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0133Y1 - 화물차의 스페어 휠 캐리어 조립체(spare wheel carrier assembly of truck) - Google Patents

화물차의 스페어 휠 캐리어 조립체(spare wheel carrier assembly of tru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0133Y1
KR200190133Y1 KR2019970019011U KR19970019011U KR200190133Y1 KR 200190133 Y1 KR200190133 Y1 KR 200190133Y1 KR 2019970019011 U KR2019970019011 U KR 2019970019011U KR 19970019011 U KR19970019011 U KR 19970019011U KR 200190133 Y1 KR200190133 Y1 KR 200190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re wheel
gear
supporter
carrier assembly
v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90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5656U (ko
Inventor
김성기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190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0133Y1/ko
Publication of KR199900056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6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0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01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2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 B62D43/04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attached beneath the vehicle body
    • B62D43/045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attached beneath the vehicle body the wheel or its cradle being attached to one or more chains or cables for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02Handling devices, mainly for heavy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차의 스페어 휠 캐리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페어휠의 승·하강 동작과정에서 스페어 휠을 승·하강 시키는 체인 또는 로프 등에 단락이 발생되어도 스페어 휠이 도로상으로의 탈락을 예방할 수 있어 스페어 휠의 손실 및 특히 후방 차량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화물차의 스페어 휠 캐리어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그 양측면에 지지판(11), (12)이 연장 형성된 캐리어 멤버(10)와; 캐리어 멤버(1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된 브래킷(21)상에 내장 설치되며 스페어 휠(W)에 연결된 체인(C)을 통해 스페어 휠(W)을 승·하강 시키는 제1기어(20)와; 지지판(11), (12)상에 그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그 하단부에는 대응되는 내측 방향으로 걸림 플랜지(31)가 연장 형성되고, 스프링(S)에 의해 대응되는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 서포터(30)와; 양측에 각 서포터(30)의 일단에 연결된 로프(50)가 선택적으로 권선되며, 제1기어(20)를 통해 스페어 휠(W)을 승·하강시키는 것에 의해 서포터(30)를 힌지점을 중심으로 내, 외측으로 회동시키는 제2기어(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화물차의 스페어 휠 캐리어 조립체
본 고안은 화물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어측 보디의 하면에 설치하여 스페어 휠을 장착시키기 위한 스페어 휠 캐리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주행함에 있어서는 휠의 펑크가 빈번히 발생됨으로써 이를 대비하여 스페어 휠을 마련하고 있다.
이와같은 스페어 휠을 보관함에 있어서는, 승용차에 있어서는 별도의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즉, 트렁크 룸 내에 스페어 휠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부가 마련되어 있어 이를 통해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이지만, 화물차등에는 별도의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리어측 보디의 하면에 설치된 스페어 휠 캐리어 조립체를 통해 장착하고 있다.
즉,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렌치 등을 통해 캐리어 멤버(1)상에 위치된 캐리어(2)를 동작시키게 되면, 캐리어 채널(3)을 통해 스페어 휠(W)에 연결된 체인(C)이 캐리어(2) 내부에 권취되고, 동시에 스페어 휠(W)이 상승하여 캐리어 멤버(1)에 가압지지됨으로써 보디의 하면에 장착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스페어 휠 캐리어 조립체에 있어서는, 체인(C)에 단락되거나 또는 체인(C)과 캐리어 채널(3)간의 결합부위에 파손이 발생되게 되면, 스페어 휠(W)이 주행중에 도로상으로 탈락됨으로써 스페어 휠의 손실 및 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페어 휠의 승·하강 동작과정에서 스페어 휠을 승·하강 시키는 체인 또는 로프 등에 단락이 발생되어도 스페어 휠이 도로상으로 탈락을 예방할 수 있어 스페어 휠의 손실 및 특히 우방 차랑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화물차의 스페어 휠 캐리어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의 스페어 휠 캐리어 조립체는, 화물차의 보디 하면에 고정 설치되며 그 양측면에 지지판이 연장 형성된 캐리어 멤버와, 상기 캐리어 멤버의 하부에 고정 설치된 브래킷상에 내장 설치되며 스페어 휠에 연결된 체인을 통해 스페어 휠을 승·하강 시키는 제1기어와; 상기 지지판상에 그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그 하단부에는 대응되는 내측 방향으로 걸림 플랜지가 연장 형성되고 스프링에 의해 대응되는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 서포터와; 그 양측에 상기 각 서포터의 일단에 연결된 로프가 선택적으로 귄선되며 상기 제1기어를 통해 스페어 휠을 승·하강 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서포터를 힌지점을 중심으로 내, 외측으로 회동시키는 제2기어; 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 스페어 휠 캐리어 조립체의 일부 절제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페어 휠 캐리어 조립체의 개략적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캐리어 맴버 11, 12 : 지지판
20 : 제1기어 30 : 서포터
31 : 걸림 플랜지 40 : 제2기어
41 : 권취축 50 : 로프
C : 체인 S : 스프링
W : 스페어 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페어 휠 캐리어 조립체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페어 휠 캐리어 조립체는, 크게 캐리어 멤버(10)와 제1기어(20) 및 서포터(30)와 제2기어(40)로 대별된다.
캐리어 멤버(10)는 화물차의 리어측 보디 하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특히 그 양측면에는 하방을 향하여 지지판(11), (12)이 연장 형성된다.
제1기어(20)는 캐리어 멤버(1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된 브래킷(21)에 내장설치되는 것으로서, 캐리어 채널(3)을 통해 스페어 휠(W)에 연결된 체인(C)을 권취함으로써 스페어 휠(W)을 승·하강 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1기어(20)를 회전시킴에 있어서는 별도의 구동모터를 마련하거나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렌치(22)를 마련하여 제1기어(20)를 회전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서포터(30)는, 캐리어 멤버(10)의 양측면에 연장된 지지판(11), (12)에 그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이 힌지점을 중심으로 하부 일측면과 지지판(11), (12)에 그 양단이 결합된 스프링(S)에 의해 각각 대응되는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또한 서포터(30)의 하단부에는 선택적으로 스페어 휠(W)의 하면을 소정범위 내로 감싸도록 걸림 플랜지(31)가 대응되는 내측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된다.
제2기어(40)는 제1기어(20)와 이 맞물림되어 회전되는 것으로서, 그 양측에는 권취축(41)이 연장 형성되며, 이 귄취축(41)으로는 각 서포터(30)의 상단부에 그 일단이 결합된 로프(50)의 타단이 권취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때 제2기어(40)를 통한 로프(50)의 권취 및 풀림 방향은, 제1기어(20)를 통한 스페어 휠(W)의 승·하강과 연관되어 지는 바, 즉, 제1기어(20)를 통해 스페어 휠(W)을 상승시키게 되면, 제2기어(40)의 권취축(41)으로 로프(50)가 권취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페어 휠(W)의 장착 과정을 보면, 제1기어(20)를 구동시키게 되면, 캐리어 채널(3)을 통해 스페어 휠(W)에 연결된 체인(C)이 권취되면서 스페어 휠(W)이 캐리어 멤버(10)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제1기어(20)가 회전됨에 의해서 제2기어(40)가 함께 회전 구동되게되어 그 양단에 연장 형성된 권취축(41)으로 서포터(30)의 일단과 결합된 로프(50)를 권취하고 이에의해 서포터(30)는 힌지점을 중심으로 각각 대응되는 내측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3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서포터(30)의 하단부에 연장 형성된 걸림 플랜지(31)가 스페어 휠(W)의 하면을 감싸는 형태를 취하게 됨으로써 차량의 주행과정에서나 충격 등에 의하여 체인(C)에 단락이 발생되어도 스페어 휠(W)의 도로상으로의 탈락이 방지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스페어 휠(W)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1기어(2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스페어 휠(W)이 하강하게 되고, 동시에 제2기어(40) 또한 역회전하게 되어 권취축(41)에 권취된 로프(50)의 권취력이 해제된다.
따라서 서포터(30)는 힌지점 하단부에 위치되어 외측으로 탄성지지하고 있는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제3도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방향으로 벌어지게 되어 스페어 휠(W)의 하부 탈락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물차의 스페어 휠 캐리어 조립체에 의하면, 스페어 휠의 상, 하강에 따라 선택적으로 그 하면을 감싸도록 마련된 서포터를 통해 주행중 스페어 휠의 도로상으로의 탈락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스페어 휠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후방 차량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화물차의 보디 하면에 고정 설치되며 그 양측면에 지지판이 연장 형성된 캐리어 멤버와; 상기 캐리어 멤버의 하부에 고정 설치된 브래킷상에 내장 설치되며 스페어 휠에 연결된 체인을 통해 스페어 휠을 승·하강 시키는 제1기어와; 상기 지지판상에 그 일축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그 하단부에는 대응되는 내측 방향으로 걸림 플랜지가 연장 형성되고 스프링에 의해 대응되는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 서포터와; 그 양측에 상기 각 서포터의 일단에 연결된 로프가 선택적으로 권선되며 상기 제1기어를 통해 스페어 휠을 승·하강 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서포터를 힌지점을 중심으로 내,외측으로 회동시키는 제2기어; 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스페어 휠 캐리어 조립체.
KR2019970019011U 1997-07-18 1997-07-18 화물차의 스페어 휠 캐리어 조립체(spare wheel carrier assembly of truck) KR200190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011U KR200190133Y1 (ko) 1997-07-18 1997-07-18 화물차의 스페어 휠 캐리어 조립체(spare wheel carrier assembly of tru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011U KR200190133Y1 (ko) 1997-07-18 1997-07-18 화물차의 스페어 휠 캐리어 조립체(spare wheel carrier assembly of tru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656U KR19990005656U (ko) 1999-02-18
KR200190133Y1 true KR200190133Y1 (ko) 2000-08-01

Family

ID=19506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9011U KR200190133Y1 (ko) 1997-07-18 1997-07-18 화물차의 스페어 휠 캐리어 조립체(spare wheel carrier assembly of tru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013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491B1 (ko) * 2018-01-25 2022-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와 이의 고정 및 탈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656U (ko) 199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0133Y1 (ko) 화물차의 스페어 휠 캐리어 조립체(spare wheel carrier assembly of truck)
KR100461828B1 (ko) 차량용 예비 타이어의 캐리어장치
JP2000345729A (ja) 駐車装置
JP3922745B2 (ja) タイヤキャリヤ
KR19980044405U (ko) 자동차의 스패어타이어 고정장치
KR0135494Y1 (ko) 자동차용 토잉 훅
KR970005631Y1 (ko)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리프팅 장치
KR200207995Y1 (ko) 차량에 탈,부착이 가능한 덤프장치
JPH11229659A (ja) 駐車装置
KR20020047960A (ko) 베벨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KR100526792B1 (ko) 자동차용 잭 잠금장치
KR950008101Y1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보호장치
KR19980082750A (ko) 트렁크실의 슬라이딩패널
KR0146477B1 (ko) 화물차 적재함 게이트의 높이 조절장치
KR200275121Y1 (ko) 차량용예비타이어착탈장치
KR19990027272A (ko) 덤프트럭의 적재함 오토커버
KR19990037680U (ko) 화물 차량용 루프 캐리어
KR19980046849A (ko) 자동차 예비타이어의 취부구조
KR19980051262U (ko) 화물차의 사이드 도어 접개장치
KR20050015332A (ko) 자동차용 잭 고정장치
KR19990029643U (ko) 자동차 바디 자동취출장치의 체인장력 완충구조
JPH04129386U (ja) スペアタイヤの昇降装置
KR20020048037A (ko) 트럭의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KR20030015007A (ko) 트럭 적재함의 화물 고정 장치
KR20030048313A (ko)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장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