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5042B1 - 롤러유닛 및 이를 가지는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롤러유닛 및 이를 가지는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5042B1
KR102615042B1 KR1020180143594A KR20180143594A KR102615042B1 KR 102615042 B1 KR102615042 B1 KR 102615042B1 KR 1020180143594 A KR1020180143594 A KR 1020180143594A KR 20180143594 A KR20180143594 A KR 20180143594A KR 102615042 B1 KR102615042 B1 KR 102615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alls
roller
basket
dish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8905A (ko
Inventor
김진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3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042B1/ko
Priority to PCT/KR2019/015965 priority patent/WO2020106062A1/en
Priority to EP19888038.7A priority patent/EP3849391B1/en
Priority to US16/690,007 priority patent/US11375875B2/en
Publication of KR20200058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7Arrangements for extracting racks, e.g. roller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8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sing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47B88/487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sing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with rollers, ball bearings, wheels, or the like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구름성을 개선한 롤러유닛 및 이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식기세척기는 세척조를 포함하는 캐비닛, 세척조의 내부에 마련되는 바스켓, 바스켓과 결합되고, 샤프트를 포함하는 샤프트유닛, 샤프트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복수의 볼, 및 샤프트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복수의 볼이 안착되도록 이격되는 복수의 안착부를 가지는 롤러를 포함하고, 복수의 안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복수의 볼 중 두 개 이상의 볼을 수용한다.

Description

롤러유닛 및 이를 가지는 식기세척기{ROLLER UNIT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구름성을 개선한 롤러유닛 및 이를 가지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식기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장치로, 통상 예비 세척, 본 세척, 헹굼, 건조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예비 세척 단계에서는 세제 투입 없이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의 찌꺼기를 제거하고, 본 세척 과정에서는 세척수를 분사함과 동시에 세제공급장치에 의해 세제가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식기의 세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헹굼 단계에는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제를 씻어내고, 건조 단계에서는 식기에 남아있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조에는 식기를 수용하는 바스켓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식기의 수납이나 인출을 편리하게 수행하도록, 바스켓은 세척조의 전면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바스켓의 양 측에는 롤러유닛이 설치되어 바스켓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롤러유닛이 설치된 바스켓은 롤러 등을 사용하여 레일을 따라 구름 운동하며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롤러만을 사용하여 바스켓을 이동하는 것은 마찰이 심하고,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롤러에 별도의 볼베어링을 추가 사용하여 바스켓을 가이드할 수 있다. 다만, 별도의 볼베어링을 사용한 롤러는 볼베어링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의 내구성이 취약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롤러의 구름성이 향상되도록 개선된 복수의 볼 및 샤프트를 포함하는 롤러유닛 및 이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롤러가 리테이너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안착부를 포함하도록 개선된 롤러유닛 및 이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롤러, 복수의 볼, 및 샤프트 상호 간의 결합을 견고히 하도록 개선된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롤러유닛 및 이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조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마련되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과 결합되고, 샤프트를 포함하는 샤프트유닛,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복수의 볼, 및 상기 샤프트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볼이 안착되도록 이격되는 복수의 안착부를 가지는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안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의 볼 중 두 개 이상의 볼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복수의 볼이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제1샤프트, 및 상기 복수의 볼이 상기 복수의 안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샤프트로부터 외측으로 단차지는 제2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샤프트는 상기 복수의 볼이 상기 제1샤프트에 점 접촉하며 회전하도록 원통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볼이 접촉하는 상기 제1샤프트의 외주면은 직선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롤러는 상기 세척조의 바닥판의 양 측부를 따라 구르도록 마련되는 휠부, 및 상기 휠부가 상기 양 측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휠부로부터 외측으로 단차지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안착부는 상기 휠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함몰되고 상기 복수의 볼이 상기 복수의 안착부에 구속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걸림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홈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롤러는 상기 롤러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휠부로부터 절곡되는 바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복수의 볼이 상기 바닥부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복수의 안착부에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배치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치홀은 상기 복수의 안착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유닛은 상기 바스켓과 결합되는 샤프트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복수의 볼 및 상기 롤러가 상기 샤프트 주위로 회전하도록 상기 샤프트바디로부터 돌출되고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유닛은 상기 바스켓을 구성하는 수평으로 배치된 복수의 수평와이어 중 어느 하나와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바스켓결합부, 상기 샤프트유닛이 상기 바스켓결합부와 결합된 상기 수평와이어 주위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수평 와이어 중 다른 하나와 간섭되는 회전방지부, 및 상기 샤프트유닛이 상기 복수의 수평와이어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바스켓을 구성하는 수직으로 배치된 복수의 수직와이어 중 어느 하나와 간섭되는 이동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와 상기 샤프트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결합홀을 가지는 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보스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삽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스는 상기 결합홀에 삽입된 상기 헤드부와 걸리도록 마련되는 헤드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기 베이스부와 걸리도록 마련되는 베이스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스의 외면과 상기 삽입홀의 내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샤프트의 외면과 상기 복수의 안착부의 내면과 상기 복수의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볼 사이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식기세척기는 세척조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마련되는 바스켓, 및 상기 바스켓이 상기 세척조로부터 인출되도록 마련되는 롤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유닛은 샤프트를 포함하는 샤프트유닛,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복수의 볼, 및 상기 샤프트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휠부 및 상기 복수의 볼이 구속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방된 일단부를 가지고 상기 휠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함몰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볼이 접촉하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은 직선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이격되어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안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의 볼 중 두 개 이상의 볼을 수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롤러유닛은 복수의 볼, 상기 복수의 볼이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원통 형상을 가지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샤프트유닛, 및 상기 샤프트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볼이 안착되도록 이격되는 복수의 안착부를 포함하는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볼은 두 개 이상씩 상기 복수의 안착부에 각각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롤러와 상기 샤프트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는 상기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결합홀을 가지는 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보스 및 상기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롤러의 구름성을 개선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롤러가 리테이너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안착부를 포함함으로써, 롤러유닛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롤러, 복수의 볼, 및 샤프트 상호 간의 결합을 견고히 하도록 개선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복수의 볼이 롤러 및 샤프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바스켓에 결합된 롤러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바닥판의 양 측부를 따라 구르는 롤러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롤러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롤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복수의 볼이 롤러의 안착부에 수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롤러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도 8에 도시된 롤러유닛의 단면을 일부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전방", "후방", "상부" 및 "하부"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유닛은 식기세척기의 바스켓 또는 오븐의 바스켓 등의 가전 제품과, 가구의 서랍 등 구름 운동을 하는 모든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유닛이 식기세척기에 적용된 일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특히, 식기세척기의 바스켓의 경우 세척조의 내부에 잔존하는 물이 외부로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스켓의 전방이 들어 올려져 소정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별도의 볼베어링을 롤러에 추가하여 롤러의 마찰력이 작아 구름성이 지나치게 좋은 경우, 바스켓이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경사에 의해 바스켓이 다시 제자리로 인입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바스켓으로부터 식기 등을 수납하거나 출납할 때 사용의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식기세척기의 바스켓은 바스켓이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마찰력을 가지고 구름 운동을 할 수 있는 롤러를 사용해야 하는 필요성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 및 캐비닛(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12)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박스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캐비닛(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기둥이나 다면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육면체 이외의 다면체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캐비닛(10)은 외형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세척조(12)는 대략 박스 형상으로 마련되고, 식기를 출납할 수 있도록 개방된 전면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조(12)의 개방된 전면은 도어(1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11)는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세척조(12)는 캐비닛(10)의 외형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세척조(12)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세척조(1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세척조(12)는 원기둥이나 다면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육면체 이외의 다면체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세척조(12)는 반드시 캐비닛(10)의 외형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세척조(12)는 세척조(12)의 상면을 구성하는 상판(12a), 세척조(12)의 측면을 구성하는 양 측판(12b), 세척조의 후면을 구성하는 후면판(12c), 및 세척조(12)의 밑면을 구성하는 바닥판(12d)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11)는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하며 세척조(12)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11)의 일 단에는 도어(11)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 이동 시키는 힌지(미 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11)는 세척조(12)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고, 사용자는 도어(11)를 개방하여 식기를 세척조(12)의 내부에 수납할 수 있다. 도어(11)에는 사용자가 도어(11)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손잡이(미 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조(12)의 내부에 마련되고 식기를 수납하는 바스켓(60) 및 바스켓(60)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레일(13)을 포함할 수 있다. 바스켓(60)은 세척수가 고이지 않고 통과될 수 있도록 와이어(61, 62, 63, 도 3 참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스켓(60)은 상부바스켓(60a)과 하부바스켓(6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바스켓(60a)은 레일(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하부바스켓(60b)은 바닥판(12d)의 양 측부(12e)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부바스켓(60a)과 하부바스켓(60b)은 세척조(12)의 내부에 레일(13) 및 바닥판(12d)의 양 측부(12e)를 통해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수를 포집하고 저장하는 섬프(20), 및 세척수를 분사장치(40)로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공급관(30)을 포함할 수 있다. 섬프(20)에는 저장된 물을 분사장치(40)로 펌핑하는 세척펌프(21)가 마련될 수 있다.
분사장치(40)는 상부바스켓(60a)의 상 측에 마련되는 제1분사장치(41), 상부바스켓(60a)과 하부바스켓(60b)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2분사장치(42), 및 하부바스켓(60b)의 아래에 마련되는 제3분사장치(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분사장치(41)는 제1회전축(41a)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2분사장치(42)는 제2회전축(42a)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분사장치(41)는 상부바스켓(60a)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고, 제2분사장치(42)는 상부바스켓(60a) 및 하부바스켓(60b)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제3분사장치(43)는 제1분사장치(41)와 제2분사장치(42)와는 달리 세척조(12)의 일 측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분사장치(43)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제3분사장치(43)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직접 식기를 향하지 않을 수 있다.
제3분사장치(43)는 세척수가 분사되는 노즐(44)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44)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노즐(44)은 대략 세척조(12)의 일 측면에서 반대 측면까지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되고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제3분사장치(43)의 노즐(44)에서 대략 수평 방향으로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조(12)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환장치(5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하부바스켓(60b)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나아갈 수 있다.
전환장치(50)는 홀더(51)에 의해 가이드레일(52)에 구속될 수 있고, 가이드레일(5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공급관(30)은 세척펌프(21)에 의해서 펌핑된 세척수를 제1분사장치(41)와 제2분사장치(42)로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제1공급관(31), 및 제3분사장치(43)로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제2공급관(32)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조(12)의 하부에는 세척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15), 및 세척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펌프(22)가 마련될 수 있다.
바스켓(60)은 세척조(12)의 전면으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식기세척기(1)는 바스켓(60)이 세척조(12)의 전방을 향해 인출되도록 가이드하는 휠(14) 또는 롤러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휠(14) 또는 롤러유닛(100)을 따라 인출된 바스켓(60)에 식기를 수납하고, 다시 세척조(12)의 내측으로 바스켓(60)을 밀어 넣어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세척이 완료된 후 바스켓(60)을 세척조(12)의 전면으로 인출하여 세척된 식기를 출납할 수 있다.
바스켓(60)이 세척조(12)에 지지될 수 있도록, 휠(14) 또는 롤러유닛(100)은 세척조(12)와 바스켓(6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휠(14) 또는 롤러유닛(100)은 바스켓(60)의 양 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바스켓(60a)은 휠(14)을 포함할 수 있고, 하부바스켓(60b)은 롤러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부바스켓(60a)도 휠(14)이 아닌 롤러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바스켓에 결합된 롤러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바닥판의 양 측부를 따라 구르는 롤러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유닛(100)은 바스켓(60, 도 2 참조)과 결합되는 샤프트유닛(120), 및 바스켓(60)이 세척조(12)로부터 인출되도록 마련되는 샤프트(121)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롤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유닛(120)은 샤프트바디(120a), 및 바스켓(60)을 구성하는 수평으로 배치된 복수의 수평와이어(61, 62) 중 어느 하나(61)와 결합하도록 샤프트바디(120a)에 마련되는 바스켓결합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바스켓결합부(124)는 샤프트바디(120a)에 대칭되도록 두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스켓결합부(124)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바스켓결합부(124)는 일 측이 개방된 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스켓(60)을 구성하는 수평으로 배치된 복수의 수평와이어(61, 62) 중 어느 하나(61)는 탄성을 가지는 바스켓결합부(124)의 개방된 일 측을 통해 바스켓결합부(124)와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바스켓결합부(124)는 샤프트유닛(120)을 바스켓(60)에 결합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유닛(120)은 샤프트유닛(120)이 바스켓결합부(124)와 결합된 수평와이어(61) 주위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복수의 수평 와이어(61, 62) 중 다른 하나(62)와 간섭되는 회전방지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방지부(125)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회전방지부(125)는 바스켓결합부(124)의 인근에 마련될 수 있다. 회전방지부(125)는 바스켓결합부(124)의 상 측에 마련될 수 있다.
회전방지부(125)는 바스켓결합부(124)와 결합된 수평와이어(61) 주위로 샤프트유닛(120)이 양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방지부(125)는 샤프트유닛(120)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평와이어(62)의 일 측과 간섭하도록 하나가 배치될 수 있고, 샤프트유닛(120)이 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평와이어(62)의 타 측과 간섭하도록 두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회전방지부(125)는 바스켓결합부(124)와 결합된 수평와이어(61) 주위로 샤프트유닛(12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상 및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유닛(120)은 샤프트유닛(120)이 복수의 수평와이어(61, 62)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바스켓(60)을 구성하는 수직으로 배치된 복수의 수직와이어(63) 중 어느 하나와 간섭되는 이동방지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와이어(63)는 이동방지부(126)의 홈에 삽입됨으로써, 샤프트유닛(120)의 전 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이동방지부(126)는 샤프트바디(120a)의 중심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동방지부(126)는 샤프트유닛(120)이 복수의 수평와이어(61, 62)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상 및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130)는 세척조(12)의 바닥판(12d)의 양 측부(12e)를 따라 구르도록 마련되는 휠부(132), 및 휠부(132)가 양 측부(12e)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휠부(132)로부터 외측으로 단차지는 걸림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휠부(132)는 양 측부(12e)의 상면을 따라 구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휠부(132)가 바닥판(12d)의 양 측부(12e)를 따라 구름으로써, 휠부(132)를 위한 별도의 레일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휠부(132) 및 걸림부(138)는 원통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138)의 단면적의 지름은 휠부(132)의 단면적의 지름보다 클 수 있다. 걸림부(138)는 휠부(132)로부터 외측으로 단차질 수 있다. 걸림부(138)는 휠부(132)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부(138)는 바닥판(12d)의 양 측부(12e)의 측면과 간섭함으로써, 휠부(132)가 양 측부(12e)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롤러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롤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복수의 볼이 롤러의 안착부에 수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롤러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유닛(100, 도 4 참조)은 롤러유닛(100)이 소정의 마찰력을 가지고 구름 운동하도록 마련되는 볼(110)을 포함할 수 있다. 볼(110)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볼(110)의 개수는 여덟 개로 구성되고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롤러유닛(100)이 소정의 마찰력을 가지고 구름 운동하는 한도 내에서, 볼(110)의 개수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롤러유닛(100)은 볼(110)이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샤프트(121)를 포함하는 샤프트유닛(120), 및 샤프트(12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롤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130)는 볼(110)이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안착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135)는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샤프트(121)는 복수의 볼(110)이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제1샤프트(121a), 및 복수의 볼(110)이 복수의 안착부(135)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샤프트(121a)로부터 외측으로 단차지는 제2샤프트(1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샤프트(121a)는 복수의 볼(110)이 제1샤프트(121a)에 점 접촉하며 회전하도록 원통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볼(110)이 접촉하는 제1샤프트(121a)의 외주면은 직선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121)는 원통 형상의 제1샤프트(121a)를 포함함으로써, 볼(110)이 구를 수 있는 별도의 레이스웨이를 위한 홈을 생략할 수 있어, 샤프트(121)를 금형으로부터 취출하기 용이할 수 있다.
샤프트(121)는 복수의 볼(110) 및 롤러(130)가 샤프트(121) 주위로 회전하도록 샤프트바디(120a)로부터 돌출되고 고정될 수 있다. 샤프트(121)는 샤프트바디(120a)와 일체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롤러유닛(100)은 샤프트(121) 주위를 롤러(130) 및 복수의 볼(110)이 회전하는 반면, 샤프트(121)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롤러(130)는 샤프트(121)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샤프트(121)와 결합할 수 있다. 롤러(130)는 샤프트(121)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수용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31)는 샤프트(121) 및 복수의 볼(110)을 수용할 수 있다. 수용부(131)는 바닥부(133) 및 바닥부(133)로부터 절곡되는 휠부(132)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수용부(131)는 휠부(132) 및 바닥부(133)에 의해 일면이 개구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수용부(131)에 수용되는 볼(110)은 샤프트(121)와 롤러(1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볼(110)은 제1샤프트(121a)의 외면 및 휠부(132)의 내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안착부(13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복수의 볼(110) 중 두 개 이상의 볼을 수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하나의 안착부(135)에 두 개의 볼(110)이 수용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안착부(135)에는 두 개 이상의 볼(110)이 수용될 수 있다.
복수의 안착부(135)는 휠부(132)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함몰되고 복수의 볼(110)이 복수의 안착부(135)에 구속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걸림부(138)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홈을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안착부(135)는 언더컷 부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롤러(130)를 금형으로부터 취출하기 용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볼(110)은 서로 이격되지 않고, 모두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수용부(131)에 수용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 복수의 볼(110) 상호 간의 마찰이 롤러(130)의 구름성에 지나치게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복수의 볼(110)이 이격되는 경우에 비해 더 많은 볼(110)의 개수를 필요로 하므로, 롤러유닛(100)의 제조 비용이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롤러유닛(100)은 복수의 볼(110)이 수용부(131) 내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리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별도의 리테이너를 추가하는 경우, 롤러유닛(100)의 제조 비용이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롤러유닛(100)은 롤러(130)에 별도의 리테이너를 추가하지 않고, 롤러(130)의 내면에 홈으로 구성된 안착부(135)가 리테이너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안착부(135)에 하나의 볼(110)만이 안착되는 경우와 달리, 본 발명의 안착부(135) 하나에는 두 개 이상의 볼(110)이 안착됨으로써, 롤러(130)의 구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마찰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착부(135)의 개수는 네 개로 구성되고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롤러(130)는 롤러(130)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휠부(132)로부터 절곡되는 바닥부(133)를 포함할 수 있고, 바닥부(133)는 복수의 볼(110)이 바닥부(133)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고 복수의 안착부(135)에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배치홀(137)을 포함할 수 있다.
배치홀(137)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배치홀(137)은 여덟 개로 구성되고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치홀(137)은 복수의 볼(110)과 대응되는 개수 내에서, 다양한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배치홀(137)은 복수의 안착부(135)와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안착부(135)는 두 개의 배치홀(137)과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볼(110)은 바닥부(133)로부터 이격되어 안착부(135)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배치홀(137)은 롤러유닛(100)을 조립하기 위해 롤러유닛(100)이 별도의 조립장치에 안착되는 경우, 볼(110)을 바닥부(133)로부터 이격하도록 마련되는 별도의 상승부재(미 도시)가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롤러(130)는 샤프트(121)가 롤러(1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보스(136)를 포함할 수 있다. 보스(136)는 바닥부(133)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보스(136)는 바닥부(133)로부터 샤프트(121)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보스(136)는 바닥부(133)로부터 롤러(130)가 샤프트(121)와 결합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샤프트(121)는 보스(136)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삽입홀(123)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홀(123)은 보스(136)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보스(136)는 원통형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스(136)의 일 단부는 서로 이격되어 네 개의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스(136)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보스(136)를 샤프트(121)의 삽입홀(123)에 삽입하기 용이할 수 있다.
롤러(130)는 롤러유닛(100)이 조립을 위해 별도의 조립장치(미 도시)에 안착되는 경우, 롤러유닛(100)을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139)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39)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139)는 걸림부(138)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유닛(100)은 롤러(130)와 샤프트(121)를 결합하는 결합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유닛(100)은 금형으로부터의 취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샤프트(121)의 외주면의 레이스웨이 및 안착부(135)의 언더컷부분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샤프트(121), 롤러(130), 및 복수의 볼(110) 사이의 강제 압입을 통한 결합이 어려울 수 잇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롤러유닛(100)은 별도의 결합부재(140)를 통해 롤러(130)와 샤프트(121)를 결합할 수 있다.
결합부재(140)는 베이스부(141), 베이스부(141)로부터 돌출되는 바디부(142), 및 바디부(142)로부터 연장되는 헤드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41)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바디부(142)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헤드부(143)는 바디부(142)의 단면적의 지름보다 클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헤드부(143)는 바디부(14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스(136)는 결합부재(140)가 삽입되는 결합홀(134)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121)는 보스(136)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삽입홀(123)을 포함할 수 있다.
보스(136)는 결합홀(134)에 삽입된 헤드부(143)와 걸리도록 마련되는 헤드걸림턱(136a)을 포함할 수 있고, 샤프트(121)는 삽입홀(123)에 삽입된 베이스부(141)와 걸리도록 마련되는 베이스걸림턱(127)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걸림턱(136a)은 결합홀(134)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질 수 있고, 베이스걸림턱(127)은 삽입홀(123)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걸림턱(127)은 삽입홀(123)로부터 외측으로 단차질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걸림턱(127)과 베이스부(141)가 걸리고, 헤드걸림턱(136a)과 헤드부(143)가 걸림으로써 롤러(130)가 샤프트(1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롤러유닛(100)이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롤러(130)의 수용부(131)에 복수의 볼(110)을 수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볼(110)을 수용하고 있는 롤러(130)를 별도의 조립장치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롤러(130)의 가이드부(139)는 롤러(130)를 손쉽게 조립장치로 안내할 수 있다.
복수의 볼(110)을 수용하고 있는 롤러(130)가 조립장치에 수용되면, 별도의 상승부재가 롤러(130)의 배치홀(137)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수용부(131)에 수용되고 있는 복수의 볼(110)은 상승부재에 의해 안착부(135)에 대응되는 높이로 위치될 수 있고, 조립장치의 공압 또는 자력 등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안착부(135)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샤프트(121)를 복수의 볼(110)의 위치가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롤러(130)를 향해 보스(136)가 삽입홀(123)에 삽입되도록 끼워 넣고 결합부재(140)를 샤프트(121)의 삽입홀(123) 및 보스(136)의 결합홀(134)에 삽입하여 롤러(130)와 샤프트(121)를 결합하면, 롤러유닛(100)의 조립이 완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롤러유닛(100)은 조립장치에 의해 손쉽게 조립될 수 있어 조립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고, 롤러유닛(100)의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도 8에 도시된 롤러유닛의 단면을 일부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136)의 외면과 삽입홀(123)의 내면 사이의 간격(G)은 제1샤프트(121a)의 외면과 복수의 안착부(135)의 내면과 복수의 안착부(135)에 안착된 복수의 볼(100) 사이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즉, 보스(136)의 외면과 삽입홀(123)의 내면 사이의 간격(G)은 제1샤프트(121a)의 외면과 안착부(135)의 내면 사이의 간격(S)에서 볼(110)의 지름(D)을 뺀 것보다 클 수 있다.
안착부(135)의 내부에 수용된 볼(110)은 구름 운동 가능하도록 롤러(130) 또는 샤프트(121)와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볼(110)과 롤러(130), 및 샤프트(121)의 이격된 간격 때문에, 롤러유닛(100)이 외력에 의해 비틀리는 경우, 복수의 볼(110)이 안착부(135)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 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롤러(130)는 삽입홀(123)에 삽입되는 보스(136)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유닛(100)이 외력에 의해 비틀릴 때, 보스(136)가 삽입홀(123)과 간섭되어 걸림으로써, 복수의 볼(110)이 안착부(135)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특정 실시 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식기세척기 10: 캐비닛
11: 도어 12: 세척조
12d: 바닥판 12e: 측부
60: 바스켓 60b: 하부바스켓
61, 62: 수평와이어 63: 수직와이어
100: 롤러유닛 110: 볼
120: 샤프트유닛 120a: 샤프트바디
121: 샤프트 121a: 제1샤프트
121b: 제2샤프트 123: 삽입홀
124: 바스켓결합부 125: 회전방지부
126: 이동방지부 127: 베이스걸림턱
130: 롤러 131: 수용부
132: 휠부 133: 바닥부
134: 결합홀 135: 안착부
136: 보스 136a: 헤드걸림턱
137: 배치홀 138: 걸림부
139: 가이드부 140: 결합부재
141: 베이스부 142: 바디부
143: 헤드부
G: 보스의 외면과 삽입홀의 내면 사이의 간격
S: 제1샤프트의 외면과 복수의 안착부의 내면 사이의 간격
D: 볼의 지름

Claims (20)

  1. 세척조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마련되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과 결합되고, 샤프트를 포함하는 샤프트유닛;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복수의 볼; 및
    상기 샤프트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볼이 안착되도록 이격되는 복수의 안착부를 가지는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안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의 볼 중 두 개 이상의 볼을 수용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세척조의 바닥판의 양 측부를 따라 구르도록 마련되는 휠부, 및 상기 휠부가 상기 양 측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휠부로부터 외측으로 단차지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안착부는 상기 휠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함몰되고 상기 복수의 볼이 상기 복수의 안착부에 구속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걸림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홈을 구성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복수의 볼이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제1샤프트, 및 상기 복수의 볼이 상기 복수의 안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샤프트로부터 외측으로 단차지는 제2샤프트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샤프트는 상기 복수의 볼이 상기 제1샤프트에 점 접촉하며 회전하도록 원통 형상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이 접촉하는 상기 제1샤프트의 외주면은 직선을 이루는 식기세척기.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롤러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휠부로부터 절곡되는 바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복수의 볼이 상기 바닥부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복수의 안착부에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배치홀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홀은 상기 복수의 안착부와 연결되는 식기세척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유닛은 상기 바스켓과 결합되는 샤프트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복수의 볼 및 상기 롤러가 상기 샤프트 주위로 회전하도록 상기 샤프트바디로부터 돌출되고 고정되는 식기세척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유닛은,
    상기 바스켓을 구성하는 수평으로 배치된 복수의 수평와이어 중 어느 하나와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바스켓결합부,
    상기 샤프트유닛이 상기 바스켓결합부와 결합된 상기 수평와이어 주위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수평 와이어 중 다른 하나와 간섭되는 회전방지부, 및
    상기 샤프트유닛이 상기 복수의 수평와이어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바스켓을 구성하는 수직으로 배치된 복수의 수직와이어 중 어느 하나와 간섭되는 이동방지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와 상기 샤프트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결합부재가 삽입되는 결합홀을 가지는 보스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보스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삽입홀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는 상기 결합홀에 삽입된 상기 헤드부와 걸리도록 마련되는 헤드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기 베이스부와 걸리도록 마련되는 베이스걸림턱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의 외면과 상기 삽입홀의 내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샤프트의 외면과 상기 복수의 안착부의 내면과 상기 복수의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볼 사이의 간격보다 큰 식기세척기.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세척조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마련되는 바스켓; 및
    상기 바스켓이 상기 세척조로부터 인출되도록 마련되는 롤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유닛은,
    샤프트를 포함하는 샤프트유닛,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복수의 볼, 및
    상기 샤프트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휠부 및 상기 복수의 볼이 구속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방된 일단부를 가지고 상기 휠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함몰되는 복수의 안착부를 포함하는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세척조의 바닥판의 양 측부를 따라 구르도록 마련되는 휠부, 및 상기 휠부가 상기 양 측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휠부로부터 외측으로 단차지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안착부는 상기 복수의 볼이 상기 복수의 안착부에 구속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걸림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홈을 구성하고,
    상기 복수의 볼이 접촉하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은 직선을 이루는 식기세척기.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이격되어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안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의 볼 중 두 개 이상의 볼을 수용하는 식기세척기.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80143594A 2018-11-20 2018-11-20 롤러유닛 및 이를 가지는 식기세척기 KR102615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594A KR102615042B1 (ko) 2018-11-20 2018-11-20 롤러유닛 및 이를 가지는 식기세척기
PCT/KR2019/015965 WO2020106062A1 (en) 2018-11-20 2019-11-20 Roller device and dishwasher including the same
EP19888038.7A EP3849391B1 (en) 2018-11-20 2019-11-20 Roller device and dishwasher including the same
US16/690,007 US11375875B2 (en) 2018-11-20 2019-11-20 Roller device and dishwashe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594A KR102615042B1 (ko) 2018-11-20 2018-11-20 롤러유닛 및 이를 가지는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905A KR20200058905A (ko) 2020-05-28
KR102615042B1 true KR102615042B1 (ko) 2023-12-19

Family

ID=70728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594A KR102615042B1 (ko) 2018-11-20 2018-11-20 롤러유닛 및 이를 가지는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75875B2 (ko)
EP (1) EP3849391B1 (ko)
KR (1) KR102615042B1 (ko)
WO (1) WO20201060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2147B2 (en) * 2020-12-01 2023-08-0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ack mounting features for a dishwasher appliance
JP7140345B1 (ja) 2021-02-05 2022-09-21 早川ゴム株式会社 ボーラス形成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ボーラス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4957A1 (de) * 2009-04-27 2010-11-0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m geschirrkorb und geschirrkorb
US20180192852A1 (en) * 2017-01-11 2018-07-12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guide rail assembly
US20180256006A1 (en) * 2016-08-04 2018-09-13 Whirlpool Corporation Rack assembly for a dishwash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33363A (en) * 1967-01-12 1969-03-18 Whirlpool Co Dish holding rack
US3761153A (en) * 1971-06-17 1973-09-25 Gen Electric Dish-washing machine rack adjustment assembly
US5345959A (en) * 1993-07-14 1994-09-13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Rack support roller for dish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assembly therefor
US5730301A (en) 1995-03-17 1998-03-24 Maytag Corporation Wheel moun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ishwasher rack
ITBS20010097A1 (it) 2001-11-30 2003-05-30 S Di Albiero Lara & C Snc Ab Cuscinetto a sfere in materiale plastico o simile
KR20070039676A (ko) 2005-10-10 2007-04-13 (주)삼본정공 볼 이탈방지형 베어링 조립체
KR100772234B1 (ko) * 2006-09-27 2007-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DE102010041671A1 (de) * 2010-09-29 2012-03-2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insbesondere Haushaltsgeschirrspülmaschine
US9462926B2 (en) 2011-11-23 2016-10-11 Whirlpool Corporation System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a user interface and a controller of a dishwasher
KR20150081744A (ko) * 2014-01-06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1838029B1 (ko) 2016-12-22 2018-03-13 (주)청호시스템 수납장치용 롤러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4957A1 (de) * 2009-04-27 2010-11-0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m geschirrkorb und geschirrkorb
US20180256006A1 (en) * 2016-08-04 2018-09-13 Whirlpool Corporation Rack assembly for a dishwasher
US20180192852A1 (en) * 2017-01-11 2018-07-12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guide rail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54976A1 (en) 2020-05-21
EP3849391B1 (en) 2022-05-18
KR20200058905A (ko) 2020-05-28
WO2020106062A1 (en) 2020-05-28
EP3849391A1 (en) 2021-07-21
EP3849391A4 (en) 2021-11-17
US11375875B2 (en)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2425A (ko) 식기 세척기
US20040163687A1 (en) Dishwasher
KR102615042B1 (ko) 롤러유닛 및 이를 가지는 식기세척기
US10226160B2 (en) Dishwasher
US20080110480A1 (en) Dishwasher having rack assembly with movable shelves
KR20150081744A (ko) 식기세척기
US20150208899A1 (en) Cutlery basket and dish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20090025076A (ko) 식기 세척기의 랙 장치
US10398284B2 (en) Dishwasher guide rail assembly
US9706896B2 (en) Dishwasher
CN110811468B (zh) 洗碗机
KR102439517B1 (ko) 식기세척기
KR20200016773A (ko) 식기세척기
KR20210136745A (ko) 식기세척기
KR20200131464A (ko) 식기세척기
KR101210124B1 (ko) 식기 세척기의 랙구조
KR20220028958A (ko) 랙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EP4056867A1 (en) Ball bearing roller assembly
KR102572080B1 (ko) 식기세척기
JP3546809B2 (ja) 食器洗浄機
KR101193262B1 (ko) 식기 세척기
KR101257522B1 (ko) 식기 세척기
KR101241873B1 (ko) 식기 세척기
KR20060010363A (ko) 회전랙 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의 구동 방법
KR101257507B1 (ko) 식기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