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1901A -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1901A
KR20010101901A KR1020017009663A KR20017009663A KR20010101901A KR 20010101901 A KR20010101901 A KR 20010101901A KR 1020017009663 A KR1020017009663 A KR 1020017009663A KR 20017009663 A KR20017009663 A KR 20017009663A KR 20010101901 A KR20010101901 A KR 20010101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ray tube
cathode ray
infrared
f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9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키 야마자키
히로시 코모리
요시하루 미와
Original Assignee
모리 데쯔지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12760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323034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13268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32307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31059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006581A/ja
Application filed by 모리 데쯔지,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 데쯔지
Publication of KR20010101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190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38Exhausting, degassing, filling, or cleaning vess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3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62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 C03C3/07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lead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102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lead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102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lead
    • C03C3/105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lead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4/00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 C03C4/08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for glass selectively absorbing radiation of specified wave lengths
    • C03C4/082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for glass selectively absorbing radiation of specified wave lengths for infrared absorbing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4/00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 C03C4/08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for glass selectively absorbing radiation of specified wave lengths
    • C03C4/085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for glass selectively absorbing radiation of specified wave lengths for ultraviolet absorbing g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6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 H01J9/263Sealing together parts of 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cathode-ray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40Closing vess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9/00Apparatu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of discharge tubes
    • H01J2209/26Sealing parts of the vessel to provide a vacuum enclosure
    • H01J2209/264Materials for sealing vessels, e.g. frit glass compounds, resins or struc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포위기를 구성하는 패널(10), 목부분(11), 펀넬(12), 스템(13) 및 배기관(14)이 유리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목부분, 펀넬, 스템 및 배기관중 하나 이상의 유리 부재가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되며, 두께 방향의 파장 1050nm의 적외선 투과율이 7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하나는,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된 유리 부재를 주로 적외선을 이용하여 가열 연화시켜 용착하고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열 시간의 단축 또는 가열 온도의 저하가 도모되며, 적외선 램프 또는 레이저 등의 가열 수단에 의해 스폿 가열도 가능하다.

Description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CATHODE-RAY TUBE AND ITS PRODUCTION METHOD}
종래부터 음극선관의 외부 포위기는, 영상이 비치는 표시 패널(panel), 내부에 전자 총을 구비한 관형 목부분, 표시 패널과 관형 목부분을 접속하는 깔때기형 펀넬(funnel), 관형 목부분의 개구 단부에 용착되는 스템(stem), 및 스템의 외면에 용착되는 배기관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의 외부 포위기를 구성하는 표시 패널, 관형 목부분, 펀넬, 스템 및 배기관은 유리 부재이다. 통상적으로 이들 유리 부재는 용착에 의해 밀봉된다. 더욱이, 기타 구성 부품인 애노드 버튼, 리드선(lead wire), 개구 단부에서도 용착이 실시된다.
용착에 의해 밀봉하는 방법으로는, 가스-산소 버너나 가스-공기 버너 등의 연소 수단으로 유리 부재의 소정 부위를 가열하여 연화시키는 방법, 또는 니크롬이나 칸탈(kanthal) 등의 저항선에 전류를 흘려 유리 부재의 소정 부위를 가열하여 연화시키는 방법이 채용된다.
이러한 음극선관에 있어서, 전자 총에서 나온 전자 빔은 표시 패널의 내면에 설치된 형광체를 발광시켜 표시 패널에 영상을 비춘다. 그러나, 이 때 제동 X선이 음극선관의 내부에 발생하며, 이 X선은 외부 포위기를 통해 관 외부로 누출되었을 경우,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외부 포위기를 구성하는 각 유리 부재는 높은 X선 흡수 능력을 가지는 유리로 제작되고 있다.
특히 관형 목부분은 그 평균 두께가 일반적으로 약 2.4mm로서 표시 패널 또는 펀넬에 비해 관벽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X선 흡수 능력이 높아야 한다. 따라서, 통상적인 관형 목부분은 유리의 X선 흡수 능력을 높이는 성분인 PbO를 35중량% 정도 함유하고, 0.6옹스트롬 파장의 X선에 대한 흡수 계수가 80cm-1이상인 유리로 제작되고 있다.
또한, 펀넬은 10∼30중량%의 PbO를 함유하며, 0.6옹스트롬 파장의 X선에 대한 흡수 계수가 40cm-1이상인 유리로 제작된다.
더욱이 스템은 금속과 밀봉되기 때문에 전기 저항이 높고 열 가공성도 우수해야 하며, 배기관은 음극선관을 베이킹하면서 감압 배기한 다음 밀봉되기 때문에 열 가공성이 우수해야 한다. 따라서, 스템 및 배기관은 각각 X선 흡수 능력, 전기 절연성, 열 가공성이 우수한 납함유량이 높은 유리로 제작된다.
그런데, 종래부터 컬러 음극선관에 장착되는 전자총의 캐소드 재료로는 바륨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포커스를 보다 향상시켜 화질을 높일 수 있다는 이유에서 캐소드 재료로서 텅스텐 카바이드를 사용한 함침형 캐소드가 부착된 전자 총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텅스텐 카바이드는 바륨에 비해 저온에서 산화되기 쉽다. 따라서, 함침형 캐소드가 부착된 전자 총을 600℃ 이상의 고온 하에 노출시키면, 캐소드 재료가 산화되므로 이미션 특성이 저하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함침형 캐소드가 부착된 전자 총을 관형 목부분 내부에 장착하고, 이 관형 목부분에 스템을 용착할 때, 종래의 작업 방법에서는 공냉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 총으로 질소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캐소드를 냉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음극선관을 감압 배기한 후에 배기관을 밀봉할 때에도, 공냉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총의 캐소드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냉 장치는 매우 고가이며, 더욱이 질소 가스의 공급 방향이나 공급량을 조정하기가 매우 곤란하여 작업성이 나빴다.
또한, 버너 연소를 이용한 가열 방법의 경우에는, 연소 가스중의 불순물 등으로 인해 가열 부분에 금속 이물질이 부착하여 오염되기 쉽다는 문제도 있다. 이와 같이 유리 부재에 금속 이물질이 부착된 경우, 유리의 전기 저항이 작아지기 때문에 절연 파괴를 일으키고, 음극선관의 해상도 또는 조도(照度)를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최근, 음극선관의 대형화가 진전됨에 따라 유리 내부의 인장 왜곡에 기인한 파손, 절연 파괴, 해상도 또는 조도의 저하가 발생하기 쉬워졌다. 이로 인해 외부포위기를 구성하는 유리 부재를 용착하거나 밀봉할 때의 오염 방지가, 더욱더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부 포위기를 구성하는 유리 부재를 용착하고 밀봉할 때, 가열 시간의 단축 또는 가열 온도의 저하를 도모함으로써, 공냉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함침형 캐소드가 부착된 전자 총의 이미션 특성이 저하되지 않고, 또한 가열 부분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는 음극선관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함침(impregnation)형 캐소드가 부착된 전자 총이 장착된 컬러 음극선관으로서 바람직한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외부 포위기(enclosure)를 구성하는 유리 부재를 용착(溶着) 또는 밀봉할 때 공냉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전자 총에서의 이미션(emission) 특성의 저하를 방지하고, 가열 부분에서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는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외부 포위기를 구성하는 패널, 펀넬, 목부분, 스템 및 배기관이 유리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펀넬, 목부분, 스템 및 배기관중 하나 이상의 유리 부재가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되며, 두께 방향 파장 1050nm의 적외선 투과율이 7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은, 패널, 펀넬, 목부분, 스템 및 배기관의 각 유리 부재를 가열 연화시켜 용착하고 밀봉하는 것으로서, 펀넬, 목부분, 스템 및 배기관중 하나 이상의 유리 부재를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하며, 그 유리 부재를 주로 적외선을 이용하여 가열 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 유리 부재는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되며, 그 두께 방향의 파장 1050nm의 적외선 투과율이 70% 이하이기 때문에, 열선을 흡수하기 쉽다. 따라서, 이 유리 부재를 용착하고 밀봉할 때의 가열 시간의 단축 또는 가열온도의 저하를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적외선 램프 또는 레이저 등의 가열 수단에 의해 유리 부재의 소정 부위만 스폿(spot) 가열할 수 있다.
관형 목부분, 스템 및 배기관중 어느 하나가, 상기와 같은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된 경우, 이것을 용착하고 밀봉할 때 관형 목부분 내부에 장착되는 전자 총에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함침형 캐소드가 부착된 전자 총을 장착하는 경우에도, 공냉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캐소드 재료의 산화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관형 목부분과 스템의 용착은, 전자 총과 근접한 부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효과적이다. 또한, 관형 목부분과 스템 모두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버너로 가열할 때 가열 부분의 오염 정도는 가열 시간이 길어질수록, 그리고 가열 온도가 높아질수록 커진다. 그러나, 유리 부재가 상기와 같은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된 경우에는, 대폭적인 시간 단축과 현저한 온도 저하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가열 부분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은, 주요 유리 부재를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하고, 그 유리 부재를 주로 적외선을 이용하여 가열 연화시키기 때문에, 유리 부재의 소정 부위만 스폿 가열하여 용착하고 밀봉할 수 있다.
즉, 종래의 버너에 의한 연소 또는 전기 저항을 이용한 가열 방법에서는, 가열을 필요로 하는 부분만 스폿 가열하기가 곤란하다. 즉, 그 주변의 가열할 필요가 없는 부분까지 가열하거나, 또는 유리 부재의 고정 지그 및 분위기도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불필요한 열량이 소모되고, 더욱이 승온 속도 또는 냉각 속도가 제한되기 때문에, 유리 부재에 커다란 인장 왜곡이 발생하기 쉬워 파손의 원인이 될 우려가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같이 유리 부재를 주로 적외선을 이용하여 가열 연화시키는 경우에는, 적외선이 조사되지 않는 부분에서는 직접적인 온도 상승은 찾아 볼 수 없으며, 적외선 흡수율이 작은 유리에 적외선을 조사하여도 직접적인 온도 상승은 볼 수 없다.
이로 인해, 유리 부재를 적외선 흡수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하고, 할로겐 램프나 크세논 램프 등의 적외선 램프에서 조사된 적외선을 렌즈나 미러에 의해 집광, 확산시켜 필요한 부분에만 적절한 밀도 분포로 조사할 수 있다. 그 결과, 필요한 부분만 단시간에 가열 연화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버너에 의한 연소 가열과 같이 유리 부재가 오염되는 일도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외부 포위기를 구성하는 유리 부재에 대하여 적외선을 조사하고 스폿 가열함으로써 용착이나 밀봉하기 때문에, 표시 패널과 펀넬의 용착, 관형 목부분과 펀넬의 용착, 관형 목부분과 스템의 용착, 스템과 배기관의 용착, 배기관의 밀봉, 펀넬에 대한 애노드 버튼의 용착(봉착)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용착, 밀봉 방법에 비해 가열 작업 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키고, 열량을 삭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함침형 캐소드가 부착된 전자 총을 이용했을 경우에도, 관형 목부분과 스템을 용착하거나, 또는 배기관을 밀봉할 때 캐소드 재료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관형 목부분과 스템의 용착은, 전자 총과 근접한 부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폿 가열이 가능한 본 발명의 방법은 관형 목부분과 스템의 용착에 가장 적합하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음극선관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관형 목부분과 스템을 적외선을 이용하여 용착할 때의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기 기술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선관의 외부 포위기는 영상이 비춰지는 표시용 패널(10), 관형 목부분(11), 패널(10)과 목부분(11)을 접속하는 깔때기형 펀넬(12), 목부분(11)의 개구 단부에 용착되는 스템(13), 및 스템(13)의 외면에 용착되는 배기관(14)으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패널(10)과 펀넬(12)의 결합은 용착하거나, 프릿 밀봉(frit seal)함으로써 이루어지며, 펀넬(12)과 목부분(11)의 결합은 용착에 의해 이루어진다. 더욱이, 펀넬(12)의 소정 부위에는 애노드 버튼(15)도 용착(봉착)된다. 또한, 목부분(11)의 내부에는 전자 총(16)이 장착되며, 전자 총(16)은 내부 리드(17)에 의해 스템(13)과 연결되어 있다. 스템(13)의 외주면은 목부분(11)의 개구 단부에 용착되고, 스템(13)의 외면에는 배기관(14)의 한쪽 단부가 용착되어 있다. 또한, 내부 리드(17)는 스템(13)에 봉입된 외부 인출 리드(18)와 연결되어 있다. 더욱이, 배기관(14)의 다른 쪽 단부는 음극선관을 베이킹하면서 감압 배기한 후, 밀봉된다.
또한, 도면에는 패널(10)의 강도를 유지하고 파손시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밴드(20), 형광체(19)로부터 형광의 복귀를 방지하기 위한 알루미늄 막(21), 전자 총의 조사 위치를 규정하는 섀도우 마스크(22), 섀도우 마스크(22)를 고정하기 위한 스터드 핀(stud pin ; 23), 섀도우 마스크(22)의 전자 빔에 의한 높은 대전을 방지하고, 외부에 접지도통(接地導通)을 위한 전도막(24)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의 외부 포위기를 구성하는 패널(10), 목부분(11), 펀넬(12), 스템(13) 및 배기관(14)은 유리 부재이다. 이들 유리 부재를 용착하고 밀봉하기 위해서는 유리 부재의 소정 부위를 가열 연화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음극선관은 외부 포위기를 구성하는 유리 부재인 관형 목부분(11), 펀넬(12), 스템(13) 및 배기관(14)이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되며, 두께 방향의 파장 1050nm의 적외선 투과율이 70% 이하이다. 이 때문에 음극선관은 외부 포위기에서 열선을 흡수하기 쉬워, 이 유리 부재를 용착하거나 밀봉할 때의 가열 시간의 단축이나 가열 온도의 저하를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열선을 흡수하기 쉽기 때문에, 적외선 램프나 레이저 등의 가열 수단에 의해 유리 부재의 소정 부위만 스폿 가열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최선의 형태로서 유리 부재인 관형 목부분(11), 펀넬(12), 스템(13) 및 배기관(14) 모두가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각 유리 부재중 하나 이상이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되어도 충분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에서 목부분을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목부분을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할 경우에는, 파장 1050nm의 적외선 투과율이 2.4mm의 두께에서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5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목부분(11)의 내부에 전자 총(16)을 삽입할 경우, 전자 총(16)이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확인하면서 작업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일정 이상의 가시광 투과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목부분(11)은 570nm 파장의 가시광에서의 광 투과율이 두께 2.4mm로 환산하여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목부분(11)의 평균 두께는 약 2.4mm이지만, 본 발명의 목부분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령 평균 두께가 그보다 큰 3mm이거나, 또는 그보다 작은 2mm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목부분의 용착 시간을 단축하거나 또는 용착 온도를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유리의 점도를 낮추는 것이 좋다. 그러나, 기타 요구 특성을 유지한 채로 점도만을 변화시키기는 매우 어렵다. 더욱이, 목부분 유리의 점성을 낮추었을 경우에는, 이것을 기존의 펀넬 또는 스템과 용착할 때 커다란 응력이 발생하게 되어 파손의 원인이 되기 쉽다.
목부분에 사용되는 유리의 적외선 투과율을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유리중에 0.03∼10중량%(0.05∼8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1∼7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7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의 Fe2O3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Fe2O3를 환원시켜 Fe2+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따라서, Fe2+의 함유량을 0.003중량% 이상, 또는 Fe2+/ Fe3+의 비율을 0.08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중의 Fe2+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금속 Si 등의 환원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원제의 함유량은 0.002∼0.5중량%가 적당하다. 또한, 환원제를 함유시켰을 경우에는, 목부분의 가시광 영역의 광 투과율을 유지시킨 채로 적외선 영역의 광 투과율을 저하시킬 수도 있게 된다.
단, Fe2+/Fe3+의 비율을 0.5 보다 크게 하고자 하면, 매우 강한 환원이 필요하며, 그 결과, 유리중의 PbO가 금속화되어 스톤(stone: 유리에 함유된 결정성 이물질)으로 되거나 또는 유리 조성이 변동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목부분은 20∼40중량%의 PbO를 함유하는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PbO의 양이 20중량% 보다 적을 경우, 목부분 의 유리로서 충분한 X선 흡수 계수가 얻어지지 않는다. 즉, 이 경우에는 0.6옹스트롬 파장의 X선에 대한 흡수 계수가 80cm-1이상이 되지 않고, X선의 투과량이 지나치게 많아지기 때문에,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반대로, PbO의 양이 40중량% 보다 많을 경우에는, 유리의 점성이 지나치게 낮아지므로 목부분을 관형으로 성형하기가 어려워진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목부분은 중량 백분율로 PbO 20∼40%, SiO238∼58%, Al2O30∼5%, MgO 0∼5%, CaO 0∼6%, SrO 0∼9%, BaO 0∼9%, Na2O 0∼5%, K2O 6∼15%, Sb2O30∼1%, Fe2O30.03∼10%의 조성을 가지는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유리중의 SiO2, Al2O3, MgO, CaO, SrO, BaO, Na2O, K2O, Sb2O3, 및 Fe2O3의 함유량을 한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SiO2는 유리의 네트워크 형성재(network former)가 되는 성분이다. 그러나, SiO2가 38% 보다 적을 경우, 유리의 점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성형이 어려워지는 한편, 58% 보다 많을 경우에는 유리의 열팽창 계수가 지나치게 낮아지므로, 펀넬의 유리의 열팽창 계수와 정합(整合)되지 않게 된다.
Al2O3도 유리의 네트워크 형성재가 되는 성분이다. 그러나, 5% 보다 많을 경우에는 유리가 실투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성형이 어려워지는 동시에, 열팽창 계수도 지나치게 낮아진다.
MgO와 CaO는 모두 유리를 용융하기 쉽게 하며 열팽창 계수와 점도를 조정하는 성분이다. 그러나, MgO가 5% 보다 많을 경우, 또는 CaO가 6% 보다 많을 경우에는, 유리가 실투되기 쉬워지므로 성형이 곤란해진다.
SrO와 BaO는 모두 유리를 용융하기 쉽게 하고 열팽창 계수와 점도를 조정하며, 더욱이 X선 흡수 능력을 높이는 성분이다. 그러나, 각각이 9% 보다 많을 경우에는 유리가 실투되기 쉬워지므로 성형이 곤란해진다.
Na2O는 열팽창 계수와 점도를 조정하는 성분이다. 그러나, 이것이 5% 보다 많을 경우에는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지므로 성형하기 어려워진다.
K2O도 Na2O와 마찬가지로 열팽창 계수와 점도를 조정하는 성분이다. 그러나, 이것이 6% 보다 적을 경우에는 열팽창 계수가 지나치게 낮아지고 15% 보다 많을 경우에는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진다.
Sb2O3는 청징제(淸澄劑)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이 1% 보다 많으면 유리가 실투되기 쉬워지므로 성형하기 어려워진다.
Fe2O3는 유리의 적외선 투과율을 낮추는 성분이다. 그러나 이것이 0.03% 보다 적을 경우에는 적외선 투과율을 낮추는 효과가 작아진다. 한편, Fe2O3가 10% 보다 많을 경우에는 유리가 실투되기 쉬워지므로 성형이 어려워지는 동시에, 목부분이 황갈색으로 착색되어 가시광 영역에서의 광 투과율이 대폭 저하된다. 더욱이, 이 경우에는 용융 유리와 내화물의 계면에 백류석(leucite)이라 불리우는 결정이 석출되기 때문에, 이 결정으로 인해 유리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기 쉬워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스템 또는 배기관을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템 또는 배기관으로 형성된 유리는, 파장 1050nm의 적외선 투과율이 유리두께 1.5mm에서 60% 이하이고,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템의 용착 시간을 단축하거나 또는 용착 온도를 저하시키기 위하여, 또한 배기관의 밀봉 시간을 단축하거나 또는 밀봉 온도를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이들 유리의 점도를 낮추면 된다. 그러나, 기타 요구 특성을 유지한 채로 점도만 변화시키기는 매우 어렵다. 설사, 점도만 변화시킨 스템 유리를 기존의 목부분과 용착한다 하여도 유리가 고체화될 때의 점성 곡선의 차로 인해 커다란 응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용착은 파손의 원인이 되기 쉽다.
스템 또는 배기관에 사용되는 유리의 적외선 투과율을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유리중에 0.05∼10중량%(0.1∼8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2∼5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의 Fe2O3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Fe3+를 환원시켜 Fe2+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기 때문에, Fe2+의 함유량을 0.005중량% 이상, 또는 Fe2+/ Fe3+의 비율을 0.08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중의 Fe2+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금속 Si 등의 환원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환원제의 함유량은 0.002∼0.5중량%가 적당하다. 또한, 환원제를 함유시킴으로써, 스템 및 배기관의 가시광 영역의 광 투과율을 30% 이상으로 하여 투명성을 유지시킨 채로, 적외선 영역의 광 투과율을 저하시킬 수 있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단, Fe2+/Fe3+의 비율이 0.5 보다 커졌을 경우, 환원이 매우 강해진다. 그결과, 유리중의 PbO가 금속화되어 스톤으로 되거나 또는 유리 조성이 변동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템 및 배기관은 각각, 중량 백분율로 SiO248∼68%, Al2O30∼5%, PbO 18∼40%, Na2O 5∼15%, K2O 0∼6%, Sb2O30∼1%, Fe2O30.05∼10%의 조성을 가지는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한 조성은, 중량 백분율로 SiO250∼66%, Al2O30.1∼4%, PbO 20∼38%, Na2O 6∼14%, K2O 1∼5%, Sb2O30∼0.6%, Fe2O30.2∼5%이다.
이와 같이 유리중의 SiO2, Al2O3, PbO, Na2O, K2O, Sb2O3, 및 Fe2O3의 함유량을 한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SiO2는 유리의 네트워크 형성재가 되는 성분이다. 그러나, SiO2가 48% 보다 적을 경우, 유리의 점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성형이 어려워지는 한편, 68% 보다 많을 경우에는 유리의 열팽창 계수가 지나치게 낮아지므로, 기존 유리의 열팽창 계수와 정합되지 않고 용착 불량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Al2O3도 유리의 네트워크 형성재가 되는 성분이다. 그러나, 5% 보다 많을 경우에는 유리가 실투되기 쉬워져 성형이 어려워지는 동시에, 열 팽창 계수도 지나치게 낮아진다.
PbO는 유리의 X선 흡수 능력, 전기 절연성 및 열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성분이다. 그러나, 18% 보다 적을 경우에는 충분한 X선 흡수 능력을 얻기 어려워지고, 40% 보다 많을 경우에는 충분한 전기 절연성 또는 열 가공성을 얻기 어려워진다.
Na2O는 열팽창 계수와 점도를 조정하는 성분이다. 그러나, 이것이 5% 보다 적을 경우에는, 유리의 열 팽창 계수가 지나치게 낮아지므로 기존 유리의 열 팽창 계수와 정합되지 않게 되고, 15% 보다 많을 경우에는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지므로 성형하기 어려워진다.
K2O도 Na2O와 마찬가지로 열팽창 계수와 점도를 조정하는 성분이다. 그러나, 이것이 6% 보다 많을 경우에는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지므로 성형하기 곤란해지고, 유리의 전기 저항이 낮아지므로 절연 파괴 등의 문제가 일어나기 쉬워진다.
Sb2O3는 청징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이 1% 보다 많으면 유리가 실투되기 쉬워지므로 성형하기 어려워진다.
Fe2O3는 유리의 적외선 투과율을 낮추는 성분이다. 그러나 이것이 0.05% 보다 적을 경우에는 적외선 투과율을 낮추는 효과가 작아지고, 10% 보다 많을 경우에는 유리가 실투되기 쉬워지므로 성형이 어려워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펀넬을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펀넬을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할 경우에는 파장 1050nm의 적외선 투과율이 유리 두께 10mm에서 60% 이하이고,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3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펀넬의 적외선 투과율은 두께 10mm을 기준으로 하여 규정하였다.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펀넬의 두께는 사이즈에 따라 다양한데, 평균 두께가 20mm인 대형 및 평균 두께가 1mm인 소형이 존재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모든 사이즈의 펀넬에 적용된다.
또한, 펀넬의 용착 시간을 단축하거나 용착 온도를 저하시키려면 유리의 점도를 낮추면 된다. 그러나 기타 요구 특성을 유지한 채로 점도만 변화시키기는 매우 어렵다. 더욱이, 펀넬 유리의 점성만 변화시키고 이것을 기존의 목부분과 용착시킬 때에는, 유리가 고화될 때의 점성 곡선의 차이로 인해 커다란 응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점도를 변화시킨 용착은 파손의 원인이 되기 쉽다.
펀넬에 사용되는 유리의 적외선 투과율을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유리중에 0.2∼10중량%(0.5∼8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5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의 Fe2O3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Fe3+를 환원시켜 Fe2+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따라서, Fe2+의 함유량을 0.015중량% 이상, 또는 Fe2+/ Fe3+의 비율을 0.08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중의 Fe2+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금속 Si 등의 환원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환원제의 함유량으로는 0.002∼0.5중량%가 적당하다. 또한, 환원제를 함유시켰을 경우, 펀넬의 가시광 영역의 광 투과율을 30%이상으로 하여 투명성을 유지시킨 채로 적외선 영역의 광 투과율을 저하시킬 수도 있게 된다.
단, Fe2+/Fe3+의 비율을 0.5 보다 크게 하려면, 매우 강한 환원이 필요하며 그 결과, 유리중의 PbO가 금속화되어 스톤으로 되거나 또는 유리 조성이 변동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펀넬은 PbO를 10∼30중량% 함유하는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PbO의 양이 10중량% 보다 적을 경우, 펀넬의 유리로서 충분한 X선 흡수 계수, 즉, 0.6옹스트롬 파장의 X선에 대한 흡수 계수가 40cm-1이상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X선의 투과량이 지나치게 많아지기 때문에,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반대로 PbO의 양이 30중량% 보다 많을 경우에는 유리의 점성이 지나치게 낮아지므로, 펀넬로 성형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펀넬은 중량 백분율로 SiO248∼58%, Al2O30.5∼6%, PbO 10∼30%, MgO 0∼5%, CaO 0∼6%, SrO 0∼9%, BaO 0∼9%, Na2O 3∼9%, K2O 4∼11%, Sb2O30∼1%, Fe2O30.2∼10%의 조성을 가지는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iO249∼57%, Al2O31∼5%, PbO 15∼27%, MgO 0∼4%, CaO 1∼5%, SrO 0∼4%, BaO 0∼4%, Na2O 4∼8%, K2O 5∼10%, Sb2O30∼0.6%, Fe2O31∼5%의 조성을 가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유리중의 SiO2, Al2O3, PbO, MgO, CaO, SrO, BaO, Na2O, K2O,Sb2O3, 및 Fe2O3의 함유량을 한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SiO2는 유리의 네트워크 형성재가 되는 성분이다. 그러나, SiO2가 48% 보다 적을 경우, 유리의 점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성형이 어려워지는 한편, 58% 보다 많을 경우에는 유리의 열팽창 계수가 지나치게 낮아지므로, 목부분 유리의 열팽창 계수와 정합되지 않게 된다.
Al2O3도 유리의 네트워크 형성재가 되는 성분이다. 그러나 0.5% 보다 적을 경우에는 유리의 점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성형하기 곤란해지며, 6% 보다 많을 경우에는 유리가 실투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성형이 어려워지는 동시에, 열팽창 계수도 지나치게 낮아진다.
MgO와 CaO는 모두 유리를 용착하기 쉽게 하며 열팽창 계수와 점도를 조정하는 성분이다. 그러나, MgO가 5% 보다 많을 경우, 또는 CaO가 6% 보다 많을 경우에는, 유리가 실투되기 쉬워지므로 성형이 곤란해진다.
SrO와 BaO는 모두 유리를 용착하기 쉽게 하고 열팽창 계수와 점도를 조정하며, 더욱이 X선 흡수 계수를 높이는 성분이다. 그러나, 각각이 9% 보다 많을 경우에는 유리가 실투되기 쉬워지므로 성형이 곤란해진다.
Na2O는 열팽창 계수와 점도를 조정하는 성분이다. 그러나, 이것이 3% 보다 적을 경우에는 유리의 열팽창 계수가 지나치게 낮아지므로 목부분 유리의 열팽창 계수와 정합되지 않게 되고, 9% 보다 많을 경우에는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지므로 성형하기 어려워진다.
K2O도 Na2O와 마찬가지로 열팽창 계수와 점도를 조정하는 성분이다. 그러나, 4% 보다 적을 경우에는 유리의 열팽창 계수가 지나치게 낮아지게 되므로 목부분 유리의 열팽창 계수와 정합되지 않게 되고, 11% 보다 많을 경우에는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지므로 성형하기 어려워진다.
Sb2O3는 청징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이 1% 보다 많으면 유리가 실투되기 쉬워지므로 성형하기 어려워진다.
Fe2O3는 유리의 적외선 투과율을 낮추는 성분이다. 그러나 이것이 0.2% 보다 적을 경우에는 적외선 투과율을 낮추는 효과가 작고, 10% 보다 많을 경우에는 유리가 실투되기 쉬워 성형이 어려워진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표 1은 목부분에 이용되는 유리의 실시예(시료 No. 1∼5)를 나타내는 것이고, 표 2는 목부분에 이용되는 유리의 비교예(No. 6∼8)를 나타내는 것이다.
표 1 및 표 2의 각 시료는 다음과 같이 하여 조제하였다.
우선, 표의 유리 조성(중량%)이 되도록 조합한 원료 배치(batch)를 백금 도가니(platinum crucible)에 넣고 약 1480℃에서 4시간 동안 용융하였다. 또한, 균질한 유리를 얻기 위하여, 도중에 백금 교반 로드를 사용하여 3분간 교반하고 거품을 제거하였다. 그 후, 용융 유리를 금형에 흘려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한 후 서서히 냉각시켰다.
이리하여 얻은 각 시료의 Fe2+량, Fe2+/Fe3+의 비율, 적외선 투과율, 연화 변형 시간 및 X선 흡수 계수를 조사하고 표로 나타내었다.
표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실시예인 No. 1∼5의 각 시료는 Fe2O3양이 0.30중량% 이상, Fe2+량이 0.0300중량% 이상, Fe2+/Fe3+의 비가 0.13 이상이며, 적외선 투과율이 0.2∼68.0%이기 때문에, 연화 변형 시간이 170초 이내였다. 또한 이들 각 시료의 X선 흡수 계수는 92cm-1이상이었다. 더욱이, No. 5의 시료에 대하여 570nm의 파장에서의 가시광 투과율(두께 2.4mm)을 측정하였더니 21%였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인 No. 6의 시료는 Fe2O3양이 0.02중량%로 적고, Fe2+양이 0.0008중량%로 적으며, Fe2+/Fe3+의 비가 0.06으로 작고, 적외선 투과율이 90.1%로 높기 때문에, 연화 변형 시간이 178초로 길어졌다.
또한 No. 7의 시료는 Fe2O3양이 0.02중량%로 적고, Fe2+양이 0.0014중량%로 적으며, 적외선 투과율이 89.9%로 높기 때문에, 연화 변형 시간이 176초로 길어졌다.
더욱이, No. 8의 시료는 Fe2+양이 0.0020중량%로 적으며, Fe2+/Fe3+의 비가 0.06으로 작고, 적외선 투과율이 88.4%로 높기 때문에, 연화 변형 시간이 173초로 길어졌다.
상기의 결과를 통해, 실시예의 각 시료로 제작된 목부분은 비교예의 각 시료로 제작된 목부분에 비해, 스템과의 용착 온도를 저하시키거나 용착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음으로 실시예인 시료 No. 4의 조성을 가지는 유리를 널리 알려진 데너(Danner)법에 의해 관형으로 성형한 후, 이를 절단 가공함으로써 목부분을 제작한 다음, 그 목부분 내부에 함침형 캐소드가 부착된 전자 총을 장착하고 버너 가열에 의해 공냉하지 않고 스템을 용착하였더니, 전자 총의 이미션 성능이 저하되지 않고 양호하게 용착될 수 있었다.
표 3은 스템 및 배기관에 이용되는 유리의 실시예(시료 No. 9∼13)를 나타내는 것이며, 표 4는 비교예(시료 No. 14∼16)를 나타내는 것이다.
표 3 및 4의 각 시료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제하였다.
우선, 표의 유리 조성(중량%)이 되도록 조합한 원료 배치를 백금 도가니에 넣고 약 1480℃에서 4시간 동안 용융하였다. 또한 균질한 유리를 얻기 위하여, 도중에 백금 교반 로드를 사용하여 3분간 교반하고 거품을 제거하였다. 그 후, 용융 유리를 금형에 흘려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한 후 서서히 냉각시켰다.
이리하여 얻은 각 시료의 Fe2+량, Fe2+/Fe3+의 비율, 적외선 투과율 및 연화 변형 시간을 조사하여 표로 나타내었다.
표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실시예인 No. 9∼13의 각 시료는 Fe2O3양이 0.1중량% 이상, Fe2+량이 0.008중량% 이상, Fe2+/Fe3+의 비가 0.11 이상이며, 적외선 투과율이 2∼69%이기 때문에, 연화 변형 시간이 165초 이내였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인 No. 14의 시료는 Fe2O3의 양이 0.02중량%, Fe2+양이 0.0007중량%로 적으며, Fe2+/Fe3+의 비가 0.05로 작고, 적외선 투과율이 90%로 높기 때문에, 연화 변형 시간이 185초로 길어졌다.
또한 No. 15의 시료는 Fe2O3양이 0.02중량%, Fe2+양이 0.001중량%로 적으며, 적외선 투과율이 87%로 높기 때문에, 연화 변형 시간이 182초로 길어졌다.
더욱이, No. 16의 시료는 Fe2+양이 0.0014중량%로 적으며, Fe2+/Fe3+의 비가 0.05로 작고, 적외선 투과율이 88%로 높기 때문에, 연화 변형 시간이 183초로 길어졌다.
상기의 결과를 통해, 실시예의 각 시료로 제작된 유리는 비교예의 각 시료로 제작된 유리에 비해, 용착 온도 및 밀봉 온도를 저하시키고 용착 시간 및 밀봉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음으로, 실시예인 시료 No. 10의 조성을 가지는 유리를 널리 알려진 데너법에 의해 관형으로 성형한 후, 이를 열 가공함으로써 스템과 배기관을 제작하였다. 또한, 표 1의 시료 No. 5의 조성을 가지는 유리로 목부분을 제작하고, 이들 스템, 배기관, 목부분을 이용하여 음극선관을 제작하였다. 또한, 패널로는 PT-28(니혼덴키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이용하고, 펀넬로는 FT-22H(니혼덴키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이용하였다.
상기한 음극선관은 전자 총으로서 함침형 캐소드가 부착된 전자 총을 이용하고, 이것을 목부분 내부에 장착한 다음 공냉하지 않고 버너로 연소 가공함으로써, 목부분과 스템을 용착하였는데, 전자 총의 이미션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양호하게 용착할 수 있었다. 더욱이 음극선관을 감압 배기한 후, 배기관을 버너로 연소 가열하여 밀봉하였는데, 전자총의 이미션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양호하게 밀봉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버너 대신에, 적외선 램프로 가열하여 각 유리 부재를 용착하였다. 즉, 패널과 펀넬의 결합은 프릿 밀봉(frit seal)함으로써 이루어졌으나, 펀넬과 목부분의 결합, 목부분과 스템의 결합, 스템과 배기관의 결합은, 적외선을 소정 부위에 조사하여 가열 연화시켜 용착함으로써 이루어졌다. 또한, 펀넬에 대한 애노드 버튼의 용착 및 배기관의 밀봉도 적외선 가열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하, 목부분과 스템을 적외선을 이용하여 용착하는 방법에 관하여 도 2를 이용하여 상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우선 목부분(11)의 근방에 적외선 램프(25)와 미러(mirror)(26)를 배치하고, 내부에 전자 총(16)이 장착된 목부분(11)의 개구 단부에 대하여 미리 배기관(14)이 용착된 스템(13)을 접촉시켰으며, 그 상태에서 적외선 램프(25)로부터 적외선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적외선이 미러(26)에 의해 집광되어, 목부분(11)과 스템(13)의 접촉부에 조사되는 스폿 가열이 이루어졌다. 이어서, 목부분(11)을 축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그 전체 둘레에 걸쳐 적외선이 조사되어, 유리가 가열 연화되고 목부분(11)과 스템(13)이 완전히 용착되었다. 이 때, 전자 총(16)의 캐소드 온도를 측정하였더니, 600℃에 달하는 일은 없었다.
표 5는 펀넬에 이용되는 유리의 실시예(No. 17∼21)를 나타낸 것이고, 표 6은 비교예(시료 No.22∼24)를 나타낸 것이다.
표 5 및 6의 각 시료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조제하였다.
우선, 표의 유리 조성(중량%)이 되도록 조합한 원료 배치를 백금 도가니에 넣고 약 1500℃에서 4시간 동안 용융하였다. 또한, 균질한 유리를 얻기 위하여, 도중에 백금 교반 로드를 사용하여 3분간 교반하고 거품을 제거하였다. 그 후, 용융 유리를 금형에 흘린 후 서서히 냉각시켰다.
이리하여 얻은 각 시료의 Fe2+량, Fe2+/Fe3+의 비율, 적외선 투과율, 연화 변형 시간 및 X선 흡수 계수를 조사하여 표로 나타내었다.
표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실시예인 No. 17∼21의 각 시료는 Fe2O3양이 0.2중량% 이상, Fe2+량이 0.016중량% 이상, Fe2+/Fe3+의 비가 0.11 이상이며, 적외선 투과율이 1∼65%이기 때문에, 연화 변형 시간이 175초 이내였다. 또한, 이들 시료의 X선 흡수 계수는 61cm-1이상이었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인 No. 22의 시료는 Fe2O3양이 0.1중량%, Fe2+양이 0.004중량%로 적으며, Fe2+/Fe3+의 비가 0.06으로 작고, 적외선 투과율이 78%로 높기 때문에, 연화 변형 시간이 190초로 길어졌다.
또한 No. 23의 시료는 Fe2O3양이 0.1중량%, Fe2+양이 0.008중량%로 적으며, 적외선 투과율이 73%로 높기 때문에, 연화 변형 시간이 186초로 길어졌다.
더욱이, No. 24의 시료는 Fe2+양이 0.006중량%로 적으며, Fe2+/Fe3+의 비가 0.06으로 작고, 적외선 투과율이 71%로 높기 때문에, 연화 변형 시간이 184초로 길어졌다.
상기의 결과를 통해, 실시예의 각 시료로 제작된 펀넬은 비교예의 각 시료로 제작된 펀넬에 비해 목부분과의 용착 온도를 저하시키고, 또는 용착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음으로, 실시예인 시료 No. 17의 조성을 가지는 유리를 널리 알려진 프레스 성형법에 의해 깔때기 형상으로 성형한 후, 적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기존의 목부분 유리와 용착하였더니 유리로부터의 휘발물이 부착되지 않고, 용착에 의해 양호하게 일체화될 수 있었다.
또한, 각 표에서 Fe2+양과 Fe2+/Fe3+의 비는, 황산 분해, 염산 융해에 의한 화학 분석치에 따라 구한 것이다. 또한, 적외선 투과율은 각 시료를 판상으로 성형하고, 소정의 두께(목부분용 유리는 2.4mm, 스템 및 배기관용 유리는 1.5mm, 펀넬용 유리는 10mm)가 되도록 광학 연마한 후, 가시·적외 분광 광도계에 의해 1050nm 파장의 광 투과율을 측정한 것이다.
더욱이, 연화 변형 시간은 각 시료를 6φ×100mm의 크기의 솔리드 로드로 가공한 다음 전기로 내부에 매달고, 그 길이 방향의 중심부 2cm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솔리드 로드가 연화 변형되어 전체 길이가 1000mm까지 늘어나는 시간을 측정한 것이다. 상기 소정의 온도는 목부분용, 스템용, 배기관용 유리에서는 750℃, 펀넬용 유리에서는 700℃이다.
또한, X선 흡수 계수는 유리 조성과 밀도에 근거하여 0.6옹스트롬의 파장에 대한 흡수 계수를 계산하여 구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된 음극선관은, 펀넬, 목부분, 스템 및 배기관중 하나 이상이 열선을 흡수하기 쉽고, 가열에 의해 연화 변형되기 쉽기 때문에, 용착이나 밀봉할 때의 가열 시간의 단축, 또는 가열 온도의 저하를 도모하는 동시에, 적외선 램프나 레이저 등에 의한 스폿 가열에 적합하다.
따라서, 캐소드 재료로서 바륨을 사용한 일반적인 전자 총 뿐만 아니라, 함침형 캐소드가 부착된 전자 총을 장착할 경우에도, 공냉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전자 총의 이미션 특성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용착 또는 밀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된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은, 펀넬, 목부분, 스템 및 배기관중 하나 이상이 열선을 흡수하기 쉽고, 적외선에 의해 유리 부재의 소정 부위만을 스폿 가열하여 용착 및 밀봉할 수 있기 때문에, 함침형 캐소드가 부착된 전자 총을 장착할 경우에도 공냉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전자 총의 이미션 특성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용착 또는 밀봉하는데 적합하다. 더욱이, 종래의 버너에 의한 연소 가열과 같이 가열 부분을 오염시키는 일도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고온에 닿으면 이미션 특성이 저하되기 쉬운 함침형 캐소드가 부착된 전자 총을 사용한 컬러 음극선관의 목부분과 스템을 용착하는데 바람직하다.

Claims (21)

  1. 외부 포위기를 구성하는 패널, 펀넬, 목부분, 스템 및 배기관이 유리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펀넬, 목부분, 스템 및 배기관중 하나 이상의 유리 부재가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되며, 두께 방향의 파장 1050nm의 적외선 투과율이 7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2. 제 1항에 있어서, 목부분이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되며, 파장 1050nm의 적외선 투과율이 유리 두께 2.4mm에서 6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3. 제 1항에 있어서, 목부분이 0.03∼10중량%의 Fe2O3를 함유하는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4. 제 1항에 있어서, 목부분이 0.003중량% 이상의 Fe2+를 함유하는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5. 제 1항에 있어서, 목부분이 중량비로 Fe2+/Fe3+의 비율이 0.08 이상인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6. 제 1항에 있어서, 목부분이 20∼40중량%의 PbO를 함유하며, 0.6옹스트롬 파장의 X선에 대한 흡수 계수가 80cm-1이상인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7. 제 1항에 있어서, 목부분이 중량 백분율로, PbO 20∼40%, SiO238∼58%, Al2O30∼5%, MgO 0∼5%, CaO 0∼6%, SrO 0∼9%, BaO 0∼9%, Na2O 0∼5%, K2O 6∼15%, Sb2O30∼1%, Fe2O30.03∼10%의 조성을 가지는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8. 제 1항에 있어서, 스템 및 배기관중 하나 이상이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되며, 파장 1050nm의 적외선 투과율이 유리 두께 1.5mm에서 6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9. 제 1항에 있어서, 스템 및 배기관중 하나 이상이 0.05∼10중량%의 Fe2O3를 함유하는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0. 제 1항에 있어서, 스템 및 배기관중 하나 이상이 0.005중량% 이상의 Fe2+를 함유하는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1. 제 1항에 있어서, 스템 및 배기관중 하나 이상이 중량비로 Fe2+/Fe3+의 비가 0.08이상인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2. 제 1항에 있어서, 스템 및 배기관중 하나 이상이 중량 백분율로, SiO248∼68%, Al2O30∼5%, PbO 18∼40%, Na2O 5∼15%, K2O 0∼6%, Sb2O30∼1%, Fe2O30.05∼10%의 조성을 가지는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3. 제 1항에 있어서, 펀넬이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되며, 파장 1050nm의 적외선 투과율이 유리 두께 10mm에서 6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4. 제 1항에 있어서, 펀넬이 0.2∼10중량%의 Fe2O3를 함유하는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5. 제 1항에 있어서, 펀넬이 0.015중량% 이상의 Fe2+를 함유하는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6. 제 1항에 있어서, 펀넬이 중량비로 Fe2+/Fe3+의 비율이 0.08 이상인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7. 제 1항에 있어서, 펀넬이 10∼30중량%의 PbO를 함유하고, 0.6옹스트롬 파장의 X선에 대한 흡수 계수가 40cm-1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8. 제 1항에 있어서, 펀넬이 중량백분율로 SiO248∼58%, Al2O30.5∼6%, PbO 10∼30%, MgO 0∼5%, CaO 0∼6%, SrO 0∼9%, BaO 0∼9%, Na2O 3∼9%, K2O 4∼11%, Sb2O30∼1%, Fe2O30.2∼10%의 조성을 가지는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9. 패널, 펀넬, 목부분, 스템 및 배기관중의 유리 부재를 가열 연화시켜 용착 및 밀봉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펀넬, 목부분, 스템 및 배기관중 하나 이상의 유리 부재를 적외선 흡수 유리로 형성하며, 그 유리 부재를 주로 적외선을 이용하여 가열 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적외선의 발광원으로 적외선 램프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적외선의 집광 및 확산에 렌즈 및 미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KR1020017009663A 1999-02-01 2000-01-26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KR200101019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023889 1999-02-01
JP2388999 1999-02-01
JPJP-P-1999-00114823 1999-04-22
JP11482399 1999-04-22
JPJP-P-1999-00127607 1999-05-07
JP11127607A JP2000323034A (ja) 1999-05-07 1999-05-07 陰極線管ガラスの加熱方法
JP12946899 1999-05-11
JPJP-P-1999-00129468 1999-05-11
JPJP-P-1999-00132684 1999-05-13
JP11132684A JP2000323071A (ja) 1999-05-13 1999-05-13 陰極線管用ファンネルガラス
JPJP-P-1999-00231059 1999-08-18
JP23105999A JP2001006581A (ja) 1999-02-01 1999-08-18 陰極線管用ネックガラス
PCT/JP2000/000378 WO2000046835A1 (fr) 1999-02-01 2000-01-26 Tube cathodiqu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1901A true KR20010101901A (ko) 2001-11-15

Family

ID=27549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9663A KR20010101901A (ko) 1999-02-01 2000-01-26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152450A4 (ko)
KR (1) KR20010101901A (ko)
CN (1) CN1339170A (ko)
WO (1) WO20000468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6441A (ja) * 2001-07-13 2003-01-29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陰極線管用ファンネル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陰極線管用ファンネルガラス
US6859309B2 (en) * 2001-12-19 2005-02-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filters for manipulating spectral power distribution in accelerated weathering devices
KR20150132449A (ko) * 2013-03-15 2015-11-25 바이엘 헬스케어 엘엘씨 재조합 인자 viii 제제
CN111517640B (zh) * 2020-06-30 2021-03-02 成都光明光电股份有限公司 环保玻璃材料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45256A (en) * 1964-11-02 1969-05-20 Corning Glass Works Infrared absorptive sealing glass
JPS49119486A (ko) * 1973-03-19 1974-11-14
JPS52154337A (en) * 1976-06-18 1977-12-22 Hitachi Ltd Glass stem for cathode-ray tube
JPS6046947A (ja) * 1983-08-24 1985-03-14 Toshiba Glass Co Ltd 環形螢光ランプ用ガラス
JPS63181237A (ja) * 1987-01-23 1988-07-26 Hitachi Ltd 陰極線管処理用加熱炉
JPH0574344A (ja) * 1991-09-11 1993-03-26 Hitachi Ltd 陰極線管製造用加熱冷却炉
JPH0646947A (ja) * 1992-07-31 1994-02-22 Tsuneo Masuda 御 守
DE69909428T2 (de) * 1998-09-04 2003-12-24 Nippon Electric Glass Co Halsteil und trichterteil von pbo enthaltenden kathodenstrahlröhrenkolb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46835A1 (fr) 2000-08-10
EP1152450A4 (en) 2004-04-14
CN1339170A (zh) 2002-03-06
EP1152450A1 (en) 200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1809B1 (en) Copper alumino-silicate glasses
US4737685A (en) Seal glass composition
EP0603933B1 (en) Glass composition suitable for use in electric lamps, stem manufactured from this glass composition and fluorescent lamp having a lamp envelope of this glass composition
US6727198B1 (en) Infrared absorbing glass for reed switch
KR20010101901A (ko)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US4409516A (en) Rounded end halogen lamp with exhaust tube having different glass
JP2000007373A (ja) 排気管用ガラス及び排気管
US6674001B2 (en) Solder glass and electrical device employing same
KR102556700B1 (ko) 금속-세라믹 접합을 통합 밀봉 방법
KR102556704B1 (ko) 석영 유리 및 텅스텐의 이종접합을 통합 밀봉 방법
TW460892B (en) Cathod ray tube and the manufacture method
JP2001148225A (ja) 陰極線管及び陰極線管の製造方法
US6935138B2 (en) Infra-red absorption glass for a reed switch
US6432853B1 (en) Medium expansion leaded copper boroaluminosilicate glasses
JP2001028249A (ja) 陰極線管用ガラス
JP2001052632A (ja) 陰極線管用ネックガラス
JP2001270734A (ja) 陰極線管用ガラス、ネック管及びステム
KR100581485B1 (ko)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
JP2001312966A (ja) 陰極線管及び陰極線管の製造方法
JP2001006582A (ja) 陰極線管
JP2001006581A (ja) 陰極線管用ネックガラス
JP4348735B2 (ja) 照明用ガラス
JP2002025445A (ja) 陰極線管ガラスの熔着方法
JP2008024564A (ja) ランプ用ガラスの製造方法、ランプ用ガラス、ランプ用ガラス管およびランプ
JP2000323071A (ja) 陰極線管用ファンネルガラ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