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8803A -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8803A
KR20020008803A KR1020010044584A KR20010044584A KR20020008803A KR 20020008803 A KR20020008803 A KR 20020008803A KR 1020010044584 A KR1020010044584 A KR 1020010044584A KR 20010044584 A KR20010044584 A KR 20010044584A KR 20020008803 A KR20020008803 A KR 20020008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s
plasma display
display panel
electrode
sus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4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9519B1 (ko
Inventor
사노요시오
아이바라노부미쓰
야나이요시아키
아키야마도시유키
오카모토데쓰마사
야나기다가즈아키
다테노히로카즈
히라노나오토
다나카요시토
나카무라다다시
누노무라게이지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20020008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8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5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32Disposition of th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H01J2211/245Shape, e.g. cross section or patter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32Disposition of the electrodes
    • H01J2211/323Mutual disposition of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32Disposition of the electrodes
    • H01J2211/326Disposition of electrodes with respect to cell parameters, e.g. electrodes within the ri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01J2211/361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화소셀들을 규정하는 리브들이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유지전극들 및 주사전극들은 리브들 가까이에 배치된다. 이 전극들은 각각의 화소셀 내에서 이격되고, 유지전극 및 주사전극은 각각 행방향으로 배치된 화소셀들 사이에서 잘라내어져 각 화소셀에 개별적으로 별개인 전극들을 제공한다. 또, 행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화소셀들 사이에는, 유지전극들 및 주사전극들이 각각 유지측 버스전극 및 주사측 버스전극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이는 높은 발광효율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각 화소셀에는 전극들 간에 넓은 거리가 제공되어 큰 유효개공부가 제공된다. 따라서, 이것은 발광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전극들이 행방향으로 배치된 화소셀들 간에 이격된 경우에 세기가 적은 양만 감소되게 한다. 유지전극들 또는 주사전극들은 열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화소셀들 간에 공유되거나 서로 연결될 수 있고 따라서 유효개공부가 더 크게 만들어질 수 있고, 그로 인해 세기 및 발광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및 그 제조방법{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보단말기들, 개인용 컴퓨터들, 텔레비전들 등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영상디스플레이장치로서 채용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에 높은 피크세기 및 저 소비전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종래기술의 패널들 및 방법들보다 대용량 및 고해상도를 가지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들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대화면을 제공하기에 용이하고, 유리창들 등에 폭넓게 사용되는 값싼 유리재료를 디스플레이패널을 구성하기 위한 기판들로서 채용할 수 있게 하는 이점들을 가진다.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은 그러한 유리재료로 이루어진 두 개의 투명절연기판들을 채용하며, 각각의 투명절연기판은 그 위에 형성된 전극들 및 리브(rib)들을 가져 화소셀들 또는 표시유닛들을 규정한다. 이 패널을 완성하기 위하여, 이러한 구조물들이 그 위에 형성된 두 개의 투명절연기판들은 그것들 사이에 틈을 규정하도록 평행하게 이격된 관계로 배치되어 방전기체를 밀봉시킨다. 전형적으로, 리브는 높이가 약 0.1㎜이고 투명절연기판은 두께가 약 3㎜이고, 그래서 극히 얇고 경량의 디스플레이장치들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그러한 특징들을 이용함으로써,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은, 근년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진 개인용 컴퓨터들 또는 사무용 워크스테이션들을 위한, 또는 추가 개발에 대한 강한 잠재력을 가지는 대화면 벽걸이 텔레비전들을 위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사용되어 왔다.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은 크게는 패널구조의 차이에 따라 DC형 및 AC형으로 분류된다. 방전기체에 직접 노출되는 전극들을 가진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은 일단 방전이 일어나면 DC전류가 연속하여 흐르기 때문에 DC형이라 한다. 반면에, 전극들 및 방전기체 사이에 절연층이 개재되어 있는 AC형은 펄스전류가 전압의 인가 후에 약 1㎲의 단시간 동안 흐른 다음 수속(convergence)되게 한다. 이 전류흐름은 절연층의 정전용량에 의해 제한된다. 절연층은 커패시터로서 역할을 하여 인가된 AC펄스들은 반복적인 발광펄스들이 디스플레이 목적을 위해 발생되게 한다. 이 때문에 AC형이 그러한 이름으로 불리어진다.
DC형이 간단한 구조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그 전극들은 방전환경에 직접 노출되고 그래서 단시간에 마멸되어, DC형이 긴 수명을 가지기 어렵게 한다. 이에 반하여, AC형은 절연층을 형성하는데 추가적인 시간, 노력 및 비용을 필요로 하지만, 그 전극들은 절연층으로 덮여 있어, AC형이 긴 수명을 가지게 한다. 더구나, AC형은 높은 밝기의 발광을 가능하게 하는 메모리기능이라고 하는 기능을 쉽사리 구현할 수 있게 하고, 따라서 근년에 개발되어 왔다.
본 발명은 AC메모리형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에 관한 것이다. 이제, AC메모리형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 구성 및 방법을 이하에서 설명할 것이다.
먼저, AC메모리형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 구성이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3은 일본공개특허공보 평6-12026호에 개시되며 일반적으로 면방전형(plane discharge type)이라 불리는 AC메모리형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한다. 도 1은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T-T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U-U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2에 보인 것처럼, 이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은, 투명하며, 두께는 3㎜이며, 소다유리로 이루어지고,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이격된 관계로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목적을 위한 방출광이 그것들을 통과할 수 있게 하는 제1 및 제2절연기판들(11 및 12)을 가진다. 제1절연기판(11) 및 제2절연기판(12) 사이에는, 기본 구성요소들로서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위한 구조물들이 제공되고 방전기체는 밀봉된다.
제2절연기판(12)에 대향하는 제1절연기판(11)의 표면에는, 투명한 NESA막으로 형성된 복수의 유지전극들(13a)과 투명한 NESA막으로 형성된 복수의 주사전극들(13b)이 서로 평행하게 번갈아 배치된다. 또, 은후막(silver thick film)으로 형성된 버스전극(13c)이 각각의 유지전극(13a) 및 각각의 주사전극(13b)의 상면에 서로 접하게 배치되어, 충분한 전류가 유지전극(13a) 및 주사전극(13b)에 공급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유지전극(13a), 주사전극(13b) 및 버스전극(13c)은 도 1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게다가, 이러한 유지전극(13a),주사전극(13b) 및 버스전극(13c)은 두꺼운 투명글레이즈(glaze)막으로 이루어진 절연층(18a)으로 덮여지고, 이 절연층(18a)의 상면에는, 절연층(18a)을 보호하기 위해 1㎛의 두께를 갖는 MgO로 된 보호막(19)이 형성된다.
부언하면, 유지전극(13a)과 주사전극(13b)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용도의 광 방출에서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디스플레이전극부라고 한다. 더구나, 버스전극(13c)은 디스플레이전극부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배선부는 종종 버스전극이라고 한다. 이 상황에서는, 버스전극(13c)은 때때로 버스전극부라고 한다.
디스플레이전극부 및 버스전극부로 이루어진 전극부는 유리기판의 동일 표면에 형성되어 면방전을 일으키는 전극구성부를 제공하고, 그래서 디스플레이전극부 및 버스전극부는 일반적으로 면방전전극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유지전극의 한 측면 상의 면방전전극은 유지전극(13a)을 디스플레이전극부로서 가지며 유지전극(13a)상의 버스전극(13c)을 버스전극부로서 가진다.
이제, 제2절연기판(12)상에는, 두꺼운 은막으로 된 복수의 열전극들(14)이 도 1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열전극(14)과 제2절연기판(12)은 두꺼운 절연층(18b)으로 덮여 있다. 절연층(18b) 및 절영층(18a) 사이에는, 두꺼운 막으로 된 리브들(16)이 형성되어 방전기체를위한 공간들을 제공하며 화소셀들(20)을 규정한다. 게다가, 방전기체가 리브들(16)에 의해 규정되는 방전기체공간들(15) 내에서 밀봉되고, 각 방전기체공간(15) 내의 절연층(18b)상에는, 방전기체의 방전에 의해 생성된 UV광을 가시광으로 바꾸기 위해 ZnSiO4:Mn으로 만들어진 인광체(phosphor; 17)가 마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이 그 위에 형성된 개개의 구조물들을 가지는 두 개의 절연기판들(11 및 12)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이격된 관계로 배치되어 그것들 사이에 방전기체공간(15)으로서 역할을 하는 틈을 규정한다. 방전기체공간(15)은, 7 대 3의 비율로 혼합된 He 및 Ne와 같은 기체혼합물에 3%의 Xe가 첨가된 방전기체로써, 66.5㎪의 총 압력으로 채워진다.
도 1을 참조하면, 가로 및 세로로(행방향 및 열방향으로) 연장된 리브들(16)은 방전셀들을 규정하고, 이 방전셀들은 화소셀들(20)로서 역할을 한다. 도 4에서, 화소셀은 주사전극(Si, i=1, 2, ..., m) 및 열전극(Dj, j=1, 2, ..., n)의 교차점인 aij에 의해 표시된다. 도 2의 인광체(17)는 3 색들인 적색, 녹색 및 청색을 각 화소셀에 제공할 수 있어, 풀칼러표시를 할 수 있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제공한다. 이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 디스플레이는 어느 한 쪽, 즉, 도 2의 제1절연기판(11)에서 위쪽으로 가는 방향(상부표면의 방향) 또는 제2절연기판(12)에서 아래쪽으로 가는 방향(하부표면의 방향)으로 보여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보여진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 경우, 상부표면의 방향으로 디스플레이패널을 보는(viewing)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인광체(17)의 발광부가 직접 보여질 수 있게 하여 높은 세기를 제공할 수 있다.
부언하면, 디스플레이를 관람하기 위한 쪽의 절연기판(이 경우 제1절연기판(11))은 전면기판이라 불릴 것이고, 다른 절연기판(이 경우 제2절연기판(12))은 배면기판이라 불릴 것이다. 더구나, 도 1에서, 버스전극(13c)의 길이방향은 단순히 행방향이라고 하고, 열전극(14)의 길이방향은 열방향이라고 한다. 게다가,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은 종종 열방향을 세로방향으로서 사용하므로, 설명을 위해 열방향은 세로방향으로 가정하고 행방향은 가로방향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편이를 위하여 가정한 것이고 따라서 열방향은 실용에서는 가로방향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 전극들의 배치만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10은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가리키며, 21은 제1절연기판(11) 및 제2절연기판(12)이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어 그것들 사이에 방전기체가 밀폐하여 밀봉되는 틈을 규정하는 밀봉부를 가리키며, C1, C2, ..., Cm은 유지전극들(13a)을 가리키며, S1, S2, ...,Sm은 주사전극들(13b)을 가리키고, D1, D2, ..., Dn-1, Dn은 열전극들(14)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VGA형 실제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은 세로방향으로 480개의 화소표시유닛들과 가로방향으로 640개의 화소표시유닛들을 가지고, 하나의 화소표시유닛은 R, G 및 B의 3개의 화소셀들로 구성된다. VGA형 패널은 세로방향의 480개 화소표시유닛들에 대응하는 480개의 주사전극들(13b; S1, S2, ...,Sm), 480개의 유지전극들(13a, C1, C2, ..., Cm), 및 640개 화소표시유닛들에 기인하며 각각이 가로방향으로 3 색들로 분할되는 1920(=640 ×3)개의 열전극들(14; D1, D2, ..., Dn-1, Dn)을 가진다. 각각의 화소셀피치는 열전극들(14)간에는 0.35㎜이고 주사전극들(13b)간에는 1.05㎜이다.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주사전극(13b)과 유지전극(13a) 사이의 거리는 0.14㎜이다.
이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를 사용하여 그레이스케일의 디스플레이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 경우, 다른 유형들의 디스플레이장치들과는 달리, 인가되는 전압들의 레벨을 변경하여 높은 세기로 그레이스케일의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것이 어렵고, 따라서 발광횟수는 대체로 그레이스케일 디스플레이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된다. 특히, 그레이스케일 디스플레이동작을 높은 세기로 수행하기 위하여 채용되는 것은 아래에서 설명될 서브필드법이다.
도 5는 서브필드법에 따른 구동순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에서,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주사전극을 나타낸다. 스크린을 가득 채우는(screenful) 영상은 한 필드의 기간 동안 보내진다. 한 필드의 기간은 종종 컴퓨터 또는 방송시스템에 의존하여 약 1/50 내지 1/75초의 범위 내로 설정된다.
도 5에 보인 것처럼,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에서의 그레이스케일영상 디스플레이동작의 경우, 하나의 필드는 K개의 서브필드들(도 5의 경우, k=6개 서브필드들, 또는 SF1 내지 SF6)로 분할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처럼, 각각의 서브필드는 예비방전펄스(36), 예비방전소거펄스(37), 주사펄스(33), 데이터펄스(34) 등으로 디스플레이데이터를 쓰기 위한 쓰기사이클, 및 디스플레이를 위해 발광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사이클로 이루어진다. 부언하면, 쓰기사이클에서는, 예비방전펄스 및 예비방전소거펄스가 생략될 수 있다.
각 화소셀의 발광세기는 각 서브회로의 각 화소셀에서 방전을 유지하기 위한 발광횟수에 가중치 2n을 할당하여 다음의 수학식 1에 따라 제어된다.
여기서 n은 서브필드번호로서 최소세기의 서브필드의 경우 '1'이고 최대세기의 서브필드의 경우 k이며, L1은 최소세기를 제공하는 서브필드의 세기이고, an은 '1' 또는 '0'의 값으로 취해지는 변수로서 화소셀이 n번째 서브필드에서 광을 방출하는 경우 값이 '1'이고 그 필드에서 광이 방출되지 않는 경우 값이 '0'이다. 다른 레벨들의 발광세기가 서브필드들의 각각에 제공되므로, 밝기는 각 서브필드의 "온" 또는 "오프"상태를 선택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도 5는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 적색, 녹색 및 청색 칼라화소셀들을 이용한 칼라디스플레이동작에 의해 k=6인 경우를 보여주므로, 그레이스케일의 64(2K=26) 레벨들이 칼라들로써 표현될 수 있다. 643=262,144개의 색들(흑색 포함)을 표시할 수 있다. k=1 또는 1 필드= 1 서브필드인 경우, 색들은 그레이스케일의 두 레벨들("온" 또는 "오프")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게 한다. 이는 23=8개 색들(흑색 포함)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게 한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4에 보여진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 구동전압파형들 및 발광파형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파형 (A)는 유지전극들(13a; C1, C2, ..., Cm)에 인가되는 전압파형을 나타내며, 파형 (B)는 주사전극(13b, S1)에 인가되는 전압파형을 나타내며, 파형 (C)는 주사전극(13b, S2)에 인가되는 전압파형을 나타내며, 파형 (D)는 주사전극(13b, Sm)에 인가되는 전압파형을 나타내며, 파형 (E)는 열전극(14, D1)에 인가되는 전압파형을 나타내며, 파형 (F)는 열전극(14, D2)에 인가되는 전압파형을 나타내고, 파형 (G)는 화소셀(20, a11)의 발광파형을 나타낸다. 파형 (E) 및 (F)에서 사선을 갖는 펄스들은 이 펄스들의 존재유무가 쓰여지는 데이터의 존재유무에 따라 결정됨을 나타낸다. 도 6은 데이터가 화소셀(20; a11, a22)에 쓰여질 때 채용된 데이터전압파형들을 보여준다. 이 도면은 또한 디스플레이동작이 데이터의 존재유무에 의존하여 제 3 및 후속 행들의 화소셀들에서 수행됨을 보여준다.
유지펄스(31)와 예비방전펄스(36)는 유지전극들(13a; C1, C2, ..., Cm)에 인가된다. 한편, 독립된 타이밍으로 주사전극들(13b; S1, S2, ..., Sm)의 각각에 인가되는 주사펄스(33)에 더하여 유지펄스(32), 소거펄스(35) 및 예비방전소거펄스(37)는 주사전극들(13b; S1, S2, ..., Sm)에 공통으로 연속하여 인가된다. 발광데이터가 이용가능할 때, 데이터펄스(34)는 주사펄스(33)와 동위상으로 열전극들(Dj, j=1, 2, ..., n)의 각각에 인가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보여진 바와 같이 구성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에서, 소거펄스(35)는 먼저 바로 이전의 서브필드에서 방출된 광을 갖는 화소전극에서의 방전을 소거한다. 그 후, 예비방전펄스(36)는 모든 화소셀들에서 예비방전이 한번 강제로 일어나도록 한 다음 예비방전소거펄스(37)는 예비방전을 소거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후속하여 인가되는 주사펄스(33)가 쉽사리 쓰기방전을 일으키도록 한다.
예비방전이 소거된 후, 주사펄스(33) 및 데이터펄스(34)를 주사전극(13b) 및 열전극(14)에 동일한 타이밍으로 인가하여 쓰기방전이 되게 하는 것은, 쓰기방전과 동일한 시간에 주사전극 및 열전극 사이에 방전을 일으킬 것이다. 이는 쓰기유지방전이라고 한다. 다음에, 유지방전은 서로 인접한 유지전극(13a) 및 주사전극(13b) 사이에서 유지펄스들(31 및 32)에 의해 유지된다. 한편, 주사펄스(33)만을 또는 데이터펄스(34)만을 인가하는 것은 쓰기방전이나 후속하는 유지방전이 일어나지 않게 할 것이다. 그러한 기능은 메모리기능이라 불린다. 발광세기는 유지방전의 횟수에 의존하여 서브필드들의 각각에서 제어된다.
그러나, 도 3의 단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인광체(17)로부터 방출된 광을 도 3의 위쪽으로 출력하는 데에는, 인광체(17) 위쪽에 존재하는 버스전극(13c)이 불충분한 광출력효율을 제공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발광세기에 대한 발광용 전력입력의 비율(이후로는 발광효율이라 함)이 낮아지게 하여,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채용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력소비가 증가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광출력효율과 높은 피크세기를 제공할 수 있고 낮은 최대소비전력으로 구동될 수 있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과, 이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AC메모리형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T-T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3은 도 1의 U-U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 전극들의 배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5는 서브필드법에 따른 구동순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6은 서브필드법에서의 구동전압파형들 및 발광파형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도 7의 A-A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9는 도 7의 B-B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10은 주사 및 유지전극들을 위해 얇은 금속배선들을 채용한 것이 제1실시예와는 다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C-C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D-D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13은 주사 및 유지전극들을 위해 얇은 금속배선들을 채용한 것이 제1실시예와는 다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위해 사용되는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5는 리브들의 각 교차부에 돌출부를 갖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6은 돌출부가 리브들의 각 교차부에 존재하고 우측 및 좌측화소셀들간을 연결하기 위한 전극부가 리브돌출부들에 의해 고립되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7은 제5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8은 리드들의 각 교차부에 오목(recess)부를 가지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9는, 격자리브의 교차부들에 있는 오목부들을 제외하고는, 화소셀의 주사전극, 유지전극 및 버스전극이 이웃하는 셀들의 해당 전극들로부터 리브부에 의해 분리되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0은 가로장벽들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1은 도 20의 F-F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22는 도 20의 G-G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23은 가로장벽이 이웃하는 유지전극들 또는 이웃하는 주사전극들 사이에만 배치되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4는 유지전극들 사이에 배치된 가로장벽이 주사전극들 사이에 배치된 가로장벽과는 폭이 다른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16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31은 도 30의 H-H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32는 도 30의 I-I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17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18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35는 도 34의 J-J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36은 도 34의 K-K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제19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제20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9는 본 발명의 제21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40은 본 발명의 제22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41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화소셀들의 배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2는 본 발명의 제23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43은 도 42의 L-L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44는 도 42의 M-M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45는 본 발명의 제24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46은 도 45의 N-N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47은 도 45의 O-O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48은 본 발명의 제25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49는 도 48의 P-P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50은 도 48의 Q-Q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51은 본 발명의 제26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52는 도 51의 R-R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53은 도 51의 S-S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54는 제26실시예의 변형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5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패널을 사용하여 구동되도록 교환되는 주사전극들 및 유지전극들의 접속부들을 도시하는 AC메모리형 면방전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 전극들의 배치 개략도,
도 56은 도 55의 열전극들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57은 서브필드법에 따르는 구동법을 도시하는 타이밍도,
도 58a 내지 도 58d는 도 56의 단면에서 보여진 패널의 화소셀들 안쪽의 벽전하들(wall charges)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념도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a : 유지전극 13b : 주사전극
13d : 유지측 버스전극 13e : 주사측 버스전극
14 : 열전극 16 : 리브(rib)
20 : 화소셀 22 : 방전갭
제1양태로서, 본 발명은, 전면기판, 배면기판, 그 주변에지부에서 상기 전면기판 및 상기 배면기판을 봉지하여 그 속에 방전기체를 밀봉시키는 밀봉부를 포함하는 기본구조를 갖는 AC면방전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제공한다. 이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은 또한 화소셀들을 열방향 및 행방향으로 각각 규정하여 매트릭스형태로 화소셀들을 규정하는 열리브들 및 행리브들과, 디스플레이전극부 및 버스전극부로 구성된 면방전전극들을 구비한다. 이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은, 면방전전극들의 디스플레이전극부의 적어도 일부가 행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화소셀들 사이에 노치부 또는 잘라낸(cut-away)부분을 가지며, 면방전전극으로서 쌍을 이룬 유지전극 및 주사전극이 하나의 화소셀에 위치되고, 열방향으로 배치된 이웃하는 화소셀들에 대하여, 개개의 유지전극들 및 주사전극들이 이웃하는 화소셀들 사이에서 인접하게 되도록 유지전극들 및 주사전극들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2양태로서, 제1양태에 따른 전술한 기본구조를 갖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로서, 열방향으로 배치된 이웃하는 화소셀들을 위한 이웃하는 유지전극들 또는 유지측 버스전극들이 패널 내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가 제공된다.
또, 제3양태로서, 제1양태에 따른 전술한 기본구조를 가지며, 열방향으로 배치된 이웃하는 화소셀들을 위한 이웃하는 주사전극들 또는 주사측 버스전극들은 패널 내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4양태로서, 전술한 제1 내지 제3양태에서 언급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배면기판 및 전면기판을 진공에서 봉지하는 단계, 및 그 후에 패널의 내부를 대기에 노출시키지 않고 계속해서 패널 내의 방전기체를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의 방법이 제공된다.
또, 제5양태로서, 전술한 제1 내지 제3양태에서 언급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로서, 격자형 리브들이 배면기판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6양태로서, 전술한 제5양태에서 언급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로서, 방전기체가 통과할 수 있는 틈(gap)이 격자형 리브 및 전면기판 사이에 마련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7양태로서, 전술한 제6양태에서 언급되며, 돌출부들이 전면기판 또는 배면기판의 격자형 리브들의 교차부들에 마련되고, 이 교차부들은 상기 배면기판의 격자형 리브들의 교차부들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8양태로서, 전술한 제7양태에서 언급되며, 돌출부들이 행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화소셀들 사이의 주사측 버스전극들 및 유지측 버스전극들 또는 주사전극들 및 유지전극들을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9양태로서, 전술한 제6양태에서 언급되며, 오목부들이 전면기판 또는 배면기판의 격자형 리브들의 교차부들에 마련되고, 이 교차부들은 배면기판의 격자형 리브들의 교차부들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10양태로서, 전술한 제9양태에서 언급되며, 오목부들 이외의 리브부들이 열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화소셀들 사이에서 적어도 주사전극들 및 유지전극들을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11양태로서, 전술한 제6양태에서 언급되며, 화소셀들 사이에서 2 내지 50㎛의 두께를 갖는 가로장벽들이 버스전극들에 평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12양태로서, 전술한 제11양태에서 언급되며, 가로장벽이 절연층의 유전상수보다 낮은 유전상수를 갖는 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13양태로서, 전술한 제11양태에서 언급되며, 가로장벽이 긴(longitudinal) 열방향으로 연장하는 화소셀들 사이의 유지전극들 또는 주사전극들 중의 하나 위에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14양태로서, 전술한 제11양태에서 언급되며, 유지전극 및 주사전극 상의 가로장벽들이 다른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15양태로서, 전술한 제11 내지 제14양태에서 언급되며, 연장부가 가로장벽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이 연장부는 긴 행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화소셀들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16양태로서, 전술한 제16양태에서 언급되며, 격자형 리브들이 배면기판상에 형성되고, 화소셀들을 규정하는 긴 행방향으로 연장된 리브부가 화소셀들을규정하는 긴 열방향으로 연장된 리브부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17양태로서, 전술한 제11양태에서 언급되며, 면방전전극을 구성하는 버스전극이 가로장벽에는 겹치지 않으나 리브에는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18양태로서, 전술한 제11양태에서 언급되며, 면방전전극을 구성하는 버스전극이 리브에는 겹치지 않으나 가로장벽에는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19양태로서, 전술한 제11양태에서 언급되며, 면방전전극을 구성하는 버스전극이 가로장벽 및 리브에 겹치도록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20양태로서, 전술한 제6양태에서 언급되며, 버스전극이 10 내지 50㎛의 두께를 가지고, 버스전극의 두께는 2 내지 50㎛ 두께의 융기된(raised) 부분이 절연층의 표면에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21양태로서, 전술한 제1, 제2 및 제5 내지 제20양태에서 언급되며, 금속전극이 유지전극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22양태로서, 전술한 제1, 제2 및 제5 내지 제20양태에서 언급되며, 투명전극이 유지전극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23양태로서, 전술한 제1, 제2 및 제5 내지 제20양태에서 언급되며, 유지전극들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된 공통버스전극으로서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24양태로서, 전술한 제23양태에서 언급되며, 공통버스전극의 저항이 주사측 버스전극의 저항의 1/3 내지 1/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25양태로서, 전술한 제23양태에서 언급되며, 버스전극이 10 내지 50㎛의 두께를 가지고, 버스전극의 두께는 2 내지 50㎛ 두께의 융기된 부분이 절연층의 표면에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26양태로서, 전술한 제1, 제3 및 제5 내지 제20양태에서 언급되며, 금속전극이 주사전극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27양태로서, 전술한 제1, 제3 및 제5 내지 제20양태에서 언급되며, 투명전극이 주사전극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28양태로서, 전술한 제1, 제3 및 제5 내지 제20양태에서 언급되며, 주사전극들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된 공통버스전극으로서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29양태로서, 전술한 제28양태에서 언급되며, 공통버스전극의 저항이유지측 버스전극의 저항의 1/3 내지 1/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30양태로서, 전술한 제28양태에서 언급되며, 버스전극이 10 내지 50㎛의 두께를 가지고, 버스전극의 두께는 2 내지 50㎛ 두께의 융기된 부분이 절연층의 표면에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31양태로서, 전술한 제1, 제2 및 제5내지 제25양태에서 언급되며, 세로로 이웃하는 화소셀들 상의 이웃하는 주사전극들 또는 이웃하는 주사측 버스전극들 간의 거리가 20 내지 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32양태로서, 전술한 제1, 제3, 제5 내지 제20, 및 제26 내지 제30양태에서 언급되며, 세로로 이웃하는 화소셀들 상의 이웃하는 유지전극들 또는 이웃하는 유지측 버스전극들 간의 거리가 20 내지 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33양태로서, 전술한 제1 및 제2양태에서 언급되며, 이웃하는 화소셀들의 주사전극들이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서로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34양태로서, 전술한 제1 및 제3양태에서 언급되며, 이웃하는 화소셀들의 유지전극들이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서로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35양태로서, 전술한 제1 내지 제3 및 제5 내지 제34양태에서 언급되며, 행방향으로 배치된 디스플레이전극부의 노치 또는 잘라낸 끝부분이 열방향으로 배치된 리브의 머리부분으로부터 20 내지 70㎛만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36양태로서, 전술한 제1 및 제2양태에서 언급되며, 유지전극이, 폭이 감소되며 유지측 버스전극에 접속되는 부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37양태로서, 전술한 제1 내지 제3 및 제5 내지 제36양태에서 언급되며, 긴 열방향으로 배치된 화소셀들이 발광의 중앙들을 등간격으로 가지게 하도록 면방전전극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38양태로서, 전술한 제1 내지 제3 및 제5 내지 제37양태에서 언급되며, 가로흑색스트립이 면방전전극들 사이 또는 면방전전극을 포함한 행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39양태로서, 전술한 제38양태에서 언급되며, 가로흑색스트립들이, 모두 동일한 폭을 가지며, 각 화소셀 내에서 서로 세로로 대칭이 되도록 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40양태로서, 전술한 제38양태에서 언급되며, 가로흑색스트립, 흑색 또는 회색 디스플레이측을 갖는 주사전극으로 만들어진 가로방향의 제1스트립, 및 동일한 폭을 가지며 흑색 또는 회색 공??버스전극으로 만들어진 가로방향의 제2스트립이 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41양태로서, 전술한 제38양태에서 언급되며, 주사전극들 및 유지전극들이 기판상에 형성되고, 가로흑색스트립들은 주사전극 및 유지전극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또, 제42양태로서, 전술한 제41양태에서 언급되며, 구멍 또는 노치가 가로흑색스트립상에 형성되어 주사전극 또는 유지전극의 버스전극에 대한 전기접속을 확실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이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은 종래기술의 구동방법을 채용하여 세기, 발광효율 및 전압마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구나, 이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은 유지전극상에 마련된 버스전극에 대한 불필요한 전력소비와 유지전극에서의 전체 파손 백분율을 감소시켜 향상된 제조수율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은 전력소비를 줄이는 것과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채용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데 큰 효과가 있으며 에지너절약에 크게 기여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빗살(comb-teeth)에 등가인 형상을 갖는 전극들을 제공하여, 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다. 격자형 리브들은 화소셀들 사이의 전극들이 근접 이격되게 하여 화소셀의 유효개공부가 증가될 수 있게 한다. 이는 빗살형 전극들이 발광효율을 높이기 위해 채용되는 경우에도 세기가 감소되지 않게 한다. 게다가, 유지전극들 또는 주사전극들은 서로 연결되거나 화소셀들 간에 공유되어, 유효개공부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게 하나. 이는 나아가 세기 및 발광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한다. 더구나, 전극들의 저항을 줄이며, 전압마진을 증가시키며, 패널내의 전극들의 제조수율들을 향상시키고, 전력소비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및그 제조방법을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에 따라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제1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A-A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B-B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8에 보여진 것처럼, 제1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은, 기판들로서 소용되고 두께는 3㎜이고 소다유리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절연기판들(11 및 12)을 가진다. 제2절연기판(12)에 대향하는 제1절연기판(11)의 표면(디스플레이표면 후방의 표면)에는, 유지전극들(13a) 및 주사전극들(13b)이 있고, 이 전극들은 장방형 형상이고 투명한 NESA막 또는 ITO로 이루어진다. 유지측 버스전극들(13d)과 주사측 버스전극들(13e)이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고 도 7의 행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유지측 버스전극(13d)과 주사측 버스전극(13e)은 유지전극(13a) 및 주사전극(13b)과 각각 접촉하고, 높은 저항을 가지는 유지전극(13a) 및 주사전극(13b)에 충분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1 내지 9㎛ 두께를 갖는 은후막(silver thick film)으로 이루어진다. 유지전극(13a), 주사전극(13b), 유지측 버스전극(13d) 및 주사측 버스전극(13e)은 두꺼운 투명글레이즈로 이루어지고 15 내지 60㎛의 두께를 갖는 절연층(18a)에 의해 덮여지고, 절연층(18a)의 상면에는, 1㎛의 두께를 가지며 MgO로 된 보호층(19)이 절연층(18a)을 방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형성된다.
제1절연기판(11)에 대향하는 제2절연기판(12)의 표면에는, 0.5 내지 10㎛의 두께를 가진 두꺼운 은막으로 된 복수의 열(column)전극들(14)이 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 5 내지 40㎛의 두께를 갖는 두꺼운 막으로 된 절연층(18b)이 제2절연기판(12)의 내표면과 열전극(14)을 덮도록 형성된다. 게다가, 절연층(18b)상에 형성된 것은 80 내지 150㎛의 두께를 갖는 두꺼운 막으로 되어 방전기체공간들(15)을 제공하며 화소셀들(20)을 규정하는 격자형 리브들(16)이고, 인광체(17)가 화소셀(20) 안쪽의 리브(16) 측면들과 절연층(18b)을 덮도록 형성된다. 인광체(17)는 방전기체의 방전에 의해 생성된 UV광을 가시광으로 바꾸기 위해 Zn2SiO4:Mn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개개의 구성요소들을 각각의 위에 형성된 제1 및 제2절연기판들(11 및 12)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이격된 관계로 배치되어 방전기체공간(15)을 규정하고, 이 공간은 4%의 Xe를 함유한 He 및 Ne의 기체혼합물에 의해 66.5㎪의 총 압력으로 채워진다. 격자형 리브들(16)은 화소셀들(20)을 규정한다.
이 실시예에서, 행방향으로 연장된 주사측 버스전극(13e)에 의해 전력공급되는 주사전극(13b)은 각 화소셀(20)에 대응하게 분리되고 열방향으로 기다랗게 된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행방향으로 연장된 유지측 버스전극(13d)에 의해 전력공급되는 유지전극(13a)은 이것에 인접한 화소셀들(20)로부터 분리되고 열방향으로 기다랗게 된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유지전극(13a)과 주사전극(13b)은 행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화소셀들(20) 사이의 리브(16)상에는 존재하지 않고 행방향으로의 각각의 화소셀(20)의 중앙에 존재한다. 유지전극(13a)은, 개수로는 하나가, 열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화소셀들(20)에 대해 공통으로 제공되고, 리브(16)를 가로지르게 형성되어 열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화소셀들(20)의 쌍을 규정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는, 주사, 유지, 유지, 주사, 주사, 유지 및 유지 전극들이 열방향으로 그 순서로 배치되는 방식으로, 주사전극들(13b) 및 유지전극들(13a)을 가지기에 적합하다. 더구나, 열방향의 각 화소셀(20)의 중앙에서, 주사전극(13b)과 유지전극(13a)은 방전갭(22)에 의해 서로로부터 떨어져 있다. 공통유지전극(13a)과 접촉하고 있는 한 쌍의 이웃하는 유지측 버스전극들(13d)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유지전극들(13a)과 주사전극들(13b)은 디스플레이전극부를 형성하며, 유지측 버스전극들(13d)과 주사측 버스전극들(13e)은 버스전극부를 형성한다. 더구나, 유지전극(13a)과 유지측 버스전극(13d)은 유지측 면방전전극들이고, 주사전극(13b)과 주사측 버스전극(13e)은 주사측 면방전전극들이다.
설명을 위해, 이 실시예는 개인용 컴퓨터들 등에서 사용하기 위한 이른바 XGA형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예시적인 패널을 채용한다. XGA형 모니터는 세로방향으로 768개의 표시유닛들과 가로방향으로 1,024개의 표시유닛들을 가진다. 따라서,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은 768/2=384개의 유지전극들(13a)을 각 열에 가지며, 768개의 주자전극들(13b)을 각 열에 가지고, 1024 ×3=3,072개의 열전극들(14)을 가진다.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은 세로의 스트립들로 배치된 칼라화소들을 가지고, 하나의 표시유닛으로서 역할을 하는 칼라화소들은 3개의 열들에 배치된 삼원색 화소셀들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칼라화소셀들은 세로 및 가로방향들로 0.6㎜의 간격들로 동일하게 배치된다. 칼라화소셀의 세로 대 가로 치수의 비를 9:16으로 하면, 텔레비전들 등에서 동화상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빈번하게 사용되는 와이드윈도우를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르게는, 세로 및 가로 피치들을 변경없이 유지하면, 칼라화소셀들의 수가 와이드윈도우를 지원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로 칼라화소셀들은 그 수가 768개일 수 있고 가로 칼라화소셀들은 그 수가 1365개일 수 있다.
주사전극(13b) 및 유지전극(13a) 사이의 방전갭(22)은 70㎛이고, 주사전극(13b) 및 유지전극(13a) 중의 어느 한 쪽은 리브로부터 30㎛ 이격된다. 이는 리브 근처의 면방전전극들로부터 낮은 발광효율의 방전들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하여, 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이 분리거리인 20 내지 70㎛는 발광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20㎛ 미만의 분리거리는 별다른 효과를 제공하지 않을 것이다. 게다가, 70㎛ 이상의 분리거리는 효과가 포화되게 하거나 세기가 감소되게도 할 것이다. 이 분리거리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이다.
이웃하는 화소셀들을 위한 유지측 버스전극들 사이 또는 이웃하는 화소셀들을 위한 주사측 버스전극들(13e) 사이의 거리는 100㎛이다. 20㎛ 이하의 거리는 이웃하는 전극들이 쉽사리 단락되게 할 것이고 전극들 사이의 정전용량이 증가되게 할 것이다. 전극들 간의 200㎛ 이상의 거리들은 정전용량이 감소되게 할 것이나 유효한 개공부의 면적도 나중에 설명된 것처럼 감소되게 할 것이고, 그로 인해 세기의 감소라는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가 생기게 할 것이다. 따라서, 이웃하는 화소셀들을 위한 유지측 버스전극들(13d) 사이 또는 이웃하는 화소셀들을 위한 주사측 버스전극들(13e)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대량생산을 위한 실용에서는 50 내지 150㎛이다.
예를 들면, 버스전극들(13d, 13e)은 70㎛의 폭을 가진다. 예를 들면, 세로로 인접한 화소셀들(20)의 버스전극들 사이의 거리는 70㎛이다. 투명한 주사전극(13b) 및 주사측 버스전극(13e)의 끝단부들은, 예를 들면, 40㎛만큼 서로 겹친다. 예를 들면, 열전극들(14)의 피치는 0.2㎜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에서, 장방형 유지전극(13a) 및 장방형 주사전극(13b) 중의 어느 한 쪽은 리브(16)로부터 행방향으로 이격되어, 리브(16) 근처의 면방전전극들로부터 낮은 발광효율의 방전들이 감소될 수 있게 하고 따라서 발광효율이 높아진다. 즉, 주사전극(13b)과 유지전극(13a)은 행방향으로 그것에 인접한 리브들(16)로부터 이격되고, 리브(16) 근처의 발광효율이 낮은 부분들에서의 방전이 방지되어 발광효율이 높은 부분들로부터 발광비를 증가시키고, 그래서 입력전력량에 대하여 발광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이 실시예는 격자형 리브(16)가 열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화소셀들의 유지전극들 또는 주사전극들 사이에 일어나는 오방전들 또는 가짜(spurious)방전들을 차단하여 억제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유지측 버스전극(13d) 및 주사측 버스전극(13e)을 이 전극들의 어느 한쪽 전극이 평행하게 있는 리브들(16)에 매우근접하여 위치될 수 있게 한다. 하나의 화소셀 내의 높은 세기로 광을 방출하는 부분은 유지측 버스전극(13d) 및 주사측 버스전극(13e) 사이에 존재하는 개공부(이후로는 '유효개공부'라 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Ag로 된 유지측 버스전극(13d)과 주사측 버스전극(13e) 둘 다를 리브(16)에 매우 근접하게 위치시키는 것은, 화소셀 내에서 높은 세기의 광을 방출하기 위하여 개구부가 확대되게 하여, 세기 및 발광효율이 높아질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이는 장방형으로 형성된 유지전극(13a) 및 주사전극(13b)에 의해 야기되는 세기의 감소를 충분히 보상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유지전극(13a)은, 유지측 버스전극(13d)에 평행한 리브(16)에 대해 수직한 관계로 열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화소셀들(20)을 가로지르게 배치된다. 투명한 전극들은, 기존의 것들과 비교해 볼 때, 시각적으로 인지될 수 없고 분명히 변경 없이 그대로 있어, 이웃하는 화소셀들의 유지전극들(13a)간을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두 개의 이웃하는 유지측 버스전극들(13d)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두 개의 이웃하는 유지측 버스전극들(13d)의 전체 전극저항을,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1/2만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유지측 버스전극(13d)를 가로지르는 전압강하를 감소시키며 각 화소셀의 유지전극(13a)에 인가되는 전압의 감소율을 떨어뜨린다. 이는 발광방전 동안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최소전압이 감소되게 하고 화소셀들을 방전하기 위한 가짜소거들이 줄어들게 하여, 더욱 안정화된 디스플레이동작을 제공한다. 부언하면, 발광방전 동안 가짜방전을 일으키는 일 없이, 외부로부터 인가될 수 있는 최대전압은 변경없이 그대로 유지된다. 이는 동작전압마진이 증가될 수 있게 하거나 전술한 최대 및 최소 전압들 간의차이가 증가될 수 있게 한다. 이는 이후로는 "동작전압마진의 증가"라고 한다.
따라서, 장시간 동작에 의해 야기되는 전술한 최소전압의 증가 및 전술한 최대전압의 감소에 대하여 충분한 허용오차를 갖는 전압들을 설정할 수 있다. 이는 가짜방전들 또는 가짜소거들에 의해 영향받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 긴 수명이 증가될 수 있게 하여,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채용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장기간의 신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게다가, 두 개의 이웃하는 유지측 버스전극들(13d)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유지측 버스전극들(13d) 중의 하나가 파손되기 직전에서조차도, 다른 유지측 버스전극(13d)은 전류를 공급하여, 전극들의 파손에 대하여 제조수율이 증가될 수 있게 한다.
부언하면, 본 발명의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방법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동파형은 도 6의 그것과 동일하다. 이는, 종래기술의 패널에서와 마찬가지로, 주사전극(13b)이 주사전극에 직각으로 배치된 화소셀들의 각각에 독립적으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이는 화소셀의 유효개공부가 확대되어 종래기술의 구동법을 그대로 채용할 수 있게 한다.
제조 방법
이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술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먼저 설명할 것은 도 7 내지 도 9에 보여진 제1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갖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봉지하고 비우기 위한 방법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보여진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에는, 리브들(16) 및 보호층(19)의 상부표면들에서의 돌출부 및 오목부로 인한 작은 갭들이 존재하지만, 화소셀들의 각각은 일반적으로 리브(16)에 의하여 밀봉된다. 종래기술의 방법에 의하면, 제1절연기판(11) 및 제2절연기판(12)은 밀봉부(21, 도 4 참조)에서 서로에 대해 부착된다(이는 봉지단계라 불린다). 그 후,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은 제2절연기판(12)상의 밀봉부(21) 안쪽에 마련된 배출구를 통해 진공이 되도록 일단 비워진 다음, 방전기체로 채워진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방법에 의하면, 화소셀들의 각각이 거의 밀봉되므로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진공이 되도록 비우는 데에는 상당히 긴 시간이 요구된다.
이에 관해, 이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 실시예는 봉지단계의 부분을 진공에서 수행하고 이어서 기체가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속으로 도입되기에 적합하게 된다. 이는 패널을 진공이 되도록 비우기 위한 종래기술의 방법에 의해 요구된 상당히 긴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이 제조방법은 이후로는 진공봉지라고 한다.
도 14는 진공봉지를 위해 사용되는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봉지챔버(40)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수용하며, 진공이 되도록 비워지거나 배기되고, 방전기체를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속으로 도입하기에 적합하게 되고, 파이프(71a)를 통하여 진공펌프(41)에 연결된다. 또, 봉지챔버(40)에 수용된 제1절연기판(51)에는 공기(air)를 비우고 기체를 도입하기 위한 구멍(70)이 마련되고, 구멍(70)은 봉지챔버(40) 속으로 삽입된 파이프(71b)를 통해 진공펌프(42)에 연결된다. 파이프(71a)에는 밸브(46)가 마련되고, 파이프(71b)에는 밸브(75)가 마련된다. 또, 파이프(71a) 및 파이프(71b)는 파이프(71c)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파이프(71c)에는 기체를 가열하기 위한 기체가열부(44)가 마련된다. 밸브들(73 및 47)이 기체가열부(44)의 양측에 마련되며, 파이프(71a) 및 외부를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에는 밸브(45)가 마련되고, 파이프(71b) 및 외부를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에는 밸브(74)가 마련된다. 방전기체를 수용하기 위한 기체실린더(43)는 파이프(71d)를 통해 기체가열부(44)에 연결되고, 파이프(71d)에는 밸브(48)가 마련된다. 제1절연기판(51)은 전극들과 같은 구성요소들을 구비한 다음 챔버(40) 내에 수용되고, 제2절연기판(52)은 전극들, 리브들(16) 등을 구비한 다음 챔버(40) 내에 수용된다. 밀봉부(21)는 제2절연기판(52)의 주변가장자리부를 따라 위치된다. 부언하면, 파이프(71b)는 접속부(72)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다.
이제, 이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서의 진공봉지공정을 한 단계씩 설명한다.
단계 1: 먼저, 가공된 제1절연기판(51) 및 가공된 제2절연기판(52)이 봉지챔버(40) 속으로 삽입된다. 이 구성에서, 저 융점 유리로 이루어지고 리브(16) 높이의 1.5배의 높이를 갖는 밀봉부(21)는 제1절연기판(51) 및 제2절연기판(52) 사이에 충분한 틈을 제공한다. 또, 이 단계에서, 절연기판들(51 및 52)은 후속하는 봉지 전에 서로 정렬된다. 모든 밸브들(45 내지 48 및 73 내지 75)은 닫혀진다. 진공펌프들(41 및 42)은 동작되어진다.
단계 2: 그 후, 밸브(46)는 챔버(40)를 비우도록 일단 열려진 다음 닫혀진다. 또, 밸브(75)는 챔버(40)를 비우도록 일단 열려진 다음 닫혀진다. 이는 봉지챔버(40) 내에 대기압 미만 또는 10㎩ 이상의 진공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의 진공도를 제공한다. 이러한 진공도들이 제공되어 절연기판들(51 및 52)은 봉지챔버 내의 기체의 열전도에 의해 단시간에 쉽사리 가열될 수 있게 한다.
단계 3: 봉지챔버(40)는 봉지챔버의 내벽 또는 절연기판(51)에 존재하는 습기 또는 오일을 제거하도록 봉지챔버(40)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된 히터 등에 의해 가열된다. 이 경우, 봉지챔버(40)의 내부는 약 250 내지 360℃까지 또는 바람직하게는 약 300 내지 360℃까지 가열된다. 가열은 밀봉부(21)를 위해 사용된 저융점 유리가 연화되는 최대온도까지 수행된다.
단계 4: 절연기판들(51 및 52)이 단계 3에서 소망의 온도까지 가열된 후, 밸브(46)는 천천히 열려져 봉지챔버(40) 내부가 진공이 되도록 비워질 수 있게 한다. 이로 인해 봉지챔버(40) 내에 증발되어 있던 습기 및 오일은 제거된다. 이 상태에서, 밀봉부(21)의 저융점 유리는 아직 연화되지 않고, 제1절연기판(51) 및 제2절연기판(52)은 그것들 사이에 충분한 틈을 제공하여, 증발된 습기 및 오일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게 한다.
단계 5: 봉지챔버(40)는 약 430 내지 470℃의 높은 온도까지 추가로 가열된다. 이는 밀봉부(21)의 재료 또는 저융점 유리가 연화되게 하여, 완전히 배기된 기판들(51 및 52)이 서로 접착되게 한다.
단계 6: 이제, 봉지챔버(40)의 온도는 실온 가까이로 낮추어진다. 다르게는, 기체의 열전도에 의해 봉지된 기판들(51 및 52)의 온도는 낮추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밸브(46)는 닫혀지며, 밸브(48)는 일단 약간 열려지고, 방전기체는기체가열부(49) 속으로 도입된다. 그 후, 밸브(48)는 닫혀지며, 밸브(47)는 약간 열려지며, 방전기체는 봉지챔버(40) 속으로 도입된 다음, 밸브(47)는 다시 닫혀진다. 이 때, 봉지챔버 내의 기체의 압력은 약 1㎩ 내지 1㎪이다. 따라서, 봉지된 기판들(51 및 52)의 온도는 봉지챔버(40)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는 만큼 낮아진다. 부언하면, 봉지챔버(40)의 온도를 낮추는 것을 개시하기 직전에, 밸브(45)는 열려져 봉지된 기판들(51 및 52)의 내부를 진공이 되도록 추가로 비우거나 배기시킨다.
단계 7: 밸브(75)는 봉지된 기판들(51 및 52)의 온도가 실온 가까이로 낮아진 후에 닫혀진다. 그 후, 밸브(48) 및 밸브(73)는 열려져 기체실린더(43)로부터의 방전기체가 봉지된 기판들(51 및 52) 속으로 도입된다. 방전기체가 봉지된 기판들(51 및 52) 속으로 도입된 후, 밸브(48) 및 밸브(73)는 닫혀진다.
단계 8: 배출파이프(71b)는 도 14에 보여진 E-E선의 부분이 가열되고, 배출파이프(71b)는 닫혀져 봉지된 기판들(51 및 52)이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로서 완성된다.
전술한 단계들을 통하여, 제1실시예에서 보여진 거의 밀봉된 화소셀들을 갖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은 쉽사리 봉지될 수 있고 단시간에 그 속에 방전기체가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제1절연기판(51) 및 제2절연기판(52)이 봉지챔버(40) 내에서 완전히 진공이 되도록 배기된 다음 가열되어, 기판들(51 및 52)이 밀봉부(21)에서 서로 접합하여 부착될 수 있게 한다. 그 후, 기판들(51 및 52)의 온도가 챔버(40) 내에서 낮추어진 후, 방전기체가 그 속에 도입된다. 봉지 중에 온도를 증가시키면 유리기판들(51 및 52) 및 밀봉부(21)의 표면 밖으로 기체들이 방출된다. 그러나, 봉지챔버(40)의 내부 및 기판들(51 및 52) 사이의 틈은 봉지 중에 진공이 되도록 비워지므로, 이러한 방출된 기체들은 패널 밖으로 신속히 배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체들은 유리기판들(51 및 52) 및 밀봉재료의 표면으로부터 완전히 방출되고, 방전기체는 기판들(51 및 52)의 온도가 낮추어진 후에 구멍(70)을 통하여 기판들(51 및 52) 사이로 도입된다. 이런 이유로, 이는 방전기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도입하려는 방전기체가 높은 서비스효율로 기판들 사이에 도입될 수 있게 한다.
제2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서, 도 7 내지 도 9의 것들과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부호들이 주어지고 다시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보여진 제1실시예는 유지전극(13a) 및 주사전극(13b)으로서 투명전극들을 채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투명전극들 뿐 아니라 얇은 금속전극들도 채용할 수 있다.
도 10은 제1실시예의 투명전극들 대신 얇은 금속배선들을 주사 및 유지전극들로서 채용하는 제2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C-C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D-D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서, 도 7 내지 9의 것들과 동일한 구성요소들에는 도일한 참조부호들이 부여되고 다시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보인 바와 같이, 이 실시예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게이트형 유지전극들(13a) 및 주사전극들(13b)을 채용한다. 이 전극들은 유지측 버스전극(13d) 및 주사측 버스전극(13e)을 위한 것과 동일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극들은 좁은 폭을 가지고 그러므로 발광을 현저히 차단할 수 없다. 이는 투명한 재료들을 사용할 필요를 완화시키고 투명전극들을 형성하는 단계가 이 실시예에서와 같이 금속전극들을 채용함으로써 생략될 수 있게 한다. 이는 다시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부언하면, 금속전극은 게이트 형태로만 한정되지 않고 격자형 또는 T자형과 같은 다양한 형상들을 채용할 수 있다. 게다가, 금속전극은 정교한 메시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메시형 금속배선들을 제1실시예의 주사 및 유지전극들로서 채용한다. 유지전극(13a) 및 주사전극(13b)은 메시 형으로 형성된다.
제4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4실시예가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 제2절연기판(12)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격자형 리브들(16)은 제2절연기판(12)의 상면에 형성되고, 리브돌출부들(53)은 리브들(16)의 교차부에 형성된다. 리브(16)가 모래뿜기(sandblasting)법에 의해 형성된 후, 스크린인쇄법은 리브돌출부(53)를 직접 인쇄, 건조 및 굽기 위하여 채용될 수 있다. 리브돌출부(53)를 형성하기 위하여, 감광성 페이스트가 스크린인쇄법과는 다른 접촉인쇄법을 채용하여 리브들의 상면에 인쇄될 수 있다. 그 후, 리브돌출부(53)는, 리브돌출부(53)만이 남겨지고 굽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포토마스크들을 사용하여 패터닝, 노광 및 현상된다. 게다가, 돌출부들을 갖는 리브들은 3차원몰드를 사용하여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은 진공이 되도록 기체가 배출되게 하는 흐름통로를 제공하여, 종래기술의 방법과 동일한 봉지 및 배출방법을 사용하여 쉽사리 배출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부언하면, 도 15에서,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리브들(16), 리브돌출부들(53) 및 제2절연기판(12) 이외의 구성요소들은 도시되지 않았다. 리브들(16), 리브돌출부들(53) 및 제2절연기판(12) 이외의 구성요소들이 제1실시예의 그것들과 동일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5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5실시예가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 제2절연기판(12)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리브돌출부들(53)은 격자형 리브들(16)의 교차부들로부터 임의의 방향으로 열전극들의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도 17에 보인 것처럼, 이는 주사측 버스전극(13e) 및 유지측 버스전극(13d)이 이웃하는 화소셀들 사이에서 서로 분리될 수 있게 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제4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다.
격자형 리브들의 교차부들에 존재하는 돌출부들을 가지는 경우에도, 리브돌출부들(53)은 주사측 버스전극(13e) 및 유지측 버스전극(13d)이 이웃하는 화소셀들 사이에서 서로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하여, 이웃하는 화소셀들 사이의 주사측 버스전극(13e) 및 유지측 버스전극(13d)을 통해 흐르는 전류들에 의해 야기되는 가짜 발광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부언하면, 리브돌출부들(53)은 도 16에 보인 것처럼 리브들(16)의 상면이 아니라 제1절연기판(11)의 절연층(18a)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서조차, 제3실시예에서 설명된 스크린인쇄법은 리브돌출부들(530을 직접 형성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다. 다르게는, 제4실시예에서 언급된 감광성 페이스트가 접촉인쇄법에 의해 인쇄된 다음, 포토마스크들을 사용하여 패터닝되고 굽혀지는 그러한 방법 또한 채용될 있다.
제6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격자형 리브(16)는 제2절연기판(12)의 상면에 형성되고, 리브오목부들(54)은 리브들(16)의 교차부들의 상면에 형성된다. 이는 진공이 되도록 기체를 배출하기 위한 흐름통로들을 제공하여, 종래기술의 방법과 동일한 봉지 및 배출법에 의해 배출을 쉽사리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부언하면, 도 18에서, 도시의 간편화를 위하여, 리브들(16), 리브오목부들(54) 및 제2절연기판(12) 이외의 구성요소들은 보여지지 않았다. 리브들(16), 리브오목부들(54) 및 제2절연기판(12) 이외의 구성요소들은 제1실시예의 그것들과 동일하다. 더구나, 이 실시예를 위해 제3 및 제4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제조방법들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6실시예는 봉지 중의 진공화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게다가, 화소셀들을 규정하는 리브들의 각 측의 중앙부는 리브들(16)에 의해 분리되어, 화소들 사이에 통해 있는 틈들을 통한 세로 및 가로의 가짜 발광을 줄일 수 있다.
제7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도 18에 보여진 제6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격자형 리브(16)가 제2절연기판(12)의 상면에 형성되고, 리부오목부들(545)이 리브들(16)의 교차부들에 형성된다. 더구나, 이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보인 실시예에서처럼, 유지전극(13a), 주사전극(13b), 유지측 버스전극(13d) 및 주사측 버스전극(13e)이 형성된다. 이 실시예는 또한 리브들(16)의 교차부들의 상면에 진공이 되도록 기체를 배출하기 위한 흐름통로들을 제공하는 리브오목부들(54)을 가지고, 그 때문에 종래기술의 방법과 동일한 봉지 및 배출방법을 쉽사리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부언하면, 이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제3 내지 제6실시예들의 그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5실시예와는 달리, 이 실시예는 주사측 버스전극(13e), 유지측 버스전극(13d) 및 유지전극(13a)이, 격자형 리브들의 교차부들에 존재하는 리브오목부들(54) 이외의 리브오목부들에 의해, 이웃하는 화소셀들의 사이에서 분리될 수있게 한다.
이 제7실시예는 봉지 중의 진공화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게다가, 화소셀들을 규정하는 리브들(16)의 각 측의 중앙부는 화소셀들 사이의 틈을 분리시키며, 또한 이웃하는 화소셀들 사이에서 주사전극(13b), 유지전극(13a) 및 버스전극(13c)을 규정한다. 따라서, 격자형 리브들(16)의 교차부들에 존재하는 리브오목부들(15)을 가지는 경우에도, 이웃하는 화소셀들 사이의 주사전극(13b), 유지전극(13a) 및 버스전극(13c)을 따라 투과되는 가짜 발광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8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8실시예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F-F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 22는 도 20의 G-G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의 것들과 동일한 도 20 내지 도 22의 구성요소들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들이 부여되고 반복되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8실시예는 가로장벽들(23)을 가진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는 다르다. 이 실시예에서, 가로장벽(23)은 제1절연기판(11)의 절연층(18a)의 상면에 형성된다. 가로장벽(23)은 2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의 높이를 가진다. 더구나, 가로장벽(23)은 유지측 버스전극들(13d) 사이 및 주사측 버스전극들(13e) 사이에 위치된다.
패터닝된 스크린을 사용하여, 절연층(18a) 상에 직접 패턴인쇄를 수행하는후막인쇄법들 사용한 다음 가로장벽(23)을 구움으로써, 가로장벽(23)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르게는, 감광성 페이스트는 접촉인쇄에 의해 평면상에 인쇄되고 건조된 다음, 마스크들을 통해 UV광으로 조사되며, 노출되며, 현상되고, 건조된 다음 구워져서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로장벽(23)은 투명한 유리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재료는 흑색재료(산화코발트, 산화루테늄, 또는 산화철 등)와 혼합될 수 있다. 다르게는, 화소셀들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효율적인 반사를 제공하기 위하여, 산화티타늄, 산화지르코늄, 알루미나, 산화실리콘, 등이 백색재료를 형성하도록 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다르게는, 디스플레이측(제1절연기판(11) 쪽)은 증가된 콘트라스트를 제공하도록 검게 형성될 수 있고, 화소 내부 측은 광이 발생되는 내부화소셀들의 효과적인 반사를 제공하도록 하얗게 형성될 수 있다. 가로장벽(23)은 주사측 버스전극(13e)의 길이방향으로 배출통로를 제공한다. 이는,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된 진공봉지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그것들 각각의 위에는 구조물들이 형성된 제1 및 제2절연기판들을 종래기술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대기환경에서 서로 부착한 다음,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에 대한 기체의 배출 및 도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 구동 중에 인가된 펄스전압들에 의하여 정전용량을 충전 또는 방전시키기 위해 요구된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없애기 위해서는, 이웃하는 화소셀들의 주사측 버스전극들(13e) 사이와 유지측 버스전극(13d), 주사측 버스전극(13e) 및 열전극(14) 사이에서는 정전용량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정황하에서, 가로장벽(23)의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낮은 유전상수를 갖는다. 납-유리 기반 절연재료(약 13인 유전상수를 가짐) 대신에 아연-산화물 기반(based) 유리재료(약 8인 유전상수를 가짐)를 채용하여 유전상수를 감소시키고, 그로 인하여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 전력소비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가로장벽(23)은 주사측 버스전극(13e)의 길이방향으로 배출통로를 제공한다. 이는,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된 진공봉지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그것들 각각 위에 구조물들이 형성된 제1 및 제2절연기판들을 종래기술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대기환경에서 서로에 대하여 부착한 다음, 기체의 배출 또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속으로의 도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가로장벽(23)의 유전상수의 감소는 전극들 사이의 정전용량이 감소되게 하여, 비효율적인 전력소비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제9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9실시예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3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이 실시예는 유지측 버스전극들(13d) 사이에만 가로장벽(23)을 제공한다. 가짜 방전들이 종종 세로 화소셀들(20)간을 연결시키는 유지전극(13a)을 따라 발생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처럼 유지측 버스전극들(13d) 사이에 마련된 가로장벽(23)은 가로장벽(23)에 의해 주사측 버스전극들(13e)을 서로로부터 항상 분리할 필요가 없게 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은 제8실시예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배출통로의 사이즈를 증가시켜, 배출에 요구된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0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10실시예가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4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이 실시예에서, 주사측 버스전극들 (13e) 사이에 있는 가로장벽(23)은 유지측 버스전극들(13d) 사이의 가로장벽(23)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진다. 이는 도 20에 보여진 제8실시예의 배출통로보다 더 큰 배출통로를 만들어, 배출에 요구되는 시간을 감소시킨다. 부언하면, 제8실시예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제조방법이 이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제11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11실시예가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5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이 실시예에서, 가로장벽(23)에는 가로장벽(23)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고 화소셀들(20) 사이에서 유지측 버스전극들(13d)을 가로지르고 주사측 버스전극들(13e)을 가로지르게 배치된 연장부들(55)이 제공된다. 이것은 가로장벽(23)이 배출에 요구된 시간을 감소시키는 배출통로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이는 이웃하는 화소셀들(20) 사이의 유지측 버스전극(13d) 및 주사측 버스전극(13e)을 따라 투과하는 가짜 발광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부언하면, 제8실시예의 방법과 동일한 제조방법이 이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제12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12실시예가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는 리브들(16)상에 가로장벽들(23)을 가진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는 다르다.
가로장벽(23)은 2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의 높이를 가진다. 더구나, 가로장벽(23)은 화소셀들 사이에서 서로 인접한 유지측 버스전극들(13d)에 대응하게 또는 화소셀들 사이에서 주사측 버스전극들(13e)에 대응하게 제2절연기판(12) 위에 위치된다.
가로장벽(23)은 리브들(16)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패터닝된 스크린을 사용하여, 후막인쇄법을 채용하여 균일하게 형성된 높이를 갖는 리브들(16)상에 패턴인쇄를 직접 수행한 다음 가로장벽(23)을 구움으로써 가로장벽(23)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르게는, 가로장벽(23)은 제4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감광성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가로장벽(23)은 투명한 유리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재료가 흑색재료(이를테면 산화코발트, 산화루테늄, 또는 산화철)와 혼합될 수 있다. 다르게는, 화소셀들로부터 방출된 광의 효율적인 반사를 제공하기 위하여, 산화티타늄, 산화지르코늄, 알루미나, 산화실리콘, 등이 백색재료를 형성하도록 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제8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 실시예는 가로장벽(23)이 주사측 버스전극(13e)의 길이방향으로 배출통로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이는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된진공봉지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그것들 각각의 위에는 구조물들이 형성된 제1 및 제2절연기판들을 종래기술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대기환경에서 서로 부착한 다음,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에 대한 기체의 배출 및 도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이 실시예는, 리브들 및 가로장벽들이 하나의 절연기판 위에만 형성되므로, 제조공정을 단순화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제13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13실시예가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1에 보여진 제8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과 마찬가지로, 이 실시예는 가로장벽(23)을 채용한다. 가로장벽(23)에 대향하는 리브(16)는 도 27에 보인 것처럼 유지측 버스전극들(13d) 또는 주사측 버스전극들(13e)의 쌍에 대향하는 것보다는 더 큰 폭을 가진다. 이는 방전이 버스전극들(13d)상에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낮은 광출력효율을제공하고, 화소셀들의 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이 경우, 유지측 버스전극(13d) 및 주사측 버스전극(13e) 사이의 가로장벽(23)을 통해 만들어지는 정전용량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화소셀들의 발광효율을 향상시키면서 방전들이 버스전극들 상에서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낮은 광출력효율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버스전극들(13d, 13e)을 겹치게 배치된 리브들(16)은 버스전극들(13d, 13e)상의 발광을 방지하여, 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는 동일한 발광전력에 대해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다시 말하면, 세기를 변화없이 그대로 유지하면서, 발광전력은 감소될 수 있다.
제14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14실시예가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1에 보여진 제8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 실시예도 가로장벽(23)을 채용한다. 도 28에 보인 것처럼, 가로장벽(23)은 버스전극들(13d, 13e)을 덮도록 연장된 폭을 가진다. 이는 방전들이 버스전극들(13d, 13e)상에서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낮은 광출력효율을 제공하고, 나아가 화소셀들의 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이는 또한 동일한 발광전력에 대하여 세기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다시 말하면, 세기를 변경없이 그대로 유지시키면서, 발광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게다가, 전극들(13d, 13e)이 리브들(16)에 겹치지 않으므로, 주사전극(13b) 또는 유지전극(13a)과 열전극(14) 사이의 정전용량은 감소된다.
제15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15실시예가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도 21에 보여진 제8실시예의 가로장벽(23)을 채용한다. 이 실시예에서, 도 29에 보인 것처럼, 진동 또는 충격을 받을 때 리브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는 데 제1우선순위를 두도록 가로장벽(23)은 증가된다. 도 29에 보인 것처럼, 가로장벽(23)과 가로장벽(23)에 대향하는 리브(16)는 버스전극들(13d, 13e)을 덮기 위한 폭으로 연장된다. 이 경우, 유지측 버스전극(13d) 및 주사측 버스전극(13e) 사이와 유지측및 주사측 버스전극들(13d, 13e) 및 열전극(14) 사이의 정전용량들이 증가됨에도 불구하고, 발광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버스전극들(13d, 13e)에 겹치도록 위치된 가로장벽(23) 및 리브(16)는 버스전극들(13d, 13e) 상의 발광을 방지하여, 발광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백색리브들(16)은 리브들로부터의가시광선을 반사하여, 발광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한다. 이는 발광효율을 높혀 동일한 발광전력에 대해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달리 말하면, 세기를 변경없이 그대로 유지하면서, 발광효율은 감소될 수 있다.
부언하면, 제13 내지 제15실시예에서, 유지측 버스전극들(13d) 및 주사측 버스전극들(13e)은 종래기술의 그것들과 동일한 두께(약 3 내지 8㎛)를 가진다. 그러나, 이 실시에들에서, 유지측 버스전극들(13d) 및 주사측 버스전들극(13e)상의 방전들이 실질적으로 방지되므로, 이러한 버스전극들(13d, 13e)은 종래기술의 그것들보다 더 큰 폭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폭이 약 10 내지 25㎛까지 증가된 버스전극들(13d, 13e)로써, 감소된 두께를 갖는 절연층(18a; 통상 20 내지 40㎛의 두께를 가짐)은 극히 큰 방전을 야기하여, 절연층(18a) 및 보호층(19)이 전기절연파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유지측 버스전극(13d) 및 주사측 버스전극(13e)의 전극저항을 기존의 값의 약 1/2 내지 1/5로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이 또한 유지측 버스전극(13d) 및 주사측 버스전극(13e)을 가로지르는 전압강하가 기존의 값보다 작아지도록 한다. 이는 각 화소셀의 유지전극(13a) 및 주사전극(13b)에 인가되는 전압의 감소비율이 감소되게 한다. 이는 발광방전 동안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최소전압이 감소되게 하고 화소셀들을 방전하기 위한 가짜 소거들을 감소시켜, 보다 안정된 디스플레이동작을 제공한다. 부언하면, 발광방전 동안 가짜 방전들을 야기하는 일 없이, 외부로부터 인가될 수 있는 최대전압은 변경없이 그대로 유지된다. 이는 동작전압마진이 증가될 수 있게 하거나 전술한 최대 및 최소전압들 간의 차이가 증가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장시간의 동작에 의해 야기되는 전술한 최대전압의 감소 및 전술한 최소전압의 증가에 대하여 충분한 허용오차를 갖는 전압들을 설정할 수 있다. 이는 가짜 방전들 또는 가짜 소거들에 의해 영향받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 긴 수명이 증가될 수 있게 하여,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채용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장기간 신뢰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제16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16실시예가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16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H-H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 32는 도 30의 I-I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30 내지 도 32에 보인 것처럼, 이 실시예에서, 유지측 버스전극(13d) 및 주사측 버스전극(13e)의 두께는 절연층(18)의 표면이 그 두께만큼 돌출하게 하여, 절연층(18a)상에 범프들(64)을 만들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지측 버스전극(13d) 및 주사측 버스전극(13e)을 솟아오르게 하여 절연층(18a)도 솟아오르게 하기 위하여, 절연층 페이스트의 건조중의 평탄화(leveling)성질과 구워질 때의 리플로우성질에 대한 제어가 두꺼운절연층(18a)의 인쇄, 건조 및 굽기 동안에 재료 및 굽기온도들을 조절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쇄페이스트의 희석(thinner)성분의 양은 통상의 양 미만이 되게 감소되고 최대 굽기온도 또한 약 5 내지 50℃만큼 감소되어, 범프들(64)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최대 굽기온도와 최대온도 및 이 최대온도 전후의 온도들의 시간간격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도 있게 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이 실시예는 가로장벽(23)을 형성하지 않고 가로장벽(23)에 등가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제조공정을 용이하게 하고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유지측 버스전극(13d) 및 주사측 버스전극(13e)은 10 내지 50㎛의 두께를 가진다. 이에 상응하여, 범프(64)는 밑에 버스전극들(13d, 13e)이 없는 부분들에 2 내지 50㎛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버스전극들(13d, 13e)은 종래에는 1 내지 9㎛이고 평균하여 약 5㎛의 두께를 가진다. 반면에, 이 실시예는 10 내지 50㎛의 두께를 갖는 버스전극들(13d, 13e)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는 유지측 버스전극(13d) 및 주사측 버스전극(13e)이 종래의 평균전극저항의 1/2 내지 1/10로 감소될 수 있게 하는 부차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게다가, 유지전극(13a)은 두 개의 인접하는 유지측 버스전극들(13d)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그러므로 두 개의 이웃하는 유지측 버스전극들(13d)의 전체 전극저항을 실질적으로 종래의 값의 1/4 내지 1/20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유지측 버스전극(13d)을 가로지르는 전압강하를 제1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것보다 현저히 적게 되도록 감소시킨다. 이는, 각각의 화소셀의 유지전극(13a)에인가되는 전압으로, 유지측 버스전극(13d)을 가로지르는 전압강하에 의해 야기된 감소비율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이는 발광방전 동안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최소전압이 감소되게 하고 화소셀들을 위한 가짜 소거들을 감소시킨다. 부언하면, 외부로부터 인가될 수 있는 최대전압은 발광방전 동안 가짜 방전들을 야기하지 않고서도 변경없이 그대로 남아있게 된다. 이는 동작전압마진이 증가되게 하고 전술한 최대 및 최소전압들 간에 차이가 있게 한다.
따라서, 장시간 동작에 의해 야기되는 전술한 최대전압의 감소 및 전술한 최소전압의 증가에 대하여 충분한 허용오차를 갖는 전압들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가짜 방전들 또는 가짜 소거들에 의해 영향받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 긴 수명이 증가될 수 있게 하여,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채용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장기간 신뢰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두 개의 이웃하는 유지측 버스전극들(13d)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유지측 버스전극들(13d) 중의 하나가 파손되기 직전에서조차, 다른 이웃하는 유지측 버스전극(13d)은 전류를 공급하여, 전극들의 파손에 대하여 제조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부언하면, 두꺼운 버스전극들(13d, 13e)이 이 실시예에서처럼 채용되는 경우, 이를테면 알루미나 또는 실리카로 형성된 정교한 입자충진기로 페이스트를 혼합함으로써 부피가 증가된 은페이스트를 사용하여 값비싼 은페이스트에 의해 야기되는 비용의 증가를 피할 수 있다.
제17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17실시예가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17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유지측 버스전극(13d)의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 접속부들(56)은 이웃하는 화소셀들의 유지측 버스전극들(13d)을 서로 연결시킨다.
이는 접속부(56)가 두 개의 이웃하는 유지측 버스전극들(13d)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게 하여, 두 개의 이웃하는 유지측 버스전극들(13d)의 전체 전극저항을 1/2만큼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이는 유지측 버스전극(13d)을 가로지르는 전압강하가 감소되게 하고 각각의 화소셀의 유지전극(13a)에 인가되는 전압의 감소비율이 감소되게 한다. 이는 발광방전 동안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최소전압이 감소되게 하고 화소셀들을 방전시키기 위한 가짜 소거들을 감소시켜, 더욱 안정된 디스플레이동작을 제공한다. 부언하면, 외부로부터 인가될 수 있는 최대전압은 발광방전 동안 가짜 방전들을 야기하는 일 없이 변경없이 그대로 유지된다. 이는 동작전압마진이 증가되거나 전술한 최대 및 최소 전압들 사이에 차이가 있게 한다.
따라서, 장시간 동작에 의해 야기되는 전술한 최대전압의 감소 및 전술한 최대전압의 증가에 대하여 충분한 허용오차를 갖는 전압들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가짜 방전들 또는 가짜 소거들에 의해 영향받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 긴 수명이 증가될 수 있게 하여,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채용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장기간 신뢰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게다가, 두 개의 이웃하는 유지측 버스전극들(13d)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유지측 버스전극들(13d) 중의 하나가 파손되기 직전에서조차, 다른이웃하는 유지측 버스전극(13d)은 전류를 공급하여, 전극들의 파손에 대하여 제조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이 효과는 버스전극보다 수 크기차수(order)만큼 저항이 큰 투명전극들이 버스전극들 사이에 있는 제1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것보다 큰 효과이다.
부언하여, 도 33을 참조하면, 이웃하는 유지측 버스전극들(13d)은 접속부(56)에 의해 각각에 연결되고 세로방향으로 이웃하는 화소셀들에 의해 공유된다. 그러나, 이와는 다르게, 유지전극(13a)이, 주사전극(13b)과 마찬가지로, 각 화소셀에 독립적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게다가, 유지측 버스전극들(13d)이 접속부(56)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유지전극(13a)은 각 화소셀에 독립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18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18실시예가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18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5는 도 34의 J-J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 36은 도 34의 K-K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이웃하는 화소셀들의 유지측 버스전극들(13d)이 완전히 공유되고 공통버스전극(57)으로서 채용될 수 있게 한다.
이는 두 개의 이웃하는 유지측 버스전극들(13d)이 완전히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게 한다.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비공유 유지측 버스전극(13d) 또는 주사측 버스전극(13e)은 70㎛의 폭을 가지나, 세로로 이웃하는 화소셀들 사이의 유지측 버스전극들(13d) 또는 주사측 버스전극들(13e)은 70㎛의간격들로 배치된다. 따라서, 공통버스전극(57)은 210㎛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는 공통버스전극(57)의 전극저항이 유지측 버스전극(13d)의 전극저항의 대략 1/3로 감소될 수 있게 한다. 더구나, 공통버스전극(57)은 제1실시예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1 내지 9㎛, 평균하여 5㎛로부터 20㎛로 두께가 증가될 것이고, 그 때문에 공통버스전극(57)의 저항을 주사측 버스전극(13e)의 저항의 1/12로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유지측 버스전극(공통버스전극(57))을 가로지르는 전압강하가 제16실시예의 그것으로부터 추가로 감소될 수 있게 한다. 이는 각 화소셀의 유지전극(13a)에 인가되는 전압의 감소비율이 감소되게 한다. 이는 발광방전 동안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최소전압을 감소시키고 화소셀들을 방전시키는 가짜 소거들을 감소시켜, 더욱 안정된 디스플레이동작을 제공한다. 부언하면, 최대전압은 외부로부터 인가될 수 있는 최대전압은 발광방전 동안 가짜 방전들을 야기하는 일 없이 변경없이 그대로 유지된다. 이는 동작전압마진이 증가되거나 전술한 최대 및 최소 전압들 사이에 차이가 있게 한다.
따라서, 장시간 동작에 의해 야기되는 전술한 최대전압의 감소 및 전술한 최대전압의 증가에 대하여 충분한 허용오차를 갖는 전압들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가짜 방전들 또는 가짜 소거들에 의해 영향받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 긴 수명이 증가될 수 있게 하여,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채용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장기간 신뢰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더구나, 두 개의 이웃하는 유지측 버스전극들(13d)은 서로 완전히 일체로 된다. 이는 종래의 유지측 버스전극(13d)의 폭보다 3 내지 6배 더 큰 폭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이는 전극들의 파손에 대하여 제조수율을 두 배 이상으로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이 효과는 접속부(56)가 유지측 버스전극들(13d)간을 연결시키는 제17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것보다는 더 큰 효과이다.
부언하면, 버스전극부의 디스플레이측은 흑색으로 형성된다. 이 점에 있어서, 주사측 버스전극(13e)이 도 34 내지 도 36에 보여진 제18실시예에서처럼 공통버스전극(57)과는 모양이 크게 다르면, 화소셀들의 피치의 두 배의 간격들을 갖는 구성은 관람자에게 나쁜 인상을 줄 것이다. 그러나, 흑색의 가로장벽(23)에 의하여 이웃하는 주사측 버스전극들(13e)간을 검게하는 것은 명백히 간섭받는다는 느낌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제19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19실시예가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19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7에 보여진 실시예에서, 열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화소셀들을 가로지르게 배치된 공통버스전극(57) 및 주사측 버스전극(13e)의 두께는, 절연층(18a)의 표면이 그 두께만큼 돌출하게 하여, 절연층(18a)상에 범프들(64)을 만든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통버스전극(57) 및 주사측 버스전극(13e)이 솟아오르게 하여 그 위에 범프(64)를 형성하도록 절연층(18a)도 솟아오르게 하기 위하여, 절연층 페이스트의 건조중의 평탄화성질과 구워질 때의 리플로우성질에 대한 제어가 두꺼운 절연층(18a)의 인쇄, 건조 및 굽기 동안에 재료 및 굽기온도들을 조절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쇄페이스트의 희석(thinner)성분의 양은 통상의 량 미만이 되게 감소되고 최대 굽기온도 또한 약 5 내지 50℃만큼 감소되어, 그러한 범프(64)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최대 굽기온도와 최대온도 및 이 최대온도 전후의 온도들의 시간간격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도 있게 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이 실시예는 가로장벽(23)을 형성하지 않고서도 가로장벽(23)에 등가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제조공정을 용이하게 하고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공통버스전극(57) 및 주사측 버스전극(13e)은 10 내지 5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범프(64)는 밑에 버스전극들(13d, 57)이 없는 부분들에 2 내지 50㎛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버스전극들(13d, 57)은 종래에는 1 내지 9㎛이고 평균하여 약 5㎛의 두께를 가진다. 반면에, 이 실시예는 10 내지 50㎛의 두께를 갖는 버스전극들(13d, 57)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는 주사측 버스전극(13e)이 종래의 평균전극저항의 1/2 내지 1/10로 감소될 수 있게 하는 부차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게다가, 두 개의 인접하는 유지측 버스전극들(13d)은 서로 완전히 접속되어 공통버스전극(57)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공통버스전극(57)의 전극저항을 두 개의 이웃하는 유지측 버스전극들(13d)의 전극저항의 1/6 내지 1/30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유지측 버스전극(13d)을 가로지르는 전압강하를 제17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것보다 훨씬 적게 되도록 감소시킨다. 이는, 각 화소셀의 유지전극(13a)에 인가되는 전압으로 감소된 감소비율을 제공한다. 이는 발광방전 동안 외부로부터인가되는 최소전압이 감소되게 하고 화소셀들을 위한 가짜 소거들을 감소시켜, 더욱 안정된 디스플레이동작을 제공한다. 부언하면, 외부로부터 인가될 수 있는 최대전압은 발광방전 동안 가짜 방전들을 야기하지 않고서도 변경없이 그대로 남아있게 된다. 이는 동작전압마진이 증가되게 하고 전술한 최대 및 최소전압들 간에 차이가 있게 한다.
따라서, 장시간 동작에 의해 야기되는 최대전압의 감소 및 최소전압의 증가에 대하여 충분한 허용오차를 갖는 전압들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가짜 방전들 또는 가짜 소거들에 의해 영향받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 긴 수명이 증가될 수 있게 하여,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채용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장기간 신뢰도가 현저히 향상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구성으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유지측 버스전극들(13d)이 서로 완전히 일체화되어, 전극들의 파손에 대하여 제조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하나. 이 효과는 접속부(56)가 유지측 버스전극들(13d)간을 연결하는 제17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것보다 큰 효과이다.
제20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20실시예가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20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공통버스전극(57)을 유지측 버스전극으로서 채용하고 서로 겹치도록 배치된 주사전극(13b) 및 주사측 버스전극(13e)의 두 개의 이웃하는 쌍들을 구비한다. 도 38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이는 화소셀들의 개공이 증가될 수 있게 한다. 이는광출력효율을 현저히 증가시켜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 전력소비를 극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발광효율은 종래기술의 발광효율의 1.3배로 높아질 수 있다. 전력소비를 감소시키는 이러한 증가분을 모두 사용하면 발광전력을 30%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제21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21실시예가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21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유지전극(13a)이 유지측 버스전극(13d)에 접속하기 위한 그것의 기초부분(root)에서 좁아져, 협소부(58)를 갖는 유지전극(13a)을 제공할 수 있다. 두 개의 세로화소셀들을 가로지르게 배치된 전극들을 공통으로 사용하는 공통버스전극(57)은, 가짜 방전이 공통버스전극(57)을 따라 발생하게 할 것이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는 협소부(58)가 제공되어, 두 개의 세로화소셀들을 가로지르게 배치된 전극들을 공통으로 사용하는 공통버스전극(57)을 따라 투과하는 가짜 방전을 더욱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22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22실시예가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22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 이 실시예의 특징을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도 41에 보여진 것은 이 실시예가 비롯된 제8실시예(도 20 내지 도 22 참조)에 따른 화소셀들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0 및 도 41을 참조하면, 화소셀중앙선(59)이 비교의 목적을 위해 보여진다. 도 41이 도 40과 비교되는 경우, 도 41은 화소셀중앙선(59)이 방전갭(22)의 중앙선(60)과 일치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이는, 주사전극(13b) 및 유지전극(13a)에는, 화소셀들의 방전을 위한 동일한 영역에 주사전극(13b) 및 유지전극(13a)이 제공되는 종래기술의 설계기법에 따라, 실질적인 발광부의 길이가 되는 길이인, 동일한 길이의 장변(61)의 전극들이 제공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자에 의해 행해진 실험들은 종래기술 설계기법에 의해 제공된 이 구성이 세로방향으로 매 두 개의 화소셀들 마다 발광중앙들을 변화시키도록 방전갭중앙선(60) 또는 발광 중앙을 화소셀들의 중앙을 규정하는 화소셀중앙선(59)으로부터 옮겨지게 하여, 세로화소셀피치의 두 배의 피치간격들로 변화하는 세기들을 갖는 스트립들이 눈에 보여지게 한다.
도 40에 보인 것처럼, 이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이 실시예는 전극들의 장변(61)의 길이변화를 갖는 주사전극(13b) 및 유지전극(13a)을 제공하여, 화소셀중앙선(59)이 방전갭(22)의 중앙선(60)과 일치하도록 한다.
더구나, 도 39에 보인 것처럼 유지전극(13a)의 기초부분을 좁게 함으로써, 열방향으로 동일한 간격들로 배치되고 대체로 화소셀들에서 동일한 발광분포를 갖는 화소셀들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전극배치로, 두 배의 피치간격들로 반복패턴을 가지는 가로스트립들이 보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23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23실시예가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23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3은 도 42의 L-L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 44는 도 42의 M-M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흑색스트립패턴(62; 이후로는 가로BS라 함)이 도 42의 행방향으로 삽입된다. 가로BS(62)는 제1절연기판(11)위에 제공된다. 가로BS(62)는 흑색재료(이를테면 산화철 또는 산화루테늄)와 혼합된 보통의 두꺼운 유리페이스트로 형성된다. 흑색인 가로BS(62)는 디스플레이측의 반사도 및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 표면반사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여, 향상된 콘트라스트 효과를 제공한다.
더구나, 높은 전기전도도를 갖는 백색의 은 등이 주사측 버스전극(13e) 또는 공통버스전극(57)으로서 채용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도, 가로BS(62)는 버스전극들(13e, 57)을 덮도록 배치되어, 표면반사도가 감소되게 한다. 이런 이유로, 낮은 저항을 갖는 백색의 은 전극들을 주사측 버스전극(13e) 및 공통버스전극(57)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기술에서는, 백색의 은으로 형성된 버스전극들의 반사도를 낮추기 위하여, 흑색의 은 등으로 된 전극들이 디스플레이측의 주사측 버스전극(13e) 및 공통버스전극(57)에 형성되었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와 같이 비교적 저가의 흑색BS(62)를 채용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4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24실시예가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45는 본 발명의 제24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6은 도 45의 N-N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 47은 도 45의 O-O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흑색스트립패턴(62)을 가지는 점에서는 제23실시예와 동일하나, 각각이 동일한 폭을 갖는 가로BS들(62)이 각 화소셀에서 세로로 대칭이 되게 동일한 간격들로 배치된다는 점에서 제23실시예와는 다르다. 효과적으로 덮여진 고 반사성의 주사측 버스전극들(13e) 및 공통버스전극들(57)은, 가로줄무니들(horizontal fringes)이 도 45의 열방향(세로방향)으로 화소셀피치의 두 배의 피치간격들로 발생하는 것도 방지될 수 있게 한다.
제25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25실시예가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48은 본 발명의 제25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9는 도 48의 P-P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 50은 도 48의 Q-Q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흑색스트립패턴(62)을 가진다는 점에서 제23실시예와 동일하나, 이 실시예의 가로BS(62)가 주사측 버스전극들(13e) 사이에 서로 겹치도록 배치된다는 점에서는 제23실시예와는 다르다.
가로BS(62), 두 개의 이웃하는 흑색 또는 회색의 주사측 버스전극(13e)으로 형성된 가로스트립, 및 흑색 또는 회색의 유지측 버스전극(13d)으로 형성된 가로스트립은, 동일한 폭을 가지기에 적합하게 되고 가로스트립들은 동일한 간격들로 배치된다. 이는 가로줄무니들이 화소셀피치의 두 배의 피치간격들로 세로방향으로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전체 디스플레이측이 흑색으로 형성되므로, 주사측 버스전극(13e) 및 공통버스전극(57)은 콘트라스트라가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제26실시예
이제, 본 발명의 제26실시예가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51은 본 발명의 제26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2는 도 51의 R-R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 53은 도 51의 S-S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51 내지 도 53의 기본 구성은 제23 및 제24실시예들의 구성들과 동일하나, 가로BS(62)가 투명한 주사전극(13b) 및 유지전극(13a)의 상면에 배치된다는 점에서는 그 실시예들과는 다르다. 이 배치로, 1 내지 5㎛의 두께를 갖는 가로BS(62)는, 통상 약 0.2㎛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 투명한 주사전극(13b) 및 유지전극(13a)의 상면에 형성되어진다.
가로BS(62)보다도 1/5 이상 얇은 주사전극(13b) 및 유지전극(13a)을 가로BS(62)상에 형성하면, 가로BS(62)의 가장자리의 단이 진(stepped) 부분으로 인하여 주사전극(13b) 및 유지전극(13a)에 파손이 일어나기 쉽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배치를 이용하면, 이 파손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주사전극(13b) 및 주사측 버스전극(13e) 사이 또는 유지전극(13a) 및 공통버스전극(57) 사이의 전기접속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가로BS(62)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재료의 입자들의 직경을 증가시켜, 주사전극(13b) 및 주사측 버스전극(13e) 사이 또는 유지전극(13a) 및 공통버스전극(57) 사이의 전기접속을 보증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다르게는, 도 54의 실시예의 변형 예에서 보여진 것처럼, 주사전극(13b) 및 주사측 버스전극(13e) 사이 또는 유지전극(13a) 및 공통버스전극(57) 사이의 전기접속을 보증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부언하면, 도 54는 윈도우부(63)를 보여주나 이 윈도우부는 노치(notch)되어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모든 실시예들에서, 버스전극들의 구성은 언급되지 않았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처럼, 버스전극이 조사될 때, 낮은 저항을 갖는 주어진 색상의 금속전극들로 형성된 화소셀들의 내부와 흑색금속전극들로 형성된 디스플레이측에 의하여 반사도를 낮출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종래기술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구동되기에 적합하여, 각 화소셀이 공통전극을 공유하도록 열방향(세로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화소셀들과 독립한 주사전극을 가질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 화소셀들의 구조를 명시하도록 의도된 것이지 각 화소를 사용하는 방법을 명시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당연한 일로서, 전술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주사전극은 유지전극으로서 사용될 수 있고 유지전극은 또한 주사전극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의 구동방법의 예가 아래에서 간단히 설명된다.
도 55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 전극들의 배치의 개략도로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화소셀들의 구조를 갖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에 종래기술과는 다른 구동법을 어떻게 적용하는 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5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113b는 주사전극들을 가리키며, 113a는 유지전극들을 가리키고, 14는 열전극들을 가리킨다. 제1 내지 제25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주사전극(13b)은 유지전극(113a)으로서 사용되고, 유지전극(13a)은 주사전극(113b)으로서 사용된다.
화소셀들(20)은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주사전극(113b) 및 유지전극(113a)과이것들에 직각인 열전극들(14)의 교차부들에서 규정된다. 세로로 이웃하는 화소셀들(20)은 주사전극들(113b)을 공유하고, 이 주사전극들은 주사구동기IC(미도시)의 출력핀에 접속된다. 이 배치로, 주사구동기IC의 출력들의 수는 디스플레이선들의 수의 절반이 된다. 유지전극들(113a)은 주사전극들(113b) 위쪽에 위치된 제1유지전극그룹(103a)과 주사전극들(113b)의 아래쪽에 위치된 제2유지전극그룹(103b)으로 분할된다. 전기접속(미도시)이 패널 외부 또는 패널 내의 디스플레이영역 외부의 그룹들의 각각에 마련된다.
도 56은 도 55의 열전극(14)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56은 도 55에 대응하며, 제1실시예의 도 8에도 대응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 주요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6은, 주사전극(13b) 및 유지전극(113a)이 서로 바꾸어지고 주사측 버스전극(13e) 및 유지측 버스전극(113d)이 서로 바꾸어진다는 점에서 도 8과는 다르다.
도 57은 이 구동방법을 도시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58a 내지 도 58d는 도 56의 단면에서 보여진 패널의 화소셀들 내부의 벽전하들(wall charges)의 상태의 개략도로서, 각 도면은 도 57의 서브필드들인 A 내지 D의 각 사이클의 끝에서의 벽전하들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 구동방법에 의한 동작이 도 57 및 도 58a 내지 58d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먼저, 제1예비방전사이클(A) 동안, 음의 톱니 예비방전펄스(Vpc)가 유지전극그룹(103a)에 인가된다. 그것과 동위상으로, 반대 극성의 예비방전펄스(Vps)가 주사전극(113b)에 인가된다. 주사전극(113b) 및 유지전극(113a) 간의예비방전펄스(Vp)에 의해 이루어진 전압차는 유지전극(113a) 및 주사전극(113b)간의 방전개시전압보다 높도록 설정된다. 더구나, 주사전극(113b)에 대한 것과 동일한 파형전압이 유지전극그룹(103b)에 인가된다. 유지전극그룹(103a)을 구비한 화소셀(20a)에서는, 주사전극(113b)을 양이 되게 하는 예비방전펄스(Vp)의 인가 중에 방전개시전압이 초과된 시간에 방전이 일어난다. 이는 음의 벽전하들이 주사전극(113b)위에 모이게 하고 양의 벽전하들이 유지전극(113a)위에 모이게 한다. 이때, 유지전극그룹(103b)을 구비한 화소셀(20b)에서는, 전압차가 만들어지지 않고 그래서 방전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 후, 제1선택동작사이클(B) 동안, 주사펄스(Vw)가 주사전극(113b)에 인가되고 디스플레이데이터에 응답하여 데이터펄스(Vd)가 열전극(14)에 인가된다. 이는 데이터펄스(Vd)가 인가된 화소셀(20) 내에서만 벽전하들이 사라지게 한다. 게다가, 제1유지방전펄스(Vs11)가 주사전극(113b)에 인가되어 밀집(built up) 또는 "ON"상태로 벽전하들을 갖는 화소셀(20a)에서만 방전이 일어나게 한다. 동시에, 반대 극성들을 갖는 벽전하들은 주사전극(113b) 및 유지전극(113a)에 각각 밀집된다. 도 58은 화소셀(20a)이 "ON"상태로 있는 경우를 도시한다.
마찬가지로, 후속하는 제2예비방전사이클(C) 및 제2선택동작사이클(D) 동안, 선택동작이 유지전극그룹(103b)을 구비한 화소셀(20b)에서만 수행되어 "ON"상태로 있는 화소셀(20b)에서만 벽전하들이 밀집되게 한다. 도 58d는 화소셀(20b)이 "ON"상태로 있는 경우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도, 유지전극그룹(103)을 구비한 화소셀(20a)에서는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그 후, 유지사이클(E) 동안, 반대 극성을 갖는 방전유지펄스(Vs)가 주사전극들(113b) 및 유지전극들(113a) 모두에 인가되어, 벽전하들이 소거되지 않은 화소셀들(20)에서만 방전을 일으켜, 선택동작사이클들(B 및 D) 동안 디스플레이를 목적으로 한 발광이 얻어진다. 게다가, 유지소거사이클(F) 동안, 무딘(blunt)파형의 유지소거펄스(Ve)가 벽전하들을 소거하여 방전을 종료시키도록 인가된 다음, 동작은 후속하는 서브필드로 진행한다. 전술한 동작들에 의하여, "ON"과 "OFF"의 제어를 하나의 서브필드 내의 모든 화소셀들(20)에 대하여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화소셀들이 주사전극들을 공유하게 하고 각 화소셀에 대하여 독립적인 유지전극을 사용함으로써, 각 화소셀에 대한 발광 및 비발광 제어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다가, 전술한 실시예들의 각각에서는, 주사전극 및 유지전극이 행방향으로 완전히 절단 분리되며 각 화소셀에는 별개의 주사전극(13b) 및 유지전극(13e)이 제공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효과들은 행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화소셀들(20) 사이에 노치부가 마련되고 따라서 서로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주사전극(13b) 및 유지전극(13a)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은 종래기술의 구동방법을 채용하여 세기, 발광효율 및 전압마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구나, 이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은 유지전극상에 마련된 버스전극에 대한 불필요한 전력소비와 유지전극에서의 전체 파손 백분율을 감소시켜 향상된 제조수율을 제공할 수있다. 따라서, 이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은 전력소비를 줄이는 것과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채용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데 큰 효과가 있으며 에지너절약에 크게 기여한다.

Claims (42)

  1. AC면방전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에 있어서,
    전면기판;
    배면기판;
    그 주변에지부에서 상기 전면기판 및 상기 배면기판을 봉지하여 그 속에 방전기체를 밀봉시키는 밀봉부;
    화소셀들을 열방향 및 행방향으로 각각 규정하여 매트릭스형태로 화소셀들을 규정하는 열리브들 및 행리브들; 및
    디스플레이전극부 및 버스전극부를 갖는 면방전전극들로서, 상기 면방전전극들의 디스플레이전극부의 적어도 일부는 행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화소셀들 사이에 노치부 또는 잘라낸(cut-away)부분을 가지며, 상기 면방전전극들은 하나의 화소셀에 위치된 한 쌍의 유지전극 및 주사전극을 가지고, 열방향으로 배치된 이웃하는 화소셀들에 대하여, 개개의 유지전극들 및 주사전극들이 이웃하는 화소셀들 사이에서 인접하게 되도록 유지전극들 및 주사전극들이 배치된, 면방전전극들을 포함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열방향으로 배치된 이웃하는 화소셀들을 위한 이웃하는 유지전극들 또는 유지측 버스전극들은 패널 내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열방향으로 배치된 이웃하는 화소셀들을 위한 이웃하는 주사전극들 또는 주사측 버스전극들은 패널 내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면기판 및 상기 전면기판을 진공에서 봉지하는 단계; 및
    그 후에 패널의 내부를 대기에 노출시키지 않고 계속해서 패널 내의 방전기체를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기판 상에 형성된 격자형 리브들을 더 포함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6. 제5항에 있어서, 방전기체가 통과할 수 있는 틈(gap)이 격자형 리브 및 상기 전면기판 사이에 마련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기판 또는 상기 배면기판의 격자형 리브들의 교차부들에 마련된 돌출부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교차부들은 상기 배면기판의 격자형 리브들의 교차부들에 대응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은 행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화소셀들 사이의 주사측 버스전극들 및 유지측 버스전극들 또는 주사전극들 및 유지전극들을 규정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기판 또는 상기 배면기판의 격자형 리브들의 교차부들에 마련된 오목부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교차부들은 상기 배면기판의 격자형 리브들의 교차부들에 대응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10. 제9항에 있어서, 열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화소셀들 사이에서 적어도 주사전극들 및 유지전극들을 규정하는 상기 오목부들 이외의 리브부들을 포함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11. 제6항에 있어서, 화소셀들 사이에 2 내지 50㎛의 두께를 갖는 가로장벽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로장벽들은 버스전극들에 평행하게 형성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장벽은 절연층의 유전상수보다 낮은 유전상수를 갖는 재료로 형성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장벽은 긴 열방향으로 연장하는 화소셀들 사이의 유지전극들 또는 주사전극들 중의 하나 위에만 위치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14. 제11항에 있어서, 유지전극 및 주사전극 상의 상기 가로장벽들은 다른 폭을 가지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로장벽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긴 행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화소셀들 사이에 배치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16. 제6항에 있어서, 배면기판상에 형성된 격자형 리브들을 더 포함하며, 화소셀들을 규정하는 긴 행방향으로 연장된 리브부가 화소셀들을 규정하는 긴 열방향으로 연장된 리브부보다 더 높은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17. 제11항에 있어서, 면방전전극을 구성하는 버스전극은 가로장벽에는 겹치지 않으나 리브에는 겹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18. 제11항에 있어서, 면방전전극을 구성하는 버스전극은 리브에는 겹치지 않으나 가로장벽에는 겹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19. 제11항에 있어서, 면방전전극을 구성하는 버스전극은 가로장벽 및 리브에 겹치도록 위치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20. 제6항에 있어서, 버스전극은 10 내지 50㎛의 두께를 가지고, 버스전극의 두께는 2 내지 50㎛ 두께의 융기된(raised) 부분이 절연층의 표면에 형성되게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21. 제1항, 제2항 및 제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전극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금속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22. 제1항, 제2항 및 제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전극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투명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23. 제1항, 제2항 및 제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전극들은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된 공통버스전극으로서 역할을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24. 제23항에 있어서, 공통버스전극의 저항은 주사측 버스전극의 저항의 1/3 내지 1/12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25. 제23항에 있어서, 버스전극은 10 내지 50㎛의 두께를 가지고, 버스전극의 두께는 2 내지 50㎛ 두께의 융기된 부분이 절연층의 표면에 형성되게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26. 제1항, 제2항 및 제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사전극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금속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27. 제1항, 제2항 및 제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사전극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투명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28. 제1항,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사전극들은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된 공통버스전극으로서 역할을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29. 제28항에 있어서, 공통버스전극의 저항은 유지측 버스전극의 저항의 1/3 내지 1/12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30. 제28항에 있어서, 버스전극은 10 내지 50㎛의 두께를 가지고, 버스전극의 두께는 2 내지 50㎛ 두께의 융기된 부분이 절연층의 표면에 형성되게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31. 제1항, 제2항 및 제5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로로 이웃하는 화소셀들 상의 이웃하는 주사전극들 또는 이웃하는 주사측 버스전극들 간의 거리는 20 내지 200㎛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32. 제1항, 제3항, 제5항 내지 제20항, 및 제26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로로 이웃하는 화소셀들 상의 이웃하는 유지전극들 또는 이웃하는 유지측 버스전극들 간의 거리는 20 내지 200㎛인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3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화소셀들의 주사전극들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서로 겹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3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화소셀들의 유지전극들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서로 겹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35. 제1항,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행방향으로 배치된 디스플레이전극부의 노치 또는 잘라낸 끝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노치 또는 잘라낸 끝부분은 열방향으로 배치된 리브의 머리부분으로부터 20 내지 70㎛만큼 이격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3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지전극은, 폭이 감소되며 유지측 버스전극에 접속되는 부분을 가지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37. 제1항,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면방전전극은, 긴 열방향으로 배치된 화소셀들이 발광의 중앙들을 등간격으로 가지게 하도록 구성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38. 제1항,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면방전전극들 사이 또는 면방전전극을 포함한 행방향으로 배치된 가로흑색스트립을 포함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흑색스트립들은, 모두 동일한 폭을 가지며, 각 화소셀 내에서 서로 세로로 대칭이 되도록 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40. 제38항에 있어서, 가로흑색스트립, 흑색 또는 회색 디스플레이측을 갖는 주사전극으로 만들어진 가로방향의 제1스트립, 및 동일한 폭을 가지며 흑색 또는 회색 공??버스전극으로 만들어진 가로방향의 제2스트립은 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전극들 및 유지전극들은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고, 상기 가로흑색스트립들은 주사전극 및 유지전극으로 형성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42. 제41항에 있어서, 구멍 또는 노치가 가로흑색스트립상에 형성되어 주사전극 또는 유지전극의 버스전극에 대한 전기접속을 확실하게 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KR1020010044584A 2000-07-24 2001-07-24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6195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23185A JP2002042661A (ja) 2000-07-24 2000-07-24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0-00223185 2000-07-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8803A true KR20020008803A (ko) 2002-01-31
KR100619519B1 KR100619519B1 (ko) 2006-09-05

Family

ID=18717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4584A KR100619519B1 (ko) 2000-07-24 2001-07-24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7002296B2 (ko)
JP (1) JP2002042661A (ko)
KR (1) KR100619519B1 (ko)
FR (1) FR28124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7034A (ko) * 2005-05-12 2006-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79286B1 (ko) * 2007-03-14 2009-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569B1 (ko) * 1999-12-31 2005-08-0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격벽 상에 전극을 가지는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3587118B2 (ja) * 2000-02-24 2004-11-10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2042661A (ja) * 2000-07-24 2002-02-08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00446161C (zh) * 2000-10-10 2008-12-2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等离子体显示屏
KR100489445B1 (ko) * 2001-11-29 2005-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방법
JP3695746B2 (ja) * 2001-12-27 2005-09-1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CN1287407C (zh) 2002-03-06 2006-11-2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等离子体显示装置
US20030197475A1 (en) * 2002-04-04 2003-10-23 Makoto Takamura Flat-panel displa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portable terminal
EP1361594A3 (en) * 2002-05-09 2005-08-31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panel
US7187125B2 (en) * 2002-12-17 2007-03-06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KR20040070563A (ko) * 2003-02-04 2004-08-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EP1457865B1 (fr) * 2003-03-12 2017-11-08 Asulab S.A. Substrat à électrodes transparent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KR100477994B1 (ko) * 2003-03-18 2005-03-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 방법
US20050083251A1 (en) * 2003-10-20 2005-04-21 Yao-Ching Su Plasma display panel with improved data structure
KR100669693B1 (ko) * 2003-10-30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전체막용 도료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9390B1 (ko) * 2003-11-29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델타 화소 배열 구조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7925B1 (ko) * 2003-11-29 2007-01-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060836A (ko) * 2003-12-17 2005-06-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50264233A1 (en) * 2004-05-25 2005-12-01 Kyu-Hang Lee Plasma display panel (PDP)
KR100578924B1 (ko) * 2004-05-28 2006-05-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927710B1 (ko) * 2004-06-30 2009-11-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7566917B2 (en) * 2004-09-28 2009-07-28 Sharp Kabushiki Kaisha Electronic device and heterojunction FET
KR101139662B1 (ko) * 2004-11-05 2012-05-14 가부시키가이샤 알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보호막 및 그 보호막의 제조방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0625496B1 (ko) * 2004-12-14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6222034A (ja) * 2005-02-14 2006-08-24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EP1758143A3 (en) * 2005-08-23 2009-08-26 Advanced PDP Development Center Corporation Plasma display panel
JP2007311129A (ja) * 2006-05-17 2007-11-29 Advanced Pdp Development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667360B1 (ko) * 2005-09-20 2007-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070056359A (ko) * 2005-11-29 2007-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68198B1 (ko) * 2005-12-30 2007-10-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62249B1 (ko) * 2006-05-30 2007-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62251B1 (ko) 2006-05-30 2007-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04981A (ko) * 2006-07-07 200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13230A (ko) * 2006-08-07 2008-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970019B1 (ko) * 2006-08-10 2010-07-16 파나소닉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8311022A (ja) * 2007-06-13 2008-12-25 Pioneer Electron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WO2009025011A1 (ja) * 2007-08-22 2009-02-26 Hitachi,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5033681B2 (ja) * 2008-03-07 2012-09-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0073527A (ja) * 2008-09-19 2010-04-02 Panason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CN102714122A (zh) 2010-02-25 2012-10-0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等离子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1341A (ja) * 1984-08-31 1986-03-29 Fujitsu Ltd ガス放電パネル
US5051928A (en) * 1987-12-28 1991-09-24 Dubner Computer Systems, Inc. Color correction for video graphics system
JP2964512B2 (ja) 1989-12-18 1999-10-18 日本電気株式会社 カラー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
JPH03269933A (ja) 1990-03-16 1991-12-02 Fujitsu Ltd ガス放電パネル
JPH0760299B2 (ja) 1992-02-21 1995-06-28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2993263B2 (ja) 1992-03-04 1999-12-20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H05266801A (ja) 1992-03-17 1993-10-15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FR2700049B3 (fr) 1992-12-29 1995-03-17 Pixel Int Sa Espaceurs pour écrans plats de visualisation et procédé de mise en Óoeuvre de ces espaceurs.
US5547483A (en) 1992-12-29 1996-08-20 Pixel International Spacers for flat display screens
US5557168A (en) * 1993-04-02 1996-09-17 Okaya Electric Industries Co., Ltd. Gas-discharging type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JP3536428B2 (ja) 1994-06-03 2004-06-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アナログ計測器の置き針表示装置及びアナログ計測器
CA2149289A1 (en) * 1994-07-07 1996-01-08 Yoshifumi Amano Discharge display apparatus
JP3352821B2 (ja) * 1994-07-08 2002-12-0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581465B2 (ja) 1994-09-28 1997-02-12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とその駆動方法
JPH08250030A (ja) 1995-03-14 1996-09-27 Pioneer Electron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663915B2 (ja) * 1995-05-31 1997-10-15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3163563B2 (ja) * 1995-08-25 2001-05-08 富士通株式会社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5982095A (en) * 1995-09-19 1999-11-09 Lucent Technologies Inc. Plasma displays having electrodes of low-electron affinity materials
WO1997011477A1 (en) * 1995-09-21 1997-03-27 Orion Electric Co. Ltd. Color plasma display panel
JP3466346B2 (ja) 1995-10-26 2003-11-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電極構造
TW328579B (en) * 1995-10-30 1998-03-21 Dainippon Printing Co Ltd Plasma display panel
JPH09167565A (ja) 1995-12-14 1997-06-24 Pioneer Electron Corp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5900694A (en) * 1996-01-12 1999-05-04 Hitachi, Ltd. Gas discharge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H1049072A (ja) * 1996-08-06 1998-02-20 Hitachi Ltd ガス放電型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
US6037713A (en) * 1996-11-25 2000-03-14 Fujitsu Limited Display panel having compound film covered electrodes
KR19980060794A (ko) * 1996-12-31 1998-10-07 손욱 플라즈마 표시 패널
US6008582A (en) * 1997-01-27 1999-12-28 Dai Nippon Printing Co., Ltd. Plasma display device with auxiliary partition walls, corrugated, tiered and pigmented walls
JPH10228858A (ja) 1997-02-13 1998-08-25 Fujitsu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JP3106992B2 (ja) 1997-02-20 2000-11-06 日本電気株式会社 Ac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H10255667A (ja) 1997-03-05 1998-09-25 Pioneer Electron Corp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3492878B2 (ja) 1997-03-05 2004-02-0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3608903B2 (ja) * 1997-04-02 2005-01-1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H1165486A (ja) 1997-08-18 1999-03-05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駆動方法
TW392186B (en) 1997-12-01 2000-06-01 Hitachi Ltd Plasma display panel and image display using the same
JP3690148B2 (ja) 1997-12-01 2005-08-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US5969472A (en) * 1997-12-03 1999-10-19 Lockheed Martin Energy Research Corporation Lighting system of encapsulated luminous material
JPH11212515A (ja) 1998-01-21 1999-08-06 Hitachi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3705914B2 (ja) * 1998-01-27 2005-10-12 三菱電機株式会社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97214A (ja) 1998-04-14 1999-10-29 Pioneer Electron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3314733B2 (ja) 1998-09-17 2002-08-12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28970B1 (ko) 1998-12-15 2004-06-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소자의 제조방법 및 장치
JP2000188063A (ja) 1998-12-21 2000-07-04 Mitsubishi Electric Corp 交流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基板、交流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交流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US6465956B1 (en) * 1998-12-28 2002-10-15 Pioneer Corporation Plasma display panel
JP2000195431A (ja) 1998-12-28 2000-07-14 Pioneer Electron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0285814A (ja) * 1999-03-31 2000-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c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1015034A (ja) 1999-06-30 2001-01-19 Fujitsu Ltd ガス放電パネルとその駆動方法ならびにガス放電表示装置
JP3523186B2 (ja) * 1999-11-24 2004-04-26 エルジー電子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6492770B2 (en) * 2000-02-07 2002-12-10 Pioneer Corporation Plasma display panel
US6614183B2 (en) * 2000-02-29 2003-09-02 Pioneer Corporation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1273855A (ja) * 2000-03-28 2001-10-05 Sony Corp 交流駆動型プラズマ表示装置
JP4263336B2 (ja) * 2000-04-12 2009-05-1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隔壁構造
JP2002042661A (ja) * 2000-07-24 2002-02-08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170492A (ja) * 2000-11-29 2002-06-14 Pioneer Electron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4288508A (ja) * 2003-03-24 2004-10-14 Pioneer Electron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7183720B2 (en) * 2003-07-22 2007-02-27 Pioneer Corporation Plasma display panel,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7034A (ko) * 2005-05-12 2006-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79286B1 (ko) * 2007-03-14 2009-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9519B1 (ko) 2006-09-05
FR2812449A1 (fr) 2002-02-01
FR2812449B1 (fr) 2006-12-08
US20060033436A1 (en) 2006-02-16
US20020024303A1 (en) 2002-02-28
US7847481B2 (en) 2010-12-07
US7336033B2 (en) 2008-02-26
JP2002042661A (ja) 2002-02-08
US7002296B2 (en) 2006-02-21
US20080084161A1 (en) 2008-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9519B1 (ko)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865617B1 (ko) 가스방전패널
JP4063959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駆動方法
JPH10188819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3626342B2 (ja)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4200040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3623386B2 (ja) プラズマ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
KR10063714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30155862A1 (en) Plasma display device
JPH1196919A (ja) ガス放電表示パネル
US3916393A (en) Multicolor gaseous discharge display device
US7378796B2 (en) Plasma display panel
US20030112206A1 (en) Ac-type plasma display panel capable of high definition and high brightness image display,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3438641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1503535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高効率作動方法
JP2000149797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表示方法
US6411031B1 (en) Discharge electrodes for a color plasma display panel capable of lowering a discharge voltage
JP4053818B2 (ja) ガス放電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0538980C (zh) 等离子体显示器
JPH07220641A (ja)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駆動方法
JP2963515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駆動方法
JPH1125864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45269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61525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7266019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1202

Effective date: 200605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100568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1202

Effective date: 200605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