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262B1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262B1
KR101193262B1 KR1020060019068A KR20060019068A KR101193262B1 KR 101193262 B1 KR101193262 B1 KR 101193262B1 KR 1020060019068 A KR1020060019068 A KR 1020060019068A KR 20060019068 A KR20060019068 A KR 20060019068A KR 101193262 B1 KR101193262 B1 KR 101193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coupled
bracke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9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9281A (ko
Inventor
강명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9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262B1/ko
Publication of KR20070089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9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45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ultrasonic transducers, e.g. piezoelectr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며, 개폐된 도어의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내부에 세척조가 형성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전방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도어; 상기 터브의 측면에 장착되며, 힌지축이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 힌지; 상기 브라켓 및 도어 힌지에 결합되는 힌지 롤러; 및 일측이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힌지 롤러에 결합되는 탄성 부재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게 되어, 비용이 절감되고, 제작 공정이 단순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단으로 도어를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으며, 개방 및 폐쇄 또는 그 과정에서 도어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브라켓, 도어 힌지, 힌지 롤러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 wash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개폐 구조를 보여주는 식기 세척기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도어 힌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따른 힌지 롤러의 사시도.
도 6은 도어가 닫힌 상태의 도어 개폐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어가 열린 상태의 도어 개폐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식기 세척기 110 : 터브
120 : 도어 라이너 150 : 브라켓
160 : 도어 힌지 170 : 힌지 롤러
180 : 탄성 부재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며, 개폐된 도어의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터브 내부에 식기가 수납되는 식기 랙과, 상기 식기 랙에 수납된 식기에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 노즐과, 상기 분사 노즐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 및 세척 펌프 및 세척 모터로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일반적인 식기 세척기는 상기 세척 펌프가 구동하여 상기 섬프 내에 저장된 세척수가 상기 분사노즐로 분사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는 고압으로 분출되어 상기 식기랙에 수납된 식기의 표면에 부딪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식기의 표면에 부딪히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하여 식기 표면에 묻어 있는 오물이 떨어져 나가게 된다.
또한, 식기 세척 과정은 식기에 묻어 있는 오물을 씻어 내는 세척 과정과, 세척 과정이 종료된 다음에 식기를 헹구는 헴굼 과정 및 헹굼이 끝난 상태의 식기 표면에 묻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 과정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를 도어 개폐 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1)는 내부에 세척조가 구비되는 터브(10)와, 상기 터브(10)의 전면부를 개폐하는 도어(20)와, 상기 도어(20)의 하단부에 부착되어 도어(20)의 회전 중심이 되는 도어 힌지(50)와, 상기 터브(10)의 전면 테두리에 부착되어 상기 터브(1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프레임(30)과, 일측 단부가 상기 프레임(30)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 가 상기 도어 힌지(50)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20)의 개구시 위치를 고정하는 스프링(62) 및 상기 스프링(62)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64)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60)와, 상기 프레임(3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측면에 상기 도어 힌지(5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4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64)의 단부에는 지지 롤러(42)가 부착되어 상기 스프링(62)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식기 세척기(1)의 도어 개폐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상기 도어(20)를 열기 위하여 앞으로 잡아 당기면 상기 도어 힌지(50)는 힌지 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스프링(62)은 신장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도어(20)를 닫기 위하여 위로 들어올리면서 밀면 상기 도어 힌지(5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스프링(62) 또한 원위치로 수축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식기 세척기에 의하면, 터브 측면에 스프링과 연결 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터브 측면의 구조가 복잡해지게 되고, 상기 스프링 및 연결 부재가 구비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요구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과 연결 부재의 경우 상기 스프링의 탄성계수나 연결부재의 길이 등에 있어서 부품 간의 편차가 다소 생길수 있으며, 이러한 부품 편차에 의해서 당김력이 다소 강해질 경우 상기 도어를 열었음에도 불구하고 강한 당김력에 의해서 도어가 완전하게 개방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당김력이 다소 약해질 경우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그 위치가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여, 비용이 절감되고, 제작 공정이 단순화되도록 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그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 구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내부에 세척조가 형성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전방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도어; 상기 터브의 측면에 장착되며, 힌지축이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 힌지; 상기 브라켓 및 도어 힌지에 결합되는 힌지 롤러; 및 일측이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힌지 롤러에 결합되는 탄성 부재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게 되어, 비용이 절감되고, 제작 공정이 단순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단으로 도어를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으며, 개방 및 폐쇄 또는 그 과정에서 도어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 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의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100)는 내부에 세척조가 형성되는 터브(110)와, 상기 터브(110)의 전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며, 도어 라이너(120)와 도어 커버(미도시)로 구성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하측에 결합되어 도어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 힌지(160)와, 상기 터브(110)의 전면 테두리에 장착되어 상기 터브(110)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며,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프레임(140)과, 상기 프레임(140)의 하방에 장착되고 측면에 상기 도어 힌지(16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150)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150)과 도어 힌지(160)에 동시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 힌지(160)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힌지 롤러(170)와, 일측이 힌지 롤러(170)에 결합되고, 타측이 힌지 축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시 위치를 고정하는 탄성 부재(180)가 더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식기 세척기(100)의 도어 개폐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열기 위하여 상기 도어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도어 힌지(160)는 힌지 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도어 힌지(16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도면 상에 서 상기 도어 힌지(160)의 우측 단부가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힌지(160)의 우측 단부가 상승하면서 상기 힌지 롤러(170)는 상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 롤러(170)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탄성 부재(180)가 인장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부재(180)가 인장됨에 따라 발생되는 탄성력과 상기 도어의 하중이 대략 동일하게 되는 지점에서 상기 도어가 멈추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닫기 위하여 위로 들어올리면서 밀면 상기 도어 힌지(16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 롤러(170)는 하강하게 되고, 상기 탄성 부재(180) 또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1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40)의 하방에 장착되며, 상기 도어 힌지(16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150)은 얇은 판 형상의 부재이며,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금속 소재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브라켓(150)은 상기 프레임(140)의 측면에 결합되는 브라켓 바디(151)와, 상기 브라켓 바디(151)의 하측 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터브(110)의 하방에 제공되는 베이스(미도시)에 결합되는 베이스 지지단(152)과, 상기 브라켓 바디(151)의 일측 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프레임(140)에서 직각으로 절곡되는 부위에 결합되는 프레임 지지단(154)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지지단(152) 및 상기 프레임 지지단(154)에는 체결 부재에 의해서 각각 상기 프레임(140)의 절곡 부위와 베이스에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공(153)(15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150) 일측 하단부에는 상기 도어 힌지(160)가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힌지 축(159)이 삽입되는 힌지 홀(158)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 힌지(160)는 상기 힌지 축(159)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 홀(158)의 상측에는 상기 힌지 롤러(170)가 결합되며, 상기 도어 힌지(160)의 회전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힌지 롤러(170)가 상하 이동되도록 하는 소정 길이의 롤러 이동홀(15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 이동홀(156)은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롤러 이동홀(156)은 하단부에서 상기 브라켓(150)의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 힌지(160)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힌지 롤러(170)가 상기 롤러 이동홀(156) 내에서 상하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탄성 부재(180)의 탄성력이 조절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도어 힌지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힌지(160)는 힌지 바디(161)와, 상기 힌지 바디(161)의 일측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 축(159)에 의해 상기 브라켓(150)과 결합되는 힌지 홀(162)과, 상기 힌지 바디(210)의 일측 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도어 라이너(120)의 전면부에 밀착되는 도어 라이너 지지단(166)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 지지단(166)에는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도어 라이너(120)의 전면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공(16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 힌지(160)의 타측에는 상기 힌지 롤러(170)가 결합되는 가이드 홀(16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홀(164)은 소정 곡률로 만곡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홀(164)이 소정의 곡률로 만곡 성형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홀(164)에 힌지 롤러(17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힌지(160)의 회전시, 상기 힌지 롤러(170)와의 간섭이 방지되게 되며, 상기 도어 힌지(160)의 회전이 가이드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홀(164)에는 상기 도어 힌지(160)(또는 도어)의 회전시 그 회전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고정홈(165)이 내측으로 함몰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홈(165)은 적어도 가이드 홀(164)의 양단부에 형성되며, 이에 더하여 가이드 홀(164) 상에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가 열리거나 닫힐 때, 상기 힌지 롤러(170)가 상기 고정홈(165)에 삽입되면, 그 위치에서 상기 도어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즉, 다단으로 도어의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따른 힌지 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힌지 롤러(170)는 브라켓(150) 및 도어 힌지(160)에 동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힌지 롤러(170)는 힌지 바디(172)와, 상기 힌지 바디(172)의 양단부에 각각 성형되며, 상기 브라켓(150) 및 도어 힌지(16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단(174)과, 상기 힌지 바디(172)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 부재(180)의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홀(176)이 형성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힌지 바디(172)는 상기 브라켓(150)에 도어 힌지(160)가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이 가능하도록 두 개의 물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느 일 힌지 바디는 상기 브라켓(150)의 일측에서 결합되고, 타 힌지 바디는 상기 도어 힌지(160)의 일측에서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구조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도어가 닫힌 상태의 도어 개폐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도어가 열린 상태의 도어 개폐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어가 닫힌 경우 상기 힌지 롤러(170)는 상기 도어 힌지(160)의 가이드홀(164)의 상단과, 상기 브라켓(150)의 롤러 이동홀(156)의 하단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를 열기 위하여 상기 도어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도어 힌지(160)는 상기 가이드 홀(164)에 의해 상기 힌지 롤러(170)와 접촉되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힌지 롤러(170)는 상기 도어 힌지(16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롤러 이동홀(156)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 롤러(170)가 상기 롤러 이동홀(156)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탄성 부재(180)는 인장되게 된다.
이 때, 상기 도어 힌지(16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힌지 롤러(170)가 상기 각 고정홈(165)에 삽입되면, 상기 도어는 회전된 위치에서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가 완전하게 열리면, 상기 힌지 롤러(170)는 상기 도어 힌지(160)의 가이드홀(164)의 하단과, 상기 브라켓(150)의 롤러 이동홀(156)의 상단 에 위치된다. 이 때, 상기 힌지 롤러(170)는 상기 가이드 홀(164)의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홈(165)에 삽입되어 개방된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닫기 위하여 위로 들어올리면서 밀면 상기 도어 힌지(160)는 힌지 축(159)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힌지 롤러(170)는 하강하여, 상기 롤러 이동홀(156)의 하단에 위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180) 또한 원위치로 수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 부재(180)는 도어가 개방되어 인장된 상태에서 원 상태를 유지하려는 특성을 가지는 압축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탄성 부재(180)의 특성에 의해 사용자는 용이하게 도어를 닫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게 되어, 비용이 절감되고, 제작 공정이 단순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단으로 도어를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으며, 개방 및 폐쇄 또는 그 과정에서 도어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내부에 세척조가 형성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전방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도어;
    상기 터브의 측면에 장착되며, 힌지축이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 힌지;
    상기 브라켓 및 도어 힌지에 결합되는 힌지 롤러; 및
    일측이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힌지 롤러에 결합되는 탄성 부재가 포함되는 식기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이 조절되기 위하여 상기 힌지 롤러가 이동하도록 하는 롤러 이동홀과,
    상기 도어 힌지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 힌지의 회전이 가이드되도록 하는 가이드 홀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이동홀은 하단에서 상기 브라켓의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은 소정의 곡률로 만곡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에는 상기 도어가 개방 및 폐쇄되는 과정에서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압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롤러는 힌지 바디와,
    상기 힌지 바디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 및 도어 힌지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단과,
    상기 힌지 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 부재가 결합되는 결합홀이 포함되는 식기 세척기.
KR1020060019068A 2006-02-28 2006-02-28 식기 세척기 KR101193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068A KR101193262B1 (ko) 2006-02-28 2006-02-28 식기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068A KR101193262B1 (ko) 2006-02-28 2006-02-28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9281A KR20070089281A (ko) 2007-08-31
KR101193262B1 true KR101193262B1 (ko) 2012-10-19

Family

ID=38614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9068A KR101193262B1 (ko) 2006-02-28 2006-02-28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2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0765A (ko) * 2020-09-03 2022-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힌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489Y1 (ko) 2001-12-06 2002-02-28 대우전자주식회사 상부 도어 완충장치를 구비한 김치 냉장고
JP2002143071A (ja) 2000-08-31 2002-05-21 Toto Ltd 食器洗浄機
JP2005296545A (ja) 2004-04-16 2005-10-27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食器洗浄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3071A (ja) 2000-08-31 2002-05-21 Toto Ltd 食器洗浄機
KR200266489Y1 (ko) 2001-12-06 2002-02-28 대우전자주식회사 상부 도어 완충장치를 구비한 김치 냉장고
JP2005296545A (ja) 2004-04-16 2005-10-27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食器洗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9281A (ko) 200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63687A1 (en) Dishwasher
KR100457587B1 (ko) 식기세척기의 선반 높이 조절장치
US20200281441A1 (en) Supporting device and dish washer having the same
US9131828B2 (en) Dishwasher
AU2013222039A1 (en) Dishwashing machine
KR20050105706A (ko) 워터 가이드 탈거 방지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
EP2888982A1 (en) Dishwasher
JP4513880B2 (ja) 食器洗い機
KR101100501B1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잠금장치
KR101193262B1 (ko) 식기 세척기
KR100892672B1 (ko) 식기 세척기용 디스펜서
KR20170011056A (ko) 식기세척기
KR100377622B1 (ko) 서랍식 식기 세척기의 밀폐 구조
KR101290506B1 (ko) 식기 세척기
KR100658851B1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조립 구조
KR101154956B1 (ko) 식기세척기
KR101238079B1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 구조
KR101257508B1 (ko) 식기 세척기
KR101178963B1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 구조
KR101237094B1 (ko) 식기 세척기의 전도 방지 구조
KR101257522B1 (ko) 식기 세척기
KR100765279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86117B1 (ko) 식기세척기
JP3546809B2 (ja) 食器洗浄機
KR20060095843A (ko)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