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7380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7380A
KR20020037380A KR1020027004520A KR20027004520A KR20020037380A KR 20020037380 A KR20020037380 A KR 20020037380A KR 1020027004520 A KR1020027004520 A KR 1020027004520A KR 20027004520 A KR20027004520 A KR 20027004520A KR 20020037380 A KR20020037380 A KR 20020037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ure
chamber
cleaning
wash chamber
w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4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3199B1 (ko
Inventor
마운셀스티브
토드로버트윌리암
Original Assignee
윌리엄 린드세이 길랜더즈
피셔 앤 페이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리엄 린드세이 길랜더즈, 피셔 앤 페이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윌리엄 린드세이 길랜더즈
Publication of KR20020037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7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1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6Details of the tub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drawer-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1Connections of the door to the casing, e.g. door 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3Door sea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식기세척기(200)는 벤치내의 캐비티에 장착되기에 적합하도록 닫혀있다. 식기세척기는 적어도 섀시이고, 래퍼나 캐비넷을 포함하지 않고, 캐비티에 직접장착되어 있다. 또한, 수납가능한 서랍식 세척 시스템에 리드(217)를 폐쇄시키는 메카니즘과 관련된 다수의 실시예와 식기 세척기에 리드를 밀봉하는 다수의 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WASHER}
WO 93/12706에 개시된 식기 세척기는 도1 및 도2에서 일반적으로 지시된 형태 및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설비 옵션을 가진다. WO 93/12706에 개시된 식기 세척기는 세척실 및 그와 관련된 세척 시스템이 캐비넷내에 서랍 형태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세척실이 그 개방형 최상단를 통해 공급가능하도록 수평으로 당길 수 있다는 점에서 종래의 식기 세척기와 구별된다. 세척실이 집어 넣어질 때, 관련된 리드는 작동시에 세척액을 포함하도록 세척실의 최상단을 밀봉가능하게 폐쇄한다. WO 93/12706의 식기 세척기는 모든 작동 요소가 수용되는 캐비넷 또는 랩퍼(wrapper)(203)를 포함한다. 캐비넷은 섀시와 우수한 마무리 랩퍼로서 기능한다. 사용시에 식기 세척기는 부엌 가구류에 통상 장착되고 프리-스탠딩 모드로는 대개 사용되지 않는다. 그렇게 사용될 때는 우수한 마무리 랩퍼는 불필요하고 불필요한 제조비를 초래하게 된다.
WO 93/12706에서, 세척실 리드는 캐비넷의 최상단에 이동가능하게 유지되는 단일구조이며, 집어 넣을 때에 평행사변형 연동장치와 캠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챔버의 최상단으로 이동하는 세척실과 맞물려진다. 실제로, 다른 세척실 커버 타입이 만족스러울 수 있으며 보다 우수한 제조 경제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WO 93/12706는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식기 세척기를 개시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캐비넷내로 집어넣을 때 서랍을 밀봉하기 위한 팽창가능 개스킷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는 제조 신뢰도와 사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개스킷 팽창 및 수축 시간은 서랍 중간-사이클을 개방할 때의 딜레이로 사용자를 불편하게 할 수 있고, 고무 개스킷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지보수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고, 특히 본원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국제특허공개(WO93/12706)에 개시된 타입의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개략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식기 세척기의 배수 및 급수 시스템에서 세척실의 각각 개방된 상태와 폐쇄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4 내지 도6은 WO 93/12706호의 발명과 본원 발명에서 식기 세척기가 부엌 설비에서 모듈 형태로 장착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캐비넷 식기 세척기에서 '2개의 서랍'을 가지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캐비넷의 구조적인 특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서랍 정면의 단면을 보여주고 벤치(bench)아래에 장착된 세척 시스템의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세척 시스템의 상세도이고,
도 11은 서랍 정면의 단면을 보여주고 분리되어 장착된 캐비넷을 보여주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서랍을 당겨 열었을 때의 측면도이고,
도 14는 딱딱한 리드를 사용하는 상면이 개방된 워시 챔버의 밀폐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5는 유연한 리드를 사용하는 개방형 최상부 세척실의 밀폐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 및 도 17은 유연한 덮개를 가진 개방형 최상부 세척실의 밀폐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8 및 도 19는 딱딱한 리드를 가진 개방형 최상부 세척실의 밀폐방법의 개략도이고,
도 20 및 도 21은 부풀게 할 수 있는 가스킷을 사용하여 딱딱한 리드를 가진 개방형 최상면 세척실의 밀폐방법의 개략도이고,
도 22는 도 20 및 도 21에서 도시된 밀폐방법을 구현한 식기 세척기의 부분도이고,
도 23 및 도 24는 딱딱한 리드를 가진 개방형 최상면 세척실의 밀폐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5 및 도 26은 딱딱한 리드를 가진 개방형 최상면 세척실의 다른 밀폐방법의 개략도이고,
도 27은 흰지 암을 사용하는 클로우저 개방 메카니즘의 측면도이고,
도 28은 도 27의 연결부의 상세도이고,
도 29는 리드 가스킷의 측면도이고,
도 30은 롤러와 캠을 사용하는 클로우저 개방 메카니즘의 측면도이고,
도 31은 세척실이 집어넣을 때, 도 30의 링키지 기구의 상세도이고,
도 32는 세척실이 부분적으로 당길 때, 도 30의 링키지 기구의 상세도이고,
도 38은 고정 리드가 사용되었을 때, 세척실을 폐쇄하기 위한 다른 구성의 개략도이고,
도 39은 이동가능한 실 지지체를 사용함으로써 고정 리드가 사용될 때, 세척실을 폐쇄하기 위한 다른 구성의 개략도이고,
도 40은 세척실과 축적 스프링 에너지 시스템에 의해 상기 세척실을 폐쇄하기 위해 하향하는 관련 리드의 단면 개략도이고,
도 41은 도 40에 도시된 메카니즘의 등축 단면도이고,
도 42는 벨트를 사용하는 세척 시스템의 클로우저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43 및 도 44는 세척실 클로우저용 부차적인 밀폐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5 내지 도 47은 스프링 부하 캠과 캠 종동자 리드 하향 메카니즘을 채용하고 있는 세척실 클로우저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불이익을 극복할 수 있는 타입의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고, 적어도 일반인에게 유용한 선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번째 태양은 캐비티 내부에 장착되도록 응용된 세척 기구로서, 이러한 세척 기구는
(a) 상기 캐비티의 적어도 하나의 내면에 장착되도록 응용된 이송 수단;
(b) 상기 이송 수단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중에 상기 이송 수단으로의 액세스를 위해 상기 캐비티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는 세척 시스템으로서,
(i) 세척되어야 할 물품을 수용하도록 응용되고 그 내부에서 세척액이 순환되며, 최상부 외연 림을 갖는 개방형 최상부 세척실;
(ii) 상기 세척실 내부로 세척액을 도입하고 순환시키기 위한 수단; 및
(iii) 상기 세척실로부터 세척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세척 시스템; 및
(c) 상기 캐비티 내부에 장착되도록 응용되고, 상기 캐비티내로 상기 세척실이 집어넣었을 때 상기 세척실의 개방형 최상부를 덮는 세척실 클로우저를 포함하고,
(d) 상기 세척실 클로우저는, 세척실이 상기 캐비티내로 집어넣어지는 경우 세척액이 세척실로부터 흘러나오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림의 근방에서 상기 세척실의 최상부와 협동하는 외연 수단을 갖는다.
상기 이송 수단은 상기 캐비티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면에 장착되도록 응용된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척실 클로우저는 강성 리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연 수단은 상기 세척실이 상기 캐비넷 내부로 집어넣을 때 상기 세척실의 림과 맞물림되도록 상기 리드의 하부측의 외연 둘레로 배치된 밀봉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척 기구는, 상기 캐비티 내부의 정지 지점에서 연결되도록 응용된 캠 표면, 상기 클로우저에 연결되고 상기 캠 표면과 상호작용하도록 응용된 캠-종동자, 상기 캠-종동자가 내부방향으로 및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내부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상기 캠-종동자가 외부방향으로 및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외부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상기 클로우저에 두 개의 자유도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캐비티 내부의 정지 지점과 상기 캠-종동자 사이에서 눌려지도록 응용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부재, 및 상기 클로우저 및 상기 세척실에 구비된 상보형 맞닿음 수단을 포함하는 캠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보형 맞닿음 수단은 상기 클로우저가 상기 세척실 개구를 폐쇄 또는 개방하도록 폐쇄력 및 개방력을 각각 상기 클로우저에 제공하는 맞닿음 후에 상기 세척실의 계속된 변위에 의해 상기 세척실이 상기 캐비넷 내부로 실질적으로 완전히 집어넣어졌을 때 및 상기 세척실이 상기 캐비넷 내부로 부터 초기에 실질적으로 완전히 당겨질 때 맞닿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상기 세척 기구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된 링크 부재와, 상기 클로우저 및 상기 세척실에 구비된 상보형 맞닿음 수단을 포함하는 링키지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로우저가 내부방향으로 및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내부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상기 클로우저가 외부방향으로 및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외부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상기 클로우저에 두 개의 자유도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링크 부재의 각각의 일단부는 상기 이송 수단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링크 부재의 각각의 타단부는 상기 클로우저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상보형 맞닿음 수단은 상기 클로우저가 상기 세척실 개구를 폐쇄 또는 개방하도록 폐쇄력 및 개방력을 각각 상기 클로우저에 제공하는 맞닿음 후에 상기 세척실의 계속된 변위에 의해 상기 세척실이 상기 캐비넷 내부로 실질적으로 완전히 집어넣어졌을 때 및 상기 세척실이 상기 캐비넷 내부로 부터 초기에 실질적으로 완전히 당겨졌을 때 맞닿음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리드는 상기 세척실이 집어넣어졌을 때 상기 세척실의 최상부를 덮더록 정렬된 상기 캐비넷의 최상부의 아래의 고정된 위치에 장착되고, 상기 세척실 림은 후방부 보다 전방부에서 더 높도록 균등하게 경사지고, 상기 리드는 전방부 보다 후방부에서 더 높도록 깊이가 대응하여 경사진 외연 플랜지를 갖고, 상기 탄성 밀봉 부재는 상기 리드의 하부측의 외연 둘레에 배치되고, 및 상기 리드의 수직 위치는 상기 세척실이 완전히 집어넣어졌을 때 밀봉 부재는 말물림되고 상기 세척실의 림에 의해 눌려지게 되는 위치이다.
상기 클로우저는 상기 세척실의 개방형 최상부를 덮도록 상기 세척실을 집어넣을 때 뻗고 상기 세척실의 개방형 최상부를 열도록 상기 세척실이 당겨질 때 수축되는 가요성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요성 부재는 일단부에서 상기 림의 원거리부에 고정되고 타단부에서 스프링-부하 롤러에 고정된 가요성 시트이고, 상기 롤러는 캐비넷의 전방 개구 근방의 상기 캐비넷의 최상부 및 상기 림의 근거리부 위에 장착되고, 상기 롤러는 상기 세척실이 당겨졌을 때 실질적으로 상기 가요성 부재의 모든 영역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요성 부재는 콘서티나 형상이고 일단부에서 상기 림의 원거리부에 고정되고 타단부에서 상기 캐비넷의 전방 개구의 최상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번째 태양은,
(a) 액세스를 위해 수평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는 방식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장착되도록 응용된 세척 시스템으로서,
(i) 세척되어야 할 물품을 수용하도록 응용되고 그 내부에서 세척액이 순환되며, 최상부 외연 림을 갖는 개방형 최상부 세척실;
(ii) 상기 세척실 내부로 세척액을 도입하고 순환시키기 위한 수단; 및
(iii) 상기 세척실로부터 세척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 상기 세척 시스템;
(b) 세척실 클로우저; 및
(c) 정지 지점에서 연결되도록 응용된 캠 표면, 상기 클로우저에 연결되고 상기 캠 표면과 상호작용하도록 응용된 캠-종동자, 상기 캠-종동자가 내부방향으로 및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내부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상기 캠-종동자가 외부방향으로 및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외부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상기 클로우저에 두 개의 자유도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정지 지점과 상기 캠-종동자 사이에서 눌려지도록 응용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부재, 및 상기 클로우저 및 상기 세척실에 구비된 상보형 맞닿음 수단을 포함하는 캠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상보형 맞닿음 수단은 상기 클로우저가 상기 세척실 개구를 폐쇄 또는 개방하도록 폐쇄력 및 개방력을 각각 상기 클로우저에 제공하는 맞닿음 후에 상기 세척실의 계속된 변위에 의해 상기 세척실이 상기 캐비넷 내부로 실질적으로 완전히 집어넣었을 때 및 상기 세척실이 상기 캐비넷 내부로 부터 초기에 실질적으로 완전히 당겨졌을 때 맞닿음한다.
세번째 태양에서 본 발명의 세척기구는
(a) 액세스를 위해 수평방향으로 추출될 수 있는 방식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응용된 세척 시스템으로서,
(i) 세척되어야 할 물품을 수용하도록 응용되고 그 내부에서 세척액이 순환되며, 최상부 외연 림을 갖는 개방형 최상부 세척실;
(ii) 상기 세척실 내부로 세척액을 도입하고 순환시키기 위한 수단; 및
(iii) 상기 세척실로부터 세척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 상기 세척 시스템;
(b) 세척실 클로우저; 및
(c) 정지 지점에서 연결되도록 응용된 캠 표면, 상기 클로우저에 연결되고 상기 캠 표면과 상호작용하도록 응용된 캠-종동자, 상기 캠-종동자가 내부방향으로 및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내부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상기 캠-종동자가 외부방향으로 및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외부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상기 클로우저에 두 개의 자유도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정지 지점과 상기 캠-종동자 사이에서 눌려지도록 응용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부재, 및 상기 클로우저 및 상기 세척실에 구비된 상보형 맞닿음 수단을 포함하는 캠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상보형 맞닿음 수단은 상기 클로우저가 상기 세척실 개구를 폐쇄 또는 개방하도록 폐쇄력 및 개방력을 각각 상기 클로우저에 제공하는 맞닿음 후에 상기 세척실의 계속된 변위에 의해 상기 세척실이 상기 캐비넷 내부로 실질적으로 완전히 집어 넣을 때 및 상기 세척실이 상기 캐비넷 내부로 부터 초기에 실질적으로 완전히 당길 때 맞닿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기구이다.
본 발명의 네번째 태양은 각각의 세척실을 위한 세척실 클로우저와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가능한 개방형 최상부 세척실을 포함하는 자동 식기 세척기용 가스킷에 있어서,
(a) 제1 원거리 에지와 제1 근거리 에지를 갖는 제1 하방으로 대면하는 가요성 플랜지로서, 상기 제1 근거리 에지는 상기 클로우저의 바닥면에 대해 0°내지 90°사이의 각도에서 외연 둘레로 상기 바닥면에 부착되는, 상기 제1 하방으로 대면하는 플랜지; 및
(b) 제2 원거리 에지와 제2 근거리 에지를 갖는 제2 하방으로 대면하는 가요성 플랜지로서, 상기 제 2근거리 에지는 상기 제1 각도와 컨커런트하게 90°내지 180°사이의 제2 각도에서 상기 제1 플랜지의 제1 원거리 에지에 부착되는, 상기 제2 하방으로 대면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사용중에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는 상기 클로우저가 상기 개구와 완전히 맞물릴 때 상기 제1 원거리 에지 및 상기 제2 원거리 에지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하를 받도록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식기 세척기용 가스킷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각도는 45°
바람직하게 상기 제2 각도는 135°
바람직하게 상기 가스킷은 단면이 "L"자 형상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구성에서 많은 변화와 다양한 실시예와 응용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정된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가능하다는 걸 알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내용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이고 결코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고 또한 다음의 실시예와 같은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행하기 위한 모드
본발명의 식기 세척기(200)는 도 1에 도시된 형과 같은 것이다. 정면 패널(201)을 가지고 있는 세척실(201)(모든 세척 시스템 소자를 포함)는 캐비넷(203)내에서 '서랍' 배열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세척실은 개방형 최상면을 가지고 있고 식기를 넣고 뺄 수 있도록 화살표 방향으로 캐비넷으로부터 당겨낼수 있고 세척동안 캐비넷(203)안으로 집어넣을 수 있다. 세척과 배수 시스템은 모터와 펌프를 포함하여 세척실(201)내에 장착되어 있다. 휘어지는 연결 와이러링과 배관(228)은 세척실을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넷내의 관련된 종점에 결합한다. 식기 세척기 제어기는 캐비넷내에 또는 슬라이딩 세척 시스템내에 장착될 수 있다.
식기 세척기는 종래의 앞면 적재하는 가정용 식기 세척기의 약 절반 정도의 높이로 만들어진다. 이 형태로 단독으로 또는 그런 식기 세척기쌍의 하나로 사용되어 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이러한 모듈 개념을 사용하여 하나 또는 두개의 식기 세척기를 사용하는 설치 개념을 보여준다. 도 4에서, 2개의 식기 세척기(200)는 일반적으로 바닥면으로 부터 850mm 내지 900mm 사이에 있는 싱크 벤치(1)아래에 아래위로 쌓여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5에서는, 2개의 식기 세척기(200)는 싱크 벤치(1)의 싱크 형성부의 각면에 하나씩 장착되어 있다. 도 6에서는 하나의 식기 세척기(200)가 싱크 벤치(1) 아래에 있다. 줄어든 높이 때문에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또한 벤치 장착될 수 있다.
도4로부터, 두개의 모듈 식기세척기 유닛(200)이, 하나 위에 다른 하나가 놓이도록 적층된다면, 외형의 치수에 있어서는 그 구성이 종래의 식기세척기와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5에서처럼, 벤치탑(bench top)에 밀착하여 나란히 설치된 두개의 모듈 유닛(200)은 종래의 식기세척기와 동일한 용량을 제공하지만, 식기세척기의 낮은 부분에 뻗기 위해 사용자가 몸을 굽혀야 하는 불편함을 피하게 된다.
설치시 두개의 개별 모듈을 짝으로 만드는 것 대신에, 몇몇의 쌍 배열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4의 도시와 같이 '아래 위' 구성의 두개의 식기세척기가 한개의 외부 씌우개 또는 캐비넷으로 제작될 수 있고, 단일 장치로서 설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두개의 서랍장(draw machine)이 도7에 도시되었는데, 두개의 서랍형 세척실(202a 및 202b)을 수용하는 단일 캐비넷(203)으로 구성된다. 서랍의 전면에는 심미감을 주는 판이 제공된다.
이러한 형태의 두개의 서랍장은 동작 모드에서 상당한 유연성을 제공한다. 이것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1. 하나의 모듈 동작, 또는 각양각색의 식기에 대해 두개의 모듈의 동시 동작. 각 모듈은 가장많은 식기의 아이템을 수용할 수 있고, 이 개념은 큰 아이템에 대한 용량을 증가시킨다.
2. 하나 또는 두개 모두의 모듈 동작. 그러나 동시일 필요는 없으며, 각 모듈은 약간 더럽거나 또는 아주 더러운 식기들 중 한쪽을 가지고 있고, 각 모듈에 적합하게 세팅된 적절한 프로그램을 갖고 있다.
3. 하나의 모듈은 더러운 식기로 점차 채워지고, 반면 두번째 모듈은 그의 깨끗한 식기가 재사용될 때만 비워진다. 위생상의 이유로 이것은 단일 식기세척기에는 실용적이지 않다.
4. 하나의 모듈은 약간 더러운 식기에 대해 프로그램되고 다른 모듈은 아주 더러운 식기에 대해 프로그램된다.
5. 하나의 모듈은, 더러운 식기들로 채워지자 마자 스위치가 켜진다. 즉, 더 적은 식기가 효율적으로 세척된다.
기본 모듈
서랍형 식기세척기의 이전의 버전이 캐비넷과 섀시를 포함하고 있는 반면,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선점은, 가구에 직접 고정되고 또한 캐비넷이나 섀시를 포함하지 않는 식기세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본 모듈(300)은, 캐비티(cavity)(310) 안쪽의 인접한 수직 부재(302)에 볼트나 나무 나사와 같은 적당한 체결수단(301)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이렇게 고정된 기본 모듈(300)은, 세척실(308)이 철거된 경우에도, 벤치(304)의 수직 부재(302)에 의해 어떤 심한 힘도 견딜 수 있다.
세척실(308)은, 기본 모듈(300)과 일체로 된 슬라이딩 레일(306)에 의해, 캐비티(310)의 안팎으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본 모듈(300)은 슬라이딩 레일(306)과 수직 부재(302) 사이의 밑받침 및 물의 공급과 제거에 대한 설비를 효율적으로 포함한다. 앞에서 설명한 이 방식에서, 두개의 이러한 세척용 모듈이 동일한 캐비티 내에서 상하로 위치할 수도 있고, 또는 인접한 캐비티에 나란히 위치할 수도 있다.
서랍 클로우저(closure)
세척실이 슬라이딩가능 서랍으로 설치되는, 본 명세서에 제시된 세척용 머신(machine)에 있어서, 세척 사이클 시작 전의 체임버의 밀폐는 종래의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또는 벤치-위 탑 로딩(above-bench top loading) 머신보다 더복잡하다. 뻗어나온 '서랍'을 캐비넷 안쪽으로 밀기 전에, 윗면이 열린(open-topped) 세척실을 밀폐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문을 닫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세척실을 캐비넷 안쪽으로 집어넣는 동작에 의해 작동되는 클로우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에는, 세척실(201)의 열려진 상면을 닫기 위해 캐비넷(203)의 상측에 설치된 고정식 클로우저 또는 리드(lid)(217)가 도식적으로 나타나 있다. 체임버가 캐비넷(203) 안으로 들어갈 때 리드가 세척실(1)의 가장자리에 대해 기계적으로 아랫방향으로 힘을 받도록 리드가 설치됨으로써 밀폐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형태의 밀폐 동작을 달성하는 하나의 수단이 WO93/12706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세척실 운동의 마지막 부분 동안 서랍을 밀폐하기 위해 평행사변형 형태의 기계적 연동장치(linkage)를 이용한다. 이와 반대로 본 발명은 캐비넷이나 섀시가 없으며, 따라서 대안적인 해결책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도9 내지 도11)에서, 리드(320)는 브래킷(326)의 일부를 형성하고, 닫혔을 때 서랍의 위를 효과적으로 두르고, 기본 모듈(300)에 대해 바닥에 설치된다. '닫힌 위치'의 서랍 리드(320)가 도9 및 도10에 도시되어 있고, 개스킷(322)이 세척실(308)의 리드(320)와 가장자리(324) 사이에 압착되어 있다. 절단 단면을 나타내는 도12에서, 리드(320)가 높여진 위치로 도시되었고, 이에 따라 개스킷(322)이 세척실과 접촉하지 않게 되어 세척실(308)이 캐비티(310)로부터 자유롭게 꺼내어질 수 있다.
도29에 더 상세히 도시된 개스킷(322)은 단면이 "L"자 형으로 되어있다. 두개의 밀폐 에지(edge)가 있는데, (그 주변근처에 뻗어있는 홈(406) 주변에 리드에 부착된) 제1 플랜지(flange)(408)의 끝에 있는 하나의 에지(402), 및 (제1 플랜지의 끝에 부착된) 제2 플랜지(410)의 끝에 있는 두번째 에지(404)이다. 리드가 적절하게 닫히면 플랜지가 변형되고, 각 밀폐 에지가 대략 같은 부하를 지탱한다. 이것은, 각각의 립(lip)가 보통 동일한 부하를 지탱하지 않음으로 인해 동일하지 않은 밀폐 효과를 갖는 종래기술의 듀얼 립 밀폐에 비해 장점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개스킷의 단면이 L 형상이지만, 제1 플랜지의 각(α)이 90°보다 작고 제2 플랜지의 각(β)이 90°이상 180°이하인 경우에도 여전히 효과적이다.
더 개선된 점에서, 서랍이 열렸을 때 초과 증기력(steam)이 캐비티 내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확실히 하기 위해, 그 주변부에 수증기 후드(moisture hood)를 포함한다. 이 캐비티는 통상 목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잔존 수증기량이 작은 경우라도 해로울 것이다. 후드는, 수증기를 캐비티로부터 돌리기 위해, 앞쪽에 외부 통풍구(vent)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330)가 기본 모듈(334) 및 세척실(336)과는 별개도 캐비티(332)내에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다.
클로우저 메카니즘
이미 설명하였듯이, 서랍을 닫는 기계적 동작으로 서랍 클로우저가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것은 클로우저를 기본 모듈에 연결하는 기계적인 배열에 의해 달성된다.
이제 도27 및 도28을 참조하면, 닫혔을 때 세척실에 대한 클로우저를 확실히하는 제1 기계적 배열이 도시되어 있다. 힌지연결된(hinged) 링크 또는 아암(350)(기본 모듈의 한쪽 측)은, 기본 모듈(도9, 300)에 한쪽 끝(352)이 힌지로 결합되어 있고, 요크(326)에 다른쪽 끝(354)이 힌지로 결합되어 있다. 요크(326)는 기본 모듈에 독립되고, 완전히 잡아당겨졌을 때는 세척실(도9, 308)의 위를 두른다. 클로우저(320)는 요크(326)의 상단 부분(356)의 하면에 결합되어 있다. 스프링(358)(기본 모듈의 다른 한쪽 측)은, 기본 모듈(힌지 부재가 결합된 부분과 다른 지점에)에 한쪽 끝(360)이 힌지로 결합되어 있고, 요크(326)(힌지 아암이 결합된 부분과 동일한 지점에)에 다른쪽 끝(326)이 힌지로 결합되어 있다.
세척실 측면의 두 지점에, 요크의 대응 인접부(364,368)와 협동하도록 설계된 인접부(362,366)가 있다. 세척실이 접혀진 위치로 미끄러져 들어가면, 체임버 인접부(362,366)는 요크 인접부(364,366)에 수평력을 제공한다. 힌지 부재(350)의 동작(도28, 370)은 이 수평력을 결합된 수직성분과 수평성분 힘으로 변환한다. 이것은 클로우저의 아래방향 및 안쪽방향 운동을 초래하여, 세척실의 접힘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리드가 내려감으로써, 밀폐에 악영향을 미치는 실질적인 어긋남이 없이, 개스킷이 세척실의 바깥의 립과 만난다.
세척실이 완전히 집어 넣어질 때, 하부 세척실 접합부(366)는 완전히 요크와 맞물리게 된다. 세척실이 내측 방향으로 미끄러짐에 따라 요크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래서 요크상의 추가 접합부(369)는 하부 세척실 접합부(366)뒤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세척실이 당겨지면, 하부 세척실 접합부(366)는 추가 접합부(369)상에서 동작하게되고, 그래서 요크를 외측방향으로 밀게 된다. 힌지된 아암의 동작은 요크상의 외측방향의 힘을 외측방향 및 상측방향의 성분으로 변헝시키고, 그래서 하부 세척실 접합부(366)이 추가 접합부(369)와 맞물리고 세척실이 자유롭게 당겨질 수 있는 지점에 이르게 한다.
닫힐 때 세척실상에 클로우저를 고정시키는 추가 바람직한 기계 배열이 도 30 내지 도 32에 도시되어 있다. 다시 이 클로우저(420)는 요크(422)의 최상위부의 하측상에 현수되어 있다. 롤러 또는 캠 종동자(424)는 요크(422)의 베이스에 부착되어 있고, 열림 및 닫힘 공정중에, 베이스 모듈에 부착된 캠(426)과 상호 동작한다. 비틀림 스프링(428)은 베이스 모듈(421) 및 캠 종동자(424) 사이에 연결되고, 요크상에서 주로 하측방향의 힘을 제공한다.
도 31에서 집어 넣어진 위치에서의 세척실을 볼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요크 접합부(432)상에서 동작하는 세척실 접합부(428)가 요크를 내측방향으로(423) 밀때에, 스프링(428)은 요크를 하측방향(425)으로 밀게되고, 캠 표면(434)의 하측방향의 경사는 캠 종동자(424)가 내측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하측방향의 이동을 허용한다. 완전히 집어 넣어진 위치에서, 상기와 같이 세척실 접합부(430)는 요크와 완전히 맞물리게 되고, 추가 접합부(436)는 세척실 접합부(430)의 뒤에 있게 된다.
세척실이 당겨질 때 세척실 접합부(366)는 추가 접합부(436)상에 동작하게 되고, 요크를 외측방향으로 밀게 된다. 표면(434)의 경사는 요크상의 외측방향의 힘을 외측방향 및 상측방향의 성분으로 변형시키고, 세척실 접합부(430)가 추가 접합부(436)와 맞물림 해제되고 세척실이 자유롭게 당겨질 수 있는 지점에 이르게 한다.
스프링(428)의 아크(438)는 캠 종동자(434)상의 중간 지점의 주위에 중심이 잡히게 된다. 따라서, 집어넣어진 위치에서 스프링(428)은 클로우저(420)를 하측방향 세척실상으로 밀게된다. 당겨진 위치에서, 스프링(428)은 클로우저(420)를 상측방향으로 밀게 되어 세척실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2가지 위치에서 클로우저는 힘이 세척실 접합부(430)에 의해 가해질 때까지 기계적으로 정위치에 잠금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러한 클로우저 메카니즘이 캐비넷이 없는 서랍 식기세척기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이 메카니즘이 일반적으로 서랍 식기세척기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대안의 실시예
이렇게 식기세척기가 본 발명에서 설명되었지만, 이 식기세척기를 밀봉하는 다수의 방법이 존재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해 설계된 대안의 밀봉 장치의 예가 아래에 설명되었다.
이러한 예의 첫번째가 도 20 내지 도 22에 개략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강성 리드(217)가 상술된 바와 같이 사용되었지만, 닫힌 세척실상의 위치에 고정되고 세척실(210)의 림(19)과 수직의 관계로 위치된 주변의 부풀림가능한 개스킷(18)과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외시 세척실이 완전히 집어넣어질 때, 부재(18)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풀어져 림(19)과 밀봉가능하게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부재(18)는 밀봉 부재이지만, 이와 동일하게 적당한대안으로는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 및 밀봉 부재(251)사이에 놓여진 밀봉 부재 캐리어(250)를 부풀리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의 실제적인 실현이 도 22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었다. 세척실(201)은 사용될 때 부풀림가능한 개스킷(18)을 위한 시트를 제공하는 플랜지가 붙여진 림(19)으로 형성된다.
도 22에서 세척통(201)은 세척통(201)이 밀봉가능하게 림(19)을 미끄럼가능하게 맞물리게 하도록 개스킷(18)이 부풀어진 상태로 완전히 집어넣어진 것으로 나타난다.
강성 리드(217)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레일의 고정된 캐리지에 장착된 브래킷(400)에 부착되어 있다. 리드(217)는 벤치 캐비티아래에 관련하여 실질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리드의 하측 주변에 개스캣(18)을 포함하는 채널(31)이 제공된다.
개스킷(18)이 가요성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성형되고 무한대의 길이로서 형성된다. 늑골이 붙여진 확장부(32)는 리드(217)내의 채널(31)내에 맞물리도록 개스킷의 상표면상에 일체식으로 성형되고, 그래서 개스킷을 리드에 맞물리게 한다.
추가 대안은 세척실(201)의 림(19) 및 리드(217)가 그 측을 따라 보완적인 경사진 에지를 구비한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탄력적인 밀봉 부재가 리드(17)의 주변에 배치되어 있다. 세척실(201)이 캐비넷(203)내에서 완전히 집어넣어질 때 세척실은 리드 및 세척실 림의 전후방 경사의 결과인 웨징 동작으로 인하여 리드(17)에 대하여 밀봉된다.
또 다른 대안의 구성(도시되지 않음)에서 편평하고 강성 리드는 리드와 세척실 사이의 포지티브 밀봉이 세척실이 집어넣어질 때 순수한 미끄러짐 동작에 의해 달성되도록 세척실상의 수단과 협동하는 주변 가요성 개스킷을 구비한다.
도 15 내지 도 17은 강성 리드를 사용하는 대신에 가요성 클로우저가 사용되는 대안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5에서 커튼 타입의 클로우저(24)는 에지(25)를 따라 세척실 림(19)의 리어 세그먼트(26)에 고정된다. 커튼(24)은 식기세척기 캐비티의 상전방부에 장착된 스프링 로딩된 롤러(27)상에 집어넣어짐이능하게 저장된다. 세척실(201)이 당겨질 때, 커튼(24)은 롤러(25)상에서 들어올려지고, 반면에, 세척실이 집어넣어질 때, 커튼(24)은 롤러(25)로부터 풀어져 세척실(201)의 개방된 상부를 완전히 덥게 된다.
도 16은 콘서티나 타입의 구성을 갖고, 식기세척기 캐비티의 상부측내에 제공된 슬라이드내에 장착된 가요성 클로우저(27)를 도시한다. 세척실(201)이 도 17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겨질 때, 클로우저(27)는 콘서티나 동작으로 인하여 접혀지고 이에 반하여 세척실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어넣어질 때, 클로우저(27)는 세척실의 상부를 따라 편평해지도록 개방된다.
세척실이 캐비넷으로 집어넣어질 때 세척실의 상부로 이동하거나 확장하는 밀봉 부재를 사용함과 더불어, 개별적인 밀봉 지지 캐리어는 지지 캐리어를 하강시킴으로써 달성되는 클로우저를 구비한 밀봉 부재와 리드의 주변 사이에 놓일 수 있다. 이것은 밀봉 지지 캐리어(252)가 확장가능한 스커트(253)에 의해 리드(217)에 부착된 도 39에 도시되어 있다. 상호 모션을 주는 다양한 액츄에이터 수단이 밀봉캐리어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의 가요성 클로우저 배열이 도 42에 도시되어 있다. 세척실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롤러(261)상에 장착된 무한한 벨트(260) 및 세척실의 길이와 거의 동일한 롤러 사이의 간격은 세척실이 완전히 집어넣어질 때 세척실의 상부를 덮는다.
롤러(261)는 식기세척기 캐비티의 상부내의 고정된 높이에 장착된다. 세척실의 리어 벽(262)의 상부 에지는 벨트(260)에 고정되고 그래서 세척실이 미끄러져 닫혀짐에 따라 벨트가 회전되어 세척실과 동일한 선형 모션이 주어지게 된다. 압력 패드(263)는 세척실에 대하여 벨트의 밀봉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벨트는 일련의 이격된 트랜버스 배튼에 의해 경직될 수 있다.
이제까지 설명된 실시예에서 클로우저(217)는 본질적으로 단단하거나 가요성의 경우이거나에 상관없이 캐비티내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된다. 다음의 실시예에서 클로우저는 세척실(201)의 개방 상부를 미끄러짐가능하게 닫도록 다양한 수단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제1 실시예가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주변 탄력적인 밀봉 부재(20)가 리드(217)의 하측상에 배치되고, 한편, 부풀림가능한 환형상의 부재(21)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실의 림(19)에 대하여 밀봉하기 위하여 수직 방향으로 하측방형으로 리드(217)를 밀도록 사용된다.
추가 실시예가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리드(217)가 도 25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캐비티의 상부에 장착된다. 밀봉이 리드의 에지의 주변에 그리고 세척실 벽의 상부에 플랜지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얻어져서, 닫힐 때,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나갈 수 없는 미로 유체 경로(22)가 형성되고, 그래서 효과적으로 세척실을 밀봉하게 된다. 리드 및 세척실 플랜지 구성은 압력이 균등한 세척실을 형성하는데, 이 세척실은 와시액이 확실히 새지 못하게 한다. 리드의 이러한 구성은 또한 세척실이 닫혀진 위치로 미끄러질 때 리드 플랜지에 대하여 클리어런스를 제공하도록 세척실의 리어 벽이 감소된 높이가 된다면 고정된 리드 모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미로 경로 구성에 대하여 도 43에 도시된 가요성 변형가능한 슬라이딩 부재(264) 및/또는 도 44에 도시된 선형 브러시 부재(265)에 의해 밀봉을 도울 수 있다.
강성 리드를 상승시키고 하강시키는 대안적인 수단이 도 40에 도시되어 있다. 압축 스프링(253)은 리드(217)에 상승력을 가하고 리드를 정상 개방 위치로 유지시킨다. 텐션 스프링(254)은 세척실이 완전히 집어넣어질 때 리드에 폐쇄력을 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장력은 세척실이 완전히 집어넣어지기 전에 캠 또는 램프(256)상을 지나는 스프링의 일단부에 부착된 롤러(255)에 의해 가해진다. 래치(257)는 롤러가 캠(256)의 위를 통과한 후에 스프링내의 장력을 유지한다. 이것은 나중에 리드를 상승시키는 것이 요구될 때 해제된다. 제2 래치(258)는 세척실이 집어넣어지게 되어 세척실이 부재(259)를 해제하고, 그래서 클로징(하강력)이 리드(217)에 가해질 수 있을 때가지 확장된 스프링(254)로 인하여 하측방향의 힘을 취한다.
강성 리드를 상승시키고 하강시키는 또 다른 메카니즘이 도 45 내지 도 47에도시되어 있다. 캠 및 캠 종동자 배열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리드(217)는 수평 이동에 대하여 제한됨에도 불구하고 압축 스프링(270)상에 공통의 상부에 장착된다. 세척실(201)은 세척실이 집어넣어진 위치로 수평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응하는 롤러(268, 269)와 맞물리는 각각의 측벽의 외측상에 캠 표면(266, 267)을 구비한다. 표면(266)은 먼저 롤러(268)에 접촉하고 리드(217)의 전방부가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하게 한다. 이와 유사하게 표면(267)은 롤러(269)와 접촉하고 세척실이 더 집어넣어짐에 따라 리드(217)의 리어 단부를 상승시킨다. 수평 이동이 종료되었을 때(도 47), 롤러는 스프링(270)의 영향하에 캠 표면(266, 267)의 반원부내로 아래로 이동하여 세척실의 상부상으로 리드(217)를 하강시키어 세척실의 상부를 닫는다.
이러한 캠 및 캠 종동자 기술은 도 14에 도시된 세척실 벽 및 리드의 웨징된 구성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세척실을 캐비티내로 밈으로써 야기된 수평방향 성부에 더하여 수직력 성분을 제공함으로써 증가된 밀봉력을 달성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캠 및 캠 종동자 배열은 또한 캐비티의 상전방부내의 고정된 높이에서 횡단 수평 축 둘레로 리드의 전방부가 회전되는 구성에서 리드의 리어 단부를 상승시키고 하강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0)

  1. 캐비티 내부에 장착하도록 응용된 세척 기구에 있어서,
    (a) 상기 캐비티의 적어도 하나의 내면에 장착되도록 응용된 이송 수단;
    (b) 상기 이송 수단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중에 상기 이송 수단으로의 액세스를 위해 상기 캐비티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추출될 수 있는 세척 시스템으로서,
    (i) 세척되어야 할 물품을 수용하도록 응용되고 그 내부에서 세척액이 순환되며, 최상부 외연 림을 갖는 개방형 최상부 세척실;
    (ii) 상기 세척실 내부로 세척액을 도입하고 순환시키기 위한 수단; 및
    (iii) 상기 세척실로부터 세척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 상기 세척 시스템; 및
    (c) 상기 캐비티 내부에 장착되도록 응용되고, 상기 캐비티내로 상기 세척실이 집어넣어졌을 때 상기 세척실의 개방형 최상부를 덮는 세척실 클로우저를 포함하고,
    (d) 상기 세척실 클로우저는, 세척실이 상기 캐비티내로 집어넣어지는 경우 세척액이 세척실로부터 흘러나오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림의 근방에서 상기 세척실의 최상부와 협동하는 외연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캐비티의 적어도 하나의 내면에 장착되도록 응용된 고정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실 클로우저는 강성 리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기구.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연 수단은 상기 세척실이 상기 캐비넷 내부로 집어넣어졌을 때 상기 세척실의 림과 맞물림되도록 상기 리드의 하부측의 외연 둘레로 배치된 밀봉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기구.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기구는, 상기 캐비티 내부의 정지 지점에서 연결되도록 응용된 캠 표면, 상기 클로우저에 연결되고 상기 캠 표면과 상호작용하도록 응용된 캠-종동자, 상기 캠-종동자가 내부방향으로 및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내부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상기 캠-종동자가 외부방향으로 및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외부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상기 클로우저에 두 개의 자유도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캐비티 내부의 정지 지점과 상기 캠-종동자 사이에서 눌려지도록 응용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부재, 및 상기 클로우저 및 상기 세척실에 구비된 상보형 맞닿음 수단을 포함하는 캠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보형 맞닿음 수단은 상기 클로우저가 상기 세척실 개구를 폐쇄 또는 개방하도록 폐쇄력 및 개방력을 각각 상기 클로우저에 제공하는 맞닿음 후에 상기 세척실의 계속된 변위에 의해 상기 세척실이 상기 캐비넷 내부로 실질적으로 완전히 집어넣어졌을 때 및 상기 세척실이 상기 캐비넷 내부로 부터 초기에 실질적으로 완전히 추출되었을 때 맞닿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기구.
  6.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기구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된 링크 부재와, 상기 클로우저 및 상기 세척실에 구비된 상보형 맞닿음 수단을 포함하는 링키지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로우저가 내부방향으로 및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내부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상기 클로우저가 외부방향으로 및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외부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상기 클로우저에 두 개의 자유도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링크 부재의 각각의 일단부는 상기 이송 수단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링크 부재의 각각의 타단부는 상기 클로우저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상보형 맞닿음 수단은 상기 클로우저가 상기 세척실 개구를 폐쇄 또는 개방하도록 폐쇄력 및 개방력을 각각 상기 클로우저에 제공하는 맞닿음 후에 상기 세척실의 계속된 변위에 의해 상기 세척실이 상기 캐비넷 내부로 실질적으로 완전히 집어넣어졌을 때 및 상기 세척실이 상기 캐비넷 내부로 부터 초기에 실질적으로 완전히 추출되었을 때 맞닿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기구.
  7. 제 1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우저는 상기 세척실이 집어넣어졌을 때 상기 세척실의 최상부를 덮도록 정렬된 상기 캐비넷의 최상부의 아래의 고정된 위치에 장착되고, 상기 세척실 림은 후방부 보다 전방부에서 더 높도록 균등하게 경사지고, 상기 리드는 전방부 보다 후방부에서 더 높도록 깊이가 대응하여 경사진 외연 플랜지를 갖고, 상기 탄성 밀봉 부재는 상기 리드의 하부측의 외연 둘레에 배치되고, 및 상기 리드의 수직 위치는 상기 세척실이 완전히 집어넣어졌을 때 밀봉 부재는 맞물림되고 상기 세척실의 림에 의해 눌려지게 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기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우저는 상기 세척실의 개방형 최상부를 덮도록 상기 세척실이 집어넣어질 때 뻗고, 상기 세척실의 개방형 최상부를 열도록 상기 세척실의 추출시 수축되는 가요성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기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부재는 일단부에서 상기 림의 원거리부에 고정되고 타단부에서 스프링-부하 롤러에 고정된 가요성 시트이고, 상기 롤러는 캐비넷의 전방 개구 근방의 상기 캐비넷의 최상부 및 상기 림의 근거리부 위에 장착되고, 상기 롤러는 상기 세척실이 추출되었을 때 실질적으로 상기 가요성 부재의 모든 영역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기구.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부재는 콘서티나 형상이고 일단부에서 상기 림의 원거리부에 고정되고 타단부에서 상기 캐비넷의 전방 개구의 최상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기구.
  11. (a) 액세스를 위해 수평방향으로 추출될 수 있는 방식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응용된 세척 시스템으로서,
    (i) 세척되어야 할 물품을 수용하도록 응용되고 그 내부에서 세척액이 순환되며, 최상부 외연 림을 갖는 개방형 최상부 세척실;
    (ii) 상기 세척실 내부로 세척액을 도입하고 순환시키기 위한 수단; 및
    (iii) 상기 세척실로부터 세척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 상기 세척 시스템;
    (b) 세척실 클로우저; 및
    (c) 정지 지점에서 연결되도록 응용된 캠 표면, 상기 클로우저에 연결되고 상기 캠 표면과 상호작용하도록 응용된 캠-종동자, 상기 캠-종동자가 내부방향으로 및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내부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상기 캠-종동자가 외부방향으로 및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외부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상기 클로우저에 두 개의 자유도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정지 지점과 상기 캠-종동자 사이에서 눌려지도록 응용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부재, 및 상기 클로우저 및 상기 세척실에 구비된 상보형 맞닿음 수단을 포함하는 캠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상보형 맞닿음 수단은 상기 클로우저가 상기 세척실 개구를 폐쇄 또는 개방하도록 폐쇄력 및 개방력을 각각 상기 클로우저에 제공하는 맞닿음 후에 상기 세척실의 계속된 변위에 의해 상기 세척실이 상기 캐비넷 내부로 실질적으로 완전히 집어넣어졌을 때 및 상기 세척실이 상기 캐비넷 내부로 부터 초기에 실질적으로 완전히 추출되었을 때맞닿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기구.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실은 상기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부재에 의해 상기 클로우저에 하방으로 가해진 전체 힘에 의해 완전히 집어넣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기구.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부재는 토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기구.
  14. (a) 액세스를 위해 수평방향으로 추출될 수 있는 방식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응용된 세척 시스템으로서,
    (i) 세척되어야 할 물품을 수용하도록 응용되고 그 내부에서 세척액이 순환되며, 최상부 외연 림을 갖는 개방형 최상부 세척실;
    (ii) 상기 세척실 내부로 세척액을 도입하고 순환시키기 위한 수단; 및
    (iii) 상기 세척실로부터 세척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 상기 세척 시스템;
    (b) 상기 세척실 위에 장착된 세척실 클로우저;
    (c) 상기 클로우저의 측부에 부착되고 상기 세척실의 한 측부에서 하방으로 뻗는 하방으로 뻗는 부재; 및
    (d) 적어도 하나의 피벗된 링크 부재와, 상기 클로우저 및 상기 세척실에 구비된 상보형 맞닿음 수단을 포함하는 링키지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클로우저가 내부방향으로 및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내부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상기 클로우저가 외부방향으로 및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외부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상기 클로우저에 두 개의 자유도가 제공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링크 부재의 각각의 일단부 고정 피벗 지점에 연결되고 상기 링크 부재의 각각의 타단부는 각각 하방으로 뻗는 부재에 피벗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보형 맞닿음 수단은 상기 클로우저가 상기 세척실 개구를 폐쇄 또는 개방하도록 폐쇄력 및 개방력을 각각 상기 클로우저에 제공하는 맞닿음 후에 상기 세척실의 계속된 변위에 의해 상기 세척실이 상기 캐비넷 내부로 실질적으로 완전히 집어넣어졌을 때 및 상기 세척실이 상기 캐비넷 내부로 부터 초기에 실질적으로 완전히 추출되었을 때 맞닿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기구.
  15. 제 1항 내지 13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세척기구에 따라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식기 세척기.
  16. 각각의 세척실을 위한 세척실 클로우저와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가능한 개방형 최상부 세척실을 포함하는 자동 식기 세척기용 개스킷에 있어서,
    (a) 제1 원거리 에지와 제1 근거리 에지를 갖는 제1 하방으로 대면하는 가요성 플랜지로서, 상기 제1 근거리 에지는 상기 클로우저의 바닥면에 대해 0°내지90°사이의 각도에서 외연 둘레로 상기 바닥면에 부착되는, 상기 제1 하방으로 대면하는 플랜지; 및
    (b) 제2 원거리 에지와 제2 근거리 에지를 갖는 제2 하방으로 대면하는 가요성 플랜지로서, 상기 제 2근거리 에지는 상기 제1 각도와 컨커런트하게 90°내지 180°사이의 제2 각도에서 상기 제1 플랜지의 제1 원거리 에지에 부착되는, 상기 제2 하방으로 대면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두 플랜지는 모두 그것들의 두께가 그밖의 곳에서 더욱 두꺼운 그것들의 원거리 에지에서의 두께를 갖고,
    사용중에 상기 클로우저가 상기 세척실의 개구와 맞물림될 때,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는 상기 클로우저가 상기 개구와 완전히 맞물릴 때 상기 제1 원거리 에지 및 상기 제2 원거리 에지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하를 받도록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식기 세척기용 개스킷.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식기 세척기용 개스킷.
  18. 제 16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각도는 1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식기 세척기용 개스킷.
  19. 제 16항 내지 제 1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단면이 "L"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식기 세척기용 개스킷.
  20. 첨부 도면에 예시되고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식기 세척기.
KR10-2002-7004520A 1999-10-08 2000-10-05 식기세척기 KR1005031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Z500167A NZ500167A (en) 1999-10-08 1999-10-08 Dishwasher adapted to be mounted in a cavity
NZ500167 1999-10-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380A true KR20020037380A (ko) 2002-05-18
KR100503199B1 KR100503199B1 (ko) 2005-07-21

Family

ID=19927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4520A KR100503199B1 (ko) 1999-10-08 2000-10-05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4) US7152612B1 (ko)
EP (2) EP1220636B1 (ko)
JP (2) JP3749177B2 (ko)
KR (1) KR100503199B1 (ko)
AT (2) ATE347300T1 (ko)
AU (1) AU769054B2 (ko)
BR (1) BR0014606A (ko)
CA (2) CA2386853C (ko)
DE (2) DE60032252T2 (ko)
DK (1) DK1220636T3 (ko)
HK (1) HK1046836B (ko)
NZ (4) NZ516953A (ko)
TR (1) TR200201497T2 (ko)
WO (1) WO200102653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907B1 (ko) * 2002-06-13 2004-11-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식기세정기
EP1850726A1 (de) 2005-02-22 2007-11-07 Miele & Cie. KG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m schubladenartig aus dem gehäuse ausziehbaren spülbehäl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510753A (en) * 2000-04-10 2003-08-29 Fisher & Paykel Appliances Ltd Variable DC voltage power supply for dishwasher
US7159415B2 (en) * 2001-03-13 2007-01-09 Applied Design And Engineering Limited Drawer storage
JP4634648B2 (ja) * 2001-05-30 2011-02-16 株式会社ハーマンプロ 食器洗浄機
NZ518288A (en) * 2002-04-10 2004-09-24 Fisher & Paykel Appliances Ltd Washing appliance water softner
NZ536816A (en) * 2004-11-24 2006-02-24 Fisher & Paykel Appliances Ltd Dishwasher with sliding chamber drawer sealing to cabinet via permanent magnetic material
EP1757278A1 (en) 2005-08-23 2007-02-28 NOLabs AB Device, system, and method comprising microencapsulated liquid for release of nitric oxide from a polymer
US7832419B2 (en) 2006-02-10 2010-11-16 Fisher & Paykel Appliances Limited Extra width dishwasher
DE602006016624D1 (de) * 2006-12-06 2010-10-14 Electrolux Home Prod Corp Geschirrspüler
JP4662373B2 (ja) * 2007-02-21 2011-03-30 リンナイ株式会社 引き出し式食器洗い機
EP1982632B1 (en) * 2007-04-19 2010-06-3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Drawer dishwasher installation kit assembly
DE112008001527B4 (de) * 2007-06-08 2018-03-29 Fisher & Paykel Appliances Ltd. Geschirrspülerdeckeldichtungsanordnung
EP2103245A1 (en) 2008-03-20 2009-09-23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Dish-rack for a dishwasher, and dishwasher featuring such a rack
KR101742991B1 (ko) * 2009-05-11 2017-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ES2387858A1 (es) * 2009-08-25 2012-10-02 BSH Electrodomésticos España S.A. Maquina lavavajillas con dispositivo de fijacion en un hueco de instalación.
US8201570B2 (en) * 2009-10-23 2012-06-19 General Electric Company Dishwasher drawer gasket system
AU2010246375B2 (en) * 2009-11-25 2015-10-01 Fisher & Paykel Appliances Limited Appliance Lid And Assembly
JP5006960B2 (ja) * 2010-09-27 2012-08-22 株式会社ハーマン 食器洗浄機
ITUD20120018A1 (it) * 2012-02-06 2013-08-07 Steelco Spa Macchina di lavaggio
KR20170002883A (ko) 2015-06-30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10047018B2 (en) 2016-03-09 2018-08-14 Whirlpool Corporation Composting device sliding lid with a seal assembly
USD1027351S1 (en) 2016-03-09 2024-05-14 Whirlpool Corporation Food recycler
US9895726B1 (en) 2016-07-27 2018-02-20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cleaning a food waste recycling bin of a food waste recycling appliance
CN109475262B (zh) * 2016-07-22 2023-06-02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具有能量保持帘的分批式器皿清洗机
US10702125B2 (en) 2017-09-29 2020-07-07 Midea Group Co., Ltd. Retracting dishwasher rack system
CN109864680B (zh) * 2017-12-04 2021-09-17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抽屉式洗碗机
CN109864685B (zh) * 2017-12-04 2022-01-28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抽屉式洗碗机及控制方法
CN107960965B (zh) * 2017-12-13 2020-11-24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抽屉式洗碗机
CN108201432B (zh) * 2018-03-09 2024-05-10 芜湖广盈实业有限公司 抽屉式洗碗机的抽屉装置
CN108577740B (zh) * 2018-05-02 2024-05-28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内胆组件和洗碗机
CN108634900B (zh) * 2018-05-29 2023-09-01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
CN110811455B (zh) * 2018-08-09 2022-07-22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洗碗机
US10582828B1 (en) 2018-12-10 2020-03-10 Midea Group Co., Ltd. Retracting dishwasher rack system
US10694923B1 (en) 2018-12-10 2020-06-30 Midea Group Co., Ltd. Retracting dishwasher rack system
US11219350B2 (en) 2018-12-10 2022-01-11 Midea Group Co., Ltd. Retracting dishwasher rack system
CN109965810A (zh) * 2019-04-12 2019-07-05 广东洁诺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抽屉式洗碗机的上盖开合结构
CN110813898A (zh) * 2019-11-26 2020-02-21 徐州铁手五金工具制造有限公司 一种通用零部件清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68091A (en) * 1949-09-30 1954-02-02 Westinghouse Electric Corp Washing apparatus
US2661750A (en) * 1951-05-26 1953-12-08 Gen Electric Under-counter dishwasher
US2667400A (en) * 1952-05-09 1954-01-26 Gen Electric Appliance of the drawer type
GB721093A (en) * 1952-05-09 1954-12-29 Gen Electric Improvements relating to drawer-type mountings for washing machines or other appliances
US2836186A (en) * 1955-12-14 1958-05-27 Gen Electric Washing apparatus with tub sealing system
US2960375A (en) * 1959-03-30 1960-11-15 Gen Electric Dishwasher
IT1077167B (it) 1977-05-13 1985-05-04 Montedison Spa Lavastoviglie costitutito da un insieme di blocchi funzionali in materiale termoplastico realizzati separatamente per stampaggio
DE2829066C2 (de) * 1978-07-01 1982-05-06 Klein, Schanzlin & Becker Ag, 6710 Frankenthal Dichtung für eine Absperrklappe
US4572596A (en) 1984-03-30 1986-02-25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a cabinet for automatic washers
IT1187638B (it) * 1985-03-13 1987-12-23 Top Srl Macchina lavastoviglie compatta a carica dall'alto da inserimento in mobili
DE3541777C2 (de) * 1985-11-26 1993-11-11 Bosch Siemens Hausgeraete Frontseitig beschickbare Geschirrspülmaschine
DE3707977C1 (de) 1987-03-12 1988-04-14 Bosch Siemens Hausgeraete Stirnseitig beschickbare,fuer den Einbau in eine Kuechenschrankzeile geeignete Haushalt-Geschirrspuelmaschine
DE3843040A1 (de) 1988-12-21 1990-06-28 Bosch Siemens Hausgeraete Kombiniertes haushaltgeraet fuer ein kompakt-kuechenzentrum
US4995650A (en) * 1989-02-28 1991-02-26 U.S. Controls Corp. Bimetal operated lid switch and lock for appliances
FR2670809A1 (fr) * 1990-12-21 1992-06-26 Ciapem Procede de construction d'une enceinte exterieure etanche pour seche-linge ou autre appareil electromenager contenant un milieu humide ou corrosif.
ATE252342T1 (de) * 1991-12-20 2003-11-15 Fisher & Paykel Appliances Ltd Geschirrspülmaschine
US5611609A (en) 1995-04-04 1997-03-18 General Electric Company Appliance housing assembly
FR2751045B1 (fr) * 1996-07-15 1999-01-15 Gorski Zygmunt Marian Garniture d'etancheite a levre dynamique auto-adaptative
JPH1080390A (ja) * 1996-09-09 1998-03-31 Hitachi Ltd 食器乾燥機
NZ314155A (en) * 1997-01-30 1999-07-29 Fisher & Paykel Dishwasher detergent dispenser located in door recess, having open top and being flushed out by overhead nozzle
IT1305665B1 (it) 1998-03-02 2001-05-15 Electrolux Zanussi Elettrodome Macchina lavatrice avente un mobile di costruzione perfezionata
US6460555B1 (en) * 1998-09-21 2002-10-08 Maytag Corporation Dual dishwasher construction
US6260565B1 (en) * 1998-09-21 2001-07-17 Maytag Corporation Double dishwasher
US6491049B1 (en) * 1998-09-21 2002-12-10 Maytag Corporation Lid construction for drawer dishwasher
IT1311224B1 (it) * 1999-06-01 2002-03-04 Electrolux Zanussi Elettrodome Macchina lavastoviglie,preferibilmente per uso domestico,avente una migliorata architettura
US6260566B1 (en) * 1999-11-10 2001-07-17 Lafave Shawn H. Canopy for a child's wagon
NZ510753A (en) * 2000-04-10 2003-08-29 Fisher & Paykel Appliances Ltd Variable DC voltage power supply for dishwasher
NZ536816A (en) * 2004-11-24 2006-02-24 Fisher & Paykel Appliances Ltd Dishwasher with sliding chamber drawer sealing to cabinet via permanent magnetic material
DE102004062767B3 (de) * 2004-12-21 2006-05-11 Miele & Cie. Kg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m schubladenartig aus dem Gehäuse ausziehbaren Spülbehälter
US7607444B2 (en) * 2005-11-29 2009-10-27 Maytag Corporation Latching and sealing mechanism for a drawer-type dishwash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907B1 (ko) * 2002-06-13 2004-11-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식기세정기
EP1850726A1 (de) 2005-02-22 2007-11-07 Miele & Cie. KG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m schubladenartig aus dem gehäuse ausziehbaren spülbehä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39925D1 (de) 2008-09-25
US20060151011A1 (en) 2006-07-13
NZ516951A (en) 2003-10-31
EP1700558A2 (en) 2006-09-13
CA2386853A1 (en) 2001-04-19
KR100503199B1 (ko) 2005-07-21
US7422022B2 (en) 2008-09-09
NZ516952A (en) 2003-10-31
WO2001026532A1 (en) 2001-04-19
BR0014606A (pt) 2002-08-20
ATE404107T1 (de) 2008-08-15
EP1220636B1 (en) 2006-12-06
TR200201497T2 (tr) 2002-12-23
JP2003511139A (ja) 2003-03-25
DE60032252T2 (de) 2007-04-26
EP1700558B1 (en) 2008-08-13
JP4224476B2 (ja) 2009-02-12
US7152612B1 (en) 2006-12-26
US20090320887A1 (en) 2009-12-31
AU7973300A (en) 2001-04-23
JP3749177B2 (ja) 2006-02-22
EP1220636A4 (en) 2004-07-14
US20090038658A1 (en) 2009-02-12
EP1220636A1 (en) 2002-07-10
HK1046836A1 (en) 2003-01-30
CA2386853C (en) 2006-09-12
JP2005312998A (ja) 2005-11-10
DE60032252D1 (de) 2007-01-18
CA2525150C (en) 2006-05-23
NZ500167A (en) 2002-07-26
HK1046836B (zh) 2007-05-11
EP1700558A3 (en) 2006-09-27
NZ516953A (en) 2003-10-31
CA2525150A1 (en) 2001-04-19
ATE347300T1 (de) 2006-12-15
DK1220636T3 (da) 2007-04-10
AU769054B2 (en) 200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37380A (ko) 식기세척기
JP3782463B2 (ja) 食器洗浄機
EP1790272B1 (en) Lid seal for a drawer-type dishwasher
EP0575300B1 (en) Device for a dishwasher door
US7415984B2 (en) Tub lip alignment system for a dishwasher
JP2003135357A (ja) 昇降式食器洗浄装置
MX2007004666A (es) Mecanismo de tapa para un lavavajillas de tipo gaveta.
KR19980082399A (ko) 식기세척기의 소음누설 차단장치
EP1952748B1 (en) Dishwasher with a sliding door
JP3465693B2 (ja) 食器洗い機
KR100601432B1 (ko) 식기 세척기용 리드 승강장치
JP2002010961A (ja) 食器洗浄機
JP3402534B2 (ja) シンク一体型食器洗浄機
ITPN20000007U1 (it) Lavastoviglie con porta di caricamento frontale
KR20060031311A (ko) 식기 세척기용 리드 승강장치
KR19980082393A (ko) 식기세척기의 소음누설 차단장치
KR20200115013A (ko) 식기 세척기
JPH0292326A (ja) ラック昇降機能を有する食器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