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3481A - 찹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찹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3481A
KR20210093481A KR1020200007068A KR20200007068A KR20210093481A KR 20210093481 A KR20210093481 A KR 20210093481A KR 1020200007068 A KR1020200007068 A KR 1020200007068A KR 20200007068 A KR20200007068 A KR 20200007068A KR 20210093481 A KR20210093481 A KR 20210093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utinous rice
saccharomyces
fermented
yeast
weissel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6748B1 (ko
Inventor
김손희
배수진
Original Assignee
(주) 뉴젠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뉴젠바이오 filed Critical (주) 뉴젠바이오
Priority to KR1020200007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748B1/ko
Publication of KR20210093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찹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찹쌀 당화액을 효모 발효; 또는 찹쌀 당화액을 효모 발효 후 유산균 발효;하여 얻은 찹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생성을 억제하므로 비만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찹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treating or preventing obesity comprising glutinous rice fermented by lactic bacteria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찹쌀 당화액을 효모 발효; 또는 찹쌀 당화액을 효모 발효 후 유산균 발효;하여 얻은 찹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이란 열량의 섭취와 소비의 불균형으로 발생하는 대사성 질환이며 과잉된 열량으로 인해 지방조직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를 말한다. 남자는 체지방이 체중의 25%, 여자는 체중의 30% 이상일 때 비만으로 보며, 임상적으로는 BMI(Body Mass Index: 체질량지수)가 24.0 내지 30.0은 과체중으로 정의하고 30.0 초과인 경우를 비만으로 정의한다.
비만이 발생하여 그 상태가 지속되면 여러 질환의 원인으로 작용하는데, 그러한 질환으로서 고혈압, 혈중 콜레스테롤 상승, 당뇨병, 신장 질환, 뇌졸증, 동맥경화증, 지방간, 관절염, 암, 수면 무호흡증, 당뇨병 등을 들 수 있다.
비만의 원인으로는 고지방·고열량의 식생활, 바쁜 사회적 환경에 따른 운동 부족, 내분비 이상 등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을 들 수 있는데, 이 중 비만의 50 내지 70% 정도가 환경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나머지가 유전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적으로 비만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로, 최근 성인병을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지목받으며 비만의 심각성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비만을 예방 및 개선하고, 건강 체중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균형잡힌 식사와 규칙적인 운동을 통하여 평생 동안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지방세포는 한번 만들어지면 크기는 줄일 수 있으나, 자연적으로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영구적으로 인체에 남아있게 되므로 처음부터 비만이 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해서 섭취하는 칼로리를 줄이고, 활동 및 운동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지방흡수를 감소시키는 등의 약물을 복용하는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현재 비만을 치료하는 치료제로는 세로토닌 신경계를 저해하는 펜플루라민, 노르아드레날린 신경계를 통한 에페드린 및 카페인, 세로토닌 및 노르아드레날린 신경계에 동시에 작용하는 시부트라민 및 췌장에서 생성되는 리파아제를 저해하여 지방의 흡수를 줄여주는 오르리스타트 등의 약물이 있다. 그러나 기존에 사용되어온 약물 중 펜플루라민 등은 원발성 폐고혈압이나 심장 판막 병변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켜 사용이 금지되었으며, 다른 약물들도 혈압감소나 유산혈증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심부전, 신질환 등의 환자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천연물질을 이용하여 부작용이 적은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0269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8081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찹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비만을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찹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비만을 개선 또는 예방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찹쌀 발효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은 찹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찹쌀 발효물은 찹쌀 당화액을 효모 발효시킨 효모 발효물일 수 있다.
상기 찹쌀 발효물은 찹쌀 당화액을 효모 발효시킨 다음 유산균 발효하여 얻은 것일 수 있다.
상기 찹쌀 발효물은 (a) 찹쌀을 물과 혼합하고 호화하여 찹쌀 호화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찹쌀 호화물을 당화 효소 및 누룩으로 처리하여 찹쌀 당화액을 얻는 단계; (c) 상기 찹쌀 당화액을 사카로마이세스 속(Saccharomyces sp.) 효모로 발효시키는 1차 발효 단계; 및 (d) 상기 1차 발효된 찹쌀 발효물을 웨이셀라 속(Weissella sp.) 유산균으로 발효시키는 2차 발효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 호화는 90 내지 125 ℃의 온도에서 10 내지 9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는 찹쌀 호화물을 당화 효소 및 누룩으로 처리하고 50 내지 60 ℃에서 90 내지 150분 동안 당화시킬 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 상기 당화 효소의 함량은 찹쌀 호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c)단계에서 사카로마이세스 속(Saccharomyces sp.)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 사카로마이세스 유바룸(Saccharomyces uqvarum), 사카로마이세스 엘립소이데우스(Saccharomyces ellipsoideus), 사카로마이세스 카를스베르겐시스(Saccharomycescarlsbergensis), 사카로마이세스 사케(Saccharomyces sake), 사카로마이세스 코레아누스(Saccharomyces coreanus), 사카로마이세스 리폴리티카(Saccharomyceslipolytica), 사카로마이세스 보울라디(Saccharomyces boulardii) 및 사카로마이세스 파스토리아누스(Saccharomyces pastorianu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c)단계에서 사카로마이세스 속(Saccharomyces sp.) 효모의 함량은 상기 찹쌀 당화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c)단계에서 1차 발효는 25 내지 35 ℃에서 20 내지 36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d)단계에서 웨이셀라 속(Weissella sp.) 유산균은 웨이셀라 시바리아(Weissella cibaria), 웨이셀라 코레엔시스(Weissella koreensi), 웨이셀라 하니아이(Weissella hanii), 웨이셀라 김치아이(Weissella kimchii), 웨이셀라 솔리(Weissella soli), 및 웨이셀라 콘푸사(Weissella confus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d)단계에서 웨이셀라 속(Weissella sp.) 유산균의 함량은 상기 1차 발효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d)단계에서 발효는 25 내지 35 ℃에서 20 내지 36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d)단계에서 수득된 2차 찹쌀 발효물을 여과하고, 농축하여 찹쌀 발효 농축물을 얻는 단계; 상기 찹쌀 발효 농축물을 덱스트린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살균한 다음 분무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만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은 찹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찹쌀 발효물의 제조방법은 (a) 찹쌀을 물과 혼합하고 호화하여 찹쌀 호화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찹쌀 호화물을 당화 효소 및 누룩으로 처리하여 찹쌀 당화액을 얻는 단계; (c) 상기 찹쌀 당화액을 사카로마이세스 속(Saccharomyces sp.) 효모로 효모 처리하는 1차 발효 단계; 및 (d) 상기 1차 발효된 찹쌀 발효물을 웨이셀라 속(Weissella sp.) 유산균으로 발효시키는 2차 발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만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찹쌀 발효물, 바람직하게는 찹쌀 당화액을 효모 발효; 또는 찹쌀 당화액을 효모 발효 후 유산균 발효;하여 얻은 찹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생성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건강기능식품, 약학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얻은 찹쌀 발효물을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찹쌀 발효물을 농도별로 처리 시 세포의 생존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찹쌀 발효물을 농도별로 처리 시 3T3-L1 지방세포에서의 PPARγ, C/EBPα, AMPK 및 pAMPK 발현을 측정한 웨스턴 블롯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찹쌀 발효물을 농도별로 처리 시 3T3-L1 지방세포에서의 GPDH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찹쌀 발효물을 농도별로 처리 후 3T3-L1 지방세포의 오일 레드 O 염색을 수행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찹쌀 발효물을 농도별로 처리 후 3T3-L1 지방세포의 지질 함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찹쌀 당화액을 효모 발효; 또는 찹쌀 당화액을 효모 발효 후 유산균 발효;하여 얻은 찹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찹쌀 발효물은 찹쌀 당화액을 효모 발효시킨 찹쌀 발효물이거나, 찹쌀 당화액을 효모 발효 후 유산균 발효시켜 얻은 찹쌀 발효물일 수 있다.
상기 찹쌀 발효물은 (a) 찹쌀을 물과 혼합하고 호화하여 찹쌀 호화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찹쌀 호화물을 당화 효소 및 누룩으로 처리하여 찹쌀 당화액을 얻는 단계; (c) 상기 찹쌀 당화액을 사카로마이세스 속(Saccharomyces sp.) 효모로 발효시키는 1차 발효 단계; 및 (d) 상기 1차 발효된 찹쌀 발효물을 웨이셀라 속(Weissella sp.) 유산균으로 발효시키는 2차 발효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상기 (a)단계에서는 찹쌀을 물과 혼합하고 호화하여 찹쌀 호화물을 얻는다.
찹쌀을 물(예, 증류수)에 침지시킨 다음, 이를 90 내지 125 ℃,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25 ℃에서 10 내지 90분,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분 동안 열을 가하여 호화시킨다. 본 단계를 통해 찹쌀의 전분 입자가 겔(gel) 상태로 호화(gelatinization)되어 찹쌀의 미셀(micelle) 입자 사이가 넓게 형성되고, 이로 인해 효소, 효모, 유산균의 작용이 용이하여 이후 발효를 촉진시킬 수 있다.
찹쌀(glutinous rice)은 맵쌀과 달리, 대부분이 아밀로펙틴으로 이루어진 쌀
로서 아밀로스의 함량이 약 5 중량% 이하이다. 이러한 찹쌀을 발효시켜 얻은 발효물은 맵쌀을 발효시켜 얻은 맵쌀 발효물에 비해 항비만 효능이 우수하고, 따라서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생성을 억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찹쌀은 분쇄하여 가루 형태로 이용하는 것이 호화 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찹쌀을 물에 10 내지 60분 동안 침지시킬 경우, 찹쌀이 적당한 수분을 함유하기 때문에, 호화 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다.
물의 함량은 찹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0 내지 350 중량부일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호화 과정을 통해 얻은 찹쌀 호화물은 찹쌀이 팽윤하고 점성도가 증가한 반투명의 콜로이드 물질을 함유하는 용액이다.
다음으로, 상기 (b)단계는 상기 찹쌀 호화물을 당화 효소 및 누룩으로 처리하여 찹쌀 당화액을 얻는다.
상기 호화된 찹쌀에 당화 효소와 누룩을 첨가하여 당화 효소에 의한 찹쌀 전분의 당화(saccharification) 및 누룩에 의한 발효(fermentation)가 동시에 수행되는 동시 당화 발효 공정(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SSF)이다. 본 발명의 찹쌀 당화액은 당화와 발효가 동시에 수행된 물질로서, 정확히는 당화발효액이지만 이후 생성되는 발효액과의 구별을 위하여 당화액으로 기술한다.
일례에 따르면, 상기 (a)단계에서 얻은 찹쌀 호화물에 당화 효소 및 누룩을 첨가한 다음, 이를 50 내지 60 ℃의 온도에서 90 내지 150분 동안 반응시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당화 효소의 예로는 알파-아밀레이즈(α-amylase), 베타-아밀레이즈(β-amylase), 글루코아밀레이즈(Glucoamylase), 풀루라네이즈(pullulanse) 등이 있으며, 사용 가능한 누룩으로는 시중에 판매되는 일반적인 누룩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당화 효소와 누룩을 병용함으로써, 당화 효소 처리만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당화속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생성되는 당화액이 효모 처리에 더 용이하기 때문에, 찹쌀의 전분질을 당화시킴과 동시에 발효시킨다.
상기 당화 효소 및 누룩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일례로 상기 당
화 효소의 함량은 상기 찹쌀 호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으며, 상기 누룩의 함량은 상기 찹쌀 호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부일 수 있다. 만약, 당화 효소 및 누룩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일 경우, 최적의 반응조건을 얻을 수 있어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고품질의 찹쌀 발효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얻은 찹쌀 당화액은 50 내지 55 ㎎/g의 갈라토 올리고당[예, 스타키오스(stachyose), 라피노스(raffinose) 등]을 함유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찹쌀 당화액은 후술하는 효모 발효 전에 110 내지 130 ℃에서 10 내지 20분 동안 멸균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c)단계에서는 상기 찹쌀 당화액을 사카로마이세스 속(Saccharomyces sp.) 효모로 효모 처리하여 1차 발효된 제1 찹쌀 발효물을 수득한다.
본 단계를 통해 얻은 제1 찹쌀 발효물은 상기 찹쌀 당화액에 비해 갈락토 올리고당을 더 많이 함유하기 때문에,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생성을 더욱 억제시킬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상기 (b)단계에서 얻은 찹쌀 당화액에 사카로마이세스 속(Saccharomyces sp.) 효모를 접종한 다음, 25 내지 35 ℃의 온도에서 20 내지 36시간 동안 정치발효(0 rpm) 또는 50 rpm 이하로 발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효모 발효시의 온도, 시간, rpm은 효모 발효 후 항비만 개선, 예방 및 치료에 유의미한 정도로 포함될 경우를 고려하여 최적화된 것이다.
상기 사카로마이세스 속(Saccharomyces sp.) 효모로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 사카로마이세스 유바룸(Saccharomyces uqvarum), 사카로마이세스 엘립소이데우스(Saccharomyces ellipsoideus), 사카로마이세스 카를스베르겐시스(Saccharomycescarlsbergensis), 사카로마이세스 사케(Saccharomyces sake), 사카로마이세스 코레아누스(Saccharomyces coreanus), 사카로마이세스 리폴리티카(Saccharomyceslipolytica), 사카로마이세스 보울라디(Saccharomyces boulardii) 및 사카로마이세스 파스토리아누스(Saccharomyces pastorianu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사카로마이세스 속(Saccharomyces sp.) 효모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
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찹쌀 당화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0.0 중량부이다. 효모의 함량이 상기 전술한 범위일 경우, 최적의 발효 속도를 얻을 수 있으며, 부산물의 생산을 줄일 수 있어 고품질의 찹쌀 발효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얻은 제1 찹쌀 발효물은 55 내지 60 ㎎/g의 갈라토 올리고당[예, 스타키오스(stachyose), 라피노스(raffinose)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찹쌀 당화액에 비하여 2 내지 5 mg/g의 갈라토 올리고당 함량이 증가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효모 발효 후 생성된 제1 찹쌀 발효물은 후술하는 유산균 발효 전에 110 내지 130 ℃에서 10 내지 20분 동안 멸균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d)단계에서는 상기 1차 발효된 제1 찹쌀 발효물을 웨이셀라 속(Weissella sp.) 유산균으로 2차 발효된 제2 찹쌀 발효물을 수득한다.
본 단계를 통해 얻은 제2 찹쌀 발효물은 제1 찹쌀 발효물에 비해 갈락토 올리고당을 더 많이 함유하기 때문에,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생성을 더욱 억제시킬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상기 (c)단계에서 얻은 제1 찹쌀 발효물에 웨이셀라 속(Weissella sp.) 유산균을 접종한 다음, 25 내지 35 ℃의 온도에서 20 내지 36시간 동안 정치발효(0 rpm) 또는 50 rpm이하로 발효시킬 수 있다. 상기 온도, 시간 및 rpm은 비만의 개선, 예방 및 치료에 유의미한 정도로 포함될 경우를 고려하여 최적화된 것이다.
본 단계에서 사용되는 웨이셀라 속(Weissella sp.) 유산균은 김치로부터 추
출된 유산균으로서, 예컨대 웨이셀라 시바리아(Weissella cibaria), 웨이셀라 코레
엔시스(Weissellakoreensi), 웨이셀라 하니아이(Weissellahanii), 웨이셀라 김치아
이(Weissellakimchii), 웨이셀라 솔리(Weissellasoli), 웨이셀라 콘푸사(Weissellaconfus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웨이셀라 속(Weissella sp.) 유산균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제1 찹쌀 발효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0.0 중량부일 수 있다. 유산균의 함량이 상기 전술한 범위일 경우, 최적의 발효 속도를 얻을 수 있으며, 부산물의 생산을 줄일 수 있어 고품질의 찹쌀 발효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얻은 제2 찹쌀 발효물은 약 73 ㎎/g 이상, 구체적으로 약 73 내
지 95 ㎎/g의 갈라토 올리고당[예, 스타키오스(stachyose), 라피노스(raffinose)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제1 찹쌀 발효물에 비하여 20 내지 35 mg/g의 갈라토 올리고당 함량이 증가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d) 단계에서 발효가 완료된 제2 찹쌀 발효물을 여과하고, 농축할 수 있다. 이때, 여과 및 농축은 당 업계에서 알려진 통상의 방법대로 수행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제2 찹쌀 발효물을 여과한 다음, 55 내지 65 ℃에서 농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찹쌀 발효 농축물을 살균하고 건조시킬 수 있다. 이때, 건조 방법으로는 감압 건조, 분무 건조, 동결 건조 등과 같이 당 분야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말화된 찹쌀 발효물은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찹쌀 발효 농축물은 살균, 건조되기 전에, 덱스트린과 혼합될 수
있다. 덱스트린은 저흡수성으로, 분산성, 용해성, 건조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찹쌀 발효 농축물을 덱스트린과 혼합함으로써, 건조공정에서 최종 제품의 분말화 특성을 향상시켜 우수한 품질의 분말제품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찹쌀 발효 농축물과 덱스트린의 사용 비율(혼합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60:40 ~ 95:5 중량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본 발명의 찹쌀 발효물의 비만 개선, 치료 또는 예방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이란, 상기 찹쌀 발효물을 캡슐, 정제, 분말, 과립, 액상, 환,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또는 바(bar) 형태로 제제화 한 것일 수 있고, 또는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여 일반 식품 형태로 제조한 것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이와 같은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의 찹쌀 발효물의 첨가량은 대상인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식품 본래의 맛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면 되며, 대상 식품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20 중량%의 범위이다. 또한, 캡슐, 정제, 분말, 과립, 액상, 환,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또는 바(bar)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의 경우에는 통상 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8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면 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유효성분으로서 찹쌀 발효물 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이 드링크제와 음료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찹쌀 발효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및 각종 식물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찹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서, 찹쌀 발효물은 예를 들어, 0.001 mg/kg 이상, 바람직하게는 0.1 mg/k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mg/kg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0 mg/kg 이상, 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50 mg/kg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g/kg 이상 포함된다. 찹쌀 발효물은 천연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찹쌀 발효물의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학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1-10 g/㎏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찹쌀 발효물의 제조
찹쌀을 3배수의 물(약 30 ℃)에 60 분간 침지시켜 불린 다음, 상기 혼합물 4 kg을 121 ℃의 온도에서 1 시간 동안 호화하여 찹쌀 호화물을 얻었다. 이후, 상기 찹쌀 호화물 4 kg에 당화 효소인 알파-아밀레이즈 20 ml 및 누룩 5 g을 첨가하고, 55 ℃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동시 당화 발효하여 찹쌀 당화액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 찹쌀 당화액 4 kg에 효모인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애(Saccharomyces cerevisiae)(ATCC 9804; ATCC, Manassas, VA, USA) 100 g을 접종하고 30 ℃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발효하여 제1 찹쌀 발효물을 얻었다. 이후, 상기 1차 찹쌀 발효물 4 kg에 유산균인 웨이셀라 시바리아(Weissella cibaria)(KACC 11845; KACC, Suwon, Korea) 200 g을 접종하고 30 ℃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발효하여 제2 찹쌀 발효물을 얻었다. 이후, 상기 제2 찹쌀 발효물을 여과하고, 60 ℃의 온도에서 농축한 다음, 여기에 덱스트린을 혼합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찹쌀 농축물:덱스트린=90:10 중량비)을 80 ℃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살균하고 분무 건조하여 찹쌀 발효물(갈락토 올리고당의 함량: 73.02 ㎎/g)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최종 찹쌀 발효물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하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올리고당 찹쌀 발효물의 농도(μg/mL) 최종 부피(mL) 시료 채취량(g) 희석 배수 결과값(mg/g)
Stachyose 419.5390 50 0.8323 1 25.2036
Raffinose 795.9573 50 0.8323 1 7.8167
갈락토올리고당의 총량 73.0203
<시험예>
지방세포 분화 유도를 위해, 3T3-L1 지방세포(ATCC에서 구입)를 60 mm 플레이트에 1X106 세포로 분주하고 2일 후 배지를 교환하여 4일째에 세포가 100% 밀집되게 배양하였다. 10% 태아소혈청(FBS)과 MDI 용액(0.5 mM IBMX, 1 μM 덱사메타손, 10 ug/mL 인슐린)을 포함한 DMEM 배지를 2일 처리하였다. 이때 찹쌀 발효물이 지방세포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찹쌀 발효물을 농도별로 함께 처리하였다. 분화 유도 2일 후 배지를 각 농도별 찹쌀 발효물을 10% FBS 및 1 ug/mL 인슐린을 포함한 DMEM으로 2일간 처리하였고, 이후부터는 찹쌀 발효물과 함께 2일에 한 번 10% FBS와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S)이 포함된 DMEM으로 교환하여 총 6일간 세포를 분화시켰다.
6일차에 분화된 3T3-L1 전지방 세포를 오일 레드 O 용액에 적용, 웨스턴 블롯 분석 및 GPDH 활성 분석에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찹쌀 발효물을 0일부터 6일까지 0, 100, 200 및 400 ㎍/ml의 농도로 세포 배양 배지에 첨가하였다.
시험예 1. 세포 생존력 측정
3T3-L1 지방세포를 10% 태아소혈청(FBS), 100 U/mL 페니실린 및 100 ㎍/mL 스트렙토 마이신를 함유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37 ℃에서 5% CO2의 가습된 대기 중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CCK-8 키트(일본 구마모토 도진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간단히 말하면, 3T3-L1 지방세포를 1X104 cells/well의 밀도로 96-웰 플레이트에 플레이팅하였다. 밤새 인큐베이션한 후, 세포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시험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인큐베이션 후, CCK-8 용액을 각 웰에 첨가하고 37 ℃에서 3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450 nm에서의 흡광도는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Bio-Tek Company, Winooski, VT, U.S.A.)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찹쌀 발효물을 농도별로 처리 시 세포의 생존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찹쌀 발효물의 모든 농도에서 3T3-L1 전지방 세포의 세포생육에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PPARγ, C/EBPα, AMPK 및 pAMPK의 발현 측정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RNeasy lipid tissue mini kit[Qiagen, Valencia, CA, USA]를 사용하여 3T3-L1 지방세포에서 세포질 RNA를 분리하였다. 세포질 RNA 500 ng을 RT-PCR용 Superscript III first-strand synthesis system(Invitrogen)에서 제공한 oligo[dT] 프라이머와 역전사효소를 사용하여 cDNA로 전환시켰다. SYBR Greenbased real-time PCR은 ABI 7500 PCR 시스템[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 USA]에서 수행하였다. 표적 유전자의 발현 수준은 하우스 키핑 유전자 β-actin의 발현 수준에 대해 정상화하였다(Choi et al., 200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찹쌀 발효물을 농도별로 처리 시 3T3-L1 지방세포에서의 PPARγ, C/EBPα, AMPK 및 pAMPK 발현을 측정한 웨스턴 블롯이다.
PPARγ, C/EBPα을 통해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에서 PPARγ, C/EBPα와 같은 전사인자들은 지방세포 특화단백질인 glucose transporter(GLUT4)나 adipocyte-specific fatty acid binding protein 2(aP2)의 연속적인 발현에 관여한다. 상기 PPARγ, C/EBPα의 단백질들의 발현은 지방세포들이 glucose나 지방산을 흡수하여 지방을 합성하거나 축적하게 되어 지방세포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찹쌀 발효물을 농도별로 처리 시 PPARγ, C/EBPα 단백질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므로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AMPK 단백질은 세포 내 에너지 상태의 변화에 반응하여, 대사전환의 주된 조절자로서 탄수화물과 지방대사에 중요한 조절자 역할을 하며, AMPK의 활성화가 비만과 대사성 질환을 개선시키기 위한 주요 marker이다. 지방조직에서의 AMPK 활성화(pAMPK)는 actyl-CoA carboxylase(ACC)를 불활성화시킴으로써 지방생성을 억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찹쌀 발효물을 농도별로 처리 시 활성화된 AMPK(pAMPK)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므로 지방세포 분화와 지방생성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시험예 3. GPDH(글리세롤-3-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게나아제) 활성 측정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찹쌀 발효물을 농도별로 처리 시 3T3-L1 지방세포에서의 GPDH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지방세포에만 특이적으로 활성이 증가되는 GPDH 활성을 확인하여 찹쌀 발효물 처리에 따른 지방세포 분화 여부 및 중성지방의 축적 정도를 확인하였다. 지방세포로 분화가 진행될수록 함량이 증가하며, GPDH 활성 측정은 찹쌀 발효물로 처리되어 6일 동안 분화된 배지에서 PBS로 2회 세척한 후 스크레이퍼로 300 ul의 100 mM 트리에탄올 아민/HCl 완충액, pH 7.5, 2.5 mM EDTA로 처리하여 지방세포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지방세포를 DU-250 Bioruptor에서 10초의 25 초음파 버스트로 아이스 하에서 초음파처리 하였다(250 W의 최대 출력 전력)(Tosho Denki, Co. Ltd., Japan). 4 ℃에서 5분 동안 13,000 xg로 원심분리한 후, 상청액을 Wise and Green (Wise & Green, 1979)의 방법에 따라 GPDH 활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GPDH 활성은 분광 광도계(Beckman Coulter, DU 530, Indianapolis, IN, U.S.)를 이용하여 25 ℃에서 0 차 역학 및 최적 기질 및 보조 인자 조건 하에서 측정되었다.
표준 반응 혼합물은 100 mM 트리에탄올 아민/HCl 완충액(pH 7.5), 2.5 mM EDTA, 0.1 mM/2-머캅토 에탄올 및 0.12 mM NADH를 함유하였다. 0.2 mM 디하이드록시 아세톤 포스페이트를 첨가하여 반응을 개시하고, NADH 산화 속도를 60초 동안 340 nm 흡광도의 변화에 의해 측정하였다.
효소활성(%)은 대조군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되었다.
그 결과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조군(C. 0 ug/ml))과 비교하여 찹쌀 발효물 100, 200 및 40 μg/㎖이 처리된 세포군은 GPDH의 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므로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합성을 저해하는 효능을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시험예 4. 오일 레드 O(Oil red O) 염색 및 지질 함량 확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찹쌀 발효물을 농도별로 처리 후 3T3-L1 지방세포의 오일 레드 O 염색을 수행한 사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찹쌀 발효물을 농도별로 처리 후 3T3-L1 지방세포의 지질 함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지질성분에 특이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하여 붉은색을 나타냄으로써 지질 축적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특수염색법인 오일 레드 O 염색을 이용하여 찹쌀 발효물의 지질 합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분화시킨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6일째에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세포를 세척한 뒤 실온에서 60% 에탄올로 고정하였다. 고정액을 제거하고 60%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을 이용하여 세척한 후, 세포내 생성된 지질방울(lipid droplet)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0.3% 오일 레드 O(Oil red O) 용액을 이용하여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염색하였다. 지질의 시각화는 올림푸스 IX50 현미경(Olympus, Tokyo, Japan)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화가 유도된 3T3-L1 지방전구세포에 6일간 찹쌀 발효물을 처리하고 도립현미경을 사용하여 200 배율에서 관찰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붉은색이 거의 확인되지 않으므로 지방세포 생성 억제 및 지질 축적이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염색된 세포는 현미경 관찰한 후 100% 이소프로판올을 이용하여 오일 레드 0 염색을 용해하여 추출한 뒤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지방세포 내에 있는 지질함량을 수치로 나타내어 대조군의 흡광도 값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6일간 분화시킨 3T3-L1 지방세포인 대조군(C)에 비해 찹쌀 발효물 100, 200 및 400 μg/㎖가 처리된 세포군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지질 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400 μg/㎖가 처리된 세포군에서는 73.8%로 지질 함량이 낮았다.
상기 결과로부터, 찹쌀 발효물은 지방세포 생성 억제 및 지질축적 저해 효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아래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발효물 분말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발효물 분말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발효물 분말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과립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발효물 분말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5: 음료 제형의 제조
실시예 1의 발효물 분말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Claims (16)

  1. 찹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찹쌀 발효물은 찹쌀 당화액을 효모 발효시킨 효모 발효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찹쌀 발효물은 찹쌀 당화액을 효모 발효시킨 다음 유산균 발효하여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찹쌀 발효물은 (a) 찹쌀을 물과 혼합하고 호화하여 찹쌀 호화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찹쌀 호화물을 당화 효소 및 누룩으로 처리하여 찹쌀 당화액을 얻는 단계;
    (c) 상기 찹쌀 당화액을 사카로마이세스 속(Saccharomyces sp.) 효모로 효모 처리하는 1차 발효 단계; 및
    (d) 상기 1차 발효된 찹쌀 발효물을 웨이셀라 속(Weissella sp.) 유산균으로 발효시키는 2차 발효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호화는 90 내지 125 ℃의 온도에서 10 내지 90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는 찹쌀 호화물을 당화 효소 및 누룩으로 처리하고 50 내지 60 ℃에서 90 내지 150분 동안 당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당화 효소의 함량은 찹쌀 호화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사카로마이세스 속(Saccharomyces sp.)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에(Saccharomyces cerevisiae), 사카로마이세스 유바룸(Saccharomyces uqvarum), 사카로마이세스 엘립소이데우스(Saccharomyces ellipsoideus), 사카로마이세스 카를스베르겐시스(Saccharomycescarlsbergensis), 사카로마이세스 사케(Saccharomyces sake), 사카로마이세스 코레아누스(Saccharomyces coreanus), 사카로마이세스 리폴리티카(Saccharomyceslipolytica) 사카로마이세스 보울라디(Saccharomyces boulardii) 및 사카로마이세스 파스토리아누스(Saccharomyces pastorianu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사카로마이세스 속(Saccharomyces sp.) 효모의 함량은 상기 찹쌀 당화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1차 발효는 25 내지 35 ℃에서 20 내지 36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웨이셀라 속(Weissella sp.) 유산균은 웨이셀라 시바리아(Weissella cibaria), 웨이셀라 코레엔시스(Weissella koreensi), 웨이셀라 하니아이(Weissella hanii), 웨이셀라 김치아이(Weissella kimchii), 웨이셀라 솔리(Weissella soli), 및 웨이셀라 콘푸사(Weissella confus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웨이셀라 속(Weissella sp.) 유산균의 함량은 상기 1차 발효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발효는 25 내지 35 ℃에서 20 내지 36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수득된 2차 찹쌀 발효물을 여과하고, 농축하여 찹쌀 발효 농축물을 얻는 단계; 상기 찹쌀 발효 농축물을 덱스트린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살균한 다음 분무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15. 찹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16. (a) 찹쌀을 물과 혼합하고 호화하여 찹쌀 호화물을 얻는 단계;
    (b) 상기 찹쌀 호화물을 당화 효소 및 누룩으로 처리하여 찹쌀 당화액을 얻는 단계;
    (c) 상기 찹쌀 당화액을 사카로마이세스 속(Saccharomyces sp.) 효모로 효모 처리하는 1차 발효 단계; 및
    (d) 상기 1차 발효된 찹쌀 발효물을 웨이셀라 속(Weissella sp.) 유산균으로 발효시키는 2차 발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찹쌀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20200007068A 2020-01-20 2020-01-20 찹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296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068A KR102296748B1 (ko) 2020-01-20 2020-01-20 찹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068A KR102296748B1 (ko) 2020-01-20 2020-01-20 찹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481A true KR20210093481A (ko) 2021-07-28
KR102296748B1 KR102296748B1 (ko) 2021-09-03

Family

ID=77126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068A KR102296748B1 (ko) 2020-01-20 2020-01-20 찹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7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86844A (zh) * 2024-01-19 2024-02-23 潍坊坤木合农业有限公司 一种提高免疫力的肽酒及其生产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2007A (ko) * 2005-12-12 2007-06-15 주식회사 두산 쌀 또는 찹쌀 당화물의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궤양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KR20100097842A (ko) * 2009-02-27 2010-09-06 월드그린영농조합법인 곡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02696B1 (ko) 2017-02-15 2017-11-2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칡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980816B1 (ko) 2017-11-15 2019-05-22 대한민국 이탈리안라이그라스로부터 추출된 페룰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2007A (ko) * 2005-12-12 2007-06-15 주식회사 두산 쌀 또는 찹쌀 당화물의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궤양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KR20100097842A (ko) * 2009-02-27 2010-09-06 월드그린영농조합법인 곡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02696B1 (ko) 2017-02-15 2017-11-2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칡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980816B1 (ko) 2017-11-15 2019-05-22 대한민국 이탈리안라이그라스로부터 추출된 페룰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86844A (zh) * 2024-01-19 2024-02-23 潍坊坤木合农业有限公司 一种提高免疫力的肽酒及其生产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6748B1 (ko) 2021-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4966B2 (ja) 新規なラクトバチルス・サケイ及びそれを含む組成物
KR100966613B1 (ko) 혈당상승억제 효능을 나타내는 아르기닌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06320257A (ja) 海藻発酵エキス、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KR102478724B1 (ko) 감귤 발효 콤부차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또는 심혈관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150132616A (ko)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US20020018818A1 (en) Sugar decomposition inhibitor, digestive enzyme activity inhibitor, insulin secretion controller, and healthy food and beverage
JP4624742B2 (ja) シソの葉から得られる発酵物
JP2006199591A (ja) 肝機能改善剤
KR102296748B1 (ko) 찹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216604B1 (ko) 감국 발효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6076925A (ja) トマトから得られる発酵物
KR101846713B1 (ko) 항비만 활성을 가진 다시마 발효물의 제조방법
KR20180094208A (ko) 인지기능개선 효능을 가진 초석잠 발효대사체 제조방법
KR20180042936A (ko) 치마버섯 분리 균사체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JP5422200B2 (ja) 肝機能障害改善剤
JP2006075083A (ja) ゴーヤから得られる発酵物
KR101979001B1 (ko) 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당 상승 억제 조성물
JP2006182654A (ja) 体脂肪の蓄積抑制または低減剤
KR20090043758A (ko)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KR20160079269A (ko) 애엽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JP2006193489A (ja) 体脂肪蓄積抑制剤
JP2006076927A (ja) マンゴーから得られる発酵物
JP2006265142A (ja) 体脂肪の蓄積抑制または低減剤
KR20200137193A (ko) 보리잎 유래 다당 분획물을 함유하는 비만 및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98205B1 (ko) 보리 잎 및 옥수수 수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감마-아미노부티르산이 증진된 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