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6781A - 인진쑥 추출물 함유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진쑥 추출물 함유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6781A
KR20020056781A KR1020000086199A KR20000086199A KR20020056781A KR 20020056781 A KR20020056781 A KR 20020056781A KR 1020000086199 A KR1020000086199 A KR 1020000086199A KR 20000086199 A KR20000086199 A KR 20000086199A KR 20020056781 A KR20020056781 A KR 20020056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phosphorus
mugwort
inj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6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1472B1 (ko
Inventor
한종현
백승화
안병용
곽준수
황호선
류정미
권의광
Original Assignee
한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종현 filed Critical 한종현
Priority to KR10-2000-0086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1472B1/ko
Publication of KR20020056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6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4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8Concentrating or drying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1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5Flavour affect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Abstract

본 발명은 인진쑥 추출물 함유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진 추출물 제조시 밀폐하지 않은 용기에서 90∼110℃의 저온으로 인진과 정제수를 넣어 가열한 후 환류냉각장치를 이용하여 냉각시켜 인진쑥 추출물을 획득하고 여기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부유물을 제거한 후 감압농축함으로써 향취미가 뛰어나고 맛이 부드러우며 침전물의 양이 적어 관능이 뛰어나며,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인진 추출물을 음료에 첨가할 수 있어 기호성 및 관능이 개선된 인진 추출물을 획득하였으며 이러한 인진쑥 추출물 10∼50중량%, 산미제 0.01∼0.50중량%, 감미제 5.0∼10.0중량%, 과일농축액 1.0∼5.0중량% 및 벌꿀 0∼10중량% 등을 혼합하여 제조한 본 발명 인진쑥 추출물 함유 기능성 음료는 혈관이완효과, 뇌졸중 예방효과 및 항돌연변원성에 의한 항암효과를 높일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진쑥 추출물 함유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Functional beverage containing extract of Artermisia capillaris THUNB and process for preperation thereof}
본 발명은 인진쑥 추출물 함유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인진쑥의 유효성분 및 기능성을 조사한 결과 혈관 이완 효과, 국소뇌혈류량의 증가로 인한 뇌졸중 예방 효과 및 항돌연변이원성에 의한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명된 인진쑥을 다양한 조건 및 방법으로 물 추출하여 인진쑥 추출물을 획득하고, 상기 인진쑥 추출물을 첨가함으로써 혈관 이완 효과, 뇌졸중 예방 효과 및 항암효과가 탁월하고 관능면에서도 우수한 인진쑥 추출물 함유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쑥은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는 식용식물로 단백질, 지방질, 섬유질, 당질 칼슘, 인, 비타민 A, B, C가 풍부한 식품자원으로 예로부터 나물, 쑥국, 죽 및 쑥떡 등의 음식으로 널리 섭취되어 왔다. 이 중 인진 (茵蔯)은 국화과 쑥속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형 낙엽관목으로, 생당쑥, 애당쑥, 사철쑥, 인진초, 더위지기 (Artemisia iwayomogi), 흰산쑥 (Artemisa sacrorum subsp.Kitamura), 털산쑥 (Artemisa sacrorum subsp. manshuria var.vestita Kitamura) 등으로 불리워지며 특히, 어린잎을 인진 또는 더위지기라 부르는데 그 특유의 향기와 약효로 인하여 전통적으로 민간에서 식용, 약용, 단방약으로 애용하여 왔다. 동의보감과 본초강목에서는 손상된 간 회복, 지방간, 간암, 간염, 황달 등의 간 질환의 치료 및 예방, 식욕의 증진, 소화불량, 위장병 등의 위장질환의 치료, 중풍, 혈액순환, 청혈작용 등의 순환기계 기능의 개선 및 당뇨병의 치료 등에 그 효능이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최근에는 더위지기 쑥이 흰쥐의 혈청지질, 간지질 저하효과 및 발암억제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함승시, 한국식품영양학과학회지 27, 338. 157 (1998)]. 또한 인진쑥의 지표성분으로 쿠마린 화합물인 메틸에스쿠레틴과 스코폴린 성분이 분리동정되었다 [서울대학교 천연물과학연구소 연구보고서 (1993)]. 인진에 함유되어 있는 주성분은 배당체인 스코폴레틴 (scopoletin)을 비롯한 정유성분 방향족 oxycarbonic acid, 사포닌 (saponin), 탄닌 (tannin), sitosterin resin 등으로, 해독, 항균, 면역 등의 효과가 예상되며 혈청지질의 감소효과로 고혈압, 당뇨, 비만, 뇌졸중 등의 치료와 예방에 효과가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인진을 이용한 가공품으로는 생당쑥엿, 편, 환 또는 추출차, 과립차 등의 제품이 개발되어 있는 실정이다.
현대인은 각종 환경오염 및 불가피한 위해 요소의 접촉으로 인한 과도한 정신적, 신체적 스트레스가 지속되어 생활에 위협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건강 지향적인 식문화가 형성되어 가고 있으며 건강을 위한 기능성 식품을 선호하는 추세이다. 현재 인진에 대한 문헌상의 효과, 효능만을 부각시킬 뿐 인진의 기능식품으로의 상품가치를 나타내는 주요성분에 대한 약리 효과와 기능성을 검증하고, 손쉽게 음용할 수 있는 기술적인 연구와 검증을 거친 제품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간암, 간경변, 황달 등 간 질환에 그 효능을 보이는 인진쑥 (Artemisia capillarisTHUNB)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져 왔으나, 위암 및 폐암을 유발시키는 벤조피렌 (benzo(a)pyrene, B(a)P)에 대한 인진쑥의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세균돌연변이 분석법 (bacterial mutation assay)을 이용하여 인진쑥 추출물이 벤조피렌의 변이원성에 대한 돌연변이원성 억제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인진의 산지별, 시기별 유효성분의 검색을 통하여 인진 원료의 선택 및 채취 조건의 설정과 인진의 기호성 및 관능을 개선하는 추출방법을 개발하고 인진 추출물의 유효성분인 스코폴레틴 (scopoletin)이 혈관에 미치는 영향, 인진의 추출물이 뇌혈류량에 미치는 영향 및 항산화 항돌연변이원성을 조사하여 인진 추출물의 효능을 규명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인진쑥으로부터 인진 추출물의 제조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고온고압의 추출조건을 배제하고 90∼110℃의 낮은 온도에서 추출함으로써 추출액 중의 부유물 침전량을 최소화하였으며 이러한 저온추출 결과 생성된 인진 추출물은 그 향취미가 뛰어나고 부드러워 많은 양의 인진 추출물을 음료에 첨가할 수 있어 인진 추출물의 효능을 높일 수 있었고, 환류냉각장치를 이용하여 추출할 경우 증발 수증기에 함유된 방향성 물질의 일부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밀폐되지 않은 용기를 이용하여 추출한 결과 관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한방 식물체 추출액에서 다량으로 생성되는 부유물의 제거를 위하여 글루코아밀라제 또는 프로테아제와 같은 단백질 분해효소를 처리함으로써 침전물의 양이 현저히 감소된 관능적으로 우수한 인진 추출액을 획득할 수 있었다. 특허등록 0155231호의 인진쑥 단백 다당체 및 그의 추출정제법에 관한 특허에서는 물 추출물을 감압농축하고 에탄올을 가하여 부유물을 침전시킨 후 인진쑥 단백 다당체를 획득하는 방법이 공지된 바 있다. 또한 특허공개 2000-0024959에서는 밀폐용기에서 제조한 인진 추출물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냉각시켜 인진쑥 증류수를 제조하는 방법이 공지된 바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들은 인진쑥으로부터 단순히 단백다당체를 얻거나 인진의 방향성 물질이 녹아있는 증류수만을 취득하는 것에 불과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단백질 효소를 사용한 부유물 제거 및 저온추출법에 의한 추출물 제조공정과는 서로 상이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인용발명들과는 달리 밀폐되지 않은 용기에 인진쑥을 넣어 저온 및 환류냉각장치 처리하고 단백질 분해효소를 처리한 결과 관능면에서 탁월하고 향취미가 향상된 인진쑥 추출물 함유 기능성 음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음료용 조성물이 혈관 이완 효과, 국소뇌혈류량의 증가로 인한 뇌졸중 예방 효과 및 항돌연변이원성에 의한 항암 효과가 있음을 규명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시기별, 산지별, 부위별로 인진을 채취한 후 수분, 회분, 산불용성 회분, 고형분의 함량을 측정하고 TLC 및 HPLC 분석하여 인진 시료에 함유된 유효성분을 확인한 후 상기 인진 유효성분이 혈관이완효과, 국소뇌혈류량의 증가에 따른 뇌졸중 예방효과 및 항돌연변이원성에 의한 항암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기존의 고온고압 추출법으로 농도별로 인진을 추출하거나, 저온추출법 및환류냉각장치를 이용하여 개폐용기에서 인진을 추출하거나 또는 고온고압으로 추출한 인진추출물의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효소처리한 인진추출물의 특성을 조사하고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인진 추출물의 최적 및 최대 처리농도 및 조건을 규명하고 인진 추출물 혹은 농축액에 각종의 감미제, 향신료, 산미제 등을 첨가하여 본 발명 인진 추출물 함유 기능성 음료를 제조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인진쑥의 유효성분인 스코폴레틴, 에스쿠레틴 및 에스쿠린의 확인을 위하여 박층크로마토그래피에 대해 자외선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대장균 PQ37에 대한 벤조피렌 [B(a)P]의 돌연변이원성에 대한 본 발명 인진쑥 (Artemisia capillarisTHUNB)의 물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수용성 분획의 억제효과를 나타낸다.
도 3은 대장균 PQ37에 대한 벤조피렌 [B(a)P]의 돌연변이원성에 대한 본 발명 인진쑥 (Artemisia capillarisTHUNB)의 물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수용성 분획의 세포내,외 항돌연변이원성을 비교한 결과이다. 이 때 시료는 50㎍/assay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도 4는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으로 유도된 쥐간 마이크로좀에 의해 형성된 AFB1의 산화물을 HPLC 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A는 대조군의 결과이고, B는 본 발명 인진쑥 물 추출물의 에탄올 불용성 분획을 첨가하여 반응시킨 결과이다.
본 발명은 강화 및 진안 지역으로부터 채취시기 및 부위를 달리하여 채취한 인진의 수분, 회분 및 산불용성 회분의 함량을 측정하고 에탄올, 물 및 에테르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인진 시료에 에탄올을 가하고 환류추출한 후 여과한 시료를 TLC 및 HPLC하여 인진 시료에 함유된 유효성분인 스코폴레틴, 에스쿠레틴 및 에스쿠린의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사육한 Rabbit 및 Rat으로부터 적출한 기관의 각 혈관에 혈관수축물질인 노레피네프린 ED50및 진안 9월산 인진 추출물 시료를 투입하여 인진쑥 추출물이 혈관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단계; 사육한 sprague-dawley계 흰쥐의 두정골을 노출시키고 개두술을 시술한 후 농도별로 인진 추출물을 투여하여 인진쑥 추출물이 국소뇌혈류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단계; 돌연변이원성인 벤조피렌 [B(a)P] 및 진안 6월산 인진 물 추출물의 에탄올 가용성 및 수용성 분획을 각각 농도별로 대장균 PQ37, 살모넬라 TA98 및 살모넬라TA100에 반응시켜 인진쑥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을 확인하고 에탄올 가용성 및 수용성 분획의 항돌연변이원성을 확인하는 단계; 시토크롬 P-450 1A1에 의해 산화되어 돌연변이원으로 작용하는 벤조피렌 [B(a)P]에 대한 인진 추출물의 시토크롬 P-450 1A1 효소계 저해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간접적으로 인진 추출물의 시토크롬 P-450 1A1에 의해 산화되는 AFM1형성능을 HPLC법으로 확인하는 단계; 기존의 고온고압의 추출방법 (120℃, 1.5kg/㎠)으로 인진의 추출비율을 5%, 10%, 15% 농도로 하여 추출한 후 가용성 고형분 농도 및 pH를 측정하는 단계; 경제적인 인진 추출물을 획득하기 위하여 90, 97, 100℃의 온도조건으로 환류냉각장치를 이용하여 밀폐용기에서 추출한 인진 추출물의 당도, 투광도 및 pH를 측정하는 단계; 밀폐 및 밀페시키지 않은 조건 및 온도조건에 따른 인진 추출물의 관능평가를 실시하는 단계; 상기 고온고압으로 추출한 인진 추출물의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글루코아밀라제 및 프로테아제를 처리하여 적정 처리농도를 규명하는 단계; 인진 추출물의 음료화를 위하여 인진 추출액 또는 농축액에 사과 농축액, 시트르산, 수크로스, 사이클로 덱스트린, 실리콘 오일, 향료, 꿀 및 산미료의 첨가비를 달리하여 첨가한 후 pH와 당도 및 향미를 테스트하여 인진 추출액의 최적 및 최대 첨가량 및 추출조건을 획득하여 본 발명 인진 추출물 함유 항암 및 혈액순환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과일농축액은 사과, 포도, 레몬, 오렌지, 배, 살구, 딸기, 복숭아, 멜론 등 기타 과일의 농축액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당류 또는 감미제로는 정백당, 과당, 포도당, 올리고당, 아스파탐, 솔비톨, 만니톨 등의 기타 당류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미제로는 구연산, DL-사과산, 호박산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통계처리는 student's paired and/or unpaired t-test에 의하였으며, p-value가 최소한 0.05의 값을 보이는 경우 유의한 차이의 한계로 보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시기별, 산지별, 부위별로 채취한 인진쑥의 유효성분에 대한 이화학적인 성분분석
제1단계. 인진쑥의 수분, 회분, 산불용분 및 고형분 함량의 조사
강화와 진안 지역으로부터 시기별, 산지별, 부위별로 채취한 인진의 유효성분에 대한 이화학적인 성분을 분석하였다. 이 때 진안산 인진은 6∼10월 중 재배된 것을 채취하여 이용하였다.
각 인진 시료를 일정량 취하여 확인실험, 건조감량, 회분, 산불용성 회분, 엑스 (묽은 에탄올, 수성, 에테르) 함량을 대한약전에 준하여 행하였다. 산불용성 회분은 회화된 회분에 10% HCl 25mL을 가하여 5분간 끓인 후 정량용 여과지로 여과하여 회분 분석과 동일한 방법으로 산불용성 회분을 구하였다.
국내산 인진의 수분, 회분 및 산불용성 회분 함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각 지역에서 생산된 인진의 수분함량은 4.2∼9.4%, 회분함량은 5.5∼8.8%, 산불용분은 1.20∼1.79% 수준으로 회분의 경우 시료들간에 함량 차이가 큰 편이나 한약생약규격집의 인진호 규격기준에 적합하였다. 수용성 추출물의 엑스분의 함량은 4.47∼26.21% 범위로 강화쑥 줄기 및 진안쑥 중 10월에 채취한 쑥을 제외하고는 대한생약규격집의 묽은 에탄올 추출물 함량 기준에 적합하였다.
에탄올 추출물의 엑스분의 함량은 8.37∼28.94% 범위로 강화쑥, 강화쑥 줄기, 진안 6, 7월 산을 제외하고는 대한생약규격집의 묽은 에탄올 추출물 함량 기준에 적합하였다. 에테르 추출물의 엑스분의 함량은 한약생약규격집에는 규격이 기재되지 않았으나 2.92∼8.60% 범위로 함량이 적정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인진의 수분, 회분 및 산불용성 회분의 함량
구분 수분 (%) 회분 (%) 산불용분 (%) 고형분 함량 (%)
에탄올 에테르
강화산 전체 6.6 ±0.2 6.4±0.2 1.23 11.53 ± 0.19 13.53 ± 0.13 4.68 ± 0.03
강화산 줄기 4.2 ±0.1 5.5±0.3 1.20 8.80 ± 0.12 12.90 ± 0.12 2.92 ± 0.02
강화산 잎 9.4 ±0.3 8.5±0.2 1.79 23.41 ± 0.36 21.70 ± 0.29 8.60 ± 0.14
진안산 전체 7.6 ±0.3 6.4±0.3 1.45 18.61 ± 0.27 19.34 ± 0.23 5.48 ± 0.08
진안 6월산 6.5 ±0.2 7.0±0.2 1.72 26.21 ± 0.38 8.68 ± 0.08 5.42 ± 0.06
진안 7월산 6.5 ±0.2 7.4±0.2 1.55 20.87 ± 0.34 8.37 ± 0.05 5.20 ± 0.05
진안 8월산 6.0 ±0.1 8.7±0.2 1.66 17.58 ± 0.22 19.55 ± 0.25 7.30 ± 0.12
진안 9월산 6.0 ±0.1 8.3±0.2 1.58 12.78 ± 0.16 28.94 ± 0.36 3.86 ± 0.04
진안 10월산 6.8 ±0.3 8.8±0.2 1.70 4.47 ± 0.09 25.48 ± 0.33 4.56 ± 0.03
제2단계. 인진 추출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분석
인진에 함유된 스코폴레틴 (scopoletin), 에스쿠레틴 (esculetin), 에스쿠린 (esculin)의 확인을 위하여 상기 1단계에서 사용한 각 산지별, 시기별, 부위별 인진 시료를 이용하여 TLC (Thin Layer Chromatography) 및 HPLC (High Pressure Liquide Chromatography) 분석을 실시하였다.
UV lamp로는 Spectroline (Model FBPDS150, Spectronis Corpo., U.S.A.), 자외-가시 분광 스펙트럼은 UV/VIS spectrophotometer (Model DMS-200, Varian Co., Australia), HPLC는 (Water Co., U.S.A.)을 실험 기기로 사용하였다. 시약으로는 스코플레틴 (esculetin 6-dimethylether), 에스쿠레틴 (esculetin), 에스쿠린 (esculin), 아세토니트릴 (acetonitril), 아세트산 (acetic acid), 에탄올 (ethanol), 메탄올 (methanol), n-부탄올 (n-butanol), PIC Reagent B6(HPLC용 특급시약, Sigma Co.), 3rd D.W., 실리카겔 플레이트 (silica gel plate, Kieselgel 60F254) 외 30종의 시약을 사용하였다.
인진 시료 5g에 에탄올 30mL을 가하여 80℃로 30분간 환류추출하여 얻은 용액을 여과한 다음 분석시료로 사용하였다. 표준물질은 2% 메탄올 용액으로 만들고, TLC 전개는 흡착제 (silica gel 60F254,Merck Co.)를 사용하였으며, 인진 추출물은 20㎕, 표준용액은 10㎕씩 선적하고 전개용매로 톨루엔-에테르 (toluene -ether) (1:1, saturated with 10% acetic acid)을 이용하여 전개한 후 365nm에서 투광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HPLC 분석은 컬럼을 μ BondapakTMC18로, 검출 (detector)은 UV 254nm 0.02AUFS로, 이동상 (mobile phase)은 0.2M 인산 (phosphoric acid, pH 2.1):메탄올=58:42로, flow rat는 1.5 mL/min로, 시료의 양 (sample size) 10㎕로, chart speed는 0.25cm/min로 하여 분석하였다. 표준액 및 검액은 각각 10, 20㎕를 취하여 박층크로마토그래프용 실리카겔 (Kieselgel 60F254) 판에 선적한 후 톨루엔:에테르 (1:1, v/v; 10% 초산포화액) 전개용액으로 전개시킨 다음 박층판을 꺼내고 바람에 말린 후 분리된 스코폴레틴 (F.W. 192.17), 에스쿠레틴 (F.W. 178.15), 에스쿠린 (F.W. 340.3)의 확인을 위하여 365nm을 자외선을 조사한 결과 도 1과 같이 밴드가 분리되었다.
인진의 유효물질로 알려진 스코폴레틴의 Rf값은 0.55, 에스쿠레틴의 Rf값은 0.375이었으나 에스쿠린의 경우 시료의 선적선으로부터 거의 이동이 되지 않아 Rf값이 0부근이었다. 인진의 산지 및 채취시기별 시료를 분석한 결과, 스코폴레틴과 에스쿠레틴의 표준품의 Rf값의 위치에서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에스쿠린은 미약하여 확인할 수 없었다. 각 시료 스코폴레틴의 형광강도를 비교한 결과, 산지별로 강화산줄기(S4)<강화산전체(S2)<진안산전체(S1)<강화산잎(S3)순이었고, 채취시기별로는진안9월산(S8)≤진안10월산(S9)<진안8월산(S7)<진안6월산(S5)<진안7월산(S6)순이었으며 분석한 인진을 모두 비교하면 진안9월산(S8)≤진안10월 산(S9)<강화산줄기(S4)<진안8월(S7)<강화산전체(S2)<진안산전체(S1)<진안7월산(S5)<강화산잎(S3)<진안7월산(S6)순이었다.
HPLC에 의한 유효물질을 분석한 결과, 표 2와 같이 지역별 인진쑥의 스코폴레틴 함량은 강화산 인진, 강화산 줄기, 강화산 잎, 진안산 전체가 각각 126.15, 392,16, 331.53, 326.13 ppm였으며, 에스쿠린은 진안산에서만 1,905.2 ppm함유되어 있었다. 시기별 함량은 6, 7, 8, 9, 10월 산 인진이 각각 스코폴레틴은 747.04, 1206.53, 791.07, 349.57, 54.50 ppm, 에스쿠린은 396.72, 491.05, 699.94, 1535.57, 262.88 ppm이었으나 에스쿠레틴은 8월의 인진에만 함유되어 있었다. 따라서, 인진의 채취 적기는 실시예 1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7월과 9월 사이이며 특히 8월에 채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HPLC에 의한 산지별, 시기별 인진 추출물의 유효성분 분석
구분 스코폴레틴 (ppm) 에스쿠레틴 (ppm) 에스쿠린 (ppm)
강화산 전체 126.1501 ND ND
강화산 줄기 392.1594 ND ND
강화산 잎 331.5331 ND ND
진안산 전체 326.1274 ND 1905.21
진안 6월산 747.0444 ND 396.7179
진안 7월산 1206.5313 ND 491.0513
진안 8월산 791.0726 285.8244 699.9394
진안 9월산 349.5727 ND 1535.5722
진안 10월산 54.4979 ND 262.8795
[주] ND : 검출되지 않음 (Not Detect)
실시예 2 : 인진 추출물이 혈관에 미치는 영향 조사
인진은 비, 위, 간, 담경에 들어가 청리습열, 황달 치료 효능이 있고 주된 약리 작용으로는 해열, 이담, 항균, 항바이러스, 항진균, 지질저하 등이 있다고 알려져 왔다. 이와 같은 효능이 있는 인진이 각종 평활근 및 혈관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고자, 노레피네프린 ED50(norepinephrine ED50)으로 수축을 유발한 복부대동맥과 대퇴부동맥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노레피네프린 ED50(Sigma, U.S.A.)을 사용하였으며 완충액을 위한 시약으로는 특급시약을 사용하였다. 인진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시료 중 진안 9월산의 줄기와 잎을 혼합하고 음건한 후 100g을 증류수 900㎖와 혼합하고 고온고압의 추출조건인 120℃에서 5시간동안 1.5㎏/㎠의 상태로 추출한 후 이 추출액을 여과지로 압착 여과하였다. 추출 후 여과액은 가수량에 대하여 68%의 수율을 나타내었으며, 그 여과액을 0.08% 아밀라아제, 프로테아제로 효소처리한 후 사용하였다.
인진쑥이 혈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Rabbit 혈관 및 Rat의 기관지평활근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체중 2kg 내외의 웅성 Rabbit (Newzealand White)과 300g 내외의 웅성 백서 (白鼠)를 실험실 환경에서 2주일 이상 사료를 충분히 공급하면서 적응시킨 후 이산화탄소 가스를 주입 (吸入)시켜 질식사시킨 다음 기관을 적출하여 기관지 평활근과 혈관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절취한 후 기관지 및 혈관의 크기가 4∼5mm가 되게 하여 Magnus 법에 따라 Kreb-Henseleit bicarbonate buffer solution (조성:118mM NaCl, 27.2mM NaHCO3, 4.8mM KCl, 1.0mM KH2PO4, 1.8mM CaCl2, 12.1mM MgSO4및 11.1mM glucose)이 들어있는 organ bath에 현수하였다. 혈관과 기관지의 수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 혈관과 기관지의 일단을 isometic transducer에 연결하여 혈관은 1.5g, 기관지는 0.5g의 resting tension을 각각 가하였고, 근수축역은 physiograph (Grass, U.S.A.)상에 묘기하였다.
노레피네프린 ED50에 의한 혈관수축에 인진이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각 혈관에 노레피네프린 ED50을 투여하고 organ bath내의 인진 농도가 5, 10, 35, 50㎕/㎖가 되게 투여하였다. 그 결과, 노레피네프린만을 투여한 경우의 혈관 수축력을 100% 수축력으로 한 경우 복부동맥에서는 99.88, 100.38, 96.00, 68.75%의 수축력을, 대퇴동맥에서는 100.00, 96.00, 82.17, 0.33% 수축력으로 유의한 혈관의 이완작용을 관찰할 수 있었다 (표 3). 따라서, 본 발명 인진 추출물은 혈관의 이완작용을 촉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노레피네프린 ED50에 의한 혈관수축에 인진이 미치는 효과
구분 복부동맥 (%) 대퇴동맥 (%)
인진 (㎕/mL) 대조구 (NE) 대조구 1 (NE)
NE ED50 100.0 ± 0.0 100.0 ± 0.0
5 99.9 ± 1.0 100.0 ± 2.6
10 100.4 ± 1.3 96.0 ± 2.4
35 96.0 ± 2.2 82.2 ± 5.5
50 68.8 ± 3.1 0.3 ± 2.2
[주] NE : 노레피네프린 ED50(norepinephrine ED50)
실시예 3 : 인진 추출물이 국소뇌혈류량에 미치는 효과
인진에 대한 약리학적 기전을 찾기 위해 국소뇌혈류량에 미치는 인진 추출물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진안산 인진을 수확기별로 채취하여 충분히 세척한 다음 줄기와 잎을 혼합하고 음건한 후 각각 1cm이하로 절단하고 10∼20배수 정도의 비율로 정제수를 가하여 4∼5시간 동안 100∼120℃정도의 온도를 가하여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각 실험의 조건에 맞게 전처리하고, 음료화를 위해서는 투명한 상태로 만들어야 하므로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해 0.08% 아밀라아제, 프로테아제로 효소처리한 후 여과 및 정제하였다.
국소뇌혈류량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기 위하여 체중 300g내외의 웅성 스프라그-다우리 (Sprague-Dawley)계 흰쥐를 항온 항습 장치가 부착된 사육장에서 고형사료와 야채를 충분히 공급하면서 2주일 이상 실험실 환경에 적응시킨 후, 상기 백서를 stereotactic frame에 고정시키고 정중선을 따라 두피를 절개하여 두정골을 노출시킨 후 brema의 4∼6mm 측방, 2∼1mm 전방에 직경 5∼6mm의 개두술 (craniotomy)을 시술하였다. 이때 두개골의 두께를 최대한 얇게 남겨 경막외 출혈을 방지토록 한다. stereotactic micromanipulator를 사용하여 Laser-Doppler flowmeter (Transonic Instrument, U.S.A.)용 needle probe (직경 0.8mm)를 대뇌 (두개엽) 피질표면에 수직이 되도록 하여 뇌연막동맥에 조심스럽게 근접시켰다. 일정시간 안정시킨 후 실험 프로토콜에 따라 국소뇌혈류량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rCBF)을 측정하였다.
국소뇌혈류량에 대한 인진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농도별로 100%의 인진호 추출물을 투여하여 국소뇌혈류량의 변동을 Laser-Doppler flowmeter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의 국소뇌혈류량은 100.00±0.02%(AU)이었으며, 인진호를 농도별로 0.01, 0.1, 1.0 및 10.0mg/kg을 정맥주사한 결과, 105.26±0.05, 111.74±0.06, 129.14±0.06, 131.86±0.04%(AU)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볼 때, 인진 추출물은 국소뇌혈류량을 증가시키므로 뇌졸중 예방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국소뇌혈류량에 대한 인진 추출물의 효과
인진 (mg/kg, i.v.)처리량 국소뇌혈류량 (AU) 함량 (%)
대조군 3.71±0.08 100.00±0.02
0.01 3.91±0.21 105.26±0.05
0.1 4.15±0.25 111.74±0.06
1.0 4.80±0.30 129.14±0.06**
10.0 4.90±0.22 131.86±0.04
[주] ** : 대조군에 대하여 p??0.01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다.
실시예 4 : 인진쑥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 검색
벤조피렌 [B(a)P]에 대한 인진쑥의 항돌연변이원성을 검색하고, 활성이 인정된 분획물에 대한 세포내ㆍ외의 항 돌연변이원성과 폐암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토크롬 P-450 1A1 (cytocrome P-450 1A1)의 억제능을 실험하였다.
제1단계. 시료 및 재료의 준비
변이원인 벤조피렌과 시토크롬 P-450 1A1 유도물질인 2, 3, 7, 8-테트라클로로디벤조-P-디옥신 (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은 Sigma (U.S.A.)사 제품을, S9 분획은 Aroclor 1254로 유도된 제품 (ICN pharmaceutical, Inc.)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시험균주인 대장균 PQ37 (Escherichia coliPQ37)은 Quillardet 박사 (Pasteur 연구소, France)로부터, 살모넬라 TA98 (Salmonella typhimuriumTA98, 100) 및 TA100은 원광대학교 약학대학으로부터 기증받아 사용하였다. HPLC용 컬럼은 ultrasphere ODSC-18 reversed-phase column (Beckman, 5 ㎛, 4.6×250 mm)을 사용하였다.
진안 6월산 인진쑥을 121℃로 1시간 증자한 후 건조물을 파쇄하였다. 여기에 6배 (w/v)의 증류수를 가한 후 83±5℃에서 4시간동안 약탕기에서 추출하여 물 추출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시료에 6배 (w/v)의 에탄올을 가하고 45℃에서 12시간 정치하여 2회 추출한 후 여과,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준비하였다. 물 추출물을 100% 에탄올로 가용성 및 불용성 분획물 (침전물)로 분리한 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였다.
제2단계. 벤조피렌에 대한 인진쑥의 항돌연변이성 검색을 위한 SOS chromotest
SOS Chromotest는 Quillardet와 Hofnung의 방법에 준하여 수행하였다. 즉 L 배지에서 5×108CFU/mL 농도로 배양된 종배양액을 2% (v/v)가 되도록 접종하고 37℃에서 약 2시간 진탕배양 (5×106CFU/mL)하였다. 3% S9 mixer에 0.1배 (v/v)량의 균을 첨가하여 0.6mL의 균 희석액을 분취하고 여기에 10㎕의 변이원과 10 ㎕의 시료를 혼합한 다음, 37℃에서 210rpm으로 2시간 배양하였다. 이 때 첨가된 양성 대조 물질 (돌연변이원)의 사용량은 변이원의 용량반응을 실시하여 최적의 농도 (2500ng/assay)를 설정한 후 사용하였다. 시료 색소로 인한 흡수 스펙트럼에 대한 영향을 차단하기 위하여 배양액을 4℃에서 3,500rpm으로 2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징액을 제거한 후 잔사에 0.6mL의 L 배지를 현탁시켰다. 이 현탁액 0.2mL을 취하여 Quillardet와 Hofnung의 방법으로 각각의 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활성 단위는 흡광도×1,000/반응시간(분)으로 나타내었으며, R (Ratio)값은 β-galactosidaseunit/alkaline phosphatase unit로 계산하였고 R(0)값을 1로 정하였다. 유도지수 (induction factor, IF)는 SOS 유전자의 유도정도를 나타내며, R(C)/R(0)로 계산하였고 R(C)은 변이원 및 변이원과 시료를 첨가한 시험구의 ratio 값이다. R(0)은 변이원을 첨가하지 않는 농도의 ratio 값이며, 음성 대조구 IF 값은 1로 정하였다. 시료의 돌연변이 억제효과는 [(IFo-IFs/IFo×100]으로 산출하였고 여기서 IFo는 양성대조구의 IF 값이며, IFs는 시험물질의 IF 값이다.
Ames test는 전배양 (preincubation)법을 이용하였다. 돌연변이 억제효과는 [(M-S1/M-S0)×100]으로 계산하였고 돌연변이 물질만 존재한 경우의 복귀 돌연변이 수는 M, 자연복귀 돌연변이 수는 S0,돌연변이원과 시료를 첨가하였을 경우의 복귀 돌연변이수는 S1로 나타내었다.
B(a)P에 대한 대장균 PQ37의 돌연변이에 대한 인진 물 추출물의 에탄올 가용성 분획 및 수용성 분획의 돌연변이원성 억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표 5와 같이 25㎍/assay의 농도에서 수용성 분획은 18.5%의 억제활성을 나타낸 반면, 에탄올 가용성 분획은 5.50%의 억제활성을 나타내어 수용성 분획물에서 돌연변이원성 억제효과가 강하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약한 검정색을 띠는 수용성 분획은 쓴맛을 전혀 느낄 수 없었으나 노란색을 나타내는 에탄올 가용성 분획은 쓴맛이 매우 강하였다. 또한 추출물 제조과정 및 스팀과정에 있어서 가을에 수확한 시료의 경우 쓴맛이 매우 강한 반면, 여름에 수확한 시료는 쓴맛이 약하였다. 쓴맛이 약한 봄의 시료와쓴맛이 없는 수용성 분획에서 모두 강한 돌연변이원성 억제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쓴맛과 돌연변이원성 억제효과는 무관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인진쑥 물 추출물의 쓴맛 성분은 에탄올에 완전히 용해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방간의 치료로 음용되는 인진쑥 추출물은 쓴맛으로 인하여 기호성에 적합하지 않은 단점을 지니고 있는데 이러한 단점의 개선 방안으로 인진의 추출물을 농축한 후 에탄올을 첨가하여 쓴맛을 제거하고 불용된 침전물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B(a)P로 인한 돌연변이원성에 대한 인진 물 추출물의 에탄올 가용성 및 수용성 분획의 억제효과
구분(recovery:%) β-gal.(unit) Ap.(unit) 비율 I.F 억제 비율(%)
음성 대조군 2.00 25.46 0.07 1.00
양성 대조군 10.03 25.53 0.43 5.42±0.071)
수용성 분획(93) 8.50 24.36 0.35 4.41 18.50±0.52)
에탄올 가용성분획 (7.0) 9.80 24.33 0.40 5.13 5.50±0.5
[주] 1) : 양성 대조군의 I.F 수준은 p<0.01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다.2) : 분획 (parentheses)의 수준은 3회의 실험결과 ±표준편차를 나타낸다.각 시료의 농도는 25㎍/assay이다.β-gal. : β-갈락토시다제Ap. : 알카라인 포스파테이즈비율 : β-gal.(units)/Ap.(units)I.F : 유도지수 (induction factor)
간 보호 성분으로 알려진 인진 다당체를 에탄올로 침전시켜 분리하였다. 인진 물 추출물의 농축액에 2∼3배량의 에탄올을 첨가하고 냉장보관하여 여과하는 방법으로는 활성성분이 뚜렷하게 분리되지 않으므로 100% 에탄올을 사용하여 분리하였다. 인진의 활성성분은 물에 잘 용해되는 성분 중에서도 에탄올에 침전되는 극성이 강한 당단백질, 다당체 및 그 이외의 성분으로 예측되므로, 적합한 추출온도를 100℃이하로 설정하였다. 가을에 수확한 인진 시료를 고온 (121℃)으로 4시간 동안 추출한 추출물을 1/3용량으로 농축하여 냉장보관한 결과, 레진으로 추측되는 불용물이 다량 침전됨과 동시에 에탄올 가용분획의 수율도 21.7%로 증가하였다.
돌연변이 억제효과가 확인된 수용성 분획의 용량반응 (dose-response) 활성도 측정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수용성 분획의 농도를 assay당 12.5, 25, 50, 100, 200㎍으로 증가시켰을 때 각각 12.5%, 18.5%, 38%, 46%, 51.5%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100㎍/assay 농도까지는 그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B(a)P로 유도된 돌연변이원성에 대한 억제효과가 뚜렷하게 증가되었으나,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증가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50%의 저해농도 (IC50)를 나타낸 200㎍ 이상의 농도에서는 억제효과가 거의 증가되지 않았다. 돌연변이원성 억제효과와 더불어 알카라인 포스파테이즈 (alkaline phosphatase) 활성도가 일정한 것으로 보아, 수용성 물질에 의한 균수의 증가 결과 나타날 위양성 가능성을 배제함과 동시에 세포독성이 없음을 알 수 있다.
SOS Chromotest는 히스티딘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생약재 시료의 추출과정에서 혼재할 수 있는 히스티딘을 제거할 필요는 없으나, 선택적으로 β-갈락토시다제를 억제하거나 ONPG을 분해, 또는 RecA 효소를 불활성화하여 위양성 효과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돌연변이 활성은 시험법, 변이원 및 균 농도, 균 종에 따라 억제율의 차이는 물론 활성의 유, 무까지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시험계에서 돌연변이 억제활성을 일관되게 측정하여야 결과를 인정하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대장균 PQ37을 이용한 상기 SOS Chromotest 1차 검색 결과를 살모넬라 TA98, TA100 (Salmonella. typhimuriumTA98, TA100) reversion 시험계에서 확인하였다. 용량에 따른 억제효과는 상기 SOS chromotest 결과와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표 6,7), 50%의 저해농도 (IC50)는 살모넬라 TA98, 100에서 800, 600㎍/plate로 나타났다. 단, IC50의 차이는 base substitution 돌연변이가 일어나는 살모넬라 TA100 균주가 frame shift 돌연변이가 일어나는 살모넬라 TA98보다 B(a)P에 의한 돌연변이율이 높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억제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진 추출물 수용성 분획의 살모넬라 TA100에 대한 벤조피렌의 돌연변이원성 억제효과
농도 자연돌연변이 돌연변이 억제비율 (%)
86±1.0
대조군l 769±271)
100 ㎍ 610±9.0 23
200 ㎍ 552±27.0 32
400 ㎍ 472±6.0 43
600 ㎍ 430±10.0 50
[주]1)는 3회 반복 시행한 결과의 ±표준편차 (S.D.)를 나타낸다.돌연변이원의 처리농도는 7.5㎍/plate이다.
인진 추출물 수용성 분획의 살모넬라 TA98에 대한 벤조피렌의 돌연변이원성 억제효과
농도 자연돌연변이 돌연변이 억제비율 (%)
20±1.0
대조군 243±3.01)
100 ㎍ 229±20.0 6
200 ㎍ 198±9.0 20
400 ㎍ 170±4.0 33
800 ㎍ 150±10.0 52
[주]1)은 3회 반복 시행한 결과의 ±표준편차 (S.D.)를 나타낸다.돌연변이원의 처리농도는 7.5㎍/plate이다.
제3단계. 인진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 실험
세포내 항돌연변이원성 실험은 Sato등의 방법으로 세포내 항돌연변이 효과를 조사하였다. 멸균된 cap tube에 L 배지로 10배 (v/v) 희석된 본 배양액 0.6mL와 10㎕의 변이원을 혼합하여, 37℃에서 210rpm으로 20분 동안 전배양하여 DNA 손상을 유도한 후, 5mL의 PBS (phosphate buffer saline, pH 7.2) 용액으로 4℃에서 4,500×g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세척하였다. 그 후 50 ㎍/assay의 시료와 0.6mL의 L배지를 첨가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100분간 배양하였다. 배양종료 후 효소활성 측정과 세포내 항돌연변이원성 산출은 돌연변이원성 억제시험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AFM1형성능은 AFB1대사 활성을 측정한 Oh의 방법과 동일하게 HPLC 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시토크롬 P-450 1A1의 유도를 위해 2,3,7,8-테트라클로로디벤조-P-디옥신 (TCDD)으로 유도된 쥐의 마이크로좀을 이용하였다. 용출 용매는 20mM 암모늄 아세테이트 (pH4.0)용매 A와 아세토니트릴:메탄올:물을 4.5:4.5:1.0의 비율로 혼합된 용매 B로 이루어졌으며 용매의 용출속도는 1.5mL/min이었다. 또한 AFB1의대사물질은 360nm에서 측정하였다.
돌연변이 억제물질은 작용방식에 따라 세포외 항돌연변이원 (desmutagen)과 세포내 항돌연변이원 (bio-antimutagen)으로 구분되는데, 이러한 세포내 및 세포외 항돌연변이원성은 변이원에 대한 억제작용 시스템을 규명할 목적으로 이용된다. 간접변이원은 시토크롬 P-450 (cytocrome P-450)에 의한 대사활성화로 산화되어져 변이원으로 작용하므로 세포외 항돌연변이원성의 작용기구는 매우 다양하다. 즉 대사활성 효소를 저해하여 변이원을 억제하거나, 대사활성화된 최종 돌연변이원 (ultimate mutagen)에 직접 작용해서 불활성화시키는 인자도 포함된다. 따라서 간접변이원에 대한 항돌연변이원성을 검색할 때에는 세포내 및 세포외에서 변이원의 작용을 직접적으로 불활성화시키는 작용 이외에도 시토크롬 P-450에 의한 변이원의 산화 억제효과 또한 고려해야 한다.
상기 세포내 항돌연변이 효과 실험 중 SOS Chromotest 용량 반응결과 적정농도로 규명된 50㎍/assay 농도에서 변이원성 억제시험을 수행한 결과, 세포외 및 세포내 항돌연변이 효과가 각각 37.0%, 2.0%로 나타났으며 세포외 항돌연변이성 효과 (desmutagenic effect)임을 알 수 있었다 (도 3). 변이원과 S9 mixer를 전배양 (20min)시킨 후 원심 세척하여 인진 시료를 첨가하는 세포내 항돌연변이 실험결과, 억제활성을 나타내지 못하였으며 그 결과는 세포 분열의 과정에서 돌연변이가 고정화되는 것 또는 이미 DNA에 손상이 일어난 경우에 세포의 DNA 수복 및 복제과정에서 변이원의 발생 빈도를 억제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토크롬 P-450계에 의해 대사되는 B(a)P의 산화물은 대부분 소수성이나, 시토크롬 P-450 1A1 효소에 의해 대사되어진 B(a)P diol-epoxide 산화체는 가장 강한 친전자성으로 DNA 결합물을 강하게 형성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사람의 간세포 효소 시토크롬 P-450 1A1에 의해 B(a)P은 7,8-diol, 9,10-epoxide 및 3-hydroxy-B(a)P 산화물로 대사됨으로 이들의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은 B(a)P과 같이 오염된 대기나, 특히 담배연기에 많은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들에 의해 발생되는 발암성을 억제할 것이다. 이러한 B(a)P의 대사물을 측정하려고 시도하였으나 시토크롬 P-450 1A1 효소에 의해 B(a)P로부터 대사되는 산화물을 정확히 분리, 측정하기가 어려우므로 간접적으로 (side effect) 시토크롬 P-450 1A1에 의해 산화되는 AFM1의 형성능을 측정하였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AFB1산화산물 중 AFM1의 피크 면적이 많은 결과는 시토크롬 P-450 효소 중 P-450 1A1 효소가 2,3,7,8-테트라클로로디벤조-P-디옥신 (TCDD)으로 유도시킨 쥐의 간세포에서 절대적으로 다량 생성되었음을 확인해 주는 것이며, 시료를 첨가하여 배양한 마이크로좀에서는 AFM1이 거의 생성되지 않았다. 따라서 P450 1A1 효소의 대사에 인진쑥 물 추출물이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인진의 B(a)P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desmutagenic effect)는 인진쑥 물 추출물이 시토크롬 P-450 1A1에 의한 최종 돌연변이 대사 (ultimate mutagenic metabolites)로 활성화됨을 차단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결론적으로 인진쑥 추출물의 벤조피렌 [B(a)P] 변이원성에 대한 억제효과를 SOS Chromotest로 시험한 결과, 에탄올 가용성 분획과 수용성 분획 중 수용성 분획에서 돌연변이 억제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수용성 분획은 SOS Chromotest 및 Ames test에서 정확한 용량반응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50% 돌연변이 억제농도 (IC50)는 대장균 PQ37에 대하여는 200㎍/assay,S.typhimuriumTA98에 대하여는 800㎍/plate,S.typhimuriumTA100에서는 600㎍/plate였다. 세포내·외 항돌연변이 효과를 비교한 결과 세포내 항돌연변이 효과는 나타내지 않았다.
HPLC를 사용하여 B(a)P의 변이원성의 주효소인 시토크롬 P-450 1A1에 의해 대사되어지는 아플라톡신 M1(AFM1, aflatoxin M1) 농도를 측정한 결과 AFM1의 형성이 두드러지게 감소되었다. B(a)P의 변이원성에 대한 인진쑥 물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는 아마도 B(a)P를 최종돌연변이원 (ultimate mutagen)으로 대사시키는 시토크롬 P-450 1A1 효소계를 저해함으로써 나타나는 결과로 해석된다.
실시예 5 : 인진 추출물의 최적의 추출조건 탐색
제1단계. 인진 추출비율에 따른 가용성 고형분 농도 및 pH 변화
수확기 구분 없이 잎 및 줄기를 포함하여 세절한 인진으로부터 인진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최근 한방탕재의 조재시 보편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고온고압의 추출조건인 120℃, 1.5kg/cm2의 조건하에서 잎과 줄기를 구분하고 10%의 함량으로 4∼5시간동안 추출한 후 여과포로 압착 여과한 여과액에 효소를 처리하고 잎과 줄기를 혼합한 인진의 추출비율을 5%, 10%, 15%의 농도로 하여 추출하였다.
인진을 고온고압의 추출방법에 따라 추출한 추출액의 브릭스 (Brix)와 pH는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진의 추출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가용성 고형분(Brix)의 농도도 증가하였으며 10% 전후의 추출조건이 추출에 가장 적합한 농도를 나타냈다.
인진의 추출 비율에 따른 가용성 고형분의 농도 및 추출액의 pH
구 분 줄 기 잎, 줄기 혼합
10% 5.0% 10.0% 15.0%
브릭스 4.2 4.5 2.9 4.3 5.0
pH 4.72 4.72 4.97 4.92 4.88
제2단계. 온도조건 및 개폐 조건에 따른 인진 추출물의 특성 및 관능평가
기존의 고온고압 추출방식을 배제하고 경제적인 추출물을 얻기 위하여 90℃, 97℃, 100℃의 상태에서 각각 2시간 동안 추출용기에 10%에 해당하는 시료를 넣고 밀폐 추출할 때 인진 특유의 고미 (쓴맛)를 줄여 관능 평가시 향상된 결과를 얻기 위하여 환류 냉각장치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한편, 추출온도에 따른 추출효율의 비교를 위하여 밀폐용기에 시료 10%와 정제수를 넣고 90, 97, 100, 110℃ 온도조건으로 4시간 동안 추출하였으며 110℃의 경우에는 0.8㎏/㎠의 조건으로 유지하였다.
추출온도에 따른 밀폐조건 하에서의 추출액의 상태변화는 표 9와 같이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당도는 상승하였으나 상대적으로 추출액의 투광도는 떨어졌다. 본 발명에서는 추출물의 효능 및 효과의 차이가 크게 없는 한 추출온도를 90∼110℃범위에서 낮추어 추출함으로써 효소처리를 하지 않고 추출액의 침전물을 최소화 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투광도 및 추출당도로 보아 97℃가 가장 바람직한 추출온도임을 알 수 있었다.
인진 추출 온도조건에 따른 추출액의 투광도, 추출당도 및 pH
온도구분 90 (℃) 97 (℃) 100 (℃) 110 (℃)
pH 5.22 5.20 5.05 4.98
브릭스 3.0 3.39 3.70 3.90
투광도(%) 87 82 75 65
환류냉각 추출시 증발하는 수증기에 함유된 방향성 물질 일부가 배출될 수 있도록 프리드리히 냉각기를 이용하여 환류냉각시켜 추출한 추출액에 대한 상태를 비교하기 위하여 표 10의 처방으로 30% 추출액을 기준으로 하여 동일 처방으로 배합하여 관능 실험을 실시하였다. 관능평가는 pennel 요원을 남녀구분 없이 시험군 별로 시험일 오전 중 음용하여 제품의 전체적인 기호성을 5점법으로 기록하고 평균 점수를 구하여 표 11과 같이 나타내었다. 제품의 향과 고미에 있어 추출액 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100℃ 추출액은 다소 강한 향취와 고미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여 추출온도가 낮을수록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향취미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밀폐조건의 추출액과의 상태를 비교한 결과 밀폐 조건에서 추출한 추출액의 경우 밀폐시키지 않은 조건보다 10∼20%가량 낮은 관능의 점수를 보였다.
추출온도조건 및 첨가물질의 조성비에 따른 특성
시 료 명원 료 명 1 2 3 4.3 브릭스 기준
추출온도별인진 추출물(Extract)(4.3브릭스 기준) 90 (℃) 42중량%
97 (℃) 38중량%
100 (℃) 32중량%
꿀 (76Brix) 9.8중량%
시트르산 (Citric Acid) 0.035중량%
Cydex-S 1.47중량%
pH 4.2∼4.5
브릭스 10.0∼10.2
[주] 관능적으로 음용가능한 수준을 기준으로 설정함
추출온도에 따른 인진 추출물의 관능평가
온 도(℃)구 분 90 (℃) 97 (℃) 100 (℃) 비 고
맛 (고미) 4.3(4.0) 4.0(3.8) 3.2(3.0) ( ) : 밀폐조건 추출액 사용시
4.5(4.0) 4.2(3.5) 3.5(3.0)
추출조건별 추출액에 대한 제품화 실험은 환류냉각에 의한 추출액의 함량을 높여가며 고미의 정도를 기준으로 하여 적절한 추출액의 배합량을 결정하였다. 표 10에서와 같이 추출온도가 낮은 추출액일수록 향취미가 부드러워 추출온도가 90℃일 때 최고 42%까지 많은 량의 인진 추출액을 함유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인진에 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제3단계. 인진 추출물의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단백질 분해효소반응
추출액에 대한 효소처리 [G-ZYME G990ZR (glucoamylase, Enzyme Bio-Systems Ltd.)] 방법은 120℃의 고온추출의 경우에만 행하였고 추출액의 농도별로 55±5℃에서 120분 동안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효소는 글루코아밀라제 (glucoamylase), 프로테아제 (protase)를 1차 시료와 같은 조건으로 반응시킨 후 90℃ 이상으로 가열하여 효소를 실활시킨 후 냉각하고 NO.2 여과지와 규조토 500으로 여과하였다. 효소반응에 의한 상징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여과액을 10배 희석하여 spectrophotometer로 465nm에서 투광도를 측정하였다.
한방 식물체 추출액의 부유물은 완전제거가 어렵기 때문에 추출액을 정치하였을 때 부유물이 분리되어 침전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고온고압 추출액을 효소처리하였다. 그 결과를 표 12에 나타내었다. 추출액은 인진 10% 추출액을 사용하였으며, 글루코아밀라제 0.05중량%, 프로테아제 0.03중량%를 혼합처리하여 가장 적합한 처리 농도를 획득하였으며 투광도로 볼 때 가장 적절한 효소처리 농도는 0.08%-0.04%의 수준이었다. 이로써 침전물의 형성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인진 추출물을 단백질 분해효소 처리한 결과
구 분 줄 기 혼 합
효소의농도(중량%) 글루코아밀라제 0 0.01 0.03 0.05 0.08 0 0.01 0.03 0.05 0.08 0 0.01 0.03 0.05 0.08
프로테아제 0.01 0.02 0.03 0.04 0.01 0.02 0.03 0.04 0.01 0.02 0.03 0.04
브릭스 4.2 4.5 4.3
투광도 (%) 55 72 80 88 90 49 69 75 81 81 53 75 85 89 90
시료에 대한 전처리 결과, 인진의 잎, 줄기 및 혼합 추출액의 침전물 발생시 효소처리하여 정제한 상기의 결과에서와 같이 글루코아밀라제 0.08%의 농도, 프로테아제 0.04%와 같은 단백질분해효소로 처리한 후 여과 정제하여 획득한 추출액을 이용하여 음료화하는 것이 관능적으로 매우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6 : 인진 추출물의 음료화를 위한 최적의 추출조건 및 음료의 제조
상기의 실시예 5에 따른 여러 가지 전처리 과정과 결과에 따라 얻어진 인진의 추출액을 표 13과 같이 음료로 제조하였다. 표 13의 인진 추출물 1 (extract 1)은 상기 실시예 5의 표 8에서의 잎과 줄기를 별도로 10% 추출한 것을 혼합하여 사용한 것이고, 표 14의 인진 추출물 2 (3.3브릭스, 4.3브릭스)는 상기 실시예 5의 표 8에서의 잎, 줄기 혼합 10% 추출물을 사용한 것이다.
본 발명 인진 추출액의 음료화
시료명원료명 12082 12151 12152 12153 12221 12222
인진 추출물 1 (Extract 1)(4.3Brix) 10.0(1) 10.0 15 20 15 20
사과 농축액 (Apple Concentrate)(72Brix) 1.4 1.4 1.4 1.4 1.4 1.4
시트르산 (Citric Acid) 0.06 0.07 0.09 0.11 0.08 0.1
수크로스 (Sucrose) 9.0 8.3 8.5 8.7 7.8 8.17
사이클로 덱스트린 (Cyclodextrin) 0.5 0.3 0.4 0.5 0.3 0.3
실리콘 오일 (Silicon Oil) 0.01
향료 (Flavour, peppermint) 0.07 0.05 0.07 0.1 0.07 0.1
pH 3.5 3.29 3.33 3.36 3.1 3.2
브릭스 10.5 10.0 10.5 11.0 9.4 9.0
비 고 * 쓴맛 강함 * 향이 강함
[주](1): 단위는 중량%
인진 추출액 1을 10-20%을 음료 배합실험에 적용하여 보았으나 전체적으로 쓴맛이 강해서 감미를 높여야 하는 것과 향료를 첨가하여야 하는 문제로 인진 고유의 이미지를 살리는데는 적합하지 않았다. 한편 2번 인진 추출액에 대한 음료화 실험은 표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진 혼합 추출액이 비교적 추출액의 조성이 균일하여 다양한 실험을 할 수 있었다. 표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진 추출액 15%에 각 원료별 배합비를 달리하여 제조한 시료 2071∼2076을 만들어 맛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인진 추출액만을 이용한 것보다 감미제나 산미제,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을 첨가한 경우 고미의 감소효과가 한정되었으며, 이 중 사이클로덱스트린에 의한 효과가 가장 컸다.
본 발명 개발음료 중 인진 추출액의 함량을 높이기 위한 실험으로2211∼2223에서는 추출액을 20%에서 30%가 되도록 구성비율을 늘렸다. 그 결과, 역시 고미가 가장 문제가 되어 감미제를 첨가하였으나 수크로스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은 제품당도를 높이므로 그 한계가 있어 대신 글리신을 첨가하였으나 제품의 맛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시료 3011∼3012는 천연 감미제인 스테비오시드 (stevioside)를 첨가하여 당의 함량을 감소시키고 고미를 개선하려 하였으나, 인진의 향미를 반감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3131∼3134 시료는 인공 감미제를 배재하고 인진 음료수에 어울릴 수 있는 적절한 감미를 제공하기 위하여 꿀과 사이클로덱스트린를 첨가하고 각 농도별 실험을 수행한 결과, 사이클로덱스트린의 첨가 시료에서 고미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보여 인진 추출액의 농도를 30%로 증가시켜 만든 3133, 3134 시료의 음용시 맛이 부드러워 제품화에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발명 인진 추출액의 음료화
시료명원료명 2071 2072 2073 2074 2075 2076 2211 2212 2221 2222 2223 3011 3012 3131 3132 3133 3134 3137
인진추출물 2(3.3Bri) 15.0 15.0 15.0 15.0 15.0 100 20.0 20.0 25.0 30.0 20.0 20.0 20.0
인진추출물 2(4.3Bri) 30.0 30.0 30.0 30.0 28.0
수크로스 5.0 5.0 8.0 8.0 8.0 8.3 7.0
글루코스 6.6 8.0
10.0 10.0 10.0 10.0 10.0
시트르 산 0.05 0.05 0.1 0.1 0.1 0.12 0.11 0.08 0.08 0.03 0.03 0.03 0.03 0.04
사이클로덱스트린 0.3 0.3 2.0 0 0.5 1.0 2.0 1.2
글리신 0.1 0 0.1 0.15 0.08 0.08 0.08
스테비오시드 0.005 0.005
pH 5.3 3.85 5.4 3.8 5.25 4.85 4.0 4.0 4.0 4.0 3.9 3.95 3.9 4.0 4.0 4.0 4.0 4.0
브릭스 5.7 0.8 0.8 6.0 0.8 3.3 9.2 9.2 9.3 10.2 5.3 6.2 7.5 9.7 9.7 9.7 9.7 9.7
비 고 고미강함 감미강함 고미감소
[주](1): 단위는 중량%
인진을 이용한 음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추출방법과 전처리 방법을 실시한 결과, 제품화에 적합한 인진 추출액의 전처리 방법과 제품화 방법을 획득하였다. 즉, 인진 고유의 향미를 순화시켜 음료화하기 위해서는 밀폐하지 않은 용기에서 90∼110℃의 저온 조건 및 환류 추출조건을 이용할 때 최적의 상태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것은 추출조건의 완화로 기존의 고온고압에서의 추출시 따르는 추출액의 순화뿐만 아니라 제품화하였을 때의 품질안정성과 전처리 비용이 저렴해지므로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고압 또는 밀폐조건으로 얻은 인진 추출액을 사용한 경우 관능 평가값이 저하되므로 인진 추출액의 함량을 높이기 어려우나, 저온의 환류 추출조건에서 얻은 추출액의 경우 음료제품 중 인진 추출물이 40% 이상 함유되어도 관능평가치가 크게 떨어지지 않아 40%의 인진 추출물을 함유시킨 효과적인 제품의 개발이 가능하여 인진 고유의 기능성을 높일 수 있는 음료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진의 상품성을 높이기 위한 제품화 과정에서 감미료로 최소량의 벌꿀을 사용하였으며 산미제 및 기타 첨가물 사용의 최소화로 인공적인 풍미를 배제한 결과, 벌꿀 9.8%이하, 구연산 0.035%, 사이클로덱스트린 (Cydex-S) 1.47%의 배합비로 구성된 음료를 개발하였다.
실시예 7 : 인진 추출물의 음료화를 위한 농축액의 이용 및 음료의 제조
인진 추출물 함유 음료 제품 중 높은 농도의 인진 추출액을 포함하며 기호성이 뛰어난 음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1차 관능적으로 거부감이 없는 추출액으로 음료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인진을 기호성이 높은 추출액으로 추출할 수 있는 조건은 실시예 6에 의한 결과로 90℃의 환류 추출조건을 2차적인 처리로 거치는 방법을 부가하였다.
실험 방법은 5% 인진을 90℃의 환류 추출조건에서 추출한 추출액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20 브릭스 (brix)로 농축하여 만든 농축액을 이용하였다. 농축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농축하지 않은 추출액을 대조구로 하고 농축액을 추출액과 동일한 농도로 희석하여 음료의 배합에 이용하였다. 여기에서 추출액의 당도 기준은 1.2브릭스를 기준으로 하여 10∼25%의 농도로 배합하였다. 배합한 음료에 대한 관능실험은 실시예 6에서 실시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15에 나타내었다. 쓴맛에 대한 결과로 추출액의 농도가 같은 경우 농축액을 사용시 25% 이상의 높은 추출액의 함량을 투여했지만 쓴맛의 정도는 추출액을 10%사용한 제품보다 관능점수가 우수하여 추출액을 농축하여 사용할 경우 관능적으로도 우수하고 1.5배 높은 함량의 인진 추출액을 함유시켜 높은 기능성을 기대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인진 추출액 및 농축액의 고미 테스트 결과
구 분 추출액 농축액
추출액 함량(%) 5 10 15 10 15 20 25
쓴 맛 4.8 4.1 3.5 4.9 4.7 4.5 4.2
본 실시예에서 인진을 제외한 첨가물의 배합비는 사과 농축액 2.0%, 설탕 8.0%, 구연산 0.14%,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0.3%, 벌꿀 3.0%를 기준으로 만들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진 추출물의 유효성분인 스코폴레틴 (scopoletin)이 혈관에 미치는 영향, 인진의 추출물이 뇌혈류량에 미치는 영향 및 항산화 항돌연변이원성을 조사하여 효능이 입증된 인진 추출물의 기호성 및 관능을 개선할 수 있는 추출방법으로, 인진 추출물의 제조시 밀폐하지 않은용기에서 90∼110℃의 저온추출법으로 추출하거나, 단백질 분해효소를 첨가하거나 또는 감압농축한 농축액의 형태로 추출함으로써 향취미가 뛰어나고 맛이 부드러우며 침전물의 양이 적어 관능이 뛰어나며,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인진 추출물을 음료에 첨가할 수 있어 인진 추출물의 혈관이완, 뇌졸중 예방효과 및 항암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인진쑥 추출물 함유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국민건강증진 및 식품가공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a) 인진쑥 (Artemisia capillarisTHUNB)을 세절한 시료 5∼15중량%와 정제수를 밀폐되지 않은 용기에 넣고 90∼110℃의 온도조건으로 가열한 후 환류 냉각장치를 이용하여 인진쑥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의 인진쑥 추출물에 단백질분해 효소를 0.04∼0.08중량%의 농도로 처리하여 부유물을 제거하는 단계;
    (c) 상기 (a) 또는 (b)단계의 인진쑥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인진쑥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a) 또는 (b)단계의 인진쑥 추출물 또는 (c)단계의 인진쑥 농축액을 정제수 100에 대하여 10∼50중량% 첨가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진쑥 추출물 함유 기능성 음료용 조성물 제조방법.
  2. 제 1항 기재의 인진쑥 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음료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이완용, 뇌졸중예방용 또는 항암성 음료.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는 벌꿀 0∼10중량%, 산미제 0.01∼0.05중량%, 사이클로덱스트린 1.00∼2.00중량%를 더 첨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진쑥 추출물이함유된 혈관이완용, 뇌졸중예방용 또는 항암성 음료.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는 과일농축액 1.0∼5.0중량%, 감미제 5.0∼10.0중량%, 산미제 0.10∼0.50중량%, 사이클로덱스트린 0.1∼0.5중량%, 벌꿀 0∼10.0중량%를 더 첨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진쑥 추출물이 함유된 혈관이완용, 뇌졸중예방용 또는 항암성 음료.
KR10-2000-0086199A 2000-12-29 2000-12-29 인진쑥 추출물 함유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401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6199A KR100401472B1 (ko) 2000-12-29 2000-12-29 인진쑥 추출물 함유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6199A KR100401472B1 (ko) 2000-12-29 2000-12-29 인진쑥 추출물 함유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6781A true KR20020056781A (ko) 2002-07-10
KR100401472B1 KR100401472B1 (ko) 2003-10-10

Family

ID=27689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6199A KR100401472B1 (ko) 2000-12-29 2000-12-29 인진쑥 추출물 함유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147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767B1 (ko) * 2002-01-31 2004-03-02 현 용 이 고미 성분을 선별적으로 제거한 인진쑥추출액 및 이를이용한 기능성 액상식품의 제조방법
KR100429141B1 (ko) * 2001-05-17 2004-04-28 남궁순자 쑥을 주재로 한 건강음료와 그 제조방법
KR20040034897A (ko) * 2002-10-17 2004-04-29 내츄럴네오팜(주)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제제 조성물
KR100601265B1 (ko) * 2002-10-24 2006-07-14 알앤엘생명과학주식회사 성장 촉진 또는 성장 호르몬 분비 촉진 효과를 갖는인진쑥 함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코팅된 기능성 코팅곡류
EP1827132A2 (en) * 2004-12-16 2007-09-05 Hill's Pet Nutrition Inc. Methods for enhancing the palatability of food compositions
KR20210074091A (ko) * 2019-12-11 2021-06-2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고온고압처리에 의한 인진쑥으로부터 시나린 성분 고함유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509B1 (ko) * 2012-12-03 2013-05-27 (주)맥스파워이앤디 에너지 음료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에너지 음료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6947A (ko) * 1985-03-13 1986-10-06 2) 구자연(외 쑥 음료수 제조방법
JP2883889B2 (ja) * 1994-10-11 1999-04-19 長次郎 野口 健康飲料用ヨモギ汁及びその製造方法
KR0164840B1 (ko) * 1996-04-24 1998-12-01 손경식 쑥 음료 베이스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KR980000186A (ko) * 1997-10-07 1998-03-30 용태웅 쑥음료수의 제조방법
KR20000024959A (ko) * 1998-10-07 2000-05-06 김부권 인진쑥을 주원료로 한 증류수 무균음료의 제조방법
KR101223099B1 (ko) * 2010-12-31 2013-01-17 주식회사 한샘 시트에 엠보싱을 형성하는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141B1 (ko) * 2001-05-17 2004-04-28 남궁순자 쑥을 주재로 한 건강음료와 그 제조방법
KR100420767B1 (ko) * 2002-01-31 2004-03-02 현 용 이 고미 성분을 선별적으로 제거한 인진쑥추출액 및 이를이용한 기능성 액상식품의 제조방법
KR20040034897A (ko) * 2002-10-17 2004-04-29 내츄럴네오팜(주)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제제 조성물
KR100601265B1 (ko) * 2002-10-24 2006-07-14 알앤엘생명과학주식회사 성장 촉진 또는 성장 호르몬 분비 촉진 효과를 갖는인진쑥 함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코팅된 기능성 코팅곡류
EP1827132A2 (en) * 2004-12-16 2007-09-05 Hill's Pet Nutrition Inc. Methods for enhancing the palatability of food compositions
EP1827132A4 (en) * 2004-12-16 2011-11-23 Hills Pet Nutrition Inc METHODS FOR ENHANCING THE PALATABILITY OF FOOD COMPOSITIONS
KR20210074091A (ko) * 2019-12-11 2021-06-2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고온고압처리에 의한 인진쑥으로부터 시나린 성분 고함유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1472B1 (ko) 200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9212B2 (ja) 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含有食品及びその製造法
AU783822B2 (en) Water-soluble bean-based extracts
JP6029546B2 (ja) 飲料
KR100401472B1 (ko) 인진쑥 추출물 함유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52855A (ko) 독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414393B1 (ko) 해당화 차 및 음료의 제조방법
WO2017168717A1 (ja) 容器詰飲料
KR101034986B1 (ko) 혼합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JP7244273B2 (ja) ルイボス茶飲料の製造方法
CN113080268A (zh) 一种具有抗氧化和/或降血糖活性的紫茶、紫茶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3467576B2 (ja) Sod様作用抗酸化飲料
KR101793345B1 (ko) 청국장 발효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668153B1 (ko)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저 나트륨 된장, 된장분말, 된장환 및 그 제조방법
KR102448112B1 (ko) 한방 추출물과 무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50327B1 (ko) 우슬초 음료의 제조방법
KR102488670B1 (ko) 눈개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 및 학습능력 개선용 조성물
JP6100987B2 (ja) 乳入り低カロリー紅茶飲料
KR101934812B1 (ko) 거문도 해풍쑥을 이용한 액상 차의 제조 방법
KR100848706B1 (ko) 허브를 함유한 니어워터 음료
KR100425523B1 (ko) 감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감 음료의 제조방법
Nafiza et al. Quality of Herbal Tea Combination Between Corn Silk and Stevia Leaf on Variation of Temperature and Drying Duration
KR102044607B1 (ko) 활성형 진세노사이드, 클로르제닉산 및 쿼르세틴이 강화된 산양삼 전초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866468B1 (ko) 미생물 곡물 배양을 통해 얻은 효소 농축 발효물을 이용한 효소식품 및 다이어트 식품과 이들의 제조방법
KR20230141962A (ko) 생강즙 및 레몬즙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20034132A (ko) 식품용 팥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및 팥추출물을 함유하는식품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