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2855A - 독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독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2855A
KR20160052855A KR1020140147916A KR20140147916A KR20160052855A KR 20160052855 A KR20160052855 A KR 20160052855A KR 1020140147916 A KR1020140147916 A KR 1020140147916A KR 20140147916 A KR20140147916 A KR 20140147916A KR 20160052855 A KR20160052855 A KR 20160052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d
arthritis
lactobacillus
cfu
fer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7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0051B1 (ko
Inventor
권기상
안승우
이동섭
한성욱
하태욱
Original Assignee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순자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순자식품 filed Critical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47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051B1/ko
Publication of KR20160052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12R2001/25Lactobacillus plantar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원은 복합 유산균으로 2단계 발효시킨 독활 발효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본원의 발효물은 복합 발효로 인해 발효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미네랄, 항산화 물질 및 아미노산이 현저히 강화된 것은 물론, 세포에 독성이 없으며, 염증반응과 관련된 인자의 억제를 통해 염증반응을 억제하여 관절염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독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Aralia cordata Thunb for preventing or treating arthritis}
본 발명은 기능성 천연물 분야이며, 구체적으로 독활 발효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노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관절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이 성별에 상관없이 사회적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염증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에는 위염, 대장염, 관절염, 신장염, 간염, 동맥경화, 암 또는 퇴행성 질환 등이 포함된다. 그 중 현재까지 관절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약제나 치료법은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관절염은 노화, 기계적 손상, 면역이상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관절 내에 염증성 변화가 생긴 것을 지칭하며, 퇴행성 관절염과 류마티스 관절염이 대표적이다.
퇴행성 관절염은 골관절염 또는 마모 관절염이라고 불리고주요 원인은 노화, 과도한 관절의 사용, 비만, 유전 등이며,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55세 이상 인구의 80%에서 퇴행성 관절염이 나타나고 있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자가면역질환의 일종으로, 발병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나, 유전적인 요인과 감염, 호르몬 이상 등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에서 류마티스 관절염을 앓는 인구는 약 67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4%를 차지하는데(대한류마티스학회 자료), 대개 20~40대에 발생하며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3배 정도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어진다.
관절염 환자수가 증가하면서 치료를 위해 각종 약물, 연골재생술, 인공관절, 및 최근에는 줄기세포 치료까지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관절염 치료제로 사용되는 아세트아미노펜 (Acetaminophen)은 비스테로이드계 진통 항염증 약물의 일종으로서, 반감기가 짧아 단기간 투여시의 진통 소염 효과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관절염등 만성질환의 진통 및 소염 치료를 위해서는 빈번한 투여가 요구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현재 부작용이 없는 다양한 천연추출물에 대한 연구들이 최근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에 대한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388597호는 지치 뿌리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지치 뿌리의 색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관절염 예방제 및 치료제를 개시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179966호는 백미를 포함하는 천연 추출물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항염증 활성을 갖는 천연 추출물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개시한다.
따라서 천연물질을 유래의 보다 안전하고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물질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며, 다양한 약용 식물과 농업생명자원으로부터 새로운 작용 기전을 가진 우수한 소재의 개발에 대한 시장의 요구도가 매우 높다.
본원은 천연물질을 이용한 관절염의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추출물,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 양태에서 본원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GG, L.GG)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L.p)의 복합 유산균으로 발효된 독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반응 억제 예를 들면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의 복합 유산균 발효에 의해 무발효 및 단복 발효와 비교하여 유용성분 함량, 염증반응 억제 활성 및 생균수 등이 극대화되었다.
본원에 따른 조성물의 발효에 사용되는 복합 유산균인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은 각각 1.4x106 CFU/ml 내지 1.2x107 CFU/ml, 및 0.7x104 CFU/ml 내지 0.4x105 CFU/ml로 포함되며,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은 건조세포중량을 기준으로 1:0.1 내지 0.9의 중량비, 특히 1:0.4 중량비로 포함되며, 상기와 같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종균량이 증가할수록 균체생육이 증가하였다.
본원에 따른 조성물에 독활은 2 내지 6% (w/v)로 포함되며, 상기 범위에서는 독활 함량이 증가될수록 균체생육도 증가하는 양상이었으나 6%를 넘는 경우 예를 들면 8%(w/v)에서는 균체 생육속도가 느려지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은 또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GG, L.GG)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L.p)의 복합 유산균으로 발효된 독활 발효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조성물은 건강보조식품, 기능성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로 제공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원에 따른 조성물을 복합 발효에 의해 항산화 성분 및 미네랄이 강화되었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은 또한 독활 발효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독활에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GG, L.GG)을 접종하고 제 1 배양하는 단계; 및 이어 상기 제 1 배양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L.p)를 추가 접종하고 제 2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동시에 접종한 발효액에 비해, 상기와 같이 L.GG와 L.p를 독립적으로 접종하였을 경우, 최종 건조 균체량과 SOD 활성도가 각각 1.27배, 1.23배씩 증가하였다.
본원에 따른 방법에서 상기 제 1 배양 조건은 37℃, 교반속도 100rpm에서 6일간 배양되고, 상기 제2 배양 조건은 33℃, 교반속도 100rpm에서 4일간 배양되며, 독활은 2 내지 6 중량%, 특히 4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은 각각 1.4x106 CFU/ml 내지 1.2x107 CFU/ml, 및 0.7x104 CFU/ml 내지 0.4x105 CFU/ml로 접종된다.
본원은 복합 유산균으로 2단계 발효시킨 독활 발효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본원의 발효물은 복합 발효 및 2 단계 발효로 인해 발효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미네랄, 항산화 물질 및 아미노산이 현저히 강화된 것은 물론, 세포에 독성이 없으며, 염증반응과 관련된 인자의 억제를 통해 염증반응을 억제하여 관절염을 포함하는 염증반응, 또는 이와 관련된 질환의 예방, 치료, 개선 및/또는 완화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독활 발효에 사용한 후보 식용 미생물 종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독활 원료 함량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복합 유산균 발효 독활 제조를 위한 전체 생산 공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유산균 발효 독활 MS-크로마토그램 정성분석을 한 결과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독활 발효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산도 분석성적서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독활 열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산도 분석성적서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독활 발효 추출물의 총 아미노산 함량 분석성적서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독활 열수 추출물의 총 아미노산 함량 분석성적서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독활 발효 추출물의 주요 미네랄 및 중금속 성분분석 성적서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독활 열수 추출물의 주요 미네랄 및 중금속 성분분석 성적서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독활 발효 추출물의 THP-1 세포에 대한 생존율 분석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독활 열수 추출물의 THP-1 세포에 대한 생존율 분석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독활 발효 추출물 처리에 따른 hTNF-alpha 발현 양상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독활 열수 추출물 처리에 따른 hTNF-alpha 발현 양상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독활 발효 추출물 처리에 따른 hIL-8 발현 양상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독활 열수 추출물 처리에 따른 hIL-8 발현 양상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독활 발효 추출물 처리에 따른 hMCP-1 발현 양상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독활 열수 추출물 처리에 따른 hMCP-1 발현 양상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독활 열수 추출물 처리에 따른 MMP-9 발현 양상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한 양태에서 본원은 독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반응 예를 들면 관절염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땅두릅 (Aralia)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로 높이가 2m이상 자라는 키가 큰 풀이다. 바람에 움직이지 않고 강하게 자란다는 뜻에서 독활이라는 이름을 얻었을 정도로 생장력이 강하며, 우리나라에는 전국적으로 산지의 그늘에서 자생하고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원에 사용되는 땅두릅은 특히 뿌리 (독활 Aralia cordata Thunb)이 사용된다. 하지만 생리활성을 포함하는 한, 종피, 잎, 줄기 및 종자를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 발효물이란 본 발명에 따른 발효과정을 거친 최종 산물을 칭하는 것으로 발효 후 고형분을 제거 하거나 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모두 본원에 포함된다. 한 구현예에서 발효 후 고형분은 체, 예를 들면 100 메쉬의 채로 걸러진다. 본원의 발효에는 유산 (Lactic acid)을 생성하는 다양한 유산균이 사용될 수 있다.
발효는 다양한 발효균 예를 들면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GG, L.GG),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L.casei)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L.p)와 같은 유산균, 효모균(Saccharomyces sp.), 바실러스균 (Bacillus subtilis)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는 락토바실러스속(Lactobacillus sp.) 예를 들면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amhnosus GG) 및/또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이 사용될 수 있으나, 특히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GG, L.GG),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L.p)의 복합균이 사용된다. 본원에 사용되는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은 각각 1.4x107 CFU/ml 내지 1.6x108 CFU/ml, 및 0.8x107 CFU/ml 내지 1.5x108 CFU/ml로 포함된다. 또한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은 건조세포중량을 기준으로 1:0.1~0.9 중량비로 포함되며 특히 1: 0.4의 중량비로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되는 독활은 발효공정을 통해 원료내의 유효성분들이 다양한 유용성 성분으로 전이되며, 특히 발효를 통해 다양한 효소성분들이 생성되고 단백질의 저분자화가 일어나며, 아미노산이 강화되고 또한 비타민의 합성과 기능성 성분이 활성형태로 전이되어 미네랄이 풍부하게 되는 등 그 유용성이 극대화되었다.
본원의 독활은 약 2 내지 6% (w/v), 특히 4%(w/v)로 염증 반응 억제용 예를 들면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포함된다.
본원의 염증이란 통증, 적화현상, 팽윤, 열 및 감염된 영역의 면역계의 세포 사이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의한 궁극적인 기능 손상을 그 특징으로 한다. 급성 및 만성 염증은 관절염 예를 들면 골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천식, 염증성 대장 질병, 피부 염증성질병 예를 들면 접촉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건조증, 습진, 장미증, 지루, 건선, 신경피부염, 여드름, 열적 및 방사선 화상 예를 들면 일광화상 또는 만성 피부 염증과 관련된 광노화와 같은 다수의 염증성 질환에 관여하는 염증 매개자의 과도한 생합성으로부터 발생한다.
본원의 조성물이 효과를 나타내는 염증반응은 관절염으로, 상기 관절염은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통풍성 관절염, 감염성 관절염 또는 루푸스(Lupus) 관절염을 포함하나,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관절염이란 세균이나 외상과 같은 어떤 원인에 의해서 관절 내에 염증성 변화가 생긴 것을 총괄해서 지칭하는 병명이다. 관절염은 크게 급성과 만성으로 나뉘며 급성 관절염은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① 장액성(奬液性) 관절염:보통 외상(外傷)에 의해서 일어나는데 원인불명의 것도 있으며, 대개 하나의 관절에만 발생한다. ② 장액섬유소성(奬液纖維素性) 관절염:급성관절류머티즘 때에 일어나는데, 관절강 내에 혼탁한 삼출액(渗出液)이 괸다. 섬유소의 위막(僞膜)이 생겨 염증이 가라앉아도 심한 운동장애를 남긴다. ③ 화농성(化膿性) 관절염:관절의 개방창(開放創) 또는 임질·장티푸스·성홍열·패혈증(敗血症) 같은 전염병에 다발성을 보인다. 생후 1~2개월의 유아는 뼈가 심하게 상하여 치료할 수 없는 탈구(脫臼)를 일으킨다. 성인에서는 골막골수염에 걸려 화농부가 터져 고름이 관절로 들어가는 것이 많은데, 이를 2차화농관절염이라고 한다. 만성 관절염은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① 특수성(特殊性) 염증:결핵성·매독성 혹은 중년 이후의 남자에 많은 요산(尿酸)의 대사 장애로 인한 통풍성(痛風性) 관절염이 있다. ② 다발성 관절염:만성관절류머티즘에 의한 것이 많은데 급성장액성 관절염에서 이행(移行)되거나 결핵·매독·임질의 경과중에 다발성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패혈증의 하나인 것도 있다. 그밖에 스틸병(病)이라는 관절염도 포함된다. ③ 변형성 골관절염:뼈나 관절의 노화 또는 외상이 원인이다. ④ 혈우병성(血友病性) 관절염:혈우병을 앓을 때 관절 내의 출혈에 의한 것이다.
퇴행성 관절염이란 일명 골관절염이라고도 불리며, 중년 혹은 노인에서 주로 발생한다. 노쇠로인한 관절 연골의 변화에 의하여 일어나는 국소적 관절염이다. 이와 같은 관절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산화 질소의 증가를 초래한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다발성 관절염을 특징으로 하는 원인 불명의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초기에는 관절을 싸고 있는 활막에 염증이 발생하지만 점차 주위의 연골과 뼈로 염증이 퍼져 관절의 파괴와 변형을 초래하게 되며, 관절뿐만 아니라 관절 외 증상으로 빈혈, 건조증후군, 피하 결절, 폐섬유화증, 혈관염, 피부 궤양 등 전신을 침범할 수 있는 질환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관절염을 포함하는 염증반응과 관련된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관절염의 치료 및 예방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란 본원의 발효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염증반응 억제 예를 들면 관절염 또는 이로 인한 다른 질환의 증세를 호전시키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대한의학협회 등에서 제시된 자료를 참조하여 본원의 조성물이 효과가 있는 질환의 정확한 기준을 알고, 개선, 향상 및 치료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예방"은 본원의 발효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염증반응 억제 예를 들면 퇴행성관절염을 포함하는 관절염 또는 이로 인한 다른 질환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염증관련 질환에 효과가 있는 본원의 조성물은 염증관련 질환의 초기 증상, 또는 나타나기 전에 복용할 경우 이러한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원의 독활 발효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투여가능하며, 이들 혼합물을 단독으로 또는 관절염 증상의 치료를 위한 다른 약학적 활성성분과 병행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원의 독활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희석제,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유화제, 용해제, 감미제, 착색제, 삼투압 조절제, 산화방지제 등의 부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본원의 독활 발효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투여방법은 제형에 따라 용이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산제, 정제, 환제, 과립제, 당의정, 경질 또는 연질의 캡슐제, 액, 에멀젼, 현탄액, 시럽제, 엘릭서, 외용제, 좌제, 멸균 주사용액 등의 형태로 제형화되어 전신 또는 국소적으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으며, 특히 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형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형은 독활 발효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슈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형으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형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원의 독활 발효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당해 기술 분야의 공지된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또는 레밍턴의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본원의 독활 발효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할 수 있으나, 독활 발효물의 유효 투여량은 통상적으로 성인(60kg)의 경우, 약 1 내지 100g/일, 특히 약 10 내지 50g/일,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g/일이다. 투여량은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변동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투여량에 가감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며,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투여횟수는 원하는 범위 내에서 하루에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 기간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원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그대로 경구투여하는 것 이외에, 임의의 음식물에 첨가하여 일상적으로 섭취할 수도 있다.
본원의 독활 발효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관절염 질환에 대하여 우수한 치료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약물에 의한 독성 및 부작용도 없어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본원의 독활 발효물이 식품의 주, 부원료 및 식품 첨가제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독활 발효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예를 들면, 건강보조식품, 기능성 식품, 식품첨가제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 식품 첨가제, 기능성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기능성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특히 "건강기능식품"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건강보조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가공한 식품으로서,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건강보조의 목적으로 특정성분을 원료로 하거나 식품원료에 들어있는 성분을 추출, 농축, 정제, 혼합 등의 방법으로 제조,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기능성식품 또는 건강보조식품은 상기 식품을 섭취하기 전과 비교하여 관절염의 증상을 개선하거나, 이의 경감 또는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식품을 의미하며,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대한의학협회 등에서 제시된 자료를 참조하여 이러한 질환의 정확한 기준을 알고, 개선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능성식품 및 건강보조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독활 발효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 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 스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원에서 음료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며 기능성 음료를 포함하는 의도이다. 상기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본원의 독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의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mL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g이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원에서 기능성 음료란 음료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음료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음료 군이나 음료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음료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관절염 개선을 위한 음료를 의미한다.
상기 기능성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원의 독활 발효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mL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원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을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발효물 100 중량부 당 0.001 내지 20 중량부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관절염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식품에 있어서, 상기 본원의 독활 발효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약 0.01 내지 90 중량%, 약 0.1 내지 80 중량%, 약 1% 내지 70%, 약 1% 내지 50%, 약 1% 내지 40%, 약 1% 내지 30%, 약 1% 내지 20%의 범위로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범위를 벋어나는 것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음료 조성물은 100mL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은 또한 본원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독활 추출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따른 방법은 독활에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GG, L.GG)을 접종하고 제 1 배양하는 단계; 및 이어 상기 배양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L.p)를 추가 접종하고 제 2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유산균을 이용한 독활 발효물의 제조 방법이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 1 배양하는 단계는 37℃, 100rpm에서 6일간 배양되고, 상기 제 2 배양하는 단계는 33℃, 100rpm에서 4일간 배양된다. 상기 독활은 약 2 내지 6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는 각각 1.4x106~1.2x107 CFU에 도달 하였을때, L. p는 33℃ 48시간 배양 후 0.7x104~0.4x105 에 도달 하였을 때, 1.4x106 CFU/ml 내지 1.2x107 CFU/ml, 및 0.7x104 CFU/ml 내지 0.4x105 CFU/ml로 접종된다.
본원에 따른 방법에 사용되는 독활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 아울러 독활은 건조된 형태, 또는 가공되지 않은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이는 절편 또는 분쇄와 같은 방식으로 전처리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독활 발효물의 제조에 적합한 미생물 선별
실시예 1-1 독활 열수 추출물의 제조
독활은 대구 약령시 소재 대훈약업사에서 건조된 독활을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건조 독활과 물을 4%(w/v) 혼합한 후, 80℃ 온도에서 1차적으로 24시간 추출후, 121℃에서 15분간 2차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2 최적의 발효 미생물 선별
독활을 발효시키기 위해 사용한 식용 미생물 후보균주로는 시판되는 유제품으로부터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GG, L.GG)와 경북대학교 농과대학으로부터 분양받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L.casei)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L.p)의 유산균 3종, 막걸리에서 분리한 효모균(Saccharomyces sp.)1 및 2로 통칭되는 효모균 2종, 및 청국장에서 분리한 바실러스균(Bacillus subtilis) 1종의 총 6종의 균주에서 독활 발효물 제조에 가장 적합한 균주를 선별하였다(도 1).
특히 독활 발효에 가장 적합한 식용 미생물을 선별하기 위해 상기 6종의 후보 미생물을 대상으로 독활을 주원료로 하는 액체 배지 (건조 독활 12g 과 증류수 300ml)서 동일 발효 조건 하에서 6일간 배양한 후 얻을 수 있는 균체건조중량과 항산화 활성을 중심으로 최종 균주를 선별하였다. 대표적인 항산화 효소인 SOD 활성은 SOD assay kit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시험 방법은 식품공전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반응 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5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 후 아래와 같이 SOD 활성을 계산하였다.
SOD(%)=(1-(A-B)/C)×100
A: xanthine oxidase 시약에 시료 첨가 후 흡광도를 측정
B: xanthine oxidase 시약 대신 blank buffer 첨가 후 흡광도 측정
C: xanthine oxidase 시약에 증류수 첨가 후 흡광도 측정
그 결과, 다음 [표 1]과 같은 조건에서 유산균 3종이 최종 균체건조중량은 효모나 바실러스에 비해 다소 낮은 양상이었지만, 발효후 풍미가 우수할 뿐 아니라, 항산화 활성과 관련된 SOD 활성도가 효모균 또는 바실러스균에 비해 현저히 높게 측정되어 1차적으로 3종류의 유산균을 독활 발효를 위한 후보미생물로 도출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1
1차 선별한 유산균 중 독활 발효에 가장 적합한 최적 미생물을 선정하기 위하여, 김치유산균인 L. p과 다른 2종류의 유산균 복합 발효를 시도하여 독활 배지에서 자라는 생균수와 배양액 pH,및 맛과 향등을 분석 비교하였다.
다음 [표 2]에서와 같이 독활 유산균 발효 시 pH는 대부분 낮아졌으며, 김치 유산균 L. p과 유제품 유산균인 L. GG를 복합발효 시킬 경우 맛과 향을 포함하는 풍미 측면이나 발효액에 포함된 생균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어, 상기 두 균주를 최종적으로 선택하여 복합발효 시켜 사용하였다.
[표 2]
Figure pat00002
또한 1차 선별한 유산균의해 제조된 발효액에 포함된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관련 SOD 활성을 다른 유산균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이때 총폴리페놀 함량은 Folin-Denis법을 일부 변형하여 비색 정량하였다. 갈릭산(Sigma, USA)를 이용한 표준곡선을 작성하여 계산한 후,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함량은 g당 ㎎ 갈릭산으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표 3]에서와 같이 각각의 유산균이 가지는 항산화 활성에 비해 전체적으로 L. plantarum와 다른 유제품 유산균으로 독활을 복합 발효 시키는 경우, 총폴리페놀 함량이나 SOD activity가 증가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특히 생균수와 관능평가에서 가장 우수한 조합으로 선별된 L. plantarum과 L. GG로 독활을 발효시킬 경우 발효시키지 않은 독활 열수추출물에 비해 총 폴리페놀 함량은 1.2배, SOD 활성도는 1.4배 각각 증가되었다.
[표 3]
Figure pat00003

실시예 2 독활의 복합 유산균 발효공정의 최적화
최적의 독활 원료비를 도출하기 위하여 증류수를 100ml에 건조시킨 독활 원료를 2%, 4%, 6% 및 8%(w/v)으로 달리 첨가하여 멸균시킨 배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 따라 선별된 유산균 2종을 OXOID사의 유산균 전용 배지인 MRS 배지에서 L. GG는 37℃, 48시간 배양 후 1.4x106~1.2x107 CFU에 도달 하였을때, L. p는 33℃ 48시간 배양 후 0.7x104~0.4x105 CFU에 도달하였을 때, 각각의 배양액 5ml씩을 앞서 제조한 독활이 포함된 배지에 접종하여 37℃, 100rpm에서 7일간 배양하면서 배양액 탁도를 흡광도법(A600nm)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와 같이 보듯이 독활 원료 함량비가 2 내지 6%(w/v)까지는 독활 함량이 증가될수록 균체생육도 증가하는 양상이었으나, 8%(w/v)에서는 균체 생육속도가 느려지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특히 건조시킨 독활이 4%(w/v) 첨가된 배지의 경우 배양 6일 후 최고 흡광도값을 나타내었고, 더 이상의 독활 원료가 공급되더라도 크게 균체생육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최적 원료 첨가비를 건조 독활 기준 4%(w/v)로 결정하였다.
최적 유산균 종균 접종량을 결정하기 위해 독활 함량을 포함한 배양조건을 동일하게 하고, L. p 및 L. GG의 혼합비는 1:1로 하여 복합 유산균 접종비를 총 2 내지 10%(v/v)범위에서 2%씩 늘려가며 접종하여 6일 배양 후, 균체 건조중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L. p와 L. GG 를 각각 2%씩 접종한 총 유산균 접종비가 4%(v/v)인 경우까지는 종균량이 증가할수록 균체생육이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에서는 거의 유사한 양상이 관찰되어, 최적의 종균 접종량은 MRS 배지에서 배양한 2종류의 유산균을 각각 2%(v/v)씩 접종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건조 중량으로 계산하면,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의 접종량은 동일한 부피의 배양액을 65℃에서 18시간 건조시킨 후, 수득한 건조세포중량을 기준으로 1:0.1~0.9(g/g) 비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 0.4(g/g)의 비로 포함될 수 있다,
[표 4]
Figure pat00004
독활 유산균 발효액의 염증 억제 관련 항산화 효능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복합 유산균 접종 방식에 따른 발효액의 균체 생육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1에서는 이전 서술한 방식대로 L. p와 L. GG 유산균 2종을 각각 MRS 배지에서 배양한 후, 독활 함유 배지에 각각 2%(v/v)씩 동시에 접종한 반면, 방법 2에서는 1단계로 독활 함유 배지에 균체 생육이 더 좋았던 L. GG를 2%(v/v) 접종하여 37℃, 100rpm에서 6일간 배양한 후, 배양액의 pH가 다소 낮아진 상황에서 2단계로 L. p를 2%(v/v) 추가 접종한 후 33℃, 100rpm에서 4일간 배양함으로서 총 10일간에 걸쳐 배양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방법 1과 2에 따라 제조된 독활 유산균 발효액을 취하여 최종 건조 균체량 및 항산화 관련 SOD 활성도를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 [표 5]와 같다. 2종의 유산균을 동시에 접종한 발효액에 비해, 초기 생육이 우수한 LGG와 생육환경이 약산성에서 활발하게 생육할 수 있는 L.p를 독립적으로 접종하였을 경우, 최종 건조 균체량과 SOD 활성도가 각각 1.27배, 1.23배씩 증가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최종 발효 방식을 결정하였다.
[표 5]
Figure pat00005
최적 교반 속도를 결정하기 위해 배양 장치 교반속도를 0~300 rpm 범위에서 50 rpm씩 증가시켜 가며 배양 10일 후 수득한 건조균체량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교반 속도가 증가할수록 균체 생육이 다소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100 rpm이후부터는 균체 생육이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도 균체 생육이 가장 우수한 100 rpm에서 가장 높은 값으로 분석되어 최적 교반속도를 100 rpm으로 결정하였다[표 6].
[표 6]
Figure pat00006

실시예 3 복합 유산균 독활 발효물 제조를 위한 전체 생산 공정
실시예 1 및 2에 따른 최적의 균주선별 및 배양조건을 토대로 독활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도 3은 독활 발효물 제조의 전체 공정도이며, 상술한 발효조건에서 독활 발효물을 수득하고 불필요한 발효가 진행되는 것을 막음과 동시에 발효액에 포함된 유용성분 추출을 극대화하기 위해 배양액을 고온 고압 처리하여 이에 따른 총폴리페놀 함량 변화를 검토하였다. 복합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독활 발효액을 121℃에서 10분간 멸균시킨 경우, 총폴리페놀 함량은 48.2 mg/100g으로 멸균으로 총폴리페놀 함량 변화는 크게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제형화 및 보존 안정성을 위해 요구되는 고형분 제거를 위해 1차적으로 일반 여과체를 거쳐 나온 액상의 여액을 2차로 Fiter paper(Wattman)로 여과시키고, 마지막으로 분자량 5만 달톤 UF membrane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정제 후 수득한 액상의 발효 추출액의 경우 고형분을 제거하기 전 총 폴리페놀 함량과 큰 차이가 없었고, 이를 액상 또는 동결 건조시켜 분말형태로 제조하여 냉장 보관하면서 하술되는 독활 발효물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4 독활 발효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주요 성분분석
복합 유산균을 이용한 독활 발효물의 이화학적 특성평가는 제조된 발효액을 멸균, 균체 및 고형분 제거, 분리 정제과정을 거치고 난 후 동결 건조한 분말과 액상시료를 이용하여 수용성, pH, 열안정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7]에 나타냈다. 비교군은 동일 조건에서 발효과정이 없는 독활 열수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표 7]
Figure pat00007
독활 발효 추출물의 주요 미네랄 성분분석을 발효시키지 않은 독활 열수 추출물과 동일한 조건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생리활성 미네랄 성분인 마그네슘, 구리, 아연의 성분의 함량을 원자흡광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표 8]과 같이 독활 발효 추출물에 포함된 주요 미네랄 성분이 열수 추출물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마그네슘의 경우 약 1.5배로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 8]
Figure pat00008
독활의 관절염 등 다양한 생리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물질로 알려진 콘티넨탈산(continentalic acid, C20H30O2, 분자량 302.45)에 복합 유산균 발효가 독활의 콘티넨탈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 독활 열수추출물(독활 1)과 유산균 발효 독활 추출물(독활 2)을 액상 시료 형태로 포함되어 있는 콘티넨탈산 성분을 정성 분석하였다. 이때 표준물질로는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생약연구과에서 분양받아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은 보다 객관적인 결과도출을 위하여 경기바이오센터에 의뢰하여 MS-크로마토그램으로 분석한 결과 보고서를 확보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사용한 용매는 MeOH(B&J), 시약은 IPE(Sigma)를 사용하였으며, 사용한 기기 분석 방법과 분석 조건은 [표 10]과 같다.
[표 10]
Figure pat00009
MS-크로마토그램 정성분석을 한 결과 유산균 발효 독활의 경우, 도 4를 참조하면, 원료 물질인 독활 열수 추출물과 발효 독활의 시료에서 모두 23.86, 23.85분대에서 표준물질과 동일한 피크가 확인되었으며, MS 스펙트럼에서 303.2314피크로 확인되었고, 이론값과 1.4ppm수준으로 일치된다는 결과를 얻었다.
유산균 발효 독활에 지표성분인 콘티넨탈산이 포함되어 있음을 정성분석을 통해 확인한 후, 2차적으로 MS-크로마토그램을 통한 정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정량분석 시 시료 주입량을 5μL로 하였으며, 스캔 범위를 SIM:m/z 303, mass width=5로 하였고, 그 외 조건은 정성분석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표 11]과 같이, 동일 배수로 희석한 독활 열수 추출물(독활 1)에서는 콘티넨탈산이 측정되지 않았으나, 발효 독활 발효 추출물(독활 2)에서는 0.294±0.028 mg/ml 농도의 콘티넨탈산이 정량적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를 통해 독활의 경우 복합 유산균 발효 과정에서 지표성분인 콘티넨탈산 함량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11]
Figure pat00010
복합 유산균 발효독활 추출액에 포함된 총 폴리페놀 함량과 산도를 공인분석기관인 수원여자대학교 식품분석연구센터에 의뢰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도 5a 및 도 5b에 나타냈다. 도 5a는 독활 발효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산도 분석 성적서로 L. GG와 L. p로 발효시켜 제조한 발효액에는 총 폴리페놀 함량이 48.63mg/100g을 나타냈고, 도 5b는 독활 열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산도 분석 성적서로 29.34mg/100g를 나타냈다. 따라서 독활의 발효 추출물은 독활 열수 추출물에 비해 항산화에 관련되는 총 폴리페놀 함량이 현저히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복합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독활 추출물의 주요 아미노산 함량에 관한 성분분석을 공인분석기관인 수원여자대학교 식품분석연구센터에 의뢰하여 분석하였다. 도 6a는 독활 발효 추출물의 시험 성적서이고 도 6b는 독활 열수 추출물의 시험 성적서이다. 독활 발효 추출물의 경우 총 아미노산 함량이 약 132.78 mg/100g으로 독활 열수 추출물의 52.36 mg/100에 비해 거의 2.5배 증가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전반적으로 20종의 아미노산들이 복합 유산균 발효에 의해 함량이 증가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복합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독활 추출물에 포함된 주요 생리활성 미네랄 성분과 유산균 독활 발효액의 기초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독활의 뿌리를 사용하는 것을 감안하여 중금속 함량에 관한 성분분석을 식약청 지정 식품위생검사 기관인 (주)엔텍분석연구원에 의뢰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7a 및 도 7b에 나타냈다. 도 7a의 독활 발효 추출액의 경우 생리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미네랄인 칼륨, 나트륨, 인, 망간, 마그네슘, 아연, 구리 함량이 열수 추출한 독활에 비해 증가됨을 알 수 있었고, 특히 뼈건강과 관련되는 칼슘 및 인의 함량이 각각 7.9 mg/100g과 114.7 mg/100g으로 열수 추출한 독활의 4.04 mg/100g과 68.5 mg/100g에 비해 현저히 증가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아울러 동시험 성적서에 의하면, 복합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독활 추출물에는 독활 열수 추출물과 마찬가지로 주석, 납, 카드뮴, 비소, 수은의 중금속 성분은 검출되지 않아, 복합 유산균으로 발효한 독활 발효 추출물의 기초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독활 발효 추출물의 기초 세포 독성 평가
독활 발효 추출물의 기초 세포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세포 생존율 분석법(cell viability assay)을 실시하였다. 세포의 생존율은 제조된 독활 발효 추출물을 희석하여 세포에 처리한 뒤 현미경으로 세포 수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염증반응과 관련된 THP-1 세포를 2.0 x 104 cells/well의 농도가 되도록 10% FBS를 포함하는 RPMI 1640 배지에 현탁하여 96-well 플레이트의 각 웰에 200μl씩 접종하였다. 독활 발효 추출물을 적정농도로 처리한 뒤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각 웰당 50μl를 덜어내서 혈구계수기(hemacytometer)를 이용해서 단위 구역당 세포의 수를 측정하였다.
독활 발효 추출물과 독활 열수 추출물을 500μg/ml 농도까지 처리한 후 24시간 배양 후에 세포수를 측정한 결과, 도 8a를 참조하면 독활 발효 추출물은 500μg/ml 농도로 처리 시, THP-1 세포 생존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도 8b를 참조하면 같이 독활 열수 추출물의 경우 500μg/ml 농도 처리 시 다소 세포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열수 추출한 독활에 비해 복합 유산균으로 발효 시킨 독활의 경우 기초 세포 독성평가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실시예 6 실험 동물을 이용한 발효 독활의 안전성 평가
독활 발효 추출물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 2013-121호 의약품 등의 독성 시험 기준에 따라 독활 발효 열수 추출물 마우스 단회 경구투여 독성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물질은 복합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독활의 추출물이며, 대조물질은 독활 열수 추출물이다.
실험동물은 SPF/VAF Outbred CrljOri:CD1[ICR] 동일한 연령의 암수 마우스 (OrientBio, Seungnam, Korea) [ANNEX I, II]를 9일간 순화 후 사용하였으며, 본 동물실험은 대구한의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사전 승인 하에 실시하였다 [Approval No. DHU2014-013; ANNEX III]. 실험결과의 해석이 충분한 수로 매체 대조군을 포함하여 1군당 5마리씩 총 10군에 실험하였다. 투여방법 및 투여용량은 임상적용경로/개략의 치사량을 구하기 적절한 단계로 설정하여 멸균증류수를 용매로 사용하고 경구 투여하였다.
2,000, 1,000 및 500mg/kg의 독활 발효 열수 추출물 및 2,00mg/kg의 땅두릅 열수 추출물을 단회 경구 투여하였고 암수 매체 대조군에서는 실험물질 대신 멸균 증류수만 단회 경구 투여 (20ml/kg)하였다.
독활 발효 열수 추출물의 마우스 단회 경구투여 독성 자료를 얻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 2013-121 “의약품 등의 독성시험 기준”에 의거하여, 설치류 투여 한계 용량인 2,000mg/kg을 최고 투여군을 설정하고 공비 2로 1000 및 500mg/kg 투여군을 중간 및 저용량 투여군으로 설정하여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독성 비교를 위해 독활 열수 추출물 2,000mg/kg 암수 투여군 및 암수 매체 대조군을 별도로 준비하였다.
2주간 관찰하였으며 관찰 항목은 사망률, 임상증상, 체중변화, 부검소견, 장기중량및 조직병리학적 변화(14 장기: 폐, 심장, 가슴샘, 신장, 부신, 비장, 정소/난소, 간, 췌장, 뇌, 부고환/자궁 및 악하 임파절)이다.
동물실험 수행 결과, 사망률은 설치류 한계 투여용량인 2,000mg/kg 투여군까지 독활 발효 열수 추출물 투여와 관련된 사망례는 14일간의 실험기간 동안 인정되지 않았으며, 독활 열수 추출물 투여와 관련된 사망례 역시 인정되지 않았다.
임상증상으로는 독활 발효 열수 추출물 또는 독활 열수 추출물 투여와 관련된 임상증상은 인정되지 않았다.
체중 및 증체량에 있어서 모든 독활 발효 열수 추출물 또는 독활 열수 추출물 투여군에서 각각의 동일한 성별 매체 대조군과 비교하여 의미 있는 체중 및 증체량의 변화는 실험 전 기간 동안 각각 인정되지 않았다.
장기중량의 변화는 모든 독활 발효 열수 추출물 암수 투여군에서 각각의 동일한 성별 매체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는 장기 중량의 변화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독활 열수 추출물 투여와 관련된 장기 중량의 유의성 있는 변화 역시 인정되지 않았다.
부검소견은 경미하거나 중등도 [1~2+]의 폐 충혈, 가슴샘 위축, 비장 종대, 자궁부종 또는 악하 임파절 종대 소견이 암수 매체 대조군을 포함한 모든 실험군에서 산발적으로 관찰된 이외에 독활 발효 열수 추출물 또는 독활 열수 추출물 투여와 관련된 육안 부검소견은 인정되지 않았다.
조직병리학적 관찰은 경미한 [1+] 폐 충출혈 반점, 가슴샘 국소 피질 임파구 감소, 비장 적색 수질 임파구 증생, 간의 국소 염증세포침윤, 악하 임파절 임파구 증생 소견 등의 우발성 병소들이 암수 매체 대조군을 포함한 모든 실험군에서 산발적으로 관찰되었으며, 암컷 독활 발효 열수 추출물 500mg/kg 투여군에 국한되어 신장의 경미한 낭포 형성 소견이 1 례 (1/5; 20%) 인정된 이외에 독활 발효 열수 추출물 투여와 관련된 조직병리학적 변화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독활 열수 추출물 투여와 관련된 조직병리학적 변화 역시 인정되지 않았다.
반수치사량, 개략적 치사량 및 표적 장기는 본 실험에서 설치류 투여한계 용량인 2,000mg/kg 투여군까지 사망례가 인정되지 않아, 독활 발효 열수 추출물의 마우스에 대한 단회 경구 투여 반수 치사량 및 개략적 치사량은 암수 각각 2,000mg/kg이상으로 산출되었으며, 특정 임상증상 및 표적 장기 역시 관찰되지 않았고, 독활 열수 추출물 2,000mg/kg 투여와 관련된 사망례, 임상 증상, 체중, 장기중량, 육안 및 조직병리학적 변화 역시 인정되지 않았다.
독활 발효 열수 추출물 (fACR)의 마우스에서 단회 경구 투여독성 실험의 결과, 설치류 투여 한계 용량인 2,000mg/kg까지 사망례가 인정되지 않아, 반수치사량 및 개략적 치사량이 각각 2,000mg/kg 이상으로 판단되며, 별 다른 독성 증상이 인정되지 않아, 비교적 안전한 약물로 판단되며, 독활 열수 추출물 2,000mg/kg 투여와 관련된 사망례, 임상 증상, 체중, 장기중량, 육안 및 조직병리학적 변화 역시 인정되지 않았다.
실시예 7 발효 독활의 관절염 관련 염증반응 억제 효능 평가
독활 발효 추출물의 염증반응 억제 효능을 분석하기 위해 사람의 단핵구 세포인 THP-1 세포주를 이용하여 관절염 염증반응과 관련되는 사이토카인 중 hTNF-alpha와 hIL-8, 그리고 관절염 통증 유발에 관련 있다고 알려지는 케모카인인 hMCP-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유산균 발효 독활 추출물 및 독활 열수 추출물은 3차 증류수에 각각 10, 30, 50, 100, 300, 500μg/ml 농도로 녹인 후 사람의 단핵구인 THP-1 세포에 시료를 처리하였고, 염증 반응 억제능을 보기위한 model로 LPS(lipopolysaccharide)를 처리하여 자극을 주었다. 처리 후 24시간째 배양 상층액을 분리한 후 ELISA를 실시하여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로 도 9a를 참조하면 주된 염증 유발물질인 LPS(Lipopolysaccharide)로 자극을 주어 처리할 경우, 독활 발효 추출물은 hTNF-alpha 생성을 농도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경향성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염증반응을 억제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의미한다. 반면에 도 9b를 참조하면 발효시키지 않은 독활 열수 추출물의 경우 동일한 농도로 처리할 경우 hTNF-alpha 생성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독활 발효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의 경우보다 우수한 염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염증반응 시 생성되는 사이토카인 중 hIL-8의 경우, 도 10a를 참조하면 복합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독활 발효 추출물은 LPS로 자극을 주어 처리할 경우 hIL-8 발현도가 처리농도 유의적으로 억제되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도 10b를 참조하면 독활 열수 추출물의 경우 hIL-8 발현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증반응 시 생성되는 케모카인 중 관절염 통증 유발과 관련이 있다고 최근 보고되어진 hMCP-1의 발현에 독활 발효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도 11a를 참조하면 독활 발효 추출물은 LPS로 염증을 유발할 경우, hMCP-1 발현을 처리 농도 유의적으로 억제 시키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독활 열수 추출물은 hMCP-1 발현에도 거의 영향을 주지 않음을 도11b에서 알 수 있다.
실시예 8 발효 독활의 MMP-9 활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in vitro)
독활 발효 추출물의 관절염시 주로 동반되는 연골조직 파괴를 억제할 수 있는 기초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MMP-9 및 2((Matrix metallopeptidase-9, 2) 활성도를 THP-1 세포주를 이용하여 젤라틴-자이모그라피(Gelatin-zymography)로 분석하였다. 0.1% 젤라틴이 포함된 나트륨 도데실 설페이트 폴리-아크릴아마이드(sodium dodecyl sulfate poly- acrylamide) 젤에서 염증반응과 관련된 MMP-9과 MMP-2를 전기영동 후 MMP-9과 MMP-2가 효소작용을 할 수 있는 조건에서 젤을 배양하여 젤라틴의 분해정도를 통해 분비된 MMP-9과 MMP-2의 활성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THP-1 세포를 1.0 x 105cells/well의 농도가 되도록 혈청이 없는 RPMI 1640 배지에 현탁하여 96-well 플레이트의 각 웰에 100 μl씩 접종한 뒤, 독활 발효 추출물 및 독활 열수 추출물을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로 자극하였다. 자극 24시간 후 분리된 상층액과 FOZ 완충용액 (4% SDS, 20% glycerol, 0.01% bromo phenol, 0.125 M Tris-Cl) 를 섞어 10% SDS polyacrylamide gel에서 전기영동 후, 2.5% Triton X-100에 젤을 40분간 넣어두어 SDS를 제거한 뒤 digestion buffer(50 mM Tris-HCl, pH 7.6, 0.15 M NaCl, 10 mM CaCl2, 0.02% NaNO3)에 젤을 침지하여 12시간동안 37℃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젤을 0.1% Coomassie Brilliant Blue R-250로 염색 및 탈색을 통해 젤라틴의 분해를 확인하였다. 도 12에서 보는바와 같이 독활 발효 추출물 300μg/ml와 500μg/m 농도로 처리시 LPS 자극이 있을시 동일 농도의 독활 열수 추출물과는 달리 MMP-9 생성을 억제시키는 경향성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유산균 발효 독활의 경우 연골 조직 파괴를 다소 저해시킬 수 있어, 관절염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MMP-2 활성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제예 1. 액제의 제조
발효물 10,000mg
설탕 200mg
이성화당 100mg
레몬향 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0ml로 맞추었다.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건강 음료의 제조
발효물 10,000mg
구연산 1000mg
올리고당 100g
메실농축액 2g
타우린 1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ml
통상의 건강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제제예 3. 건강 식품의 제조
발효물 5000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mg
비타민 E 1.0mg
비타민 B1 0.13mg
비타민 B2 0.15mg
비타민 B6 0.5mg
비타민 B12 0.2mg
비타민 C 10mg
비오틴 10mg
니코틴산아미드 1.7mg
엽산 50mg
판토텐산칼슘 0.5mg
비타민 E 1.0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 제1철 1.75mg
산화아연 0.82mg
탄산 마그네슘 25.3mg
제1인산칼륨 15mg
제2인산칼슘 55mg
구연산칼륨 90mg
탄산칼슘 100mg
염화마그네슘 24.8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제조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 제형의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이상에서 본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원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원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원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Claims (10)

  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GG, L.GG)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L.p)의 복합 유산균으로 발효된 독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은 각각 1.4x106 CFU/ml 내지 1.2x107 CFU/ml, 및 0.7x104 CFU/ml 내지 0.4x105 CFU/ml로 포함되는 것인,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은 건조세포중량을 기준으로 1:0.1 내지 0.9의 비로 포함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독활은 2 내지 6% (w/v)로 포함되는 것인,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GG, L.GG)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L.p)의 복합 유산균으로 발효된 독활 발효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건강보조식품, 기능성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로 제공되는 것인, 관절염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발효에 의해 항산화 성분 및 미네랄이 강화된 것인, 관절염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8. 독활 발효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독활에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GG, L.GG)을 접종하고 제 1 배양하는 단계; 및
    이어 상기 제 1 배양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L.p)를 추가 접종하고 제 2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유산균을 이용한 독활 발효물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양은 37℃, 100rpm에서 6일간 배양되고, 상기 제 2 배양은 33℃, 100rpm에서 4일간 배양되는 것인, 복합유산균을 이용한 독활 발효물의 제조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독활은 2 내지 6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는 각각 1.4x106 CFU/ml 내지 1.2x107 CFU/ml, 및 0.7x104 CFU/ml 내지 0.4x105 CFU/ml로 접종되는 것인, 복합유산균을 이용한 독활 발효물의 제조 방법.
KR1020140147916A 2014-10-29 2014-10-29 독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720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916A KR101720051B1 (ko) 2014-10-29 2014-10-29 독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916A KR101720051B1 (ko) 2014-10-29 2014-10-29 독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855A true KR20160052855A (ko) 2016-05-13
KR101720051B1 KR101720051B1 (ko) 2017-03-28

Family

ID=56022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7916A KR101720051B1 (ko) 2014-10-29 2014-10-29 독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0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4772A (ko) 2016-10-24 2018-05-03 주식회사 바이오포트코리아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23405A (ko) 2017-05-08 2018-11-1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95128B (zh) * 2018-04-27 2021-04-16 安徽中医药大学 一种治疗类风湿关节炎的中药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
KR102007144B1 (ko) 2019-04-26 2019-08-02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관절염의 개선 효능이 있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skb1234 신규 균주, 이의 발효 우슬 추출물, 당귀 추출물 및 두충 추출물의 혼합물의 제조방법
KR102044659B1 (ko) 2019-04-26 2019-11-13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발효 우슬 추출 복합물을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5357A (ko) * 2010-01-20 2011-07-27 경상북도(관련부서:경상북도산림생태과학원) 땅두릅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5357A (ko) * 2010-01-20 2011-07-27 경상북도(관련부서:경상북도산림생태과학원) 땅두릅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09, 125, pp.207-217*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4772A (ko) 2016-10-24 2018-05-03 주식회사 바이오포트코리아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23405A (ko) 2017-05-08 2018-11-1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051B1 (ko) 201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051B1 (ko) 독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729003B1 (ko) 황칠 추출물 또는 황칠액 발효대사체를 포함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05931B1 (ko) 혈액순환 개선 및 면역력 증진 효능을 가지는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1341263B1 (ko) 프로바이오틱 락토바실루스 존소니이 아이디씨씨 9203을 이용한 발효울금의 제조방법
TWI734322B (zh) 用於預防或治療幽門螺旋桿菌相關疾病之韓國泡菜
KR101651082B1 (ko) 갈근엑스 발효물을 함유한 간손상 보호용 조성물
KR101494664B1 (ko) 항산화 기능을 갖는 산수유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74914B1 (ko) 미네랄과 아미노산이 강화된 발효 여주 및 우엉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14014A (ko) 발효오디 또는 발효오디와 경옥고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42936A (ko) 치마버섯 분리 균사체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692889B1 (ko)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105657A (ko) 오미자 당침 발효물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고혈압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1482044B1 (ko) 하수오 및 생강 발효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A3223303A1 (en) Physiologically acceptable yeast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KR20090043758A (ko)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KR102042151B1 (ko) 고춧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JP2004201598A (ja) 発酵処理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09936B1 (ko) 천연식품 원료의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면역활성 증진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25901A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죽순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090093619A (ko)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헬리코박터조성물
KR100527103B1 (ko) 지질대사개선효능을 갖는 미생물을 함유한 성인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2006265142A (ja) 体脂肪の蓄積抑制または低減剤
KR20150085215A (ko) 흑마늘 및 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036860B1 (ko) 몰로키아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 개선용 조성물
KR102302047B1 (ko) 엉겅퀴, 민들레, 배, 아로니아 및 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