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8815A -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8815A
KR20010108815A KR1020000029749A KR20000029749A KR20010108815A KR 20010108815 A KR20010108815 A KR 20010108815A KR 1020000029749 A KR1020000029749 A KR 1020000029749A KR 20000029749 A KR20000029749 A KR 20000029749A KR 20010108815 A KR20010108815 A KR 20010108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signal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9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0804B1 (ko
Inventor
조성준
오창헌
노재성
Original Assignee
조성준
노재성
오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준, 노재성, 오창헌 filed Critical 조성준
Priority to KR10-2000-0029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0804B1/ko
Priority to AU2001260779A priority patent/AU2001260779A1/en
Priority to US10/297,108 priority patent/US6993329B2/en
Priority to CNB018121845A priority patent/CN1226832C/zh
Priority to PCT/KR2001/000924 priority patent/WO2001093440A1/en
Priority to JP2002500549A priority patent/JP2003535551A/ja
Publication of KR20010108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8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804B1/ko
Priority to HK04100560A priority patent/HK1057828A1/xx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4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user or terminal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moving direction, sp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을 경우에는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통화금지모드로 설정하고 통화제한지역을 벗어났을 경우에는 자동으로 통화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통화제한지역의 입구 안쪽에 설치되어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로 방사하는 외부의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 방사된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화금지 제어신호 수신 수단; 상기 통화제한지역의 출구 바깥쪽에 설치되어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로 방사하는 외부의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 방사된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 수단;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 수신 수단으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기지국으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전달하고, 상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수단으로부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중앙 처리 수단;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파워-온(power-on)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서 RF 전력이 방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중앙 처리 수단으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오프시키고,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중앙 처리 수단으로부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온시키기 위한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 수단을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통신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 및 그 방법{The automatic switchover apparatus and its method between communication suppression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휴대통신 단말기, 무선호출 단말기, 개인데이터통신 단말기 및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같은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을 경우에는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통화금지모드로 설정하고 통화제한지역을 벗어났을 경우에는 자동으로 통화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온/오프(ON/OFF)시키거나, 벨형태를 소리모드에서 진동모드로 또는 진동모드에서 소리형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사람이 인위적으로 무선통신 단말기의 버튼을 조작하여야만 하였다.
이런 이유로 공공장소(공연장 등) 및 특정한 장소(병원 등)에서 진동모드로 전환되어 있지 않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벨 소리로 인하여 많은 공해가 유발되고 있으며, 특수한 장소(비행기 등)에서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파에 의한 기기의 오동작으로 대형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처럼 정밀 측정 장치가 있는 병원이나 항공기 등의 지역에서는 RF(Radio Frequency) 방사파가 의료기기나 정밀 측정 및 측위 장치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무선통신 단말기의 사용을 강력하게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공공장소(공연장 등)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사용하고 있는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저전력의 방해 전파를 내보내어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수신 기능을 마비시키는 방법이 실용화되어 있다. 또한, 특정의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이에 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모드를 소리모드에서 진동모드로 변경시키는 방법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들은 의료기기나 정밀 측정 및 측위 장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RF 방사파를 근본적으로 차단해야하는 병원이나 비행기 등과 같은 통화제한지역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통화제한지역에서는 RF 방사파의 영향을 억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무선통신 단말기를 오프(off)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행동은 사용자가 많은 신경을 써야 하므로 자동적으로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변경시켜 줄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장치에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기능, 즉 RF 방사 자체를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제어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가 무선통신 단말기를 가지고 통화제한지역을 벗어났을 경우에는 언제든지 다시 자동으로 통화가 되도록 하는 기능도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을 경우에는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통화금지모드로 설정하고 통화제한지역을 벗어났을 경우에는 자동으로 통화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제한지역내에서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파워-온(power-on) 상태로 유지하면서 무선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서 RF 전력이 방사되지 않도록 하고, 무선통신 단말기가 파워-온(power-on) 상태이므로 통화금지 해제신호가 수신되거나 통화금지신호가 더 이상 수신되지 않으면 다시 통화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제한지역내에서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파워-온(power-on) 상태로 유지하면서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모드를 오프(off)시켜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키는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기지국에 통보하고 통화금지모드로 전환되며, 기지국이 이 신호로부터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지역 이탈과 구분되는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인지하여 더 이상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를 페이징하지 않도록 하고,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와 통화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알리도록 하는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일반적인 호처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일실시예 흐름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또다른 실시예의 흐름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금지모드로의 전환을 기지국으로 통보하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부 202 :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발생부
203 : 통화금지/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부
204 :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 205 : 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에 있어서, 통화제한지역의 입구 안쪽에 설치되어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로 방사하는 외부의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 방사된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화금지 제어신호 수신 수단; 상기 통화제한지역의 출구 바깥쪽에 설치되어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발생하여 미약한 전파로 방사하는 외부의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 방사된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 수단;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파워-온(power-on)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서 RF 전력이 방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 수신 수단으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오프시키고,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 수단으로부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온시키기 위한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장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에 있어서, 통화제한지역의 입구 안쪽에 설치되어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로 방사하는 외부의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 방사된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화금지 제어신호 수신 수단; 상기 통화제한지역의 출구 바깥쪽에 설치되어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로 방사하는 외부의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 방사된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 수단;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 수신 수단으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기지국으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전달하고, 상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 수단으로부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중앙 처리 수단;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파워-온(power-on) 상태로유지하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서 RF 전력이 방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중앙 처리 수단으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오프시키고,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중앙 처리 수단으로부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온시키기 위한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다른 장치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중앙 처리 수단으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오프(off)시키고,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중앙 처리 수단으로부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온시키기 위한 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두 장치들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 수신 수단으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오프(off)시키고,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 수단으로부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온시키기 위한 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장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에 있어서, 통화제한지역에 설치되어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발생하여미약한 전파로 상기 통화제한지역에 방사하는 외부의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 방사된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화금지 제어신호 수신 수단;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 수신 수단으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기지국으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전달하고,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 수신 수단으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가 소정의 시간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송신 경로 온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중앙 처리 수단;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파워-온(power-on)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서 RF 전력이 방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중앙 처리 수단으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오프시키고,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중앙 처리 수단으로부터 송신 경로 온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온시키기 위한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또다른 장치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중앙 처리 수단으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오프(off)시키고,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중앙 처리 수단으로부터 수신 경로 온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온시키기 위한 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장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파워-온(power-on)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서 RF 전력이 방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통화제한지역의 입구 안쪽에 설치되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오프시키기 위한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방사하기 위한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 수단;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화금지 모드에서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통화제한지역의 출구 바깥쪽에 설치되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온시키기 위한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방사하기 위한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장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에 있어서, 통화제한지역에 설치되되,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파워-온(power-on)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서 RF 전력이 방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해당 기지국으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전달하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오프시키며,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시간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온시키기 위한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방사하기 위한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무선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방법에 있어서, 통화제한지역의 입구 안쪽에 설치되어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로 방사하는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부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파워-온(power-on)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서 RF 전력이 방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수신된 통화금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오프시키는 제 2 단계; 상기 통화제한지역의 출구 바깥쪽에 설치되어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로 방사하는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발생부로부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신된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온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신된 통화금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오프시켜는 제 5 단계;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신된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온시키는 제 6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무선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방법에 있어서, 통화제한지역의 입구 안쪽에 설치되어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로 방사하는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부로부터의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중앙 처리부가 통화금지/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중앙 처리부가 해당 기지국으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전달하는 제 2 단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파워-온(power-on)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서 RF 전력이 방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중앙 처리부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오프시키도록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3 단계; 상기 통화제한지역의 출구 바깥쪽에 설치되어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로 방사하는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발생부로부터의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상기 중앙 처리부가 상기 통화금지/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중앙 처리부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온시키도록 상기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다른 방법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중앙 처리부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오프시키도록 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한 중앙 처리부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온시키도록 상기 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7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방법은, 무선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방법에 있어서, 통화제한지역에 설치되어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로 방사하는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부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 수신부를 통하여 통화금지 제어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중앙 처리부가 확인하는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확인 결과, 통화금지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현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가 통화금지 상태인지를 확인하여 통화금지모드이면 상기 제 1 단계로 넘어가고, 통화금지 상태가 아니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파워-온(power-on)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서 RF 전력이 방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오프시키도록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의 확인 결과, 소정의 시간동안 통화금지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온시키도록 상기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또다른 방법은,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오프시키도록 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소정의 시간동안 통화금지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온시키도록 상기 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5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또다른 방법은,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기지국으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전달하는 제 6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를 자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에, 통화제한지역의 입구 안쪽에 설치되어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로 방사하는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부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 1 기능;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파워-온(power-on)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서 RF 전력이 방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수신된 통화금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오프시키는 제 2 기능; 상기 통화제한지역의 출구 바깥쪽에 설치되어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로 방사하는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발생부로부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신된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온시키는 제 4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신된 통화금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오프시켜는 제 5 기능;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신된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온시키는 제 6 기능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를 자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에, 통화제한지역의 입구 안쪽에 설치되어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로 방사하는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부로부터의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중앙 처리부가 통화금지/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하는 제 1 기능;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중앙 처리부가 해당 기지국으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전달하는 제 2 기능;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파워-온(power-on)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서 RF 전력이 방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중앙 처리부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오프시키도록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3 기능; 상기 통화제한지역의 출구 바깥쪽에 설치되어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로 방사하는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발생부로부터의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상기 중앙 처리부가 상기 통화금지/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하는 제 4 기능;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중앙 처리부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온시키도록 상기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5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중앙 처리부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오프시키도록 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6 기능;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한 중앙 처리부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온시키도록 상기 수신 경로온/오프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7 기능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를 자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에, 통화제한지역에 설치되어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로 방사하는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부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 수신부를 통하여 통화금지 제어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중앙 처리부가 확인하는 제 1 기능; 상기 제 1 기능에서의 확인 결과, 통화금지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현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가 통화금지 상태인지를 확인하여 통화금지모드이면 상기 제 1 단계로 넘어가고, 통화금지 상태가 아니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파워-온(power-on)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서 RF 전력이 방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오프시키도록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제 1 기능에서의 확인 결과, 소정의 시간동안 통화금지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온시키도록 상기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3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오프시키도록 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4 기능; 및 상기 소정의 시간동안 통화금지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위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온시키도록 상기 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5 기능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기지국으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전달하는 제 6 기능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통화제한지역에서는 무선통신 단말기로부터의 RF 방사를 외부의 통화금지 제어신호에 의하여 제어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가 무선통신 단말기를 가지고 통화제한지역을 벗어났을 경우에는 언제든지 다시 자동으로 통화가 되도록 하는 기능도 필요하다.
이런 경우를 고려할 때, 무선통신 단말기를 강제적으로 파워-오프(power-off) 상태로 유지하면 자동적으로 파워-온(power-on) 상태로 변경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이 따른다.
이런 이유로 불필요한 RF 방사를 억제하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위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제한지역내에서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파워-온(power-on) 상태로 유지하면서 무선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서는 RF 전력이 방사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무선통신 단말기에서는 수신모드를 오프(off)시켜서 무선통신 단말기의 소프트웨어(S/W) 부하를 줄여준다. 이를 통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킨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 무선통신 단말기는 기지국에서 오는 신호를 받을 수 없고,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모드도 오프(off)되어 있으므로 RF 방사가 없다. 그러나, 무선통신 단말기의 내부는 파워-온(power-on) 상태이므로 통화금지 해지신호가 수신되거나 통화금지신호가 더 이상 수신되지 않으면 다시 통화모드로 전환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소프트웨어(S/W) 및 하드웨어(H/W)의 간단한 수정을 통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금지 제어신호 수신시, 무선통신 단말기의 RF단에 있는 송신(Tx)과 수신(Rx) 경로를 온(on)에서 오프(off)로 스위칭시켜 RF 방사파를 억제하고, 이 기간동안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모드도 오프시켜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킨다. 그리고, 통화제한지역 이탈시, 즉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통화금지 제어신호가 더 이상 수신되지 않을 때,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Tx)과 수신(Rx) 경로를 자동적으로 온(on)시키고 기지국으로부터 오는 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무선통신 단말기의 액세스(Access) 채널을 통하여 기지국으로 신호를 송신하므로써 무선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정상적으로 회복시켜 유지한다.
이러한 기능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무선통신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하는 통화제한지역에 있을 경우에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방사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통화금지 상태로 만들었다가, 사용자가 무선통신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하는 지역을 벗어나게 되어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가 수신되거나 통화금지 제어신호가 더 이상 수신되지 않으면 무선통신 단말기가다시 통화대기 상태로 자동으로 전환되어 정상적인 통화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무선통신 단말기는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기지국에 통보하고 통화금지모드로 전환되며, 기지국은 이 신호로부터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지역 이탈과 구분되는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인지한다. 이렇게 하므로써 기지국은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금지 지역에 있는 것으로 인지하고 더 이상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를 페이징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기지국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고 기지국의 채널 용량을 증대시킨 것과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또한, 기지국에서는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를 콜링(calling)하는 사용자에게 통화를 원하는 사용자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알린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일반적인 호처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종래의 무선통신 단말기의 호처리 절차를 살펴보면, 먼저 무선통신 단말기에 전원을 인가할 경우에(101) 이이피롬(EEPROM)에서 필요한 시스템 정보를 읽어서 램(RAM)에 셋팅한 다음에 기지국에서 오는 정보 채널을 수신한다.
그리고, 무선통신 단말기 초기화 상태(102)에서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부팅(booting)시키고 파일럿(pilot) 채널 및 동기(synch) 채널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무선통신 단말기 대기 상태(103)에서는 모든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여 정상동작을 완료한 다음에 페이징(paging) 채널을 지속적으로 수신한다. 이때,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채널을 통하여 제어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다시 무선통신 단말기 초기화 상태(102)로 천이하여 파일럿 채널 및 동기 채널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시스템 접속 상태(104)는 무선통신 단말기가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상태이다. 이때, 시스템 접속에 실패하면 무선통신 단말기 대기 상태(103)로 천이하여 페이징(paging) 채널을 지속적으로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무선통신 단말기 통화 상태(105)는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중인 상태이다.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중인 상태에서 통화를 종료하면 다시 무선통신 단말기 초기화 상태(102)로 천이하여 파일럿 채널 및 동기 채널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부(201)와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발생부(202)를 통화제한지역의 입/출구측에 각각 설치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는, 병원 및 비행기 등과 같은 통화제한이 필요한 지역의 입구 안쪽에 설치되어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0 dBm(1mW) ∼ 13 dBm(20mW))로 방사하기 위한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부(201), 병원 및 비행기 등과 같은 통화제한이 필요한 지역의 출구 바깥쪽에 설치되어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로 방사하기 위한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발생부(202),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부(201)로부터 방사된 통화금지 제어신호와 상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발생부(202)로부터 방사된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204)로 전달하기 위한 통화금지/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부(203) 및 상기 통화금지/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부(203)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오프시켜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파워-온(power-on) 상태로 유지하면서 무선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서 RF 전력이 방사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통화금지/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부(203)로부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온시켜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204)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는, 상기 통화금지/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부(203)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오프(off)시켜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키고 상기 통화금지/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부(203)로부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온시켜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205)를 더 포함한다.
그 외의 중앙 처리부(206), 무선통신 단말기 송신부(207), 전력 증폭기(208), 듀플렉서(209), 저잡음 증폭기(210) 및 무선통신 단말기 수신부(211)등은 기존의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로서,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부(301)와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발생부(302)를 통화제한지역의 입/출구측에 각각 설치하되, 중앙 처리부(306)를 통하여 송/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304,305)를 제어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는, 병원 및 비행기 등과 같은 통화제한이 필요한 지역의 입구 안쪽에 설치되어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0 dBm(1mW) ∼ 13 dBm(20mW))로 방사하기 위한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부(301), 병원 및 비행기 등과 같은 통화제한이 필요한 지역의 출구 바깥쪽에 설치되어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로 방사하기 위한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발생부(302),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부(301)로부터 방사된 통화금지 제어신호와 상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발생부(302)로부터 방사된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의 중앙 처리부(306)로 전달하기 위한 통화금지/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부(303), 상기 통화금지/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부(303)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무선통신 단말기 송신부(307)와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304)와 전력증폭기(308)와 듀플렉서(309) 및 안테나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전달한 후에 상기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304)로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통화금지/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부(303)로부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304)로 전달한 후에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중앙 처리부(306) 및 상기 중앙 처리부(306)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오프시켜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파워-온(power-on) 상태로 유지하면서 무선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서 RF 전력이 방사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중앙 처리부(306)로부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온시켜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304)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는, 상기 중앙 처리부(306)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오프(off)시켜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키고 상기 중앙 처리부(306)로부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온시켜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305)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305)는 중앙 처리부(306)를 통하여 통화금지/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전달받지 않고, 바로 통화금지/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부(303)로부터 통화금지/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온/오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 처리부(306)가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기지국에 통보하고 통화금지모드로 전환되면, 기지국이 이 신호로부터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지역 이탈과 구분되는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인지하여 더 이상 해당무선통신 단말기를 페이징하지 않도록 하고,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와 통화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알리도록 한다.
상기에서 기술한 외의 중앙 처리부(306)의 동작, 무선통신 단말기 송신부(307), 전력 증폭기(308), 듀플렉서(309), 저잡음 증폭기(310) 및 무선통신 단말기 수신부(311) 등은 기존의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의 구성도로서,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부(401)를 통화제한지역 전체를 커버하도록 설치하되, 중앙 처리부(403)를 통하여 송/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405,408)를 제어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는, 병원 및 비행기 등과 같은 통화제한이 필요한 지역에 설치되어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0 dBm(1mW) ∼ 13 dBm(20mW))로 통화제한지역 전체에 지속적으로 방사하기 위한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부(401),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부(401)로부터 방사된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의 중앙 처리부(403)로 전달하기 위한 통화금지 제어신호 수신부(402),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 수신부(402)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무선통신 단말기 송신부(404)와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405)와 전력증폭기(406)와 듀플렉서(407) 및 안테나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전달한 후에 상기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405)로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 수신부(402)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가 소정의 시간(예 : 약 5초 정도)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송신 경로를 온시키도록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405)를 제어한 후에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중앙 처리부(403) 및 상기 중앙 처리부(403)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오프시켜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파워-온(power-on) 상태로 유지하면서 무선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서 RF 전력이 방사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중앙 처리부(403)의 제어에 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온시켜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405)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는, 상기 중앙 처리부(403)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오프시켜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키고 상기 중앙 처리부(403)의 제어에 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온시켜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408)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중앙 처리부(403)가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기지국에 통보하고 통화금지모드로 전환되면, 기지국이 이 신호로부터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지역 이탈과 구분되는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인지하여 더 이상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를 페이징하지 않도록 하고,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와 통화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알리도록 한다.
상기에서 기술한 외의 중앙 처리부(403)의 동작, 무선통신 단말기 송신부(404), 전력 증폭기(406), 듀플렉서(407), 저잡음 증폭기(409) 및 무선통신단말기 수신부(410) 등은 기존의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각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송신 채널이 전력 증폭기를 통하여 전력 증폭된 후에 안테나를 통하여 송신되는 기존의 송신 방법과 달리, 통화금지 자동 전환시에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Tx) 경로에 있는 전력 증폭기로의 입력 신호를 오프(off)시키므로써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방사되는 RF 방사 전력을 제어한다. 또한, 무선통신 단말기가 기지국 제어신호 수신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무선통신 단말기 소프트웨어(S/W)의 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Rx) 경로에 있는 저잡음 증폭기로의 입력 신호를 오프(off)시킨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기존의 호처리 절차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제한지역에서 송/수신 경로 오프(off)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수신(TX, RX) 경로를 오프시키고, 통화제한지역을 벗어나 송/수신 경로 온(on)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수신 경로를 온시켜 통화 가능한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호처리 절차를 살펴보면, 먼저 무선통신 단말기에 전원을 인가할 경우에(501) 이이피롬(EEPROM)에서 필요한 시스템 정보를 읽어서 램(RAM)에 셋팅한 다음에 기지국에서 오는 정보 채널을 수신한다.
그리고, 무선통신 단말기 초기화 상태(502)에서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부팅(booting)시키고 파일럿(pilot) 채널 및 동기(synch) 채널을 수신하는 기능을수행한다.
그리고, 무선통신 단말기 대기 상태(503)에서는 모든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여 정상동작을 완료한 다음에 페이징(paging) 채널을 지속적으로 수신한다. 이때,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채널을 통하여 제어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다시 무선통신 단말기 초기화 상태(502)로 천이하여 파일럿 채널 및 동기 채널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시스템 접속 상태(505)는 무선통신 단말기가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상태이다. 이때, 시스템 접속에 실패하면 무선통신 단말기 대기 상태(503)로 천이하여 페이징(paging) 채널을 지속적으로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무선통신 단말기 통화 상태(506)는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중인 상태이다.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중인 상태에서 통화를 종료하면 다시 무선통신 단말기 초기화 상태(502)로 천이하여 파일럿 채널 및 동기 채널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무선통신 단말기 대기 상태(503)에서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수신 경로 오프 제어신호가 수신되면(504) 통화금지 모드를 설정하여 무선통신 단말기 통화금지 상태(507)로 천이한다. 이때, 무선통신 단말기는 파워-온(power-on) 상태를 유지하면서 송/수신 경로를 오프시켜 무선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서 RF 전력이 방사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무선통신 단말기 통화금지 상태(507)는 무선통신 단말기가 파워-온(power-on) 상태이므로, 이 상태에서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수신 경로 온제어신호가 수신되면(508) 다시 통화모드로 전환하기 위하여 단말기 초기화 상태(502)로 천이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무선통신 단말기 송/수신 경로 오프 제어신호가 지속적으로 수신되면 계속하여 무선통신 단말기 통화금지 상태(507)를 유지하고, 소정의 시간(예 : 약 5초 정도)동안 송/수신 경로 오프 제어신호가 더 이상 수신되지 않으면 다시 통화모드로 전환하기 위하여 시스템 접속 상태(505)로 천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또다른 실시예로서,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만을 제어하고 수신 경로는 제어하지 않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러한 각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방법을 도 6 내지 도 8 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부(201)와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발생부(202)를 통화제한지역의 입/출구측에 각각 설치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병원 및 비행기 등과 같은 통화제한이 필요한 지역의 입구 안쪽에 설치되어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0 dBm(1mW) ∼ 13 dBm(20mW))로 방사하는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부(201)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통화금지/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부(203)가 수신한다(601).
이후,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204)가 통화금지/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수신부(203)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오프시켜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파워-온(power-on) 상태로 유지하면서 무선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서 RF 전력이 방사되지 않도록 한다(602).
또한, 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205)가 통화금지/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부(203)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오프시켜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키는 과정(603)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병원 및 비행기 등과 같은 통화제한이 필요한 지역의 출구 바깥쪽에 설치되어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로 방사하는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발생부(202)로부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통화금지/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부(203)가 수신한다(604).
이후,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204)가 통화금지/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부(203)로부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온시켜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킨다(605).
또한, 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205)가 통화금지/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부(203)로부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온시켜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는 과정(606)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그 외의 동작은 기존의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로서,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부(301)와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발생부(302)를 통화제한지역의 입/출구측에 각각 설치하되, 중앙 처리부(306)를 통하여 송/수신 경로를 온/오프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병원 및 비행기 등과 같은 통화제한이 필요한 지역의 입구 안쪽에 설치되어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0 dBm(1mW) ∼ 13 dBm(20mW))로 방사하는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부(301)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통화금지/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부(303)가 수신한다(701).
이후, 중앙 처리부(306)가 통화금지/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부(303)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기지국으로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전달한다(702).
이후,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304)가 중앙 처리부(306)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오프시켜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파워-온(power-on) 상태로 유지하면서 무선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서 RF 전력이 방사되지 않도록 한다(703).
또한, 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305)가 중앙 처리부(306)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오프시켜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키는 과정(704)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305)는 중앙 처리부(306)를 통하여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전달받지 않고, 바로 통화금지/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부(303)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오프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병원 및 비행기 등과 같은 통화제한이 필요한 지역의 출구 바깥쪽에 설치되어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로 방사하는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발생부(302)로부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통화금지/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부(303)가 수신한다(705).
이후,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304)가 중앙 처리부(306)로부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온시켜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킨다(706).
또한, 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305)가 중앙 처리부(306)로부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온시켜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는 과정(707)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305)는 중앙 처리부(306)를 통하여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전달받지 않고, 바로 통화금지/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부(303)로부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온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그 외의 동작은 기존의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또다른 실시예의 흐름도로서,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부(401)를 통화제한지역 전체를 커버하도록 설치하되, 중앙 처리부(403)를 통하여 송/수신 경로를 온/오프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병원 및 비행기 등과 같은 통화제한이 필요한 지역에 설치되어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0 dBm(1mW) ∼ 13 dBm(20mW))로 통화제한지역 전체에 지속적으로 방사하는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부(401)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 수신부(402)를 통하여 통화금지 제어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중앙 처리부(403)가 확인한다(801).
상기 확인 결과(801), 통화금지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현재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가 통화금지 상태인지를 확인하여(802) 이미 통화금지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 수신 확인 과정(801)으로 천이하고, 통화금지 상태가 아니면 해당 기지국으로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전달한다(803).
이후,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오프시키도록 중앙 처리부(403)가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405)를 제어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파워-온(power-on) 상태로 유지하면서 무선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서 RF 전력이 방사되지 않도록 한다(804).
또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오프시키도록 중앙 처리부(403)가 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408)를 제어하여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키는 과정(805)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확인 결과(801), 통화금지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소정의 시간(예 : 약 5초 정도)이 경과되었는지를 확인하여(806) 아니면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 수신 확인 과정(801)으로 천이하고, 소정의 시간동안 통화금지 제어신호가수신되지 않았으면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온시키도록 중앙 처리부(403)가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405)를 제어하여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킨다(807).
또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온시키도록 중앙 처리부(403)가 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408)를 제어하여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는 과정(808)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그 외의 동작은 기존의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금지모드로의 전환을 기지국으로 통보하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화제한지역에 들어간 무선통신 단말기는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게 되면(901), 기지국에게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통보한 후에(902)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수신(Tx/Rx) 경로를 오프(off)시킨다.
그리고, 무선통신망측에서는 이후에 들어오는 호(Calling)에 대해서는 상대방에게 지금의 상태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알리고(903) 메시지 정보를 보낼 것을 요청하여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한다(904). 이후, 제한지역에서 벗어나는 사용자는 자동적으로 일반적인 통화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저장되어 있는 메시지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905).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병원, 항공기 등)에 있을 경우에는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통화금지모드로 설정하고 통화제한지역을 벗어났을 경우에는 자동으로 통화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제한지역내에서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파워-온(power-on) 상태로 유지하면서 무선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서 RF 전력이 방사되지 않도록 하여 정밀 측정 장치 등에 미치는 영향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타 시스템과 간섭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 단말기가 파워-온(power-on) 상태이므로 통화금지 해제신호가 수신되거나 통화금지신호가 더 이상 수신되지 않으면 다시 통화모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제한지역내에서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파워-온(power-on) 상태로 유지하면서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모드를 오프(off)시켜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시켜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기지국에 통보하고 통화금지모드로 전환되며, 기지국이 이 신호로부터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지역 이탈과 구분되는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인지하여 더 이상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를 페이징하지 않도록 하여 기지국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고 기지국의 채널 용량을 증대시키는 것과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으며,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와 통화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해당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알려 메시지를 남기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0)

  1.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에 있어서,
    통화제한지역의 입구 안쪽에 설치되어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로 방사하는 외부의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 방사된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화금지 제어신호 수신 수단;
    상기 통화제한지역의 출구 바깥쪽에 설치되어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로 방사하는 외부의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 방사된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 수단;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파워-온(power-on)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서 RF 전력이 방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 수신 수단으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오프시키고,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 수단으로부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온시키기 위한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
  2.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에 있어서,
    통화제한지역의 입구 안쪽에 설치되어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로 방사하는 외부의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 방사된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화금지 제어신호 수신 수단;
    상기 통화제한지역의 출구 바깥쪽에 설치되어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로 방사하는 외부의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 방사된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 수단;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 수신 수단으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기지국으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전달하고, 상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 수단으로부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중앙 처리 수단;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파워-온(power-on)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서 RF 전력이 방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중앙 처리 수단으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오프시키고,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중앙 처리 수단으로부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온시키기 위한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 수신 수단으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오프(off)시키고,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 수단으로부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온시키기 위한 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중앙 처리 수단으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오프(off)시키고,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중앙 처리 수단으로부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온시키기 위한 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
  5.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에 있어서,
    통화제한지역에 설치되어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로 상기 통화제한지역에 방사하는 외부의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 방사된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화금지 제어신호 수신 수단;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 수신 수단으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기지국으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전달하고,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 수신 수단으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가 소정의 시간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송신 경로 온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중앙 처리 수단;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파워-온(power-on)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서 RF 전력이 방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중앙 처리 수단으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오프시키고,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중앙 처리 수단으로부터 송신 경로 온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온시키기 위한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중앙 처리 수단으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오프(off)시키고,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중앙 처리 수단으로부터 수신 경로 온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온시키기 위한 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
  7. 제 2 항 또는 제 4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중앙 처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통보받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지역 이탈과 구분되는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인지하여 더 이상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페이징하지 않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와 통화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 수단은,
    통화금지 자동 전환시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Tx) 경로에 있는 전력 증폭기로의 입력 신호를 오프(off)시키므로써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방사되는 RF 방사 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
  9.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 수단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Rx) 경로에 있는 저잡음 증폭기로의 입력 신호를 오프(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
  10.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파워-온(power-on)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서 RF 전력이 방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통화제한지역의 입구 안쪽에 설치되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오프시키기 위한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방사하기 위한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 수단;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화금지 모드에서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통화제한지역의 출구 바깥쪽에 설치되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온시키기 위한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방사하기 위한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발생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 방사된 통화금지 제어신호는, 해당 기지국으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전달하도록 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 방사된 통화금지 제어신호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오프(off)시키는 기능을 더 수행하고,
    상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 방사된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는,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온시키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
  13.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에 있어서,
    통화제한지역에 설치되되,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파워-온(power-on)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서 RF 전력이 방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해당 기지국으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전달하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오프시키며,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시간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온시키기 위한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방사하기 위한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 방사된 통화금지 제어신호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오프(off)시키는 기능을 더 수행하고,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시간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온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
  15. 무선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방법에 있어서,
    통화제한지역의 입구 안쪽에 설치되어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전파로 방사하는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부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파워-온(power-on)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서 RF 전력이 방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수신된 통화금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오프시키는 제 2 단계;
    상기 통화제한지역의 출구 바깥쪽에 설치되어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로 방사하는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발생부로부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신된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온시키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신된 통화금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오프시키는 제 5 단계;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신된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온시키는 제 6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방법.
  17. 무선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방법에 있어서,
    통화제한지역의 입구 안쪽에 설치되어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로 방사하는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부로부터의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중앙 처리부가 통화금지/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중앙 처리부가 해당 기지국으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전달하는 제 2 단계;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파워-온(power-on)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서 RF 전력이 방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중앙 처리부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오프시키도록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3 단계;
    상기 통화제한지역의 출구 바깥쪽에 설치되어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로 방사하는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발생부로부터의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상기 중앙 처리부가 상기 통화금지/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중앙 처리부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온시키도록 상기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중앙 처리부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오프시키도록 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한 중앙 처리부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온시키도록 상기 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7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방법.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중앙 처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통보받은 상기 기지국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지역 이탈과 구분되는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인지하여 더 이상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페이징하지 않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와 통화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방법.
  20. 무선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방법에 있어서,
    통화제한지역에 설치되어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로 방사하는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부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 수신부를 통하여 통화금지 제어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중앙 처리부가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확인 결과, 통화금지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현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가 통화금지 상태인지를 확인하여 통화금지모드이면 상기 제 1 단계로 넘어가고, 통화금지 상태가 아니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파워-온(power-on)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서 RF 전력이 방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오프시키도록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의 확인 결과, 소정의 시간동안 통화금지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온시키도록 상기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오프시키도록 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소정의 시간동안 통화금지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온시키도록 상기 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방법.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기지국으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전달하는 제 6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에서 상기 중앙 처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통보받은 상기 기지국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지역 이탈과 구분되는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인지하여 더 이상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페이징하지 않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와 통화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방법.
  24.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를 자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에,
    통화제한지역의 입구 안쪽에 설치되어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로 방사하는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부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 1 기능;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파워-온(power-on)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서 RF 전력이 방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수신된 통화금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오프시키는 제 2 기능;
    상기 통화제한지역의 출구 바깥쪽에 설치되어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로 방사하는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발생부로부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신된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온시키는 제 4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신된 통화금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오프시키는 제 5 기능;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신된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온시키는 제 6 기능
    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6.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를 자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에,
    통화제한지역의 입구 안쪽에 설치되어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로 방사하는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부로부터의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중앙 처리부가 통화금지/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하는 제 1 기능;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중앙 처리부가 해당 기지국으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전달하는 제 2 기능;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파워-온(power-on)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서 RF 전력이 방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중앙 처리부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오프시키도록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3 기능;
    상기 통화제한지역의 출구 바깥쪽에 설치되어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로 방사하는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발생부로부터의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상기 중앙 처리부가 상기 통화금지/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하는 제 4 기능;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중앙 처리부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온시키도록 상기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5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중앙 처리부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오프시키도록 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6 기능; 및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통화금지해제 제어신호를 수신한 중앙 처리부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온시키도록 상기 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7 기능
    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8.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를 자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통신 단말기에,
    통화제한지역에 설치되어 통화금지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미약한 전파로 방사하는 통화금지 제어신호 발생부로부터 통화금지 제어신호 수신부를 통하여 통화금지 제어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중앙 처리부가 확인하는 제 1 기능;
    상기 제 1 기능에서의 확인 결과, 통화금지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현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가 통화금지 상태인지를 확인하여 통화금지모드이면 상기 제 1 단계로 넘어가고, 통화금지 상태가 아니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파워-온(power-on)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서 RF 전력이 방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오프시키도록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제 1 기능에서의 확인 결과, 소정의 시간동안 통화금지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송신 경로를 온시키도록 상기 송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3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오프시키도록 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4 기능; 및
    상기 소정의 시간동안 통화금지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정상적인 통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수신 경로를 온시키도록 상기 수신 경로 온/오프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 5 기능
    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30. 제 28 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금지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기지국으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통화제한지역에 있음을 전달하는 제 6 기능
    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0-0029749A 2000-05-31 2000-05-31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및 그 방법 KR100390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749A KR100390804B1 (ko) 2000-05-31 2000-05-31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및 그 방법
AU2001260779A AU2001260779A1 (en) 2000-05-31 2001-05-31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communication/communication suppression mode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10/297,108 US6993329B2 (en) 2000-05-31 2001-05-31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communication/communication suppression mode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NB018121845A CN1226832C (zh) 2000-05-31 2001-05-31 用于自动切换无线通信终端的通信/通信抑制模式的装置和方法
PCT/KR2001/000924 WO2001093440A1 (en) 2000-05-31 2001-05-31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communication/communication suppression mode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JP2002500549A JP2003535551A (ja) 2000-05-31 2001-05-31 無線通信端末機の通話モード/通話禁止モード自動切換装置及びその方法
HK04100560A HK1057828A1 (en) 2000-05-31 2004-01-28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communication/communication suppression mode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749A KR100390804B1 (ko) 2000-05-31 2000-05-31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8815A true KR20010108815A (ko) 2001-12-08
KR100390804B1 KR100390804B1 (ko) 2003-07-10

Family

ID=19670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9749A KR100390804B1 (ko) 2000-05-31 2000-05-31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993329B2 (ko)
JP (1) JP2003535551A (ko)
KR (1) KR100390804B1 (ko)
CN (1) CN1226832C (ko)
AU (1) AU2001260779A1 (ko)
HK (1) HK1057828A1 (ko)
WO (1) WO200109344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341A (ko) * 2002-03-18 2003-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단말기에서 수신신호를 제한하는 방법
KR100443336B1 (ko) * 2002-10-24 2004-08-09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전원을 가상으로 온/오프하는 방법
KR100646973B1 (ko) * 2005-08-02 2006-11-2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중계기 식별번호를 이용한 수신모드 전환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27423B1 (ko) * 2004-10-11 2007-06-13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4562A (ja) * 2001-10-23 2003-05-09 Sharp Corp 携帯電話機
BRPI0215780A2 (pt) * 2002-05-08 2016-11-08 Nokia Corp método e dispositivo para remotamente trocar as características operacionais do dispositivo de comunicação
US20090117919A1 (en) * 2002-10-01 2009-05-07 Hershenson Matthew J System for controlling a personal electronic device
FI20035109A (fi) * 2003-06-27 2004-12-28 Nokia Corp Menetelmä ja laitteisto toiminnon estämiseksi
GB0424261D0 (en) * 2004-11-02 2004-12-01 Nokia Corp Controlling communication equipment
JP4567472B2 (ja) * 2005-01-12 2010-10-2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定額制ユーザのデータ通信規制方法およびデータ通信規制制御装置
WO2006098035A1 (ja) * 2005-03-17 2006-09-21 Fujitsu Limited 移動携帯端末、入退場管理装置、および機能抑止・解除プログラム
WO2007007758A1 (ja) * 2005-07-11 2007-01-18 Nikon Corporation 電子カメラ
US7787892B2 (en) 2005-10-05 2010-08-31 Via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multi-stage multi-threshold detection of paging indicator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4177873B2 (ja) * 2006-03-13 2008-11-05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US8112785B1 (en) 2007-12-31 2012-02-07 Symantec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dministering policies for physical locations
US8179232B2 (en) * 2008-05-05 2012-05-15 Round Rock Research, Llc RFID interrogator with adjustable signal characteristics
JP5541282B2 (ja) * 2009-06-26 2014-07-09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448084B (zh) * 2011-09-29 2015-01-14 厦门盛华电子科技有限公司 基于无线射频技术的移动终端控制方法
CN103379484B (zh) * 2012-04-18 2017-08-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的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10447844B2 (en) 2012-12-14 2019-10-15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tting alarms and notifications
CN103517368B (zh) * 2013-09-23 2017-09-19 无锡高联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td‑scdma的小范围移动终端静默系统
CN103517367B (zh) * 2013-09-23 2017-09-19 无锡高联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td‑scdma的小范围移动终端静默方法
US9830567B2 (en) 2013-10-25 2017-11-28 Location Labs, Inc. Tas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9775095B2 (en) 2015-06-18 2017-09-26 Carrier Corporation Aircraft proximity sensor system for radio frequency transmission device
CN108513014B (zh) * 2018-04-08 2021-03-26 深圳辉烨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降低手机通话辐射的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US10854066B2 (en) 2018-04-12 2020-12-01 App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isabling sleep alarm based on automated wake de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4926B2 (ja) * 1992-07-20 1999-04-19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衛星通信方式
FR2718310B1 (fr) * 1994-03-29 1996-04-26 Alcatel Mobile Comm France Dispositif d'auto-invalidation d'un terminal portatif du type radiotéléphone mobile.
JPH09275588A (ja) * 1996-04-04 1997-10-21 Fujitsu Syst Constr Kk 移動通信システムの通話規制方式
JPH09331576A (ja) * 1996-06-07 1997-12-22 Nec Corp 携帯電話利用制限方式および携帯電話機
KR19980034681A (ko) 1996-11-08 1998-08-05 이종수 인써킷 테스터
US6011973A (en) * 1996-12-05 2000-01-04 Erics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icting operation of cellular telephones to well delineated geographical areas
JPH10243454A (ja) * 1997-02-21 1998-09-11 Toshib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電磁波報知装置
JP3005496B2 (ja) * 1997-05-21 2000-01-31 日本電気株式会社 送信規制装置及び無線送受信端末装置並びにこれ等を用いた送信規制システム
JPH114478A (ja) * 1997-06-12 1999-01-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システム
JPH1175251A (ja) * 1997-08-28 1999-03-16 Nippon Denki Ido Tsushin Kk 携帯無線電話システムにおけるローカル規制方式
JPH1188951A (ja) * 1997-09-05 1999-03-30 Oki Software Okayama:Kk 携帯用無線装置およびスリープ設定解除装置
JP3893696B2 (ja) * 1997-10-24 2007-03-1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
US6343213B1 (en) * 1997-10-24 2002-01-29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to protect against interference from mobile radios
JPH11215561A (ja) * 1998-01-26 1999-08-06 Nec Mobile Commun Ltd 無線移動通信端末の着信音鳴動制御方法、無線移動通信端末及び無線移動通信システム
JP2978869B2 (ja) * 1998-01-26 1999-11-15 日本電気移動通信株式会社 移動無線装置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ならびに移動無線装置の通話規制方法
JPH11331950A (ja) * 1998-05-20 1999-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局装置及び移動通信制御局装置
EP0967814A1 (fr) * 1998-06-23 1999-12-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areil de communication mobile
KR20000008299A (ko) 1998-07-11 2000-02-07 윤종용 위상 동기 루프 회로의 업/다운 미스매치 보상 회로
JP2000032557A (ja) * 1998-07-13 2000-0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利用制限方法
JP2000069551A (ja) * 1998-08-19 2000-03-03 Fujitsu Ltd 無線システム
KR19980082079A (ko) * 1998-08-21 1998-11-25 조성재 휴대 이동 통신기의 검출, 통화 및 차단을 위한 제어 장치
KR20000022857A (ko) * 1998-08-26 2000-04-25 박봉래 모드전환 기능을 갖는 휴대용 통신기기 및 모드전환 제어시스템
JP2000083278A (ja) * 1998-09-04 2000-03-21 Nec Corp 移動無線端末の使用禁止装置および使用禁止方法
KR20000008299U (ko) * 1998-10-19 2000-05-15 조성재 휴대 이동 통신기의 자동 진동 또는 램프 변환시의 동작
KR20000027087A (ko) * 1998-10-27 2000-05-15 조성재 휴대 이동 통신기의 벨, 진동, 차단 모드의 자동 전환 방법
FI982363A (fi) * 1998-10-30 2000-05-01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ja järjestelmä radiolaitteen toiminnan rajoittamiseksi tietyllä alueella
US6542730B1 (en) * 1998-11-06 2003-04-01 Aeris.Net System and method for disabling a cellular phone
EP1035747A1 (en) * 1999-03-12 2000-09-13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Base station for protecting a predetermined area by means of a separate protection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341A (ko) * 2002-03-18 2003-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단말기에서 수신신호를 제한하는 방법
KR100443336B1 (ko) * 2002-10-24 2004-08-09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전원을 가상으로 온/오프하는 방법
KR100727423B1 (ko) * 2004-10-11 2007-06-13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 제어방법
KR100646973B1 (ko) * 2005-08-02 2006-11-2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중계기 식별번호를 이용한 수신모드 전환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57828A1 (en) 2004-04-16
CN1226832C (zh) 2005-11-09
CN1443401A (zh) 2003-09-17
US6993329B2 (en) 2006-01-31
KR100390804B1 (ko) 2003-07-10
JP2003535551A (ja) 2003-11-25
US20030139138A1 (en) 2003-07-24
AU2001260779A1 (en) 2001-12-11
WO2001093440A1 (en) 200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0804B1 (ko)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및 그 방법
US7873351B2 (en) Communication restriction control system and communication restriction control method
US5991614A (en) Utilization management system of portable telephone
US6085096A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763103B1 (ko) 통신단말 및 위치감시방법
JP2001008273A (ja) 基地局、保護方法及び移動端末装置
JP2001008272A (ja) 基地局、保護方法及び移動端末装置
JP2001008271A (ja) 基地局、保護方法及び移動端末装置
US200700196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function of a mobile phon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2521986A (ja) 公共のセルラーモービル無線ネットワーク内のモービル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端末装置の作動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JP4819288B2 (ja) 発生電波制御システム、及び、無線端末装置
JPH09275588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の通話規制方式
JP3137079B2 (ja) 携帯電話機の強制パワーオフシステムおよび強制パワーオフ方法
EP10819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gulating usage of mobile terminals in a predetermined area
JP2004363752A (ja) 移動局及び移動局側通信制御方法及び基地局及び基地局側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US7555296B2 (en) Wireless LAN system, method for providing network services, and medium storing program to provide network services
JP3250548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JP2006129231A (ja) 携帯通信端末のマナー動作モードの自動設定・自動解除システム、方法及び携帯通信端末
JP2919397B2 (ja) 携帯電話探知装置
JP2891961B2 (ja) 携帯電話システムにおける発信規制方式
JP2000287259A (ja) 携帯電話機システムおよび携帯電話機の電源制御方法と電源制御装置
JP4435493B2 (ja) 移動端末の動作制御システム、動作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2001095060A (ja) 携帯電話システム
JPH1121556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留守番電話機能制御方法
JPH1118154A (ja)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閉空間情報通知システムおよび移動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