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112B1 - 한방 추출물과 무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방 추출물과 무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48112B1 KR102448112B1 KR1020210033746A KR20210033746A KR102448112B1 KR 102448112 B1 KR102448112 B1 KR 102448112B1 KR 1020210033746 A KR1020210033746 A KR 1020210033746A KR 20210033746 A KR20210033746 A KR 20210033746A KR 102448112 B1 KR102448112 B1 KR 1024481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radish
- weight
- herbal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8
- 241000220259 Raphanus Speci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1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9
- 229940092385 radish extract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0
- 230000007370 cognitive improv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12676 herbal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3
- KRKNYBCHXYNGOX-UHFFFAOYSA-N c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O)CC(O)=O KRKNYBCHXYNGOX-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5000009008 Eriobotrya japonic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5000020687 goji berry extrac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LKDRXBCSQODPBY-JDJSBBGDSA-N D-allulose Chemical compound OCC1(O)OC[C@@H](O)[C@@H](O)[C@H]1O LKDRXBCSQODPBY-JDJSBBGD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4000061508 Eriobotrya japonic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257 tha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FTSSQIKWUOOEGC-RULYVFMPSA-N fructooligosaccharide Chemical compound OC[C@H]1O[C@@](CO)(OC[C@@]2(OC[C@@]3(OC[C@@]4(OC[C@@]5(OC[C@@]6(OC[C@@]7(OC[C@@]8(OC[C@@]9(OC[C@@]%10(OC[C@@]%11(O[C@H]%12O[C@H](CO)[C@@H](O)[C@H](O)[C@H]%12O)O[C@H](CO)[C@@H](O)[C@@H]%11O)O[C@H](CO)[C@@H](O)[C@@H]%10O)O[C@H](CO)[C@@H](O)[C@@H]9O)O[C@H](CO)[C@@H](O)[C@@H]8O)O[C@H](CO)[C@@H](O)[C@@H]7O)O[C@H](CO)[C@@H](O)[C@@H]6O)O[C@H](CO)[C@@H](O)[C@@H]5O)O[C@H](CO)[C@@H](O)[C@@H]4O)O[C@H](CO)[C@@H](O)[C@@H]3O)O[C@H](CO)[C@@H](O)[C@@H]2O)[C@@H](O)[C@@H]1O FTSSQIKWUOOEGC-RULYVFMP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40107187 fructooligosaccharid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HVYWMOMLDIMFJA-DPAQBDIFSA-N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4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29940124595 oriental medicine Drug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150000003626 triacylglycerol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3930 cognitive abil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19771 cogni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3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5000013325 dietary fib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41001092070 Eriobotrya Species 0.000 description 15
- 235000001287 Guettarda specio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14
- 240000002045 Guettarda speciosa Specie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150000008442 polyphenol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1
- 235000013824 polyphen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1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Substances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171 animal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10000001789 adip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5000001465 calc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0000004069 different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ZZZCUOFIHGPKAK-UHFFFAOYSA-N D-erythro-ascorbic acid Natural products OCC1OC(=O)C(O)=C1O ZZZCUOFIHGPKA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IOVCWXUNBOPUCH-UHFFFAOYSA-M Nitrite anion Chemical compound [O-]N=O IOVCWXUNBOPUC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7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5165 cit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000 scaveng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44000241838 Lycium barbarum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5459 Lycium barba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8823 dietary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NPGIHFRTRXVWOY-UHFFFAOYSA-N Oil red O Chemical compound Cc1ccc(C)c(c1)N=Nc1cc(C)c(cc1C)N=Nc1c(O)ccc2ccccc12 NPGIHFRTRXVW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10261 cell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013 cyto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1100000135 cyto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NOESYZHRGYRDHS-UHFFFAOYSA-N insulin Chemical compound N1C(=O)C(NC(=O)C(CCC(N)=O)NC(=O)C(CCC(O)=O)NC(=O)C(C(C)C)NC(=O)C(NC(=O)CN)C(C)CC)CSSCC(C(NC(CO)C(=O)NC(CC(C)C)C(=O)NC(CC=2C=CC(O)=CC=2)C(=O)NC(CCC(N)=O)C(=O)NC(CC(C)C)C(=O)NC(CCC(O)=O)C(=O)NC(CC(N)=O)C(=O)NC(CC=2C=CC(O)=CC=2)C(=O)NC(CSSCC(NC(=O)C(C(C)C)NC(=O)C(CC(C)C)NC(=O)C(CC=2C=CC(O)=CC=2)NC(=O)C(CC(C)C)NC(=O)C(C)NC(=O)C(CCC(O)=O)NC(=O)C(C(C)C)NC(=O)C(CC(C)C)NC(=O)C(CC=2NC=NC=2)NC(=O)C(CO)NC(=O)CNC2=O)C(=O)NCC(=O)NC(CCC(O)=O)C(=O)NC(CCCNC(N)=N)C(=O)NCC(=O)NC(CC=3C=CC=CC=3)C(=O)NC(CC=3C=CC=CC=3)C(=O)NC(CC=3C=CC(O)=CC=3)C(=O)NC(C(C)O)C(=O)N3C(CCC3)C(=O)NC(CCCCN)C(=O)NC(C)C(O)=O)C(=O)NC(CC(N)=O)C(O)=O)=O)NC(=O)C(C(C)CC)NC(=O)C(CO)NC(=O)C(C(C)O)NC(=O)C1CSSCC2NC(=O)C(CC(C)C)NC(=O)C(NC(=O)C(CCC(N)=O)NC(=O)C(CC(N)=O)NC(=O)C(NC(=O)C(N)CC=1C=CC=CC=1)C(C)C)CC1=CN=CN1 NOESYZHRGYRDH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LPXPTNMVRIOKMN-UHFFFAOYSA-M sodium nitrite Chemical compound [Na+].[O-]N=O LPXPTNMVRIOKMN-UHFFFAOYSA-M 0.000 description 4
- UCSJYZPVAKXKNQ-HZYVHMACSA-N streptomycin Chemical compound CN[C@H]1[C@H](O)[C@@H](O)[C@H](CO)O[C@H]1O[C@@H]1[C@](C=O)(O)[C@H](C)O[C@H]1O[C@@H]1[C@@H](NC(N)=N)[C@H](O)[C@@H](NC(N)=N)[C@H](O)[C@H]1O UCSJYZPVAKXKNQ-HZYVHMACSA-N 0.000 description 4
- QTBSBXVTEAMEQO-UHFFFAOYSA-N 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08091003079 Bovine Serum Albumin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750 Crude prote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IAZDPXIOMUYVGZ-UHFFFAOYSA-N Dimethylsulphoxide Chemical compound CS(C)=O IAZDPXIOMUYVG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144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091 fetal bovine ser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787 long-term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QKNYBSVHEMOAJP-UHFFFAOYSA-N 2-amino-2-(hydroxymethyl)propane-1,3-diol;hydron;chloride Chemical compound Cl.OCC(N)(CO)CO QKNYBSVHEMOAJ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13006 Angelica dahuric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3210 Arteri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HEDRZPFGACZZDS-UHFFFAOYSA-N Chloroform Chemical compound ClC(Cl)Cl HEDRZPFGACZZD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4000077995 Coix lacryma job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354 Coix lacryma jobi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965 ELISA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VZCYOOQTPOCHFL-OWOJBTEDSA-N Fuma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O VZCYOOQTPOCHFL-OWOJBTED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305491 Gastrodia ela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877 Insul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1061 Insul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58467 Lung neoplasm malignant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18213 Morus <angiosper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30182555 Penicill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JGSARLDLIJGVTE-MBNYWOFBSA-N Penicillin G Chemical compound N([C@H]1[C@H]2SC([C@@H](N2C1=O)C(O)=O)(C)C)C(=O)CC1=CC=CC=C1 JGSARLDLIJGVTE-MBNYWOFBSA-N 0.000 description 2
- DLRVVLDZNNYCBX-UHFFFAOYSA-N Polydextrose Polymers OC1C(O)C(O)C(CO)OC1OCC1C(O)C(O)C(O)C(O)O1 DLRVVLDZNNYCB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06011 Strok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6029 Uterine contractions during pregnanc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180 angelica archangelica l. root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1775 arteriosclerosi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784 crude f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1916 diet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228 die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LOKCTEFSRHRXRJ-UHFFFAOYSA-I dipotassium trisodium dihydrogen phosphate hydrogen phosphate dichloride Chemical compound P(=O)(O)(O)[O-].[K+].P(=O)(O)([O-])[O-].[Na+].[Na+].[Cl-].[K+].[Cl-].[Na+] LOKCTEFSRHRXRJ-UHFFFAOYSA-I 0.000 description 2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55 enzy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40088598 enzyme Drug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63 epididym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510 functional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LNTHITQWFMADLM-UHFFFAOYSA-N gal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O)=C(O)C(O)=C1 LNTHITQWFMADL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96 gastr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40125396 insul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871 intestinal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734 kidney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1000005202 lung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0816 lung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993 memory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5341 metaphosphat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542 oligo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BVJSUAQZOZWCKN-UHFFFAOYSA-N p-hydroxybenzyl alcohol Chemical compound OCC1=CC=C(O)C=C1 BVJSUAQZOZWC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40049954 penicill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53 phosphate buffered sa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02 quant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992 reflux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403 short-term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288 sodium nitr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77 solvent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112 stability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192 staining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5322 streptomycin Drugs 0.000 description 2
- UFTFJSFQGQCHQW-UHFFFAOYSA-N triformin Chemical compound O=COCC(OC=O)COC=O UFTFJSFQGQCHQ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37 ultrasound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55 vitamin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19 vitamin 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580 weight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BJEPYKJPYRNKOW-REOHCLBHSA-N (S)-ma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O)CC(O)=O BJEPYKJPYRNKOW-REOHCLBHSA-N 0.000 description 1
- APIXJSLKIYYUKG-UHFFFAOYSA-N 3 Isobutyl 1 methylxanthine Chemical compound O=C1N(C)C(=O)N(CC(C)C)C2=C1N=CN2 APIXJSLKIYYUK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43 4-hydroxybenzyl group Chemical group [H]C([*])([H])C1=C([H])C([H])=C(O[H])C([H])=C1[H] 0.000 description 1
- 244000233890 Alisma plantag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300 Alisma plantag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0044 Amne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82 Amyl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3142 Amyl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5511 Amyl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4000061520 Angelica archangel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2383 Angina Pector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1061264 Astraga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110 Astragalus glycyphyllo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KWIUHFFTVRNATP-UHFFFAOYSA-N Betaine Natural products C[N+](C)(C)CC([O-])=O KWIUHFFTVRNA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MGZEFIQIZZSBH-UHFFFAOYSA-N Bioquercetin Natural products CC1OC(OCC(O)C2OC(OC3=C(Oc4cc(O)cc(O)c4C3=O)c5ccc(O)c(O)c5)C(O)C2O)C(O)C(O)C1O JMGZEFIQIZZSB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193 Brassic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6187 Breast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6310 Breast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ACTIUHUUMQJHFO-UHFFFAOYSA-N Coenzym Q10 Natural products COC1=C(OC)C(=O)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1=O ACTIUHUUMQJHF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61 Corn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FEWJPZIEWOKRBE-JCYAYHJZSA-N Dextrotarta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O)[C@@H](O)C(O)=O FEWJPZIEWOKRBE-JCYAYHJZ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008 Dimocarpus longa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KCXVZYZYPLLWCC-UHFFFAOYSA-N EDTA Chemical compound OC(=O)CN(CC(O)=O)CCN(CC(O)=O)CC(O)=O KCXVZYZYPLLWC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235 Euphoria longa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9123 Fibr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73385 Fibr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BWGVNKXGVNDBDI-UHFFFAOYSA-N Fibrin monomer Chemical compound CNC(=O)CNC(=O)CN BWGVNKXGVNDB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UQSUZTXKPLAPR-UJPOAAIJSA-N Gastrod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1=CC=C(CO)C=C1 PUQSUZTXKPLAPR-UJPOAAIJ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9429 Ginkgo biloba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73178 Glucan 1,4-alpha-Glucosid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670 Glycyrrhiza echin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453 Glycyrrhiza echin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200 Glycyrrhiza glab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382 Glycyrrhiza lepido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233 Headach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HTTJABKRGRZYRN-UHFFFAOYSA-N Heparin Chemical compound OC1C(NC(=O)C)C(O)OC(COS(O)(=O)=O)C1OC1C(OS(O)(=O)=O)C(O)C(OC2C(C(OS(O)(=O)=O)C(OC3C(C(O)C(O)C(O3)C(O)=O)OS(O)(=O)=O)C(CO)O2)NS(O)(=O)=O)C(C(O)=O)O1 HTTJABKRGRZYR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4435 Li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463 Lycium carolinian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26139 Memor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99670 M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1
- KWIUHFFTVRNATP-UHFFFAOYSA-O N,N,N-trimethylglycinium Chemical compound C[N+](C)(C)CC(O)=O KWIUHFFTVRNATP-UHFFFAOYSA-O 0.000 description 1
- 208000012902 Nervous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5966 Neurologic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5461 Nucleic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855 Orchid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89 Panax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96 Papav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090 Papaver somnife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5804 Peptid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XACHQDDXHDTRLX-GMPBGBGESA-N Physalien Natural products O=C(O[C@H]1CC(C)(C)C(/C=C/C(=C\C=C\C(=C/C=C/C=C(\C=C\C=C(/C=C/C=2C(C)(C)C[C@H](OC(=O)CCCCCCCCCCCCCCC)CC=2C)\C)/C)\C)/C)=C(C)C1)CCCCCCCCCCCCCCC XACHQDDXHDTRLX-GMPBGBGESA-N 0.000 description 1
- XACHQDDXHDTRLX-XLVVAOPESA-N Physalien Chemical compound CC1(C)C[C@H](OC(=O)CCCCCCCCCCCCCCC)CC(C)=C1\C=C\C(\C)=C\C=C\C(\C)=C\C=C\C=C(/C)\C=C\C=C(/C)\C=C\C1=C(C)C[C@@H](OC(=O)CCCCCCCCCCCCCCC)CC1(C)C XACHQDDXHDTRLX-XLVVAOPE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00 Polydextr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65 Prot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18633 Prunus armenia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27 Prunus armenia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057 Raphanus caudat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88415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80 Raphanus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405911 Rehmannia glutino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7486 Reverse transcriptase/ribonuclease H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789 Rosa xanthi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20222 Ros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KDYFGRWQOYBRFD-UHFFFAOYSA-N Succin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C(O)=O KDYFGRWQOYBR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UUQCZGPVNCOIJ-UHFFFAOYSA-M Superoxide Chemical compound [O-][O] OUUQCZGPVNCOI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FEWJPZIEWOKRBE-UHFFFAOYSA-N Tartaric acid Natural products [H+].[H+].[O-]C(=O)C(O)C(O)C([O-])=O FEWJPZIEWOKRB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443 Unconscious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XACHQDDXHDTRLX-UHFFFAOYSA-N Zeaxanthin-dipalmitat Natural products CC1(C)CC(OC(=O)CCCCCCCCCCCCCCC)CC(C)=C1C=CC(C)=CC=CC(C)=CC=CC=C(C)C=CC=C(C)C=CC1=C(C)CC(OC(=O)CCCCCCCCCCCCCCC)CC1(C)C XACHQDDXHDTRL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84 acid diges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43 active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577 adipose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2 alky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ZOJBYZNEUISWFT-UHFFFAOYSA-N allyl isothiocyanate Chemical compound C=CCN=C=S ZOJBYZNEUISWF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39 alpha-Amyl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37 alpha-Amyl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4171 alpha-amylase Drugs 0.000 description 1
- BJEPYKJPYRNKOW-UHFFFAOYSA-N alpha-hydroxysuccinic acid Natural products OC(=O)C(O)CC(O)=O BJEPYKJPYRNKO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2 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8 amyla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54 anitus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76 anti-hyperten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34 antituss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584 antitussives Drug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18 ar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0 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533 astragal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HUMNYLRZRPPJDN-UHFFFAOYSA-N benzenecarboxaldehyde Natural products O=CC1=CC=CC=C1 HUMNYLRZRPPJD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76810 beta sitoste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LGJMUZUPVCAVPU-UHFFFAOYSA-N beta-Sitostanol Natural products C1CC2CC(O)CCC2(C)C2C1C1CCC(C(C)CCC(CC)C(C)C)C1(C)CC2 LGJMUZUPVCAVP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JKOMDUNNDKEAI-UHFFFAOYSA-N beta-sitosterol Natural products CCC(CCC(C)C1CCC2(C)C3CC=C4CC(O)CCC4C3CCC12C)C(C)C NJKOMDUNNDKEA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237 beta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531 blood pressure low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77 brain 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309464 bull Species 0.000 description 1
- KDYFGRWQOYBRFD-NUQCWPJISA-N butanedioic acid Chemical compound O[14C](=O)CC[14C](O)=O KDYFGRWQOYBRFD-NUQCWPJI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8 case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BECPQYXYKAMYBN-UHFFFAOYSA-N casein, tech. Chemical compound NCCCCC(C(O)=O)N=C(O)C(CC(O)=O)N=C(O)C(CCC(O)=N)N=C(O)C(CC(C)C)N=C(O)C(CCC(O)=O)N=C(O)C(CC(O)=O)N=C(O)C(CCC(O)=O)N=C(O)C(C(C)O)N=C(O)C(CCC(O)=N)N=C(O)C(CCC(O)=N)N=C(O)C(CCC(O)=N)N=C(O)C(CCC(O)=O)N=C(O)C(CCC(O)=O)N=C(O)C(COP(O)(O)=O)N=C(O)C(CCC(O)=N)N=C(O)C(N)CC1=CC=CC=C1 BECPQYXYKAMYB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40 cas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4245 cell different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833 cell vi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4 chr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7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471 coenzyme Q10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ACTIUHUUMQJHFO-UPTCCGCDSA-N coenzyme Q10 Chemical compound COC1=C(OC)C(=O)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1=O ACTIUHUUMQJHFO-UPTCCGCD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110767 coenzyme Q10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85 corn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687 corn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20 corn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9078 coronary arter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51 coronary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43 crude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58 cul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54 dai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UREBDLICKHMUKA-CXSFZGCWSA-N dexamethasone Chemical compound C1CC2=CC(=O)C=C[C@]2(C)[C@]2(F)[C@@H]1[C@@H]1C[C@@H](C)[C@@](C(=O)CO)(O)[C@@]1(C)C[C@@H]2O UREBDLICKHMUKA-CXSFZGCW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957 dexamethas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02 di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2000038379 digestive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7734 digestive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65 dilu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475 disord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73 dizzi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3 dye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94 eating hab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00 effect on cel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911 enzymatic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18 epididym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15037 epileps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IVTMALDHFAHOGL-UHFFFAOYSA-N eriodictyol 7-O-rutinoside Natural products OC1C(O)C(O)C(C)OC1OCC1C(O)C(O)C(O)C(OC=2C=C3C(C(C(O)=C(O3)C=3C=C(O)C(O)=CC=3)=O)=C(O)C=2)O1 IVTMALDHFAHOG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43 erythr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72 expector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19 expector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438 eyes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50003499 fib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935 flavono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215 flavo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173 flavono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55 food flavor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7 food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fructose oligosaccharide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30 fumar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87 fuma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515 gall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74391 gall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69 headache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622 hear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897 hepa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69 hepa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28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02 hot air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36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834 intra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0454 licorice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08 liv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228 liver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630 mal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90 mal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087 memory 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84 memory d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3060 memory lo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LSDPWZHWYPCBBB-UHFFFAOYSA-N methyl mercaptane Natural products SC LSDPWZHWYPCBB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64 mustard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125 myocardial infar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14626 natural product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36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22 neurodegenerativ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26 nitri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005 nitros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02000039446 nucleic acid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20004707 nucleic acid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3 nucle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82 olig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77 pec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814 pec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7 pec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66 phys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807 phytochemic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0223 plant secondary metabolit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9 polydext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56 polydextr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5035 polydextro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229 preadip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76 precipit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5 pressure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64 purified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FDRQPMVGJOQVTL-UHFFFAOYSA-N quercetin rutinoside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1C(O)C(O)C(O)C(OC=2C(C3=C(O)C=C(O)C=C3OC=2C=2C=C(O)C(O)=CC=2)=O)O1 FDRQPMVGJOQVT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57 re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84 renal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IKGXIBQEEMLURG-BKUODXTLSA-N rut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C@@H]1OC[C@H]1[C@H](O)[C@@H](O)[C@H](O)[C@@H](OC=2C(C3=C(O)C=C(O)C=C3OC=2C=2C=C(O)C(O)=CC=2)=O)O1 IKGXIBQEEMLURG-BKUODXTLSA-N 0.000 description 1
- ALABRVAAKCSLSC-UHFFFAOYSA-N rutin Natural products CC1OC(OCC2OC(O)C(O)C(O)C2O)C(O)C(O)C1OC3=C(Oc4cc(O)cc(O)c4C3=O)c5ccc(O)c(O)c5 ALABRVAAKCSLS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493 ru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555 rutos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020 s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88 sampl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50005143 sitosterol Drugs 0.000 description 1
- KZJWDPNRJALLNS-VJSFXXLFSA-N sito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H](CC)C(C)C)[C@@]1(C)CC2 KZJWDPNRJALLNS-VJSFXXLF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88 snack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14 sou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86 st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47 stain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28 staining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05 sweet taste sensatio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906 tarta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975 tartar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20 toxicity tes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VZCYOOQTPOCHFL-UHFFFAOYSA-N trans-butenedi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C(O)=O VZCYOOQTPOCHF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ENZDBCJOHFCAS-UHFFFAOYSA-N tris Chemical compound OCC(N)(CO)CO LENZDBCJOHFCA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GQOOHJZONJGDT-UHFFFAOYSA-N vanillin Natural products COC1=CC(O)=CC(C=O)=C1 FGQOOHJZONJGD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141 vanill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MWOOGOJBHIARFG-UHFFFAOYSA-N vanillin Chemical compound COC1=CC(C=O)=CC=C1O MWOOGOJBHIARF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260 vegetative to reproductive phase transition of meriste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631 vena cava inferio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979 vitamin B4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9 vitamin B4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42 wellbe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36 working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30—Dietetic or nutritional methods, e.g. for losing weight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방 추출물과 무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는 식이섬유, 칼슘, Fe, 총 폴리페놀 등 유용한 기능성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는 섭취시 체중변화가 거의 없으면서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어 비만에 대한 부담감 없이 즐겨 식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를 섭취한 후 단어회상, 단어 지연회상, 단어재인, 검사지침 기억하기, 낱말 찾기 어려움, 알아듣기와 같은 테스트에서 우수한 평가결과를 나타내어 인지능력 및 기억력을 현격하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관능평가에서 색, 맛 및 풍미에 대한 평가 및 전체적인 기호도가 대폭 증대되어 기능성 다이어트 음료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한방 추출물과 무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기자 추출물, 당귀 추출물, 천마 추출물 및 비파잎 추출물의 한방 추출물과 무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음료로서 식이섬유, 칼슘, Fe, 총 폴리페놀 등 유용한 기능성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섭취시 체중변화가 거의 없으면서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인지능력 및 기억력이 향상되고 기호도가 증대된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바쁜 일상과 인스턴트 식품에서 벗어나 건강한 육체와 정신을 추구하는 라이프 스타일(life style)이나 문화 코드인 웰빙(well-being) 문화가 사회적으로 붐을 이루고 있어, 건강식 또는 다이어트 식품으로 가정이나 외부에서 식사대용 및 간식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맛과 향이 우수한 제품들이 개발되면서 어린이는 물론 남녀노소 구분 없이 중요한 식생활용 음식으로 활용되고 있다.
기억은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인 상태에서 과거의 일을 생각해내는 능력을 말하는데, 특히 학습과 기억은 상호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항상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기억은 기술의 습득, 습관 등이 포함되는 무의식적인 비서술성 기억(nondeclarative memory)과 과거에 일어났던 사실이나 사건과 같이 의식적으로 재생이 가능한 서술성 기억(declarative memory)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운전이나 피아노를 치는 것과 같은 복잡한 행동도 습관화되면 무의식적으로 행할 수 있듯이 반복에 의하여 서술성 기억이 비서술성 기억으로 전환될 수 있다.
서술성 기억은 현재 주어지는 정보에 집중하고 수초 동안만 임시로 저장하는 작업기억(working memory), 수시간 내지 수일간 기억이 지속되는 단기기억(short-term memory), 오랜 시간이 지난 과거의 일을 기억하는 장기기억(remote memory) 등으로 구분된다. 단기기억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건에 대한 기억이 장기기억으로 전환되는 기간을 포함한다. 이 기간동안 기억으로서의 저장이 취약하여 망각되기 쉬우나, 일단 장기기억으로 저장되면 뇌에 심각한 손상이 있는 경우에도 쉽게 잊어버리지 않는다.
한편, 사회적인 환경이 다변화되어감에 따라 사람들은 더 많은 자극을 접하게 되고 이러한 자극을 수용하기 위한 신속한 두뇌활동이 요구된다. 특히, 최근 경제성장과 더불어 산업화, 공업화에 따른 환경 파괴와 수질오염, 그리고 인스턴트 식품의 범람으로 우리의 건강상태가 위협을 받고 있으며, 소득증대에 따른 육식 중심의 식생활에 의한 영양의 과잉섭취와 기계문명의 발달에 의한 운동량의 절대부족 등이 비만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이들 비만이 원인이 되어 동맥경화, 고혈압, 관상심장질환, 심근경색, 협심증, 뇌졸중 등의 만성 퇴행성 성인병이 만연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현대인들은 생활환경의 변화와 편리함을 추구하는 생활패턴에 의해 인스턴트식품이 증가하고 있음은 물론 식생활의 서구화로 육류 및 지방 등의 섭취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바쁜 사회생활에서 받는 스트레스와 운동 부족, 음식의 과다 섭취 등의 요인에 의해 그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성인병을 야기하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비만은 심장병, 당뇨, 고혈압 등의 성인병 등 임상적인 각종 질병을 발생시키거나 악화시키는 주범으로서, 특히 여성에게는 자궁내막암, 담낭암, 자궁경부암, 난소암, 유방암 등이 흔히 발생하고, 이때 자궁내막암의 경우 비만증에 의한 발병 및 사망률의 증가가 다른 암질환에 비해 가장 현저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사망률에 있어서도 정상인에 비해 크게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비만은 체지방과 혈중 콜레스테롤 증대에 깊이 관여하고 있으며, 신진대사의 불균형에 기인한다.
이에, 수많은 현대인들에 있어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실정에 있으며, 다양한 다이어트법이 활용되거나 다이어트를 위한 식품 또는 제품 등이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고 있다.
종래 다이어트용 건강기능식품에 있어, 국내등록특허 제10-154004호에서는 코엔지임Q10과, 은행잎추출물 및 바나바잎 추출물의 네가지 성분으로 구성하여 혈당강하, 혈압감소, 혈행 개선 및 콜레스테롤 감소와 간기능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안 및 개시하고 있다.
또한, 국내공개특허 제10-2019-0045057호에서는 피의이인(율무; Job's tears, adlay, Chinese pearl barley), 숙지향(Rehmannia glutinosa), 산약, 용안육, 황기(milk vetch root), 구기자(boxthorn ), 상백피(morus bark), 택사(Channelled water plantain), 당귀, 사인, 천궁, 감초(licorice), 행인(apricot kernel)로 구성하여 체중 감량을 통한 비만 개선에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하고 체중감량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작용이 전혀 없는 건강한 체중감량이 가능한 한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안 및 개시하고 있다.
이외에도 다수의 문헌들이 다양한 재료들을 활용하여 다이어트에 유용함을 제공하고자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들이 제안 및 개시되어 있다.
한편, 무(Raphanus sativus L.)는 고려시대부터 재배가 보편화된 것으로 추정되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채소로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겨자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 초본으로, 수분 약 93%, 조단백질 1%, 당질 약 3%, 비타민 C 19~39 mg%를 함유하고 있다. 무의 조직에는 섬유소와 펙틴질, 각종 무기질과 소화효소인 amylase 등이 있으며, methyl mercaptane이나 mustard oil과 같은 특유의 방향성분을 가지고 있다.
또한, 무청(Radish leaves)은 무의 지상부 엽채를 말하며 우리나라에서는 건조하여 국이나 나물로 조리하여 이용하며, 영양학적으로 비타민 A와 C, 칼슘이 뿌리 부분에 비하여 더 많이 함유되어 있고, 건조된 무청(시래기)은 풍부한 식이섬유의 주요 급원으로 알려지면서 무청의 효율적인 이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나, 이러한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재배되는 무의 소비량에 비해 무청의 소비율이 적어 많은 양의 무청이 폐기되고 있어 적절한 대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무청에 대한 연구로는 조리방법에 따른 미네랄 함량 변화, 열풍건조에 따른 품질 특성 변화, 무청의 건조방법에 따른 미생물 변화 등이 알려져 있으며, 생리활성에 대한 보고로는 무청의 항고혈압 활성, 유방암 세포 성장억제활성, 폐암세포 생육억제효과, 항산화 활성, 콜레스테롤 축적 억제효과, 장 기능 개선 및 혈중 지질 개선 효과, 위 장 자극 저하 및 자궁수축 활성 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유용한 영양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로 간편하게 식용하면서도 비만에 대한 부담감이 없으면서 인지능력 및 기억력이 향상될 수 있는 음료를 개발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하던 중 구기자 추출물, 당귀 추출물, 천마 추출물 및 비파잎 추출물의 혼합 한방 추출물과 무청 추출물을 이용하여 식이섬유, 칼슘, Fe, 총 폴리페놀 등 유용한 기능성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면서 섭취시 체중변화가 거의 없어 비만에 대한 부담감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인지능력 및 기억력이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음료를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지개선 효과가 있으면서 비만에 대한 부담감 없이 즐겨 먹을 수 있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한방 추출물과 무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방 추출물은 구기자 추출물, 당귀 추출물, 천마 추출물 및 비파잎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방 추출물은 구기자 추출물 25 내지 35 중량%, 당귀 추출물 15 내지 25 중량%, 천마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 및 비파잎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는 한방 추출물을 85 내지 88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청 추출물은 냉동 저장한 무청을 해동하여 탈수한 후 10 내지 14시간 동안 열풍 건조한 후 분쇄하여 15 내지 25배(부피비)의 증류수를 가하여 90 내지 110℃에서 5 내지 7 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수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추출공정에서 열수 추출 시 상기 무청 분말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 내지 5 중량% 양의 구연산을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는 무청 추출물을 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S1) 구기자 추출물 25 내지 35 중량%, 당귀 추출물 15 내지 25 중량%, 천마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 및 비파잎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로 이루어진 한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S2) 냉동 저장한 무청을 해동하여 탈수한 후 10 내지 14시간 동안 열풍 건조한 후 분쇄하여 15 내지 25배(부피비)의 증류수를 가하여 90 내지 110℃에서 5 내지 7 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무청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S3) 상기 단계 (S1)에서 제조된 한방 추출물 84 내지 89 중량%과 상기 단계 (S2)에서 제조된 무청 추출물 0.1 내지 10 중량%, 액상과당 4 내지 6 중량%, 알룰로오스 2 내지 4 중량%, 프락토 올리고당 2 내지 4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혼합하는 단계;
(S4) 상기 단계 (S3)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90 내지 110℃에서 2 내지 5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
(S5) 상기 단계 (S4)에서 가열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5 내지 35 분간 냉각한 다음 4℃에서 냉장시켜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를 제조하는 단계; 및
(S6) 상기 단계 (S5)에서 수득된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를 포장하는 단계.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추출물과 무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는 식이섬유, 칼슘, Fe, 총 폴리페놀 등 유용한 기능성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는 섭취시 체중변화가 거의 없으면서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어 비만에 대한 부담감 없이 즐겨 식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를 섭취한 후 단어회상, 단어 지연회상, 단어재인, 검사지침 기억하기, 낱말 찾기 어려움, 알아듣기와 같은 테스트에서 우수한 평가결과를 나타내어 인지능력 및 기억력을 현격하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관능평가에서 색, 맛 및 풍미에 대한 평가 및 전체적인 기호도가 대폭 증대되어 비만에 대한 부담감이 없는 기능성 다이어트 음료로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무청 추출물의 제조공정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2는 무청 추출물 제조공정을 보여주는 각 단계별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무청 추출물 A 및 무청 추출물 B의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 함유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의 제조공정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 함유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가 포장된 상품의 일 례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1은 무청 추출물의 제조공정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2는 무청 추출물 제조공정을 보여주는 각 단계별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무청 추출물 A 및 무청 추출물 B의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 함유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의 제조공정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 함유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가 포장된 상품의 일 례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한방 추출물과 무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의 유효성분인 한방 추출물은 구기자 추출물, 당귀 추출물, 천마 추출물 및 비파잎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기자는 구기자 나무의 열매(Lycii fructus)로서, 뿌리의 껍질은 지골피, 잎은 구기엽, 어린순은 청정초라고 한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구기자는 자양, 강장, 보혈, 지갈 등에 효능이 있다고 하며, 본초강목에 의하면 구기자는 독성이 없고 구기자 복용 시근골이 단단해지고 더위와 추위를 타지 않으며 가슴의 염증과 갈증을 수반하는 당뇨병이나 신경이 마비되는 질병에 좋고 폐와 신장의 기능을 촉진시켜 시력이 좋아진다고 기록되어 있다. 구기자는 betaine, cholin,physalien, rutin, β-sitosterol, zeazanthin 등 다양한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항산화 효과, 항균 및 항암 효과, 면역증진효과, 간 기능개선 효과,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당귀는 기운이 따뜻하고 맛은 달면서도 매운데, 일반적으로 참당귀가 중국당귀나 왜당귀에 비해 단맛은 약하고 매운맛이 강하다. 당귀의 효능은 피가 부족할 때 피를 생성해 주는 보혈 작용(補血作用)이 주를 이룬다. 중국당귀나 왜당귀의 뿌리로 만든 당귀는 보혈작용이 뛰어나다. 하지만 참당귀의 뿌리로 만든 당귀는 보혈작용보다는 피를 원활히 순환하게 해주는 활혈작용(活血作用)이 더 뛰어나며, 항암효과 및 혈압강하 작용이 강하다. 약리학적으로 당귀는 관상동맥의 혈류량을 촉진시키고, 적혈구 생성을 왕성하게 한다.
상기 천마(Gastrodiaelata Blume)는 난초과(Orchidaceae)에 속하는 다년초로서, 뽕나무 버섯속 균사에 공생하며 땅속 괴경을 지니고 있고, 적극, 귀독우, 난모, 신초, 정풍초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한방에서 천마는 고혈압, 중풍, 두통, 신경성질환, 당뇨병, 간질, 어지럼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제까지 알려진 천마의 약리성분으로는 가스트로딘(gastrodine), p-히드록시 벤질 알콜, p-히드록시 벤질 알데히드, 바닐린 등이 보고되었다.
상기 비파(Loquat, Eriobotrya japonica)는 장미목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낙엽 소교목으로서, 높이가 10 m 에 달하며 개화기는 9~10월이고 결실기는 그 다음해의 5~6월이다. 국내에서는 제주도, 남부 지방에서 과수 또는 관상용으로 재배하며, 비파나무의 과실은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맛이 달고 시며 성질이 차다. 비파잎은 달여서 마시는 비파차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동의보감에 따르면 폐를 맑게 하고, 진해 거담의 작용을 하며, 위장을 튼튼하게 해주고, 신진대사를 원활히 해주는 효능이 있다고 한다.
본 발명의 용어 "추출물(extract)"은 한약재를 적절한 침출액으로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물, 추출물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물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일반적인 추출방법, 분리 및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으로는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천연 추출물은 천연 식물을 그대로 분쇄하여 사용하거나, 열풍건조기 또는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여 분쇄한 후 추출용매, 예컨대 물, 탄소수 1~3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를 추출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천연 식물 건조 중량의 2 내지 20 중량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태양에 따르면, 상기 구기자 추출물, 당귀 추출물, 천마 추출물 및 비파잎 추출물은 구기자, 당귀, 천마 및 비파잎 각각을 5 내지 20배(부피비), 바람직하게는 10배(부피비)의 증류수를 가하여 9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95℃에서 3 내지 6 시간, 바람직하게는 4 내지 5 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한방 추출물은 구기자 추출물 25 내지 35 중량%, 당귀 추출물 15 내지 25 중량%, 천마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 및 비파잎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구기자 추출물, 당귀 추출물, 천마 추출물 및 비파잎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인지개선 효과 및 다이어트 효과를 수득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는 한방 추출물을 84 내지 89 중량%, 바람직하게는 86 내지 88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한방 추출물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인지개선 효과 및 다이어트 효과를 수득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의 유효성분인 무청(Radish leaves)은 무의 지상부 엽채로서, 영양학적으로 비타민 A와 C, 칼슘이 함유되어 있고, 풍부한 식이섬유를 함유하고 있으며, 항고혈압 활성, 유방암 세포 성장억제활성, 폐암세포 생육억제효과, 항산화 활성, 콜레스테롤 축적 억제효과, 장 기능 개선 및 혈중 지질 개선 효과, 위 장 자극 저하 및 자궁수축 활성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무청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일반적인 추출방법, 분리 및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으로는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무청 추출물은 무를 그대로 분쇄하여 사용하거나, 열풍건조기 또는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여 분쇄한 후 추출용매, 예컨대 물, 탄소수 1~3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를 추출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청 추출물은 냉동 저장한 무청을 해동하여 탈수한 후 10 내지 14시간, 바람직하게는 12시간 동안 열풍 건조한 후 분쇄하여 15 내지 25배(부피비), 바람직하게는 20배(부피비)의 증류수를 가하여 90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100℃에서 5 내지 7 시간, 바람직하게는 6 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무청 추출물을 추가로 농축하여 30 내지 40 ㅀBrix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공정에서 열수 추출 시 상기 무청 분말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 내지 5 중량% 양의 구연산을 첨가하여 추출함으로써 식이섬유가 다량 함유된 무청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는 무청 추출물을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는 액상과당, 알룰로오스 및 프락토 올리고당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상과당 4 내지 6 중량%, 알룰로오스 2 내지 4 중량% 및 프락토 올리고당 2 내지 4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추출물과 무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는 식이섬유, 칼슘, Fe, 총 폴리페놀 등 유용한 기능성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추출물과 무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를 섭취한 후 체중변화가 거의 없으면서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이 감소되는 다이어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는 본 발명의 목적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맛과 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추가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미료, 향료, 당성분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미료는 음료의 상큼한 맛을 내기 위해 사용한다. 산미료는 구연산, 주석산, 사과산, 푸마르산, 호박산, 비타민 C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음료 조성물 중의 산미료의 함량은 0.1 내지 3 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신맛을 느낄 수 없어 관능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며, 3.0 중량%를 초과하면 음료 조성물이 신맛이 증가하여 관능적으로 좋지 않은 문제와 겔 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향료는 음료의 관능적 요소 중 풍미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향료로는 천연향료, 합성향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음료 조성물 중의 향료 함량은 0.05 내지 5.0 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함량이 0.05 중량% 미만이면 풍부한 향을 제공하지 못하여 관능적으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5.0 중량%를 초과하면 음료 조성물이 연화되고 관능적 평가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없다.
상기 당성분은 음료의 단맛을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당성분으로는 설탕, 액상과당, 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음료 조성물 중의 당성분 함량은 1 내지 30 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단맛을 제공하지 못하여 관능적으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30 중량%를 초과하면 단맛이 증가하여 관능적으로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S1) 구기자 추출물 25 내지 35 중량%, 당귀 추출물 15 내지 25 중량%, 천마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 및 비파잎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로 이루어진 한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S2) 냉동 저장한 무청을 해동하여 탈수한 후 10 내지 14시간 동안 열풍 건조한 후 분쇄하여 15 내지 25배(부피비)의 증류수를 가하여 90 내지 110℃에서 5 내지 7 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무청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S3) 상기 단계 (S1)에서 제조된 한방 추출물 84 내지 89 중량%과 상기 단계 (S2)에서 제조된 무청 추출물 0.1 내지 10 중량%, 액상과당 4 내지 6 중량%, 알룰로오스 2 내지 4 중량%, 프락토 올리고당 2 내지 4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혼합하는 단계;
(S4) 상기 단계 (S3)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90 내지 110℃에서 2 내지 5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
(S5) 상기 단계 (S4)에서 가열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5 내지 35 분간 냉각한 다음 4℃에서 냉장시켜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를 제조하는 단계; 및
(S6) 상기 단계 (S5)에서 수득된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를 포장하는 단계.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추출물과 무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는 식이섬유, 칼슘, Fe, 총 폴리페놀 등 유용한 기능성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는 섭취시 체중변화가 거의 없으면서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어 비만에 대한 부담감 없이 즐겨 식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를 섭취한 후 단어회상, 단어 지연회상, 단어재인, 검사지침 기억하기, 낱말 찾기 어려움, 알아듣기와 같은 테스트에서 우수한 평가결과를 나타내어 인지능력 및 기억력을 현격하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관능평가에서 색, 맛 및 풍미에 대한 평가 및 전체적인 기호도가 대폭 증대되어 비만에 대한 부담감 없이 기능성 다이어트 음료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한방 추출물 제조
구기자, 당귀, 천마 및 비파잎을 각각 10배(부피비)의 증류수를 가하여 95℃에서 4시간 30분 동안 열수 추출하여 구기자 추출물, 당귀 추출물, 천마 추출물 및 비파잎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구기자 추출물 30 중량%, 당귀 추출물 20 중량%, 천마 추출물 25 중량% 및 비파잎 추출물 25 중량%를 혼합하여 여과 및 냉각하여 한방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무청 추출물 제조
(1) 재료
본 실험에서 사용한 무청은 충북 청주지역에서 구매한 국내산 무청을 세척한 후 냉동 보관하면서 시료로 사용하였다.
(2) 무청 추출물 A 제조
무청 추출물의 제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1은 무청 추출물의 제조공정을 도식화한 것이다.
무청 추출물 제조를 위해 냉동 저장한 무청을 해동하여 탈수한 후 55℃로 조절한 건조기(LD-918TH, L'EQUIP, Korea)에서 12시간 동안 열풍 건조하였다. 이후 건조된 시료를 분쇄기(FM-681, Hanil, Haman, Korea)로 분쇄하고, 분쇄된 분말의 20배에 해당하는 증류수를 가하여 100℃에서 6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였다. 열수 추출한 무청 추출물을 감압여과한 후 농축하여 무청 추출물 A를 제조하였다.
도 2는 무청 추출물 제조공정을 보여주는 각 단계별 사진이다.
(3) 무청 추출물 B 제조
효과적인 무청 식이섬유 추출을 위해 냉동 저장한 무청을 해동, 탈수, 건조, 분쇄한 후 열수 추출 시 분쇄된 무청 분말의 3 중량% 양의 구연산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무청 추출물 A 제조와 동일한 방식으로 무청 추출물 B를 제조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무청 추출물 A 및 무청 추출물 B의 사진이다.
(4) 무청 추출물의 적정 농도 설정
무청 추출물의 적정 농도 설정을 위해 농축시간에 따른 ㅀBrix를 측정하였다. 무청 추출물 50 g를 증발접시에 넣고 수욕 중에서 증발 건조한 후, 이를 식힌 다음 칭량하여 증발접시의 전후의 중량차를 측정하였으며 굴절당도계(Hand Refractometer, Atago)를 이용하여 ㅀBrix를 측정하였다.
무청 추출물 적정농도 설정을 위해 농축시간에 따른 ㅀBrix와 증발 접시의 전후 중량차를 측정하였다. 농축 2시간 후 무청 추출물은 2ㅀBrix에서 15ㅀBrix로 변화하였으며 전후 중량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이하 15ㅀBrix의 무청 추출물을 추가 농축하여 34ㅀBrix의 무청 추출물이 제조하였다. 전후 중량은 다음 표 2와 같다.
(5) 무청 추출물의 식이섬유 함량 분석
무청 추출물 A 및 B의 식이섬유 함량은 식품공전 상의 식이섬유 추출 분석법 중 효소 중량법을 사용, 주관기관의 식이섬유 추출장치를 활용해 분석하였다. 건조된 무청 추출물 시료 두 개를 준비하고 이를 내열성 α-아밀라아제(Thermophile α-amylase), 프로테아제, 아밀로글루코시다제 효소로 연속적으로 분해하여 전분과 단백질을 제거하였다. 총 식이섬유(TDF) 정량은 효소분해물에 녹아 있는 식이섬유를 에탄올로 처리하여 침전시켜 여과하고 에탄올과 아세톤으로 세척한 후, 건조하여 그 무게를 확인하였다. 불용성 식이섬유(IDF)는 효소분해물을 여과하여 잔사(residue)를 따뜻한 물로 세척하고 그 무게를 확인하여 정량하였다. 수용성식이섬유(SDF)는 IDF의 전처리과정에서 얻은 여과액과 세척액을 합하여 에탄올로 침전시킨 후 여과하여 잔류물을 건조하고 무게를 확인하여 정량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무청 추출물 A의 식이섬유 함량은 76.4 mg/g 으로 나타났으며, 무청 추출물 B의 식이섬유 함량은 102.9 mg/g로 나타났다. 구연산을 첨가해 열수 추출한 무청 추출물 B의 식이섬유 함량이 높은 것을 보아, 구연산 첨가를 통해 식이섬유 추출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6) 무청 추출물의 일반성분 분석
무청 추출물의 일반성분 분석은 식품공전 및 AOAC의 방법을 참고하여 실시하였다. 수분함량은 105℃ 상압가열 건조법(J-DSA2, Jisico Co., Seoul, Korea), 회분은 550℃의 직접 회화법(J-FM, Jeil science Co., Gyeonggi, Kore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지방의 함량은 주관기관의 조지방 분석장치를 활용, 산 분해법(Foss tecator digestor auto & Kjeltec auto 2300, Foss, MA, USA)으로 측정하고 단백질의 함량 역시 주관기관이 보유한 조단백 분석장치를 활용 micro-Kjeldahl의 질소 정량법(Foss Kjeltec 820, Foss, MA, USA)(Foss tecator digestor auto & Kjeltec auto 2300, Foss, MA, USA)을 사용하였다. 탄수화물 함량은 100에서 수분, 조회분, 조단백질, 조지방의 중량을 뺀 값으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무청 추출물의 일반성분 분석을 각 5회씩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무청 추출물 A는 탄수화물 18.01%, 수분 69.78%, 회분 4.81%, 단백질 6.93%, 지방 0.47%로 나타났으며, 무청 추출물 B는 탄수화물 17.63%, 수분 71.905, 회분 4.77%, 단백질 5.46%, 지방 0.24%로 나타났다.
(7) 무청 추출물의 Vitamin C 및 Fe 함량
Vitamin C는 무청 추출물 1 g을 10% metaphosphate 용액 50 mL를 첨가하고 10분간 shaking한 후 5% metaphosphate 용액으로 100 mL 정용시키고,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취해 0.2 μm membrane filter를 통과시켜 여과 후 HPLC로 분석하였다.
Fe 함량은 무청 추출물 1 g에 미리 제조한 HCl (증류수:HCl=1:1) 20 mL를 가하여 가열시킨 후 잔여물을 증류수 100 mL에 희석시키고, 이를 1시간 이상 가열한 다음 방냉시켜 100 mL로 정용 및 여과 후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였다.
무청 추출물의 Vitamin C와 Fe를 분석한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5에서 보듯이, 무청 추출물 A, 무청 추출물 B 모두 Vitamin C는 불검출되었으며, 칼슘은 무청 추출물 A는 8,422.0 mg/100g, B는 8,816.0 mg/100g, 철은 각각 4.48, 4.84 mg/100g 으로 나타났다.
(8) 무청 추출물의 생리활성 분석
①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Denis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제조된 무청 추출물을 1.0 mg/mL의 농도로 3차 증류수에 희석한 액 0.1 mL에 2 N Folin reagent(Sigma, USA) 0.5 mL, 증류수 8.4 mL를 가하고 3분간 정치한 다음 1.0 mL의 20% Na2CO3 용액을 가하였다. 이 혼합액을 1시간 동안 정치한 후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7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gallic acid (Sigma, USA)를 이용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총 폴리페놀 함량을 mg/g로 구하였다. 무청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6과 같다.
상기 표 6에서 보듯이, 무청 추출물 A는 1980.78 mg/100g으로 나타났으며, 무청 추출물 B는 2073.06 mg/100g 으로 나타나, 무청 추출물 B가 더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다.
② DPPH 전자공여능
전자공여능은 시료의 flavonoids 및 폴리페놀 물질 등에 대한 항산화 작용의 지표로 free radical을 환원시키거나 상쇄시키는 능력이 커서 높은 항산화 활성 및 활성산소에 대한 소거활성을 기대할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전자공여능은 추출물에 대한 DPPH(α,α-diphenyl-2-picryl-hydrazyl, Sigma, USA)의 전자공여효과로 각 시료의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무청 추출물을 1.0 mg/mL의 농도로 3 차 증류수에 희석한 액 0.2 mL에 4x10-4 M DPPH용액(99% 에탄올 에 용해) 0.8 mL, 99% 에탄올 2 mL를 가하여 총액의 부피가 3 mL가 되도록 하였다. 이 반응액을 약 10 초간 혼합하여 실온에 15분 방치한 후 분광광도계(V-550 spectrophotometer, Jasco, Japan)를 사용하여 5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무청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산술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A : 추출물 첨가구의 흡광도
B : 추출물 무 첨가구의 흡광도
상기 표 7에서 보듯이, DPPH 전자공여능은 무청 추출물 A는 38.66%, 무청 추출물 B는 40.58%로 나타났다.
③ 아질산염 소거작용
아질산염은 amine류와 반응하여 nitrosamine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체내에서 diazoalkane으로 전환되어 핵산, 단백질 등의 세포내 성분들을 alkyl화하여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1 mM NaNO2 0.1 mL에 무청 추출물을 1.0 mg/mL의 농도로 3차 증류수에 희석한 액 0.2 mL와 0.1 N HCl를 0.7 mL 가하여 반응용액의 부피를 1mL로 하였다. 이를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2% acetic acid 5 mL, Griess 시약(Sigma, USA) 0.4 mL를 가하여 잘 혼합 시켜 15분간 실온에서 방치시킨 후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잔존하는 아질산염량을 구하였다. 이때 대조구는 Griess 시약 대신 증류수 0.4 mL을 가하여 상기와 동일하게 행하였다. 무청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산술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N : 아질산염 소거능
A : 1 mM NaNO2 용액에 시료를 첨가하여 1시간 반응시킨 후의 흡광도
B : 1 mM NaNO2 용액에 시료 대신 증류수를 첨가하여 1시간 반응시킨 후의 흡광도
C : 시료 추출물 자체의 흡광도
상기 표 8에서 보듯이, pH 2.07에서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측정하였을 때 무
청 추출물 A는 61.17%, 무청 추출물 B는 65.73%를 나타내었다. pH 4.2에서는 무청 추출물 A 42.45%, 무청 추출물 B 42.30%로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추출 시 시료량과 농도를 높이고, 본 실험에서 사용한 pH 2.07보다 낮은 pH에서는 아질산 소거능이 높아질 것으로 여겨진다.
④ SOD 유사활성
SOD 유사활성 물질은 효소는 아니지만 SOD와 유사한 역할을 하는 저분자 물질로 주로 phytochemicals에 속하며 superoxide의 반응성을 억제하여 산화적 장애를 방어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SOD 유사활성 측정은 추출물을 감압 농축한 후 Tris-HCl buffer(50 mM tris[hydroxymethyl] amino-methane±10 mM EDTA, pH 8.5)를 이용하여 pH 8.5로 조절된 시료액을 만들었다. 1.0 mg/mL 농도의 시료 0.2 mL에 tris-HCl buffer(pH 8.5) 3 mL와 7.2 mM pyrogallol 0.2 mL를 가하고 25℃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1 N HCl 1 mL로 반응을 정지시킨 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냈다. 무청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은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산술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A : 추출물 첨가구의 흡광도
B : 추출물 무 첨가구의 흡광도
단, A, B는 대조구의 흡광도를 제외한 수치임
상기 표 9에서 보듯이, SOD 유사 활성은 무청 추출물 A, B가 각각 32.61%, 32.88%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무청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3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⑤ MTT 방법을 이용한 무청 추출물의 독성검사
3T3-L1 전지방세포주를 96well plate에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추출물을 농도별 (0, 10, 25, 50, 100, 150, 200μg/mL)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3-(4,5-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MTT) 시약을 10 μL 처리하여 4시간 배양한 후, 배지와 MTT 시약을 제거하고, DMSO 시약 100 μL를 가하여 570 nm에서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3T3-L1 전지방 세포 분화과정 중 무청 추출물을 다양한 농도로 처리하여 분화 8일째에 XTT 방법으로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무청 추출물을 50~300 μg/mL의 농도로 처리한 후 세포생존 정도를 측정한 결과 300μg/mL부터 유의적으로 세포 성장과 분화에 영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후의 지방 축적 억제효과 시험에서는 50, 100 및 200 μg/mL의 안전한 분획물 농도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무청 추출물의 세포독성 결과를 다른 천연물 또는 식품소재의 분획물을 연구한 보고와 비교해볼 때 안전 범위가 넓게 나타나고 있어 세포독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여겨진다.
⑥ Oil Red O 염색법을 이용한 무청 추출물의 지방축적 억제효과
전지방세포인 3T3-L1 세포주를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에서 구입하여 10% fetal bovine serum(FBS), 1% penicillin/streptomycin이 첨가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배지에 2x105 cells/mL 농도로 부유시켜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confluent 상태가 되게 37℃ 항온기에서 배양하였다. 분화배지(10% FBS, 1% penicillin/streptomycin, 5 μg/mL insulin, 1 μM dexamethasone, 0.5 mM 3-isobutyl-1-methylxanthine)로 교체하여 2일간 배양 후,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하기 위해 5 μg/mL insulin이 포함된 DMEM 배지로 3일간 배양하였다. 무청 추출물 처리군은 각각 25, 50, 100 μg/mL의 농도로 처리하여 분화 시에 같이 처리하였다. 그리고 중성지질이 존재하는 지방세포만을 염색할 수 있는 Oil Red O 염색액을 이용하여 염색한 후, isopropanol로 염색액을 추출하여 510 nm 에서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지방세포내의 중성지질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무청 추출물 처리에 의한 3T3-L1 세포의 분화과정 중 지방구의 생성 억제 유무를 Oil Red O 염색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Oil Red O 염색시약은 중성지질, 콜레스테롤 등과 결합하며, 지방분화로 인해 축적된 대부분의 지질은 중성지방으로 염색된 세포의 붉은색 정도를 통해 분화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완전히 분화된 지방세포(100%)와 비교하였을 때, 무청 추출물을 50 및 100 μg/mL를 처리한 군에서는 지방 축적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지 않았으나, 200 μg/mL의 농도를 처리한 군에서는 지방 축적이 10.8% 유의적으로 감소함으로써 지방구 생성 억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 제조
(1) 재료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에 사용된 무청 추출물 A는 충북 청주지역에서 구매한 국내산 무청을 세척, 건조, 분쇄, 열수추출, 감압여과, 농축한 후 냉장 보관하면서 시료로 사용하였다.
(2)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 제조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 제조를 위해 하기 표 10의 조성비에 따라 한방 추출물과 무청 추출물 B 및 기타 음료재료를 혼합한 다음 100℃에서 3분 동안 가열하였다. 가열이 완료된 후 실온에서 30분간 냉각, 4℃에서 냉장시켜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를 제조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 함유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의 제조공정을 도식화한 것이다.
구분 | 원재료 | 비율(%) |
1 | 무청 추출액 | 1 |
2 | 한방 추출액 | 86.89 |
3 | 액상 과당 | 5 |
4 | 알룰로오스 | 3 |
5 | 올리고당 | 3 |
6 | 구연산 | 0.1 |
7 | 비타민 C | 0.01 |
8 | 폴리덱스트로스 | 1 |
합계 | 100 |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 함유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가 포장된 상품의 일 례를 보여주는 것이다.
<비교예 1>
무청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음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한방 추출물 50 중량% 및 무청 추출물 20 중량%를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음료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체중 및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실험
실험동물로 ICR 마우스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3의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 및 상기 비교예 1 및 2의 음료를 식이 급여하며 사육 비교하였다. 정상군으로 식이만을 투여한 군을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서 기본 식이는 AIN-76을 기본으로 단백질급원은 카제인(Japan), 탄수화물급원은 옥수수전분(제일제당), 지방급원으로 옥수수유(대상)을 사용한 정상군과 시험대조군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홍삼 음료는 매일 일정시간에 1 ml씩 경구 급여하였으며 식이와 식수는 임의로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시험동물 사육환경은 항온(20±2℃), 항습(50±5%)하고 12 시간 광주기로 일정 조건을 유지하면서 폴리카보네이트 케이지에서 2 마리씩 분리하여 사육하였다. 동물에서 콜레스테롤은 혈류를 따라 순환하며 몇몇 기관에서 합성되며 혈류 내에서 콜레스테롤 수치가 크면 동맥경화의 주요 원인이 되므로 분석항목은 (1) 체중변화 및 식이섭취량, (2)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을 측정하는 것으로 진행하였다.
사육이 끝난 실험동물은 12시간 절식시킨 후 에테르(Ether)를 흡입시켜 마취시킨 다음 복부 하대정맥으로부터 채혈하였으며, 헤파린을 처리하여 원심분리(15 mins, 3,000 RPM)로 혈장을 분리하여 지질함량을 측정하였다.
각 실험동물의 내장(간, 부고환, 신장)을 혈액채취 후 즉시 적출하여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용액으로 수차례 헹군 후 표면 수분을 제거하여 비교 정량하였다. 혈장 중성지질은 McGowan 등(1983)의 효소법을 이용한 발색방식의 중성지방 측정용 시액(Asan kit)를 사용하여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혈장 총 콜레스테롤은 Allain 등(1974)의 효소법을 응용한 총콜레스테롤 측정용 시액(Asan kit)을 사용하여 발색처리하여 5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이를 콜레스테롤 표준곡선과 비교 정량하는 방식으로 하였으며, 장기의 지질은 Folch 등(1957)의 방법으로 잘게 자른 후 2 ml, Chloroform: Methyl alcohol 2:1 용액하에서 추출하여 중성지질, 콜레스테롤은 혈장에서와 동일 방법으로 정량하였다. 각 항목은 통계처리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
(1) 체중변화
실험동물의 체중변화 및 식이섭취량을 하기 표 11 및 12에 각각 나타내었다.
하기 표 11을 참조하면,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 함유하는 음료를 경구 급여한 실험동물의 경우 실험전에 비하여 체중이 유사 또는 저하되었고, 반면, 비교예 1 및 2로부터 제조된 음료를 경구 급여한 실험동물 및 정상군의 경우 실험전에 비하여 체중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기 표 12를 참조하면,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 함유하는 음료 및 비교예 1 및 2로부터 제조된 음료를 경구 급여한 실험동물 및 정상군의 식이섭취량은 모두 유사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실험전(g) | 실험후(g) | |
실시예 3 | 27.51 | 23.01 |
비교예 1 | 27.75 | 27.88 |
비교예 2 | 27.53 | 27.96 |
식이섭취량(g) | |
실시예 3 | 4.0 |
비교예 1 | 4.1 |
비교예 2 | 4.0 |
이를 통하여 모든 실험동물의 식이 섭취량이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 함유하는 음료를 섭취한 실험동물의 체중이 모두 증가하지 않았고, 실험 전과 유사하거나 실험 전에 비하여 감소하여 다이어트 음료로서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2)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실험동물의 혈장 중성지질, 혈장 콜레스테롤, 부고환 중성지질, 신장 조직의 중성지질 및 간조직에서의 콜레스테롤을 하기 표 13 및 14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3을 참조하면,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 함유하는 음료를 섭취한 실험군은 실험전에 비해 혈장 중성지질이 현저히 감소한 반면, 비교예 1 및 2로부터 제조된 음료를 섭취한 비교군은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전(mg/dL) | 실험후(mg/dL) | |
실시예 3 | 121 | 111 |
비교예 1 | 120 | 132 |
비교예 2 | 121 | 135 |
하기 표 14를 참조하면,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 함유하는 음료를 섭취한 실험군은 실험전에 비해 혈장 콜레스테롤이 현저히 감소한 반면, 비교예 1 및 2로부터 제조된 음료는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전(mg/dL) | 실험후(mg/dL) | |
실시예 3 | 156 | 119 |
비교예 1 | 156 | 151 |
비교예 2 | 156 | 152 |
상기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 함유하는 음료는 중성지질의 양의 감소현상을 확인할 수 있어 지방과 콜레스테롤을 개선시키는 특징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인지능력 및 기억력 증진효과 실험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 함유하는 음료 및 비교예 1 및 2로부터 제조된 음료를 20~40대의 사람들에게 4주간 경구 투여한 후, 기억력 개선 효과 및 기억력 감퇴의 보호 효과가 있는지 ADAS-cog 검사법(Mohs et al., Psychopharmacol. Bull., 19(3): 448-450, 1983)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상기 검사법은 단어회상, 단어 지연회상, 단어재인, 검사지침 기억하기, 낱말 찾기 어려움, 알아듣기 총 6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영역의 점수를 합산하여 평가하였다.(점수가 낮을수록 수행이 좋다는 것(인식능력 및 기억능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100명의 피험자를 대조군(25명)과 처치1군(25명), 처치2군(25명), 처치3군(25명)에 무작위로 할당하였다. 처치1군에는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 함유하는 음료를 1일 2회(150ml) 12주간 복용하게 하였으며, 처치2군에는 상기 비교예 1, 처치3군에는 상기 비교예 2의 음료를 동일한 용량으로 동일기간 동안 복용하게 하였으며, 대조군에는 증류수를 복용하게 하였다. 효과 검증을 위한 평가는 투여 전과 투여 4주 후에 각각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5에 기재하였다.
대조군 |
처치 1군 |
처치 2군 |
처치 3군 |
|||||
투여전 |
투여후 |
투여전 |
투여후 |
투여전 |
투여후 |
투여전 |
투여후 |
|
단어회상 |
5.14 |
5.18 |
5.15 |
3.13 |
5.42 |
4.83 |
5.22 |
4.81 |
단어 지연회상 |
6.68 |
6.43 |
6.69 |
4.11 |
6.76 |
6.15 |
6.34 |
6.12 |
단어재인 |
4.86 |
4.52 |
4.82 |
2.23 |
4.26 |
4.11 |
4.79 |
4.12 |
검사지침 기억하기 |
0.32 |
0.30 |
0.32 |
0.11 |
0.34 |
0.28 |
0.30 |
0.21 |
낱말 찾기 어려움 |
0.34 |
0.35 |
0.36 |
0.14 |
0.39 |
0.31 |
0.33 |
0.31 |
알아듣기 |
0.18 |
0.18 |
0.18 |
0.02 |
0.18 |
0.16 |
0.18 |
0.15 |
총점 |
17.52 |
16.96 |
17.52 |
9.74 |
17.35 |
15.84 |
17.16 |
15.72 |
상기 표 1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각 처치군에서는 모두 ADAS-cog 지수가 현저히 감소한 반면, 대조군에서는 지수의 변동이 거의 없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음료는 비교예 1 및 2로부터 제조된 음료에 비하여 지수가 현격하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 함유하는 음료는 인식능력이나 기억력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의 관능평가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의 관능평가는 관능평가 실무교육을 받은 50명을 대상으로 시료의 관능적 품질특징과 평가방법을 교육하고, 그 중 30명을 검사원으로 최종 선발하여 수행하였다. 검사 시 시료는 15℃로 조정하여 임의의 3자리 숫자로 구분된 흰색 종이컵에 담아 제시하였으며, 시료의 색, 풍미, 맛, 전반적인 기호도 등에 대하여 9점 척도법(1=extremely dislike, 9=extremely like)으로 평가하였다.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의 관능적 품질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표 16에 나타내었다. 대조구로는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 함유하지 않는 일반 음료를 사용하였다.
색 | 향미 | 맛 | 전체적인 기호도 | |
대조구 | 4.37±0.17 | 3.36±0.27 | 4.28±0.71 | 4.05±0.12 |
실시예 3의 음료 | 8.52±0.23 | 8.32±0.16 | 8.18±0.65 | 8.25±0.26 |
상기 표 16에서 보듯이,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의 색은 각각 8.52±0.23로 좋은 평가를 나타내었으며, 풍미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는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맛 또한 대조구에 비해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가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전체적 기호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 이로써 본 발명의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는 관능적 품질이 향상되어 기호도가 증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의 유통기한 설정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 제품의 유통기한을 설정하기 위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유통기한 설정기준'고시에 근거하여 기존에 유통 중인 동일한 제품의 유통기한 이내로 설정하였다. 또한 식약처에 고시되어 있는 '유통기한 설정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유통기한 산출 후 여기에 안전계수 0.8을 곱하여 최종 유통기한을 설정하였다.
냉장 온도(0℃~ 10℃)에서 유통되는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의 유통기한은 5개월로 산출되었으며, 여기에 유통과정 중의 안전을 고려하고자 안전 계수 0.8을 곱하여 최종 유통기한을 4개월로 설정하였다.
<시험예 5> 제형 안정성 시험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의 제형 안정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관찰 기간은 1주일 동일 실시하였으며, 다양한 온도에서 안정성을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7에 나타내었다.
온도 | 0℃ | 40℃ | -10℃ |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 | 양호 | 양호 | 양호 |
상기 표 17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는 다양한 온도에서 안정성이 양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 (S1) 구기자 추출물 25 내지 35 중량%, 당귀 추출물 15 내지 25 중량%, 천마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 및 비파잎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로 이루어진 한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S2) 냉동 저장한 무청을 해동하여 탈수한 후 10 내지 14시간 동안 열풍 건조한 후 분쇄하여 15 내지 25배(부피비)의 증류수를 가하여 90 내지 110℃에서 5 내지 7 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무청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S3) 상기 단계 (S1)에서 제조된 한방 추출물 84 내지 89 중량%과 상기 단계 (S2)에서 제조된 무청 추출물 0.5 내지 5 중량%, 액상과당 4 내지 6 중량%, 알룰로오스 2 내지 4 중량%, 프락토 올리고당 2 내지 4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혼합하는 단계;
(S4) 상기 단계 (S3)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90 내지 110℃에서 2 내지 5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
(S5) 상기 단계 (S4)에서 가열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5 내지 35 분간 냉각한 다음 4℃에서 냉장시켜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를 제조하는 단계; 및
(S6) 상기 단계 (S5)에서 수득된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청 추출물의 추출 시 무청 분말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 내지 5 중량% 양의 구연산을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청 추출물은 30 내지 40 Brix를 갖도록 농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추출물 및 무청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의 제조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3746A KR102448112B1 (ko) | 2021-03-16 | 2021-03-16 | 한방 추출물과 무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3746A KR102448112B1 (ko) | 2021-03-16 | 2021-03-16 | 한방 추출물과 무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9194A KR20220129194A (ko) | 2022-09-23 |
KR102448112B1 true KR102448112B1 (ko) | 2022-09-27 |
Family
ID=83445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3746A KR102448112B1 (ko) | 2021-03-16 | 2021-03-16 | 한방 추출물과 무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48112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1915B1 (ko) * | 2006-08-03 | 2007-06-25 | 창 신 | 건강음료수의 제조방법 |
WO2019078005A1 (ja) * | 2017-10-18 | 2019-04-25 | 株式会社ダイセル | アルツハイマー病の予防又は改善剤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11434B1 (ko) * | 2019-04-26 | 2022-06-22 | 한국식품연구원 | 무청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2021
- 2021-03-16 KR KR1020210033746A patent/KR10244811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1915B1 (ko) * | 2006-08-03 | 2007-06-25 | 창 신 | 건강음료수의 제조방법 |
WO2019078005A1 (ja) * | 2017-10-18 | 2019-04-25 | 株式会社ダイセル | アルツハイマー病の予防又は改善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9194A (ko) | 2022-09-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e Caluwé et al. | Adansonia digitata L.–A review of traditional uses,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y | |
KR100793204B1 (ko) |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
US6416807B1 (en) | Mixed fine powder for beverage containing young barley leaves, alfalfa and/or kale | |
KR20120079945A (ko) | 고추씨유를 이용한 드레싱소스 및 그 제조방법 | |
KR101689652B1 (ko) | 저장안정성이 우수한 음료 제조방법 | |
CN106616183B (zh) | 一种以玛咖和蒲公英为主味剂的固体饮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 |
CN103636834A (zh) | 一种保健茶及其制备方法 | |
CN110169524A (zh) | 一种适用于糖尿病患者的嘉宝果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 |
KR100793205B1 (ko) |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 |
KR101788253B1 (ko) | 고량강, 풀솜대 및 흑마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 |
Karanja |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amboo shoots of selected species grown in Kenya and utilization as human food | |
KR101122586B1 (ko) | 전복 동결건조 육을 함유한 숙취해소음료 및 그 제조방법 | |
KR20230104839A (ko) | 천연 추출물의 발효액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436574B1 (ko) | 무청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어린이 인지능력 및 기억력 향상용 워터젤리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0859324B1 (ko) | 능이버섯을 주로 하는 건강 음료의 제조방법 | |
KR102448112B1 (ko) | 한방 추출물과 무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개선용 한방 다이어트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322279B1 (ko) | 천마 엑기스를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 |
KR101025766B1 (ko) | 비만억제용 한방차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 |
KR101953576B1 (ko) | 항암 기능성 음료수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20010039199A (ko) | 기능성 건강음료 및 그 제조방법 | |
KR20190003876A (ko) | 능이버섯을 주로하는 건강음료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 |
KR102448110B1 (ko) | 무청 추출액 및 과일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055324B1 (ko) |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한 식물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2436573B1 (ko) | 무청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인식 고단백 경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538184B1 (ko) | 호박차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호박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