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3103B1 - 통신단말 및 위치감시방법 - Google Patents

통신단말 및 위치감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3103B1
KR100763103B1 KR1020060019251A KR20060019251A KR100763103B1 KR 100763103 B1 KR100763103 B1 KR 100763103B1 KR 1020060019251 A KR1020060019251 A KR 1020060019251A KR 20060019251 A KR20060019251 A KR 20060019251A KR 100763103 B1 KR100763103 B1 KR 100763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ing
communication
power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9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6309A (ko
Inventor
마사루 우에무라
다카시 이이다
신지 우에노
히데노리 사카니와
시게유키 수도
노리카즈 다카하시
요시아키 우메하라
Original Assignee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96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단말 및 위치감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전원키(14)를 누르면 설정보존부(16)로부터 위치측위설정정보를 읽어들이며, 위치측위설정정보에는 해당 전원오프 이벤트발생시의 위치측위동작의 계속최대시간이나 동작타이밍 등의 설정정보가 포함되고, 제어부(17)는 위치측위나 측위결과를 송신하는 통신기능 이외의 표시부(18), 스피커(19), 마이크(20) 등의 전원을 오프로 하며, 이 상태에서 위치측위부(13)는 통신단말(1)의 위치정보를 취득하고, 그리고 무선통신부(12)는 측위한 통신단말(1)의 위치측위정보를 해당 통신단말(1)의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소정의 감시서버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전원키, 설정보존부, 제어부, 표시부, 스피커, 마이크, 위치측위부

Description

통신단말 및 위치감시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OSITION MONITOR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전체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통신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원오프 조작시의 위치측위동작시퀀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위치측위송신판정처리에 있어서의 상태천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a 및 도 5b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위치측위설정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6a 및 도 6b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전원오프의 시퀀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통신단말(1)의 통신기능과 표시기능으로의 전원공급정지시의 표시부에 의한 통지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통신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전원오프 시퀀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통신단말 2: 기지국
4: 감시서버 11: 안테나
12: 무선통신부 13: 위치측위부
14: 전원키 15: 사용자인터페이스부
16: 설정보존부 17: 제어부
18: 표시부 19: 스피커
20: 마이크 21: 전지
본 발명은 통신단말 및 위치감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에는 소지하고 있는 자의 안전확보 또는 휴대단말의 소재지를 확인하기 위해 다른 단말에 의해 휴대단말의 위치검색을 할 수 있다고 하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예를 들면 단말이 감시센터로부터의 커맨드에 따라서 위치정보를 감시센터에 송신하거나 또는 소정시간마다 위치정보를 감시센터에 송신하여 메인단말로부터 서브단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감시시스템이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3-18635호 공보참조).
또한 상기의 기능을 탑재한 휴대단말에 있어서, 휴대단말 소유자가 비상시에 자신의 위치를 알리고 싶은 경우, 비상버튼이 조작되어 있으면 전원스위치를 오프조작해도 감시센터장치에 현재위치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고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2-209248호 공보참조).
상기한 위치검색을 장시간 계속하기 위해서는 단말의 저소비전력화가 중요하다.
그러나 상기한 특개 2003-18635호 공보에 기재한 기술은 위치정보의 송신타이밍에 대한 제안이고, 보다 저소비전력화하기 위한 위치검색모드에 대한 언급이 이루어져 있지 않다.
또 특개 2002-209248호에 기재한 기술은 전원오프 누름 후에 위치검색을 강제적으로 계속하기 위한 제안이며, 그때 전원온 시의 동작과 비교하여 보다 저소비전력화하기 위한 위치검색모드에 대해서는 언급이 이루어져 있지 않다. 특히 위치검색기능이 휴대전화의 부가기능으로써 설치될 때에 위치검색을 주체로 사용하는 모드를 상정한 경우에서의 저소비전력화를 고려한 제안이 이루어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위치검색기능을 부가한 통신단말에 있어서, 저전력으로 함으로써 장시간의 위치검색동작을 간편한 조작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또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신단말 및 위치감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음성통신이나 데이터통신을 실시하는 통신단말에 있어서,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전원오프를 조작하는 전원키 를 구비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수단과, 음성통신이나 데이터통신을 실시하는 통신수단과, 현재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위치정보취득수단과, 상기 조작수단의 전원키에 의해 전원오프 조작되면, 적어도 상기 표시수단과 상기 조작수단으로의 전원공급을 오프로 하는 전원제어수단과, 상기 전원제어수단에 의한 전원공급 오프 후, 상기 위치정보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위치정보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단말 또는 감시장치에 송신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목적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통신단말은 음성통신이나 데이터통신을 실시하는 통신단말에 있어서,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전원오프를 조작하는 전원키를 구비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수단과, 음성통신이나 데이터통신을 실시하는 통신수단과, 현재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위치정보취득수단과, 상기 조작수단의 전원키에 의해 전원오프 조작되면, 적어도 상기 표시수단과 상기 조작수단으로의 전원공급을 오프로 하는 전원제어수단과, 상기 전원제어수단에 의한 전원공급 오프 후, 소정의 계속시간 동안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통신수단을 기동하고, 상기 소정의 계속시간 내에 상기 다른 단말 또는 상기 감시장치로부터의 위치측위요구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위치정보취득수단에 의해 위치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위치정보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단말 또는 감시장치에 송신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목적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위치감시방법은 음성통신이나 데 이터통신을 실시하는 통신단말의 위치감시방법에 있어서, 전원오프 조작되면, 현재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취득한 후, 적어도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전원오프의 조작을 포함하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수단으로의 전원공급을 오프로 하고, 전원공급 오프 후, 상기 취득한 위치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단말 또는 감시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목적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위치감시방법은 음성통신이나 데이터통신을 실시하는 통신단말의 위치감시방법에 있어서, 전원오프 조작되면, 적어도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전원오프의 조작을 포함하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수단으로의 전원공급을 오프로 하며, 전원공급 오프 후, 소정의 계속시간 동안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소정의 계속시간 내에 상기 다른 단말 또는 상기 감시장치로부터의 위치측위요구메시지의 수신유무를 감시하며, 해당 위치측위요구메시지를 수신하면, 현재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위치정보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단말 또는 감시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전력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장시간의 위치검색동작을 간편한 조작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또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A. 제 1 실시형태
A-1. 제 1 실시형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전체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통신단말(1)은 탐색대상이 되는 단말이다. 기지국(2)은 통신단말(1)과의 정보통신을 실시하는 통신처이며, 통신단말(1)에 대하여 위치측정요구를 송신하고, 통신단말(1)로부터의 위치측위정보를 수신한다. GPS용 위성(3)(복수)은 GPS신호를 송신하는 위성이다. 통신단말(1)은 GPS용 위성(3)으로부터의 GPS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위치정보에 관해서는 GPS용 위성(3)으로부터의 GPS신호의 오차정보나 기지국(2)의 위치정보 등을 수신하여 이들에 의거해 정밀도가 높은 위치정보를 산출하도록 해도 좋다.
감시서버(4)는 탐색대상의 감시 및 탐색을 실시하는 것으로서, 계약사용자의 요구나 긴급시에는 긴급대책기관이나 경찰 등으로부터의 요청을 접수하고, 특정의 단말을 탐색하는 위치측위요구를 발행한다. 또 감시서버(4)는 인터넷, 공중회선망, 전용망 등의 통신망(5)에 접속되고, 계약사용자로부터의 위치측위요구를 접수하며, 기지국(2)을 통하여 특정의 단말(이 경우, 통신단말(1))에 위치측위요구를 송신하고, 통신단말(1)로부터 위치측위결과를 기지국(2)을 통하여 수신하여 통신단말(1)의 위치정보를 관리한다.
다음으로 도 2는 본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통신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통신단말(1)은 안테나(11), 무선통신부(12), 위치측위부 (13), 전원키(14), 사용자인터페이스부(15), 설정보존부(16), 제어부(17), 표시부(18), 스피커(19), 마이크(20), 전지(21)를 구비하고 있다.
안테나(11)는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무선통신부(12)는 안테나(11)를 통하여 통신처와의 정보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위치측위부(13)는 GPS 등을 이용하여 통신단말(1)의 현재위치를 측위한다. 전원키(14)는 통신단말(1)의 전원의 온, 오프기능을 조작할 수 있는 전원스위치이고, 눌러지는 것으로 본 발명의 위치측위시퀀스가 기동한다(후술).
사용자인터페이스부(15)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한다. 설정보존부(16)는 위치측위실시프로그램에서 이용하는 위치측위설정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제어부(17)는 본 발명의 위치측위시퀀스를 실행해야 할 각 부를 제어한다. 표시부(18)는 LCD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사용자에게 문자나 화상을 표시한다. 스피커(19)는 사용자에게 음성을 출력하고, 마이크(20)는 사용자로부터의 음성을 받아들인다. 전지(21)는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통신기능 이외의 전원오프시에는 표시부(18), 스피커(19), 마이크(20)에는 전력을 공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A-2. 제 1 실시형태의 동작
다음으로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3은 본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원오프 조작시의 위치측위동작시퀀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또한 본 위치측위동작시퀀스는 위치검색 주체인 저전력인 동작모드를 설정한 경우에 동작한다.
사용자가 키패드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원키(14)를 누르면(스 텝 S100), 해당 이벤트를 계기로 위치측위설정정보를 읽어들인다(스텝 S102). 위치측위설정정보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는데, 통신단말(1)의 위치측위실시방법을 지정하고, 해당 전원오프 이벤트발생시의 위치측위실시의 계속최대시간이나 타이밍 등의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타이머의 시계를 개시한다(스텝 S104). 이 타이머는 스텝 S102에서 읽어들인 위치측위설정정보에 따른 동작을 하기 위해 사용되고, 위치측위동작의 계속최대시간이나 동작타이밍을 감시한다.
다음으로 위치측위나 측위결과를 송신하는 통신기능 이외의 표시부(18), 스피커(19), 마이크(20) 등의 전원을 오프로 한다(스텝 S106). 표시부(18), 스피커(19), 마이크(20)의 전원이 끊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통신단말(1)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로 보이게 된다. 이와 같이 위치측위, 통신기능 이외의 전원을 오프하는 것으로, 본 시퀀스동작 시의 소비전력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면 GPS측위어플리케션을 기동하고, 위치측위부(13)에 의해 통신단말(1)의 위치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108). 그리고 측위한 통신단말(1)의 위치측위정보를 무선통신부(22)에 의해 해당 통신단말(1)의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소정의 감시서버(4)에 송신한다(스텝 S110).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전원키(14)가 눌러지고, 전원이 오프된 장소의 위치정보를 감시서버(4)에 통지할 수 있다. 감시서버(4)에서는 통신단말(1)로부터 위치측위정보를 수신하여 통신단말(1)의 위치를 관리한다. 감시서버(4)는 필요에 따라서 통신단말(1)에 대해 위치측위요구를 하는 것이 가능하며, 위치측위요구를 수신한 통신단말(1)은 위치정보를 감시서버(4)에 송신해도 좋다.
그 후, 위치측위요구의 수신 유무나, 읽어들인 위치측위설정정보에 따라서 바르게 위치정보가 송신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112). 해당 판정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판정에 있어서 위치측위를 실시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108로 되돌아가고, 위치측위, 위치정보의 송신을 반복한다. 한편, 상기 판정에 있어서 위치정보의 송신이 바르게 실시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타이머를 정지하고(스텝 S114), 통신기능의 전원을 오프로 한다(스텝 S116).
다음으로 도 4는 본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위치측위송신판정처리에 있어서의 상태천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우선 통신단말(1)은 대기상태 Sa200에 있다. 대기상태라는 것은 기지국을 통하여 통신처와의 통신이 바로 시작되는 상태, 통신처로부터의 위치측위요구의 수신이 가능한 상태, 또는 위치측위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상태이다. 이 대기상태 Sa200에 있어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의해서 상기한 스텝 S112에 있어서의 판정결과가 YES가 되는지 NO가 되는지를 판정한다.
대기상태 Sa200에 있어서 상기한 스텝 S104에서 시계를 개시한 타이머(경과시간(T))를 감시한다(Sa201). 경과시간(T)이 상기한 스텝 S102에서 읽어들인 위치측위설정정보의 위치측위계속최대시간(Tmax) 미만인 경우에는 대기상태 Sa200을 유지한다. 한편, 타이머감시상태 Sa201에 있어서 경과시간(T)이 위치측위설정정보의 위치측위계속최대시간(Tmax) 이상인 경우에는 대기상태 Sa200의 계속을 중지하며, 스텝 S112의 판정결과는 NO의 상태 Sa203이 된다. 또 대기상태 Sa200에 있어서 통신처로부터 위치측위요구를 수신한 경우에는 스텝 S112의 판정결과는 YES의 상태 Sa202가 된다.
이에 따라 위치측위계속최대시간(Tmax)이 되기까지는 통신처의 위치측위요구를 수신하며, 통신단말(1)의 위치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감시서버(4)는 통신단말(1)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시퀀스동작시에는 이미 스텝 S106에 있어서, 통신단말(1)의 표시부(18)나 스피커(19), 마이크(20) 등은 오프로 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통신단말(1)이 전원오프의 상태라고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음성이나 데이터, 위치측위요구메시지 이외의 메시지서비스 등의 발착신동작을 불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시지서비스라는 것은 통신처로부터 특정한 메시지를 수신했을 때에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동작하는 서비스이다. 음성이나 데이터, 메시지서비스 등의 발착신을 불능하게 하는 방법으로써는, 도 3의 전원오프 시퀀스동작시에는 음성이나 데이터발착신, 메시지서비스 등에 관한 동작을 무시, 또는 메시지의 거부를 나타내는 통지를 통신처에 대하여 송신하면 좋다. 즉, 발착신처리나 메시지수신에 관하여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을 방지하고, 필요한 위치검색기능만 유효하게 한다. 또한 착신에 관한 동작을 무시한다는 것은 착신에 관계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검출해도 그 응답을 송신하지 않고, 해당 착신메시지를 검출하지 않았던 것으로 하여 수신처리를 계속하는 것으로 한다.
본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위치측위요구의 메시지를 수신했을 때에 한하여, 측위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측위처리를 실행하는데, 그 경우에 있어서도 사용자에 대해서 그 측위의 실시를 통지하는 표시부(18) 및 스피커(19) 등 의 인터페이스기능을 오프한 채로 하여 보다 전력절약성 효과를 높이도록 한다.
또한 대기상태 Sa200에 있어서는 소비전력을 저감해야 하는 규정시간마다 통신처로부터의 위치검색을 위한 통지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간헐수신을 실행한다. 간헐수신은 연속 또는 계속적으로 수신기능을 온하는 것이 아니고, 통신단말(1)에 할당된 기지국(예를 들면 기지국(2))으로부터의 송신슬롯타이밍에 동기하여 필요시만 수신기능을 유효하게 하는 것이다. 이 때 대기처의 기지국이나 섹터를 전환하는 핸드오프동작과, 호출을 위한 위치등록존을 이동한 경우의 위치등록동작을 계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드오프라는 것은 통신단말(1)이 현재 통신을 하고 있는 기지국보다도 인접한 기지국의 전파를 강하게 수신할 수 있는 경우에 인접한 기지국으로 통신을 전환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통신단말(1)은 통신을 계속하면서 기지국간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핸드오프는 또한 기지국 내에 배치된 전파의 지향성에 의해서 구분되는 섹터간에서도 실시된다. 또 통신시스템 내에서는 복수의 기지국이 커버하는 약간 광역인 단위의 호출존을 관리하고 있다. 통신시스템은 통신단말(1)이 송신하는 위치등록메시지에 의해서 통신단말(1)이 존재하는 존을 등록하고, 해당 존 내의 기지국으로부터 호출을 실시하는 것으로 이동환경에서의 착신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통신단말(1)이 이 호출존을 넘어서 이동한 경우에는 신규로 위치등록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통상, 상기 핸드오프처리에 동반하고,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는 존을 식별하는 시스템파라미터에 의해 위치등록의 필요성이 통신단말(1)에 의해서 판정된다.
위치등록처리에서는 통신단말(1)로부터의 송신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력소비가 크다. 따라서 대기상태 Sa200에 있어서는 메시지착신을 보다 확실하기 위해 위치등록을 실행하는 설정과, 전력절약성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 수신계속을 위해 핸드오프를 계속하는데, 송신을 동반하는 위치등록을 생략하는 설정이 생각된다.
또 상기한 위치측위설정정보에 위치측위계속최대시간(Tmax)과 위치측위송신타이밍에 관한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타이머감시상태 Sa201에서 타이머에 의한 경과시간(T)이 위치측위송신타이밍을 나타내는 함수f(T)의 값과 일치했을 때(T=f(T))에 스텝 S112의 판정결과가 YES가 되는 상태 Sa202로 이행해도 좋다. 예를 들면 대기상태 Sa200에서 실행하는 간헐수신의 시간간격 T1에서, YES상태 Sa202로 이행할 경우, 경과시간(T)이 시간간격(T1)의 정수배가 되었을 때에 YES상태 Sa202로 이행하는 판정프로그램을 적용시킬 수 있다.
또 f(T)에 사용자인터페이스부(15)로부터의 키조작을 판정에 사용하는 것도 생각된다. 이 경우, 대기상태 Sa200에 있어서,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의 키(도시생략)가 조작된 경우에 위치측위동작이나 긴급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한 위치측위설정정보에 위치측위송신타이밍에 관한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위치측위계속최대시간(Tmax)의 동안, 통신처로부터의 위치측위요구에 따른 동작이 된다.
다음으로 도 5는 본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위치측위설정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위치측위설정정보에서는 본 시퀀스에 있어서의 위치측위를 계속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측위계속최대시간(Tmax)이나, 위치측위송신타이밍(T1) 등을 지정할 수 있다. 측위계속최대시간(Tmax)은 상기한 스텝 S104에서 개시한 타이머의 최대시간이며, 전원오프 조작 후, 대기상태 Sa200을 계속하며, 위치측위요구에 응답할 수 있는 시간을 지정한다. 최대시간을 설치함으로써 지정한 시간만큼 본 위치측위시퀀스를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위치측위송신타이밍(T1)은 대기상태 Sa200시에 측위계속최대시간(Tmax)미만의 동안에 단말주도로 위치측위를 실행하는 경우의 위치측위실시타이밍의 시간간격을 지정한다. 예를 들면 시계를 개시한 타이머가 위치측위송신타이밍에 지정한 시간간격의 정수배에 일치하는 경우에 위치측위를 실행한다.
단, 단말주도에서의 위치측위동작과 통신처로부터의 위치측위요구가 동시에 발생한 경우에는 통신처로부터의 위치측위동작을 우선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통신처로부터 위치측위요구 이외에 다른 메시지가 메워넣어질 가능성도 생각되며, 우선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으로 긴급시 등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단말주도에서의 위치측위를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위치측위송신타이밍의 설정은 없어도 좋다.
도 5a에서는 통신단말(1)의 전원오프 조작 후, 최대 1시간, 통신처로부터의 위치측위요구를 접수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5b에서는 통신단말(1)의 전원오프 조작 후, 10분간, 통신처로부터의 위치측위요구를 접수하고, 또한 간헐수신을 5회 실행할 때마다 위치측위를 실시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위치측위설정정보는 도 1의 설정보존부(16)에 보존되고, 상기한 스텝 S104 에서 읽어들이는데, 통신처로부터의 위치측위요구메시지에 위치측위설정이 포함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통신처로부터 지정된 위치측위요구메시지에 포함되는 측위계속최대시간(Tmax)이나 위치측위송신타이밍(T1)에 따라서 동작하면 좋다. 예를 들면 측위계속최대시간(Tmax)을 무한대로 설정하면, 본 시퀀스에 의한 위치측위정보송신을 실시하게 되고, 통신단말(1)의 전원한계까지 감시서버(4)는 통신단말(1)의 위치를 감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읽어들인 위치측위설정정보보다도 통신처로부터 수신한 위치측위설정정보를 우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위치등록요구자의 요구에 맞는 위치측위방법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6a 및 도 6b는 본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전원오프의 시퀀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신단말(1)의 전원이 투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키(도시생략)와 전원키(14)를 동시에 누르면(스텝 S200) 전원오프 처리를 실행하고, 통신단말(1)의 통신기능과 표시기능으로의 전원공급을 정지한다(S202).
이것은 위치검색주체모드에 있어서도 사용자가 전지의 소모를 억제하고 싶을 때에 위치측위를 위한 통신기능에도 전원공급을 정지시키는 동작이다. 설정키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나 사용자가 설정하는 경우가 생각된다. 사용자가 설정하는 경우에는 설정키를 알지 못하는 한, 제3자에 의해서 위치측위기능이나 통신기능의 전원을 오프로 하는 것을 억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설정키를 복수설정하고, 통신기능과 표시기능으로의 전원공급을 오프로 하기 위한 설정키(도시생략)에 더하여, 긴급설정키(도시생략)를 준비하는 것이 생 각된다. 설정키와 전원키(14)의 동시 누름 시에는 도 6a에 나타내는 동작을 실행한다. 한편, 긴급시에는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긴급설정키(도시생략)와 전원키(14)를 동시에 누르면(스텝 S300), 통신단말(1)의 위치정보를 감시서버(4)에서 관리해야 하는, 측위계속최대시간(Tmax)을 무한대로 한 전원오프 조작시의 위치측위동작시퀀스를 실행한다(스텝 S302). 즉, 이 경우에는 위치측위설정에도 불구하고, 측위계속최대시간(Tmax)이 무한대가 되고, 통신단말(1)의 전원한계까지 위치검색을 실행할 수 있는 모드로 하며, 보다 위치검색주체의 동작을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설정키 또는 긴급설정키(모두 도시 생략)와 전원키(14)를 동시에 누름으로써 통신단말(1)의 통신기능과 표시기능으로의 전원공급을 정지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신단말(1)의 표시부(18)에 전원이 끈어지는 것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위치검색기능을 포함하는 통신단말(1)의 전원이 절단된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고,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본 제 1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예시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실시형태에만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치정보의 통지처나 위치측위요구메시지의 발신원은 감시서버(4)가 아닌 네트워크를 통하여 대향하는 다른 통신단말에 있어서도 좋다.
B.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제 2 실 시형태에 의한 통신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8의 설명에 있어서 도 2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있어서, 시계IC(41)는 제어부(17)에 접속되고, 캘린더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백업전지(42)에 의해 구동된다.
다음으로 본 제 2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9는 본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전원오프 시퀀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원키(14)에 의한 전원오프 조작이 검출되면(스텝 S400), 표시부(18)에 전원오프의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는 동시에, 설정보존부(16)로부터 위치측위설정정보를 읽어들이는 처리 및 데이터백업처리를 포함하는 전원오프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402). 다음으로 제어부(17)를 제외하는 무선통신부(12)∼마이크(20)의 각 부로의 전원공급을 오프로 한다(스텝 S404).
여기에서의 위치측위설정정보는 적어도 시각 또는 시간지정을 포함한다. 그 패턴은 1일의 특정한 시간대를 나타내는 경우, 또는 전원오프 조작이 실행된 시각으로부터 소정의 경과시간을 나타내는 경우의 어느 쪽인가로 한다. 제어부(17)를 제외하는 각 부의 전원공급을 오프한 후, 제어부(17)는 전원온의 기동요구를 기다리든지, 위치측위설정정보에 의해 지정된 시각 또는 경과시간을 기다리는, 슬립상태로 이행한다(스텝 S406).
슬립상태에 있어서는 정기적으로 시계IC(41)의 시각데이터를 읽어들임으로써 지정시각을 검지하도록 해도 좋고, 또는 시계IC(41)에 대하여 지정시각이 된 경우에 인터럽트를 걸도록 설정해도 좋다. 또 전원온의 기동요구는 도시하지 않은 전 원온 회로에 의해서 생성되는 것으로 하고, 동일 회로에 의해 아울러서 제어부(17)의 초기화에 필요한 전원공급을 개시, 보존하는 것으로 한다. 제어부(17)는 전원온 시의 기동요구에 의해 초기화되고, 위치측위설정정보에 따른 동작에 대해서도 이것을 해제한다.
다음으로 슬립상태에 있어서의 위치측위설정정보에 의거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부(17)는 시계IC(41)의 캘린더기능에 의해 통지되는 시각데이터에 의거하여, 설정된 시간대의 기간 또는 소정 시간 경과 후에 또한 타이머처리에 관리되는 계속시간의 동안, 위치측위요구의 메시지를 대기하는 상태를 계속하도록 무선통신부(12), 위치측위부(13)의 전원을 온 상태로 하여 그 동작을 제어한다.
이 대기상태에 있어서 위치측위요구를 수신했을 때에는 위치측위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고, 자동적으로 측위처리를 실시하며, 위치정보를 요구처에 송신한다. 이 때 통상의 전원온 시와는 달리, 측위상황을 포함하는 통신단말(1)의 상태표시 또는 음향에 의한 통지를 실시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표시부(18), 스피커(19)로의 전원공급은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본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위치측위요구의 메시지를 대기하는 상태에 있어서의 핸드오프 및 위치등록처리에 관한 대응 및 위치측위요구를 제외하는 착신메시지에 대한 대응에 대해서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대기상태 Sa200과 동등해도 좋다. 이 대기상태 Sa200에 있어서의 착신에 대한 확실성과 전력절약성 효과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동등하다. 시계 IC(41)에 의한 증분은 있는데, 이것은 범용적인 IC에서 수 ㎂로 예상된다.
상기한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통신단말(1)은 전원오프가 실행되면, 미리 설정보존부(16)에 보존되어 있는 위치측위설정정보에 설정된 시각조건에서 위치측위요구의 수신동작을 실시하며, 지정시각 이외는 상기 슬립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저소비전력인 측위주체의 동작모드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8)

  1. 음성통신이나 데이터통신을 실시하는 통신단말에 있어서,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전원오프를 조작하는 전원키를 구비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수단과,
    음성통신이나 데이터통신을 실시하는 통신수단과,
    현재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위치정보취득수단과,
    상기 조작수단의 전원키에 의해 전원오프 조작되면, 적어도 상기 표시수단과 상기 조작수단으로의 전원공급을 오프로 하는 전원제어수단과,
    상기 전원제어수단에 의한 전원공급 오프 후, 상기 표시수단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위치정보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위치정보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단말 또는 감시장치에 송신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전원제어수단에 의한 전원공급 오프 후, 소정의 계속시간 동안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통신수단을 기동하여 대기상태로 하고, 상기 소정의 계속시간 내에 상기 다른 단말 또는 감시장치로부터의 위치측위요구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위치정보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위치정보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소정의 계속시간이 만료되기까지의 동안, 위치측위요구메시지를 수신하는 대기상태에 있어서는 간헐수신을 실시하고, 해당 간헐수신시에 음성착신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응답메시지의 송신을 실시하지 않거나 또는 거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소정의 계속시간이 만료되기까지의 동안, 위치측위요구메시지를 수신하는 대기상태에 있어서는 간헐수신을 실시하고, 해당 간헐수신시에 대기처의 변경을 실시하는 핸드오프동작을 계속하는 한편, 호출존의 이동에 동반하는 위치등록동작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위치등록동작을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
  5. 음성통신이나 데이터통신을 실시하는 통신단말에 있어서,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전원오프를 조작하는 전원키를 구비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수단과,
    음성통신이나 데이터통신을 실시하는 통신수단과,
    현재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위치정보취득수단과,
    상기 조작수단의 전원키에 의해 전원오프 조작되면, 적어도 상기 표시수단과 상기 조작수단으로의 전원공급을 오프로 하는 전원제어수단과,
    상기 전원제어수단에 의한 전원공급 오프 후, 상기 표시수단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소정의 계속시간 동안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통신수단을 기동하며, 상기 소정의 계속시간 내에 다른 단말 또는 감시장치로부터의 위치측위요구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위치정보취득수단에 의해 위치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위치정보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다른 단말 또는 감시장치에 송신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소정의 계속시간이 만료되기까지의 동안, 상기 다른 단말 또는 상기 감시장치로부터의 위치측위요구메시지를 수신하는 대기상태에 있어서는 간헐수신을 실시하고, 해당 간헐수신시에 음성착신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응답메시지의 송신을 실시하지 않거나 또는 거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
  7. 제 5 항에 있어서,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시간을 규정하는 위치측위계속시간정보와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타이밍을 규정하는 위치측위타이밍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전원제어수단에 의한 전원공급 오프 후, 상기 기억수 단으로부터 위치측위계속시간정보와 위치측위타이밍정보를 읽어들이고, 상기 위치측위계속시간정보에서 나타내어지는 위치측위계속시간이 만료되기까지의 동안, 상기 위치측위타이밍정보에서 나타내어지는 타이밍 내에서 상기 다른 단말 또는 상기 감시장치로부터의 위치측위요구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위치정보취득수단에 의한 위치정보의 취득을 실행하며, 취득된 위치정보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단말 또는 감시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측위타이밍정보는 위치측위를 실시하는 시간간격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위치측위계속시간이 만료되기까지의 동안, 상기 시간간격으로 상기 다른 단말 또는 상기 감시장치로부터의 위치측위요구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위치정보취득수단에 의한 위치정보의 취득을 실행하며, 취득된 위치정보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단말 또는 감시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통신단말.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은 설정키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위치측위계속시간이 만료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설정키가 조작되면, 상기 위치측위타이밍정보에서 나타내어지는 타이밍으로 상기 다른 단말 또는 상기 감시장치로부터의 위치측위요구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위치정 보취득수단에 의한 위치정보의 취득을 실행하며, 취득된 위치정보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단말 또는 감시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다른 단말 또는 상기 감시장치로부터의 위치측위요구메시지에 위치측위계속시간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해당 위치측위요구메시지에 포함되는 위치측위계속시간정보를 우선하여 상기 위치정보취득수단에 의해 위치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위치정보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단말 또는 감시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은 설정키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제어수단은 상기 설정키와 상기 전원키가 동시에 조작되면, 적어도 상기 위치정보취득수단, 상기 통신수단, 상기 표시수단으로의 전원공급을 오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통신단말.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은 긴급설정키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제어수단은 상기 긴급설정키와 상기 전원키가 동시에 조작되면, 상 기 위치정보취득수단, 상기 통신수단, 상기 제어수단 이외로의 전원공급을 오프로 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전원제어수단에 의한 전원공급 오프 후, 소정의 계속시간 동안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통신수단을 기동하고, 상기 소정의 계속시간 내에 상기 다른 단말 또는 상기 감시장치로부터의 위치측위요구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위치정보취득수단에 의해 위치정보를 취득하며, 취득된 위치정보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단말 또는 감시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통신단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전원제어수단에 의해 전원공급을 오프로 하기 전에 전원이 절단되는 것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통신단말.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소정의 계속시간이 만료되기까지의 동안, 상기 다른 단말 또는 상기 감시장치로부터의 위치측위요구메시지를 수신하는 대기상태에 있어서는 간헐수신을 실시하고, 해당 간헐수신시에 대기처의 변경을 실시하는 핸드오프동작과, 호출존의 이동에 동반하여 위치등록동작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위치등록동작을 계속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통신단말.
  1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소정의 계속시간이 만료되기까지의 동안, 상기 다른 단말 또는 상기 감시장치로부터의 위치측위요구메시지를 수신하는 대기상태에 있어서는 간헐수신을 실시하고, 해당 간헐수신시에 대기처의 변경을 실시하는 핸드오프동작을 계속하는 한편, 호출존의 이동에 동반하는 위치등록동작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해당 위치등록동작을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
  16. 제 1 항에 있어서,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시간을 규정하는 위치측위계속시간정보와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타이밍을 규정하는 위치측위타이밍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전원제어수단에 의한 전원공급 오프 후,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위치측위계속시간정보와 위치측위타이밍정보를 읽어들이고, 상기 위치측위계속시간정보에서 나타내어지는 위치측위계속시간이 만료되기까지의 동안, 상기 위치측위타이밍정보에서 나타내어지는 타이밍 내에서 상기 다른 단말 또는 상기 감시장치로부터의 위치측위요구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위치정보취득수단에 의한 위치정보의 취득을 실행하며, 취득된 위치정보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단말 또는 감시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
  17. 음성통신이나 데이터통신을 실시하는 통신단말의 위치감시방법에 있어서,
    전원오프 조작되면, 현재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취득한 후, 적어도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전원오프의 조작을 포함하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수단으로의 전원공급을 오프로 하는 단계와,
    전원공급 오프 후, 상기 표시수단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취득한 위치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단말 또는 감시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감시방법.
  18. 음성통신이나 데이터통신을 실시하는 통신단말의 위치감시방법에 있어서,
    전원오프 조작되면, 적어도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전원오프의 조작을 포함하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수단으로의 전원공급을 오프하는 단계와,
    전원공급 오프 후, 소정의 계속시간이 만료될 때까지 상기 표시수단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소정의 계속시간 동안,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소정의 계속시간 내에 다른 단말 또는 감시장치로부터의 위치측위요구메시지의 수신유무를 감시하는 단계와,
    해당 위치측위요구메시지를 수신하면, 현재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그리고
    취득된 위치정보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해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단말 또는 감시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감시방법.
KR1020060019251A 2005-03-02 2006-02-28 통신단말 및 위치감시방법 KR1007631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57828A JP4362453B2 (ja) 2005-03-02 2005-03-02 通信端末および位置監視方法
JPJP-P-2005-00057828 2005-03-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309A KR20060096309A (ko) 2006-09-11
KR100763103B1 true KR100763103B1 (ko) 2007-10-04

Family

ID=36947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9251A KR100763103B1 (ko) 2005-03-02 2006-02-28 통신단말 및 위치감시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65195B2 (ko)
JP (1) JP4362453B2 (ko)
KR (1) KR100763103B1 (ko)
CN (1) CN10048636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2994A (ja) * 2005-11-22 2007-06-07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携帯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7288433A (ja) * 2006-04-14 2007-11-01 Toshiba Corp 携帯端末及び位置測位システム
US7705726B2 (en) * 2006-10-11 2010-04-27 Nortel Networks Limited Wireless-enabled device with capability of responding to changes in operational state
US8849360B2 (en) * 2006-10-11 2014-09-30 Avay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with wireless-enabled devices that are capable of responding to changes in operational state
KR100791117B1 (ko) * 2006-11-09 2008-01-02 주식회사 서비전자 알 에프 통신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US8655419B2 (en) * 2007-02-01 2014-02-18 Microsoft Corporation Providing a power state alter signal to a device based upon a posi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bile device
JP2008252212A (ja) * 2007-03-29 2008-10-16 Fujifilm Corp 情報通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通信方法
WO2009017005A1 (ja) * 2007-07-27 2009-02-05 Sharp Kabushiki Kaisha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4584299B2 (ja) * 2007-12-12 2010-11-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位置管理システム、位置管理方法及び管理装置
JP4353442B2 (ja) * 2008-03-31 2009-10-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位置送信システム、車両、車両位置送信プログラム
US20100151878A1 (en) * 2008-12-15 2010-06-17 Ali Nader Radio Environment Measurement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0110418A1 (ja) 2009-03-26 2010-09-30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データ受信方法
KR20110035890A (ko) * 2009-09-30 2011-04-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치 측정 방법
US8270962B1 (en) * 2009-10-20 2012-09-18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Emergency calls o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during a device reboot
JP5539947B2 (ja) * 2011-11-07 2014-07-02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電子機器
CN103428648A (zh) * 2012-05-16 2013-12-04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用于发送/接收定时消息的终端及其网络服务器
AU2013271709A1 (en) * 2012-06-06 2015-01-22 Facebook, Inc. Method,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storage media and a device generally relating to location tracking
US9088865B2 (en) 2012-06-06 2015-07-21 Facebook, Inc. Global-positioning system (GPS) update interval based on sensor
AU2014215033B2 (en) * 2013-02-06 2015-10-29 Facebook, Inc. Global-positioning system (GPS) update interval based on sensor
WO2018149496A1 (en) * 2017-02-16 2018-08-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chanisms for locating wireless device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255A (ko) 2000-09-01 2002-03-08 서평원 배터리 전원 꺼짐 시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발신 장치 및 방법
JP2002209248A (ja) * 2001-01-11 2002-07-26 Secom Co Ltd 携帯端末
JP2002335566A (ja) * 2001-05-08 2002-11-22 Kyocera Corp 携帯通信端末とその捜索システム
JP2003018635A (ja) * 2001-07-02 2003-01-17 Secom Co Ltd 位置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装置
JP2003218767A (ja) * 2002-01-18 2003-07-31 Nec Saitama Ltd 携帯電話機の位置登録方法と、そ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
JP2004007194A (ja) * 2002-05-31 2004-0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情報端末検索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携帯情報端末
KR20050001157A (ko) 2003-06-27 2005-01-06 주식회사 팬택 긴급 위치보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7718A (ja) 1995-05-31 1996-12-13 Furuno Electric Co Ltd 測位装置および測位方法
JP4479060B2 (ja) 2000-05-29 2010-06-09 ソニー株式会社 車載用電子機器
US7149201B2 (en) * 2000-12-20 2006-12-12 Denso Corporation Enhanced bearer overhead monitoring for improved position location performance for wireless mobiles
JP2003101640A (ja) 2001-09-21 2003-04-04 Sharp Corp 携帯端末
JP4254219B2 (ja) 2002-11-29 2009-04-1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無線通信装置
US7065664B2 (en) * 2003-03-18 2006-06-20 Inventec Appliances Corp. Power management for a PDA system
US20040224659A1 (en) * 2003-05-08 2004-11-11 Cheng Steven D. Power saving method for mobile unit
US6975872B2 (en) * 2004-03-26 2005-12-13 Benq Corporation Always-on method for reinforcing existing mobile station E911-based location detection services applications
US7474886B2 (en) * 2004-05-13 2009-01-06 Ixi Mobile (R&D), Lt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graceful shutdown system and method
US20060141960A1 (en) * 2004-12-29 2006-06-29 Motorola, Inc. Triggering an emergency mode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thereof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255A (ko) 2000-09-01 2002-03-08 서평원 배터리 전원 꺼짐 시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발신 장치 및 방법
JP2002209248A (ja) * 2001-01-11 2002-07-26 Secom Co Ltd 携帯端末
JP2002335566A (ja) * 2001-05-08 2002-11-22 Kyocera Corp 携帯通信端末とその捜索システム
JP2003018635A (ja) * 2001-07-02 2003-01-17 Secom Co Ltd 位置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装置
JP2003218767A (ja) * 2002-01-18 2003-07-31 Nec Saitama Ltd 携帯電話機の位置登録方法と、そ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
JP2004007194A (ja) * 2002-05-31 2004-0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情報端末検索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携帯情報端末
KR20050001157A (ko) 2003-06-27 2005-01-06 주식회사 팬택 긴급 위치보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86362C (zh) 2009-05-06
JP2006245930A (ja) 2006-09-14
KR20060096309A (ko) 2006-09-11
US20060205445A1 (en) 2006-09-14
US7865195B2 (en) 2011-01-04
JP4362453B2 (ja) 2009-11-11
CN1829362A (zh) 200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3103B1 (ko) 통신단말 및 위치감시방법
US8437810B2 (en) Power management for multimo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006153695A (ja) 位置検出方法および装置
EP1765024B1 (en)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m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699332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communication/communication suppression mode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6397088B1 (en) Location search auxiliary system for cellular radio telephone and method for using same
JP2002335566A (ja) 携帯通信端末とその捜索システム
JP2002186021A (ja) 電源制御機能付き携帯電話機とその制御方法
JP2004221730A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複合携帯端末
JP2005020198A (ja) 通信端末
US2004019222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1119762A (ja) データ送信端末装置およびデータ通信方法
JP2826522B2 (ja) 無線移動局
JP3037322B1 (ja) デジタル移動体通信システム、その移動体端末、および位置登録方法
JP2001257621A (ja) 携帯用無線通信装置
JP2005012491A (ja) 移動通信装置
JP2000152340A (ja) デ―タ送信端末装置、デ―タ通信方法およびデ―タ通信システム
JP2003134029A (ja) 無線通信端末装置
JPH11215562A (ja) 移動無線装置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ならびに移動無線装置の通話規制方法
JP2002152061A (ja) 緊急信号発信装置付き携帯電話
JP4226189B2 (ja) 携帯電話機
JP2001128248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送信端末装置
KR2003003912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비전력 제어 방법
JP3299220B2 (ja) 携帯電話システム
JP2002165267A (ja) 移動無線システムとその移動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