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578B1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578B1
KR101026578B1 KR1020070095330A KR20070095330A KR101026578B1 KR 101026578 B1 KR101026578 B1 KR 101026578B1 KR 1020070095330 A KR1020070095330 A KR 1020070095330A KR 20070095330 A KR20070095330 A KR 20070095330A KR 101026578 B1 KR101026578 B1 KR 101026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dish
tableware
washing
lower d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7732A (ko
Inventor
가즈히사 에노모토
마모루 이케시마
미치오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27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7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3Racks ; Baskets with fold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상부 식기 바구니의 식기를 모두 치우지 않더라도 하부 식기 바구니에의 식기의 취출, 배치를 할 수 있어, 큰 식기, 조리 기구의 배치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상하 2단의 식기 바구니를 갖는 식기 세척기를 실현한다. 그 때문에, 상하 2단의 식기 바구니의 상부 식기 바구니를 복수의 바구니부로 구성하고, 각각의 바구니부를 올린 위치와 하부 식기 바구니에의 탑재 위치와의 사이에서 동일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했다.
세정조, 세정 노즐, 식기, 하부 식기 바구니, 상부 식기 바구니, 히터, 세정 펌프, 잔여물 필터, 배수구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세정 노즐로부터 식기를 향해서 세정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정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식기 세척기는 도 7,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하고 있었다. 이하, 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식기 바구니의 사시도이다.
도 7에 있어서, 세정조(1)는, 내부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 노즐(2)을 회전 가능하게 마련하는 동시에, 식기(3)를 수용하는 하부 식기 바구니(4)와 상부 식기 바구니(5)을 배치하고 있다. 세정조(1) 내의 세정수는 히터(6)에 의해서 온수화되어, 세정 펌프(7)로써 잔재 필터(8)를 통해서 배수구(9)로부터 빨아 들여져, 세정 노즐(2)에 압송된다. 세정 노즐(2)로부터 힘껏 분사되는 세정수에 의해서, 하부 식기 바구니(4), 상부 식기 바구니(5)에 배치 수용된 식기(3)를 세정하도록 구성하 고 있다.
상부 식기 바구니(5)은, 한 변을 양 단부에서 하부 식기 바구니(4)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하부 식기 바구니(4)의 식기(3)를 취출할 때, 또는 배치할 때, 상부 식기 바구니(5)을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올려,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식기(3)를 상부 식기 바구니(5)에 수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부 식기 바구니(5)을 차올려, 하부 식기 바구니(4)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2001-6175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로서는, 세정조(1)의 위쪽으로부터 상부 식기 바구니(5)의 아래쪽에 있는 하부 식기 바구니(4)의 식기(3)를 취출할 때, 또는 배치할 때, 상부 식기 바구니(5)의 식기(3)를 모두 치워야 한다고 하는 문제와, 큰 식기를 상부 식기 바구니(5)의 아래쪽의 하부 식기 바구니(4)에 배치한 경우, 상부 식기 바구니(5)을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상부 식기 바구니의 아래쪽에 배치된 식기를 효율적으로 취출 또는 배치할 수 있어, 큰 식기를 배치하여도, 상부 식기 바구니의 일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식기의 배치 효율을 양호하게 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그 때문에, 세정조와, 세정조 내에 배치하여 식기류를 수용하는 상부 식기 바구니와, 하부 식기 바구니와, 식기류에 세정수을 분사하여 세정하는 세정 노즐을 구비하고, 상부 식기 바구니는 복수의 바구니부로 구성하여, 각각의 바구니부를 올림 위치와 하부 식기 바구니에의 탑재 위치의 사이에서, 동일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했다.
이에 따라, 상부 식기 바구니의 아래쪽에 배치된 식기를 효율적으로 취출 또는 배치할 수 있고, 큰 식기를 배치하여도 상부 식기 바구니의 일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식기의 배치 효율이 좋기 때문에, 마무리 좋게 세정할 수 있는 것이다.
제 1 발명은, 세정조와, 세정조 내에 배치하여 식기류를 수용하는 상부 식기 바구니와, 하부 식기 바구니와, 식기류에 세정수을 분사하여 세정하는 세정 노즐을 구비하고, 상부 식기 바구니는 복수의 바구니부로 구성하고, 각각의 바구니부를 차올림 위치와 하부 식기 바구니에의 탑재 위치와의 사이에서 동일 축을 중심으로 회 동 가능하게 구성했다. 이에 따라, 하부 식기 바구니의 식기를 취출 또는 배치하고자 하는 장소의 위의, 상부 식기 바구니의 복수의 바구니부 중 원하는 것만을 회동시켜 차올리는 것만으로, 그 밖의 바구니부에는 찻잔이나 컵류를 수납한 채로 용이하게 하부 식기 바구니의 식기를 취출, 또는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식기 바구니에 큰 식기를 배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큰 식기를 배치하고자 하는 장소의 바구니부만을 회전시켜 차올려, 남은 바구니부에는 식기류를 배치할 수 있어 세정할 수 있다.
제 2 발명은, 복수의 바구니부를 회동 가능하게 하는 축은, 세정조의 전후 방향에 배치했다. 이에 따라, 세정조의 좌우 방향에 배치한 경우에 비하여, 식기 세척기 앞쪽으로부터의 바구니부의 회동 작업이 손의 기능과의 관련에 있어서 용이하다. 또한, 큰 식기는 하부 식기 바구니에 좌우로 배열하여 배치하는 것이 식기 세척기의 앞쪽으로부터 수납할 때의 작업성의 점에서 유리하며, 복수의 바구니부를 회동 가능하게 하는 축은, 세정조의 전후 방향에 배치함에 따라, 이 조건하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각종 크기의 식기류를 배치할 수 있다.
제 3 발명은, 세정 노즐은 세정조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는 동시에, 하부 식기 바구니는, 복수의 바구니부를 하부 식기 바구니에의 탑재 위치에 있어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세정 노즐의 근방에서 거의 동일한 거리에 마련했다. 이에 따라, 식기류의 수납성을 손상하지 않고, 상부 식기 바구니의 복수의 바구니부를 하부 식기 바구니으로 확실히 지지할 수 있다.
제 4 발명은, 지지부는, 좌우의 측변을 상변에서 연결한 형상으로 하고, 좌 우의 측변과 상변에서 세정 노즐의 정상부를 옆쪽으로부터 덮도록 구성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바구니부를 하부 식기 바구니에 탑재한 위치에서, 복수의 바구니부가 세정 노즐의 정상부에 닿는 일없이 하부 식기 바구니에 지지되는 동시에, 식기류의 세정 노즐에의 접촉도 방지할 수 있다.
제 5 발명은, 세정 노즐은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는 동시에, 지지부는, 하부 식기 바구니에 수용된 식기류가 세정 노즐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드체(guard)로서 구성했다. 이에 따라, 세정 노즐을 회전형의 것으로 한 경우에, 보다 큰 과제로 되는, 식기류가 세정 노즐에 접촉하여 손상되거나, 세정 노즐이 회전되지 않아 정규의 세정 성능을 발휘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 6 발명은, 복수의 바구니부는, 하부 식기 바구니에의 탑재 위치에 있어서 연속하는 면을 형성하도록 구성했다. 이에 따라,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바구니부에 걸쳐 식기를 수납하여도 안정되게 탑재할 수 있어, 식기를 손상하는 일없이 세정할 수 있다.
제 7 발명은, 복수의 바구니부는, 적어도 하나의 바구니부의 형상을, 다른 바구니부의 형상과 서로 다른 형상으로 했다. 이에 따라, 하부 식기 바구니의 식기 배치에 맞춰 상부 식기 바구니의 구성, 형상, 크기를 정할 수 있기 때문에, 하부 식기 바구니와 상부 식기 바구니의 사용 편리성이 좋아, 효율적으로 세정을 할 수 있다.
제 8 발명은, 복수의 바구니부는, 적어도 하나의 바구니부의 축측의 측변의 길이를, 다른 바구니부의 축측의 측변의 길이와 서로 다르게 했다. 이에 따라, 하부 식기 바구니의 식기의 배치에 맞춘 취출, 배치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식기 바구니에 수용되는 식기의 배치성을 개선하여, 식기를 효율적으로 취출 또는 배치를 할 수 있어, 큰 식기를 배치하여도 상부 식기 바구니의 일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식기 세척기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종래 예와 동일한 구성의 것은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 도 2는 실시예1의 식기 세척기의 하부 식기 바구니와 상부 식기 바구니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실시예1의 식기 세척기의 상부 식기 바구니의 제1 바구니부를 올린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실시예1의 식기 세척기의 상부 식기 바구니의 제2 바구니 부를 올린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세정조(1)는, 내부에 세정수을 분사하는 세정 노즐(2)을 회 전 가능하게 마련하는 동시에, 식기(3)를 수용하는 하부 식기 바구니(4)과 상부 식기 바구니(5)을 배치하고 있다. 세정조(1) 내의 세정수는 히터(6)에 의해서 온수화되어, 세정 펌프(7)로써 잔재 필터(8)를 통해서 배수구(9)로부터 흡입되어, 세정 노즐(2)에 압송된다. 세정 노즐(2)로부터 힘껏 분사되는 세정수에 의해서, 하부 식기 바구니(4)과 상부 식기 바구니(5)에 배치 수용된 식기(3)를 세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세정 노즐(2)은, 하부 식기 바구니(4) 및 상부 식기 바구니(5)에 수용된 식기(3)를 향해서 아래쪽으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하는 수평 노즐부(2a)와; 그 수평 노즐부(2a)의 중앙으로부터 위쪽에 타워 형상으로 돌출시켜 마련되고, 식기(3)를 향해서 옆쪽으로부터 세정수을 분사하는 타워 노즐부(2b)를 구비하고, 세정조(1)의 바닥부의 전후 좌우 거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의해서 세정조(1) 내에 배치된 식기 바구니의 구성을 설명한다.
선재(線材)를 조합시켜 구성한 하부 식기 바구니(4)는, 세정조(1)의 바닥면에 가까운 높이에 세정조(1)의 바닥면의 대부분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하부 식기 바구니(4)의 세정조(1) 앞쪽으로부터 보아 우측에는, 큰 접시 등의 큰 식기를 좌우 방향으로 여러 매 배열하여 수용할 수 있는 대물 수용부(4a)가 전후로 2열 마련되어 있다. 하부 식기 바구니(4)의 세정조(1) 앞쪽으로부터 보아 좌측에는, 공기류나 작은 접시를 수용하는 공기류 수용부(4b)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 식기 바구니(4)의 세정조(1)에 배치되었을 때의 세정 노즐(2)과의 위치관계는, 세정 노즐(2)의 수평 노즐부(2a)는 하부 식기 바구니(4)보다 아래쪽에 위 치하고, 타워 노즐부(2b)는 하부 식기 바구니(4)의 바닥부에 마련된 공간부를 뚫고 나와 위쪽으로 연장하고 있다.
또한, 하부 식기 바구니(4)에는, 상부 식기 바구니(5)의 바구니부를 뉘여 하부 식기 바구니(4) 위에 탑재한 위치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4d, 4e)를 바닥부로부터 세워 마련하고 있다. 이들 지지부(4d, 4e)는, 좌우의 측변을 상변으로 연결한 U자 형상으로 하고, 세정 노즐(2)의 근방에서 세정 노즐(2)로부터 거의 동일한 거리를 두고 마련하여, 좌우의 측변과 상변에서 세정 노즐(2)의 타워 노즐부(2b)의 정상부를, 전후 방향에서 옆쪽으로부터 덮도록 구성하고 이다.
상부 식기 바구니(5)은, 주로 찻잔이나 컵류를 수용하는 것으로, 세정조(1)의 좌측에서 하부 식기 바구니(4)의 공기류 수용부(4b)의 위쪽에 마련되어 있고, 전후방향에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바구니부, 즉 제1 바구니부(5a)와 제2 바구니부(5b)와, 선재를 구부려 구성한 바구니 프레임(5c)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구니 프레임(5c)은, 세정조(1)의 후측 내벽면의 좌우 중앙부의 일부를 내측으로 돌출시켜 마련한 지지부(4c)와, 이 지지부(4c)와 마찬가지의 형상으로 세정조(1)의 전측 내벽면에 마련된 지지부(전측 내벽면에 가려 있기 때문에 도시하지 않음)와, 세정조(1)의 좌측 전후 양 코너에 마련된 지지부(도시하지 않음)로 세정조(1)에 안정되게 지지, 배치되어 있다. 이 세정조(1)의 배치 상태에서, 세정조(1)의 좌측면부 근방의 비교적 위쪽에, 2개의 바구니부(5a, 5b)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축(5d)을 세정조(1)의 전후 방향에 1개 마련하고 있다.
제1 바구니부(5a)와 제2 바구니부(5b)는, 모두 상기의 동일한 축(5d)을 중심 으로 회동 가능하게 바구니 프레임(5c)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 올린 위치와, 세정조(1) 및 하부 식기 바구니(4)에 마련된 지지부(4c, 4d, 4e) 등으로 지지되는 하부 식기 바구니(4)에의 탑재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 제1 및 제2 바구니부(5a, 5b)의 형상은, 바구니부를 좌우 방향의 직선으로 전후로 마치 2분할한 것과 같은 형상으로 하고, 각각의 폭 치수는 하부 식기 바구니(4)에의 탑재 위치에 있어서, 공기류 수용부(4b)의 위쪽을 거의 덮지만, 대물 수용부(4a)의 위쪽은 덮지 않는 치수로 설정하고 이다.
도 2는, 제1 및 제2 바구니부(5a, 5b)를 모두 바구니 프레임(5c)의 축(5d) 을 중심으로 회동시켜서 뉘여, 하부 식기 바구니(4)에 탑재한 상태를 도시한다. 제1 바구니부(5a)의 대물 수용부(4a)에 가까운 측의 단부(5e)를 세정조(1)의 지지부(4c)와 하부 식기 바구니(4)의 지지부(4d)로 지지하고, 제2 바구니부(5b)의 대물 수용부(4a)에 가까운 측의 단부(5f)를 지지부(4e)와 세정조(1)의 전측 내벽면에 마련된 지지부(4c)와 마찬가지의 지지부(세정조(1)의 전측 내벽면에 가려 있기 때문에 도시하지 않음)로 지지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 바구니부(5a, 5b)의 상면인 식기류 탑재면은 단차가 없는 연속하는 면을 형성하도록, 제1 및 제2 바구니부(5a, 5b)의 형상 치수 및 지지부(4c, 4d, 4e) 등의 높이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바구니부(5a)와 제2 바구니부(5b)에 걸쳐 식기(3)를 탑재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식기(3)를 제1 바구니부(5a)와 제2 바구니부(5b)에 걸쳐도 안정되게 탑재할 수 있어, 식기(3)를 손상하는 일없이 세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식기 바구니(4)에 마련되어 상부 식기 바구니(5)의 제1 및 제2 바구니부(5a, 5b)를 지지하는 지지부(4d, 4e)를, 상술한 바와 같은 형상 및 배치로 함으로써, 하부 식기 바구니(4)에 수용된 식기(3)가 세정 노즐(2)의 특히 타워 노즐부(2b)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드체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이다. 특히 세정 노즐(2)을 회전형으로 한 경우에는 그 효과가 크고, 식기(3)가 세정 노즐(2)에 접촉하여 식기(3)를 손상하거나, 세정 노즐(2)이 회전되지 않아 정규의 세정 성능을 발휘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4d, 4e)를 세정 노즐(2)의 근방에 위치시켜, 지지부(4c) 등을 세정조(1)의 전후의 내벽면 및 코너에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하부 식기 바구니(4)으로의 식기(3)의 배치 효율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바구니부(5a, 5b)를, 회동 중심으로 되는 축(5d)과는 반대측의 단부(5e, 5f)의 전단부와 후단부로 각각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하부 식기 바구니(4)에 탑재한 위치에서 가장 안정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도 3은 세정조(1)의 안쪽에 배치된 제1 바구니부(5a)만을 올린 상태를, 도 4은 세정조(1)의 앞쪽의 제2 바구니부(5b)만을 올린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상부 식기 바구니(5)의 바구니부를 제1 바구니부(5a)와 제2 바구니부(5b)로 분할하여, 사용 조건에 따라 어느 하나 혹은 양쪽을 차올림으로써, 그 아래쪽의 공기류 수용부(4b)에도 공기류보다도 큰 접시나 밀크 팬이나 파스타 접시 등의 다른 형태의 식기를 수납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식기 바구니(4)에의 공기류의 수납, 취출 작업시에 있어서도, 필 요한 측만 바구니부를 차올리면, 그 아래쪽의 공기류 수용부(4b)에의 출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그때, 상부 식기 바구니(5)에 수용된 컵류를 일단 치울 필요가 없이, 차올리지 않은 쪽의 바구니부에 컵류를 옆에 가까이 붙여 대는 것만으로, 아래쪽의 공기류 수용부(4b)에의 공기류의 출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예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하부 식기 바구니와 상부 식기 바구니의 사시도, 도 6은 실시예2의 식기 세척기의 상부 식기 바구니의 제1 바구니부를 올린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2가 상기 실시예1과 상위한 점은, 제1 및 제2 바구니부(5a, 5b)의 형상 및 치수이며,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1과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실시예1에서는, 제1 바구니부(5a)와 제2 바구니부(5b)가 인접하는 변의 형상을 직선으로 하는 동시에, 회동할 때의 축(5d) 측의 측변의 길이를 거의 동일하게 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2에서는, 단부(5e, 5f) 측의 안 길이 치수는 거의 동일하게 하고 있지만, 제2 바구니부(5b)의 축(5d) 측의 측변의 길이를, 제1 바구니부(5a)의 축(5d) 측의 측변의 길이 보다 길게 하고 있다. 즉, 상부 식기 바구니(5)의 바구니부를, 서로 다른 형상의 제1 바구니부(5a)와 제2 바구니부(5b)를 조합하여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하부 식기 바구니(4)의 지지부(4d, 4e)의 위치를, 세정 노즐(2)의 근방에서 세정 노즐(2)로부터 거의 동일한 거리를 둔 위치로 하여, 좌우의 측변과 상변에서 세정 노즐(2)의 타워 노즐부(2b)의 정상부를 옆쪽으로부터 덮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식기(3)가 세정 노즐(2)의 특히 타워 노즐부(2b)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드체로서 지지부(4d, 4e)를 기능시키면서, 제1, 제2 바구니부(5a, 5b)의 단부(5e, 5f)를, 세정조(1)의 안 길이 방향의 거의 중앙부에서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4d, 4e)를 세정 노즐(2)의 근방에 위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하부 식기 바구니(4)에의 식기(3)의 배치 효율을 좋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식기(3)의 수납, 취출 작업이라는 점에 있어서도, 하부 식기 바구니(4)의 식기 배치에 맞춰 제1 및 제2 바구니부(5a, 5b)의 형상, 크기를 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예1보다도 하부 식기 바구니(4)에의 식기(3)의 수납, 취출이 또한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부 식기 바구니(5)의 사용 편리성도 좋아, 효율적으로 식기(3)의 취출, 배치를 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1에서는 수납 작업이 어려운, 직경이 크고 또한 자루가 긴 밀크 팬과 같은 조리 기구류나 타원형의 파스타 접시와 같은 식기류도, 본 실시예2의 식기 세척기에서는, 축(5d) 측의 길이가 긴 제2 바구니부(5b)를 차올려, 하부 식기 바구니(4)에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2에서는, 상부 식기 바구니(5)의 바구니부를 2개의 바구니부(5a, 5b)로 구성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3개 이상의 바구니부로 구성한 경우도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부 식기 바구니(5)을 지지하는 지지부(4c, 4d, 4e)에 대해서는, 지지부(4c)를 세정조(1)의 후측 내벽면에 마련하고, 지지부(4d, 4e)를 하부 식기 바구니(4)에 마련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모두 하부 식기 바구니(4)에 마련하더라도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이러한 식기 세척기는, 식기의 취출성, 배치성이 우수하여, 큰 식기, 조리 기구의 배치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상하 2단의 식기 바구니를 갖는 식기 세척기 등으로서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
도 2는, 실시예1의 식기 세척기의 하부 식기 바구니와 상부 식기 바구니의 사시도,
도 3은, 실시예1의 세척기의 상부 식기 바구니의 제1 바구니부를 뛰어 오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실시예1의 식기 세척기의 상부 식기 바구니의 제2 바구니부를 올린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2의 식기 세척기의 하부 식기 바구니와 상부 식기 바구니의 사시도,
도 6은, 실시예2의 식기 세척기의 상부 식기 바구니의 제1 바구니부를 올린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종단면도,
도 8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식기 바구니의 사시도.

Claims (8)

  1.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 내에 배치하여 식기류를 수용하는 상부 식기 바구니와, 하부 식기 바구니와, 식기류에 세정수를 분사하여 세정하는 세정 노즐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 식기 바구니는 서로 분할된 제 1 및 제 2 바구니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바구니부를 지지하는 바구니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바구니부를 올린 위치와 상기 하부 식기 바구니로의 탑재 위치 사이에서 동일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하며,
    상기 세정 노즐은 상기 세정조의 중앙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세정 노즐은 상기 세정 노즐의 중앙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시켜 마련되는 타워 노즐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식기 바구니는, 상기 하부 식기 바구니의 바닥부로부터 입설(立設)하여 마련된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세정 노즐의 근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바구니부의 탑재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바구니부를 지지하며,
    상기 지지부는, 좌우의 측변을 상변으로 연결한 형상으로 되고, 상기 좌우의 측변과 상기 상변으로 상기 세정 노즐의 정상부를 옆쪽으로부터 덮도록 구성되며,
    상기 세정 노즐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부 식기 바구니에 수용된 식기류가 상기 세정 노즐의 상기 타워 노즐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드체로서 구성된
    식기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바구니부를 회동 가능하게 하는 축은 세정조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한
    식기 세척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바구니부는 상기 하부 식기 바구니로의 탑재 위치에 있어서 연속하는 면을 형성하도록 구성한
    식기 세척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바구니부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바구니부의 형상을 다른 상기 바구니부의 형상과 상이한 형상으로 한
    식기 세척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바구니부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바구니부의 축측의 측변의 길이를 다른 상기 바구니부의 축측의 측변의 길이와 상이하게 한
    식기 세척기.
KR1020070095330A 2006-09-25 2007-09-19 식기 세척기 KR1010265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58544A JP2008073400A (ja) 2006-09-25 2006-09-25 食器洗い機
JPJP-P-2006-00258544 2006-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732A KR20080027732A (ko) 2008-03-28
KR101026578B1 true KR101026578B1 (ko) 2011-04-01

Family

ID=39254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330A KR101026578B1 (ko) 2006-09-25 2007-09-19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8073400A (ko)
KR (1) KR101026578B1 (ko)
CN (1) CN101152072B (ko)
TW (1) TW2008149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91560B2 (en) * 2009-06-11 2012-06-05 General Electric Company Adjustable upper dishwasher rack
CN102028442B (zh) * 2009-10-07 2013-09-0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餐具清洗机
JP4968310B2 (ja) * 2009-10-07 2012-07-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KR101151145B1 (ko) * 2010-04-14 2012-06-01 김성수 컵 세척 장치
TWI568400B (zh) * 2012-02-09 2017-02-01 Panasonic Corp Tableware cleaning machine
JP6859114B2 (ja) * 2017-01-25 2021-04-14 リンナイ株式会社 食器洗浄機
JP2017136425A (ja) * 2017-04-06 2017-08-10 リンナイ株式会社 食器洗浄機
JP2019024750A (ja) * 2017-07-27 2019-02-21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Ltd. 靴洗浄装置
JP6923427B2 (ja) * 2017-12-07 2021-08-18 リンナイ株式会社 食器洗浄機
CN110638395A (zh) * 2018-06-27 2020-01-03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盛放成套餐具的洗碗机搁架
JP7148367B2 (ja) * 2018-11-14 2022-10-05 リンナイ株式会社 食器洗浄機
US11642002B1 (en) 2022-04-13 2023-05-09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and adjustable tine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5358U (ja) * 1993-04-09 1994-10-25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食器洗浄機用食器かご
KR0109738Y1 (en) * 1995-11-23 1997-11-26 Tong Yang Magic Corp Dishwasher
JP2000217769A (ja) * 1999-01-27 2000-08-08 Toto Ltd 食器洗い機
WO2005037050A1 (de) 2003-10-14 2005-04-2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korb mit höhenverstellbaren ablag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5358U (ja) * 1993-04-09 1994-10-25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食器洗浄機用食器かご
KR0109738Y1 (en) * 1995-11-23 1997-11-26 Tong Yang Magic Corp Dishwasher
JP2000217769A (ja) * 1999-01-27 2000-08-08 Toto Ltd 食器洗い機
WO2005037050A1 (de) 2003-10-14 2005-04-2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korb mit höhenverstellbaren abla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14959A (en) 2008-04-01
TWI328437B (ko) 2010-08-11
CN101152072A (zh) 2008-04-02
CN101152072B (zh) 2011-08-17
JP2008073400A (ja) 2008-04-03
KR20080027732A (ko) 2008-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6578B1 (ko) 식기 세척기
CN110464282B (zh) 洗碗机
KR20050105711A (ko) 식기 세척기의 랙구조
KR20050105712A (ko) 식기 세척기의 랙 구조
TWI292705B (ko)
KR101477889B1 (ko) 식기 세척기
JP4525209B2 (ja) 食器洗い機
KR101330839B1 (ko) 식기 세척기의 랙
JP4135591B2 (ja) 食器洗い機
KR101238147B1 (ko) 식기 세척기의 랙
KR101276019B1 (ko) 식기 세척기의 랙
JPH11290261A (ja) 食器洗浄機用食器籠
KR20070062656A (ko) 식기 세척기의 랙
KR100234074B1 (ko) 식기세척기용 수저바구니
CN216124404U (zh) 一种洗碗机搁架及洗碗机
KR101240801B1 (ko) 수저류 수납 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
KR200386351Y1 (ko) 식기 세척기의 랙
KR200386307Y1 (ko) 식기 세척기의 랙
JP6982733B2 (ja) 食器洗い機の小物入れ
JP3083696B2 (ja) 食器洗浄機
JP2007236800A (ja) 食器洗い機
KR101819503B1 (ko) 식기세척기의 랙
KR100658850B1 (ko) 식기 세척기의 틴 장착 구조
JP3402164B2 (ja) 食器洗浄機
JP6111410B2 (ja) 食器洗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911

Effective date: 2011020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