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7423B1 -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7423B1
KR100727423B1 KR1020040081120A KR20040081120A KR100727423B1 KR 100727423 B1 KR100727423 B1 KR 100727423B1 KR 1020040081120 A KR1020040081120 A KR 1020040081120A KR 20040081120 A KR20040081120 A KR 20040081120A KR 100727423 B1 KR100727423 B1 KR 100727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dditional function
delete delete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2104A (ko
Inventor
정진섭
이승원
지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Priority to KR1020040081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7423B1/ko
Publication of KR20060032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2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7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7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Abstract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 제어방법은, 제1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소정 부가기능의 사용이 정지되고, 제2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정지된 소정 부가기능이 재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며, 이동통신단말기가 부가기능의 사용이 제한되는 제어영역에 진입하면, 제1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소정 부가기능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하는 단계,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상태를 검출한 결과를 응답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가기능의 사용이 제한되는 제어영역 내에 위치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특정 부가기능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으며, 그 제한 상태를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검출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 부가기능, PN, SMS 메시지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the additional function of mobile communc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기능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3은 운용서버의 운용화면의 일 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이동통신단말기 150 : 제1 제어신호 송출장치
152 : 제2 제어신호 송출장치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기능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지역에 위치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소정 부가기능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여 관리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가 널리 보급되면서 사람과 사람의 커뮤니케이션에서 공간 제약이 사라지고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사람과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는 기본적인 음성통화 기능외에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편리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동통신단말기에 부가되는 기능으로는, 카메라기능, 캠코더기능, 보이스 레코더기능, 메세지전송기능, MP3 기능, 무선 인터넷기능 등이 있으며,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반영하기 위해 더 많은 기능이 부가될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가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으나, 이에 수반하여 사생활침해나 정보유출 등과 같은 역작용도 유발하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단말기에 부가된 카메라 기능 등은, 연구소나 정부 주요 기관 등에서 정보의 유출을 용이하게 하며, 공중목욕탕과 같은 장소에서 개인 프라이버시의 보호를 어렵게 만든다.
이에 따라, 기업정보 유출로 인한 경쟁력 약화, 정부관련자료 유출을 통한 사회의 혼란, 사생활침해 등을 야기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은 사용을 제한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미 이동통신단말기에 부가된 기능의 사용을 일방적으로 제한할 수는 없으므로, 정보유출이나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가 우려되는 지역내에서 만이라도 이동통신단말기의 소정 부가기능의 사용을 제한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소정 부가기능의 사용이 제한되는 제한영역내에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소정 부가기능의 동작 여부를 원격 제어하고, 그 상태를 응답받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부가기능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 제어방법은, 제1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소정 부가기능의 사용이 정지되고, 제2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정지된 상기 소정 부가기능이 재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부가기능의 사용이 제한되는 제어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소정 부가기능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상태를 검출한 결과를 응답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제어신호는, 기지국에서 미사용되는 PN 번호 및 PN 코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신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소정 SMS 메시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제어영역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 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제어영역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는, 상기 제어영역의 입구에 설치된 보안게이트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한영역의 입구에 설치되는 바코더 리더기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되는 바코더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정보에 의해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제어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정지된 상기 소정 부가기능이 재동작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2 제어신호는, 기지국에서 미사용되는 PN 번호 및 PN 코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신호인 것를 사용할 수 있으며, 소정 SMS 메시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한 결과를 응답받아 데이터 베이스화여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응답받는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 상기 동작상태에 대응하는 바코드가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바코드를 읽어서, 대응되는 검출 결과를 응답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응답받는 단계에서, 상기 동작상태를 검출한 결과는, SMS 메시지를 통해 응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제어방법은, 제1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소정 부가기능의 사용이 정지되고, 제2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정지된 상기 소정 부가기능이 재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 제어에 있어서, 상기 부가기능의 사용이 제한되는 제어영역의 입구에 설치된 제1 장치로부터상기 이동통신단말기 가 상기 제어영역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제어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소정 부가기능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상태를 검출한 결과를 응답받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영역의 출구에 설치된 제2 장치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제어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검출되면,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정지된 상기 소정 부가기능이 재동작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 제어방법은, 제1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소정 부가기능의 사용이 정지되고, 제2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정지된 소정 부가기능이 재동작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한다. 이동통신단말기가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내부 프로그램을 변경해야 한다.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프로그램의 변경은, 제품 출하시에 미리 변경되거나, 혹은 통신망을 통해 다운받은 프로그램에 의해 변경할 수도 있다.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는, 기지국에서 미사용되는 소정 PN(Pseudo Noise) 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PN(Pseudo Noise) 코드가 다중 접속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데, CDMA방식의 경우 송수신 양측이 동일한 PN 코드를 가지고 있어야 통신이 가능하다. PN 코드열 (15bits)은 주기적으로 반복(26.67ms)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의 시간적 편차를 이용하여, 최대 512개까지의 기지국을 구분한다. 따라서, CDMA 방식의 경우, 기지국이 사용하지 않는 PN 번호가 존재하게 되므로,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프로그램 을 변경하여, 소정 PN 번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신호로 사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특정 부가기능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혹은 정지된 동작을 원래대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비동기식의 이동시스템의 경우라면, 각 기지국이 서로 다른 PN 코드를 사용하게 되므로, 기지국이 사용되지 않는 PN 코드를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신호로 사용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미리 약속된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소정 부가기능을 제한하는 제한영역(A)내에 제1 제어신호 송출장치(150)가 설치되고, 이 제한영역(A)을 벗어나는 영역(B)에 제2 제어신호 송출장치(152)가 설치된다. 제1 제어신호 송출장치(15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특정 부가기능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1 제어신호를 송출하며, 제2 제어신호 송출장치(152)는 제1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이 정지된 부가기능을 원래대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2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제한영역(A)내로 진입하여 제1 제어신호 송출장치(150)로부터 제1 제어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카메라 기능과 같은 소정 부가기능의 사용이 정지된다. 그리고, 제한지역(A)을 벗어나 제2 제어신호 송출장치(200b)로부터 제2 제어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정지된 기능이 원래대로 동작하게 된다. 이에 따라, 부가기능의 사용이 제한되는 제한영역(A) 내에 위치하는 이동통신단말기(100)에 대하여 카메라 기능과 같은 소정 부가기능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의 사용이 제한되는 제한영역의 출입구에 보안 게이트(speed gate)(210)가 설치되고, 제한영역내에 제어신호 송출장치(220) 및 바코더 리더기(230)가 설치되며, 보안 게이트(210) 및 바코더 리더기(230)는 운용서버(240)에 접속되어 있다.
보안 게이트(210)는 제한지역의 입구에 설치되어, 출입자의 출입증(205)을 이용하여 보안 게이트(210)에 출입을 등록하면, 이에 대한 출입자 정보가 운용서버(240)에 전달된다. 이후, 출입자가 소지한 이동통신단말기(200)가 제한영역내에 진입하게 되면, 제어신호 송출장치(220)로부터 송출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소정 부가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200)가 소정 부가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되면,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표시창에는 현재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바코더가 표시된다. 이동통신단말기(200)의 표시창에 표시된 바코더는 바코더 리더기(230)를 통해 대응되는 정보가 운용서버(240)로 전송되며, 운용서버(240)는 전송된 정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200)의 현재의 동작상태가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저장 및 관리된다.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부가기능의 사용이 제한되는 제한영역을 벗어나게 되면, 또 다른 제어신호 송출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의해, 정지된 부가기능이 원래대로 동작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제한영역에 츨입하는 사람이 소지한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특정 부가기능의 사용 제한여부를 원격 제어할 수 있으며, 그 동작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운용서버(240)의 운용화면의 일 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LOCK'으로 표시된 것은 해당 부가기능의 사용이 제한됨을 표시하며, 'UNLOCK'으로 표시된 것은 사용이 제한되어 있지 않음을 표시한다. 운용서버(240)에서는 이와 같은 운용화면을 통해 제한지역내에 있는 이동통신단말기(200)의 현재 동작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본 제3 실시예의 경우,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의 사용을 제한하는 제어신호로 SMS 메시지를 사용한다는 점외에는, 제2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과정에 의해 수행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의 사용이 제한되는 제한영역의 출입구에 보안 게이트(310)가 설치되고, 제한영역내에 바코더 리더기(330) 및 이에 접속되는 운용서버(340)가 있다.
제2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보안 게이트(310)는 제한지역의 입구에 설치되어, 사원증과 같은 출입자의 출입증(305)을 이용하여 보안 게이트(310)를 통해 출입을 등록하면, 이에 대한 출입자 정보가 운용서버(340)에 전달된다. 출입자가 소지한 이동통신단말기(300)가 제한영역내에 진입하게 되면, 운용서버(340)는 보안 게이트(310)로부터 전송된 출입자 정보에 따라 해당 이동통신단말기(300)에 부가기능 사용 제한을 위한 SMS 메시지를 통신망(10)을 통해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이동통신단말기(300)는 특정 부가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되며,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표시창에는 현재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바코더가 표시된다.
이동통신단말기(300)의 표시창에 표시된 바코더는 바코더 리더기(330)를 통해 읽혀져서 대응되는 출입자 정보가 운용서버(340)로 전송되며, 운용서버(340)는 전송된 정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300)의 현재의 동작상태가 데이터 베이스화 되어 저장 및 관리된다. 이동통신 단말기(300)가 부가기능의 사용이 제한되는 제한영역을 벗어나게 되면, 제어신호 송출장치(미도시)로부터 송출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정지된 부가기능이 원래대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본 제4 실시예의 경우, 부가기능의 제한을 위한 제어신호로 SMS 메시지를 사용할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단말기의 현재 동작상태가 SMS 메시지를 이용하여 운용서버에 전송되는 방식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400)의 부가기능의 사용이 제한되는 제한영역의 출입구에 보안 게이트(410)가 설치되고, 보안 게이트(410)는 운용서버(440)에 접속된다.
보안 게이트(410)는 제한지역의 입구에 설치되어, 사원증과 같은 출입자의 출입증(405)을 이용하여 보안 게이트(410)를 통해 출입을 등록하면, 이에 대한 출입자 정보가 운용서버(440)에 전달된다. 출입자가 소지한 이동통신단말기(400)가 제어영역내에 진입하게 되면, 운용서버(440)는 보안 게이트(410)로부터 전송된 출입자 정보에 따라 해당 이동통신단말기(400)에 부가기능 제한을 위한 제1 SMS 메시지를 통신망(20)을 통해 전송한다.
제1 SMS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단말기(400)는 특정 부가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되고, 이동통신단말기(400)는 이에 응답하여 현재의 동작상태를 통신망(20)을 통해 운용서버(440)에 제2 SMS 메시지로 전송한다. 운용서버(440)는 제2 SMS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동통신단말기(400)의 현재의 동작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데이터 베이스화 하여 저장 및 관리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본 제5 실시예의 경우, 이동통신단말기의 현재 상태를 SMS 메시지를 사용하여 운용서버에 전송한다는 점외에는, 제2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과정에 의해 수행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500)의 부가기능의 사용이 제한되는 제한영역의 출입구에 보안 게이트(510)가 설치되고, 제한영역내에 제어신호 송출장치(520)가 설치되며, 보안 게이트(510)는 운용서버(540)에 접속된다.
보안 게이트(510)는 제한지역의 입구에 설치되어, 사원증과 같은 출입자의 출입증(505)을 이용하여 보안 게이트(510)를 통해 출입을 등록하면, 이에 대한 출입자 정보가 운용서버(540)에 전달된다. 출입자가 소지한 이동통신단말기(500)가 제어영역내에 진입하게 되면, 제어신호 송출장치(520)로부터 송출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500)는 특정 부가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500)는 현재의 상태를 운용서버(540)에 SMS 메시지를 통신망(30)을 통해 전송한다. 운용서버(540)는 이동통신단말기(500)로부터 전송된 SMS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동통신단말기(500)의 현재의 동작상태가 데이터 베이스화 되어 저장 및 관리된다.
한편, 상기한 제2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서 보안게이트에 출입증을 이용하여 출입을 등록하고, 이에 따른 출입자 정보가 운용서버에 전송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출입증 대신 바코더를 내장하도록 내부 프로그램을 변경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는 각각 고유한 바코드가 표시되도록 하며, 제한지역의 입구에는 보안게이트 대신 이동통신단말기에 표시된 바코더를 읽을 수 있는 바코더 리더기가 설치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부가기능의 사용을 제한하는 제한영역 내에 위치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특정 부가기능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으며, 제한지역내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한 지역에서 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생활 보호에도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의 사용이 제한되는 제한영역의 출입구에 설치된 보안 게이트, 상기 제한영역 내에 설치되는 바코드 리더기 및 상기 보안 게이트와 상기 바코드 리더기에 유선으로 연결된 운용서버로 이루어진 시스템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 제어방법에 있어서,
    보안 게이트가 상기 제한영역에 진입하는 출입자의 정보를 등록받아 운용서버에 전달하는 단계;
    운용서버가 상기 전달받은 출입자 정보에 따라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에 부가기능 사용 제한을 위한 SMS 메시지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 사용을 제한하는 단계;
    상기 바코드 리더기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된 바코드를 읽어들어 운용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운용서버가 상기 바코드 리더기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의 동작상태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 제어방법.
KR1020040081120A 2004-10-11 2004-10-11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 제어방법 KR100727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120A KR100727423B1 (ko) 2004-10-11 2004-10-11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120A KR100727423B1 (ko) 2004-10-11 2004-10-11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104A KR20060032104A (ko) 2006-04-14
KR100727423B1 true KR100727423B1 (ko) 2007-06-13

Family

ID=37141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120A KR100727423B1 (ko) 2004-10-11 2004-10-11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74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7539A1 (ko) * 2011-11-22 2013-05-30 슈어소프트테크주식회사 이동 단말과 이동 단말 기능 제어 방법 및 이동 단말 기능 통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655B1 (ko) * 2008-09-12 2015-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8815A (ko) * 2000-05-31 2001-12-08 조성준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및 그 방법
KR20040075547A (ko) * 2003-02-21 2004-08-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파를 이용한 휴대용 통신기기의 카메라 기능 원격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20040078707A (ko) * 2003-03-04 2004-09-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비동기식 휴대용 통신기기의 카메라 기능 원격 제어 방법및 시스템
KR20050045662A (ko) * 2003-11-12 2005-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시스템 및 방법
KR20060030277A (ko) * 2004-10-05 2006-04-10 이노에이스(주) 특정 위치에서 사용되는 장치의 동작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8815A (ko) * 2000-05-31 2001-12-08 조성준 무선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통화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및 그 방법
KR20040075547A (ko) * 2003-02-21 2004-08-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파를 이용한 휴대용 통신기기의 카메라 기능 원격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20040078707A (ko) * 2003-03-04 2004-09-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비동기식 휴대용 통신기기의 카메라 기능 원격 제어 방법및 시스템
KR20050045662A (ko) * 2003-11-12 2005-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시스템 및 방법
KR20060030277A (ko) * 2004-10-05 2006-04-10 이노에이스(주) 특정 위치에서 사용되는 장치의 동작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7539A1 (ko) * 2011-11-22 2013-05-30 슈어소프트테크주식회사 이동 단말과 이동 단말 기능 제어 방법 및 이동 단말 기능 통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104A (ko) 2006-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6610B2 (en) Access control system, access control method and devices suitable therefor
US20100141381A1 (en) Access control system, lock device, administration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CN105593911B (zh) 访问控制方法和访问控制系统
KR101516391B1 (ko) 이동 단말기에서 근접 통신 모듈에 대한 액세스를 안전하게 하는 방법 및 그 장치 그리고 그 프로그램 매체
EP1657944A1 (en) Presence update system and method therefo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non-contact communication apparatus used therefor
CN102857736A (zh) 访客的远程互动方法及其系统
CN109002875B (zh) 二维码加密方法、二维码传输系统及存储介质
KR101211661B1 (ko)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사용자 입출입 감시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21874A (ko) 스마트 코드를 이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21571A (ko) Qr코드를 활용한 출입자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690096B (zh) 控制装置、控制系统、控制方法和存储介质
JP2007132031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退室管理方法
KR100742754B1 (ko) 무인 감지 보안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10072742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 제어방법
JP2004502061A (ja) 車両用の駐車スペースの遮断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EP2665245B1 (en) Remote control system, relay device, communication device, and remote control method
KR20060118471A (ko)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의 도난 방지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944246B1 (ko)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을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37662A (ko) 근거리통신을 이용한 시설 보안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65400B1 (ko)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사용자 입출입 관리장치 및 그 방법
JP3974350B2 (ja) 情報発行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WO2018190223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親機、親機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484654A (zh) 电子门锁设备
KR200205599Y1 (ko)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JP2005233806A (ja) 線量計装置、及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