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3046A - 고혈압 및 신장장해 예방 기능성 된장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혈압 및 신장장해 예방 기능성 된장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3046A
KR20020013046A KR1020000046397A KR20000046397A KR20020013046A KR 20020013046 A KR20020013046 A KR 20020013046A KR 1020000046397 A KR1020000046397 A KR 1020000046397A KR 20000046397 A KR20000046397 A KR 20000046397A KR 20020013046 A KR20020013046 A KR 20020013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ypertension
doenjang
kidney
mis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6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1819B1 (ko
Inventor
김경수
이임수
Original Assignee
김경수
이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수, 이임수 filed Critical 김경수
Priority to KR10-2000-0046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1819B1/ko
Publication of KR20020013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3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8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혈압 및 신장장해 예방 기능성 된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통 된장 제조 방법에 있어서 된장의 1차 숙성 후 초결명자, 숙지황, 어성초, 산수유, 산약, 오미자, 백봉령, 목단피, 택사, 청상자, 육계를 혼합한 약초의 열수 추출물을 첨가하여 재숙성하여 된장을 제조함으로써 혈압을 낮추는 항고혈압 활성과 혈장지질 수준의 개선 및 신장 기능 향상의 효과가 있으며 전통 된장의 관능 및 풍미를 저해하지 않는 된장을 제공하여 염분에 의한 고혈압 및 신장장해의 위해를 예방할 수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혈압 및 신장장해 예방 기능성 된장 및 그 제조방법{A functional Doenjang preventing hypertension and kidney trouble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고혈압 및 신장장해 예방 기능성 된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통 된장의 관능 및 풍미를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혈압을 낮추는 항고혈압 활성과 혈장지질 수준의 개선 및 신장 기능 향상의 효과가 있는 약초 열수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된 고혈압 및 신장장해 예방 기능성 된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된장은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오래 전부터 애용해 왔던 발효조미식품으로서 단백질을 보강해 주는 부식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여 왔다. 공장생산에 의해 된장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면서 위생적이고 체계적인 품질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된장의 원료는 된장용 대두로 황색종이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 생산되는 것으로는 부족해 주로 미국산 수입대두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된장용 대두는 증자 후에 색이 밝고 결정이 미세하며, 씹을 때 탄력이 좋고 흡수력이 좋으며 탄수화물 함량이 많은 것이 이상적이라고 할 수 있다. 대두 이외에 효모증식을 촉진하고 숙성을 빨리하기 위하여 탈지대두를 사용하거나 전분질 원료로서 보리 또는 밀가루를 첨가하기도 한다. 소금과 양조용수에는 철분과 구리성분이 적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된장의 제조방법을 보면, 원료 대두를 보통 15∼20℃의 물에서 8∼9시간 침지시킨 후 물을 빼고 1시간 이상 방치한 다음 증자관에서 30분 정도 예열하고 1㎏/㎠에서 1시간 반정도 증자해 준다. 증자를 시키는 목적은 대두단백질의 열변성, 대두조직의 연화, 생콩 냄새의 제거, 살균, 독성물질인 트립신 억제제와 hemaglutinin에 의한 독성을 습열변성에 의해 불활성화시키는데 있다.
종국(種麴)은 황곡균인Aspergillus oryzae를 이용하여 양조에 필요한 전분당화효소를 생산하기 위하여 제국(製麴)을 하게 된다. 처리된 원료에 1∼0.15%의 종국을 접종한 후 잡균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습도 90%, 온도 30℃로 조절하여 40∼43시간 정도 배양하여 출국(出麴)을 하게 된다.
출국과 증자대두, 식염 등을 혼합관에 넣고 수분이 48∼50℃가 되도록 혼합한 다음 숙성을 시키게 된다. 된장의 숙성은 국균, 효모, 세균 등이 상호작용에 의하여 느리게 일어나며, 전분질은 아밀라아제에 의해 덱스트린과 당으로 분해된다. 여기에서 생긴 당은 다시 알콜발효에 의해 알콜이 생성되며, 일부는 세균에 의해 유기산을 생성한다. 또한, 이들 사이에 결합이 이루어져 에스테르가 생성됨으로써 된장의 향기가 나게 된다.
단백질은 국균 중의 단백질분해효소에 의해 아미노산으로까지 분해되어 구수한 맛을 내게 된다. 보통 숙성실의 온도는 28∼30℃로 하고 된장은 품온(品溫)을 25∼30℃가 되도록 하여 2개월 이상 숙성시킨다. 내염성 효모의 알콜발효가 끝나고 프로테아제(protease)에 의한 단백질 분해가 끝나 아미노태질소(amino態窒素)가 충분히 형성될 때를 숙성종료시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숙성이 끝난 된장은 제품규격에 맞도록 조합하거나 마쇄한 다음 효소의 불활성화와 살균을 하기 위하여 가열처리를 한 다음 제품화하게 된다. 살균조건은 보통 50℃에서 60분간, 55℃에서 30분간, 60℃에서 10분간 또는 70℃에서 5분정도 실시한다.
다른 발효식품과 비교할 때, 된장은 일단 숙성된 뒤에서 그 자체의 숙성상태가 장기간 보존될 뿐만 아니라, 채소류를 된장에 담가 보관하면 된장의 맛이 그 채소류에 배어들어 독특한 맛(개운한 맛)을 내게 되고 또한 그 보존기간도 매우 길어진다. 이러한 점은 예로부터 깻잎, 고추 또는 무 등을 된장에 담가 먹는 것으로도 알 수 있다.
된장은 단백질원이 풍부한 전통 발효식품으로 국내 뿐 아니라 일본, 중국 등지에서도 유사한 식품의 형태로 폭넓게 섭취되고 있다. KS 규격에 따른 개량식 된장의 원료는 식염 12%, 콩 25%, 보리 25%, 보리국자 37%와 종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원료를 30일 내지 60일간 발효시켜 된장을 만든다. 발효 중에는 세균과 곰팡이가 분비하는 다양한 효소에 의해 구성성분들이 분해되는데, 특히 된장 성분의 25% 정도를 차지하는 단백질, 단백분해효소에 의해 여러 가지 펩타이드나 아미노산으로 분해된다. 일반적으로 발효된 된장 중에는 글루탐산(glutamic acid)이나 류신(leucine) 등이 유리아미노산으로서 다량 함유되어 있고, 펩타이드들을 구성하고 있는 아미노산으로서는 글루탐산(glutamic acid), 프롤린(proline), 아스파라산 (aspartic acid)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의 간장이나 된장 제조방법에 따르면 대두를 증자관이나, 솥에서 삶이 익힌 후 방냉시키고, 자연적인 방법 혹은 곰팡이종균, 국균(Aspergillus oryzae)을 접종하여 고체배양시켜서 콩단백질이 국균의 효소에 의하여 어느 정도 분해될 수 있는 상태에 도달하면(약 1개월정도 소요), 이를 염수(10% 이상)에 담가서 1차 발효를 2∼3개월 시킨 후, 액체를 분리 그대로 방치한 상태에서 5개월정도 2차 발효하여 달여서(열처리하여) 간장을 제조하고, 분리된 고형분이 된장원료로 독에 담가져 어느 정도의 기간(5개월)이 지나면 급식되고 있다.
된장 제조시의 위생적인 처리와 품질관리 외에도 유통과정 중에 변질을 방지하기 위하여 세심한 주의를 할 필요가 있다. 된장의 품질관리는 여러 가지 물리학적인 변화가 많기 때문에 특히 원료의 선택과 제조과정 중에 각별한 검사가 요구되어지며, 소비자의 기호에 맞도록 관능적인 면이나 화학성분의 조절 그리고 위생상의 제반 문제점을 검토하여 품질개선 및 위생처리 등을 통해 질적 향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된장은 우리나라 고유 전통 음식으로 없어서는 안될 중요 식품으로 매일 섭취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장류 식품은 염분 함량이 높아서(소금함량 10∼20%) 이들 염분에 의한 고혈압 및 신장 기능 약화의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
고혈압(hypertension)은 정상 혈압보다 높게 즉, 수축기 혈압이 140㎜Hg 이상, 확장기 혈압이 90 ㎜Hg 이상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순환계 질환으로, 전세계적으로 총 인구의 15%, 특히 65세 이상의 고령 인구의 50%에서 발생하는 매우 중요한 심혈관계 질환이다. 고혈압은 심혈관계, 신장, 신경계 등 조직·장기에 손상을 일으키는 중요한 사망원인의 하나이다.
고혈압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여 그 원인이 아직 밝혀지지 않는 본태성 고혈압이 전체 고혈압 환자의 90∼95%를 차지하고 있으며, 당뇨병, 신장질환, 약물복용 등의 원인으로 제 2차적으로 발생하는 고혈압이 나머지 5%를 차지한다. 치료방법 역시 그 원인별, 고혈압의 정도, 환자의 연령, 치료 수락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혈압은 심장의 혈액 박출량(Cardiac output)과 말초혈관의 저항(Periphenal vascular resistance)에 의해서 결정된다. 따라서 이들 두 인자를 저하시킬 수 있는 약물들을 사용하여 고혈압을 전통적으로 치료해 왔다. 예로 이뇨제(Thiazides) 또는 교감신경계 억제물질(α,β-Adrenergic antagonists; Clonidine, Prazocin)들을 사용해 왔다. 근래에는 고혈압 치료제로서 강력한 혈관수축 물질인 안지오텐신 Ⅱ(angiotensin Ⅱ)의 생리적 작용을 억제하는 안지오텐신 수용체길항제(angiotensin receptor blocker), 예를 들면, losartan(DuP753), SKF 108566, 또는 불활성 상태의 안지오텐신 Ⅰ을 활성형인 안지오텐신 Ⅱ로 전환시키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ngiotensin coverting enzyme)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물, 예를 들면, 캅토프릴, 에날라프릴, 라미프릴 등이 항고혈압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그 치료 효과는 노인성 고혈압 등 고혈압의 병인에 따라서 치료 효과가 미미하거나 없는 경우도 많다.
본 발명자들은 혈압을 낮추는 항고혈압 활성과 혈장지질 수준의 개선 및 신장 기능 향상 효과가 있는 약초 열수추출물을 된장 제조시 첨가함으로써 전통 된장의 관능 및 풍미를 저해하지 않으면서 염분에 의한 위해를 예방하고 완화할 수 있는 고혈압 및 신장장해 예방 기능성 된장을 제조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혈압 및 신장장해 예방 기능성 된장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고혈압 및 신장장해 예방 기능성 된장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전통 된장 제조 방법에 있어서 된장의 1차 숙성 후 초결명자, 숙지황, 어성초, 산수유, 산약, 오미자, 백봉령, 목단피, 택사, 청상자, 육계를 혼합한 약초의 열수추출물을 첨가하고 재숙성하여 고혈압 및 신장장해 예방 효과가 있는 된장을 제조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효과를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지만 식품종류의 선택 및 조성비의 변경 등은 건강식품의 효과를 저하시키고 당업자 간에 권리의 범위를 의도적으로 무의미하게 변경을 꾀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와 같은 수치 범위의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고혈압 및 신장장해 예방 기능성 된장을 제조하기 위한 재래식 기능성 된장 제조 공정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원료 채취한 후 매주를 성형하고 발효시킨 후, 염수를 담고 1차 숙성시킨 다음, 초결명자 8∼14 중량%, 숙지황 8∼14 중량%, 어성초 8∼14 중량%, 산수유 8∼ 14 중량%, 산약 8∼14 중량%, 오미자 8∼14 중량%, 백봉령 5∼11 중량%, 목단피 5∼11 중량%, 택사 5∼11 중량%, 청상자 5∼11 중량%, 육계 1∼4 중량%로 구성된 약제 열수추출물 첨가하고 혼합하여 2차 숙성시킨 다음 혼합, 살균하여 된장을 제조한다.
초결명자(Cassia obtusifolia L.)는 높이 약 1m 되는 한해살이풀로 씨(결명자)에는 에모딘, 오브투리폴린, 오브투신 C18H16O7, 크리소오브투신 C19H18O7, 아우란티오오브투신 C17H14O7과 그 배당체가 분리되었다. 또한 종이크로마토그라프에 의하여 크리소파놀, 크리소파놀안트론, 알로에에모딘, 레인이 확인되었다. 씨의 물 또는 알콜추출물은 동물실험에서 혈압낮춤작용이 있으며 동의치료에서는 신을 보호하고 간열을 내리우며 거풍, 열내림 효과가 있다고 하여 바람으로 머리가 아프며 눈병을 치료하는데 쓰였다.
숙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schtz var. purpurea makino)은 높이 15∼25㎝에 이르는 여러해살이풀로 뿌리(생지황)에는 이리도이드배당체인 카탈폴 및 만니톨, 레흐마닌이 있고, 뿌리가 3∼5㎝의 큰 덩어리를 이루는 회경지황에서는 4.9%의 카탈폴이 분리되었다. 물에 풀리는 부분에서는 만니톨 1%, 스타키오즈 32%, 글루코즈 9%가 있고, 잎과 뿌리에서 루테올린, 크리소에티올이 분리되었다. 동의치료에서는 보혈약, 강장약, 피멎이약, 오줌내기약, 콩팥을 보호하는 약으로 빈혈, 병후쇠약, 토혈, 자궁출혈, 결핵성쇠약에 쓰인다.
어성초(Hottuynia cordata Thunb.)는 약모밀이라고도 하며 높이 15∼30㎝ 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전초는 염증약, 이뇨해독약으로 임질과 요도염, 방광염, 자궁염, 폐염, 기관지염, 물고임, 무좀치루, 탈홍, 악창 등에 사용하며 차처럼 달여서 매일 마시면 동맥경화를 예방할 수 있다.
산수유(Macrocarpium officinale Sieb. et Zucc.)는 산수유나무 열매껍질로 열매에는 결정성유기산, 몰식자산, 사과산, 포도주산 등이 있으며 열매껍질에는 이리도이드배당체인 모르로니시드, 로가닌 등이 있다. 동의치료에서는 자양강장약, 수렴약으로 콩팥을 보하며 땀을 자주 흘리고 오줌이 조금씩 자주 나올 때, 허리아픔, 달거리가 고르지 않을 때 사용한다.
산약은 마과에 속한 덩굴성 참마 또는 마의 덩이뿌리로 가을 상강 후부터 동지 사이에 채취하여 건조한 것으로, 외면은 백색 또는 황갈색을 띠고 내부는 분질 또는 호화된 각질로 단단하다. 성분은 전분, 점액질, 단백질, 지방, 아르기닌콜린 등과 디아스타제를 함유하고 있으며, 지라, 폐, 콩팥, 위, 간의 경락에도 작용한다. 효능으로 식욕이 감퇴하며 원기가 부족할 때는 백출, 연밥, 인삼 등과 함께 달여 복용하며, 정액이 새거나 잠잘 때 식은 땀을 흘릴 경우 숙지황, 산수유 등과 달여 복용한다. 몸이 마르고 원기가 부족하는 등의 허한 증상을 보일 때는 인삼, 패모, 복령, 행인 등을 배합하여 달여 복용하면 좋다. 당뇨병에도 매일 달여 장기간 차 대신 복용하면 효과가 있으나, 염증성 설사를 하거나 대변이 굳을 때는 복용을 중지한다. 그 밖에도 너무 많이 복용하면 기체를 일이키므로 주의를 요한다.
오미자나무(Schizandra chinensis Baillon)의 열매인 오미자의 알콜엑스는 45∼47%, 물엑스는 39∼41%이며, 많은 양의 유기산이 있다. 씨까지 포함한 열매의 유기산은 레몬산, 사과산, 포도주산 등이 있고, 당분, 탄닌질, 안토찌안색소, 펙틴, 점액, 정유가 들어 있다. 열매에는 또한 수지, 사포닌, 아스코르빈산이 있다. 동의치료에서는 폐를 보호하고 콩팥을 돕는 목적에 기침멎이약, 수렴약, 자양강장약으로 기침, 입안이 마르며 설사가 멎지 않고 땀이 나고 가래가 많은 때 사용한다. 하루 5∼15g을 물에 달여 먹으며, 심근쇠약, 심장신경증 등에도 사용한다.
백봉령[Poria cocos (Schw.) Wolf.]의 성분은 다당류인 파키만이 약 94%, 트리테르펜산, 당, 무기물, 에르고스테롤이 있으며, 동의치료에서 오줌내기약, 진정약으로 오줌이 잘 나오지 않을 때, 붓기와 물고임, 먹은 것이 내려가지 않고 입맛이 없을 때, 위내정수, 가슴활랑거림, 잠을 이루지 못할 때에 쓴다. 또한 근육의 간대성경련과 어지럼증에도 쓴다.
목단피는 모란(Paeonia suffruticasa Andrews)의 뿌리껍질로 페오놀배당체인 페오노시드, 페오놀리드, 페오니플로린이 있고, 이밖에 안식향산, β-시토스테롤,캄페스테롤, 페오놀이 있다. 목단피의 중요한 약리작용물질은 페오놀과 그의 배당체로 진정작용, 열내림작용, 아픔멎이작용, 진경작용과 같은 중추억제효과가 있으며 항염증작용, 피멎이작용도 있다. 동의치료에서는 진정약, 열내림약, 염증약, 아픔멎이약, 쟁혈약으로 오한과 열나기, 경련과 머리 및 배아픔, 월경불순과 허리아픔때에 쓴다. 목단피는 복숭아씨와 함께 쓸 때 염증을 없애고 몸안에 피를 잘 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택사(Alisma plantago-aquaticaL.car. orientale Samp)는 높이 50∼100㎝에 이르는 여러해살이풀의 뿌리줄기로 정유, 수지, 아세틸콜린, 레찌틴, 아스파라긴을 비롯한 아미노산, 많은 양의 당, 피토스테롤, 피토스테롤린, 팔미틴, 스테아린, 올레인, 알칼로이드와 많은 농마, 단백질이 있다. 동의치료에서는 오줌내기약, 지갈약으로서 콩팥염으로 인한 붓기와 각기, 오줌이 적을 때, 위내정수, 구갈, 어지럼증에 쓰며, 요즘에는 당뇨병에도 쓰인다. 민간에서는 뿌리줄기를 설사, 고혈압, 급성장염, 세균성적리, 점막의건조, 어지러움증, 황달 때 달여서 먹는다.
청상자(Celosia argentea L.)는 들맨드래미의 씨로 동의치료에서 눈을 밝게 하는 효과가 있다고 하여 눈이 붉어지고 곪길 때 매미허물, 단국화 와 같이 쓴다. 고혈압과 어지럼증에도 쓰인다.
육계는 일본의 남부에서 재배하는 C. sieboldii Meisn.(C. loureirii auct. Jap. non Nees)의 뿌리껍질로 정유 약 1%가 함유되고 주성분은 계피알데히드 30%, 캄파, 찌네올, 리날롤이며, 계피와 같은 목적에 쓰는데 대용품이며 주로 과자향로로 사용한다.
본 발명 고혈압 및 신장장해 예방 기능성 된장은 재래식 전통 된장 제조방법에 있어서, 1차 숙성 후 초결명자 8∼14 중량%, 숙지황 8∼14 중량%, 어성초 8∼14 중량%, 산수유 8∼ 14 중량%, 산약 8∼14 중량%, 오미자 8∼14 중량%, 백봉령 5∼11 중량%, 목단피 5∼11 중량%, 택사 5∼11 중량%, 청상자 5∼11 중량%, 육계 1∼4 중량%으로 구성된 약제 열수추출물을 첨가·혼합한 다음 재숙성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식품으로 인체에 전혀 해롭지 않고 우리가 항상 먹고 있는 식품원료 중에서 들에서 자생하고 있는 가식성(edible) 식품원료인 초결명자, 숙지황, 어성초, 산수유, 산약, 오미자, 백봉령, 목단피, 택사, 청상자, 육계를 혼합하여 1㎏당 20 L의 물로 열수추출하여 제조된 약초 열수추출물을 첨가한 된장으로, 인체에 해로운 것이 없고 그 성분 중에는 고혈압 및 신장장해 예방 등의 신진대사 작용에 관여하는 것이 있으므로 유용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약초추출물의 제조
약초의 구입은 국내산으로 혈압강화 효과와 신장기능을 향상시키는 약효를 가진 전통 한약 처방을 변형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혼합비로 조제한 혼합 약초를 사용하였다.
1㎏의 상기 혼합 약제를 약 1㎝로 잘라 깨끗한 청정수로 2∼3일 수세한 후 20 L의 물과 함께 고온 고압 약탕기에 넣고 5시간동안 열수추출하여 미세여과포로 여과하여 본 발명 고혈압 및 신장장해 예방 기능성 된장에 첨가된 약초 열수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약초의 혼합비(단위 : 전체 100에 대한 중량%)
약초종류 혼합비율
초결명자 10.80
숙지황 10.80
어성초 10.80
산수유 10.80
산약 10.80
오미자 10.80
백봉령 8.10
목단피 8.10
택사 8.10
청상자 8.10
육계 2.80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혈압 및 신장장해 예방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동물실험과 그 결과를 제시한다.
실험예 1 : 고혈압 및 신장장해 예방 효과 측정(동물실험)
(1) 동물실험
본 실험에 공시한 실험동물은 체중이 200g 내외의 생후 6주령된 본태성 고혈압 쥐(SHR :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Kyoto)로 유전적으로 정상 혈압 쥐(normotensive rat)보다 혈압이 높아서 고혈압 연구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험적인 질환 모델로서 1963년 Okamoto와 Aoki에 의해서 위스타-교토쥐(Wistar-Kyoto rat) 중에서 혈압이 높은 개체간의 연속적인 형매간 근친교배(兄妹間 近親交配)에 의해 개발된 품종이다. 이 쥐는 유전적인 요인에 의해서 자연발생 고혈압증(自然發生 高血壓症)이 후대에 100% 발현되며 후천적 또는 환경적 요인에 의해서 고혈압의 진행과정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 실험에서는 6주령된 본태성 고혈압 쥐(SHR) 숯컷을 구입하여 수축기 혈압이 140㎜ 이상인 SHR을 사용하였으며, 시판 사료로 2주간 예비 사육한 후 대조군과 0.5%의 약초 열수추출물 함유식이군으로 분류하여 6주간 사육하였다. 사료 성분은 조단백질 23% 이상, 조지방 4.2% 이상, 조섬유 0.6% 이하, 조회분 10.0% 이하, 칼슘 0.6% 이하, 인 0.45% 이상인 사료를 사용하였다.
(2) 혈압 측정
혈압측정을 위하여 SHR을 27∼30℃로 조절된 항온통에 넣어 약 15분간 안정화시킨 다음 꼬리 동맥 수축기 혈압(systolic blood pressure)을 쥐꼬리 혈압측정기(Tail cuff Plethysmograph, Muromachi Co. Model MK-1100)로 동일한 시간과 조건에서 수축기 혈압을 5회 이상 측정한 후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본원 조성물을 급여하는 동안 혈압측정은 0일차에서 42일차까지 7일간격으로 실시하였다. 0일차는 본 발명 약초추출물을 급여하기 전 기존의 쥐 사육용 시판 사료를 2주간 급여한 후 측정한 수축기 혈압의 평균치로서 기준 혈압이다.
혈압을 측정한 결과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에서는 혈압의 변화가 거의 없으나 본원의 고혈압 및 신장장해 예방용 약초추출물을 급여한 군에서는수축기 혈압이 시험 개시시의 기준 혈압에 비해 약 6%정도 저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약초추출물 급여가 실험 쥐(SHR)의 혈압강하에 미치는 영향(%)
0 1주 2주 3주 4주 5주 6주
대조군 100 114 126 103 99 98 99
약초추출물 투여군 100 105 102 97 93 92 94
(3) 생화학적 검사
시료를 6주간 경구투여한 실험기간 종료 후, 본태성 고혈압 쥐(SHR)를 에테르 마취하여 개복하고 심장에서 혈액을 채취하고 간, 신장 지방조직(pe rarenal fat pad), 정소상체 지방조직(epididiymal fat pad) 등 각 주요 장기를 적출하였다.
혈액은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취하여 GOT(Glutamate oxalo acetate transaminase), GPT(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의 활성도를 조사하였고, 총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및 인지질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혈청 GOT 및 GPT의 활성도는 Reitman과 Frankel의 방법에 준해 조제된 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효소활성단위는 혈청 1mL당 karmem unit로 표시하였다. 혈청 total cholesterol 측정은 cholesterol-G-test wako(Wako Junyaku, Osaka Japan)를 이용하여 cholesterol-oxidase-phenol법에 의하여 측정하였고, 혈청 triglyceride 농도는 triglyceride E-test wako(Wako Junyaku, Osaka Japan)를 이용 GPO-DAS법에 의하여 측정하였으며, 혈청 phospholipid는 Pyerdase nissui(Nissui Saiyaku, Osaka Japan)를 이용하여 효소법으로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표 3 및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SHR에 0.5%의 약초추출물을 급여한 군에서는 대조군보다 GOT 및 GPT의 활성이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고, 혈중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 및 인지질의 함량은 저하되었으며, HDL-콜레스테롤의 함량은 증가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약초 추출물 급여가 실험쥐의 혈청 GOT 및 GOT에 미치는 영향(Karmen/mL)
GOT GPT
대조군 109 52
약초추출물 투여군 98 47
[주] 1 Karmen unit는 25℃에서 1㎝의 light path를 가진 Cuvetso에 용액량3mL의 반응용액이 1분간에 340nm의 파장에서 흡광도가 0.001씩변화하는 것을 1unit이라 한다.
약초 추출물 급여가 실험쥐의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100mL)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인지질
대조군 118 78 41 121
약초추출물 투여군 81 75 49 108
(4) 혈장, 혈관조직 및 신장 중 안지오텐신 Ⅱ 저해 효소(ACE) 활성에 미치는 영향
상기 ⑶에서 채취한 쥐의 심장 혈액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취하여 혈청의 안지오텐신 Ⅱ 저해효소(ACE:Angiotension Ⅱ Converting Enzyme) 활성을 측정하였고, 혈관조직으로는 흉부 대동맥과 신장을 적출하여 0.9% 생리식염수로 세척하여 조직을 세분한 후 homogenize하여 원심분리한 후 그 상등액을 혈관조직의 ACE 조효소액으로 사용하여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청, 혈관조직 및 신장에서 ACE의 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본 발명 고혈압 및 신장장해 예방 효과를 지니는 약초추출물 투여군에서 승압효과를 지니는 ACE의 활성이 억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약초추출물 급여가 실험쥐의 혈장, 혈관조직 및 신장 ACE 활성에 미치는 영향(micro U/mg protein)
혈청 혈관 신장
대조군 11 78 49
약초추출물 급여군 8 69 43
실시예 2 : 고혈압 및 신장장해 예방 기능성 된장 제조
본 발명 고혈압 및 신장장해 예방 기능성 된장 제조법에 대하여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공정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1공정 : 원료 채취 공정
먼저 대두를 선별한 후 씻어서 미온수에서 3∼4시간 정도 침지시켜 두었다가 건져내어 이중가압솥에 넣고 100∼130℃의 온도로 승온하여 짜고 이중가압솥의 증기송출구를 순간적으로 개폐하여 순간분출되는 증기와 함께 대두 본래의 비린 냄새와 맛을 휘발되게 한 후 찐 대두를 얻는다.
제2공정 : 메주 성형 공정
상기 제 1 공정에서 얻어진 찐 대두를 메주 성형기의 용적에 맞게 넣어 압착기로 압착시켜서 성형된 메주를 제조한다.
제3공정 : 메주 발효 공정
상기 제 1 공정 및 제 2 공정에 의하여 얻어진 메주를 40℃의 상온에서 20℃의 저온으로 다시 20℃의 저온에서 40℃의 상온으로 조절하는 상온, 저온의 자동온도 조절방법에 따라 반복해서 48∼60시간 발효시킨다.
제4공정 : 염수 담금 및 장담금 공정
10∼20%의 소금함량인 염수를 제조하여 저장한 후 상기 제 3 공정의 건조된 메주에 첨가하여 장을 담근다.
제5공정 : 1차 숙성 및 약제 열수추출물 첨가 공정
상기 제 4 공정에서 얻은 장을 25∼35℃에서 30∼90일간 1차 숙성한 후, 실시예 1에서 준비한 약제 열수추출물을 된장 100 ㎏ 당 2 L의 양을 혼합기에서 균등하게 혼합한다.
제6공정 : 된장 제조 공정
상기 제 5 공정에서 얻은 장을 간장독 속에 넣고 8∼20일간 방치하면서 2차숙성시켜 본 발명 고혈압 및 신장장해 예방 기능성 된장을 제조한다.
이상의 실시예와 실험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의 고혈압 및 신장장해 예방 효과가 있는 약초 열수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된장을 제공함으로써, 혈압을 낮추는 항고혈압 활성과 혈장지질 수준의 개선 및 신장 기능 향상 효과가 있으며 전통 된장의 관능 및 풍미를 저해하지 않는 된장을 제공하여 염분에 의한 고혈압 및 신장장해의 위해를 예방할 수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식품산업 및 건강의학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초결명자 8∼14 중량%, 숙지황 8∼14 중량%, 어성초 8∼14 중량%, 산수유 8∼ 14 중량%, 산약 8∼14 중량%, 오미자 8∼14 중량%, 백봉령 5∼11 중량%, 목단피 5∼11 중량%, 택사 5∼11 중량%, 청상자 5∼11 중량%, 육계 1∼4 중량%으로 혼합한 약제 원료를 수세한 후, 상기 원료 1㎏당 20 L의 물로 열수추출하고 여과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및 신장장해 예방용 약초 추출물 제조방법.
  2. 상기 제 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고혈압 및 신장장해 예방용 약초 추출물.
  3. 된장 제조방법에 있어서, 된장 원료를 1차 숙성한 후 초결명자 8∼14 중량%, 숙지황 8∼14 중량%, 어성초 8∼14 중량%, 산수유 8∼ 14 중량%, 산약 8∼14 중량%, 오미자 8∼14 중량%, 백봉령 5∼11 중량%, 목단피 5∼11 중량%, 택사 5∼11 중량%, 청상자 5∼11 중량%, 육계 1∼4 중량%으로 구성된 제 2항 기재의 약초 열수추출물을 된장 100 ㎏ 당 2 L의 양으로 첨가·혼합한 다음 재숙성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및 신장장해 예방 기능성 된장 제조방법.
  4. 상기 제 3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고혈압 및 신장장해 예방 기능성 된장.
KR10-2000-0046397A 2000-08-10 2000-08-10 고혈압 및 신장장해 예방 기능성 된장 및 그 제조방법 KR100391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397A KR100391819B1 (ko) 2000-08-10 2000-08-10 고혈압 및 신장장해 예방 기능성 된장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397A KR100391819B1 (ko) 2000-08-10 2000-08-10 고혈압 및 신장장해 예방 기능성 된장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3046A true KR20020013046A (ko) 2002-02-20
KR100391819B1 KR100391819B1 (ko) 2003-07-16

Family

ID=19682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397A KR100391819B1 (ko) 2000-08-10 2000-08-10 고혈압 및 신장장해 예방 기능성 된장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181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039A (ko) * 2002-03-23 2002-04-17 김예순 어성초를 이용한 된장과 간장의 제조방법
KR20020041377A (ko) * 2002-05-07 2002-06-01 배미숙 지장수 산약된장
KR20030044158A (ko) * 2001-11-29 2003-06-09 김성호 각종 독성분을 제거한 약초 간장과 된장 제조방법
KR100740292B1 (ko) * 1999-11-29 2007-07-18 챠터드 세미컨덕터 매뉴팩춰링 리미티드 실린더형 반도체 캐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0853829B1 (ko) * 2007-01-25 2008-08-22 김경수 고혈압 예방 및 지질대사 개선용 기능성 간장 및 그 제조방법
KR100904166B1 (ko) * 2002-08-08 2009-06-22 김기돈 생약으로 이루어진 엑기스 건강 보조식품
KR100904167B1 (ko) * 2002-08-08 2009-06-22 김기돈 생약재로 이루어진 기혈 건강보조식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332B1 (ko) * 2002-04-25 2004-12-17 한국식품연구원 혈압상승 억제효과를 갖는 고추장 및 된장
KR20030096928A (ko) * 2002-06-18 2003-12-31 신삼례 녹용 함유 된장 및 그 제조방법
KR100955300B1 (ko) * 2008-02-11 2010-04-30 세명한방제약 주식회사 어성초와 삼백초 발효추출액을 이용한 된장의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292B1 (ko) * 1999-11-29 2007-07-18 챠터드 세미컨덕터 매뉴팩춰링 리미티드 실린더형 반도체 캐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44158A (ko) * 2001-11-29 2003-06-09 김성호 각종 독성분을 제거한 약초 간장과 된장 제조방법
KR20020029039A (ko) * 2002-03-23 2002-04-17 김예순 어성초를 이용한 된장과 간장의 제조방법
KR20020041377A (ko) * 2002-05-07 2002-06-01 배미숙 지장수 산약된장
KR100904166B1 (ko) * 2002-08-08 2009-06-22 김기돈 생약으로 이루어진 엑기스 건강 보조식품
KR100904167B1 (ko) * 2002-08-08 2009-06-22 김기돈 생약재로 이루어진 기혈 건강보조식품
KR100853829B1 (ko) * 2007-01-25 2008-08-22 김경수 고혈압 예방 및 지질대사 개선용 기능성 간장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1819B1 (ko) 200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38692A (ko) 복분자를 이용한 식초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78657B1 (ko) 하수오주 및 그 제조방법
CN105230843A (zh) 黄芩混合茶及其制备方法
CN103431358A (zh) 一种女贞保健酱油的制作方法
KR101917115B1 (ko) 발아 현미 여주 흑초 제조 방법
KR100391819B1 (ko) 고혈압 및 신장장해 예방 기능성 된장 및 그 제조방법
KR101281151B1 (ko) 동아를 이용한 막걸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53829B1 (ko) 고혈압 예방 및 지질대사 개선용 기능성 간장 및 그 제조방법
KR100701336B1 (ko) 강장 또는 강정용 한방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90165B1 (ko) 울금을 이용한 약주 및 그 제조방법
KR101163564B1 (ko) 한방 보리 된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된장
KR20110080817A (ko) 건강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70507B1 (ko) 흑삼 삼계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흑삼 삼계탕
KR20100126111A (ko) 울금을 이용한 탁주 및 그 제조방법
KR101329186B1 (ko) 잣 함유 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752571B1 (ko) 갈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배양, 숙성시킨 청국장 및 이를 이용한 갈화고추장 제조방법
KR20080100942A (ko)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356983B1 (ko) 두유의 제조방법
KR101111288B1 (ko) 기능성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25860A (ko) 은행외과피를 포함하는 은행식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71529A (ko) 뽕잎 쌈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27679B1 (ko) 샤인머스켓 및 블루베리를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방법
KR101941600B1 (ko) 효소를 이용한 기능성 메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36322B1 (ko) 고추장 굴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추장 굴비
KR102150004B1 (ko) 헛개나무열매 진액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