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1853A - Jedec 규격의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반도체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Jedec 규격의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반도체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1853A
KR20020031853A KR1020000062608A KR20000062608A KR20020031853A KR 20020031853 A KR20020031853 A KR 20020031853A KR 1020000062608 A KR1020000062608 A KR 1020000062608A KR 20000062608 A KR20000062608 A KR 20000062608A KR 20020031853 A KR20020031853 A KR 20020031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signal
column address
output
wr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2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4637B1 (ko
Inventor
나원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62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4637B1/ko
Priority to US09/847,791 priority patent/US6483769B2/en
Priority to TW090114259A priority patent/TW512344B/zh
Priority to JP2001223565A priority patent/JP4007776B2/ja
Publication of KR20020031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1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6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8Address timing or clocking circuits; Address control signal generation or management, e.g. for row address strobe [RAS] or column address strobe [CAS]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2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for memories with random access ports synchronised on clock signal pulse trains, e.g. synchronous memories, self timed memories

Abstract

JEDEC 규격의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명령어 입력 핀들, 어드레스 입력 핀들, 명령어 디코더, 칼럼 어드레스 결정부, 기입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 독출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 및 칼럼 어드레스 레이턴시 제어부를 구비한다. 명령어 입력 핀들 및 어드레스 입력 핀들을 통해서는 각각 외부의 명령어 신호 및 어드레스 신호가 인가된다. 명령어 디코더는 인가되는 명령어 신호를 디코딩한다. 기입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 및 독출 명령어 제어부는 명령어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기입 명령어와 독출 명령어를 각각 수신하여, 레이턴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클럭 신호의 싸이클의 N/2 배만큼 지연한다. 칼럼 어드레스 레이턴시 제어부는 칼럼 어드레스 결정부에서 출력되는 칼럼 어드레스 신호를 수신하여, 레이턴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클럭 신호의 싸이클의 N/2 배만큼 지연한다. 여기서, N은 0이상의 정수이다. 레이턴시 제어 신호는 확장 모드 레지스터 셋의 설정값에 따라 활성화되는 신호로서, 추가적인 카스 레이턴시 양을 결정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동기식 반도체 장치와 외부 컨트롤러 사이의 버스 사용 효율이 증가된다.

Description

JEDEC 규격의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SDRAM having posted CAS of JEDEC Standard}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동작하는 동기식 디램(SDRAM,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SDRAM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클락 신호에 동기되어 독출(read) 또는 기입(write) 동작이 제어된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중에서 DRAM에서는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브(Row Address Strobe, RAS) 활성 명령을 준 후에 일정 시간이 지나야 독출(Write) 또는 기입(Read) 명령과 같은 카스 명령(CAS command, CAS:Column Address Atrobe)를 줄 수 있다. 이 시간이 tRCD로 표현되는 시간이다. 즉, RAS 활성 명령을 준 다음, tRCD 시간이 지나야만 독출 또는 기입 명령을 줄 수 있다. SDRAM의 경우, tRCD는 통상 2~3 클럭 싸이클(clock cycle)이 소요된다. 하나의 클럭 싸이클을 tCC로 표현하므로, tRCD는 2~3 tCC가 된다.
따라서, 종래의 SDRAM에서는 SDRAM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에서 tRCD를 고려하여, RAS 활성 명령 후 적절한 타이밍에 독출 또는 기입 명령을 주어야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SDRAM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또는 사용자가 SDRAM의 tRCD 사양을 일일이 고려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컨트롤러와 SDRAM의 명령어 입력 핀까지의 버스(bus) 사용 효율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 등으로 인해, 국제전자표준화 기구인 JEDEC(Joint Electronic Device Engineering Council)에서 추가적인 카스 레이턴시(additive CAS latency) 기능(또는 Posted CAS 기능이라고도 함)을 요구하여, 규격화하기에 이르렀다. JEDEC은 DDR(Double Data Rate) SDRAM의 업그레이드된 버전인 DDR2 SDRAM에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넣기를 요구한다. 또한, JEDEC 규격에서는 SDRAM의 확장 모드 레지스터 셋(Extended Mode Register Set, 이하 EMRS라 함)을 통하여 추가적인 카스 레이턴시를 몇 tCC로 할 것인지를 미리 설정할 수 있도록 요구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동기식 디램과 외부 컨트롤러 사이의 버스 사용 효율을 증가시키며, JEDEC의 포스티드 카스 기능에 대한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동기식 디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동기식 디램의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디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디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동작하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포스티드 카스 레이턴시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명령어 신호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 입력 핀들; 상기 명령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명령어 신호에 대응하는 디코딩된 명령어를 출력하는 명령어 디코더; 및 상기 명령어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상기 디코딩된 명령어들 중에서 기입 명령어를 수신하고, 소정의 레이턴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입 명령어를 상기 클럭 신호의 싸이클의 N/2 배만큼 지연하여 지연 기입 명령어를 출력하는 기입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N은 0 이상의 정수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레이턴시 제어 신호는 확장 모드 레지스터 셋의 설정값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면도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동작하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포스티드 카스 레이턴시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명령어 신호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 입력 핀들; 상기 명령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명령어 신호에 대응하는 디코딩된 명령어를 출력하는 명령어 디코더; 및 상기 명령어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상기 디코딩된 명령어들 중에서 독출 명령어를 수신하고, 소정의 레이턴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독출 명령어를 상기 클럭 신호의 싸이클의 N/2 배만큼 지연하여 지연 독출 명령어를 출력하는 독출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N은 0 이상의 정수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레이턴시 제어 신호는 확장 모드 레지스터 셋의 설정값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도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동작하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포스티드 카스 레이턴시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어드레스 신호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어드레스 입력 핀들;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어드레스 신호가 칼럼 어드레스 신호이면,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칼럼 어드레스 신호로서 칼럼 어드레스 경로로 출력하는 칼럼 어드레스 결정부; 및 상기 칼럼 어드레스 경로상에 위치하고, 소정의 레이턴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칼럼 어드레스 신호를 상기 클럭 신호의 싸이클의 N/2 배만큼 지연하여 지연 칼럼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하는 칼럼 어드레스 레이턴시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N은 0 이상의 정수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레이턴시 제어 신호는 확장 모드 레지스터 셋의 설정값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도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동작하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포스티드 카스 레이턴시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명령어 신호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 입력 핀들; 상기 명령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명령어 신호에 대응하는 디코딩된 명령어를 출력하는 명령어 디코더; 상기 명령어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상기 디코딩된 명령어들 중에서 기입 명령어를 수신하여, 소정의 레이턴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입 명령어를 상기 클럭 신호의 싸이클의 N/2 배만큼 지연하여 지연 기입 명령어를 출력하는 기입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 및 상기 명령어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상기 디코딩된 명령어들 중에서 독출 명령어를 수신하여, 상기 레이턴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독출 명령어를 상기 클럭 신호의 싸이클의 N/2 배만큼 지연하여 지연 독출 명령어를 출력하는 독출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N은 0 이상의 정수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레이턴시 제어 신호는 확장 모드 레지스터 셋의 설정값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도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동작하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포스티드 카스 레이턴시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명령어 신호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 입력 핀들;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어드레스 신호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어드레스 입력 핀들; 상기 명령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명령어 신호에 대응하는 디코딩된 명령어를 출력하는 명령어 디코더; 상기 명령어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상기 디코딩된 명령어들 중에서 기입 명령어를 수신하고, 소정의 레이턴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입 명령어를 상기 클럭 신호의 싸이클의 N/2 배만큼 지연하여 지연 기입 명령어를 출력하는 기입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 상기 명령어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상기 디코딩된 명령어들 중에서 독출 명령어를 수신하고, 소정의 레이턴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독출 명령어를 상기 클럭 신호의 싸이클의 N/2 배만큼 지연하여 지연 독출 명령어를 출력하는 독출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어드레스 신호가 칼럼 어드레스 신호이면,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칼럼 어드레스 신호로서 칼럼 어드레스 경로로 출력하는 칼럼 어드레스 결정부; 및 상기 칼럼 어드레스 경로상에 위치하고, 상기 레이턴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칼럼 어드레스 신호를 상기 클럭 신호의 싸이클의 N/2 배만큼 지연하여 지연 칼럼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하는 칼럼 어드레스 레이턴시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N은 0 이상의 정수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레이턴시 제어 신호는 확장 모드 레지스터 셋의 설정값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각 도면을 통하여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신호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이전에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포스티드 카스 기능은 JEDEC 규격에서 그 값을 몇 tCC로 할 것인지 EMRS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미리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tRCD가 3CLK인 SDRAM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가정하자. 여기서, 단위 CLK은 클럭 싸이클을 나타낸다. SDRAM의 사용자가 RAS 활성 명령으로부터 3CLK 후에 기입 또는 독출 명령을 주고 싶으면, EMRS에서 포스티드 카스 모드를 모드0으로 설정하면 된다. 이 경우, SDRAM은 내부적으로 기입 또는 독출 명령에 추가적인 카스 레이턴시를 주지 않는다. 사용자가 RAS 활성 명령으로부터2CLK 후에 기입 또는 독출 명령을 주고 싶으면, EMRS에서 포스티드 카스 모드를 모드1로 설정하면 된다. 이 경우, SDRAM은 내부적으로 기입 또는 독출 명령에 추가적인 1CLK의 카스 레이턴시를 준다. 사용자가 포스티드 카스 모드를 모드2로 설정하면, SDRAM은 내부적으로 기입 또는 독출 명령에 추가적인 2CLK의 카스 레이턴시를 준다. 이와 같은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SDRAM의 동작은 도 1에 잘 나타나 있다.
도 1은 SDRAM의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tRCD를 3CLK, 카스 레이턴시(CAS latency)를 3, 버스트 길이(Burst Length)를 4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도 1은 독출 명령에 대하여 추가적인 카스 레이턴시를 주는 경우의 도면이다.
도 1a는 포스티드 카스 모드를 모드0으로 설정한 경우의 타이밍도이다. 모드0이란 추가적인 카스 레이턴시를 주지 않은 경우이다. 따라서, 독출 명령(RD)은 RAS 액티브 명령(RA)으로부터 tRCD인 3CLK 후에 인가되어야 한다. 그리고, 독출 데이터(DQ)는 독출 명령(RD)으로부터 카스 레이턴시인 3CLK후에 출력된다.
도 1b는 포스티드 카스 모드를 모드1로 설정한 경우의 타이밍도이다. 모드1이란 추가적인 카스 레이턴시를 1CLK으로 준 경우이다. 따라서, 독출 명령(RD)은 RAS 액티브 명령(RA)으로부터 2CLK 후에 인가되어야 한다. 그리고, 독출 데이터(DQ)는 독출 명령(RD)으로부터 카스 레이턴시(3CLK)에 추가적인 카스 레이턴시(1CLK)를 더한 4CLK후에 출력된다.
도 1c는 포스티드 카스 모드를 모드2로 설정한 경우의 타이밍도이다. 모드2이란 추가적인 카스 레이턴시를 2CLK으로 준 경우이다. 따라서, 독출 명령(RD)은 RAS 액티브 명령(RA)으로부터 1CLK 후에 인가되어야 한다. 그리고, 독출 데이터(DQ)는 독출 명령(RD)으로부터 카스 레이턴시(3CLK)에 추가적인 카스 레이턴시(2CLK)를 더한 5CLK후에 출력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듯이, RAS 액티브 명령(RA)으로부터 독출 데이터(DQ)가 출력되는 시점은 일정하다. 그러나, 포스티드 카스 레이턴시 기능을 사용하면, RAS 액티브 명령(RA)으로부터 독출 명령(RD)을 인가하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디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디램은 하나 이상의 명령어 입력 핀들(110), 명령어 입력 버퍼들(182,184,186,188), 명령어 디코더(120), 기입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140) 및 독출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160)를 구비한다.
명령어 입력 핀들(110)에는 외부로부터 명령어 신호(/CS,/RAS,/CAS,/WE)가 인가된다. TTL(Transistor-Transistor Logic) 레벨로 입력되는 명령어 신호(/CS, /RAS,/CAS,/WE)는 각각의 명령어 입력 버퍼(182,184,186,188)에서 CMOS (Complementary MOS) 레벨로 변환된다. 명령어 디코더(120)는 명령어 입력 버퍼(182,184,186,188)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어 신호(PCS,PRAS,PCAS,PWE)를 수신하고 디코딩하여, 명령어 신호(PCS,PRAS,PCAS,PWE)에 대응하는 디코딩된 명령어(PRAS_ACT,PREF,...,PREAD,PWRITE)를 출력한다.
기입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140)는 명령어 디코더(120)에서 출력되는 디코딩된 명령어들(PRAS_ACT,PREF,...,PREAD,PWRITE) 중에서 기입 명령어(PWRITE)를 수신하고, 소정의 레이턴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기입 명령어(PWRITE)를 클럭 신호의 싸이클의 N/2 배만큼 지연하여, 지연 기입 명령어(PWA)를 출력한다. 여기서, N은 0이상의 정수 중의 어느 하나이므로, 기입 명령어(PWRITE)는 클럭 신호의 싸이클의 0, 0.5, 1, 1.5... 배만큼 지연될 수 있다.
기입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14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입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140)는 제1 내지 제2 기입 지연 소자(142,144) 및 제1 내지 제4 기입 전송게이트(TGW1~TGW4)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2 기입 지연 소자(142,144)는 입력되는 신호를 클럭 신호의 한 싸이클(1CLK)만큼 지연하여 출력하는 지연 소자이다. 그리고, 제1 내지 제4 기입 전송 게이트(TGW1~TGW4)는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게이팅된다. 제1 내지 제4 기입 전송 게이트(TGW1~TGW4)는 피모스(PMOS) 트랜지스터와 엔모스(NMOS) 트랜지스터가 병렬로 연결된 구조이다. 즉, 피모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과 엔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오스, 피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와 엔모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이 상호 연결된다. 그리고, 피모스 트랜지스터와 엔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는 제어 신호 및 그 반전 신호 또는 제어 신호의 반전 신호 및 그 제어 신호가 각각 입력된다.
제1 기입 전송게이트(TGW1)의 엔모스 트랜지스터로는 제1 제어 신호(PRCD0)가 입력되고, 제1 기입 전송게이트(TGW1)의 피모스 트랜지스터로는 제1 제어 신호(PRCD0)의 반전 신호가 입력된다. 따라서, 제1 기입 전송게이트(TGW1)는 제1 제어 신호(PRCD0)가 '하이레벨'로 활성화되면 턴온되고, 제1 제어 신호(PRCD0)가 '로우레벨'로 비활성화되면, 턴오프된다. 제1 전송게이트(TGW1)가 턴온되면, 기입 명령어(PWRITE)가 바로 지연 기입 명령어(PWA)로 출력된다.
제2 기입 전송게이트(TGW2)의 엔모스 트랜지스터로는 제2 제어 신호(PRCD1)가 입력되고, 제2 기입 전송게이트(TGW2)의 피모스 트랜지스터로는 제2 제어 신호(PRCD1)의 반전 신호가 입력된다. 따라서, 제2 기입 전송게이트(TGW2)는 제2 제어 신호(PRCD1)가 '하이레벨'로 활성화되면 턴온되고, 제2 제어 신호(PRCD1)가 '로우레벨'로 비활성화되면, 턴오프된다. 제2 전송게이트(TGW2)가 턴온되면, 제1 기입 지연 소자(142)의 출력 신호(PREW1)가 지연 기입 명령어(PWA)로 출력된다.
제3 기입 전송게이트(TGW3)의 엔모스 트랜지스터로는 제3 제어 신호(PRCD2)가 입력되고, 제3 기입 전송게이트(TGW3)의 피모스 트랜지스터로는 제3 제어 신호(PRCD2)의 반전 신호가 입력된다. 따라서, 제3 기입 전송게이트(TGW3)는 제3 제어 신호(PRCD2)가 '하이레벨'로 활성화되면 턴온되고, 제3 제어 신호(PRCD2)가 '로우레벨'로 비활성화되면, 턴오프된다. 제3 전송게이트(TGW3)가 턴온되면, 제2 기입 지연 소자(144)의 출력 신호(PREW2)가 지연 기입 명령어(PWA)로 출력된다.
제4 기입 전송게이트(TGW4)의 피모스 트랜지스터로는 제1 제어 신호(PRCD0)가 입력되고, 제4 기입 전송게이트(TGW4)의 엔모스 트랜지스터로는 제1 제어 신호(PRCD0)의 반전 신호가 입력된다. 따라서, 제4 기입 전송게이트(TGW4)는 제1 제어 신호(PRCD0)가 '하이레벨'로 활성화되면 턴오프되고, 제1 제어 신호(PRCD0)가 '로우레벨'로 비활성화되면 턴온된다. 제4 전송게이트(TGW4)가 턴온되면, 기입 명령어(PWRITE)가 제1 기입 지연 소자(142)로 입력된다.
추가적인 카스 레이턴시는 동기식 디램 내의 확장 모드 레지스터 셋(Extended Mode Register Set: 이하 "EMRS"라고 칭함)에 저장되는 정보 비트들에 의하여 설정된다. 예를 들면, 동기식 디램의 EMRS 명령 입력시 소정의 어드레스 신호들에 인가되는 값들이 EMRS에 저장되어 추가적인 카스 레이턴시가 결정된다. 그리고, 결정된 추가적인 카스 레이턴시의 값에 따라, 이를 제어하기 위한 레이턴시 제어 신호가 활성화된다. 제1 내지 제3 제어 신호가 레이턴시 제어 신호로서, EMRS에 설정된 추가적인 카스 레이턴시의 값에 따라, 제1 내지 제3 제어 신호 중에서 해당되는 하나의 제어 신호만이 '하이레벨'로 활성화되고, 나머지는 비활성화된다.
지연 기입 명령어(PWA)는 본 발명의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SDRAM의 데이터 기입 동작 과정을 제어하는 기입 동작의 마스터(master) 신호로서,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지 않은 일반적인 SDRAM에서의 기입 명령어에 해당하는 신호이다. 따라서, 일반 SDRAM에서 기입 명령어(PWRITE)가 사용되는 곳에 지연 기입 명령어(PWA)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SDRAM의 기입 동작 과정은 일반 SDRAM의 기입 동작 과정과 내부적으로 동일하게 된다.
독출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160)는 명령어 디코더(120)에서 출력되는 디코딩된 명령어들 중에서 독출 명령어(PREAD)를 수신하고, 레이턴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독출 명령어(PREAD)를 클럭 신호의 싸이클의 (1/2*정수)배, 즉 0,0.5,1,1.5... 들 중의 어느 배수만큼 지연하여 지연 독출 명령어(PCA)를 출력한다.
독출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160)의 구성은 기입 명령어 레이턴시제어부(140)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독출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160)로 입출력되는 신호가 독출 명령어(PWRITE) 및 지연 독출 명령어(PCA)라는 점에서 기입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140)와 차이가 있다.
독출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16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독출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160)는 제1 내지 제2 독출 지연 소자(162,164) 및 제1 내지 제4 독출 전송게이트(TGR1~TGR4)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2 독출 지연 소자(162,164)는 제1 내지 제2 기입 지연 소자(142,144)와 마찬가지로, 입력되는 신호를 클럭 신호의 한 싸이클(1CLK)만큼 지연하여 출력하는 지연 소자이다. 제1 내지 제4 독출 전송 게이트(TGR1~TGR4)의 구조는 각각 제1 내지 제4 기입 전송 게이트(TGW1~TGW4)와 동일하다.
그리고, 제1 내지 제4 독출 전송 게이트(TGR1~TGR4)로 입력되는 각각의 제어 신호도 제1 내지 제4 기입 전송 게이트(TGW1~TGW4)로 입력되는 각각의 제어 신호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제어 신호(PRCD0)가 활성화되면, 제1 독출 전송게이트(TGR1)가 턴온되어, 독출 명령어(PREAD)가 바로 지연 독출 명령어(PCA)로 출력된다. 이 때, 제4 독출 전송게이트(TGR4)는 턴오프되어, 제1 독출 지연 소자(162)로는 독출 명령어(PREAD)가 전달되지 않는다.
제2 제어 신호(PRCD1)가 활성화되면, 제1 제어 신호(PRCD0)는 비활성 상태이므로 제4 독출 전송게이트(TGR4)가 턴온되어, 제1 독출 지연 소자(162)로 독출 명령어(PREAD)가 전달된다. 또한, 제2 독출 전송게이트(TGR2)가 턴온되어, 제1 독출 지연 소자(162)의 출력 신호(PRER1)가 지연 독출 명령어(PCA)로 출력된다.
제3 제어 신호(PRCD2)가 활성화되면, 제2 독출 지연 소자(164)의 출력 신호(PRER2)가 지연 독출 명령어(PCA)로 출력된다.
지연 독출 명령어(PCA)는 본 발명의 SDRAM의 데이터 독출 동작 과정을 제어하는 독출 동작의 마스터 신호로서,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지 않은 일반적인 SDRAM에서의 독출 명령어에 해당하는 신호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SDRAM에서 독출 명령어(PREAD)가 사용되는 곳에 지연 독출 명령어(PCA)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SDRAM의 독출 동작 과정은 일반 SDRAM의 독출 동작 과정과 내부적으로 동일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디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디램은 하나 이상의 어드레스 입력 핀들(210), 어드레스 입력 버퍼(200), 로우 어드레스 결정부(242), 칼럼 어드레스 결정부(244), 칼럼 어드레스 레이턴시 제어부(220)를 구비한다.
어드레스 입력 핀들(210)에는 외부로부터 어드레스 신호(ADDR)가 인가된다. 어드레스 입력 버퍼(200)는 어드레스 입력 핀들(210)을 통해 입력되는 TTL 레벨인 어드레스 신호(ADDR)를 CMOS 레벨로 변환한다.
로우 어드레스 결정부(242)는 수신되는 어드레스 신호(ADDR)가 로우 어드레스 신호이면, 이를 로우 어드레스 경로로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칼럼 어드레스 결정부(244)는 수신되는 어드레스 신호가 칼럼 어드레스이면, 이를 칼럼 어드레스 경로로 출력한다. 로우 어드레스 신호(RADDR)는 로우 어드레스 경로를 따라, 로우 어드레스 디코더(미도시)로 입력된다. 칼럼 어드레스 신호(CADDR)는 칼럼 어드레스 경로를 따라 궁극적으로 칼럼 어드레스 디코더(미도시)로 입력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디램은 칼럼 어드레스 경로상에, 즉, 칼럼 어드레스 결정부(244)의 출력 후, 칼럼 어드레스 디코더 (미도시) 전에 칼럼 어드레스 레이턴시 제어부(220)를 구비한다.
칼럼 어드레스 레이턴시 제어부(220)는 칼럼 어드레스 결정부(244)에서 출력되는 칼럼 어드레스 신호(CADDR)를 수신하여, 레이턴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칼럼 어드레스 신호(CADDR)를 클럭 신호의 싸이클의 (1/2*정수)배, 즉 0,0.5,1,1.5... 들 중의 어느 배수만큼 지연하여 지연 칼럼 어드레스 신호(PCADDR)를 출력한다.
칼럼 어드레스 레이턴시 제어부(220)의 구성도 기입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140) 및 독출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160)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칼럼 어드레스 레이턴시 제어부(220)로 입출력되는 신호가 칼럼 어드레스 신호(CADDR) 및 지연 칼럼 어드레스 신호(PCADDR)라는 점에서 기입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140) 및 독출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160)와 차이가 있다.
칼럼 어드레스 레이턴시 제어부(22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칼럼 어드레스 레이턴시 제어부(220)는 제1 내지 제2 칼럼 어드레스 지연소자(222,224) 및 제1 내지 제4 칼럼 어드레스 전송게이트(TGA1~TGA4)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2 칼럼 어드레스 지연 소자(222,224)의 기능은 제1 내지 제2 기입 명령어 지연 소자(142,144)의 기능과 동일하다. 그리고, 제1 내지 제4 칼럼 어드레스 전송 게이트(TGA1~TGA4)는 제1 내지 제4 기입 명령어 전송 게이트(TGW1~TGW4)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여기서 칼럼 어드레스 레이턴시 제어부(22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연 칼럼 어드레스 신호(PCADDR)는 칼럼 어드레스 디코더(미도시)에서 디코딩되어, 데이터가 기입 또는 독출될 메모리 셀의 칼럼을 선택한다.
칼럼 어드레스 레이턴시 제어부(220)는 도 3에 나타난 위치가 아니라, 칼럼 어드레스 신호를 수신하는 다른 회로부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어드레스 입력 버퍼(200) 후에 로우 어드레스 신호인지 칼럼 어드레스 신호인지가 결정된다. 그러나, 로우 어드레스 버퍼와 칼럼 어드레스 버퍼가 따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칼럼 어드레스 레이턴시 제어부(220)는 칼럼 어드레스 버퍼에 포함될 수 있다. 칼럼 어드레스 디코더가 메인 디코더 및 프리 디코더로 나누어진다면, 칼럼 어드레스 레이턴시 제어부(220)는 칼럼 어드레스 메인 디코더 또는 칼럼 어드레스 프리 디코더 내에 구현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레이턴시 제어부(140,160,220)가 2개의 지연 소자를 구비한다. 따라서, 설정 가능한 추가적인 카스 레이턴시의 범위가 2CLK 까지이다. 그러나, 지연 소자의 수는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설정 가능한 추가적인 카스 레이턴시의 값의 범위도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동기식 디램을 사용하는 외부 컨트롤러나 사용자는 RAS 액티브 명령 후 카스 명령을 인가하는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동기식 디램과 동기식 디램을 사용하는 외부 컨트롤러 사이의 버스 사용 효율이 증가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동기식 디램은 JEDEC의 포스티드 카스 기능에 대한 요구사항을 만족한다.

Claims (19)

  1.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동작하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명령어 신호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 입력 핀들;
    상기 명령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명령어 신호에 대응하는 디코딩된 명령어를 출력하는 명령어 디코더; 및
    상기 명령어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상기 디코딩된 명령어들 중에서 기입 명령어를 수신하고, 소정의 레이턴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입 명령어를 상기 클럭 신호의 싸이클의 N/2 배만큼 지연하여 지연 기입 명령어를 출력하는 기입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N은 0 이상의 정수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레이턴시 제어 신호는 확장 모드 레지스터 셋의 설정값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턴시 제어 신호는 제1, 제2 및 제3 제어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기입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는
    상기 기입 명령어를 상기 클럭 신호의 한 싸이클만큼 지연하여 제1 예비 기입 명령어를 출력하는 제1 기입 지연 소자;
    상기 제1 예비 기입 명령어를 상기 클럭 신호의 한 싸이클만큼 지연하여 제2 예비 기입 명령어를 출력하는 제2 기입 지연 소자;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입 명령어를 상기 지연 기입 명령어로서 출력하는 제1 기입 전송게이트;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예비 기입 명령어를 상기 지연 기입 명령어로서 출력하는 제2 기입 전송게이트; 및
    상기 제3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예비 기입 명령어를 상기 지연 기입 명령어로서 출력하는 제3 기입 전송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입 명령어를 상기 제1 기입 지연 소자의 입력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4 기입 전송게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
  4.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동작하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명령어 신호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 입력 핀들;
    상기 명령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명령어 신호에 대응하는 디코딩된 명령어를 출력하는 명령어 디코더; 및
    상기 명령어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상기 디코딩된 명령어들 중에서 독출 명령어를 수신하고, 소정의 레이턴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독출 명령어를 상기 클럭 신호의 싸이클의 N/2 배만큼 지연하여 지연 독출 명령어를 출력하는 독출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N은 0 이상의 정수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레이턴시 제어 신호는 확장 모드 레지스터 셋의 설정값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턴시 제어 신호는 제1, 제2 및 제3 제어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독출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는
    상기 독출 명령어를 상기 클럭 신호의 한 싸이클만큼 지연하여 제1 예비 독출 명령어를 출력하는 제1 독출 지연 소자;
    상기 제1 예비 독출 명령어를 상기 클럭 신호의 한 싸이클만큼 지연하여 제2 예비 독출 명령어를 출력하는 제2 독출 지연 소자;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독출 명령어를 상기 지연 독출 명령어로서 출력하는 제1 독출 전송게이트;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예비 독출 명령어를 상기 지연 독출 명령어로서 출력하는 제2 독출 전송게이트; 및
    상기 제3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예비 독출 명령어를 상기 지연 독출 명령어로서 출력하는 제3 독출 전송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독출 명령어를 상기 제1 독출 지연 소자의 입력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4 독출 전송 게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
  7.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동작하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어드레스 신호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어드레스 입력 핀들;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어드레스 신호가 칼럼 어드레스 신호이면,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칼럼 어드레스 신호로서 칼럼 어드레스 경로로 출력하는 칼럼 어드레스 결정부; 및
    상기 칼럼 어드레스 경로상에 위치하고, 소정의 레이턴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칼럼 어드레스 신호를 상기 클럭 신호의 싸이클의 N/2 배만큼 지연하여 지연 칼럼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하는 칼럼 어드레스 레이턴시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N은 0 이상의 정수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레이턴시 제어 신호는 확장 모드 레지스터 셋의 설정값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턴시 제어 신호는 제1, 제2 및 제3 제어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칼럼 어드레스 레이턴시 제어부는
    상기 칼럼 어드레스 신호를 상기 클럭 신호의 한 싸이클만큼 지연하여 제1 예비 칼럼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칼럼 어드레스 지연 소자;
    상기 제1 예비 칼럼 어드레스 신호를 상기 클럭 신호의 한 싸이클만큼 지연하여 제2 예비 칼럼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칼럼 어드레스 지연 소자;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칼럼 어드레스 신호를 상기 지연 칼럼 어드레스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1 칼럼 어드레스 전송게이트;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예비 칼럼 어드레스 신호를 상기 지연 칼럼 어드레스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2 칼럼 어드레스 전송게이트; 및
    상기 제3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예비 칼럼 어드레스 신호를 상기 지연 칼럼 어드레스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3 칼럼 어드레스 전송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 어드레스 레이턴시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칼럼 어드레스 신호를 상기 제1 칼럼 어드레스 지연소자의 입력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4 칼럼 어드레스 전송게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칼럼 어드레스 신호의 레벨을 변환하는 칼럼 어드레스 버퍼를 더 구비하며,
    상기 칼럼 레이턴시 제어부는 상기 칼럼 어드레스 버퍼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칼럼어드레스 신호를 디코딩하는 칼럼 어드레스 디코더를 더 구비하며,
    상기 칼럼 레이턴시 제어부는 상기 칼럼 어드레스 디코더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
  12.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동작하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명령어 신호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 입력 핀들;
    상기 명령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명령어 신호에 대응하는 디코딩된 명령어를 출력하는 명령어 디코더;
    상기 명령어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상기 디코딩된 명령어들 중에서 기입 명령어를 수신하고, 소정의 레이턴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입 명령어를 상기 클럭 신호의 싸이클의 N/2 배만큼 지연하여 지연 기입 명령어를 출력하는 기입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 및
    상기 명령어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상기 디코딩된 명령어들 중에서 독출 명령어를 수신하고, 상기 레이턴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독출 명령어를 상기 클럭 신호의 싸이클의 N/2 배만큼 지연하여 지연 독출 명령어를 출력하는 독출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N은 0 이상의 정수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레이턴시 제어 신호는 확장 모드 레지스터 셋의 설정값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턴시 제어 신호는 제1, 제2 및 제3 제어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기입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는
    상기 기입 명령어를 상기 클럭 신호의 한 싸이클만큼 지연하여 제1 예비 기입 명령어를 출력하는 제1 기입 지연 소자;
    상기 제1 예비 기입 명령어를 상기 클럭 신호의 한 싸이클만큼 지연하여 제2 예비 기입 명령어를 출력하는 제2 기입 지연 소자;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입 명령어를 상기 지연 기입 명령어로서 출력하는 제1 기입 전송게이트;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예비 기입 명령어를 상기 지연 기입 명령어로서 출력하는 제2 기입 전송게이트; 및
    상기 제3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예비 기입 명령어를 상기 지연 기입 명령어로서 출력하는 제3 기입 전송게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독출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는
    상기 독출 명령어를 상기 클럭 신호의 한 싸이클만큼 지연하여 제1 예비 독출 명령어를 출력하는 제1 독출 지연 소자;
    상기 제1 예비 독출 명령어를 상기 클럭 신호의 한 싸이클만큼 지연하여 제2 예비 독출 명령어를 출력하는 제2 독출 지연 소자;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독출 명령어를 상기 지연 독출 명령어로서 출력하는 제1 독출 전송게이트;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예비 독출 명령어를 상기 지연 독출 명령어로서 출력하는 제2 독출 전송게이트; 및
    상기 제3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예비 독출 명령어를 상기 지연 독출 명령어로서 출력하는 제3 독출 전송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입 명령어를 상기 제1 기입 지연 소자의 입력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4 기입 전송게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독출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독출 명령어를 상기 제1 독출 지연 소자의 입력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4 독출 전송 게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
  15. 클럭 신호에 동기되어 동작하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명령어 신호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 입력 핀들;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어드레스 신호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어드레스 입력 핀들;
    상기 명령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명령어 신호에 대응하는 디코딩된 명령어를 출력하는 명령어 디코더;
    상기 명령어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상기 디코딩된 명령어들 중에서 기입 명령어를 수신하고, 소정의 레이턴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입 명령어를 상기 클럭 신호의 싸이클의 N/2 배만큼 지연하여 지연 기입 명령어를 출력하는 기입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 및
    상기 명령어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상기 디코딩된 명령어들 중에서 독출 명령어를 수신하고, 소정의 레이턴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독출 명령어를 상기 클럭 신호의 싸이클의 N/2 배만큼 지연하여 지연 독출 명령어를 출력하는 독출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어드레스 신호가 칼럼 어드레스 신호이면, 상기 어드레스 신호를 칼럼 어드레스 신호로서 칼럼 어드레스 경로로 출력하는 칼럼 어드레스 결정부; 및
    상기 칼럼 어드레스 경로상에 위치하고, 상기 레이턴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칼럼 어드레스 신호를 상기 클럭 신호의 싸이클의 N/2 배만큼 지연하여 지연 칼럼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하는 칼럼 어드레스 레이턴시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N은 0 이상의 정수 중의 어느 하나이고,
    상기 레이턴시 제어 신호는 확장 모드 레지스터 셋의 설정값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턴시 제어 신호는 제1, 제2 및 제3 제어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기입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는
    상기 기입 명령어를 상기 클럭 신호의 한 싸이클만큼 지연하여 제1 예비 기입 명령어를 출력하는 제1 기입 지연 소자;
    상기 제1 예비 기입 명령어를 상기 클럭 신호의 한 싸이클만큼 지연하여 제2 예비 기입 명령어를 출력하는 제2 기입 지연 소자;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입 명령어를 상기 지연 기입 명령어로서 출력하는 제1 기입 전송게이트;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예비 기입 명령어를 상기 지연 기입 명령어로서 출력하는 제2 기입 전송게이트; 및
    상기 제3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예비 기입 명령어를 상기 지연 기입 명령어로서 출력하는 제3 기입 전송게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독출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는
    상기 독출 명령어를 상기 클럭 신호의 한 싸이클만큼 지연하여 제1 예비 독출 명령어를 출력하는 제1 독출 지연 소자;
    상기 제1 예비 독출 명령어를 상기 클럭 신호의 한 싸이클만큼 지연하여 제2예비 독출 명령어를 출력하는 제2 독출 지연 소자;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독출 명령어를 상기 지연 독출 명령어로서 출력하는 제1 독출 전송게이트;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예비 독출 명령어를 상기 지연 독출 명령어로서 출력하는 제2 독출 전송게이트; 및
    상기 제3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예비 독출 명령어를 상기 지연 독출 명령어로서 출력하는 제3 독출 전송게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칼럼 어드레스 레이턴시 제어부는
    상기 칼럼 어드레스 신호를 상기 클럭 신호의 한 싸이클만큼 지연하여 제1 예비 칼럼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칼럼 어드레스 지연 소자;
    상기 제1 예비 칼럼 어드레스 신호를 상기 클럭 신호의 한 싸이클만큼 지연하여 제2 예비 칼럼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칼럼 어드레스 지연 소자;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칼럼 어드레스 신호를 상기 지연 칼럼 어드레스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1 칼럼 어드레스 전송게이트;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예비 칼럼 어드레스 신호를 상기 지연 칼럼 어드레스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2 칼럼 어드레스 전송게이트; 및
    상기 제3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예비 칼럼 어드레스 신호를 상기 지연 칼럼 어드레스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3 칼럼 어드레스 전송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기입 명령어를 상기 제1 기입 지연 소자의 입력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4 기입 전송게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독출 명령어 레이턴시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독출 명령어를 상기 제1 독출 지연 소자의 입력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4 독출 전송 게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칼럼 어드레스 레이턴시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칼럼 어드레스 신호를 상기 제1 칼럼 어드레스 지연소자의 입력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4 칼럼 어드레스 전송게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칼럼 어드레스 신호의 레벨을 변환하는 칼럼 어드레스 버퍼를 더 구비하며,
    상기 칼럼 레이턴시 제어부는 상기 칼럼 어드레스 버퍼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
  19.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상기 칼럼어드레스 신호를 디코딩하는 칼럼 어드레스 디코더를 더 구비하며,
    상기 칼럼 레이턴시 제어부는 상기 칼럼 어드레스 디코더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2000-0062608A 2000-10-24 2000-10-24 Jedec 규격의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374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2608A KR100374637B1 (ko) 2000-10-24 2000-10-24 Jedec 규격의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반도체 메모리 장치
US09/847,791 US6483769B2 (en) 2000-10-24 2001-05-02 SDRAM having posted CAS function of JEDEC standard
TW090114259A TW512344B (en) 2000-10-24 2001-06-13 SDRAM having posted CAS function of JEDEC standard
JP2001223565A JP4007776B2 (ja) 2000-10-24 2001-07-24 ポステッドcas機能を有する同期式半導体メモリ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2608A KR100374637B1 (ko) 2000-10-24 2000-10-24 Jedec 규격의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반도체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1853A true KR20020031853A (ko) 2002-05-03
KR100374637B1 KR100374637B1 (ko) 2003-03-04

Family

ID=19695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2608A KR100374637B1 (ko) 2000-10-24 2000-10-24 Jedec 규격의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반도체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483769B2 (ko)
JP (1) JP4007776B2 (ko)
KR (1) KR100374637B1 (ko)
TW (1) TW512344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855B1 (ko) * 2003-10-14 2006-06-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전류 소모의 감소를 위한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100746229B1 (ko) * 2006-07-07 2007-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818720B1 (ko) * 2005-11-19 2008-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레이턴시 제어 회로, 제어 방법 및상기 레이턴시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8493B2 (ja) * 2001-08-30 2007-04-25 株式会社東芝 電子回路及び半導体記憶装置
KR100425472B1 (ko) * 2001-11-12 2004-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출력 제어 신호 발생 회로및 출력 제어 신호 발생 방법
DE10343525B4 (de) * 2002-09-27 2011-06-16 Qimonda Ag Verfahren zum Betreiben von Halbleiterbausteinen, Steuervorrichtung für Halbleiterbausteine und Anordnung zum Betreiben von Speicherbausteinen
KR100495917B1 (ko) 2002-11-20 2005-06-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고속 데이터 출력을 위한 파이프래치 회로
KR100540472B1 (ko) * 2003-10-31 2006-01-1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데이터 출력에 관한 동작마진이 향상된 메모리 장치
JP4152308B2 (ja) * 2003-12-08 2008-09-17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100605590B1 (ko) * 2004-05-10 2006-07-3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데이터 출력드라이버의 임피던스를 조정할 수 있는 반도체메모리 장치
KR100632611B1 (ko) * 2004-11-15 2006-10-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명령 디코더
DE102004063531B4 (de) * 2004-12-30 2011-06-01 Qimonda Ag Halbleiter-Speicherbauelement, System mit Halbleiter-Speicherbauelement,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Halbleiter-Speicherbauelements
KR100744042B1 (ko) * 2005-09-28 2007-07-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메모리소자의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
KR100753081B1 (ko) * 2005-09-29 2007-08-3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내부 어드레스 생성장치를 구비하는 반도체메모리소자
KR100671747B1 (ko) * 2006-01-04 2007-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선된 애디티브 레이턴시를 가진 메모리 시스템 및제어방법
KR100753412B1 (ko) * 2006-01-13 2007-08-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커맨드 디코더 회로
US20070171735A1 (en) * 2006-01-25 2007-07-26 Jong-Hoon Oh Latency circuit for semiconductor memories
KR100799132B1 (ko) 2006-06-29 2008-01-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초기값변경이 가능한 모드레지스터셋회로.
KR100868251B1 (ko) * 2007-03-22 2008-11-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장치
KR100892670B1 (ko) 2007-09-05 2009-04-1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프리차지 제어 회로
US8898439B2 (en) * 2009-07-17 2014-11-25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Serial flash memory and address transmission method thereof
KR101103068B1 (ko) 2010-03-31 2012-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어드레스 지연 회로
KR20120119348A (ko) * 2011-04-21 2012-10-3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지연회로 및 메모리의 레이턴시 제어회로 및 신호 지연 방법
JP2013073651A (ja) 2011-09-28 2013-04-22 Elpida Memory Inc 半導体装置
US9224442B2 (en) 2013-03-15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to dynamically determine a timing parameter of a memory device
US11270758B2 (en) 2020-07-29 2022-03-08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system on chip replacement mod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49196B (en) * 1996-10-18 1999-01-01 Ibm Cached synchronous DRAM architecture having a mode register programmable cache policy
JPH10228772A (ja) * 1997-02-18 1998-08-25 Mitsubishi Electric Corp 同期型半導体記憶装置
KR100274602B1 (ko) * 1997-11-20 2000-12-15 윤종용 동기형 메모리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855B1 (ko) * 2003-10-14 2006-06-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전류 소모의 감소를 위한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100818720B1 (ko) * 2005-11-19 2008-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레이턴시 제어 회로, 제어 방법 및상기 레이턴시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746229B1 (ko) * 2006-07-07 2007-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7590013B2 (en) 2006-07-07 2009-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having variable additive latenc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48197A1 (en) 2002-04-25
JP2002133866A (ja) 2002-05-10
JP4007776B2 (ja) 2007-11-14
US6483769B2 (en) 2002-11-19
TW512344B (en) 2002-12-01
KR100374637B1 (ko) 2003-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4637B1 (ko) Jedec 규격의 포스티드 카스 기능을 가지는 동기식반도체 메모리 장치
US7801696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ability to adjust impedance of data output driver
KR100256308B1 (ko) 프로그램 가능한 레이턴시 주기를 갖는 동기 메모리 장치용의최적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KR100574989B1 (ko) 데이터 스트로브 버스라인의 효율을 향상시키는메모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메모리 시스템, 및 데이터스트로브 신호 제어방법
JPH09198875A (ja) 同期型半導体記憶装置
US7230864B2 (en) Circuit for generating data strobe signal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6160754A (en) Synchronous memory device of a wave pipeline structure
KR100377840B1 (ko) 반도체 기억 장치
JP2006309915A (ja) 半導体メモリ素子
JP2004171609A (ja) 半導体記憶装置
US6356489B2 (en)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s having circuits therein that preserve minimum /RAS TO /CAS Delays
US6636443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row buffers
US20100106900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thereof
US7791963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030053342A1 (en) Command decoder and decoding method for use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030039179A (ko) 싱글 엔디드 스트로브 모드와 디퍼렌셜 스트로브 모드상호간의 모드 변환이 가능한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333648B1 (ko) 데이타스트로브신호의 폴링에지에 동기되어 쓰기동작을 수행하는 디디알에스 디램
KR100668750B1 (ko)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입력회로
US8248863B2 (en) Data buffer control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0522424B1 (ko)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20000038480A (ko) 칩 면적이 작고 전력소모가 적은 데이터 출력버퍼 제어회로 및이를 구비하는 이중 데이터율 동기식 디램
KR20020017305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어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