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1940B1 - 우루시올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유용한 옻 성분을 포함하는 식품 첨가물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우루시올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유용한 옻 성분을 포함하는 식품 첨가물 제조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1940B1
KR101781940B1 KR1020160105228A KR20160105228A KR101781940B1 KR 101781940 B1 KR101781940 B1 KR 101781940B1 KR 1020160105228 A KR1020160105228 A KR 1020160105228A KR 20160105228 A KR20160105228 A KR 20160105228A KR 101781940 B1 KR101781940 B1 KR 101781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quer
weight
parts
urushiol
food add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5731A (ko
Inventor
박치호
Original Assignee
박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치호 filed Critical 박치호
Priority to KR1020160105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940B1/ko
Publication of KR20160105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3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extraction with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8Multiple-step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우루시올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유용한 옻 성분을 포함하는 식품 첨가물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옻의 약성이 온(溫)한 것에 착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옻 나무 100 중량부에 대해서, 옥수수대, 헛개, 산청목, 박하, 파뿌리, 갈대 뿌리, 부평초, 쇠비름, 또는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된 냉성 재료 10 ~ 20 중량부와, 황백나무, 토복령, 백모근, 생강 나무, 오가피, 무우 말랭이, 또는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된 해독성 재료 5 ~ 10 중량부, 및 감초 1 ~ 5 중량부;를 각각 세절 및 혼합하여 옻 추출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옻 추출 재료 1 킬로그램당 물 1 ~ 3 킬로 그램을 투입하고 120 ~ 170℃에서 6 ~ 8시간 끓이고 상온까지 냉각시키는 가열 및 냉각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옻 추출물 용액을 식품 첨가물로서 얻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옻에 매우 민감한 사람들에게도 아무런 알러지 반응이 없이 완벽하게 우루시올을 제거 또는 우루시올에 의한 알러지 반응을 획기적으로 저감시키는 식품 첨가물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우루시올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유용한 옻 성분을 포함하는 식품 첨가물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of lacquer containing food additive liquid which remove urushiol effectively and containing useful lacquer component}
본 발명은 옻 성분을 포함하는 식품첨가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우루시올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유용한 옻 성분을 포함하는 식품 첨가물 제조 방법으로서 옻에 매우 민감한 사람들에게도 아무런 알러지 반응이 없이 완벽하게 우루시올을 제거 또는 알러지 반응을 저감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옻나무(Rhus verniciflua)는 중국으로부터 도입되어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재배되고 있다. 옻나무는 수액을 채취하여 도료용으로 사용하는데, 옻칠 도료는 최고품으로 어떤 조건에서도 방부가 잘되고 변색이 되지 않아 넓게 사용되었다. 한방에서는 옻칠을 약재로 사용하는데, 약성은 온(溫)하고 신(辛)하며 유독한데, 파어(破瘀), 소적(消積) 및 살균의 효능이 있다고 한다. 주로 어혈제증(瘀血諸症), 경폐(經閉), 심통(心痛) 및 충적(蟲積) 등에 사용하며, 주요 처방으로는 건칠환, 건칠산 및 이성환 등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인체의 각종 질병에 많은 효능이 있는 옻나무는 알러지 피부염, 호흡부전 등을 유발할 수 있고, 옻에 알러지가 있는 사람은 옻나무에 피부가 스치거나 근처에 있는 것만으로도 인체에 옻이 올라 심하게 고생을 하거나 심한 경우 사망에까지 이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인들은 옻나무 자체의 복용을 두려워하므로 옻나무의 유익한 약효를 얻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옻나무에서 이와같은 알러지를 유발하는 독성물질은 우루시올(urushiol)로서 우루시올은 옻나무속수종의 유액의 주성분인 페놀성 물질. 구조가 유사한 우루시올 Ⅰ~Ⅴ가 알려져 있다. 특이체질의 사람은 옻나무에 접근하는 것만으로도 전신에 '옻오름'이라는 피부염을 일으키는 데 이것은 바로 이 알레르기유발항원(allergen)이다. 또 우루시올은 옻나무속식물의 유액에 함께 포함되어 있는 락카아제에 의해 공기중에서 산화 및 중합되어 흑색수지상 옻이 되고 양질의 도료로서 옻칠에 사용된다.
이러한 우루시올 성분의 독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종래의 옻 나무 추출물의 추출과정은 단순히 옻 나무를 장시간 가열하여서 추출물을 우려내는 과정을 이루어져 있어 발진, 가려움 및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우루시올 성분의 제거가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열수출시간에 따라 다르게 추출되는 성분들이 독립적으로 추출되지 않고 변질되어 그 약용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다른 기술이 2016년 6월 29일자로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6-0074993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 특허에 따른 옻 성분을 함유한 식품첨가액의 제조방법은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우루시올을 제거하며 각기 독립적인 효과를 갖는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및 퓨스틴을 독립적으로 추출배합하여 각 추출물의 약용 효과가 독립적으로 유지되어 작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공개 특허는 옻 나무에서 우루시올을 제거하는 우루시올제거과정과 상기 우루시올제거과정을 거친 옻 나무에서 플라보노이드성분을 추출하는 플라보노이드성분 추출과정, 옻 나무에서 폴리페놀 성분을 추출하는 폴리페놀성분 추출과정, 옻 나무에서 퓨스틴성분을 추출하는 퓨스틴성분 추출과정 및 각 과정을 통하여 추출된 추출물을 배합하는 추출물배합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우루시올제거과정과 플라보노이드성분 추출과정, 폴리페놀성분 추출과정, 퓨스틴성분 추출과정 및 추출물배합과정을 통하여 옻 성분이 함유된 식품첨가액을 제조함으로써 옻 추출물의 제조과정에 있어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우루시올을 제거되어 본 발명의 식품첨가액의 사용시 발진, 가려움 및 알레르기의 발생이 방지되며, 약용효과를 갖는 각 유효성분이 독립적인 추출과정을 통하여 추출되어서 배합 제조되어 본 발명의 식품첨가액을 사용하여 음식물의 조리시 각 추출물의 약용 효과가 독립적으로 유지되어 작용된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57182호에는 우루시올이 제거된 옻 발효식초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 특허에 따르면 (A) 옻 진액에 감식초 또는 매실 식초 중 하나 이상의 식초, 꿀 및 송진을 첨가하여 옻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B) 상기 옻 혼합액을 끊인 후, 밀봉하는 단계, 및 (C) 밀봉된 옻 혼합액을 혐기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옻 진액에는 항균 활성이 있어 옻 진액을 원료로 하여 발효시키는 것은 쉽지 않다고 알려져 있으나 감식초 또는 매실식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식초, 꿀 및 송진을 이용함으로써 옻 진액을 효과적으로 발효시킬 수 있고, 이로써 옻의 자극물질인 우루시올은 제거되면서 옻의 약리 효과 등은 그대로 유지시킨 옻 발효 식초를 제조한다. 또한, 상기 제조 방법은 부추, 달래, 양파, 마늘 및 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욱 첨가하는데 이는 이들 성분들이 옻 특유의 맛과 냄새를 제거시켜 주어 옻 발효식초의 관능적인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2015년 6월 17일자로 공개된 10-2015-66900호에는 옻 추출물 및 옻 추출물 추출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 특허에 따르면 a) 옻나무를 채취하는 단계와, b) 채취된 옻나무를 세절하는 단계와, c) 세절된 옻나무 30 ~ 50 중량%, 정수 50 - 70 중량%를 교반기에 투입한 후,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옻 추출물을 추출하되, 수증기가 배출되도록 교반기의 상부를 개방하거나 수증기 배출구가 마련된 교반기를 사용하여 옻을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옻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및 d) 추출된 옻 추출물을 여과기로 통과시켜 이물질과 고형물을 걸러내는 단계를 포함하며, 옻 추출물을 열수추출법으로 추출하되, 저온가열과 고온가열로 구분하여 가열하고, 저온가열과 고온가열시에 가열과 냉각을 반복함으로써, 옻에 포함된 우루시올을 제거한다.
하지만, 상술한 종래의 기술들은 우루시올을 제거하는 주요 과정이 가열에 의존하고 있어 우루시올 성분이 완벽하게 제거되지 않아 옻에 매우 민감한 사람들은 일부 알러지 반응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옻에 매우 민감한 사람들에게도 아무런 알러지 반응이 없이 완벽하게 우루시올을 제거하는 방법 및 보다 효과적이고 강력하게 우루시올에 대한 알러지 반응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제조 방법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우루시올을 한방학적으로 분석하여 옻에 매우 민감한 사람들에게도 아무런 알러지 반응이 없이 완벽하게 우루시올을 제거하는 방법 및 보다 효과적이고 강력하게 우루시올을 저감시킬 수 있는 식품 첨가물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우루시올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유용한 옻 성분을 포함하는 식품 첨가물 제조 방법은
옻 나무 100 중량부에 대해서,
옥수수대, 헛개, 산청목, 박하, 파뿌리, 갈대 뿌리, 부평초, 쇠비름, 또는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된 냉성 재료 10 ~ 20 중량부;
황백나무, 토복령, 백모근, 생강 나무, 오가피, 무우 말랭이, 또는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된 해독성 재료 5 ~ 10 중량부; 및
감초 1 ~ 5 중량부;를 각각 세절 및 혼합하여 옻 추출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옻 추출 재료 1 킬로그램당 물 1 ~ 3 킬로 그램을 투입하고 120 ~ 170℃에서 6 ~ 8시간 끓이고 상온까지 냉각시키는 가열 및 냉각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옻 추출물 용액을 식품 첨가물로서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첨가물 제조 방법은 우루시올을 한방학적으로 분석하여 우루시올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유용한 옻 성분을 포함하는 식품 첨가물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루시올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유용한 옻 성분을 포함하는 식품 첨가물 제조 방법의 주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옻의 약성이 온(溫)한 것에 착안하여 한방에서 약성이 냉(冷)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옥수수대, 헛개, 산청목, 박하, 파뿌리, 갈대 뿌리, 부평초, 쇠비름을 포함한 냉성 재료를 선택함과 동시에 해독 성분이 강한 황백나무, 토복령, 백모근, 생강 나무, 오가피, 무우 말랭이를 포함한 해독 재료를 선택하며 감초의 적용 여부에 따른 효과를 비교 실험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우루시올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유용한 옻 성분을 포함하는 식품 첨가물 제조 방법의 주요 과정을 흐름도로써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옻 성분을 포함하는 식품 첨가물 제조 방법은,
먼저 옻 나무 100 중량부(100)에 대해서,
옥수수대, 헛개, 산청목, 박하, 파뿌리, 갈대 뿌리, 부평초, 쇠비름, 또는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된 냉성 재료 10 ~ 20 중량부(102)와,
황백나무, 토복령, 백모근, 생강 나무, 오가피, 무우 말랭이, 또는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된 해독성 재료 5 ~ 10 중량부(104), 및
감초 1 ~ 5 중량부;를 각각 세절 및 혼합하여 옻 추출 재료를 준비(110)한다.
이하에서 옻 추출 재료를 구성하는 구성 비율별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을 설명한다.
[실시예 1]
옻 나무 100 중량부, 옥수수대, 헛개, 산청목을 동일 비율로 섞은 냉성 재료 10 중량부, 황백나무, 토복령, 백모근을 동일 비율로 섞은 해독성 재료 5 중량부, 감초 3 중량부
[실시예 2]
옻 나무 100 중량부, 옥수수대, 헛개, 산청목을 동일 비율로 섞은 냉성 재료 20 중량부, 황백나무, 토복령, 백모근을 동일 비율로 섞은 해독성 재료 10 중량부, 감초 3 중량부
[실시예 3]
옻 나무 100 중량부, 박하, 파뿌리, 갈대 뿌리, 부평초, 쇠비름을 동일 비율로 섞은 냉성 재료 10 중량부, 생강 나무, 오가피, 무우 말랭이를 동일 비율로 섞은 해독성 재료 5 중량부, 감초 3 중량부
[실시예 4]
옻 나무 100 중량부, 박하, 파뿌리, 갈대 뿌리, 부평초, 쇠비름을 동일 비율로 섞은 냉성 재료 20 중량부, 생강 나무, 오가피, 무우 말랭이를 동일 비율로 섞은 해독성 재료 10 중량부, 감초 3 중량부
[비교예 1]
옻 나무 100 중량부, 냉성 재료 미투입, 황백나무, 토복령, 백모근을 동일 비율로 섞은 해독성 재료 5 중량부, 감초 3 중량부
[비교예 2]
옻 나무 100 중량부, 옥수수대, 헛개, 산청목을 동일 비율로 섞은 냉성 재료 40 중량부, 황백나무, 토복령, 백모근을 동일 비율로 섞은 해독성 재료 5 중량부, 감초 3 중량부
[비교예 3]
옻 나무 100 중량부, 옥수수대, 헛개, 산청목을 동일 비율로 섞은 냉성 재료 20 중량부, 해독성 재료 미투입, 감초 3 중량부
[비교예 4]
옻 나무 100 중량부, 옥수수대, 헛개, 산청목을 동일 비율로 섞은 냉성 재료 20 중량부, 해독성 재료 황백나무, 토복령, 백모근을 동일 비율로 섞은 해독성 재료 20 중량부, 감초 3 중량부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의 구성 비율에 의하여 준비된 옻 추출 재료 1 킬로그램당 물 1 ~ 3 킬로 그램을 투입(112)하고 120 ~ 170℃에서 6 ~ 8시간 끓이고 상온까지 냉각시키는 가열 및 냉각 과정을 3회 반복(120)하여 옻 추출물 용액을 식품 첨가물로서 얻는다(130).
옻에 대해서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실험군 100명에 대해서 준비된 식품 첨가물을 삼계탕 요리시 일정량 첨가하여 음용하게 하고 피부 알러지 반응 검사를 실행하였다. 표 1에는 피부 알러지 반응 결과를 나타내었다.
구 분 알러지 반응 및
식감 실험
비고 특기 사항
실시예 1 찬 성분 재료 및 해독 성분 재료
모두 투입
실시예 2 찬 성분 재료 및 해독 성분 재료
모두 투입
실시예 3 찬 성분 재료 및 해독 성분 재료
모두 투입
감초 미투입
실시예 4 찬 성분 재료 및 해독 성분 재료
모두 투입
감초 미투입
비교예 1 × 찬 성분 재료가 전혀 투입되지 않음
비교예 2 찬 성분 재료 과다 투입
비교예 3 × 해독성 재료가 전혀 투입되지 않음
비교예 4 해독성 재료 과다 투입
표 1에서 ◎는: 전혀 알러지 반응이 관찰되지 않으며 식감이 우수함을 나타내고, ○은 알러지 반응이 관찰되지 않으나 잡내가 있어 식감이 다소 부족함을, △는 1명 이상에서 미약한 알러지 반응이 관찰됨을 나타내며, ×는 1명 이상에서 상당한 알러지 반응이 관찰됨을 나타낸다.
실시예 1에와 같이 옥수수대, 헛개, 산청목, 박하, 파뿌리, 갈대 뿌리, 부평초, 쇠비름, 또는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된 냉성 재료 10 ~ 20 중량부가 투입되고
냉성 재료가 전혀 투입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에는 1명 이상에서 상당한 알러지 반응이 관찰(×) 되었다. 이는 해독성 재료만으로는 완벽하게 우루시올 성분의 제거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알러지 반응에 민감한 사람에 대해서는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냉성 재료가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40 중량부로 과다하게 투입된 비교예 2의 경우에는 1명 이상에서 미약한 알러지 반응이 관찰(△) 되었고, 배탈을 호소하는 경우가 발견되었다.
또한 해독성 재료가 전혀 투입되지 않은 비교예 3에서도 ×: 1명 이상에서 상당한 알러지 반응이 관찰되었고, 해독성 재료가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20 중량부로 과다하게 투입된 비교예 4에서는 △: 1명 이상에서 미약한 알러지 반응이 관찰되었고, 구토를 호소하는 경우가 발견되었다.
위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에 대해서 복용후 옻 알러지를 경험한 사람들에 대하여 식품 첨가물 복용후 피부 알러지 실험을 실시한 결과, 약성이 온(溫)한 옻은 한방에서 약성이 냉(冷)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옥수수대, 헛개, 산청목, 박하, 파뿌리, 갈대 뿌리, 부평초, 쇠비름, 또는 이들의 조합중에서 선택되는 냉성 재료를 선택함과 동시에 해독 성분이 강한 황백나무, 토복령, 백모근, 생강 나무, 오가피, 무우 말랭이, 또는 이들의 조합중에서 선택된 해독 재료를 동시에 혼합하면 알러지 반응을 경험한 적이 있는 실험군의 전체에 대해서 완벽하게 알러지 반응이 관찰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옻 나무 100 중량부에 대해서, 옥수수대, 헛개, 산청목, 박하, 파뿌리, 갈대 뿌리, 부평초, 쇠비름, 또는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된 냉성 재료가 10 중량부 미만이면 1명 이상에서 미약한 알러지 반응이 관찰(△) 되었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미약한 알러지 반응을 나타내거나 배탈을 호소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또한, 황백나무, 토복령, 백모근, 생강 나무, 오가피, 무우 말랭이, 또는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된 해독성 재료 5 중량부 미만이면 1명 이상에서 미약한 알러지 반응이 관찰(△) 되었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1명 이상에서 미약한 알러지 반응이 관찰(△) 되었고 구토를 호소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감초는 1 중량부 미만이면 잡내를 느끼는 경우가 많고 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사이에서는 우루시올에 의한 알러지 반응이 5 ~ 20 퍼센트 정도 저감되고 5 중량부를 초과하면 지나친 단맛으로 거부감을 느끼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상기 옻 추출 재료 1 킬로그램당 물 1 ~ 3 킬로 그램을 투입하고 120 ~ 170℃에서 6 ~ 8시간 끓이는 것이 우려내는 비율과 시간상 가장 적합하였다.
또한 위 제조 과정에서 120 ~ 170℃에서 6 ~ 8시간 끓이고 상온까지 냉각시키는 가열 및 냉각 과정을 1회만 실시하거나 2회만 반복하면 우루시올 제거 효과가 부족하여 알러지 반응을 나타내는 빈도가 증가되었다. 또한, 4회 또는 그 이상 반복하면 효과는 유의차만큼의 차이는 없으면서 공정 시간만 증가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옻에 매우 민감한 사람들에게도 아무런 알러지 반응이 없이 완벽하게 우루시올을 제거 또는 우루시올에 의한 알러지 반응을 획기적으로 저감시키는 식품 첨가물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Claims (1)

  1. 옻 나무 100 중량부에 대해서,
    옥수수대, 헛개, 산청목, 박하, 파뿌리, 갈대 뿌리, 부평초, 쇠비름, 또는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된 냉성 재료 10 ~ 20 중량부;
    황백나무, 토복령, 백모근, 생강 나무, 오가피, 무우 말랭이, 또는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된 해독성 재료 5 ~ 10 중량부; 및
    감초 1 ~ 5 중량부;를 각각 세절 및 혼합하여 옻 추출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옻 추출 재료 1 킬로그램당 물 1 ~ 3 킬로 그램을 투입하고 120 ~ 170℃에서 6 ~ 8시간 끓이고 상온까지 냉각시키는 가열 및 냉각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옻 추출물 용액을 식품 첨가물로서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루시올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유용한 옻 성분을 포함하는 식품 첨가물 제조 방법.

KR1020160105228A 2016-08-19 2016-08-19 우루시올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유용한 옻 성분을 포함하는 식품 첨가물 제조 방법 KR101781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228A KR101781940B1 (ko) 2016-08-19 2016-08-19 우루시올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유용한 옻 성분을 포함하는 식품 첨가물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228A KR101781940B1 (ko) 2016-08-19 2016-08-19 우루시올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유용한 옻 성분을 포함하는 식품 첨가물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731A KR20160105731A (ko) 2016-09-07
KR101781940B1 true KR101781940B1 (ko) 2017-09-26

Family

ID=56949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228A KR101781940B1 (ko) 2016-08-19 2016-08-19 우루시올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유용한 옻 성분을 포함하는 식품 첨가물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19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021B1 (ko) 2018-10-22 2019-04-04 윤화순 식물성 생약재와 건칠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021B1 (ko) 2018-10-22 2019-04-04 윤화순 식물성 생약재와 건칠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731A (ko) 2016-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19209B (zh) 一种即食猪排的制作方法
KR101064550B1 (ko) 간장게장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간장게장
KR100959559B1 (ko) 추어 분말이 함유된 추어 카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68901A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첨가제 조성물
KR101526124B1 (ko) 앤초비 간장소스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앤초비 간장소스
KR101781940B1 (ko) 우루시올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유용한 옻 성분을 포함하는 식품 첨가물 제조 방법
KR101172033B1 (ko) 방풍을 이용한 게장용 간장소스와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간장게장의 제조방법
CN104855936A (zh) 一种麻辣香菇牛肉酱及其制备方法
KR20150054519A (ko) 참마와 개땅쑥을 포함하는 고추장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고추장
KR101392552B1 (ko) 매실액이 함유된 곰취양념절임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9440A (ko) 흑염소 육골 및 야채 복합추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52905B1 (ko) 쌈무의 제조방법
KR101259162B1 (ko) 죽력 소금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함유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1654633B1 (ko) 삼채 뿌리를 이용한 홍삼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삼채 뿌리를 이용한 홍삼채
CN105767321A (zh) 一种香椿润肤茶
KR101710676B1 (ko) 황칠을 이용한 고추장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황칠을 이용한 고추장
KR101301183B1 (ko) 맥문동과 인삼류를 이용한 장아찌 절임용 사포닌 소스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포닌 장아찌 제조방법
KR20110067801A (ko) 장아찌 제조방법
JP6798037B2 (ja) チョウセンカクレミノ抽出液を含む機能性成分を含有したキムチの製造方法
KR101617425B1 (ko) 죽력을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CN105053964A (zh) 一种银杏酱及其制备方法
KR102027375B1 (ko) 옻순을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고추장
KR101752547B1 (ko) 비타민 c를 이용한 생강류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1392530B1 (ko) 매실액이 함유된 명이양념절임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25860A (ko) 은행외과피를 포함하는 은행식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