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1325A - 단추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단추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1325A
KR20030061325A KR10-2003-0001339A KR20030001339A KR20030061325A KR 20030061325 A KR20030061325 A KR 20030061325A KR 20030001339 A KR20030001339 A KR 20030001339A KR 20030061325 A KR20030061325 A KR 20030061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holder
supply
supply apparatus
link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1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시 오노
후미히코 요시다
시니치 사카모토
요우 오다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1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1325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12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fastening articles by sewing
    • D05B3/22Article-, e.g. button-, feed mechanism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305/00Operations on the work before or after sewing
    • D05D2305/32Measuring
    • D05D2305/36Quality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추 공급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가격이 저렴한 단추 공급 장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단추 공급 장치(10)는, 재봉틀(1)의 베드부(2) 측방의 단추 세트 위치(P1)에 세트된 단추(B)를 베드부 상방의 단추 공급 위치(P2)로 공급하는 것이며, 단추를 홀딩하는 단추 지지대(30)를 세로 몸통부 측을 통과시켜서 단추 세트 위치와 단추 공급 위치에 걸쳐 이동시키는 평행4절 링크기구(40), 평행4절 링크기구를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50), 구동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60)을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 수단의 구동원으로서 모터를 이용할 경우, 단추 세트 위치나 단추 공급 위치를 임의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단추 공급 작업의 작업성 및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단추 공급 장치{BUTTON SUPPLY DEVICE}
본 발명은 단추를 재봉틀에 공급하는 단추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1개의 단추 달기 작업이 종료한 후에 자동적으로 다음의 단추를 공급하는 단추 공급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단추 공급 장치(200)는 단추 구멍의 위치에 대응하는 돌기(201a)를 구비한 단추 유지대(201), 단추 유지대(201)를 지지하는 아암부(202), 아암부(202)를 수평면 내에서 선회시켜서, 단추 유지대(201)를 단추 세트 위치(P1)와 단추 공급 위치(P2)에 걸쳐 이동시키는 공기압식 회전 실린더(203)로 등으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회전 실린더는 브라켓을 통해서 재봉틀 아암의 우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재봉틀의 베드부(204) 상에 설치되어 봉제 작업 중에 단추를 파지하는 단추 척부(button chuck portion; 205)에 단추를 공급할 때에는, 우선, 회전 실린더(203)를 구동시켜 단추 유지대(201)를 단추 세트 위치(P1)까지 이동시킨다. 그래서, 단추 유지대(201)의 돌기(201a)를 단추 구멍에 삽입 통과시켜, 단추를 세트시키고, 단추 유지대(201)를 단추 공급 위치(P2)까지 이동시킨다.
또한, 단추 척부(205)에서는, 좌우로 대향하는 척 편(205a)에 의해 단추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끼움으로써 단추를 파지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단추 공급 장치(200)의 구동원으로서 공기압식의 회전 실린더(203)를 이용할 경우, 단추 유지대(201)를 미리 설정한 단추 세트 위치(P1)와 단추 공급 위치(P2)의 2개의 위치로 밖에 정지시킬 수 없기 때문에, 예컨대, 단추 세트 위치(P1) 및 단추 공급 위치(P2)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회전 실린더(203)를 사용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작업자가 단추 지지대(201)에 단추를 세트할 때 등에, 아암부(202)에 대해 수평 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단추 지지대(201)가 수평방향으로 위치 어긋나게 되어, 단추의 세팅 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단추 세트 위치(P1)를 베드부의 좌측으로 설정한 경우에, 상술한 아암부의 우측면에 부착해 있는 단추 공급 장치(200)를 그 상태로 아암부의 좌측면에 부착할 수 없고, 단추 공급 장치(200)의 제조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단추 세트 위치(P1)와 단추 공급 위치(P2)에서는 단추 유지대(201)의 앞뒤 방향이 반대로 되기 때문에, 단추 세트 위치(P1)에 세팅한 단추의 방향과 대략 180도 회전한 방향으로 단추 공급 위치(P2)에 있어서 봉제가 이루어지게 되고, 단추가 어느 방향으로 천에 부착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단추 공급 장치(200)들은 재봉틀 베드나 베드 가로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베드 주변의 공간이 좁아 져서, 봉제 준비 작업 등에 방해가 되어 능률을 저하시키는 수가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문제를 고려한 것으로, 단추 공급 작업이나 봉제 준비 작업 등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추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가격이 저렴한 단추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단추 공급 위치 등을 변경할 수 있게 해서 단추 달기 재봉틀의 종류나 봉제 작업에 따라서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또한, 이들의 위치 변경에 의해서도 안정된 단추 공급을 가능하게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는 단추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베드부(2)와, 베드부로부터 상방으로 기립하는 세로 몸통부(3)와, 세로 몸통부(3)의 상부로부터 베드부와 대략 평행하게 전방으로 연장되는 아암부(4)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베드부 상방에 있어서 단추를 봉제 위치에 유지시키는 척 유닛(20)을 설치하는 단추 달기재봉틀에 설치되며, 상기 베드부 측방의 단추 세트 위치(P1)에 세트된 단추(B)를, 상기 척 유닛에 단추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하는 단추 공급 위치에 공급하는 단추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추를 착탈가능하게 유지시키는 세트부를 가지는 단추 유지대(30)와,
상기 단추 유지대에 연결되며, 동작할 때에 상기 단추 유지대가 상기 세로 몸통부 측을 통과하여 단추 세트 위치(P1)와 단추 공급 위치(P2)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평행4절 링크기구(40)와,
상기 평행4절 링크기구를 작동시키도록 연결된 구동 수단(50)과,
상기 단추 지지대가 상기 단추 세트 위치와 상기 단추 공급 위치의 2개의 위치 사이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6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 공급 장치(1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단추 유지대가 세로 몸통부 측을 통과하여 이동하므로, 단추 유지대가 베드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작업자 근처를 통과하지 않아, 단추 공급 장치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구동 수단의 구동원으로서 모터를 이용하면, 단추 세트 위치나 단추 공급 위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단추 공급 작업의 작업성 및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단추 공급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단추 공급 장치로서, 상기 평행4절 링크기구와 구동 수단이 단추 달기 재봉틀의 아암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재봉틀의 베드부(2)에 구동 수단 등이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베드부 주변이 넓어져, 봉제 준비 작업 등에 방해가 되지 않아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단추 공급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단추 공급 장치로서, 상기 평행4절 링크기구는, 상기 단추 달기 재봉틀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 수단을 지지하는 고정 부재(41)와, 상기 구동 수단에 연결되며, 그 연결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수평면 내에서 회전하는 원동 부재(42)와, 상기 원동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단추 유지대를 지지하는 종동 부재(43)와, 상기 종동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부재(4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으면서, 평행4절 링크기구를 구성하는 고정 부재가, 단추 공급 장치를 단추 달기 재봉틀에 부착하기 위한 브라켓으로서의 기능과, 구동 수단을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단추 공급 장치의 부품 수를 적게 하여,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단추 공급 장치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단추 공급 장치로서, 상기 원동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에 대략 수평면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조 부재(1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3과 동일한 효과를 얻으면서, 원동 부재 및 회전 부재에 연결되는 보조 부재를 구비하므로, 평행4절 링크기구의 사점(死点)을 통과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단추 공급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단추 공급 장치로서, 상기 단추 유지대에 유지된 단추의 방향이, 상기 단추 세트 위치와 상기 단추 공급 위치에서 변화하지 않도록 4절 링크기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으면서, 단추 세트 위치에서 세팅한 단추의 방향이 단추 공급 장치에서도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자는 천에 부착된 상태의 단추의 방향을 단추 세팅 시에 미리 파악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단추 공급 장치는, 청구항 1 에 기재된 단추 공급 장치로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단추 유지대를 단추 세트 위치와 단추 공급 위치의 사이에 대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으면서, 상기 단추 유지대를 단추 세트 위치와 단추 공급 위치 사이에서 대기시킨다. 따라서, 봉제 작업 중에 단추 유지대가 다음에 공급할 단추를 유지한 상태에서 대기하도록 하면, 단추 공급 작업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단추 공급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단추 공급 장치로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단추 유지대의 정지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으면서, 상기 단추 세트 위치 및 단추 공급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단추 달기 재봉틀의 종류나 작업 상황에 따른 위치를 설정할 수 있어서, 단추 공급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단추 공급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단추 공급 장치로서, 상기 단추 유지대에 단추가 세팅되었음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센서(7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으면서, 검지 수단이 단추 유지대에 단추가 세팅되었음을 검지하므로 단추 공급 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단추 공급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단추 공급 장치로서, 상기 단추 유지대가 단추를 유지시키는 단추 세트부(31)를 복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으면서, 상기 단추 유지대가 단추를 유지시키는 단추 세트부를 복수개 구비하므로, 단추 세트 위치에 있어서 단추 유지대에 복수의 단추를 세팅함으로써 단추 공급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단추 공급 장치는, 청구항 9에 기재된 단추 공급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단추 세트부 중에서 어느 단추 세트부에 단추를 세팅할지를 지시하는 지시 수단(램프(8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9와 동일한 효과를 얻으면서, 어느 단추 세트부에 단추를 세트할지를 지시 수단이 지시하므로, 단추 공급 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로서 나타낸 재봉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단추 공급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단추 공급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단추 공급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단추 공급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단추 공급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7은 단추 유지대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단추 공급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이다.
도 9는 재봉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단추 공급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1은 단추 공급 장치를 아암부의 좌측면에 부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12는 단추 공급 장치의 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13은 단추 유지대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단추 공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B : 단추 P1 : 단추 세트 위치
P2 : 단추 공급 위치 1 : 단추 달기 재봉틀
2 : 베드부 3 : 세로 몸통부
4 : 아암부 10 : 단추 공급 장치
30 : 단추 유지대 31 : 단추 세트부
40 : 평행4절 링크기구 41 : 고정 부재
42 : 원동 부재 43 : 종동 부재
44 : 회전 부재 50 : 구동 수단
52 : 워엄 기어 60 : 제어 수단
70 : 검지 수단(센서) 80 : 지시 수단(램프)
112 : 보조 부재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단추 공급 장치의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에 단추(B)을 꿰매 다는 단추 달기 재봉틀(1)(이하, 「재봉틀」이라 한다)은 베드부(2)와, 베드부(2)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기립하는 세로 몸통부(3)와, 이 세로 몸통부(3)의 상부로부터 베드부(2)와 거의 평행하게 전방으로 연장되는 아암부(4)로 구성된다.
전방(도 1)에서 보았을 때 베드부(2)의 우측에 위치한 단추 공급 장치(10)에 꿰맬 단추(B)를 세트할 수 있는 위치를 단추 세트 위치(P1)라고 하고, 베드부(2) 전단의 상방에 설치되며, 척 유닛(chuck unit; 20)에 단추를 주고 받아서 공급하는 위치를 단추 공급 위치(P2)라고 한다.
척 유닛(20)은 좌우로 대향하는 척 편(chuck piece; 21)의 사이에 단추(B)를 파지할 수 있고, 파지한 상태에서 단추(B)를 수평 상태로부터 수직 상태로 약 90도 회전시킬 수 있는 단추 회전 기구(22)가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추 회전 기구(22)를 구성하는 링크(도시 안됨), 주 링크(22a), 회전체(22b), 척 지지 아암(22c)에 의해, 척 지지 아암(22c)을 고정 링크로 하는 4절 링크가 구성되어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단추 회전 실린더를 구동함으로써 회전체(22b)가 90도 회전하고, 이 회전체(22b)와 일체로 척 유닛(20)이 90도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바늘대(도시 안됨)가 하단에 재봉 바늘(5)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어 수단(60)(도 9 참조)의 제어에 의해, 재봉틀 모터(도시 안됨)를 구동원으로 하는 바늘 상하 이동 기구(도시 안됨)에 의해 상하 이동시킴과 동시에, 재봉틀 모터와 동기로 하여 구동하는 바늘 요동 기구(도시 안됨)에 의해 좌우로 요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천 이송 기구(도시 안됨)가 베드부(2) 상의 천을 재봉 바늘(5)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재봉 바늘(5)과 베드부(2) 내에 설치되는 루프(도시 안됨)와의 협동 작동에 의해 단추 봉제나 뿌리 감기 봉제를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단추 봉제라는 것은, 척 유닛(20)에 의해 단추(B)를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단추의 실 통과 구멍에 바늘을 관통시켜서 바늘땀을 형성함으로써 단추를 봉제물에 꿰매 붙이는 작업, 즉, 실기둥을 형성하는 작업을 가리키며, 뿌리 감기 봉제라는 것은, 척 유닛(20)에 의해 단추(B)를 수직으로 한 상태에서 단추(B)와 천 사이에 형성된 실기둥을 감싸도록 바늘땀을 형성하는 작업, 즉 뿌리 감기를 형성하는 작업을 가리킨다.
단추 공급 장치(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추 세트 위치(P1)에 세팅된 단추(B)를 단추 공급 장치(P2)까지 반송시켜, 척 유닛(20)에 공급하는 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추 유지대(30), 평행4절 링크기구(40), 구동 수단(50)(회전 모터(51) 및 워엄 기어(52)), 제어 수단(60) 등으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단추 유지대(30), 평행4절 링크기구(40), 구동 수단(50)은 아암부(4)의 우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단추 유지대(30)는 단추(B)를 수평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그 단부에 있어서 평행4절 링크기구(40)의 종동 부재(43)에 고정되어 있다.
단추 유지대(30)의 길이 방향에는 복수개(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단추 세트부(31)가 설치되어 있고, 단추 유지대(30)는 단추 세트 위치(P1)에 있어서 그 길이방향이 전후방향을 따르는 상태에서, 단추 세트부(31)가 전방 즉, 작업자 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각 단추 세트부(31)에는 단추 구멍의 위치에 대응한 복수의 핀(31a)이 부착되어 있고, 이 핀(31a)을 단추 구멍에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단추(B)가 버튼 유지대(30)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추 유지대(30)에는 상하로 관통된 개구(32)가 단추 세트부(31)의 배치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단추 세트부(31)의 대략 중심 부분이며, 단추 세트부(31)의 개구(32)에 대응하는 위치에도 개구(31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추 유지대(30)의 하부면에는, 각 단추 세트부(31)에 대응한 센서(70)(검지 수단)가 부착되어 있어, 단추 세트부(31)에 단추(B)가 세트되어 개구(32) 및 개구(31b)가 폐쇄되면, 센서(70)가 단추 검출 신호를 제어 수단(60)으로 송신하고, 복수의 단추 세트부(31) 가운데 어느 단추 세트부(31)에 단추(B)가 세트되었는지를 인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단추 유지대(30)에는 각 단추 세트부(31)에 대응한 램프(80)(지시 수단)가 부착되어 있다. 각 램프(80)는 작업자가 단추(B)를 세트할 때에, 어느 단추 세트부(31)에 단추(B)를 세트할지를 점등에 의해 알리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단추 세트 위치(P1)에 있어서 단추 유지대(30)에 단추(B)를 1개만 세트할 때에는, 2개의 램프(80) 가운데, 세트될 단추 세트부(31)의 램프(80)가 점등한다. 또한, 단추 유지대(30)에 단추(B)를 2개 세트할 때에는, 작업자가 미리 세트할 단추(B)의 순번을 결정해 두고, 2개의 램프(80) 중에서 처음에 점등한 램프(80)에 대응하는 단추 세트부(31)에 처음의 단추(B)를 세트하고, 이후, 다른 단추 세트부(31)에 2번째의 단추(B)를 세트한다.
평행4절 링크기구(40)는, 단추 유지대(30)를 단추 세트 위치(P1)와 단추 공급 위치(P2)에 걸쳐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평행4절 링크기구(40)는 고정 부재(41)와 원동 부재(42)와 종동 부재(43)와 회전 부재(44)를 구비한다.
구동 수단(50)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 부재(41)는 재봉틀의 아암부(4)의 측부에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대략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부(45)와, 수평부(45)의 좌측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면부(46)와, 수평부(45)의 후방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배면부(47)를 구비한다.
측면부(46)는 좌우로 관통된 개구(46a)를 구비하고 있고, 이 개구(46a)를 통해 아암부(4)의 우측면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배면부(47)는 앞뒤로 관통된 개구(47a)를 구비하고 있으며, 구동 수단(50)의 회전 모터(51)는 그 회전축(51a)이 개구(47a)에 삽입 관통된 상태로 배면부(47)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 설명하겠지만, 회전축(51a)에는 워엄 기어(52)의 워엄(52a)이 부착되어 있다.
수평부(45)는 상하로 관통된 2개의 개구(45a)를 구비하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판체이고, 이들 개구(45a)에 원동부재 지지수단(90) 및 회전부재지지수단(100)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
원동부재 지지수단(90)은, 원동 부재(42)를 수평면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구동 수단(50)의 구동력을 원동 부재(42)에 전달하기 위해 설치되고, 실린더(91), 회전축(92), 베어링(93)을 포함한다. 실린더(91)는 수평부(45) 후방의 개구(45a)에 삽입 관통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회전체(92)는 실린더(19) 내에 삽입 관통되며, 베어링(93)에 의해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92)의 하단에는 원동 부재(42)가 고정되어 있고, 회전축(29)의 상단에는 워엄 기어(52)의 워엄 휠(52b)이 고정되어 있다. 그래서, 회전 모터(51)의 구동에 의해, 워엄 기어(52)를 통해 회전축(92)이 축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회전축(92)과 일체로 원동 부재(42)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부재 지지수단(100)은 회전 부재(44)를 수평면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고, 실린더(101), 회전축(102), 베어링(103)을 포함한다. 실린더(101)는 수평부(45) 전방의 개구(45a)에 삽입 관통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하단에 회전 부재(44)가 고정된 회전축(102)은 실린더(101) 내에 삽입 관통되며, 베어링(103)에 의해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원동 부재(4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일단부에 있어서 원동부재 지지수단(90)의 회전축(92)에 고정되고, 타단부에 있어서 종동 부재(4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원동 부재(42)의 타단부 측은 경사진 하방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선단 부분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개구(4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42a)에는 종동 부재(43)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대략 원통형상의 제 1 연결 부재(110)가 삽입 관통되어 있고, 원동 부재(42)는 제 1 연결 부재(110)를 통해 종동 부재(4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종동 부재(43)는 단추 유지대(30)를 고정 지지하고, 원동 부재(42)의 회전에 따라서 이동하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L자 형상의 부재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동 부재(43)의 일단부에는 제 1 연결 부재(110)가 설치되어 있고, 종동 부재(43)의 원동 부재(42)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종동 부재(43)의 타단부에는 대략 원통형의 제 2 연결 부재(111)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제 2 연결 부재(111)를 통해 회전 부재(44)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종동 부재(43)의 타단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된 부분에 단추 유지대(30)가 부착되어 있다.
회전 부재(44)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일단부에 있어서 회전부재 지지수단(100)의 회전축(102)에 고정되고, 타단부에 있어서 종동 부재(4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전 부재(44)의 타단부 측은 경사진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 부분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개구(4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44a)에는 종동 부재(43)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대략 원통형의 제 2 연결 부재(111)가 삽입 관통되어 있고, 회전 부재(44)는 제 2 연결 부재(111)를 통해 종동 부재(43)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동 부재(42)의 양단을 잇는 직선 즉, 원동 부재(42)와 원동부재 지지수단(90)의 회전축(92)의 고정점과, 원동 부재(42)와 제 1 연결 부재(110)의 연결점을 잇는 직선을 L1이라 한다. 그리고, 회전 부재(44)의 양단을 잇는 직선 즉, 회전 부재(44)와 회전부재 지지수단(100)의 회전축(102)의 고정점과, 회전 부재(44)와 제 2 연결 부재(111)의 연결점을 잇는 직선을 L2라 한다. 그리고, 종동 부재(43)의 양단을 잇는 직선 즉, 제 1 연결 부재(110)의 고정점과 제 2 연결 부재(111)의 고정점을 잇는 직선을 L3라고 한다. 또한, 원동 부재(42)와 원동부재 지지수단(90)의 회전축(92)의 고정점과, 회전 부재(44)와 회전부재 지지수단(100)의 회전축(102)의 고정점을 잇는 직선을 L4라고 한다. 그리고, 평면에서 봤을 때, 직선(L1)과 직선(L2)이 평행하게 되고, 또한, 직선(L3)과 직선(L4)이 평행하게 되도록 고정 부재(41), 원동 부재(42), 종동 부재(43) 및 회전 부재(44)가 연결됨으로써 평행4절 링크기구(40)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원동 부재(42)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과 회전 부재(44)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에는 보조 부재(112)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모터(51)가 구동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동 부재(42)가 회전축(92)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수평면 내에서 반시계 방향, 즉, 종동부(3) 측을 향해 회전하기 시작하고, 이 원동 부재(42)의 회전에 따라 종동 부재(43)가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래서, 종동 부재(43)의 이동에 따라 회전 부재(44)도 회전축(102)과의 고정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데, 평행4절 링크기구(40)의 성질상, 직선(L3)과 직선(L4)은 항상 평면에서 보았을 경우 평행 상태를 유지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단추 유지대(30)는 단추 세트 위치(P1)에 있어서의 방향을 유지한 채로, 즉, 그 길이 방향이 전후 방향을 따르는 상태로, 단추 세트부(31)가 전방에 위치한 채로 이동하게 된다.
그 후, 원동 부재(42), 종동 부재(43) 및 회전 부재(44)가 평면에서 볼 때 동일 직선(L) 상에 늘어서는, 소위 사점을 맞이한다. 이 상태에서는, 일반적인 평행4절 링크기구(40)에 의해서는, 종동 부재(43)와 회전 부재(44)의 연결점이 직선(L)에 대해 좌우 어느 쪽으로도 위치할 수 있게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평행4절 링크기구(40)에는 보조 부재(112)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종동 부재(43)와 회전 부재(44)의 연결점이 직선(L)에 대해서 우측에 위치하지 않고, 사점을 통과할 수 있다.
그 후, 단추 유지대(30)는 단추 공급 위치(P2)의 척 유닛(20) 근방까지 이동하여, 척 유닛(20)이 좌우로 대향하는 척 편(21)의 사이에서 단추(B)를 파지함으로써 단추 공급 작동을 완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평행4절 링크기구(40)는 대략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단추 세트 위치(P1)와 단추 공급 위치(P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단추 유지대(30)는 단추 세트 위치(P1)로부터 대략 180도 회전하여 단추 공급 위치(P2)에 도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직선(L1)과 직선(L2)은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원동 부재(42) 선단의 회전 궤적(R1)과 회전 부재(44) 선단의 회전 궤적(R2)은 동일한 직경의 원호를 그린다. 따라서, 전후 2개의 단추 세트부(31)는 순서대로 단추 공급 위치(P2)를 통과해 나가고, 단추(B)를 척 유닛(20)에 공급하게 된다.
또한, 단추 공급 위치(P2)에 있어서, 단추 유지대(30)는 좌우 방향으로 거의 변위되지 않고, 전후 방향으로 거의 직선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척 유닛(20)이 전방의 단추(B)를 파지하는 경우와 후방의 단추(B)를 파지하는 경우에서, 척 유닛(20) 자체를 전후의 단추(B)의 위치에 대응시켜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평행4절 링크기구(40)를 설치했기 때문에, 이 단추 공급 장치를 재봉틀의 베드부(2)에 대해서 좌우측의 어느 쪽에 설치해도 제어 상 단추 세트 위치(P1)와 단추 공급 위치(P2)를 반전시키기만 하면 단추를 동일하게 공급할 수 있다.
도 9에는 단추 공급 장치(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60)의 구성을 나타낸다. 한편, 제어 수단(60)에는 재봉틀(1)을 구성하는 각종 장치, 예컨대 재봉틀 모터나 바늘 상하 이동 기구, 바늘 요동 기구, 천 이송 기구, 단추 회전 기구(22) 등의 구동원이 되는 모터나 실린더 등도 구동 회로를 통해 접속되지만, 이들 각종 장치의 설명은 주지되어 있으므로 생략한다.
제어 수단(60)은 CPU(61)와, ROM(62)과, RAM(63)을 구비하고, 시스템 버스에 의해 각 부가 서로 데이터 입출력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CPU(61)는 ROM(62)에 격납되는 제어 프로그램이나 제어 데이터, 및 기동 페달(121), 조작 패널(122), 원점 센서(123), 단추 검지용의 센서(70) 등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서, 각종 데이터 처리나 구동 제어를 실시한다. RAM(63)은 CPU(61)의 작업 영역 등으로 이용되고, ROM(62)은 격납 내용 또는 CPU(61)의 연산처리 결과가 격납된다.
구동 회로(120)는 회전 모터(51)에 접속되어 있고, CPU(61)의 연산처리 결과에 의거하여 회전 모터(51)를 구동 제어한다.
또한, 제어 수단(60)에는 각 단추 세트부(31)에 대응한 램프(80)가 접속되어 있으며, 연산 결과에 의거하여, 어느 단추 세트부(31)에 단추(B)를 세트할지를 점등에 의해 알린다.
기동 페달(121)은, 봉제자가 재봉틀(1)을 조작할 때에 이용하는 것으로, 작업자가 기동 패달(121)을 발로 밟는 조작에 의해, 재봉틀(1)의 구동, 정지 등의 각종 봉제 지령이 CPU(61)에 출력된다.
조작 패널(122)은, 각종 조작 버튼과 표시부를 구비하며, 작업자는 조작 패널(122)로부터 봉제에 필요한 각종 정보, 예컨대, 단추 세트 위치(P1) 및 단추 공급 위치(P2)의 좌표나, 필요에 따라서, 전후 2개의 단추 세트부(31) 중에서, 단추(B)를 세트할 단추 세트부(31)의 지정, 또는 2개의 단추 세트부(31)에 대한 단추(B)의 세트 순번(단추 세트 순서) 등을 입력한다. 입력된 정보는 CPU(61)에 출력됨과 동시에 표시부에 표시된다.
또한, 제어 수단(60)은 각 단추 세트부(31)에 대응하는 센서(70)가 부착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단추 세트부(31)에 단추(B)가 세트되면, 센서(70)가 단추 검지 신호를 제어 수단(60)으로 송신하고, 제어 수단(60)에서는 복수의 단추 세트부(31) 중에서 어느 단추 세트부(31)에 단추(B)가 세트되었는지를 인식하여, 각종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단추 공급 장치(10)의 동작에 관해서 도 10의 플로우챠트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우선, 단계(S1)에 있어서 작업자가 재봉틀(1)의 전원 스위치를 온(on)으로 하고, 그후, 단계(S2)에서 준비 키이(key)를 온(on) 조작한다.
그러면, 단계(S3)에 있어서 원점 센서(123)가 단추 공급 장치(10)의 원점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원점 검출을 실행하고, 단계(S4)에 있어서 단추 유지대(30)가 단추 세트 위치(P1)까지 이동한다.
그래서, 단계(S5)에 있어서 작업자는 조작 패널(122)을 조작하여 사이클 입력, 즉, 단추 공급 장치(10)의 사이클 동작에 필요한 상술한 바와 같은 각종 정보를 입력한다.
단계(S6)에 있어서는, 사이클 입력에 의해 지정된 단추 세트 순서에 따라, 소정의 램프(80)를 점등시켜서, 작업자에게 단추(B)가 세트될 단추 세트부(31)를 알린다.
그리고, 단계(S7)에 있어서, 작업자는 램프(80)가 점등되어 있는 단추 세트부(31)에 단추(B)를 세트한다.
단계(S8)에서는, 단추 센서(70)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근거하여, 소정의 단추 세트부(31)에 단추(B)가 세트되어 있는지 어떤지의 여부를 판단해, "예"dls 경우에는 단계(S9)로 이행한다. 또한, "아니오"dls 경우는 단계(S11)로 이행하여 조작 패널(122)의 표시부에 에러(error)를 표시한다. 이후, 단계(S12)에 있어서 작업자가 리셋 스위치(reset switch)를 조작하면, 단계(S6)로 이행하고, 다시 소정의 램프(80)를 점등시킨다.
단계(S9)에 있어서는, 회전 모터(51)를 구동시킴으로써, 단추 유지대(30)를 단추 세트 위치(P1)로부터 세로 몸통부(3) 측을 통과해, 단추 공급 위치(P2)까지 이동시킨다.
그리고, 단계(S10)에서 척 유닛(20)에 소정의 단추(B)를 파지시킨다. 그후, 단계(S4)로 돌아가서, 단추 유지대(30)를 다시 단추 세트 위치(P1)로 복귀시킴으로써, 단추 공급 장치(10)의 일련의 동작을 종료한다.
그후, 척 유닛(20)이 단추(B)를 수평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단추 봉제를 실행하고, 단추(B)를 수직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밑둥 감기 봉제를 실행한다.
이러한 봉제들이 완료되고, 척 유닛(20)에 다음 단추(B)를 공급할 때, 즉, 2번째 이후의 단추 공급 동작에서는 단계(S5)에서의 사이클 입력은 하지 않고, 단계(S4)로부터 단계(S6)로 이행한다.
본 실시형태에 나타낸 단추 공급 장치(10)에 따르면, 평행4절 링크기구(40)를 이용하여 단추 유지대(30)를 단추 세트 위치(P1)와 단추 공급 위치(P2)에 걸쳐 이동시킨다. 따라서, 단추 유지대(30)는 단추 세트 위치(P1)에서의 방향을 유지하여, 단추 세트부(31)가 전방으로 위치한 상태인 채로 이동하게 되므로, 단추 세트 위치(P1)에서 단추 세트부(31)에 세트된 단추(B)의 방향이 단추 공급 위치(P2)에서도 변화가 없어서, 작업자는 천에 부착된 상태의 단추(B)의 방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단추 세트 위치(P1)를 베드부(2)의 좌측으로 설정했을 경우에서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추 유지대(30), 평행4절 링크기구(40) 및 구동 수단(50)의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아암부(4)의 좌측면에 부착할 수 있어서, 단추 공급 장치(10)의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단추 유지대(30)가 세로 몸통부(3) 측을 통과해 이동하므로, 단추 유지대(30)가 베드부(2)의 전방에 위치하는 작업자 근처를 통과하지 않아, 단추 공급 장치(10)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원동 부재(42)와 회전 부재(44)에 연결하는 보조 부재(112)를 구비하므로, 종동 부재(43)와 회전 부재(44)의 연결점이 직선(L)에 대해서 평면에서 봤을 때 우측에 위치하지 않고, 사점을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 수단(50)의 구동원으로서 회전 모터(51)를 이용하므로, 단추 세트 위치(P1)이나 단추 공급 위치(P2)를 조작 패널(122)을 통해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단추 공급 작업의 작업성 및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제 작업 중에, 제어 수단(60)의 제어에 의해 단추(B)를 유지한 상태의 단추 유지대(30)를 단추 세트 위치(P1)와 단추 공급 위치(P2) 사이의 위치에서 정지(대기)시켜 두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단추 공급 작업에 필요한 시간(사이클 타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모터(51)의 구동력이 워엄 기어(52)를 통해 평행4절 링크기구(40)에 전달된다. 따라서, 예컨대, 작업자가 단추 세트부(31)에 단추(B)를 세트할 때에, 단추 유지대(30)나 평행4절 링크기구(40)에 대해서 수평 방향의 힘이 작용했을 경우에서도, 워엄 기어(52)에 연결되는 원동 부재 지지 수단(90)의 회전축(92)은 축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추 유지대(30)의 수평 방향으로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어, 단추 세트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어느 단추 세트부(31)에 단추(B)를 세트할지를 램프(80)가 지시하고, 또한, 센서(70)가 소정의 단추 세트부(31)에 단추(B)가 세트된 것을 검지하므로 단추 공급 작업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인 형상, 구조, 구동원의 종류 등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구동 수단(50)의 구동원으로서 구동 제어 가능한 리니어 모터나 솔레노이드 등의 주지의 구동원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단추 유지대(30)의 형상이나 기능에 대해서도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며, 단추 유지대(30)에 단추 세트부(31)가 1개만 부착되는 것이어도 좋고, 또는, 3개 이상 부착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추 유지대(130)로서, 상부면에 판 스프링(131)을 구비하고, 선단에 돌기(132)를 구비한 것을 이용해, 예컨대, 섕크 단추나 마블 단추 등의 단추 구멍에 돌기(132)를 삽입 통과시킨 상태에서, 판 스프링(131)에 의해 단추(B)의 표면을 누름으로써 단추를 유지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단추 유지대가 세로 몸통부 측을 통과하여 이동하므로, 단추 유지대가 베드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작업자 근처를 통과하지 않아, 단추 공급 장치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구동 수단의 구동원으로서 모터를 이용하면, 단추 세트 위치나 단추 공급 위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단추 공급 작업의 작업성 및 정밀도를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재봉틀의 베드부(2)에 구동 수단 등이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베드부 주변이 넓어져, 봉제 준비 작업 등에 방해가 되지 않아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으면서, 평행4절 링크기구를 구성하는 고정 부재가, 단추 공급 장치를 단추 달기 재봉틀에 부착하기 위한 브라켓으로서의 기능과, 구동 수단을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단추 공급 장치의 부품 수를 적게 하여,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3과 동일한 효과를 얻으면서, 원동 부재 및 회전 부재에 연결되는 보조 부재를 구비하므로, 평행4절 링크기구의 사점(死点)을 통과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으면서, 단추 세트 위치에서 세팅한 단추의 방향이 단추 공급 장치에서도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자는 천에 부착된 상태의 단추의 방향을 단추 세팅 시에 미리 파악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으면서, 상기 단추 유지대를 단추 세트 위치와 단추 공급 위치 사이에서 대기시킨다. 따라서, 봉제 작업 중에 단추 유지대가 다음에 공급할 단추를 유지한 상태에서 대기하도록 하면, 단추 공급 작업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으면서, 상기 단추 세트 위치 및 단추 공급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단추 달기 재봉틀의 종류나 작업 상황에 따른 위치를 설정할 수 있어서, 단추 공급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으면서, 검지 수단이 단추 유지대에 단추가 세팅되었음을 검지하므로 단추 공급 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으면서, 상기 단추 유지대가 단추를 유지시키는 단추 세트부를 복수개 구비하므로, 단추 세트 위치에 있어서 단추 유지대에 복수의 단추를 세팅함으로써 단추 공급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9와 동일한 효과를 얻으면서, 어느 단추 세트부에 단추를 세트할지를 지시 수단이 지시하므로, 단추 공급 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Claims (10)

  1. 베드부와,
    상기 베드부로부터 상방으로 기립하는 세로 몸통부와,
    상기 세로 몸통부의 상부로부터 상기 베드부와 대략 평행하게 전방으로 연장되는 아암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베드부 상방에 있어서 단추를 봉제 위치에 유지시키는 척 유닛을 설치한 단추 달기 재봉틀에 설치되며, 상기 베드부 측방의 단추 세트 위치에 세트된 단추를, 상기 척 유닛에 단추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단추 공급 위치에 공급하는 단추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추를 착탈가능하게 유지시키는 세트부를 가지는 단추 유지대와,
    상기 단추 유지대에 연결되며, 작동할 때에 상기 단추 유지대가 상기 세로 몸통부 측을 통과하여 단추 세트 위치와 단추 공급 위치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평행4절 링크기구와,
    상기 평행4절 링크기구를 작동시키도록 연결된 구동 수단과,
    상기 단추 지지대가 상기 단추 세트 위치와 상기 단추 공급 위치의 2개의 위치 사이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4절 링크기구와 구동 수단이 단추 달기 재봉틀의 아암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 공급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4절 링크기구는,
    상기 단추 달기 재봉틀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 수단을 지지하는 고정 부재와,
    상기 구동 수단에 연결되며, 그 연결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수평면 내에서 회전하는 원동 부재와,
    상기 원동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단추 유지대를 지지하는 종동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종동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 공급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에 대략 수평면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 공급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추 유지대에 유지된 단추의 방향이 상기 단추 세트 위치와 상기 단추 공급 위치에서 변화하지 않도록 4절 링크기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 공급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단추 유지대를 단추 세트 위치와단추 공급 위치의 사이에서 정지시켜 대기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 공급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단추 유지대의 정지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 공급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추 유지대에 단추가 세트되었음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 공급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추 유지대가 단추를 유지시키는 단추 세트부를 복수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 공급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추 세트부 중에서 어느 단추 세트부에 단추를 세트할지를 지시하는 지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 공급 장치.
KR10-2003-0001339A 2002-01-10 2003-01-09 단추 공급 장치 KR200300613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03436 2002-01-10
JP2002003436A JP2003205189A (ja) 2002-01-10 2002-01-10 ボタン供給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325A true KR20030061325A (ko) 2003-07-18

Family

ID=27643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1339A KR20030061325A (ko) 2002-01-10 2003-01-09 단추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3205189A (ko)
KR (1) KR20030061325A (ko)
CN (1) CN10050097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7354B2 (ja) * 2004-09-07 2011-06-22 Juki株式会社 ボタン付けミシン
JP4660268B2 (ja) * 2005-05-11 2011-03-30 Juki株式会社 ボタン搬送装置
JP2009247382A (ja) * 2008-04-01 2009-10-29 Juki Corp ボタン供給装置
KR101082070B1 (ko) 2008-11-19 2011-11-10 서명원 단추 자동공급장치
CN102720004B (zh) * 2012-06-18 2014-06-18 上海威士机械有限公司 一种钉扣机床钮爪有无纽扣自动检测机构
CN103332472B (zh) * 2013-07-02 2015-12-30 广东溢达纺织有限公司 纽扣定位送料机及纽扣定位方法
CN106012314B (zh) * 2016-07-30 2019-04-26 嘉善县东方银河实业有限公司 分离式自动纽扣定位缝纫装置
CN106637696B (zh) * 2016-12-15 2019-11-08 拓卡奔马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缝制按扣的钮钳
KR101839511B1 (ko) * 2017-08-29 2018-03-16 강건한 단추 가이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2359494A (zh) * 2020-11-03 2021-02-12 温州沫系服装有限公司 服装扣子缝纫辅助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205189A (ja) 2003-07-22
CN100500971C (zh) 2009-06-17
CN1432682A (zh) 2003-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0502B2 (en) Thread cutting device of sewing machine
KR20030061325A (ko) 단추 공급 장치
JP2006346087A (ja) ジグザグミシン
JP2006304962A (ja) ミシン
JP4047624B2 (ja) ミシン
US6973889B2 (en) Overlock sewing machine
US5899157A (en) Presser foot device of sewing machine having a presser foot ascent detection device and a control mechanism
KR100832186B1 (ko) 단추구멍 재봉기
US20090071385A1 (en) Thread cutting device of sewing machine
JP2007244463A (ja) ミシンの布保持枠移送装置
JP2002306875A (ja)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JPH1157267A (ja) オーバーロックミシン
US10000872B2 (en) Sewing machine
EP2141272B1 (en) Knee lever for sewing machine
JPH09225166A (ja) 鳩目穴かがりミシン
JP2000197782A (ja) ミシン
JP2850519B2 (ja) ミシンの送り量修正装置
CN214938289U (zh) 一种具有免多走一针并在零针距剪线的缝纫机
JP2023151091A (ja) 押え装置、ミシン、及び押え装置の装着方法
JP2009050634A (ja) ミシン
JP2583786B2 (ja) ミシンの端縫い装置
JPH05293277A (ja) ミシン
JP2880016B2 (ja) ミシン
JP2873128B2 (ja) ミシン
JP3145087B2 (ja) 刺しゅう機の模様形成位置設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