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3613A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3613A
KR20150093613A KR1020150018064A KR20150018064A KR20150093613A KR 20150093613 A KR20150093613 A KR 20150093613A KR 1020150018064 A KR1020150018064 A KR 1020150018064A KR 20150018064 A KR20150018064 A KR 20150018064A KR 20150093613 A KR20150093613 A KR 20150093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cleaning tank
case
washing
dish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8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8247B1 (ko
Inventor
게이지 하라다
마코토 다케우치
기요야스 신카이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3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3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5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or tableware, e.g. nature or quant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1Baskets, e.g. for conveyor-type, in-sink type or hood-type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7Arrangements for extracting racks, e.g. roller suppor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케이스(1)와, 케이스(1) 내에 설치되는 세정조(2)와, 세정조(2)의 전면에 마련되고 케이스(1)의 전면을 덮는 도어(9)와, 세정조(2)의 수납 위치를 검지하는 위치 검지 장치(13)와, 수용된 식기류(4)를 세정하는 세정 장치(6)를 가진다. 또, 일련의 세정 운전을 제어함과 아울러, 위치 검지 장치(13)가 세정조(2)의 이동을 검지하면 세정 장치(6)의 운전을 정지하는 제어 장치(11)와, 세정조(2)의 수납 위치로부터 소정 위치까지의 적어도 일부에서 꺼냄 속도를 억제하는 제동력을 발생하는 제동 장치(14)를 가진다. 이것에 의해, 세정조(2)의 꺼냄시에, 세정수의 케이스(1) 밖으로의 튀어나옴을 방지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실현한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WASHER}
본 발명은 세정 노즐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하여 식기류를 세정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빌트인 타입의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세정 운전중에 사용자가 세정조를 꺼내려 했을 때, 분사된 세정수가 세정조로부터 날라나오지 않도록 구성된 빌트인 타입으로 인출식의 식기 세척기가,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30106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이하, 특허문헌 1이라고 기재함).
이하에,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의 식기 세척기에 대해서,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또, 도 8은 소위 인출 방식의 빌트인 타입의 식기 세척기가 시스템 키친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8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은 식기 세척기 본체로부터 세정조가 꺼내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적어도 전방(前方)으로 개구되는 식기 세척기 본체(101)와, 식기 세척기 본체(101) 내에 마련되는 세정조(102)와, 도어(102a)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정조(102)는, 위쪽에 개구를 갖고, 전후 방향(식기 세척기 본체(101)의 개구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도어(102a)는 세정조(102)의 앞부분에 마련되고, 식기 세척기 본체(101)의 전면(前面)을 덮는다. 세정조(102) 내에는, 식기 바구니(104)나, 세정 노즐(105) 등이 마련되어 있다. 식기 바구니(104)는 세정하는 식기류(103)를 탑재하여 수용한다. 세정 노즐(105)은 식기 바구니(104)에 탑재된 식기류(103)에 세정수를 분사하여 세정한다.
또한, 식기 세척기 본체(101) 내에서 세정조(102)의 후방에는, 마이크로 스위치(106)나 기어드 모터(geared motor)(107) 등이 배치되어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106)는 세정조(102)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검지한다. 기어드 모터(107)는 세정조(102)의 이동을 제 1 구속(拘束) 위치와 제 2 구속 위치에서 구속하도록 동작한다. 그리고, 기어드 모터(107)가 세정조(102)의 이동을 구속하고 있는 동안, 마이크로 스위치(106)가 제 1 구속 위치로부터 제 2 구속 위치로 세정조(102)가 이동한 것을 검지하여도, 소정 시간 이내에서는, 기어드 모터(107)에 의한 세정조(102)의 구속을 해제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도어(102a)의 손잡이(102b)를 잡고 세정조(102)를 꺼내려 하여도, 적어도 소정 시간 내는 세정조(102)를 제 2 구속 위치보다 앞으로 꺼낼 수 없다. 이것에 의해, 세정 노즐(105)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수가 세정조(102)로부터 밖으로 나오거나, 사용자에게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06130호 공보(이하, 특허문헌 2라고 기재함)에 개시되고 있는, 다른 예에 있어서의 종래의 식기 세척기에 대해서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다른 예에 있어서의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상부의 측면 단면도이다. 또, 도 9는 세정조(111)를 꺼내는 손잡이(113)와, 손잡이(113)에 손이 넣어진 것을 검지하는 손잡이 스위치(115)의 개요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식기 세척기는, 도 8에서 나타내는 식기 세척기와 마찬가지로, 식기 세척기 본체 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세정조(111)와, 세정조(111)의 전면에 마련된 도어(112) 등을 가진다. 또, 식기 세척기는 록(lock) 장치(도시하지 않음)와, 손잡이 스위치(115) 등을 구비한다. 도어(112)는 손잡이(113)와, 손잡이 레버(114) 등을 가진다. 손잡이(113)는 도어(112)의 상부에 마련되고, 사용자가 손잡이(113)에 손을 걸어 세정조(111)를 꺼낸다. 손잡이 레버(114)는 손잡이(113)의 내측에 회동 자유롭게 마련되어 있다. 록 장치는 세정조(111)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록 및 록을 해제한다. 손잡이 스위치(115)는 손잡이 레버(114)의 회동을 검지한다.
이하에, 상기 식기 세척기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세정조(111)를 꺼내려고 손잡이(113)에 손을 건다. 이 때, 손잡이 레버(114)가 위쪽에 눌려 축(114a)을 중심으로 각도 θ1만큼 회동한다. 이것에 의해, 손잡이(113)의 내측에 손을 걸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즉, 사용자가 손잡이 레버(114)를 회동시키지 않는 한, 손잡이(113)의 내부에 손을 걸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세정조(111)를 전방으로 꺼낼 수 없다.
그리고, 손잡이 스위치(115)는, 공간을 형성하는 손잡이 레버(114)가 각도 θ1보다 작은 각도 θ3만큼 회동한 시점에서, 손잡이 레버(114)의 회동을 검지한다.
다음으로, 손잡이 스위치(115)가 손잡이 레버(114)의 회동을 검지하면,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는 록 장치를 록 해제한다. 또, 제어 장치는 도시하지 않은 세정 노즐로부터 세정수를 분사시키는 세정 펌프의 동작을 정지한다.
즉, 상기 식기 세척기는, 사용자가 손잡이(113)에 손을 걸어, 손잡이 레버(114)를 각도 θ3만큼 회동시키면 록 장치가 해제된다. 그러나, 세정조(111)를 꺼내려면, 손잡이 레버(114)를 각도 θ1까지 회동시키기 때문에, 손을 더 걸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아주 조금이지만, 세정조(111)를 꺼내기까지 시간이 걸린다. 그리고, 그 시간 동안에, 제어 장치는 세정 펌프를 정지하고, 세정 노즐로부터의 세정수의 분사를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세정조(111) 내로부터 세정수가 기기 밖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식기 세척기의 구성은, 세정조의 이동을 록하는 방법으로서, 기어드 모터나 전자(電磁) 밸브 등을 사용한다. 이 경우, 식기 세척기의 운전 중에 정전이 발생하면, 세정조의 이동을 방지하는 록을 해제할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정전시에 있어서도, 세정조의 이동의 록을 해제할 수 있도록 어떠한 대응이 필요하다. 또한, 세정조의 이동을 록하는 기어드 모터나 전자 밸브 등은 전기 에너지를 소비하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의 추세에 반한다. 또, 사용자가 서둘러 세정조를 꺼낼 필요가 생긴 경우, 세정조가 록되어 있으면, 사용자는 당황하거나 불쾌감을 느끼는 등의 과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식기 세척기의 구성은, 사용자가 손잡이 레버를 밀어올리는 것에 의해, 록 장치의 록을 해제하여 세정조의 꺼냄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손잡이 레버를 밀어 올린 각도 θ3 내지 각도 θ1의 사이에, 제어 장치는 세정 펌프의 동작을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세정조를 꺼내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통상, 세정 펌프의 동작이 정지하고 나서, 세정 노즐로부터의 세정수의 분사가 완전하게 멈추기까지에는, 조금의 시간 지연이 발생한다. 그 때, 사용자가 세정조를 꺼내는 속도가, 상기 시간 지연 이상으로 느긋하게 꺼내는 경우이면 문제는 없다. 그러나, 서두르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에 손을 대어 힘차게 세정조를 꺼냈을 경우, 세정수의 분사가 완전하게 멈추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세정조 내로부터 세정수가 기기 밖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즉,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구성에서는, 사용자의 다양한 사용법에 대응하여, 세정조 내로부터의 세정수의 기기 밖으로의 튀어나옴을 확실히 방지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세정 운전 중에 있어, 사용자가 세정조를 꺼내는 경우에, 세정조의 꺼냄 속도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분사된 세정수가 세정조 밖으로 나와서 주위를 적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전면이 개구된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마련되고 상면이 개구된 세정조와, 세정조의 전면에 마련되고 세정조가 케이스 내의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 케이스의 전면을 개폐 자유롭게 덮는 도어를 가진다. 또한, 세정조가 수납 위치에 있는 것을 검지하는 위치 검지 장치와, 세정조 내에 수용된 식기류를 세정하는 세정 장치와, 세정 장치의 일련의 세정 운전을 제어함과 아울러, 세정조가 수납 위치로부터 이동한 것을 위치 검지 장치가 검지하면 세정 장치의 운전을 정지하는 제어 장치를 가진다. 또, 세정조의 수납 위치로부터 소정 위치까지의 적어도 일부에서, 꺼냄 속도를 억제하는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동 장치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세정 운전 중에 있어, 사용자가 세정조를 꺼내려고 했을 때에는 세정조의 꺼냄 속도를 제동 장치에서 억제한다. 그리고, 제동 장치가 세정조의 꺼냄 속도를 억제하고 있는 동안에, 제어 장치는 세정수의 분사를 완전하게 정지시킨다. 이것에 의해, 분사된 세정수가 케이스 밖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그 결과, 세정수로 케이스의 주위나 사용자를 적시는 일이 없는, 신뢰성이 뛰어난 식기 세척기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세정조가 케이스 내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동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세정조가 소정 위치까지 케이스로부터 꺼내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 모식도이다.
도 3은 동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세정조가 소정 위치를 넘어 케이스로부터 꺼내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 모식도이다.
도 4는 동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제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동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제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측면 단면 모식도이다.
도 7은 동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제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예에 따른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 상부의 측면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해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꺼냄 방식의 빌트인 타입의 식기 세척기가 시스템 키친에 수납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세정조가 케이스 내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동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세정조가 소정 위치까지 케이스로부터 꺼내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 모식도이다. 도 3은 동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세정조가 소정 위치를 넘어 케이스로부터 꺼내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 모식도이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세정조가 케이스 내에 완전하게 수용된 위치를 「수납 위치」로 하여 설명한다. 또,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도면 상의 왼쪽 방향을 세정조의 꺼냄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후의 도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식기 세척기는 박스 모양으로 형성되고 전면(前面)이 개구된 케이스(1)와, 케이스(1)의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설치되고 상면이 개구된 세정조(2)를 구비한다. 그리고, 식기 세척기는 시스템 키친 K에 수납된다.
세정조(2)는 케이스(1)의 양측벽의 내측에 수평으로 배치된 안내 레일(3)에 현가되어, 작은 힘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세정조(2)를 용이하게 케이스(1)의 밖으로 꺼내거나, 케이스(1) 내로 밀어넣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 세정조(2)는 내부에 식기류(4)를 정렬 배치해 수용하는 식기 바구니(5)와, 식기류(4)에 세정수를 분사하여 세정하는 세정 장치(6) 등을 구비하고 있다. 세정 장치(6)는 세정조(2)에 급수된 세정수를 순환시키는 세정 펌프(7)와, 세정 펌프(7)에서 압송된 세정수를 식기류(4)에 분사하는 세정 노즐(8) 등으로 더 구성되어 있다.
도어(9)는, 세정조(2)의 전방에 개폐 자유롭게 마련되고, 세정조(2)가 케이스(1)의 내부에 밀어넣어져 수용된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 케이스(1)의 전면을 덮는다. 그리고, 도어(9)의 전면(全面)에는, 식기 세척기가 수납되는 시스템 키친 K의 문이나 서랍과 동일한 디자인의 화장(化粧) 패널(9a)이 장착된다. 또, 도어(9)는 핸들(9b)을 구비하고 있다. 핸들(9b)은 사용자가 잡고, 세정조(2)를 케이스(1)의 밖으로 꺼내거나 케이스(1) 내에 밀어넣거나 할 때에 사용된다. 그리고, 핸들(9b)도, 시스템 키친 K의 문이나 서랍과 동일한 디자인으로 구성된다.
또,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는 대부분이 시스템 키친의 문과 동일한 디자인의 화장 패널이 장착되어 있지만, 일반적으로 핸들의 디자인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도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록을 해제하는 손잡이 레버 등의 조작 레버 등이 내장되어 있다. 또, 조작 스위치나 운전 램프 등이 도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식기 세척기는, 도어에 조작 레버, 조작 스위치나 운전 램프 등을 배치하지 않기 때문에, 도어(9)의 디자인을 시스템 키친과 동일한 디자인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언뜻 보아서는, 식기 세척기가 시스템 키친에 수납되어 있는 것이 판별되기 어려운, 통일성이 뛰어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중앙 뚜껑(10)은 케이스(1)의 내측 상부에 마련되고, 세정조(2)의 상면의 개구를 폐색(閉塞)한다. 중앙 뚜껑(10)은 세정조(2)의 개구와 대향하는 면에 패킹(10b)이 마련되고, 전후 1쌍의 링크를 포함하는 좌우 1쌍의 링크 기구(10a)에 의해 상하 이동 자유롭게 배치된다. 그리고, 중앙 뚜껑(10)은, 세정조(2)의 전후 방향의 움직임에 따라 링크 기구(10a)를 거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예를 들면 세정조(2)가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 상면의 개구를 폐색한다.
또한, 제어 장치(11)는, 세정조(2)와 도어(9) 사이에 설치되고, 식기 세척기의 세척 스텝, 헹굼 스텝, 건조 스텝 등의 일련의 세정 운전을 제어한다.
조작부(12)는 제어 장치(11)의 위쪽에 마련되고, 사용자가 일련의 운전의 설정 등을 행한다.
위치 검지 장치인 마이크로 스위치(13)는, 케이스(1)의 내부 후방(도어(9)와 대향하는 측)에 설치되고, 세정조(2)가 꺼내어져 수납 위치로부터 이동한 것을 검지한다. 마이크로 스위치(13)는 제어 장치(11)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세정조(2)의 수납 위치로부터의 이동을 마이크로 스위치(13)에서 검지하면, 제어 장치(11)는 세정 펌프(7)의 운전을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동 장치(14)는, 예를 들면 케이스(1)의 내측 측면에 설치되고, 세정조(2)의 꺼냄 속도를 억제하는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이 때, 세정조(2)의 측면에는, 제동 장치(14)와 연계되는 돌기부(15)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동 장치(14)는, 세정조(2)가 수납 위치로부터 꺼내어지는 경우, 수납 위치로부터 소정 위치까지의 적어도 일부에서, 세정조(2)의 꺼냄 속도를 억제하는 제동력을 발생한다. 또, 상기 소정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세정 노즐(8)로부터 분사된 세정수가 케이스(1)의 밖으로 나오지 않는 위치를 소정 위치로 한다. 구체적인 위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즉, 상기와 같이 소정 위치를 설정하면, 세정수가 케이스(1)의 밖으로 나오지 않는 세정조(2)의 위치가 명확해진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소정 위치까지 세정조(2)가 꺼내질 때에, 제동 장치(14)에서 필요한 제동력을 세정조(2)에 작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세정조(2)로부터의 세정수의 외부로의 튀어나옴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 본 실시 형태의 식기 세척기의 제동 장치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동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제동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또,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세정조가 케이스 내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의 제동 장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세정조(2)가 수납 위치에 있는 경우의 제동 장치(14)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세정조가 소정 위치까지 케이스로부터 꺼내진 상태에 있어서의 제동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동 장치(14)는 케이스(16)와, 케이스(16)의 내부에 댐퍼(17)와 돌기부(15)가 계합하는 받이부(18)와 용수철(19)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받이부(18)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16a)가 케이스(16)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댐퍼(17)는 세정조(2)의 이동 방향으로 출입하는 댐퍼 로드(17a)를 갖고, 한쪽 방향으로만 제동력을 발생하는 인장 댐퍼를 구성하고 있다. 즉, 댐퍼(17)는 댐퍼 로드(17a)가 꺼내질 때에 제동력을 발생한다. 한편, 댐퍼 로드(17a)가 밀어넣어질 때에는 제동력을 발생하지 않는다.
제동 장치(14)의 받이부(18)는 댐퍼 로드(17a)의 선단(先端)을 요동축(17b)으로 하여, 케이스(1)의 측면과 평행하게 요동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받이부(18)는 가이드부(16a)에 계합되는 예를 들면 2개의 가이드 핀(18a, 18b)을 가진다. 이것에 의해, 받이부(18)는 가이드부(16a)와 계합되어 가이드부(16a)를 따라 이동한다. 또, 받이부(18)는 하측이 패인 오목부(18c)를 갖고, 오목부(18c)는 세정조(2)에 마련된 돌기부(15)가 들어가도록 구성된다.
가이드부(16a)는 댐퍼(17)가 배치되는 반대의 단부(16c)측에서 위쪽으로 굽어지는 J자 형상을 갖고, 케이스(16)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동 장치(14)의 용수철(19)은, 예를 들면 인장 용수철로 구성되어 있다. 용수철(19)의 일단은 케이스(16)에 마련된 계지부(16b)에 계지된다. 용수철(19)의 타단은 요동축(17b)보다 상부에서 받이부(18)에 마련된 계지부(18d)에 계지된다. 이 때, 용수철(19)의 장력은 상시, 계지부(18d)에 작용함과 아울러, 댐퍼 로드(17a)를 밀어넣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받이부(18)가 가이드부(16a) 내에서 덜컹거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 용수철(19)의 장력은 댐퍼(17)가 가지는, 제동력이 발생하지 않는 밀어넣는 방향의 저항을 저감 혹은 해소하도록 작용한다.
즉,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정조(2)가 수납 위치에 들어간 상태에서는, 댐퍼(17)내에 댐퍼 로드(17a)가 밀어넣어진다. 이 때, 돌기부(15)는 받이부(18)의 오목부(18c) 내에 들어간다.
한편,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정조(2)가 꺼내어지는 상태에서는, 돌기부(15)와 함께 받이부(18)가 꺼내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받이부(18)는 돌기부(15)의 이동에 의해 가이드부(16a)를 따라 이동한다. 이 때, 꺼냄측의 가이드 핀(18a)은 J자 형상의 가이드부(16a)의 곡선에 의해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받이부(18)가 기울어져, 세정조(2)에 마련된 돌기부(15)와 오목부(18c)의 계지가 어긋난다. 이 경우, 용수철(19)은 길게 늘어진 상태로 된다. 그러나, 받이부(18)는 용수철(19)에 의해 받는 회전력에 의해서 가이드 핀(18a)이 가이드부(16a)의 곡선 단부에 계지되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받이부(18)와 함께, 가이드 핀(18a)은 상기 계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식기 세척기가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 상기 구성의 식기 세척기의 동작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도어(9)에 마련된 핸들(9b)을 잡고 세정조(2)를 꺼낸다. 다음에, 식기류(4)를 식기 바구니(5)에 배치하고 세제를 넣는다. 그 후, 사용자는 조작부(12)에 있는 코스 선택 버튼에 의해 운전 코스를 선택하고, 운전 개시의 버튼을 누른다.
그리고, 세정조(2)를 케이스(1) 내의 수납 위치까지 밀어넣는다. 이 때, 중앙 뚜껑(10)은 링크 기구(10a)에 의해 후방 및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세정조(2)의 개구를 폐색한다. 동시에, 위치 검지 장치인 마이크로 스위치(13)에 의해, 세정조(2)가 수납 위치에 있는 것을 검지한다. 그리고, 마이크로 스위치(13)에서 검지한 검지 신호를 제어 장치(11)에 보낸다. 이것에 의해, 제어 장치(11)는 식기 세척기의 세정 운전을 개시한다.
다음에, 세정 운전을 개시하면, 제어 장치(11)는 급수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열어, 세정수가 되는 수도물을 세정조(2) 내에 급수한다. 또, 제어 장치(11)는 히터(도시하지 않음)를 통전하여 세정수를 가열하고, 세정 펌프(7)를 구동하는 등의 제어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식기 세척기는 세정조(2)에 수용된 식기류(4)를 세정하는 일련의 세정 운전을 행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식기 세척기는, 상기와 같이 세정 운전을 행하고 있는 도중에도, 사용자는 식기류(4)의 넣고뺌 등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세정 운전 중에, 세정조(2)의 도어(9)에 마련된 핸들(9b)을 잡고, 세정조(2)를 꺼내게 된다.
이하에, 세정 운전 중에, 세정조(2)를 꺼낸 경우의 동작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세정 운전 중에 세정조(2)가 꺼내지면, 마이크로 스위치(13)가 세정조(2)의 수납 위치로부터의 이동을 검지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11)는,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척 스텝이나 헹굼 스텝의 도중이면, 세정 펌프(7)로의 통전을 즉시 정지한다. 이 때, 세정 펌프(7)는 세정수를 세정 노즐(8)에 압송하고 있다. 그 때문에, 세정 펌프(7)로의 통전을 정지하여도, 잔압이나 관성력에 의해 세정 노즐(8)로부터의 세정수의 분출은 빨리 정지하지 않는다. 즉, 세정 펌프(7)로의 통전 정지로부터, 단시간이지만 일정 기간 경과 후에, 세정 노즐(8)로부터 세정수의 분출이 완전하게 정지한다.
이 때 통상, 세정조(2)의 상면의 개구는 중앙 뚜껑(10)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세정조(2)가 꺼내어지는 당초에 있어, 중앙 뚜껑(10)이 위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여도 패킹(10b)의 탄성에 의해, 세정조(2)는 밀봉되어 있다. 즉, 패킹(10b)의 밀봉 작용이 효과가 발휘되고 동안은 세정수가 새는 일은 없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세정조(2)의 전단이 케이스(1)의 전단보다 앞으로 꺼내지지 않으면, 세정 노즐(8)로부터 분출된 세정수가 케이스(1)의 밖으로 튀어나오는 일은 없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세정조(2)의 전단이 케이스(1)의 전단까지 꺼내진 위치를 소정 위치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소정 위치는 세정수가 케이스(1)의 밖으로 나오지 않는 세정조(2)의 위치로서 명확하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에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소정 위치까지의 세정조(2)의 이동 시간에 근거하여, 세정수의 튀어나옴을 방지한다.
우선, 사용자의 꺼냄에 의한 세정조(2)의 이동을 마이크로 스위치(13)가 검지하고 나서, 세정 노즐(8)로부터의 세정수의 분출 정지까지의 시간을 정지 시간으로 한다. 또, 세정조(2)가 소정 위치까지 꺼내어지는 이동 시간을 꺼냄 시간으로 한다. 그리고, 정지 시간과 꺼냄 시간이 동일하거나 혹은 정지 시간보다 꺼냄 시간을 길어지도록, 제동 장치에서 세정조(2)의 꺼냄 시간을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세정수의 케이스(1) 밖으로의 튀어나옴을 미연에 방지한다.
즉, 세정조(2)의 제동 장치(14)는 상기 꺼냄 시간을 댐퍼(17)의 제동력에 의해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동 장치(14)는, 세정조(2)가 수납 위치로부터 꺼내어지는 경우에, 수납 위치로부터 소정 위치까지 소정 시간 이상 걸리도록 제동력을 발생시켜, 세정조(2)의 꺼냄 시간을 제어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제동 장치(14)의 동작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정조(2)가 수납 위치 A로부터 꺼내어질 때, 세정조(2)에 마련되어 있는 돌기부(15)는 꺼냄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돌기부(15)가 수납 위치 A로부터 받이부(18)의 오목부(18c)와 접촉하는 위치 B로 이동한 후, 받이부(18)는 돌기부(15)로 인장되어 더 이동한다. 그리고, 댐퍼(17)는, 받이부(18)과 함께 이동하는 오목부(18c)에 의해, 댐퍼 로드(17a)가 인출되어 제동력을 발생한다. 또, 발생하는 제동력은 사용자가 세정조(2)를 힘차게 꺼내려고 한 경우일수록 커진다. 한편, 댐퍼 로드(17a)를 천천히 꺼내는 경우에는 큰 제동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받이부(18)의 오목부(18c)의 폭 W1을 돌기부(15)의 폭 W2보다 크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수납 위치 A로부터 위치 B까지의 움직임의 시초에는 돌기부(15)가 받이부(18)를 이동시키지 않는다. 그 때문에, 댐퍼(17)에 의한 제동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가장 큰 힘이 필요하게 되는 최초에, 사용자가 세정조(2)를 꺼낼 때의 힘의 증가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 결과, 세정조(2)의 꺼냄시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사용감이 손상되지 않고, 위화감없이 세정조(2)의 꺼냄 조작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15)의 이동과 함께, 받이부(18)이 가이드부(16a)의 인출측의 단에 도달하면, J자 형상의 가이드부(16a)의 곡선 형상에 맞추어 받이부(18)가 기울어진다. 이것에 의해, 오목부(18c)와 돌기부(15)의 계지가 어긋난다. 그리고, 계지가 어긋난 이후는, 세정조(2)는 제동 장치(14)에 관계없이,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안내 레일(3)을 따라 부드럽게 꺼내어진다. 이 때, 받이부(18)는, 용수철(19)의 장력에 의해서, 도 5에 나타내는 기운 상태로 유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동 장치(14)는 동작한다.
즉, 세정조(2)가, 도 4에 나타내는 위치 B로부터, 도 5에 나타내는 소정 위치 C까지 꺼내어지는 동안, 제동 장치(14)의 댐퍼(17)의 제동력이 세정조(2)에 가해진다. 그리고, 소정 위치 C 이후에 있어서, 세정조(2)를 꺼내도 제동 장치(14)는 전혀 작용하지 않는다.
한편, 반대로, 세정조(2)를 케이스(1)내에 밀어넣는 경우, 꺼냄시에 있어 기운 상태로 유지된 받이부(18)의 오목부(18c)에 세정조(2)의 돌기부(15)가 들어간다. 그리고, 돌기부(15)에 접한 받이부(18)는 세정조(2)와 동시에 수납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댐퍼(17)는 제동력을 발생하지 않고, 용수철(19)의 장력이 받이부(18)에 작용한다.
또, 댐퍼(17)의 제동력의 크기는, 세정수의 정지 시간과, 세정조(2)의 꺼냄 시간이 동일하거나, 혹은 정지 시간보다 꺼냄 시간이 길어지도록 설정하면 된다.
또한 통상, 마이크로 스위치(13)가 검지하고 나서 세정 노즐(8)로부터의 세정수의 분출 정지까지의 정지 시간은, 예를 들면 약 0.4초이다. 그리고, 세정조(2)의 수납 위치로부터 도 2에 나타내는 세정조(2)의 소정 위치까지의 소정 치수는, 예를 들면 30㎜이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세정조(2)가 수납 위치로부터 소정 위치로 꺼내어질 때까지의 소정 시간을 0.5초로 하고 있다. 또, 소정 시간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세정수의 분출 정지 시간 이상이면 임의로 설정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세정 노즐(8)로부터의 세정수의 분출 정지까지의 정지 시간을 예측하여, 세정조(2)가 꺼내어질 때에 필요한 제동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세정조(2) 내로부터 세정수의 튀어나옴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JIS S1200:2012에 있어서, 수납 유닛의 꺼냄의 내구성 시험으로 추천되고 있는 꺼냄 개폐의 평균 이동 거리는 1초 동안당 0.25±0.1m이다. 즉, 꺼냄 개폐의 평균 속도는 0.15m/s~0.35m/s이다. 그리고, 상기 소정 치수 30㎜를 이동하는 평균 시간은 0.2초~0.09초가 된다.
그러나, 실제로 사용자가 식기 세척기의 세정조(2)를 꺼내는 경우, 세정조(2)의 중량은 수납 유닛의 꺼냄 중량보다 크고, 또 제동 장치(14)의 용수철(19)의 장력이 있다. 그래서, 실제의 식기 세척기에는, 도시하지 않은 꺼냄의 인입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 때문에, 실제로 식기 세척기의 세정조(2)를 꺼내는 경우, JIS의 수납 유닛보다 꺼냄 저항이 증가한다. 이들에 의해, 현실적으로는, 세정조(2)의 꺼냄 시간은 조금 길어진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세정조(2)가 수납 위치로부터 소정 위치에 도달하는 소정 시간을, 꺼냄 속도에 관계없이, 0.5초 이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가능한 한 소정 시간에 근접해지도록, 제동 장치(14)의 제동력을 설정하고 있다. 또, 제동 장치(14)의 제동력은, 세정조(2)가 꺼냄 속도가 빠르면 커지고, 늦으면 작아지도록, 속도에 따라 변화한다. 이것에 의해, 세정조(2)의 꺼냄 속도가 늦을 때에 제동력을 작게 하여, 꺼냄 시간이 무의미하게 연장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식기 세척기는, 세정조(2)가 수납 위치로부터 꺼내어질 때에, 수납 위치로부터 소정 위치까지의 적어도 일부에서, 꺼냄 속도를 억제하는 제동력을 발생하는 제동 장치(14)를 가진다. 그리고, 제동 장치(14)는, 세정 운전 중에, 사용자가 세정조(2)를 꺼내려고 한 경우, 세정조(2)의 꺼냄 속도를 억제한다. 이것에 의해, 세정조(2)가 소정 위치까지 꺼내어지는 동안에 세정수의 분사를 완전하게 멈출 수 있다. 그 결과, 세정 노즐로부터 분사된 세정수가 케이스(1)의 밖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막아, 세정수가 주위를 적시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식기 세척기는 제동 장치(14)를 댐퍼(17)로 구성한다. 이것에 의해, 전기 에너지의 소비를 없애서, 에너지 절약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제동 장치(14)는, 사용자가 세정조(2)를 서둘러 꺼내려고 한 경우, 세정조(2)의 이동에 제동력을 작용시킬 뿐이며, 세정조(2)의 이동을 잠그지 않는다. 그 때문에, 세정조(2)의 록 등에 의한 사용자의 당황스러움이나, 불쾌감을 일으키거나 하는 일이 없다. 또한, 제동 장치(14)의 댐퍼(17)는 세정조(2)를 꺼내는 방향으로만 제동력을 발생한다. 그 때문에, 세정조(2)를 케이스(1) 내에 밀어넣어 수납할 때에, 사용자가 여분의 힘을 더할 필요가 없다. 이것에 의해, 세정조(2)를 부드럽게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식기 세척기는 제동 장치(14)에서 발생시키는 제동력을 세정조(2)의 꺼냄 속도에 따라 변화시킨다. 그 때문에, 세정조(2)를 느긋하게 꺼내는 경우, 제동력의 발생이 억제되므로, 사용자는 여분의 힘을 더할 필요가 없다. 이것에 의해, 세정조(2)의 꺼냄 시간이 무의미하게 연장되는 것이 억제된다. 반대로, 세정조(2)가 힘차게 꺼내어지는 경우, 제동 장치(14)는 큰 제동력을 발생하여, 세정조(2)의 꺼냄 시간을 소정 시간 이상으로 되도록 조정한다. 즉, 사용자의 다양한 사용법에 대응하여 꺼냄 속도를 조정해서, 세정수가 케이스(1)의 밖으로 튀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에 대해, 사용하기가 향상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식기 세척기는, 도어(9)의 화장 패널 및 핸들을, 시스템 키친의 문 등의 디자인에 맞추어 구성한다. 즉,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화장 패널 부분은 시스템 키친의 문의 디자인에 맞추고 있지만, 핸들에 대해서는 식기 세척기의 독자적인 디자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도어(9)는 핸들에 기능을 갖게 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도어(9)의 화장 패널(9a)과 핸들(9b)을 맞춘 전체를 시스템 키친의 문의 디자인에 맞추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시스템 키친과 일체화된 디자인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시스템 키친의 디자인성이 향상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동 장치(14)에 있어서, 가이드부(16a)에 대한 댐퍼(17)의 위치를 세정조(2)의 꺼냄 방향과 반대측에 마련한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댐퍼(17)의 위치는 꺼냄 방향측이어도 좋고, 위쪽이나 아래쪽이어도 좋다. 또, 댐퍼(17)는 경사지게 마련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동 장치(14)의 댐퍼(17)로서, 인장 댐퍼를 이용하여 구성한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압축 댐퍼를 이용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댐퍼(17)의 위치를 반전시켜, 꺼냄측에 배치한다. 또, 로터리 댐퍼와 랙 앤드 피니언에 의해 구성하여도 좋다. 즉, 세정조(2)의 꺼냄시에 있어, 적절한 제동력을 발생하는 댐퍼이면, 댐퍼의 종류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동 장치(14)의 하부에서 계지되도록 돌기부(15)를 세정조(2)에 마련하는 구성을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제동 장치(14)의 상하를 반전시키고, 돌기부(15)를 제동 장치(14)의 위쪽에서 계지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동 장치(14)와 돌기부(15)를 케이스(1) 내의 측면 후부에 구성한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케이스(1) 내의 측면 전부에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제동 장치(14)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 자신이 케이스(1)의 전면(前面)으로부터 제동 장치(14)의 문제를 조정할 수 있다. 문제란, 예를 들면 세정조(2)를 꺼낸 상태에서 제동 장치(14)의 받이부(18)가, 도 5에 나타내는 본래의 기운 위치로부터 도 4에 나타내는 수납 위치 상태로 된 경우 등에 있어서, 본래의 기운 위치에, 사용자 자신이 용이하게 되돌려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동 장치(14)를 케이스(1)의 좌우 측면의 어느 한쪽측에 부착하는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보다 큰 제동력이 필요한 경우, 좌우의 양측에 제동 장치를 부착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동 장치(14)를 케이스(1)의 측면에 부착하고, 돌기부(15)를 세정조(2)의 측벽 외측에 부착한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동 장치(14)를 세정조(2)의 측면에 부착하고, 돌기부(15)를 케이스(1)의 측벽 내측에 부착하여도 좋고, 동일한 동작에 의해,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 형태 2)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구성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측면 단면 모식도이다. 도 7은 동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식기 세척기의 제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식기 세척기는 제동 장치의 구성이 실시 형태 1과는 상이하다. 또, 제동 장치 이외의 구성이나, 동작·작용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제동 장치(20)는, 케이스(1)의 내측벽에, 예를 들면 세로 방향으로 고정되는 댐퍼 로드(20b)를 가지는 압축 댐퍼(20a)로 구성되어 있다. 댐퍼 로드(20b)는, 선단에 회전축(20c)을 갖고, 회전축(20c)에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당접면(22) 상을 회전 자유롭게 접촉하는 롤러(21)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제동 장치(20)는 댐퍼 로드(20b)가 인출되는 방향으로는 제동력을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당접면(22)은, 세정조(2)의 측면벽에, 도어(9)측으로부터 후방으로 향해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당접면(22)은, 제동 장치(20)의 롤러(21)의 외주면이 접촉하고, 세정조(2)의 이동과 함께 롤러(2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압축 댐퍼(20a)의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당접면(22)은, 도어(9)측으로부터, 수평면(22a), 경사면(22b) 및 수평면(22c)으로 구성되어 있다. 당접면(22)의 수평면(22a)은 도 6에 나타내는 세정조(2)가 케이스(1) 내의 수납 위치에 있을 때(도 1의 세정조 위치와 동등)에, 롤러(21)가 접촉하는 위치 A의 근방에서 가장 낮은 위치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다. 당접면(22)의 경사면(22b)은, 세정조(2)가 조금 꺼내어질 때에, 롤러(21)가 접촉하는 위치 B로부터 위치 C(도 2의 세정조 위치에 상당)까지 오름 경사(댐퍼 로드(20b)를 압축할 방향)로 형성되어 있다. 또, 경사면(22b)은,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도 2의 세정조가 수납 위치 근방의 위치 B로부터, 위치 C로 나타내는 소정 위치까지 이동하는 영역에 상당한다. 또, 당접면(22)의 수평면(22c)은, 가장 높은 위치에서, 위치 B로부터, 세정조(2)가 완전하게 꺼내어지는 위치 D까지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수평면(22c)은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도 3의 세정조가 이동하는 영역의 위치에 상당한다.
그리고, 제동 장치(20)는, 세정조(2)가 수납 위치로부터 꺼내어질 때에, 수납 위치(위치 A)로부터 소정 위치(위치 C)까지의 이동에 소정 시간 이상 걸리도록 제동력을 발생한다. 또, 압축 댐퍼(20a)의 제동력의 크기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제동 장치(20)의 동작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정조(2)가 수납 위치(위치 A)로부터 꺼내어질 때, 세정조(2)에 마련된 당접면(22)은 꺼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제동 장치(20)의 롤러(21)는 당접면(22)의 수평면(22a) 상을 회전하면서 이동한다. 또, 접촉하는 위치 A로부터 위치 B까지는, 세정조(2)가 움직이기 시작하여, 당접면(22)의 수평면(22a)을 이동한다. 이 동안, 롤러(21)는 댐퍼 로드(20b)를 압축 댐퍼(20a) 내로 밀어넣지 않는다. 그 때문에, 압축 댐퍼(20a)에 의한 제동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가장 큰 힘이 필요한 최초에 사용자가 세정조(2)를 꺼낼 때의 힘의 증가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 결과, 세정조(2)의 꺼냄시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사용감이 손상되지 않고, 위화감없이 세정조(2)의 꺼냄 조작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세정조(2)의 꺼냄과 함께, 롤러(21)는 위치 B로부터 위치 C의 당접면(22)의 경사면(22b)을 이동한다. 이 때, 압축 댐퍼(20a)는, 당접면(22) 위를 굴러서 이동하는 롤러(21)에 의해 댐퍼 로드(20b)를 밀어넣어 제동력을 발생한다. 또, 발생하는 제동력은, 사용자가 세정조(2)를 힘차게 꺼내려고 한 경우일수록, 댐퍼 로드(20b)가 힘차게 밀어넣어지기 때문에 커진다. 한편, 댐퍼 로드(20b)를 느긋하게 꺼내는 경우에는, 큰 제동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 세정조(2)의 꺼냄과 함께, 롤러(21)는 위치 C로부터 위치 D까지의 당접면(22)의 수평면(22c)을 이동한다. 이 때, 롤러(21)는 댐퍼 로드(20b)를 압축 댐퍼(20a) 내에 밀어넣지 않는다. 그 때문에, 압축 댐퍼(20a)에 의한 제동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 당접면(22)이 접하는 롤러(21)의 회전 저항은 사용자가 세정조(2)를 꺼낼 때에 느끼는 중량에 의한 저항에 비해 경미하다. 그 때문에, 사용자에 대해, 위화감 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즉, 세정조(2)가 위치 B로부터 위치 C까지 꺼내어지는 동안만, 제동 장치(20)의 압축 댐퍼(20a)의 제동력이 세정조(2)에 작용한다. 반대로, 꺼낸 세정조(2)를 케이스(1) 내에 밀어넣는 경우, 압축 댐퍼(20a)는 당접면(22)의 경사면(22b)을 따라 댐퍼 로드(20b)가 압축 댐퍼(20a)로부터 인출된다. 그 때문에, 제동 장치(20)는 제동력을 발생하지 않는다. 또, 댐퍼 로드(20b)를 인출하는 방법은, 부가된 압축 용수철(도시하지 않음)이나, 댐퍼 로드(20b)와 롤러(21)의 중량에 의해 인출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즉, 제동력을 발생하는 일없이 댐퍼 로드(20b)를 인출하는 구성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댐퍼 로드(20b)와 당접면(22)이 롤러(21)를 통해 회전하면서 접촉하는 구성을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댐퍼 로드(20b)의 선단이 당접면(22)을 슬라이딩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당접면(22)과 댐퍼 로드(20b)의 슬라이딩 저항이, 사용자에 위화감을 주지 않을 정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전면이 개구된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설치되고 상면이 개구된 세정조와, 세정조의 전면(前面)에 마련되고 세정조가 케이스 내의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 케이스의 전면(前面)을 개폐 자유롭게 덮는 도어를 가진다. 또한, 세정조가 수납 위치에 있는 것을 검지하는 위치 검지 장치와, 세정조 내에 수용된 식기류를 세정하는 세정 장치와, 세정 장치의 일련의 세정 운전을 제어함과 아울러에, 세정조가 수납 위치로부터 이동한 것을 위치 검지 장치가 검지하면 세정 장치의 운전을 정지하는 제어 장치를 가진다. 또, 세정조의 수납 위치로부터 소정 위치까지의 적어도 일부에서, 꺼냄 속도를 억제하는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동 장치를 가져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세정 운전 중에 있어, 사용자가 세정조를 꺼내려고 했을 때에는 세정조의 꺼냄 속도를 제동 장치에서 억제한다. 그리고, 제동 장치가 세정조의 꺼냄 속도를 억제하고 있는 동안에, 제동 장치는 세정수의 분사를 완전하게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분사된 세정수가 케이스의 밖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그 결과, 세정수로 케이스의 주위나 사용자를 적시는 일이 없는, 신뢰성이 뛰어난 식기 세척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소정 위치는, 세정 장치에 포함되는 세정 노즐로부터 분사된 세정수가 케이스의 밖으로 튀어나오지 않는 위치이면 좋다. 이것에 의해, 세정수가 케이스의 밖으로 튀어나오지 않는 세정조의 위치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세정조가 꺼내어지는 경우에, 필요한 제동력을 작용시켜, 확실히 세정수의 튀어나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제동 장치는, 세정조가 수납 위치로부터 꺼내어질 때에 수납 위치로부터 소정 위치까지 소정 시간 이상 걸리도록 제동력을 발생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세정조를 꺼내는 경우에, 필요한 제동력을 작용시켜 꺼냄 속도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세정조로부터의 세정수의 튀어나옴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소정 시간은, 위치 검지 장치가 세정조의 이동을 검지하고 나서 세정 노즐로부터의 세정수의 분사가 정지될 때까지의 시간이면 좋다. 이것에 의해, 세정 노즐로부터의 세정수의 분출 정지까지의 정지 시간을 예측하여, 세정조를 꺼낼 때에 필요한 제동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세정조의 꺼냄 속도를 억제하여, 확실히 세정수의 튀어나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제동 장치는 세정조가 꺼내어지는 속도에 따라 제동력을 변화시켜도 좋다. 이것에 의해, 세정조를 느긋하게 꺼내는 경우, 사용자는 여분의 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꺼냄 시간이 무의미하게 길어지는 것을 미연에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세정조를 힘차게 꺼내는 경우, 제동 장치는 큰 제동력을 발생시켜, 세정조의 이동을 세정수의 정지 시간 이상으로 제어한다. 즉, 사용자의 다양한 사용법에 대응하여, 세정조의 꺼냄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세정수가 기기 밖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제동 장치는, 세정조의 수납 위치로부터의 움직임 초기에 제동력을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가장 큰 힘이 필요한 최초에 사용자가 세정조를 꺼낼 때의 힘의 증가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 결과, 사용자의 사용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제동 장치를 댐퍼에 의해 구성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소비하는 일이 없다. 또한, 사용자가 세정조를 서둘러 꺼내는 경우, 세정조의 이동에 대해 제동력만을 작용시킬 수 있다. 즉, 세정 장치가 록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당황스러움이나 불쾌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댐퍼는 세정조가 꺼내어지는 방향에서만 제동력을 발생시키면 좋다. 이것에 의해, 세정조를 밀어넣을 때에, 사용자는 여분의 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결과, 사용자는 위화감없이 세정 장치를 케이스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도어는 수납되는 시스템 키친의 문의 디자인에 맞춘 핸들과 화장 패널을 장착 가능하게 구성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시스템 키친과 일체화하여, 시스템 키친의 디자인성이 향상된다.

Claims (9)

  1. 전면(前面)이 개구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설치되고 상면(上面)이 개구된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의 전면(前面)에 마련되고 상기 세정조가 상기 케이스 내의 수납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케이스의 전면(前面)을 개폐 자유롭게 덮는 도어와,
    상기 세정조가 상기 수납 위치에 있는 것을 검지하는 위치 검지 장치와,
    상기 세정조 내에 수용된 식기류를 세정하는 세정 장치와,
    상기 세정 장치의 일련의 세정 운전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세정조가 상기 수납 위치로부터 이동한 것을 상기 위치 검지 장치가 검지하면 상기 세정 장치의 운전을 정지하는 제어 장치와,
    상기 세정조의 상기 수납 위치로부터 소정 위치까지의 적어도 일부에서, 꺼냄 속도를 억제하는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동 장치
    를 가지는 식기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위치는 상기 세정 장치에 포함되는 세정 노즐로부터 분사된 세정수가 상기 케이스의 밖으로 튀어나오지 않는 위치로 하는 식기 세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장치는 상기 세정조가 상기 수납 위치로부터 꺼내어질 때에 상기 수납 위치로부터 상기 소정 위치까지 소정 시간 이상 걸리도록 상기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식기 세척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은 상기 위치 검지 장치가 상기 세정조의 이동을 검지하고 나서 상기 세정 노즐로부터의 세정수의 분사가 정지할 때까지의 시간인 식기 세척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장치는 상기 세정조가 꺼내어지는 속도에 따라, 상기 제동력을 변화시키는 식기 세척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장치는, 상기 세정조의 상기 수납 위치로부터의 움직임 초기에, 상기 제동력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제어하는 식기 세척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장치는 댐퍼에 의해 구성된 식기 세척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세정조가 꺼내어지는 방향으로만 상기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식기 세척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수납되는 시스템 키친의 문의 디자인에 맞춘 핸들과 화장(化粧) 패널을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식기 세척기.
KR1020150018064A 2014-02-07 2015-02-05 식기 세척기 KR1023282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21951A JP6244549B2 (ja) 2014-02-07 2014-02-07 食器洗い機
JPJP-P-2014-021951 2014-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613A true KR20150093613A (ko) 2015-08-18
KR102328247B1 KR102328247B1 (ko) 2021-11-17

Family

ID=53803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064A KR102328247B1 (ko) 2014-02-07 2015-02-05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44549B2 (ko)
KR (1) KR102328247B1 (ko)
CN (1) CN104825110B (ko)
TW (1) TWI64582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2223A (zh) * 2017-10-11 2018-03-16 广东浩喜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双层碗篮水槽式洗碗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17465B2 (ja) * 2016-12-14 2023-07-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食器洗い機
CN107320040A (zh) * 2017-08-30 2017-11-07 太仓博轩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家用清洗设备的智能清洗机构
JP6931773B2 (ja) * 2017-11-28 2021-09-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食器洗い機
CN108926312A (zh) * 2018-10-18 2018-12-04 合肥峰腾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双腔室家用节能洗碗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907B1 (ko) * 2002-06-13 2004-11-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식기세정기
KR20070038009A (ko) * 2005-10-04 2007-04-09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식기 세척기
JP2007301065A (ja) * 2006-05-10 2007-1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い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5002B2 (ja) * 1998-12-02 2000-10-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浄機
JP3894741B2 (ja) * 2001-03-28 2007-03-22 株式会社ハーマンプロ 食器洗浄機
JP3912998B2 (ja) * 2001-04-19 2007-05-09 株式会社東芝 食器洗浄機
JP2003088488A (ja) * 2001-09-19 2003-03-25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い機
JP4339574B2 (ja) * 2002-11-05 2009-10-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浄機
JP3985715B2 (ja) * 2003-04-03 2007-10-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い機
JP4142527B2 (ja) * 2003-08-08 2008-09-03 リンナイ株式会社 食器洗浄機
JP2005204790A (ja) * 2004-01-21 2005-08-04 Nix Inc 引出しの緩衝装置およびスライド制御方法
JP5158121B2 (ja) * 2010-03-29 2013-03-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CN103052348B (zh) * 2010-07-29 2015-07-0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餐具清洗机
TWI568400B (zh) * 2012-02-09 2017-02-01 Panasonic Corp Tableware cleaning ma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907B1 (ko) * 2002-06-13 2004-11-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식기세정기
KR20070038009A (ko) * 2005-10-04 2007-04-09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식기 세척기
JP2007301065A (ja) * 2006-05-10 2007-1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い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2223A (zh) * 2017-10-11 2018-03-16 广东浩喜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双层碗篮水槽式洗碗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44549B2 (ja) 2017-12-13
TW201532585A (zh) 2015-09-01
CN104825110B (zh) 2017-08-01
TWI645827B (zh) 2019-01-01
KR102328247B1 (ko) 2021-11-17
JP2015146936A (ja) 2015-08-20
CN104825110A (zh) 2015-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3613A (ko) 식기 세척기
US11453966B2 (en) Washing machine
KR100680203B1 (ko) 하측 개방형 전후 이동 도어를 갖는 세탁물 처리 장치
WO2014167789A1 (ja) 食器洗い機
JP4650335B2 (ja) 食器洗い機
JP2002200025A (ja) 食器洗浄機
JP4761572B2 (ja) 引き出し式食器洗浄機
JP2006346314A (ja) 食器洗浄装置
JP4337601B2 (ja) 脱水機
JP6226602B2 (ja) 食器洗浄機
JP4780798B2 (ja) 食器洗浄機
JP2004049443A (ja) 食器洗浄機
JP2008093084A (ja) 食器洗い機
JP7340437B2 (ja) 局部洗浄装置及び水洗便器
JP4396685B2 (ja) 食器洗い機
JP6238730B2 (ja) 食器洗浄機
KR102475340B1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닫힘 매커니즘
JP2009100993A (ja) 食器洗浄機
JP5048473B2 (ja) 食器洗浄機
JP4150654B2 (ja) 食器洗浄機
JP3767278B2 (ja) 食器洗い機
JP6339551B2 (ja) 食器洗浄機
JP4957443B2 (ja) 食器洗い機
JP2015128514A (ja) 食器洗浄機
CN114867402A (zh) 擦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