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3758A -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3758A
KR20090043758A KR1020070109491A KR20070109491A KR20090043758A KR 20090043758 A KR20090043758 A KR 20090043758A KR 1020070109491 A KR1020070109491 A KR 1020070109491A KR 20070109491 A KR20070109491 A KR 20070109491A KR 20090043758 A KR20090043758 A KR 20090043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rmis
composition
yeast
lactic acid
acid bac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9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강
김보연
강신해
이영재
이대호
이영기
박덕배
이창홍
Original Assignee
바이오허브 주식회사
사단법인 유용미생물환경센타(대표자 이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허브 주식회사, 사단법인 유용미생물환경센타(대표자 이영민) filed Critical 바이오허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9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3758A/ko
Priority to PCT/KR2008/006399 priority patent/WO2009057954A2/en
Publication of KR20090043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375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Abstract

본 발명은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진피 유래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진피, 지방간

Description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ement of Fatty Liver}
본 발명은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진피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지방간이란 정상적인 지방대사가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간에 지질, 특히 중성지방(트리클리세라이드)이 과도하게 축적되어 간세포 절반 이상에서 지방 공포(空胞)가 관찰되는 상태의 질환을 말한다.
임상적으로는 지방이 간 무게의 5%가 넘을 때를 지방간으로 분류한다.
지방간의 원인으로서는 알코올, 당뇨, 비만, 영양불량증(장기간의 저단백식, 고지방식, 기아.비타민 부족, 과잉의 당질섭취), 약물의 남용(김성훈 외, "복부초음파로 진단된 지방간의 원인" 가정의학회지 175('95.12) pp.785-794) 등이 보고 되어 있다.
지방간은 크게 콜레스테롤 지방간과 중성지방 지방간으로 분류하는데, 가장 일반적인 지방간은 중성지방이 간 내에 비정상적으로 축적된 경우의 지방간이다.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지방간 치료제로서는 레가론™(부광약품, 한국), 리카바™(유한양행, 한국), 헤파리겐™(보령제약, 한국), 헤파멜즈™(한화제약, 한국)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종래 기술로서는 지방간 치료에 제니스테인 등을 이용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028561호, 자단향 추출물을 이용하는 대한민국 특허 제0756550호 등이 예시될 수 있다.
한편, 진피는 제주 자생귤인 진귤(Citrus sunki)의 과피로서 항산화 활성, 항미생물 활성, 항염증 활성, 혈압 강하 활성 등이 보고되어 있다(Jeong WS, Park SW, Chung SK. Food Sci. Biotechnol. 6: 292~296(1997); Kim YC, Koh KS, Koh JS. Food Sci. Biotechnol. 10:483~487(2001); Cho C, Park BJ, Chung SH, Kim CB, Cha BS, Byun MW. Food Sci. Biotechnol. 13:384~386(2004); Murakami A, et al. Carcinogenesis 21:1843~1850(2000)).
본 발명자들은 진피의 다른 생리 활성으로서 지방간 개선 활성 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진피 유래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진피가 가지는 다른 생리 활성으로서 지방간 억제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실시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총 다섯 가지의 진피 유래 추출물 또는 발효물, 즉 진피의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진피의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의 물 분획물, 이 물 분획물의 젖산균 및 효모를 이용한 발효물, 진피의 자연 발효물, 및 젖산균 및 효모에 의한 쌀겨 발효물을 이용한 진피의 자연 발효물을 제조하고, 하기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각 추출물 또는 발효물이 지방간 억제 활성을 가지는가를 확인한 결과 모두 지방간 억제 활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은 아래의 (I) 내지 (Ⅳ)의 진피 유래의 추출물 또는 발효물 중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Ⅰ) 진피의 에탄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의 추출물 및 그 분획물
(Ⅱ)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젖산균 및 효모에 의한 발효물;
(Ⅲ) 진피를 자연 상태에서 발효시켜 얻어진 발효물; 및
(Ⅳ) 진피에 젖산균 및 효모에 의한 쌀겨의 발효물을 살균시켜 첨가하고, 자연 상태에서 발효시켜 얻어진 발효물.
본 명세서에서, "지방간"이란, 앞서 분류한 바의 두 가지의 유형 즉 콜레스테롤 지방간과 중성지방 지방간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지방간의 원인에 따른 유형 즉 알콜성 지방간과 비알콜성 지방간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그것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가 상기 진피 유래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이 실험동물 간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 및 중성지방의 함량을 낮추는 활성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고, 알콜성 지방간이든지과 비알콜성 지방간이든지를 불문하고 지방간은 간 내에 콜레스테롤 또는 중성지방의 축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개선"이란 증상의 예방, 증상의 경감 및 증상의 제거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이란 추출용매가 에탄올과 물의 혼합용매 즉 에탄올 수용액인 경우 이들 용매를 분리하여 얻어지는 각 용매의 분획물 즉 에탄올 분획물 또는 물 분획물을 의미한다.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는 물 분획물의 지방간 개선 활성만이 개시되어 있지만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가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이 지방간 개선 활성을 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에탄올 분획물 또한 지방간 개선 활성을 가질 것임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상기 추출물의 분획물의 의미 에는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직접적으로 그 활성이 확인된 물 분획물 뿐만 아니라 에탄올 분획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자연 상태"란 발효를 위하여 온도, 습도, CO2의 농도, 접종되는 미생물, 산소의 유무 등에 있어서 아무런 인위적인 조작을 가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자연상태에서 발효시킨다는 것은 어떠한 미생물도 인위적으로 접종됨이 없이 호기적 조건하에서 그리고 상온에서 발효가 진행됨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젖산균"이란 글루코스 등 당류를 분해하여 젖산을 생성하는 세균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젖산균은 락토바실루스속 젖산균(Lactobacillus sp .), 스트렙토코쿠스속 젖산균(Streptococcus sp .), 페디오코쿠스속 젖산균(Pediococcus sp .), 류코노스톡속 젖산균(Leuconostoc sp .) 및 비피도박테리움속 젖산균(Bifidobacterium sp .)으로 대별되는데, 상기 젖산균은 이러한 모든 젖산균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다만, 하기 실시예에서 락토바실루스속 젖산균이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젖산균은 락토바실루스속 젖산균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특히 락토바실루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효모"란 사카로마이세스 속 효모를 의미하며, 예컨대 사카로마이세스 루시(Saccharomyces rouxii),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 Sacharomyces cereviciae), 사카로마이세스 오비폴미스(Saccharomyces oviformis), 사카로마이세스 스테이네리(Saccharomyces steineri)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쌀겨"란 현미를 백미로 정미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부산물로서, 쌀눈과 호분층을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쌀눈과 호분층을 포함하는 한, 현미의 외부 껍질를 이루는 과피 및/또는 종피 그리고 외배유 및/또는 내배유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더라도 상기 쌀겨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가 보여주듯이 본 발명의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가장 활성이 높은 것은 진피에 젖산균 및 효모에 의한 쌀겨의 발효물을 살균시켜 첨가하고 자연 상태에서 발효시켜 얻어진 발효물(Ⅳ)이다. 이 발효물은 젖산균 및 효모에 의한 쌀겨의 발효물을 첨가하지 않고 진피만을 자연상태에서 발효시켜 얻어진 발효물(Ⅲ)보다도 그 활성이 훨씬 높은데, 본 발명자들은 위 발효물이 이렇게 활성이 높은 이유를 쌀겨가 젖산균 및 효모에 의해 발효될 경우에 진피의 자연상태에서의 발효를 유용한 방향으로(즉 진피의 생리 활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촉진시키는 물질이 새롭게 생성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상기 발효물(Ⅳ)을 얻기 위해서는 쌀겨의 젖산균 및 효모에 의한 발효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 때 발효를 촉진시키기 위해서 물이나 글루코스, 슈크로오스 등 탄소원이 첨가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러한 물이나 탄소원의 첨가가 없더라도 쌀겨가 가지는 수분이나 쌀겨가 가지는 탄소원이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시간을 확보하는 한 위 물이나 탄소원의 첨가가 쌀겨의 젖산균 및 효모에 의한 발효에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쌀겨의 발효물이 진피에 첨가되기 전에 살균이 이루어져야 하는 데, 이러한 살균은 비록 하기 실시예에서 소금 포화 용액을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살균 방법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쌀겨의 발효물이 진피 분말에 첨가되는 양은 진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 때 0.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0.5 중량부 이하일 경우에 상기 쌀겨 발효물의 유용한 방향으로의 발효 촉진 효과가 미미할 것이고, 10 중량부 이상일 경우에 자연 상태에서의 발효가 본 발명자들이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즉 진피의 생리 활성을 저하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상기 네 가지 진피 유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용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임의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는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20 중량 %로 포함될 것이다.
한편, 지방간은 방치될 경우 간염, 간경변증, 간암 등으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네 가지의 진피 유래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은 지방간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질병인 간염, 간경병증 또는 간암의 예방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네 가지의 진피 유래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질병의 예방을 위한 조성물로서도 파악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네 가지의 진피 유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비만"이란 그것이 유전적 요인에 의한 비만이든 또는 환경적 요인에 의한 비만이든 지방조직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를 의미하며 체질량지수의 구분에 따른 비만(BMI이 30.0 이상인 경우)과 과체중(BMI이 25~30인 경우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비만 개선제 조성물에 있어서, 그 유효성분의 바람직한 양태, 그것의 함량 등과 관련하여서는 본 발명의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가 그대로 유효하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네 가지의 진피 유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이어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다이어트"란 체중 상태가 비만이나 과체중은 아니지만 미용이나 건강 목적으로 체중/체지방의 감소가 바람직하거나 필요한 상태로서 정의된다. 통상 본 발명의 다이어트용 조성물은 정상인의 미용이나 건강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제조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이어트용 조성물에 있어서, 그 유효성분의 바람직한 양태, 그것의 함량 등과 관련하여서는 본 발명의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가 그대로 유효하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네 가지 진피 유래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세포 보호용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듯이, 상기 네 가지 진피 유래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이 비만에 의해서 유발된 글루타민산피루브산트랜스아미나아제(이하 "GPT") 및 글루타민산옥살로아세트산트랜스아미나아제(이하 "GOT")의 활성을 낮추는 활성을 지니고 있고 특히 알콜에 의해서 손상을 입은 간 세포인 HepG2의 보호 활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상기 네 가지 진피 유래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은 간 세포 보호 용도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GPT 및 GOT는 간이 비만 알콜 등이 원인이 되어 손상을 입을 경우 간으로부터 혈액 중으로 분비되기 때문에 간 기능 장애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지표로서 사용되고 있는 효소이다.
본 발명의 간 세포 보호용 조성물에 있어서도, 그것의 유효성분의 바람직한 양태, 그것의 함량 등과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바의 본 발명의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가 그대로 유효하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네 가지 진피 유래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과음 후 경험하게 되는 매스꺼움, 두통 등의 숙취(hangover) 현상은 알콜 대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알데히드 때문에 나타나는 증상이다. 일반적으로 간에는 알콜분해효소(ADH)와 알데히드분해효소(ALDH)가 존재하여 알콜이 인체에 유입되면 인체에 무해한 아세테이트로 전환되게 된다.
하기 실시에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네 가지 진피 유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은 ADH 활성과 ALDH의 활성을 촉진시킨다는 점에서 숙취 해소 용도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있어서도, 그것의 유효성분의 바람직한 양 태, 그것의 함량 등과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바의 본 발명의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가 그대로 유효하다.
한편, 본 발명의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지방간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질병의 예방용 조성물, 비만 개선제 조성물, 다이어트용 조성물 또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이하 통칭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 성분인 상기 네 가지의 진피 유래 추출물 또는 발효물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통상의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통상의 성분들이란 약품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첨가제로서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윤활제, 습윤제 등 각 용도에 적합한 성분들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성분들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85 중량% 내지 약 99.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약 90 중량% 내지 약 99.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는데, 예컨대 경구 또는 직장에의 직접 투여되거나,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등에의 주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엘렉시르제,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인체에 독성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1일 투여량이 통상 0.001 ~ 150 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껌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 보조식품, 특수 영양 보충용 식품, 기능성 음료(특히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경우)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상기 네 가지의 진피 유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이 포함되는 이외에, 포도당, 과당과 같은 단당류,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이당류, 또는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다당류가 첨가될 수 있고, 자일리톨, 소 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콜이 또한 첨가될 수 있고, 타우린,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감미제 등이 또한 첨가될 수 있으며, 나아가 여타의 식품 첨가물이 첨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이어트용 조성물,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간 세포 보호용 조성물, 숙취해소용 조성물 등도 제공된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진피 추출물, 진피 추출물의 발효물 및 진피 발효물의 제조
<실시예 1> 진피 추출물의 제조
진피를 상온에서 건조시키고 분쇄시켜 얻어진 진피 분말 100g에 80%의 에탄올 수용액 1L을 가하고 7일 동안 상온에서 추출한 후 여과(Whatman GF/C Fiter)시키고, 여과된 추출액을 감압농축 후 동결건조시켜 진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 추출물은 -20℃에서 저장되었다가 아래의 실험에 사용되었다.
<실시예 2> 진피 추출물의 제조
진피 분말 100g에 80%의 에탄올 수용액 1L을 가하고 7일 동안 상온에서 추출한 후 여과(Whatman GF/C Fiter)시키고 여과된 추출액을 회전식 농축기로 농축시켜, 상등액인 에탄올 분획을 제거하고 남은 물 분획을 동결건조시켜 진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 추출물은 -20℃에서 저장되었다가 아래의 실험에 사용되었다.
<실시예 3> 진피 추출물의 발효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진피 추출물을 고압 멸균시키고, 그 멸균된 진피 추출물 50%(w/w), 슈크로오스 5%(w/w) 및 물을 혼합한 혼합물에 5%(w/w)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ATCC 8014)(3X106 cells/mL) 및 5%(w/w)의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IFO 0203) 8014)(4X106 cells/mL)를 접종시켜 38℃에서 7일 동안 혐기적으로 발효시키고 그 발효물을 동결건조시켜 진피 추출물의 발효물을 얻었다. 이 발효물은 -20℃에서 저장되었다가 아래의 실험에 사용되었다.
<실시예 4> 진피 발효물의 제조
진피 분말 1kg에 물 0.1L를 가하고 2주 정도 자연 상태에서 발효시켜 최종적으로 수분 함량이 15%인 발효물을 얻었다. 이 발효물은 -20℃에서 저장되었다가 아래의 실험에 사용되었다.
<실시예 5> 진피 발효물의 제조
쌀겨에 5%(w/w)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ATCC 8014)(3X106 cells/mL) 및 5%(w/w)의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IFO 0203) 8014)(4X106 cells/mL)를 접종시켜 38℃에서 7일 동안 혐기적으로 발효시키고 이 발효액에 소금 포화 용액을 1:50 중량비(발효액:소금 포화 용액)로 혼합하고 소금에 의한 살균 후 여과(Whatman GF/C Fiter)시켰다. 다음으로 진피 분말 1kg에 물 0.1L를 가하고 여기에 상기 여과액을 1%(w/w) 첨가하여 상온에서 2주 정도 자연 발효시켜 최종적으로 수분 함량이 15%인 발효물을 얻었다. 이 발효물은 -20℃에서 저장되었다가 아래의 실험에 사용되었다.
< 실험예 > 비만 개선 활성 등의 실험
<실험예 1> 진피 추출물 등의 비만 개선 활성 실험
(주)대한바이오링크(서울, 대한민국)에 구입한 3주령 ICR 수컷 쥐를 고형사료와 물을 공급하면서 1주간 적응시킨 후, 체중이 비슷한 쥐를 무작위로 13 마리씩 3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정상군(Ⅰ)은 정상식이, 비만대조군(Ⅱ)은 고지방식이, 실험군(Ⅲ)은 고지방식이와 상기 각 실시예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의 혼합물(고지방식이 100중량부에 대해 각 실시예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0.2중량부로 물에 용해시켜 혼합함)을 공급하면서 97일간 한 마리씩 분리·사육하였다. 사육환경은 온도 23±2℃, 습도 50±5%, 밤과 낮을 12시간 주기로 유지시켰다.
상기에서 정상식이는 Laboratory Rodent Diet 5001(PMI Nutrition International, United States) 사료를 사용하였고, 고지방식이는 Dyets#101556(>단백질 17.7%, 지방 40%, 탄수화물 31.4%)(Dyets Inc., United States) 사료를 사용하였다.
체중은 실험 시작 시 및 97일간 사육이 끝난 후 동물체중계를 사용하여 측정 하였다. 실험 시작 시 3개 군의 39 마리 실험 쥐의 평균 체중과 97일간 사육이 끝난 후의 각 실험군의 평균 체중은 투여된 상기 각 추출물 또는 발효물 별로 아래의 <표 1> 내지 <표 7에 나타내었다. 초기 체중은 3개 군 39마리 실험쥐의 평균 체중으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1>의 추출물이 투여된 경우
구분 초기 체중(g) 최종 체중(g)
정상군(Ⅰ) 28.32±2.13 46.86±2.56
비만 대조군(Ⅱ) 52.63±7.47
실험군(Ⅲ) 50.47±5.46
*는 p<0.05이고 **는 p<0.01임.
<실시예 2>의 추출물이 투여된 경우
구분 초기 체중 최종 체중
정상군(Ⅰ) 26.59±3.25 45.46±3.21
비만 대조군(Ⅱ) 52.57±5.63
실험군(Ⅲ) 49.42±5.76
*는 p<0.05이고 **는 p<0.01임.
<실시예 3>의 발효물이 투여된 경우
구분 초기 체중 최종 체중
정상군(Ⅰ) 26.45±3.32 46.98±2.78
비만 대조군(Ⅱ) 55.45±8.28
실험군(Ⅲ) 51.52±5.37*
*는 p<0.05이고 **는 p<0.01임.
<실시예 4>의 발효물이 투여된 경우
구분 초기 체중 최종 체중
정상군(Ⅰ) 28.58±2.31 47.59±2.47
비만 대조군(Ⅱ) 59.27±4.42
실험군(Ⅲ) 52.21±2.31**
*는 p<0.05이고 **는 p<0.01임.
<실시예 5>의 발효물이 투여된 경우
구분 초기 체중 최종 체중
정상군(Ⅰ) 28.32±3.92 46.27±2.43
비만 대조군(Ⅱ) 58.92±3.25
실험군(Ⅲ) 47.82±3.56**
*는 p<0.05이고 **는 p<0.01임.
상기 <실시예 1 및 2>의 추출물이 급여된 경우 실험군의 체중이 비만 대조군의 체중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저하되기는 하였으나 유의차는 없었고, <실시예 3 내지 5>의 발효물이 급여된 경우에는 실험군의 체중이 비만 대조군의 체중에 비하여 유의차 있게 감소하였다. 특히 <실시예 5>의 발효물이 투여된 경우가 가장 체중 감소 효과가 높았다.
<실험예 2> 숙취 해소 활성 실험
상기 각 실시예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이 숙취 해소 활성을 가지는가를 알콜탈수소화효소(ADH)와 알데히드탈수소화효소(ALDH) 활성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ADH 및 ALDH의 활성은 보스티안 등의 방법(Bostian KA, et al. Biochem. J. 173:787-798(1978))을 약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ADH 분획 및 ALDH 분획을 S9 랫드 간 균질화물(Moltox Co., Boone, Nc, USA)로부터 얻었고, ADH 활성 분석을 위한 반응 혼합물은 1.4 ㎖의 증류수, 0.75 ㎖의 1M Tris-HCl(pH 8.8), 0.3 ㎖의 20mM NAD+, 0.3 ㎖의 에탄올, 0.15 ㎖의 ADH 분획, 및 시료 0.3㎖로 이루어져 있고, ALDH 활성 분석을 위한 반응 혼합물은 2.1 ㎖의 증류수, 0.3 ㎖의 1M Tris-HCl(pH 8.8), 0.1 ㎖의 20mM NAD+, 0.1 ㎖의 3M KCl, 0.1 ㎖의 0.33 M 2-머르캅토에탄올, 0.1 ㎖의 ALDH 분획, 및 시료 0.3㎖로 이루어져 있다.
활성의 측정은 30℃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NAD+로부터 NADH의 생성 비율을 340nm에서의 흡광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결과를 아래의 <표 6>에 나타내었다.
ADH 및 ALDH의 활성(relative unit)
구분 ADH 활성 ALDH 활성
CTL 1±0.18 1±0.13
<실시예 1>의 추출물 1.5±0.12** 1.3±0.07**
<실시예 2>의 추출물 1.7±0.11** 1.3±0.10**
<실시예 3>의 발효물 2.3±0.09** 1.8±0.04**
<실시예 4>의 발효물 2.4±0.08** 2.0±0.07**
<실시예 5>의 발효물 3.1±0.11** 2.7±0.09**
CTL은 무처리군으로서 음성 대조군이고 *는 p<0.05이고 **는 p<0.01임.
상기 각 실시예의 추출물 또는 발효물 모두 유의차 있게 ADH 및 ALDH의 활성을 높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앞서 결과와 유사하게 <실시예 5>의 발효물이 ADH 및 ALDH의 활성을 가장 현저하게 높였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간세포 HepG2 의 보호 활성 실험
상기 각 실시예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의 간세포 HepG2 보호 활성을 MTT assay로 측정하였다.
HepG2 세포는 (주)대한바이오링크(서울, 대한민국)에서 구입하였으며, 세포는 10% FBS가 포함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5% CO2가 유지되는 humidified incubator에서 배양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은 Parrizas 등의 방법(Parrizas M, et al. J. Biol. Chem. 272:154~161(1997))에 따랐는데, 먼저 24-well 배양 접시에 세포를 접종하고 상기 각 실시예의 추출물 또는 발효물(무처리, 0.125mg/mL, 0.5mg/mL 및 1.0 mg/mL)을 농도별로 30분 동안 처리한 후 5% 에탄올을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다음 배양액을 제거하고 200㎖의 MTT 시약(Sigma, St. Louis, MO, USA)를 처리하여 37℃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상기 MTT 시약과 동일 양의 2-프로판올을 첨가하여 세포를 용해시켜 발색 반응을 유도한 후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7> 내지 <표 1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의 추출물을 처리한 한 경우의 MTT activity
구분 MTT activity(A570)
CTL 0.261±0.052
0 mg/mL + 5% 에탄올 0.062±0.041
0.125 mg/mL + 5% 에탄올 0.063±0.021
0.5 mg/mL + 5% 에탄올 0.065±0.013
1 mg/mL + 5% 에탄올 0.175±0.021**
CTL은 무처리군이고 *는 p<0.05이고 **는 p<0.01임.
<실시예 2>의 추출물을 처리한 한 경우의 MTT activity
구분 MTT activity(A570)
CTL 0.261±0.052
0 mg/mL + 5% 에탄올 0.062±0.041
0.125 mg/mL + 5% 에탄올 0.064±0.014
0.5 mg/mL + 5% 에탄올 0.064±0.043
1 mg/mL + 5% 에탄올 0.194±0.051**
CTL은 무처리군이고 *는 p<0.05이고 **는 p<0.01임.
<실시예 3>의 발효물을 처리한 한 경우의 MTT activity
구분 MTT activity(A570)
CTL 0.261±0.052
0 mg/mL + 5% 에탄올 0.062±0.041
0.125 mg/mL + 5% 에탄올 0.069±0.011
0.5 mg/mL + 5% 에탄올 0.109±0.012
1 mg/mL + 5% 에탄올 0.362±0.015**
CTL은 무처리군이고 *는 p<0.05이고 **는 p<0.01임.
<실시예 4>의 발효물을 처리한 한 경우의 MTT activity
구분 MTT activity(A570)
CTL 0.261±0.052
0 mg/mL + 5% 에탄올 0.062±0.041
0.125 mg/mL + 5% 에탄올 0.113±0.014*
0.5 mg/mL + 5% 에탄올 0.141±0.032**
1 mg/mL + 5% 에탄올 0.374±0.012**
CTL은 무처리군이고 *는 p<0.05이고 **는 p<0.01임.
<실시예 5>의 발효물을 처리한 한 경우의 MTT activity
구분 MTT activity(A570)
CTL 0.261±0.052
0 mg/mL + 5% 에탄올 0.062±0.041
0.125 mg/mL + 5% 에탄올 0.156±0.014**
0.5 mg/mL + 5% 에탄올 0.172±0.052**
1 mg/mL + 5% 에탄올 0.453±0.017**
CTL은 무처리군이고 *는 p<0.05이고 **는 p<0.01임.
상기 각 실시예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이 처리된 경우에 적어도 1mg/mL의 농도에서는 모두 유의차가 인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도 <실시예 5>의 발효물이 간 세포 보호 활성이 가장 높았다.
<실험예 4> 지방간 개선 활성 실험
상기 각 실시예의 추출물 또는 발효물의 지방간 개선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1>에서 사육이 종료된 실험쥐의 간 조직의 지질 농도와 간 손상 지표 효소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4-1> 간 조직의 지질 농도 분석
실험물질 투여에 따른 간의 지질 농도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상기 <실험예 1>에서 실험이 종료된 각 실험군의 쥐를 도살하여 간을 적출한 다음 상기 적출한 간을 생리식염수로 세척한 후, 폴치 등의 방법(Folch J. et al., J. Biol. Chem., 226:497-509, 1957)에 따라, 간을 곱게 갈아 균질용 튜브에 넣고 초음파 세포막 분쇄기로 세포막을 파괴하고 클로로포름과 메탄올(클로로포름:메탄올=2:1)의 혼합액으로 지질을 추출하였다. 그 다음 상기 추출액을 2000rpm에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고 상기 상등액을 시료로 하여 간에 함유된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농도를 측정하였다.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시판 키트(AM202-K, 아산제약 (주))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5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검량선에 준해 그 함량을 ㎎/㎗로 표시하였다. 중성지방 함량은 시판 키트(AM 157S-K, 아산제약 (주))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검량선에 준해 그 함량을 ㎎/㎗로 표시하였다.
실험 결과를 하기 <표 12> 내지 <표 1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의 추출물 투여군의 간 조직의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농도
구분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농도(㎎/㎗)
정상군(Ⅰ) 39.78±3.24 3.1±0.9
비만 대조군(Ⅱ) 74.62±1.17 8.2±0.6
실험군(Ⅲ) 63.21±2.35** 7.1±0.4**
*는 p<0.05이고 **는 p<0.01임.
<실시예 2>의 추출물 투여군의 간 조직의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농도
구분 중성지방 ㎎/㎗ 총 콜레스테롤 농도 ㎎/㎗
정상군(Ⅰ) 38.57±3.68 3.2±0.8
비만 대조군(Ⅱ) 72.75±3.43 7.9±0.7
실험군(Ⅲ) 64.41±3.23** 6.8±0.7**
*는 p<0.05이고 **는 p<0.01임.
<실시예 3>의 발효물 투여군의 간 조직의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농도
구분 중성지방 ㎎/㎗ 총 콜레스테롤 농도 ㎎/㎗
정상군(Ⅰ) 37.57±4.15 2.9±0.9
비만 대조군(Ⅱ) 73.73±2.76 8.3±0.4
실험군(Ⅲ) 55.84±1.24** 5.7±0.9**
*는 p<0.05이고 **는 p<0.01임.
<실시예 4>의 발효물 투여군의 간 조직의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농도
구분 중성지방 ㎎/㎗ 총 콜레스테롤 농도 ㎎/㎗
정상군(Ⅰ) 39.53±2.57 3.0±0.6
비만 대조군(Ⅱ) 71.72±4.02 8.2±0.7
실험군(Ⅲ) 52.31±3.27** 5.5±0.8**
*는 p<0.05이고 **는 p<0.01임.
<실시예 5>의 발효물 투여군의 간 조직의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농도
구분 중성지방 ㎎/㎗ 총 콜레스테롤 농도 ㎎/㎗
정상군(Ⅰ) 35.05±5.17 2.8±1.1
비만 대조군(Ⅱ) 75.04±1.27 8.4±0.6
실험군(Ⅲ) 41.35±1.29** 3.7±0.9**
*는 p<0.05이고 **는 p<0.01임.
상기 각 실시예의 추출물 또는 발효물 모두 간 조직의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농도를 저하시키는 활성을 갖고 있다. 여기서도 가장 활성이 높은 것은 <실시예 5>의 발효물이다.
<3-2> 간 기능 지표 효소의 활성도 분석
간 조직 손상 정도의 지표 효소로 이용되고 있는 GPT 및 GOT의 수치는 97일 간의 실험이 끝난 다음 혈장을 분리하여 분석용 키트(아산제약,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실험 결과를 하기 <표 17> 내지 <표 2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의 추출물 투여군의 간 기능 지표 효소의 활성도
구분 GPT(IU/L) GOT(IU/L)
정상군(Ⅰ) 37.84±4.23 67.45±3.27
비만 대조군(Ⅱ) 63.74±2.34 113.46±1.55
실험군(Ⅲ) 57.56±1.32 90.37±3.21**
*는 p<0.05이고 **는 p<0.01임.
<실시예 2>의 추출물 투여군의 간 기능 지표 효소의 활성도
구분 GPT(IU/L) GOT(IU/L)
정상군(Ⅰ) 36.26±2.54 65.64±4.54
비만 대조군(Ⅱ) 65.21±1.67 116.56±5.21
실험군(Ⅲ) 57.05±3.35 84.57±5.32**
*는 p<0.05이고 **는 p<0.01임.
<실시예 3>의 발효물 투여군의 간 기능 지표 효소의 활성도
구분 GPT(IU/L) GOT(IU/L)
정상군(Ⅰ) 37.54±3.15 68.94±5.23
비만 대조군(Ⅱ) 62.42±3.17 113.65±4.87
실험군(Ⅲ) 52.21±2.23 80.65±1.21**
*는 p<0.05이고 **는 p<0.01임.
<실시예 4>의 발효물 투여군의 간 기능 지표 효소의 활성도
구분 GPT(IU/L) GOT(IU/L)
정상군(Ⅰ) 39.27±1.53 69.42±2.32
비만 대조군(Ⅱ) 65.21±1.34 116.45±6.64
실험군(Ⅲ) 53.34±2.37 81.75±5.67**
*는 p<0.05이고 **는 p<0.01임.
<실시예 5>의 발효물 투여군의 간 조직의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농도
구분 GPT(IU/L) GOT(IU/L)
정상군(Ⅰ) 37.94±2.75 65.54±3.56
비만 대조군(Ⅱ) 62.31±3.52 119.76±2.43
실험군(Ⅲ) 38.87±4.25 69.43±1.69**
*는 p<0.05이고 **는 p<0.01임.
상기 각 실시예의 추출물 또는 발효물 모두가 GPT 및 GOT 활성을 낮춤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5>의 발효물이 가장 효과가 높다.
통계 처리
상기 모든 실험 결과는 Mean±SD로 나타낸 값이다. 각 실험군에 대해서 ANOVA 분석을 실시하고, Duncan 테스트로 유의차를 검증하였다.

Claims (23)

  1. 아래의 (I) 내지 (Ⅳ) 중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I) 진피의 에탄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의 추출물 및 그 분획물
    (Ⅱ)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젖산균 및 효모에 의한 발효물;
    (Ⅲ) 진피를 자연 상태에서 발효시켜 얻어진 발효물; 및
    (Ⅳ) 진피에 젖산균 및 효모에 의한 쌀겨의 발효물을 살균시켜 첨가하고, 자연 상태에서 발효시켜 얻어진 발효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젖산균이란 락토바실루스속 젖산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속 효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쌀겨의 발효물이 진피에 첨가되는 양은 진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 때 0.5 중량부 내지 내지 1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5. 아래의 (I) 내지 (Ⅳ) 중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제 조성물;
    (I) 진피의 에탄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의 추출물 및 그 분획물
    (Ⅱ)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젖산균 및 효모에 의한 발효물;
    (Ⅲ) 진피를 자연 상태에서 발효시켜 얻어진 발효물; 및
    (Ⅳ) 진피에 젖산균 및 효모에 의한 쌀겨의 발효물을 살균시켜 첨가하고, 자연 상태에서 발효시켜 얻어진 발효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젖산균이란 락토바실루스속 젖산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개선제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속 효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개선제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쌀겨의 발효물이 진피에 첨가되는 양은 진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 때 0.5 중량부 내지 내지 1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개선제 조성물.
  9. 아래의 (I) 내지 (Ⅳ) 중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이어트용 조성물;
    (I) 진피의 에탄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의 추출물 및 그 분획물
    (Ⅱ)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젖산균 및 효모에 의한 발효물;
    (Ⅲ) 진피를 자연 상태에서 발효시켜 얻어진 발효물; 및
    (Ⅳ) 진피에 젖산균 및 효모에 의한 쌀겨의 발효물을 살균시켜 첨가하고, 자연 상태에서 발효시켜 얻어진 발효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젖산균이란 락토바실루스속 젖산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용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속 효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용 조성물.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쌀겨의 발효물이 진피에 첨가되는 양은 진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 때 0.5 중량부 내지 내지 1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용 조성물.
  13. 아래의 (I) 내지 (Ⅳ) 중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세포 보호용 조성물;
    (I) 진피의 에탄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의 추출물 및 그 분획물
    (Ⅱ)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젖산균 및 효모에 의한 발효물;
    (Ⅲ) 진피를 자연 상태에서 발효시켜 얻어진 발효물; 및
    (Ⅳ) 진피에 젖산균 및 효모에 의한 쌀겨의 발효물을 살균시켜 첨가하고, 자 연 상태에서 발효시켜 얻어진 발효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젖산균이란 락토바실루스속 젖산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세포 보호용 조성물.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속 효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세포 보호용 조성물.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쌀겨의 발효물이 진피에 첨가되는 양은 진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 때 0.5 중량부 내지 내지 1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세포 보호용 조성물.
  17. 아래의 (I) 내지 (Ⅳ) 중 어느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I) 진피의 에탄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의 추출물 및 그 분획물
    (Ⅱ)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젖산균 및 효모에 의한 발효물;
    (Ⅲ) 진피를 자연 상태에서 발효시켜 얻어진 발효물; 및
    (Ⅳ) 진피에 젖산균 및 효모에 의한 쌀겨의 발효물을 살균시켜 첨가하고, 자연 상태에서 발효시켜 얻어진 발효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젖산균이란 락토바실루스속 젖산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속 효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쌀겨의 발효물이 진피에 첨가되는 양은 진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 때 0.5 중량부 내지 내지 1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2.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음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70109491A 2007-10-30 2007-10-30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KR2009004375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491A KR20090043758A (ko) 2007-10-30 2007-10-30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PCT/KR2008/006399 WO2009057954A2 (en) 2007-10-30 2008-10-30 Composition for improvement of fatty l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491A KR20090043758A (ko) 2007-10-30 2007-10-30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758A true KR20090043758A (ko) 2009-05-07

Family

ID=40591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9491A KR20090043758A (ko) 2007-10-30 2007-10-30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90043758A (ko)
WO (1) WO2009057954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2178A1 (ko) * 2011-08-10 2013-02-14 대구한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 또는 미발효된 금은화 및 진피 혼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326271B1 (ko) * 2011-08-18 2013-11-11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진피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그 진피 발효 추출물
WO2016126008A1 (ko) * 2015-02-02 2016-08-11 홍삼나라(주) 지방배출 효능의 천연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95128A (zh) * 2021-11-16 2022-02-01 浙江省柑橘研究所 一种高黄酮利用度的柑橘乳酸菌胶囊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9690A (ja) * 1997-07-30 1999-02-23 Fuji Sangyo Kk 脂肪分解促進用組成物
KR19990076178A (ko) * 1998-03-28 1999-10-15 박호군 헤스페리딘을 포함하는 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03998B1 (ko) * 2006-02-02 2008-02-18 플러스월드 주식회사 진피발효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건강기능식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2178A1 (ko) * 2011-08-10 2013-02-14 대구한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 또는 미발효된 금은화 및 진피 혼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344189B1 (ko) * 2011-08-10 2014-01-23 영농조합법인 이도 발효 또는 미발효된 금은화 및 진피 혼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26271B1 (ko) * 2011-08-18 2013-11-11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진피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그 진피 발효 추출물
WO2016126008A1 (ko) * 2015-02-02 2016-08-11 홍삼나라(주) 지방배출 효능의 천연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57954A2 (en) 2009-05-07
WO2009057954A3 (en) 201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072B1 (ko) 황칠나무 발효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0847104B1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AU2004276123B2 (en) Fermentation and culture method, fermented plant extract, fermented plant extract powder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fermented plant extract
KR20150110378A (ko) 후발효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30483B1 (ko) 발효 청미래덩굴 잎 및 이의 추출물
KR100787633B1 (ko) 간 기능 개선과 숙취해소용 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914344B1 (ko) 발효보리, 발효배즙, 발효콩 및 발효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력과 주름 개선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2616A (ko)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1720051B1 (ko) 독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090043758A (ko)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KR100710275B1 (ko) 바실러스속 미생물을 이용한 대두피 또는 흑두피 발효방법,그리고 및 대두피 또는 흑두피 발효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819026B1 (ko) 제주도 자생식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위 손상 억제, 알코올 흡수 억제 또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CN111867402A (zh) 具有肝功能改善活性的蘑菇复合菌丝体组合物及其制造方法
KR20180042936A (ko) 치마버섯 분리 균사체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JP2018145161A (ja) 血圧上昇抑制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16610A (ko)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KR101228554B1 (ko) 진피발효생성방법 및 이에 의한 진피발효생성물
KR101592938B1 (ko) 기호성이 향상된 항비만 건강기능성 발효콩 음료
KR20130079146A (ko)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JP2005213211A (ja) 血糖値上昇抑制剤
CN102596214A (zh) 改善脂肪肝的组合物
KR101672098B1 (ko) 발효 쌀뜨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JP5684989B2 (ja) トゲドコロ根茎の酵素処理物及び麹菌発酵処理物
KR20220098594A (ko)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또는 알레르기성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93481A (ko) 찹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