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4091A - 고온고압처리에 의한 인진쑥으로부터 시나린 성분 고함유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고온고압처리에 의한 인진쑥으로부터 시나린 성분 고함유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4091A
KR20210074091A KR1020190165114A KR20190165114A KR20210074091A KR 20210074091 A KR20210074091 A KR 20210074091A KR 1020190165114 A KR1020190165114 A KR 1020190165114A KR 20190165114 A KR20190165114 A KR 20190165114A KR 20210074091 A KR20210074091 A KR 20210074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ontent
acid
pressure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9260B1 (ko
Inventor
이상훈
김정봉
최용민
박진주
장환희
김헌웅
이민기
이선혜
이성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90165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260B1/ko
Publication of KR20210074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30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의 인진쑥으로부터 시나린 성분 고함유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고온고압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군에서 나타나지 않았고, 단순한 열처리만 한 대조군에서는 낮은 함량으로 검출된 시나린(cynarin)의 함량이 고온고압의 전처리 후 초음파 추출을 하여 얻은 인진쑥 추출물에서 현저하게 증가하는 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통해 시나린 함량이 높은 인진쑥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온고압처리에 의한 인진쑥으로부터 시나린 성분 고함유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Method for preparing high cynarin extract from Artemisia capillaris by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reatment}
본 발명은 고온고압처리에 의한 인진쑥으로부터 시나린 성분 고함유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화과(Compositae) 쑥속(Artemisia)에 속하는 쑥은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의 제조 원료로 폭넓게 이용되고 있으며, 한국을 비롯하여 중국, 일본 등 아시아 및 유럽 등에 분포하고 번식력이 강한 다년생 초본으로 약 400여종의 국화과 식물 중 30여종이 우리나라에 생육하고 있다.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Thunb)은 일명 사철쑥, 더위지기, 비쑥이라고도 하며 생약명으로는 인진호, 인진, 추호라고도 불린다.
인진쑥의 성분은 생쑥에서 수분 814%, 단백질 52%, 지질 08%, 당질 405%, 섬유질 37%, 회분 27%와 정유성분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녹엽 내 필수 지방산을 많이 함유하여 영양학적으로 매우 우수하며 무기질 중 칼슘과 칼륨의 함량이 높아 알칼리성 식품으로 알려져 있고, 산채류 중에서 비타민 A와 C의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진쑥은 잎과 줄기의 약효가 우수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식용과 한방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한방에서 인진쑥은 지혈, 해열, 소염, 진통, 이뇨, 혈압강하의 효능이 있고 변비, 소화불량, 천식, 부인병, 신경통, 급성 및 만성간염, 황달, 지방간 및 간 기능 개선의 목적으로 많이 이용되어 왔다.
인진쑥의 주요 약리성분 중 스코파론(scoparone; 6,7-dimethylesculetin)과 카필라리신(capillarisin)은 담즙을 촉진시켜 간 기능 개선에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함유율은 부위와 계절에 따라 다른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인진쑥의 전초에는 정유를 약 027~05% 정도 함유하는데 그 성분은 시네올(cineole), p-사이멘(p-cymene), β-미르센(β-myrcene), 캄펜(camphene), 투욘(thujone), 캄퍼(camphor), 보르네올(borneol), 무롤렌(muurolene), 세스퀴테르펜(sesquiterpene), 콜린(choline), β-피넨(β-pinene), 카필린(capillin), 카필론(capillone), 카필라린(capillarin) 등이 있다. 쿠마린계 화합물로는 에스쿨레틴-6-메틸에테르(esculetin-6-methyl ether), 에스쿨레틴-7-메틸에테르(esculetin-7-methylether)를, 크모론류에 카필라리신(capillarisin), 4′-메틸 카필라리신(4′-methyl capillarisin)을, 플라보노이드로서는 시르시리놀(cirsilinol), 시르시마리틴(cirsimaritin) 등이 있으며 지방산은 스테아르산(stear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올레산(oleic acid), 리놀레산(linoleic acid), 아라키드산(arachidic acid) 및 몬탄산(montanic acid) 등을 함유하고 있다. 또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카페산(caffeic acid) 등의 페놀성 화합물도 함유한다. 종자에는 스코파론 및 KCl을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진쑥에 대한 연구로는 항산화 작용, 간 보호 효과, 항염증 및 진통 효과, 항진균 활성, 담즙분비 효과, 당대사 개선 효과, 과산화지질에 대한 효과, 충치억제 효과, 항돌연변이효과, 항암 효과, 혈압강하 작용, 당뇨병 및 고혈당증의 치료 등이 보고되어 있다. 주로 약용으로 많이 쓰이고 있는 인진쑥은 전국에 널리 분포되어 있고 쉽게 채취할 수 있기 때문에 인진쑥의 이용도를 넓히는 것은 자원 효율성을 높이는 좋은 방법이기도 하다.
한편, 시나린(cynarin)은 아티초크의 잎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진 화합물으로, 간을 좋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간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된다. 더불어 시나린은 담즙의 분비를 촉진해 소화 기능을 돕고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 고혈압, 동맥경화와 같은 혈관 질환을 예방하는 데도 효능이 있다. 또한, 시나린은 항산화 작용을 통해 유방암이나 전립선암 및 백혈병의 예방에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한다고 알려져 있다.
인진쑥의 추출방법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37240호에는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의 지상부 건조물을 분쇄하여 증류수를 첨가한 후, 120℃의 가압멸균기에서 3시간 열수로 추출하여 수용성 성분을 최대한 회수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J Korean Soc Food Sci Nutr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3(5), 741~748(2014) 문헌에는 추출 방법에 따른 클로로젠산(Chlorogenic acid) 함량 변화, 카페산(Caffeic acid) 함량 변화, 쿠마린산(Coumaric acid) 함량 변화, 바닐린(4-hydroxy-3-methoxybenzaldehyde) 함량 변화와 함께 인진쑥 최적 추출조건 범위를 추출온도 85~90°C, 추출시간 3~4시간 및 에탄올 농도 40~50%임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인진쑥으로부터 시나린 성분 고함유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진쑥의 유효성분 추출방법에 대해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의 고온고압 처리하여 초음파 추출법에 의해 추출한 인진쑥 추출물에서 무처리군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시나린(cynarin)의 함량이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의 목적은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을 고온고압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나린(cynarin)함량이 증진된 인진쑥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의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시나린 함량이 증진된 인진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의 목적은 1)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을 고온고압 처리하는 단계; 및 2) 상기 고온고압 처리한 인진쑥을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나린 함량이 증진된 인진쑥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의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시나린 함량이 증진된 인진쑥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을 고온고압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나린(cynarin)함량이 증진된 인진쑥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시나린 함량이 증진된 인진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1)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을 고온고압 처리하는 단계; 및 2) 상기 고온고압 처리한 인진쑥을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나린 함량이 증진된 인진쑥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시나린 함량이 증진된 인진쑥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인진쑥으로부터 시나린 성분 고함유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고온고압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군에서 나타나지 않았고, 단순한 열처리만 한 대조군에서는 낮은 함량으로 검출된 시나린(cynarin)의 함량이 고온고압의 전처리 후 초음파 추출을 하여 얻은 인진쑥 추출물에서 현저하게 증가하는 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통해 시나린 함량이 높은 인진쑥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무처리군인 인진쑥 생엽을 단순히 데친 대조군과 본 발명의 고온고압 처리 조건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무처리군인 인진쑥 생엽과 고온고압 처리군의 액체크로마토그래피 결과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질량분석 자료를 이용한 주요 페놀산의 동정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시나린 표준품과 인진쑥으로부터 동정된 시나린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을 고온고압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나린(cynarin)함량이 증진된 인진쑥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인진쑥은 줄기와 생엽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생엽일 수 있다.
상기 인진쑥은 생인진쑥, 건조인진쑥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생인진쑥일 수 있다.
상기 고온 처리는 100 내지 160 ℃, 110 내지 150 ℃, 120 내지 140 ℃, 또는 125 내지 135 ℃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고압 처리는 10 내지 30 MPa, 13 내지 27 MPa, 15 내지 25 MPa 또는 18 내지 22 MPa 압력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고온고압 처리는 5 내지 360분, 30 내지 330분, 60 내지 300분 또는 80 내지 25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시나린(cynarin)"은 아티초크의 잎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진 화합물으로, 간을 좋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간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된다. 더불어 시나린은 담즙의 분비를 촉진해 소화 기능을 돕고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 고혈압, 동매경화와 같은 혈관 질환을 예방하는 데도 효능이 있다. 또한, 시나린은 항산화 작용을 통해 유방암이나 전립선암 및 백혈병의 예방에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시나린의 IUPAC 이름은 (1R,3R,4S,5R)-1,3-Bis[[(E)-3-(3,4-dihydroxyphenyl)prop-2-enoyl]oxy]-4,5-dihydroxycyclohexane-1-carboxylic acid이고, 1,3-O-Dicaffeoylquinic acid, Cinarin 또는 Cinarine 등의 동의어를 가지며, 516.4 g/mol의 분자량을 가진다.
상기 시나린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진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원재료인 인진쑥 자체의 시나린(cynarin) 함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고온고압 전처리 조건을 확립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진쑥의 생엽에 압력은 20 MPa 에서 2시간으로, 온도는 130 ℃에서 전처리한 경우, 인진쑥의 생엽을 이용한 무처리군 또는 단순 열처리 대조군 대비 높은 함량의 페놀산과 시나린을 함유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내지 도 4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시나린 함량이 증진된 인진쑥을 제조하는 방법은 시나린을 유효성분으로 활용하는 건강기능식품이나 이들과 관련된 식의약소재 품질관리, 식품가공 기준 마련 및 기능성표시제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시나린 함량이 증진된 인진쑥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인진쑥, 고온 처리 온도, 고압 처리 압력, 고온고압 처리 시간에 관한 설명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다. 일례로, 상기 제조방법은 인진쑥 생엽을 이용하여, 100 내지 160 ℃ 온도에서, 10 내지 30 MPa 압력으로, 5 내지 360분 동안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원재료인 인진쑥 자체의 시나린(cynarin) 함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고온고압 전처리 조건을 확립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진쑥의 생엽에 압력은 20 MPa 에서 2시간으로, 온도는 130 ℃에서 전처리한 경우, 인진쑥의 생엽을 이용한 무처리군 또는 단순 열처리 대조군 대비 높은 함량의 페놀산과 시나린을 함유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내지 도 4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시나린 함량이 증진된 인진쑥은 시나린을 유효성분으로 활용하는 건강기능식품이나 이들과 관련된 식의약소재 품질관리, 식품가공 기준 마련 및 기능성표시제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1)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을 고온고압 처리하는 단계; 및 2) 상기 고온고압 처리한 인진쑥을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나린 함량이 증진된 인진쑥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1) 단계의 인진쑥, 고온 처리 온도, 고압 처리 압력, 고온고압 처리 시간에 관한 설명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다. 일례로, 상기 제조방법의 1) 단계는 인진쑥 생엽을 이용하여, 100 내지 160 ℃ 온도에서, 10 내지 30 MPa 압력으로, 5 내지 360분 동안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2) 단계의 추출 단계에 있어서, 추출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개미산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C1 내지 C2의 저급 알코올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 또는 메탄올일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메탄올일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메탄올: 물: 개미산의 중량비가 80: 15: 5인 추출용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추출용매는 추출에 사용되는 인진쑥의 중량 1 g당 1 내지 50mL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고, 1 g당 3 내지 25mL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고, 1 g당 5 내지 15mL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인진쑥의 중량 1 g당 10mL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은 진탕추출, 초음파추출, Soxhlet 추출 또는 환류추출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진탕 추출일 수 있다. 이때, 추출 시간은 1 내지 120분 또는 10 내지 60분 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30분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1 내지 5회, 구체적으로 1회 반복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원재료인 인진쑥 자체의 시나린(cynarin) 함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고온고압 전처리 조건을 확립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진쑥의 생엽에 압력은 20 MPa 에서 2시간으로, 온도는 130 ℃에서 전처리하고 이를 동결건조 후 분쇄하여 메탄올: 물: 개미산의 중량비가 80: 15: 5인 추출용매를 가한 후 30분간 진탕추출하여 페놀산과 시나린 함량을 분석한 결과, 인진쑥의 생엽을 이용한 무처리군 또는 단순 열처리 대조군 대비 높은 함량의 페놀산과 시나린을 함유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내지 도 4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시나린이 증진된 인진쑥으로부터 추출된 인진쑥 추출물은 시나린을 유효성분으로 활용하는 건강기능식품이나 이들과 관련된 식의약소재 품질관리, 식품가공 기준 마련 및 기능성표시제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시나린 함량이 증진된 인진쑥 추출물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의 고온고압 처리하는 단계에서 인진쑥, 고온 처리 온도, 고압 처리 압력, 고온고압 처리 시간에 관한 설명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의 추출 단계에서 추출방법, 추출용매, 추출시간에 관한 설명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후술하는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일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고온고압 전처리 과정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인진쑥은 강화도에서 입수된 인진쑥을 사용하였다. 상기 인진쑥을 줄기와 잎을 분리하여 흐르는 물에 2회 세척하고, 야채탈수기를 이용하여 1분간 탈수과정을 거친 후 각 잎을 10cm 이하로 세절하였다. 세절한 인진쑥을 고압처리기(초고압액화처리장치, (주)캠리시스)를 사용하여 압력은 20 MPa에서 2시간으로, 온도는 130 ℃에서 처리하여 시료를 준비하였다.
<비교예 1> 인진쑥 생엽을 이용한 무처리군
상기 <실시예 1>에서 10cm 이하로 세절한 인진쑥을 250μm이하로 분쇄하여 성분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인진쑥 단순 열처리 대조군
상기 <실시예1>에서 10cm 이하로 세절한 인진쑥을 95 ℃에서 2분 동안 처리하여 대조군 시료를 준비하였다.
<실시예 2> 인진쑥 추출물 및 분석용 시료 제조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준비된 시료를 각각 동결하고, 동결된 인진쑥 잎을 동결건조기에 넣고 약 100시간 건조하였다. 그런 다음, 믹서기를 이용하여 고르게 분쇄하고 250 μm 표준체에 내렸다. 분말시료 1 g에 메탄올: 물: 개미산의 중량비가 80: 15: 5인 추출용매 10 mL를 가한 후 30분간 진탕추출을 수행하였다. 진탕 추출하여 추출된 추출물을 원심분리하고, 이를 여과 및 고체상추출법으로 정제하여 분석용 시료를 제조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페놀산 함량 변화 확인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어진 무처리군인 인진쑥 생엽, 단순 열처리를 한 대조군, 고온고압 전처리를 거친 인진쑥 추출물 시료를 이용하여 하기 표 1과 표 2의 분석조건에 의해 액체크로마토그래피 Waters ACQUITY UPLCTM(Waters, USA)와 질량분석기 Xevo G2-STM (Waters, USA)를 이용하여 성분분석을 실시하고, 그 분석 결과를 하기 표 3과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UPLC 시스템 Waters ACQUITY UPLCTM system(Waters, USA)
검출기 210-400 nm (Representative wavelength 320 nm)
컬럼 CORTECS UPLC T3 (150×2.1 mm, i.d., 1.6 um, Waters)
이동상 A: 0.5% formic acid in water (V/V,%)
B: 0.5% formic acid in acetonitrile (V/V,%)
기울기 시간(분) A(%) B(%)
0-4 98 2
4-8 96 4
8-20 93 7
20-32 89 11
32-55 85 15
55-75 75 25
75-77 75 25
77-85 50 50
85-87 50 50
87-90 10 90
90-92 10 90
92-95 98 2
95-100 98 2
분석유량(mL/min) 0.35
MS 기기 Xevo G2-STM Mass Spectrometry (Waters)
Capillary voltage 3.5 kV
Sampling cone voltage 40 V
Extraction cone voltage 4 V
Ion source temp. 120oC
Desolvation temp. 500oC
Desolvation gas 1020 L/hr
Cone gas 50 L/hr
Mass Scanning rage 50-1000 m/z
페놀산명 페놀산 함량 (mg/100 g, DW)
무처리 열처리
(95℃, 2분)
고온고압처리
(130℃, 20 MPa, 2시간)
3-O-caffeoylquinic acid
(neochlorogenic acid)
213.2 ±3.1 121.8 ±15.6 308.8 ±31.0
caffeic acid - - 18.2 ±0.8
3-O-feruloylquinic acid - - 8.3 ±0.2
4-O-caffeoylquinic acid
(cryptochlorogenic acid)
94.9 ±1.2 120.5 ±2.6 407.9 ±20.3
1,3-di-O-caffeoylquinic acid
(cynarin)
- 14.7 ±0.1 231.2 ±7.9
3,4-di-O-caffeoylquinic acid
(isochlorogenic acid B)
352.2 ±4.2 318.4 ±2.5 465.4 ±7.1
4,5-di-O-caffeoylquinic acid
(isochlorogenic acid C)
398.2 ±4.6 379.8 ±2.6 457.5 ±6.8
합계 1058.4 ±12.8 955.3 ±14.3 1897.2 ±71.6
그 결과, 표 3과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무처리군인 인진쑥 생엽을 이용하여 초음파 추출한 추출물에서는 건조분말 100g 기준 총 1058.4mg의 페놀산이 함유되어 있는 반면, 2분동안 95 ℃ 단순 열처리 대조군에서는 건조분말 100g 기준 955.3mg의 페놀산을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온고압 처리군은 총 1897.2mg의 페놀산을 함유한 것으로 나타나 무처리군이나 열처리 대조군에 비해 페놀산 함량이 약 2배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네오클로로겐산(neochlorogenic acid)의 경우 그 함량이 무처리군, 열처리 대조군, 고온고압 처리군에서 각각 213.2mg, 121.8mg, 308.8mg으로 고온고압 처리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카페산(caffeic acid)과 3-O-feruloylquinic acid의 경우 무처리군과 열처리 대조군에서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고온고압 처리군에서 각각 18.2 mg, 8.3 mg 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크립토클로로겐산(cryptochlorogenic acid)의 경우에는 고온고압 처리군에서 함량이 무처리군 94.9 mg 보다 약 4배 이상인 407.9 mg 으로 함량이 증가하였다. 시나린(cynarin)의 경우 무처리군에서는 함유하고 있지 않았으나, 열처리군에서는 14.7 mg 함량을 나타냈으며, 고온고압 처리군에서는 231.2 mg 으로 열처리군보다 약 15배 이상 그 함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소클로로겐산 B(isochlorogenic acid B)와 이소클로로겐산 C(isochlorogenic acid C)의 경우도 무처리군과 열처리군에 비해 고온고압 처리군에서 함량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추출 전 압력 20 MPa에서 2시간 동안 온도 130 ℃에서 전처리한 경우, 같은 초음파 추출 방법으로 추출한 경우에 그 페놀산 함량이 우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질량분석을 통한 시나린 동정 결과 확인
상기 <실험예 1>에서 가장 추출효율이 가장 증가하였던 페놀산 유도체에 속하는 시나린(cynarin)을 액체크로마토그래피(LC)와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분리하여 동정하였다.
페놀산명 단편 이온 패턴( m/z )
3-O-caffeoylquinic acid(neochlorogenic acid) 393, 377, 355, 337, 181, 163, 145, 135, 117
caffeic acid 181, 163, 145, 135
3-O-feruloylquinic acid 391, 195, 177
4-O-caffeoylquinic acid(cryptochlorogenic acid) 393, 377, 355, 337, 181, 163, 145, 135, 117
1,3-di-O-caffeoylquinic acid(cynarin) 555, 539, 517, 499, 355, 337, 181, 163, 145, 135
3,4-di-O-caffeoylquinic acid(isochlorogenic acid B) 555, 539, 517, 499, 355, 337, 181, 163, 145, 135
4,5-di-O-caffeoylquinic acid(isochlorogenic acid C) 555, 539, 517, 499, 355, 337, 181, 163, 145, 135
그 결과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이온 모드에서 카페산은 모분자로 m/z 181을 갖고 단편 이온으로 m/z 163, 145, 135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주요 페놀산의 단편 이온 패턴을 나타내었다. 시나린은 분자 내에 두 개의 카페산을 갖고 있는 성분으로 이소클로로겐산 B, C와 같이 동일한 모분자 및 단편 이온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 가지 성분을 구분하기 위하여 각 표준품의 흡수 스펙트럼 및 질량 분석 정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리하여 동정된 화합물이 시나린 표준품과 동일한 화합물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온고압 조건인 압력 20 MPa에서 2시간 동안 온도 130 ℃에서 전처리하고, 초음파 추출물로 추출한 인진쑥 추출물에는 무처리군에 없던 시나린을 함유하고, 95 ℃에서 2분간 열처리한 대조군에 비해 약 15배 이상 증가된 시나린을 함유하게 되는 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통해 시나린 함량이 높은 인진쑥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1)

  1.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을 고온고압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나린(cynarin)함량이 증진된 인진쑥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처리는 100 내지 160 ℃에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진쑥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처리는 10 내지 30 MPa 압력에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진쑥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고압 처리는 5 내지 360분 동안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진쑥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시나린 함량이 증진된 인진쑥.
  6. 1)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을 고온고압 처리하는 단계; 및
    2) 상기 고온고압 처리한 인진쑥을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나린 함량이 증진된 인진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의 추출은 침지, 진탕추출, 속실렛(Soxhlet) 추출, 환류추출 또는 초음파추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진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의 고온 처리는 100 내지 160 ℃에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진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의 고압 처리는 10 내지 30 MPa 압력에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진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의 고온고압 처리는 5 내지 360분 동안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진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시나린 함량이 증진된 인진쑥 추출물.
KR1020190165114A 2019-12-11 2019-12-11 고온고압처리에 의한 인진쑥으로부터 시나린 성분 고함유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269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114A KR102269260B1 (ko) 2019-12-11 2019-12-11 고온고압처리에 의한 인진쑥으로부터 시나린 성분 고함유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114A KR102269260B1 (ko) 2019-12-11 2019-12-11 고온고압처리에 의한 인진쑥으로부터 시나린 성분 고함유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091A true KR20210074091A (ko) 2021-06-21
KR102269260B1 KR102269260B1 (ko) 2021-06-25

Family

ID=76600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114A KR102269260B1 (ko) 2019-12-11 2019-12-11 고온고압처리에 의한 인진쑥으로부터 시나린 성분 고함유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2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327A (ko) * 1993-07-26 1995-02-17 박경팔 형광 표시관용 음극 용접장치
KR20020056781A (ko) * 2000-12-29 2002-07-10 한종현 인진쑥 추출물 함유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08236A (ko) * 2003-07-14 2005-01-21 고운맘 수증기 증류법에 의한 쑥정유 제조방법
KR20110137419A (ko) * 2010-06-17 2011-12-23 한국식품연구원 스코파론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지방간 개선용 인진쑥 음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327A (ko) * 1993-07-26 1995-02-17 박경팔 형광 표시관용 음극 용접장치
KR20020056781A (ko) * 2000-12-29 2002-07-10 한종현 인진쑥 추출물 함유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08236A (ko) * 2003-07-14 2005-01-21 고운맘 수증기 증류법에 의한 쑥정유 제조방법
KR20110137419A (ko) * 2010-06-17 2011-12-23 한국식품연구원 스코파론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지방간 개선용 인진쑥 음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260B1 (ko) 202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6943B2 (en) Composition comprising Wenguanguo extracts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Khare et al. Pharmacognostic evalu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Urtica dioica L.
KR20090010964A (ko) 계피 종을 포함하는 추출물 및 방법
US7491414B2 (en) Anti-inflammatory substances extracted from Echinacea
Monforte et al. Phytochemical composition and gastroprotective effect of Feijoa sellowiana Berg fruits from Sicily
Xia et al. Antioxidant activity of Chinese mei (Prunus mume) and its active phytochemicals
Brieudes et al. Phytochemical analysis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the phytonutrient-rich decoction of Cichorium spinosum and C. intybus
US6264853B1 (en) Complex containing lignan, phenolic and aliphatic substances from flax and process for preparing
MXPA04001115A (es) Extractos de hojas de alcachofa.
Cotea et al. Evaluation of phenolic compounds content in grape seeds.
AU2002342778B2 (en) Solvent extraction process
Martins et al. Chemical composition, antifungal, and cytotoxicity Activities of Inga laurina (Sw.) willd leaves
AU2002342778A1 (en) Solvent extraction process
EP1395539B1 (en) A method for isolating phenolic substances or juvabiones from wood comprising knotwood
JP2015509979A (ja) 針葉樹の材種からフラボノイドであるジヒドロケルセチン(タキシホリン)を単離するための方法
KR100969134B1 (ko) 상동나무 지상부로부터 유용 플라보노이드 다량 함유획분과 신규 플라보노이드 물질의 분리 방법
KR20020008809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
KR102269260B1 (ko) 고온고압처리에 의한 인진쑥으로부터 시나린 성분 고함유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CN1209155C (zh) 含降血糖活性成分的苦瓜制品的制备方法
Kumar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lucosamine from Azadirachta indica leaves: An evaluation of immunostimulant activity in mice
Hendrawati et al. Characterization and Properties of Gedi (Abelmoschus Manihot L.) Leaf Extract with Liquid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Using Quadrupole Time-of-Flight Technology (LCMS-QToF)
Cho et al. Quantitation of Phenolic Compounds Related to Antioxidant and Antiosteoporosis Activities in Ripe and Unripe Maesil (Prunus mume)
Garmashov et al. Technological parameters of countercurrent extraction: deriving bioactive compounds from plant raw materials
KR100809731B1 (ko) (-)-세코이소라리시레시놀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1469201B1 (ko) 다시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폴피린계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성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