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080B1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080B1
KR102572080B1 KR1020180091839A KR20180091839A KR102572080B1 KR 102572080 B1 KR102572080 B1 KR 102572080B1 KR 1020180091839 A KR1020180091839 A KR 1020180091839A KR 20180091839 A KR20180091839 A KR 20180091839A KR 102572080 B1 KR102572080 B1 KR 102572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oller
shaft
loading frame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6578A (ko
Inventor
요하네스
신우진
이창욱
최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1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080B1/ko
Priority to EP19847312.6A priority patent/EP3809941A4/en
Priority to PCT/KR2019/007857 priority patent/WO2020032391A1/en
Priority to US16/456,220 priority patent/US11412915B2/en
Publication of KR20200016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7Arrangements for extracting racks, e.g. roller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1Baskets, e.g. for conveyor-type, in-sink type or hood-type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2Cutlery baske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식기세척기는 본체, 본체의 내부에서 피세척물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터브, 피세척물이 수납되도록 상기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납용기를 포함하고 수납용기는 피세척물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수납용기의 이동을 위해 마련되는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로서, 양단이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샤프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랙어셈블리(rack assembly)의 구조를 개선한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세제와 세척수를 이용하여 식기에 묻은 음식물 찌꺼기 등을 자동으로 세척하는 기기이다.
식기세척기는, 본체와,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와, 식기가 수납되도록 터브 내부에 배치되어 식기가 수납되는 수납용기와, 수납용기에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유닛을 포함한다.
수납용기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식기가 수납되는 바스켓(basket)과, 커트러리(cutlery)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식기가 수납되는 랙 어셈블리(rack assembly)를 포함한다.
수납용기는 터브로부터 인출이 가능하도록 이동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동수단은 터브에 마련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납용기는, 수납용기의 자중과, 수납용기에 수납되는 식기등의 무게로 인해 롤러에 부하가 많이 집중될 수 있다. 반복된 부하로 인해 롤러에 피로가 누적되는 경우, 롤러가 파손되거나 변형되어, 사용자가 식기 수납 어셈블리 이용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수납용기의 인출 및 인입이 용이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수납용기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식기세척기 내부의 공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내구성이 향상된 수납용기를 갖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피세척물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터브; 피세척물이 수납되도록 상기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납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용기는, 피세척물이 놓여지는 로딩부를 갖는 로딩프레임; 상기 로딩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로딩프레임과 사이에 배치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롤러프레임; 상기 로딩프레임의 이동을 위해 구성되는 롤러를 상기 배치공간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제 1 단부와, 상기 제 1 단부의 반대측인 제 2 단부가 상기 로딩프레임과 상기 롤러프레임에 각각 지지되는 샤프트;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프레임은,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 2 단부가 지지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로딩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는 연장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프레임은, 상기 수납용기의 인출 또는 인입방향으로 상기 샤프트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장프레임은, 상기 로딩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샤프트의 단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프레임은 상기 로딩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며,상기 배치공간은 상기 연장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로딩프레임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배치공간은 상하방향으로 상기 터브를 향해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그 외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용기는,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딩프레임은,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 1 단부가 삽입되는 제 1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 2 단부가 삽입되는 제 2 삽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제 1, 2 삽입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 1, 2 단부가 상기 로딩프레임과 상기 롤러프레임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로딩프레임과 상기 롤러프레임은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상기 로딩프레임은,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 1 단부의 상면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면;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 1 단부의 하면을 지지하며, 상기 제 1 지지면보다 상기 제 2 단부와 가깝게 배치되는 제 2 지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딩프레임은, 상기 샤프트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홀; 상기 제 2 지지면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를 상기 삽입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가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롤러;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롤러로서, 상기 상부롤러보다 상기 로딩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는 하부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의 양측면은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상기 로딩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각각의 내면과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롤러프레임은 상기 로딩프레임의 이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피세척물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터브; 피세척물이 수납되도록 상기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납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용기는, 피세척물이 수납되는 로딩부를 갖는 로딩프레임; 상기 로딩프레임을 상기 터브로부터 인출가능하도록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롤러; 상기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제 1 단부가 상기 로딩프레임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샤프트; 상기 롤러와 샤프트가 배치되는 배치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로딩프레임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 1 단부의 반대측인 제 2 단부가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롤러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배치공간은 적어도 상부와 하부가 각각 상기 터브를 향해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피세척물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터브; 피세척물이 수납되도록 상기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납용기;를 포함하고,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로딩프레임; 상기 로딩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로딩프레임과 사이에 상기 수납용기의 이동을 위한 롤러가 배치되는 배치공간을 형성하는 롤러프레임; 제 1 단부와, 상기 제 1 단부의 반대측인 제 2 단부가 각각 상기 로딩프레임과 상기 롤러프레임에 각각 지지되며, 상기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프레임은,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 2 단부가 지지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로딩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되, 상기 배치공간이 상하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연장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납용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수납용기의 인출 또는 인입을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납용기가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롤러의 크기를 보다 작게 할 수 있어서, 터브 내부공간에 대한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롤러 주위에 이물질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롤러의 동작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롤러의 크기 및 재질에 대한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어서 수납용기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도어를 개방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수납용기의 사시도.
도 4,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수납용기와 가이드레일에 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수납용기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수납용기에서의 일부구성을 확대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수납용기에서의 일부구성을 분해한 사시도.
도 9는 도 7의 A-A’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수납용기를 옆에서 본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도어를 개방한 사시도이다.
식기세척기(1)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브(12)는 대략 박스(box)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터브(12)의 일 면은 개방될 수 있다. 즉, 터브(12)는 개방부(12a)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터브(12)의 전면(前面)은 개방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터브(12)의 개방부(12a)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11)는 터브(12)의 개방부(12a)를 개폐하도록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11)는 회전 가능하도록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식기 또는 피세척물이 수납되도록 터브(12)의 내부에 마련되는 수납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납용기는 복수의 바스켓(51, 5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바스켓(51, 52)에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식기가 수납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바스켓(51, 52)에 수납되는 식기의 종류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식기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복수의 바스켓(51, 52)에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식기뿐 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식기 또한 수납될 수 있다.
복수의 바스켓(51, 52)은,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바스켓(51)과,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바스켓(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바스켓(51)은 상부 가이드 랙(13a)에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하부 바스켓(52)은 하부 가이드 랙(13b)에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부 가이드 랙(13a) 및 하부 가이드 랙(13b)은 터브(12)의 개방부(12a)를 향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터브(12)의 내벽(14)에 설치될 수 있다. 터브(12)의 내벽(14)은 터브(12)의 우측벽의 내면 및 좌측벽의 내면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수납용기는 랙 어셈블리(100)(rack assembly)를 포함할 수 있다. 랙 어셈블리(100)는 식기가 수납되도록 터브(1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랙 어셈블리(100)는 인출 가능하도록 터브(1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랙 어셈블리(100)에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식기가 수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랙 어셈블리(100)에는 국자, 칼, 뒤집개 등과 같은 조리 도구 내지 커트러리(cutlery)가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랙 어셈블리(100)에는 에스프레소 잔과 같은 작은 컵이 수납될 수도 있다. 다만, 랙 어셈블리(100)에 수납되는 식기의 종류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랙 어셈블리(100)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복수의 바스켓(51, 52)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랙 어셈블리(100)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터브(12)의 최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수납용기의 종류로 복수의 바스켓(51, 52)와 랙어셈블리(100)를 설명하고, 수납용기에 수납되는 것은 식기 또는 커트러리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수납용기에 수납되는 것은 세척이 이루어지는 피세척물일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수납용기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터브(12)의 내벽(14)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랙 어셈블리(100)는 가이드 레일(7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레일(70)은 랙 어셈블리(10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터브(12)의 내벽(14)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레일(70)은 랙 어셈블리(10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배치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이드 레일(70)은 복수의 바스켓(51, 52)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부 가이드 랙(13a) 및 하부 가이드 랙(13b)을 대신하여 터브(12)의 내벽(14)에 설치될 수도 있다. 가이드 레일(7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수를 포집하고 저장하는 섬프(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섬프(20)에는 저장된 물을 분사유닛으로 펌핑하는 세척펌프(21)가 마련될 수 있다. 세척펌프(70)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는 제 1 공급관(31)을 통해 후술할 제 1 분사유닛(41)과 제 2 분사유닛(42)으로 공급되거나, 제 2 공급관(32)을 통해 후술할 제 3 분사유닛(43)으로 공급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수를 가열하도록 터브(12)의 하부에 배치되는 히터(15)와, 세척수를 배수하도록 터브(12)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수펌프(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유닛(41, 42, 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사유닛(41, 42, 43)은,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상부 바스켓(51)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1 분사유닛(41)과,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상부 바스켓(51) 및 하부 바스켓(52)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분사유닛(42)과,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하부 바스켓(52)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3 분사유닛(4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분사유닛(41)은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랙 어셈블리(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분사유닛(41)은 회전축(41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 2 분사유닛(42)은 회전축(42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분사유닛(41)은 랙 어셈블리(100) 및 상부 바스켓(51)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고, 제 2 분사유닛(42)은 상부 바스켓(51) 및 하부 바스켓(52)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제 3 분사유닛(43)은 제 1 분사유닛(41) 및 제 2 분사유닛(42)과 달리 터브(12)의 일 측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3 분사유닛(43)은 대략 수평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며, 따라서, 제 3 분사유닛(43)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직접 식기를 향하지 않을 수 있다.
제 3 분사유닛(43)은 세척수가 분사되는 노즐(44)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44)은 대략 터브(12)의 일 측면에서 반대 측면까지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제 3 분사유닛(43)의 노즐(44)에서 대략 수평 방향으로 분사된 세척수는 터브(12)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환 어셈블리(6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하부 바스켓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나아갈 수 있다. 전환 어셈블리(60)는 홀더(64)에 의해 가이드 레일(62)에 구속되며, 가이드 레일(6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수납용기의 사시도, 도 4,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수납용기와 가이드레일에 관한 도면이다.
수납용기는 바스켓(51, 52) 또는 랙 어셈블리(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주요설명은 랙 어셈블리(100)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식기세척기(1)에 수납되는 수납용기면 적용될 수 있다.
랙 어셈블리(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은 로딩프레임(110)과, 로딩프레임(110)에 형성되는 롤러프레임(140)을 포함할 수 있다.
로딩프레임(110)은 식기가 놓여지는 로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로딩부(120)는 수납공간(120a)을 형성할 수 있다. 로딩부(120)는 고정플레이트(121)와, 고정플레이트(121)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마련되는 승강플레이트(122)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플레이트(122)는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승강플레이트(122)는 승강가능하도록 로딩프레임(110)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식기는 고정플레이트(121)와 승강플레이트(122)에 놓여질 수 있다.
로딩부(120)에는 세척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의 홀(123)이 형성될 수 있다. 로딩부(120)의 형상은 도 3의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일례로 로딩부(120)는 가로, 세로 격자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식기를 세워둘 수 있도록 식기를 지지하는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로딩부(120)는 식기를 지지할 수 있고, 세척수가 통과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로딩프레임(110)은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H)으로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로딩부(12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로딩프레임(110)의 벽(113)은, 터브(12)의 개방부(12a)를 향하는 제 1 벽(113a)과, 제 1 벽(113a)과 마주하는 제 2 벽(113b)과, 제 1 벽(113a) 및 제 2 벽(113b)을 연결하는 제 3 벽(113c) 및 제 4 벽(113d)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로딩프레임(110)의 제 1 벽(113a)은 터브(12)의 전방을 향하고, 로딩프레임(110)의 제 2 벽(113b)은 터브(12)의 후면과 마주할 수 있다. 로딩프레임(110)의 제 3 벽(113c) 및 제 4 벽(113d)은 각각 터브(12)의 우측면 및 좌측면과 마주할 수 있다.
로딩프레임(110)의 벽은 이중벽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딩프레임(110)의 벽은, 로딩부(120)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내벽(116)과, 내벽(116)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벽(117)을 포함할 수 있다. 내벽(116) 및 외벽(117)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로딩프레임(110)의 벽의 내벽(116)은 로딩부(120)의 가장자리를 정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로딩프레임(110)의 벽의 내벽(116)은 고정 플레이트(121)의 가장자리를 정의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70)은 레일바디(72)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 바디(72)는 터브(12)의 내벽(14)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일 바디(72)는 마운팅 부재(74)를 매개로 결합부재(미도시)에 의해 터브(12)의 내벽(14)에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재(미도시)는 스크루(screw)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 바디(72)는 개방부(12a)를 향하는 제 1 단부(72a) 및 제 1 단부(72a)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단부(72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레일 바디(72)의 제 1 단부(72a)는 식기세척기(1)의 전방을 향하고, 레일 바디(72)의 제 2 단부(72b)는 식기세척기(1)의 후방을 향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70)은 레일 바디(72)에 결합되는 레일 홀더(76)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 홀더(76)는, 레일 바디(72)의 제 1 단부(72a)에 결합되는 제 1 레일 홀더(76a) 및 레일 바디(72)의 제 2 단부(72b)에 결합되는 제 2 레일 홀더(7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레일 홀더(76a) 및 제 2 레일 홀더(76b)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레일 홀더(76a)는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제 2 레일 홀더(76b)는 상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레일 홀더(76a)는 하방을 향하여 절곡되고, 제 2 레일 홀더(76b)는 상방을 향하여 절곡될 수 있다. 다만, 제 1 레일 홀더(76a) 및 제 2 레일 홀더(76b)의 연장 내지 절곡 방향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제 1 레일 홀더(76a) 및 제 2 레일 홀더(76b)가 서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연장 내지 절곡되는 것도 가능하다.
랙 어셈블리(100)는 개방부(12a)를 향하는 제 1 부분(110a) 및 제 1 부분(110a)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부분(110b)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랙 어셈블리(100)는 식기세척기(1)의 전방을 향하는 제 1 부분(110a) 및 식기세척기(1)의 후방을 향하는 제 2 부분(110b)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롤러(170)는 랙 어셈블리(100)의 제 2 부분(110b)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롤러(170)는 랙 어셈블리(100)의 제 2 부분(110b)에 대응하는 로딩프레임(110)의 벽에 마련될 수 있다.
랙 어셈블리(100)의 인출은 제 1 레일 홀더(76a)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즉, 랙 어셈블리(100)는 제 1 레일 홀더(76a)의 간섭이 있을 때까지 터브(12)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랙 어셈블리(100)가 터브(12)로부터 인출되면, 랙 어셈블리(100)의 제 1 부분(110a)은 도 5와 같이 프리(free)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랙 어셈블리(100)가 터브(12)로부터 인출되면, 랙 어셈블리(100)의 제 1 부분(110a)은 가이드 레일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프리(free)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랙 어셈블리(100)가 터브(12)로부터 인출되었을 때, 랙 어셈블리(100)의 제 2 부분(110b)은 적어도 하나의 롤러(170)에 의해 가이드 레일에 지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수납용기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수납용기에서의 일부구성을 확대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수납용기에서의 일부구성을 분해한 사시도이다.
프레임은 롤러프레임(140)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프레임(140)은 샤프트(180)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샤프트(180)는 그 일단이 로딩프레임(110)에 지지되며, 그 타단이 롤러프레임(140)에 지지될 수 있다.
롤러프레임(140)은 로딩프레임(11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롤러프레임(140)은 로딩프레임(110)의 제 3, 4 벽(113c, 113d)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롤러프레임(140)은 로딩프레임(110)의 이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로딩프레임(11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롤러프레임(140)이 로딩프레임(110)의 측부에 배치됨에 따라, 랙어셈블리(110)의 상하방향 높이(H)를 작게 할 수 있으며 랙어셈블리(110)가 터브(12)로 인입되는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롤러프레임(140)은 지지프레임(150)과 연장프레임(160)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프레임(140)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롤러프레임(140)은 로딩프레임(110)과 배치공간(142)을 형성하도록, 로딩프레임(110)으로부터 ‘ㄷ’자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50)은 샤프트(180)의 제 2 단부(180b)가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50)은 로딩프레임(110)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50)은 로딩프레임(110)으로부터 롤러(170)의 축방향 두께보다 크도록 이격될 수 있다.
로딩프레임(110)에는 샤프트(180)의 제 1 단부(180a)가 삽입되는 제 1 삽입홀(130)을 포함하고, 지지프레임(150)에는 샤프트(180)의 제 1 단부(180a)의 반대측인 제 2 단부(180b)가 삽입되는 제 2 삽입홀(152)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180)가 롤러프레임(140)에 위치하면, 제 1, 2 단부(180a, 180b)는 각각 제 1, 2 삽입홀(130, 152)에 위치할 수 있다. 샤프트(180)는 제 1, 2 삽입홀(151, 152)으로 삽입되어, 샤프트(180)의 양단부가 각각 로딩프레임(110)과 지지프레임(150)에 지지될 수 있다.
롤러(170)를 배치공간(142)에 위치시키고, 샤프트(180)는 롤러(170)의 중공부(176)와, 로딩프레임(110)의 제 1 삽입홀(130)과, 지지프레임(150)의 제 2 삽입홀(152)을 관통시킴으로서, 샤프트(180)와 롤러(170)는 랙어셈블리(100)에 장착될 수 있다.
롤러(170)의 양측면은 도 9와 같이 각각 로딩프레임(110)의 외벽(117)과, 지지프레임(150)의 내벽(151)과 마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롤러(170)의 상부는 롤러프레임(140)의 상부와 같거나 낮고, 롤러(170)의 하부는 롤러프레임(140)의 하부와 같거나 높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롤러(170)의 상부는 지지프레임(150)의 상부와 같거나 낮고, 롤러(170)의 하부는 지지프레임(150)의 하부와 같거나 높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롤러(170)의 일측의 크기는 마주하는 지지프레임(150)의 내벽(15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롤러(170)는 그 양측면이 로딩프레임(110)과 지지프레임(150)에 의해 축방향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세척과정 또는 랙어셈블리(100)의 이동과정에서 외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지지프레임(150)은 제 2 삽입홀(152)을 덮도록 구성되는 프레임커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커버는 제 2 삽입홀(152)을 덮어서, 제 2 삽입홀(152)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롤러프레임(140)은 연장프레임(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프레임(160)은 로딩프레임(110)과 지지프레임(150)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장프레임(160)은 로딩프레임(110)으로부터 연장형성 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50)과 연장프레임(160)은 로딩프레임(110)으로부터 연장형성 될 수 있다. 로딩프레임(110)과 롤러프레임(14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프레임(160)은 지지프레임(150)이 로딩프레임(110)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장프레임(160)은 지지프레임(150)의 일측과 로딩프레임(110)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장프레임(160)은 지지프레임(150)의 양측이 각각 로딩프레임(110)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연장프레임(160)은 지지프레임(150)과 로딩프레임(110)과 함께 배치공간(142)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로딩프레임(110)과 롤러프레임(140)은 그 사이에 배치공간(142)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치공간(142)은 한 쌍의 연장프레임(160)과 지지프레임(150)과 로딩프레임(110)에 의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배치공간(142)에는 롤러(170)와 샤프트(180)가 배치될 수 있다. 배치공간(142)은 로딩프레임(110)과 롤러프레임(140)에 의해 형성되며, 그 상하가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롤러(170)와 샤프트(180)는 그 상하가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치공간(142)의 개방된 구조는 터브(12)내의 물기가 배치공간(142)에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치공간(142)의 개방된 구조는 식기세척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이 배치공간(142)에 누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배치공간(142)의 형성을 위해 연장프레임(160)은 랙어셈블리(100)의 인출 또는 인입방향으로 샤프트(180)와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장프레임(160)은 샤프트(180)와 이격되어 롤러(17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외력으로부터 샤프트(180)와 롤러(170)를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롤러(170)가 가이드레일(70)에 안착되면, 식기와 랙 어셈블리(100)의 자중에 의해 롤러(170)에 부하가 가해지게 된다. 롤러(170)에 가해지는 하중은 샤프트(180)의 양단으로 분산될 수 있다. 샤프트(180)의 제 2 단부에 걸리는 하중은 지지프레임(150)과 연장프레임(160)에 의해 분산될 수 있다.
연장프레임(160)은 로딩프레임(110)으로부터 연장되되, 샤프트(180)의 제 2 단부(180b)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연장프레임(160)은 한 쌍이 마련되므로, 한 쌍의 연장프레임(160)은 로딩프레임(110)에서 멀어질수록 사이 간격이 좁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장프레임(160)를 통해 샤프트(180)의 제 2 단부(180b)에 가해지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연장프레임(160)의 외면은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연장프레임(160)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61, 162)을 포함할 수 있다. 랙어셈블리(100)의 인출 또는 인입과정에서 롤러프레임(14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이를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자세하게는 랙어셈블리(100)가 터브(12)로부터 인출될 때는 제 1 경사면(161)에 의해 외력이 분산될 수 있고, 랙어셈블리(100)가 터브(12)로 인입될 때는 제 2 경사면(162)에 의해 외력이 분산될 수 있다.
연장프레임(160)은 가이드레일(70)이 지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리세스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170)가 가이드레일(70)과 접촉하는 과정에서, 연장프레임(160)이 가이드레일(70)에 간섭될 수 있다. 리세스부(164)는 연장프레임(160)이 가이드레일(70)에 간섭되지 않도록 가이드레일(7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연장프레임(160)의 몸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로딩프레임(110)과 롤러프레임(140)은 사출성형될 수 있다. 로딩프레임(110)과 롤러프레임(140)은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로딩프레임(110)과 롤러프레임(140)은 플라스틱재질을 통해 사출성형될 수 있어서, 금속재질에 비해 가볍고 제조비용이 저렴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금속재질의 와이어틀에 프레임과 롤러(170)를 결합시키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서,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수납용기를 금속재질 대신 플라스틱만으로 구성할 수 있어서, 상대적으로 가볍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9는 도 7의 A-A’의 단면도이다.
랙 어셈블리(100)는 샤프트(18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러(170)는 가이드 레일(7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샤프트(18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롤러(170)가 가이드레일(70)을 구름운동함으로서, 수납용기는 가이드레일(7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롤러(170)는 이후 설명하는 샤프트(180)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롤러(170)에는 샤프트(180)가 지나도록 중공부(176)가 형성될 수 있다.
롤러(170)는 구름부(172)와 플레어(174)를 포함할 수 있다. 구름부(172)는 가이드레일(70)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레일(70)은 접촉면이 볼록면으로 형성되므로, 구름부(172)는 오목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레어(174)는 구름부(172)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플레어(174)는 구름부(172)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름부(172)에서는 롤러(170)의 직경이 최소가 될 수 있다. 플레어(174)는 한 쌍이 구비되어, 구름부(172)를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롤러(170)는 안정적으로 가이드레일(70)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롤러(170)가 가이드레일(70)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샤프트(180)는 롤러(170)의 중공부(176)를 지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샤프트(180)는 롤러(170)의 회전축을 형성하며, 좌우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샤프트(180)는 프레임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샤프트(180)의 일단부만 프레임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해당 일단부에 걸리는 부하 또는 모멘트가 커지게 되어 샤프트(180)에 피로도가 누적되게 된다. 이로 인해 샤프트(180) 또는 롤러(170)에 파손이 발생하거나, 변형되어 롤러(170)의 구름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샤프트(180)의 일단부만 고정되는 경우에, 샤프트(180)에 가해지는 부하 또는 모멘트를 견디기 위해, 샤프트(180)의 직경은 크게 설계가 된다. 이러한 설계 때문에 롤러(170)는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고, 샤프트(180)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구름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샤프트(180)는 로딩프레임(110)과 롤러프레임(140)에 양단이 지지 또는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샤프트(180)는 양단이 지지됨으로서, 랙 어셈블리(100) 또는 식기에 의한 자중에 의해 롤러(170)에 가해지는 반력을 샤프트(180)의 양단으로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샤프트(180)에 가해지는 부하 또는 모멘트를 양단으로 분산시킬 수 있어서, 샤프트(180)의 직경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롤러(170)의 직경 또는 재질에 대한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게 된다. 또한 샤프트(180)의 직경이 작아짐에 따라, 롤러(170)와의 접촉면적을 줄일 수 있어서, 마찰이 감소하여 롤러(170)의 구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샤프트(180)는 로딩프레임(110)과 지지프레임(150)에 끼움결합될 수도 있으며,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샤프트(180)는 걸림부(182)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182)는 샤프트(180)상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82)는 이후 설명하는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샤프트(180)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샤프트(180)는 걸림부(1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걸림부(182a)는 로딩프레임(110)에 삽입되는 샤프트(180)의 일단에 형성되며, 제 2 걸림부(182b)는 지지프레임(150)에 삽입되는 샤프트(180)의 타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2 걸림부(182a, 182b)에 대응되도록 로딩프레임(110)은 걸림돌기(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180)를 제 1, 2 삽입홀(130, 152)에 삽입하면서, 제 1, 2 걸림부(182a, 182b) 중 어느 하나는 걸림돌기(132)에 걸리게 된다. 걸림돌기(132)는 제 1, 2 삽입홀(130, 152) 중 어느 하나의 삽입홀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돌기(132)는 제 1 삽입홀(130)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 1, 2 걸림부(182a, 182b) 중 어느 하나에 걸리도록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걸림돌기는 제 1, 2 삽입홀(130, 152)과 인접하게 한 쌍이 구비되어, 한 쌍의 걸림돌기가 각각 제 1, 2 걸림부(182a, 182b)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샤프트(180)는 프레임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로딩프레임(110)은 제 1, 2 지지면(134, 1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지지면(134)는 샤프트(180)의 상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 1 지지면(134)는 제 1 삽입홀(13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지지면(134)에는 앞서 설명한 제 1 걸림돌기(132)가 위치할 수 있다. 제 2 지지면(136)는 샤프트(18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 2 지지면(136)는 제 1 지지면(134)보다 롤러(170)와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 2 지지면(134, 136)는 샤프트(180)의 일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샤프트(180)와 접촉하는 부분이 축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롤러(17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한 모멘트를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로딩프레임(110)은 가이드면(138, 도 8 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면(138)는 샤프트(180)가 로딩프레임(11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샤프트(180)를 제 1 삽입홀(130)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면(138)는 로딩프레임(11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지지면(136)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수납용기를 옆에서 본 도면이다.
롤러프레임(140)은 로딩프레임(11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로딩프레임(110)의 제 3, 4 벽(113c, 113d)에 위치할 수 있다.
롤러(170)는 제 1 롤러(170a)와 제 2 롤러(17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롤러(170a)는 가이드레일(70)의 상면과 접할 수 있으며, 제 2 롤러(170b)는 가이드레일(70)의 하면과 접하되 제 1 롤러(170a)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랙 어셈블리(100)를 가이드레일(70)을 따라 인출하는 경우에, 랙 어셈블리(100)와 식기의 하중에 의해 가이드레일(70)에 대해 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제 1, 2 롤러(170a, 170b)를 가이드레일(7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함으로서, 발생하는 모멘트를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식기 세척기 10 : 본체
11 : 도어 12 : 터브
70 : 가이드레일 100 : 랙어셈블리
110 : 로딩프레임 120 : 로딩부
140 : 롤러프레임 142 : 배치공간
150 : 지지프레임 160 : 연장프레임
170 : 롤러 180 : 샤프트

Claims (19)

  1.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피세척물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터브; 및
    피세척물이 수납되도록 상기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납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용기는,
    피세척물이 놓여지는 로딩부를 갖는 로딩프레임;
    상기 로딩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로딩프레임과 사이에 배치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롤러프레임; 및
    상기 로딩프레임의 이동을 위해 구성되는 롤러를 상기 배치공간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제 1 단부와, 상기 제 1 단부의 반대측인 제 2 단부가 상기 로딩프레임과 상기 롤러프레임에 각각 지지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배치공간은 상하방향으로 상기 터브를 향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프레임은,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 2 단부가 지지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로딩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는 연장프레임;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프레임은,
    상기 수납용기의 인출 또는 인입방향으로 상기 샤프트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프레임은,
    상기 로딩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 2 단부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프레임은 상기 로딩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며,상기 배치공간은 상기 연장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로딩프레임에 의해 구획되는 식기세척기.
  6. 삭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그 외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용기는,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프레임은,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 1 단부가 삽입되는 제 1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 2 단부가 삽입되는 제 2 삽입홀;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제 1, 2 삽입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 1, 2 단부가 상기 로딩프레임과 상기 롤러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는 식기세척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프레임과 상기 롤러프레임은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식기세척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프레임은,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 1 단부의 상면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면;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 1 단부의 하면을 지지하며, 상기 제 1 지지면보다 상기 제 2 단부와 가깝게 배치되는 제 2 지지면;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프레임은,
    상기 샤프트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홀;
    상기 제 2 지지면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를 상기 삽입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면;을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롤러;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롤러로서, 상기 상부롤러보다 상기 로딩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는 하부롤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양측면은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상기 로딩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각각의 내면과 마주하도록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프레임은 상기 로딩프레임의 이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식기세척기.
  17.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피세척물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터브; 및
    피세척물이 수납되도록 상기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납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용기는,
    피세척물이 수납되는 로딩부를 갖는 로딩프레임;
    상기 로딩프레임을 상기 터브로부터 인출가능하도록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롤러;
    상기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로딩프레임에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제 1 단부와, 상기 제 1 단부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샤프트; 및
    상기 롤러와 샤프트가 배치되는 배치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로딩프레임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 2 단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롤러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배치공간은 적어도 상부와 하부가 각각 상기 터브를 향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18. 삭제
  19.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피세척물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터브;
    피세척물이 수납되도록 상기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납용기;를 포함하고,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로딩프레임;
    상기 로딩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로딩프레임과 사이에 상기 수납용기의 이동을 위한 롤러가 배치되는 배치공간을 형성하는 롤러프레임;
    제 1 단부와, 상기 제 1 단부의 반대측인 제 2 단부가 각각 상기 로딩프레임과 상기 롤러프레임에 각각 지지되며, 상기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프레임은,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 2 단부가 지지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로딩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되, 상기 배치공간이 상하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연장프레임;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1020180091839A 2018-08-07 2018-08-07 식기세척기 KR102572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839A KR102572080B1 (ko) 2018-08-07 2018-08-07 식기세척기
EP19847312.6A EP3809941A4 (en) 2018-08-07 2019-06-28 DISHWASHER
PCT/KR2019/007857 WO2020032391A1 (en) 2018-08-07 2019-06-28 Dish washer
US16/456,220 US11412915B2 (en) 2018-08-07 2019-06-28 Dish washer with loading fr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839A KR102572080B1 (ko) 2018-08-07 2018-08-07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578A KR20200016578A (ko) 2020-02-17
KR102572080B1 true KR102572080B1 (ko) 2023-08-30

Family

ID=69405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839A KR102572080B1 (ko) 2018-08-07 2018-08-07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12915B2 (ko)
EP (1) EP3809941A4 (ko)
KR (1) KR102572080B1 (ko)
WO (1) WO202003239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43321A7 (ko) * 1969-05-23 1971-02-12 Bosch
US20130300270A1 (en) * 2012-05-14 2013-11-14 General Electric Company Roller assembly for an appliance
US20170086646A1 (en) * 2015-09-24 2017-03-30 Lg Electronics Inc. Dish rack and dishwaher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4610A (en) 1963-03-27 1965-07-13 Whirlpool Co Releasably attachable wheel device for use with wire structures
US3672743A (en) * 1970-08-17 1972-06-27 W L Molding Co Roller and retainer for a wire basket
DE4401259A1 (de) * 1994-01-18 1995-07-20 Miele & Cie Vorrichtung zum Verstellen der Höhenlage des Geschirrkorbes einer Geschirrspülmaschine
FR2756721B1 (fr) * 1996-12-06 1999-02-26 Metafil Panier de lave-vaisselle
KR19980033531U (ko) * 1996-12-07 1998-09-05 김광호 식기세척기
KR101158584B1 (ko) * 2005-08-01 2012-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101311448B1 (ko) 2006-09-25 2013-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0879573B1 (ko) * 2007-08-10 2009-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용 랙 및 이를 구비한 컴팩트형 식기세척기
US20090151758A1 (en) * 2007-12-12 2009-06-1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Lower rack for a dishwasher and associated apparatuses
TW201010916A (en) * 2008-09-12 2010-03-16 Gudeng Prec Industral Co Ltd Wafer container with roller
US8590992B2 (en) 2009-06-22 2013-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102413327B1 (ko) * 2015-09-25 2022-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43321A7 (ko) * 1969-05-23 1971-02-12 Bosch
US20130300270A1 (en) * 2012-05-14 2013-11-14 General Electric Company Roller assembly for an appliance
US20170086646A1 (en) * 2015-09-24 2017-03-30 Lg Electronics Inc. Dish rack and dishwaher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12915B2 (en) 2022-08-16
EP3809941A1 (en) 2021-04-28
WO2020032391A1 (en) 2020-02-13
US20200046198A1 (en) 2020-02-13
EP3809941A4 (en) 2021-07-07
KR20200016578A (ko) 2020-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64282B (zh) 洗碗机
US20080110480A1 (en) Dishwasher having rack assembly with movable shelves
EP2898814B1 (en) Cutlery basket for a dishwasher
US9795273B2 (en) Dishwasher
US20200281441A1 (en) Supporting device and dish washer having the same
US20060108298A1 (en) Dishwasher rack
US20060254994A1 (en) Dish receiving member of dishwasher
KR101026578B1 (ko) 식기 세척기
US20150182104A1 (en) Rack assembly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KR20150081744A (ko) 식기세척기
US7794549B2 (en) Drip shield for a drawer-type dishwasher
CN110811468B (zh) 洗碗机
US20220142450A1 (en) Dishwasher
US11751750B2 (en) Rack assembly and dishwasher having same
KR102641374B1 (ko) 식기세척기
KR102572080B1 (ko) 식기세척기
CN217645183U (zh) 洗碗机用轨道装置
EP0372342B1 (en) Dishwashing machine having variable load possibility
KR102615042B1 (ko) 롤러유닛 및 이를 가지는 식기세척기
KR101330839B1 (ko) 식기 세척기의 랙
JP7148367B2 (ja) 食器洗浄機
CN113677249A (zh) 洗碗机
KR102676856B1 (ko) 식기세척기
KR200272336Y1 (ko) 식기세척기용 바구니
KR101186442B1 (ko) 식기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