사점을 향해 하강하는 타이밍과, 윗실 클램프부(51)가 클램프 위치에 도달하는 것은 거의 동시이어도 되고, 윗실 클램프부(51)가 클램프 위치에 도달하는 것이 약간 빨라도 상관없다. 바늘(18)이 바느질하기 시작하면, 클램프부(54)에 클램프되어 있는 윗실은,바늘땀 안에 자연스럽게 딸려 들어가 꿰매어진다.
그런 다음, 스텝 S3에 있어서, 클램프부(54)가 윗실을 해제하도록 설정된 침수에 도달했지는지를 감시하여, 도달했으면 스텝 S4에서 전자 밸브(68)가 ON되어서, 클램프 실린더(65)를 연다. 이것에 의해 실 끝은 프리한 상태가 되어 그대로 자연스럽게 바늘땀 안으로 딸려 들어가 꿰매어진다.
그 후, 스텝 S5에서, 상하 실린더(73)를 OFF 상태로 전환하여, 윗실 클램프부(51)를 대기 위치에까지 상승시킨다. 한편, 대기 위치에 있어서, 클램프부(54)는 열린 상태 그대로이어도 되고 닫혀 있어도 된다.
그리고 나서, 스텝 S6에 있어서, 봉제가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봉제가 종료될 때까지 판정하여, 종료되면 스텝 S7로 이행한다. 스텝 S7에서, 다시 한번 상하 실린더(73)가 ON되어, 윗실 클램프부(51)가 클램프 위치까지 하강한다. 한편, 클램프부(54)가 닫힌 상태로 대기하고 있었을 경우에는, 개방 후에 하강한다.
그리고 스텝 S8에서는, 클램프되기 쉬운 위치에 최후의 바늘 낙하 위치가 위치하도록, 설정된 보정량만큼 X 방향으로 톱니대(13)를 보내어, 스텝 S9에서 봉제 종료 위치에서 원점으로의 톱니대(13)의 이동(공이송)을 시작한다. 이 때, 윗실의 장력도 조작 패널(100)을 통해서 설정한 소정의 값으로 조절된다.
스텝 S10에서, 설정된 소정의 이송량에 있어서 윗실을 끊고, 스텝 S11에서, 톱니대(13)가 소정량 보내져서 클램프하는 타이밍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보내졌다고 판정하면 스텝 S12로 이행한다. 스텝 S12에 있어서, 클램프 실린더(65)가 OFF 상태가 되어 윗실을 클램프하고, 그 다음에 스텝 S13에서 상하실린더(73)가 OFF되어 윗실 클램프부(51)가 상승한다. 스텝 S14에 있어서, 그 밖의 봉제 후처리(예컨대, 나중 메스 처리 등)를 하여, 이 플로우를 끝낸다.
한편, 스텝 S10의 윗실 절단의 타이밍과, 스텝 S12의 클램프의 타이밍은 설정에 따라서는 순서가 뒤바뀔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단추구멍 재봉기(10)에 따르면, 윗실 클램프 장치(50)를, 노루발 장치(20)의 우측 노루발 수단(21), 좌측 노루발 수단(24) 사이에 배치하고, 더욱이 상하 구동부(70)는 천 절단 장치(30)의 후방이면서 아암부(14) 아래의 세로 동체부(17) 근처에 배치하며, 윗실 클램프부(51)는 바늘(18)과 천 절단 장치(30) 사이에 배치하였다. 따라서, 재봉기(10)의 측면이나 앞쪽에 설치된 부재가 없기 때문에, 봉제물의 세트 등의 작업시에 방해가 될 것이 없으며, 또한 시인성도 높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윗실 클램프 장치(50) 전체를 바늘(18)의 후방에 배치하도록 하면, 천 절단 장치(30)와 바늘(18)의 거리가 길어져, 톱니대(13)의 전후 방향의 이동량이 많아지게 된다. 그러나, 단추구멍 재봉기(10)에서는, 상하 구동부(70)를 윗실 클램프부(51)로부터 떨어뜨려서 천 절단 장치(30)의 후방에 배치함으로써, 그 만큼 천 절단 장치(30)와 바늘(18)의 거리를 짧게 해, 톱니대(13)의 이동량이 적기 때문에, 사이클 타임의 단축을 꾀할 수 있는 동시에, 아암부(14)의 전후 방향을 짧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노루발 장치(20)의 내측에 윗실 클램프 장치(50)의 전체가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노루발 장치(20)를 구성하는 부재의 착탈이 용이하다.
또한, 윗실 클램프 장치(50)의 동작은, 상하 실린더(73)에 의한 상하 운동과, 클램프 실린더(65)에 의한 클램프부(54)의 개폐뿐이며, 클램프부(54)와 윗실의 접근은, 톱니대(13)의 X 방향으로의 보정 이동이나 공이송 이동에 의해 윗실이 클램프부(54)에 접근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클램프부(54)에 대해 바늘(18)이나 윗실에 접근하기 위해 돌아 들어가거나, 고개를 흔드는(swing) 것과 같은 동작이 필요 없으므로, 구동원이나 구조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게다가, 감압 밸브(68a)에 의해 클램프 실린더(65)의 로드(65a)의 출력압을 조절하여, 클램프부(54)의 클램프 힘을 실 종류 등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클램프 힘이 지나치게 강해서, 봉제 시작시에 실 끝이 갈라져 버리거나, 봉제물에 주름이 생기거나, 바늘이 부러지는 따위의 일은 없다.
더욱이, 봉제 시작시에, 미리 조작 패널(100)에서 설정한 침수의 타이밍으로, 윗실을 해방시키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자연스럽게 빠질 때까지 계속 파지하는 것이 아니므로, 이 점에서도, 봉제 시작시에 실 끝이 갈라지고, 봉제물에 주름이 생기거나 또는 바늘이 부러지는 따위의 일은 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봉제 종료시의 톱니대(13)의 이송량에 대응하여 윗실 절단의 타이밍을 설정함과 동시에, 이러한 공이송할 때의 윗실의 장력을 설정함으로써, 바늘(18)에서부터 클램프부(54)를 거쳐 실 끝까지의 나머지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실 종류나 바느질 패턴 등에 따라 적당히 설정하여, 예컨대 다음 공정의 사뜨기의 바느질 길이가 길면 나머지 길이를 길게 하는 식의 실용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윗실 클램프부(51)는, 고정부(55a)가 상하 구동 아암(72)에 고정됨으로써 일체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었으나, 고정부(55a)와 상하 구동 아암(72)이 하나의 부재이어도 상관없으며, 요컨대, 윗실 클램프부(51)와 상하 구동부(70)가 거리를 두고 설치되고, 윗실 클램프부(51)가 상하로 구동되는 구성이여도 무방하다.
또한, 도 9의 조작 패널에 있어서는, 패턴 데이터 설정과는 별도로 장력 설정부를 설치하였으나, 패턴 데이터 중의 한 데이터 항목으로서 장력을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어도 된다.
더욱이, 윗실 클램프 장치의 상하 구동부의 구동원은, 실시예와 같은 상하 실린더에 한정되지 않고, 로드가 다각형이거나, 출력 축을 2개 가지는 듀얼 로드의 실린더를 사용하면, 가이드 축은 필요없다. 또한, 실린더가 아니라, 모터나 솔레노이드 등의 다른 구동원이어도 무방하다. 더욱이, 리니어 제어가 가능한 것이어도 상관없으며, 그 경우에는, 클램프하는 높이를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높이(H1, H2, H3)와 같이 제어하여, 그것에 의해 이송량에 대해 클램프하는 타이밍을 변경해도 무방하다.
개폐 수단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은 공기 실린더에 한정되지 않고, 솔레노이드 등의 다른 구동원이어도 좋다. 조절 수단에 대해서도, 감압 밸브와 같이 개폐 수단과 전혀 다른 부재일 수도 있고, 개폐 수단이 조절 수단을 갖는 구성이어도 좋다.
더욱이, 감압 밸브(68a)는, 제어 회로에 접속되어 있지는 않기 때문에, 감압 밸브의 밸브 조절부를 직접 작업자가 조작할 수도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재봉기의 옆이나 앞쪽에 윗실 클램프 장치를 구성하는 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봉제물의 세트 등의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으며, 또한 시인성도 높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좌우의 노루발의 내측에 윗실 클램프 장치의 전체가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노루발을 구성하는 부재의 착탈이 용이하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천 절단 장치와, 바늘대 즉, 바늘과의 거리를 짧게 하여, 봉제시의 톱니대의 이동량을 적게 할 수 있어, 사이클 타임의 단축을 꾀할 수 있는 동시에, 아암부의 전후 방향을 짧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어 윗실 클램프부에 의한 윗실의 클램프 전에, 톱니대를 이동시켜서 봉제물에 이어진 윗실을 좌우 방향에서 윗실 클램프부와 가까워지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윗실 클램프부가 윗실(바늘)과 가까워지기 위해 스윙하거나 돌아 들어가는 것처럼 복잡하게 동작하는 구성이 아니기 때문에, 구동원이나 기구를 비교적 간단한 것으로 해서, 소형화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윗실이 윗실 클램프부에 접근하여 클램프될 수 있는 상태가 되었을 때 클램프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클램프부 쪽을 윗실을 향해 구동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윗실 클램프부가 윗실(바늘)과 가까워지기 위해 스윙하거나 돌아 들어가는 것처럼 복잡하게 동작하는 구성이 아니기 때문에, 구동원이나 기구를 비교적 간단한 것으로 해서, 소형화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설정을 적당히 변경함으로써 바늘에서 실 끝까지의 실의 나머지 길이를, 다음의 사뜨기 바느질의 형상이나 길이 등에 맞춰서 조절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실의 나머지 길이를 길게 하고 싶을 때에는 장력을 약하게 하고, 실의 나머지 길이를 짧게 하고 싶을 때에는 장력을 세게 설정함으로써, 바늘에서 실 끝까지의 실의 나머지 길이를, 다음의 사뜨기 바느질의 형상이나 길이 등에 맞춰서 조절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실 종류 등의 필요에 따라서 클램프 힘을 조절해, 클램프 힘이 너무 강해서 봉제를 시작할 때 실 끝이 갈라지고, 봉제물에 주름이 생기거나, 바늘이 부러지는 사태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실 종류 등에 따라 적당히 설정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자연스럽게 클램프에서 빠져나올 때까지 윗실을 계속 잡고 있지 않기 때문에, 봉제를 시작할 때 실 끝이 갈라지고, 봉제물에 주름이 생기거나, 바늘이 부러지는 따위의 일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Claims (8)

  1. 베드부 및 상기 베드부의 후방부에서부터 기립하는 세로 동체부 및 상기 베드부의 전방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세로 동체부에서부터 전방으로 뻗는 아암부로 이루어진 재봉기 프레임과,
    상부면에 봉제물을 올려놓고 상기 봉제물을 보내도록 상기 베드부의 상부에 설치된 톱니대와,
    하단부에 바늘을 가지며 상기 아암부의 선단부에 설치된 바늘대와,
    봉제물에 구멍을 형성하도록 상기 아암부의 하방에 상기 바늘대보다 후방에 설치된 천 절단 장치와,
    상기 바늘대의 상하 경로를 사이에 두고 상기 톱니대의 상부면에 있어서 봉제물을 누르도록 설치된 노루발을 선단에 지지하여 상기 톱니대에 대해 지지된 좌우의 노루발 아암을 갖는 좌우의 노루발 수단과,
    봉제 종료후에 바늘에 이어진 윗실을 끊는 윗실 절단 수단과,
    봉제 종료후에 윗실을 클램프하는 윗실 클램프부 및 상기 윗실 클램프부를 상방의 대기 위치와 대기 위치보다 하방이면서 바늘 근처의 클램프 위치의 사이에서 상하로 구동시키는 상하 구동부로 이루어진 윗실 클램프 수단을 구비하는 단추구멍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윗실 클램프 수단은, 상기 바늘대의 후방 및 상기 좌우의 노루발 아암의 사이에서 상기 아암부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구멍 재봉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윗실 클램프부는, 상기 바늘대의 후방이면서 천 절단 장치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하 구동부는, 천 절단 장치보다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구멍 재봉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봉제 종료후에, 봉제물을 올려놓은 상기 톱니대를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구멍 재봉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봉제 종료후에, 상기 봉제물을 올려놓은 톱니대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윗실 클램프부는 상기 톱니대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윗실을 클램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윗실 클램프부에 의한 클램프의 타이밍을 이동량에 대해 설정할 수 있고, 설정한 타이밍으로 상기 윗실 클램프부에 의해 윗실이 클램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구멍 재봉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봉제 종료후에, 상기 봉제물을 올려놓은 톱니대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윗실 절단 수단은 상기 톱니대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윗실을 절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윗실 절단 수단에 의한 윗실 절단의 타이밍을 이동량에 대해 설정할 수 있고, 설정한 타이밍으로 윗실이 절단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구멍 재봉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봉제 종료후에, 상기 봉제물을 올려놓은 톱니대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윗실 절단 수단은 상기 톱니대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윗실을 절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톱니대가 후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하고 나서 윗실 절단까지의 윗실 장력을 설정할 수 있고, 윗실의 장력이 설정된 크기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구멍 재봉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윗실 클램프부를 윗실의 클램프 및 클램프의 해제를 수행하도록 개폐 구동시키는 개폐 수단과, 상기 개폐 수단에 의한 윗실의 클램프 힘을 조절하는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구멍 재봉기.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윗실 클램프부를 윗실의 클램프 및 클램프의 해제를 수행하도록 개폐 구동시키는 개폐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윗실 클램프부에 의한 다음 봉제를 시작할 때의 클램프 해제의 타이밍을, 바느질 시작의 침수에 대해 설정할 수 있으며,
    봉제 시작후에 설정한 침수에 도달했을 때에 클램프를 해제하도록 타이밍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구멍 재봉기.
KR1020020020370A 2001-04-16 2002-04-15 단추구멍 재봉기 KR1008321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16989A JP4616502B2 (ja) 2001-04-16 2001-04-16 穴かがりミシン
JPJP-P-2001-00116989 2001-04-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1086A true KR20020081086A (ko) 2002-10-26
KR100832186B1 KR100832186B1 (ko) 2008-05-23

Family

ID=18967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370A KR100832186B1 (ko) 2001-04-16 2002-04-15 단추구멍 재봉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616502B2 (ko)
KR (1) KR100832186B1 (ko)
CN (1) CN127367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2609B2 (ja) * 2005-07-28 2011-06-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穴かがり縫いミシン
JP4747743B2 (ja) * 2005-08-30 2011-08-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布押え装置及びミシン
JP2007268013A (ja) * 2006-03-31 2007-10-18 Brother Ind Ltd 穴かがり縫いミシンの糸掴み装置
JP2007268014A (ja) * 2006-03-31 2007-10-18 Brother Ind Ltd 穴かがり縫いミシンの糸掴み装置
JP5218935B2 (ja) * 2007-10-12 2013-06-26 ヤマトミシン製造株式会社 ミシンの空環縫い込み方法及び空環縫い込み装置
JP2009207820A (ja) 2008-03-06 2009-09-17 Juki Corp 穴かがりミシン
CN102296432B (zh) * 2010-06-28 2015-04-01 Juki株式会社 缝纫机的切线装置
PT3583261T (pt) * 2017-02-16 2023-03-13 Pfaff Ind Und Maschinen Gmbh Unidade de costura e método de costura para a produção de dardos
CN108442051A (zh) * 2018-03-31 2018-08-24 宁波舒普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缝纫机的剪线头控制机构
CN114481471B (zh) * 2022-02-15 2023-05-12 拓卡奔马机电科技有限公司 切刀控制的方法、系统、切刀装置、锁眼机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4921A (en) * 1982-06-29 1983-09-20 Durkoppwerke Gmbh Buttonhole machine with automatic thread clipping
DE8313114U1 (de) * 1983-05-04 1983-09-29 Dürkoppwerke GmbH, 4800 Bielefeld Knopflochnaehmaschine mit einer fadenklemmvorrichtung fuer den nadelfaden
JPS6430510A (en) * 1987-07-24 1989-02-01 Komatsu Zenoa Kk Rotary type brush cutter
JPH0616620Y2 (ja) * 1987-11-13 1994-05-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縫糸切断装置
DE3812092A1 (de) * 1988-04-12 1989-10-26 Duerkoppwerke Knopflochnaehmaschine mit einer fadentrenn- und -klemmvorrichtung
DE19722504C1 (de) * 1997-05-30 1998-09-03 Duerkopp Adler Ag Nähmaschine, insbesondere Knopfloch-Nähmaschine, mit einer Nadelfaden-Klemm- und- Schneid-Ein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2186B1 (ko) 2008-05-23
CN1273675C (zh) 2006-09-06
CN1381626A (zh) 2002-11-27
JP4616502B2 (ja) 2011-01-19
JP2002306881A (ja) 2002-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7438B2 (ja) ミシン
KR100832186B1 (ko) 단추구멍 재봉기
EP1967629B1 (en) Sewing machine with upper thread cutting and holding mechanisms
JP4665619B2 (ja) ジグザグミシン
EP1967630A1 (en) Sewing machine with upper thread cutting and holding mechanisms
JP4047624B2 (ja) ミシン
JP3779912B2 (ja)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JP2009207820A (ja) 穴かがりミシン
JP5468236B2 (ja) 玉縁縫いミシン
JP5149557B2 (ja) 玉縁縫いミシン
KR20030061325A (ko) 단추 공급 장치
JP3940588B2 (ja) 穴かがりミシンの下糸切断装置
JP4650169B2 (ja) 鳩目穴かがりミシン
JP3508371B2 (ja) 鳩目穴かがりミシン
JP2012165849A (ja) ミシン及びミシンの糸切り方法
JP2722779B2 (ja) 穴かがりミシン
JP2003236281A (ja) ミシン
KR20020092180A (ko) 단사 체인 솔기의 끝매듭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3737748B2 (ja) ボタン付けミシン
US10000872B2 (en) Sewing machine
JP2006141869A (ja) ミシン
JP2009165737A (ja) ミシンの糸通し装置及びミシン
KR20090076821A (ko) 단추구멍박기 재봉기
JPH11333172A (ja) ミシンの糸張力制御装置
CN106048906B (zh) 纽扣孔锁边缝纫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