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670B1 - 눈개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 및 학습능력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눈개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 및 학습능력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670B1
KR102488670B1 KR1020200154817A KR20200154817A KR102488670B1 KR 102488670 B1 KR102488670 B1 KR 102488670B1 KR 1020200154817 A KR1020200154817 A KR 1020200154817A KR 20200154817 A KR20200154817 A KR 20200154817A KR 102488670 B1 KR102488670 B1 KR 102488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emory
composition
improving memory
cognitive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7979A (ko
Inventor
최종인
고준빈
임예영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54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670B1/ko
Publication of KR20220067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6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3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extraction with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물을 기반으로 한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효과를 가지는 눈개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눈개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천연 추출물로서, 세포독성 등의 부작용의 문제가 없어 장기간 사용하면서,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하고 학습능력을 증진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눈개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 및 학습능력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MEMORY AND LEARNING ABILITY INCLUDING NATURAL PLANT EXTRACT}
본 발명은 눈개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 및 학습능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 활성을 높이고, 집중력 및 학습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천연물 기반의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상기 눈개승마의 새로운 용도를 제공함으로서 상기 눈개승마에 대한 새로운 수요처를 발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사회적 환경이 급격하고 다양하게 변화함에 따라 과거에 비해 점점 더 많은 자극을 접하게 되고 이를 수용하기 위한 신속한 두뇌활동이 요구된다. 청소년, 특히 수험생들의 장기간 학습 활동 내지 기억 활동은 심신을 비롯하여 두뇌의 피로를 유발하며 두뇌의 건전한 발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중년기 이후에는 중추신경의 기능저하로 인한 기억력감퇴 또는 건망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노인층에서는 치매와 같은 퇴행성 뇌질환에 의해 기억능력이 저하되어 그 정도가 심한 경우 사회생활 자체를 불가능하게 되고 가족이나 주변사람들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다면 엄청난 사회적 비용이 요구될 수 있다.
신경발생(neurogenesis)은 NPC(Neuronal precursor cell)로부터 뉴론이 생성되는 과정이다. 성체 포유류의 뇌신경세포는 그 수가 한정되어 있으며, 발생기 이후에는 새로운 신경세포가 생성되지 않는다고 여겨져 왔다. 그러나 많은 연구들에 의하면 측뇌실의 부뇌실 구역(SVZ)과 해마 치상회(hippocampal denatate gyrus)의 과립화 구역(SGZ)에서 성년동안 지속적으로 신경발생, 즉 뉴론의 생성 및 분화가 일어남이 밝혀지고 있다. 성인 해마에서의 신경발생은 인지기능의 조절과 관련이 있다. 해마의 NPC에 의해 유도된 신생 뉴론은 사물 인식 기억 뿐 아니라 장기 및 단기 공간 기억에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지지하는 증거들이 증가하고 있다. 심리학에서의 기억은 학습에 의한 변화가 오래 지속되는 것을 의미하여 학습과 기억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학습의 결과는 기억의 양과 질을 통해 측정된다. 따라서 NPC의 자극에 의한 해마의 신경발생 증가는 학습 및 기억을 포함한 인지기능을 증가시키는 실현가능한 전략으로 여겨진다.
노령 인구의 증가에 따라 인지기능의 향상을 위한 연구들은 퇴행성 신경질환에 의한 신경변성을 치료하는 질병치료의 면에서 주로 접근되어 왔다. 신경변성은 중추 신경계의 신경세포가 이상 단백질 응집체의 축적에 따라 변성이 일어나 기능부전이나 세포사에 빠지게 되는 진행성 질환으로, 이의 치료를 위해서는 이상 단백질 응집체의 형성을 억제하는 것을 타겟으로 한다.
그러나 질환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신경변성과 같은 질병이 없는 일반인의 경우에도 사회적인 환경의 다변화에 따라 현대 사회를 살아가기 위해서는 많은 자극을 수용하기 위한 신속한 두뇌활동이 요구된다. 학습능력은 지적활동 능력과 직접적인 연관을 가진 것으로 궁극적으로는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선천적으로 기억력과 관련된 지적능력이 낮아 학업능력이 떨어지는 학습지진아에 대해서 현대의학에서는 기억력 향상제로 콜린에스터레이즈 억제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현기증, 떨림증, 구토, 간 독성과 같은 부작용이 너무 심해 일부 효과에도 불구하고 그 적용에 제한이 있다. 더구나 입시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장기간 학습활동이 필수적인 수험생에게는 기억력 증진 및 학습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보약'은 물론, 단기적인 집중력 향상을 위하여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치료제로 쓰이는 약물이 소위 '공부 잘하는 약'으로 남용되기도 한다. 이에 보다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기억력 및 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조성물이 요구되어 진다.
기억은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인 상태에서 과거의 일을 생각해내는 능력을 말하는데, 특히 학습과 기억은 상호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항상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기억은 기술의 습득, 습관 등이 포함되는 무의식적인 비서술성 기억(nondeclarative memory)과 과거에 일어났던 사실이나 사건과 같이 의식적으로 재생이 가능한 서술성 기억(declarative memory)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운전이나 피아노를 치는 것과 같은 복잡한 행동도 습관화 되면 무의식적으로 행할 수 있듯이 반복에 의하여 서술성 기억이 비서술성 기억으로 전환될 수 있다.
서술성 기억은 현재 주어지는 정보에 집중하고 수초 동안만 임시로 저장하는 작업기억(working memory), 수시간 내지 수일간 기억이 지속되는 단기기억(short-term memory), 오랜 시간이 지난 과거의 일을 기억하는 장기기억(remote memory) 등으로 구분된다. 단기기억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건에 대한 기억이 장기기억으로 전환되는 기간을 포함한다. 이 기간 동안 기억으로서의 저장이 취약하여 망각되기 쉬우나, 일단 장기기억으로 저장되면 뇌에 심각한 손상이 있는 경우에도 쉽게 잊어버리지 않는다.
기억은 세 가지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첫 번째로 새로운 정보 또는 지식을 외워서 뇌에 입력하는 입력단계, 두 번째는 상기 뇌에 입력된 정보 또는 지식을 뇌에 저장하는 저장단계, 세 번째는 상기 저장된 정보 또는 지식을 다시 생각하는 회상단계가 그것이다. 상기 세 단계 중에 어느 하나라도 이상이 생기면 정보 또는 지식을 정확하게 기억할 수 없게 되는 현상 즉, 기억력 저하 내지 감퇴가 일어날 수 있다.
상기 기억력의 저하 내지 감퇴는 뇌조직의 신경세포에서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의 작용으로 인한 아세틸콜린의 양의 감소, β-amyloid(βA) 등으로 유발된 신경독성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인한 뇌세포의 괴사가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기억능력의 저하 내지 감퇴에 대하여 현재 외과적 방법이나 약물적 방법이 모두 사용되고 있으나, 외과적 방법은 용이하지 아니한 측면이 있어 약물적 방법이 권장되고 있다. 상기 약물적 방법으로서 아세틸콜린을 분해하는 효소인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의 활성억제제(타크린, 아리셉트, 도네페질, 리바스티그린 또는 갈란타민 등)가 상업화되어 있으나, 이는 기억능력의 저하 내지 감퇴를 치료하기 보다는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하여 일시적 증상 호전을 나타낼 뿐이다. 더군다나 간독성, 위장관장애, 심장 서맥 유발, 체중감소 및 불면증 등의 부작용과 장기복용에 따른 독성 내지 의존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제품들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KR 10-2010-0135083 A KR 10-2004-0062273 A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물을 기반으로 한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효과를 가지는 눈개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눈개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천연 추출물로서, 세포독성 등의 부작용의 문제가 없어 장기간 사용하면서,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하고 학습능력을 증진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눈개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제형의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눈개승마에 대한 새로운 용도를 제시하고, 이를 통하여 다양한 기능성 제품으로 상품화 됨으로서, 상기 눈개승마에 대한 새로운 수요가 발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눈개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연꽃 추출물 또는 두릅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노니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개선 및 학습능력 증진용 식품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식품은 오미자 추출물, 딸기 추출물, 아사이베리 추출물, 아로니아 추출물, 블루베리 추출물, 크랜베리 추출물, 자몽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레몬 추출물, 초코민트 추출물, 바질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세이지 추출물, 라벤더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곰피 추출물, 방풍나물 추출물, 머위 추출물, 달래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개선 및 학습능력 증진용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오미자 추출물, 딸기 추출물, 아사이베리 추출물, 아로니아 추출물, 블루베리 추출물, 크랜베리 추출물, 자몽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레몬 추출물, 초코민트 추출물, 바질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세이지 추출물, 라벤더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곰피 추출물, 방풍나물 추출물, 머위 추출물, 달래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눈개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눈개승마는 전국 각처의 고산지역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낙엽이 많으며 반그늘 혹은 음지에서 자생한다. 키는 30~100㎝이고, 잎은 길이가 3~10㎝, 폭이 1~6㎝로 광택이 나는 긴 잎자루를 가지고 있다. 2~3회 정도 깃털과 같은 모양으로 갈라지는 깃꼴겹잎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파고드는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은 흰색으로, 길이는 10~30㎝이며 부채꽃 모양으로 펼쳐지고 아래에서부터 피어서 위로 올라간다. 열매는 7~8월에 익고 갈색으로 타원형이며 길이가 약 0.3㎝가량인데, 익을 때는 광채가 있다. 관상용으로 쓰이며, 어린순은 식용으로 쓰인다. 본 발명에 특별히 지칭 또는 한정한 사항이 없는 경우 상기 눈개승마는 눈개승마의 어린순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눈개승마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눈개승마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수득한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눈개승마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눈개승마 추출물은 기억력 및 인지기능을 개선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눈개승마에 포함된 유효성분의 활성으로 기억력 및 인지기능이 개선되어 건망증 등의 기억력 감퇴에 따른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고, 수험생 등에 대한 학습능력을 증진할 수 있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상기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연꽃 추출물 또는 두릅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노니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차즈기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상호작용에 의한 상승효과로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 활성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원지, 구엽초, 석창포 등의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억력 및 인지기능개선용 조성물은 눈개승마 추출물에 대하여 연꽃 추출물; 두릅 추출물; 노니 추출물; 차즈기 추출물이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합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의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에 따라 기억력 및 인지기능개선 활성이 증진될 수 있다. 특히 다른 식물 추출물의 혼합의 경우에는 나타나지 않는 특유한 상승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눈개승마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연꽃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두릅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노니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및 차즈기 추출물 5 내지 1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기억력 및 인지기능개선 활성이 매우 우수할 수 있다. 특히 다른 추출물의 혼합 또는 다른 혼합범위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우수한 기억력 및 인지기능개선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용매는 물일 수 있다. 물을 용매로 눈개승마 추출물을 제조하는 경우 유효물질 수득에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개선 및 학습능력 증진용 식품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식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 효과를 증강시킬 수 있는 가공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런 가공식품에는 예를 들어, 과자, 차, 음료, 주류, 발효식품, 통조림, 우유가공식품, 육류가공식품, 국수 등을 포함한다. 과자는 비스킷, 파이, 케익, 빵, 캔디, 젤리, 껌, 시리얼등을 포함한다. 음료는 음용수, 탄산음료, 기능성 이온음료, 기능성이온음료, 주스(예를들어, 사과, 배, 포도, 알로에, 감귤, 복숭아, 당근, 토마토 쥬스 등), 식혜 등을 포함한다. 주류는 청주, 위스키, 소주, 맥주, 양주, 과실주 등을 포함한다. 발효식품은 간장, 된장, 고추장 등을 포함한다. 통조림은 수산물 통조림(예들 들어, 참치, 고등어, 꽁치, 소라 통조림 등), 축산물 통조림(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칠면조 통조림 등), 농산물 통조림(옥수수, 복숭아, 파일애플 통조림 등)을 포함한다. 우유가공식품은 치즈, 버터, 요구르트 등을 포함한다. 육류가공식품은 돈까스, 비프까스, 치킨까스, 소세지. 탕수육, 너겟류, 너비아니 등을 포함한다. 밀봉포장생면 등의 국수를 포함한다. 이 외에도 상기 조성물은 레토르트식품, 스프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은 오미자 추출물, 딸기 추출물, 아사이베리 추출물, 아로니아 추출물, 블루베리 추출물, 크랜베리 추출물, 자몽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레몬 추출물, 초코민트 추출물, 바질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세이지 추출물, 라벤더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곰피 추출물, 방풍나물 추출물, 머위 추출물, 달래 추출물, 노니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식품은 일반 식품, 가공식품,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식품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며, 예시적으로 상기 식품에 대한 제형으로는 음료, 차, 정제, 육류가공식품, 스낵, 인스턴트식품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개선 및 학습능력 증진용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오미자 추출물, 딸기 추출물, 아사이베리 추출물, 아로니아 추출물, 블루베리 추출물, 크랜베리 추출물, 자몽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레몬 추출물, 초코민트 추출물, 바질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세이지 추출물, 라벤더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곰피 추출물, 방풍나물 추출물, 머위 추출물, 달래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은 눈개승마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오미자 0.1 내지 1 중량부; 크랜베리 추출물 0.1 내지 1 중량부; 페퍼민트 추출물 0.1 내지 2 중량부, 파슬리 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 및 달래 추출물 0.1 내지 1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눈개승마 추출물이 가진 기호성 낮은 향과 맛이 중화되면서 상당히 깊고 상큼한 향과 함께 기호성을 가진 식감의 식품 조성물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눈개승마 추출물에 비하여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것으로서, 눈개승마 추출물의 기능성을 해하지 않으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눈개승마 추출물의 맛과 향미를 개선하여 상당히 기호성 높은 식품 조성물로 제공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곰피 추출물; 방풍나물 추출물 및 차즈기 추출물을 더 하는 경우에도 맛과 향이 우수하여 기호성이 높고,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최대한 유지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인지기능 또는 기억능력을 개선하거나 관련 질환을 건망증 등 기억력 및 인지기능 관련 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섭취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 특히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이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천연물을 기반으로 한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효과를 가지는 눈개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눈개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천연 추출물로서, 세포독성 등의 부작용의 문제가 없어 장기간 사용하면서,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하고 학습능력을 증진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눈개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제형의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눈개승마에 대한 새로운 용도를 제시하고, 이를 통하여 다양한 기능성 제품으로 상품화 됨으로서, 상기 눈개승마에 대한 새로운 수요가 발굴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눈개승마 추출물의 제조]
1. 눈개승마 추출물의 제조
눈개승마 어린순을 세척 및 건조하고, 분쇄한 뒤 열수 추출하고, 농축 여과하여 눈개승마 추출물(KJB)을 제조하였다. 상기 눈개승마 추출물을 일정한 농도로 희석하면서 이하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2. 혼합 추출물의 제조
상기와 KJB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열수추출을 통하여, 연꽃 추출물(AD1); 두릅 추출물(AD2); 노니 추출물(AD3), 차즈기 추출물(AD4), 오미자 추출물(E1), 크랜베리 추출물(E2), 페퍼민트 추출물(E3), 파슬리 추출물(E4) 및 달래 추출물(E5)를 제조하고 각 추출물을 하기의 [표 1]과 같은 조성에 따라 혼합 조성을 제조하였다.
M1 M2 M3 M4 M5 T1 T2 T3 T4 T5
KJB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T6
AD1 0.1 1 3 5 10 - - - - 100
AD2 1 10 15 30 40 - - - - 3
AD3 0.1 1 3 5 10 - - - - 15
AD4 1 5 10 15 20 - - - - 3
E1 - - - - - 0.01 0.1 1 3 10
E2 - - - - - 0.1 1 3 5 1
E3 - - - - - 0.01 0.1 2 5 3
E4 - - - - - 1 1 3 5 2
E5 - - - - - 0.1 0.1 2 5 3
(단위: 중량부)
[실험예 1: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 효과 실험]
1. DPPH radical 분석
생체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와 관련되어 있는 DPPH, superoxide anion과 같은 활성산소종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을 이용하여 KJB 및 M1 내지 M5의 radical 소거능력을 측정하였다. KJB 및 M1 내지 M5에 DPPH 용액을 가하여 반응시킨 후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radical 함량은 시료 첨가군과 대조군의 흡광도 비를 %값으로 환산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KJB M1 M2 M3 M4 M5
DPPH radical(%) 59 65 47 41 46 58
2. 환원력 분석
Superoxide anion 라디칼 소거능은 Fridovich법에 따라 진행하였다. 시료 1 ml에 pH 6.6의 200 mM 인산 완충액 및 potassium ferricyanide를 각각 1 ml씩 차례로 가하여 반응시켰다. 여기에 10% TCA (trichloroacetic acid)용액을 상등액에 증류수 및 ferric chloride 혼합한 후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KJB 및 M1 내지 M5은 대조군의 값을 기준으로 흡광도 비를 %값으로 환산하여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KJB M1 M2 M3 M4 M5
Superoxide anion(%) 245 258 345 364 352 276
3. Hydroxyl radical에 의한 DNA 손상 분석
Genomic DNA는 약간 변형된 표준 과정에 따라 PC12 세포로부터 추출하였다. DNA 용액에 KJB 및 M1 내지 M5와 200 μM FeSO4, 1 mM H2O2 및 50 μg/ml genomic DNA를 첨가하였다. 반응 종결 후 전기영동 하였다. 염색하여 후 UV로 LAS3000 image analyzer를 이용하여 관찰하였고, 무처리군을 기준으로 그 결과를 %화 하여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고, 그 % 수치가 낮을수록 우수한 것이다.
KJB M1 M2 M3 M4 M5
DNA oxidation(%) 71 69 53 51 53 64
4. ACE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활성 측정
ACE 활성은 KJB 및 M1 내지 M5에 각각 붕산나트륨 완충액(pH 8.3)과 ACE 조효소액 가하여 예비반응을 진행한 후 시킨 후, HHL(hippuryl-histidyl-leucine)을 첨가하여 만든 기질을 가하여 반응하였다. 한편, ACE 조효소액은 sodium borate buffer (pH 8.3)에 rabbit lung acetone powder을 추출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제조하였다. 반응 후 채취한 상등액을 건조 및 증류수를 혼합하고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는 증류수를 사용하였으며, 무처리군을 기준(100%)으로 시료 첨가 전후의 흡광도 비를 %값으로 환산하여 하기의 [표 5]에 나타내었다.
KJB M1 M2 M3 M4 M5
ACE inhibition(%) 202 211 235 242 240 216
5. AChE (Acetylcholine esterase) 활성측정
PC12 세포로부터 분리한 AchE (25 mU/ml) 50μl를 반응효소로, 0.1 M의 인산나트륨 완충액(pH 7.8)에 녹인 아세틸콜린 요오드화물을 기질로 하였고, 발색 시약은 5,5'-dithiobis-2-nitrobenzoic acid 및 탄산수소나트륨을 0.1 M 인산나트륨 완충액(pH 7.0) 10 ml에 용해하여 제조하였다. 반응 후, 분광광도계로 412 nm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AChE의 활성은 무처리군을 기준(100%)으로 KJB 및 M1 내지 M5의 첨가 전후의 흡광도 비를 %값으로 환산하여 하기의 [표 6]에 나타내었다.
KJB M1 M2 M3 M4 M5
AChE activity(%) 54 57 48 43 45 53
6. C12세포에서 NF-κB 전사활성에 대한 시험
PC12 cells을 배양하면서 NF-κB promoter-luciferase construct를 이용하여 NF-κB의 전사 활성을 평가하여 KJB 및 M1 내지 M5에 대한 C12세포에서 NF-κB 전사활성에 대한 영향을 비교하였다. KJB의 결과를 10로 고정하고, M1 내지 M5의 결과를 상대지수로 평가하여 [표 7]에 나타내었다. 상기 지수가 높을수록 NF-κB의 전사 활성이 우수한 것이다.
KJB M1 M2 M3 M4 M5
Relative luciferase activity 10 10 15 16 16 12
결국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활성산소종의 제거, DNA 손상에 대한 항산화, ACE(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효소 저해활성, AChE(acetylcholine esterase) 저해 활성, NO(Nitric oxide) 생성 억제활성, NF-κB 전사활성 증가효과가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M2 내지 M4의 혼합조성에 의하는 경우 일정한 상승효과가 나타나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눈개승마 추출물 또는 눈개승마 추출물에 대한 혼합구성을 기초로, 기억력 및 두뇌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효과를 낼 수 있는 다양한 제품에 적용시킬 수 있다.
7, 일반 육상미로 실험
2주간 일정한 크기로 제작된 방사형 미로의 통로를 마우스에게 학습시킨 뒤, 해당 마우스에 대하여 4일 동안 M1 내지 M5를 하루에 3차례씩 복용시킨 뒤 준비된 미로를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3차례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정제수를 섭취한 군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대조군의 시간 결과와 대비하여 1 내지 10의 지수로 평가하였다. 한편, 상기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하기의 [표 8]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Con KJB M1 M2 M3 M4 M5
Y maze test 1 3 3 5 6 5 3
(단위: 지수)
상기 [표 8]을 참조하면, KJB 및 혼합제형 M1 내지 M5의 경우 기억력 증진 효과가 나타나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M2 및 M4의 경우 각 조성물의 상호 조합에 따른 상승효과로 기억력 개선활성이 크게 높아지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M2 및 M4의 함량범위에 의하는 경우 적은 함량으로 세포독성 등 부작용의 문제없이 장기간 복용하면서 기억력 개선활성을 증진할 수 있는 조성물로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기호성 평가]
KJB 및 상기 T1 내지 T5의 조성에 따라 차 음료를 제조하고, 10인의 시험자에게 시음하게 한 뒤 향과 맛을 평가하게 하여 1 내지 10의 기호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를 종합하여 평균한 뒤 하기의 [표 9]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 수록 기호도가 우수한 것이다(각 지수는 평균 값에 반올림을 적용하였다).
KJB T1 T2 T3 T4 T5
기호성 3 2 6 6 3 6
(단위: 지수)
상기 기호성 평가 결과를 참조하면, 대부분의 시음자들이 눈개승마 자체와 달리 눈개승마 추출물은 씁쓸하고 강한 향 때문에 전반적인 기호성 평가에서 낮은 평가 점수가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다만, T2 및 T3의 혼합조성에 의하는 경우 전체적으로 달고 달큰한 향과 눈개승마 고유의 향미 중화되어 은은하게 느껴지면서 전체적으로 맛과 향이 우수하게 되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T5를 참조하면 상기 혼합 조성에 의하는 경우 E1 내지 E5의 혼합물이 눈개승마 추출물에 대하여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기 때문에 눈개승마의 유효성분에 따른 활성을 최대한 유지하면서도 기호성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에 의하는 경우 M3에 대한 조성에 있어서도 기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5)

  1. 눈개승마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눈개승마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연꽃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두릅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노니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및 차즈기 추출물 5 내지 1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용매로 추출된 것인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 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 및 학습능력 증진용 식품.
KR1020200154817A 2020-11-18 2020-11-18 눈개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 및 학습능력 개선용 조성물 KR102488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817A KR102488670B1 (ko) 2020-11-18 2020-11-18 눈개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 및 학습능력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817A KR102488670B1 (ko) 2020-11-18 2020-11-18 눈개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 및 학습능력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979A KR20220067979A (ko) 2022-05-25
KR102488670B1 true KR102488670B1 (ko) 2023-01-12

Family

ID=81797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817A KR102488670B1 (ko) 2020-11-18 2020-11-18 눈개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 및 학습능력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67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385B1 (ko) 2003-01-02 2005-11-01 서울향료(주) 용안육, 산조인, 원지 및 백복신의 추출물을 함유한 기억력 증진 및 청소년기 학습능력 개선용 조성물
KR101179766B1 (ko) 2009-06-16 2012-09-04 주식회사 제이비티 녹용을 이용한 기억력 및 학습능력 증진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200027680A (ko) * 2018-09-05 2020-03-1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눈개승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won et al., Chronic Alcohol Exposure Induced Neuroapoptosis: Diminishing Effect of Ethyl Acetate Fraction from Aralia elata. Hindawi Oxidative Medicine and Cellular Longevity. Volume 2019, Article ID 7849876, 15 pages 1부.*
Pachauri et al., Protective effect of fruits of Morinda citrifolia L. on scopolamine induced memory impairment in mice: A behavioral, biochemical and cerebral blood flow study.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12, Vol. 139, pp. 34- 41 1부.*
Park et al., Effect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Extract on Neurodegeneration Improvement: Ameliorating Role in Cognitive Disorder Caused by High-Fat Diet Induced Obesity. Nutrients 2019, 1
Yang et al., Novel effects of Nelumbo nucifera rhizome extract on memory and neurogenesis in the dentate gyrus of the rat hippocampus. Neuroscience Letters. 2008, Vol. 443, pp. 104-107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979A (ko) 202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5560B1 (ko) 도라지추출물 함유 기관지 질환 치료용 식품조성물
KR101411035B1 (ko) 풍미 개선제 및 그것을 함유하는 음식품
Morton Further associations of plant tannins and human cancer
KR101408837B1 (ko) 비타민과 모링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10069022A (ko) 헛개나무 열수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929350B1 (ko) 삼채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001361B1 (ko) 오디즙을 이용한 천연탄산차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488670B1 (ko) 눈개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 및 학습능력 개선용 조성물
KR101524373B1 (ko)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KR100768830B1 (ko) 숙취 해소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개느삼 추출물
KR20130005978A (ko) 무화과를 함유하는 과채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94664B1 (ko) 항산화 기능을 갖는 산수유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67551B1 (ko) 고로쇠 수액을 주재로 한 음료
KR100510253B1 (ko) 항산화, 항관절염 및 항치매 효과를 지니는 기능성 식품조성물
KR102100989B1 (ko) 구절초 및 발효옻을 이용한 이너뷰티 음료의 제조방법
KR20160069530A (ko) 헛개식초분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헛개식초분말
Sarkar et al. Development of health functional wine produced from Emblica officinalis and Phyllanthus niruri and a comparative study of them over commercial wine
KR102217607B1 (ko) 석창포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 허혈 재관류 손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561961B1 (ko) 다양한 천연 식물 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발효 콤부차 개발 및 식품, 의약, 화장품 소재로의 이용
KR20140076258A (ko) 대추를 포함하는 건강음료
KR102552886B1 (ko)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KR102444816B1 (ko) 뽕잎, 오디 및 찹쌀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기능성 쌀 앙금의 제조 방법
KR100848706B1 (ko) 허브를 함유한 니어워터 음료
KR102300293B1 (ko) 항산화활성 및 글루타티온 에스 트랜스퍼라제의 저해활성을 갖는 한방약술 조성물
KR20130031560A (ko) 유효성분으로 헛개나무줄기새순 및 갈화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