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680U - 화물 차량용 루프 캐리어 - Google Patents

화물 차량용 루프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680U
KR19990037680U KR2019980003497U KR19980003497U KR19990037680U KR 19990037680 U KR19990037680 U KR 19990037680U KR 2019980003497 U KR2019980003497 U KR 2019980003497U KR 19980003497 U KR19980003497 U KR 19980003497U KR 19990037680 U KR19990037680 U KR 199900376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ope
vehicle
shaft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34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공순
Original Assignee
이공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공순 filed Critical 이공순
Priority to KR20199800034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7680U/ko
Publication of KR199900376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680U/ko

Links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로프와 커버 등을 가지런히 상태로 정리, 보관함과 동시에, 로프를 용이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캡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자유로이 회전하게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루프를 감거나 풀 수 있도록 구성되는 권취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하우징 내부에는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함이 권취부와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로프 감김수단을 작동시켜 로프를 로프 감김수단에 감음으로써, 로프의 재사용이 용이한 상태로 정리, 보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물 차량용 루프 캐리어
본 고안은 화물 차량용 루프(roof)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차에서 사용되는 로프 및 커버등을 정리, 정돈하기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는 승차자가 탑승하여 차량을 주행시키기 위한 캡과,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함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화물차는 차량에 화물을 적재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차체에 있어서 대부분의 공간을 적재함이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화물차는 적재되는 화물을 고정하기 위해 고무등으로 이루어진 로프를 사용하고, 또한 적재함에 수납된 화물의 닉히 또는 은폐보호를 위하여 커버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대개의 화물차량에 있어서는 화물을 적재하기 않은 공차시에는 로프 또는 커버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어 있지 않는 바, 화물 적재함에 이들을 그대로 방치해 놓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차량의 공차시 로프 및 커버를 화물 적재함에 그대로 방치해 놓기 때문에, 재사용시 얽혀진 로프를 일일이 풀어야 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고, 또한 보관상의 문제에 의해 로프 및 커버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로프와 커버 등을 가지런히 상태로 정리, 보관함과 동시에, 로프를 용이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로프 및 커버를 직사광선 등의 외부손상요소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 및 도2는 본 고안의 차량용 루프 캐리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도1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에 있어서 로프 감김수단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에 있어서 로프 감김수단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6은 본 고안의 차량용 루프 캐리어를 차량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하우징 3,33,53: 샤프트 5,35: 손잡이
7: 수납함 9: 칸막이부 17; 고정부재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캡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자유로이 회전하게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루프를 감거나 풀 수 있도록 구성되는 권취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하우징 내부에는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함이 권취부와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로프를 정리하고자 할 경우 로프 감김수단에 로프를 걸어놓은 상태에서 구동수단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그 구동수단과 연결된 로프 감김수단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써 로프를 로프 감김수단에 감기도록 하여 로프를 정리한다.
반대로 로프를 사용하고자할 경우, 사용자가 로프의 끝단을 필요한 만큼 잡아당겨 로프 감김수단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로프를 로프 감김수단에서 풀러내게 된다.
상기한 권취부 내에는 커버 등의 물품을 수납하여 이를 보호 및 정리, 정돈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및 도2는 본 고안의 차량용 루프 캐리어에 의한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캡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자유로이 회전하게 설치되어 루프를 감거나 풀 수 있도록 구성되는 로프 감김수단인 샤프트(3)를 도시한다.
상기한 샤프트(3)에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샤프트(3)를 회전 운동시키는 구동수단인 손잡이(5)가 연결되어 있다.
이때, 그 손잡이(5)는 하우징(1)의 외측면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한 샤프트(3)와는 링크 연결되어 있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손잡이(5)를 회전시키면 그 회전력이 샤프트(3)에 그대로 전달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한 하우징(1)내에는 샤프트(3)와는 소정의 간격두고 설치되어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함(7)이 설치된다.
상기한 수납함(7)은 하우징(1) 내부 일측에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그 수납함(7)의 공간을 확보하는 칸막이부(9)와, 상기한 칸막이부(9)와 경첩(11)에 의해 연결되어 그 수납함(7)을 개폐시키는 뚜껑부(13)를 포함한다.
상기한 수납함(7) 외측면 일측에는 그 뚜껑부(13)의 폐쇄상태를 유지하는 도난 방지부(15)가 설치된다.
이러한 하우징(1)을 화물차의 캡에 장착하기 위해 상기한 하우징(1)의 측면부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고정부재(17)가 장착된다.
상기한 고정부재(17)는, 일측은 하우징(1)의 측면에 볼트 체결되고 타측은 차량의 캡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있으며 소정의 부위에 도면에 표시는 생략하지만 2개의 볼트구멍을 갖는 절곡부재(19)와, 상기한 절곡부재(19)의 볼트구멍에 체결되는 대략 "ㄷ"자 형상의 볼트(21)가 체결된다.
그 볼트(21)에는 차량의 캡 소정부위에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23)이 끼워지고, 상기한 볼트(21)에는 너트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하우징(1)을 차량의 캡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한 하우징(1)의 전면부는 차량의 주행시에 발생하는 공기저항을 최소로 유지하기 위해 유선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고정부재(17)를 4개로 하였지만, 고정부재의 개수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임의로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3은 도1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즉, 상기한 샤프트(3)의 양단의 하우징(1)의 접촉면에는 각각 볼베어링(2)이 설치되어 샤프트(3)의 회전운동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고정부재(17)의 장착에 의해 하우징(1)을 차량의 캡에 고정 결합시킨 후, 사용자가 상기한 샤프트(3)에 로프를 감으려고 하면, 그 샤프트(3)의 일측에 로프를 걸어놓은 상태에서 손잡이(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그 손잡이(5)는 샤프트(3)와 링크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손잡이(5)의 회전력이 샤프트(3)에 그대로 전달되어 상기 샤프트(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따라서 그 샤프트(3)의 회전에 의해 로프가 샤프트(3)에 감기게 된다.
반대로 그 로프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로프의 끝을 필요한 만큼 잡아당긴다. 그러면 상기한 샤프트(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 샤프트(3)의 회전에 의해 로프는 샤프트(3)에서 원활하게 풀어지게 된다.
도4는 상기한 구동수단 및 로프 감김수단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다.
즉, 도면의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하우징(1)의 내부 일측에는 폭방향으로 자유로이 회전 운동하는 것에 의해 로프를 감는 샤프트(33)가 설치되고, 상기한 샤프트(33)의 일측단에 연결되는 베벨기어(37)를 도시한다.
그 베벨기어(37)에는 이와 직각방향으로 치합되는 또 다른 베벨기어(39)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한 또 다른 베벨기어(39)에는 하우징(1)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부재(41)가 설치된다.
상기한 하우징(1)의 후단 일측에는 상기한 연결부재(41)와 링크 연결되는 손잡이(35)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한 하우징(1)의 내부의 폭방향으로는 각 베벨기어(37,39) 및 연결부재(41)를 로프로부터 보호하고, 또한 샤프트(33)를 지지하기 하기 위해 보호부재(43)가 설치되고, 그 보호부재(43)와 하우징(1) 사이에는 연결부재(41)를 지지하기 위해 지지부재(45)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한 손잡이(3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손잡이(35)와 링크 연결되는 연결부재(4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연결부재(41)의 끝단에 결합된 베벨기어(39)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한 베벨기어(39)가 회전하게 되면, 그 베벨기어(39)와 직각방향으로 치합되는 또 다른 베벨기어(37)가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베벨기어(37)와 연결된 샤프트(33)가 회전하게 되어 로프를 샤프트(33)에 감기도록 한다.
로프를 풀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한다.
도5는 상기한 구동수단 및 로프 감김수단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다.
즉, 운전석 일측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작되는 것에 의해 온, 오프되는 스위칭부(51)가 설치되고, 상기한 스위칭부(51)에는 그 스위칭부(51)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종감속모터(55)가 연결된다.
상기한 모터(55)에는 하우징의 내부에 폭방향으로 자유로이 회전 운동하는 것에 의해 로프를 감는 샤프트(53)이 연결된다. 상기한 샤프트(53)와 하우징(1) 접촉면에는 볼베어링(52)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가가 필요에 따라 스위칭부(51)를 온시키면, 그 스위칭부(51)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종감속모터(55)가 구동하게 된다.
이때, 그 종감속모터(55)의 구동에 따라 상기한 종감속모터(55)에 연결된 샤프트(53)는 종감속모터(55)의 회전속도에 따라 회전하게 되어 로프를 감게된다.
도6은 본 고안인 차량용 로프 캐리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을 고정부재(17)의 체결에 의해 화물차 캡 상단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한 하우징의 전면부 즉, 차량주행방향은 유성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저항을 저감시켜, 공기저항에 따른 에너지손실을 최소한으로 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1, 제2, 제3실시예에 의해 그동안 정리하기 곤란했던 화물차 등에 사용되는 로프를 보다 용이하게 정리할 수 있고, 또한 보관상의 이유로 발생되는 파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한 각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의 정신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경은 가능하다.
본 고안은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로프 감김수단을 작동시켜 로프를 로프 감김수단에 감음으로써, 로프의 재사용이 용이한 상태로 정리, 보관할 수 있고, 또한, 보관함의 설치에 의해 커버와 같은 물품을 직사광선 등의 외부손상요소로부터 보호하고, 또한 이를 재사용이 용이한 상태로 정리,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캡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자유로이 회전하게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루프를 감거나 풀 수 있도록 구성되는 권취부와;
    상기한 권취부와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함을 포함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로프 감김수단은 하우징의 내부에 폭방향으로 자유로이 회전 운동하는 것에 의해 로프를 감는 샤프트로 이루어지고,
    구동수단은 상기한 하우징 외측에 장착되고 그 샤프트와 링크 연결되는 손잡이로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수단은 상기한 샤프트의 일측단에 연결되는 베벨기어와,
    상기한 베벨기어와 직각방향으로 치합되는 또 다른 베벨기어와,
    상기한 또 다른 베벨기어의 일측에 연결되어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한 하우징의 후단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한 연결부재와 링크 연결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
  4.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수단은 운전석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작되는 것에 의해 온, 오프되는 스위칭부와,
    상기한 스위칭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 스위칭부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종감속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납함은 하우징 내부 일측에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그 수납함의 공간을 확보하는 칸막이부와,
    상기한 칸막이부와 경첩에 의해 연결되어 그 수납함을 개폐시키는 뚜껑부와,
    상기한 수납함 외측면 일측에 설치되어 뚜껑부의 폐쇄상태를 유지하여 도난을 방지하는 도난방지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캐리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우징의 전면부는 차량의 주행시 발생하는 공기저항을 최소로 유지하기 위해 유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
KR2019980003497U 1998-03-11 1998-03-11 화물 차량용 루프 캐리어 KR1999003768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497U KR19990037680U (ko) 1998-03-11 1998-03-11 화물 차량용 루프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497U KR19990037680U (ko) 1998-03-11 1998-03-11 화물 차량용 루프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680U true KR19990037680U (ko) 1999-10-15

Family

ID=69713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3497U KR19990037680U (ko) 1998-03-11 1998-03-11 화물 차량용 루프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768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585B1 (ko) * 2010-07-07 2011-05-12 윤현근 화물차 덮개 보관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585B1 (ko) * 2010-07-07 2011-05-12 윤현근 화물차 덮개 보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458754A (en) Vehicle power line supporting structure
KR19990037680U (ko) 화물 차량용 루프 캐리어
KR900003038Y1 (ko) 차동차용 차체 커버 케이스
KR200197649Y1 (ko) 화물차량적재함의 자동덮개장치
KR200190133Y1 (ko) 화물차의 스페어 휠 캐리어 조립체(spare wheel carrier assembly of truck)
KR200162527Y1 (ko) 차량의 리어 글래스용 커튼
KR0132477Y1 (ko) 차량의 트렁크룸 적재물 고정장치
KR890008031Y1 (ko) 보디커버가 내장된 자동차용 범퍼
KR0135991B1 (ko) 해치 백 타입에 사용되는 자동차의 셀프트림(shelf trim)
KR890009165Y1 (ko) 보디커버가 내장된 자동차용 범퍼
KR100410332B1 (ko) 차량의 인출형 사이드 선바이저
KR19980074401A (ko) 트럭의 적재함 포장장치
CN209257843U (zh) 车窗卷帘装置及汽车
KR200155775Y1 (ko) 스페어타이어 수납구조
KR200153117Y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자동 잠금장치
JPS61115748A (ja) 電動可倒式ドアミラ−
JPS5940942A (ja) 自動車
KR870002294Y1 (ko) 화물 자동차용 밧줄 자동 정리기
KR970005628Y1 (ko) 지프형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장착구조
JPH0848145A (ja) 車両用サンバイザ装置
KR19980043688U (ko) 화물차의 로프 보관걸이
JPH03262739A (ja) 荷物運搬用車両
CN110549946A (zh) 行李箱盖板固定装置、行李箱及汽车
JP3305520B2 (ja) 自動車用ガードネット装置
KR19980043877A (ko) 스페어 타이어 장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