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2616A -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2616A
KR20150132616A KR1020140058145A KR20140058145A KR20150132616A KR 20150132616 A KR20150132616 A KR 20150132616A KR 1020140058145 A KR1020140058145 A KR 1020140058145A KR 20140058145 A KR20140058145 A KR 20140058145A KR 20150132616 A KR20150132616 A KR 20150132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piose
fermented
present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8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5548B1 (ko
Inventor
강태훈
김정옥
박진우
장호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토메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토메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토메카
Priority to KR1020140058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548B1/ko
Publication of KR20150132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2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역증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유효성분으로서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약제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및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은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 내에서 면역증강인자인 NO, TNF-α, IL-1β 및 IL-6의 유전자 또는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켜서 이들의 생성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마우스 비장세포의 증식과 마우스 비장 내 T-림프구 및 B-림프구의 증식 촉진효과를 나타내는바, 면역증강 효능을 갖는 의약품, 식품 및 사료첨가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안전한 물질로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체에 부작용 없이 장기적 사용에도 안전한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e response comprising extract of Apios americana Medikus or fermented extract of the same}
본 발명은 면역증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유효성분으로서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약제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및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면역은 자기 자신과 외부로부터 침입해 오는 각종 물질을 구별해 내어 외부 물질을 배제함으로써, 자기 자신을 보호하는 복잡한 생물학적 현상이다. 면역은 크게 태어날 때부터 선천적으로 지니게 되는 선천성 면역(innate immunity)과 후천적으로 지니게 되는 획득면역(acquired immunity)으로 구분된다.
선천성 면역은 항원에 대해 비특이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에 ‘비특이적 면역(nonspecific immunity)’ 또는 ‘자연면역’이라고도 불리며, 항원의 침입을 차단하는 피부, 기도의 섬모, 위액, 혈액에 존재하는 보체, 인터페론(interferon), 라이소좀(lysosome), 락토페린(lactoferrin) 등이 이에 속한다. 선천성 면역의 세포성 인자로는 식균작용을 담당하는 대식세포(macrophage), 다핵형 백혈구(polymorpho nuclear leukocyte) 및 자연살해세포(natural killer cell) 등이 있으며, 실제 대부분의 감염은 선천성 면역에 의해 방어된다고 알려져 있다.
획득면역은 처음 침입한 항원을 기억하였다가 다시 침입할 시, 특이적으로 반응하여 효과적으로 항원을 제거하는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특이적 면역(specific immunity)’이라 불리며, 선천성 면역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획득면역은 림프구(lymphocyte)가 관여하며, B-림프구(B lymphocyte)과 관여하는 체액성 면역과 T-림프구(T lymphocyte)가 관여하는 세포성 면역으로 나뉜다.
대식세포는 선천성 면역을 담당하는 주요 세포성 인자로, 골수에서 생성된다. 대세포는 하등동물에서부터 고등동물에 이르기까지 체내의 모든 조직에 분포하고 있으며, 이물질, 세균, 바이러스, 체내 노폐물 등을 포식하여 소화하는 식작용과 항원 특이 림프구에 항원을 전달하는 항원 전달작용을 통하여 생체면역기능 유지에 관여한다. 대식세포는 일산화질소(nitric oxide, 이하 간략하게 ‘NO’라 함)나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α, 이하 간략하게 ‘TNF-α’라 함), 인터루킨-1β(IL-1β), 인터루킨-6(IL-6), 인터페론-γ(IFN-γ) 등과 같은 사이토카인을 생산하여 탐식된 이물질을 분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발효는 미생물이 가지고 있는 효소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시켜서 인간 생활에 유용한 물질을 제조하는 일종의 생물전환 과정을 일컫는다. 일반적으로 식물에 존재하는 생리활성물질들 대부분은 당과 결합하여 고분자 물질 형태로 존재하지만, 미생물 발효 과정을 거치게 되면 고분자 형태의 물질이 저분자 형태로 전환되어 체내 흡수율이 증가됨은 물론 기존의 불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되어 생체 이용률 또한 크게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유산균, 고초균, 효모 등과 같은 미생물을 이용하는 발효는 천연 식물소재의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좋은 방편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실제로 다양한 식품 및 화장품 산업 전반에 걸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면역체계 이상에 따른 면역력의 저하는 본래 우리 몸이 가지고 있는 자연치유기능을 점차 약화시켜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 비염, 두드러기, 과민성 폐렴, 중이염, 허약체질, 식욕부진, 성장장애, 집중력 저하, 잦은 감기 등과 같은 다양한 질환 또는 증상을 유발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면역력 증진이 요구되지만, 면역력은 개인별로 차이가 있어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현재까지 면역증진을 목적으로 한 다양한 치료제 또는 보조제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으나, 장기간 복용에 따른 부작용을 이유로 치료제보다는 상대적으로 안전한 보조제, 특히 천연보조제의 사용이 보다 바람직한 방안으로 지목되어,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아피오스(학명 Apios americana Medikus)는 콩과에 속하는 덩굴성 다년생 초본으로, 원산지는 북미 동부의 온대 및 아열대 지역이며, 예로부터 북미 인디언들이 식용으로 많이 섭취한 탓에 ‘인디언 감자’라고도 불린다. 아피오스는 아시아 지역에서는 일본에 먼저 도입되어 건강식품으로 이용되다가, 최근에는 국내에도 도입되어 새로운 농가소득 작물로 활발히 재배되고 있다. 아피오스는 지상부에 꽃과 잎을, 지하부에 덩이줄기 모양의 괴경을 형성하는데, 이 중 괴경이 식용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아피오스의 주성분은 전분, 단백질, 수분이며, 그밖에 사포닌, 칼슘, 철분, 식이섬유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천연칼슘제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아피오스는 자양강장, 만성변비, 고혈압, 당뇨병, 비만, 아토피질환, 피부노화방지 및 관절통증 경감 등 다양한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면역력 증강과 관련하여서는 어떠한 과학적 입증도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약 500종의 천연물 유래 추출물로부터 면역증강용 소재를 발굴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던 중 본 발명의 아피오스 추출물이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 내에서 면역증강인자로 알려진 NO, TNF-α, IL-1β 및 IL-6의 유전자 또는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켜서 이들의 생성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마우스 비장세포의 증식과 마우스 비장 내 T-림프구 및 B-림프구의 증식 촉진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아피오스를 고초균 또는 효모 등과 같은 식용가능한 미생물로 발효한 뒤 추출하여 수득한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이, 아피오스 추출물보다 우수한 면역증강 효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79404호 한국등록특허 제10-1374536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37899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31490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간 사용에도 인체에 안전하면서 면역증대 효과가 우수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기간 사용에도 인체에 안전하면서 면역증대 효과가 우수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기간 사용에도 인체에 안전하면서 면역증대 효과가 우수한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기간 사용에도 생체에 안전하면서 면역세포의 기능을 증가시켜 질병감염에 대한 저항성을 높일 수 있는 사료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피오스는 잎 또는 괴경 부위의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물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은 아피오스의 잎 또는 괴경에 식용가능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후 상기 발효물을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용가능 미생물은 고초균 또는 효모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은 일산화질소(NO)의 생성 증가 효과; TNF-α, IL-1β 및 IL-6의 유전자 발현 증대 효과; 비장세포 증식촉진 효과; 및 비장 내 T-림프구와 B-림프구의 증식 촉진 활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은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 내에서 면역증강인자인 NO, TNF-α, IL-1β 및 IL-6의 유전자 또는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켜서 이들의 생성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마우스 비장세포의 증식과 마우스 비장 내 T-림프구 및 B-림프구의 증식 촉진효과를 나타내는바, 면역증강 효능을 갖는 의약품, 식품 및 사료첨가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안전한 물질로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체에 부작용 없이 장기적 사용에도 안전한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 처리에 따른 Raw264.7 세포에서의 NO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 처리에 따른 Raw264.7 세포에서의 iNOS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 정도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 처리에 따른 Raw264.7 세포에서의 TNF-α, IL-1β 및 IL-6 유전자 발현 정도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 처리에 따른 마우스 비장세포 증식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 처리에 따른 마우스 비장 내 T-림프구 및 B-림프구 증식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피오스’는 『Apios americana Medikus』라는 학명을 갖는 콩과에 속하는 덩굴성 다년생 초본으로, 원산지는 북미 동부의 온대 및 아열대 지역이지만, 일본을 거쳐 최근에는 농가소득을 위한 새로운 작물로 국내에 소개되어 활발히 재배되고 있다. 아피오스는 지하부에 덩이줄기모양의 괴경을 형성하는데, 예로부터 북미 인디언들이 이를 식용으로 많이 이용한 탓에 ‘인디언 감자’라고도 불린다. 아피오스의 주성분은 전분, 단백질, 수분이며, 그밖에 사포닌, 칼슘, 철분, 식이섬유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천연칼슘제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아피오스는 자양강장, 만성변비, 고혈압, 당뇨병, 비만, 아토피질환, 피부노화방지 및 관절통증 경감 등 다양한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면역력 증강과 관련하여서는 어떠한 과학적 입증도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약 500종의 천연물 유래 추출물로부터 면역증강용 소재를 발굴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던 중, 아피오스의 추출물과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이 대식세포에서 면역증대와 관련된 일산화질소(NO)의 생성 촉진, TNF-α, IL-1β 및 IL-6의 유전자 발현 증대 효과와 더불어 면역세포(T-림프구와 B-림프구)의 생성을 촉진시킴으로써 생체 면역력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으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아피오스로부터 추출한 것이며, 예를 들어, 아피오스의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건조된 아피오스(잎 또는 괴경)의 열수 추출 또는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아피오스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아피오스 추출물이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인 경우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아피오스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피오스 추출물은 상기한 열수 추출 또는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된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아피오스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피오스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아피오스 추출물은 건조된 아피오스 잎 또는 괴경 부위를 각각 100g씩 잘게 세절한 다음, 용매로서 증류수 또는 70% 에탄올을 첨가하여 환류 추출하는 단계; 추출 여액을 여과한 후 감압 증류하여 농축시키는 단계; 및 농축된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은 아피오스에 발효 미생물을 적용하여 발효시킨 발효물에 용매를 첨가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의 추출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용매는 상기에서 살펴본 아피오스 추출물과 동일하며, 예를 들어,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물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은 건조된 아피오스 잎 또는 괴경 부위를 각각 100g씩 분쇄한 후 증류수를 첨가하여 고온에서 멸균하는 단계; 멸균된 아피오스 잎 또는 괴경에 발효 미생물을 접종하여 배양하는 단계; 상기 발효물에 증류수 또는 70% 에탄올을 첨가하여 환류 추출하는 단계; 추출 여액을 여과한 후 감압 증류하여 농축시키는 단계; 및 농축된 여액을 동결 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발효 미생물은 고초균 또는 효모균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하기 실험에서는 고초균으로 바실러스 섭틸리스 KCTC No. 3617, 효모로 사카로미세스속 KCTC No. 7169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일 수 있으며, 이러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은 조성물에 0.1μg/ml 내지 1000μg/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으며, 또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 99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면역증대의 용도로서 면역증강제, 백신의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좌제(adjuvants) 첨가물, 치료효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보조치료제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식품 조성물일 수 있는데, 이러한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은 천연물질로서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면역증진/증강/증대를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면역증강을 목적으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을 또한,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가축에 급여하는 경우, 대식세포 내에서 면역증강인자인 NO, TNF-α, IL-1β 및 IL-6의 유전자 또는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켜서 이들의 생성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비장세포의 증식과 더불어 비장 내 T-림프구 및 B-림프구를 효과적으로 증식시킬 수 있는바, 가축의 면역력 증진 용도의 기능성 사료첨가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증진용 사료첨가제는 유효성분으로서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 이외에 종래 면역증진의 기능성이 알려진 지네 추출물, 갈근 추출물, 홍삼 추출물 등과 같은 소재를 1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시예 1>
본 발명의 아피오스 추출물 제조
본 발명에 사용된 아피오스의 잎과 괴경(덩이모양의 땅속 뿌리줄기)은 경상남도 사천시 소재의 해당작물 재배농가에서 구입하였다.
<1-1> 아피오스 잎 추출물 제조
건조된 아피오스 잎 100 g을 잘게 세절한 후, 증류수 1,000 ㎖를 첨가하여 3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지 (Whatman, Dassel, Germany)로 여과한 후, 통상의 농축기 (EYELA, Japan)를 사용하여 60℃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이후 농축액을 동결·건조하여 건조중량으로 아피오스 잎 추출물 29.7 g을 얻은 다음, 이를 하기의 실험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1-2> 아피오스 괴경 추출물 제조
건조된 아피오스 괴경 100 g을 잘게 세절한 후, 70%(v/v) 에탄올 1,000 ㎖를 첨가하여 3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지 (Whatman, Dassel, Germany)로 여과한 후, 통상의 농축기 (EYELA, Japan)를 사용하여 60℃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이후 농축액을 동결·건조하여 건조중량으로 아피오스 괴경 추출물 20.1 g을 얻은 다음, 이를 하기의 실험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본 발명의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 제조
본 발명의 발효에 사용된 미생물인 고초균 (Bacillus subtilis; KCTC No. 3617)과 효모 (Saccharomyces; KCTC No. 7169)는 대한민국 대전시 소재의 미생물자원센터에서 분양받았다. 건조된 아피오스 잎과 괴경을 각각 100 g씩 분쇄한 후, 증류수 100 ㎖를 첨가하여 121℃에서 15분간 멸균하였다. 멸균된 아피오스 잎과 괴경을 충분히 식힌 후, YM 배지 (BD Bioscience, USA)에서 24시간 배양한 고초균 또는 효모 각각을 5%(v/v) 농도로 접종하여 30℃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이후 고초균 또는 효모에 의해 발효된 아피오스 잎은 증류수 1,000 ㎖를 첨가하여 3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였으며, 아피오스 괴경은 70%(v/v) 에탄올 1,000 ㎖를 첨가하여 3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지로 여과한 후, 통상의 농축기를 사용하여 60℃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이후 농축액을 동결·건조하여 건조중량으로 고초균으로 발효된 아피오스 잎 추출물 32.2g, 효모로 발효된 아피오스 잎 추출물 29.8g, 고초균으로 발효된 아피오스 괴경 추출물 23g, 효모로 발효된 아피오스 괴경 추출물 21.5g 등 총 4종을 각기 얻은 다음, 이를 하기의 실험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 실험예 1>
일산화질소( NO ) 생성량 측정
대식세포는 면역반응에서 가장 먼저 반응하는 세포로, 대식세포가 활성화되면 일산화질소(NO)나 TNF-α, IL-1β, IL-6 등과 같은 싸이토카인을 분비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아피오스 추출물 및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이 대식세포의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마우스 대식세포주 (Raw264.7 cell; ATCC, USA)를 96 웰 플레이트에 1×105 cells/well로 접종한 후, 10%(v/v) 우태아혈청(FBS; Gibco BRL, Rockville, MD, USA)이 함유된 DMEM 배지 (Gibco BRL, Rockville, MD, USA)를 이용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12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2종의 아피오스 추출물 및 4종의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 각각을 농도별 (0, 10, 25, 50, 100 및 200 ㎍/ml)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에 동일한 양의 Griess reagent (1% sulfanilamide 및 0.1% N-[1-naphthy]-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 in 5% phosphoric acid)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 (BIO-TEK Instruments Inc., Power wave X340, Winooski, VT, USA)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O 농도는 NaNO2 표준액을 이용하여 정량곡선을 작성한 후, 이를 기준으로 계산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 Sigma Aldrich, St. Louis, MO, USA)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1a와 1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아피오스 추출물 처리군 및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 처리군 등 총 6종의 시험군 모두에서 일산화질소(NO) 생성이 증가되었으며, 아피오스 괴경 추출물 처리군에 비해 아피오스 잎 추출물 처리군의 NO 생성촉진 효과가 더 우수하였다. 또한 4종의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 처리군 모두 아피오스 추출물 처리군보다 우수한 NO 생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고초균으로 발효한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 처리군이 효모로 발효한 추출물 처리군보다 우수한 NO 생성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실시예 1 및 2를 통해 제조된 본 발명의 아피오스 추출물과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 모두가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키며, 더욱이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의 대식세포 활성화 정도가 더욱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2>
일산화질소 생성효소( iNOS ) 단백질 발현량 측정
iNOS는 NO를 생성하는 효소로서, 면역반응 시에 발현이 크게 증가되므로, 아피오스 추출물 및 발효아피오스 추출물이 iNOS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Raw264.7 세포를 6 웰 플레이트에 1×106 cells/well로 접종한 후, 10%(v/v) 우태아혈청(Gibco BRL, Rockville, MD, USA)이 함유된 DMEM 배지(Gibco BRL, Rockville, MD, USA)를 이용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12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아피오스 추출물 및 상기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 각각을 농도별 (0, 25, 50, 100 및 200 ㎍/ml)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버리고 인산완충식염수(PBS; Gibco BRL, Rockville, MD, USA)로 2회 세척한 후, RIPA 버퍼(Cell Signaling Technology, Danvers, MA, USA)를 이용하여 세포 내 단백질을 얻었다. BCA protein assay reagent kit (Pierce, Rockford, IL, USA)를 이용하여 단백질 농도를 측정한 후, 20㎍씩 동일한 양의 각 단백질을 10% SDS-PAGE 젤에 전기영동하고,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Whatman, Dassel, Germany) 상으로 이동(transfer)하였다. 항체의 비특이적 결합을 차단하기 위하여 멤브레인에 5% 스킴 밀크(skim milk; BD Bioscience, USA)를 넣고 1시간 반응시킨 다음, iNOS (BD Bioscience, USA) 및 β-actin (Sigma Aldrich, St. Louis, MO, USA) 항체가 첨가된 5% skim milk로 교체하여 4℃에서 12시간 반응시켰다. TBST (50 mM Tris-HCl(pH 7.5), 150 mM NaCl, 0.1% Tween-20)로 5분간 3회 세척하고 각각에 대한 이차항체(Cell Singnaling Technology, USA)로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ECL 용액 (Amersham Pharmacia Biotech., NJ, USA)을 이용하여 각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2a와 2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아피오스 추출물 처리군 및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 처리군 모두에서 iNOS 단백질 발현이 증가되었으며, 아피오스 잎 추출물 처리군이 아피오스 괴경 추출물 처리군보다, 그리고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 처리군이 아피오스 추출물 처리군보다 iNOS 단백질 발현을 다소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상기 실험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으로 아피오스 추출물 및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이 iNOS 단백질 발현 증가를 통하여 NO 생성을 촉진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3>
TNF -α, IL -1β 및 IL -6 유전자 발현량 측정
대식세포가 활성화되면 NO 뿐만 아니라 TNF-α, IL-1β, IL-6 등과 같은 사이토카인 생성 역시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이 TNF-α, IL-1β, IL-6 등과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Raw264.7 세포를 6 웰 플레이트에 1×106 cells/well로 접종한 후, 10%(v/v) 우태아혈청(Gibco BRL, Rockville, MD, USA )이 함유된 DMEM 배지 (Gibco BRL, Rockville, MD, USA )를 이용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12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아피오스 추출물 및 상기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 각각을 농도별 (0, 25, 50, 100 및 200 ㎍/ml)로 처리하여 6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버리고 PBS로 2회 세척한 후, total RNA extraction kit(iNtRON Biotechnology Inc., 경기도 성남시,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세포로부터 total RNA를 분리하였다. Total RNA를 정량하고, RT-PreMix(iNtRON Biotechnology Inc., 경기도 성남시,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1 ㎍씩 동일한 양의 각 total RNA로부터 각각의 cDNA를 합성하였다. TNF-α, IL-1β, IL-6 및 β-actin 등 각각의 유전자에 해당되는 프라이머(하기 표 1 참조)를 사용하여 94℃ 1분, 50∼65℃ 45초, 72℃ 1분, 총 30 cycles 조건으로 RT-PCR을 수행하였다.
PCR 수행에 사용된 프라이머
Gene Primer Annealing temperature
TNF-α Bioneer에서 구입 (Cat No. N-4015) 60℃
IL-1β Bioneer에서 구입 (Cat No. N-4009) 58℃
IL-6 Bioneer에서 구입 (Cat No. N-4013) 58℃
β-actin Bioneer에서 구입 (Cat No. N-4021) 56℃
그 결과 도 3a와 3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아피오스 추출물 처리군 및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 처리군 모두에서 TNF-α, IL-1β, IL-6 유전자 발현이 증가되었다. TNF-α 및 IL-1β 유전자 발현은 아피오스 추출물 및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 처리군 모두에서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LPS 처리군 수준까지 증가된 반면 IL-6 유전자 발현은 다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 처리군이 아피오스 추출물 처리군보다 이들 유전자 발현을 다소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인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4>
마우스 비장세포 생성촉진 효과 평가
비장(spleen)은 말초림프기관에 속하여 림프구의 생성 및 저장을 통한 인체 면역기능을 담당하는 중요한 장기이다. 또한 비장은 혈액에서 유래된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이 개시되고 발전되는 장기이기 때문에 비장세포의 수를 측정하는 것은 면역력을 확인할 수 있는 좋은 지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아피오스 추출물 및 상기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이 비장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C57BL/6 마우스 (오리엔트 바이오, 경기도 가평군, 대한민국)로부터 비장을 적출하여 비장세포를 분리한 다음, 96 웰 플레이트에 5×105 cells/well로 접종하였다. 이후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아피오스 추출물 및 상기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 각각을 농도별 (0, 10, 25, 50, 100 및 200 ㎍/ml)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한 다음, 각 웰(well)에 Cell Counting Kit-8 (CCK-8; Dojindo, Japan) 용액 10 ㎕씩 첨가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96 웰 플레이트는 ELISA reader (BIO-TEK Instruments Inc., Power wave X340, Winooski, VT, USA)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상기 실험들과 마찬가지로 LPS를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아피오스 추출물 및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 처리에 따른 마우스 비장세포의 증식률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증식룰을 100%로 하여 이에 대한 상대적인 %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하기 도 4a와 4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마우스 비장세포의 수는 아피오스 추출물 처리군 및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 처리군 모두에서 증가되었으며, 50 ㎍/ml 처리농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최고농도인 200 ㎍/ml까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 처리군이 아피오스 추출물 처리군보다 비장세포 증식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발효에 사용된 미생물간의 차이는 크게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피오스 추출물 및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 모두 대식세포를 활성화 시키는 것은 물론 비장세포의 증식촉진에도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5>
마우스 비장 내 T-림프구 및 B-림프구 증식능 평가
본 발명의 아피오스 추출물 및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이 비장 내 면역세포인 T-림프구와 B-림프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험동물은 7주령 암컷 C57BL/6 마우스(오리엔트 바이오, 경기도 가평군, 대한민국)를 사용하였으며, 각 시험군당 6마리씩 총 42마리를 사용하였다. 구입한 동물은 온도 21±3℃, 상대습도 50±5%, 조도 200-300 룩스(Lux) 조건의 실험실에서 일주일 간 적응기간을 거친 후 시험에 사용하였으며, 시험에 사용된 동물들 모두에서 심한 체중변화나 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모든 시료는 생리식염수(중외제약, 대한민국)를 사용하여 현탁하였으며, 시료의 투여는 100 mg/kg씩 하루 1회, 총 7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정상대조군은 동량의 생리식염수를 같은 방법으로 투여하였다. 투여가 끝난 실험동물로부터 비장을 적출하여 비장세포를 분리한 다음, 96 웰 플레이트에 세포를 5×105 cells/well로 접종하였다. 이 후 T-림프구 증식능 측정을 위해서 각 웰에 5 ㎍/ml 농도의 concanavalin A (Con A; Sigma Aldrich, St. Louis, MO, USA) 용액을, B-림프구 증식능 측정을 위해서 15 ㎍/ml 농도의 LPS(Sigma Aldrich, St. Louis, MO, USA) 용액을 각각 10 ㎕씩 첨가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72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세포 배양액에 Cell titer 용액 (Promega, USA)을 20 ㎕씩 첨가하여 4시간 추가 배양한 다음, fluorescence Multi-Detection Reader ((BIO-TEK Instruments Inc., Power wave X340, Winooski, VT, USA)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a 와 5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T-림프구 및 B-림프구 증식 정도는 본 발명의 아피오스 추출물 투여군 및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 투여군 모두에서 증가되었으며, 상기의 실험결과들과 마찬가지로 아피오스 괴경 추출물 투여군에 비해 아피오스 잎 추출물 투여군의 증식 촉진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 투여군이 아피오스 추출물 투여군보다 비장 내 T-림프구 및 B-림프구 증식 촉진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발효에 사용된 미생물간의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피오스는 잎 또는 괴경 부위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물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약제학적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은 아피오스의 잎 또는 괴경에 식용가능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후, 상기 발효물을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가능 미생물은 고초균 또는 효모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은 일산화질소(NO)의 생성 증가 효과; TNF-α, IL-1β 및 IL-6의 유전자 발현 증대 효과; 비장세포 증식촉진 효과; 및 비장 내 T-림프구와 B-림프구의 증식 촉진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8.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식품 조성물.
  9.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건강기능식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강용 건강기능식품.
  11.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사료첨가제.
KR1020140058145A 2014-05-15 2014-05-15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1705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145A KR101705548B1 (ko) 2014-05-15 2014-05-15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145A KR101705548B1 (ko) 2014-05-15 2014-05-15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2616A true KR20150132616A (ko) 2015-11-26
KR101705548B1 KR101705548B1 (ko) 2017-02-14

Family

ID=54847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145A KR101705548B1 (ko) 2014-05-15 2014-05-15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54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448B1 (ko) 2016-09-26 2017-04-03 주식회사 프롬바이오 암라 열매 추출물 및 구아바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강용 식품조성물
KR20180124467A (ko) * 2017-05-12 2018-11-21 이세영 블루베리,아로니아 및 아피오스가 포함된 관능성과 기능성이 강화된 칼국수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20889A (ko) * 2017-08-22 2019-03-05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아피오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JP2020519252A (ja) * 2017-05-15 2020-07-02 カン、スンチャンKANG, Seungchan 乳酸菌を用いた天然物酵素、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0256464A1 (ko) * 2019-06-19 2020-12-24 한국한의학연구원 항염 활성을 갖는 아피오스 아메리카나 괴경 추출물의 분획물의 알코올성 위염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2031B (zh) * 2017-11-22 2021-01-26 浙江大学 豆芋叶水提取物的制备方法及其抗氧化用途
KR101856449B1 (ko) * 2017-12-19 2018-05-10 대구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아피오스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1490A (ko) 2012-09-03 2014-03-13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지네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강용 동물사료첨가제 및 그 사료
KR101374536B1 (ko) 2011-06-10 2014-03-14 박혜림 곰보배추를 이용한 면역증강용 조성물
KR20140037899A (ko) 2014-01-24 2014-03-27 (주)비타바이오 단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
KR101379404B1 (ko) 2012-01-18 2014-03-28 (주)비타바이오 황금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및 면역 증강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536B1 (ko) 2011-06-10 2014-03-14 박혜림 곰보배추를 이용한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1379404B1 (ko) 2012-01-18 2014-03-28 (주)비타바이오 황금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및 면역 증강 조성물
KR20140031490A (ko) 2012-09-03 2014-03-13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지네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강용 동물사료첨가제 및 그 사료
KR20140037899A (ko) 2014-01-24 2014-03-27 (주)비타바이오 단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 및 항바이러스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 안규남 외 4명. 아오피스 추출물의 항박테리아 및 면역기능. 한국식품과학회 제78차 학술대회 포스터 발표. (2011.06.09.)*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448B1 (ko) 2016-09-26 2017-04-03 주식회사 프롬바이오 암라 열매 추출물 및 구아바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강용 식품조성물
KR20180124467A (ko) * 2017-05-12 2018-11-21 이세영 블루베리,아로니아 및 아피오스가 포함된 관능성과 기능성이 강화된 칼국수면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0519252A (ja) * 2017-05-15 2020-07-02 カン、スンチャンKANG, Seungchan 乳酸菌を用いた天然物酵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20889A (ko) * 2017-08-22 2019-03-05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아피오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WO2020256464A1 (ko) * 2019-06-19 2020-12-24 한국한의학연구원 항염 활성을 갖는 아피오스 아메리카나 괴경 추출물의 분획물의 알코올성 위염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의 용도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548B1 (ko) 201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548B1 (ko)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1585159B1 (ko) 발효 작두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59986B1 (ko) 갈색거저리 또는 번데기를 이용하여 배양된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705547B1 (ko)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암, 항당뇨 또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
KR102263698B1 (ko) 아토피 피부염 완화 또는 개선 효과를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lrcc5195 균주 및 이소말토올리고당 복합체
KR20140017932A (ko) 탱자 발효물에 의한 비만개선효과물질의 조성
KR101911736B1 (ko) 코디세핀-단백질 분해 효소 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활성 증강용 조성물
KR20160060443A (ko) 마늘 발효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74456B1 (ko) 구아바잎 발효대사체 제조방법 및 아토피 피부염 증상 개선용 구아바잎 발효대사체 조성물
KR102334546B1 (ko)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190015886A (ko) 마늘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682916B1 (ko) 항염증 또는 항산화 활성이 증가된 구기자 증숙 및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98888A (ko) 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력 증강용 조성물
KR20210003994A (ko)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연잎 유래 효소 다당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2889B1 (ko)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42959B1 (ko) 다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79269A (ko) 애엽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1790657B1 (ko) 잣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101344055B1 (ko) 더덕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790654B1 (ko) 잣박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24293B1 (ko) 동과자 추출물 또는 동과자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20160026595A (ko) 율무, 표고버섯, 탱자 및 옥수수수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비만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40095132A (ko) 항산화 기능을 갖는 산수유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05009B1 (ko)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케일박 유래 다당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62893B1 (ko) 갈색거저리 또는 번데기를 이용하여 배양된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