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9100A - 클립 - Google Patents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9100A
KR20010109100A KR1020010027311A KR20010027311A KR20010109100A KR 20010109100 A KR20010109100 A KR 20010109100A KR 1020010027311 A KR1020010027311 A KR 1020010027311A KR 20010027311 A KR20010027311 A KR 20010027311A KR 20010109100 A KR20010109100 A KR 20010109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rib
fixed state
insertion shaft
leg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7394B1 (ko
Inventor
다나카츠토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10109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3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16B19/1081Blind rivets fastened by a drive-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과제) 임시고정상태의 유지구조를 개선하고, 또 벌어진 다리편을 교정하는 수단을 가지는 경우에도 클립의 전체 칫수를 짧게 할 수 있고, 수부재의 삽입이나 빼냄 조작성, 암부재와 수부재간의 밀착성, 재사용할 경우의 마모요인을 최대한으로 없애는 것에 있다.
(해결수단) 암ㆍ수부재(20,10)가, 삽입축(12)의 복수의 다리편(22)의 내측으로의 삽입에 의해서 임시고정상태로 되고, 삽입축(12)의 재삽입에 의해서 복수의 다리편(22)을 벌려서 부착부재(1 또는 1,2)에 고정하는 완전고정상태로 되는 클립에 있어서, 복수의 다리편(22) 중 적어도 인접하는 1조의 다리편(22)끼리의 사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완전고정상태에서 임시고정상태로 하는 수부재(10)의 빼냄 조작에 의해서 상기 벌어진 다리편(22)을 축소시키는 교정수단을 가진다.

Description

클립{Clip}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복수의 부착부재를 연결하거나 일측 부착부재를 타측 부착부재에 고정하는 것과 같은 경우, 혹은 클립에 형성된 기능부분을 부착부재에 고정하는 것과 같은 경우 등에 매우 적절하게 사용되는 클립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종래의 클립(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2590817호)을 나타낸 것이다. 이 클립은 수부재(30)와 암부재(35)로 이루어져 있으며, 패널(부착부재)(40)의 외측면에 부착부재(45)를 고정하거나 부착부재끼리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수부재(30)는 머리부(31)와 삽입축(32)과 정상부(頂上部)(33)로 이루어져 있으며, 삽입축(32)은 외주를 작은 지름으로 한 기단측 목부(34a)와, 이 기단측목부(34a)의 하측에 외주를 큰 지름으로 한 대경부(大徑部)의 주위에 형성된 오목부(34b)와, 삽입축(32)과 정상부(33)와의 사이의 외주를 작은 지름으로 한 선단측 목부(34c)를 가지고 있다.
상기 암부재(35)는 플랜지부(36)와 복수의 다리편(37)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다리편(37)은 그 선단의 내측에 걸림돌기(38)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수부재(30)의 삽입축(32)이 암부재(35)에 있어서의 복수의 다리편(37)에 의해서 형성된 중공부 내로 삽입되어 정상부(33)가 걸림돌기(38)를 관통하면, 걸림돌기(38)가 선단측 목부(34c)에 걸어맞춰지는 도 8의 (a)에 나타낸 임시고정상태로 된다. 이 임시고정상태에서 수부재(30)의 삽입축(32)를 재삽입하면, 걸림돌기(38)와 선단측 목부(34c)의 걸어맞춤이 해제됨과 아울러, 다리편(37)이 대경부에 의해서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그 걸림돌기(38)가 오목부(34b)에 걸어맞춰지게 됨으로써,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편(37)의 벌어진 부분과 플랜지(36)와의 사이에 부착부재(40,45)를 끼워 연결하거나 또는 일측 부착부재(40)를 타측 부착부재(45)에 고정하는{이 연결과 고정은 플랜지(36)의 삽입규제작용과 다리편(37)의 벌어진 부분에 의한 빠짐방지작용을 이용하고 있는 점에서 실질적으로 같다} 완전고정상태로 된다.
수리 등을 위해서 부착부재(45)를 패널(40)의 외측면에서 떼어내거나 부착부재(40,45)의 연결을 해제하고자 할 때에는, 예를 들면,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수부재(30)의 머리부(31)의 하측에 끼운 후, 오목부(34b)와 걸림돌기(38)의 걸어맞춤력에 저항하면서 수부재(30)를 빼내어 도 8의 (a)에 나타낸 임시고정상태로 하고, 이임시고정상태의 암ㆍ수부재(35,30)를 부착구멍(40a,45a)에서 일체물로서 빼낸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클립은, 수부재(30)와 암부재(35)를 각각 제조한 후에 임시고정상태로 하여 취급할 수 있고, 암ㆍ수부재(35,30)의 임시고정상태에서 재삽입 조작에 의해서 완전고정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양호하다는 점, 사용후에 떼어내어 반복해서 이용할 수 있다는 편리성이 있으나, 다음과 같은 점에서 아직 만족할 수 없는 것으로 되어 있다.
첫째로, 이런한 종류의 클립은 수지 성형품이기 때문에, 다리편(37)이 장기간에 걸쳐서 벌어진 상태로 되어 있으면, 수지의 탄성이 손상되어 완전고정상태에서 임시고정상태로 하였을 때에 다리편(37)이 초기의 형상으로 복원되지 않게 됨으로써 부착구멍(40a,45a)에서 쉽게 빼낼 수 없게 된다.
상기한 종래 클립의 구조에서는, 삽입축(32)의 선단에 다리편(37)의 선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큰 정상부(33)를 형성하여, 완전고정상태에서 임시고정상태로 하였을 때에 상기 정상부(33)의 내측면으로 벌어진 다리편(37)의 선단을 받아들여서 축소시키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정상부(33)가 다리편(37)의 선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만큼 클립의 전체 칫수가 길어지기 때문에, 다른 부재와 완충되거나 외관이 나빠지게 된다. 또, 정상부(33)는 벌어진 다리편(37)의 선단을 내측면으로 받아들이기 위해서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임시고정상태로 할 때에 강한 삽입력이 필요하게 된다.
둘째로, 이러한 종류의 클립에서는 임시고정상태와 완전고정상태의 2위치에서 유지된다. 즉, 임시고정상태에서는 수부재(30)가 다리편(37)을 벌리지 않은 상태에서 암부재(35)에서 빠지지 않게 고정되고, 완전고정상태에서는 수부재(30)가 다리편(37)을 벌린 상태에서 암부재(35)에서 빠지지 않게 고정된다. 상기 임시고정상태에서의 유지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수부재(30)의 선단측 단부{선단측 목부(34c)}와 암부재(35)의 선단측 돌기{걸림돌기(38)}의 걸어맞춤구조에 의해서, 또는 수부재의 삽입축과 암부재의 다리편에 있어서의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걸림/해제 가능한 오목부와 돌출부를 각각 형성한 걸어맞춤구조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전자의 걸어맞춤구조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가 있고, 후자의 걸어맞춤구조에서는 상기 돌출부가 복수의 다리편에 의해서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내측에(이하 단순히 '복수의 다리편의 내측'이라 한다) 위치하기 때문에 마모요인이 되고, 따라서 삽입축을 임시고정상태에서 완전고정상태로 삽입할 때 또는 완전고정상태에서 임시고정상태로 빼낼 때의 조작성을 손상시키거나, 복수의 다리편의 내측에 대한 삽입축의 밀착성이 나빠지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각 문제를 동시에 일소하여, 예를 들면, 벌어진 다리편을 초기의 형상으로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도 클립의 전체 칫수를 짧게 할 수 있고, 수부재가 암부재에 대해서 불필요하게 회전되거나 수부재를 완전고정상태에서 임시고정상태로 빼낼 때에 불필요하게 암부재로부터 완전히 빠지지 않도록 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이하의 설명내용 중에 순차적으로 명확하게 하여 간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의 구성부재인 암ㆍ수부재를 나타내는 개략 외관도
도 2는 상기 구성부재를 임시고정과 완전고정의 각 상태로 나타내는 모식 외관도
도 3은 상기 구성부재를 임시고정상태와 완전고정상태로 나타내는 작용 단면도
도 4는 상기 구성부재의 임시고정상태를 각 방향에서 본 도면
도 5는 상기 구성부재 중 암부재를 각 방향에서 본 도면
도 6은 도 5의 (a)의 C-C선 단면도
도 7은 상기 구성부재 중 수부재의 측면도와 단면도
도 8은 종래 클립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 부착부재 10 - 수부재
11 - 머리부 12 - 삽입축
15 - 리브 15a - 제 1 리브부
15c - 제 2 리브부 15c - 쐐기부
16 - 걸어맞춤돌기(교정수단) 17 - 걸림단부
20 - 암부재 21 - 플랜지부
22 - 다리편 25 - 상하슬릿
25a - 제 1 슬릿부 25b - 제 2 슬릿부
26 - 단차부(교정수단) 26a - 경사 캠면
26b - 단차 단면 27 - 돌기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머리부(11)와 삽입축(12)을 가지는 수부재(10)와, 관통구멍이 형성된 플랜지부(21)와 상하슬릿(25)을 사이에 두고 대략 원통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다리편(22)을 가지는 암부재(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암ㆍ수부재(20,10)는, 상기 삽입축(12)의 상기 관통구멍에서 복수의 다리편(22)의 내측으로의 삽입에 의해서 임시고정상태로 되고, 상기 삽입축(12)의 재삽입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다리편(22)을 벌려서 부착부재(1 또는 1,2)에 고정하는 완전고정상태로 되는 클립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다리편(22) 중 적어도 인접하는 1조(組)의 다리편(22)끼리의 사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완전고정상태에서 임시고정상태로 하는 상기 수부재(10)의 빼냄 조작에 의해서 상기 벌어진 다리편(22)을 축소시키는 교정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교정수단이 다리편(22)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므로, 즉 상하슬릿(25)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므로, 상기한 종래 클립과 같이 삽입축(32)의 선단에 큰 정상부(33)를 형성하는 구조에 비해 수부재(10)의 전체 칫수를 짧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클립의 전체 칫수도 짧게 할 수 있다. 또, 다리편(22)끼리의 사이는 상하슬릿(25)의 틈새로 되어 있고, 이 틈새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수부재(10)의 삽입력이 필요 이상으로 커지거나, 반대로 빼냄 조작에 의해서 임시고정상태가 불필요하게 해제되거나, 임시고정상태가 불안정하게 되는 것이 용이하게 방지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임시고정상태를 유지한다」라는 것은, 수부재(10)가 다리편(22)을 거의 벌리지 않은 상태에서 암부재(20)에 대해서 빠지지 않게 고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 「완전고정상태를 유지한다」라는 것은, 수부재(10)가 다리편(22)을 벌린 상태에서 암부재(20)에 대해서 빠지지 않게 고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 「부착부재끼리를 고정한다」라는 것은, 2이상의 부재끼리를 연결하거나 고정하는 경우, 피부착측의 일측 부재(복수의 부재로 되어 있어도 된다)를 고정측의 타측 부재(복수의 부재로 되어 있어도 된다)에 연결하거나 고정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체화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첫째로, 상기 교정수단은, 상기 다리편(22)의 일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선단측으로 갈수록 다리편(22)의 내측방향으로 낮아지는 경사 캠면(26a)을 형성한 단차부(26)와, 상기 삽입축(12)에 상기 상하슬릿(25)에 끼워맞춰져서 이 상하슬릿(25)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리브(15)를 형성하고 이 리브(15)의 선단측에 형성한 걸어맞춤돌기(16)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 경우에는, 암ㆍ수부재(20,10)가 리브(15)와 상하슬릿(25)의 끼워맞춤에 의해서 상대적인 회전이 방지되고, 삽입축(12)의 삽입 및 빠짐이 상하슬릿(25)과 리브(15)의 가이드 작용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다리편(22)이 벌어진 완전고정상태에서 걸어맞춤돌기(16)가 경사 캠면(26a)에서 떨어지는 일이 있더라도 상기 회전방지 및 가이드 작용에 의해서 걸어맞춤돌기(16)가 경사 캠면(26a)에 확실하게 맞닿게 됨으로써 다리편(22)을 초기의 형상으로 확실하게 축소시킬 수 있다.
둘째로, 상기 단차부(26)가 상기 다리편(22)의 일측 가장자리부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얇게 한 단차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걸어맞춤돌기(16)가 상기 단차부(26)의 단차 단면(26b)에 걸어맞춰짐에 의해서 상기 임시고정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이다.
단차부(26)에 있어서의 단차 단면(26b)은 걸어맞춤돌기(16)와 함께 임시고정상태를 유지하는 부분으로서 이용된다. 이러한 이점은, 다리편(22)과 삽입축(12)간의 틈새를 최대한으로 없애거나, 임시고정상태 및 완전고정상태를 각각 암ㆍ수부재(20,10)의 다른 부분(전용부분)에 의해서 보다 확실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이 경우에도 전체 칫수를 짧게 유지할 수 있다.
셋째로, 상기 다리편(22)의 선단 내측에 형성된 돌기부(27)와, 상기 삽입축(10)의 선단 주위에 있어서 상기 리브(15)끼리의 사이에 형성된 걸림단부(17)가 걸어맞춰짐에 의해서 상기 완전고정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이다.
이것은, 돌기부(27)와 걸림단부(17)를 모두 서로 대응하는 다리편(22)과 삽입축(10)의 선단에 형성함으로써, 완전고정상태에서 수부재(10)가 암부재(20)에서 최대한으로 돌출되지 않게 하여 콤팩트화하는 것을 명료화한 것이다.
넷째로, 상기 리브(15)는 상기 머리부(11)측에 위치한 리브 폭이 큰 제 1 리브부(15a)와 선단측에 위치한 리브 폭이 작은 제 2 리브부(15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리브부(15b)에 상기 걸어맞춤돌기(16)를 형성하고, 상기 상하슬릿(25)은 상기 제 1 리브부(15a)에 대응한 슬릿 폭이 큰 제 1 슬릿부(24a)와 상기 제 2 리브부(15b)에 대응한 슬릿 폭이 작은 제 2 슬릿부(15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슬릿부(15b)에 대향하는 다리편(22) 부분에 상기 단차부(26)를 형성하고 있는 구성이다.
이것은, 상기한 가이드 작용을 보다 안정하게 함으로써 상기 임시고정상태에서의 유지구조를 더욱 용이하게 실현가능하게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다른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을 임시고정상태의 유지구조에서 잡은 것으로서, 머리부(11)와 삽입축(12)을 가지는 수부재(10)와, 관통구멍이 형성된 플랜지부(21)와 상하슬릿(25)을 사이에 두고 대략 원통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다리편(22)을 가지는 암부재(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암ㆍ수부재(20,10)는, 상기 삽입축(12)의 상기 관통구멍에서 복수의 다리편(22)의 내측으로의 삽입에 의해서 임시고정상태로 되고, 상기 삽입축(12)의 재삽입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다리편(22)을 벌려서 부착부재(1 또는 1,2)에 고정하는 완전고정상태로 되는 클립에 있어서,
상기 삽입축(12)이, 상기 상하슬릿(25)에 끼워맞춰지며 이 상하슬릿(25)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리브(15)와, 상기 리브(15)의 선단측에 형성된 걸어맞춤돌기(16)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다리편(22)이, 적어도 인접하는 1조의 다리편(22)끼리의 일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며 상기 걸어맞춤돌기(16)를 다리편(22)의 판두께 내로 수용가능한 깊이의 단차부(26)를 가지며, 상기 걸어맞춤돌기(16)가 상기 단차부(26)의 단차 단면(26b)에 다리편(22)의 판두께 내에서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임시고정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수부재의 삽입축과 암부재의 다리편에 있어서의 서로대향하는 부분에 걸림/해제 가능한 오목부와 돌출부를 형성한 걸어맞춤구조에 대해서, 상기한 가이드 작용, 삽입축(12)의 삽입이나 빼냄 조작성에 부가하여, 지름방향으로의 돌출부를 폐지하였기 때문에 마모요인이 없어지고, 복수의 다리편(22)의 내측에 대한 삽입축(12)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클립을 구성하는 수부재와 암부재의 관계를 나타낸 개략 외관도이다. 도 2의 (a)는 상기 클립을 임시고정상태로, 도 2의 (b)는 상기 클립을 완전고정상태로 각각 나타낸 개략 외관도이다. 도 3의 (a), (b)는 도 4의 (a)의 A-A선을 따라서 암부재만을 단면으로 처리한 상기 임시고정상태와 완전고정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클립의 임시고정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머리부측에서 본 도면, (b)는 측면도, (c)는 다리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암부재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머리부측에서 본 도면, (b)는 (a)의 B방향에서 본 측면도, (c)는 다리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7은 암부재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측면도, (b)는 (a)의 D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클립은, 수지성형품인 수부재(10)와 암부재(20)로 이루어지는 점, 수부재(10)가 머리부(11)와 삽입축(12)을 가지고 있는 점, 암부재(2)가 플랜지부(21)와 상하슬릿(25)을 사이에 두고 대략 원통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다리편(22)을 가지고 있는 점, 암ㆍ수부재(20,10)는 삽입축(12)이 복수의 다리편(22)의 내측으로의 삽입에 의해서 임시고정상태로 되고, 삽입축(12)의 재삽입에 의해서 다리편(22)을 벌려서 부착부재(1,2)끼리를 고정하는 완전고정상태로 되는 점에 대해서는 종래의 것과 같다. 본 실시형태의 개선점은 암부재(20)에 대한 수부재(10)의 임시고정상태를 유지하는 걸어맞춤구조와, 벌어진 다리편(22)을 본래의 형상으로 축소시키는 축소구조에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암ㆍ수부재(20,10)의 각 부재구조를 기본작동과 함께 명확하게 하고, 그 후 요부작동에 대해서 언급한다.
(수부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수부재(10)는, 도 1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머리부(11)가 대략 원반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삽입축(12)이 머리부(11)의 하면에서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다.
삽입축(12)은, 머리부(11)의 하면에서 대략 중간까지를 큰 지름으로 한 대경 원주부(大徑圓柱部)(12a)와, 이 대경 원주부(12a)에 연이어 형성되며 선단측으로 갈수록 그 지름이 점차 작아지는 경사부(12b)와, 이 경사부(12b)에 연이어 형성되며 작은 지름으로 한 소경 원주부(小徑圓柱部)(12c)와, 이 소경 원주부(12c)에 연이어 형성되는 삽입축 선단부(12d)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 대경 원주부(12a)에서 삽입축 선단부(12d)까지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이어 형성된 4개의 리브(15)와, 이 리브(15)의 선단측에 형성된 걸어맞춤돌기(16)를 가지고 있다.
삽입축 선단부(12d)는 그 지름이 선단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이지는 대략 주발(周鉢)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암부재(20)내로 삽입하기 쉽도록 되어 있다. 소경 원주부(12c)는 삽입축 선단부(12d)의 내측 단면과 단차를 형성하며, 이것이도 3의 (b)에 나타낸 완전고정상태에서 다리편(22)의 돌기부(27)와 걸어맞춰지는 걸림단부(17)가 된다.
리브(15)는 암부재(20)의 다리편(22)들 사이에 형성된 상하슬릿(25)에 대응하여 삽입축(12)의 외주를 4등분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리브(15)의 길이는 대경 원주부(12a)에서 삽입축 선단부(12d)까지의 길이 치수와 같다. 또한, 리브(15)는, 대경 원주부(12a)에 위치하며 경사부(12b) 바로 앞까지 큰 폭으로 한 제 1 리브부(15a)와, 이 제 1 리브부(15a)의 폭보다 약 1/3정도 좁은 폭으로 한 제 2 리브부(15b)와, 이들 사이에 제 1 리브부(15a)에서 제 2 리브부(15b)를 향해서 경사진 쐐기부(15c)로 이루어져 있다.
걸어맞춤돌기(16)는 4개의 리브(15) 중 직선상에 위치하는 2개의 리브(15)에만 형성되어 있다. 형상적으로는, 리브(15)의 상면과 면일치되게 하면서 제 2 리브부(15b)의 양측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좌우 돌출량은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리브부(15a)의 폭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암부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암부재(20)는, 도 1,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부(21)가 머리부(11)를 수용하는 오목부(23)와 삽입축(12)을 리브(15)와 함께 다리편(22)측으로 통과시키는 관통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복수의 다리편(22)이 상하슬릿(25)을 사이에 두고 대략 원통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플랜지부(21)는 머리부(11)가 끼워맞춰지는 오목부(23)의 주위를 일부 잘라낸 절결부(23a)를 가지고 있다. 이 절결부(23a)는, 머리부(11)가 플랜지부(21)의오목부(23)에 끼워맞춰진 완전고정상태에서 수부재(10)를 빼내는 조작을 할 때에,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수부재(10)의 머리부(11)의 아래로 쉽게 삽입할 수 있게 하여 수부재(10)의 빼냄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도 1과 도 2에서는 절결부(23a)를 생략하였다.
다리편(22)은, 원통을 4개의 상하슬릿(25)에 의해서 균등 분할한 상태로 형성되며, 따라서 4개의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하슬릿(25)은, 제 1 리브부(15a)에 대응하는 큰 슬릿폭으로 형성된 제 1 슬릿부(25a)와, 이 제 1 슬릿부(25a)의 선단측에 위치하며 제 2 리브부(15b)에 대응하는 작은 슬릿폭으로 형성된 제 2 슬릿부(25b)와, 완전고정상태에서 쐐기부(15c)를 받아들이는 경사슬릿부(25c)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각 다리부(22)의 개략적인 형상은 상하슬릿(25)에 대응하는 형상, 즉 양 제 1 슬릿부(25a) 사이의 다리부분(22a)이 좁게 되어 있고, 양 제 2 슬릿부(25b) 사이의 다리부분(22b)이 상기 다리부분(22a)보다도 다소 넓게 되어 있다. 단, 다리부분(22b)의 양측 가장자리부에는 경사슬릿부(25c)와 약간의 간격을 두고서 단차부(2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관상으로는 양 경사슬릿부(25c) 사이의 다리부분이 가장 넓어 보이게 된다.
다리편(22)의 길이는,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축(12)을 4개의 다리편(22)에 의해서 형성되는 원통 내로 최대한으로 삽입한 완전고정상태에서 삽입축(12)의 선단이 수 미리미터 정도만 돌출되는 길이 치수로 되어 있다. 4개의 다리편(22)에 의해서 형성되는 원통의 내경은, 다리부분(22a)측이 삽입축(12)의 대경 원주부(12a)의 외경과 거의 같거나 약간 크게 되어 있으며, 삽입축(12)을 삽입하였을 때에 그 내측면(23a)(도 6 참조)이 대경 원주부(12a)와 매우 밀접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 또, 다리부분(22b)측은 선단측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되어 있으며, 그 선단의 내측면에 돌기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즉, 다리부분(22b)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측으로 갈수록 점차 원통의 중심선에 근접하는 경사 내측면(23b)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축(12)을 삽입하였을 때에 삽입축 선단부(12d)의 최대 외경부에 맞닿아 압압됨으로써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돌기부(27)는 다리부분(22b)의 최선단에 내경이 작은 소경 내측면(23c)을 형성함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으로, 삽입축(12)을 삽입하였을 때에 걸림단부(17)와 걸어맞춰져서 완전고정상태를 유지한다.
단차부(26)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부분(22b)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각 경사슬릿부(25c)와 약간의 간격을 둔 위치에서 선단까지를 단차로 한 부분이다. 단차의 폭은 걸어맞춤돌기(16)가 도피할 수 있는 여유 칫수로 되어 있다. 또한, 그 깊이는, 경사슬릿부(25c)측이 얕게 형성되어 있고{단, 걸어맞춤돌기(26)가 삽입되었을 때에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칫수}, 다리편(22)의 선단측이 깊게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단차부(26)의 저면은, 다리부분(22b)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선단측으로 갈수록 4개의 다리편(22)에 의해서 형성되는 원통의 중심선 방향으로 낮아지는 경사 캠면(26a)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걸어맞춤돌기(16)가 단차부(26)의 단차 단면(26b)에 걸어맞춰짐에 의해서 임시고정상태를 유지한다.
(요부작동)
상기한 클립의 사용방법에 있어서, 수부재(10)의 삽입축(12)을 암부재(20)에 있어서의 4개의 다리편(44)에 의해서 형성되는 중공부 내로 삽입하여 임시고정상태로 하고, 이후 재삽입에 의해서 완전고정상태로 하여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편(22)의 벌려진 부분과 플랜지(21)와의 사이에 부착부재(1,2)를 끼워 연결하거나 또는 일측 부착부재(1)를 타측 부착부재(2)에 고정하는 점에서는 종래와 같다.
이 기본작동에 있어서, 본 클립의 구조에서는, 우선 임시고정상태로 할 때에 수부재(10)의 리브(15)를 암부재(20)의 상하슬릿(25)에 끼워맞춤으로써 이 상하슬릿(25)을 따라서 부드럽게 삽입된다. 그리고, 수부재(10)의 걸어맞춤돌기(16)가 경사슬릿부(25c)에 도달한 시점에서 소정의 삽입력을 가하여 양측의 다리편(22)을 약간 외측으로 벌어지게 하면서 경사슬릿부(25c)에서 제 2 슬릿부(25)로 끼워넣음으로써{이 때, 다리편(22)은 본래의 상태로 복원된다}, 수부재(10)가 암부재(20)에 임시고정상태로 유지된다. 이 임시고정상태에서는, 도 3의 (a)의 요부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돌기(16)가 단차부(26)내에 있어서의 경사 캠면(26a)의 단차 단면(26b)에 걸어맞춰지게 됨으로써 삽입축(12)의 빠짐이 저지되고, 또한 삽입축 선단부(12d)가 경사 내측면(23b)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삽입축(12)에 소정의 삽입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더 삽입되는 일도 없다.
따라서, 반송시나 부재조립시 등에 있어서 각종의 외압을 받게 되는 일이 있다 하더라도 걸어맞춤돌기(16)와 단차 단면(26b)의 걸어맞춤에 부가하여, 단차 단면(26b)이 경사 캠면(26a)의 가장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점, 삽입축선단부(12d)가 경사 내측면(23b)에 의해서 규제되는 점, 암ㆍ수부재(20,10)의 상대적인 회전이 리브(15)와 상하슬릿(25)의 끼워맞춤에 의해서 저지되는 점들에 의해서 불필요하게 완전고정상태로 되거나 임시고정상태가 해제될 우려가 없다.
상기 임시고정상태에서 수부재(10)를 재삽입하면 완전고정상태로 된다. 이 삽입과정에서는 수부재(10)가 상하슬릿(25)에 끼워맞춰져 있는 리브(15)에 의해서 똑바로 전진하게 되며, 삽입축 선단부(12d)가 경사 내측면(23b)을 외측으로 압압함에 의해서 다리부분(22b)이 벌어지게 된다. 다리부분(22b)이 벌어지게 되면, 도 3의 (b)에 있어서의 요부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슬릿부(25b)의 슬릿 폭도 넓어지기 때문에 걸어맞춤돌기(16)가 단차부(26)에서 떨어지게 된다. 쐐기부(15c)가 경사 슬릿부(25c)에 걸어맞춰졌을 때에 돌기부(27)가 걸림단부(17)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완전고정상태가 유지된다. 이 완전고정상태의 유지력은 걸림단부(17)에 대한 돌기부(27)의 압접력(壓接力)에 비례한다.
본 클립의 구조에서는, 예를 들면 부착부재(1,2)측으로부터 큰 진동을 받은 경우, 리브(15)와 상하슬릿(25)의 끼워맞춤에 의해서 암ㆍ수부재(20,10)의 상대적인 회전이 저지되고, 쐐기부(15c)가 경사 슬릿부(25c)에 걸어맞춰져서 다리편(22)을 벌린 상태로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돌기부(27)가 걸림단부(17)에서 빠지기 어렵게 됨으로써 걸어맞춤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수리 등을 위해서 부착부재(2)를 부착부재(1)에서 떼어내거나 부착부재(1,2)의 연결을 해제하고자 할 때에는, 예를 들면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절결부(23a)를 통해서 수부재(10)의 머리부(11)의 하측에 끼운 후, 돌기부(27)와 걸림단부(17)의걸어맞춤력에 저항하면서 수부재(10)를 빼내어 임시고정상태로 하고, 이 임시고정상태의 암ㆍ수부재(20,10)를 부착구멍(1a,2a)에서 일체물로서 빼낸다. 이 경우에는 다리편(22)의 탄성이 열화되어 벌어진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나, 본 클립의 구조에서는 단차부(26)와 걸어맞춤돌기(16)로 이루어진 교정수단이 유효하게 기능한다.
즉, 이 교정수단은, 수부재(10)의 빼냄 조작에 의해서 돌기부(27)와 걸림단부(17)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돌기부(27)가 삽입축 선단부(12d)의 외측면에 올라타게 됨과 동시에 리브(15)와 상하슬릿(25)의 가이드작용에 의해서 삽입축(12)이 똑바로 후퇴이동하게 되며, 이 삽입축(12)의 이동에 연동하여 후퇴하는 걸어맞춤돌기(16)가 후퇴이동하는 과정에서 경사 캠면(26a)에 맞닿아 다리편(22)을 본래의 위치{복수의 다리편(22)에 의해서 형성되는 원통의 중심선 방향}로 누름으로써 다리편(22)을 강제적으로 교정하며, 단차 단면(26b)에 맞닿았을 때에 이것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본 클립의 구조에서는, 삽입축(11)의 리브(15)에 형성된 걸어맞춤돌기(16)를 이용하여, 이 걸어맞춤돌기(16)가 경사 캠면(16a)에 맞닿아서 다리편(22)을 확실하게 본래의 형상으로 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에서 특정되는 기술요소를 구비하고 있으면 되므로, 예를 들면 상하슬릿이나 다리편의 개수, 걸어맞춤돌기의 형상이나 개수 등을 변경하는 등의 각종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립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1에서는, 다리편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하슬릿의 틈새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수부재의 전체 칫수(특히 삽입축)를 짧게 하여 클립의 전체 칫수를 억제할 수 있고, 수부재의 삽입력이 과대하게 되지 않게 됨으로써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 경우에도, 빼냄 조작에 있어서 임시고정상태를 불필요하게 해제하거나 임시고정상태가 불안정하게 되는 일도 없어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와 같은 전개를 가능하게 한다.
청구항 6에서는, 임시고정상태를 유지하는 걸어맞춤구조로서, 종래와 같이 삽입축과 다리편의 지름방향에 있어서의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걸림/해제 가능한 오목부와 돌출부를 형성한 구조에 대해서, 상하슬릿과 리브의 가이드작용 및 상대적인 회전저지작용에 의해서 삽입축의 삽입이나 빼냄 조작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으며, 지름방향으로의 돌출부를 폐지하였기 때문에 마모요인이 없어지고, 복수의 다리편에 의해서 형성되는 원통 내로의 삽입축의 밀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품은 콤팩트화, 삽입조작성, 반복해서 사용할 경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1. 머리부와 삽입축을 가지는 수부재와, 관통구멍이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하슬릿을 사이에 두고 대략 원통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다리편을 가지는 암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암ㆍ수부재는, 상기 삽입축의 상기 관통구멍에서 복수의 다리편의 내측으로의 삽입에 의해서 임시고정상태로 되고, 상기 삽입축의 재삽입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다리편을 벌려서 부착부재에 고정하는 완전고정상태로 되는 클립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다리편 중 적어도 인접하는 1조의 다리편끼리의 사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완전고정상태에서 임시고정상태로 하는 상기 수부재의 빼냄 조작에 의해서 상기 벌어진 다리편을 축소시키는 교정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정수단은,
    상기 다리편의 일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선단측으로 갈수록 다리편(22)의 내측방향으로 낮아지는 경사 캠면을 형성한 단차부와,
    상기 삽입축에 상기 상하슬릿에 끼워맞춰져서 이 상하슬릿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리브를 형성하고 이 리브의 선단측에 형성한 걸어맞춤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가 상기 다리편의 일측 가장자리부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얇게 한 단차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걸어맞춤돌기가 상기 단차부의 단차 단면에 걸어맞춰짐에 의해서 상기 임시고정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4.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다리편의 선단 내측에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삽입축의 선단 주위에 있어서 상기 리브끼리의 사이에 형성된 걸림단부가 걸어맞춰짐에 의해서 상기 완전고정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머리부측에 위치한 리브 폭이 큰 제 1 리브부와 선단측에 위치한 리브 폭이 작은 제 2 리브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리브부에 상기 걸어맞춤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상하슬릿은 상기 제 1 리브부에 대응한 슬릿 폭이 큰 제 1 슬릿부와 상기 제 2 리브부에 대응한 슬릿 폭이 작은 제 2 슬릿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슬릿부에 대향하는 다리편 부분에 상기 단차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6. 머리부와 삽입축을 가지는 수부재와, 관통구멍이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하슬릿을 사이에 두고 대략 원통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다리편을 가지는 암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암ㆍ수부재는, 상기 삽입축의 상기 관통구멍에서 복수의 다리편의 내측으로의 삽입에 의해서 임시고정상태로 되고, 상기 삽입축의 재삽입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다리편을 벌려서 부착부재에 고정하는 완전고정상태로 되는 클립에 있어서,
    상기 삽입축이, 상기 상하슬릿에 끼워맞춰지며 이 상하슬릿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리브와, 상기 리브의 선단측에 형성된 걸어맞춤돌기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다리편이, 적어도 인접하는 1조의 다리편끼리의 일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며 상기 걸어맞춤돌기를 다리편의 판두께 내로 수용가능한 깊이의 단차부를 가지며,
    상기 걸어맞춤돌기가 상기 단차부의 단차 단면에 다리편의 판두께 내에서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임시고정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KR10-2001-0027311A 2000-05-29 2001-05-18 클립 KR1004273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57568A JP4488588B2 (ja) 2000-05-29 2000-05-29 クリップ
JP2000-157568 2000-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100A true KR20010109100A (ko) 2001-12-08
KR100427394B1 KR100427394B1 (ko) 2004-04-27

Family

ID=18662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311A KR100427394B1 (ko) 2000-05-29 2001-05-18 클립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481942B2 (ko)
JP (1) JP4488588B2 (ko)
KR (1) KR100427394B1 (ko)
TW (1) TW51587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497B1 (ko) * 2010-07-27 2014-10-27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클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5119B2 (en) * 2002-02-22 2006-09-12 Newfrey Llc Method of forming integrally molded clip
JP4091859B2 (ja) * 2003-03-03 2008-05-2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締結具
FR2853367B1 (fr) * 2003-04-03 2005-06-24 Lisi Automotive Rapid Dispositif de fixation, notamment de maintien d'un empilement d'au moins deux panneaux
JP4213550B2 (ja) * 2003-09-24 2009-01-21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クリップ
JP2005150159A (ja) * 2003-11-11 2005-06-09 Toshiba Corp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ES2246681B1 (es) * 2004-01-26 2007-03-16 I.T.W. España, S.A. Dispositivo de fijacion entre un panel y un soporte.
JP4499614B2 (ja) * 2004-05-31 2010-07-07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クリップ
CN2743973Y (zh) * 2004-10-23 2005-11-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散热器扣具
US20060229655A1 (en) * 2005-03-30 2006-10-12 Ethicon Endo-Surgery, Inc. Two part bullet assembly
DE202005016022U1 (de) * 2005-10-12 2005-12-08 Itw Automotive Products Gmbh & Co. Kg Kunststoffniet für die Befestigung von Teilen miteinander
US7736211B2 (en) * 2005-11-29 2010-06-15 Minds-I, Inc. Construction system
US20070125004A1 (en) * 2005-12-07 2007-06-07 Robert Conner Upper reveal molding snap-in 4-way locator insert
US7517270B2 (en) * 2006-05-30 2009-04-14 Minds-I, Inc. Construction system
JP4545711B2 (ja) * 2006-06-01 2010-09-15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クリップ
JP2008138690A (ja) * 2006-11-30 2008-06-19 Tanashin Denki Co 回転部品の取付機構
US20080192440A1 (en) * 2007-02-14 2008-08-14 Asustek Computer Inc. Connection assembly
WO2009047838A1 (ja) * 2007-10-09 2009-04-16 Fujitsu Limited 締結構造及び締結方法
DE102008005256B4 (de) * 2008-01-18 2009-10-22 Thyssenkrupp Presta Ag Lenksäule mit Kunststoffgleithülse
US8627742B2 (en) * 2008-04-04 2014-01-14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teering column assembly with shearable jacket connector
JP5145129B2 (ja) * 2008-06-24 2013-02-13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JP2010112508A (ja) * 2008-11-07 2010-05-20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押込みタイプの固定具
KR200453933Y1 (ko) * 2008-12-10 2011-06-03 주식회사 지에스씨 마운팅볼트 푸시체결이 가능한 파스너유닛
KR101119219B1 (ko) * 2009-02-27 2012-03-20 지성에스이(주) 기판의 임시 고정장치
JP5264693B2 (ja) 2009-02-27 2013-08-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現像装置、カートリッジ、クリーニングブレードの固定方法、現像ブレードの固定方法
DE102009014678A1 (de) * 2009-03-25 2010-09-30 A.Raymond Et Cie Spreizniet
JP2011033105A (ja) * 2009-07-31 2011-02-17 Nifco Inc プッシュリベット
DE102009037059B4 (de) * 2009-08-13 2013-08-14 Bruder Spielwaren Gmbh + Co. Kg Bauteilesystem
USD665245S1 (en) * 2010-03-30 2012-08-14 Piolax Inc. Fastener for automobile parts
JP5682090B2 (ja) * 2011-04-07 2015-03-11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CN103096672A (zh) * 2011-11-04 2013-05-08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扣合式锁固装置及应用该扣合式锁固装置的电子装置
WO2013070863A1 (en) * 2011-11-11 2013-05-16 Illinois Tool Works Inc. Panel fastening rivet mechanism
BE1020453A3 (nl) * 2011-12-01 2013-10-01 Unilin Bvba Meubel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meubels.
CN104349825B (zh) * 2012-05-14 2016-06-15 株式会社乐博特思 具有解锁功能的弹性结合体
US9151061B2 (en) 2012-10-05 2015-10-06 Fiber Cement Foam Systems Insulation, LLC Method and a device to attach building trims
WO2014071036A1 (en) * 2012-10-31 2014-05-08 Chesser William R Modular construction products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JP5726849B2 (ja) * 2012-12-26 2015-06-03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DE102013219797B4 (de) * 2013-09-30 2015-05-13 A. Raymond Et Cie Verankerungsvorrichtung
CN103775455B (zh) * 2013-11-14 2015-10-14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汽车内外饰子母扣
CN105683592B (zh) * 2013-11-22 2018-08-24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锁定销和索环紧固件组件
JP6342256B2 (ja) * 2014-08-04 2018-06-13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US9222749B1 (en) * 2014-12-03 2015-12-29 Magpul Industries, Corp. Cover kit for a firearm handguard
CN105363220A (zh) * 2015-12-15 2016-03-02 上海未来伙伴机器人有限公司 一种连接件及积木玩具
US9873388B2 (en) * 2016-04-06 2018-01-23 Newfrey Llc Automotive door trim fastener and molding method
US9909606B2 (en) 2016-06-30 2018-03-06 A. Raymond Et Cie Two-piece pallet fastener
BE1024825B1 (fr) * 2016-12-15 2018-07-17 Buzon Pedestal International S.A. Elément porteur de pièces d'écartement
JP6850773B2 (ja) * 2018-08-22 2021-03-31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CN111664153B (zh) * 2019-03-08 2024-05-24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铆钉型紧固件
US20230097307A1 (en) * 2021-09-17 2023-03-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irflow blocking device for use in server rack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5272A (en) * 1981-03-11 1983-09-20 Phillips Plastics Corporation Two-piece fastener with front shoulder
US5322466A (en) * 1989-02-24 1994-06-21 Interlego A.G. Detachable connecting device for toy-construction elements
JP2578069Y2 (ja) * 1991-03-11 1998-08-06 株式会社 ニフコ グロメット
JP2586907Y2 (ja) * 1992-11-19 1998-12-14 株式会社ニフコ 結合クリップ
JP3251775B2 (ja) * 1994-06-15 2002-01-28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JP3828955B2 (ja) * 1996-06-06 2006-10-04 株式会社東郷製作所 グロメット
JP3332138B2 (ja) * 1996-06-18 2002-10-07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497B1 (ko) * 2010-07-27 2014-10-27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01513A1 (en) 2002-01-03
JP4488588B2 (ja) 2010-06-23
KR100427394B1 (ko) 2004-04-27
JP2001336515A (ja) 2001-12-07
US6481942B2 (en) 2002-11-19
TW515870B (en) 2003-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7394B1 (ko) 클립
JP3914710B2 (ja) 留め具
US5695296A (en) Connector for plates
JP4091859B2 (ja) 締結具
US6514023B2 (en) Removable and reusable fastener
JP3938615B2 (ja) 押し込み式ナット
JP4485281B2 (ja) 留め具
US20070289770A1 (en) Two-piece clip
KR20060044943A (ko) 파스너
JP5219696B2 (ja) コネクタ
JPH1038147A (ja) 棒状体の固定具
US20210123468A1 (en) Fastener and a part having the same
JP4203153B2 (ja) 筆記具用部品の連結構造
JP5134204B2 (ja) グロメット
JPH05302609A (ja) プッシュリベット
JP3828955B2 (ja) グロメット
JP2000009165A (ja) バンパーラバー
JP2002139014A (ja) 締結具
JPH09184505A (ja) 部材締結用クリップ
JP2584429Y2 (ja) 留め具
JP2590817Y2 (ja) 係止具
JP2022107136A (ja) クリップ
JP2591405Y2 (ja) 止め具
JP3682279B2 (ja) 手摺りの連結構造
JP3518307B2 (ja) 軸部材の保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