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1485B1 -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1485B1
KR100581485B1 KR1020047003272A KR20047003272A KR100581485B1 KR 100581485 B1 KR100581485 B1 KR 100581485B1 KR 1020047003272 A KR1020047003272 A KR 1020047003272A KR 20047003272 A KR20047003272 A KR 20047003272A KR 100581485 B1 KR100581485 B1 KR 100581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mass
cathode ray
rang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3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4690A (ko
Inventor
요시하루 미와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4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1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14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3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102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lead
    • C03C3/105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lead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4/00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 C03C4/08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for glass selectively absorbing radiation of specified wave lengths
    • C03C4/087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for glass selectively absorbing radiation of specified wave lengths for X-rays absorbing g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6Vessels and containers
    • H01J2229/8603Neck or cone portions of the CRT ves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는 질량백분율로, SiO2 48 내지 62%, Al2O3 1.4 내지 4.1%, PbO 5 내지 15%, MgO 0 내지 2%, CaO 0.1 내지 4%, SrO 3 내지 8%, BaO 3 내지 8%, ZnO 0 내지 2%, Na2O 4 내지 9%, K2O 4 내지 9%, ZrO2 0.3 내지 2%, TiO2 0 내지 1%, CeO2 0 내지 1%, Sb2O3 0 내지 2%, 및 Fe2 O3 0.03 내지 1%를 함유한다. (SrO+BaO)/PbO의 값은 1.0 내지 3.2의 범위에 있고, Al2O3/PbO의 값은 0.13 내지 0.4의 범위에 있으며, 0.6Å에서의 X선 흡수계수는 40㎝-1이상이다.

Description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 {FUNNEL GLASS FOR CATHODE-RAY TUBE}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에 관한 것이다.
음극선관의 외부 포위기는 영상이 비추어지는 전면 유리(panel glass), 전자총이 장착되는 관형상의 네크 유리 및 전면 유리와 네크 유리를 접속시키는 깔대기 형상의 후면 유리(funnel glass)를 포함한다. 전자총으로부터 나온 전자선은 전면 유리의 내부면에 설치된 형광체를 발광시켜 전면 유리에 영상을 비춘다. 이 때, 제동 X선이 음극선관내에 발생한다. 제동 X선이 외부 포위기를 통해 관 외부로 누설되면 인체에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러한 외부 포위기에는 높은 X선 흡수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후면 유리나 네크 유리에는, X선 흡수능력이 높은 PbO를 15%이상 함유시켜 X선 흡수계수를 40㎝-1이상으로 한 납유리가 이용되고 있다. 특히, 네크 유리는 두께가 얇기 때문에, 보다 높은 X선 흡수계수가 요구된다. 따라서, 네크 유리에는, PbO를 20%이상 함유시켜 X선 흡수계수를 80㎝-1이상으로 한 납유리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전면 유리는, 전자선 및 X선 등에 의해 유리가 착색되지 않을 것이 엄 격히 요구된다. 따라서, 전면 유리에는, 전자선 및 X선에 의한 착색의 원인이 되는 PbO 대신에 SrO 및 BaO를 함유시켜 X선 흡수계수를 28㎝-1이상으로 한 유리가 이용되고 있다.
이들 전면 유리와 후면 유리는 통상 PbO계 프릿에 의해 접합된다. 또한, 후면 유리와 네크 유리는 용착에 의해 접합된다.
최근, 폐기물의 감량화, 유해성분에 의한 환경 오염의 방지 및 자원의 재활용이 강력히 요구되고 있어, 음극선관 전구 유리(bulb glass)의 재활용이 진행되고 있다. 재활용시에는, 우선 음극선관 전구 유리를 전면 유리, 후면 유리 및 네크 유리의 각 부분으로 분할한다. 그런 다음, 각 부분을 약액에 침지시켜, 형광체, 카본 대그(DAG: deflocculated acheson graphite), 프릿 등을 제거한다. 이어서, 각 부분마다 파쇄하고, 세정하여 이루어진 유리 조각을 각 부분을 위한 유리 원료로서 사용함으로써 재활용하고 있다. 재활용시에 음극선관 전구 유리를 각 부분마다 완전히 분별하는 이유는, 예를 들어 후면 유리나 네크 유리와 같이 PbO를 함유하는 유리가 전면 유리의 원료에 섞여 들어가면,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전면 유리에 전자선 및 X선에 의한 착색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환경에 미치는 영향 때문에, 매립하여 폐기되는 음극선관 전구의 양이 감소되고, 재활용을 할 수 밖에 없는 음극선관 전구의 양이 증가되고 있으나, 거품이나 스톤(stone: 유리에 함유된 결정성 이물질) 등의 유리 결함의 허용 수준이 엄격한 전면 유리에, 전면 유리를 파쇄한 조각을 원료로서 다량으로 사용하는 것은 곤란하 다. 따라서, 소화되지 못하고 남은 전면 유리 조각을 후면 유리의 원료로서 재활용하는 것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전면 유리는 후면 유리보다도 X선 흡수계수가 낮기 때문에, 전면 유리 조각을 후면 유리의 원료로서 사용하는 것은 X선 흡수계수의 저하를 초래한다. 또한, 그 밖의 요망되는 특성도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에서, 전면 유리 조각은 소량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나날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음극선관 전구 유리를 각 부분마다 완전히 분리하는 것은, 대단히 번거로운 일이며, 제품의 비용 상승을 초래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극선관용 전구의 유리 조각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원료를 이용하더라도 요망되는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의하면, 질량백분율로, SiO2 48 내지 62%, Al2O3 1.4 내지 4.1%, PbO 5 내지 15%, MgO 0 내지 2%, CaO 0.1 내지 4%, SrO 3 내지 8%, BaO 3 내지 8%, ZnO 0 내지 2%, Na2O 4 내지 9%, K2O 4 내지 9%, ZrO2 0.3 내지 2%, TiO2 0 내지 1%, CeO2 0 내지 1%, Sb2O3 0 내지 2%, 및 Fe2O3 0 내지 1%를 함유하며, (SrO+BaO)/PbO의 값이 1.0 내지 3.2의 범위에 있고, Al2O3/PbO의 값이 0.13 내지 0.40의 범위에 있고, 0.6Å에서의 X선 흡수계수가 40㎝-1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양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는, 질량백분율로, SiO2 48 내지 62%, Al2O3 1.4 내지 4.1%, PbO 5 내지 15%, MgO 0 내지 2%, CaO 0.1 내지 4%, SrO 3 내지 8%, BaO 3 내지 8%, ZnO 0 내지 2%, Na2O 4 내지 9%, K2O 4 내지 9%, ZrO2 0.3 내지 2%, TiO2 0 내지 1%, CeO2 0 내지 1%, Sb2O3 0 내지 2%, 및 Fe2O3 0 내지 1%를 함유하고 있다. (SrO+BaO)/PbO의 값은 1.0 내지 3.2의 범위에 있다. Al2O3/PbO의 값은 0.13 내지 0.40의 범위에 있다. 또한, 0.6Å에서의 X선 흡수계수는 40㎝-1이상이다.
다량의 전면 유리 조각을 후면 유리의 원료로서 사용하면, PbO 함유량이 감소하여 X선 흡수계수가 저하되는데, 본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는, SrO나 BaO를 각각 3 내지 8질량%로 함유시켜, (SrO+BaO)/PbO의 값을 1.0 내지 3.2의 범위로 함으로써 X선 흡수계수를 보정하고 있다. 또한, PbO 함유량의 감소에 따라 유리의 점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Al2O3/PbO의 값을 0.13 내지 0.40의 범위로 함으로써 유리의 점도 상승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본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는, 질량백분율로, PbO를 5 내지 15%, SrO를 3 내지 8% 및 BaO를 3 내지 8%로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0.6Å에서의 X선 흡수계수도 40㎝-1이상으로 높다. 유리 원료중에, 음극선관 전구의 파쇄 유리 조각 혼합물을 55질량%(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 함유시킴으로써, 재활용해야 하는 음극선관 전구를 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파쇄된 유리 조각 혼합물의 평균 조성에 따라서는, 원료 배치(batch)와 혼합하지 않고, 그대로 후면 유리용 조합 배치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유리의 조성을 상기한 바와 같이 한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SiO2는 유리의 네트워크 포머(network former)가 되는 성분이다. SiO2의 함유량이 48 내지 62질량%일 때, 후면 유리의 성형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네크 유리의 열팽창계수와의 정합성이 양호해진다. SiO2의 함유량 범위는 49 내지 6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Al2O3도 유리의 네트워크 포머가 되는 성분이다. Al2O3의 함유량이 1.4 내지 4.1질량%일 때, 후면 유리의 성형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네크 유리의 열팽창계수와의 정합성이 양호해진다. Al2O3의 함유량 범위는 1.5 내지 4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PbO는 유리의 X선 흡수계수를 높이는 성분이다. PbO의 함유량이 5 내지 15질량%일 때, 충분한 X선 흡수능력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면 유리의 성형에 적합한 점도를 얻을 수 있다. PbO의 함유량 범위는 5.5질량% 이상이며, 10질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MgO는 유리가 용융되기 쉽게 함과 동시에, 열팽창계수와 점도를 조정하는 성분이다. MgO의 함유량이 2질량% 이하일 때, 유리는 실투(失透)되기 어려워지고, 액상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후면 유리의 성형이 용이해진다. MgO의 함유량은 1.9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CaO는 유리의 열팽창계수와 점도를 조정함과 동시에, 유리의 내수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이다. CaO의 함유량이 0.1질량% 보다 적으면, 내수성이 악화된다. 한편, 함유량이 많으면 유리가 실투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으나, CaO의 함유량이 4질량% 이하이면, 유리를 실투시키지 않으며 용융시킬 수 있다. CaO의 함유량 범위는 0.5 내지 4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SrO와 BaO는 유리가 용융되기 쉽게 함과 동시에, 열팽창계수와 점도를 조정하고, 또한 X선 흡수능력을 높이는 성분이다. SrO와 BaO의 함유량이 각각 3질량% 이상이면, 음극선관 전구 유리의 조각을 사용함으로 인해 저하된 X선 흡수계수를 높일 수 있다. 한편, SrO 및 BaO의 각각의 함유량이 많으면 유리가 실투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으나, 함유량이 각각 8질량% 이하이면 유리를 실투시키지 않으며 용융시킬 수 있다. SrO와 BaO의 함유량 범위는 각각 3.5 내지 8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ZnO는 유리의 내수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이다. ZnO의 함유량이 2질량% 이하이면, 유리를 실투시키지 않으며 용융시킬 수 있다. ZnO의 함유량 범위는 0.1 내지 1.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Na2O와 K2O는 열팽창계수와 점도를 조정하는 성분이다. Na2O와 K2 O의 함유량이 각각 4 내지 9질량%일 때, 네크 유리의 열팽창계수와의 정합성이 양호해질 뿐만 아니라, 후면 유리의 성형에 적합한 점도를 얻을 수 있다. Na2O와 K2O의 함유량 범위는 각각 4 내지 8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ZrO2는 유리의 X선 흡수계수를 높이는 성분이다. ZrO2의 함유량이 0.3질량% 보다 적으면, X선 흡수계수를 높이는 효과가 적다. 한편, ZrO2의 함유량이 많으면 유리가 실투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으나, 2질량% 이하이면 유리를 실투시키지 않으며 용융시킬 수 있다. ZrO2의 함유량 범위는 0.4 내지 1.8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TiO2는 유리의 내수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이다. TiO2의 함유량이 1질량% 이하이면, 유리를 실투시키지 않으며 용융시킬 수 있다. TiO2의 함유량은 0.8질량%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CeO2는 청징제로서 작용하는 성분이다. CeO2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유리가 실투되기 쉬워지는데, 1질량% 까지는 첨가해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CeO2의 함유량은 0.8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Sb2O3는 청징제로서 작용하는 성분이다. Sb2O3가 많아지면 유리가 실투되기 쉬워지는데, 2질량% 까지는 첨가해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Sb2O3의 함유량 범위는 0.05 내지 1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Fe2O3는 용융 유리의 적외선 투과율을 안정시켜, 유리가 용융되기 쉽게 하는 성분이다. Fe2O3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용융 유리의 적외선 투과율이 저하되어 대형 용융로에서 용융시킬 때, 스톤 등이 발생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으나, 1질량% 이하이면 스톤 등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용융시킬 수 있다. Fe2O3의 함유량 범위는 0.08 내지 0.9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음극선관 전구 유리의 조각을 사용함으로 인한 X선 흡수계수의 저하를 방지하려면, (SrO+BaO)/PbO의 값을 1.0 내지 3.2의 범위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 값이 1.0보다 작으면, X선 흡수계수가 저하된다. 또한, 이 값이 3.2보다 커지면, 유리가 실투되기 쉬워진다. 이 값의 바람직한 범위는 1.0 내지 2.9이다.
또한, 유리의 점도 상승을 억제하려면, Al2O3/PbO의 값을 0.13 내지 0.40의 범위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 값이 0.13보다 작으면 열팽창계수가 커져 네크 유리의 열팽창계수와의 정합성이 악화된다. 또한, 이 값이 0.40보다 커지면, 유리의 점도가 상승된다. 이 값의 바람직한 범위는 0.15 내지 0.40이다.
또한, 상기 이외에도 불순물로서 Co3O4, NiO를 각각 최대 1질량% 이하로 함유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음극선관 전구를 전면, 후면, 네크의 각 부분별로 완전히 분리하고 핀 이나 새도우 마스크를 제거한다. 그런 다음, 각 재질마다 유리를 1 내지 10㎜의 크기로 파쇄하여 유리 조각을 만들고, 약액 처리나 블라스트 처리를 하여 유리에 부착되어 있는 형광체나 카본 대그를 제거한 다음, 유리 조각을 세정한다. 이어서, 전면, 후면, 네크의 유리조각을 각각 40 내지 70%, 25 내지 50%, 1 내지 10%의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유리조각 혼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음극선관 전구를 직접 1 내지 10㎜의 크기로 파쇄하고, 형광체나 카본 대그를 제거한 후, 세정하여 유리 조각 혼합물을 얻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음극선관 전구를 각 부분별로 완전하게 분리하는 수고로움을 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유리 조각 혼합물을 후면 유리의 원료와 혼합하여 상기 조성이 되도록 조합 배치를 제조하고, 이 조합 배치를 용융로에서 용융하여 성형시킴으로써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에 대해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표 1은 파쇄된 음극선관 전구의 유리 조각 혼합물의 평균 조성을 나타낸 것이다.
파쇄된 유리 조각 혼합물의 평균 조성(질량%)
SiO2 58.8
Al2O3 2.7
PbO 8.5
MgO 0.6
CaO 1.3
SrO 6.2
BaO 5.9
ZnO 0.3
Na2O 6.5
K2O 7.4
ZrO2 1.0
TiO2 0.3
CeO2 0.2
Sb2O3 0.2
Fe2O3 0.1

본 발명의 실시예(샘플 No.1 내지 5)와 비교예(샘플 No.6 내지 7)를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실 시 예
No.1 No.2 No.3 No.4 No.5
조성 (질량%) SiO2 57.70 56.60 57.21 55.90 58.80
Al2O3 3.65 3.30 3.10 2.60 2.70
PbO 9.90 9.90 9.95 9.90 8.50
MgO 1.15 0.95 0.80 0.60 0.60
CaO 2.20 2.05 1.80 1.30 1.30
SrO 5.10 6.00 6.00 6.70 6.20
BaO 4.80 5.50 5.30 6.60 5.90
ZnO 0.15 0.20 0.20 0.30 0.30
Na2O 6.50 6.50 6.50 6.50 6.50
K2O 7.75 7.65 7.60 7.80 7.40
ZrO2 0.60 0.70 0.80 1.00 1.00
TiO2 0.15 0.20 0.20 0.30 0.30
CeO2 0.10 0.10 0.20 0.20 0.20
Sb2O3 0.20 0.10 0.20 0.20 0.20
Fe2O3 0.05 0.10 0.09 0.10 0.10
열팽창계수[30 내지 380℃] (×10-7/℃) 100 100 100 101 100
서냉점(℃) 501 501 500 500 502
성형 온도(℃) 990 989 989 990 992
X선 흡수계수 (0.6Å, ㎝-1) 47 47 47 47 44
음극선관 전구 유리의 사용량(%) 55 70 80 95 100
비 교 예
No.6 No.7
조성 (질량%) SiO2 52.90 53.00
Al2O3 4.00 3.80
PbO 9.00 8.50
MgO 3.00 2.50
CaO 5.00 4.50
SrO 3.80 4.30
BaO 3.00 3.70
ZnO 0.15 0.20
Na2O 8.00 8.00
K2O 10.00 10.00
ZrO2 0.60 0.70
TiO2 0.20 0.30
CeO2 0.10 0.20
Sb2O3 0.20 0.20
Fe2O3 0.05 0.10
열팽창계수[30 내지 380℃] (×10-7/℃) 100 100
서냉점(℃) 506 507
성형 온도(℃) 971 971
X선 흡수계수(0.6Å, ㎝-1) 39 39
음극선관 전구 유리의 사용량(%) 55 70

표에 기재된 각 샘플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우선, 표 1의 평균 조성을 갖는 음극선관의 파쇄 유리조각 혼합물을 준비하고, 표 2 및 표 3에 나타낸 조성이 되도록, 샘플 No.1 내지 4, 6 및 7에 대해서는 원료 배치와 혼합하고, 샘플 No.5에 대해서는 유리조각 혼합물 100%로 후면 유리용 조합 배치를 제작하였다. 그런 다음, 백금제 도가니에 조합된 배치를 넣고, 용융로에서 1550℃, 4시간의 조건하에 조합 배치를 용융시켰다. 또한, 균질한 유리를 얻기 위해, 도중에 백금 교반 막대를 이용하여 3분간 교반하여 거품을 제거하였다. 그런 다음, 용융 유리를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한 후, 서서히 냉각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각 샘플의 열팽창계수, 서냉점, 성형 온도 및 X선 흡수계수를 측정하여 표로 나타내었다.
열팽창계수에 대해서는, 팽창계(dilatometer)를 이용하여 30 내지 380℃에 있어서의 평균 열팽창계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서냉점에 대해서는, ASTM C336에 근거하여 측정하였다. 성형 온도에 대해서는, 유리의 점도가 104 dPa·s에 상응하는 온도를 백금구 인상법(引上法)에 의해 측정하였다.
X선 흡수계수는, 유리 조성과 밀도에 근거하여, 0.6옹스트롬의 파장에 대한 흡수계수를 계산하여 구한 것이다.
표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실시예인 샘플 No. 1 내지 5는, SrO 및 BaO의 함유량이 각각 3 내지 8%이며, (SrO+BaO)/PbO의 값도 1.0 내지 3.2의 범위내이기 때문에, X선 흡수계수가 47㎝-1로 높았다. 또한, Al2O3/PbO의 값이 0.13 내지 0.40의 범위내이기 때문에, 서냉점은 500 내지 502℃이고, 성형 온도는 989 내지 992℃이었다. 또한, 열팽창계수는 100 내지 101×10-7/℃이었다. 따라서, 음극선관 전구 유리를 각 재질별로 분별하는 일 없이, 다량으로 후면 유리의 원료로서 사용하더라도, 후면 유리의 특성을 변화시키지 않으며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반해, 비교예인 샘플 No.6 및 No.7은 X선 흡수계수가 39㎝-1로 낮고, 또한 서냉점은 506℃ 이상으로 높았다.
본 발명의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는 음극선관용 후면의 제조에 사용되는 유리로서 적합하다.

Claims (18)

  1. 질량백분율로, SiO2 48 내지 62%, Al2O3 1.4 내지 4.1%, PbO 5 내지 15%, MgO 0 내지 2%, CaO 0.1 내지 4%, SrO 3 내지 8%, BaO 3 내지 8%, ZnO 0 내지 2%, Na2O 4 내지 9%, K2O 4 내지 9%, ZrO2 0.3 내지 2%, TiO2 0 내지 1%, CeO2 0 내지 1%, Sb2O3 0 내지 2%, 및 Fe2O3 0 내지 1%를 함유하며, (SrO+BaO)/PbO의 값이 1.0 내지 3.2의 범위에 있고, Al2O3/PbO의 값이 0.13 내지 0.40의 범위에 있고, 0.6Å에서의 X선 흡수계수가 40㎝-1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
  2. 제 1항에 있어서, 음극선관용 전구를 구성하는 전면, 후면 및 네크의 재활용 유리조각 혼합물을 55질량% 이상 함유하는 유리 원료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
  3. 제 2항에 있어서, 유리 원료가 70질량% 이상의 재활용 유리 조각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
  4. 제 1항에 있어서, SiO2의 함유량이 49 내지 60질량%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
  5. 제 1항에 있어서, Al2O3의 함유량이 1.5 내지 4질량%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
  6. 제 1항에 있어서, PbO의 함유량이 5.5질량% 이상 내지 10질량% 미만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
  7. 제 1항에 있어서, MgO의 함유량이 1.9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
  8. 제 1항에 있어서, CaO의 함유량이 0.5 내지 4질량%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
  9. 제 1항에 있어서, SrO 및 BaO의 각각의 함유량이 3.5 내지 8질량%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
  10. 제 1항에 있어서, ZnO의 함유량이 0.1 내지 1.5질량%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
  11. 제 1항에 있어서, Na2O 및 K2O의 각각의 함유량이 4 내지 8질량%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
  12. 제 1항에 있어서, ZrO2의 함유량이 0.4 내지 1.8질량%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
  13. 제 1항에 있어서, TiO2 및 CeO2의 각각의 함유량이 0.8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
  14. 제 1항에 있어서, Sb2O3의 함유량이 0.05 내지 1질량%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
  15. 제 1항에 있어서, Fe2O3의 함유량이 0.08 내지 0.9질량%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
  16. 제 1항에 있어서, (SrO+BaO)/PbO의 값이 1.0 내지 2.9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
  17. 제 1항에 있어서, Al2O3/PbO의 값이 0.15 내지 0.40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
  18. 제 1항에 있어서, 불순물로서 Co3O4 및 NiO를 각각 1% 이하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
KR1020047003272A 2001-09-05 2002-09-02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 KR1005814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68167 2001-09-05
JP2001268167A JP2003081658A (ja) 2001-09-05 2001-09-05 陰極線管用ファンネルガラス
PCT/JP2002/008862 WO2003022765A1 (fr) 2001-09-05 2002-09-02 Verre entonnoir pour tube cathod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690A KR20040034690A (ko) 2004-04-28
KR100581485B1 true KR100581485B1 (ko) 2006-05-22

Family

ID=19094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3272A KR100581485B1 (ko) 2001-09-05 2002-09-02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40224832A1 (ko)
EP (1) EP1433759A1 (ko)
JP (1) JP2003081658A (ko)
KR (1) KR100581485B1 (ko)
CN (1) CN1215006C (ko)
WO (1) WO20030227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6441A (ja) * 2001-07-13 2003-01-29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陰極線管用ファンネル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陰極線管用ファンネルガラス
EP1732100A1 (en) * 2005-06-08 2006-12-13 Lg.Philips Displays Picture display device with a neck portion
JP5014627B2 (ja) * 2005-12-26 2012-08-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ランプ用ガラスの製造方法、ランプ用ガラス、およびランプ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28826C2 (de) * 1982-08-02 1986-09-25 Schott Glaswerke, 6500 Mainz Hochabsorbierendes Pb-haltige Gläser für Kathodenstrahlröhrenbildschirme
KR100515065B1 (ko) * 1998-07-02 2005-12-14 삼성코닝 주식회사 음극선관용 패널유리
US6251811B1 (en) * 1998-07-10 2001-06-26 Asahi Glass Company Ltd. Funnel glass for a cathode ray tube
JP2001172044A (ja) * 1999-12-20 2001-06-26 Asahi Glass Co Ltd 陰極線管ネック用ガラス
JP2002060242A (ja) * 2000-08-17 2002-02-26 Sony Corp 陰極線管用ファンネ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陰極線管
JP2002211948A (ja) * 2001-01-12 2002-07-31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陰極線管用ファンネルガラス
JP2003026441A (ja) * 2001-07-13 2003-01-29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陰極線管用ファンネル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陰極線管用ファンネルガラ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5006C (zh) 2005-08-17
JP2003081658A (ja) 2003-03-19
US20040224832A1 (en) 2004-11-11
KR20040034690A (ko) 2004-04-28
CN1551858A (zh) 2004-12-01
WO2003022765A1 (fr) 2003-03-20
EP1433759A1 (en) 200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25737B2 (ja) 陰極線管パネルガラス
KR100581485B1 (ko) 음극선관용 후면 유리
JP3007653B2 (ja) 陰極線管パネルガラス
US6956000B2 (en) Panel glass for cathode ray tube
JP3736733B2 (ja) 陰極線管パネルガラス
JPH05221682A (ja) 珪酸鉛ガラス、珪酸鉛ガラスを用いたネックチューブおよび珪酸鉛ガラス製ネックを備えた陰極線管
US6820443B2 (en) Method of producing CRT funnel glass suitable for glass recycling, and CRT funnel glass
US6437501B1 (en) CRT bulb glass containing PbO and Fe2O3
JPH01103932A (ja) 陰極線管パネルガラス
JP2003040646A (ja) 陰極線管用ファンネルガラス
JPS6374922A (ja) テレビジョン・フェ−スプレ−トの製造方法
JP3777635B2 (ja) 陰極線管用ガラス組成物
US6822383B2 (en) CRT panel glass containing SrO and BaO
KR100243063B1 (ko) X선 고흡수 영상표시판넬 유리조성물
JP2003095693A (ja) 陰極線管用ファンネルガラス
US20040038798A1 (en) CRT funnel of a non beam-index type
JP2002211948A (ja) 陰極線管用ファンネルガラス
JP2004067479A (ja) 陰極線管パネルガラス
JP2003112946A (ja) 陰極線管用ファンネルガラス
JP3483778B2 (ja) 鉛溶出の少ない陰極線管用ファンネルガラス
JP2002060243A (ja) 陰極線管用ネックガラス
JP2001302276A (ja) 陰極線管用ガラス組成物及びネック管ガラス組成物
JP2004075495A (ja) 陰極線管パネルガラス
JP2001006581A (ja) 陰極線管用ネックガラス
JP2002060244A (ja) 陰極線管用ネックガラ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