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9503B1 - 식기세척기의 랙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의 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503B1
KR101819503B1 KR1020110024794A KR20110024794A KR101819503B1 KR 101819503 B1 KR101819503 B1 KR 101819503B1 KR 1020110024794 A KR1020110024794 A KR 1020110024794A KR 20110024794 A KR20110024794 A KR 20110024794A KR 101819503 B1 KR101819503 B1 KR 101819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cleaned
horizontal support
support bar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7224A (ko
Inventor
장보영
안미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4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503B1/ko
Publication of KR20120107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2Cutlery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6Details of the tub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7Arrangements for extracting racks, e.g. roller suppor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의 랙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랙은 외부 프레임 및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대상물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수평지지바를 구비하는 제1 구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의 랙 {Rack of Dishwahs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의 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처리공간에 처리대상을 수납한 뒤 세척수를 이용하여 처리대상에 잔류하는 오물을 제거(경우에 따라 건조까지 가능)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식기처리장치의 경우 처리공간을 제공하는 터브(tub), 상기 터브의 전방에 구비되어 처리공간을 개폐시키는 도어, 상기 처리공간 내부에 위치하여 식기 등의 처리대상을 수납하는 다수의 랙(rack)을 포함한다.따라서, 사용자가 처리대상의 처리(세척, 건조, 살균 등)를 위해서는 도어를 열어 처리공간 개방, 다수의 랙을 처리공간에서 인출, 랙에 처리대상을 수납함으로써 식기처리장치의 작동이 가능하였다.
그런데 랙은 식기 등을 수용하는 경우에 식기 등이 세워진 상태로 수납할 수 있도록 소정의 돌출부 형상, 소위 타인(tine)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다수개의 돌출부가 랙의 바닥 등에서 돌출 형성되고, 사용자는 상기 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식기 등을 삽입하여 식기를 수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랙에 돌출부를 구비하게 되면 식기 등을 수납하는 경우에는 편리하지만 수납할 수 있는 식기의 종류에 한정이 있게 된다. 즉, 돌출부의 형상 또는 돌출부 사이의 거리에 의해 돌출부 사이에 수납되는 식기의 크기 또는 종류에 한정이 있게 된다. 이는 다양한 종류의 식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몇몇 식기만을 랙에 수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식기의 종류, 크기, 형상에 관계없이 식기를 수납할 수 있는 랙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식기세척기의 랙에 있어서, 외부 프레임 및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대상물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수평지지바를 구비하는 제1 구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랙은 돌출부를 구비하지 않는 영역을 구비함으로써, 식기의 종류, 크기, 형상에 관계없이 식기를 수수납할 수 있다.
도 1은 식기세척기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랙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랙에서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4는 랙에 접시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일부 평면도,
도 6은 랙에 사발이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사발의 형태에 따른 수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명세서에서 말하는 식기처리장치는 식기와 같은 세척대상물의 건조, 세척, 살균이 가능한 기기를 의미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세척대상물의 세척과 건조를 목적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식기처리장치는 식기류(tableware, 이하 '세척대상물')의 세척, 건조, 살균 등이 가능한 기기로 통상 식기세척기와 식기건조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세척대상물의 세척, 건조를 위한 식기세척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00)는 처리공간(11)을 제공하는 터브(1), 처리공간(11)의 일측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도어(2), 터브(1)에 구비되어 식기처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CP)을 포함한다.
처리공간(11)은 터브(1)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되 일측이 개방도록 구비된다. 도어(2)는 터브(1)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처리공간(11)의 개방된 일면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처리공간(11) 내부에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3), 식기와 같은 세척대상물이 수용되는 랙, 랙에 수납된 세척대상물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이 구비될 수 있다.
섬프(3)는 세척대상물의 세척에 필요한 세척수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급수원(미도시)과 섬프를 연통시키는 급수부(31), 섬프(3)에 저장된 세척수를 식기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31)는 급수호스로 구비될 수 있고, 배수부(33)는 섬프(3)에 저장된 세척수를 섬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펌프(333) 및 배수호스(33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랙은 식기와 같은 세척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후술하는 분사암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랙에 거치된 식기를 세척하게 된다. 랙은 식기세척기(100)의 용량,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는 처리공간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랙(41), 상부랙(41)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랙(43)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랙(41, 43)은 처리공간(11)의 개방된 일면(이하, 개방면)을 통해 처리공간 내부로 출입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분사암은 랙에 수용된 식기 들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분사암은 대략적으로 랙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랙에 비하여 더 많은 숫자의 분사암, 또는 랙에 비하여 더 적은 숫자의 분사암도 물론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는 상부랙(41)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암(51)과 상기 하부랙(43)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암(53)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하부암(53)은 후술할 하부공급유로(63)에 연통하되 하부랙(43)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부암(51)은 후술할 상부공급유로(65)에 연통하여 상부랙(41)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부암(51)은 상부랙(41)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분사노즐(515), 상부분사노즐(515)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유로(511)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부암(51)은 상부랙(41)의 하부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공급유로(511)에는 후술할 상부공급유로(65)의 암착탈부(651)와 연통하는 유로착탈부(5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하부 분사암(51, 53)은 식기처리장치 외부에 구비된 급수원(미도시)으로부터 직접 세척수를 공급받아 세척대상물에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프(3)에 저장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척수 공급부(6)는 섬프(3)에 저장된 세척수를 펌핑하는 공급펌프(61), 공급펌프(61)에서 제공되는 세척수를 하부암(53)에 공급하는 하부공급유로(63), 상부암(51)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상부공급유로(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공급유로(65)는 상부암(51)의 유로착탈부(513)에 연통하는 암착탈부(651)를 포함한다. 이는 상부암(51)이 상부랙(41)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함이다. 즉, 사용자가 상부랙(41)을 처리공간(11)에서 인출하면 상부암(51)은 상부랙(41)을 따라 공급유로(65)에서 분리되나 사용자가 상부랙(41)을 처리공간으로 밀어넣으면 상부암(51)이 공급유로(65)와 연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식기세척기(100)의 랙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식기와 같은 세척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적절한 구성을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랙은 식기 등을 수용하는 경우에 식기 등이 세워진 상태로 수납할 수 있도록 소정의 돌출부 형상, 소위 타인(tine)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다수개의 돌출부가 랙의 바닥 등에서 돌출 형성되고, 사용자는 상기 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식기 등을 삽입하여 식기를 수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랙에 돌출부를 구비하게 되면 식기 등을 수납하는 경우에는 편리하지만 수납할 수 있는 식기의 종류에 한정이 있게 된다. 즉, 돌출부의 형상 또는 돌출부 사이의 거리에 의해 돌출부 사이에 수납되는 식기의 크기 또는 종류에 한정이 있게 된다. 이는 다양한 종류의 식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몇몇 식기만을 랙에 수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랙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랙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상부랙(41)을 중심으로 설명하나, 이후에 설명하는 랙에 대한 구성 및 효과는 상부랙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부랙을 포함하여 식기처리장치의 내부에 수용되는 랙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랙(41)은 세척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프레임구조를 가질 수 있다. 먼저, 외부를 감싸는 외부프레임(410)을 구비할 수 있다. 외부프레임(410)은 소정 두께의 금속재질의 와이어(wire)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식기세척기(100)에 사용하는 경우 반복적으로 물에 접할 수 있으므로 물에 닿아도 부식되지 않도록 코팅 처리를 한 와이어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랙(41)을 식기세척기(100)의 내부로 밀어넣거나 또는 식기세척기(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꺼내야 하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위하여 랙(41)에 손잡이(412)를 구비할 수 있다.
외부프레임(410)의 내부에는 세척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랙(41)은 식기 등과 같은 세척대상물을 수납하도록 세척대상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수평지지바를 구비하는 제1 구역(430) 및 다수개의 수직 지지바를 구비하는 제2 구역(45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구역(4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가 없이 세척대상물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구역(430)에는 세척대상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수평지지바(432)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수평지지바(432)는 제1 구역(430)을 향하여 돌출하지 않고 지면과 수평한 방향을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구역(430)의 하부에 수평지지바(432)를 구비하는 것으로 정의되거나 또는 수평지지바(432)의 상부와 외부프레임(410)의 높이 사이의 공간을 제1 구역(430)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3은 제1 구역(430)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구역(43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수평지지바(43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지지바(432)는 각각이 별개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 제작 및 조립에 상당히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지지바(432)는 일체로 연결되어 하나의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를 갖는 하나의 와이어를 적절히 구부려서 절곡시킴으로써 다수개의 수평지지바(432)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수평지지바(432)는 세척대상물의 종류, 형상 및/또는 크기에 따라서 점접촉 또는 소정 길이의 선접촉 중에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선접촉 또는 점접촉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평지지바(432)는 세척대상물의 상면 또는 내부 바닥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434)와 세척대상물의 하면 또는 외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44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수평지지바(432)는 접시(dish)와 같은 평평한 대상물의 상면 또는 사발(bowl)과 같이 오목한 대상물의 내부 바닥을 지지할 수 있는 제1 지지부(43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지지부(434)는 소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세척대상물과 소정 길이의 제1 직선부(436), 제1 직선부(436)에서 소정 각도로 절곡되는 제2 직선부(437) 및 제1 직선부(436)와 제2 직선부(437)의 연결부에 구비되는 제1 절곡부(438)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직선부(437)는 제1 직선부(436)의 양단에 한 쌍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쌍의 제1 절곡부(438)에 의해 제2 직선부(437)가 제1 직선부(436)의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직선부(436)는 접시(dish)와 같은 평평한 대상물을 지지하는 경우에는 그 상면의 곡률반경에 따라 선접촉 또는 점접촉을 하여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랙(41)에 접시와 같이 평평한 대상물(200)을 수납한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한 쌍의 수평지지바(432) 사이에 배치된 접시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직선부(436)는 접시와 같이 평평한 대상물을 지지하는 경우에 제1 직선부(436)의 양단부에 구비된 제1 절곡부(438)에 의해 점접촉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또는 제1 직선부(436)에 대응하는 대상물의 상면이 제1 직선부(436)와 같이 곡률반경을 가지지 않는 직선형이라면 제1 직선부(436)는 대상물의 상면을 선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접시와 같이 평평한 대상물을 지지하는 경우에 제2 직선부(437)는 대상물과 접할 기회가 많지 않다.
한편, 접시와 같은 대상물을 지지하는 경우에 접시가 하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에는 접시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바(460)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한 쌍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랙(41)에 접시와 같이 평평한 대상물(300)을 수납한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 및 도 8은 한 쌍의 수평지지바(432) 사이에 배치된 사발을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사발(bowl)과 같이 오목한 대상물을 지지하는 경우에는 제2 직선부(437)가 사발(300)의 내면 또는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직선부(437)는 사발(300)의 내면 또는 가장자리와 점접촉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8은 다른 형태의 사발을 수납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사발은 도 7에 비하여 내부가 더 좁고 측벽의 경사가 더 크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의 사발을 수납하는 경우에는 사발의 내측면이 제2 직선부(437)와 선접촉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결국, 제1 지지부(434)는 제1 직선부(436) 또는 제2 직선부(437)에 의해 선접촉 또는 점접촉 중에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세척대상물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제2 지지부(440)는 제1 지지부(434)와 연결되어 세척대상물과 점접촉을 통하여 지지하는 제2 절곡부(44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제2 지지부(440)는 세척대상물의 하면 또는 외면을 점접촉을 통하여 지지할 수 있다.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접시와 같은 대상물을 지지하는 경우에 제2 지지부(440)는 점접촉에 의해 대상물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시와 같은 대상물이 한 쌍의 수평지지바, 즉 제1 수평지지바(432A)와 제2 수평지지바(432B) 사이에 놓인 경우에 제1 수평지지바(432A)의 제1 지지부(434)는 대략 대상물의 전면 또는 상면을 지지하고 제2 수평지지바(432B)의 제2 지지부(440)가 대상물의 후면 또는 하면을 지지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사발과 같은 대상물을 지지하는 경우에 제2 지지부(440)는 마찬가지로 점접촉에 의해 대상물의 하면 또는 외면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발과 같은 대상물이 한 쌍의 수평지지바, 즉 제1 수평지지바(432A)와 제2 수평지지바(432B) 사이에 놓인 경우에 제1 수평지지바(432A)의 제1 지지부(434)는 대략 대상물의 내면을 지지하고 제2 수평지지바(432B)의 제2 지지부(440)가 대상물의 하면을 지지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랙(41)의 제2 구역(450)은 다수개의 수직지지바(45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구역(450)의 수직지지바(452)에는 제1 구역(430)에 수납하기에 곤란한 대상물, 예를 들어 컵(400)과 같은 대상물을 수직지지바(452)에 기대어 수납시키거나 또는 수직지지바(452) 사이에 컵과 같은 대상물을 수납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직지지바(452)와 외부프레임(410) 사이의 공간도 세척대상물을 수납하는 공간으로 물론 활용될 수 있다.

Claims (8)

  1. 식기세척기의 랙에 있어서,
    외부 프레임; 및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부의 동일 평면상에 구비되어 세척대상물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수평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지지바는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직선부 및 상기 제1 직선부의 양단에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직선부를 포함하고, 세척대상물의 상면 또는 내부 바닥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연결되며, 세척대상물의 하면 또는 외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서로 평행하게 이웃하는 수평지지바의 제1 직선부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상기 수평지지바를 구비하는 제1 구역;
    다수개의 수직지지바를 구비하는 제2 구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은 상기 수평지지바의 상부와 상기 외부프레임의 높이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바는 상기 세척대상물과 점접촉 또는 소정 길이의 선접촉 중에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세척대상물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수평지지바는 하나의 와이어를 구부려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바는
    상기 제1 직선부와 상기 제2 직선부의 연결부에 구비되어 세척대상물과 점접촉을 통하여 지지하는 제1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바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연결부에 구비되어 세척대상물과 점접촉을 통하여 지지하는 제2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KR1020110024794A 2011-03-21 2011-03-21 식기세척기의 랙 KR101819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794A KR101819503B1 (ko) 2011-03-21 2011-03-21 식기세척기의 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794A KR101819503B1 (ko) 2011-03-21 2011-03-21 식기세척기의 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224A KR20120107224A (ko) 2012-10-02
KR101819503B1 true KR101819503B1 (ko) 2018-01-17

Family

ID=47279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794A KR101819503B1 (ko) 2011-03-21 2011-03-21 식기세척기의 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95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5213A (ja) * 2001-03-27 2002-12-10 Toto Ltd 食器洗浄機
JP4123367B2 (ja) * 2003-06-09 2008-07-23 三菱電機株式会社 食器洗浄機の食器か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5213A (ja) * 2001-03-27 2002-12-10 Toto Ltd 食器洗浄機
JP4123367B2 (ja) * 2003-06-09 2008-07-23 三菱電機株式会社 食器洗浄機の食器か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224A (ko) 2012-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7131B2 (en) Rack assembly in dishwasher
US9861260B2 (en) Dishwasher appliance and a tine assembly for a dishwasher appliance
EP2898814B1 (en) Cutlery basket for a dishwasher
KR101026578B1 (ko) 식기 세척기
US20150196189A1 (en) Dishwasher appliance
US10765292B2 (en) Rack and dishwasher including the same
US9265402B2 (en) Dishwasher rack assembly with support for large and small bowls
US8733859B2 (en) Silverware basket for a dishwasher appliance
US10478042B2 (en) Baskets for use in a dishwasher appliance
KR101819503B1 (ko) 식기세척기의 랙
KR20070008807A (ko) 식기 세척기의 랙 구조
KR101875941B1 (ko) 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JP4123367B2 (ja) 食器洗浄機の食器かご
KR102034581B1 (ko) 식기세척기의 랙
JPH11290261A (ja) 食器洗浄機用食器籠
KR101238147B1 (ko) 식기 세척기의 랙
KR20140033693A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용 바스켓
US11730339B2 (en) Article holder assembly for a dishwasher appliance
WO2022121794A1 (zh) 用于洗碗机设备的物品保持器组件
KR200272336Y1 (ko) 식기세척기용 바구니
JP2002051959A (ja) 引き出し式食器洗浄機
KR200386351Y1 (ko) 식기 세척기의 랙
KR101286440B1 (ko) 식기 세척기의 식기 랙 구조
KR20070008811A (ko) 식기 세척기의 수저류 수납 구조
KR20230133660A (ko)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