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6907B1 - 식기세정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6907B1
KR100456907B1 KR10-2003-0002738A KR20030002738A KR100456907B1 KR 100456907 B1 KR100456907 B1 KR 100456907B1 KR 20030002738 A KR20030002738 A KR 20030002738A KR 100456907 B1 KR100456907 B1 KR 100456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cleaning tank
tank
washing
wash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2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5959A (ko
Inventor
미즈노토시미츠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30095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5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6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69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drawer-type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세정기본체(20)와, 세정조(22)와, 세정기본체(20)내로의 세정조(22)의 수용동작에 의해서 세정조(22)가 수용완료위치까지 거리(B)의 위치에 도달한 때에서 세정조(22)를 수용완료위치까지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레버걸림부(62), 레버(78), L자형접속부(76), 용수철(70), 용수철단고정부(68)등)와, 세정기본체(20)내로의 세정조(22)의 수용동작에 의해서 세정조(22)가 수용완료위치까지 거리(B)의 위치에 도달한 때에서 세정조(22)에 제동력을 가하는 로터리댐퍼(82)을 구비함으로써, 세정기본체(20)내로의 세정조(22)의 수용에 수반해서 발생하는 장애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정기{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상자형의 세정기본체와, 세정기본체외의 위치에서 세정기본체내의 수용완료위치로 수용가능한 세정조를 구비한 식기세정기가 알려져 있다.
이 식기세정기에서는 세정기본체로부터 세정조가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세정조내에 식기를 수용한 다음, 사용자가 세정조를 세정기본체내로 압입하는 것에 의해서 세정조를 수용완료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세정조가 수용완료위치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소정의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서 세정조내의 식기의 세정동작등이 행해진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한 세정조의 압입력은 사용자간 혹은 동일한 사용자에 있어서도 때와 경우에 따라 달라진다. 압입력이 강한 경우도 있으면, 반대로 약한 경우도 있다.
압입력이 강한 경우, 세정조의 이동속도도 빠르게 된다. 이동속도가 빠른 세정조가 수용완료위치에서 급격하게 정지하면, 세정조에 수용된 식기에는 큰 관성력이 작용한다. 큰 관성력이 식기에 작용한 경우, 식기끼리 혹은 식기와 세정조내의 부위가 충돌해서 식기 혹은 세정조내의 부위가 손상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또, 세정조를 세정기본체내에 압입한 순간에는 세정조측의 부재와 세정기본체의 부재가 맞스치는 상태가 통상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식기세정기에서는 일반적으로 세정조의 수용완료 위치의 약간 앞에서 수용완료위치에 이르기까지의 동안, 세정조의 상측 연부와, 세정기본체측에 마련된 내측 덮개의 씰부재가 접촉해서 맞스친다. 세정조의 이동속도가 빠른 결과, 이 맞스침이 격하게 되면, 맞스친 부분의 소모가 빨리 이루어진다.
특히, 식기세정기는 세정조내에 물을 수용해서 세정동작을 행하는 특성상,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세정조과 내측 덮개 사이의 씰성이 높게 요구된다. 이에, 세정조의 상측 연부와 내측 덮개의 씰부재 사이의 소모는 가능한 한 적어야 한다는요구가 높다.
또한, 식기세정기에서는 세정조의 배면과 세정기본체의 배면 사이에 급수호스와 배수호스등이 접속되어 있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이들 호스등은 세정조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신장되고, 세정조가 수용된 상태에서는 구부러지게 된다.
즉, 세정조의 압입동작의 순간에 신장에서 구부러짐이라고 하는 상태의 변화를 수반한다. 이 경우도 세정조의 이동속도가 빠르면, 이들 호스등의 소모가 급격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사용자에 의한 세정조의 압입력이 약한 경우에는 세정조가 수용완료위치까지 도달하지 않고, 그 바로 앞에서 정지해 버리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식기세정기는 세정조가 수용완료위치에 도달한 상태로 있지 않으면 세정동작이 개시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 통상이다. 이에, 사용자가 세정조를 압입함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세정조가 수용완료위치에 이르고 있지 않은 경우는, 세정동작등이 행해지지않는 사태가 발생한다.
이처럼 식기체정기에서는 세정동작등을 행하는 특성상, 누수를 방지하는등의 이유로 세정조가 수용완료위치의 가까이에 도달하고 있는 상태로는 불충분하고, 세정조가 수용완료위치에까지 도달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정기본체내로의 세정조의 수용에 수반해서 발생하는 장애가 적은 식기세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세정기본체로의 세정조의 수용동작에 의해서 식기 혹은 세정조내의 부위가 손상될 가능성을 가능한 한 낮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세정조의 수용동작이 다수회 행해지더라도, 식기세정기의 성능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사용자에 의한 세정조의 압입력이 약한 때에도 세정조가 수용완료위치에 도달하지 않는 사태의 발생이 적은 식기세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의 적어도 1개를 달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예의 식기세정기의 개략종단면도를 도시한다(세정조 인출상태).
도 2는 제 1 실시예의 식기세정기의 개략종단면도를 도시한다(세정조 수용상태).
도 3은 제 1 실시예의 식기세정기의 개략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제 1 실시예의 식기세정기의 개략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제 1 실시예의 식기세정기에서 세정조의 인출동작의 설명도를 도시한다.(1)
도 6은 제 1 실시예의 식기세정기에서 세정조의 인출동작의 설명도를 도시한다.(2)
도 7은 제 1 실시예의 식기세정기에서 세정조의 인출동작의 설명도를 도시한다.(3)
도 8은 제 1 실시예의 식기세정기에서 세정조의 압입동작의 설명도를 도시한다.(1)
도 9는 제 1 실시예의 식기세정기에서 세정조의 압입동작의 설명도를 도시한다.(2)
도 10은 제 1 실시예의 식기세정기에서 세정조의 압입동작의 설명도를 도시한다.(3)
도 11은 제 2 실시예의 식기세정기의 개략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제 3 실시예의 식기세정기의 개략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제 4 실시예의 식기세정기의 개략평면도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0 ; 세정기본체 22 ; 세정조
60 ; 유니트부 62 ; 레버걸림부
68 ; 용수철단 고정부 70 ; 용수철
72 ; 가동유니트 74 ; 랙
76 ; L자형 접속부 78 ; 레버
80 ; 핀 82 ; 로터리댐퍼
84 ; 랙가이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정기는 상자형의 세정기본체와, 세정기본체외의 위치에서 세정기본체내의 수용완료위치로 수용가능한 세정조와, 세정기본체내로의 세정조의 수용동작에 의해서 세정조가 수용완료위치까지 소정거리의 위치에 도달한 때에서, 그 위치에 도달하기 전보다도 큰 제동력을 세정조에 가하는 제동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식기세정기는 상기한 제동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세정기본체로의 세정조의 수용동작에 의해서 세정조가 수용완료위치까지 소정 거리의 위치에 도달한 때에서, 그 위치에 도달하기 전의 제동력(예를 들면, 세정기본체의 씰과 세정조의 롤러 사이의 마찰력)보다도 큰 제동력이 세정조에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사용자가 세정조를 동일한 힘으로 압입하고 있는 경우, 세정조는 상기 소정 거리의 위치에 도달한 때에서, 그 위치에 도달하기 전보다도 감속해서 수용완료위치에서 정지한다.
이처럼 이 식기세정기는 상기한 제동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 제동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상기 소정 거리의 위치에 도달한 때에서의 세정조의 이동속도를 저속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조를 수용완료위치에서 완만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식기끼리 혹은 식기와 세정조내의 부위가 충돌해서 식기 혹은 세정조내의 부위가 손상되어 버릴 가능성을 낮게 할 수 있다.
또, 세정조의 수용동작에 의해서 세정조측의 부재(예를 들면, 세정조의 상측 연부)와 세정기본체측의 부재(예를 들면, 내측 덮개에 취부된 씰부재)가 맞스치는 상태가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맞스친 부분의 소모를 적게 할 수 있다.
또, 세정조의 배면과 세정기본체의 배면의 사이에 급수호스와 배수호스등이 접속되어 있어도, 세정조의 수용동작에 수반한 이들의 호스등의 소모를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조의 수용동작이 다수회 행해지더라도 식기세정기의 성능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세정기본체내로의 세정조의 수용에 수반해서 발생하는 장애가 적은 식기세정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을 구현화 한 제2의 형태의 식기세정기는 상자형의 세정기본체와, 세정기본체외의 위치에서 세정기본체내의 수용완료위치로 수용가능한 세정조와, 세정기본체내로의 세정조의 수용동작에 의해서 세정조가 수용완료위치까지 소정 거리의 위치에 도달한 때에서, 세정조를 수용완료위치까지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식기세정기는 상기한 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세정기본체로의 세정조의 수용동작에 의해서 세정조가 수용완료위치까지 소정 거리의 위치에 도달하면, 세정조는 그 위치에서 수용완료위치까지 자동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한 세정조의 압입력이 약하고, 그 압입력만으로는 세정조가 수용완료위치까지 도달하지 않는 경우에도 그 압입력에 의해서 세정조가 수용완료위치까지 소정 거리의 위치에 이르고 있으면, 세정조를 수용완료위치에 확실하게 도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세정기본체내로의 세정조의 수용에 수반해서 발생하는 장애가 적은 식기세정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을 구현화한 제 3의 형태의 식기세정기는 상자형의 세정기본체와, 세정기본체외의 위치에서 세정기본체내의 수용완료위치로 수용가능한 세정조와, 세정기본체내로의 세정조의 수용동작에 의해서 세정조가 수용완료위치까지 제 1 소정 거리의 위치에 도달한 때에서, 세정조를 수용완료위치까지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세정기본체내로의 세정조의 수용동작에 의해서 세정조가 수용완료위치까지 제 2 소정 거리의 위치에 도달한 때에서, 그 위치에 도달하기 전보다도 큰 제동력을 세정조에 가하는 제동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제 1 소정 거리' 와 '제 2 소정 거리'는 동등해도 좋고, 혹은 '제 1 소정 거리' 보다도 '제 2 소정 거리'의 측이 길어도 좋으며, 짧아도 좋다.
이 식기세정기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의 식기세정기와 제 2 실시형태의 식기세정기의 작용효과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제 1 소정 거리의 위치에 이른 때에서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하고 있는 세정조에 대해서도, 제 2 소정 거리의 위치에서는 제동수단에 의한 제동력이 가해진다.
따라서,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하고 있는 세정조에 대해서도 제 2 소정 거리의 위치에서 세정조의 이동속도를 저속으로 할 수 있다.
또, 사용자에 의한 세정조의 압입력이 크고, 제 1 소정 거리의 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이동수단에 의한 어시스트가 불필요한 정도로 세정조의 이동속도가 고속인 경우와, 제 1 소정 거리의 위치에 도달한 이후에도 사용자가 세정조의 압입을 계속하는 경우가 당연히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제 2 소정 거리의 위치에서는 세정조에 대해 제동수단에 의해 제동력이 가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제 2 소정 거리의 위치에서 세정조의 이동속도를 저속으로 할 수 있다.
제 2 의 형태 또는 제 3의 형태의 식기세정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사용자가 세정조를 인출하는 순간의 에너지를 축적하는 축적수단을 가짐과 동시에 그 축적수단에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해서 세정조를 수용완료위치까지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세정조를 인출한 순간의 에너지를 이용해서 세정조를 수용완료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이동수단을 구성한 것으로, 세정조를 이동시키기 위한 에너지를 전원등에서 얻지 않아도 좋다.
또, 사용자가 세정조를 인출하는 순간의 에너지를 축적하도록 하는 것으로, 에너지를 소비한다는 생각을 사용자가 그다지 가지지않고, 사용자에게서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정기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인출식 식기세정기의 전체구성을 도 1 ∼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세정조(22)가 세정기본체(20)에서 인출된 상태의 개략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세정조(22)가 세정기본체(20)에 수용된 상태의 개략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식기체정기의 개략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식기세정기의 개략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식기세정기는 세정기본체(20), 세정조(22)등을 구비하고 있다. 세정기본체(20)는 전면(도 1의 좌측)이 개방된 상자형으로 되어 있다. 세정조(22)는 상부가 개방된 상자형으로 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기본체(20)의 내측면에는 세정조(22)의 저면 하방에 배치된 롤러(66)가 취부되어 있다. 세정조(22)의 외저면에는 레일(64)이 취부되어 있다.
이 롤러(66)와 레일(64)은 롤러(66)의 상면과 레일(64)의 중앙의 저면이 접촉한 상태로 걸려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세정조(22)는 세정조본체(20)에 대해서 매끄럽게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세정조(22)의 전면측에는 전면문(34)이 마련되어 있고, 이것에는 사용자가 힘을 가하는 손잡이(35)가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이 손잡이(35)를 사용해서 세정조(22)를 인출하거나 압입하는 것으로, 세정조 (22)는 도 1에 도시한 인출완료위치와 도 2에 도시한 수용완료위치의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해서 이동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기본체(20) 내의 상부의 위치에는 내측 덮개(44)가 마련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덮개(44)는 세정조(22)가 인출위치에 있을 때에는 세정조(22)의 상측 연부(23) 보다도 약간 높은 위치에 있다. 따라서, 세정조(22)의 슬라이드 움직임과 간섭하는 일은 없다. 내측 덮개 (44)의 하면의 주연에는 씰부재(45)가 장착되어 있다. 세정조(22)가 세정기본체 (20) 내에 압입되면, 수용완료위치의 바로 앞에서 내측 덮개(44)가 하강한다. 이 결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씰부재(45)는 세정조(22)의 상측 연부(23)에 맞스치면서 강압하게 된다. 내측 덮개(44)의 씰부재(45)가 세정조(22)의 상측 연부(23)에 강압되면 세정조(22)의 상부는 밀폐된다. 이에, 세정조(22)의 외측으로의 세정수(30)의 누설이 방지된다. 세정조(22)내에서는 식기바구니(32)가 수용되어 있다.
식기바구니(32)에는 각종 식기(33)가 수용되어 있다. 식기바구니(32)의 하방에는 복수의 노즐공(28a)이 형성된 세정노즐(28)이 마련되어 있다. 세정노즐(28)은 토출통로(26)와의 접합부(29)를 축으로 해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세정조(22)의 배면외측에는 세정펌프(24)와 배수펌프(25)가 마련되어 있다. 세정펌프(24)는 흡입통로(27)에 의해서 세정조(22)의 저부와 연통함과 동시에 토출통로(26)에 의해서 세정노즐(28)과 연통되어 있다. 배수펌프(25)는 흡입통로(27)에 연통함과 동시에 배수호스(48)를 통해서 식기세정기의 외부와 연통해 있다. 세정조(22)의 배면에 마련된 급수구(22c)는 급수호스(46)를 통해서 식기세정기의 외부와 연통하고 있다.
상기한 급수호스(46)와 배수호스(48)는 굴곡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세정조(22)의 인출 위치와 수용위치의 사이의 슬라이드를 방해하지 않는다.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조(22)의 외저면 후부의 양측부에는 각각 유니트부(60)가 마련되어 있다. 또, 세정기본체(20) 양측의 내측면에는 세정조 (22)의 인출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서 조금 경사진 방향으로 신장한 레버걸림부(62)가 취부되어 있다. 이와 같이 레버걸림부(62)는 후술하는 레버(78)을 걸리기 쉽게 하기 위해서 약간 경사진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다음으로, 유니트부(60)의 구성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유니트부(60) 주변의 개략평면도의 일부를 도시한다. 또, 유니트부(60)의 부재는 세정조(22)의 외저면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본래는 점선으로 도시해야 하지만 도시의 명료화를 위해 실선으로 도시하였다.
유니트부(60)는 가동유니트(72)와, 용수철(스프링 용수철)(70)과, 용수철단고정부(68)과, 로터리댐퍼(제동수단)(82)와, 랙가이드(84)를 구비하고 있다.
가동유니트(72)는 레버(78)와, 랙(74)과, L자형의 접속부(76)를 구비하고 있다. 레버(78)가 도 5의 상태로 있을 때에는 가동유니트(72)는 세정조(22)에 대해서 인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 레버(78)가 도 7과 같이 도 5의 상태에 대해서 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한 상태인 때는 가동유니트 (72)는 세정조(22)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즉, 레버(78)의 회전에 연동해서 세정조(22)에 대한 가동유니트(72)의 고정ㆍ비고정이 전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세정기본체(20)에 취부된 레버걸림부(62), 유니트부(60)의 레버(78), L자형접속부(76), 용수철(70), 용수철단 고정부(68) 등에 의해서 세정조(22)의 이동기구 (이동수단)가 구성되어 있다.
레버(78)는 거의 コ형이고, L자형 접속부(76)의 일단에 핀(80)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레버(78)는 이 핀(80)을 회전중심으로해서 소정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랙(74)은 인출방향으로 신장하는 판봉형상이고, L자형접속부(76)의 타단에 고정되어 있다. 랙(74)에는 인출방향으로 신장하는 측면을 따라서 다수의 치군이 형성되어 있다.
용수철단 고정부(68)와, 랙가이드(84)와, 로터리댐퍼(82)는 새정조(22)에 항상 고정되어 있다. 다만, 로터리댐퍼(82)는 회전가능한 상태로 세정조(22)에 고정되어 있다. 용수철(70)의 일단은 가동유니트(72)의 L자형의 접속부(76)에 접속되어 있다. 용수철(70)의 타단은 용수철단 고정부(68)에 접속되어 있다. 용수철(70)은 세정조(22)의 인출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랙가이드(84)는 2개 마련되어 있고, 소정 간격을 두고 세정조(22)의 인출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2개의 랙가이드(84) 사이는 랙(74)보다도 약간 광폭으로 되어 있고, 이 랙가이드(84) 사이의 공간에 랙(74)이 수용된다. 로터리댐퍼(82)의 원주면에는 전 둘레에 걸쳐서 다수의 치군이 형성되어 있다. 로터리댐퍼(82)와 먼저 상술한 랙(74)은 각각에 마련된 치군의 일부가 서로 치합하도록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식기세정기의 세정동작을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2와 같이 세정조(22)가 수용완료위치에 수용된 상태에서 세정운전이 개시되면, 세정수(30)가 급수호스(46)에서 세정조(22)내로 급수되고, 세정조(22)의 저부에 세정수(30)가 고여진다. 다음으로, 세정펌프(24)가 작동하기 시작하고, 세정조(22)의 저부의 세정수(30)가 흡입통로(27)을 통해서 세정펌프(24)로 흡입되어 가압된다. 가압된 세정수(30)는 토출통로(26)를 통해서 세정노즐(28)에 공급된다. 공급된 세정수(30)는 노즐공(28a)에서 기세좋게 상방으로 분출하고, 식기바구니(32)내의 식기(33)를 세정한다. 세정후의 세정수(30)는 다시 세정조(22)의 저부로 돌아온다. 상기의 동작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서 식기(33)가 세정된다.
세정조(22)에서 세정수(30)를 배출하는 경우에는 배수펌프(25)가 작동하고, 흡입통로(27)을 경유해서 세정수(30)를 세정조(22)의 저부에서 흡출한다. 배수펌프 (25)에 의해서 흡출된 세정수(30)는 배수호스(48)를 통해 식기세정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세정조(22)의 인출동작을 도 5 ∼ 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5에 세정조(22)가 세정기본체(20) 내의 수용완료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세정조(22)가 수용완료위치에 있을 때는 세정조(22)의 배면은 세정기본체(20)의 배면에서 거리(A)만큼 인출측(바로 앞)의 위치에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거리(A)의 공간에는 급수호스(46)와 배수호스(48)등(도 1참조)의 각종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도 5에서처럼 세정조(22)가 수용완료위치에 있을 때는 레버(78)는 레버걸림부 (62)에 걸려있다. 이 상태에서는 용수철(70)의 길이는 자연장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조(22)가 수용완료위치에서 인출거리(X)만큼 인출되도록 한다. 세정조(22)가 인출되더라도 인출거리(X)가 (B)(도7 참조)보다도 작은 때는 가동유니트(72)의 레버(78)는 레버걸림부(62)에 걸려 있다. 따라서, 가동유니트(72)의 절대적인 위치는 세정조(22)가 수용완료위치에 있을 때와 동일하다. 이것에 대해 용수철단 고정부(68)는 세정조(22)와 함께 인출거리(X)만큼 인출측의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용수철단 고정부(68)와 가동유니트(72)(L자형 접속부76)의 사이에 접속된 용수철(70)은 인출거리(X)가 (B)보다도 작은 때는 그 인출거리(X)만큼 신장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조(22)가 수용완료위치에서 인출거리(B)만큼 인출되면 레버(78)와 레버걸림부(62)의 걸림이 해제되고, 레버(78)가 소정 각도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처럼 레버(78)가 소정 각도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레버(78)를 포함한 가동유니트(72)는 그 위치에서 세정조(22)에 대해서 고정된다. 이 결과, 용수철(70)도 자연장에서 길이(B)만큼 신장한 상태가 유지된다. 또, 레버(78)가 회전하면 레버(78)을 멈추는 핀(80)은 약간 인출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용수철(70)의 자연장에서의 신장은 길이(B)보다도 정확하게는 약간 짧게 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길이 (B)만큼 신장하는 것으로 한다.
세정조(22)가 인출거리(B)보다도 크게 인출되어도 이 상태는 유지된다(도8 참조). 즉, 세정조(22)가 수용완료위치에서 인출거리(B) 이상 인출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용수철(70)에는 용수철(70)을 자연장에서 길이(B)만큼 신장하기 위한 에너지가 축적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용완료위치에서 인출거리(B)까지 세정조(22)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세정조(22) 자체를 인출하는데 요구되는 힘에 더해서 용수철(70)을 인장하는 힘과, 인출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작용하는 댐퍼(82)에 의한 제동력에 대항하는 힘을 필요로 한다.
다음으로, 세정조(22)의 압입동작을 도 8 ∼ 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8에서, 세정조(22)가 세정기본체(20) 내에서 크게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한 바와 같이 레버(78)는 소정 각도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이고, 이 레버(78)를 포함한 가동유니트(72)는 세정조(22)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또, 용수철(70)도 자연장에서 길이(B)만큼 신장한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조(22)를 세정기본체(20)내로 압입하도록 한다. 그리고, 세정조(22)가 수용완료위치까지 거리(B)의 위치까지 압입되면 레버 (78)는 레버걸림부(62)에 접해서 소정 각도 만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결과, 레버(78)는 레버걸림부(62)에 걸린다. 레버(78)가 소정 각도 만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레버(78)를 포함한 가동유니트(72)는 세정조(22)에 고정되어 있던 상태에서 해방되고, 세정조(22)에 대해서 인출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 결과, 용수철(70)도 자연장에서 길이(B)만큼 강제적으로 신장된 상태에서 해방된다. 이에, 용수철(70)은 자연장으로 복귀하도록 해서 수축되도록 한다. 즉, 용수철(70)은 자신에게 축적된 에너지를 방출하려고 하는 것처럼 움직인다.
용수철(70)이 자연장으로 복귀하려고 하는 상태에 있어서, 가동유니트(72)의 레버(78)는 레버걸림부(62)에 걸려 있다. 레버걸림부(62)는 세정기본체(20)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가동유니트(72)의 레버(78)가 레버걸림부(62)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는 가동유니트(72)는 세정기본체(20)에 고정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용수철(70)이 자연장으로 복귀하려고 하는 에너지는 용수철단 고정부(68), 더 나아가서는 세정조(22)를 수용측(깊숙한 곳)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에너지로서 사용된다. 용수철(70)이 자연장에서 길이(B)만큼 신장된 상태에서 자연장으로 수축하는 것에 의해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조(22)는 수용완료위치까지 거리(B)의 위치에서 수용측으로 거리(B)만큼 이동한다. 이 결과, 세정조(22)는 수용완료위치에 도달한다.
다만, 세정조(22)가 수용완료위치까지 거리(B)의 위치에 도달하고 나서는 세정조(22)의 이동속도에 비례한 제동력이 로터리댐퍼(82)에 의해서 세정조(22)에 가해진다. 즉, 세정조(22)가 크게 인출된 위치에서 수용완료위치까지 거리(B)의 위치에 이르기까지는(도 8에서 도 9의 상태로 도달하기까지는), 로터리댐퍼(82)와 이것에 치합하는 랙(74)은 등속도로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로터리댐퍼(82)에 의한 제동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세정조(22)가 수용완료위치까지 거리(B)의 위치에 도달하면 가동유니트(72)의 레버(78)가 레버걸림부(62)에 걸리는 것으로 가동유니트(72)의 절대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가동유니트(72)의 랙(74)의 절대위치도 고정된다. 한편, 세정조(22)는 여전히 수용완료위치로 향해서 어떤 속도로 이동한다. 따라서, 세정조(22)에 고정된 로터리댐퍼(82)도 그 속도로 이동한다. 이에, 랙(74)과 로터리댐퍼(82)에는 속도차가 발생한다. 이 결과, 그 로터리댐퍼(82)에 의해서 세정조(22)에 그 이동속도에 비례한 제동력이 가해진다. 따라서, 세정조(22)는 수용완료위치까지 거리(B)의 위치에서는 이와 같은 댐퍼(82)가 마련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 비해서 저속으로 수용완료위치에 도달한다.
상기한 거리(B)의 값은 세정조(22)의 인출방향의 길이의 1/20이상에서 1/14이하의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값이 바람직한 것은 수용완료위치까지 어느 정도 바로앞의 위치에서 댐퍼(82)에 의한 제동력이 가해지면 사용자가 세정조(22)를 압입하는 순간의 부담이 크게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수용완료위치까지의 거리가 매우 짧은 위치에서 댐퍼(82)에 의한 제동력을 가하여도 세정조(22)의 이동속도를 저속으로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 세정조(22)가 크게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한 이동기구에 의해서 세정조 (22)가 자동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세정조(22)내에 식기를 수용하고 있는 때에 의도하지않게 세정조(22)가 수용완료위치까지 자동적으로 이동해 버리는 사태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제 1 실시예의 식기세정기는 상기한 댐퍼(82)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댐퍼등의 제동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상기한 거리(B)의 위치에 도달한 때에서의 세정조(22)의 이동속도를 저속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조(22)를 수용완료위치에서 완만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도 1등에 도시한 식기(33)끼리 혹은 식기(33)와 식기바구니(32)등이 충돌해서 식기 (33)와 식기바구니(32)등이 손상되어 버릴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또, 세정조(22)의 수용동작에 의해서 도 1등에 도시한 세정조(22)의 상측 연부(23)등과 세정기본체(20)에 마련된 내측 덮개(44)에 취부된 씰부재(45)가 맞스치는 상태가 존재하더라도 맞스친부분의 소모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세정조(22)의 배면과 세정기본체(20)의 배면의 사이에 도 1등에 도시한 급수호스(46)와 배수호스(48)등이 접속되어 있더라도 세정조(22)의 수용동작에 수반된 이들 호스(46,48)등의 소모를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조(22)의 수용동작이 다수회 행해지더라도 식기세정기의 성능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이 식기세정기는 상기한 레버걸림부(62), 레버(78), L자형 접속부(76), 용수철(70), 용수철단 고정부(68)등으로 구성되는 세정조(22)의 이동기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세정조(22)가 수용완료위치까지 거리(B)의 위치에 도달하면 세정조(22)는 그 위치에서 수용완료위치까지 자동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한 세정조(22)의 압입력이 약하고, 그 압입력만으로는 세정조(22)가 수용완료위치까지 도달할 수 없는 경우에도 그 압입력에 의해서 세정조(22)가 수용완료위치까지 거리(B)의 위치에 도달하고 있으면 세정조(22)를 수용완료위치에 확실하게 도달시킬 수 있다.
또, 이 식기세정기에서는 상기 이동기구만 있으면, 그 이동기구를 구성하는 용수철(70)의 복귀력에 의해서 거리(B)의 위치에 도달한 때에서의 세정조(22)의 이동속도가 비교적 빠르게 된다. 그러나, 이 식기세정기는 또한, 댐퍼(82)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그 거리(B)의 위치에서 댐퍼(82)에 의한 제동력이 세정조(22)에 가해지기 때문에 세정조(22)의 이동속도를 저속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세정조(22)의 압입력이 크고, 거리(B)의 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상기 이동기구에 의한 어시스트가 불필요한 정도로 세정조(22)의 이동속도가 고속인 경우와, 거리(B)의 위치에 도달한 이후에도 사용자가 세정조(22)의 압입을 계속하는 경우가 당연히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거리(B)의 위치에서 세정조(22)에 대해 댐퍼(82)에 의한 제동력이 가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거리B의 위치에서의 세정조(22)의 이동속도를 저속으로 할 수 있다.
또, 이 식기세정기는 사용자가 세정조(22)를 인출하는 순간의 에너지를 축적하는 용수철(70)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세정조(22)가 거리(B)만큼 인출되어 용수철(70)이 길이(B)만큼 신장되면 레버(7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가동유니트(72)가 세정조(22)에 대해서 고정되며, 용수철(70)이 길이(B)만큼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세정조(22)가 압입되고, 세정조(22)가 수용완료위치까지 거리(B)의 위치에 도달하면 레버(78)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가동유니트(72)의 세정조 (22)에 대한 고정이 해제되며, 용수철(70)이 자연장으로 복귀하려는 에너지에 의해서 세정조(22)를 수용완료위치까지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세정조(22)를 인출하는 순간의 에너지를 이용해서 세정조(22)를 수용완료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기구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정조(22)를 이동시키기 위한 에너지를 전원등에서 얻지 않더라도 좋다. 또, 이용자가 세정조(22)를 인출하는 순간의 에너지를 축적하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에너지를 소비하고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그다지 의식시키지 않고, 사용자로부터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한 이동기구는 기계적인 기구만으로 실현되고, 전기적인 구성을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조와 유지관리가 비교적 용이하다. 또, 로터리뎀퍼(82)와 이동기구를 포함한 유니트부(60)는 세정조(22)의 외저면에 마련되어 있다. 세정조(22)의 외저면의 부근은 세정조(22)내의 물이 만일 누수된 경우에 있어서도, 그 누수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따라서, 이와 같은 세정조(22)의 외저면에 유니트부 (60)를 마련한 것으로, 물이 부착하는 것에 의한 로터리댐퍼(82)와 이동기구의 상태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로터리댐퍼(82)와 이동기구를 구비하는 것으로 수용완료위치의 바로 앞 거리(B)의 위치에서 수용완료위치까지의 세정조(22)의 작동이 매우 순조롭고, 그 밖에도 적절한 속도로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또, 사용자에 의한 세정조(22)의 압입력이 강한 경우에도 저속의 상태에서 수용완료위치에 도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용완료위치에 도달한 때의 충격음을 종래에 비해서 대폭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하기 쾌적하고, 고급감이 있는 식기세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11에, 제 2 실시예의 실기세정기의 개략 평면도를 도시한다. 이 식기세정기는 세정기본체(20)의 내측면으로부터 신장하는 판부(92)와, 이 판부(92)에 취부되어 있음과 동시에 세정조(22)의 인출방향으로 신장하는 댐퍼(90)를 구비하고 있고, 이 댐퍼(90)에 의한 제동력이 세정조(22)의 배면에 가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서 세정조(22)가 압입된 결과, 세정조(22)가 수용완료위치까지 거리(B)의 위치에 도달하도록 한다. 그러면, 세정조 (22)의 배면에 댐퍼(90)의 선단면이 접촉한다. 이 결과, 세정조(22)에는 댐퍼(90)에 의해서 세정조(22)를 인출하는 측으로 힘이 가해진다. 즉, 세정조(22)에는 제동력이 가해진다. 이 결과, 사용자가 예를 들어 동일한 힘을 가해서 세정조(22)를 압입했다고 하더라도 세정조(22)가 수용완료위치까지 거리(B)의 위치에 도달한 때에서는 그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비해서 세정조(22)가 감속되고, 저속의 상태로 도11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용완료위치에 도달한다.
[제 3 실시예]
도12에서, 제 3 실시예의 식기세정기의 개략평면도를 도시한다. 이 식기세정기는 세정기본체20의 측면에 취부된 랙(96)과, 세정조(22)의 외저면에 취부된 로터리댐퍼(94)를 구비하고 있다. 랙(96)과 로터리댐퍼(94)와 함께 다수의 치군을 가진다. 그리고, 세정조(22)가 수용완료위치까지 거리(B)의 위치에 도달하면 로터리댐퍼(94)와 랙(96)의 치군의 일부가 치합하는 위치관계로 되어 있다.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서 세정조(22)가 압입된 결과, 세정조(22)가 수용완료위치까지 거리(B)의 위치에 도달하도록 한다. 그러면, 로터리댐퍼(94)와 랙(96)의 치군의 일부가 치합한다. 그 결과, 랙(96)이 취부되어 있는 세정조(22)는 로터리댐퍼(94)에 의해서 세정조(22)를 인출하는 측으로 힘이 가해진다. 즉, 세정조(22)에는 제동력이 가해진다. 이 결과, 사용자가 예를 들어 힘을 가해서 세정조(22)를 압입했더라도 세정조(22)가 수용완료위치까지 거리(B)의 위치에 도달한 때에서는 그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비해서 세정조(22)가 감속되고, 저속의 상태로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완료위치에 도달한다.
[제 4 실시예]
도 13에서, 제 4 실시예의 식기세정기의 개략평면도를 도시한다. 이 식기세정기에서는 세정기본체(20)의 일측 내측면에 발광스위치(98)이 취부되어 있다. 그 세정기본체(20)의 내측면으로 대향하는 세정조(22)의 외측면에 수광스위치(100)가 취부되어 있다. 세정조(22)의 외저면에는 구동회로(108)과, 2개의 모터(106)가 취부되어 있다. 구동회로(108)에는 수광스위치(100)와 2개의 모터(106)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구동회로(108)와 모터(106)에는 외부의 전원에서 에너지가 공급된다. 세정기본체(20)의 양측 내측면에는 레일(102)이 취부되어 있다. 세정조(22)의 양측의 외측면에는 벨트 컨베이어식의 롤러(104)가 취부되어 있다. 레일(102)과 롤러(104)는 걸려 있다.
도 1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서 세정조(22)가 압입된 결과, 세정조(22)가 수용완료위치까지 거리(B)의 위치에 도달한다. 그러면, 세정기본체 (20)의 발광스위치(98)가 발하는 빛을 세정조(22)의 수광스위치(100)가 검출한다. 이 결과, 수광스위치(100)가 ON한다. 수광스위치(100)가 ON하면 구동회로(108)가 2개의 모터(106)의 구동을 개시시킨다. 그러면, 이들 모터(106)의 구동력에 의해서 세정조(22)의 벨트 컨베이어식의 롤러(104)가 회전하고, 세정기본체(20)의 레일 (102)에 따라서 세정조(22)가 수용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13b에 도시한 바와같이 세정조(22)가 수용완료위치에 도달하면 모터(106)의 구동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세정조(22)가 수용완료위치까지 소정 거리의 위치에 도달한 때에 전환하는 스위치(상기 예에서는 수광스위치(100))와, 그 스위치가 전환하는 것으로 , 구동을 개시하는 액츄에이터(상기 예에서는 모터(106))와, 그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서 세정조(22)를 수용완료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이동기구(상기 예에서는 롤러(104))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이것들은 예에 불과하고, 특허청구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에는 이상에 예시한 구체적인 예를 여러 가지로 변형, 변경한 것이 포함된다.
[1]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동수단으로서 댐퍼를 사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제동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용수철(스프링용수철, 판용수철등), 액츄에이터(공기압식, 유압식등), 고무등의 탄성을 가진 쿠션재등의 여러 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2]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동수단으로서 제1실시예처럼 세정조(22)를 용수철 (70)의 복귀력에 의해서 세정기본체(20)내로 잡아당겨 끌어들이는 기구와, 제 4 실시예처럼 모터(106)의 구동력에 의해서 세정조(22)의 롤러(104)를 회전시켜서 세정조(22)를 이동시키는 기구를 사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동수단으로서는 세정조(22)를 세정기본체(20) 내로 압입하려는 기구로 하여도 좋고, 전기적으로 정전인력등으로 잡아당겨 끌어들이도록 한 기구등으로 하여도 좋고, 여러 가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3] 상기 실시예에서는 에너지 축적수단으로서 스프링용수철(70)을 사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에너지축적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판용수철을 태엽식 기구등의 기계적인 기구로 하여도 좋고, 콘덴서등에서 전기적에너지로서 축적하는 전기적인 기구등으로 하여도 좋다.
또,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설명한 기술요소는 단독으로 혹은 각종 조합에 의해서 기술적 유용성을 발휘할 수 있고, 출원시 청구항기재의 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도시한 기술은 복수목적을 동시에 달성할 수도 있고, 그 중의 1개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 자체로 기술적 유용성을 가진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정기는 상자형의 세정기본체와, 세정기본체외의 위치에서 세정기본체내의 수용완료위치로 수용가능한 세정조와, 세정기본체내로의 세정조의 수용동작에 의해서 세정조가 수용완료위치까지 소정 거리의 위치에 이른 때에서, 그 위치에 도달하기 전보다도 큰 제동력을 세정조에 가하는 제동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식기세정기는 상기한 제동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세정기본체로의 세정조의 수용동작에 의해서 세정조가 수용완료위치까지 소정거리의 위치에 도달한 때에서, 그 위치에 도달하기 전의 제동력(예를 들면, 세정기본체의 씰과 세정조의 롤러 사이의 마찰력)보다도 큰 제동력이 세정조에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사용자가 세정조를 동일한 힘으로 압입하고 있는 경우는 세정조는 상기 소정거리의 위치에 도달한 때에서, 그 위치에 도달하기 전보다도 감속해서 수용완료위치에서 정지한다.
이처럼 이 식기세정기는 상기한 제동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 제동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교해서 상기 소정거리의 위치에 도달한 때에서의 세정조의 이동속도를 저속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조를 수용완료위치에서 완만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식기끼리 혹은 식기와 세정조내의 부위가 충돌해서 식기 혹은 세정조내의 부위가 손상되어 버릴 가능성을 낮게 할 수 있다.
또, 세정조의 수용동작에 의해서 세정조측의 부재(예를 들면, 세정조의 상측 연부)와 세정기본체측의 부재(예를 들면, 내측 덮개에 취부된 씰부재)가 맞스치는 상태가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맞스친 부분의 소모를 적게 할 수 있다.
또, 세정조의 배면과 세정기본체의 배면의 사이에 급수호스와 배수호스등이 접속되어 있어도, 세정조의 수용동작에 수반한 이들의 호스등의 소모를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조의 수용동작이 다수외 행해지더라도 식기세정기의 성능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세정기본체내로의 세정조의 수용에 수반해서 발생하는 장애가 적은 식기세정기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세정조를 인출한 순간의 에너지를 이용해서 세정조를 수용완료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이동수단을 구성한 것으로 세정조를 이동시키기 위한 에너지를 전원등에서 얻을 수 없어도 좋다. 또, 사용자가 세정조를 인출하는 순간의 에너지를 축적하도록 하는 것으로 에너지를 소비한다는 감각을 사용자가 그다지가지지 않고, 사용자에게서 에너지를 얻을 할 수 있다.

Claims (4)

  1. 상자형의 세정기본체와,
    세정기본체외의 위치에서 세정기본체내의 수용완료위치로 수용가능한 세정조와,
    세정기본체내로의 세정조의 수용동작에 의해서 세정조가 수용완료위치까지 소정 거리의 위치에 도달한 때에서, 그 위치에 도달하기 전보다도 큰 제동력을 세정조에 가하는 제동수단을 구비한 식기세정기.
  2. 상자형의 세정기본체와,
    세정기본체외의 위치에서 세정기본체내의 수용완료위치로 수용가능한 세정조와,
    세정기본체내로의 세정조의 수용동작에 의해서 세정조가 수용완료위치까지 소정 거리의 위치에 도달한 때에서, 세정조를 수용완료위치까지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한 식기세정기.
  3. 상자형 세정기본체와,
    세정기본체외의 위치에서 세정기본체내의 수용완료위치로 수용가능한 세정조와,
    세정기본체내로의 세정조의 수용동작에 의해서 세정조가 수용완료위치까지제 1 소정 거리의 위치에 도달한 때에서, 세정조를 수용완료위치까지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세정기본체내로의 세정조의 수용동작에 의해서 세정조가 수용완료위치까지 제 2 소정거리의 위치에 도달한 때에서, 그 위치에 도달하기 전보다도 큰 제동력을 세정조에 가하는 제동수단을 구비한 식기세정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사용자가 세정조를 인출한 순간의 에너지를 축적하는 축적수단을 가짐과 동시에 그 축적수단에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해서 세정조를 수용완료위치까지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정기.
KR10-2003-0002738A 2002-06-13 2003-01-15 식기세정기 KR1004569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73248 2002-06-13
JP2002173248A JP4444550B2 (ja) 2002-06-13 2002-06-13 食器洗浄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5959A KR20030095959A (ko) 2003-12-24
KR100456907B1 true KR100456907B1 (ko) 2004-11-10

Family

ID=30436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2738A KR100456907B1 (ko) 2002-06-13 2003-01-15 식기세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444550B2 (ko)
KR (1) KR100456907B1 (ko)
CN (1) CN1197514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3613A (ko) * 2014-02-07 2015-08-18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식기 세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5133B2 (ja) * 2009-06-01 2013-10-16 リンナイ株式会社 食器洗浄機
KR101930910B1 (ko) * 2012-05-30 2018-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리창 청소 장치
JP5732480B2 (ja) * 2013-01-11 2015-06-10 リンナイ株式会社 食器洗浄機
JP6883732B2 (ja) * 2017-08-08 2021-06-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食器洗い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704U (ko) * 1992-07-14 1994-02-15 동양매직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안내레일과 바구니의 이송장치
JP2001061746A (ja) * 1999-08-27 2001-03-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浄機
JP2002028123A (ja) * 2000-07-14 2002-01-29 Rinnai Corp 引き出し式食器洗浄機
JP2002045325A (ja) * 2000-08-03 2002-02-12 Rinnai Corp 引き出し式食器洗浄機
KR20020037380A (ko) * 1999-10-08 2002-05-18 윌리엄 린드세이 길랜더즈 식기세척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704U (ko) * 1992-07-14 1994-02-15 동양매직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안내레일과 바구니의 이송장치
JP2001061746A (ja) * 1999-08-27 2001-03-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浄機
KR20020037380A (ko) * 1999-10-08 2002-05-18 윌리엄 린드세이 길랜더즈 식기세척기
JP2002028123A (ja) * 2000-07-14 2002-01-29 Rinnai Corp 引き出し式食器洗浄機
JP2002045325A (ja) * 2000-08-03 2002-02-12 Rinnai Corp 引き出し式食器洗浄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3613A (ko) * 2014-02-07 2015-08-18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식기 세척기
KR102328247B1 (ko) * 2014-02-07 2021-11-17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식기 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71892A (zh) 2004-02-04
KR20030095959A (ko) 2003-12-24
JP4444550B2 (ja) 2010-03-31
CN1197514C (zh) 2005-04-20
JP2004016361A (ja) 200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5680B2 (en) Dishwasher
KR102002419B1 (ko) 식기세척기
US9493900B2 (en) Washing machine and detergent delivery pump assembly thereof
US20040163687A1 (en) Dishwasher
AU2013222039A1 (en) Dishwashing machine
KR100456907B1 (ko) 식기세정기
KR102127709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CN101970745B (zh) 洗衣机
CN104757923A (zh) 洗碗机
KR102061525B1 (ko) 식기세척기
JP2007307181A (ja) 食器洗浄装置
KR100892672B1 (ko) 식기 세척기용 디스펜서
KR102034091B1 (ko) 식기 세척기
KR101158584B1 (ko) 식기 세척기
JP2008104885A (ja) 引き出し式食器洗浄機
CN105770936A (zh) 家用电器
CN208808426U (zh) 一种具有免翻转洗碗机分配器的洗碗粉投放机构
KR101214718B1 (ko) 식기 세척기
KR100825112B1 (ko) 식기세척기용 구동모터의 과부하 방지장치
US7699942B2 (en) Dish washer and drain hose fixing assembly thereof
CN219397161U (zh) 一种新型洗碗机把手
CN217517198U (zh) 一种工作台组件及衣物处理设备
KR20070105044A (ko) 식기 세척기
KR101257522B1 (ko) 식기 세척기
KR950014767B1 (ko)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