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6318A - 숙취 해소용 건강 보조식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숙취 해소용 건강 보조식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6318A
KR20020026318A KR1020020011255A KR20020011255A KR20020026318A KR 20020026318 A KR20020026318 A KR 20020026318A KR 1020020011255 A KR1020020011255 A KR 1020020011255A KR 20020011255 A KR20020011255 A KR 20020011255A KR 20020026318 A KR20020026318 A KR 20020026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dry
hours
extract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1013B1 (ko
Inventor
권순직
Original Assignee
권순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직 filed Critical 권순직
Priority to KR10-2002-0011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1013B1/ko
Publication of KR20020026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6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1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10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숙취 해소용 건강 보조 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숙취를 해소하는 건강 보조 식품들이 많이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보조 식품들은 대체로 주성분에 다른 첨가물을 투입하거나 물은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인 바, 첨가물 속에 오염된 물질이 들어 있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제품들은 100℃ 이상의 고온에서 장시간 달이면 주성분에 들어 있는 비타민류 등의 영양 성분이 파괴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한 것으로 이의 발명 요지는 무 80%중량 : 마른 사철 쑥 10%중량 : 마른 칡 10%중량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100℃의 추출기에서 3시간 동안 달여 묽은 즙액을 추출하는 것을 제 1공정(1)으로 하고, 상기 1공정에서 추출한 즙액을 다시 100℃의 온도로 3시간 동안 졸여 진한 즙액을 추출하는 것을 제 2공정(2)으로 하며, 별도로 마른 사철 쑥 20%중량 : 마른 칡 20% 중량 : 감잎 30%중량 : 삼백초 30%중량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100℃에서 20~30분간 열 증기로 찐 다음 다시 건조기에 넣어 40~60℃의 온도로 1~2시간 건조시켜 이를 분말 형태로 만드는 것을 제 3공정(3)으로 하며, 상기 3공정(3)에서 만든 분말에 상기 2공정(2)에서 추출한 진한 즙액을 혼합하여 복용하기 용이한 환(丸)으로 제조하는 것을 제 4공정(4)으로 하는 제조 방법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숙취 해소용 건강 보조 식품은 별도의 첨가물이나 물을 혼합하지 않아 재료에 들어 있는 영양 성분을 파괴하지 않으므로 숙취 해소뿐만 아니라 운동 후의 피로회복과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고 간을 보호 및 개선하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숙취 해소용 건강 보조식품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process of health aid foods for solving hangover}
본 발명은 숙취 해소용 건강 보조 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숙취 해소용 건강 보조 식품들이 많이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것들은 대체로 기본 성분 외에 다른 첨가물을 혼합하거나 물을 섞어 제조하는 것인 바, 첨가물에 오염되어 있을 수가 있으며, 이를 100℃ 이상의 고온으로 장시간 달이면 주성분에 들어 있는 비타민류 등의 영양 성분이 파괴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한 것으로서, 이의 발명 요지는 무 80%중량 : 마른 사철 쑥 10%중량 : 마른 칡 10%중량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100℃에서 3시간 달여 묽은 즙액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즙액을 100℃의 온도로 졸여서 진한 즙액을 추출하고, 이와 별도로 마른 사철 쑥 20%중량 : 마른 칡 20%중량 : 감잎 30%중량 : 삼백초 30%중량으로 혼합하여 100℃에서 20~30분간 열 증기로 찐 다음 건조기에 넣어 40~60℃의 온도로 1~2시간 동안 건조시켜 이를 분말 형태로 만들고, 이 분말에 상기 추출한 진한 즙액을 혼합하여 복용하기 쉽도록 환(丸)으로 제조하는 방법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제 1공정 2. 제 2공정 3. 제 3공정 4. 제 4공정
이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무, 사철 쑥, 칡, 감잎, 삼백초를 재료로 사용하는 것으로 이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 1공정(1) - 무 80%중량 : 마른 사철 쑥 10%중량 : 마른 칡 10%중량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기에 넣어 100℃에서 3시간 동안 달여서 즙액을 추출하는 것으로 추출량을 70~75% 정도이고, 나머지 25~30%는 찌꺼기이다.
제 2공정(2) - 상기 1공정에서 생성된 묽은 즙액을 100℃의 온도에서 3시간 정도졸여서 진한 즙액을 추출한다. 이때, 추출한 진한 즙액 양은 55~60%이다.
제 3공정(3) - 마른 사철 쑥 20%중량 : 마른 칡 20%중량 : 감잎 30%중량 : 삼백초 30%중량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100℃의 열 증기로 20~30분 동안 찐 다음 다시 건조기에 넣어 40~60℃의 온도에서 1~2시간 건조시킨 후 이를 분말로 만든다.
제 4공정 : 상기의 3공정에서 생성된 분말과 2공정에서 추출된 진한 즙액을 혼합하여 복용하기 용이한 환으로 제조한다.
다음은 상기의 재료와 방법으로 제조한 실시 예이다.
<실시 예>
(1) 제 1공정 - 무 20kg, 마른 사철 쑥 3kg, 마른 칡 3kg을 혼합하여 추출기에 넣고 100℃의 온도로 3시간가량 달여 11~12kg의 즙액을 추출하고, 나머지 찌꺼기로서 사료로 사용 가능하다.
(2) 제 2공정 - 상기 1공정에서 추출한 즙액을 다시 100℃의 온도로 3시간 졸이면 6~7kg의 진한 즙액을 추출할 수 있다.
(3)제 3공정 - 별도로 마른 사철 쑥 1,2kg, 마른 칡 1.2kg에 감잎 1.8kg과 삼백초 1.8kg을 혼합하여 20~30분간 100℃의 열 증기로 찐 다음 다시 건조기에 넣어 40~60℃의 온도로 1~2시간 동안 건조시켜 이를 분말로 만든다.
(4)제 4공정 - 3공정에서 생성된 분말과 2공정에서 추출한 즙액을 혼합하여 복용하기 용이한 10~12kg의 환을 제조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별도의 첨가물이나 물을 혼합하지 않으므로 재료에 들어있는 성분을 파괴하기 않으며, 비타민 C등의 여러 가지 영양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숙취 해소뿐만 아니라, 운동 후의 피로 회복과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고, 간 기능의 보호와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무 80%중량 : 마른 사철 쑥 10%중량 : 마른 칡 10%중량을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기에 넣고 100℃의 열로 3시간 동안 달여 즙액을 추출하는 것은 제 1공정(1)으로 하고, 상기 1공정에서 추출한 묽은 즙액을 100℃로 3시간 졸여서 진한 즙액을 추출하는 것을 제 2공정(2)으로 하며, 별도의 사철 쑥과 칡에 감잎 및 삼백초를 섞어 마른 사철 쑥 20%중량 : 마른 칡 20%중량 : 감잎 30%중량 : 삼백초 30%중량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100℃의 열증기로 20~30분간 찐 다음 건조기에 넣고 40~60℃의 온도로 1~2시간 동안 건조시켜 분말을 만드는 것을 제 3공정(3)으로 하고, 상기 3공정에서 생성된 분말과 상기 2공정에서 추출한 진한 즙액을 혼합하여 환(丸)으로 만드는 것을 제 4공정(4)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용 건강 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10-2002-0011255A 2002-03-04 2002-03-04 숙취 해소용 건강 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100451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255A KR100451013B1 (ko) 2002-03-04 2002-03-04 숙취 해소용 건강 보조식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255A KR100451013B1 (ko) 2002-03-04 2002-03-04 숙취 해소용 건강 보조식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6318A true KR20020026318A (ko) 2002-04-09
KR100451013B1 KR100451013B1 (ko) 2004-10-02

Family

ID=19719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255A KR100451013B1 (ko) 2002-03-04 2002-03-04 숙취 해소용 건강 보조식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10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287B1 (ko) * 2012-03-22 2014-09-19 박세준 프로바이오틱스 쿠키바 제조방법 및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0601A (ko) 2021-10-08 2023-04-17 자람푸드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조류를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6947A (ko) * 1985-03-13 1986-10-06 2) 구자연(외 쑥 음료수 제조방법
KR0126431B1 (ko) * 1994-07-21 1997-12-24 한동근 혈당강하 효과가 있는 건강식품 조성물
KR20010027065A (ko) * 1999-09-10 2001-04-06 조화연 야채즙을 이용한 건강 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100451014B1 (ko) * 2002-02-08 2004-10-02 권순직 무즙을 주성분으로 한 건강 보조 식품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287B1 (ko) * 2012-03-22 2014-09-19 박세준 프로바이오틱스 쿠키바 제조방법 및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1013B1 (ko) 2004-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87580B (zh) 一种豆瓣酱及其制备方法
CN103948004A (zh) 一种果蔬牛肉酱及其制备方法
CN101283769A (zh) 以腌鲜辣椒为主原料的辣椒食品及制备方法
CN104137916B (zh) 一种抗脑肿瘤的花生调和油
KR100959559B1 (ko) 추어 분말이 함유된 추어 카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45363B1 (ko) 약초 조미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106661A (zh) 一种五香豆干及其制备方法
KR20020026318A (ko) 숙취 해소용 건강 보조식품의 제조방법
CN105962098A (zh) 一种当归红枣牛肉干及其制备方法
CN104187823A (zh) 一种虾仁牛肉粒
CN107439958A (zh) 一种辣椒豆豉及其制备方法
CN104187753A (zh) 一种玫瑰黄芪牛肉块
CN104187751A (zh) 一种苹果果脯牛肉粒
CN104171543A (zh) 一种抗病毒的天然鸡饲料配方及其制备方法
CN103815246A (zh) 一种高营养糯米粉及其制备方法
CN104116066B (zh) 瘦肉汤油的制备方法
CN103815257A (zh) 一种鸡骨风味糯米粉及其制备方法
CN103932295A (zh) 一种椰奶风味芝麻酱及其制备方法
KR101781940B1 (ko) 우루시올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유용한 옻 성분을 포함하는 식품 첨가물 제조 방법
CN101161107A (zh) 一种免发酵酱油及其制造方法
CN107361346A (zh) 一种鱼类罐头用的香料水及其制备工艺
CN103876085A (zh) 一种锁阳枸杞调料及其制造方法
CN104187754A (zh) 一种抹茶巧克力肉粒
CN103932293A (zh) 一种竹盐芝麻酱及其制备方法
KR100607791B1 (ko) 기관지, 호흡기 보호용으로 건강 보조 식품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