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4132A - 식품용 팥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및 팥추출물을 함유하는식품조성물 - Google Patents

식품용 팥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및 팥추출물을 함유하는식품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4132A
KR20020034132A KR1020020019523A KR20020019523A KR20020034132A KR 20020034132 A KR20020034132 A KR 20020034132A KR 1020020019523 A KR1020020019523 A KR 1020020019523A KR 20020019523 A KR20020019523 A KR 20020019523A KR 20020034132 A KR20020034132 A KR 20020034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n extract
red bean
food
drying
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9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석
김육용
류영무
김정식
장덕현
Original Assignee
강헌수
주식회사 엠에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헌수, 주식회사 엠에스씨 filed Critical 강헌수
Priority to KR1020020019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4132A/ko
Publication of KR20020034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413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30Removing undesirable substances, e.g. bitter substances
    • A23L11/33Removing undesirable substances, e.g. bitter substances using enzymes; Enzymatic transformation of pulses or legu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9Dry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72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84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using microorganisms or biological material, e.g.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40Complete food formulations for specific consumer groups or specific purposes, e.g. infant formula

Abstract

본 발명은 팥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팥에 액화효소인 터마밀을 첨가하고 60℃∼110℃에서 열처리하여 팥을 추출시키는 추출공정과; 효소를 첨가하여 30℃∼70℃ 열처리함에 의해 팥추출액을 효소분해시키는 효소분해공정과; 가압여과기 및 여과막으로 여과시키는 여과공정과; 여과된 팥추출물을 저온진공농축기로 농축시키는 농축공정; 그리고, 농축된 농축액을 살균하는 살균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팥추출물 제조방법 및 팥에 액화효소류 및 당화효소류를 첨가하고, 열처리하여 액화,당화시켜 추출된 식품용 팥추출물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액화 및 효소분해공정 등을 통하여 수용화시킨 식품소재로서 가공공정 중 영양소의 파괴를 최소화하고 특이한 풍미를 함유하고 있으며, 정제공정을 통해 불순물을 제거하여 투명한 액상의 농축액 및 분말조성물을 제조하여 식품첨가용으로 사용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식품용 팥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및 팥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조성물{adzuki bean extract for food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 and food composition contained adzuki bean extract}
본 고안은 팥추출 농축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팥(Phaseolus radiatus L.)을 원료로 하여 액화 및 당화과정을 통해 수용화시킨 식품소재로서 가공공정 중 영양소의 파괴를 최소화하고 특이한 풍미를 함유하고 있으며, 정제공정을 통해 불순물을 제거하여 투명한 액상의 농축액을 제조하므로서 음료 뿐만 아니라 식품 등의 여러분야에서 사용가능한 식품용 팥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및 팥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팥(Phaseolus radiatus L.)은 콩과의 일년초 식물로서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가 30∼50㎝이다. 잎은 어긋나며, 긴 엽병이 있고 3출복엽이며 끝은 뾰쪽하고 밑은 둥글다. 엽병의 기부에는 침상의 턱잎이 있고 엽병이나 잎은 뒷면에 개출모(開出毛)가 있다. 꽃은 황색으로 8월에 피며 총상화로서 2∼12개의 꽃이 달린다.열매는 두과(豆科)로서 원주형이며 털이 없고 길이 6∼12㎝로 가운데에 9∼10개의 종자가 들어있다. 종자를 적소두(赤小豆)라고도 하며 팥의 성분은 전분, 단백질, 지방, 무기질 및 비타민류 뿐만 아니라 약리효과 성분인 palmitic acid, stearic acid, cholesterol, lecithine, linoleic acid, delphinidin-monoglucoside, γ-glutamyl peptide, γ-L-glutamyl-L-β-phenyl-β-alanine, soyasapogenol C, methionine, tyrosine, threonine 등이다. 이뇨, 소염완화 및 각기병에 의한 부종등에 효과가 있으며 종자번식을 하는 식물이다.
예로부터 팥은 각기병에 좋으며, 속이 열한것과 소갈을 다스리는 식품으로 알려져 왔다. 명의별록에는 팥은 한열과 속이 열한 것을 다스리며 소명을 이롭게 하고 소갈에도 좋다고 되어 있으며, 약성본초에는 팥은 열독을 다스리고 악혈을 없애며, 비와 위를 튼튼하게 해준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팥에는 비타민 B1이 많이 들어 있는데, 우리의 체내에서 비타민 B1이 부족하게 되면 각기병을 비롯하여 신경, 위장, 심장 등에 여러가지 증세가 나타난다. 특히 비타민 B1은 신경과 갚은 관련이 있으며 이것이 부족하게 되면 식욕부진, 피로감, 수면장애, 기억력감퇴, 신경쇠약등의 증세가 나타난다.
따라서, 팥은 이러한 증세 및 질병의 예방과 퇴치를 위해 아주 좋은 식품이며, 특히 신경을 많이쓰는 근로자나 수험생에게 아주 좋은 식품이다.
그리고 팥은 100g당 열량이 307Cal나 되는 뛰어난 건강식품이며, 단백질이 20.94%, 지방 0.7%, 당질 51.13%, 회분 3.63% 외에 비타민 B1과 사포닌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항암작용을 하며 장을 자극하여 변통을 좋게하며 독소를 체외로 배출하고 해독작용도 할 뿐만 아니라 이뇨작용이 뛰어나 체내의 불필요한 수분을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다이어트 효과도 가진다고 알려져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팥으로 부터 냉수가용성의 투명한 추출액을 추출하는 식품용 팥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음료 등과 같은 액상식품류 등의 소재 뿐만 아니라, 분말화하여 건강보조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의 원료로 이용가능한 팥추출물을 이용한 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또한 목적으로 한다.
도1 -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 팥추출물 및 분말조성물의 제조공정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팥에 액화효소인 터마밀을 첨가하고 60℃∼110℃에서 열처리하여 팥을 추출시키는 추출공정과; 효소를 첨가하여 30℃∼70℃ 열처리함에 의해 팥추출액을 효소분해시키는 효소분해공정과; 가압여과기 및 여과막으로 여과시키는 여과공정과; 여과된 팥추출물을 저온진공농축기로 농축시키는 농축공정; 그리고, 농축된 농축액을 살균하는 살균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품용 팥추출물 제조방법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살균공정후에 열풍건조, 진공건조, 분무건조, 드럼건조, 동결건조 중의 한 방법으로 건조하여 분말화시키는 분말화 공정이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효소분해공정은, 에이엠지, 마이콜라아제, 비스코자임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당화효소와, 단백질 분해효소인 프로테아제와, 펙틴분해효소가 첨가되어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발명은 팥에 액화효소류 및 당화효소류를 첨가하고, 열처리하여 액화,당화시켜 추출된 식품용 팥추출물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액화효소류는 터마밀이 되고, 상기 당화효소류는 에이엠지, 마이콜라아제, 비스코자임 중 1종 이상이 되며, 상기 액화효소류 및 당화효소류 이외에 프로테아제 및 펙틴분해효소가 더 첨가되어 열처리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액화 효소분해공정을 거친 추출물은 열풍건조, 진공건조, 분무건조, 드럼건조, 동결건조 중의 한 방법으로 건조하여 분말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발명은 상기의 식품용 팥추출물 또는 분말조성물이 함유되어 형성되는 팥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조성물을 또한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액화 및 효소분해공정 등을 통하여 수용화시킨 식품소재로서 가공공정 중 영양소의 파괴를 최소화하고 특이한 풍미를 함유하고 있으며, 정제공정을 통해 불순물을 제거하여 투명한 액상의 농축액 및 분말조성물이 제조되어 식품조성물로의 이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 팥추출물 및 분말조성물의 제조공정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 팥추출물의 제조공정은 크게 추출공정과, 효소분해공정과, 여과공정과, 농축공정 그리고 살균공정으로 구성된다.
먼저 추출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추출공정은 적색이 선명하고 팥알맹이의 크기가 균일한 양질의 팥을 선별하여 팥 중량 대비 1내지 20배의 물을 가한다. 그런 다음, 액화효소인 터마밀(termamil)을 상기 물과 팥이 혼합된 혼합액에 혼합시킨다. 여기서 액화효소인 터마밀(termamil)의 첨가비는 팥중량대비 0.01중량%∼10중량%가 혼합된다.
액화효소가 혼합된 상태에서 혼합액의 온도를 60℃∼110℃로 유지한 상태에서 10분 이상 유지시켜 팥알갱이를 액화시킨 후, 팥알갱이를 강제로 파쇄시킨다.
팥알갱이를 파쇄한 후에는 효소분해공정이 진행되는 바, 상기 추출공정이 진행된 혼합액에 에이엠지, 마이콜라아제, 비스코자임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당화효소와, 단백질 분해효소인 프로테아제와, 펙틴분해효소를 첨가하여 상기 혼합액을 당화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당화효소, 프로테아제 및 펩틴분해효소의 첨가량은 팥중량대비 1.5중량%∼10중량%가 첨가된다.
여기서 단백질 분해효소 및 펩틴분해효소의 첨가는 당화과정의 부가적 과정으로 생각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혼합액에 당화효소, 프로테아제 및 펙틴분해효소가 첨가된 상태에서, 혼합액의 온도를 30℃∼70℃로 유지한 상태에서 2∼25시간 유지시키게 되면 팥에 대한 효소분해공정이 진행되어 효소는 분해된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효소를 실활시켜야 하는 바, 약 100℃근처에서 10분정도 상기 혼합액을 열처리 함에 의해 효소를 실활시킨다.
효소가 실활되면 혼합액에 대한 여과공정이 진행되는 바, 퍼라이트 및 규조토 등과 같은 여과보조재가 사용된 가압여과기를 이용하여 1차 가압여과 시킨다.
그런 다음, 이를 다시 0.45㎛ 여과막으로 2차 정밀여과를 함에 의해 불순물 및 침전물을 제거하는 여과공정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여과공정을 거침에 의해 완성된 팥추출물은 넓은 pH 영역에서도 침전물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하여 저장성이 향상되게 된다.
여과공정이 완료되면 농축공정이 진행되는 바, 상기 농축공정은 연속식 저온진공농축기를 이용하여 고형분의 함량이 20%∼50%까 될때 까지 농축시키게 되며, 농축과정을 통해 팥에 함유된 영양성분 및 향기성분은 최대한 유지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농축공정은 일반적인 공정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농축공정이 완료되면 살균공정이 진행되는 바, 상기 농축공정을 거친 농축액을 순간살균기를 이용하여 순간살균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살균공정 또한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액상의 팥추출 농축액이 제조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액상의 농축액을 분말화시켜 사용하여도 된다.
분말화공정은 열풍건조, 진공건조, 분무건조, 드럼건조, 동결건조 중의 한 방법으로 건조하여 분말화시키는 방법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팥추출농축액은 정선된 팥을 원료로 하여 충분히 자숙시켜 효소분해후에 가압여과기와 정밀여과기로 여과하여 투명한 액을 제조하고 이를 보관과 수송이 용이하도록 저온농축하여 팥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성분 및 향기성분을 최대한 살려 팥의 고유한 특성을 유지하고 미산성 및 중성 등의 pH 영역에서도저온살균과 PET용기에 충진이 가능하다.
그리고 고형물인 곡류 중 팥을 이용하여 액상화하고 넓은 pH 영역에서도 침전물이 발생하지 않는 투명한 팥추출농축액을 제조하므로서 여러 식품 분야에 응용 가능하고 특히, 새로운 개념의 팥을 이용한 곡류음료개발의 시발점이 될 것이며, 팥의 영양을 그대로 보존하여 노약자 및 환자를 위한 건강식, 유아를 위한 액상 이유식, 직장인 및 학생들을 위한 간편식 등의 여러 가지의 새로운 개념의 가공식품류 등에 사용과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1 >
선별된 팥 1.0kg을 물로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기에 정제수를 팥중량대비로 10배 정도 가하여 비등점 이상으로 자숙시킨다. 여기에 터마밀 3.5중량%(35g)을 가하여 60∼105℃에서 10분 이상 액화하여 추출한 후에 팥알맹이를 강제로 파쇄시킨다.
여기에 당화효소인 에이엠지를 팥중량의 3.5중량%(35g), 프로테아제인 뉴트라제를 팥중량의 1.5중량%(15g), 펙틴분해효소인 라피다제를 팥중량의 2.5중량%(25g) 정도 혼합 사용하여 70℃에서 10시간 정도 효소분해시키고 98℃에서 10분간 가열하여 효소를 실활시킨다.
실활후에 퍼라이트 및 규조토 등과 같은 여과보조제를 사용하여 1차 가압여과하고 이를 다시 0.45㎛ 여과막으로 2차 정밀여과하여 불순물 및 침전물을 제거하여 투명한 액상추출물을 얻는다.
저온농축기로 원하는 고형분농도까지 농축하고 순간살균하여 액상의 팥추출농축물을 제조하고, 팥추출물을 열풍건조, 진공건조, 분무건조, 드럼건조 및 동결건조 등의 1종의 방법으로 건조하여 분말화하여 건조물 약 102g을 얻었다.
< 실시예 2 >
선별된 팥 1.0kg을 물로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기에 정제수를 팥중량대비로 12배 정도 가하여 비등점 이상으로 자숙시킨다. 여기에 터마밀 1.0중량%(10g)를 가하여 60∼105℃에서 250분 이상 액화하여 추출한 후에 팥알맹이를 강제로 파쇄시킨다.
여기에 당화효소인 에이엠지와 마이콜라아제를 각각 팥중량의 3.0중량%(30g), 프로테아제인 알카라제를 팥중량의 3.0중량%(30g), 펙틴분해효소인 셀루라제를 팥중량의 2.5중량%(25g) 정도 혼합 사용하여 65℃에서 15시간 정도 효소분해하고 98℃에서 10분간 가열하여 효소를 실활시킨다.
실활후에 퍼라이트 및 규조토 등과 같은 여과보조제를 사용하여 1차 가압여과하고 이를 다시 0.45㎛ 여과막으로 2차 정밀여과하여 불순물 및 침전물을 제거하여 투명한 액상추출물을 얻는다.
저온농축기로 원하는 고형분농도까지 농축하고 순간살균하여 액상의 팥추출농축물을 제조하고, 팥추출물을 열풍건조, 진공건조, 분무건조, 드럼건조 및 동결건조 등의 1종의 방법으로 건조하여 분말화하여 건조물 약 98g을 얻었다.
< 실시예 3 >
선별된 팥 1.0kg을 물로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기에 정제수를 팥중량대비로 15배 정도 가하여 비등점 이상으로 자숙시킨다. 여기에 터마밀 2.1중량%(21g)를 가하여 100℃에서 30분 이상 액화하여 추출한 후에 팥알맹이를 강제로 파쇄시킨다.
여기에 당화효소인 에이엠지와 비스코자임류를 각각 팥중량의 3.1중량%(31g), 프로테아제인 알카라제와 뉴트라제를 각각 팥중량의 2.1중량%(21g), 펙틴분해효소인 라피다제와 셀루라제를 각각 팥중량의 1.1중량%(11g) 정도 혼합 사용하여 60℃에서 18시간 정도 효소분해하고 98℃에서 10분간 가열하여 효소를 실활시킨다.
실활후에 퍼라이트 및 규조토 등과 같은 여과보조제를 사용하여 1차 가압여과하고 이를 다시 0.45㎛ 여과막으로 2차 정밀여과하여 불순물 및 침전물을 제거하여 투명한 액상추출물을 얻는다.
저온농축기로 원하는 고형분농도까지 농축하고 순간살균하여 액상의 팥추출농축물을 제조하고, 팥추출물을 열풍건조, 진공건조, 분무건조, 드럼건조 및 동결건조 등의 1종의 방법으로 건조하여 분말화하여 건조물 약 101g을 얻었다.
< 실시예 4 >
선별된 팥 1.0kg을 물로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기에 정제수를 팥중량대비로 9배 정도 가하여 비등점 이상으로 자숙시킨다. 여기에 터마밀 1.7중량%(17g)를 가하여 90℃에서 40분 이상 액화하여 추출한 후에 팥알맹이를 강제로 파쇄시킨다.
여기에 당화효소인 마이콜라아제와 비스코자임를 각각 팥중량의2.3중량%(23g), 프로테아제인 뉴트라제를 팥중량의 3.3중량%(33g), 펙틴분해효소인 라피다제를 팥중량의 1.8중량%(18g) 정도 혼합 사용하여 55℃에서 17시간 정도 효소분해하고 98℃에서 10분간 가열하여 효소를 실활시킨다.
실활후에 퍼라이트 및 규조토 등과 같은 여과보조제를 사용하여 1차 가압여과하고 이를 다시 0.45㎛ 여과막으로 2차 정밀여과하여 불순물 및 침전물을 제거하여 투명한 액상추출물을 얻는다.
저온농축기로 원하는 고형분농도까지 농축하고 순간살균하여 액상의 팥추출농축물을 제조하고, 팥추출물을 열풍건조, 진공건조, 분무건조, 드럼건조 및 동결건조 등의 1종의 방법으로 건조하여 분말화하여 건조물 약 103g을 얻었다.
< 실시예 5 >
선별된 팥 1.0kg을 물로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기에 정제수를 팥중량대비로 18배 정도 가하여 비등점 이상으로 자숙시킨다. 여기에 터마밀 0.9중량%(9g)를 가하여 95℃에서 50분 이상 액화하여 추출한 후에 팥알맹이를 강제로 파쇄시킨다.
여기에 당화효소인 에이엠지, 마이콜라아제 및 비스코자임을 각각 팥중량의 1.7중량%(17g), 프로테아제인 알카라제를 팥중량의 2.7중량%(27g), 펙틴분해효소인 셀루라제를 팥중량의 2.7중량%(27g) 정도 혼합 사용하여 50℃에서 20시간 정도 효소분해하고 98℃에서 10분간 가열하여 효소를 실활시킨다.
실활후에 퍼라이트 및 규조토 등과 같은 여과보조제를 사용하여 1차 가압여과하고 이를 다시 0.45㎛ 여과막으로 2차 정밀여과하여 불순물 및 침전물을 제거시켜 투명한 액상추출물을 얻는다.
저온농축기로 원하는 고형분농도까지 농축하고 순간살균하여 액상의 팥추출농축물을 제조하고, 팥추출물을 열풍건조, 진공건조, 분무건조, 드럼건조 및 동결건조 등의 1종의 방법으로 건조하여 분말화하여 건조물 약 97g을 얻었다.
상기의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팥추출농축물의 물성을 알아보기 위해 여러가지 실험을 하였는 바, 이화학적 특성 비교 결과는 표1에, 중성음료의 제조시에 침전물 생성여부를 관능검사로 평가한 결과를 표2에, 그리고 장기 저장시에 침전물의 생성여부와 풍미 및 식감의 변화를 표3에 상세하게 나타낸다.
표1은 본 발명에 따른 팥추출농축액의 이화학적 특성비교표이다.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추출물은 진한갈색을 나타냄을 알 수 있으며, 투명도는 5가지 실시예에 대해 모두 양호하며, 이미나 이치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팥농축액의 중성음료제조시에 침전물의 생성여부를표2에 나타내었는 바, 실시예 1∼5에서 조제한 팥농축액을 사용하여 각 고형분 농도가 10.0중량%가 되도록 희석한 후, 그 희석액을 100ml의 메스실린더에 취하여 10℃로 정치하고, 침전에 의해 생기는 투명부분과 상단부분 계면 높이의 경시변화, 침전물량의 경시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음료 등과 같은 액상 식품소재로서의 적합여부를 판단하였다. 메스실린더에 새겨진 ml 단위 표시를 읽어 그 결과를 하기 5단계의 표시에 의해 표 2에 나타낸다.
여기서,
(계면의 높이)
계면이 거의 98이상 100ml임 ------------5
계면이 95이상 98미만 -----------------4
계면이 90이상 95미만 -----------------3
계면이 50이상 90미만 -----------------2
계면이 50미만 -----------------------1
(침전물량)
침전이 확인되지 않음 ------------------5
약간 침전이 확인됨 -------------------4
0.5mm미만 정도의 침전이 있음 ----------3
0.5mm이상 2.0mm미만의 침전이 있음 -----2
2.0mm이상의 침전이 있음 --------------1
를 나타낸다.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계면이 거의 변하지 않고, 침전물도 거의 생성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농축액을 이용하여 중성음료를 제조한 후 장기저장 시에 침전물의 생성여부와 풍미 및 식감의 변화를 표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5에서 조제한 팥농축액을 사용하여 각 고형분 농도가 10.0중량%가 되도록 희석한 후, 눈금이 새겨진 시험용 유리병에 200ml씩 취하여 마개로 캡핑하고 75℃에서 15분간 살균 후 중성음료를 얻었다. 그 중성음료를 5℃로 보존하면서 정기적으로 중성음료 시료를 취하여 내용물을 조용히 폐기하고, 유리병 저부에 잔존해 있는 침전물량의 경시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4단계 표시로 표3에 나타내었다. 또, 그 중성음료를 남녀 각 10명에 의해 이루어진 관능시험을 행하여 풍미와 식감에 관하여 각각 4단계 판정을 하여 그 평균치를 표3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침전물량)
침전이 확인되지 않음 ------------------4
약간 침전이 관찰됨 -------------------3
다소 침전이 관찰됨 -------------------2
상당한 침전이 관찰됨 ------------------1
(풍미)
풍미가 양호함 -----------------------4
풍미가 약간 이상함 -------------------3
풍미가 다소 나쁨(약간의 불쾌감) ---------2
풍미가 상당히 나쁨(상당한 불쾌감) --------1
(식감)
식감이 매우 양호함 -------------------4
점도가 다소 높고 조금 깔끔거림 ----------3
점도가 상당히 높고 매우 깔끔거림 --------2
식감이 상당히 나쁨(매우 깔끔거림) --------1
를 나타낸다.
상기표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중성음료에서 상당한 시간이 경과되어도 침전이 일어나지 않으며, 풍미 및 식감의 변화가 전혀 발생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고형물인 곡류 중 팥을 이용하여 액상화하고 넓은 pH 영역에서도 침전물이 발생하지 않는 투명한 팥추출농축액이 제조된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팥추출농축액 및 그 분말상의 제품은 여러 식품 분야에 응용 가능하고 특히, 팥의 영양을 그대로 보존하여 노약자 및 환자를 위한 건강식, 유아를 위한 액상이유식, 직장인 및 학생들을 위한 간편식 등의 여러 가지의 새로운 개념의 가공식품류 등에 사용과 응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말상의 제품은 관능평가를 통하여 풍미 및 식감에 있어서 극히 우수하여 pH와 관계없이 중성 및 산성 영역에서도 장기간의 보존안정성이 상당히 양호하며, 식품용 뿐만 아니라 의약품, 화장품 및 생활용품 등의 원료로 사용가능하다는 효과가 또한 있다.

Claims (9)

  1. 팥에 액화효소인 터마밀을 첨가하고 60℃∼110℃에서 열처리하여 팥을 추출시키는 추출공정과;
    효소를 첨가하여 30℃∼70℃ 열처리함에 의해 팥추출액을 효소분해시키는 효소분해공정과;
    가압여과기 및 여과막으로 여과시키는 여과공정과;
    여과된 팥추출물을 저온진공농축기로 농축시키는 농축공정; 그리고,
    농축된 농축액을 살균하는 살균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팥추출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공정후에 열풍건조, 진공건조, 분무건조, 드럼건조, 동결건조 중의 한 방법으로 건조하여 분말화시키는 분말화 공정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팥추출물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분해공정은,
    에이엠지, 마이콜라아제, 비스코자임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당화효소와, 단백질 분해효소인 프로테아제와, 펙틴분해효소가 첨가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팥추출물 제조방법.
  4. 팥에 액화효소류 및 당화효소류를 첨가하고, 열처리하여 액화,당화시켜 추출된 식품용 팥추출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효소류는 터마밀이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팥추출물.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당화효소류는 에이엠지, 마이콜라아제, 비스코자임 중 1종 이상이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팥추출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효소류 및 당화효소류 이외에 프로테아제 및 펙틴분해효소가 첨가되어 열처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팥추출물.
  8. 제4항에 있어서, 액화, 효소분해공정을 거친 추출물은 열풍건조, 진공건조, 분무건조, 드럼건조, 동결건조 중의 한 방법으로 건조하여 분말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팥추출물.
  9. 제1항, 제4항,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의 식품용 팥추출물 또는 분말조성물이 함유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팥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조성물.
KR1020020019523A 2002-04-10 2002-04-10 식품용 팥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및 팥추출물을 함유하는식품조성물 KR200200341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523A KR20020034132A (ko) 2002-04-10 2002-04-10 식품용 팥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및 팥추출물을 함유하는식품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523A KR20020034132A (ko) 2002-04-10 2002-04-10 식품용 팥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및 팥추출물을 함유하는식품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132A true KR20020034132A (ko) 2002-05-08

Family

ID=19720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9523A KR20020034132A (ko) 2002-04-10 2002-04-10 식품용 팥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및 팥추출물을 함유하는식품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413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061B1 (ko) * 2011-04-13 2013-02-04 박정아 팥가루의 제조방법
CN114271363A (zh) * 2021-12-31 2022-04-05 武汉自然萃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红豆薏米小分子果茶及其制备方法
CN114752644A (zh) * 2022-05-31 2022-07-15 北京工商大学 一种具有抗氧化作用的赤小豆多肽的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8044A (ja) * 1984-03-07 1985-09-25 Osaka Chem Lab 抗肥満食品
KR19980085889A (ko) * 1997-05-30 1998-12-05 김태수 동과, 팥, 다엽 및 상지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조절용 건강식품
JP2001178409A (ja) * 1999-12-24 2001-07-03 Rasheru Seiyaku Kk アズキエキス含有健康補助食品
KR20020044535A (ko) * 2000-12-05 2002-06-15 가부시끼가이샤 엔도세이안 팥을 원료로 하는 건강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30072039A (ko) * 2002-03-05 2003-09-13 웅진식품주식회사 팥 음료용 조성물 및 팥 음료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8044A (ja) * 1984-03-07 1985-09-25 Osaka Chem Lab 抗肥満食品
KR19980085889A (ko) * 1997-05-30 1998-12-05 김태수 동과, 팥, 다엽 및 상지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조절용 건강식품
JP2001178409A (ja) * 1999-12-24 2001-07-03 Rasheru Seiyaku Kk アズキエキス含有健康補助食品
KR20020044535A (ko) * 2000-12-05 2002-06-15 가부시끼가이샤 엔도세이안 팥을 원료로 하는 건강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30072039A (ko) * 2002-03-05 2003-09-13 웅진식품주식회사 팥 음료용 조성물 및 팥 음료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061B1 (ko) * 2011-04-13 2013-02-04 박정아 팥가루의 제조방법
CN114271363A (zh) * 2021-12-31 2022-04-05 武汉自然萃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红豆薏米小分子果茶及其制备方法
CN114752644A (zh) * 2022-05-31 2022-07-15 北京工商大学 一种具有抗氧化作用的赤小豆多肽的制备方法
CN114752644B (zh) * 2022-05-31 2024-02-13 北京工商大学 一种具有抗氧化作用的赤小豆多肽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57192B (zh) 木瓜清酒及其生产方法
CN101507459B (zh) 一种橄榄速溶茶及其制备方法
KR101541516B1 (ko) 누에와 뽕나무잎과 상지(桑枝)를 주원료로한 이온미네랄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CN101238904B (zh) 一种鹰嘴豆豆芽汁茶及制备方法和用途
CN103387899B (zh) 一种红茶酒及其制造方法
CN110897147A (zh) 铁皮石斛解酒保肝组合物和制法
CN104256783A (zh) 一种山药枣杞饮料及其制备方法
CN104911057A (zh) 一种咖啡芡实保健酒的生产方法
CN106754148A (zh) 一种露酒、制备方法及其在制备补肾保健品或药剂的应用
KR20210063657A (ko) 헛개나무 추출물 및 백년초 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CN105942070A (zh) 一种石斛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CN102429302A (zh) 一种含有银杏的保健饮料
KR101834638B1 (ko) 대추를 주원료로 하는 기능성 다식 제조방법
KR20020034132A (ko) 식품용 팥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및 팥추출물을 함유하는식품조성물
KR100442683B1 (ko) 항암 및 항균 효과를 가진 쇠비름 음료
CN105199917B (zh) 青梅青稞酒及其酿制方法
CN105876557A (zh) 一种葛根护肝饮料及其制作方法
KR0164840B1 (ko) 쑥 음료 베이스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KR100481018B1 (ko) 오리지육, 한약재, 배 및 찹쌀을 이용한 오리 증탕액의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리 증탕액
CN109938133A (zh) 一种牛大力绿茶饮料及其制备方法
CN105380267B (zh) 一种功能食品及其制备方法
KR101701809B1 (ko) 흑마늘 함유 홍삼 유음료 및 그 제조방법
CN103734589A (zh) 苦荞饮料的制备方法
CN115530276B (zh) 一种健脾植物饮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651346B1 (ko) 식물성 멜라토닌 분비를 통한 스트레스 진정 및 수면 장애 개선용 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