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8584B1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8584B1
KR101158584B1 KR1020050070230A KR20050070230A KR101158584B1 KR 101158584 B1 KR101158584 B1 KR 101158584B1 KR 1020050070230 A KR1020050070230 A KR 1020050070230A KR 20050070230 A KR20050070230 A KR 20050070230A KR 101158584 B1 KR101158584 B1 KR 101158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rail
rack
rail
tub
dish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0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5713A (ko
Inventor
박동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0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8584B1/ko
Publication of KR20070015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5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7Arrangements for extracting racks, e.g. roller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4Arrangements for changing the height of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내부에 세척조가 형성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수용되며, 내부에 식기가 수납되는 식기 랙; 상기 식기 랙의 측면에 설치되는 랙 체결부; 상기 터브의 내주면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랙 체결부가 결합되는 아우터 레일; 및 상기 터브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아우터 레일 내부에 삽입되어 아우터 레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아우터 레일 롤러;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식기 세척기의 구성에 의해서, 상부 랙의 전후방 왕복운동을 위한 상부 랙에 롤러의 부착이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또한, 상부 랙의 외곽 프레임을 이용하여 아우터 레일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요구되는 부품수 및 제작 공정이 현저히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부 랙의 외곽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부 랙의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상부 랙 높이 조절 장치가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식기 세척기, 레일

Description

식기 세척기{A dish washer}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랙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레일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랙과 레일이 결합된 모습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랙과 레일이 결합된 모습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랙과 레일이 결합된 후 이동되는 모습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3 : 랙 체결부 30 : 아우터 레일 40 : 인너 레일
50 : 베어링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상부 랙이 레일에 설치된 결합홈에 결합되어 전후방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에 의하여 식기 표면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가 세척되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상세히, 식기 세척기는 세척조가 형성되는 터브와, 터브 저면에 장착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섬프 내부에 장착된 세척 펌프의 펌핑 작용에 의하여 세척수가 분사 노즐로 이동되고, 상기 분사 노즐로 이동된 세척수는 분사 노즐 끝단부에 형성된 분사구를 통하여 고압으로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고압으로 분사되는 세척수가 식기 표면에 부딪혀서, 식기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과 같은 오물이 터브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식기 세척기 내부에는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식기 랙이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며, 일반적으로는 터브 내부 상측과 하측에 두 개가 인출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터브의 내측 양측 면에는 랙이 인출가능하도록 하는 레일이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레일은 레일 롤러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터브의 내부 중앙에는 세척 펌프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를 분사 노즐로 안내하는 유로 역할을 하는 워터 가이드와, 상기 워터 가이드에 의하여 안내된 세척수가 세척조 내부에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 노즐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 노즐은 상부 랙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 노즐과, 하부 랙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 노즐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 노즐은 상기 상부 랙과 결합되어 상기 상부 랙의 전/후 이동시 함께 이동되고, 상기 하부 노즐은 상기 섬프의 상측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하 상기 식기 세척기의 기능 및 작동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식기를 상부 랙 및 하부 랙에 세척되어야 할 식기들을 안치시킨 다음, 상기 식기 랙을 세척조 내부로 밀어 넣는다. 상기 랙을 세척조 내부로 밀어넣으면 상기 레일은 상기 레일 롤러에 의하여 세척조 내부로 밀려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레일이 세척조 내부로 밀려 들어감에 따라 상기 랙 또한 세척조 내부로 밀려 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노즐은 상기 상부 랙과 함께 밀려 들어가게 된다.
또한, 식기가 수납된 상기 랙을 밀어 넣은 다음 도어를 닫고 상기 식기 세척기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세탁조의 저면과 섬프 내로 세척수가 유입되고, 상기 섬프와 연결된 세척 펌프가 가동됨으로써, 상기 워터 가이드를 따라 세척수가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는 상기 워터 가이드와 연결된 분사 노즐을 통하여 식기로 분사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부 랙은 측면에 부착된 소정의 롤러에 의하여 상기 레일의 상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는데, 상부 랙에 부착된 롤러의 불량이 발생되는 경우에 상부 랙의 전후방 운동이 가능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롤러가 상부 랙에 부착되기 위해서는 요구되는 부품이 많게 되고, 제작 공정에서도 추가공정이 더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부 랙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부가적인 랙 높이 조절 장치가 상부 랙에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상부 랙 의 전후방 왕복운동을 위하여 상부 랙에 롤러가 부착되는 것이 요구되지 않는 식기 세척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부 랙의 외곽 프레임을 이용하여 레일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요구되는 부품수 및 제작 공정이 현저히 줄어드는 식기 세척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부 랙의 외곽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부 랙의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상부 랙 높이 조절 장치가 요구되지 않는 식기 세척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내부에 세척조가 형성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수용되며, 내부에 식기가 수납되는 식기 랙; 상기 식기 랙의 측면에 설치되는 랙 체결부; 상기 터브의 내주면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랙 체결부가 결합되는 아우터 레일; 및 상기 터브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아우터 레일 내부에 삽입되어 아우터 레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아우터 레일 롤러;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식기 세척기의 구성에 의해서, 상부 랙의 전후방 왕복운동을 위한 상부 랙에 롤러의 부착이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또한, 상부 랙의 외곽 프레임을 이용하여 아우터 레일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요구되는 부품수 및 제작 공정이 현저히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부 랙의 외곽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부 랙의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도 록 함으로써, 별도의 상부 랙 높이 조절 장치가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외관을 이루고 전방이 개구되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개구된 전방을 밀폐시키는 도어(2)와, 상기 도어(2)의 상측에 제공되어 식기세척기의 동작을 표시하고 제어하는 콘트롤 패널(3)이 포함된다.
또한, 식기 세척기의 내부에는 세척수가 수용되는 터브(18)와, 상기 터브(18)의 하측에는 세척수를 집수하고 이물을 걸러서 다시 분사 노즐로 펌핑되도록 하는 섬프(16)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터브(18)의 내부에는 상하로 분리되는 다수개의 랙(20)(12)과, 상기 각각의 랙(20)(12)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14)(15)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상부 노즐(14)에 의하여 식기가 세척되도록 상기 상부 노즐(14)의 상측부에 장착되는 상부 랙(20)과, 상기 하부 노즐(15)에 의하여 식기가 세척되도록 상기 하부 노즐(15)의 상측부에 장착되는 하부 랙(12)이 포함된다.
또한, 상부 랙(20)의 이동을 지지하는 레일이 터브(18)의 측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상부 랙(20)은 외곽 프레임에 설치된 랙 체결부(후술함)가 레일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된 소정의 삽입홈(후술함)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부 랙(20)이 상기 아우터 레일(30)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레일에는 아우터 레일(30)과 상기 아우터 레일의 내측에 삽입되는 인너 레일(40)이 포함되고, 상기 인너 레일(40)는 상기 터브(18)의 측면에 설치된 소정의 롤러에 의하여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레일(30)의 내측면과 상기 인너 레일(40)의 외측면 사이에는 소정의 베어링이 설치되어, 상기 아우터 레일(30)과 인너 레일(40) 모두 전후방의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2)는, 도어(2)의 하단부에서 힌지(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1)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을 회전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도어(2)의 소정위치에는 배기팬(9)이 형성되어 터브(18)의 내부 공기가 배기팬(9)에 의해서 외부로 강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의 내측면에는 세제가 일정량씩 투입되는 세제 투입구(10)가 형성되어, 식기 세척기가 동작시에 세제가 세제 투입구(10)의 내부에 일정량이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식기 세척기의 내부에는 상기 섬프(16)와 연결되고, 상기 섬프(16)에 저장된 세척수를 고압으로 펌핑하는 세척 펌프(미도시)와, 상기 세척 펌프의 후면에 부착되어 상기 세척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가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2)를 열고, 상기 상부 랙(20) 및/또는 하부 랙(12)을 세척조 외부로 잡아 당긴다.
상기 상부 랙(20)이 잡아 당겨지면, 상부 랙(20)과 결합된 상기 아우터 레일(30)은 내측에 설치된 인너 레일(40)에 의해 지지되면서 전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인너 레일(40)도 상기 터브(18)의 측면 일측에 설치된 소정의 롤러에 의해 지지되면서 전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랙(20)이 잡아당겨지면, 상기 아우터 레일(30) 및 인너 레일(40) 역시 전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랙(20)(12)에 식기를 수납한다. 그 다음, 상기 도어(2)를 닫고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식기 세척기가 작동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식기 세척기에 전원이 인가되어 세척 단계가 수행되면 급수원으로부터 전달되는 세척수가 상기 섬프(16)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세척수의 양이 기준 수위에 도달되는 경우에는 급수가 중단되고, 세척 펌프가 동작하여 상기 노즐(14)(15)를 통해 세척수가 분사된다. 그리고, 분사된 세척수에 의하여 상기 랙(20)(12)에 수납된 식기가 세척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또한, 상기 세척 단계에서 상기 섬프(16)에 모여진 더러워진 세척수는 필터에 의하여 이물질이 걸러진다. 그리고, 이물질이 걸러진 상기 세척수는 배수 펌프를 통하여 상기 식기 세척기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세척수가 외부로 배출되면, 유입구를 통하여 다시 깨끗한 세척수가 상기 섬프(16)로 유입되고, 상기 세척단계와 동일하게 상기 분사 노즐(14)(15) 을 통하여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된 깨끗한 세척수에 의하여 상기 식기는 헹굼단계를 거치게 된다.
또한, 상기 헹굼단계가 끝나면, 건조단계를 거침으로써, 세척작용이 완료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랙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부 랙(20)은 외형의 틀을 이루는 외곽 프레임(21)과, 양 단부가 상기 외곽 프레임(21)에 결합되고, 대략 U 자형으로 절곡되어 랙의 바닥면을 이루는 수납 프레임(22)과, 상기 외곽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단부가 소정의 절곡부로 형성되는 랙 체결부(23)(24)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랙 체결부(23)(24)는 상기 상부 랙(20)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외곽 프레임(21)의 소정의 위치에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곽 프레임(21)이,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외곽 프레임보다 짧은 길이로 상부 랙(20)의 측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랙 체결부(23)(24)는 상기 외곽 프레임(21)의 양 끝단에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랙 체결부(23)(24)는 상기 외곽 프레임(21)이 설치된 위치에 따라 상부 랙 체결부(24)와 하부 랙 체결부(23)로 설치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상부 랙 체결부(24)에 의해 상기 상부 랙(20)이 아우터 레일(30)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 랙 체결부(23)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보다 상부 랙(20)의 높이보다 더 높게 설치된다. 다시 말하면, 높이를 달리하여 상기 랙 체결부(23)(24)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상부 랙(20)의 위치가 조절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랙 체결부(23)(24)는 후술되는 상기 아우터 레일(30)의 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레일을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상부 랙과 레일이 결합된 모습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레일은 아우터 레일(30)과 상기 아우터 레일(30)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인너 레일(4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레일(30)은 상부면을 형성하는 아우터 레일 상부(32)와, 소정의 크기로 상기 아우터 레일 상부(32)의 일측에 설치되는 삽입홀(31)과, 상기 아우터 레일 상부(32)의 일측면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아우터 레일 절곡부(34)와, 측면을 형성하는 아우터 레일 측면부(33)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레일(30)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아우터 레일 하부(35)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아우터 레일(30)의 내측에는 상기 아우터 레일(30)보다 작은 크기로 인너 레일(4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인너 레일(40)는 상부면을 형성하는 인너 레일 상부(42)와, 상기 인너 레일 상부(42)의 일측면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인너 레일 절곡부(44)와, 측면을 형성하는 인너 레일 측면부(43)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인너 레일(40)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인너 레일 하부(45)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인너 레일(40)의 내측에는 터브(18)에 부착된 롤러(19)가 요동되는 롤러 이동로(41)가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아우터 레일 절곡부(34)와 인너 레일 절곡부(44)는 상기 아우터 레일(30)과 인너 레일(40)가 요동되면서, 상기 인너 레일(40)가 상기 아우터 레 일(30)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소정의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아우터 레일(30)에만 절곡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아우터 레일 절곡부(34)는 상기 인너 레일(40)가 상기 아우터 레일(30)로부터 탈거되지 않으면서, 소정의 롤러 이동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적당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홀(31)은 상기 외곽 프레임(21)에 설치된 랙 체결부(23)(24)가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랙 체결부(23)(24)의 크기와 대략 비슷한 크기의 홀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아우터 레일 측면부(33)와 인너 레일 측면부(43)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아우터 레일 측면부(33)와 인너 레일 측면부(43)가 이격되는 거리는 상기 삽입홀(31)의 위치를 고려하여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우터 레일 상부(32)와 인너 레일 상부(42) 사이에는 상기 아우터 레일(30)이 상기 인너 레일(40)에 의해 지지되어 이동됨이 가능하도록 베어링(5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레일 하부(35)와 인너 레일 하부(45)에도 베어링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50)은 구름 베어링(rolling bearing)이나 미끄럼 베어링(sliding bearing)과 같이 상기 아우터 레일(30)이 인너 레일(40)에 의해 지지되어 이동될 수 있는 것으로 제공되고, 이외의 다양한 종류의 베어링으로도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50)외에 상기 아우터 레일(30) 및 인너 레일(40)의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미도시)가 설치되어 상기 아우터 레일(30) 및 인너 레일(40)가 소정의 거리만큼만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랙과 레일이 결합된 모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랙과 레일이 결합된 후 이동되는 모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부 랙(20)은 측면에 설치된 하부 랙 체결부(23)가 상기 삽입홀(31)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랙(20)과 아우터 레일(30)이 결합된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상부 랙(20)을 잡아 당기는 경우에, 상기 상부 랙(20)에 가해지는 힘은 상기 랙 체결부(23)를 통해 상기 아우터 레일(30)에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레일(30)에 전달된 힘에 의해 상기 아우터 레일(30)은 전방으로 이동된다.
상세히, 상기 아우터 레일(30)은 상기 인너 레일(40)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베어링(50)에 의해 전후방의 왕복운동이 가능하다.
계속하여 상기 아우터 레일(30)에 힘이 전달되는 경우에는, 상기 아우터 레일(30)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된 후, 상기 롤러(19)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인너 레일(4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너 레일(40) 역시 소정의 스토퍼(미도시)에 의하여 이동하는 거리가 제한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랙(20) 측면에 별도의 롤러나 위치 조절 장치가 설치 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아우터 레일(30)의 내측에 상기 인너 레일(40)를 설치하여 둠으로써 상기 상부 랙(20)의 전후방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부 랙(20)에 별도의 롤러나 위치 조절 장치가 요구되지 않아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식기 세척기의 구성에 의해서, 상부 랙의 전후방 왕복운동을 위한 상부 랙에 롤러의 부착이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또한, 상부 랙의 외곽 프레임을 이용하여 아우터 레일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요구되는 부품수 및 제작 공정이 현저히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부 랙의 외곽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부 랙의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상부 랙 높이 조절 장치가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부 랙의 높이 조절 및 전후방 왕복운동에 요구되는 부품수가 줄어들어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2)

  1. 내부에 세척조가 형성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수용되며, 내부에 식기가 수납되는 식기 랙;
    상기 식기 랙의 측면에 설치되는 랙 체결부;
    상기 터브의 내주면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랙 체결부가 결합되는 아우터 레일; 및
    상기 터브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아우터 레일 내부에 삽입되어 아우터 레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아우터 레일 롤러;가 포함되는 식기 세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랙 체결부는 상기 식기 랙의 측면에 용접에 의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랙 체결부는 상기 식기 랙을 형성하는 랙 프레임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랙 체결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레일은 두 개이상이 다단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레일의 상부면에 상기 랙 체결부가 삽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7.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수용되며, 측면에 높이 조절부재가 구비되는 식기 랙;
    상기 높이 조절 부재가 결합되기 위한 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아우터 아우터 레일;
    상기 아우터 아우터 레일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아우터 아우터 레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인너 아우터 레일; 및
    상기 터브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인너 아우터 레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아우터 레일 롤러;가 포함되는 식기 세척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아우터 레일의 이동시 발생되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인너 아우터 레일과 아우터 아우터 레일이 면접되는 부위에 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아우터 레일의 상측 및/또는 하측면에 마찰 방지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부재는 단부가 상기 아우터 아우터 레일의 상부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부재는 상기 식기 랙과 동일 소재의 막대로 이루어지고, 다수회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아우터 레일의 상부면에 상기 높이 조절 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은 상기 인너 아우터 레일의 측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곳에 형 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KR1020050070230A 2005-08-01 2005-08-01 식기 세척기 KR101158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230A KR101158584B1 (ko) 2005-08-01 2005-08-01 식기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230A KR101158584B1 (ko) 2005-08-01 2005-08-01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5713A KR20070015713A (ko) 2007-02-06
KR101158584B1 true KR101158584B1 (ko) 2012-06-22

Family

ID=43650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0230A KR101158584B1 (ko) 2005-08-01 2005-08-01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858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54673A1 (ko) 2019-09-18 2021-03-25 (주)세고스 식기세척기용 레일장치
KR20210033307A (ko) 2019-09-18 2021-03-26 (주)세고스 식기세척기용 레일장치
KR20210056624A (ko) 2019-11-11 2021-05-20 (주)세고스 식기세척기용 레일장치
KR20210142942A (ko) 2020-05-19 2021-11-26 (주)세고스 식기세척기용 레일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2080B1 (ko) 2018-08-07 2023-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165A (ja) * 1995-06-28 1997-01-14 Hitachi Ltd 食器洗浄機
JP2003210380A (ja) * 2002-01-18 2003-07-29 Hitachi Ltd 食器洗浄機
JP2004049868A (ja) * 2002-07-18 2004-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食器洗い機
KR20040047014A (ko) * 2002-11-28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선반 높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165A (ja) * 1995-06-28 1997-01-14 Hitachi Ltd 食器洗浄機
JP2003210380A (ja) * 2002-01-18 2003-07-29 Hitachi Ltd 食器洗浄機
JP2004049868A (ja) * 2002-07-18 2004-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食器洗い機
KR20040047014A (ko) * 2002-11-28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선반 높이 조절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54673A1 (ko) 2019-09-18 2021-03-25 (주)세고스 식기세척기용 레일장치
KR20210033373A (ko) 2019-09-18 2021-03-26 (주)세고스 식기세척기용 레일장치
KR20210033307A (ko) 2019-09-18 2021-03-26 (주)세고스 식기세척기용 레일장치
KR20210056624A (ko) 2019-11-11 2021-05-20 (주)세고스 식기세척기용 레일장치
KR20210142942A (ko) 2020-05-19 2021-11-26 (주)세고스 식기세척기용 레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5713A (ko) 2007-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4117B1 (ko) 워터 가이드 탈거 방지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
KR100772234B1 (ko) 식기 세척기
KR101054221B1 (ko) 식기 세척기의 워터 가이드 결합구조
KR101158584B1 (ko) 식기 세척기
KR20160104336A (ko) 식기세척기
KR20050110922A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실링 개스킷 구조
KR101202062B1 (ko) 스팀 발생 장치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 및 제어 방법
JP4513880B2 (ja) 食器洗い機
EP2343004B1 (en) Dishwasher with an air-break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213919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35952B1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히터부
EP3009061B1 (en) Dish washing machine
KR100662156B1 (ko) 식기 세척기의 워터 가이드 결합 구조
KR101208156B1 (ko) 식기 세척기
KR101054113B1 (ko) 식기 세척기의 전도방지구조
KR20060085972A (ko) 식기 세척기 섬프의 필터 세척 구조
KR101054102B1 (ko) 식기 세척기의 탑랙 고정구조
KR101186442B1 (ko) 식기 세척기
KR101117843B1 (ko) 식기 세척기의 랙롤러 가이드부 물빠짐 구조
KR20070078128A (ko) 식기 세척기
KR101257522B1 (ko) 식기 세척기
KR20080012598A (ko) 식기 세척기
KR200398205Y1 (ko) 식기 세척기
KR101214718B1 (ko) 식기 세척기
KR101275946B1 (ko) 식기 세척기의 설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