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5662A -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5662A
KR20050045662A KR1020030079822A KR20030079822A KR20050045662A KR 20050045662 A KR20050045662 A KR 20050045662A KR 1020030079822 A KR1020030079822 A KR 1020030079822A KR 20030079822 A KR20030079822 A KR 20030079822A KR 20050045662 A KR20050045662 A KR 20050045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amera function
unique cod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9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4442B1 (ko
Inventor
박창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9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442B1/ko
Publication of KR20050045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5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4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아무런 제한 없이 대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타인이 이를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생활이 침해되거나 보호되어야 하는 정보가 유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촬영이 금지되는 보안 구역에 진입하는 경우 무단 촬영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하므로 일반적인 통신이나 개인 정보의 사용까지도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카메라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촬영 금지 구역에 진입하는 경우 출입문에 설치된 카메라 기능 제어기로부터 카메라 기능을 제어하는 고유코드를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수신 받아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촬영 금지 구역에서 진출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 기능 제어기로부터 기 제공된 고유코드를 재 전송 받음으로써 카메라 기능 제한을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촬영 금지 구역 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를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사생활 및 보안 정보를 보호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카메라 기능을 제외한 모든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 시스템 및 방법{USAGE RESTRICTIO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CAMERA ADAPTED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촬영이 제한된 보안 구역에 카메라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진입하는 경우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해당 단말기에 대한 고유코드를 부여하면서 카메라의 촬영 기능을 제한하도록 하고, 진출하는 경우 상기 고유코드를 확인을 통해 촬영 기능 제한을 해제하도록 하여 개인 사생활과 보안이 필요한 정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신 속도가 개선되고, 내부 메모리 및 처리 속도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표시 장치의 확대 및 표시 수준의 개선을 통해 사진은 물론이고 동영상을 감상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또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및 생성이 가능할 정도의 기술적 진보에 따라 종래에는 불필요하게 여겨졌던 기능들이 차츰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예를 들어, 처음 등장에서 그 활용이 미비했던 카메라 기능은 그 해상도의 향상에 따라 기존의 디지털 카메라의 활용 영역까지 그 용도가 넓어지고 있는데, 이미 메가 픽셀을 넘어선 사진/동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제품까지 개발되었다.
이러한 디지털 카메라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되거나 착탈식으로 제공되어 원하는 경우 카메라 모듈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디지털 카메라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데, 휴대하고 있는 시간이 많기 때문에 어디에서든지 사진 혹은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흥미 위주의 사진 뿐만 아니라 특정 사고 시 사건을 증명할 수 있는 사진을 촬영할 수도 있다. 또한, 자신이 흥미가 있는 대상을 발견하면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저장하여 이를 분석 및 연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렇게 찍은 사진을 멀티미디어 메세지 형태로 타인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화상 통화를 이용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원거리의 상대방에게 영상을 전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 기능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는 더없이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무분별한 촬영으로 인한 피해가 속출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이미 사회적인 문제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특히 휴대하는 사용자가 많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성 상 내장된 카메라가 언제 동작하는 지를 타인이 알기 어렵기 때문에 도촬이나 보안이 요구되는 정보의 유출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사진 촬영이 금지된 전시장, 박물관 혹은 군사 보호 지역에서의 무단 촬영이 발생할 수 있고, 고급 산업 정보를 내부인이나 외부 방문자가 손쉽게 획득하여 이를 유출할 수 있다.
이러한 무단 촬영은 정보 유출의 피해 뿐만 아니라 개인 사생활도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는데, 타인에 대한 무분별한 사진촬영은 사생활 침해를 넘어 범죄 행위에 가까울 정도로 정도가 심하다. 예를 들어, 수영장에서의 무단 촬영이나 심지어는 목용탕에서의 무단 촬영에 이르기까지 언제 자신의 모습이 촬영될지 모른다는 심리적인 불안감이 사회 전반에 퍼지고 있다.
따라서, 카메라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한 상태로 촬영이 금지되는 보안 구역에 진입하는 경우 이를 통제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휴대를 금지시키는 것이 일반화 되었다. 하지만 이는 기본적인 통신 기능이나 개인 정보의 사용까지 불가능하게 하므로, 해당 보안 구역에서 생활하는 사용자의 불편이 지대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아무런 제한 없이 대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타인이 이를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생활이 침해되거나 보호되어야 하는 정보가 유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촬영이 금지되는 보안 구역에 진입하는 경우 무단 촬영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하므로 일반적인 통신이나 개인 정보의 사용까지도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카메라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안 구역에 진입하는 경우 출입문에 설치된 카메라 기능 제어기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면서 고유코드가 포함된 촬영기능 제한 정보를 제공하면, 이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촬영 기능을 제한하여 촬영을 금지하고, 상기 보안 구역을 진출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 기능 제어기가 기 전송한 고유코드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재 전송하며 이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를 이전에 수신한 고유코드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촬영 기능 제한을 해제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은 촬영이 금지되는 구역의 출입부에 배치되며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출입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면서 진입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카메라 기능 제한을 위한 고유코드를 제공하고, 진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 기능 제한 해제를 위해 기 제공된 고유코드를 다시 제공하는 카메라 기능 제어기와;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카메라 기능 제한을 위한 고유코드를 수신하여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고 상기 고유코드의 재 수신에 의해서만 카메라 기능 제한을 해제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유코드는 상기 카메라 기능 제어기가 임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임의로 생성하는 고유한 코드 및 카메라 기능 제한을 위한 코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안구역 진입을 위해 카메라 기능 제어기에 인접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 기능 제어기가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정보를 확인하고 고유코드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고유코드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를 비밀코드로 간주하며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안구역 진출을 위해 카메라 기능 제어기에 인접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 기능 제어기는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정보를 확인하고 기 제공된 고유코드를 재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고유코드를 재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 수신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카메라 기능 제한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안구역 진출을 위해 카메라 기능 제어기에 인접하는 경우 근거리 통신으로 해당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에 대해 기 제공한 고유코드가 없거나 현재 단말기에서 사용중인 코드와 기 제공한 고유코드가 상이한 경우 이를 관리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간단한 구성을 보이는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카메라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한 상태로 촬영이 금지되는 보안 구역에 진입하는 경우 이를 통제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휴대를 금지시켜 기본적인 통신이나 개인정보의 사용까지도 불가능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안 구역의 진입이나 진출을 위해 마련된 보안 검색대에 부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당연하게도 보안 검색대가 없는 일반적인 출입문에도 사용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 구역(10)의 출입문에 형성된 보안 검색대에 이동통신 단말기들과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카메라 기능 제어기(20a, 20b)를 각각 진입부와 진출부에 분산 배치한다.
카메라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30)가 진입하고자 하는 경우를 보면, 진입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30a)가 상기 진입부에 형성된 카메라 기능 제어기(20a)에 근접하게 되면, 상기 카메라 기능 제어기(20a)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a)는 근거리 통신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무선(RF) 통신등일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근거리 통신을 복합적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 기능 제어기(20a)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진입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30a)의 정보를 확인한 후 임의의 고유코드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a)에 제공한다.
상기 고유코드는 임의의 비밀번호로 사용될 코드와 카메라 기능 제한을 위한 정보임을 나타내는 코드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고유한 코드를 가지도록 생성한다. 이는 단순한 임의의 난수일 수도 있으나 특수한 암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된 암호화 정보일 수도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a)는 상기 고유코드를 수신한 후 이를 이용하여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게 된다. 이렇게 제한된 카메라 기능은 상기 고유코드를 재 수신하는 경우에만 해제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해제될 수 없다. 이 경우 소정의 문자나 음향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카메라 기능이 제한되었음을 알려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진입부에 위치한 카메라 기능 제어기(20a)는 근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30a)가 진입을 위해 근접하는 것이라는 것을 이미 인지하고 있으므로 근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30a)에 이전에 설정되고 해제되지 않은 코유코드가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단순히 고유코드 제공 및 이동통신 단말기 정보와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진입부에 위치한 카메라 기능 제어기(20a)는 근거리 통신부, 고유코드 발생부, 이동통신 단말기 정보 및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저장부등이 필요하다.
도시된 보안 구역(10)에는 점선으로 보인 부가적인 카메라 기능 제어기들(20c~20f)이 배치될 수 있는데, 이는 진입하는 이동통신 단말기(30a)의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로 보안 구역에 진입한 후 새롭게 전원을 인가하는 경우 카메라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됨을 방지하는 것이다. 하지만,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을 보안 검색대에 포함시켜 사용하는 경우라면 보안 검색대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발견할 수 있으므로 전원을 켜지 않고 통과할 수 없게 되므로, 이러한 경우 상기 부가적인 카메라 기능 제어기들(20c~20f)은 필수적이 아니다.
상기 카메라 기능이 제한된 이동통신 단말기(30b) 사용자가 상기 보안 구역(10)을 벗어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진출부에 배치된 카메라 기능 제어기(20b)에 근접하게 된다. 상기 진출부에 배치된 카메라 기능 제어기(20b)는 상기 진입부에 배치된 카메라 기능 제어기(20a)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진입한 이동통신 단말기들에 대한 정보를 공유해야 한다.
상기 진출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30b)의 근접에 따라 상기 카메라 기능 제어기(20b)는 근거리 통신을 실시하게 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b)의 정보를 기 저장된 진입자 이동통신 단말기 정보들 중에서 검색한다. 상기 진출부에 위치한 카메라 기능 제어기(20b)는 근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보안 구역에서 진출하고자 한다는 것을 알고 있으므로 상기 과정에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를 검출하지 못한다면 이는 문제(진입시 전원 오프한 채로 진입후 카메라 사용 가능성 있음, 진입부의 카메라 기능 제어기에 문제가 있을 수 있음)가 있는 것이므로 관리자에게 이를 알 릴 수 있다.
만일 상기 과정에서 진입한 이동통신 단말기 정보 중 해당 단말기 정보를 검출한다면 상기 카메라 기능 제어기(20b)는 기 제공된 고유코드를 획득하여 이를 인접한 이동통신 단말기(30b)에 제공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b)는 수신된 고유코드를 기 저장된 고유코드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카메라 기능 제한을 해제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카메라 기능이 해제되면 카메라 해제 상태를 문자 혹은 음향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만일 해당 고유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30b)는 이를 상기 카메라 기능 제어기(20b)에 알리고, 상기 카메라 기능 제어기(20b)는 관리자에게 이러한 사실을 통보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와 유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안 구역(10)의 출입부에 하나의 카메라 기능 제어기(20)를 위치시키는 경우이다. 이 경우 상기 카메라 기능 제어기(20)는 처음 근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30a)에는 고유코드를 제공하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a)의 정보를 저장하고, 이후 동일한 이동통신 단말기(30b)가 진출하기 위해 근접하면 이를 확인하여 제공된 고유코드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b)에 다시 제공하여 카메라 기능 제한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역시 문제 발생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이를 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과정을 보이는 순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안 검색대를 통과하여 보안 구역에 진입 및 진출하는 경우의 한 예를 보인 것이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가 검색대를 통과하여 진입하게 되는데, 이 경우 보안 검색대의 관리자는 진입하고자 하는 사람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는 지를 다양한 방법을 통해 확인하며, 만일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다면 전원을 켜 줄 것을 요청할 수 있으므로 해당 검색대를 통과하는 모든 휴대 단말기는 전원이 켜져 카메라 기능 제어기와 필수적으로 통신을 실시해야 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카메라 기능 제어기와 근거리 통신 방식 중 하나로 통신을 실시하게 되면, 상기 카메라 기능 제어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하고 임의의 고유코드를 생성하여 이를 단말기에 제공한 후 그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고유코드를 수신한 단말기는 상기 고유코드를 비밀번호로 하여 카메라 기능을 제한(정지)한다. 이후 상기 고유코드를 재 수신하기 전까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을 사용할 수 없으며 사용자가 임의로 이를 해제할 수도 없게 된다.
상기 보안 구역에서의 모든 일을 마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보안 구역 진출을 위해 다시 보안 검색대를 통과하면 역시 관리자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 유무를 검사 받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있는 경우 전원이 켜져 있는지를 확인 받아 전원을 켜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다시 카메라 기능 제어기와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 카메라 기능 제어기는 진출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하여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 정보에 대해 기 저장된 고유코드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없다면 이를 관리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는 단순히 이동통신 단말기 정보가 진입한 이동통신 단말기 목록에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만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기 저장된 고유코드가 있다면 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재 전송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수신된 고유코드를 카메라 기능 제한을 위해 사용한 이전 고유코드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카메라 기능 제한을 해제하고 일치하지 않는다면 이를 상기 카메라 기능 제어기에 알려 관리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고유코드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제한 시스템 및 방법은 일종의 출입문 인증 시스템의 일환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간단하게 설명하면 교통 카드를 이용한 지하철의 출입 시스템처럼 보안 구역 출입 시 이동통신 단말기를 카메라 기능 제어기에 근접시켜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거나 제한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보안 구역 내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므로 보안이 유지되고,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카메라 기능을 제외한 일반적인 통신 기능이나 개인정보등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 시스템 및 방법은 카메라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촬영 금지 구역에 진입하는 경우 출입문에 설치된 카메라 기능 제어기로부터 카메라 기능을 제어하는 고유코드를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수신 받아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촬영 금지 구역에서 진출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 기능 제어기로부터 기 제공된 고유코드를 재 전송 받음으로써 카메라 기능 제한을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촬영 금지 구역 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를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사생활 및 보안 정보를 보호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카메라 기능을 제외한 모든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동작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보안 구역 20: 카메라 기능 제어기
30: 이동통신 단말기

Claims (9)

  1. 촬영이 금지되는 구역의 출입부에 배치되며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출입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면서 진입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카메라 기능 제한을 위한 고유코드를 제공하고, 진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 기능 제한 해제를 위해 기 제공된 고유코드를 다시 제공하는 카메라 기능 제어기와;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카메라 기능 제한을 위한 고유코드를 수신하여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고 상기 고유코드의 재 수신에 의해서만 카메라 기능 제한을 해제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유코드는 상기 카메라 기능 제어기가 임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임의로 생성하는 고유한 코드 및 카메라 기능 제한을 위한 코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기능 제어기는 출입문에 하나만 설치되어 접근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면서 고유코드가 제공되지 않은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해당 단말기에 대한 고유코드를 제공하고, 이미 고유코드가 제공된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해당 고유코드를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기능 제어기는 출입문의 진입부와 진출부에 별도로 설치되어 진입부로 진입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고유코드를 제공하고, 진출부로 진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기 제공된 고유코드를 재전송하며, 고유코드 제공 사실이 없는 이동통신 단말기라면 이를 관리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기능 제어기는 관리자가 관리하는 보안 검색대에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관리자의 관리 하에서 상기 카메라 기능 제어기를 지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기능 제어기는 출입문 외에 보안 구역 중 중요한 위치에 추가로 설치되어 새롭게 전원을 인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고유코드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 시스템.
  7. 카메라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안구역 진입을 위해 카메라 기능 제어기에 인접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 기능 제어기가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정보를 확인하고 고유코드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고유코드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를 비밀코드로 간주하며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안구역 진출을 위해 카메라 기능 제어기에 인접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 기능 제어기는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정보를 확인하고 기 제공된 고유코드를 재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고유코드를 재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 수신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카메라 기능 제한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안구역 진출을 위해 카메라 기능 제어기에 인접하는 경우 근거리 통신으로 해당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에 대해 기 제공한 고유코드가 없거나 현재 단말기에서 사용중인 코드와 기 제공한 고유코드가 상이한 경우 이를 관리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고유코드의 수신에 의해 카메라 기능이 제한 또는 해제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문자 혹은 음향으로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 방법.
KR1020030079822A 2003-11-12 2003-11-12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시스템 및 방법 KR101024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822A KR101024442B1 (ko) 2003-11-12 2003-11-12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9822A KR101024442B1 (ko) 2003-11-12 2003-11-12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662A true KR20050045662A (ko) 2005-05-17
KR101024442B1 KR101024442B1 (ko) 2011-03-23

Family

ID=37245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9822A KR101024442B1 (ko) 2003-11-12 2003-11-12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44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986B1 (ko) * 2005-09-13 2007-04-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지역 기반의이동통신 서비스 제한 방법 및 시스템
KR100727423B1 (ko) * 2004-10-11 2007-06-13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 제어방법
KR101107666B1 (ko) * 2010-01-27 2012-02-22 (주)이컴앤드시스템 휴대폰 보안 처리 시스템 및 방법, 그 기록 매체
WO2017014362A1 (ko) * 2015-07-21 2017-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146B1 (ko) * 2011-11-22 2013-11-26 슈어소프트테크주식회사 이동 단말 기능 통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9473509B2 (en) 2014-09-29 2016-10-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ectively permitting or denying usage of wearable device servic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2217A (ja) 1998-11-09 2000-05-30 Toshiba Corp 映像取得制限システム、映像取得許否信号送信装置および映像取得制限装置
JP2002135838A (ja) * 2000-10-19 2002-05-10 Ofaa Sekkei Jimusho:Kk 携帯型電気機器の自動制御システム及び携帯型電気機器及び制御信号発信装置。
KR20050023471A (ko) * 2003-08-27 2005-03-10 박도성 카메라의 촬영모드/촬영금지모드 자동 전환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423B1 (ko) * 2004-10-11 2007-06-13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기능 제어방법
KR100706986B1 (ko) * 2005-09-13 2007-04-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지역 기반의이동통신 서비스 제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107666B1 (ko) * 2010-01-27 2012-02-22 (주)이컴앤드시스템 휴대폰 보안 처리 시스템 및 방법, 그 기록 매체
WO2017014362A1 (ko) * 2015-07-21 2017-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4442B1 (ko)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58314T3 (es) Aparatos y procedimientos para localizar, rastrear y/o recuperar un dispositivo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US9350914B1 (en) Methods of enforcing privacy requests in imaging systems
RU2216114C2 (ru) Способ,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sim-карта и система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аутентичности пользователя или группы пользователей
EP1569480B1 (en) Mobile phone with restriction on use thereof and method for restricting use of mobile phone
KR100652619B1 (ko)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시스템 및 방법
US20150040212A1 (en) Locking apparatus with enhanced security using iris image
KR101118679B1 (ko) Nfc 기반의 출입 통제 방법
CN102084372A (zh) 用于监视对设备的未授权使用的系统
CN102084370A (zh) 用于缓解对设备的未授权使用的系统
CN107103245A (zh) 文件的权限管理方法及装置
KR20170080739A (ko) Qr코드를 이용한 외부 출입자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4563289B2 (ja) 携帯端末装置、通信装置、携帯端末装置におけるログ取得方法及び通信装置における入退室管理方法
CN108551550A (zh) 图像控制、相机应用的拍摄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1573887B1 (ko) 스마트폰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통제하는 보안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2444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시스템 및 방법
CN108664216B (zh) 数据存储方法及装置
CN112528314A (zh) 一种终端信息保护方法和装置
JP2006304157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盗難防止方法
KR100548394B1 (ko)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시스템 및 방법
JP2006172286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KR100944246B1 (ko)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을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6806350A (zh) 出入门开闭控制装置、系统及其控制方法
KR100594271B1 (ko) 카메라를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365643A (zh) 访问区域权限管理方法及相关装置
JP2008085752A (ja) 入退場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