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8394B1 -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8394B1
KR100548394B1 KR1020030051820A KR20030051820A KR100548394B1 KR 100548394 B1 KR100548394 B1 KR 100548394B1 KR 1020030051820 A KR1020030051820 A KR 1020030051820A KR 20030051820 A KR20030051820 A KR 20030051820A KR 100548394 B1 KR100548394 B1 KR 100548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base station
shooting
prohibition
per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1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3003A (ko
Inventor
김영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1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8394B1/ko
Publication of KR20050013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3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39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아무런 제한 없이 대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타인이 이를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생활이 침해되거나 보호되어야 하는 정보가 유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를 방지하고자 특정 영역에서 무조건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촬영 기능을 금지시키는 경우 인가된 사용자에 의한 촬영 역시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기지국을 단위로 설정되는 촬영 금지 구역에 촬영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가 진입하면 자동적으로 촬영 금지 정보를 제공하여 무단 촬영을 금지시키고, 특정한 인증값을 기지국에 송신하는 경우에만 상기 기지국에서 해당 단말기로 우선 순위가 높은 촬영 허가 신호를 제공하여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촬영 금지 정보를 무시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촬영이 금지되는 영역에서의 무단 촬영을 방지하면서도 인가된 사용자에 대해서는 촬영을 허가할 수 있어 유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를 공익적인 목적이나 상업적인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 시스템 및 방법{USAGE RESTRICTIO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CAMERA ADAPTED TO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동작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촬영 금지 구역 20: 기지국
30: 휴대 단말기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촬영이 제한된 사용자 지역에 진입하면 자동적으로 휴대 단말기에 적용된 카메라의 촬영 기능이 제한되도록 하여 개인 사생활과 보안이 필요한 정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면서, 해당 지역 관리자로부터 촬영을 허가 받은 경우 해당 기지국에 촬영 허가를 요청하는 것으로 촬영이 금지된 해당 사용자 지역에서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한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는 통신 속도가 개선되고, 내부 메모리 및 처리 속도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표시 장치의 확대 및 표시 수준의 개선을 통해 사진은 물론이고 동영상을 감상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또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및 생성이 가능할 정도의 기술적 진보에 따라 종래에는 불필요하게 여겨졌던 기능들이 차츰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예를 들어, 처음 등장에서 그 활용이 미비했던 카메라 기능은 그 해상도의 향상에 따라 기존의 디지털 카메라의 활용 영역까지 그 용도가 넓어지고 있는데, 이미 메가 픽셀을 넘어선 사진/동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제품까지 개발되었다.
이러한 디지털 카메라는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거나 착탈식으로 제공되어 원하는 경우 카메라 모듈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에 적용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디지털 카메라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데, 휴대하고 있는 시간이 많기 때문에 어디에서든지 사진 혹은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흥미 위주의 사진 뿐만 아니라 특정 사고 시 사건을 증명할 수 있는 사진을 촬영할 수도 있다. 또한, 자신이 흥미가 있는 대상을 발견하면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저장하여 이를 분석 및 연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렇게 찍은 사진을 멀티미디어 메세지 형태로 타인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화상 통화를 이용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원거리의 상대방에게 영상을 전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 기능은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에게는 더없이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무분별한 촬영으로 인한 피해가 속출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이미 사회적인 문제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특히 휴대하는 사용자가 많은 휴대 단말기의 특성 상 내장된 카메라가 언제 동작하는 지를 타인이 알기 어렵기 때문에 도촬이나 보안이 요구되는 정보의 유출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사진 촬영이 금지된 전시장, 박물관 혹은 군사 보호 지역에서의 무단 촬영이 발생할 수 있고, 고급 산업 정보를 내부인이나 외부 방문자가 손쉽게 획득하여 이를 유출할 수 있다.
이러한 무단 촬영은 정보 유출의 피해 뿐만 아니라 개인 사생활도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는데, 타인에 대한 무분별한 사진촬영은 사생활 침해를 넘어 범죄 행위에 가까울 정도로 정도가 심하다. 예를 들어, 수영장에서의 무단 촬영이나 심지어는 목용탕에서의 무단 촬영에 이르기까지 언제 자신의 모습이 촬영될지 모른다는 심리적인 불안감이 사회 전반에 퍼지고 있다.
그로인해 최근 휴대 단말기의 촬영 기능을 촬영 금지 구역으로 설정한 곳에서는 사용할 수 없도록 금지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제공되고 있으나, 대부분 촬영 금지 구역으로 지정된 곳에서 특정한 신호를 수신하면 촬영 기능이 제한되도록 하는 단순 기능에 불과하므로 해당 촬영 금지 구역의 관리자에게 촬영을 허가 받은 경우라 할지라도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촬영이 불가능해지게 된다. 즉, 공무로 인한 사진 촬영이나, 범죄 수사 혹은 경비를 위한 촬영이 불가능하며, 해당 구역에 거주하는 사람이나 관리자 및 직원들의 촬영이 불가능해 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촬영이 금지된 곳에서의 자동적인 촬영 금지와 함께 특정한 경우 제 한적으로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아무런 제한 없이 대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타인이 이를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생활이 침해되거나 보호되어야 하는 정보가 유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를 방지하고자 특정 영역에서 무조건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촬영 기능을 금지시키는 경우 인가된 사용자에 의한 촬영 역시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기지국에서 관리하는 촬영 금지 구역에 촬영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가 진입하면 자동적으로 촬영 금지 정보를 제공하여 무단 촬영을 금지시키고, 특정한 인증값을 기지국에 송신하는 경우에만 상기 기지국에서 해당 단말기로 우선 순위가 높은 촬영 허가 신호를 제공하여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촬영 금지 정보를 무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촬영이 금지되는 영역에서의 무단 촬영을 방지하면서도 인가된 사용자에 대해서는 촬영을 허가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은 촬영 금지 구역에 대한 촬영 금지 정보를 소정 채널을 통해 지속적으로 발신하며 촬영 허가 요청이 있는 경우 인증절차를 거쳐 촬영 허가 정보를 제공하는 기지국과; 기지국으로부터 촬영 금지 정보가 수신되면 내장된 촬영 기능을 제한하며, 소정의 특수한 키 조합과 인증값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여 촬영 허가를 요청한 후 상기 기지국으로 부터 촬영 허가 정보를 수신하여 촬영 허가 상태가 되면 이후 수신되는 촬영 금지 정보를 무시하고 촬영을 허용하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가진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촬영 허가 정보에 따른 촬영 허가 상태는 상기 촬영 허가 정보를 수신한 촬영 금지 구역을 벗어나는 경우 리셋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가 기지국 단위로 설정된 촬영 금지 구역에 진입하는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촬영 금지 정보를 수신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촬영 금지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하면서, 현재 휴대 단말기가 촬영 허가 상태인지 판단하여 촬영 허가 상태라면 상기 촬영 금지 정보를 무시하고, 촬영 허가 상태가 아니라면 촬영 기능을 금지하는 제 2단계와; 상기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촬영 기능 사용이 인가된 경우 해당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기지국에 소정의 인증값을 제공하면 기지국은 인증절차 후 상기 휴대 단말기에 촬영 허가 메세지를 제공하여 휴대 단말기가 촬영 허가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 3단계와; 해당 촬영 금지 구역을 벗어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단계로 진행하고, 해당 촬영 금지 구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설정된 촬영 허가 상태를 무효화하며 촬영이 가능한 상태로 복귀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촬영 금지 구역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 셀 영역으로 이루어진 사용자 지역(User Zone) 중 촬영 금지 구역으로 설정된 구역이고, 지속적으로 휴대 단말기에 제공되는 촬영 금지 정보는 해당 사용자 지역 식별자(User Zone Identification:UZID)와 촬영 금지 플래그가 포함된 사용자 지역 식별자 메세지(User Zone Identification Message:UZIM)형태로 오버헤드 정보에 포함되어 제공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는 주기적으로 갱신하는 오버헤드 정보에 포함된 UZID와 촬영 금지 플래그에 의해 현재 위치 및 촬영 금지 여부를 알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촬영 기능을 금지하거나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촬영 허가가 인증되는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촬영 허가 메세지에는 해당 UZID와 촬영 허가 정보가 포함되고, 이를 수신한 휴대 단말기는 해당 UZ를 벗어나지 않는 한 상기 촬영 금지 플래그를 무시하며, 해당 UZ를 이탈하는 경우 내부 촬영 상태를 리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간단한 구성을 보이는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30)가 쵤영 금지 구역(10)에 진입하게 되면 촬영 기능이 제한되도록 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촬영 금지 구역(10)을 관리하는 기지국(20)은 페이징 채널이나 방송 채널을 이용하여 촬영 금지 정보를 주기적으로 해당 촬영 금지 구역(10)에 송출한다. 그리고, 상기 영역에 진입한 휴대 단말기(30)는 해당 촬영 금지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촬영 기능의 사용이 금지된다. 해당 촬영 금지 구역(10)을 벗어나는 경우 더이상 촬영 금지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므로 휴대 단말기(30)는 촬영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20)을 단위로 동작하기 때문에 기지국(20)의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를 기점으로 촬영 금지 정보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여 금지된 촬영 기능을 사용 가능 상태로 전환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단순한 촬영 기능의 지역에 따른 자동 제한 및 제한 해제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동작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핵심은 이렇게 일괄적으로 해당 촬영 금지 구역(10)에 진입한 모든 휴대 단말기의 촬영 기능을 금지한 경우라도 해당 촬영 금지 구역(10)의 관리자 혹은 통신 사업자로부터 촬영을 허가받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에 한해서 촬영 기능을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있다.
즉, 특정한 사용자가 해당 촬영 금지 구역(10)의 관리자 혹은 통신 사업자로부터 소정의 인증코드값을 부여받은 후, 상기 기지국(20)에 촬영 허가를 요청하기 위한 특정한 번호와 상기 인증 코드값을 자신의 휴대 단말기(30)를 이용하여 입력하면, 콜 센터(call center)에서 해당 전화를 받아(자동 응답 시스템) 입력된 인증 코드값이 정확한지를 인증하고, 인증이 성공하는 경우라면 상기 기지국(20)이 촬영 허가 메세지를 상기 인증을 요청한 휴대 단말기(30)에만 전송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30)는 촬영 허가 메세지를 수신하여 내부 촬영 상태를 촬영 허가 상태로 전환한 후 그에 따라 해당 구역에서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촬영 금지 정보를 무시하고 촬영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경우 한번 촬영 허가 정보를 획득하게 되면 이후 수신되는 촬영 금지 정보가 무시되므로, 해당 단말기가 다른 촬영 금지 구역에서 촬영이 가능할 수 있으며, 다음번에는 인증 없이 동일 촬영 금지 구역에서 촬영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해당 촬영 금지 구역을 벗어나는 경우 휴대 단말기(30)의 내부 촬영 상태를 리셋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증 코드값은 상기 촬영 금지 구역(10)의 관리자가 관리하면서, 통신 서비스 제공자와 협의하여 주기 또는 비주기적으로 해당 인증값을 갱신하는 것이 보안 상 바람직하다.
전술한 동작을 위해서, 상기 기지국(20)은 촬영 금지 구역(10)에 대한 촬영 금지 정보를 지속적으로 발신해야 하며, 휴대 단말기(30)로부터 촬영 허가 요청이 있는 경우 인증절차를 거쳐 촬영 허가 정보를 해당 휴대 단말기(30)에만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가져야 한다. 또한, 상기 촬영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30)는 상기 기지국(20)으로부터 촬영 금지 정보가 수신되면 내장된 촬영 기능을 제한하고, 해당 촬영 금지 구역을 벗어남에 따라 더이상 촬영 금지 정보를 수신하지 않게 되면 촬영 가능 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져야 한다. 혹은, 기지국(20)으로 구분되는 구역을 벗어남을 확인하여 촬영 가능 상태로 복귀하는 기능을 비롯하여, 다양한 방법을 통해 해당 촬영 금지 구역(30)을 벗어남을 인지하여 촬영 가능 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그와 별도로, 상기 휴대 단말기(30)는 특정 키 조합(전화번호)과 인증값을 입력하면 이를 상기 기지국(20)에 전송할 수 있어야 하며, 상기 기지국(20)이 인증 후 송신하는 촬영 허가 메세지를 수신하여 내부 촬영 상태를 촬영 허가 상태로 전환한 후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촬영 금지 정보를 무시하고 촬영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해야 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들은 일반적인 촬영 기능을 가진 휴대 단말기와 기지국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술로서, 이를 통해 촬영 금지 구역에서의 자동적인 촬영 기능 금지와 더불어 특정한 사용자 만이 인증을 통해 휴대 단말기의 촬영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촬영 기능 제한을 보다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제, 상기 기능을 조금 더 구체화 시킨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2의 실시예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순서는 본 발명을 CDMA-2000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지역(User Zone:UZ) 설정 기능에 적용한 실시예의 동작을 보이고 있다. 상기 사용자 지역(UZ)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 서비스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통신 서비스 제공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의 위치가 속한 사용자 지역을 특정한 사용자 지역 식별자(User Zone Identification:UZID)로 관리면서 다양한 서비스에 응용할 수 있도록 정의된 기능이다.
휴대 단말기가 주기적으로 기지국과 통신하는 페이징 채널에는 모든 단말들이 주기적으로 갱신해야 하는 오버헤드 정보(overhead information)가 존재하는데, CDMA-2000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오버헤드 정보에 사용자 지역 식별자 메세지(User Zone Identifiaction Message:UZIM)를 포함한다.
촬영이 금지되는 사용자 지역(UZ)이 설정되면, 기지국은 해당 지역의 UZID와 촬영 금지 정보(플래그)를 UZIM에 포함시켜 해당 기지국 서비스 영역의 모든 휴대 단말기에 제공한다. 페이징 채널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방송 채널을 이용할 수 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는 휴대 단말기가 새로운 사용자 지역으로 진입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새로운 사용자 지역(UZ)에 대한 새로운 정보가 담긴 UZIM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UZIM에 포함된 UZID와 그에 따른 촬영 금지 플래그를 확인하여 촬영 금지 플래그가 "거짓"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해당 사용자 지역을 이탈할때까지 촬영 가능 상태를 유지한다.
만일 촬영 금지 플래그가 "참"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해당 사용자 지역은 촬영이 금지되는 곳이라는 의미이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먼저 휴대 단말기가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내부 촬영 상태를 확인하여 촬영 허가 상태인지를 검사하도록 한다. 만일 촬영 허가 상태가 아니고 촬영 허가를 요청하지 않는다면 상기 수신된 촬영 금지 플래그에 따라 촬영 기능의 사용이 금지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가 해당 사용자 지역을 이탈할때까지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UZIM을 분석하는 상기 과정들을 반복하게 된다.
만일 사용자가 해당 촬영 금지 구역 관리자로부터 촬영 허가를 받고, 특정한 인증값을 부여받은 경우, 소정의 접속 번호와 부여 받은 인증값을 자신의 휴대 단말기로 입력하여 기지국에 촬영 허가를 요청한다. 상기 기지국과 연결된 콜 센터에서 상기 전화를 수신하여 해당 인증값을 검사할 수 있는데, 상기 인증값이 정상적이라면 상기 기지국에서 촬영 허가 신호(혹은 메세지)를 상기 인증을 요청한 휴대 단말기에만 전송한다. 상기 촬영 허가 신호를 수신한 휴대 단말기는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내부 촬영 상태를 촬영 허가 상태로 설정하게 된다. 상기 과정을 마치면 해당 사용자 지역을 이탈하기 전까지 수신되는 UZIM의 촬영 금지 플래그는 무시되 고, 촬영이 가능해진다.
만일 상기 휴대 단말기가 해당 사용자 지역을 이탈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는 수신되는 UZIM을 통해 사용자 지역 이탈임을 인지하게 되고, 이 경우 기 설정된 내부 촬영 상태를 리셋하게 된다.
다양한 실시예들 중에서 상기 촬영 허가를 보다 더 제한하고자 하는 경우라면 촬영 허가 신호를 수신하는 동시에 내부적인 타이머를 이용하거나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 허가 유지 시간을 설정하고, 소정의 설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적으로 상기 내부 촬영 상태를 리셋하도록 하여 그 기능을 보다 제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하면 촬영이 금지된 영역에 휴대 단말기가 진입하게 되는 경우 자동적인 촬영 기능 제한이 이루어져 보호하고자 하는 정보의 무단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촬영이 필요한 경우(예를 들어 범죄 수사, 내부 경비, 검침 등의 공익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해당 지역 거주자, 관리인, 직원등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거나, 혹은 박물관이나 전시장에서의 촬영 권한 판매 등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한적으로 촬영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 시스템 및 방법은 기지국을 단위로 설정되는 촬영 금지 구역에 촬영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가 진입하면 자동적으로 촬영 금지 정보를 제공하여 무단 촬영을 금지시키고, 특정한 인증값을 기지국에 송신하는 경우에만 상기 기지국에서 해당 단말기로 우선 순위가 높은 촬영 허가 신호를 제공하여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촬영 금지 정보를 무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촬영이 금지되는 영역에서의 무단 촬영을 방지하면서도 인가된 사용자에 대해서는 촬영을 허가할 수 있어 유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를 공익적인 목적이나 상업적인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촬영 금지 구역에 대한 촬영 금지 정보를 소정 채널을 통해 지속적으로 발신하며 촬영 허가 요청이 있는 경우 인증절차를 거쳐 촬영 허가 정보를 제공하는 기지국과; 기지국으로부터 촬영 금지 정보가 수신되면 내장된 촬영 기능을 제한하며, 소정의 특수한 키 조합과 인증값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여 촬영 허가를 요청한 후 상기 기지국으로 부터 촬영 허가 정보를 수신하여 촬영 허가 상태가 되면 이후 수신되는 촬영 금지 정보를 무시하고 촬영을 허용하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가진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허가 정보에 따른 촬영 허가 상태는 상기 촬영 허가 정보를 수신한 촬영 금지 구역을 벗어나는 경우 리셋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특수한 키 조합은 촬영 허가 요청을 위한 전화번호이며, 인증값은 해당 촬영 금지 구역 관리자 혹은 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관리하는 인증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 시스템.
  4.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가 기지국 단위로 설정된 촬영 금지 구역에 진입하는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촬영 금지 정보를 수신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촬영 금지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하면서, 현재 휴대 단말기가 촬영 허가 상태인지 판단하여 촬영 허가 상태라면 상기 촬영 금지 정보를 무시하고, 촬영 허가 상태가 아니라면 촬영 기능을 금지하는 제 2단계와; 상기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촬영 기능 사용이 인가된 경우 해당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에 소정의 인증값을 제공하면 기지국은 인증절차 후 상기 휴대 단말기에 촬영 허가 메세지를 제공하여 휴대 단말기가 촬영 허가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 3단계와; 해당 촬영 금지 구역을 벗어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단계로 진행하고, 해당 촬영 금지 구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설정된 촬영 허가 상태를 무효화하며 촬영이 가능한 상태로 복귀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촬영이 인가되는 경우 해당 촬영 금지 구역 관리자로부터 특수한 인증 코드를 부여받고, 소정의 특수 전화번호와 해당 인증 코드를 입력하여 기지국에 전화를 거는 단계와; 상기 인증 코드를 수신한 기지국이 인증 절차를 거쳐 정상 인증 처리되면 해당 휴대 단말기에만 촬영 허가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 허가 메세지를 수신한 휴대 단말기는 우선 순위가 높은 내부 촬영 상태를 허가 상태로 전환하여 지속적으로 수신되는 촬영 금지 정보를 무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인증값은 해당 구역 관리자가 관리하며, 통신 서비스 제공자와 협의하여 주기 또는 비주기적으로 해당 인증값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금지 구역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 셀 영역으로 이루어진 사용자 지역(User Zone) 중 촬영 금지 구역으로 설정된 구역이고, 지속적으로 휴대 단말기에 제공되는 촬영 금지 정보는 해당 사용자 지역 식별자(User Zone Identification:UZID)와 촬영 금지 플래그가 포함된 사용자 지역 식별자 메세지(User Zone Identification Message:UZIM)형태로 오버헤드 정보에 포함되어 제공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는 주기적으로 갱신하는 오버헤드 정보에 포함된 UZID와 촬영 금지 플래그에 의해 현재 위치 및 촬영 금지 여부를 알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촬영 기능을 금지하거나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촬영 허가가 인증되는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촬영 허가 메세지에는 해당 UZID와 촬영 허가 정보가 포함되고, 이를 수신한 휴대 단말기는 해당 UZ를 벗어나지 않는 한 상기 촬영 금지 플래그를 무시하며, 해당 UZ를 이탈하는 경우 내부 촬영 상태를 리셋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 방법.
KR1020030051820A 2003-07-26 2003-07-26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시스템 및 방법 KR100548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820A KR100548394B1 (ko) 2003-07-26 2003-07-26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820A KR100548394B1 (ko) 2003-07-26 2003-07-26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3003A KR20050013003A (ko) 2005-02-02
KR100548394B1 true KR100548394B1 (ko) 2006-02-02

Family

ID=37224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1820A KR100548394B1 (ko) 2003-07-26 2003-07-26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83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911B1 (ko) * 2007-12-04 2009-09-23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휴대용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374B1 (ko) * 2005-02-25 2006-12-08 브이엘씨주식회사 위치기반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0693718B1 (ko) * 2005-08-29 2007-03-1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Wcdma 망에서 셀 id를 이용한 단말기 기능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100653303B1 (ko) * 2005-12-22 2006-12-05 주식회사 팬택 카메라 촬영을 제한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이동 통신 단말기
KR100893466B1 (ko) * 2007-07-24 2009-04-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시스템
CN108512804A (zh) * 2017-02-24 2018-09-07 美的智慧家居科技有限公司 安全摄录方法和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911B1 (ko) * 2007-12-04 2009-09-23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휴대용 단말기의 지역 기반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휴대용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3003A (ko) 2005-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5243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tecting private conten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RU2216114C2 (ru) Способ,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sim-карта и система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аутентичности пользователя или группы пользователей
US8755840B2 (en) Data execution control method and system therefor
KR100652619B1 (ko)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시스템 및 방법
CN101611613B (zh) 基于位置和公司服务等级约定来限制电子设备功能的使用
KR101479655B1 (ko) 휴대 단말기의 보안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101118679B1 (ko) Nfc 기반의 출입 통제 방법
WO2006066507A1 (fr) Procede et systeme de mise en oeuvre d'une fonction de securite de site
US200601484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erting a target that it is subject to sensing and restricting access to sensed content associated with the target
KR20070086670A (ko) 모바일 폰 정책 관리
CN110992562A (zh) 门禁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0766850B (zh) 访客信息管理方法、门禁系统、服务器及存储介质
KR100548394B1 (ko)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시스템 및 방법
CN106471513B (zh) 权限控制方法及装置
CN111711777B (zh) 一种智能工作记录仪管理系统及方法
JP2006172286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KR10102444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시스템 및 방법
CN116806350A (zh) 出入门开闭控制装置、系统及其控制方法
JP2006039728A (ja)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KR100548400B1 (ko)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기능 제한장치 및 방법
JP2011066803A (ja) 移動体通信サービス処理方法、携帯電話端末及び移動体通信網側装置
CN111462367A (zh) 一种基于业主授权的安防门禁系统及管理方法
KR100548379B1 (ko)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 제한시스템 및 방법
KR20090062903A (ko)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을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575756B1 (ko) 통신 단말기 내장 카메라의 동작 제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